KR20160087277A - 클라우드 플랫폼에 기반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플랫폼에 기반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7277A
KR20160087277A KR1020150006401A KR20150006401A KR20160087277A KR 20160087277 A KR20160087277 A KR 20160087277A KR 1020150006401 A KR1020150006401 A KR 1020150006401A KR 20150006401 A KR20150006401 A KR 20150006401A KR 20160087277 A KR20160087277 A KR 20160087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ud platform
user terminal
vehicle
pedestrian
ac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6940B1 (ko
Inventor
최기주
장정아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06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940B1/ko
Publication of KR20160087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차량 또는 보행자의 이동정보를 감지하는 이동 감지부, 상기 감지한 이동정보를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전송하고,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위험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수신한 상기 위험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위험정보 알림부, 그리고 상기 위험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주변의 소리 또는 영상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사고가 발생하여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상기 획득한 상기 소리 또는 영상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차량과 보행자간의 충돌 가능성을 경고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고 발생시 취득한 사고현장 주변의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해당 사고를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라우드 플랫폼에 기반한 사용자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User Terminal Based On Cloud Platform and Method for Providing traffic safety Inform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클라우드 플랫폼에 기반한 사용자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교통안전 정보를 제공하고, 사고 발생시 사고에 대처하는 클라우드 플랫폼에 기반한 사용자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유선통신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이나 모바일 인터넷보다 진화된 단계인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은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가 사람의 개입이 없이 상호간에 정보를 주고받아 처리한다. 최근에는 IoT기술로 각종 사물이 컴퓨터 칩과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시스템이 보편화되고 있다.
그리고 IoT기술은 도로교통분야에서 교통안전 문제의 획기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차량용 블랙박스와 네비게이션 등을 장착한 차량이 증가하였고, IP기반의 지능형 감시카메라의 설치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각 개인은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현재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블랙박스, 네비게이션 및 개인의 스마트폰에 IoT기술을 적용하면 운전자가 보행자의 위치를 사전에 파악하여 안전운전 할 수 있고, 보행자도 차량의 주행 정보를 예상하여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어 각종 교통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현재, 차량에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보행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보행자와의 충돌 가능성을 사전에 확인하여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경보를 발생하는 기술이 등장하였다.
보행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보행자 주변에 위치한 차량으로 보행자의 위치를 전송하여 주행 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보행자를 인식하고 안전운행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보행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보행자의 위치 정보와 차량의 주행 정보를 이용하여 보행자와 차량의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고, 충돌 가능성이 있을 경우 운전자에게 경보를 발생한다.
그러나 보행자의 위치를 운전자에게 전달하거나, 단순히 충돌 가능성을 계산하여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전달할 뿐, 교통사고 발생시 사고를 신속하게 처리하거나 사고에 대처할 수 있는 기술은 적용되지 않아 교통 사고 발생시의 대응 방법으로는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교통 사고가 발생시 피해자와 가해자의 주장이 상반되어 결론을 도출하기 힘든 경우, 사고 정황 판단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집할 수 있는 기술은 아직까지 부족하다.
따라서 운전자간 또는 보행자와 운전자간의 위험상황을 예측하여 경고하고, 사고 발생시 사고 분석 및 수사에 활용될 자료를 간편하게 수집할 수 있는 관련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2013-0068626호(2013.06.26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클라우드 플랫폼에 기반한 사용자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교통안전 정보를 제공하고, 사고 발생시 사고에 대처하는 클라우드 플랫폼에 기반한 사용자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차량 또는 보행자의 이동정보를 감지하는 이동 감지부, 감지한 상기 이동정보를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전송하고,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위험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수신한 상기 위험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위험정보 알림부, 그리고 상기 위험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주변의 소리 또는 영상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사고가 발생하여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수집한 상기 소리 또는 영상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은, 복수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정보로부터 상대측 차량 또는 보행자와의 충돌이 예측되면 상기 위험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한 결과 사용자에게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소리 또는 영상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은, 상기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한 충돌 시간(TTC, Time to Collision) 또는 전방 충돌 옵셋량(FO, Frontal Offset)으로 상기 보행자 또는 차량의 위험상황을 예측하고, 위험상황으로 예측되었으며 상기 보행자 또는 차량의 위치에 변화가 없을 경우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은, 상기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 단말기의 주변에 위치한 도로 시설물 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고현장 주변의 소리 또는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로 시설물은, 팬/틸트 구동을 통하여 상기 사고현장 주변을 소리 또는 영상데이터를 녹음 또는 촬영하여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보행자가 착용하는 웨어러블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차량에 설치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차량 또는 보행자의 이동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한 상기 이동정보를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전송하고,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위험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위험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위험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주변의 소리 또는 영상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그리고 사고가 발생하여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수집한 상기 소리 또는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우드 플랫폼에 기반한 사용자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차량과 보행자간의 충돌 가능성을 경고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고 발생시 취득한 사고현장 주변의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해당 사고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에 기반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시설물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변차량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에 기반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과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은 클라우드 플랫폼(100) 및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통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은 도로 시설물(300) 및 주변 차량(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사용자 단말기(200)와 도로 시설물(300) 및 주변 차량(400)은 네트워크(network)를 통하여 클라우드 플랫폼(100)과 연결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사용자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블루투스(Bluetooth), NFC, 지그비(Zigbee), Wi-Fi,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등의 근거리 통신 또는 3G, 4G, LTE, LTE-A 등의 이동통신망과 같은 원거리 통신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먼저, 클라우드 플랫폼(100)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이동정보를 수신하고, 이동정보로부터 상대측 차량 또는 보행자와의 충돌이 예측되면 위험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때, 클라우드 플랫폼(100)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이동정보를 통하여 파악한 위치 관계성을 이용하여 충돌을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플랫폼(100)은 수신한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사용자에게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기(200)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소리 또는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때, 클라우드 플랫폼(100)은 이동정보로부터 충돌 시간(TTC, Time to Collision) 또는 전방 충돌 옵셋량(FO, Frontal Offset)을 계산하고, 충돌시간 또는 전방 충돌 옵셋량이 임계치보다 큰 경우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이 도로 시설물(300) 및 주변 차량(400)을 더 포함하는 경우, 클라우드 플랫폼(100)은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 단말기(200)의 주변에 위치한 도로 시설물(300) 또는 주변 차량(400)으로부터 사고 현장 주변의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저장된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는 통합적 사고 판단에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200)는 차량 또는 보행자의 이동정보를 감지하여 클라우드 플랫폼(100)으로 전송하고, 클라우드 플랫폼(100)으로부터 위험경고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한 상기 위험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위험을 경고하고, 상기 사용자 주변의 소리 또는 영상데이터를 수집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고가 발생하여 클라우드 플랫폼(100)으로부터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클라우드 플랫폼(100)으로 획득한 상기 소리 또는 영상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200)는 보행자가 착용하는 웨어러블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차량에 설치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도로 시설물(300)은 사고현장 주변을 소리 또는 영상데이터를 녹음 또는 촬영하여 클라우드 플랫폼(10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도로 시설물(300)은 도로에 설치된 각종 영상 카메라일 수 있으며, 도로 시설물(300)은 상시적으로 적정 위치를 모니터링하여 소리 또는 영상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도로 시설물(300)은 Zoom-in, Zoom-out, 이동, 회전 등의 팬/틸트 구동을 통하여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대상 구역을 변화시키면서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도로 시설물(300)은 수집한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클라우드 플랫폼(100)으로 전송한다. 이때, 도로 시설물(300)은 클라우드 플랫폼(100)으로부터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클라우드 플랫폼(100)으로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도로 시설물(300)은 수신한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프레임의 수, 프레임의 속도, 영상 포맷에 맞추어 실시간으로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주변 차량(400)은 통신기능과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 수집기능 및 데이터 저장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주변 차량(400)은 차량용 블랙박스가 장착된 차량일 수 있으며, 블랙박스는 블랙박스가 장착된 차량의 위치, 시간정보와 함께 상시적으로 녹화하여 차량 주변의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집한다. 그리고 클라우드 플랫폼(100)으로부터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주변차량(400)은 수집한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클라우드 플랫폼(100)으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는 이동 감지부(210), 통신부(220), 위험정보 알림부(230) 및 데이터 수집부(240)를 포함한다.
먼저, 이동 감지부(210)는 차량 또는 보행자의 이동정보를 감지한다. 여기서 이동정보에는 차량 또는 보행자의 위치, 속도, 이동방향이 포함된다.
사용자 단말기(200)가 차량에 설치되는 형태일 경우, 차량의 시동의 On/Off를 감지하는 시동On/Off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동On/Off 감지부는 엔진소리 또는 자기장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지능형 자동차의 OBD-Ⅱ(On-Board Diagnostic version Ⅱ)가 수집한 정보를 이용하여 시동의 On/Off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200)가 시동On/Off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이동 감지부(210)는 차량의 시동이 On인 상태에서만 차량의 이동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부(220)는 감지한 이동정보를 클라우드 플랫폼(100)으로 전송하고, 클라우드 플랫폼(100)으로부터 위험경고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위험경고 메시지는 차량 또는 보행자의 좌, 우, 정면, 후면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 위험을 경고하는 메시지이다.
그리고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통신부(220)는 클라우드 플랫폼(100)으로부터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영상 수집부(240)가 수집한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클라우드 플랫폼(100)으로 전송한다.
위험정보 알림부(230)는 수신한 위험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 위험정보 알림부(230)는 위험경고 메시지를 소리, 진동, 램프, 화면의 디스플레이 형태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위험을 경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수집부(240)는 위험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면 보행자 도는 차량 주변의 소리 또는 영상데이터를 수집한다. 데이터 수집부(240)는 마이크 기능을 이용하여 차량 또는 보행자 주변의 소리를 녹음하여 소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차량 또는 보행자 주변의 상황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시설물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과 같이, 도로 시설물(300)은 통신부(310)와 데이터 수집부(32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클라우드 플랫폼(100)으로부터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데이터 수집부(320)가 수집한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클라우드 플랫폼(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데이터 수집부(320)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도로 시설물(300)이 설치된 주변의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때, 데이터 수집부(320)는 팬/틸트 구동을 통하여 카메라를 회전시켜 촬영하는 구역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카메라가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를 요청하는 구역의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더 정확하고, 유의미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부(320)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프레임의 수, 프레임의 속도, 영상 포맷에 맞추어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변차량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주변 차량(400)은 통신부(410)와 데이터 수집부(420)를 포함한다.
통신부(410)는 클라우드 플랫폼(100)으로부터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데이터 수집부(420)가 수집한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클라우드 플랫폼(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데이터 수집부(420)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주변 차량(400) 주변의 상황을 녹음 또는 녹화하여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때, 데이터 수집부(420)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부(420)는 차량의 위치, 촬영방향, 촬영시의 시간 등의 정보를 주변 상황의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와 함께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수집부(420)는 수신된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프레임의 수, 프레임의 속도, 영상 포맷에 맞추어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와 같이, 클라우드 플랫폼(100)은 통신부(110), 저장부(120) 및 판단부(130)를 포함한다.
먼저,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이동정보를 수신하고, 상대측 차량 또는 보행자와의 충돌이 예측되면 사용자 단말기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로 위험경고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통신부(110)은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기(200)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100)의 통신부(110)는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도로 시설물(300) 및 주변 차량(400)으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도로 시설물(300) 및 주변 차량(400)으로부터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요청 메시지는 사고가 발생한 지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며, 요청하는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의 수, 프레임의 속도, 영상 포맷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20)는 사용자 단말기(200), 도로 시설물(300) 및 주변 차량(400)으로부터 수신한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된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는 사고의 통합적 판단에 사용되며, 사고 시간별, 사고 장소별, 사고관련 사용자 단말기별, 사고의 유형별로 분류되어 관리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판단부(13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상대측 차량 또는 보행자와의 충돌을 예측한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관계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충돌을 예측한다. 그리고 충돌할 것으로 예측될 경우 위험상황으로 판단하고, 충돌이 예측된 사용자 단말기(200)로 위험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위험경고 메시지는 충돌이 예측되는 위치, 충돌이 예측되는 타 사용자 단말기의 이동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판단부(130)는 충돌을 피하기 위한 주행 및 보행 정보를 추가적으로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교통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이 클라우드 플랫폼(100) 및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하는 경우 교통안전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교통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이 도로 시설물(300) 및 주변 차량(400)을 더 포함하는 경우에 교통안전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먼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S610 단계 내지 S660 단계는 보행 또는 운전하는 동안 클라우드 플랫폼이 해당 사용자의 위험 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의미하며, S670 단계 내지 S700 단계는 보행자와 운전자에게 사고가 발생한 경우 클라우드 플랫폼이 사고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설명의 편의상 크게 두 개의 단계로 나누어 설명한다.
먼저, 차량에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200a)는 차량의 이동정보를 감지한다(S610). 여기서 차량의 이동정보는 차량의 위치, 속도, 이동 방향, 엔진회전수(rpm)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차량의 제동거리, 공주거리, 정지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a)는 위성항법장치(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차량의 주행 속도계가 감지한 차량의 이동 속도 정보를 차량의 이동정보로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차량에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200a)는 감지한 차량의 이동정보를 클라우드 플랫폼(100)으로 전송한다(S615). 이때, 사용자 단말기(200a)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NFC, 등의 근거리 통신 또는 3G, 4G, LTE, LTE-A 등의 원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플랫폼(100)으로 이동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행자용 사용자 단말기(200b)도 보행자의 이동정보를 감지하여(S620), 클라우드 플랫폼(100)으로 전송한다(S625). 보행자용 사용자 단말기(200b)는 위성항법장치(GPS)를 이용하여 보행자의 위치를 감지하고, 보행자의 보행속도, 보행방향 정보 등의 이동정보를 감지하여 클라우드 플랫폼(100)으로 전송한다. 보행자용 사용자 단말기(200b)가 감지한 이동정보를 클라우드 플랫폼(100)으로 전송하는 과정은 S615 단계에서 차량에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200a)가 클라우드 플랫폼(100)으로 차량의 이동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 단말기(200a, 200b)가 차량 또는 보행자의 이동속도를 포함하는 이동정보를 클라우드 플랫폼(100)으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클라우드 플랫폼(100)은 (200a, 200b)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한 차량 또는 보행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또는 보행자의 속도를 예측할 수 있다.
다음으로 클라우드 플랫폼(100)은 위험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30). 클라우드 플랫폼(100)은 차량에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200a)로부터 수신한 차량의 이동정보와 보행자용 사용자 단말기(200b)로부터 수신한 보행자의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차량과 보행자의 충돌을 예측한다. 충돌할 것으로 예측되면 클라우드 플랫폼(100)은 해당 차량과 보행자가 위험상황에 처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클라우드 플랫폼(100)은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사고 발생 확률을 추정하고, 사고 발생 확률이 임계치 이상일 경우를 위험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플랫폼(100)이 차량과 보행자의 이동정보를 기반으로 이동경로를 예상한 결과,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위치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면 차량과 보행자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위험상황으로 판단한다. 또한 클라우드 플랫폼(100)은 동일한 시간에 차량과 보행자의 위치가 임계치 이하일 것으로 예측될 경우, 위험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플랫폼(100)은 수신한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충돌 시간(TTC, Time to Collision) 또는 전방 충돌 옵셋량(FO, Frontal Offset)을 연산하고, 연산된 결과값을 통하여 위험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충돌 시간(TTC, Time to Collision)은 전방에 위치한 차량 또는 보행자와의 상대 속도를 이용하여 계산되며, 전방에 위치한 차량 또는 보행자와의 상대거리를 전방에 위치한 차량 또는 보행자와의 상대 속도로 나누어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전방 충돌 옵셋량(FO, Frontal Offset)을 이용하여 충돌 물체와 차량 또는 보행자와의 충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계산된 충돌시간(TTC)값이 충돌이 발생하는 범위 내이어도 전방 충돌 옵셋량(FO)가 0일 경우 실제 충돌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차량과 보행자가 충돌하는 것을 예측하여 위험상황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간의 충돌 또는 보행자와의 충돌을 예측하여 위험상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위험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클라우드 플랫폼(100)은 위험 상황에 처한 사용자 단말기(200a, 200b)로 위험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S640). 이때, 위험 경고 메시지에는 위험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 및 장소, 예측되는 위험의 종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플랫폼(100)은 S615 단계 및 S625 단계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0a, 200b)로부터 이동정보를 수신할 때의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200a, 200b)에 생성된 위험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200a, 200b)는 수신한 위험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S650). 사용자 단말기(200a, 200b)는 위험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여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음을 사전에 경고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 상황은 보행자와의 충돌 또는 다른 차량과의 충돌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200a, 200b)는 경고음, 램프, 영상, 음성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위험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위험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방향의 램프를 깜박이게 하거나,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a, 200b)는 음성 안내를 이용하여 위험을 경고하거나, 위험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 및 위치 또는 방향과 위험의 종류를 영상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플랫폼(100)은 주기적으로 수신한 이동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200a, 200b)간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660). 클라우드 플랫폼(100)은 위험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 사용자 단말기(200a, 200b)로부터 수신한 이동정보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클라우드 플랫폼(100)은 S630 단계에서 계산한 충돌 시간(TTC, Time to Collision) 또는 전방 충돌 옵셋량(FO, Frontal Offset)을 이용하여 위험 상황 여부를 판단한 결과, 위험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a, 200b)의 위치 변화량을 파악한다.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a, 200b)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클라우드 플랫폼(100)은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클라우드 플랫폼(100)은 S670 단계 내지 S700 단계를 통하여 사고 관련 데이터를 수집한다. 설명의 편의상,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한 결과, 차량에 설치한 사용자 단말기(200a)와 보행자용 사용자 단말기(200b)가 서로 충돌한 것으로 판단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클라우드 플랫폼(100)은 사고와 연관된 사용자 단말기인 차량에 설치한 사용자 단말기(200a)와 보행자용 사용자 단말기(200b)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670).
여기서 데이터 요청 메시지는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위치를 포함하며, 요청하는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의 시간 구간, 프레임의 수, 프레임의 속도, 영상 포맷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요청하는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의 시간 구간은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시각을 기준으로 설정된다.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차량에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200a)는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여(S680), 클라우드 플랫폼(100)으로 전송한다(S685). 차량에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200a)는 블랙박스 또는 네비게이션이 녹음 또는 녹화한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클라우드 플랫폼(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차량에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200a)는 S615 단계에서 이동정보를 클라우드 플랫폼(100)으로 전송할 때 이용한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보행자용 사용자 단말기(200b)도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여(S690), 클라우드 플랫폼(100)으로 전송한다(S695). 보행자용 사용자 단말기(200b)의 녹음기능, 촬영기능을 이용하여 녹음 및 녹화한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S625 단계에서 이동정보를 클라우드 플랫폼(100)으로 전송할 때 이용한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플랫폼(100)은 수신한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S700). 사고와 관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a, 200b)로부터 수신한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는 발생한 사고의 통합적인 분석 및 판단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교통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이 도로 시설물(300) 및 주변 차량(400)을 포함하며, 클라우드 플랫폼(100)은 도로 시설물(300) 및 주변 차량(400)으로부터 사고와 관련된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먼저, 클라우드 플랫폼(100)은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710). 클라우드 플랫폼(100)이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도 6의 S660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클라우드 플랫폼(900)은 사고 현장 인근에 위치한 도로 시설물(300) 및 주변 차량(400)을 파악하여 해당 도로 시설물(300) 및 주변 차량(400)으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720).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은 도 6의 S670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도로 시설물(300)은 사고가 발생한 장소의 소리를 녹음하거나, 영상을 촬영하여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고(S730), 수집한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클라우드 플랫폼(100)으로 전송한다(S735).
또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주변 차량(400)은 사고가 발생한 장소의 소리를 녹음하거나, 영상을 촬영하여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고(S740), 수집한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클라우드 플랫폼(100)으로 전송한다(S745).
여기서 데이터 요청 메시지는 도 5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에서의 데이터 요청 메시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차량과 보행자간의 충돌 가능성을 경고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고 발생시 취득한 사고현장 주변의 소리 또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해당 사고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클라우드 플랫폼 110 : 통신부
120 : 저장부 130 : 판단부
200 : 사용자 단말기 210 : 이동 감지부
220 : 통신부 230 : 위험정보 알림부
240 : 데이터 수집부 300 : 도로 시설물
310 : 통신부 320 : 데이터 수집부
400 : 주변차량 410 : 통신부
420 : 데이터 수집부

Claims (12)

  1. 교통 사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차량 또는 보행자의 이동정보를 감지하는 이동 감지부,
    감지한 상기 이동정보를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전송하고,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위험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수신한 상기 위험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위험정보 알림부, 그리고
    상기 위험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주변의 소리 또는 영상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사고가 발생하여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수집한 상기 소리 또는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은,
    복수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정보로부터 상대측 차량 또는 보행자와의 충돌이 예측되면 상기 위험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한 결과 사용자에게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소리 또는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은,
    상기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한 충돌 시간(TTC, Time to Collision) 또는 전방 충돌 옵셋량(FO, Frontal Offset)으로 상기 보행자 또는 차량의 위험상황을 예측하고, 위험상황으로 예측되었으며 상기 보행자 또는 차량의 위치에 변화가 없을 경우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사용자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은,
    상기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 단말기의 주변에 위치한 도로 시설물 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고현장 주변의 소리 또는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시설물은,
    팬/틸트 구동을 통하여 상기 사고현장 주변을 소리 또는 영상데이터를 녹음 또는 촬영하여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보행자가 착용하는 웨어러블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차량에 설치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사용자 단말기.
  7.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차량 또는 보행자의 이동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한 상기 이동정보를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전송하고,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위험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위험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위험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주변의 소리 또는 영상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그리고
    사고가 발생하여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수집한 상기 소리 또는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은,
    복수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정보로부터 상대측 차량 또는 보행자와의 충돌이 예측되면 상기 위험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한 결과 사용자에게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소리 또는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은,
    상기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한 충돌 시간(TTC, Time to Collision) 또는 전방 충돌 옵셋량(FO, Frontal Offset)으로 상기 보행자 또는 차량의 위험상황을 예측하고, 위험상황으로 예측되었으며 상기 보행자 또는 차량의 위치에 변화가 없을 경우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은,
    상기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 단말기의 주변에 위치한 도로 시설물 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고현장 주변의 소리 또는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시설물은,
    팬/틸트 구동을 통하여 상기 사고현장 주변을 소리 또는 영상데이터를 녹음 또는 촬영하여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보행자가 착용하는 웨어러블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차량에 설치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
KR1020150006401A 2015-01-13 2015-01-13 클라우드 플랫폼에 기반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 KR101676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401A KR101676940B1 (ko) 2015-01-13 2015-01-13 클라우드 플랫폼에 기반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401A KR101676940B1 (ko) 2015-01-13 2015-01-13 클라우드 플랫폼에 기반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277A true KR20160087277A (ko) 2016-07-21
KR101676940B1 KR101676940B1 (ko) 2016-11-16

Family

ID=56680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401A KR101676940B1 (ko) 2015-01-13 2015-01-13 클라우드 플랫폼에 기반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6940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62854A (zh) * 2016-11-09 2018-05-22 大陆汽车投资(上海)有限公司 交通事故处理方法、设备及系统
KR20180065843A (ko) * 2016-12-07 2018-06-18 주식회사 넥스트솔루션 이벤트 정보 전송 시스템 및 전송방법
CN108513610A (zh) * 2017-04-21 2018-09-07 深圳市大疆灵眸科技有限公司 一种云台姿态估计方法、装置以及相应的云台
KR20180111375A (ko) * 2017-03-31 2018-10-11 주식회사 엘비씨소프트 보행자-차량 간의 상충위험도 분석시스템
CN109191866A (zh) * 2018-09-07 2019-01-11 芜湖市高科电子有限公司 一种基于Zigbee模块的车辆交通识别系统
CN109299881A (zh) * 2018-10-09 2019-02-01 安徽和信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基于安全生产互联网的安全监管系统
CN109325701A (zh) * 2018-10-09 2019-02-12 安徽和信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基于安监专网的安全监管系统
CN111586143A (zh) * 2020-04-30 2020-08-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从服务器请求数据的方法、车路协同设备、装置和介质
US11062606B2 (en) 2018-05-10 2021-07-13 Bastien Beauchamp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to-pedestrian collision avoidance
KR102279754B1 (ko) * 2020-02-10 2021-07-20 주식회사 서울로보틱스 충돌 사고 방지 방법, 장치,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07743B1 (ko) * 2021-04-19 2021-09-30 서은성 스쿨존 내에서의 어린이 교통사고 방지 통합 시스템
US11249184B2 (en) 2019-05-07 2022-02-15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Autonomous collision avoidance through physical layer tracking
US11263896B2 (en) 2020-04-06 2022-03-01 B&H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jaywalking of vulnerable road users
CN116189305A (zh) * 2023-03-09 2023-05-30 合肥市轨道交通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神经网络模型嵌入的人员危险动作识别方法
KR20230097314A (ko) * 2021-12-24 2023-07-03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항만 내 이동장비 위험상황 경고 서비스 방법 및 항만 내 이동장비 위험상황 경고 서비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67582A1 (en) 2018-05-09 2019-11-13 Volkswagen AG Vehicle,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sharing sound data
KR102143787B1 (ko) * 2019-02-12 2020-08-12 이영순 레일 바이크 충돌 예방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470449B2 (en) * 2020-11-24 2022-10-11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 message update rate adaptation for vehicle-to-pedestrian communicatio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0331A (ko) * 2012-06-14 2013-12-24 백상은 차량 사고 관리 장치 및 차량 사고 관리 방법
KR20130143185A (ko) * 2012-06-21 2013-12-31 현상수 위치정보를 이용한 자동차 사고방지장치와 방법 그리고 위치정보로 획득한 속도정보에 따른 위치정보 송신방법
KR101354049B1 (ko) * 2012-10-30 2014-02-05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무단횡단 보행자 정보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56674A (ko) * 2012-10-30 2014-05-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사고 처리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0331A (ko) * 2012-06-14 2013-12-24 백상은 차량 사고 관리 장치 및 차량 사고 관리 방법
KR20130143185A (ko) * 2012-06-21 2013-12-31 현상수 위치정보를 이용한 자동차 사고방지장치와 방법 그리고 위치정보로 획득한 속도정보에 따른 위치정보 송신방법
KR101354049B1 (ko) * 2012-10-30 2014-02-05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무단횡단 보행자 정보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56674A (ko) * 2012-10-30 2014-05-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사고 처리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62854A (zh) * 2016-11-09 2018-05-22 大陆汽车投资(上海)有限公司 交通事故处理方法、设备及系统
KR20180065843A (ko) * 2016-12-07 2018-06-18 주식회사 넥스트솔루션 이벤트 정보 전송 시스템 및 전송방법
KR20180111375A (ko) * 2017-03-31 2018-10-11 주식회사 엘비씨소프트 보행자-차량 간의 상충위험도 분석시스템
CN108513610A (zh) * 2017-04-21 2018-09-07 深圳市大疆灵眸科技有限公司 一种云台姿态估计方法、装置以及相应的云台
US11062606B2 (en) 2018-05-10 2021-07-13 Bastien Beauchamp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to-pedestrian collision avoidance
US11443633B2 (en) 2018-05-10 2022-09-13 Bastien Beauchamp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to-pedestrian collision avoidance
CN109191866A (zh) * 2018-09-07 2019-01-11 芜湖市高科电子有限公司 一种基于Zigbee模块的车辆交通识别系统
CN109325701A (zh) * 2018-10-09 2019-02-12 安徽和信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基于安监专网的安全监管系统
CN109299881A (zh) * 2018-10-09 2019-02-01 安徽和信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基于安全生产互联网的安全监管系统
US11249184B2 (en) 2019-05-07 2022-02-15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Autonomous collision avoidance through physical layer tracking
KR102279754B1 (ko) * 2020-02-10 2021-07-20 주식회사 서울로보틱스 충돌 사고 방지 방법, 장치,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1162205A1 (ko) * 2020-02-10 2021-08-19 (주)서울로보틱스 충돌 사고 방지 방법, 장치,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1263896B2 (en) 2020-04-06 2022-03-01 B&H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jaywalking of vulnerable road users
CN111586143A (zh) * 2020-04-30 2020-08-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从服务器请求数据的方法、车路协同设备、装置和介质
CN111586143B (zh) * 2020-04-30 2023-09-2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从服务器请求数据的方法、车路协同设备、装置和介质
KR102307743B1 (ko) * 2021-04-19 2021-09-30 서은성 스쿨존 내에서의 어린이 교통사고 방지 통합 시스템
KR20230097314A (ko) * 2021-12-24 2023-07-03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항만 내 이동장비 위험상황 경고 서비스 방법 및 항만 내 이동장비 위험상황 경고 서비스 시스템
CN116189305A (zh) * 2023-03-09 2023-05-30 合肥市轨道交通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神经网络模型嵌入的人员危险动作识别方法
CN116189305B (zh) * 2023-03-09 2023-07-18 合肥市轨道交通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神经网络模型嵌入的人员危险动作识别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6940B1 (ko)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940B1 (ko) 클라우드 플랫폼에 기반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
CN109961638B (zh) 信息收集系统以及信息收集装置
JP7444777B2 (ja) 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487630B1 (ko) 포트홀 실시간 감지 방법
JP5018613B2 (ja) 路上通信機および事故監視システム
JP5585194B2 (ja) 事故状況記録システム
CN109070888A (zh) 传播关于交通事件的警报
KR20200068776A (ko) 자율주행 및 커넥티드 자동차용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JP719277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車両
JP5020299B2 (ja) 落下物検知システム、落下物検知方法
KR101555051B1 (ko) 후방차량 충돌사고 방지장치
KR20200069127A (ko) 교통 관리 서버, 이를 이용한 교통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30139104A (ko) 교통 관리 시스템
JP7367014B2 (ja)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撮像装置
WO2023112286A1 (ja) 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101294285B1 (ko) 도로 위치기반 적응형 영상 및 차량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31335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고속주행차량의 돌발상황 정보전달방법
EP3998769A1 (en)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0633929B1 (ko) 지피에스를 이용한 도주 차량 검거방법
KR102058967B1 (ko) 버스 안전 운행시스템
JP2023147200A (ja) 危険通知方法及び実装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20230062962A (ko)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데이터 통신 방법 및 데이터 통신 차량
JPWO2020059257A1 (ja) 通報装置、通報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201822163A (zh) 事故警示系統與方法
KR20170018699A (ko) 사고 정보 수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