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122Y1 -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122Y1
KR200430122Y1 KR2020060019141U KR20060019141U KR200430122Y1 KR 200430122 Y1 KR200430122 Y1 KR 200430122Y1 KR 2020060019141 U KR2020060019141 U KR 2020060019141U KR 20060019141 U KR20060019141 U KR 20060019141U KR 200430122 Y1 KR200430122 Y1 KR 2004301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s
electric vehicle
closed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1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영진
정명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기전
서울메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기전, 서울메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기전
Priority to KR20200600191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1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1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1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6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for utility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03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 B61D19/005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sl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6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railway 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4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down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상세하게는 양측 출입문 모두에 도어스위치를 설치하여 전동차 양측 출입문이 동시에 정확히 개폐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전동차 양측 출입문이 모두 정상적으로 닫힌 경우에만 전동차가 출발할 수 있도록 하여 출입문에 의한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토록 한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동차 도어의 좌,우측 도어의 상부에 동일한 구조의 도어스위치를 각각 설치하여 양측 도어를 반드시 동시 작동시켜 양측 도어 모두 정상적으로 개폐토록 함은 물론 양측 도어가 닫힌 경우에만 전동차가 출발할 수 있도록 하거나 도어가 개방 상태나 도어 사이에 이물질이 낀 상태에서는 전동차가 출발 되는 일이 없도록 하여 전동차 운행 중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토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양측 도어, 도어스위치, 푸쉬로드, 도어엔진, 구동실린더

Description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시스템{A open and close system for an electric train door}
도 1은 종래 전동차 출입문이 닫혀(폐쇄)있는 일부 생략상태의 정면구성도
도 2는 종래 전동차 출입문이 열려(개방)있는 일부 생략상태의 정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동차 출입문 개폐시스템의 요부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차 출입문이 닫혀(폐쇄)있는 일부 생략상태의 정면구성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차 출입문이 열려(개방)있는 일부 생략상태의 정면구성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엔진 2 : 구동실린더 3 : 피스톤 4,4a : 도어
5 : 벨트 6,6a : 도어스위치 7,7a : 푸쉬로드
본 고안은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상세하게는 양측 출입문 모두에 도어스위치를 설치하여 전동차 양측 출입문이 동시에 정확히 개폐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전동차 양측 출입문이 모두 정상적으로 닫힌 경우에만 전동차가 출발할 수 있도록 하여 출입문에 의한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토록 한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차 등에 적용되는 출입문의 개폐시스템은 전동차 출입문의 상부에 기계적 메카니즘으로 설치되어 지는바, 상기의 기계적 메카니즘은 도 1,2에 도시된 구동실린더내(20)의 피스톤(30)을 전후진 시킴에 따라 양측 출입문(40)(40a)을 개폐하며, 벨트 또는 체인과 같은 연동수단을 통해 일측 만 구동해도 양측 출입문(이하부터 "도어" 라칭함)이 같이 개폐되는 도어엔진(10)으로 구성되고, 상기의 도어엔진(10)은 전동차 도어의 어느 일측(좌측 또는 우측)도어 상부에 설치된 하나의 도어스위치(60)에 전기적인 접점을 구성하는 푸쉬버튼(70)이 상기의 기계적인 행정에 의하여 인터록(Interlock)되어 양측도어의 개폐를 동시에 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전동차 도어 개폐장치는 도어를 개폐하는 일측 도어스위치에 직접 연결되는 부분이 아닌 타측 기계적인 행정부분에 결함이 발생시에는 그 작동영역이 도어스위치가 설치된 일측 도어에만 국한되기 때문에 타측 도어 장치에 고정된 브라케트, 가이드바등이 손상될 경우 타측의 도어는 제어가 불능인 자유로운 상태에 놓인다.
따라서 일측의 도어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반대방향의 타측 도어에 상기와 같은 문제가 생기고, 타측 도어가 열린 경우 타측 도어의 열린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도어스위치)가 없어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그대로 전동차가 출발하게 되는 경우가 생겨 이럴 경우 객실내 승객이 궤도상으로 떨어지는 대형 안전사고가 발생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동차 도어의 좌,우측 도어의 상부에 동일한 구조의 도어스위치를 각각 설치하여 양측 도어를 반드시 동시 작동시켜 양측 도어 모두 정상적으로 개폐토록 함은 물론 양측 도어가 닫힌 경우에만 전동차가 출발할 수 있도록 하거나 도어가 개방 상태나 도어 사이에 이물질이 낀 상태에서는 전동차가 출발 되는 일이 없도록 하여 전동차 운행 중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토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터록방식의 도어스위치를 전동차의 양측 도어 상부 중앙에 서로 근접시켜 대향 지게 각각 설치한 후, 각 도어스위치의 일측으로는 도어스위치에 전기적인 접점을 연결하는 푸쉬로드를 연결시켜 상기 기계적인 행정에 의하여 인터록(Interlock)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동차 도어 개폐시스템의 요부구성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차 도어가 닫혀(폐쇄)있는 일부 생략상태의 정면구성도면이고,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차 도어가 열려(개방)있는 일부 생략상태의 정면구성 도면이다.
구동실린더(2)의 피스톤(3)을 전후진 시킴에 따라 양측 도어(4)(4a)를 개폐하며, 벨트 또는 체인(5)과 같은 연동수단을 통해 일측 만 구동해도 양측 도어(4)(4a)가 같이 개폐되는 도어엔진(1)으로 구성되는 도어 개폐시스템 있어서, 인터록방식의 도어스위치(6)(6a)를 전동차의 양측(좌측 또는 우측)도어(4)(4a) 상부 중앙에 서로 근접시켜 대향 지게 각각 설치한 후, 각 도어스위치(6)(6a)의 일측으로는 도어스위치(6)(6a)에 전기적인 접점을 연결하는 각 푸쉬로드(7)(7a)를 접촉시켜 상기 도어엔진(1)의 기계적인 행정에 의하여 인터록(Interlock)되게 구성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부호 (8)(8a)는 상기의 푸쉬로드(7)(7a)에 접촉되는 작동브라케트, (9)는 작동브라케트를 슬라이드 안내하는 가이드바를 지칭하고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동차 양측 도어(4)(4a)의 개폐에 따라 양측 도어(4)(4a)의 상부 도어엔진(1)의 구동에 의해 도어(4)(4a)의 상부양측에 고정된 작동브라케트(8)(8a)가 가이드바(9)를 타고 슬라이드되어 일측에 돌출된 푸쉬로드(7)(7a)가 양측 도어스위치(6)(6a)에 접촉 및 이격되는 작동을 수행하여 양측 도어스위치(6)(6a) 내부의 단자(미도시됨)를 스위칭시켜 ON/OFF되면서 양측 도어(4)(4a)를 개폐시키는 방식은 기존의 전동차 출입문 개폐시스템과 동일하므로 이상과 같이 간략하게 설명하고, 본 고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한 작동 예를 첨부된 도면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인 전동차의 양측도어(4)(4a)가 닫히는 작동을 설명하면 양측 도어(4)(4a)가 닫히면서 도어상부측에 형성된 가이드바(9)를 타고 좌,우 슬라이드되는 작동브라케트(8)(8a)의 일측에 돌출된 푸쉬로드(7)(7a)가 양측 도어스위치(6)(6a)에 접촉하면서 내부의 미도시된 스위치단자를 ON시켜 전동차 양측 도어(4)(4a)의 닫힘 상태가 전동차의 모든 시그널을 통해 표시되면 전동차는 운행을 시작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는 반대로 도 5인 전동차의 양측도어(4)(4a)가 열리는 작동을 설명하면 전동차가 정차할 역의 승강장에 도착하면 도어상부측에 형성된 가이드바(9)를 타고 좌,우 슬라이드되는 작동브라케트(8)(8a)의 일측에 돌출된 푸쉬로드(7)(7a)가 양측 도어스위치(6)(6a)에서 이격되면서 내부의 미도시된 스위치단자를 OFF시켜 전동차 양측 도어(4)(4a)의 열림상태가 전동차의 모든 시그널을 통해 표시되면 양측 도어(4)(4a)가 열리면서 열려진 양측 도어(4)(4a)를 통해 승객들이 승,하차한다.
이때 도어스위치(6)(6a)는 양측 도어(4)(4a)의 상부중앙에 서로 근접되어 대향 지게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양측 도어(4)(4a)의 개폐를 각각 제어하게 됨으로써, 기존의 전동차 도어 개폐시스템에서 발생될 수 있는 양측 도어(4)(4a)를 개폐하는 일측 도어스위치에 직접 연결되는 부분이 아닌 타측 기계적인 행정부분에 결함이 발생시 그 작동영역이 도어스위치가 설치된 일측 도어에만 국한되면서 타측의 도어는 제어가 불능인 상태에 놓이는 것을 본 고안에서는 각각의 도어스위치(6)(6a)에서 양측 도어(4)(4a)를 각각 제어할 수 있게 하여 어느 한쪽 도어의 제 어가 불능 되는 폐단을 완전 해결한 것이다.
이렇듯, 본 고안은 기존의 도어스위치 하나를 더 부가설치하는 간단한 구성만으로 전동차 출입문에 의한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전동차 도어의 좌,우측 도어의 상부에 동일한 구조의 도어스위치를 각각 설치하여 양측 도어를 반드시 동시 작동시켜 양측 도어 를 모두 정상적으로 개폐토록 함은 물론 양측 도어가 닫힌 경우에만 전동차가 출발할 수 있도록 하거나 도어가 개방 상태나 도어 사이에 이물질이 낀 상태에서는 전동차가 출발 되는 일이 없도록 하여 전동차 운행 중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더 나아가 통상의 개폐시스템에서 하나의 도어스위치에 하나를 더 부가설치하는 간단한 구조를 채택하여 기존의 전동차 출입문 개폐장치에도 설치가 용이하므로 전동차 안전운행 확보에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구동실린더내(2)의 피스톤(3)을 전후진 시킴에 따라 양측 도어(4)(4a)를 개폐하며, 벨트 또는 체인(5)과 같은 연동수단을 통해 일측 만 구동해도 양측 도어(4)(4a)가 같이 개폐되는 도어엔진(1)으로 구성되는 도어 개폐시스템 있어서, 인터록방식의 도어스위치(6)(6a)를 전동차의 양측도어(4)(4a) 상부 중앙에 서로 근접시켜 대향 지게 각각 설치한 후, 각 도어스위치(6)(6a)의 일측으로는 도어스위치(6)(6a)에 전기적인 접점을 연결하는 각 푸쉬로드(7)(7a)를 접촉시켜 상기 도어엔진(1)의 기계적인 행정에 의하여 인터록(Interlock)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시스템.
KR2020060019141U 2006-07-14 2006-07-14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시스템 KR2004301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141U KR200430122Y1 (ko) 2006-07-14 2006-07-14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141U KR200430122Y1 (ko) 2006-07-14 2006-07-14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122Y1 true KR200430122Y1 (ko) 2006-11-13

Family

ID=41778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141U KR200430122Y1 (ko) 2006-07-14 2006-07-14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12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323B1 (ko) 2006-11-29 2008-02-13 현대로템 주식회사 차량 출입문 장치의 기계식 잠금장치
KR100889616B1 (ko) 2008-02-26 2009-03-20 이진형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
KR100982008B1 (ko) 2008-02-19 2010-09-13 김창래 구형 전동차량에서의 출입문 개폐 감지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323B1 (ko) 2006-11-29 2008-02-13 현대로템 주식회사 차량 출입문 장치의 기계식 잠금장치
KR100982008B1 (ko) 2008-02-19 2010-09-13 김창래 구형 전동차량에서의 출입문 개폐 감지장치 및 방법
KR100889616B1 (ko) 2008-02-26 2009-03-20 이진형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5072B2 (en) Safety switch for a moveable guard door
EP3048075B1 (en) Car door lock
CN104071667A (zh) 一种防止轿厢意外移动保护系统
KR200430122Y1 (ko)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시스템
CN103615172A (zh) 具有双侧开关门控制的电动客车车辆门控外部电路
CN1663845A (zh) 汽车门开启防碰撞警示装置
KR20130088892A (ko) 윈도우 페인의 하강을 위한 방법 및 차량
KR101761160B1 (ko) 좌,우 개폐식 도어의 틈새 차단장치
CN109071178B (zh) 电梯的联锁装置
KR100595733B1 (ko) 근접센서를 이용한 비 접촉방식의 출입문 감지 제어시스템
KR200426905Y1 (ko) 스크린 도어 개폐장치
JP5881325B2 (ja) 車両用戸閉制御装置
KR101582040B1 (ko) 철도차량 출입문 안전회로
KR20100020616A (ko) 철도차량의 출입문 개폐 장치
KR101135046B1 (ko)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
CN102264625A (zh) 电梯的门控制装置
KR100889792B1 (ko) 열차출입문 제어시스템
KR101525086B1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용 안전장치
CN101780913B (zh) 电梯的轿厢门锁装置
KR100852065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안전 폴 장치
KR100218405B1 (ko)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CN116696187A (zh) 轨道车辆车门控制电路及轨道车辆
SU1036651A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 подъемником
KR0116958Y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열림 경보장치
KR850003276Y1 (ko) 관통형 엘리베이터의 도어(Door) 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