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307B1 -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회로 및 그 철도차량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회로 및 그 철도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307B1
KR101434307B1 KR1020130086646A KR20130086646A KR101434307B1 KR 101434307 B1 KR101434307 B1 KR 101434307B1 KR 1020130086646 A KR1020130086646 A KR 1020130086646A KR 20130086646 A KR20130086646 A KR 20130086646A KR 101434307 B1 KR101434307 B1 KR 101434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opening
relay
contact
righ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춘용
이용철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6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E05F15/659Control circui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0Fault detection
    • E05Y2400/504Fault detection of control, of softwa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railway 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회로 및 그 철도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가 있는 철도차량의 안전성을 고려한 출입문 제어 인터록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회로는 양 제어차의 운전실에 각각 구비되는 제1,2좌측출입문 열림스위치와 제1,2우측출입문 열림스위치 및 출입문닫힘 스위치와, 상기 제1,2좌측출입문 열림스위치와 제1,2우측출입문 열림스위치에 연결되는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와, 상기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의 접점이 연결되는 경우 해당 출입문에 열림신호를 전달하는 제1,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와 제1,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와, 상기 양 제어차 간에 인통선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제어차전환 계전기와, 상기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의 고장으로 접점이 계속 붙어있는 경우 제1,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나 제1,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의 여자에 의해 해당 출입문에 열림신호를 전달하고, 다른 제어차의 출입문닫힘 스위치가 조작되어 제어차전환 계전기가 여자되면 제1,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와 제1,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를 소자시켜 출입문을 닫히게 하는 인터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회로 및 그 철도차량 {Door control circuit of railway vehicles and the railway vehicles}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회로 및 그 철도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가 있는 철도차량의 안전성을 고려한 출입문 제어 인터록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에 있어서 각 차량의 양쪽에는 수개의 승객용 출입문이 구비되며, 상기 출입문은 선두차 또는 후부차의 운전자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고, 각 출입문에는 비상사태 발생시에 승객이 직접 문을 열 수 있도록 비상개폐장치가 구비된다.
이 철도차량 출입문의 개폐 여부를 인식하는 장치는 출입문이나 전동차 자체에 기계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출입문의 개폐시 출입문의 개폐 여부를 기계적으로 연계된 방식에 의해서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출입문 구동 방식은 공압식과 전기식이 있는데, 과거에는 공압식을 주로 사용하였고, 최근 들어 소형 모터 및 제어기술의 발달로 전기식 구동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이와 같은 종래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회로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두차(제1제어차(TC1))와 후부차(제2제어차(TC2))에 출입문 제어회로가 각각 구성되고, 각 제어회로는 제어차간 인통선을 통해 연결된다.
각 제어회로의 연결관계를 살펴보면, (+)제어전원은 전원차단기(NFB)와 출입문닫힘 스위치(DCS)를 통해 각각 직렬연결된 제1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1,LDOR1)의 a접점과, 제1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RDOR1,RDOR1)의 a접점 일측에 병렬 연결된다.
상기 제1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1)의 a접점과, 제1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RDOR1)의 a접점 타측은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10) 내의 좌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TLDOR)의 a접점과 우측출입문 열립방향제어 계전기(TRDOR)의 a접점에 연결되는 한편, 출입문닫힘 스위치(DCS)와 제어차전환 계전기(DBPR)의 b접점을 통해, 하나는 제1좌측출입문 열림스위치(LDOS1)와 제2좌측출입문 열림스위치(LDOS2)를 거쳐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10)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제1우측출입문 열림스위치(RDOS1)와 제2우측출입문 열림스위치(RDOS2)를 거쳐 상기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1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좌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TLDOR)의 a접점 타측은 다이오드(D)를 통과한 후 분기되어 각각 제1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1)의 코일과 제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2)의 코일을 거쳐 (-)제어전원에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우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TRDOR)의 a접점 타측은 다이오드(D)를 통과한 후 분기되어 각각 제1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RDOR1)의 코일과 제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RDOR2)의 코일을 거쳐 (-)제어전원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어차전환 계전기(DBPR)의 b접점은 제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2)의 a접점을 통해 상기 제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2)의 코일에 연결되는 한편, 제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RDOR2)의 a접점을 통해 상기 제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RDOR2)의 코일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어전원과 (-)제어전원은 상기 전원차단기(NFB)와 출입문담힘 스위치(DCS) 및 제어차전환 계전기(DBPR)의 코일을 통해 연결되고, 각 제어차의 출입문담힘 스위치(DCS)와 제어차전환 계전기(DBPR)의 코일 사이는 제어차간 인통선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제어차전환 계전기(DBPR)는 예를 들어 선두차(TC1)와 후부차(TC2)를 바꾸어 운행하는 경우 외부의 조작없이 출입문을 원활히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출입문 제어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좌측출입문을 여는 동작을 설명하고 종래 출입문 제어회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철도차량을 운행하다가 역사에 도착하여 좌측의 출입문을 열어야 하는 경우 운전실의 운전자는 제1,2좌측도어 열림스위치(LDOS1,LDOS2)를 조작한다(경로 1).
이에 대하여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10)의 판단에 따라 좌측출입문이 조작되는 것이 맞으면, 경로 2와 같이 출입문 방향 제어장(10)치 내의 좌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TLDOR)의 a접점이 연결되어 제1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1)의 코일과 제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2)의 코일을 여자시킨다.
이에 의해 제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2)의 a접점이 붙게 되면 좌측출입문 열림신호가 좌측출입문에 전달되어 좌측출입문이 열리게 된다(경로 3).
그리고 제1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1)의 코일과 제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2)의 코일이 여자되면 경로 3의 자기 유지 회로가 구성되고,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10) 내의 좌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TLDOR)의 a접점이 떨어져(소자되어) 경로 2의 구성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좌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TLDOR)의 접점이 소자되더라도 경로 3의 자기 유지 구성이 해제되지 않고 있어 좌측출입문 열림이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좌측출입문이 열린 후,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10) 내의 좌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TLDOR)의 a접점이 고착되거나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10)의 오류로 좌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TLDOR)가 소자되지 않게 되면 좌측출입문이 닫히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좌측출입문이 열린 상태에서 운전실 교환하기 위하여 반대편의 후부차(TC2) 운전실에서 경로 4와 같이 출입문닫힘 스위치(DCS)를 조작하면, 선두차(TC1)의 제어차전환 계전기(DBPR)의 코일이 여자되어 제어차전환 계전기(DBPR)의 b접점으로 시작되는 경로 3의 자기 유지 구성이 해제되더라도 제어차전환 계전기(DBPR)의 b접점이 계속하여 접점이 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경로 2가 계속 구성되어 있어 제1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1)의 코일과 제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2)의 코일이 소자되지 않고 좌측출입문은 열림 상태를 계속 유지하여 좌측출입문을 닫을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회로에 의하면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의 접점 출력이 비정상적으로 동작을 할 경우 출입문이 닫히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번호 10-2013-0033015(2013년04월03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가 있는 제어회로에 인터록 회로를 적용하여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의 고장이 있더라도 출입문이 제어되지 않는 가능성을 차단함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보증할 수 있는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회로 및 그 철도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회로는 양 제어차의 운전실에 각각 구비되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제1,2좌측출입문 열림스위치와 제1,2우측출입문 열림스위치 및 출입문닫힘 스위치;
상기 제1,2좌측출입문 열림스위치와 제1,2우측출입문 열림스위치에 연결되어 제1,2좌측출입문 열림스위치와 제1,2우측출입문 열림스위치의 조작을 판단하여 해당 열림스위치측의 출입문으로 접점을 연결하는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
상기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의 접점이 연결되는 경우 여자되어 접점이 연결된 측의 출입문에 열림신호를 전달하는 제1,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와 제1,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
상기 양 제어차 간에 인통선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제어차전환 계전기; 및
상기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의 고장으로 접점이 계속 붙어있는 경우, 제1,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나 제1,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의 여자에 의해 해당 출입문에 열림신호를 전달하고, 다른 제어차의 출입문닫힘 스위치가 조작되어 제어차전환 계전기가 여자되면 제1,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와 제1,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를 소자시켜 출입문을 닫히게 하는 인터록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2좌측출입문 열림스위치가 조작되거나, 상기 제1,2우측출입문 열림스위치가 조작되어 경로 1을 구성하고,
상기 경로 1의 구성에 의해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의 접점이 연결되어 병렬연결된 제1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의 코일과 제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의 코일이 여자되거나, 상기 제1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의 코일과 제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의 코일이 여자되어 경로 2를 구성하며,
상기 경로 2의 구성에 의해 제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의 a접점을 통해 좌측출입문 열림신호가 전달되거나, 상기 제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의 a접점을 통해 우측출입문 열림신호가 전달되어 경로 3을 구성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로 2를 구성하는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는 제1,2좌측출입문 열림스위치에 연결되어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에서 제1,2좌측출입문 열림스위치의 조작으로 판단한 경우 좌측출입문과 접점을 연결하는 좌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의 a접점과,
제1,2우측출입문 열림스위치에 연결되어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에서 제1,2우측출입문 열림스위치의 조작으로 판단한 경우 우측출입문과 접점을 연결하는 우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의 a접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터록수단은 경로 2를 구성하는 제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의 코일 전단에 연결되는 제1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의 a접점과, 상기 좌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의 전단에 연결되는 제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의 b접점과, 상기 제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의 코일 전단에 연결되는 제1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의 a접점과, 상기 우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의 전단에 연결되는 제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의 b접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은 상술한 어느 한 항의 출입문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의도하지 않은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의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출입문 제어가 불가능한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여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회로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출입문 제어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회로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출입문 제어회로의 제1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출입문 제어회로의 제2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회로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 나타낸 종래 제어회로의 좌측출입문 열림 동작시 경로 2에, 좌측출입문 제어가 되지 않는 가능성을 차단하는 인터록수단으로 제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2)의 b접점과 제1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1)의 a접점이 추가되어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이에 대응되는 우측출입문 열림동작시 경로 2에도 우측출입문 제어가 되지 않는 가능성을 차단하는 인터록수단으로 제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RDOR2)의 b접점과 제1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RDOR1)의 a접점이 추가되어 연결된다(도 5 참조).
이러한 제어회로의 연결관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선두차(제1제어차(TC1))와 후부차(제2제어차(TC2))에 출입문 제어회로가 각각 구성되고, 각 제어회로는 제어차간 인통선을 통해 연결된다.
먼저, (+)제어전원은 전원차단기(NFB)와 출입문닫힘 스위치(DCS)를 통해 각각 직렬연결된 제1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1,LDOR1)의 a접점과, 제1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RDOR1,RDOR1)의 a접점 일측에 병렬 연결된다.
상기 제1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1)의 a접점과, 제1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RDOR1)의 a접점 타측은 제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2)의 b접점을 통해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10)에 연결되고 제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RDOR2)의 b접점을 통해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1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1)의 a접점과, 제1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RDOR1)의 a접점 타측은 출입문닫힘 스위치(DCS)와 제어차전환 계전기(DBPR)의 b접점을 통해, 하나는 제1좌측출입문 열림스위치(LDOS1)와 제2좌측출입문 열림스위치(LDOS2)를 거쳐 상기 좌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TLDOR)의 a접점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제1우측출입문 열림스위치(RDOS1)와 제2우측출입문 열림스위치(RDOS2)를 거쳐 상기 제2우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TRDOR2)의 a접점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좌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TLDOR)의 a접점 타측은 다이오드(D)를 통과한 후 분기되어 각각 제1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1)의 코일을 거치고, 제1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1)의 a접점과 제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2)의 코일을 거쳐 (-)제어전원에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우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TRDOR)의 a접점 타측은 다이오드(D)를 통과한 후 분기되어 각각 제1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RDOR1)의 코일을 거치고, 제1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RDOR1)의 a접점과 제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RDOR2)의 코일을 거쳐 (-)제어전원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어차전환 계전기(DBPR)의 b접점은 제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2)의 a접점을 통해 상기 추가된 제1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1)의 a접점에 연결되는 한편, 제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RDOR2)의 a접점을 통해 상기 추가된 제1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RDOR1)의 a접점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어전원과 (-)제어전원은 상기 전원차단기(NFB)와 출입문담힘 스위치(DCS) 및 제어차전환 계전기(DBPR)의 코일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각 제어차의 출입문담힘 스위치(DCS)와 제어차전환 계전기(DBPR)의 코일 사이는 제어차간 인통선을 통해 연결된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출입문 제어회로의 제1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좌측출입문의 열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철도차량을 운행하다가 역사에 도착하여 좌측의 출입문을 열어야 하는 경우 운전실의 운전자는 제1,2좌측도어 열림스위치(LDOS1,LDOS2)를 조작한다(경로 1).
이에 대하여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10)의 판단에 따라 좌측출입문이 조작되는 것이 맞으면, 경로 2와 같이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10) 내의 좌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TLDOR)의 a접점이 연결되면서 제1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1)의 코일에 공급되어 여자되고, 이후 제1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1)의 a접점이 연결되면서 제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2)의 코일이 여자된다.
이에 의해 제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2)의 a접점이 붙게 되면 좌측출입문 열림신호가 좌측출입문에 전달되어 좌측출입문이 열리게 된다(경로 3).
그리고 제1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1)의 코일과 제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2)의 코일이 여자되면 경로 3의 자기 유지 회로가 구성되고,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10) 내의 좌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TLDOR)의 a접점이 떨어져(소자되어) 경로 2의 구성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좌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TLDOR)의 a접점이 소자되더라도 경로 3의 자기 유지 구성이 해제되지 않고 있어 좌측출입문 열림이 유지된다.
이와 같이 좌측출입문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다가 좌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TLDOR)의 a접점이 고착되거나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10)의 오류로 좌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TLDOR)가 소자되지 않게 되었을 경우, 제1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1)의 코일이 여자된 후 제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2)의 코일이 여자된다.
상기 제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2)의 코일이 여자되면, 제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2)의 a접점을 통해 좌측출입문 열림신호가 좌측출입문에 전달된다.
또한. 상기 제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2)의 코일이 여자되었으므로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10) 내의 좌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TLDOR)의 a접점의 동작유무와는 상관없이 새로 추가된 제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2)의 b접점이 동작하여 경로 2를 끊어주게 된다.
이 상태에서 운전실을 교환하여 후부차(TC2)의 운전실에서 도어닫힘 스위치(DCS)를 조작하면, 경로 4와 같이 제어차전환 계전기(DBPR)의 코일이 여자되어 경로 1의 구성을 끊어주고, 최종적으로 제1,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LDOR1,LDOR2)의 코일이 모두 소자되어 좌측출입문이 닫히게 된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출입문 제어회로의 제2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우측출입문의 열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철도차량을 운행하다가 역사에 도착하여 우측의 출입문을 열어야 하는 경우 운전실의 운전자는 제1,2우측도어 열림스위치(RDOS1,RDOS2)를 조작한다(경로 1).
이에 대하여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10)의 판단에 따라 우측출입문이 조작되는 것이 맞으면, 경로 2와 같이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10) 내의 우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TRDOR)의 a접점이 연결되면서 먼저 제1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RDOR1)의 코일이 여자되고, 이후 제1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RDOR1)의 a접점이 연결되면서 제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RDOR2)의 코일이 여자된다.
이에 의해 제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RDOR2)의 a접점이 붙게 되면 우측출입문 열림신호가 우측출입문에 전달되어 우측출입문이 열리게 된다(경로 3).
그리고 제1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RDOR1)의 코일과 제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RDOR2)의 코일이 여자되면 경로 3의 자기 유지 회로가 구성되고,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10) 내의 우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TRDOR)의 접점이 떨어져(소자되어) 경로 2의 구성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우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TRDOR)의 a접점이 소자되더라도 경로 3의 자기 유지 구성이 해제되지 않고 있어 우측출입문 열림이 유지된다.
이와 같이 우측출입문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다가 우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TRDOR)의 a접점이 고착되거나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10)의 오류로 우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TRDOR)가 소자되지 않게 되었을 경우, 제1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RDOR1)의 코일이 여자된 후 제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RDOR2)의 코일이 여자된다.
제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RDOR2)의 코일이 여자되면, 제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RDOR2)의 a접점을 통해 우측출입문 열림신호가 우측출입문에 전달된다.
또한. 상기 제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RDOR2)의 코일이 여자되었으므로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10) 내의 우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TRDOR)의 a접점의 동작유무와는 상관없이 새로 추가된 제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FROR2)의 b접점이 동작하여 경로 2를 끊어주게 된다.
이 상태에서 운전실을 교환하여 후부차의 운전실에서 도어닫힘 스위치(DCS)를 조작하면, 경로 4와 같이 제어차전환 계전기(DBPR)의 코일이 여자되어 경로 1의 구성을 끊어주고, 최종적으로 제1,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RDOR1,RDOR2)의 코일이 모두 소자되어 우측출입문이 닫히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 DBPR: 제어차전환 계전기
DCS: 출입문닫힘 스위치
LDOR1,2: 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
LDOS1,2: 좌측출입문 열림스위치
RDOR1,2: 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
RDOS1,2: 우측출입문 열림스위치
TLDOR: 좌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
TRDOR: 우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

Claims (5)

  1. 양 제어차의 운전실에 각각 구비되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제1,2좌측출입문 열림스위치와 제1,2우측출입문 열림스위치 및 출입문닫힘 스위치;
    상기 제1,2좌측출입문 열림스위치와 제1,2우측출입문 열림스위치에 연결되어 제1,2좌측출입문 열림스위치와 제1,2우측출입문 열림스위치의 조작을 판단하여 해당 열림스위치측의 출입문으로 접점을 연결하는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
    상기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의 접점이 연결되는 경우 여자되어 접점이 연결된 측의 출입문에 열림신호를 전달하는 제1,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와 제1,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
    상기 양 제어차 간에 인통선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제어차전환 계전기; 및
    상기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의 고장으로 접점이 계속 붙어있는 경우 제1,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나 제1,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의 여자에 의해 해당 출입문에 열림신호를 전달하고, 다른 제어차의 출입문닫힘 스위치가 조작되어 제어차전환 계전기가 여자되면 제1,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와 제1,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를 소자시켜 출입문을 닫히게 하는 인터록수단;
    을 포함하는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좌측출입문 열림스위치가 조작되거나, 상기 제1,2우측출입문 열림스위치가 조작되어 경로 1를 구성하고,
    상기 경로 1의 구성에 의해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의 접점이 연결되어 병렬연결된 제1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의 코일과 제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의 코일이 여자되거나, 상기 제1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의 코일과 제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의 코일이 여자되어 경로 2를 구성하며,
    상기 경로 2의 구성에 의해 제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의 a접점을 통해 좌측출입문 열림신호가 전달되거나, 상기 제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의 a접점을 통해 우측출입문 열림신호가 전달되어 경로 3를 구성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2를 구성하는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는 제1,2좌측출입문 열림스위치에 연결되어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에서 제1,2좌측출입문 열림스위치의 조작으로 판단한 경우 좌측출입문과 접점을 연결하는 좌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의 a접점과,
    제1,2우측출입문 열림스위치에 연결되어 출입문 방향 제어장치에서 제1,2우측출입문 열림스위치의 조작으로 판단한 경우 우측출입문과 접점을 연결하는 우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의 a접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수단은 경로 2를 구성하는 제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의 코일 전단에 연결되는 제1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의 a접점과, 상기 좌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의 전단에 연결되는 제2좌측출입문 열림계전기의 b접점과, 상기 제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의 코일 전단에 연결되는 제1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의 a접점과, 상기 우측출입문 열림방향제어 계전기의 전단에 연결되는 제2우측출입문 열림계전기의 b접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회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출입문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철도차량.
KR1020130086646A 2013-07-23 2013-07-23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회로 및 그 철도차량 KR101434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646A KR101434307B1 (ko) 2013-07-23 2013-07-23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회로 및 그 철도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646A KR101434307B1 (ko) 2013-07-23 2013-07-23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회로 및 그 철도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4307B1 true KR101434307B1 (ko) 2014-08-26

Family

ID=51751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646A KR101434307B1 (ko) 2013-07-23 2013-07-23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회로 및 그 철도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3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491B1 (ko) * 2017-02-27 2018-06-01 현대로템 주식회사 출입문 선택 제어 회로
KR102055211B1 (ko) * 2018-12-11 2019-12-13 홍건표 전동차 출입문 열림 보완장치
CN113467364A (zh) * 2021-07-30 2021-10-01 成都地铁运营有限公司 一种地铁站台门pedc应急装置
KR20210156370A (ko) 2020-06-17 2021-12-27 서울시메트로구호선 주식회사 알람 메시지가 개선된 전동차 열차종합제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872U (ko) * 1998-12-31 2000-07-25 추호석 출입문 제어회로
KR20000014861U (ko) * 1998-12-31 2000-07-25 추호석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장치
KR100844187B1 (ko) * 2007-05-17 2008-07-04 현대로템 주식회사 출입문 재 개/폐 제어장치
KR101242147B1 (ko) * 2011-02-25 2013-03-11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 출입문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872U (ko) * 1998-12-31 2000-07-25 추호석 출입문 제어회로
KR20000014861U (ko) * 1998-12-31 2000-07-25 추호석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장치
KR100844187B1 (ko) * 2007-05-17 2008-07-04 현대로템 주식회사 출입문 재 개/폐 제어장치
KR101242147B1 (ko) * 2011-02-25 2013-03-11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 출입문 제어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491B1 (ko) * 2017-02-27 2018-06-01 현대로템 주식회사 출입문 선택 제어 회로
KR102055211B1 (ko) * 2018-12-11 2019-12-13 홍건표 전동차 출입문 열림 보완장치
KR20210156370A (ko) 2020-06-17 2021-12-27 서울시메트로구호선 주식회사 알람 메시지가 개선된 전동차 열차종합제어장치
CN113467364A (zh) * 2021-07-30 2021-10-01 成都地铁运营有限公司 一种地铁站台门pedc应急装置
CN113467364B (zh) * 2021-07-30 2024-03-19 成都地铁运营有限公司 一种地铁站台门pedc应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755B1 (ko) 철도 차량용 도어 제어 시스템
KR101434307B1 (ko)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회로 및 그 철도차량
EP1785237B1 (en) Robot control device
EP2724885B1 (en) Trai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trai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CN109162544B (zh) 一种无人驾驶地铁列车的车门电解锁控制电路
KR101252541B1 (ko) 철도차량의 비상제동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CN101233037B (zh) 用于使损坏的门停止运转的方法和装置
KR101164022B1 (ko) 철도차량의 추진제어회로
WO2020192119A1 (zh) 一种列车换端方法、系统及列车
CN103615172A (zh) 具有双侧开关门控制的电动客车车辆门控外部电路
KR101252542B1 (ko)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
CN110654238A (zh) 一种新能源车辆电气系统及安全断电控制方法
KR101512083B1 (ko) 고속열차 승강문 제어시스템 및 방법
CN112780146B (zh) 一种列车车门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202272002U (zh) 带有安全互锁回路保护装置的轨道车辆门系统
KR100889792B1 (ko) 열차출입문 제어시스템
JP5881325B2 (ja) 車両用戸閉制御装置
KR101074718B1 (ko) 철도차량의 도어 제어회로
KR20100020616A (ko) 철도차량의 출입문 개폐 장치
CN111016939B (zh) 一种地铁车辆h 型逻辑控制电路
CN111114341B (zh) 用于轨道车辆的停站控制系统及轨道车辆
KR101548582B1 (ko) 열차의 판토그래프 제어회로
KR101445935B1 (ko) 열차의 신호제어장치 및 신호제어 시스템
KR102055211B1 (ko) 전동차 출입문 열림 보완장치
KR101135046B1 (ko)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