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1421A -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1421A
KR20110101421A KR1020100020407A KR20100020407A KR20110101421A KR 20110101421 A KR20110101421 A KR 20110101421A KR 1020100020407 A KR1020100020407 A KR 1020100020407A KR 20100020407 A KR20100020407 A KR 20100020407A KR 20110101421 A KR20110101421 A KR 20110101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ectric vehicle
indicator
control circuit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5046B1 (ko
Inventor
김인천
전상훈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0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046B1/ko
Publication of KR20110101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9/00Ligh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는 전동차의 외부에 설치된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전원과 상기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의 하이레벨의 전원단자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출입문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개폐되는 내부 접점을 포함하는 출입문 연동 릴레이 및 상기 전원과 상기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의 제어단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문 표시등의 점멸을 상기 전동차 내부에서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비상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차 출입문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와 전동차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비상 스위치의 동작 상태에 대한 시각적인 정보를 전동차 외부로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가 제공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CONTROLLING APPARATUS OF INDICATOR OF ELECTRIC RAIL CAR DOOR}
본 발명은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동차 출입문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와 전동차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비상 스위치의 동작 상태에 대한 시각적인 정보를 전동차 외부로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차의 외부에는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 여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출입문 정보 표시등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전동차 출입문이 열려있는 상태가 되면, 이 출입문 근처의 출입문 정보 표시등이 점등되는 방식으로 전동차 출입문의 상태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한편, 전동차 내부에는 승객이 비상상태의 발생사실을 외부로 알리기 위한 통신 수단인 비상 인터폰이 구비되어 있다. 승객이 이 비상 인터폰을 누르면, 승무원 등과의 통화가 가능해지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별도의 비상상태 표시장치가 전도차 외부에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승객이 비상 인터폰을 눌러도 전동차 편성을 구성하는 차량들 중 어느 차량의 비상 인터폰이 눌러졌는지에 대한 정보가 전동차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동차 출입문의 상태정보 표시동작과 비상상태 표시동작이 서로 연동되어 있지 않고, 이들 동작을 위해 요구되는 회로 부품들의 수도 많아 전체적으로 비효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동차 출입문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와 전동차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비상 스위치의 동작 상태에 대한 시각적인 정보를 전동차 외부로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전동차 외부에서 전동차 운행업무를 수행하는 운행요원에게 전동차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비상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시각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전동차의 운행과 관련한 각종 비상사태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이러한 기능 수행을 위한 회로 구성을 단순화하여 전체적인 전동차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는 전동차의 외부에 설치된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전원과 상기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의 하이레벨의 전원단자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개폐되는 내부 접점을 포함하는 출입문 연동 릴레이 및 상기 전원과 상기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의 제어단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의 점멸을 상기 전동차 내부에서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비상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은 상기 전동차 출입문 모두가 닫힌 경우 소등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전동차 출입문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된 경우 점등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전동차 출입문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비상 스위치가 턴온되는 경우 점멸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상 스위치는 상기 전동차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비상 인터폰의 설치 상태에 따라 턴온과 턴오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입문 연동 릴레이는 상기 전원과 좌측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의 하이레벨의 전원단자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좌측 출입문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개폐되는 내부 접점을 포함하는 좌측 출입문 연동 릴레이 및 상기 전원과 우측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의 하이레벨의 전원단자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우측 출입문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개폐되는 내부 접점을 포함하는 우측 출입문 연동 릴레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차 출입문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와 전동차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비상 스위치의 동작 상태에 대한 시각적인 정보를 전동차 외부로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동차 외부에서 전동차 운행업무를 수행하는 운행요원에게 전동차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비상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시각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전동차의 운행과 관련한 각종 비상사태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기능 수행을 위한 회로 구성을 단순화하여 전체적인 전동차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는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INDICATOR_DOOR_L1, INDICATOR_DOOR_L2, INDICATOR_DOOR_L3, INDICATOR_DOOR_L4, INDICATOR_DOOR_R1, INDICATOR_DOOR_R2, INDICATOR_DOOR_R3, INDICATOR_DOOR_R4), 출입문 연동 릴레이(LDISLR, LDISRR) 및 비상 스위치(PAB_L1, PAB_L2, PAB_R1, PAB_R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INDICATOR_DOOR_L1, INDICATOR_DOOR_L2, INDICATOR_DOOR_L3, INDICATOR_DOOR_L4, INDICATOR_DOOR_R1, INDICATOR_DOOR_R2, INDICATOR_DOOR_R3, INDICATOR_DOOR_R4)은 전동차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동차 출입문(DOOR_L1, DOOR_L2, DOOR_L3, DOOR_L4, DOOR_R1, DOOR_R2, DOOR_R3, DOOR_R4)의 상태에 대한 정보 즉, 전동차 출입문(DOOR_L1, DOOR_L2, DOOR_L3, DOOR_L4, DOOR_R1, DOOR_R2, DOOR_R3, DOOR_R4)이 열려있는 상태인지 닫혀있는 상태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 및 후술하는 비상 스위치(PAB_L1, PAB_L2, PAB_R1, PAB_R2)가 작동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전동차 출입문(DOOR_L1, DOOR_L2, DOOR_L3, DOOR_L4, DOOR_R1, DOOR_R2, DOOR_R3, DOOR_R4)은 전동차의 좌측에 구비되어 있는 좌측 전동차 출입문(DOOR_L1, DOOR_L2, DOOR_L3, DOOR_L4)과 전동차의 우측에 구비되어 있는 우측 전동차 출입문(DOOR_R1, DOOR_R2, DOOR_R3, DOOR_R4)으로 구성되며,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INDICATOR_DOOR_L1, INDICATOR_DOOR_L2, INDICATOR_DOOR_L3, INDICATOR_DOOR_L4, INDICATOR_DOOR_R1, INDICATOR_DOOR_R2, INDICATOR_DOOR_R3, INDICATOR_DOOR_R4)은 이 전동차 출입문 근처의 전동차 동체 예를 들어, 전동차 출입문의 상부 또는 측부의 전동차 동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이러한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INDICATOR_DOOR_L1, INDICATOR_DOOR_L2, INDICATOR_DOOR_L3, INDICATOR_DOOR_L4, INDICATOR_DOOR_R1, INDICATOR_DOOR_R2, INDICATOR_DOOR_R3, INDICATOR_DOOR_R4)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출입문 연동 릴레이(LDISLR, LDISRR)는 전동차 출입문(DOOR_L1, DOOR_L2, DOOR_L3, DOOR_L4, DOOR_R1, DOOR_R2, DOOR_R3, DOOR_R4)의 개폐에 연동하여 여자 또는 소자된다.
이 출입문 연동 릴레이의 내부 접점(LDISLR_b, LDISRR_b)은 전원과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의 하이레벨의 전원단자(H)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동차 출입문(DOOR_L1, DOOR_L2, DOOR_L3, DOOR_L4, DOOR_R1, DOOR_R2, DOOR_R3, DOOR_R4)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다시 말해, 출입문 연동 릴레이(LDISLR, LDISRR)의 여자 또는 소자여부에 따라 개폐가 제어된다.
이러한 출입문 연동 릴레이(LDISLR, LDISRR)는 좌측 출입문 연동 릴레이(LDISLR) 및 우측 출입문 연동 릴레이(LDISRR)로 구성된다.
좌측 출입문 연동 릴레이의 내부 접점(LDISLR_b)은 전원과 좌측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INDICATOR_DOOR_L1, INDICATOR_DOOR_L2, INDICATOR_DOOR_L3, INDICATOR_DOOR_L4)의 하이레벨의 전원단자(H)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좌측 전동차 출입문(DOOR_L1, DOOR_L2, DOOR_L3, DOOR_L4)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개폐된다.
우측 출입문 연동 릴레이의 내부 접점(LDISRR_b)은 전원과 우측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INDICATOR_DOOR_L1, INDICATOR_DOOR_L2, INDICATOR_DOOR_L3, INDICATOR_DOOR_L4)의 하이레벨의 전원단자(H)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우측 전동차 출입문(DOOR_R1, DOOR_R2, DOOR_R3, DOOR_R4)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개폐된다.
비상 스위치(PAB_L1, PAB_L2, PAB_R1, PAB_R2)는 전원과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INDICATOR_DOOR_L1, INDICATOR_DOOR_L2, INDICATOR_DOOR_L3, INDICATOR_DOOR_L4, INDICATOR_DOOR_R1, INDICATOR_DOOR_R2, INDICATOR_DOOR_R3, INDICATOR_DOOR_R4)의 제어단자(C)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의 점멸을 전동차 내부에서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전동차 출입문(DOOR_L1, DOOR_L2, DOOR_L3, DOOR_L4, DOOR_R1, DOOR_R2, DOOR_R3, DOOR_R4) 모두가 닫힌 경우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INDICATOR_DOOR_L1, INDICATOR_DOOR_L2, INDICATOR_DOOR_L3, INDICATOR_DOOR_L4, INDICATOR_DOOR_R1, INDICATOR_DOOR_R2, INDICATOR_DOOR_R3, INDICATOR_DOOR_R4)이 소등 상태를 유지하고, 전동차 출입문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된 경우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이 점등 상태로 전환되고, 전동차 출입문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된 상태에서 비상 스위치가 턴온(turn on)되는 경우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이 점멸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비상 스위치는 전동차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비상 인터폰의 설치 상태에 따라 턴온과 턴오프(turn off)가 결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상 인터폰은 전동차 내부의 승객이 비상 상태의 발생사실을 외부로 알리기 위한 통신 수단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비상 스위치의 동작을 비상 인터폰의 설치 상태에 연동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승객이 통화를 위하여 비상 인터폰을 누르는 경우에 비상 스위치가 턴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회로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이 소등상태인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1) 좌측 전동차 출입문이 정상적으로 닫힌 상태가 되면 좌측 출입문 연동 릴레이는 여자되고, 2) 좌측 출입문 연동 릴레이가 여자되면 좌측 출입문 연동 릴레이의 보조 접점은 오픈된다. 즉, 좌측 출입문 연동 릴레이의 보조 접점은 노멀 오픈(normal open) 타입이다. 3) 좌측 출입문 연동 릴레이의 보조 접점이 오픈되면 전원으로부터 좌측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으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기 때문에, 좌측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은 소등된다.
우측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의 소등 동작은 좌측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의 소등 동작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3은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이 점등상태인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1) 좌측 전동차 출입문중의 어느 하나가 열린 상태가 되면 좌측 출입문 연동 릴레이는 소자되고, 2) 좌측 출입문 연동 릴레이가 소자되면 노멀 오픈(normal open) 타입의 좌측 출입문 연동 릴레이의 보조 접점은 클로즈(close)된다. 3) 좌측 출입문 연동 릴레이의 보조 접점이 클로즈되면, 전원 - 좌측 출입문 연동 릴레이의 보조 접점 - 좌측 출입문 표시등의 하이레벨의 전원단자(H)로 구성되는 전류 패스가 형성되기 때문에, 전원으로부터 좌측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으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좌측 출입문 표시등은 점등 상태로 전환된다.
우측 전동차 출입문의 점등 동작은 좌측 전동차 출입문의 점등 동작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4는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이 점멸상태인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좌측 전동차 출입문중의 어느 하나가 열린 상태에서 제2 좌측 비상 스위치가 턴온된 경우이다.
도 4를 참조하면, 1) 좌측 전동차 출입문(DOOR_L1, DOOR_L2, DOOR_L3, DOOR_L4)중의 어느 하나가 열린 상태가 되면 좌측 출입문 연동 릴레이(LDISLR)는 소자되고, 2) 좌측 출입문 연동 릴레이(LDISLR)가 소자되면 노멀 오픈(normal open) 타입의 좌측 출입문 연동 릴레이의 보조 접점(LDISLR_b)은 클로즈(close)된다. 3) 좌측 출입문 연동 릴레이의 보조 접점(LDISLR_b)이 클로즈되면, 전원 - 좌측 출입문 연동 릴레이의 보조 접점(LDISLR_b) - 좌측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INDICATOR_DOOR_L1, INDICATOR_DOOR_L2, INDICATOR_DOOR_L3, INDICATOR_DOOR_L4)의 하이레벨의 전원단자(H)로 구성되는 전류 패스가 형성되어, 전원으로부터 좌측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INDICATOR_DOOR_L1, INDICATOR_DOOR_L2, INDICATOR_DOOR_L3, INDICATOR_DOOR_L4)으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진다. 4) 이 상태에서 제2 좌측 비상 스위치(PAB_L2)가 턴온되면, 전원 - 제2 좌측 비상 스위치(PAB_L2) - 제4 좌측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INDICATOR_DOOR_L4)의 제어단자(C)로 구성되는 전류 패스가 형성되어, 전원으로부터 제4 좌측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INDICATOR_DOOR_L4)의 제어 단자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진다. 5) 이와 같이, 제4 좌측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INDICATOR_DOOR_L4)의 하이레벨의 전원단자(H)와 제어단자(C)로 전원이 공급되면, 제4 좌측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INDICATOR_DOOR_L4)은 점멸 상태로 전환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차 출입문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와 전동차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비상 스위치의 동작 상태에 대한 시각적인 정보를 전동차 외부로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동차 운행업무를 수행하는 운행요원이 전동차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비상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전동차의 운행과 관련한 각종 비상사태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로 구성이 단순화되어 전체적인 전동차 제조비용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DOOR_L1, DOOR_L2, DOOR_L3, DOOR_L4, DOOR_R1, DOOR_R2, DOOR_R3, DOOR_R4: 전동차 출입문
DOOR_L1, DOOR_L2, DOOR_L3, DOOR_L4: 좌측 전동차 출입문
DOOR_R1, DOOR_R2, DOOR_R3, DOOR_R4: 우측 전동차 출입문
INDICATOR_DOOR_L1, INDICATOR_DOOR_L2, INDICATOR_DOOR_L3, INDICATOR_DOOR_L4, INDICATOR_DOOR_R1, INDICATOR_DOOR_R2, INDICATOR_DOOR_R3, INDICATOR_DOOR_R4: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INDICATOR_DOOR_L1, INDICATOR_DOOR_L2, INDICATOR_DOOR_L3, INDICATOR_DOOR_L4: 좌측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INDICATOR_DOOR_R1, INDICATOR_DOOR_R2, INDICATOR_DOOR_R3, INDICATOR_DOOR_R4: 우측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LDISLR, LDISRR: 출입문 연동 릴레이
LDISLR: 좌측 출입문 연동 릴레이
LDISRR: 우측 출입문 연동 릴레이
LDISLR_b, LDISRR_b: 출입문 연동 릴레이의 내부 접점
LDISLR_b: 좌측 출입문 연동 릴레이의 내부 접점
LDISRR_b: 우측 출입문 연동 릴레이의 내부 접점
PAB_L1, PAB_L2, PAB_R1, PAB_R2: 비상 스위치

Claims (5)

  1.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에 있어서,
    전동차의 외부에 설치된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전원과 상기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의 하이레벨의 전원단자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개폐되는 내부 접점을 포함하는 출입문 연동 릴레이; 및
    상기 전원과 상기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의 제어단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의 점멸을 상기 전동차 내부에서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비상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은
    상기 전동차 출입문 모두가 닫힌 경우 소등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전동차 출입문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된 경우 점등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전동차 출입문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비상 스위치가 턴온되는 경우 점멸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스위치는 상기 전동차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비상 인터폰의 설치 상태에 따라 턴온과 턴오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연동 릴레이는
    상기 전원과 좌측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의 하이레벨의 전원단자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좌측 출입문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개폐되는 내부 접점을 포함하는 좌측 출입문 연동 릴레이; 및
    상기 전원과 우측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의 하이레벨의 전원단자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우측 출입문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개폐되는 내부 접점을 포함하는 우측 출입문 연동 릴레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
KR1020100020407A 2010-03-08 2010-03-08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 KR101135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407A KR101135046B1 (ko) 2010-03-08 2010-03-08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407A KR101135046B1 (ko) 2010-03-08 2010-03-08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421A true KR20110101421A (ko) 2011-09-16
KR101135046B1 KR101135046B1 (ko) 2012-04-13

Family

ID=44953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407A KR101135046B1 (ko) 2010-03-08 2010-03-08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0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8001A (zh) * 2018-08-30 2019-01-11 工业和信息化部电子第五研究所华东分所 一种地铁车门控制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20836B (zh) * 2016-10-12 2018-11-13 天津市美络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互锁控制器内部控制电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140B1 (ko) 2001-06-20 2003-10-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도시철도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방법
KR100831660B1 (ko) 2006-11-29 2008-05-23 현대로템 주식회사 전동차 출입문 비상핸들장치
KR100889616B1 (ko) 2008-02-26 2009-03-20 이진형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
KR20100011872A (ko) * 2008-07-25 2010-02-03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이중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 출입문 제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8001A (zh) * 2018-08-30 2019-01-11 工业和信息化部电子第五研究所华东分所 一种地铁车门控制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178001B (zh) * 2018-08-30 2020-06-26 工业和信息化部电子第五研究所华东分所 一种地铁车门控制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5046B1 (ko) 201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0092U (ko) 차문개폐 시의 자동조명강화 및 경고용 안전장치
EP3243701B1 (en) Passenger communication lighting
KR101135046B1 (ko)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
KR101252542B1 (ko)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
ITTO20110172A1 (it) Dispositivo di sollevamento e abbassamento della ruota di scorta di un veicolo.
KR101434307B1 (ko)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회로 및 그 철도차량
JP2006196251A (ja) インターロック回路
KR101094992B1 (ko) 전동차 출입문 개폐정보 표시장치
KR101181621B1 (ko) 전동차 출입문 연동개방장치
KR100659709B1 (ko) 조작스위치가 구비되는 경량전철용 방송장치 조작판넬
KR101548582B1 (ko) 열차의 판토그래프 제어회로
US20140153269A1 (en) Vehicle Auxiliary Lighting System
JP4847065B2 (ja) 鉄道車両用照明装置
KR20110001737U (ko) 취소가 가능한 버스 하차 알림용 버튼 장치
KR20210000661U (ko) 택시 방범등 장치
JP6434374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内照明装置
JP7202562B2 (ja) 鉄道車両の車内案内システム及び車内案内方法
KR101074718B1 (ko) 철도차량의 도어 제어회로
KR101957052B1 (ko) 철도차량용 출입문 정보표시 장치
CN211171732U (zh) 加装在闸道机箱上具有警示功能的装置
US20230257229A1 (en) Illumination device for an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illuminating an elevator shaft
CN2866249Y (zh) 车用求助灯
KR102222591B1 (ko)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헤드램프
KR100633704B1 (ko) 화재 발생시 전원 차단을 방지하는 전원 회로
CN206769657U (zh) 电动门及电动踏步的双重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