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4867A - 자동차 정비용 타이어 리프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정비용 타이어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4867A
KR20110104867A KR1020100090378A KR20100090378A KR20110104867A KR 20110104867 A KR20110104867 A KR 20110104867A KR 1020100090378 A KR1020100090378 A KR 1020100090378A KR 20100090378 A KR20100090378 A KR 20100090378A KR 20110104867 A KR20110104867 A KR 20110104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support
lift
guid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6657B1 (ko
Inventor
박춘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110104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4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66F7/025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screw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0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를 승강시키는 리프트를 제공하여 작업자가 서서 작업할 수 있는 높이로 승강시킨 자동차로부터 타이어를 간편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정비용 타이어 리프트이다.
본 발명은 타이어를 승강하도록 구비하는 타이어 리프트로서, 이동 가능하도록 바퀴를 구비한 베이스에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내부에 승강실을 형성하고 상단에 캡을 구비한 지주; 상기 베이스에 모터 및 감속기에 의하여 설정된 회전속도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상기 승강실에 구비되어 구동수단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하면서 타이어 안착수단을 승강시키어 주는 승강수단; 상기 지주의 한 측에 형성한 보조 지주에 설치하여 타이어 안착수단이 승강할 때 균형되게 지지하면서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안내 지지수단; 을 각각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정비용 타이어 리프트{Automobile maintenance tire lift}
본 발명은 자동차 정비용 타이어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타이어를 정비할 때 타이어를 리프트에 의하여 승강하도록 하여 자동차의 허브 볼트로부터 타이어의 탈착 작업을 극히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정비용 타이어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정비업소 등에서 타이어를 교환하거나 수리 등을 할 경우나 다른 부분과 함께 정비할 경우에는 먼저 자동차를 리프트에 의하여 작업자가 서서 작업할 수 있는 높이로 승강시킨 후 타이어를 탈착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작업자가 타이어를 들고 올리거나 내리고 있다.
그러나 타이어는 차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중량이 상당하여 작업자가 타이어를 들고 올리거나 내리는 과정에서 허리를 다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부주의로 떨어트려 휠 등에 손상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타이어를 들어올리어 결합할 때 자동차의 허브에 여러 개의 허브볼트와 타이어의 휠에 형성된 체결공과 일치하도록 맞추어 끼우는 작업이 상당히 힘들고 번거로움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타이어를 탈착할 때 부주의로 허브볼트에 충격을 가해지는 경우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타이어를 승강시키는 리프트를 제공하여 작업자가 서서 작업할 수 있는 높이로 승강시킨 자동차로부터 분리된 타이어를 바닥으로 내리거나 타이어휠의 체결공이 허브 볼트의 위치에 이르도록 한 후 타이어를 돌려주면서 타이어휠의 체결공이 허브 볼트에 끼워지도록 맞춘 후 결합시키어 휠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작업자가 일일히 타이어를 들어올리거나 내리지 않고 리프트에 의해 승강시키면서 체결위치를 간편하게 맞추어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정비용 타이어 리프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해결수단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동 가능하도록 바퀴를 구비한 베이스에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내부에 승강실을 형성하고 상단에 캡을 구비한 지주; 상기 베이스에 모터 및 감속기에 의하여 설정된 회전속도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상기 승강실에 구비되어 구동수단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하면서 타이어 안착수단을 승강시키어 주는 승강수단; 상기 지주의 한 측에 형성한 보조 지주에 설치하여 타이어 안착수단이 승강할 때 균형되게 지지하면서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안내 지지수단; 을 각각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을 달성하도록 한다.
또, 상기 승강수단은, 구동수단의 감속기에 수직 상으로 축설하는 나선축을 지주의 상 하단에 각각 지지부재로 축설하여 나선축이 회전하도록 구비함과, 상기 나선축에 나사결합되면서 지주 내부에 끼워진 승강구가 나선축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도록 하여 승강구와 연결한 타이어 안착수단이 함께 승강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타이어 안착수단은 승강구에 연결되는 지지판의 양측에 수평으로 받침봉을 고정시키고, 이 받침봉에 끼워져 전 후진하면서 내측에 타이어의 한 면을 받치도록 가변판을 형성한 안착봉을 구비함과, 상기 안착봉은 받침봉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하여 안착봉에 올려진 타이어(T)가 회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안내지지수단은 지주의 한 측에 형성한 보조 지주에 안내축을 갖는 브라켓을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이 안내축에 끼워져 슬라이딩하는 가이드 부싱을 지지판에 고정되도록 설치하여 타이어 안착수단이 승강할 때 균형되게 지지하면서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또, 상기 베이스의 어느 한 측단부에 설치되어 바퀴가 구비된 베이스가 이동되지 않도록 바닥에 지지하도록 하는 바닥 지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타이어를 탈착할 때 작업자가 타이어를 직접 들지 않고 타이어를 승강시키도록 하여 자동차의 허브 볼트로부터 타이어의 탈착 작업을 극히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이어의 탈착 하는 과정에서 부주의로 허브 볼트 및 타이어 휠에 충격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승강수단을 보인 일부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에서 지주의 평면상으로 보인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6a, 6b는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 예의 확대하여 보인 작동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승강수단을 보인 일부 단면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에서 지주의 평면상으로 보인 일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작동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들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임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바퀴(11)를 구비한 베이스(10)에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내부에 승강실(21)을 형성하고 상단에 캡(22)을 결합하는 지주(20)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10)에는 상단에 뚜껑(12)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전기적인 제어신호를 보내는 전기적 제어수단(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작동하는 모터(31) 및 감속기(32)에 의하여 설정된 회전속도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30)을 구비한다.
상기 승강실(21)에 구비되어 구동수단(30)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하면서 타이어 안착수단(50)을 승강시키어 주도록 하는 승강수단(40)을 구비하며,
이 승강수단(40)은 구동수단(30)의 감속기(32)에 수직 상으로 축설하는 나선축(41)을 지주(20)의 상 하단에 각각 지지부재(42)로 축설하여 나선축(41)이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나선축(41)에 나사결합되면서 지주 내부에 끼워진 승강구(43)가 나선축(41)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나선축(41)은 이중나사로 형성하여 승강구(43)의 이송거리의 배가로 이송거리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이어 안착수단(50)은 승강구(43)에 연결편(44)로 연결되는 지지판(51)의 양측 하방에 수평으로 받침봉(52)을 고정시키고, 이 받침봉(52)에 끼워져 전 후진하면서 내측에 타이어의 한 면을 받치도록 가변판(53)을 형성한 안착봉(54)을 구비하며, 상기 안착봉(54)은 받침봉(5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하여 안착봉(52)에 올려진 타이어(T)가 회전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지주(20)의 한 측에 형성한 보조 지주(23)의 한 측면에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타이어 안착수단(50)이 승강할 때 균형되게 지지하면서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안내 지지수단(60)을 구비한다.
상기 안내지지수단(60)은 지주(20)의 한 측에 형성한 보조 지주(23)에 안내축(61)을 갖는 브라켓(62)을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이 안내축(61)에 끼워져 슬라이딩하는 안내부싱(63)을 지지판(51)에 고정되도록 설치하여 타이어 안착수단(50)이 승강할 때 균형되게 지지하면서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지주(20)의 상 하단부에는 스톱 스위치(70)를 설치하여 승강수단(40)이 상사점이나 하사점에 이르면 더 이상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비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80은 모노 스위치로서, 모노 스위치의 레바를 위로 올리면 타이어 안착수단(50)이 승강되고 레바를 내리면 타이어 안착수단(50)이 하강하도록 하는 전기적 제어수단를 작동시키는 것이며, 상기 모노 스위치(80)의 하방에는 비상스위치(81)를 구비하여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원을 오프시키어 모든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한 것이다.
부호 82는 본 발명을 작업자가 이동을 용이하도록 구비한 손잡이 바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에 대하여 상호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의 타이어(T)를 탈착하는 작업을 수행할 경우,
먼저 자동차 리프트에 의하여 작업자가 서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의 높이로 자동차를 승강시킨 상태에서 작업이 수행된다.
즉, 본 발명의 타이어 리프트에서 지주(20)의 어느 한 측에 구비된 모노 스위치(80)를 위로 올리면 전기적 제어수단을 통해 구동수단(30)의 작동으로 구동수단(30)에 연결된 나선축(41)이 정 회전하면 나선축(41)에 나사결합된 승강구(43)가 상승하게 됨에 따라 승강구(43)에 연결된 타이어 안착수단(50)이 상승하게 되면서 타이어 안착수단(50)의 한 측이 안내 지지수단(60)에 의해 상승할 때 균형되게 지지하면서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과정에 의하여 안착수단(50)을 자동차의 타이어 위치에 올려놓은 후 교체나 수리할 타이어의 휠 너트를 풀어 타이어를 분리하여 분리하는 위치의 일측에 위치한 안착수단(50)으로 옮겨 안착시킨 다음에 모노 스위치(80)를 내리면 전기적 제어수단을 통해 구동수단(30)의 작동으로 구동수단(30)에 연결된 나선축(41)이 역 회전하면 나선축(41)에 나사결합된 승강구(43)가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지면으로 하강한 타이어 안착수단(50)으로부터 타이어를 안전하게 빼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으로 교체나 수리한 타이어(T)를 안착수단(5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에서 기술한 상승 작동공정에 의하여 승강시키어 타이어를 끼울 위치까지 올린 후 자동차의 허브 볼트에 타이어휠의 체결공을 맞추어 결합시키게 되는데 안착봉(54)이 받침봉(5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전 후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어 타이어 밀어주어 타이어휠의 체결공이 허브 볼트의 위치에 이르도록 한 후 타이어를 돌려주면서 타이어휠의 체결공이 허브 볼트에 끼워지도록 맞춘 후 결합시키어 휠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작업자가 일일히 타이어를 들어올리거나 내리지 않고 리프트에 의해 승강시키면서 체결위치를 간편하게 맞추어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승강구가 나선방식에 의하여 승 하강되므로 인하여 모노 스위치(80)의 조작으로 미세한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자동차의 허브 볼트에 타이어휠의 체결공을 맞추어 결합시키는 작업공정이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a, 6b는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 예의 확대하여 보인 작동 상태를 나타낸바,
상기 베이스(10)의 어느 한 측단부에 설치되어 바퀴(11)가 구비된 베이스(10)가 이동되지 않도록 바닥에 지지하도록 하는 바닥 지지수단(90)을 구비한다.
상기 바닥 지지수단(90)은 베이스(10)의 측면에 고정 설치하는 지지구(91)의 측면에 외측에 수직상으로 가이드공(92a)을 형성한 바디(92)를 체결하여 고정하고, 상기 바디(92)의 상부에 1차 링크(93)의 한 측단부를 힌지 연결하고 타측단에 패달(94)을 구비하며, 상기 1차 링크(93)의 타 측단부에 2차 링크(95)의 한 측단부를 힌지 연결하면서 2차 링크(95)의 타 측단부를 바디(92)의 가이드공(92a)에 끼워진 작동봉(96)의 상단부에 힌지 연결하며, 상기 작동봉(96)의 하단에 접지판(97)을 부착하여 작동봉(96)이 내려가면 바닥에 접지하여 받쳐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접지판(97)의 저면에는 고무재질의 패드(98)를 부착하여 슬림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 중에서 안착수단(50)에 타이어를 굴려 올려놓을 경우 베이스(10)에 부착된 바퀴(11)로 인하여 베이스가 밀리어 이동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고 보관중에도 작업자의 터치 등으로 인하여 이동될 수 있는바,
이때는 상기 바닥 지지수단(90)을 작동시키어 베이스(10)의 이동을 제어하게 되는데 그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패달(94)을 밟으면 1차 링크(93)가 2차 링크(95)를 눌러주게 됨에 따라 2차 링크(95)에 연결된 작동봉(96)의 작동으로 접지판(97)이 바닥에 접지되면서 눌러지면서 베이스에 부착된 바퀴(11) 중 인접된 바퀴(11)들이 지면으로부터 위로 올라가 바퀴기능이 상실되고 접지판(97)에 위하여 받쳐지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는 2차 링크(95)가 수직 상으로 위치함에 따라 패달(94)에서 발을 떼어도 작동봉(96)이 올라가지 않고 지지하게 되며, 이를 해제할 경우에는 패달(94)을 위로 올려주면 수직상으로 위치한 2차 링크(95)가 기울어져 베이스(10)의 하중에 의하여 눌려져 작동봉(96)이 상승하게 됨으로써 바닥의 지지가 해제되는 것이다.
10: 베이스 20: 지주
21: 승강실 23: 보조 지주
30: 구동수단 40: 승강수단
41: 나선축 42: 지지부재
43: 승강구 44: 연결편
50: 타이어 안착수단 51: 지지판
52: 받침봉 53: 가변판
54: 안착봉 60: 안내지지수단
61: 안내봉 63: 안내부싱
70: 스톱 스위치 90: 바닥 지지수단

Claims (7)

  1. 타이어를 승강하도록 구비하는 타이어 리프트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도록 바퀴를 구비한 베이스에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내부에 승강실을 형성하고 상단에 캡을 구비한 지주; 상기 베이스에 모터 및 감속기에 의하여 설정된 회전속도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상기 승강실에 구비되고 구동수단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하여 타이어 안착수단을 승강시키어 주는 승강수단; 상기 지주의 한 측에 형성한 보조 지주에 설치하여 타이어 안착수단이 승강할 때 균형되게 지지하면서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안내 지지수단; 을 각각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비용 타이어 리프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구동수단의 감속기에 수직 상으로 축설하는 나선축을 지주의 상 하단에 각각 지지부재로 축설하여 나선축이 회전하도록 구비함과, 상기 나선축에 나사결합되면서 지주 내부에 끼워진 승강구가 나선축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도록 하여 승강구와 연결한 타이어 안착수단이 함께 승강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비용 타이어 리프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안착수단은 승강구에 연결되는 지지판의 양측에 수평으로 받침봉을 고정시키고 이 받침봉에 끼워져 전 후진하면서 내측에 타이어의 한 면을 받치도록 가변판을 형성한 안착봉을 구비함과, 상기 안착봉은 받침봉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하여 안착봉에 올려진 타이어가 회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비용 타이어 리프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지지수단은 지주의 한 측에 형성한 보조 지주에 안내축을 갖는 브라켓을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이 안내축에 끼워져 슬라이딩하는 안내부싱을 지지판에 고정되도록 설치하여 타이어 안착수단이 승강할 때 균형되게 지지하면서 가이드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비용 타이어 리프트.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축은 이중나선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비용 타이어 리프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어느 한 측단부에 설치되어 바퀴가 구비된 베이스가 이동되지 않도록 바닥에 지지하도록 하는 바닥 지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비용 타이어 리프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지지수단은 베이스의 측면에 고정 설치하는 지지구의 측면에 외측에 수직상으로 가이드공을 형성한 바디를 체결하여 고정하고 바디의 상부에 1차 링크의 한 측단부를 힌지 연결하고 타측단에 패달을 구비함과,
    상기 1차 링크의 타 측단부에 2차 링크의 한 측단부를 힌지 연결하면서 2차 링크의 타 측단부를 바디의 가이드공에 끼워진 작동봉의 상단부에 힌지 연결함과,
    상기 작동봉의 하단에 패드를 갖는 접지판을 부착하여 작동봉이 내려가면 바닥에 접지하여 받쳐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비용 타이어 리프트.
KR1020100090378A 2010-03-17 2010-09-15 자동차 정비용 타이어 리프트 KR101226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3597 2010-03-17
KR1020100023597 2010-03-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867A true KR20110104867A (ko) 2011-09-23
KR101226657B1 KR101226657B1 (ko) 2013-02-05

Family

ID=44955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378A KR101226657B1 (ko) 2010-03-17 2010-09-15 자동차 정비용 타이어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665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729B1 (ko) * 2011-11-17 2013-09-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수밀경사 시험용 경사로딩 대차
KR101527504B1 (ko) * 2014-01-06 2015-06-09 주식회사 오토기기 차량부속 승강장치
CN106183664A (zh) * 2016-08-30 2016-12-07 中国人民解放军63981部队 一种轮胎拆装车
CN108483325A (zh) * 2018-05-29 2018-09-04 德清县德沃工业设备安装有限公司 一种多功能升降机
CN109466243A (zh) * 2018-11-28 2019-03-15 合肥昊泰新材料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轮胎拆装运输装置
CN112456373A (zh) * 2020-12-17 2021-03-09 苏州柯利达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安装用起吊装置
CN115180553A (zh) * 2022-08-24 2022-10-14 山东瑞泰盖泽工程有限公司 一种机电设备安装维修用的升降装置
KR102529254B1 (ko) * 2022-04-25 2023-06-08 주식회사 제일자동차정비공구 타이어용 밸런스 리프트
KR102652864B1 (ko) * 2023-11-30 2024-03-28 한국교통안전공단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검사용 보조리프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721B1 (ko) 2015-01-28 2017-08-14 김용선 자동차 정비용 타이어 리프트
KR101666344B1 (ko) 2015-08-21 2016-10-13 김용선 타이어 리프트
KR102050671B1 (ko) * 2018-07-26 2019-11-29 사단법인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사용자 단말기로 견인 상황을 제공하는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2127874B1 (ko) 2018-07-26 2020-06-29 사단법인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불법 주차된 차량을 이동시키는 휴대용 견인장치
KR102127873B1 (ko) 2018-07-26 2020-06-29 사단법인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주차차량의 휴대용 견인장치
KR102261873B1 (ko) 2020-10-29 2021-06-08 (주)제이앤제이글로벌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
KR20220166686A (ko) 2021-06-10 2022-12-19 한상락 모바일 리프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9078U (ja) * 1992-02-25 1993-09-17 鋼鈑工業株式会社 簡易リフター
JPH06143906A (ja) * 1992-11-02 1994-05-24 Bridgestone Corp タイヤドーリー
JPH11198601A (ja) * 1998-01-12 1999-07-27 Sugiyasu Kogyo Kk ホイールドーリ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729B1 (ko) * 2011-11-17 2013-09-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수밀경사 시험용 경사로딩 대차
KR101527504B1 (ko) * 2014-01-06 2015-06-09 주식회사 오토기기 차량부속 승강장치
CN106183664A (zh) * 2016-08-30 2016-12-07 中国人民解放军63981部队 一种轮胎拆装车
CN106183664B (zh) * 2016-08-30 2018-04-20 中国人民解放军63981部队 一种轮胎拆装车
CN108483325A (zh) * 2018-05-29 2018-09-04 德清县德沃工业设备安装有限公司 一种多功能升降机
CN109466243A (zh) * 2018-11-28 2019-03-15 合肥昊泰新材料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轮胎拆装运输装置
CN112456373A (zh) * 2020-12-17 2021-03-09 苏州柯利达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安装用起吊装置
KR102529254B1 (ko) * 2022-04-25 2023-06-08 주식회사 제일자동차정비공구 타이어용 밸런스 리프트
CN115180553A (zh) * 2022-08-24 2022-10-14 山东瑞泰盖泽工程有限公司 一种机电设备安装维修用的升降装置
KR102652864B1 (ko) * 2023-11-30 2024-03-28 한국교통안전공단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검사용 보조리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6657B1 (ko)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6657B1 (ko) 자동차 정비용 타이어 리프트
CN101863430B (zh) 无障碍折叠式链条升降台
KR101773640B1 (ko) 차량 리프팅 시스템
CN206985646U (zh) 一种可全方位移动的升降小车
CN212292654U (zh) 一种用于起重机安装的举升装置
CN204643740U (zh) 一种轮胎举升设备
CN105668450B (zh) 断路器机构检修小车
CN108910756B (zh) 一种动力电池举升机及其方法
CN208914000U (zh) 用于轨道车辆车钩拆装的辅助小车
CN111170199B (zh) 一种客车装配用气囊举升机
KR100387566B1 (ko) 자동차용 리프트 장치
CN113636096B (zh) 一种民航飞机机轮自动举升装置及其使用方法
JP2010274765A (ja) タイヤ交換用補助工具
CN205023757U (zh) 一种玻璃自动安装电动搬运小车
CN210850131U (zh) 用于新能源汽车的动力总成维修套装
CN201722103U (zh) 无障碍折叠式链条升降台
CN220642496U (zh) 一种管廊支架安装用设备
CN206263899U (zh) 汽修翻转架
CN111922973B (zh) 一种用于立式断路器液压机构拆装的便携工具
CN220926177U (zh) 一种汽车维修用轮毂举托装置
CN217475915U (zh) 一种轮胎总成自动翻转固定装置
CN103818853B (zh) 一种用于工件检测的自动平斜转换升降装置
CN218909724U (zh) 一种叉车检修举升保护机构
CN214059726U (zh) 用于车辆维护的支杆放置装置
CN217532902U (zh) 一种从下部安装零部件的可移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