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254B1 - 타이어용 밸런스 리프트 - Google Patents

타이어용 밸런스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254B1
KR102529254B1 KR1020220050646A KR20220050646A KR102529254B1 KR 102529254 B1 KR102529254 B1 KR 102529254B1 KR 1020220050646 A KR1020220050646 A KR 1020220050646A KR 20220050646 A KR20220050646 A KR 20220050646A KR 102529254 B1 KR102529254 B1 KR 102529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unit
upper plate
heigh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0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자동차정비공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자동차정비공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자동차정비공구
Priority to KR1020220050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1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for removing tyres from or mounting tyres on wheels
    • B60C25/05Machines
    • B60C25/132Machines for removing and mounting tyres
    • B60C25/135Machines for removing and mounting tyres having a tyre support or a tool, movable along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1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for removing tyres from or mounting tyres on wheels
    • B60C25/05Machines
    • B60C25/0521Handling of rim or tyre, e.g. lifting and 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1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for removing tyres from or mounting tyres on wheels
    • B60C25/05Machines
    • B60C25/0527Adapting to different wheel diameters, i.e. distance between support and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1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for removing tyres from or mounting tyres on wheels
    • B60C25/05Machines
    • B60C25/0548Machines equipped with sensing means, e.g. for positioning, measuring or controlling
    • B60C25/0551Machines equipped with sensing means, e.g. for positioning, measuring or controlling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용 밸런스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규격의 타이어의 중심 높이를 간편하게 측정하고 측정된 높이만큼 타이어를 상승시켜, 타이어의 휠 밸런스를 조정하는 밸런스 기계에 타이어 조립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타이어용 밸런스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이어용 밸런스 리프트{balance lift for tires}
본 발명은 타이어용 밸런스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규격의 타이어의 중심 높이를 간편하게 측정하고 측정된 높이만큼 타이어를 상승시켜, 타이어의 휠 밸런스를 조정하는 밸런스 기계에 타이어 조립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타이어용 밸런스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 리프트는 작업자가 편리하게 자동차 타이어를 자동차에서 편리하게 탈착하여 점검, 교체 등의 다양한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하기 위해 사용한다.
따라서 타이어 리프트는 차량에서 타이어를 탈착 또는 결합할 때 차량의 높이에 맞춰 위치조절이 편리하게 이루어지고, 타이어에 장착된 휠을 제거하기 위해 타이어 탈착기에 안착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 "타이어 리프트"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자동차의 타이어를 정비할 때 타이어를 리프트에 의하여 승강하도록 하여 타이어의 탈착 작업을 극히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정비용 타이어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즉, 종래기술은 상부플레이트에 결합된 받침대에 타이어가 안착된 후,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이동을 통해 특정 범위 내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타이어를 쉽게 이동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타이어를 단순 승하강 시킨 후, 길이방향 이동을 통해 이동할 수 있어, 밸런스 기계의 중식축에 정확한 높이를 맞출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다양한 타이어의 규격에 따라 타이어 중심 축이 변경됨에 따라 밸런스 기계의 중심축에 맞춰 정확한 높이 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6344호(2016.10.08.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타이어의 높이를 측정하여 타이어 중심축이 밸런스 기계의 중심축의 높이에 맞춰 승하강시킬 수 있는 타이어용 밸런스 리프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착된 타이어의 높이를 간편하게 측정되며, 측정된 높이의 반지름 및 상승 높이에 맞춰 작동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타이어용 밸런스 리프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타이어 측정시 임의로 타이어를 승하강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타이어용 밸런스 리프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양측에 제1결합부가 구비된 하부플레이트; 상기 안착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양측에 제2결합부가 구비되어 타이어가 안착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안착부의 일측단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승하강시키는 작동유닛과,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에 양측단이 고정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으로 이루어진 작동부; 상기 안착부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안착된 타이어의 높이를 측정하여 반지름을 산출하며, 상기 작동부의 승하강 높이를 조절하는 측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1고정홈과, 상기 안착부의 타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장홈으로 형성된 제1이동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양측 하단 일측에 형성된 제2고정홈과,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단 타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장홈으로 형성된 제2이동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안착부의 일측단에서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부로 돌출된 실린더로드가 승하강되는 작동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로드의 상단에 결합되며,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연결브라켓와, 상기 작동실린더의 전력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작동실린더의 승강 및 하강을 제어하는 작동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양측에서 X자로 교차되어 하단이 제1결합부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제2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승하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보조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정부는, 상기 안착부의 일측단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안착된 타이어의 높이를 측정하는 측정유닛과, 상기 측정유닛을 통해 측정된 타이어의 높이를 통해 반지름을 산출하여 상기 작동부의 승,하강 높이를 조절하는 산출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정유닛은, 상기 안착부의 일측단에서 수직으로 배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서 상,하 이동 및 좌,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안착된 타이어의 높이를 측정하는 측정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측정부재의 회전시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작동을 차단하는 리미트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출유닛은, 상기 안착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제1레일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측정유닛의 이동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타이어의 높이에 맞춰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재와, 상기 안착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레일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된 제2레일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감지부재와,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 사이에서 상기 안착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중심축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조절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감지부재와 연결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안착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2레일의 측면에 평행하게 설치된 제3레일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재의 위치를 통해 이동 범위를 제한하여 상기 작동부의 상승높이를 조절하는 제어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실린더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하 이동한 상기 연결브라켓을 고정하는 고정유닛이 더 포함되되,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작동실린더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브라켓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감싸도록 배치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브라켓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판이 형성된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판 및 상기 연결브라켓에 설치되어 가압된 마찰력을 통해 상기 연결브라켓을 고정하는 마찰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양측단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롤러가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단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용 밸런스 리프트에 따르면, 상부플레이트에 안착된 다양한 규격의 타이어의 높이를 측정부를 통해 간편하게 측정하여 산축된 높이에 맞춰 작동부를 통해 타이어를 승하강시켜 타이어의 중심축이 밸런스 기계의 중심축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여 간편하게 탈착하여 휠 밸런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부를 간편하게 조작하여 측정된 타이어의 지름을 통해 반지름의 길이와 승강길이에 맞춰 타이어를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어의 높이 측정시 작동부가 임의로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플레이트의 승하강 및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고 하중의 타이어를 용이하게 승하강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용 밸런스 리프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단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유닛을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출유닛을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출유닛의 이동에 따른 상승높이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높이 측정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 높이에 맞춰 승하강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용 밸런스 리프트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용 밸런스 리프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단면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유닛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출유닛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출유닛의 이동에 따른 상승높이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높이 측정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 높이에 맞춰 승하강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타이어용 밸런스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규격의 타이어의 중심 높이를 간편하게 측정하고 측정된 높이만큼 타이어를 상승시켜, 타이어의 휠 밸런스를 조정하는 밸런스 기계에 타이어 조립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타이어용 밸런스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안착된 다양한 규격의 타이어의 높이를 측정하여 타이어 중심축이 밸런스 기계의 중심축 높이에 맞춰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플레이트(100), 상부플레이트(200), 작동부(300) 및 측정부(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00)는 상부가 개방된 안착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110)의 양측에 제1결합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200)는 상기 안착부(110)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양측에 제2결합부(210)가 구비되어 타이어(10)가 안착된다.
상기 작동부(300)는 상기 안착부(110)의 일측단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200)를 승하강시키는 작동유닛(310)과, 상기 제1결합부(120) 및 상기 제2결합부(210)에 양측단이 고정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200)를 지지하는 지지유닛(3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정부(400)는 상기 안착부(110)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에 안착된 타이어(10)의 높이를 측정하여 반지름을 산출하여 상기 작동부(300)의 승하강 높이를 조절한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플레이트(100)가 지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타이어(1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에 안착된다.
이렇게 안착된 상기 타이어(10)는 상기 측정부(400)를 통해 높이를 측정한 후, 반지름을 산출하여 상기 작동부(300)를 통해 밸런스 기계의 중심축의 높이에 맞춰 용이하게 상승시킨 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하부플레이트(100)는 지면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200) 및 상기 타이어(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200), 상기 작동부(300) 및 상기 측정부(400)가 설치되는 상기 안착부(110) 및 상기 제1결합부(1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부(110)는 판재 형상의 상기 하부플레이트(100)의 테두리가 상단으로 절곡된 제1절곡면(101)을 통해 내부에 공간을 확보하여 상부가 개방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120)는 상기 안착부(110)의 일측에 형성된 제1고정홈(121)과, 상기 안착부의 타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장홈으로 형성된 제1이동홈(122)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결합부(120)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00) 양측에서 상부로 절곡된 제1절곡면(101)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유닛(320)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홈(121)은 상기 제1절곡면(101)의 일측에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유닛(320)이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며, 상기 제1이동홈(122)은 상기 제1절곡면(101)의 타측에 장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유닛(320)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플레이트(100)는 지면에 안착되며, 상기 안착부(110)에 각 구성을 설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측면에는 상기 측정부의 작동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개방홈(102)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개방홈(102)은 후술되는 가이드부재(423)의 회전시 상기 제1절곡면(101)과 접촉되는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플레이트(200)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00)의 상부에서 상,하 이동하여 상면에 안착된 상기 타이어(10)를 승하강시킨다.
이러한 상기 상부플레이트(200)는 판재 형상을 가지며, 테두리가 하단으로 절곡된 제2절곡면(201)을 형성하여 상단면에 상기 타이어(10)가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부(21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의 양측 하단 일측에 형성된 제2고정홈(211)과,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의 하단 타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장홈으로 형성된 제2이동홈(212)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2고정홈(211) 및 상기 제2이동홈(212)은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의 양측에서 하부로 절곡된 상기 제2절곡면(201)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고정홈(211)은 상기 제2절곡면(201)의 일측에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유닛(320)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2이동홈(212)은 상기 제2절곡면(201)의 타측에서 장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유닛(320)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플레이트(200)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타이어(10)가 안착된 상태에서 승하강을 통해 상기 타이어(10)를 밸런스 기계의 중심축에 맞춰 높이에 맞춰 위치조절을 통해 간편하게 상기 타이어(10)를 탈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의 상면에는 양측단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레일(201)과, 상기 가이드레일(20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롤러(221)가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의 상단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10)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220)이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202)은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의 양측단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내측면이 함몰된 "ㄱ"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내부에 상기 가이드롤러(221)가 이동가능하게 유입되며, 상단면을 통해 상기 이동유닛(220)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이동유닛(220)은 중앙부분이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에 인접하도록 함몰된 지지판(222)과 상기 지지판(222)의 양측단이 상기 가이드레일(202)의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판(223)이 형성된 "
Figure 112022044072498-pat00001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타이어(10)는 상기 지지판(222) 및 상기 안착판(223)을 통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롤러(221)는 상기 지지판(222)의 외측면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0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유닛(220)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상기 이동유닛(220)의 상면 타측에는 상기 타이어(10)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봉(22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봉(224)은 상기 이동유닛(220)의 타측단에서 상기 측정부(400)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타이어(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이를 통해 상기 이동유닛(220)은 상기 타이어(1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타이어(10)가 밸런스 기계의 중심축에 간편하게 체결 및 이탈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작동부(300)는 상기 작동유닛(310)과 상기 지지유닛(320)을 통해 상기 상부플레이트(200)를 안정적으로 승하강 시킨다.
여기서 상기 작동유닛(310)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상기 상부플레이트(200)를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작동실린더(311), 연결브라켓(312), 전원스위치(313) 및 작동스위치(314)로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실린더(311)는 상기 안착부(110)의 일측단에서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부로 돌출된 실린더로드(311a)가 승하강된다.
즉, 상기 작동실린더(311)는 유압, 공압 및 전력을 통해 작동하여 상기 실린더로드(311a)를 승하강시키는 통상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작동실린더(311)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안착부(110)의 일측단에 형성된다.
상기 연결브라켓(312)은 상기 실린더로드(311a)의 상단에 결합되며,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브라켓(312)은 상기 실린더로드(311a)의 상단에서, 측면으로 돌출된 후, 하단으로 절곡 되어 하부에 위치한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의 측면에 연결된다.
이를 통해 상기 연결브라켓(312)은 상기 작동실린더(311)가 상기 상부플레이트(200)보다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실린더와 상기 상부플레이트(200)를 연결한다.
상기 전원스위치(313)는 상기 작동실린더(311)의 전력을 제어한다.
이러한 상기 전원스위치(313)는 상기 작동실린더(311)의 상단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실린더(311)의 on/off를 제어한다.
상기 작동스위치(314)는 상기 작동실린더(311)의 승강 및 하강을 제어한다.
즉, 상기 작동스위치(314)는 레버, 버튼 등을 통해 상기 작동실린더(311)의 승강 및 하강을 각각 제어하고 상기 전원스위치(313)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전원스위치(313) 및 상기 작동스위치(314)를 통해 상기 작동실린더(311)의 전원, 승하강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실린더(311)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하 이동한 상기 연결브라켓(312)을 고정하는 고정유닛(330)이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유닛(330)은 상기 작동실린더(311)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브라켓(312)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감싸도록 배치된 지지프레임(331)과, 상기 지지프레임(33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브라켓(312)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판(332a)이 형성된 가압부재(332)와, 상기 가압판(332a) 및 상기 연결브라켓(312)에 설치되어 가압된 마찰력을 통해 상기 연결브라켓(312)을 고정하는 마찰패드(33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332)는 상기 측정부(400)에 의해 제한된 위치에 맞춰 상기 작동실린더(311)가 상승하면, 상기 가압판(332a)을 통해 상기 연결브라켓(312)을 가압한다.
즉, 상기 가압부재(332)는 유압, 공압, 전력 등을 통해 작동하여 상기 가압판(332a)을 인입 및 인출시켜 상기 연결브라켓(312)과 밀착 또는 이격된다.
이를 통해 상기 작동실린더(311)의 승,하강을 통해 이동된 상기 연결브라켓(312)은 상기 고정유닛(330)을 이용하여 특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찰패드(333)는 상기 가압판(332a) 및 상기 연결브라켓(312)에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가압판(332a)의 가압시 마찰력을 향상시켜 상기 연결브라켓(312)의 손상을 방지하고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상기 작동실린더(311)의 승,하강 시 상기 타이어의 하중 및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상부플레이트(200)가 임의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유닛(320)은 상기 하부플레이트(10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200) 사이에 위치하여, 승하강 하는 상기 상부플레이트(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프리임(321) 및 보조프레임(3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프리임(321)은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의 양측에서 X자로 교차되어 하단이 제1결합부(120)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제2결합부(210)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승하강 가능하게 지지한다.
즉 상기 지지프리임(321)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바 형태를 가지며, X자로 교차되어 상기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100,2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리임(321)은 상기 하부플레이트(100)의 상기 제1절곡면(101)의 내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의 상기 제2절곡면(201)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플레이트(200)가 상기 하부플레이트(100)의 상기 안착부에 안착 및 승하강 가능하게 위치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리임(321)은 X자 형태를 단일 또는 복수로 구성하여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의 승하강 시 높이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프레임(322)은 상기 지지프리임(321)과 상기 지지프리임(321)을 상호 연결한다.
즉, 상기 보조프레임(322)은 양측에 위치한 상기 지지프리임(321)과 상기 지지프리임(321)을 연결하여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보조프레임(322)은 상기 지지프리임(321)의 양측단 또는 중단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지지유닛(320)은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의 승하강 시 상기 타이어(10)의 하중을 지지하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작동부(300)는 상기 작동유닛(310)을 통해 상기 상부플레이트(200)를 승하강시키며, 상기 지지유닛(320)을 통해 상기 타이어(10)의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200)가 안정적으로 승하강 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측정부(40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에 안착된 다양한 규격의 상기 타이어(10)의 높이를 측정하여 반지름의 길이를 산출하여 상기 작동부(300)의 승하강 높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측정유닛(410)과 산출유닛(4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측정유닛(410)은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에 안착된 다양한 규격의 상기 타이어(10)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우징(411), 측정부재(412) 및 리미트스위치(413)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411)은 상기 안착부(110)의 일측단에서 수직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411)은 상기 작동실린더(311)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안착부(110)의 일측단에 형성된다.
상기 측정부재(412)는 상기 하우징(411)의 상단에서 상,하 이동 및 좌,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에 안착된 상기 타이어(10)의 높이를 측정한다.
즉, 상기 측정부재(412)는 상기 하우징(411)이 상단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 및 좌,우 회전이 이루어지는 가이드축(412a)과 상기 가이드축(412a)의 상단에서 전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타이어(10)의 상단에 안착되는 측정판(412b)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411)의 상단에는 마그네틱(414)을 형성하여, 상승된 상기 가이드축(412a)이 임의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고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가이드축(412a)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승,하강이 이루어지되, 승,하강 된 상태에서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마그네틱(414)을 통해 이동된 위치에 고정하여 임의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상기 측정부재(412)는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에 안착된 상기 타이어(10)의 상단에 밀착되어 상기 타이어(10)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리미트스위치(413)는 상기 하우징(411)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측정부재(412)의 회전시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의 작동을 차단한다.
즉, 상기 리미트스위치(413)는 상기 상부플레이트(200)가 형성된 방향을 향해 상기 하우징(411)의 상단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측정부재(412)가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회전시 접촉하여 상기 작동부(300)의 작동을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리미트스위치(413)는 상기 측정부재(412)가 상기 타이어의 높이를 측정시 상기 작동부(300)가 임의로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타이어(10)의 높이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산출유닛(420)은 상기 측정유닛(410)에서 측정된 상기 타이어(10)의 높이를 통해 반지름을 산출하여 상기 작동부(300)의 작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조절부재(421), 감지부재(422), 가이드부재(423) 및 제어부재(4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부재(421)는 상기 안착부(110)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제1레일(421a)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측정유닛(410)의 이동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타이어(10)의 높이에 맞춰 위치를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제1레일(421a)은 상기 하우징(411)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착부(1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재(421)는 상기 제1레일(421a)에 이동가능하게 안착되며, 와이어 등을 통해 상기 측정부재(412)와 연결되어 상기 측정부재(412)의 승,하강에 맞춰 이동하여 상기 타이어(10)의 높이에 맞춰 위치가 조절된다.
상기 감지부재(422)는 상기 안착부(110)의 내부에서 상기 제1레일(421a)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된 제2레일(422a)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레일(422a)은 상기 제1레일(421a)과 평행으로 배치되되, 측면에 일정간격 이격시켜 상기 안착부(11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재(422)는 상기 제2레일(422a)을 설치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가이드부재(423)는 상기 제1레일(421a)과 상기 제2레일(422a) 사이에서 상기 안착부(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중심축(423a)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조절부재(421)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감지부재(422)와 연결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423)는 상기 회전중심축(432a)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안착부(110)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회전중심축(423a)은 상기 가이드부재(423)를 3등분한 상태에서 일측에서 약2/3 지점, 타측에서는 약 1/3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중심축(423a)과 일측이 L1길이를 가지면, 상기 회전중심축(423a)과 타측이 약 L1/2의 길이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회전중심축(423a)의 위치는 도 6을 참고하여 상기 타이어(10)의 높이에 맞춰 상승 높이에 맞춰 위치가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회전중심축(423a)을 일측의 이동범위 보다 타측의 이동범위의 이동범위가 짧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423)의 양측에 장홈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부재(421) 및 상기 감지부재(422)와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재(423)는 상기 조절부재(421)의 길이방향 이동 시 상기 회전중심축(423a)을 기준으로 상기 감지부재(422)를 승하강시켜 위치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423)는 상기 회전중심축(423a)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이 회전에 따른 길이변화를 통해 측정된 상기 타이어(10)의 높이를 반으로 산출하여 반지름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레일(422a)의 설치 위치에 맞춰 상기 타이어(10)의 반지름 및 상기 작동부(300)의 상승 높이에 맞춰 총 상승하는 거리를 한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423)는 측정된 상기 타이어(10)의 반지름 길이와, 상승되는 높이에 맞춰 상기 제1레일(421a)과 상기 제2레일(422a)의 설치 위치를 통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이어(10)의 높이에 맞춰 상기 작동실린더(311)의 승하강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런스 기계의 중심축의 높이가 70인 경우, 상기 회전중심축(213a)를 기준으로 상기 조절부재(421)가 측정된 상기 타이어(10)의 높이에 맞춰 이동시, 상기 감지부재(422)가 이동하여 상기 작동부(310)가 상승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타이어 중심이 56.5 만큼 상승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의 높이 13.5를 포함하여 총 70 높이로 상승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른 일예로, 상기 타이어(10)의 높이이 60인 경우, 상기 조절부재(421)가 60 지점에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가이드부재(413)에 의해 상기 감지부재(422)가 26.5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실린더(311)는 상기 타이어(10)를 26.5 만큼 상승시키면, 상기 타이어(10)의 반지름 간격 30과 합산하여 총 56.5가 상승한다.
이때, 상기 하부플레이트(100)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의 높이를 포함하여 상기 밸런스 기계의 중심축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즉, 상기 하부플레이트(100)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의 최대로 낮춘 높이가 13.5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작동실린더(311)를 통해 상승한 56.5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00)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의 높이 13.5를 포함하여 지면에서 70 높이로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타이어(10)의 휠 밸런스를 조정하는 밸런스 기계의 중심축은 지면에서 70 높이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타이어(10)의 중심과 상기 밸런스 기계의 중심축과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재(423)는 측정된 상기 타이어(10)의 반지름에 따른 상승 높이와, 설정된 상승높이의 합산된 높이만큼 상승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100) 및 사익 상부플레이트(200)의 높이를 포함하여 상기 타이어(10)의 중심축이 밸런스 기계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높이조절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재(424)는 상기 안착부(110)의 내부에서 상기 제2레일(422a)의 측면에 평행하게 설치된 제3레일(424a)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동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재(422)의 위치를 통해 이동 범위를 제한하여 상기 작동부(300)의 상승높이를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제3레일(424a)은 상기 제2레일(422a)과 인접한 측면에 평행하도록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부재(424)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재(424)는 상기 제3레일(424a)를 따라 이동하되, 상기 감지부재(422)가 위치한 제한범위에 맞춰 상기 작동실린더(311)의 승하강 높이를 제한하여 안착된 상기 타이어(10)의 중심축이 밸런스 기계의 중심축의 높이에 맞춰 상승한다.
이때, 상기 측정부재(421) 및 상기 제어부재(424)는 상기 측정유닛(410) 및 상기 작동유닛(310)과 각각 연결되어 승강시 상기 측정부재(421) 및 상기 제어부재(424)를 이동시키는 연결와이어(425)와, 상기 측정부재(421) 및 상기 제어부재(424)와 상기 안착부(110)의 타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측정유닛(410) 및 상기 작동유닛(310)의 하강시 상기 측정부재(421) 및 상기 제어부재(424)를 이동시키는 탄성부재(426)이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와이어(425)는 상기 측정유닛(410) 및 상기 작동유닛(310)의 상승이 상기 제1 및 제3 레일(412a, 424a)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426)는 상기 측정유닛(410) 및 상기 작동유닛(310)의 하강시 탄성에 의해 상기 측정부재(421) 및 상기 제어부재(424)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측정부(400)에는 상기 산출유닛(420)을 통해 측정된 높이와 설정된 높이를 통해 상기 작동부(300)의 승하강 높이를 제어하는 제어부(430)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측정부(400)를 통해 측정된 길이에 맞춰 상기 작동실린더(311)를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작동실린더(311)에 공급되는 유압, 공압 및 전력을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제어부재(424) 및 상기 작동실린더(311)와 연동된다.
이를 통해 제어부(430)는 상기 제어부재(424)의 이동제한 범위까지 공압, 유압 및 전력을 상기 작동실린더(311)에 공급하여 상기 측정부(400)를 통해 측정된 높이에 맞춰 상기 작동부(30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재(424)는 상기 연결와이어(425) 및 상기 탄성부재(426)를 통해 상기 작동실린더(311)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하거나, 상기 제어부(430)를 통해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유닛(310)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와이어(425)의 연결된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어부재(324)와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부재(340)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조절부재(340)는 상기 실린더로드(311a) 또는 상기 연결브라켓(312)과 같이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위치에서 연결홈(342)이 형성된 돌출부(341)에 상,하 길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에 상기 연결와이어(425)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조절부재(340)는 상기 연결홈(342)과 상호 대응하는 나사산을 통해 볼트, 너트의 체결구성과 같이 이루어져, 상,하 이동 및 특정 위치에 고정가능하게 형성된다.
또는, 상기 조절부재(340)가 상기 연결홈(342)에서 상,하 방향 이동하며, 별도의 밀착구성을 형성하여 상기 조절부재(340)를 상,하 이동 및 특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조절부재(340)는 상기 연결와이어(425)와 상기 작동유닛(310)의 연결된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작동유닛(310)의 승,하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작동유닛(310)은 상기 제어부재(324)를 통해 제한되어 상승되는 높이가 70인 경우, 상기 작동유닛(310)을 통해 상기 연결와이어(425)와 연결된 길이를 5 높이로 줄이면, 상기 작동유닛(310)의 상승되는 높이가 65로 제한되고 상기 연결와이어(425)와 연결된 길이를 5 높이로 늘리면, 상기 작동유닛(310)의 상승되는 높이가 75로 제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조절부재(340)는 밸런스 기계의 중심축이 지면에서 이격된 거리에 맞춰 상기 작동유닛(310)이 제한된 상승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하부플레이트(100)에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300)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의 상단에 위치한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와 연결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200)를 승하강 시킨다.
이때, 상기 측정부(400)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00)에 설치되되, 상기 작동부(30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위치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에 다양한 규격의 상기 타이어(10) 중 하나를 안착시킨다.
이렇게 상기 타이어(10)가 안착되면, 상기 측정부(400)를 통해 상기 타이어(10)의 높이를 측정한다.
즉, 상기 측정유닛(410)은 상기 측정부재(412)를 통해 회전 및 승하강 시켜 상기 타이어(10)의 높이를 측정하여 상기 조절부재(421)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측정부재(412)의 측정시 상기 리미트스위치(413)를 통해 상기 작동실린더(311)가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측정유닛(410)을 통해 상기 타이어(10)의 높이를 측정시, 상기 산출유닛(420)은 상기 조절부재(421)의 위치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423)를 통해 상기 감지부재(422)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렇게 조절된 상기 감지부재(422)는 상기 제어부재(424)의 위치이동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상기 측정부(400)는 상기 타이어(10)의 높이를 측정하여 상기 감지부재(422)의 이동범위를 제한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300)는 상기 전원스위치(313) 및 상기 작동스위치(314)를 통해 on/off상태와 승하강을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즉, 상기 측정유닛(410)을 통해 상기 감지부재(422)를 통해 이동범위를 한정한 후, 상기 작동스위치(314)를 통해 상기 작동실린더(311)를 승강시킨다.
이렇게 상기 작동실린더(311)가 승강할 때, 상기 제어부재(424)가 이동하여 상기 감지부재(422)에 위치하면 승강을 멈춰 상승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유닛(330)을 통해 상기 작동실린더(311)의 상승 시, 상기 가압부재(332)를 통해 상기 연결브라켓(312)을 가압 고정하여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에 안착된 상기 타이어(10)의 하중 및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상부플레이트(200)가 임의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이어(10)의 규격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측정유닛(410)을 통해 측정된 길이가 변경되며, 변경된 위치에 맞춰 상기 감지부재(422)의 위치이동을 통해 상기 작동실린더(311)의 상승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실린더(311)의 상승에 맞춰 상기 제어부재(424)가 이동하며, 이동된 상기 제어부재(424)는 상기 감지부재(422)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상기 작동실린더(311)의 상승범위를 한정한다.
이렇게 상기 상부플레이트(200)가 상승하면, 상기 타이어(10)가 안착된 상기 이동유닛(220)을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밸런스 기계의 중심축에 상기 타이어를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상부플레이트(200)는 상기 작동실린더(311)에 의해 제한된 높이까지 상승하며, 상승된 상기 타이어(10)는 밸런스 기계의 중심축와 동일한 높이에 맞춰져 수평이동을 통해 상기 타이어(10)를 밸런스 기계의 중심축에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규격의 상기 타이어(10)의 높이에 맞춰 반지름 및 상승 높이를 간편하게 산출하여 밸런스 기계의 중심축와 동일한 높이로 상승시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유닛(310)은 상기 조절부재(340)를 통해 상기 연결와이어(425)와 연결된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작동실린더(311)의 승,하강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지면과 이격된 다양한 밸런스 기계의 중심축의 높이에 맞춰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타이어
100: 하부플레이트 101: 제1절곡면 102: 개방홈
110: 안착부 120: 제1결합부
121: 제1고정홈 122: 제1이동홈
200: 상부플레이트 201: 제2절곡면 202: 가이드레일
210: 제2결합부 211: 제2고정홈
212: 제2이동홈 220: 이동유닛
221: 가이드롤러 222: 지지판
223: 안착판 224: 지지봉
300: 작동부 310: 작동유닛 311: 작동실린더
311a: 실린더로드 312: 연결브라켓
313: 전원스위치 314: 작동스위치
320: 지지유닛 321: 지지프레임
322: 보조프레임 330: 고정유닛
331: 지지프레임 332: 가압부재
332a: 가압판 333: 마찰패드
340: 조절부재 341: 돌출부
342: 연결홈
400: 측정부 410: 측정유닛 411: 하우징
412: 측정부재 412a: 가이드축
412b: 측정판 413: 리미트스위치
414: 마그네틱 420: 산출유닛
421: 조절부재 421a: 제1레일
422: 감지부재 422a: 제2레일
423: 가이드부재 423a: 회전중심축
424: 제어부재 424a: 제3레일
425: 연결와이어 426: 탄성부재
430: 제어부

Claims (9)

  1. 상부가 개방된 안착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110)의 양측에 제1결합부(120)가 구비된 하부플레이트(100);
    상기 안착부(110)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양측에 제2결합부(210)가 구비되어 타이어(10)가 안착되는 상부플레이트(200);
    상기 안착부(110)의 일측단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200)를 승하강시키는 작동유닛(310)과, 상기 제1결합부(120) 및 상기 제2결합부(210)에 양측단이 고정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200)를 지지하는 지지유닛(320)으로 이루어진 작동부(300);
    상기 안착부(110)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에 안착된 상기 타이어(10)의 높이를 측정하여 반지름을 산출하며, 상기 작동부(300)의 승하강 높이를 조절하는 측정부(4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측정부(400)는, 상기 안착부(110)의 일측단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에 안착된 타이어의 높이를 측정하는 측정유닛(410)과, 상기 측정유닛(410)을 통해 측정된 상기 타이어(10)의 높이를 통해 반지름을 산출하여 상기 작동부(300)의 승,하강 높이를 조절하는 산출유닛(4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정유닛(410)은, 상기 안착부(110)의 일측단에서 수직으로 배치된 하우징(411)과, 상기 하우징(411)의 상단에서 상,하 이동 및 좌,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에 안착된 타이어의 높이를 측정하는 측정부재(412)와, 상기 하우징(411)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측정부재(412)의 회전시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의 작동을 차단하는 리미트스위치(41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용 밸런스 리프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120)는 상기 안착부(110)의 일측에 형성된 제1고정홈(121)과, 상기 안착부(110)의 타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장홈으로 형성된 제1이동홈(12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결합부(21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의 양측 하단 일측에 형성된 제2고정홈(211)과,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의 하단 타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장홈으로 형성된 제2이동홈(21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용 밸런스 리프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310)은,
    상기 안착부(110)의 일측단에서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부로 돌출된 실린더로드(311a)가 승하강되는 작동실린더(311)와,
    상기 실린더로드(311a)의 상단에 결합되며,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와 연결되는 연결브라켓(312)와,
    상기 작동실린더(311)의 전력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313)와,
    상기 작동실린더(311)의 승강 및 하강을 제어하는 작동스위치(31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용 밸런스 리프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320)은,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의 양측에서 X자로 교차되어 하단이 제1결합부(120)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제2결합부(210)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승하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리임(321)과,
    상기 지지프리임(321)과 상기 지지프리임(321)을 상호 연결하는 보조프레임(32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용 밸런스 리프트.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유닛(420)은,
    상기 안착부(110)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제1레일(421a)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측정유닛(410)의 이동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타이어(10)의 높이에 맞춰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재(421)와,
    상기 안착부(110)의 내부에서 상기 제1레일(421a)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된 제2레일(422a)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감지부재(422)와,
    상기 제1레일(421a)과 상기 제2레일(422a) 사이에서 상기 안착부(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중심축(423a)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조절부재(421)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감지부재(422)와 연결된 가이드부재(423)와,
    상기 안착부(110)의 내부에서 상기 제2레일(422a)의 측면에 평행하게 설치된 제3레일(424a)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동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재(422)의 위치를 통해 이동 범위를 제한하여 상기 작동부(300)의 상승높이를 조절하는 제어부재(4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용 밸런스 리프트.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실린더(311)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하 이동한 상기 연결브라켓(312)을 고정하는 고정유닛(330)이 더 포함되되,
    상기 고정유닛(330)은,
    상기 작동실린더(311)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브라켓(312)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감싸도록 배치된 지지프레임(331)과,
    상기 지지프레임(33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브라켓(312)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판(332a)이 형성된 가압부재(332)와,
    상기 가압판(332a) 및 상기 연결브라켓(312)에 설치되어 가압된 마찰력을 통해 상기 연결브라켓(312)을 고정하는 마찰패드(33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용 밸런스 리프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의 상면에는 양측단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레일(201)과,
    상기 가이드레일(20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롤러(221)가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의 상단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10)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22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용 밸런스 리프트.


KR1020220050646A 2022-04-25 2022-04-25 타이어용 밸런스 리프트 KR102529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646A KR102529254B1 (ko) 2022-04-25 2022-04-25 타이어용 밸런스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646A KR102529254B1 (ko) 2022-04-25 2022-04-25 타이어용 밸런스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254B1 true KR102529254B1 (ko) 2023-06-08

Family

ID=86765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0646A KR102529254B1 (ko) 2022-04-25 2022-04-25 타이어용 밸런스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25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5513A (ja) * 1993-11-02 1995-05-16 Bridgestone Corp 円環体の自動装着方法及び装置
JP2006335210A (ja) * 2005-06-02 2006-12-14 Onodani Kiko Kk タイヤ着脱機のセンタリング装置
KR20110104867A (ko) * 2010-03-17 2011-09-23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자동차 정비용 타이어 리프트
JP2012020659A (ja) * 2010-07-14 2012-02-02 Onodani Kiko Kk タイヤ着脱装置のセンタリング装置
KR101666344B1 (ko) 2015-08-21 2016-10-13 김용선 타이어 리프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5513A (ja) * 1993-11-02 1995-05-16 Bridgestone Corp 円環体の自動装着方法及び装置
JP2006335210A (ja) * 2005-06-02 2006-12-14 Onodani Kiko Kk タイヤ着脱機のセンタリング装置
KR20110104867A (ko) * 2010-03-17 2011-09-23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자동차 정비용 타이어 리프트
JP2012020659A (ja) * 2010-07-14 2012-02-02 Onodani Kiko Kk タイヤ着脱装置のセンタリング装置
KR101666344B1 (ko) 2015-08-21 2016-10-13 김용선 타이어 리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9254B1 (ko) 타이어용 밸런스 리프트
CN111896238A (zh) 一种舵面间隙测量装置
KR10193601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21196B1 (ko) 리클레이머용 감지장치
CN114538252B (zh) 曳引钢丝绳包角连续调整装置及调整方法
KR20120015541A (ko) 자동차 리프팅 장치
KR102447770B1 (ko) 락 다운 장치 유지 공구 및 균형차 장치의 위치 조정 방법
KR920001419Y1 (ko) 차량 정비용 승강기의 차륜고정장치
CN212581313U (zh) 一种梯级防跳安全开关行程放大机构
CN212158787U (zh) 一种机车车辆称重装置升降轨结构
KR20090131511A (ko) 브레이크 마찰재 테스트용 샤시 코너모듈 지지장치
CN212982415U (zh) 一种电动机械式升降工作车
KR20090089925A (ko) 프레스의 이송테이블 지지구조
KR20070009024A (ko) 러기지 트레이용 충격시험장치
KR200355878Y1 (ko) 하중변화 감지장치
JP2509382Y2 (ja) 車両整備用リフト
CN201476970U (zh) 一种悬架加载试验台
CN218620246U (zh) 一种升降机械电气装置
JPH0748797A (ja) カレンダ装置
CN107639873B (zh) 压机移动平台系统
CN216743691U (zh) 全自动生化仪用底座辅助调节水平装置
KR200277286Y1 (ko) 더블 씨저형 카리프트의 승, 하강 록킹장치
CN110966968A (zh) 一种用于在线动态检测车轮径向跳动的装置及方法
CN212174348U (zh) 一种新型agv顶升机构
CN210193135U (zh) 一种加装型钢丝绳断绳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