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3746A - 영상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3746A
KR20110103746A KR20100022958A KR20100022958A KR20110103746A KR 20110103746 A KR20110103746 A KR 20110103746A KR 20100022958 A KR20100022958 A KR 20100022958A KR 20100022958 A KR20100022958 A KR 20100022958A KR 20110103746 A KR20110103746 A KR 20110103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lens
focus
lens module
z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22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3367B1 (ko
Inventor
조우종
최문철
김영배
구자용
박세현
이윤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2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367B1/ko
Priority to US12/911,853 priority patent/US8665358B2/en
Priority to EP10188788.3A priority patent/EP2367350B1/en
Priority to CN201010536123.9A priority patent/CN102196169B/zh
Publication of KR20110103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746A/ko
Priority to US14/188,977 priority patent/US914096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03B17/14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interchangeab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18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 G03B17/20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visible in viewfind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3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for controlling interchangeable camera parts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5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comprising setting of focusing reg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에 장착되는 조작 링을 조작하여 촬영 또는 기타 작동에 필요한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는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디; 및 상기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렌즈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렌즈 모듈이 그 조작에 의하여 설정값을 변경 가능한 조작 링을 구비하는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영상 처리 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본 발명은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작 링이 구비되고 조작 링을 조작하여 촬영 또는 작동에 필요한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는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영상 처리 장치는 필름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폰 카메라, PC 카메라 등의 영상을 입력 또는 처리하거나 영상 인식 센서를 사용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특히,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을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서 이미지 프로세싱하고 이를 압축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고, 그 이미지 파일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받거나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이미지를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표시장치에 표시하여 보여줄 수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들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LCD와 같은 표시장치 또는 버튼들을 통하여 촬영 또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조작에 필요한 다양한 설정값들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렌즈에 장착되는 조작 링을 조작하여 촬영 또는 기타 작동에 필요한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는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디; 및 상기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렌즈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렌즈 모듈이 그 조작에 의하여 설정값을 변경 가능한 조작 링을 구비하는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그 선택에 의하여 상기 조작 링에 의하여 다른 항목의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변경하는 선택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선택부가 상기 렌즈 모듈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선택부가 상기 렌즈 모듈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노출되는 버튼 타입이 될 수 있다.
상기 선택부가 상기 렌즈 모듈 또는 상기 바디에 설치되는 버튼, 슬라이딩 스위치, 및 회전 절환 스위치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선택부가 상기 바디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메뉴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이 내부에 렌즈가 장착되는 렌즈 배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선택부가 상기 렌즈 배럴 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상기 렌즈의 광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 및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선택 링이 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이 내부에 렌즈가 장착되는 렌즈 배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 링이 상기 렌즈 배럴 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이 내부에 렌즈가 장착되는 렌즈 배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 링이, 상기 렌즈 배럴 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장착되고,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링이, 그 조작에 의하여 포커스를 조정하는 포커스 조정링, 그 조작에 의하여 줌을 조정하는 줌 조정링, 및 그 조작에 의하여 조리개를 조정하는 조리개 조정링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이, 그 선택에 의하여 상기 포커스 조정링, 상기 줌 조정링, 및 상기 조리개 조정링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이, 그 조작에 의하여 포커스를 조정하는 포커스 조정링, 그 조작에 의하여 줌을 조정하는 줌 조정링, 및 그 조작에 의하여 조리개를 조정하는 조리개 조정링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링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되는 설정값이, 촬영 모드, 화이트 밸런스, 노출 보정, 컬러 보정, 플래시 광량 조정, 감도 조정, 전자 줌, 및 초점 영역 변경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바디에 장착되는 렌즈 모듈; 상기 렌즈 모듈 외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조작 링; 및 상기 조작 링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조작 링의 위치 정보에 따라 설정값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그 선택에 의하여 변경 신호를 생성하는 선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변경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조작 링의 위치에 따라 다른 항목의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선택부가 상기 렌즈 모듈 또는 상기 바디에 설치되는 버튼, 슬라이딩 스위치, 및 회전 절환 스위치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이 내부에 렌즈가 장착되는 렌즈 배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선택부가 상기 렌즈 배럴 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상기 렌즈의 광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 및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선택 링이 될 수 있다.
메뉴 시스템이 표시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메뉴 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조작 링의 위치에 따라 다른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링이 그 조작에 의하여 포커스를 조정하는 포커스 조정링, 그 조작에 의하여 줌을 조정하는 줌 조정링, 및 그 조작에 의하여 조리개를 조정하는 조리개 조정링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이, 그 조작에 의하여 포커스를 조정하는 포커스 조정링, 및 그 조작에 의하여 줌을 조정하는 줌 조정링, 및 그 조작에 의하여 조리개를 조정하는 조리개 조정링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링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되는 설정값이, 촬영 모드, 화이트 밸런스, 노출 보정, 컬러 보정, 플래시 광량 조정, 감도 조정, 전자 줌, 및 초점 영역 변경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영상과 상기 영상 중의 일부 영역이 상기 초점 영역으로 표시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초점 영역이 상기 조작 링의 조작에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조작 링의 조작 방향에 따라, 상기 초점 영역이 상기 영상의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중심 영역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영상의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외곽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하면, 렌즈에 장착되는 조작 링을 조작하여 촬영 또는 기타 작동에 필요한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인 디지털 카메라의 앞면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인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에 장착될 수 있는 렌즈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에 장착될 수 있는 렌즈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렌즈 모듈에서 전환 버튼을 도시한 일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영상 처리 장치에서 조작 링이 별도로 구비되는 실시예의 신호 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6의 영상 처리 장치에서 선택 링이 별도로 구비되는 실시예의 신호 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조작 링의 조작에 의하여 초점 영역을 조정하는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인 디지털 카메라(100)의 앞면 외형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인 디지털 카메라(10)의 뒷면 외형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10)는 바디(10a); 및 렌즈 모듈(100)을 구비할 수 있다.
바디(10a)는 디지털 카메라(10)의 본체가 될 수 있으며, 바디(10a)의 내부에는 영상을 입력받는 CCD 또는 CMOS 등의 촬상 소자를 포함한 디지털 카메라(10)의 작동에 필요한 다양한 구성 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렌즈 모듈(100)은 바디(10a)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렌즈 모듈(100)은 바디(10a)에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교환 렌즈 모듈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렌즈 모듈(100)이 교환 렌즈가 아닌 고정식 렌즈가 될 수 있다.
렌즈 모듈(100)은 렌즈 배럴(100a) 및 조작 링(110)을 구비할 수 있다. 렌즈 배럴(100a)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들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조작 링(110)은 그 조작에 의하여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에서는, 통상적으로 바디(10a)에서 설정하는 설정값을 렌즈 모듈(100)에서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10)의 촬영 또는 기타 다양한 작동을 위한 설정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디지털 카메라(10)에 의한 촬영 또는 기타 다양한 작동을 위하여 여러 가지 설정 항목의 설정값들이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조작 링(110)이 조작되면 그에 따라 지정된 설정 항목의 설정값들이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조작 링(110)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되는 설정값은, 촬영 모드, 화이트 밸런스, 노출 보정, 컬러 보정, 플래시 광량 조정, 감도 조정, 전자 줌, 및 초점 영역 변경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조작 링(110)의 조작에 의하여 전자 줌(digital zoom)의 줌 배율이 변경되도록 지정되는 경우에, 단초점 렌즈의 경우에도 전자 줌(digital zoom)을 사용하여 화각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10)는 그 선택에 의하여 조작 링(110)에 의하여 다른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변경하는 선택부(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선택부(120)의 선택에 의하여 설정하고자 하는 설정 항목을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 링(110)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할 수 있는 설정 항목들이 지정되고, 각각의 설정 항목들에 순서가 지정되고, 선택부(120)가 선택되는 회수에 따라 조작 링(110)에 의하여 설정되는 설정 항목이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선택부(120)는 렌즈 모듈(100) 또는 바디(10a)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선택부(120)는 렌즈 모듈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전환 스위치(도 1의 120) 또는 전환 버튼(도 4의 420)이 될 수 있다. 이때, 전환 스위치(도 1의 120)는 슬라이딩 타입의 스위치가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선택부(120)는 바디(10a)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스위치, 또는 버튼(도 2의 20), 또는 모드 다이얼(도 1의 13)과 같은 회전 절환 스위치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선택부(120)는 바디(10a)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5)에 표시되는 메뉴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선택부(120)로는 전환 스위치(120), 전환 버튼(도 4의 420), 모드 다이얼(13), 및 디스플레이 장치(15)에 표시되는 메뉴 시스템 중의 어느 하나가 사용되거나, 그 중의 2개 이상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조작 링(110)은 렌즈 배럴(100a)의 외부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렌즈 배럴(100a)의 외주면을 한바퀴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조작 링(110)이 렌즈 배럴(100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 링(110)이 렌즈 배럴(100a)에 대하여 회전 조작될 수 있다. 이때, 조작 링(110)은 일정 구간 또는 무한히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조작 링(110)이 렌즈 배럴(100a)에 대하여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 링(110)이 렌즈 배럴(100a)에 대하여 광축 방향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조작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조작 링(110)이 렌즈 배럴(100a)에 대하여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 링(110)이 렌즈 배럴(100a)에 대하여 회전 및/또는 슬라이딩 조작될 수 있다. 이처럼 조작 링(110)을 다양한 형태로 작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조작 링(110)에 의한 설정값 설정 시에 사용자 편이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조작 링(110)이 슬라이딩 조작되어 설정하고자 하는 설정 항목이 선택되고, 조작 링(110)이 회전 조작되어 해당 설정 항목의 설정값이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부가 렌즈 배럴(800a)에 회전 및/또는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선택 링(820)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 링(820)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하고자 하는 설정 항목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선택 링(820)의 조작에 의하여 다른 조작 링들 중의 어느 하나가 해당 설정 항목의 설정값이 조정되도록 하는 조작 링이 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선택부 예를 들어 선택 링(820)의 슬라이딩 조작에 의하여 다른 조정링들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조작 링이 되도록 하고, 선택 링(820)의 회전 조작에 의하여 설정하고 자하는 설정 항목을 설정하고, 조작 링을 조정하여 해당 설정 항목의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10)에는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렌즈 모듈(100) 뿐만 아니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렌즈 모듈(100)이 교환되어 장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100)은 하나의 조작 링(110)을 구비하는 실시예이다. 이때, 조작 링(110)은 그 조작에 의하여 포커스를 조정하는 포커스 조정링, 또는 그 조작에 의하여 줌을 조정하는 줌 조정링, 또는 그 조작에 의하여 조리개를 조정하는 조리개 조정링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 모듈(100)에 포커스 조정링, 줌 조정링, 조리개 조정링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되고, 선택부(120)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조정링들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의 조작 링(110)이 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별도의 조작 링을 위한 추가적인 기구 및 센서 구조를 탑재하지 아니하고도 설정하고자 하는 설정값을 용이하게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조작 링(110)에 의하여 설정할 설정 항목이 미리 지정되고, 선택부(120)의 선택에 의하여 조작 링(110)의 조작으로 미리 설정된 설정 항목의 설정값을 설정할 것인지, 포커스 또는 줌 또는 조리개를 조정할 것인지 선택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렌즈 모듈(300)이 각각 렌즈 배럴(300a)에 장착되는 조작 링(310), 포커스 조정링(350), 및 줌 조정링(360)을 구비한다. 즉, 포커스 조정링(350) 및 줌 조정링(360)과 함께 조작 링(310)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조작 링(310)은 도 1에 도시된 조작 링(11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 모듈(300)에는 별도의 선택부가 구비되지 아니하고, 바디(10a)에만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렌즈 모듈(400)이 각각 렌즈 배럴(400a)에 장착되는 포커스 조정링(450), 줌 조정링(460), 및 조리개 조정링(470)을 구비한다. 이때, 렌즈 배럴(400a)에는 선택부(420)로서 전환 버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부(420)의 선택에 의하여 포커스 조정링(450), 줌 조정링(460), 및 조리개 조정링(470) 중의 어느 하나의 조정링이 도 1의 조작 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선택부(420)의 선택에 의하여 포커스 조정링(450)이 도 1의 조작 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선택부(420)가 되는 전환 버튼으로 푸시 버튼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부(420)가 렌즈 모듈(40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부주의로 선택부(420)의 전환 버튼을 눌러 오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10)의 바디(10a)의 외부에는 셔터-릴리스 버튼(12) 및 모드 다이얼(1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의 뒷면에는 방향 버튼(16), 메뉴-OK 버튼(17), 및 디스플레이 패널(15)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셔터-릴리스 버튼(12)은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예를 들어, CCD 또는 CMOS)를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셔터가 열리고 닫히도록 할 수 있다. 모드 다이얼(13)을 통하여 촬영 모드 선택이 입력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10)의 바디(10a)에서, 모드 다이얼(13)을 통하여 사용자 설정을 최소화하고 사용 목적에 따라 빠르고 간편하게 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때 이용하는 AUTO(자동 촬영) 모드, 촬영 상황 또는 피사체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카메라 설정을 간단히 설정하기 위해 이용하는 SCENE 모드, 연속촬영, 장면촬영 등 영상 촬영에 특별한 효과를 주기 위해 이용하는 EFFECT 모드, 조리개와 셔터속도를 포함한 각종 기능을 수동으로 설정하여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이용하는 A/S/M 모드 등을 포함한 다양한 모드들이 선택되어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드는 렌즈 모듈(100)에 구비되는 포커스 조정링, 줌 조정링, 및 조리개 조정링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본 발명의 조작 링(110)으로 기능하도록 하는 추가의 모드 예를 들어 지능 기능 모드(Intelligent Function Mode)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드 다이얼(13)에 지능 기능 모드가 더 포함되고, 지능 기능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 설정된 조정링이 조작 링(110)으로 작동될 수 있다.
방향 버튼(16)에는 상향 버튼, 하향 버튼, 좌향 버튼, 우향 버튼의 총 4개의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방향 버튼(16)과 메뉴-OK 버튼(17)의 작동에 의하여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영상 처리장치의 동작에 관한 각종 메뉴가 실행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5)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5)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메뉴 시스템이 표시되고, 메뉴 시스템이 터치 스크린 및/또는 방향 버튼(16)과 메뉴-OK 버튼(17)의 조작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메뉴 시스템에 의하여 조작 링(110)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할 수 있는 설정 항목들이 지정되고, 각각의 설정 항목들에 순서가 지정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메뉴 시스템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부가 되고, 그 선택에 의하여 설정하고자 하는 설정 항목을 변경시키는 선택부(120)가 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10)의 바디(10a)에는 렌즈 이송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조작하는 조작 스위치(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조작 스위치(11)는 전방 조작 스위치(11a) 및 후방 조작 스위치(11b)를 구비할 수 있다.
전방 조작 스위치(11a)의 조작에 의하여 렌즈가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렌즈 모듈(100)이 작동될 수 있다. 후방 조작 스위치(11b)의 조작에 의하여 렌즈가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렌즈 모듈(100)이 작동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포커스 조정링이 조작 링(110)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부(120)의 선택에 의하여 조작 링(110)이 포커스 조정링으로 기능하거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정된 설정 항목의 설정값을 설정하기 위한 조정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조작 링(110)이 포커스 조정링으로 사용되는 경우, 조작 링(110)을 작동시키면 렌즈 배럴 내부에 장착된 포커스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전 또는 후로 이송시키면서,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자동 초점 모드에서는 포커스 조정링을 사용하지 아니하므로, 자동 초점 모드에서는 별도의 선택부(120)에 의한 선택 없이 자동으로 포커스 조정링이 조작 링(110)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수동 초점 모드에서는 포커스 조정링이 포커스 조정에 사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200)의 내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도 6의 영상 처리 장치(200)에서 조작 링(610)이 별도로 구비되는 실시예의 신호 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마이크로제어기(212)가 렌즈 구동부(2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즉, 광각-줌 버튼(W)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줌 버튼(T)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이때, 줌 조정링(250)이 조정되는 경우에 줌 조정링 위치 신호(S2)가 제어부(230)에 입력되고, 제어부(230)에서 줌 구동 신호(C2)를 줌 모터(MZ)로 출력하여 줌 모터(MZ)를 구동하여 줌 렌즈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30)는 도 6의 마이크로 제어기(212) 및/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가 될 수 있다.
한편, 자동 초점 모드(auto focusing mode)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 안에 내장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제어기(212)를 통하여 렌즈 구동부(210)를 제어하고, 그에 따라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즉, 포커스 모터(MF)를 구동하여 가장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있는 포커스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여 자동 초점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포커스 조정링(240)이 조정되는 경우에 포커스 조정링 위치 신호(S1)가 제어부(230)에 입력되고, 제어부(230)에서 포커스 구동 신호(C1)를 포커스 모터(MF)로 출력하여 포커스 모터(MF)를 구동하여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보상 렌즈는 전체적인 굴절률을 보상하는 역할을 하므로 별도로 구동되지 않는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조리개 조정 모터(MA)를 가리킨다.
이때, 조리개 조정링(260)이 조정되는 경우에 조리개 조정링 위치 신호(S3)가 제어부(230)에 입력되고, 제어부(230)에서 조리개 구동 신호(C3)를 조리개 조정 모터(MA)로 출력하여 조리개 조정 모터(MA)를 구동하여 조리개를 조정할 수 있다.
광학계(OPS)의 필터부에 있어서,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는 고주파 성분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광전 변환부(OEC)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는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2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는 타이밍 회로(2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실시간 클록(203)은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는 CDS-ADC 소자(2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Y 값) 및 색도(R, G, B)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화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에 내장된 주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로 제어기(2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 자동-초점 램프, 모드 지시 램프 및 플래시 대기 램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방향 버튼(16), 메뉴-OK 버튼(17), 및 셔터 릴리즈 버튼(1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20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205)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의 동작에 필요한 부팅 프로그램 및 키 입력 프로그램 등과 같은 알고리즘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206)에서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2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15)에 화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3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208)와 그 접속부(3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디오 필터(209) 및 비디오 출력부(31c)를 통하여 비디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는 그 내부에 마이크로제어기를 내장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2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200)는 조작 링(610); 선택부(620); 및 제어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조작 링(610) 및 선택부(620)는 렌즈 모듈(700)에 장착될 수 있다.
조작 링(610)은 렌즈 배럴(700a) 외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조작 링(610)의 위치 정보(S4)를 입력받아, 조작 링(610)의 위치 정보(S4)에 따라 설정값을 설정한다.
선택부(620)는 선택에 의하여 변경 신호를 생성한다. 이 경우, 제어부(230)는 변경 신호를 입력받아 조작 링(610)의 위치에 따라 다른 항목의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변경한다.
여기서, 조작 링(610)은 도 1의 조작 링(110)에 대응되고, 선택부(620)는 도 1의 선택부(120)에 대응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조작 링(610) 및 선택부(620)는 도 1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 장치(200)는 메뉴 시스템이 표시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214) 및 디스플레이 패널(215)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메뉴 시스템에 의하여 조작 링(610)의 위치에 따라 다른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조작 링(610)이 조정되는 경우에 조작 링의 위치 정보(S4)가 제어부(230)에 입력되고, 제어부(230)에서 조작 링의 위치 정보(S4)에 따라 지정된 설정 항목의 설정값을 변경 또는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교환 렌즈에 장착되는 조작 링을 조작하여 촬영 또는 기타 작동에 필요한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조작 링의 위치 정보(S4)는 복수개 구비되는 브러시(brush)와 패턴(pattern), 포토 인터럽트 센서(photo interrupt sensor), 및 포텐시오미터(potentiometer)를 포함한 다양한 센서들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도 6의 영상 처리 장치(200)에서 선택 링(820)이 별도로 구비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200)는 조정링들(240, 250, 260); 선택 링(820); 및 제어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조정링들(240, 250, 260); 및 선택 링(820)은 렌즈 모듈(800)에 장착될 수 있다.
조정링들(240, 250, 260)은 렌즈 모듈(800a) 외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조정링들(240, 250, 260)은 포커스 조정링(240), 줌 조정링(250), 및 조리개 조정링(2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조정링들(240, 250, 260)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본 발명에 따른 조작 링이 될 수 있다.
선택 링(820)의 조작에 의하여 조정링들(240, 250, 260)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조작 링으로 선택되거나, 설정하고자 하는 설정 항목이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선택 링(820)의 위치 정보(S8)를 입력받아, 선택 링(820)의 위치 정보(S8)에 따라 조정링들(240, 250, 260)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작 링으로 선택하거나, 설정하고자 하는 설정 항목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선택 링(820)은 그 선택에 의하여 변경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30)는 변경 신호를 입력받아 조작 링의 위치에 따라 다른 항목의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 링은 도 1의 조작 링(110)에 대응되고, 선택 링(820)은 도 1의 선택부(120)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조작 링 및 선택 링(820)은 도 1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선택부가 렌즈 배럴(800a)에 회전 및/또는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선택 링(820)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 링(820)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하고자 하는 설정 항목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선택 링(820)의 조작에 의하여 다른 조작 링들 중의 어느 하나가 해당 설정 항목의 설정값이 조정되도록 하는 조작 링이 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선택부 예를 들어 선택 링(820)의 슬라이딩 조작에 의하여 다른 조정링들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조작 링이 되도록 하고, 선택 링(820)의 회전 조작에 의하여 설정하고 자하는 설정 항목을 설정하고, 조작 링을 조정하여 해당 설정 항목의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200)에서는 조작 링(610)의 조작에 의하여 초점 영역(91, 92)을 조정할 수 있다. 도 9에 조작 링(610)의 조작에 의하여 초점 영역(91, 92)을 조정하는 화면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화면은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패널(214)에 표시된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도면에서 화살표는 조작 링(610)의 조작에 따라 초점 영역(91, 92)이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낸다.
표시부에는 영상과 영상 중의 일부 영역이 초점 영역(91 92)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초점 영역(91, 92)은 조작 링(610)의 조작에 따라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 링(610)을 왼쪽으로 회전시키면 화면상에서 초점 영역(91, 92)이 왼쪽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고, 조작 링(610)을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면 화면상에서 초점 영역(91, 92)이 오른쪽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조작 링(610)의 회전 방향과 초점 영역(91, 92)의 회전 방향이 반대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조작 링(610)의 조작 방향에 따라 영상에서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외곽 영역의 초점 영역(91)으로부터 중심 영역의 초점 영역(92)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링(610)의 조작 방향에 따라 영상의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중심 영역의 초점 영역(92)으로부터 외곽 영역의 초점 영역(9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조작 링(610)을 왼쪽으로 회전시키면 화면상에서 초점 영역(91, 92)이 영상의 왼쪽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외곽 영역의 초점 영역(91)으로부터 중심 영역의 초점 영역(92)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링(610)을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면 화면상에서 초점 영역(91, 92)이 영상의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중심 영역의 초점 영역(92)으로부터 외곽 영역의 초점 영역(91)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링(610)의 조작으로 초점 영역(91, 92)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초점 영역 설정에서의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200)는 렌즈 또는 교환 렌즈에 구비되는 조작 링(610)과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구현되는 선택부(620)에 의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확장시켜 사용자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선택부(620)의 조작에 의하여 조작 링(610) 및/또는 설정 항목을 변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영상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와 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04/0130650호(명칭: 카메라의 이차함수를 이용한 자동 포커싱 방법, Method of automatically focusing using a quadratic function in camera)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미국출원에 개시된 디지털 카메라와 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사항은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에 장착되는 조작 링을 조작하여 촬영 또는 기타 작동에 필요한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 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상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상기 특정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 등과 같은 집적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메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설계 인자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 디지털 카메라, 10a: 바디,
100, 300, 400: 렌즈 모듈, 110, 310: 조작 링,
20, 120, 420: 선택부.

Claims (23)

  1. 바디; 및
    상기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렌즈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렌즈 모듈이 그 조작에 의하여 설정값을 변경 가능한 조작 링을 구비하는 영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그 선택에 의하여 상기 조작 링에 의하여 다른 항목의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변경하는 선택부를 더 구비하는 영상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가 상기 렌즈 모듈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영상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가 상기 렌즈 모듈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노출되는 버튼 타입인 영상 처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가 상기 렌즈 모듈 또는 상기 바디에 설치되는 버튼, 슬라이딩 스위치, 및 회전 절환 스위치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영상 처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가 상기 바디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메뉴 시스템인 영상 처리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이 내부에 렌즈가 장착되는 렌즈 배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선택부가 상기 렌즈 배럴 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상기 렌즈의 광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 및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선택 링인 영상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이 내부에 렌즈가 장착되는 렌즈 배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 링이 상기 렌즈 배럴 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영상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이 내부에 렌즈가 장착되는 렌즈 배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 링이, 상기 렌즈 배럴 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장착되고,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영상 처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링이, 그 조작에 의하여 포커스를 조정하는 포커스 조정링, 그 조작에 의하여 줌을 조정하는 줌 조정링, 및 그 조작에 의하여 조리개를 조정하는 조리개 조정링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영상 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이, 그 선택에 의하여 상기 포커스 조정링, 상기 줌 조정링, 및 상기 조리개 조정링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부를 더 구비하는 영상 처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이,
    그 조작에 의하여 포커스를 조정하는 포커스 조정링,
    그 조작에 의하여 줌을 조정하는 줌 조정링, 및
    그 조작에 의하여 조리개를 조정하는 조리개 조정링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하는 영상 처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링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되는 설정값이, 촬영 모드, 화이트 밸런스, 노출 보정, 컬러 보정, 플래시 광량 조정, 감도 조정, 전자 줌, 및 초점 영역 변경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영상 처리 장치.
  14. 바디에 장착되는 렌즈 모듈;
    상기 렌즈 모듈 외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조작 링; 및
    상기 조작 링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조작 링의 위치 정보에 따라 설정값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영상 처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그 선택에 의하여 변경 신호를 생성하는 선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변경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조작 링의 위치에 따라 다른 항목의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변경하는 영상 처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가 상기 렌즈 모듈 또는 상기 바디에 설치되는 버튼, 슬라이딩 스위치, 및 회전 절환 스위치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영상 처리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이 내부에 렌즈가 장착되는 렌즈 배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선택부가 상기 렌즈 배럴 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상기 렌즈의 광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 및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선택 링인 영상 처리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메뉴 시스템이 표시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메뉴 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조작 링의 위치에 따라 다른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변경하는 영상 처리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링이 그 조작에 의하여 포커스를 조정하는 포커스 조정링, 그 조작에 의하여 줌을 조정하는 줌 조정링, 및 그 조작에 의하여 조리개를 조정하는 조리개 조정링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영상 처리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이,
    그 조작에 의하여 포커스를 조정하는 포커스 조정링,
    그 조작에 의하여 줌을 조정하는 줌 조정링, 및
    그 조작에 의하여 조리개를 조정하는 조리개 조정링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하는 영상 처리 장치.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링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되는 설정값이, 촬영 모드, 화이트 밸런스, 노출 보정, 컬러 보정, 플래시 광량 조정, 감도 조정, 전자 줌, 및 초점 영역 변경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영상 처리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영상과 상기 영상 중의 일부 영역이 상기 초점 영역으로 표시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초점 영역이 상기 조작 링의 조작에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변경되는 영상 처리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링의 조작 방향에 따라, 상기 초점 영역이 상기 영상의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중심 영역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영상의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외곽 영역으로 이동하는 영상 처리 장치.
KR1020100022958A 2010-03-15 2010-03-15 영상 처리 장치 KR101753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958A KR101753367B1 (ko) 2010-03-15 2010-03-15 영상 처리 장치
US12/911,853 US8665358B2 (en) 2010-03-15 2010-10-26 Apparatus for processing an image having detachable lens and a ring for setting photographing parameter values
EP10188788.3A EP2367350B1 (en) 2010-03-15 2010-10-26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CN201010536123.9A CN102196169B (zh) 2010-03-15 2010-10-29 图像处理设备
US14/188,977 US9140960B2 (en) 2010-03-15 2014-02-25 Apparatus for processing an image having detachable lens and a ring for setting photographing parameter valu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958A KR101753367B1 (ko) 2010-03-15 2010-03-15 영상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746A true KR20110103746A (ko) 2011-09-21
KR101753367B1 KR101753367B1 (ko) 2017-07-03

Family

ID=44562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958A KR101753367B1 (ko) 2010-03-15 2010-03-15 영상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665358B2 (ko)
EP (1) EP2367350B1 (ko)
KR (1) KR101753367B1 (ko)
CN (1) CN10219616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015A (ko) * 2019-01-18 2020-07-28 김인균 구동모듈을 구비한 비전 검사용 카메라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367B1 (ko) * 2010-03-15 201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JP5543874B2 (ja) * 2010-08-06 2014-07-09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US10171727B1 (en) 2012-05-29 2019-01-01 Promanthan Brains Llc, Series Click Only Resetting single-control apparatus
US9313304B1 (en) 2012-05-29 2016-04-12 Oliver Markus Haynold Single-control image-taking apparatus
JP6476913B2 (ja) * 2015-01-26 2019-03-0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レンズ鏡胴
JP2016028305A (ja) * 2015-11-12 2016-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機器
WO2017139929A1 (en) * 2016-02-17 2017-08-24 SZ DJI Technology Co., Ltd. Mode selection assembly and method for selecting imaging mode
JP1574661S (ko) * 2016-08-31 2017-04-24
JP6623414B2 (ja) * 2017-07-31 2019-12-25 エスゼット ディージェイアイ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z Dji Technology Co.,Ltd レンズ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061300B2 (en) * 2017-09-18 2021-07-13 Profoto Aktiebolag Flash housing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flash light by manual rotation of a zoom element
CN111247482B (zh) 2017-09-18 2021-11-30 保富图公司 用于摄影目的的闪光罩和模拟闪光灯光的方法
JP7023699B2 (ja) 2017-12-14 2022-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機器
JP7034755B2 (ja) * 2018-02-19 2022-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機器
JP7483349B2 (ja) * 2019-10-30 2024-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79102B (de) 1958-07-12 1964-10-01 Agfa Ag Fotografische Kamera mit wahlweiser Kupplung zwischen Blenden- und Zeit- oder Entfernungsstellern
JP2997343B2 (ja) 1991-05-21 2000-01-11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の露出制御装置
JPH05236323A (ja) 1992-02-25 1993-09-10 Sony Corp ビデオカメラ
US6963366B2 (en) * 1996-06-19 2005-11-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JPH11355617A (ja) 1998-06-05 1999-12-24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表示器付きカメラ
JP2001215401A (ja) 2000-02-01 2001-08-10 Canon Inc 選択点選択装置
JP3694208B2 (ja) * 2000-02-07 2005-09-14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カメラ
JP3721925B2 (ja) * 2000-03-07 2005-11-30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US20010043279A1 (en) * 2000-03-07 2001-11-22 Masahito Niikawa Digital camera
KR100468871B1 (ko) 2002-10-09 2005-01-2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이차 함수를 이용한 카메라의 자동 포커싱 방법
JP4235474B2 (ja) * 2003-03-20 2009-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7072252A (ja) * 2005-09-08 2007-03-22 Canon Inc レンズ装置、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2007108373A (ja) * 2005-10-13 2007-04-26 Fujifilm Corp 電動ズーム装置
JP2007133027A (ja) * 2005-11-08 2007-05-31 Canon Inc 撮像装置
JP4182117B2 (ja) * 2006-05-10 2008-11-1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8026553A (ja) 2006-07-20 2008-02-07 Fujifilm Corp カメラ及びレンズユニット
JP5028945B2 (ja) * 2006-10-17 2012-09-19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4518131B2 (ja) * 2007-10-05 2010-08-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方法及び装置
KR20100071754A (ko) * 2008-12-19 2010-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와 키조작에 의한 멀티 입력 방식을 이용한 촬영방법 및 이를 적용한 촬영장치
JP4774118B2 (ja) * 2009-12-03 2011-09-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カメラ
KR101753367B1 (ko) * 2010-03-15 201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015A (ko) * 2019-01-18 2020-07-28 김인균 구동모듈을 구비한 비전 검사용 카메라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65358B2 (en) 2014-03-04
US9140960B2 (en) 2015-09-22
KR101753367B1 (ko) 2017-07-03
CN102196169A (zh) 2011-09-21
US20110221917A1 (en) 2011-09-15
EP2367350A1 (en) 2011-09-21
EP2367350B1 (en) 2015-08-19
CN102196169B (zh) 2016-01-20
US20140168495A1 (en)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367B1 (ko) 영상 처리 장치
KR101716420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584726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05249824A (ja) 撮像装置
JP2007124279A (ja) 画像処理装置
KR101753369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60114341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KR10173937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8294981A (ja) カメラシステム
TWI383669B (zh) Camera device
JP5465224B2 (ja) レンズ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6063671B2 (ja) 撮影機器
JP2012142978A (ja) 画像処理装置
JP2009053641A (ja) 撮像装置
KR100651812B1 (ko) 키 조합 단축키 설정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138740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1244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1780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101235803B1 (ko) 영역 설정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KR20100070055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JP2007279465A (ja) デジタル一眼レフカメラ
KR20090044794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20100096516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41463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영상 트리밍 방법
KR20080051761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