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0616A - 철도차량의 출입문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출입문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0616A
KR20100020616A KR1020080079293A KR20080079293A KR20100020616A KR 20100020616 A KR20100020616 A KR 20100020616A KR 1020080079293 A KR1020080079293 A KR 1020080079293A KR 20080079293 A KR20080079293 A KR 20080079293A KR 20100020616 A KR20100020616 A KR 20100020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losing
closed
opening
railwa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덕
남학기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9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0616A/ko
Publication of KR20100020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6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6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for utility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61C17/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driving cabins, footplates or engine rooms; Ventil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therefore
    • E05Y2400/445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railway 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44Tailboards or sideboards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각 객차에 각기 설치된 각 출입문의 닫힘 장애를 운전실에 설치된 장애 감지 장치가 취합검출하도록 하여, 출입문 폐쇄 시 장애 감지 장치가 닫힘 장애 출입문을 해당 출입문 구동부를 통해 재개폐하도록 하는 철도차량의 출입문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각 객차에 각기 설치된 각 출입문을 각기 개폐하는 복수의 출입문 구동부를 구비한 출입문 개폐 장치로서, 상기 각 출입문의 개폐를 각기 감지하는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 출입문 전체 폐쇄 시 상기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로부터 닫힘 장애 출입문을 취합검출하여, 해당 출입문 구동부에게 재개폐 명령을 제공해서 닫힘 장애 출입문을 재개폐하도록 하는 장애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철도차량의 각 객차에 설치된 각 출입문의 닫힘 장애를 운전실에 설치된 하나의 장애 감지 장치(32)가 취합검출하도록 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하락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비용도 하락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철도차량의 출입문 개폐 장치{APPARATUS FOR DOOR OPEN/CLOSE OF TRAIN}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출입문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도차량의 각 객차에 각기 설치된 각 출입문의 닫힘 장애를 운전실에 설치된 장애 감지 장치가 취합검출하도록 하여, 출입문 폐쇄(close) 시 장애 감지 장치가 닫힘 장애 출입문을 해당 출입문 구동부를 통해 재개폐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의 출입문에 승객의 소지품 등 특정 물체가 낄 경우, 수동 또는 자동으로 출입문을 재개폐하여 출입문에 끼였던 물체를 빼내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철도차량의 출입문 개폐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설치된 재개폐 스위치(10) 및 객차의 출입문 부근에 설치된 공기식 출입문 구동부(12)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운전자는 철도차량을 출발시키기 위해 먼저 운전실에 구비된 클로우즈 스위치(도면 중에 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하여 철도차량의 각 객차에 각기 설치된 각 출입문을 모두 닫는다.
그런데 특정 출입문에 승객의 소지품 등 특정 물체가 낄 경우, 해당 출입문이 닫히지 않는다. 이때 특정 출입문이 완전하게 닫히지 않을 경우, 닫히지 않은 출입문의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가 접점을 이루지 못하고, 이와 같은 리미트 스위치의 접점 온/오프 상태가 운전실로 제공됨으로써 운전자가 출입문 전체 닫힘이 되지 않았음을 알게 된다.
즉, 운전자는 클로우즈 스위치를 조작하여 출입문 전체 닫기를 수행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도 출입문 전체 닫힘이 되지 않을 경우, 운전실에 설치된 재개폐 스위치(10)를 직접 조작하여 각 객차의 출입문 부근에 각기 설치된 공기식 출입문 구동부(12)에게 재개폐 명령을 제공한다.
따라서 각 공기식 출입문 구동부(12)는 재개폐 스위치(10)의 재개폐 명령에 따라 각기 자신의 출입문을 재개폐시킨다.
이와 같이 출입문이 재개폐될 때 승객은 출입문에 끼였던 자신의 물체를 빼낸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운전자가 수동으로 복수의 출입문을 재개폐하는 것이 철도차량의 운전에 몰두해야 하는 운전자에게 부담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출입문 중 어느 하나의 출입문에 물체가 낄 경우에도 모든 출입문을 재개폐하기 때문에 다른 복수의 출입문이 재개폐되는 동안에 다른 출입문에 낌이 발생 될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철도차량의 출입문 개폐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설치된 클로우즈 스위치(20), 객차의 출입문 부근에 세트(set)로 설치된 출입문 제어 장치(DCU, Door Control Unit)(22), 공기식 출입문 구동부(24), 리미트 스위치(26)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운전자는 철도차량을 출발시키기 위해 먼저 운전실에 구비된 클로우즈 스위치(20)를 조작하여 철도차량의 각 객차에 각기 설치된 각 출입문을 모두 닫는다.
그런데 특정 출입문에 승객의 소지품 등 특정 물체가 낄 경우, 해당 출입문이 닫히지 않는다. 이때 특정 출입문이 완전하게 닫히지 않을 경우 해당 출입문의 리미트 스위치(26)가 접점을 이루지 못하고, 이와 같은 리미트 스위치(26)의 접점 온/오프 상태가 출입문 제어 장치(22)로 제공된다.
출입문 제어 장치(22)는 클로우즈 스위치(20)로부터 출입문 닫힘 신호를 받은 후 일정 시간이 지나도 리미트 스위치(26)로부터 출입문 닫힘 신호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 공기식 출입문 구동부(24)에게 재개폐 명령을 제공하여 공기식 출입문 구동부(24)가 자신의 출입문을 재개폐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출입문이 재개폐될 때 승객은 출입문에 끼였던 자신의 물체를 빼낸다.
이와 같은 도 2에 따른 종래의 기술은 장애가 발생한 출입문만을 재개폐하기 때문에, 도 1에 따른 종래의 기술에서 하나의 출입문이라도 장애 발생 시 모든 출입문을 재개폐하도록 했던 문제점을 해결한 반면, 각 출입문 부근마다 고가의 출입 문 제어 장치(22)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철도차량의 각 객차에 각기 설치된 각 출입문의 닫힘 장애를 운전실에 설치된 장애 감지 장치가 취합검출하도록 하여, 출입문 폐쇄 시 장애 감지 장치가 닫힘 장애 출입문을 해당 출입문 구동부를 통해 재개폐하도록 하는 철도차량의 출입문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철도차량의 각 객차에 각기 설치된 각 출입문을 각기 개폐하는 복수의 출입문 구동부를 구비한 출입문 개폐 장치로서, 상기 각 출입문의 개폐를 각기 감지하는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 출입문 전체 폐쇄 시 상기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로부터 닫힘 장애 출입문을 취합검출하여, 해당 출입문 구동부에게 재개폐 명령을 제공해서 닫힘 장애 출입문을 재개폐하도록 하는 장애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각 출입문 부근에 각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애 감지 장치는 상기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각 객차에 각기 설치된 각 출입문의 닫힘 장애를 운전실에 설치된 장애 감지 장치(32)가 취합검출하도록 하여, 출입문 폐쇄 시 장애 감지 장치(32)가 닫힘 장애 출입문을 해당 출입문 구동부를 통해 재개폐하도록 한다.
따라서 철도차량의 각 객차에 설치된 각 출입문의 닫힘 장애를 운전실에 설치된 하나의 장애 감지 장치(32)가 취합검출하도록 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하락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비용도 하락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출입문 개폐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설치된 클로우즈 스위치(30) 및 장애 감지 장치(32), 객차의 출입문 부근에 설치된 공기식 출입문 구동부(34) 및 리미트 스위치(36)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철도차량의 각 객차에 각기 설치된 각 출입문 부근에 각 각 설치된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36)는 각 출입문의 개폐를 각기 감지하여 장애 감지 장치(32)로 제공한다.
즉,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36)는 자신의 출입문이 닫혀있을 때는 접점을 오프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가 출입문이 완전히 열리게 되면 연동하여 접점을 온 상태로 전환시킨다. 이와 같은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36)의 접점 온/오프 상태가 장애 감지 장치(32)로 각기 제공됨으로써 장애 감지 장치(32)는 복수의 출입문의 닫힘 장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36)의 접점 온/오프를 반대로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장애 감지 장치(32)는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설치되고, 출입문 전체 폐쇄 시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36)로부터 닫힘 장애 출입문을 취합검출한다.
장애 감지 장치(32)는 해당 닫힘 장애 출입문의 공기식 출입문 구동부(34)에게 재개폐 명령을 제공해서 공기식 출입문 구동부(34)가 해당 닫힘 장애 출입문을 재개폐하도록 한다. 이때 운전자가 클로우즈 스위치(30)를 조작하여 출입문 전체를 폐쇄시키고자할 경우 이에 대응하는 클로우즈 스위치(30)의 출입문 클로우즈 신호가 장애 감지 장치(32)로 제공된다.
여기서 하나의 장애 감지 장치(32)와 복수의 공기식 출입문 구동부(34) 간, 하나의 장애 감지 장치(32)와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36) 간에는 하나의 통신선을 통해 통신이 가능하다. 이때 복수의 공기식 출입문 구동부(34) 및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36)를 구분하기 위한 각각의 식별자가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철도차량의 출입문 개폐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철도차량의 출입문 개폐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출입문 개폐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Claims (3)

  1. 철도차량의 각 객차에 각기 설치된 각 출입문을 각기 개폐하는 복수의 출입문 구동부를 구비한 출입문 개폐 장치로서,
    상기 각 출입문의 개폐를 각기 감지하는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
    출입문 전체 폐쇄 시 상기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로부터 닫힘 장애 출입문을 취합검출하여, 해당 출입문 구동부에게 재개폐 명령을 제공해서 닫힘 장애 출입문을 재개폐하도록 하는 장애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출입문 개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각 출입문 부근에 각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출입문 개폐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애 감지 장치는 상기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출입문 개폐 장치.
KR1020080079293A 2008-08-13 2008-08-13 철도차량의 출입문 개폐 장치 KR201000206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293A KR20100020616A (ko) 2008-08-13 2008-08-13 철도차량의 출입문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293A KR20100020616A (ko) 2008-08-13 2008-08-13 철도차량의 출입문 개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616A true KR20100020616A (ko) 2010-02-23

Family

ID=42090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293A KR20100020616A (ko) 2008-08-13 2008-08-13 철도차량의 출입문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061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529B1 (ko) * 2013-01-31 2014-11-27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장치
CN106274926A (zh) * 2016-08-31 2017-01-04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车门关闭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KR102624427B1 (ko) 2022-12-12 2024-01-16 인터콘시스템스 주식회사 철도차량 출입문 동작 확인용 자기근접센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529B1 (ko) * 2013-01-31 2014-11-27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장치
CN106274926A (zh) * 2016-08-31 2017-01-04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车门关闭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KR102624427B1 (ko) 2022-12-12 2024-01-16 인터콘시스템스 주식회사 철도차량 출입문 동작 확인용 자기근접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2773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activating defective doors
US8650799B2 (en) Vehicle door opening warning system
CN105383525B (zh) 一种自动驾驶列车和站台的控制系统
CN106274926B (zh) 一种轨道车辆车门关闭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CN102979396B (zh) 城轨车辆车门控制方法
CN1157525C (zh) 一滑动式滑门或摆动式滑门在其关闭的终点区的运动控制
KR101738308B1 (ko)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 도어 구동장치
CN102303615B (zh) 一种城轨车辆防错开门装置及其防错开门方法
KR20100020616A (ko) 철도차량의 출입문 개폐 장치
CN210714273U (zh) 一种地铁屏蔽门监测装置
JP5851829B2 (ja) ホームドアシステム
KR100633392B1 (ko) 스크린도어 제어시스템
KR101014256B1 (ko)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안전 장치
KR101434307B1 (ko)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회로 및 그 철도차량
KR101512083B1 (ko) 고속열차 승강문 제어시스템 및 방법
CN112780146B (zh) 一种列车车门控制系统及控制方法
JP2006231948A (ja) 可動式ホーム柵システム
KR101218973B1 (ko) 열차출입문 비상 개폐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방법
CN202083926U (zh) 基于硬线控制的城市轨道交通车辆故障门快速识别装置
JP2012206557A (ja) プラットホームゲート装置
JPH11255121A (ja) 車両用扉開閉装置
KR200430122Y1 (ko)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시스템
KR100840304B1 (ko) 2단 스크린 도어를 이용한 정위치 정차 오차 제어장치
KR101582040B1 (ko) 철도차량 출입문 안전회로
KR0143734B1 (ko) 철도차량용 출입문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