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1983A - 바이폴라 메모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소자 - Google Patents

바이폴라 메모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1983A
KR20110101983A KR1020100021391A KR20100021391A KR20110101983A KR 20110101983 A KR20110101983 A KR 20110101983A KR 1020100021391 A KR1020100021391 A KR 1020100021391A KR 20100021391 A KR20100021391 A KR 20100021391A KR 20110101983 A KR20110101983 A KR 20110101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polar memory
oxide
layer
bipolar
lay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정
김영배
허지현
이동수
장만
이창범
이승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1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1983A/ko
Priority to US12/929,780 priority patent/US9105837B2/en
Priority to CN2011100591366A priority patent/CN102194994A/zh
Priority to EP11157516A priority patent/EP2365554A3/en
Publication of KR20110101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9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07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comprising metal oxide memory material, e.g. perovski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20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 H10N70/24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based on migration or redistribution of ionic species, e.g. anions, vacancies
    • H10N70/245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based on migration or redistribution of ionic species, e.g. anions, vacancies the species being metal cations, e.g. programmable metallization ce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69Writing or programming circuits or metho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80Arrangements comprising multiple bistable or multi-stable switching components of the same type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e.g. cross-point arrays
    • H10B63/84Arrangements comprising multiple bistable or multi-stable switching components of the same type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e.g. cross-point arrays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e.g. 3D cell arr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021Formation of switching materials, e.g. deposition of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061Shaping switching materials
    • H10N70/063Shaping switching materials by etching of pre-deposited switching material layers, e.g. lithograph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20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 H10N70/24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based on migration or redistribution of ionic species, e.g. anions, vacanci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21Device geometry
    • H10N70/826Device geometry adapted for essentially vertical current flow, e.g. sandwich or pillar typ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41Electrodes
    • H10N70/8416Electrodes adapted for supplying ionic speci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3Oxides or nitrides
    • H10N70/8833Binary metal oxides, e.g. TaOx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3Oxides or nitrides
    • H10N70/8836Complex metal oxides, e.g. perovskites, spin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69Writing or programming circuits or methods
    • G11C2013/0073Write using bi-directional cell bias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3/00 for features not covered by this group
    • G11C2213/50Resistive cell structure aspects
    • G11C2213/56Structure including two electrodes, a memory active layer and a so called passive or source or reservoir layer which is NOT an electrode, wherein the passive or source or reservoir layer is a source of ions which migrate afterwards in the memory active layer to be only trapped there, to form conductive filaments there or to react with the material of the memory active layer in redox wa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3/00 for features not covered by this group
    • G11C2213/70Resistive array aspects
    • G11C2213/71Three dimensional arra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3/00 for features not covered by this group
    • G11C2213/70Resistive array aspects
    • G11C2213/77Array wherein the memory element being directly connected to the bit lines and word lines without any access device being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바이폴라 메모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소자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바이폴라 메모리셀은 프로그래밍 방향이 서로 반대인 두 개의 바이폴라 메모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바이폴라 메모리층은 중간전극을 사이에 두고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바이폴라 메모리층은 동일 구조 또는 반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바이폴라 메모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소자{Bipolar memory cell and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바이폴라 메모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소자에 관한 것이다.
저항성 메모리소자는 저항이 특정 전압에서 크게 달라지는 물질, 예컨대, 전이금속 산화물의 저항변화 특성을 이용한 메모리소자이다. 즉, 저항변화 물질에 세트 전압(set voltage)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저항변화 물질의 저항이 낮아진다. 이때를 온(ON) 상태라 한다. 그리고 저항변화 물질에 리세트 전압(reset voltage)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저항변화 물질의 저항이 높아진다. 이때를 오프(OFF) 상태라 한다.
일반적으로, 저항성 메모리소자는 저항변화층을 포함하는 스토리지노드(storage node)와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칭소자를 포함한다. 스위칭소자는 그에 연결된 스토리지노드로의 신호 접근(access)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저항성 메모리소자를 비롯한 다양한 비휘발성 메모리소자의 고집적화 및 고성능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고집적화에 유리하고 우수한 성능을 갖는 메모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소자의 제조 및 동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aspect)에 따르면,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 및 상기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에 연결된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은 프로그래밍 방향이 서로 반대인 바이폴라 메모리셀이 제공된다.
상기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세트 전압 및 리세트 전압은 각각 양(+)의 전압 및 음(-)의 전압일 수 있고, 상기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세트 전압 및 리세트 전압은 각각 음(-)의 전압 및 양(+)의 전압일 수 있다.
상기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리세트 전압은 상기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세트 전압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고, 상기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세트 전압은 상기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리세트 전압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리세트 전압의 절대값은 세트 전압의 절대값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고, 상기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리세트 전압의 절대값은 세트 전압의 절대값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은 상기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과 동일한 구조를 갖거나 그의 역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은 제1 전극과 중간전극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은 상기 중간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은 제1 베이스층과 제1 액티브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은 제2 베이스층과 제2 액티브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층이 상기 제1 및 제2 액티브층보다 상기 중간전극에 가까이 배치되거나, 상기 제1 및 제2 액티브층이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층보다 상기 중간전극에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전극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이 이온소스층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 중 적어도 하나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산화물은 Ti 산화물, Ni 산화물, Cu 산화물, Co 산화물, Hf 산화물, Zr 산화물, Zn 산화물, W 산화물, Nb 산화물, TiNi 산화물, LiNi 산화물, Al 산화물, InZn 산화물, V 산화물, SrZr 산화물, SrTi 산화물, Cr 산화물, Fe 산화물, Ta 산화물, PCMO(PrCaMnO)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배선 형태를 갖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제1 전극; 상기 복수의 제1 전극과 교차하는 것으로, 배선 형태를 갖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의 교차점에 구비된 제1 메모리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메모리셀은 순차로 적층된 제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은 프로그래밍 방향이 서로 반대인 교차점 메모리소자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세트 전압 및 리세트 전압은 각각 상기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세트 전압 및 리세트 전압과 반대의 부호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리세트 전압의 절대값은 상기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세트 전압의 절대값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고, 상기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리세트 전압의 절대값은 상기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세트 전압의 절대값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은 단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은 다층 구조를 갖는 경우, 상기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은 상기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역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 사이에 중간전극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간전극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이 이온소스층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 중 적어도 하나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산화물은 Ti 산화물, Ni 산화물, Cu 산화물, Co 산화물, Hf 산화물, Zr 산화물, Zn 산화물, W 산화물, Nb 산화물, TiNi 산화물, LiNi 산화물, Al 산화물, InZn 산화물, V 산화물, SrZr 산화물, SrTi 산화물, Cr 산화물, Fe 산화물, Ta 산화물, PCMO(PrCaMnO)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전극과 교차하는 것으로, 배선 형태를 갖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제3 전극; 및 상기 제2 및 제3 전극의 교차점에 구비된 제2 메모리셀;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메모리셀은 순차로 적층된 제3 및 제4 바이폴라 메모리층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3 및 제4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프로그래밍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상기 제3 및 제4 바이폴라 메모리층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과 동일한 프로그래밍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및 제4 바이폴라 메모리층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과 반대의 프로그래밍 방향을 가질 수 있다.
고집적화에 유리하고 우수한 성능을 갖는 메모리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폴라 메모리셀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Pt/TaOX/Ta2O5/Pt 구조의 메모리요소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 구조의 전압-전류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a는 Pt/Ta2O5/TaOX/Pt 구조의 메모리요소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 구조의 전압-전류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t/Ta2O5/TaOX/Pt/TaOX/Ta2O5/Pt 구조의 바이폴라 메모리셀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 구조의 전압-전류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소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10, C100 : 제1 메모리셀 C20 : 제2 메모리셀
E1, E10, E100 : 제1 전극 E2, E20, E200 : 제2 전극
E30 : 제3 전극 M1∼M1", M10, M100 : 제1 메모리층
M2∼M2", M20, M200 : 제2 메모리층 M30 : 제3 메모리층
M40 : 제4 메모리층 N1, N10, N100 : 제1 중간전극
N20 : 제2 중간전극 SUB1, SUB2 : 기판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폴라 메모리셀,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소자 및 이들의 제조 및 동작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층이나 영역들의 폭 및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폴라 메모리셀(bipolar memory cell)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폴라 메모리셀은 서로 연결된 제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1, M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은 제1 전극(E1)과 중간전극(N1)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은 중간전극(N1)과 제2 전극(E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전극(E1)과 제2 전극(E2) 사이에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 중간전극(N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이 순차로 적층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1, M2)은 서로 반대의 프로그래밍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의 세트 전압 및 리세트 전압이 각각 양(+)의 전압 및 음(-)의 전압인 경우,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의 세트 전압 및 리세트 전압은 각각 음(-)의 전압 및 양(+)의 전압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의 리세트 전압은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의 세트 전압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고,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의 세트 전압은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의 리세트 전압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또한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의 리세트 전압의 절대값은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의 세트 전압의 절대값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고,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의 리세트 전압의 절대값은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의 세트 전압의 절대값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반대의 프로그래밍 방향을 갖는 두 개의 바이폴라 메모리층(M1, M2)을 연결하여 하나의 바이폴라 메모리셀을 구성할 때, 상기 바이폴라 메모리셀은 바이폴라 메모리 특성 및 양방향 스위칭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바이폴라 메모리층(M1, M2)은 저항성(resistive) 메모리요소일 수 있다. 이 경우, 바이폴라 메모리층(M1, M2)은 산화물 저항체(oxide res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물 저항체는 금속 산화물 저항체일 수 있고, 인가 전압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가변 저항체(variable resistor)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이폴라 메모리층(M1, M2) 중 적어도 하나는 Ti 산화물, Ni 산화물, Cu 산화물, Co 산화물, Hf 산화물, Zr 산화물, Zn 산화물, W 산화물, Nb 산화물, TiNi 산화물, LiNi 산화물, Al 산화물, InZn 산화물, V 산화물, SrZr 산화물, SrTi 산화물, Cr 산화물, Fe 산화물, Ta 산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물질들은 형성 조건에 따라 유니폴라(unipolar) 또는 바이폴라(bipolar)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 물질들의 바이폴라(bipolar) 특징을 이용한다. 바이폴라 메모리층(M1, M2)의 물질은 상기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바이폴라 메모리층(M1, M2)은 PCMO(PrCaMnO) 및 그 밖에 바이폴라 특징을 갖는 다른 물질로 형성되거나,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E1, E2)은 반도체소자 분야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전극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전극(E1, E2)은 Pt, Au, Pd, Ir, Ag, Ni, Al, Mo, Cu 및 이들의 혼합물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E1, E2)의 물질과 구조는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중간전극(N1)도 제1 및 제2 전극(E1, E2)과 유사하게 반도체소자 분야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전극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중간전극(N1)은 Pt, Au, Pd, Ir, Ag, Ni, Al, Mo, Cu 및 이들의 혼합물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전극(N1)은 제1 및 제2 전극(E1, E2)과 같거나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로그래밍 전압은 제1 및 제2 전극(E1, E2) 사이에 인가될 수 있고, 중간전극(N1)은 플로팅(floating) 전극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1, M2)이 서로 반대의 프로그래밍 방향을 갖도록 만드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중간전극(N1)과 제1 및 제2 전극(E1, E2)을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중간전극(N1)은 이온소스 물질을 포함하는 이온소스층(ion source layer)일 수 있다. 이때, 중간전극(N1)은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에 대해서는 상부전극이고,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에 대해서는 하부전극이다. 따라서, 제1 및 제2 전극(E1, E2)에 각각 음(-)의 전압 및 양(+)의 전압이 인가된 경우,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에 대해서는 중간전극(N1)에 양(+)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에 대해서는 중간전극(N1)에 음(-)의 전압이 인가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에 대하여 이온소스층인 중간전극(N1)에 인가되는 전압과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에 대하여 이온소스층인 중간전극(N1)에 인가되는 전압의 부호가 반대이다. 프로그래밍 방향은 상기 이온소스층(중간전극(N1))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1, M2)은 서로 반대의 프로그래밍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과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은 단층 구조를 갖는 동일할 층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바이폴라 메모리셀은 Pt/PCMO/Cu/PCMO/Pt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Pt층이 제1 및 제2 전극(E1, E2)이고, Cu층(이온소스층)이 중간전극(N1)이다. PCMO층이 제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1, M2)이다.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과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이 다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는데, 이때, 두 메모리층(M1, M2)의 적층 구조는 동일할 수 있다. 다른 경우, 중간전극(N1) 대신에 제1 및 제2 전극(E1, E2)을 이온소스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에도,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에 대하여 이온소스층인 제1 전극(E1)에 인가되는 전압과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에 대하여 이온소스층인 제 전극(E2)에 인가되는 전압의 부호가 반대이다. 따라서 제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1, M2)은 서로 반대의 프로그래밍 방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바이폴라 메모리셀은 Cu/PCMO/Pt/PCMO/Cu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Cu층(이온소스층)이 제1 및 제2 전극(E1, E2)이고, Pt층이 중간전극(N1)이다. 상기한 방법 이외에 다른 방법으로 제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1, M2)이 서로 반대의 프로그래밍 방향을 갖도록 만들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1, M2)을 다층 구조로 형성하되,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이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2)의 역구조를 갖도록 하면 이들의 프로그래밍 방향은 반대가 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폴라 메모리셀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은 제1 액티브층(10a)과 제1 베이스층(20a)이 순차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은 제2 베이스층(20b)과 제2 액티브층(10b)이 순차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액티브층(10a)은 제1 전극(E1)과 제1 베이스층(20a) 사이에, 제2 액티브층(10b)은 제2 베이스층(20b)과 제2 전극(E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베이스층(20a)과 제1 액티브층(10a)은 동일 계열의 산화물층일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베이스층(20b)과 제2 액티브층(10b)은 동일 계열의 산화물층일 수 있다. 또한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과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은 동일 계열의 산화물층일 수 있다. 제2 액티브층(10b)은 제1 액티브층(10a)과 동일한 물질층일 수 있고, 제2 베이스층(20b)은 제1 베이스층(20a)과 동일한 물질층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은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이 상·하로 역전된 구조(즉, 역구조)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액티브층(10a, 10b)은 베이스층(20a, 20b)보다 산소 농도가 높은 층일 수 있다. 액티브층(10a, 10b)은 화학양론적(stoichiometric) 조성 또는 그에 가까운 조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20a, 20b)이 TaOX층(여기서, x<2.5)인 경우, 액티브층(10a, 10b)은 Ta2O5층일 수 있다. 베이스층(20a, 20b)과 액티브층(10a, 10b)의 물질은 Ta 산화물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20a, 20b) 및 액티브층(10a, 10b)은 Ti 산화물 또는 Zr 산화물 등 다양한 산화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는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과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이 같은 계열의 산화물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과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을 서로 다른 계열의 산화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베이스층(20a, 20b)과 액티브층(10a, 10b)도 서로 다른 계열의 산화물로 형성할 수 있다. 바이폴라 메모리층(M1', M2')의 저항변화 특성은 베이스층(20a, 20b)보다 액티브층(10a, 10b)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베이스층(20a, 20b)은 수 내지 수백 나노미터(nm)의 두께, 예컨대, 수십 nm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액티브층(10a, 10b)은 수 nm 의 두께, 예컨대, 약 5n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2와 같이,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이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의 역구조를 갖는 경우, 제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1', M2')은 서로 반대의 프로그래밍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중간전극(N1) 또는 제1 및 제2 전극(E1, E2)을 이온소스층으로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전극(E1, E2)과 중간전극(N1)은 동일한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서 제1 액티브층(10a)과 제1 베이스층(20a)의 위치는 바뀔 수 있고, 제2 베이스층(20b)과 제2 액티브층(10b)의 위치도 바뀔 수 있다. 그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액티브층(10a)은 제1 베이스층(20a)과 중간전극(N1) 사이에, 제2 액티브층(10b)은 제2 베이스층(20b)과 중간전극(N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이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의 역구조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1", M2")은 서로 반대의 프로그래밍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바이폴라 메모리층을 서로 반대의 프로그래밍 방향을 갖도록 연결한 바이폴라 메모리셀은 바이폴라 메모리 특성 및 양방향 스위칭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스위칭요소를 별도로 구비시키지 않고도 양방향 스위칭요소를 구비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는 Pt/TaOX/Ta2O5/Pt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 구조의 전압-전류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a의 TaOX층에서 x는 2.5보다 작다. 즉, TaOX층의 산소 농도는 Ta2O5층의 그것보다 낮다. 이는 도 5a 및 도 6a에서도 동일하다. 한편, 도 4b에서 전압(V)은 도 4a의 상부 Pt에 인가된 전압(V1)에서 하부 Pt에 인가된 전압(V2)을 뺀 값이다. 상기 하부 Pt에 인가된 전압(V2)을 OV 라고 하면, 도 4b의 전압(V)은 상기 상부 Pt에 인가된 전압(V1)과 같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Pt/TaOX/Ta2O5/Pt 구조는 바이폴라 메모리요소의 전압-전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리세트 전압은 양(+)의 전압이고, 세트 전압은 음(-)의 전압이다. 상기 리세트 전압에서 Pt/TaOX/Ta2O5/Pt 구조는 저저항 상태, 즉, 온(ON) 상태에서 고저항 상태, 즉, 오프(OFF) 상태로 변화된다. 상기 세트 전압에서 Pt/TaOX/Ta2O5/Pt 구조는 고저항 상태, 즉, 오프(OFF) 상태에서 저저항 상태, 즉, 온(ON) 상태로 변화된다.
도 5a는 Pt/Ta2O5/TaOX/Pt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 구조의 전압-전류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b에서 전압(V)은 도 5a의 상부 Pt에 인가된 전압(V1)에서 하부 Pt에 인가된 전압(V2)을 뺀 값이다.
도 5a의 구조는 도 4a에서 TaOX층과 Ta2O5층의 위치가 뒤바뀐 구조이다. 도 5b는 도 4b와 유사하게 바이폴라 메모리요소의 전압-전류 특성을 나타내지만, 리세트 전압과 세트 전압의 위치가 바뀌어 있다. 즉, 도 5b에서 리세트 전압은 음(-)의 전압이고, 세트 전압은 양(+)의 전압이다. 도 4a에서 TaOX층과 Ta2O5층의 위치가 뒤바뀜에 따라, 세트 전압과 리세트 전압의 위치(부호)가 바뀐 것이다. 도 4a의 구조와 도 5a의 구조는 서로 반대의 프로그래밍 방향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도 6a는 Pt/Ta2O5/TaOX/Pt/TaOX/Ta2O5/Pt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즉, 도 6a는 도 4a 구조와 도 5a 구조를 연결한 구조이다. 이때, 중간전극 Pt는 하부의 Ta2O5/TaOX 와 상부의 TaOX/Ta2O5 이 공유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폴라 메모리셀의 일례이다. 이하에서는, 상부 Pt 에서 중간 Pt 까지의 구조를 상부 셀부분(CP1)이라고 하고, 중간 Pt 에서 하부 Pt 까지의 구조를 하부 셀부분(CP2)이라 한다. 상부 셀부분(CP1)은 도 4a 구조에 대응되고, 하부 셀부분(CP2)은 도 5a 구조에 대응된다.
도 6b는 도 6a 구조의 전압-전류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b에서 전압(V)은 도 6a의 상부 Pt에 인가된 전압(V1)에서 하부 Pt에 인가된 전압(V2)을 뺀 값이다. 중간 Pt 에는 별도의 전압을 인가하지 않았다. 즉, 상기 중간 Pt는 플로팅되어 있다. 이하의 도 6b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폴라 메모리의 동작방법에 대한 설명을 포함한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Pt/Ta2O5/TaOX/Pt/TaOX/Ta2O5/Pt 구조는 바이폴라 메모리 특성과 양방향 스위칭 특성을 모두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Pt/Ta2O5/TaOX/Pt/TaOX/Ta2O5/Pt 구조는 0V 를 기준으로 하여 양방향으로 정류 특성을 나타내다가 바이폴라 메모리 특성을 나타낸다. ① 지점 및 ② 지점은 각각 제1 리세트(reset 1) 및 제1 세트(set 1)에 대응되고, ③ 지점 및 ④ 지점은 각각 제2 리세트(reset 2) 및 제2 세트(set 2)에 대응된다. ② 지점과 ④ 지점 사이에서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는다. ② 지점 및 ④ 지점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세트(set 1, set 2) 지점이면서, 동시에 제1 및 제2 문턱전압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쓰기전압(write voltage)은 ① 지점 또는 ③ 지점 부근에서 결정될 수 있고, 읽기전압(read voltage)은 ① 지점과 ④ 지점 사이 또는 ② 지점과 ③ 지점 사이에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 ② 지점과 ④ 지점 사이는 '금지영역(inhibition region)'일 수 있다. 상기 금지영역은 정상적인 메모리 동작을 위한 윈도우(window)라고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소정의 메모리셀에 읽기/쓰기/소거를 위한 동작전류를 인가할 때, 그 밖의 다른 메모리셀에는 상기 금지영역에 대응하는 전압을 인가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동작전류가 원치 않는 경로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고, 상기 다른 메모리셀들이 본래 자신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금지영역은 양방향 스위칭요소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프로그래밍 방향이 반대인 두 개의 바이폴라 메모리요소를 연결함으로써, 스위칭요소를 별도로 구비시키지 않고도, 양방향 스위칭요소를 구비시킨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통상의 메모리셀은 메모리요소에 스위칭요소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 경우, 메모리요소와 스위칭요소의 특징이 개별적이므로, 이들의 특징을 맞춰 주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소자가 고집적화될수록 심화될 수 있다. 예컨대, 고집적 소자에서 메모리요소의 정상적인 저항변화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 스위칭요소의 사이즈(너비)를 증가시켜 그의 순방향 전류 밀도를 높여줄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메모리요소의 프로그래밍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칭요소의 사이즈(너비)를 증가시켜야 하는 경우, 메모리소자의 스케일 다운(scale down)이 어려울 수 있고, 제조 공정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바이폴라 메모리요소를 프로그램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연결함으로써 스위칭요소를 별도로 구비시키지 않고도 스위칭요소가 구비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칭요소의 요구조건(requirement)을 충족시키기 위한 부담이 없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고집적 메모리소자의 개발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b의 세트/리세트 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b의 제1 내지 제4 그래프(G1∼G4)에서 상부 셀부분(CP1)과 하부 셀부분(CP2)의 상태는 아래의 표 1과 같을 수 있다.
G1 G2 G3 G4
상부 셀(CP1) ON OFF ON ON
하부 셀(CP2) ON ON ON OFF
상부 셀부분(CP1)과 하부 셀부분(CP2)이 모두 온(ON) 상태일 때, 전압을 양(+)의 방향으로 증가시키면 전압-전류 특성은 제1 그래프(G1)를 따르다가, 제1 리세트 전압이 인가되면 제2 그래프(G2)를 따를 수 있다. 이는 제1 리세트(reset 1) 동작이며, 이때 상부 셀부분(CP1)이 오프(OFF) 상태로 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음(-)의 방향으로 전압을 증가시키면, 제1 세트 전압에서 상부 셀부분(CP1)이 온(ON)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이는 제1 세트(set 1) 동작이고, 전압-전류 특성은 제3 그래프(G3)를 따를 수 있다. 계속해서, 음(-)의 방향으로 전압을 증가시키면, 제2 리세트 전압에서 하부 셀부분(CP2)이 오프(OFF) 상태로 변할 수 있다. 이는 제2 리세트(reset 2) 동작이고, 전압-전류 특성은 제4 그래프(G4)를 따를 수 있다. 다시 전압을 양(+)의 방향으로 증가시키면, 제2 세트 전압에서 하부 셀부분(CP2)이 온(ON)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이는 제2 세트(set 2) 동작이고, 전압-전류 특성은 제1 그래프(G1)를 따를 수 있다.
제1 리세트(reset 1)는 상부 셀부분(CP1)이 리세트되는 동작으로 도 4b의 리세트 동작과 유사하다. 그런데 상기 제1 리세트 전압은 도 4b의 리세트 전압보다 클 수 있다. 이는 도 6a에서는 상부 셀부분(CP1)과 하부 셀부분(CP2)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이 모두 온(ON) 상태인 경우, 전압이 상부 셀부분(CP1)과 하부 셀부분(CP2)에 분산되어 인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6a에서 상부 셀부분(CP1)을 리세트시키는데 필요한 전압은 도 4a 구조를 리세트시키는데 필요한 전압보다 클 수 있다. 제1 세트(set 1)는 상부 셀부분(CP1)이 세트되는 동작으로 도 4b의 세트 동작과 유사하다. 상기 제1 세트 전압은 도 4b의 세트 전압과 유사할 수 있다. 이는 제1 세트(set 1) 동작은 상부 셀부분(CP1)은 오프(OFF) 상태, 하부 셀부분(CP2)은 온(ON)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압은 고저항 상태인 상부 셀부분(CP1)에 집중되기 때문이다.
제2 리세트(reset 2)는 하부 셀부분(CP2)이 리세트되는 동작으로 도 5b의 리세트 동작과 유사할 수 있다. 상기 제2 리세트 전압의 절대값은 도 5b의 리세트 전압의 절대값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제1 리세트 전압이 도 4b의 리세트 전압보다 큰 이유와 유사하다. 제2 세트(set 2)는 하부 셀부분(CP2)이 세트되는 동작으로 도 5b의 세트 동작과 유사할 수 있다. 상기 제2 세트 전압은 도 5b의 세트 전압과 유사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제1 세트 전압이 도 4b의 세트 전압과 유사한 이유와 유사할 수 있다.
도 4b의 리세트 전압이 도 5b의 세트 전압보다 크거나 같고, 도 5b의 세트 전압이 도 4b의 리세트 전압보다 크거나 같을 때, 도 6b와 같은 그래프를 얻는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도 4b의 리세트 전압의 절대값은 세트 전압의 절대값보다 크거가 같고, 도 5b의 리세트 전압의 절대값은 세트 전압의 절대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도 6b와 같은 그래프를 얻는데 유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도 1 내지 도 3에서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M1")의 세트 전압 및 리세트 전압이 각각 양(+)의 전압 및 음(-)의 전압이고,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M2")의 세트 전압 및 리세트 전압이 각각 음(-)의 전압 및 양(+)의 전압인 경우,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M2")의 리세트 전압은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M1")의 세트 전압보다 크거나 같고,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M2")의 세트 전압은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M1")의 리세트 전압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또한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M2")의 리세트 전압의 절대값은 세트 전압의 절대값보다 크거나 같고,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M1")의 리세트 전압의 절대값은 세트 전압의 절대값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6b의 제1 리세트 전압은 도 4b의 리세트 전압보다 크기 때문에, 도 4b의 리세트 전압이 도 5b의 세트 전압보다 작은 경우라도, 도 4a와 도 5a를 연결시키면 도 6b의 오른쪽 그래프(G1+G2)와 유사한 특성이 얻어질 수 있다. 이와 유사한 이유로, 도 4b의 세트 전압이 도 5b의 리세트 전압보다 작은 경우라도, 도 4a와 도 5a를 연결시키면 도 6b의 왼쪽 그래프(G3+G4)와 유사한 특성이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에서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M1")의 세트 전압 및 리세트 전압이 각각 양(+)의 전압 및 음(-)의 전압이고,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M2")의 세트 전압 및 리세트 전압이 각각 음(-)의 전압 및 양(+)의 전압인 경우,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M2")의 리세트 전압은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M1")의 세트 전압보다 작을 수 있고,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M2")의 세트 전압은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M1")의 리세트 전압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M2")의 리세트 전압의 절대값은 세트 전압의 절대값보다 작을 수 있고,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M1")의 리세트 전압의 절대값은 세트 전압의 절대값보다 작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셀을 포함하는 메모리소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메모리소자는 다층 교차점(multi-layer cross point) 메모리소자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배선 형태를 갖는 복수의 제1 전극(E10)이 상호 나란히 구비될 수 있다. 제1 전극(E10)은 제1 방향, 예컨대, 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전극(E10)과 이격된 것으로, 배선 형태를 갖는 복수의 제2 전극(E20)이 상호 나란히 구비될 수 있다. 제2 전극(E20)은 제1 전극(E10)과 교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전극(E20)은 제1 전극(E10)과 수직 교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전극(E20)의 연장 방향은, 도시된 바와 같이, Y축 방향이다. 제1 및 제2 전극(E10, E20)의 연장 방향은 서로 바뀔 수 있고, 제1 및 제2 전극(E10, E20)의 형태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전극(E10, E20)은 반도체소자 분야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전극 물질로 형성할 수 있고, 단층 또는 다층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전극(E10, E20)은 Pt, Au, Pd, Ir, Ag, Ni, Al, Mo, Cu 및 이들의 혼합물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E10, E20)의 물질과 구조는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E10, E20)은 도 1 내지 도 3의 제1 및 제2 전극(E1, E2)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전극(E10)과 제2 전극(E20)의 교차점 각각에 제1 메모리셀(C10)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메모리셀(C10)은 순차로 적층된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0), 제1 중간전극(N10)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0), 제1 중간전극(N10)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0)은 각각 도 1 내지 도 3의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M1"), 중간전극(N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M2")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0)과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0)의 프로그래밍 방향은 반대일 수 있다.
제2 전극(E20)의 상면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복수의 제3 전극(E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제3 전극(E30)은 배선 형태를 갖고 상호 나란히 구비될 수 있다. 제3 전극(E30)은 제2 전극(E20)과 교차, 예컨대, 수직 교차할 수 있다. 제3 전극(E30)의 물질은 제1 및 제2 전극(E10, E20)과 동일할 수 있다. 제2 전극(E20)과 제3 전극(E30)의 교차점에 제2 메모리셀(C20)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메모리셀(C20)은 제2 전극(E20) 상에 순차로 적층된 제3 바이폴라 메모리층(M30), 제2 중간전극(N20) 및 제4 바이폴라 메모리층(M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바이폴라 메모리층(M30) 및 제4 바이폴라 메모리층(M40)은 각각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0)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0)과 동일한 프로그래밍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메모리셀(C20)은 제1 메모리셀(C10)과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경우, 제3 바이폴라 메모리층(M30) 및 제4 바이폴라 메모리층(M40)은 각각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0)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0)과 반대의 프로그래밍 방향을 가질 수도 있다. 제2 중간전극(N20)은 제1 중간전극(N10)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도 7에서 제1 및 제2 메모리셀(C10, C20)은 원 기둥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은 사각 기둥 또는 아래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 등 다양한 변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메모리셀(C10, C20)은 제1 및 제2 전극(E10, E20)의 교차점과 제2 및 제3 전극(E20, E30)의 교차점 외부로 확장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7의 메모리소자는 제3 전극(E30) 상에 상기 제1 메모리셀(C10)과 제2 전극(E20)의 적층 구조물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적층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7의 메모리소자는 제3 전극(E30) 상에 상기 제1 메모리셀(C10), 제2 전극(E20), 제2 메모리셀(C20) 및 제3 전극(E30)의 적층 구조물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적층 구조물을 적어도 한 세트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7의 메모리소자는 제3 전극(E30) 상에 상기 제1 메모리셀(C10), 제2 전극(E20), 제2 메모리셀(C20), 제3 전극(E30), 제1 메모리셀(C10) 및 제2 전극(E20)이 차례로 적층된 적층 구조물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적층 구조물을 적어도 한 세트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기판(SUB1) 상에 복수의 제1 전극(E100)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전극(E100)은 등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제1 전극(E100) 주위에 제1 전극(E100)과 같은 높이의 제1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1 전극(E100) 상에 복수의 제1 메모리셀(C100)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메모리셀(C100)은 순차로 적층된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00), 제1 중간전극(N100)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00), 제1 중간전극(N100)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00)은 각각 도 1 내지 도 3의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M1"), 중간전극(N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M2")에 대응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메모리셀(C100)은 기판(SUB1) 상에 제1 메모리 물질층, 제1 전극 물질층 및 제2 메모리 물질층을 차례로 형성한 후, 이들을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제1 메모리셀(C100) 주위에 제1 메모리셀(C100)과 같은 높이의 제2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1 메모리셀(C100) 상에 복수의 제2 전극(E200)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전극(E200)은 복수의 제1 전극(E100)과 교차, 예컨대, 수직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E100)과 제2 전극(E200) 사이의 교차점에 제1 메모리셀(C1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 전극(E200) 상에 복수의 제2 메모리셀과 제3 전극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제1 기판(SUB1) 상에 복수의 제1 전극(E100)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전극(E100)은 등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전극(E100) 주위에 제1 전극(E100)과 같은 높이의 제1 절연층(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 복수의 제1 전극(E100) 상에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00)과 제1 중간전극(N100)이 순차로 적층된 복수의 적층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적층구조물은 제1 메모리 물질층과 제1 전극 물질층을 형성한 후, 이들을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00)과 제1 중간전극(N100)이 순차로 적층된 상기 복수의 적층구조물 주위에 그와 동일한 높이의 제2 절연층(미도시)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제2 기판(SUB2) 상에 복수의 제2 전극(E200)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전극(E200)은 등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전극(E200) 주위에 제2 전극(E200)과 같은 높이의 제3 절연층(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 복수의 제2 전극(E200) 상에 복수의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00)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00) 주위에 그와 동일한 높이의 제4 절연층(미도시)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제2 기판(SUB2)을 뒤집어서 제1 기판(SUB1)에 합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기판(SUB1)의 복수의 제1 중간전극(N100)과 제2 기판(SUB2)의 복수의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00)을 접합시킬 수 있다. 제2 기판(SUB2)이 투명 기판인 경우, 제2 기판(SUB2)을 통해 제1 기판(SUB1)에 표시된 정렬키(alignment key)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 중간전극(N100)에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00)이 일대일로 정렬되도록 제2 기판(SUB2)의 위치를 맞춰줄 수 있다. 복수의 제2 전극(E200)은 복수의 제1 전극(E100)과 교차할 수 있고, 이들의 교차점에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00), 제1 중간전극(N100)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00)이 적층된 제1 메모리셀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 제2 기판(SUB2)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2 전극(E200) 상에 복수의 제2 메모리셀과 제3 전극을 더 형성할 수 있다. 혹은, 제2 기판(SUB2)에 홀(hole)을 형성한 후, 제2 전극(E200)에 접합되는 복수의 제2 메모리셀을 형성한 후, 복수의 제3 전극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액티브층(10a, 10b)은 미리 증착된 산화물층을 산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TaOX층을 증착한 후, 그 표면부를 산화 처리함으로써, TaOX/Ta2O5 구조의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산화는 퍼니스(furnace) 산화, RTA(rapid thermal annealing) 산화, 열 산화 및 플라즈마 산화 등 다양한 방법 중 어느 하나로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산화 공정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TaOX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ALD(atomic layer deposition) 또는 PVD(physical vapor deposition) 방법 등으로 Ta2O5층을 직접 형성함으로써, TaOX/Ta2O5 구조의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M2')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의 경우, TaOX층을 얇게 증착한 후, 산화 공정을 통해 상기 TaOX층 전체를 Ta2O5층으로 변화시킨 다음, 그 위에 TaOX층을 형성함으로써, Ta2O5/TaOX 구조의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M1')을 형성할 수 있다. 혹은, CVD, ALD 또는 PVD 방법으로 Ta2O5층을 직접 형성한 후, 그 위에 TaOX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은 Ta 산화물뿐 아니라 다른 산화물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은 도 8a 내지 도 8c 및 도 9a 내지 도 9c의 제조방법에서 메모리층을 형성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예들 들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모리소자의 구조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인 예로, 도 1 내지 도 3의 메모리셀은 도 7과 같은 교차점 메모리소자뿐 아니라 그 밖의 다양한 메모리소자에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셀에서 바이폴라 메모리요소로 저항성 메모리요소뿐 아니라 그 밖의 다양한 메모리요소를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Claims (22)

  1.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 및
    상기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에 연결된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은 프로그래밍 방향이 서로 반대인 바이폴라 메모리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세트 전압 및 리세트 전압은 각각 양(+)의 전압 및 음(-)의 전압이고,
    상기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세트 전압 및 리세트 전압은 각각 음(-)의 전압 및 양(+)의 전압인 바이폴라 메모리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리세트 전압은 상기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세트 전압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세트 전압은 상기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리세트 전압보다 크거나 같은 바이폴라 메모리셀.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리세트 전압의 절대값은 세트 전압의 절대값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리세트 전압의 절대값은 세트 전압의 절대값보다 크거나 같은 바이폴라 메모리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은 상기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과 동일한 구조를 갖거나 그의 역구조를 갖는 바이폴라 메모리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은 제1 전극과 중간전극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은 상기 중간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된 바이폴라 메모리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은 제1 베이스층과 제1 액티브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은 제2 베이스층과 제2 액티브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층이 상기 제1 및 제2 액티브층보다 상기 중간전극에 가까이 배치되거나, 상기 제1 및 제2 액티브층이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층보다 상기 중간전극에 가까이 배치된 바이폴라 메모리셀.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극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이 이온소스층인 바이폴라 메모리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 중 적어도 하나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바이폴라 메모리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은 Ti 산화물, Ni 산화물, Cu 산화물, Co 산화물, Hf 산화물, Zr 산화물, Zn 산화물, W 산화물, Nb 산화물, TiNi 산화물, LiNi 산화물, Al 산화물, InZn 산화물, V 산화물, SrZr 산화물, SrTi 산화물, Cr 산화물, Fe 산화물, Ta 산화물, PCMO(PrCaMnO)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바이폴라 메모리셀.
  11. 배선 형태를 갖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제1 전극;
    상기 복수의 제1 전극과 교차하는 것으로, 배선 형태를 갖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의 교차점에 구비된 제1 메모리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메모리셀은 순차로 적층된 제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은 프로그래밍 방향이 서로 반대인 교차점 메모리소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세트 전압 및 리세트 전압은 각각 상기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세트 전압 및 리세트 전압과 반대의 부호를 갖는 교차점 메모리소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리세트 전압의 절대값은 상기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세트 전압의 절대값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리세트 전압의 절대값은 상기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세트 전압의 절대값보다 크거나 같은 교차점 메모리소자.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은 단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를 갖는 교차점 메모리소자.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은 다층 구조를 갖고,
    상기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은 상기 제1 바이폴라 메모리층의 역구조를 갖는 교차점 메모리소자.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 사이에 중간전극이 구비된 교차점 메모리소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극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이 이온소스층인 교차점 메모리소자.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 중 적어도 하나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교차점 메모리소자.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은 Ti 산화물, Ni 산화물, Cu 산화물, Co 산화물, Hf 산화물, Zr 산화물, Zn 산화물, W 산화물, Nb 산화물, TiNi 산화물, LiNi 산화물, Al 산화물, InZn 산화물, V 산화물, SrZr 산화물, SrTi 산화물, Cr 산화물, Fe 산화물, Ta 산화물, PCMO(PrCaMnO)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교차점 메모리소자.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전극과 교차하는 것으로, 배선 형태를 갖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제3 전극; 및
    상기 제2 및 제3 전극의 교차점에 구비된 제2 메모리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메모리셀은 순차로 적층된 제3 및 제4 바이폴라 메모리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3 및 제4 바이폴라 메모리층은 프로그래밍 방향이 서로 반대인 교차점 메모리소자.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바이폴라 메모리층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과 동일한 프로그래밍 방향을 갖는 교차점 메모리소자.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바이폴라 메모리층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바이폴라 메모리층과 반대의 프로그래밍 방향을 갖는 교차점 메모리소자.
KR1020100021391A 2010-03-10 2010-03-10 바이폴라 메모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소자 KR2011010198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391A KR20110101983A (ko) 2010-03-10 2010-03-10 바이폴라 메모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소자
US12/929,780 US9105837B2 (en) 2010-03-10 2011-02-15 Bipolar memory cells and memory devices including the same
CN2011100591366A CN102194994A (zh) 2010-03-10 2011-03-09 双极存储单元、包括其的存储器件及其操作和制造方法
EP11157516A EP2365554A3 (en) 2010-03-10 2011-03-09 Bipolar memory cells, memory device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391A KR20110101983A (ko) 2010-03-10 2010-03-10 바이폴라 메모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983A true KR20110101983A (ko) 2011-09-16

Family

ID=44148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391A KR20110101983A (ko) 2010-03-10 2010-03-10 바이폴라 메모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05837B2 (ko)
EP (1) EP2365554A3 (ko)
KR (1) KR20110101983A (ko)
CN (1) CN10219499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7514A (ko) * 2011-12-29 2013-07-0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KR20130080363A (ko) * 2012-01-04 2013-07-1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저항성 메모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US9099639B2 (en) 2012-08-10 2015-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sistance switching material element and device employ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82232A1 (en) 2011-09-30 2013-04-04 Unity Semiconductor Corporation Multi Layered Conductive Metal Oxide Structur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nhance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wo Terminal Memory Cells
US8565003B2 (en) 2011-06-28 2013-10-22 Unity Semiconductor Corporation Multilayer cross-point memory array having reduced disturb susceptibility
US8390100B2 (en) * 2008-12-19 2013-03-05 Unity Semiconductor Corporation Conductive oxide electrodes
KR101934013B1 (ko) * 2012-03-27 2018-12-3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US8841649B2 (en) * 2012-08-31 2014-09-23 Micron Technology, Inc. Three dimensional memory array architecture
US9450022B1 (en) * 2012-09-05 2016-09-20 Hrl Laboratories, Llc Memristor devices and fabrication
WO2015199706A1 (en) * 2014-06-26 2015-12-30 Intel Corporation Oxide-based three-terminal resistive switching logic devices
CN106299111B (zh) * 2015-06-23 2019-02-05 北京有色金属研究总院 一种免电激活互补阻变存储器及其制备方法
CN112086556B (zh) 2019-06-13 2024-03-15 联华电子股份有限公司 存储器单元及其形成方法
CN113078260B (zh) * 2021-03-05 2023-04-18 华中科技大学 一种基于二维电子气的互补型忆阻器及其制备方法
CN112909168B (zh) * 2021-03-23 2024-01-30 湖北大学 一种基于锂掺杂氧化铌的多功能存储器件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537B1 (ko) 2003-06-03 2007-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한 개의 스위칭 소자와 한 개의 저항체를 포함하는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7082052B2 (en) * 2004-02-06 2006-07-25 Unity Semiconductor Corporation Multi-resistive state element with reactive metal
US8106375B2 (en) * 2005-11-30 2012-01-31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Resistance-switching memory based on semiconductor composition of perovskite conductor doped perovskite insulator
KR101309111B1 (ko) 2006-07-27 2013-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리실리콘 패턴의 형성방법과 폴리실리콘 패턴을 포함한다층 교차점 저항성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JP4577695B2 (ja) 2006-11-07 2010-11-10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及び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JP4527170B2 (ja) * 2006-11-17 2010-08-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不揮発性記憶素子、不揮発性記憶装置、不揮発性半導体装置、および不揮発性記憶素子の製造方法
US7704789B2 (en) * 2007-02-05 2010-04-27 Intermolecular, Inc. Methods for forming resistive switching memory elements
US20080273370A1 (en) * 2007-05-02 2008-11-06 Jan Keller Integrated Circuit, Method of Operating an Integrated Circuit, Memory Cell Array, and Memory Module
US8173989B2 (en) * 2007-05-30 2012-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devic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operating the same
EP2063467B1 (en) 2007-06-05 2011-05-04 Panasonic Corporation Nonvolatile storage element,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nonvolatile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nonvolatile storage element
US7902537B2 (en) * 2007-06-29 2011-03-08 Sandisk 3D Llc Memory cell that employs a selectively grown reversible resistance-switching element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KR101482814B1 (ko) * 2007-07-25 2015-01-14 인터몰레큘러 인코퍼레이티드 다중상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KR101356696B1 (ko) 2007-08-17 2014-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이오드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
US20090095985A1 (en) * 2007-10-10 2009-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ayer electrode, cross point memory arr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90045653A (ko) 2007-11-02 2009-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이오드-스토리지 노드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및 이를 포함하는 크로스 포인트 메모리 어레이
US7961494B2 (en) * 2008-04-11 2011-06-14 Sandisk 3D Llc Non-volatile multi-level re-writable memory cell incorporating a diode in series with multiple resistors and method for writing same
KR20090118454A (ko) 2008-05-14 2009-11-18 주식회사 데코엔지니어링 자동차 내외판 접합용 접착제 분사노즐 조립체
KR20100024800A (ko) 2008-08-26 2010-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동작 방법
JPWO2010086916A1 (ja) * 2009-01-29 2012-07-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抵抗変化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101394A (ko) * 2009-03-09 2010-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산화물 다이오드와 그 제조방법 및 산화물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자소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7514A (ko) * 2011-12-29 2013-07-0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KR20130080363A (ko) * 2012-01-04 2013-07-1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저항성 메모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US9099639B2 (en) 2012-08-10 2015-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sistance switching material element and device employ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20860A1 (en) 2011-09-15
EP2365554A3 (en) 2013-02-13
EP2365554A2 (en) 2011-09-14
CN102194994A (zh) 2011-09-21
US9105837B2 (en) 201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1983A (ko) 바이폴라 메모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소자
JP4088324B1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US7995371B2 (en) Threshold device for a memory array
US8445881B2 (en) Nonvolatile variable resistive element and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1526926B1 (ko) 저항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20230422640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110074354A (ko) 메모리소자 및 그 동작방법
JP5270809B2 (ja) 不揮発性記憶素子、及び不揮発性記憶装置
KR101593509B1 (ko) 이종 접합 산화물을 기반으로 하는 멤리스티브 요소
KR101448412B1 (ko) 다층 메모리 어레이
KR20130020426A (ko) 비휘발성 메모리요소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소자
JP2011066285A (ja) 不揮発性記憶素子および不揮発性記憶装置
US8471325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90037277A (ko) 크로스 포인트 메모리 어레이
KR20120139082A (ko) 멀티비트 메모리요소,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소자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5367198B1 (ja) 抵抗変化型不揮発性記憶装置
TWI683366B (zh) 電阻變化元件及記憶裝置
KR101471971B1 (ko) 다층 터널 배리어 선택 소자를 이용한 비선형 저항 스위칭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TWI650887B (zh) 電阻式隨機存取記憶體
TWI559304B (zh) 一次性編程電阻式記憶體
US8803121B2 (en) Resistive memory element and related control method
TWI442561B (zh) 一種以高密度電阻材料為主的半導體裝置
JP2014175419A (ja) 電流制御素子、不揮発性記憶素子、不揮発性記憶装置および電流制御素子の製造方法
JP2009212245A (ja) 可変抵抗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