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504B1 - 차량부속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부속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504B1
KR101527504B1 KR1020140001166A KR20140001166A KR101527504B1 KR 101527504 B1 KR101527504 B1 KR 101527504B1 KR 1020140001166 A KR1020140001166 A KR 1020140001166A KR 20140001166 A KR20140001166 A KR 20140001166A KR 101527504 B1 KR101527504 B1 KR 101527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motor
power unit
vehicl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2763A (ko
Inventor
노성득
곽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기기
노성득
정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기기, 노성득, 정상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기기
Priority to KR1020140001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504B1/ko
Publication of KR20140012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2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66F7/025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screw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4Jacks with screw and nut

Abstract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차량부속을 받치는 받침대를 승강시킬 수 있는 동력장치와 이 동력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는 직류전원으로서 배터리를 포함하는 차량부속 승강장치에 있어서, 동력장치와 배터리를 연결하는 도선 경로에 접점방식 릴레이가 설치되고, 릴레이에는 이 릴레이 접점에서의 스파크(spark) 혹은 서지(surge) 전류에 의한 회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바리스터(varister)가 병렬로 설치되며, 릴레이에 릴레이를 단속하기 위해 인가되는 펄스 전압을 펄스폭조절(PWM:Pulse Width Modulator) 방식으로 조절하여 듀티비(duty ratio)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용 모듈레이터가 설치되어 이 조절용 모듈레이터를 조절함으로써 동력장치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속 승강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차량부속 승강장치{apparatus for lifting auto parts}
본 발명은 차량부속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수리나 정비 시에 차량의 적정한 장착 위치까지 부속을 올려주는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정비를 위해 차량을 리프트 장치에 올리고 하부를 보는 경우가 많고 이런 상태에서 가령 차량의 타이어(바퀴)를 교체하는 경우, 휠이 결합된 상태의 무거운 차량 타이어를 일정 수준으로 올려 차량 축에 장착하고, 고정용 볼트 너트를 체결하고 조여서 타이어를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타이어 같은 무거운 부속을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들어올리는 것은 작업자에게 큰 부담이 될 수 있고 부상의 위험도 따른다. 따라서, 이런 중량 부속을 차량 높이에 맞추어 올리는 작업도 점차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실시하게 된다.
그런데, 부속을 적당한 높이로 올리는 작업을 기계장치로 할 때 부속을 올리는 속도를 너무 크게 하면 적당한 높이에 정확하게 멈추는 것이 어렵고, 반대로 너무 천천히 올리면 작업에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
따라서, 기계장치에 의한 차량부속 승강 속도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차량부속 승강장치는 중량 부속을 승강하기 위해 상당한 출력을 요하며, 전류의 크기도 커지기 쉽다. 더욱이, 정비소 내에서 자유롭게 운용하기 위해 이동식 장치를 만드는 경우, 콘센트 연결선을 길게 하여 220V 교류 전원을 사용하기 보다는 12V 납축전지와 같은 충전용 배터리를 사용하기 쉬운데, 이런 경우, 원하는 출력을 만들기 위해 전류의 크기가 더욱 커지기 쉽다.
한편, 전기로 동작하는 동력장치의 동작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가장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도선 경로 상에 저항을 설치하여 저항값을 가변시키는 조작을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단순한 저항 조작은 최대 출력을 기준으로 승강 속도를 줄여 출력을 낮출 경우, 잔여 전력이 대부분 저항에서의 열로 소모되어 에너지 효율이 낮아지고 열에 의한 작업 위험성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전원으로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 가능시간이 줄어들어 자주 재충전을 시켜야 하고, 배터리 수명도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동력장치에 인가되는 전압 값을 낮추어 인가 전력을 낮추고, 이를 통해 모터의 구동력,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런 경우, 전기적 조작을 위한 부가적 전기 회로에 의해 전체 회로가 복잡해지고, 기존 장치의 경우, 새로운 전기 파트를 추가하면 모터의 정격 기준에 맞지 않아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문제 해결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연속적으로 전류를 흘리는 대신에 전류를 흘리는 시간과 전류를 끊는 시간의 듀티비(duty ratio)를 조절하고 빠르게 전류를 흘리는 시간과 전류를 흘리지 않는 시간을 반복시키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이렇게 전류를 흘리는 시간과 흘리지 않는 시간을 조절하는 것은 스위치 온/오프를 반복하는 것이며, 릴레이를 이용하여 온/오프를 자동적으로 반복하는 방식을 생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릴레이의 온/오프 구동은 전기 펄스 신호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듀티비는 펄스폭조절(PWM:Pulse Width Modulation)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데, 릴레이를 사용하는 경우, 릴레이는 통상의 접점방식의 전기식 릴레이와 최근 많이 사용되는 무접점식 반도체 릴레이(SSR:Solid State Relay)를 들 수 있는데, 인가되는 전류 및 전압의 크기가 늘어나면 이를 제어하기 위한 무접점식 반도체 릴레이의 단가가 매우 크게 늘어나고, 고가화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접점방식 릴레이에서도 전류와 전력 크기가 증가하면 온/오프의 빠른 전환이 이루어질 경우, 사용에 매우 많은 문제가 예상된다. 가령, 릴레이 자체가 빠른 주파수 응답이 어렵고, 가령 분당 수십 헤르쯔로 개폐를 계속하면 릴레이의 소음이 버저와 같이 커질 수 있고, 부하가 모터의 코일과 같은 유도부하인 경우, 접점 개폐시마다 과도현상으로서 큰 역기전력 생성에 따른 주변 회로 손상의 위험이나 접점에서의 스파크로 인한 접점 열화, 저항값 변동, 접점 융착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릴레이의 접점 동작이 많은 경우, 쉽게 열화됨으로써 실제로 그 교체에 많은 번거로움이 있었으므로 릴레이의 잦은 동작은 장치가 고장난 경우가 아니면 보기 어렵고, 릴레이의 잦은 개폐 동작은 고장으로 인식되고, 정상적인 장치에서 릴레이를 빠르게 동작시켜 무언가를 조절한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생각하기 어려웠다.
이렇게 상식적인 수준에서 단순히 생각할 때에도 많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PWM 방식으로 듀티비를 조작하면서 접점방식 릴레이를 이용하여 빠르게 접점을 온/오프 조작하여 동력장치의 동작 속도를 조절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정비시에 많이 필요한 타이어 리프터 등의 차량부속 승강장치에서 부속의 승강 속도를 맞추기 위해서 작업자의 숙련도와 감에 의존해야하므로 작업이 어려워지고 시간 소요가 늘어나거나, 승강속도 조절을 위해서는 차량부속 승강장치의 가격이 상승하여 경쟁력이 떨어지는 현실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68853호
본 발명은 상술한 기존 차량부속 승강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 대비 큰 차이가 없는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 차량부속 승강장치의 조절이 용이하고, 따라서 생산 원가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속도 조절 가능한 차량부속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간단한 회로 요소의 추가만으로 기존의 장치 개조가 가능하면서 차량부속 승강장치의 승강 속도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차량부속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부속 승강장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차량부속을 받치는 받침대를 승강시킬 수 있는 동력장치와 상기 동력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는 직류전원으로서 배터리를 포함하는 차량부속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장치와 상기 배터리를 연결하는 도선 경로에 접점방식 (전기식) 릴레이가 설치되고, 상기 릴레이에는 상기 릴레이 접점에서의 스파크(spark) 혹은 서지(surge) 전류에 의한 회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바리스터(varister: variable resister)가 병렬로 설치되며,
상기 릴레이에 상기 릴레이를 단속하기 위해 인가되는 펄스 전압을 펄스폭조절(PWM:Pulse Width Modulator) 방식으로 조절하여 듀티비(duty ratio)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용 모듈레이터가 설치되어 상기 조절용 모듈레이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동력장치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동력장치는 직류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용 모듈레이터는 릴레이를 개폐하기 위한 전기신호의 듀티비를 다단으로 설정할 수 있는 마이크로칩을 구비하여 모듈레이터에 대한 입력 신호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모터의 속도를 다단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모터 속도의 다단 제어의 단수와 각 단에서의 모터 속도는 마이크로칩 설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동력장치는 상기 직류 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는 피니언과 이 피니언에 의해 일정 구간에서 직선 이동을 할 수 있으며 부속 받침대와 체결되는 래크, 상기 직류 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는 나사축과 이 나사축에 체결되어 나사축 회전에 의해 나사축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으며 한편으로 부속 받침대와 결합하는 너트 하우징(볼 스크류 방식), 혹은 상기 모터축에 결합되는 기어와 기어에 의해 일정 구간에서 직선이동을 할 수 있으며 부속 받침대와 체결되는 체인 등이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고,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유압장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리스터 및 상기 릴레이는 상기 도선 경로 상에 착탈 가능한 소켓 혹은 킷트 형태로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대비 큰 차이가 없는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 차량부속 승강장치의 승강 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효과를 가지면서도 생산 비용을 저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차량부속 승강장치에도 간단한 회로 요소의 추가만으로 기존의 장치 개조가 가능하여 낮은 비용으로 차량부속 승강장치의 승강 속도 조절을 할 수 있게 된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루는 타이어 리프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형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루는 동력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 단면도,
도4는 도3의 볼스크류 가운데 너트 하우징 부분의 일 예를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루는 개략적인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개념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및 도2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타이어 리프터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타이어 리프터는 하부에 전원과 모터를 내부에 포함하는 직육면체 박스형 케이스(10)를 가지고, 이 케이스(10)의 일 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신장된 사각 파이프 혹은 사각 실린더 형태의 외관을 가진 승하강 지지체(20)가 설치되며, 승하강 지지체(20)의 길이방향으로 위아래로 움직이는 차량부속받침대(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승하강 지지체(20) 내부에는 도3 및 도4에 도시되는 것과 같은 볼스크류가 구비된다.
승하강 지지체(20) 내부에 설치되는 볼스크류 구성을 좀 더 설명하면, 먼저 봉체 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축(21)이 구비된다. 이 나사축(21)은 박스형 케이스(10)의 모터(11)의 모터축으로부터 커넥터(13)를 통해 결합되고, 상단 및 하단이 승하강 지지체(20) 내에서 서포터(2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 지지된다. 나사축(21)에는 너트 하우징(25)이 결합되어 있다. 너트 하우징(25) 내면에는 나사홈에 다수의 볼(253)이 설치되고, 모터축 및 나사축(21)의 회전에 따라 이 너트 하우징(25)은 나사축(21)을 따라 상승, 하강한다. 너트 하우징(25)으로부터 승하강 지지체(20)의 외측으로 돌출 설치되는 연결부(27)는 차량부속받침대(30)와 결합, 고정되어 있다.
너트 하우징에는 볼(253)의 순환을 위한 튜브(25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튜브(251)는 나사축(21)이 회전하면서 너트 하우징(25)은 회전하지 않고 승하강 지지체(20) 내의 도시되지 않은 가이드 레일를 따라 상하로 직선운동할 때 볼이 나사축의 홈과 너트 하우징 내면의 홈에서 빠져나오려는 것을 다시 이들 홈 사이로 돌려보내는 역할을 하여 너트 하우징(25) 이동시에 나사축과의 사이에서 계속적으로 볼에 의해 마찰을 줄여 적은 힘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부속받침대(30)는 승하강 지지체(20) 외측에 설치되므로 차량부속받침대가 상승 혹은 하강하기 위해서는 승하강 지지체(20)를 이루는 측벽 가운데 차량부속받침대(30)가 설치되는 한 측벽에는 차량부속받침대(30)와 너트 하우징(25)을 연결하는 연결부(27)가 승하강할 때 방해받지 않고 움직일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홀(29)이 형성된다.
차량부속받침대(30)는 승하강 지지체(20)와 평행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판재(31)와 이 판재(31)로부터 타이어를 얹을 수 있도록 같은 레벨로 서로 나란히 수평하게 돌출 설치되는 두 개의 봉체(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승하강 지지체(20) 중간에는 차량부속받침대(30)와 반대쪽 측벽에 조작테이블(50)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테이블(50) 내부에는 조절 회로가 설치되며, 조작테이블에 드러난 각각의 버튼이나 레버는 조절 회로에 포함된 조절용 모듈레이터 등을 조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조절 회로는 승하강 지지체(20) 내부를 통과하는 도선에 의해 하부의 박스형 케이스(10) 내의 모터(11) 및 배터리와 연결된다. 배터리와 모터를 연결하는 주된 도선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해 릴레이의 일측 자계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은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 전원과 동일하거나 별도의 전원이 될 수 있다.
여기서는 나타나지 않지만 조작테이블(50)을 무선으로 조절할 수 있는 리모컨이 구비되어 조작자가 보다 작업하기 쉬운 위치에서 더욱 용이하게 작업하는 것도 가능하다.
박스형 케이스의 네 모서리에는 타이어 리프터를 작업 공간 내에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바퀴(60)가 설치되어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전기 회로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이다.
여기서는 가장 간단한 형태로 타이어 리프터의 액츄에이터를 이루는 직류 전기 모터(150)와 이 모터(150)를 구동하기 위한 직류 전원인 배터리(110), 직류 전기 모터(150)와 배터리(110) 사이를 연결하는 주된 도선(120), 이 주된 도선(120) 경로의 한 부분에 설치되어 전류 흐름을 단속하는 스위칭 기능을 담당하는 릴레이(130), 이 릴레이(130)에 병렬로 설치된 바리스터(varistor:140), 이 릴레이(130)와 접속되어 이 릴레이의 기능을 조절하는 모듈레이터(modulator:160)가 표시된다.
배터리(110)로는 충방전이 가능하고 용량이 비교적 크며 용량 대비 비용이 저렴하여 가장 흔히 사용되는 12볼트(V) 납축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릴레이(130)로는 무접점 방식의 고가의 반도체 릴레이(solid state relay :SSR) 대신에 통상의 저렴한 접점식 (전기식) 릴레이를 사용한다. 릴레이는 통상, 일측에 전류를 흘리면 자계코일(131)의 자기작용으로 스위치 바(133)를 끌어당겨 주된 도선(120)의 두 접점(135)을 연결하여 주된 도선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그 일측에 흐르던 전류를 끊으면 스위치 바(133)가 자체의 재질 탄성에 의해 혹은 다른 탄성체(137)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접점에서 떨어져 주된 도선의 전류가 다시 끊어지게 한다. (물론 반대로 일 측에 전류가 흐를 때 주된 도선의 전류가 끊어지는 방식도 가능하다.)
모듈레이터(160)는 릴레이(130)의 자계코일(131)과 관련된 일 측에 펄스 형태의 전압 신호를 인가할 때 PWM 방식으로 펄스 신호의 인가시간과 비인가시간 비율, 즉 듀티비(duty ratio)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런 조절은 모듈레이터(160)를 이루는 마이크로칩에 미리 듀티비를 두 개 이상 몇 개의 단계로 인가할 수 있도록 단을 설정하고, 필요에 따라 조작테이블의 버튼이나 레버로 선택 신호를 주어 단을 선택하는 다단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국 이런 릴레이(130) 및 모듈레이터(160) 구성에 따라 모터(150)를 구동시키는 주된 도선(120)의 연결 및 차단 시간의 비율이 조절되고, 모터(150)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의 양과 모터의 출력이 조절되고, 그에 따라 모터의 속도와 차량부속받침대의 승하강 속도도 조절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런 PWM 방식으로 듀티비 조절에 의해 모터를 가동하면서 실질적으로는 모터(150)가 연속적이고 자연스런 동작을 하게 하여 승하강 레벨을 정확히 맞추는 것을 쉽게 하기 위해서는 분당 펄스 인가 수가 가령 수십 회가 될 수 있다. 종래 기술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통상의 관념으로는 릴레이(130)의 열화나 파손의 문제가 당연히 염려될 수 있지만 근래의 릴레이의 성능 발전에 따라 동작 수명이 매우 증가하고, 후술하는 바리스터(140)가 병렬설치된 상황에서는 과도현상에 의한 접점 스파크와 그에 따른 접점 열화도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부속 승하강 장치는 한번 승하강이 이루어지면 너트 체결 작업 등 다른 동작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늘상 동작시키는 것은 아니고, 이런 환경에서는 단순한 산술적 계산만으로도 릴레이의 수명은 수 개월에서 수년까지 큰 문제가 없게 된다.
더욱이, 타이어 리프터와 같은 차량부속 승강장치는 자동차 공장에서 연속적으로 차량을 생산하는 고정된 생산 설비가 아니고 이 실시예와 같이 주로 차량 정비소에서 이용하는 장치이므로 실제 사용시간은 많지 않으며, 릴레이(130)의 고장으로 릴레이를 빈번하게 교체하는 번거로움은 거의 문제되지 않는다.
또한, 릴레이는 이 릴레이를 이루는 어셈블리 부분을 컴퓨터 메인 보드의 커넥터에 램카드를 접속하듯이 조작테이블에 설치되는 전체 회로 기판과 같은 곳에서 커넥터를 이용하여 쉽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키트형태로 만들거나, 전극이 노출되어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소켓에 간편하게 삽입하여 탄성적으로 고정되면서 전기접속되는 형태로 만들면 용접 없이도 결합, 분리가 가능하여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릴레이 동작시 발생하는 소음도 가전제품이나 실내 사용되는 전기 제품에서는 문제될 수 있지만 차량 정비소와 같은 환경에서 사용되는 차량부속 승강장치에서는 거의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한편, 접점식 릴레이(130)의 보호를 위한 바리스터(140)를 좀 더 설명하면 바리스터(140)는 자체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저항값이 변동되는 소자이며, 통상 회로 상에서 보호하고자 하는 부분과 병렬로 설치된다. 보호하고자 하는 부분에 급격한 전압이 인가되면 바리스터(140)의 저항값은 매우 짧은 시간 내에 매우 작아져 이를 통해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고, 바리스터 전체를 통한 전압강하는 작고, 따라서, 바리스터(140)와 병렬로 설치된 보호하고자 하는 부분에 걸리는 전압도 작아진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릴레이(130)의 접점(135)이 열릴 때 모터(150)의 코일에는 통상 운전 전류의 몇 배에 해당하는 매우 큰 서지 전류를 만드는 역기전력이 생기고, 바리스터(140)가 없다면 이 역기전력이 릴레이 접점에 작용하여 스파크 및 그에 의한 접점 열화, 융착이 생길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때, 바리스터(140)에도 큰 전압이 걸리는 데, 즉시로 바리스터(140)의 저항은 매우 작아지고, 전류가 흘러 릴레이(130)의 열린 두 접점(135)과 스위치 바(133) 사이의 전압도 작아져 스파크가 방지되고, 접점 열화도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이런 릴레이(130)와 바리스터(140)의 병렬구성에 의하면 차량부속 승강장치에서는 승강속도 조절이 가능하여 차량부속을 쉽고 정확하게 승강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접점방식 릴레이나 바리스터는 킷트 형태로 만들어져 교체하기 쉽게 할 수 있으므로 수개월에 한번씩 혹은 수년에 한번씩 교체하는 것은 통상의 장치 점검 이상의 부담을 가지지 않는 것이며, 비용도 반도체 릴레이에 비해 매우 저렴하므로 교체를 고려할 때에도 장치 생산 및 운영 비용은 저렴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타이어 리프터라는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일 뿐 본원 발명은 이들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을 토대로 다양한 변경이나 응용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례나 응용예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케이스 11, 150: 모터
20: 승하강 지지체 21: 나사축
23: 서포터 25: 너트 하우징
27: 연결부 29: 홀
30: 차량부속받침대 50: 조작테이블
60: 바퀴 110, 110': 배터리
130: 릴레이 140: 바리스터
160: 모듈레이터

Claims (5)

  1. 삭제
  2.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차량부속을 받치는 받침대를 승강시킬 수 있는 동력장치와 상기 동력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는 직류전원으로서 배터리를 포함하는 차량부속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장치와 상기 배터리를 연결하는 도선 경로에 접점방식 (전기식) 릴레이가 설치되고, 상기 릴레이에는 상기 릴레이 접점에서의 스파크(spark) 혹은 서지(surge) 전류에 의한 회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바리스터(varister: variable resister)가 병렬로 설치되며,
    상기 릴레이에 상기 릴레이를 단속하기 위해 인가되는 펄스 전압을 펄스폭조절(PWM:Pulse Width Modulator) 방식으로 조절하여 듀티비(duty ratio)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용 모듈레이터가 설치되어 상기 조절용 모듈레이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동력장치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동력장치는 직류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용 모듈레이터는 릴레이를 개폐하기 위한 전기신호의 듀티비를 다단으로 설정할 수 있는 마이크로칩을 구비하여,
    상기 조절용 모듈레이터에 대한 입력 신호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모터의 속도를 다단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속 승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장치는 상기 직류 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에 체결되어 상기 나사축 회전에 의해 상기 나사축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으며 한편으로 상기 받침대와 결합하는 너트 하우징을 가지는 볼스크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속 승강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리스터 및 상기 릴레이는 상기 도선 경로 상에 착탈 가능한 킷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속 승강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모터의 속도를 다단 제어함에 있어서,
    단의 수와 각 단에서의 모터 속도는 상기 마이크로칩 설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속 승강장치.
KR1020140001166A 2014-01-06 2014-01-06 차량부속 승강장치 KR101527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166A KR101527504B1 (ko) 2014-01-06 2014-01-06 차량부속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166A KR101527504B1 (ko) 2014-01-06 2014-01-06 차량부속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763A KR20140012763A (ko) 2014-02-03
KR101527504B1 true KR101527504B1 (ko) 2015-06-09

Family

ID=50263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166A KR101527504B1 (ko) 2014-01-06 2014-01-06 차량부속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5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5249A (ja) * 1993-08-31 1995-03-17 Anden Kk サージ吸収回路
KR20040068853A (ko) * 2003-01-27 2004-08-02 교와 덴끼 고교 주식회사 액추에이터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JP2009107516A (ja) * 2007-10-31 2009-05-21 Toyota Motor Corp 開放装置および組付方法
KR20110104867A (ko) * 2010-03-17 2011-09-23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자동차 정비용 타이어 리프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5249A (ja) * 1993-08-31 1995-03-17 Anden Kk サージ吸収回路
KR20040068853A (ko) * 2003-01-27 2004-08-02 교와 덴끼 고교 주식회사 액추에이터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JP2009107516A (ja) * 2007-10-31 2009-05-21 Toyota Motor Corp 開放装置および組付方法
KR20110104867A (ko) * 2010-03-17 2011-09-23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자동차 정비용 타이어 리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763A (ko) 2014-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7544B2 (en) Withdrawable contactor trucks with integral motorized levering-in, related switchgear, kits and methods
EP1914557A2 (en) Insulation-resistance degradation detecting device for motors
CN208369030U (zh) 一种具有防水功能的动力柜
DE202014103265U1 (de) Elektrowerkzeug
EP2824683B1 (en) Cleaning device for contamination of contact of electromagnetic contactor
CN107640191B (zh) 一种断路器安装用放置装置
JP5395771B2 (ja) 電動工具
US7495879B2 (en) Solid-state magnet control
WO2010083814A2 (de) Verstelleinrichtung für einen elektromotor
KR101527504B1 (ko) 차량부속 승강장치
JP5081446B2 (ja) 電動ブラインド
KR100961727B1 (ko) 고압차단기 점검장치
CN104167339B (zh) 断路器设备以及配电单元
EP3714541B1 (en) Determining an electrical current flowing in one of a plurality of electric motors
US3199685A (en) Overload safety device for material handling mechanism
WO2008068834A1 (ja) 発熱体収納函冷却装置の電源安定化装置
CN218272609U (zh) 一种继电器耐久性测试装置
US10804057B2 (en) Method for replacement of mercury switches in a switchgear with alternative switch types
CN104299802A (zh) 一种行程开关
CN101266865B (zh) 电磁盘的磁力控制装置
DE102008030813A1 (de) Ansteuereinrichtung für einen Elektromotor
CN204204665U (zh) 一种行程开关
CN208483251U (zh) 一种汽车零件用钻孔装置
CN219576335U (zh) 船舶用岸电稳压装置
CN211490399U (zh) 一种旋转螺丝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