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2332A - 농약 보조 조성물 - Google Patents

농약 보조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2332A
KR20110102332A KR1020117013685A KR20117013685A KR20110102332A KR 20110102332 A KR20110102332 A KR 20110102332A KR 1020117013685 A KR1020117013685 A KR 1020117013685A KR 20117013685 A KR20117013685 A KR 20117013685A KR 20110102332 A KR20110102332 A KR 20110102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oxylated
alkyl
composition according
compon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3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잉고 플로이테-슐라히터
스테빠니 메를레
클라우스 위르겐 발바우프
한스-게오르크 마인스
베누아 아브리바
Original Assignee
코그니스 아이피 매니지먼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그니스 아이피 매니지먼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코그니스 아이피 매니지먼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102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33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6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647Triazoles; Hydrogenated triazoles
    • A01N43/653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10Carbamic acid derivatives, i.e. containing the group —O—CO—N<; Thio analogues thereof
    • A01N47/24Carbamic acid derivatives, i.e. containing the group —O—CO—N<; Thio analogues thereof containing the groups, or; Thio analogu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01N47/36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containing the group >N—CO—N< directly attached to at least one heterocyclic ring; Thio analogue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Abstract

(a) 알콕시화 폴리올 에스테르, (b) 임의적으로 알콕시화 알킬(케닐) 올리고글리코시드, 및 (c) 지방산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농화학 보조 조성물이 제안된다.

Description

농약 보조 조성물 {AGROCHEMICAL AUXILIARY COMPOSITIONS}
본 발명은 농업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누를 포함하는 신규한 보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작물 보호 시장은 한해 약 22억 파운드의 총가치를 나타낸다. 대부분의 살생물제는 보조제 (또한 강화제로 알려짐)와 함께 제형화되어 다양한 기능을 달성함으로써 그의 효능을 최대화한다. 보조제는 잎 표면에 양호한 습윤을 제공하고, 광범위한 기후 조건 하에서 살생물제의 엽편 침투를 용이하게 하고, 식물체 내로의 살생물제, 특히 제초제의 이동을 향상하거나 또는 적어도 저해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특이적 저항성 작물에서 사용시 식물독성 효과를 생성하지 않아야 한다.
살생물제 및 식물 보호 제제용 첨가제로써 에톡시화 식물유의 사용은 당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상태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에톡시화 트리글리세리드를 기술하는 최초의 문헌 중 하나는 이전의 독일 민주 공화국 DD 268147 A1 의 공개 공보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액체 담체, 및 알킬 폴리글루코시드과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유화제 혼합물을 함유하는 농업 조성물을 기술하는 국제특허출원 WO 98/009518 A1 (Cognis)이 또한 참조된다. 2개의 독일 출원 DE 100 00 320 A1DE 100 18 159 A1 (둘다 Cognis)로부터, 특정 접촉성 제초제 및 에톡시화 지방 알코올 또는 지방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 유럽 특허 EP 0804241 B1 (SEPPIC) 는 에톡시화 지방산 에스테르 및 트리글리세리드, 및 농업 조성물 제조를 위한 자가-유화성 시스템으로써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살생물제 및 또한 거대한 수의 첨가제, 예컨대, 보조제, 유화제, 가용화제 등이 시장에서 이용가능하지만, 보호될 식물체의 잎으로 활성물의 침투 속도를 증가시키고, 다른 미생물, 특히 모든 종류의 균류와 싸우는 활성물의 능력을 개선하는 신규한 보조 약제를 개발하고자 하는 끊임없는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시장의 요구에 부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를 함유하는 신규한 농약 보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 알콕시화 폴리올 에스테르,
(b) 임의의 알콕시화 알킬(케닐) 올리고글리코시드,
(c) 지방산 또는 그의 염.
알콕시화 폴리올 에스테르, 임의의 알콕시화 알킬(케닐) 올리고글리코시드 및 지방산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혼합물은 다양한 종류의 살생물제, 즉, 살진균제, 살충제, 제초제 및 식물 성장 조절제의 효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예를 들어 알콕시화 트리글리세리드가 잎 속으로 침투성 살충제의 투과를 자극하는 것으로 오랫동안 알려졌지만, 놀랍게도 공지의 계면활성제에 글리코시드 및 지방산을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잎 속으로 침투 속도를 증가시킬 뿐 아니라 진균의 세포벽의 침투를 가능케 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알콕시화 폴리올 에스테르
알콕시화 폴리올 에스테르 (구성성분 a) 는 보조 조성물의 주된 부분을 나타낸다. 이러한 에스테르는 트리메틸올 프로판, 펜타에리트롤 또는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롤로부터 유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는 전체 및 부분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적절한 알콕시화 글리세롤 에스테르는 알콕시화 모노-, 디- 또는 트리글리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알콕시화 트리글리세리드- 또는 동의어인 알콕시화 식물유로써 사용됨-는 단연코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이며, 일반적으로 일반식 (I)을 따른다:
Figure pct00001
식 중, R1, R2 및 R3 는 서로 독립적으로 5 내지 21개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7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 및/또는 히드록시 알킬 잔기를 나타내고; n, m 및 p 는 그 합 (m+n+p)가 0 이 아닌 조건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약 1 내지 약 50,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15 의 정수를 나타내며, AO 는 에틸렌 글리콜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단위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알콕시화 글리세롤 에스테르는 대두유 및 채종유, 해바라기유 또는 아마씨유를 나타내나, 본원에서 언급되지 않는 다른 식물유가 또한 상기 구성성분을 위한 적절한 기재를 형성할 수 있다.
폴리올 에스테르의 알콕시화는 유기화학에서 알려진 표준 제조방법에 따라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알칼리성 촉매의 존재 하에 에스테르에 첨가한다. 알콕시화는 통계적 반응을 나타내기 때문에 반응 생성물은 상이한 알콕시화도를 갖는 동족체들의 분포를 나타낸다. 이러한 맥락에서, 주어진 알콕시화도는 항상 평균값을 나타내는 것임을 명백히 해야 한다. 넓거나 좁은 어느 하나의 동족체 분포를 얻기 위하여 적절한 촉매를 선택하여 알콕시화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록 더 낮은 알콕시화도를 가지나 더 넓은 동족체 분포를 갖는 알콕시레이트가 더 높은 알콕시화도를 가지나 좁은-범위의 동족체 분포를 갖는 다른 알콕시레이트와 유사한 작용을 나타낼 수 있으나, 두 종류 모두의 생성물이 적절하다. 또한, 위계적이거나 무작위로, 에틸렌 옥사이드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 단위를 포함하는 혼합 생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한 종은 약 10 몰의 에틸렌 옥사드의 대두유, 채종유 또는 아마씨유에 부가물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알콕시화 폴리올 에스테르, 특히 알콕시화 글리세리드를 이들의 HLB 값으로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하기 식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HLB = 20 [1-S/A]
식 중, "S"는 (NFT 60206 에 따른) 알콕시화 에스테르의 비누화값을 나타내며, "A" 는 (NFT 60204 에 따른) 에스테르화를 위하여 사용되는 산의 산가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알콕시화 폴리올 에스테르는 약 2 내지 약 15,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10 의 범위의 HLB 값을 나타낸다.
알킬 ( 케닐 ) 올리고글리코시드 및 이들의 알콕시화 산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구성성분 (II)로써 사용될 수 있는 알킬 또는 알케닐 올리고글리코시드 (구성성분 b1)는 5 또는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도스 또는 케토스,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스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알킬 및/또는 알케닐 올리고글리코시드는 알킬 또는 알케닐 올리고글루코시드이다. 이들 재료는 또한 일반적으로 "알킬 폴리글리코시드" (APG)로써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알킬(케닐) 올리고글리코시드 식 (II)에 상응한다:
R4O[G]p (II)
식 중, R4 는 6 내지 2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알케닐 라디칼이며, G 는 5 또는 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당 단위이며, p 는 1 내지 10 의 수이다. 일반식 (II) 에서 지수 p 는 올리고머화도 (DP 도), 즉 모노- 및 올리고글리코시드의 분포를 가리키며, 1 내지 10 의 숫자이다. 주어진 화합물 내 p 가 항상 정수이어야 하고, 무엇보다 1 내지 6 의 값일 수 있는 반면, 특정 알킬 또는 올리고글리코시드에 대한 p 값은 주로 끝수 (broken number)인 계산된 양으로 분석적으로 결정된다. 1.1 내지 3.0 의 평균 올리고머화도 p 를 갖는 알킬(케닐) 올리고글리코시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1.7 미만, 더욱 특히는 1.2 내지 1.4 의 올리고머화도를 갖는 알킬(케닐) 올리고글리코시드가 응용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알킬 또는 알케닐 라디칼 R4 는 4 내지 22 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1차 알코올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일반적인 예로는 부탄올, 카프로 알코올, 카프릴 알코올, 카프르 알코올, 운데실 알코올,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세틸 알코올, 팔미토일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에라이딜 알코올, 페트로세리닐 알코올, 아라킬 알코올, 가도레일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에루실 알코올, 및 예컨대, 기술적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의 수소화, 또는 로렌 (Roelen) 옥소 합성 유래 알데히드의 수소화에서 형성되는 것들과 같은, 이들의 기술적 혼합물이 있다. 1 내지 3의 DP 를 갖는 단쇄 C8 /10 지방 알코올 또는 수소화 C8 /18 코코넛유 알코올 기재 알킬 올리고글루코시드가 바람직하다.
상기 알킬(케닐) 올리고글리코시드 대신에 적절한 대체물은 이들의 알콕시화 생성물 (구성성분 b2) 이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약 1 내지 약 20,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10 몰 에틸렌 옥사이드 (EO) 및/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 (PO)를 -위계적이거나 무작위로- 글리코시드 몸체의 자유 히드륵시기에 첨가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약 2 내지 약 7 몰 EO 및/또는 PO 를 C8 /10 또는 각각 C12 /14 알킬 올리고글루코시드에 부가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계면활성제의 제조에 관한 한, 적절한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는 EP 1716163 B1 (Cognis) 이 언급된다.
지방산 및 이들의 염
지방산 및 이들의 염 (구성성분 c)는 제제의 작용 및 안정성을 개선한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일반식 (III) 을 따른다.
R5CO-OX (III)
식 중, R5CO 는 6 내지 22 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아실 라디칼을 나타내며, X 는 수소 또는 알칼리성 금속을 나타낸다. 적절한 예는 카프론산, 카프릴산, 카프린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팔모레일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접합 리놀레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 가도레인산, 베헨산, 에루스산, 및 예컨대 코코 지방산, 탈로우 지방산 또는 바람직하게는 톨오일 지방산과 같은 이들의 기술적 혼합물임. 상기 산들 대신에 각각 나트륨 또는 칼륨 비누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보조 조성물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할 수 있다:
(a) 약 60 내지 약 90,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80 % w/w 의 알콕시화 폴리올 에스테르
(b) 약 5 내지 약 15, 바람직하게는 약 7 내지 약 12 % w/w 의 임의의 알콕시화 알킬(케닐) 올리고글리코시드, 및
(c) 약 5 내지 약 15, 바람직하게는 약 7 내지 약 12 % w/w 의 지방산 또는 이들의 염
상기 값들은 임의로 물과 함께 100% w/w 까지 첨가되는 조건임.
산업적 이용가능성
농약 조성물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기를 포함하는 농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 알콕시화 폴리올 에스테르,
(b) 임의의 알콕시화 알킬(케닐) 올리고글리코시드,
(c) 지방산 또는 이들의 염, 및
(d) 살생물제.
일반적으로, 상기 구성성분 (a), (b) 및 (c)를 포함하는 농약 보조 조성물은 수성 용액 및 그안에 용해된 개별적 살생물제의 형태로 준비된다. 소비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얻어진 농축물-일반적으로 40 % w/w 까지 살충제를 함유함-은 약 0.5 내지 약 1 % w/w 의 살충제 농도를 나타내는 사용전 조성물에 준비되어 희석된다.
살생물제
본 발명의 문맥에서 살생물제는 식물 보호제, 더욱 특별히는 의약, 농업, 임업 및 모기 제어와 같은 본 분야에서 사용되는 다른 형태의 살아있는 유기체를 죽일 수 있는 화학 물질이다. 소위 식물 성장 조절제가 또한 살생물제의 그룹에서 고려된다. 통상, 살생물제는 2개 하위 그룹으로 분류된다:
● 살진균제, 제초제, 살충제, 살조제, 살패제, 살비제 및 살서제를 포함하는 농약, 및
● 살균제, 항생제, 항균제, 항바이러스제, 항진균제, 항원충제 및 항기생충제를 포함하는 항미생물제.
살생물제는 또한 생물학적 감염 및 성장으로부터 재료를 보호하기 위하여 다른 재료 (전형적으로 액체)에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종류의 4차 암모늄 화합물 (콰트)이 수영장 물 또는 산업용 수 시스템에 첨가되어 살조제로써 작용하여 조류의 감염 및 성장으로부터 물을 보호할 수 있다.
농약
미국 환경 보호 기관 (EPA)은 농약을 "임의의 해충을 방지하거나, 파괴하거나, 격퇴하거나 완화시킬 의도의 임의의 성분 또는 성분들의 혼합물"로써 정의한다. 농약은 곤충, 식물체 병원균, 잡초, 연체동물, 조류, 포유동물, 어류, 선충 (회충) 및 음식에 대하여 인간과 경쟁하고, 재산을 파괴하고, 질병을 퍼뜨리거나 성가신 것인 미생물을 포함한 해충에 대항하여 사용되는 화학 성분 또는 생물학적 약제 (예컨대, 바이러스 또는 박테리아)일 수 있다. 하기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농약 조성물에 적절한 농약은 다음과 같다:
살진균제 . 살진균제는 3개의 주된 해충 제어 방법 중 하나이다 - 이 경우에는 진균의 화학적 제어. 살진균제는 정원 및 작물 내 진균의 전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화학적 화합물이다. 살진균제는 또한 진균 감염과 싸우기 위하여 사용된다. 살진균제는 접촉성이거나 침투성일 수 있다. 접촉성 살진균제는 그 표면에 분무시 진균을 죽인다. 침투성 살진균제는 진균이 죽기 전에 진균에 의하여 흡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절한 살진균제의 예는 하기 종들을 포함한다: (3-에톡시프로필)머큐리 브로마이드, 2-메톡시에틸머큐리 클로라이드, 2-페닐페놀, 8-히드록시퀴놀린 설페이트, 8-페닐머큐리옥시퀴놀린, 아시벤졸라, 아실아미노산 살진균제, 아시페탁스, 알디모르프, 지방족 질소 살진균제, 아릴 알코올, 아미드 살진균제, 암프로필포스, 아닐라진, 아닐리드 살진균제, 항생제 살진균제, 방향족 살진균제, 아우레오펀진, 아자코나졸, 아지티람, 아족시스트로빈, 바리움 폴리설피드, 베나락실, 베나락실-M, 베노다닐, 베노밀, 벤퀴녹스, 벤타루론, 벤티아바리카르브,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벤즈아마크릴, 벤즈아미드 살진균제, 벤즈아모르프, 벤즈아니리드 살진균제, 벤즈이미다졸 살진균제, 벤즈이미다졸 전구체 살진균제, 벤즈이미다졸릴카르바메이트 살진균제, 벤조히드록사믹산, 벤조티아졸 살진균제, 베톡사진, 비나파크릴, 비페닐, 비테르타놀, 비티오놀, 블라스티시딘-S, 보르도 혼합물, 보스칼리드, 가교 디페닐 살진균제, 브로뮤코나졸, 부피리메이트, 버건디 혼합물, 부티오베이트, 부틸아민, 칼슘 폴리설피드, 캡타폴, 캡탄, 카르바메이트 살진균제, 카르바모르프, 카르바니레이트 살진균제, 카르벤다짐, 카르복신, 카르프로파미드, 카르본, 체스훈트 혼합물, 치노메티오나트, 클로벤티아졸, 클로라니포르메탄, 클로라닐, 클로르페나졸, 클로로디니트로나프탈렌, 클로로네브, 클로로피크린, 클로로타로닐, 클로르퀴녹스, 클로조리네이트, 시클로피록스, 크림바졸, 크로트리마졸, 코나졸 살진균제, 코나졸 살진균제 (이미다졸), 코나졸 살진균제 (트리아졸), 구리 (II) 아세테이트, 구리 (II) 카르보네이트, 염기성, 구리 살진균제, 구리 히드록시드, 구리 나프테네이트, 구리 올레이트, 구리 옥시클로라이드, 구리 (II) 설페이트, 구리 셀페이트, 염기성, 구리 아연 크로메이트, 크레솔, 쿠프라넵, 쿠프로밤, 쿠프로스 옥사이드, 시아조파미드, 시클라푸라미드, 시클릭 디티오카르바메이트 살진균제, 시클로헥시미드, 시플루페나미드, 시목사닐, 시펜다졸, 시프로코나졸, 시프로디닐, 다조메트, DBCP, 데바카르브, 데카펜틴, 디히드로아세트산, 디카르복시미드 살진균제, 디클로플루아니드, 디클론, 디클로로펜, 디클로로페닐, 디카르복시미드 살진균제, 디클로졸린, 디클로부트라졸, 디클로시메트, 디클로메진, 디클로란, 디에토펜카르브, 디에틸 피로카르보네이트, 디페노코나졸, 디플루메토림, 디메티리몰, 디메토모르프, 디목시스트로빈, 디니코나졸, 디니트로페놀 살진균제, 디노부톤, 디노캡, 디녹톤, 디노펜톤, 디노설폰, 디노테르본, 디페닐아민, 디피리티온, 디설피람, 디타림포스, 디티아논, 디티오카르바메이트 살진균제, DNOC, 도데모르프, 도디신, 도다인, 도나토딘 (DONATODINE), 드라족솔론, 에디펜포스, 에폭시코나졸, 에타코나졸, 에템, 에타복삼, 에티리몰, 에톡시퀸, 에틸머큐리 2,3-디히드록시프로필 머캡티드, 에틸머큐리 아세테이트, 에틸머큐리 브로마이드, 에틸머큐리 클로라이드, 에틸머큐리 포스페이트, 에트리디아졸, 파목사돈, 페나미돈, 페나미노설프, 페나파닐, 페나리몰, 펜부코나졸, 펜푸람, 펜헥사미드, 페니트로판, 페녹사닐, 펜피클로닐, 펜프로피딘, 펜프로피모르프, 펜틴, 페르밤, 페림존, 플루아지남, 플루디옥소닐, 플루메토버, 플루모르프, 플루오피코리드, 플루오로이미드, 플루오트리마졸, 플루옥사스트로빈, 플루퀸코나졸, 플루실아졸, 플루설파미드, 플루톨아닐, 플루트리아폴, 폴펫, 포름알데히드, 포세틸, 푸베리다졸, 푸랄악실, 푸라메트피르, 푸라미드 살진균제, 푸라니리드 살진균제, 푸르카르바닐, 푸르코나졸, 푸르코나졸-시스, 푸르푸랄, 푸르메시클록스, 푸로파네이트, 글리오딘, 그리세오펄빈, 구아자틴, 할라크리네이트, 헥사클로로벤젠, 헥사클로로부타디엔, 헥사클로로펜, 헥사코나졸, 헥실티오포스, 히드라르가펜, 히멕사졸, 이마자릴, 이미벤코나졸, 이미다졸 살진균제, 이민옥타딘, 무기 살진균제, 무기 머큐리 살진균제, 이오도메탄, 이프코나졸, 이프로벤포스, 이프로디온, 이프로발리카르브, 이소프로티오란, 이소바레디온, 카수가마이신, 크레속심-메틸, 라임 설푸르, 맨쿠퍼, 만코젭, 마넵, 메베닐, 메카르빈지드, 메파니피림, 메프로닐, 머큐리 클로라이드, 머큐리 옥사이드, 머큐리오스 클로라이드, 머큐리 살진균제, 메타락실, 메타락실-M, 메탐, 메타족소론, 메트코나졸, 메타설포카르브, 메트푸록삼, 메틸 브로마이드, 메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메틸머큐리 벤조에이트, 메틸머큐리 디시안디아미드, 메틸머큐리펜타클로로페녹시드, 메티람, 메토미노스트로빈, 메트라페논, 메트설포박스, 밀넵, 모르폴린 살진균제, 미클로부타닐, 미클로졸린, N-(에틸머큐리)-p-톨루엔설폰아니리드, 나밤, 나타마이신, 니트로스티렌, 니트로탈-이소프로필, 누아리몰, OCH, 옥티리논, 오푸라세, 오르가노머큐리 살진균제, 오르가노포스포러스 살진균제, 오르가노틴 살진균제, 오리사스트로빈, 옥사딕실, 옥사티인 살진균제, 옥사졸 살진균제, 옥사인 구리, 옥스포코나졸, 옥시카르복신, 페푸라조에이트, 펜코나졸, 펜시쿠론, 펜타클로로페놀, 펜티오피라드, 페닐머큐리우레아, 페닐머큐리 아세테이트, 페닐머큐리 클로라이드, 피로카테콜의 페닐머큐리 유도체, 페닐머큐리 니트레이트, 페닐머큐리 살리실레이트, 페닐설파미드 살진균제, 포스디펜, 프탈리드, 프탈리미드 살진균제, 피콕시스트로빈, 피페라린, 폴리카르바메이트, 폴리머릭 디티오카르바메이트 살진균제, 폴리옥신, 폴리옥소림, 폴리설피드 살진균제, 칼륨 아지드, 칼륨 폴리설피드, 칼륨 티오시아네이트, 프로베나졸, 프로클로라즈, 프로시미돈, 프로파모카르브, 프로피코나졸, 프로피넵, 프로퀴나지드, 프로티오카르브, 프로티오코나졸, 피라카르보리드, 피라클로스트로빈, 피라졸 살진균제, 피라조포스, 피라진 살진균제, 피리디니트릴 피리페녹스, 피리메타닐, 피리미딘 살진균제, 피로퀴론, 피록시클로르, 피록시푸르, 피롤 살진균제, 퀴나세톨, 퀴나자미드, 퀸코나졸, 퀴놀린 살진균제, 퀴논 살진균제, 퀴녹살린 살진균제, 퀴녹시펜, 퀸토젠, 라벤자졸, 살리실아닐리드, 실티오팜, 시메코나졸, 나트륨 아지드, 나트륨 오르토페닐페녹시드, 나트륨 펜타클로로페녹시드, 나트륨 폴리설피드, 스피록사민, 스트렙토마이신, 스트로빌우린 살진균제, 설폰아닐리드 살진균제, 황, 설트로펜, TCMTB, 테부코나졸, 테클로프탈람, 테크나젠, 테코람, 테트라코나졸, 티아벤다졸, 티아디플루오르, 티아졸 살진균제, 티시오펜, 티플루자미드, 티오카르바메이트 살진균제, 티오클로르펜핌, 티오메르살, 티오파네이트, 티오파네이트-메틸, 티오펜 살진균제, 티오퀴녹스, 티람, 티아디닐, 티옥시미드, 티베도, 톨크로포스-메틸, 톨나프테이트, 토릴플루아니드, 토릴머큐리 아세테이트, 트리아디메폰, 트리아디메놀, 트리아미포스, 트리아리몰, 트리아즈부틸, 트리아진 살진균제, 트리아졸 살진균제, 트리아족시드, 트리부틸틴 옥사이드, 트리클아미드, 트리시클아졸, 트리데모르프, 트리플록시스트로빈, 트리플루미졸, 트리포린, 트리티코나졸, 미분류 살진균제, 운데실렌산, 유니코나졸, 요소 살진균제, 발리다마이신, 발린아미드 살진균제, 빈클로졸린, 자릴아미드, 아연 나프테네이트, 지넵, 지람, 족사미드 및 이들의 혼합물.
제초제. 제초제는 원치않는 식물체를 죽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농약이다. 선택적 제초제는 특정 표적을 죽이는 반면 목적하는 작물은 상대적으로 무해하게 놓아둔다. 이들 중 일부는 잡초의 성장을 방해함으로써 작용하며, 종종 식물체 호르몬 기재이다. 버려진 땅을 정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초제는 비선택적이고 이들이 접촉하는 모든 식물체 물질들을 죽인다. 제초제는 농업 및 조경 잔디 관리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된다. 이들은 고속도로 및 철도의 유지를 위한 전체 잡초제거 (TVC) 프로그램에서 적용된다. 더 적은 양은 삼림관리, 초원 계, 및 야생동물 서식지 주변에 놓인 지역의 관리에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화학 분류를 나타내는 활성 성분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본원에서 [The Pesticide Manual, Fourteenth edition, ed. CDS Tomlin, BCPC 2006] 이 특별히 언급된다. 하기 선택은 예시를 나타내나,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아릴옥시카르복시산 예컨대 MCPA, 아릴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예컨대 클로디나폽, 시클로헥산디온 옥심 예컨대 세폭시딤, 디니트로아닐린 예컨대 트리플루라린, 디페닐 에스테르 예컨대 옥시플루오르펜, 히드록시벤조니트릴 예컨대 브로목시닐, 설포니우레아 예컨대 니코설푸론, 트리아졸로피리미딘 예컨대 페녹설람, 트리케티온 예컨대 메소트리온, 우레아 예컨대 디우론. 하기에는, 다수의 특별히 적절한 제초제가 작성되어 있다:
○ 잔디 및 무경운 작물 생산에서 사용되는 페녹시 그룹의 2,4-D, 활엽 제초제. 현재 주로 상승제로써 작용하는 다른 제초제와의 혼합물 내에 이용되며, 이는 전세계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제초제이며, 미국에서 3번째로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이는 합성 옥신 (식물 호르몬)의 예이다.
○ 아트라진, 활엽 잡초 및 풀의 제어를 위하여, 옥수수 및 수수에서 사용되는 트리아진 제초제. 낮은 비용, 및 다른 제초제와 사용시 상승제로써 작용하기 때문에 여전히 이용되며, 이는 광시스템 II 억제제이다.
○ 벤조산으로써 디캄바, 잔디 및 옥수수에서 사용되는, 토양 내 활성인 지속성 활엽 제초제. 이는 합성 옥신의 다른 예이다.
○ 글리포세이트, 무경운 전소에서, 그 효과에 저항성이도록 유전적으로 변형된 작물 내 잡초 제어를 위하여 사용되는 침투성 비선택적 제초제 (어떤 종류의 식물체나 죽임). 이는 EPSP 억제제의 예이다.
○ 이미다졸리논으로써 이마자픽, 일부 일년생 및 다년생 풀 및 일부 활엽 잡초의 발아전 및 발아후 제어 모두를 위한 선택적 제초제. 이마자픽은 단백질 합성 및 세포 성장을 위하여 필요한 분지쇄 아미노산 (발린, 루이신 및 이소루이신)의 생산을 억제함으로써 식물체를 죽인다.
○ 클로로아세트아미드로써 메톨라클로르, 옥수수 및 수수 내 일년생 풀의 제어를 위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발아전 제초제; 이러한 용도를 위하여 아트라진을 넓게 대체하였다.
○ 비피리디륨으로써 파라쿼트, 무경운 전소 및 마리화나 및 코카나무 식목의 공중 파괴에서 사용되는 비선택적 접촉성 제초제. 상업상 널리 이용되는 다른 제초제 보다 인간에 더욱 강력히 독성임.
○ 원치않는 수목 및 활엽 잡초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피리딘카르복실산 또는 합성 옥신으로써 피클로람, 클로피라리드 및 트리클로피르.
살충제. 살충제는 모든 발달 형태의 곤충에 대항하여 사용되는 농약이다. 이들은 곤충이 알이나 애벌레에 대항하여 사용되는 살란제 및 유충살충제를 포함한다. 살충제는 농업, 의약, 산업 및 가정에서 사용된다. 하기에서, 적절한 살충제가 언급된다:
○ 염화 살충제, 예컨대, 캄페클로르, DDT, 헥사클로로시클로헥산, 감마-헥사클로로시클로헥산, 메톡시클로르, 펜타클로로페놀, TDE, 알드린, 클로르단, 클로르데콘, 디엘드린, 엔도설판, 엔드린, 헥타클로르, 미렉스 및 이들의 혼합물;
○ 유기인 화합물, 예컨대, 아세페이트, 아진포스-메틸, 멘술리드, 클로르에톡시포스, 클로르피리포스, 클로르피리포스-메틸, 디아지논, 디클로르보스 (DDVP), 디크로토포스, 디메토에이트, 디설포톤, 에토프로프, 페나미포스, 페니트로티온, 펜티온, 포스티아제이트, 말라티온, 메타미도포스, 메티다티온, 메틸-파라티온, 메빈포스, 나레드, 오메토에이트, 옥시데모톤-메틸, 파라티온, 포레이트, 포살론, 포스메트, 포스테부피림, 피리미포스-메틸, 프로페노포스, 테르부포스, 테트라클로르빈포스, 트리부포스, 트리클로르폰 및 이들의 혼합물;
○ 카르바메이트, 예컨대, 알디카르브, 카르보푸란, 카르바릴, 메토밀, 2-(1-메틸프로필)페닐 메틸카르바메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 피레트로이드, 예컨대, 알레트린, 비펜트린, 델타메트린, 페르메트린, 레스메트린, 수미트린, 테트라메트린, 트라로메트린, 트랜스플루트린 및 이들의 혼합물;
○ 식물체 독소 유래 화합물, 예컨대, 데리스 (로테논), 피레트럼, 님 (아자디라키틴), 니코틴, 카페인 및 이들의 혼합물.
○ 네오니코티노이드, 예컨대, 이미다클로프리드.
○ 아바멕틴, 예컨대, 에마막틴
○ 옥사디아진, 예컨대 인독사카르브
○ 안트라닐릭 디아미드, 예컨대, 리낙시피르
살서제 . 살서제는 설치류를 죽일 의도인 해충 제어 화합물의 카테고리이다. 설치류는 이들의 먹이섭취 습성이 스캐빈저로써 이들의 위치를 반영하기 때문에 독약으로 죽이기가 어렵다. 이들은 무언가를 적은 양으로 먹고 기다리며, 이들이 병에 걸리지 않으면 계속 먹는다. 모든 효과적인 살서제는 치사 농도에서 무미 및 무향이어야 하며, 지연된 효과를 가져야 한다. 하기에서, 적절한 살서제의 예가 주어진다:
○ 항응고제는 만성 (사망이 치사량 섭취 1 내지 2 주 후, 드물게는 즉시 발생), 단회-투여 (제2 세대) 또는 복수 투여 (제1 세대) 누적적 살서제로써 정의된다. 치명적 내부 출혈이 치사량의 항응고제, 예컨대 브로디파쿰, 쿠마테트라릴 또느 와파린에 의해 야기된다. 유효한 용량의 이들 성분은 안티비타민 K 이며, 이는 효소 K1-2,3-에폭시드-환원효소 (본 효소는 4-히드록시쿠마린/4-히드록시티아쿠마린 유도체에 의해 우세하게 차단됨) 및 K1-퀴논-환원효소 (본 효소는 인단디온 유도체에 의해 우세하게 차단됨)를 차단하여 개체로부터 활성 비타민 K1 의 공급을 막는다. 이는 비타민 K 주기의 파괴를 야기하여, 필수적인 혈액-응고 인자 (주로, 응고인자 II (프로트롬빈), VII (프로콘버틴), IX (크리스마스 인자) 및 X (스튜어트 인자))의 생성 불능을 초래한다. 이러한 특이적 대사 파괴에 추가로, 독성 용량의 4-히드록시쿠마린/4-히드록시티아쿠마린 및 인단디온 항응고제는 미세한 혈관 (모세관)에 손상을 야기하고, 이들의 투과성을 증가시켜, 내부 출혈 확산을 초래한다 (출혈). 이러한 효과는 점차적이며; 이들은 수일의 기간 동안 발전하고, 어떤 통증적 지각, 예컨대, 통증 또는 격통을 수반하지 않는다. 중독의 최종 국면에서, 소진된 설치류는 저혈량 순환계 쇼크 또는 중증 빈혈로 쓰러져, 조용히 죽는다. 살서제 항응고제는 일반적으로 치사량을 축적하기 위하여 더 높은 농도 (통상 0.005 내지 0.1%), 수일간 연속적 섭취를 요구하고, 단일 섭취 후 활성이 부족하거나 불활성이고, 4-히드록시쿠마린 (디페나쿰, 브로디파쿰, 브로마디올론 및 플로코우마펜) 또는 4-히드록시-1-벤조티인-2-온 (4-히드록시-1-티아쿠마린, 종종 4-히드록시-1-티오쿠마린으로 부정확하게 지칭됨, 이유에 대하여는 헤테로환 화합물을 참조), 즉 디페티아론의 유도체인 제2 세대 약제 보다 덜 독성인, 제1 세대 약제 (4-히드록시쿠마린 형: 와파린, 쿠마테트라릴; 인단디온 형: 핀돈, 디파시논, 클로로파시논) 중 하나이다. 제2 세대 약제는 제1 세대 약제 보다 훨씬 더 독성이며, 이들은 일반적으로 더 낮은 농도로 미끼로 적용되며 (통상 대략 0.001 내지 0.005 %), 미끼의 단회 섭취 후 치명적이며, 또한 제1 세대 항응고제에 저항성이 된 설치류 종에 대하여 효과적이며; 따라서, 제2 세대 항응고제는 종종 "수퍼와파린"으로써 언급된다. 때때로, 항응고제 살서제는 항생제, 주로 일반적으로 설파퀴녹살린에 의해 강화된다. 이러한 연합 (예컨대, 와파린 0.05 % + 설파퀴녹살린 0.02 %, 또는 디페나쿰 0.005 % + 설파퀴녹살린 0.02 % 등)의 목표는 항생제/정균제가 비타민 K 의 공급을 대표하는 장/소화관 공생 마이크로플로라를 억제하는 것이다. 따라서, 공생 박테리아가 제거되거나, 이들의 대사가 손상되고, 이들에 의한 비타민 K 의 생산이 감소되며, 이러한 효과에 의하여 논리적으로 항응고제의 작용에 기여한다. 설파퀴녹살린 이외의 항생제, 예컨대, 코-트리목사졸, 테트라시클린, 네오마이신 또는 메트로니다졸이 사용될 수 있다. 살서제 미끼에 사용되는 추가의 상승작용은 항응고제와 비타민 D-활성을 갖는 화합물, 즉, 콜레칼시페롤 또는 에르고칼시페놀 (아래 참조)의 연합의 상승작용이다. 이용되는 전형적인 식은 예컨대 와파린 0.025 내지 0.05 % + 콜레칼시페놀 0.01 % 이다. 일부 국가에서는, 정해진 3-구성성분 살서제, 즉, 항응고제 + 항생제 + 비타민 D, 예컨대, 디페나코움 0.005 % + 설파퀴녹살린 0.02 % + 콜레칼시페롤 0.01 % 이 있다. 비록 0.0025 내지 0.005 % 의 미끼 농도의 일부 제2 세대 항응고제 (즉, 브로디파쿰 및 디페티아론)가, 저항성인 것으로 알려진 설치류 종이 존재하지 않고, 다른 유도체에 대하여 저항성인 설치류조차 이러한 가장 독성인 항응고제의 적용에 의하여 신뢰할 수 있도록 박멸될 정도로 독성이지만, 제2 세대 항응고제와 항생제 및/또는 비타민 D 의 연합은 가장 저항성인 설치류 종에 대하여조차 효과적인 것으로 고려된다.
비타민 K1 은 우연히 또는 고의로 (애완동물에 대한 독약 공격, 자살시도) 항응고제 독약에 노출된 애완동물 및/또는 인간을 위한 해독제로써 제안되고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추가로, 일부 이러한 독약은 간 기능을 억제함으로써 작용하여, 중독의 진행단계에서 여러 혈액-응고 인자 뿐 아니라 순환 혈액의 총 부피를 부족하게 하기 때문에, 혈액 수혈 (임의로 존재하는 혈액 인자와 함께) 은 부주의하게 이들을 섭취한 사람의 생명을 구할 수 있으며, 이는 일부 더 오래된 독약에 대한 장점이 된다.
○ 금속 인화물이 설치류를 죽이는 수단으로써 이용되며, 단회-투여 속효성 살서제 (사망이 통상 단일 미끼 섭취 후 1 내지 3일 내 발생함)로 고려된다. 음식 및 인화물 (통상 아연 인화물)로 이루어진 미끼는 설치류가 먹을 수 있는 위치에 놓여진다. 설치류의 소화계 내 산은 포스포리드와 반응하여 독성인 포스핀 가스를 생성한다. 이러한 유해 야생동물 제어 방법은 설치류가 일부 항응고제에 저항성인 경우, 특히 집쥐 및 들쥐의 제어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아연 인화물 미끼는 또한 대부분의 제2 세대 항응고제 보다 저렴하고, 따라서 때때로 설치류에 의한 넓은 감염시, 이들의 집단은 적용된 많은 양의 아연 인화물 미끼에 의해 초기에 감소되며, 초기 속효성 중독에 살아남은 집단의 나머지는 이어서 항응고제 미끼의 연장된 섭취에 의해 박멸된다. 역으로, 항응고제 미끼 중독에 살아남은 개별적 설치류 (나머지 집단)은 1 또는 2 주 동안 비독성 미끼로 이들을 미리 미끼를 놓고 (이는 미끼 기피성을 극복하고, 랫트 박멸시 특정 지역에 특정 음식을 공급하여 설치류가 섭식에 익숙해지기 위하여 중요하다.), 이어서 예비-미끼를 위하여 사용된 것과 같은 동일한 종류의 중독된 미끼를 모든 미끼의 소비가 중단될 때까지 (통상 2 내지 4 일내) 적용함으로써 박멸될 수 있다. 이러한 살서류를 다른 모드의 작용으로 대체하는 방법은 미끼의 허용성/기호성이 유효하다면 (즉, 설치류가 그것을 쉽게 먹는다면) 그 지역 내 설치류 집단의 실질적, 또는 거의 100 % 박멸을 제공한다.
○ 인화물은 랫트가 통상 감염된 건물 대신 공개된 지역에서 죽는 것을 초래하는 다소 속효성 랫트 독약이다. 일반적인 예는 알루미늄 인화물 (오직 훈증약), 칼슘 인화물 (오직 훈증약), 마그네슘 인화물 (오직 훈증약) 및 아연 인화물 (미끼 내)이다. 아연 인화물은 일반적으로 약 0.75 내지 2 % 의 양으로 설치류 미끼에 추가된다. 미끼는 가수분해에 의해 방출되는 포스핀에 대하여 강력한 자극성 마늘-유사 향 특성을 가진다. 상기 향은 설치류를 유혹하나 (또는 적어도 쫓지는 아니함), 다른 포유동물에 대하여 반발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조류 (현저히는 야생 칠면조)는 상기 냄새에 민감하지 않으며, 미끼를 먹고 부수 피해를 입는다.
○ 고칼슘혈증. 칼시페롤 (비타민 D), 콜레칼시페롤 (비타민 D3) 및 에르고칼시페롤 (비타민 D2) 가 살서제로써 사용되며, 이는 이들이 포유동물에 이로운 것과 동일한 이유로 설치류에 독성이다; 이들은 체내에 칼슘 및 인산염 항상성에 영향을 준다. 비타민 D 는 미세한 양으로 필수적이며 (매일 체중 킬로그램 당 몇 IU, 이는 단지 밀리그램의 양임), 대부분의 지용성 비타민과 마찬가지로 이들은 더 큰 용량에서 독성이며, 이들은 간단히 비타민 중독이라 일컬어지는 소위 과비타민중독증을 초래한다. 중독이 충분히 중증이라면 (즉, 독소의 용량이 충분히 높은 경우) 궁극적으로 사망을 초래한다. 상기 살서제 미끼를 소비한 설치류에서, 이는 칼슘 수준의 상승에 의하여, 주로 음식으로부터 칼슘 흡수를 증가시킴으로써 고칼슘혈증을 초래하고, 골-기질-고정 칼슘을 이온화 형태로 이동시켜 (주로, 부분적으로 혈장 단백질에 결합된, 모노히드로겐카르보네이트 칼슘 양이온, [CaHCO3]+), 혈장에 용해된 채 순환하고, 치사량의 섭취 후 유리 칼슘 수준은 충분히 상승하여 혈관, 신장, 위벽 및 폐가 광물화/석회화되어 (조직 내 칼시피케이트, 칼슘염/복합체의 결정을 형성함, 따라서 조직을 손상함) 추가의 심장 문제 (심근은 심근수축성 및 심방과 심실 사이의 자극 전파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유리 칼슘 수준의 변화에 민감함) 및 출혈 (모세관 손상에 기인) 및 가능하게는 신부전을 초래한다. 단회-투여 또는 누적적 (사용되는 농도에 따름; 보통 0.075 % 의 미끼 농도가 미끼 대부분의 단일 섭취 후 대부분의 설치류에 치명적임), 아만성 (통상 미끼의 섭취 후 수일 내지 1주일 내 사망 발생)인 것으로 고려된다. 적용된 농도는 단독 사용시 0.075 % 콜레칼시페롤 및 0.1 % 에르고칼시페롤이다. 항응고제 독소와 상승적이라는 것이 칼시페롤 독성학의 중요한 특징이다. 이는 동일한 미끼 내 항응고제와 칼시페롤의 혼합물이 미끼 내 항응고제 및 칼시페롤의 독성의 합 보다 더욱 독성이며 따라서 거대한 고칼슘혈증 효과가 미끼 내 실질적으로 더 적은 칼시페롤 함량 혹은 그 반대의 경우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효과적인 농도의 칼시페롤이 효과적인 농도의 대부분의 항응고제 보다 더 비싸기 때문에 이러한 상승작용은 칼시페롤이 적은 미끼에서 주로 사용된다. 살서제 미끼에 칼시페롤의 역사적 최초의 적용은 실제로 1970년대 초반의 와파린 0.025 % + 에르고칼시페롤 0.1 % 를 포함하는, 소렉스 제품 Sorexa® D (오늘날의 Sorexa® D와 상이한 공식을 가짐) 이었다. 오늘날, Sorexa® CD 는 0.0025 % 디페나쿰 + 0.075 % 콜레칼시페롤 조합물을 포함한다. 칼시페롤 0.075 내지 0.1 % (예를 들면, 0.075 % 콜레칼시페롤을 포함하는 Quintox®) 단독 또는 칼시페롤 0.01 내지 0.075 % 와 항응고제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수많은 다른 브랜드 제품들이 시장에 나와 있다.
살비제 , 살패제 살선충제 . 살비제는 진드기를 죽이는 농약이다. 항생제 살비제, 카르바메이트 살비제, 포름아미딘 살비제, 진드기 성장 조절제, 유기염소, 페르메트린 및 오르가노포스페이트 살비제 모두가 본 카테고리에 속한다. 살패제는 연체동물, 예컨대 나방, 민달팽이 및 달팽이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농약이다. 이들 성분들은 메트알데히드, 메티오카르브 및 알루미늄 설페이트를 포함한다. 살선충제는 기생 선충 (벌레 문)을 죽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화학 농약이다. 살선충제는 님나무의 깻묵으로부터 얻어지며; 이는 오일 추출 후 님 종자의 잔류물이다. 님나무는 전세계에 다양한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나, 고대 이래로 인도에서 최초로 경작되었다.
항미생물제
하기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농약 조성물에 적절한 항미생물제가 주어진다. 주로 사용되는 살균 소독약은 하기를 적용하는 것들이다:
○ 활성 염소 (즉, 차아염소산염, 클로라민, 디클로로이소시아누레이트 및 트리클로로이소시아누레이트, 습식 염소, 이산화염소 등),
○ 활성 산소 (과산화물, 예컨대, 과산화아세트산, 과황산칼륨, 붕산나트륨, 과탄산나트륨 및 우레아 페히드레이트),
○ 요오드 (아이오드포비돈 (포비돈-이오딘, 베타딘), 루골(Lugol) 용액, 요오드 팅크, 요오드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 농축 알코올 (주로, 에탄올, 1-프로판올, 또한 n-프로판올 및 2-프로판올으로 불림, 이소프로판올 및 이들의 혼합물이라 불림; 추가로, 2-페녹시에탄올 및 1- 및 2-페녹시프로판올이 사용된다),
○ 페놀성 물질 (예컨대 페놀 (또한 "석탄산"이라 불림), 크레솔 (액체 칼륨 비누와 조합하여 "리졸(Lysole)"이라 불림), 할로겐화 (염화, 브롬화) 페놀, 예컨대, 헥사클로로펜,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페놀, 트리브로모페놀, 펜타클로로페놀, 디브로몰 및 이들의 염),
○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예컨대, 일부 4차 암모늄 양이온 (예컨대,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세틸 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또는 클로라이드, 디데실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벤즈에토늄 클로라이드) 및 기타, 비-4차 화합물, 예컨대, 클로르헥시딘, 글루코프로타민, 옥테니딘 디히드로클로라이드 등),
○ 강력한 산화제, 예컨대 오존 및 과망간산염 용액;
○ 중금속 및 이들의 염, 예컨대, 콜로이드 실버, 질산은, 염화수은, 페닐머큐리 염, 황산구리, 구리 옥사이드-클로라이드 등. 중금속 및 이들의 염은 가장 독성이며, 환경적으로 위험한 항균제이며, 따라서 이들의 사용은 강력하게 억제되거나 금지되어 있으며; 추가로, 또한
○ 적절히 농축된 강산 (인산, 질산, 황산, 아미도황산, 톨루엔술폰산) 및
○ 알칼리 (나트륨, 칼륨, 칼슘 히드록시드) pH 1 미만 또는 13 초과 사이이며, 특히 상승된 온도 (60 ℃ 초과) 미만이 박테리아를 죽인다.
소독제 (즉, 인간 또는 동물 신체, 피부, 점막, 상처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살균제)로써, 상기 언급된 소독약의 일부가 적절한 조건 (주로, 농도, pH, 온도 및 사람/동물에 대한 독성) 하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들 중에 하기 것들이 중요하다:
○ 일부 적절히 희석된 염소 제제 (예컨대, pH 7 내지 8 로 pH-조정된, 다캥(Daquin) 용액, 0.5 % 나트륨 또는 칼륨 하이포클로라이트 용액, 또는 나트륨 벤젠설포클로라미드 (클로라민 B) 0.5 내지 1 % 용액), 일부
○ 요오드 제제, 예컨대 다양한 갈레닉 (연고, 용액, 상처 고약) 내 아이오도포비돈, 과거에 또한 루골 용액,
○ 과산화물, 예컨대 우레아 퍼히드레이트 용액 및 pH-완충 0.1 내지 0.25 % 과산화아세트산 용액,
○ 피부 소독을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소독용 첨가제 존재 또는 부재의 알코올,
○ 약한 유기산, 예컨대, 소르브산, 벤조산, 락트산 및 살리실산
○ 일부 페놀성 화합물, 예컨대, 헥사클로로펜, 트리클로산 및 디브로몰, 및
○ 양이온-활성 화합물, 예컨대, 0.05 내지 0.5 % 벤즈알코늄, 0.5 내지 4 % 클로르헥시딘, 0.1 내지 2 % 옥테니딘 용액.
항균 항생제는 박테리아를 죽인다; 정균 항생제는 단지 이들의 성장 또는 번식을 늦춘다. 페니실린은 세팔로스포린과 같은 항균제이다. 아미노글리코시드 항생제는 (세포벽 전구체를 파괴하여 융해를 야기함에 의한) 살균 방식, 또는 (30s 리보솜 서브유닛에 연결하여 번역 정확도를 감소시켜 부정확한 단백질 합성을 야기함에 의한) 정균 방식 모두로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항균 항생제는 플루오로퀴놀론, 니트로푸란, 반코마이신, 모노박탐, 코-트리목사졸 및 메트로니다졸을 포함한다.
아족시스트로빈과 같은 침투성 또는 부분 침투성 모드를 갖는 것들이 바람직한 활성물이다.
보조 혼합물의 바람직한 사용
본 발명의 추가의 구현예는 농약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 유화제,
- 보조제,
- 용매 또는 가용화제, 또는
- 탱크-혼합 첨가제로써
구성성분 (a), (b) 및 (c)를 함유하는 보조 조성물의 구체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조 조성물은 약 5 내지 약 50 % w/w (농축물) 또는 약 0.1 내지 약 1 (희석된 제형)의 양으로 최종 생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및 2. 비교 실시예 C1 C2
본 발명에 따른 보조 혼합물의 효율은 아시아 콩 녹병 (Asian Soybean Rust)의 조절을 통해 설명된다. 필드 실험은 브라질에서 수행되었다. 시장에서 얻은 2개의 표준 살생물제 조성물을 대두 작물에 적용하였다: "오페라(Opera)" (BASF)는 5 % w/w 에폭시코나졸 및 13.3 % w/w 피라클로스트로빈을 포함하며, 전자는 예방용, 치료용 항균제이고, 후자는 보호용, 치료용 및 라미나통과 살진균제이다. "폴리커(Folicur)" (Bayer CropScience)는 보호용, 치료용 및 박멸 성질을 갖는 살진균제인, 테부코나졸을 포함한다. 상기 2개의 조성물들을 충분한 추천되는 비율 및 50% 수준으로 적용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두 경우에 약 (A) 75 % w/w 대두유 + 10 EO, 10 % w/w 옥틸 글루코시드 및 15 % w/w 톨유 지방산 및 (B) 60 % 소르비탄-모노/디라우레이트 + 25 EO, 25 % w/w 데실 글루코시드 및 15 % w/w 톨유 지방산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혼합물을 모두 150 ml/ha 의 농도로 첨가하는 식물체의 유사한 처리와 비교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아시아 콩 녹병에 의해 영향을 입은 대두 작물 생산량- 대조군(=100) 대비
실시예
오페라 폴리커
대조군
100 100
충분히 추천되는 비율로 사용된 살균제
C1 첨가제 부재 142 130
1a 첨가제 A 추가 158 140
1b 첨가제 B 추가 155 142
충분히 추천되는 비율의 50% 의 살균제
C2 첨가제 부재 130 152
2a 첨가제 A 추가 138 158
2b 첨가제 B 추가 135 156
상기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에 의해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보조 제제의 첨가는 살진균제의 효율을 현저히 증가시켰다.
실시예 3, 비교 실시예 C3
돌피 및 강아지풀에 니코설푸론의 섭취에 대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성능을 산업 표준물, 더욱 특히는 작물 오일 농축물 (COC) 과 비교하기 위하여 별도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액센트 WDG 75 로써 니코설푸론을 0.031 % w/w (46.7 g 활성 성분/150 l/ha)로 사용하였다. 방사선-표지된 니코설푸론 (50 mCi/mmol)을 사용 0.5 시간 전에 새로 제조된 처리 용액에 첨가하였다. 14C 니코설푸론은 질량으로 7% 포함하였다. 니코설푸론 단독을 포함한, 즉 보조제가 없는 분무 용액을 50 % 아세톤 내에 제형화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내었다.
니코설푸론 처리
실시예 보조제 추가 보조제 비율 (% v/v)
대조군 보조제 없음 0
3a 첨가제 A 추가 0.25
3b 첨가제 B 추가 0.24
C3 작물 오일 농축물* 1.0
* 작물 오일 농축물 (COC)은 83 % 오일 및 17 % 유화제를 함유한다.
실시예 4 내지 6
5개의 복제물을 사용하여, 돌피 및 강아지풀의 종자를 병 안에 5 mm 깊이로 심고, 70 % 상대습도로 4 주까지 유지시키고, 약 500 μ몰/m2 광 세기에 14 시간 동안 매일 노출시켰다. 흡수 연구를 위한 사용시 식물체는 3 내지 5 개 잎 단계이었으며, 수확시까지의 시간 동안 충분히 수분 공급하였다. 광주기 개시 약 6 시간 후 방울들을 적용하였다. 처리 24 시간 후 잎을 시료 채취하여, 처리된 잎 표면을 물/아세톤으로 세척하여 흡수되지 않은 니코설푸론을 회수하였다. 액체 섬광계수기를 이용하였다. 엽면 흡수는 상기 처리된 잎의 세척으로부터 회수되지 않은 방사능으로 정의되며, 적용된 용량의 백분률으로써 계산되었다. 통계적인 목적으로, 분산 및 최소 유의차(LSD) 분석을 수행하여 처리물과 비교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처리 24 시간 후 니코설푸란의 흡수
실시예 돌피 강아지풀
4 81.5 c 77.0 b
5 97.9 a 96.0 a
6 95.7 b 94.6 a
공통적 포스트스크립트를 공유하는 종들 내 평균은 유의적으로 상이하지 않았다 (P = 0.05)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처리 24 시간 후 2개의 풀 종들 내 니코설푸론의 흡수는 둘 중 하나의 보조제에 의해 증가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제는 훨씬 더 낮은 용량으로 COC 보다 돌피 내 제초제의 현저히 더 큰 흡수를 제공하였다. 강아지풀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제에 의한 흡수는 COC 보다 수치상 더 컸으나, 통계적 관점으로 95 % 신뢰 수준에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Claims (15)

  1. 하기를 함유하는 농약 보조 조성물:
    (a) 알콕시화 폴리올 에스테르,
    (b) 임의의 알콕시화 알킬(케닐) 올리고글리코시드, 및
    (c) 지방산 또는 그의 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화 폴리올 에스테르 (구성성분 a)는 글리세롤, 트리메틸올 프로판 또는 펜타에리트롤로부터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 및/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화 폴리올 에스테르 (구성성분 a)는 알콕시화 모노-, 디- 또는 트리글리세리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화 폴리올 에스테르 (구성성분 a)는 일반식 (I)을 따르는 알콕시화 트리글리세리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Figure pct00002

    식 중, R1, R2 및 R3 는 서로 독립적으로 5 내지 21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 및/또는 히드록시알킬 잔기를 나타내고; n, m 및 p 는 그 합 (m+n+p)가 0 이 아닌 조건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1 내지 50 의 정수를 나타내며, AO 는 에틸렌 글리콜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단위를 나타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화 글리세롤 에스테르 (구성성분 a) 는 대두유, 채종유, 해바라기유 또는 아마씨유로부터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화 폴리올 에스테르 (구성성분 a) 는 2 내지 15 의 범위 내의 HLB 값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케닐) 올리고글리코시드 (구성성분 b1)는 일반식 (II)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R4O-[G]p (II)
    식 중, R4 는 4 내지 2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및/또는 알케닐 잔기이며, G 는 5 또는 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당 잔기를 나타내며, p 는 1 내지 10 의 값을 나타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화 알킬(케닐) 올리고글리코시드 (구성성분 b2)는 평균 1 내지 20 몰 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글리코시드 몸체의 자유 히드록시기에 부가물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구성성분 c)는 일반식 (III) 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R5CO-OX (III)
    식 중, R5CO 는 6 내지 2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아실 라디칼을 나타내며, X 는 수소 또는 알칼리성 금속을 나타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a) 60 내지 90 % w/w 의 알콕시화 폴리올 에스테르
    (b) 5 내지 15 % w/w 의 임의의 알콕시화 알킬(케닐) 올리고글리코시드, 및
    (c) 5 내지 15 % w/w 의 지방산 또는 이들의 염,
    상기 값들은 임의로 물과 함께 100% w/w 까지 첨가되는 조건임.
  11. 하기를 포함하는 농약 조성물:
    (a) 알콕시화 폴리올 에스테르,
    (b) 임의의 알콕시화 알킬(케닐) 올리고글리코시드,
    (c) 지방산 또는 이들의 염, 및
    (d) 살생물제.
  12. 농약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유화제로써의 제1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13. 농약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보조제로써의 제1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14. 농약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용매 또는 가용화제로써의 제1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15. 농약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탱크-혼합 첨가제로써의 제1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KR1020117013685A 2008-12-23 2009-12-12 농약 보조 조성물 KR201101023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42908P 2008-12-23 2008-12-23
US61/140,429 2008-1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332A true KR20110102332A (ko) 2011-09-16

Family

ID=42288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3685A KR20110102332A (ko) 2008-12-23 2009-12-12 농약 보조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107403B2 (ko)
EP (1) EP2387318B1 (ko)
JP (1) JP2012513421A (ko)
KR (1) KR20110102332A (ko)
CN (1) CN102271520B (ko)
AU (1) AU2009331948B9 (ko)
BR (1) BRPI0923591B1 (ko)
CA (1) CA2745232C (ko)
ES (1) ES2536648T3 (ko)
WO (1) WO201007234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5047A2 (en) * 2009-03-11 2010-09-16 Monsanto Technology Llc Herbicidal formulations comprising glyphosate and alkoxylated glycerides
US9173398B2 (en) * 2011-07-05 2015-11-03 Cognis Ip Management Gmbh Biocide compositions
EP2861065B1 (en) 2012-06-18 2017-03-15 Basf Se Agroformulations containing a lactone based alkoxylate
GB201220886D0 (en) * 2012-11-20 2013-01-02 Croda Int Plc Penetrants for agrochemical formulations
CN105394031A (zh) * 2015-10-30 2016-03-16 明光市良宇家俬有限公司 一种沙发皮革长效消毒剂
CN111134127A (zh) * 2019-12-26 2020-05-12 武汉回盛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禽舍用恩康唑喷雾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9510A (ja) * 1984-01-13 1985-08-07 Kao Corp 農薬組成物
DD268147A1 (de) 1988-01-13 1989-05-24 Akad Wissenschaften Ddr Herbizides mittel
FR2729307B1 (fr) 1995-01-18 1997-04-18 Seppic Sa Utilisation d'esters d'acides gras ethoxyles comme composants auto-emulsionnables notamment utiles pour la preparation de produits de traitement phytosanitaires ou de medicaments a usage veterinaire ou humain
US5770543A (en) 1996-09-06 1998-06-23 Henkel Corporation Agricultural compositions comprising alkyl polyglycosides and fatty acids
DE69913934T2 (de) 1999-04-13 2004-11-04 Kao Corp., S.A. Zusammensetzung enthaltend eine Mischung von Glycerin und alkoxylierten Mono-, Di- und Triglyceride
DE10000320A1 (de) 2000-01-07 2001-07-12 Cognis Deutschland Gmbh Wäßriges herbizides Mittel
DE10018159A1 (de) 2000-04-12 2001-10-18 Cognis Deutschland Gmbh Wäßriges herbizides Mittel II
DE10107714A1 (de) 2001-02-19 2002-08-22 Cognis Deutschland Gmbh Adjuvantien für biologische Pflanzenschutzmittel
CN100455193C (zh) * 2003-03-11 2009-01-28 科宁公司 用作农用化学品佐剂的微乳液
DE102004008302A1 (de) 2004-02-20 2005-09-01 Cognis Deutschland Gmbh & Co. Kg Verfahren zur Alkoxylierung von Alkyl- und/oder Alkenylpolyglykosiden
US20070032382A1 (en) * 2005-08-04 2007-02-08 Helena Holding Company Method for enhancing the crop safety and efficacy of an agricultural chemical onto an agricultural substrate
CN100577012C (zh) * 2005-11-07 2010-01-06 浙江新农化工有限公司 三唑磷水乳剂及其制备方法
CN101374412B (zh) * 2006-03-13 2012-08-22 赢创戈尔德施米特有限公司 包含亚烷基二醇修饰的聚硅氧烷的农用化学组合物
GB0610001D0 (en) * 2006-05-19 2006-06-28 Ici Plc Structured Agrochemical Oil Based Systems
RU2010153697A (ru) * 2008-06-09 2012-07-20 Флоукем, Лтд. (Us) Композиции, уменьшающие гидродинимическое сопротивление, и способы их производства и применени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513421A (ja) 2012-06-14
CA2745232A1 (en) 2010-07-01
BRPI0923591B1 (pt) 2018-07-24
ES2536648T3 (es) 2015-05-27
BRPI0923591A2 (pt) 2017-11-21
CN102271520A (zh) 2011-12-07
AU2009331948B9 (en) 2015-04-02
AU2009331948A1 (en) 2011-06-30
AU2009331948B2 (en) 2014-11-13
EP2387318B1 (en) 2015-02-25
US20110257234A1 (en) 2011-10-20
WO2010072341A2 (en) 2010-07-01
WO2010072341A3 (en) 2011-09-29
CN102271520B (zh) 2014-08-27
EP2387318A2 (en) 2011-11-23
US9107403B2 (en) 2015-08-18
CA2745232C (en) 201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5118B2 (ja) バイオサイド組成物(i)
AU2009310099C1 (en) Agricultural compositions
JP2010519264A (ja) バイオサイド組成物(ii)
JP5646512B2 (ja) 粘度が増加した油性の農薬組成物
JP5881724B2 (ja) イソアミルアルコール誘導体のアルコキシ化生成物を含むバイオサイド組成物
KR20110102332A (ko) 농약 보조 조성물
JP2013526492A (ja) アルコキシ化オリゴグリセロールエステルを含むバイオサイド組成物
KR20130028715A (ko) 발레로락톤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살생물제 조성물
JP5671482B2 (ja) 農業用組成物
JP2012530736A (ja) 殺生物組成物(iii)
JP2013510892A (ja) カーバメートを含んで成る殺生物剤
US20100317522A1 (en) Adjuvants for Agrochemical Applications
JP2012530087A (ja) 非水性農業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