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616B1 -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616B1
KR100889616B1 KR1020080017457A KR20080017457A KR100889616B1 KR 100889616 B1 KR100889616 B1 KR 100889616B1 KR 1020080017457 A KR1020080017457 A KR 1020080017457A KR 20080017457 A KR20080017457 A KR 20080017457A KR 100889616 B1 KR100889616 B1 KR 100889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ectric vehicle
signal
door monitoring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형
이재춘
조재남
이호심
Original Assignee
이진형
이재춘
조재남
이호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형, 이재춘, 조재남, 이호심 filed Critical 이진형
Priority to KR1020080017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12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03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 B61D19/005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sl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9/00Ligh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18Communication with or on the vehicle or tr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08B5/38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using flashing ligh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9/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operating incandescent light sources
    • H05B39/04Cont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동차의 출입문에 설치된 좌측 및 우측의 측면램프신호를 병렬 연결하여 각 객차의 출입문의 상태 정보에 대한 출입문 감시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출입문 감시장치; 및 상기 출입문 감시장치와 통신 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출입문 감시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객차의 각 출입문의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상기 출입문 제어가 수행되도록 상기 전동차의 운전실에 설치된 출입문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입문 감시 상태를 전동차의 운전실에서 실시간 확인함으로써 승객의 안전 및 운행의 제한적 요소를 신속히 처리할 수 있어 전동차의 안전 운행을 지원할 수 있고, 기존의 20mA 전류루프 통신회로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추가 설비 비용이 소요되지 않고, 전동차의 출입문 상태 정보를 운전자에게 신속하게 전달하게 되므로 전동차의 운행 지연을 단축시키고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전동차, 출입문, 좌측 및 우측 측면램프, 출입문 감시장치, 출입문 표시장치

Description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OF ELECTRIC TRAIN DOOR}
본 발명은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차의 각 객실의 출입문 상태를 운전실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심각한 교통 체증으로 인하여 지하철, 버스 등의 대중 교통 수단을 많이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출퇴근시의 지하철, 버스, 택시의 승차난은 하루가 다르게 악화되고 있다.
대중 교통 수단 중에서 지하철은 도시의 지상 기능 및 미관을 살리고, 신속성, 정확성, 안전성, 대량 수송성, 쾌적성, 저공해성, 저렴성 등의 많은 특성을 지니고 있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하철은 해마다 그 사용 인원이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지하철 역사 내 플랫폼 및 차량 내에서 추락사고, 화재, 방화, 성추행, 절도, 폭력 등의 다양한 인적, 물적 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지하철 차량의 출입문에 승객이나 물건이 끼인 채로 끌려가는 사건이나 대구 지하철 화재 사건과 같이 차량 내 화재시 출입문이 개폐되지 않아 심각한 인명 피해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로 인해 지하철의 차량 및 플랫폼을 비롯한 지하철 사용에 대한 안전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고, 각종 지하철 감시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종래의 지하철 감시 시스템은 각 지하철 역사의 플랫폼 내부 상황을 여러 대의 감시 카메라로 촬영하여 역사 상황실에서 이를 확인하거나, 또는 플랫폼에 도착한 지하철 차량의 기관사가 플랫폼의 앞이나 뒤에 설치되어 있는 모니터를 통해 확인하여 현재 플랫폼 내의 위험 상황 발생 유무를 감시한다.
상기한 지하철 감시 시스템의 모니터링 장비는 플랫폼 선로에 문제 발생시 역사 상황실에서 종합 상황실로 역내의 승강장이나 선로에 위험이 발생되었음을 즉각적으로 알리고, 종합 상황실에서 해당 역으로 운행하는 각 전동차에 위험이 발생되었음을 알려주게 된다.
또한 승객이나 승객이 소지한 소지품, 유모차 등의 물품 등이 끼어 있는 상태를 감지하거나 지하철 출입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지하철 출입문 상태 감지 장치는 출입문의 취급 상태 및 기타 차량이 상태를 운전실의 기관사가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지하철 출입문 상태 감지 장치는 일반적으로 지하철 출입문이나 지하철 자체에 기계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출입문의 개폐시 출입문의 개폐 여부를 기계적으로 연계된 방식에 의해서 인식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푸시로드(Push Rod) 방식의 접점구성을 나타낸 도면이 고, 도 2는 종래 기술의 도어스위치가 설치된 지하철 출입문의 닫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의 도어스위치가 설치된 지하철 출입문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지하철 출입문 상태 감지 장치는 출입문이 열리고 닫힘에 따라 출입문 일측에 형성된 출입문 스위치(7)에 의해서 출입문 개폐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지하철 출입문의 개폐 방법은 출입문의 상측부에 도어엔진(1)이 구성되어 있어 출입문의 오픈(Open)/클로즈(Close)을 제어하는데, 도어엔진이 좌우측 출입문 중 어느 하나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이동시킴에 따라 그 나머지 출입문이 연동하여 이동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도어엔진(1)은 지하철 운전시스템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구동실린더 내의 피스톤을 전후진 시킴에 따라 출입문을 개폐하며, 벨트 또는 체인과 같은 수단을 연결하여 일측만 구동해도 양측 출입문이 같이 연동하여 움직일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지하철의 어느 일측(우측 또는 좌측) 출입문에 스위치를 구성하여 출입문의 오픈(Open)/클로즈(Close)를 감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도어 스위치(7)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가 구성되어 출입문이 열리고 닫힘에 따라 출입문 일측에 형성된 도어스위치압봉(2)이 전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연결봉(8)이 전후진 하면서 도어스위치(7) 내부에 각 단자와 스위칭이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연결봉(8)은 도어스위치압봉(2)에 의해 전후진하면서 운전실 표시등, 차외측 차측등, 운전실 도어재개폐회로의 스위치단을 제공하며, 상기 스위치단은 도어연결봉(8)에 일체로 연결되어 연동 스위칭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의 지하철 출입문 상태 감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하철의 출입문의 열림과 닫힘에 따라 출입문 일측에 형성된 도어스위치압봉(2)이 도어스위치(7)에 접촉되고 이격되는 동작을 수행하여 도어스위치(7) 내부에 단자를 스위칭하면서 출입문의 개폐여부를 감지한다.
지하철의 출입문이 닫히는 동작을 설명하면 출입문이 닫히면서 출입문 상측부에 형성된 도어스위치압봉(2)이 도어스위치(7)의 도어연결봉(8)에 접촉되고, 도어연결봉(8)이 내측으로 진입하면서 도어스위치(7) 내부의 스위치단자(10a, 10b, 10c)와 연계된 접점단자(9a, 9b, 9c)간의 스위칭이 형성된다.
즉, 온 스위칭 되어 있던 운전실 도어재개폐회로, 차외측 차측등은 오프 스위칭 되고, 오프 스위칭 되어 있던 운전실표시등는 온 스위칭 된다.
상기 스위칭 동작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지하철 운전시스템에서는 출입문의 열림, 닫힘을 표시하는 운전실표시등 온(ON), 지하철 외부에 형성되어 도어의 열림, 닫힘을 표시하는 차외측 차측등 오프(OFF), 출입문가 제대로 닫히지 않은 경우 재개폐하기 위한 운전실 도어재개폐회로 오프(OFF)의 스위칭 구성을 이루어 지하철 도어의 닫힘을 표시한다.
지하철 출입문의 열림 동작은 출입문이 열리면서 출입문 상측부에 형성된 도 어스위치압봉(2)이 도어스위치(7)의 도어연결봉(8)에서 이격된다. 그에 따라 도어연결봉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도어스위치(7) 내부의 스위치단자(10a, 10b, 10c)와 연계된 접점단자(9a, 9b, 9c)간의 스위칭이 형성된다.
즉, 오프 스위칭 되어 있던 운전실 도어재개폐회로, 차외측 차측등은 온 스위칭 되고, 온 스위칭 되어 있던 운전실표시등은 오프 스위칭 된다.
상기 스위칭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지하철 운전시스템에서는 도어의 열림,닫힘을 표시하는 운전실표시등 오프 스위칭, 지하철 외부에 형성되어 도어의 열림, 닫힘을 표시하는 차외측 차측등 온 스위칭, 및 출입문이 제대로 닫히지 않은 경우 재개폐하기 위한 운전실 도어재개폐회로 온 스위칭의 구성을 이루어 지하철의 출입문 열림을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지하철 출입문 상태 감지 장치는 기계적인 푸쉬로드(Push Rod) 형식의 도어 감지 스위치의 가해지는 기계적인 충격으로 인해 불량이 발생될 수 있고, 출입문이 개방 상태나 출입문 사이에 이물질이 낀 상태에서 지하철이 출발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여 지하철 운행 중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차의 운전실에 각 객실의 출입문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운전자나 승무원이 각 객실의 출입문 상태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동차의 양측 출입문이 모두 정상적으로 닫힌 경우에만 전동차가 출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출입문이 개방 상태나 출입문 사이에 이물질이 낀 상태에서 전동차가 출발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 그로인해 전동차 운행 중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승객의 안전을 향상시키는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은, 전동차의 출입문에 설치된 좌측 및 우측의 측면램프신호를 병렬 연결하여 각 객차의 출입문의 상태 정보에 대한 출입문 감시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출입문 감시장치; 및 상기 출입문 감시장치와 통신 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출입문 감시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객차의 각 출입문의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상기 출입문 제어가 수행되도록 상기 전동차의 운전실에 설치된 출입문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입문 감시장치는 상기 객차마다 좌측 출입문과 우측 출입문의 개폐를 감지하는 출입문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문 스위치의 온/오프(ON/OFF) 동작에 따라 상기 좌측 및 우측 측면램프신호가 결정되는 통신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회로부는 DC 100V의 전원이 입력되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회로부는 상기 좌측 출입문이 열리면 상기 좌측 측면램프신호를 출 력하고, 상기 우측 출입문이 열리면 상기 우측 측면램프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입문 감시장치는 상기 좌측 측면램프신호와 우측 측면램프 신호를 병렬 연결하여 상기 좌측 출입문, 우측 출입문, 또는 좌측 및 우측 출입문의 열림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입문 감시장치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측면램프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출입문의 열림 위치에 대한 호차 정보, 각 출입문 개폐 상태 정보, 출입문 개폐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문 감시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입문 표시장치는 상기 출입문 감시신호를 전송받아 이를 분석하여 출입문 상태 표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의 출입문 상태 표시 제어신호에 따라 호차(0~N), 출입문(열림/닫힘), 출입문 방향(좌/우)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에 따르면, 출입문 감시 상태를 전동차의 운전실에서 실시간 확인함으로써 승객의 안전 및 운행의 제한적 요소를 신속히 처리할 수 있어 전동차의 안전 운행을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은 전동차의 양측 출입문이 모두 정상적으로 닫힌 경우에만 전동차가 출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출입문이 개방 상태나 출입문 사이에 이물질이 낀 상태에서 전동차가 출발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 만약 출입문이 개방되거나 출입문 사이에 이물질이 낀 상태가 확인되면 신속하게 수동으로 출입문을 재개폐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은 기존의 20mA 전류루프 통신회로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추가 설비 비용이 소요되지 않고, 전동차의 출입문 상태 정보를 운전자에게 신속하게 전달하게 되므로 전동차의 운행 지연을 단축시키고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의 회로도이 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표시장치 및 출입문 감시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의 각 객실과 운전실간의 통신 라인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은 출입문 감시장치(100)와 출입문 표시장치(200)로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출입문 감시장치(100)는 전동차의 출입문에 설치된 좌측 및 우측의 측면램프신호를 병렬 연결하여 객차의 각 출입문의 상태 정보에 대한 출입문 감시신호를 생성 출력한다.
이러한 출입문 감시장치(1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회로부(110), 통신부(120), 호차설정부(130), 및 CPU(140)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통신회로부(110)는 각 객차마다 8개의 출입문이 있으므로 각 출입문의 개폐를 감지하는 8개의 출입문 스위치(111~118)와, 상기 출입문 스위치(111~118)의 온/오프(ON/OFF) 동작에 따라 결정되는 좌측 및 우측 측면램프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는 좌우측의 다이오드(D1, D2) 및 측면램프(LP1, LP2)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회로부(110)는 기존의 20mA 전류 루프통신회로를 변형하여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회로부(110)는 전원 라인(L1)을 통해 DC 100V의 전원이 입력되면 통신 회로가 차단되도록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전원이 DC 24V 이상 ~ DC 110V 이하까지의 내구성을 갖도록 설계되는 것이 좋다.
상기 통신부(120)는 RS 485 통신으로 상기 출입문 표시장치(200)와 통신하도록 하고, 상기 호차 설정부(130)는 객실마다 설치되어 있는 호차를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CPU(140)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측면램프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출입문의 열림 위치에 대한 호차 정보, 각 출입문 개폐 상태 정보, 출입문 개폐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문 감시신호를 생성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출입문 표시장치(200)는 상기 출입문 감시장치(100)와 통신 라인(L2)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출입문 감시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객차의 각 출입문의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상기 출입문 제어가 수행되도록 전동차의 운전실의 제어대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통신 라인(L2)은 전동차 내에서 자주 사용하지 않은 제어 라인이나 예비 라인을 사용하게 되므로 새로운 통신라인을 추가할 필요 없이 설비가 가능하다.
이러한 출입문 표시장치(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10), CPU(220), LED 또는 LCD 등의 표시수단(230)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통신부(210)는 상기 출입문 감시장치(100)와 통신 라인(L2)을 통해 RS 485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CPU(220) 상기 출입문 감시신호를 전송받아 이를 분석하여 출입문 상태 표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표시수단(230)은 상기 출입문 상태 표시 제어신호 에 따라 호차(0~N), 출입문(열림/닫힘), 출입문 방향(좌/우)를 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의 출입문 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의 출입문 시스템은 운전실의 출입문 표시장치(200)가 각 객실의 출입문 감시장치(100)와 RS 485 통신 라인(S1)을 통해 연결되어 통신하고 있다.
먼저, 상기 통신회로부(110)는 좌측 출입문이 열리면 좌측 측면램프신호(S3)를 출력하고, 우측 출입문이 열리면 우측 측면램프신호(S2)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출입문 감시장치(100)의 CPU()에서는 상기 좌측 측면램프신호와 우측 측면램프 신호를 병렬 연결하여 상기 좌측 출입문, 우측 출입문, 또는 좌측 및 우측 출입문의 열림 상태를 확인하고, 출입문의 열림 위치에 대한 호차 정보, 각 출입문 개폐 상태 정보, 출입문 개폐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문 감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출입문 표시장치(200)로 출력한다.
상기 출입문 표시장치(200)는 LED 또는 LCD의 표시수단(230)을 통해 출입문 방향(좌/우), 출입문의 열림/닫힘, 출입문의 호차(0~9)를 표시한다.
그러면, 전동차 운전실의 운전자 또는 승무원은 표시수단(230)을 통해 신속하게 각 객실마다 출입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동차의 양측 출입문이 모두 정상적으로 닫힌 경우에만 전동차가 출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출입문이 개방 상태나 출입문 사이에 이물질이 낀 상태에서 전동차가 출발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 만약 출입문이 개방되거나 출입문 사이에 이물질이 낀 상태가 확인되면 신속하게 수동으로 출입문을 재개폐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푸시로드(Push Rod) 방식의 접점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의 도어스위치가 설치된 지하철 출입문의 닫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도어스위치가 설치된 지하철 출입문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의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표시장치 및 출입문 감시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의 각 객실과 운전실간의 통신 라인이 도시된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출입문 감시장치 110 : 통신회로부
200 : 출입문 표시장치 230 : 표시수단

Claims (7)

  1. 전동차의 출입문에 설치된 좌측 및 우측의 측면램프신호를 병렬 연결하여 각 객차의 출입문의 상태 정보에 대한 출입문 감시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출입문 감시장치; 및
    상기 출입문 감시장치와 통신 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출입문 감시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객차의 각 출입문의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상기 출입문 제어가 수행되도록 상기 전동차의 운전실에 설치된 출입문 표시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감시장치는 상기 객차마다 좌측 출입문과 우측 출입문의 개폐를 감지하는 출입문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문 스위치의 온/오프(ON/OFF) 동작에 따라 상기 좌측 및 우측 측면램프신호가 결정되는 통신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회로부는 DC 100V의 전원이 입력되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회로부는 상기 좌측 출입문이 열리면 상기 좌측 측면램프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우측 출입문이 열리면 상기 우측 측면램프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감시장치는 상기 좌측 측면램프신호와 우측 측면램프 신호를 병렬 연결하여 상기 좌측 출입문, 우측 출입문, 또는 좌측 및 우측 출입문의 열림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감시장치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측면램프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출입문의 열림 위치에 대한 호차 정보, 각 출입문 개폐 상태 정보, 출입문 개폐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문 감시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표시장치는 상기 출입문 감시신호를 전송받아 이를 분석하여 출입문 상태 표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의 출입문 상태 표시 제어신호에 따라 호차(0~N), 출입문(열림/닫힘), 출입문 방향(좌/우)를 표 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
KR1020080017457A 2008-02-26 2008-02-26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 KR100889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457A KR100889616B1 (ko) 2008-02-26 2008-02-26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457A KR100889616B1 (ko) 2008-02-26 2008-02-26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9616B1 true KR100889616B1 (ko) 2009-03-20

Family

ID=40698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457A KR100889616B1 (ko) 2008-02-26 2008-02-26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6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21822A (zh) * 2011-05-04 2011-10-19 南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基于硬线控制的城市轨道交通车辆故障门快速识别方法
KR101135046B1 (ko) 2010-03-08 2012-04-13 현대로템 주식회사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
KR101489988B1 (ko) 2011-02-25 2015-02-05 한국산업은행 전동차 출입문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830A (ko) * 2001-05-21 2002-11-29 썬테크 주식회사 철도차량 출입문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352895Y1 (ko) 2004-03-05 2004-06-22 주식회사 우진산전 지하철의 출입문 개폐 자동 확인장치
KR20050111854A (ko) * 2004-05-24 2005-11-29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근접센서를 이용한 비 접촉방식의 출입문 감지 제어시스템
KR200430122Y1 (ko) 2006-07-14 2006-11-13 주식회사 우진기전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830A (ko) * 2001-05-21 2002-11-29 썬테크 주식회사 철도차량 출입문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352895Y1 (ko) 2004-03-05 2004-06-22 주식회사 우진산전 지하철의 출입문 개폐 자동 확인장치
KR20050111854A (ko) * 2004-05-24 2005-11-29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근접센서를 이용한 비 접촉방식의 출입문 감지 제어시스템
KR200430122Y1 (ko) 2006-07-14 2006-11-13 주식회사 우진기전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046B1 (ko) 2010-03-08 2012-04-13 현대로템 주식회사 전동차 출입문 표시등 제어회로
KR101489988B1 (ko) 2011-02-25 2015-02-05 한국산업은행 전동차 출입문 모니터링 시스템
CN102221822A (zh) * 2011-05-04 2011-10-19 南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基于硬线控制的城市轨道交通车辆故障门快速识别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6765C2 (ru) Бортовая система для оказания технической помощи на дороге
KR100889616B1 (ko) 전동차의 출입문 감시 시스템
CN105809998A (zh) 车载道路交通安全管理系统
WO20190273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EVACUATION ASSISTANCE
Leo et al. Vehicle movement control and accident avoidance in hilly track
CN103206129A (zh) 一种公交车车门监控系统及方法
KR102295461B1 (ko) 열차의 안전루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0569849B1 (ko) 어린이 운송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
KR100595733B1 (ko) 근접센서를 이용한 비 접촉방식의 출입문 감지 제어시스템
CN102350952B (zh) 汽车安全气囊监控系统、安全气囊监控方法以及汽车
CN110821331A (zh) 一种汽车车门智能防夹系统及方法
KR100327676B1 (ko) 철도 건널목 보안장치
KR20080000478U (ko) 전동차 열차 정보 수집 장치
CN203651777U (zh) 防挤压车门以及车辆
CN111301283B (zh) 车辆的车灯控制方法、装置、系统及车辆
JP2011084206A (ja) 列車進入進出検知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扉制御装置
CN206186889U (zh) 一种警示汽车车门打开的装置
KR100346753B1 (ko) 열차 승강장 안전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4109892U (zh) 一种汽车开门警示装置
US8081068B1 (en) Centre high mount stop lamp with constituent seatbelt disengagement indicator
KR20090130528A (ko) 자동차문개방경보기
CN102358255A (zh) 汽车安全带提醒器
CN102555802A (zh) 一种汽车防醉驾装置
CN201206385Y (zh) 车门安全系统
CN212796835U (zh) 一种轨道运输车驾驶员安全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