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4872U - 출입문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출입문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4872U
KR20000014872U KR2019980028246U KR19980028246U KR20000014872U KR 20000014872 U KR20000014872 U KR 20000014872U KR 2019980028246 U KR2019980028246 U KR 2019980028246U KR 19980028246 U KR19980028246 U KR 19980028246U KR 20000014872 U KR20000014872 U KR 200000148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ntrol relay
relay
circui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82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30883Y1 (ko
Inventor
이주현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20199800282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883Y1/ko
Publication of KR200000148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8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8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8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61C17/12Control gea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locomotives from remote points in the train or when operating in multip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2Safety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wing mot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railway 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출입문 제어회로는, 출입문 릴레이 회로차단기(1), 저속일때 동작하는 저속 릴레이(2), 선두차 제어 릴레이(3), 후부차 제어 릴레이(11), 출입문의 수동 또는 자동모드를 선택하는 출입문 동작모드 선택 스위치(6), 출입문 해제 릴레이(14) 및 출입문 제어 릴레이 코일(DRC1)의 경로를 통해 출입문 열림제어 릴레이(DR1)가 여자됨으로써 출입문이 열리도록 구성된 출입문 열림 제어부와, 상기 출입문 열림 제어부에 의해 일단 출입문이 열리면, 출입문 닫힘제어 릴레이(DR3)와 출입문 열림제어 릴레이(DR1)의 접점으로 구성되어 상기 출입문 열림제어 릴레이(DR1)를 여자시키는 자기유지회로부 및, 상기 전원을 통해 DC 100V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저속 릴레이(2), 선두차 제어 릴레이(3), 출입문의 수동 또는 자동모드를 선택하는 출입문 동작모드 선택 스위치(6), 출입문 닫힘 스위치(8) 및 출입문 제어 릴레이 코일(DRC3)의 경로를 통해 출입문 닫힘제어 릴레이(DR3)가 여자되어 상기 출입문 열림제어 릴레이(DR1)가 소자됨으로써 출입문이 닫히도록 구성된 출입문 닫힘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제어회로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운전자의 출입문 제어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승객에 대한 서비스와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출입문 제어회로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무원이 운전실 교대가 필요한 종착역에서 승객의 편리를 위해 출입문을 열어놓은 상태에서 안전하게 운전실을 교대하고 출입문을 닫을 수 있는 출입문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철도차량(예컨대, 전동차)에 자동운전의 개념이 도입되어 과거와는 달리 1인 승무원 체제가 되면서 승객의 안전을 고려하여 출입문을 반드시 승무원이 있는 선두차 운전실에서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이 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개념으로 제작된 종래 철도차량은, 일반적으로 운전실 교대가 필요한 역에서는 차량의 선두차 운전실이 바뀌기 때문에, 다수의 승객 서비스를 위해 출입문을 열어놓은 상태로 운전실을 교대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승무원은 반드시 출입문을 닫아놓은 상태로 운전실 교환을 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관련한 종래 출입문 제어회로의 동작(오른쪽 출입문을 제어한다는 가정하에서 기술함)을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출입문을 열 경우를 보면, 전원을 통해 DC 100V 전압이 인가되어 열차속도가 2km/h<0일 때 동작하는 저속 릴레이(2), 노말 오픈(normal open)되는 선두차 제어 릴레이(3), 출입문의 수동 또는 자동모드를 선택하는 출입문 동작모드 선택 스위치(6), 출입문 열림 스위치(7), 출입문 해제 릴레이(14) 및 출입문 제어 릴레이 코일(DRC1)의 경로를 통해 출입문 열림제어 릴레이(DR1)가 여자되어 출입문 열림제어 릴레이(DR1)의 노말 오픈 접점으로 우측 출입문 인통선에 전원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출입문이 열린다.
상기한 동작에 의해 일단 출입문이 열리면, 출입문 열림제어 릴레이(DR1)는 전원을 통해 DC 100V 전압이 인가되어 열차속도가 2km/h<0일 때 동작하는 저속 릴레이(2), 선두차 제어 릴레이(3), 출입문 닫힘제어 릴레이(DR3), 출입문 열림제어 릴레이(DR1) 및 출입문 제어 릴레이 코일(DRC1)의 경로를 통해 자기유지회로로 출입문 열림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출입문을 닫을 경우를 보면 전원을 통해 DC 100V 전압이 인가되어 열차속도가 2km/h<0일 때 동작하는 저속 릴레이(2), 선두차 제어 릴레이(3), 출입문의 수동 또는 자동모드를 선택하는 출입문 동작모드 선택 스위치(6), 출입문 닫힘 스위치(8) 및 출입문 제어 릴레이 코일(DRC3)의 경로를 통해 출입문 닫힘제어 릴레이(DR3)가 여자되면, 출입문 열림제어 릴레이(DR1)가 소자되어 출입문이 닫히게 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 출입문 제어회로는 운전실을 교대하기 위해 출입문이 열린상태(즉, 출입문 열림제어 릴레이(DR1) 여자상태)에서 운전실을 오프(off)시키면, 선두차 제어 릴레이(3)가 소자되어 출입문 열림제어 릴레이(DR1) 자기유지회로 전원전압이 차단되어 출입문 열림신호가 해제됨으로써 어떠한 예고도 없이 출입문이 닫히게 된다.
따라서, 승무원은 운전실 교대를 하기전에 반드시 출입문을 닫고 운전실을 오프시킨 후 이동하여 반대편 운전실을 온(on)시키고 출입문을 다시 열어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종래의 1인 승무원 체제의 운전실 교대시에는 출입문을 반드시 닫고 운전실을 교대하거나, 출입문 열린상태로 교대하는 경우도 반대편 운전실을 온하는 순간 열려있던 출입문이 예고없이 닫혀 버림으로써 다수의 승객에 대한 서비스와 안전상의 문제를 야기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다수의 승객에 대한 서비스와 안전성을 강화시키고 운전자의 운전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출입문 제어회로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출입문 제어회로를 나타낸 동작 회로도,
도 2는 종래 출입문 제어회로를 나타낸 동작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출입문 릴레이 회로차단기(DRN), 2 --- 저속 릴레이(ZVR),
3 --- 선두차 제어 릴레이(HCR),
4 --- 자동 열차 운전장치(ATO), 5 --- 자동 열차 보호장치(ATP),
6 --- 출입문 동작모드 선택 스위치(DOMS),
7 --- 출입문 열림 스위치(DOS), 8 --- 출입문 닫힘 스위치(DCS),
9 --- 오른쪽 출입문 열림 스위치(RDOS),
10 --- 오른쪽 출입문 닫힘 스위치(RDCS),
11 --- 후부차 제어 릴레이(TCR),
12 --- 비상 브레이크 바이패스 릴레이(EBBR),
13 --- 출입문 연동 릴레이(DIR1),
14 --- 출입문 해제 릴레이 코일(DRR1),
DR1,2,3,4,5 --- 출입문 제어 릴레이,
DRC1,3,5 --- 출입문 제어 릴레이 코일.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출입문 제어회로에 있어서, 전원 DC 100V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출입문 릴레이 회로차단기(1), 열차속도가 2km/h<0일 때 동작하는 저속 릴레이(2), 선두차 제어 릴레이(3), 후부차 제어 릴레이(11), 출입문의 수동 또는 자동모드를 선택하는 출입문 동작모드 선택 스위치(6), 출입문 해제 릴레이(14) 및 출입문 제어 릴레이 코일(DRC1)의 경로를 통해 출입문 열림제어 릴레이(DR1)가 여자되어 출입문 열림제어 릴레이(DR1)의 노말 오픈 접점으로 출입문 인통선에 전원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출입문이 열리도록 구성된 출입문 열림 제어부와,
상기 출입문 열림 제어부에 의해 일단 출입문이 열리면, 출입문 닫힘제어 릴레이(DR3)와 출입문 열림제어 릴레이(DR1)의 접점으로 구성되어 상기 출입문 열림제어 릴레이(DR1)를 여자시키는 자기유지회로부 및,
전원을 통해 DC 100V 전압이 인가되어 열차속도가 2km/h<0일 때 동작하는 저속 릴레이(2), 선두차 제어 릴레이(3), 출입문의 수동 또는 자동모드를 선택하는 출입문 동작모드 선택 스위치(6), 출입문 닫힘 스위치(8) 및 출입문 제어 릴레이 코일(DRC3)의 경로를 통해 출입문 닫힘제어 릴레이(DR3)가 여자되어 출입문 열림제어 릴레이(DR1)가 소자됨으로써 출입문이 닫히도록 구성된 출입문 닫힘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출입문을 닫을 경우에 DC 100V의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출입문 릴레이 회로차단기(1), 열차속도가 2km/h<0일 때 동작하는 저속 릴레이(2), 선두차 제어 릴레이(3), 출입문의 수동 또는 자동모드를 선택하는 출입문 동작모드 선택 스위치(6), 출입문 닫힘 스위치(8) 및 출입문 제어 릴레이 코일(DRC3)의 경로를 통해 여자되어 선두차의 출입문 닫힘제어 릴레이(DR3)가 여자되고, 또한 선두차의 출입문 닫힘 스위치(8)의 여자에 의해 선두차와 후부차의 인통선을 따라 후부차의 출입문 제어 릴레이 코일(DRC3)의 경로를 통해 여자되어 후부차의 출입문 닫힘제어 릴레이(DR3)가 여자되면, 상기 자기유지회로의 출입문 닫힘제어 릴레이(DR3)의 접점이 떨어져 출입문 제어 릴레이 코일(DRC1)로 가는 자기유지 전압이 차단되어 출입문이 닫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출입문 제어회로는 출입문 열림제어 릴레이(DR1)의 초기 여자회로(선두차 제어 릴레이(3)와 후부차 제어 릴레이(11) 후단)와 자기유지회로의 전원을 분리하여 운전실을 오프시켜도 출입문이 닫히지 않게 된다.
또한, 운전실을 교대한 후 출입문을 닫기 위해서는 선두차를 설정한 이후에만 선두 및 후부차의 출입문 닫힘제어 릴레이(DR3)에 동시에 여자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출입문 제어회로를 나타낸 동작 회로도를 나타낸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출입문이 열리는 경로를 기술하면(우측 출입문을 제어한다는 가정하에서 기술함), 열차가 도착역의 출입문 열림구간에 정지하여 자동 열차 보호장치(5: 본 고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았슴)는 해당 출입문 방향의 해제신호를 주고(출입문 해제 릴레이 코일(14) 여자), 출입문 열림 스위치(7)를 눌러 출입문 열림제어 릴레이(DR1)에 전원전압을 인가한다.
그러면, 도시한 바와 같이 출입문 열림제어 릴레이(DR1)는, 출입문 릴레이 회로차단기(1), 열차속도가 2km/h<0일 때 동작하는 저속 릴레이(2), 선두차 제어 릴레이(3), 후부차 제어 릴레이(11), 출입문의 수동 또는 자동모드를 선택하는 출입문 동작모드 선택 스위치(6), 출입문 해제 릴레이 코일(14) 및 출입문 제어 릴레이 코일(DRC1)의 경로를 통해 여자되어 출입문 열림제어 릴레이(DR1)의 노말 오픈(normal open) 접점으로 우측 출입문 인통선에 전원전압이 인가되어 출입문이 열린다.
상기와 같이 일단 출입문이 열리면 출입문 닫힘제어 릴레이(DR3)와 출입문 열림제어 릴레이(DR1)의 접점으로 구성된 자기유지회로에 의해 상기 출입문 열림제어 릴레이(DR1)가 여자상태를 유지하도록 실시한다.
또한, 출입문을 닫을 경우에는 도 2와 관련하여 기술한 종래의 회로동작과 마찬가지로, 전원을 통해 DC 100V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열차속도가 2km/h<0일 때 동작하는 저속 릴레이(2), 선두차 제어 릴레이(3), 출입문의 수동 또는 자동모드를 선택하는 출입문 동작모드 선택 스위치(6), 출입문 닫힘 스위치(8) 및 출입문 제어 릴레이 코일(DRC3)의 경로를 통해 출입문 닫힘제어 릴레이(DR3)가 여자되면, 출입문 열림제어 릴레이(DR1)가 소자됨으로써 출입문이 닫히도록 실시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출입문 제어회로는 운전실을 교대하기 위해 출입문이 열린상태(즉, 출입문 열림제어 릴레이가 여자상태)에서 운전실을 오프(즉, 선두차 제어 릴레이(3)는 소자되고, 저속 릴레이(2)는 여자상태로 됨) 시켜도,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기유지회로는 전원전압이 인가되어 있기 때문에 출입문이 닫히지 않게 된다.
그 후, 운전자는 운전대를 교환한 후(본 고안에서는, 설명을 위해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TC1을 선두차로 TC2를 후부차로 나타냈지만, 선두차와 후부차의 위치가 바뀌어도 동작은 동일하다) 출입문을 닫을 경우에, 출입문 닫힘제어 릴레이(DR3)는 DC 100V의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출입문 릴레이 회로차단기(1), 열차속도가 2km/h<0일 때 동작하는 저속 릴레이(2), 선두차 제어 릴레이(3), 출입문의 수동 또는 자동모드를 선택하는 출입문 동작모드 선택 스위치(6), 출입문 닫힘 스위치(8) 및 출입문 제어 릴레이 코일(DRC3)의 경로를 통해 여자되어 선두차의 출입문 닫힘제어 릴레이(DR3)가 여자되고, 또한 선두차의 출입문 닫힘 스위치(8)의 여자에 의해 선두차와 후부차의 인통선을 따라 후부차의 출입문 제어 릴레이 코일(DRC3)의 경로를 통해 여자되어 후부차의 출입문 닫힘제어 릴레이(DR3)가 여자되도록 실시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출입문 닫힘제어 릴레이(DR3)가 여자되면 상술한 자기유지회로의 출입문 닫힘제어 릴레이(DR3)의 접점이 떨어져 출입문 제어 릴레이 코일(DRC1)로 가는 자기유지 전압이 차단되어 출입문은 닫히게 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선두차였던 TC1은 이제 후부차가 되었기 때문에(선두차 제어 릴레이(3) 소자상태), 출입문을 열수도 없고 닫을수도 없으며 후부차에서 선두차가 된(선두차 제어 릴레이(3) 여자상태) TC2에서만 출입문 제어가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운전자의 출입문 제어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승객에 대한 서비스와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전원을 통해 DC 100V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출입문 릴레이 회로차단기(1), 저속일때 동작하는 저속 릴레이(2), 선두차 제어 릴레이(3), 후부차 제어 릴레이(11), 출입문의 수동 또는 자동모드를 선택하는 출입문 동작모드 선택 스위치(6), 출입문 해제 릴레이(14) 및 출입문 제어 릴레이 코일(DRC1)의 경로를 통해 출입문 열림제어 릴레이(DR1)가 여자되어 출입문이 열리도록 구성된 출입문 열림 제어부와,
    상기 출입문 열림 제어부에 의해 일단 출입문이 열리면, 출입문 닫힘제어 릴레이(DR3)와 출입문 열림제어 릴레이(DR1)의 접점으로 구성되어 상기 출입문 열림제어 릴레이(DR1)를 여자시키는 자기유지회로부 및,
    상기 전원을 통해 DC 100V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저속 릴레이(2), 선두차 제어 릴레이(3), 출입문의 수동 또는 자동모드를 선택하는 출입문 동작모드 선택 스위치(6), 출입문 닫힘 스위치(8) 및 출입문 제어 릴레이 코일(DRC3)의 경로를 통해 출입문 닫힘제어 릴레이(DR3)가 여자되어 상기 출입문 열림제어 릴레이(DR1)가 소자됨으로써 출입문이 닫히도록 구성된 출입문 닫힘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선두차의 출입문 닫힘제어 릴레이(DR3)는 DC 100V의 전압이 인가되어 출입문 릴레이 회로차단기(1), 저속 릴레이(2), 선두차 제어 릴레이(3), 출입문의 수동 또는 자동모드를 선택하는 출입문 동작모드 선택 스위치(6), 출입문 닫힘 스위치(8) 및 출입문 제어 릴레이 코일(DRC3)의 경로를 통해 여자되고,
    후부차의 출입문 닫힘제어 릴레이(DR3)는 상기 선두차의 출입문 닫힘 스위치(8)의 여자에 의해 선두차와 후부차의 인통선을 따라 후부차의 출입문 제어 릴레이 코일(DRC3)의 경로를 통해 여자되어 상기 자기유지회로의 출입문 닫힘제어 릴레이(DR3)의 접점이 떨어져 출입문 제어 릴레이 코일(DRC1)로 가는 자기유지 전압이 차단되어 출입문이 닫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제어회로.
KR2019980028246U 1998-12-31 1998-12-31 출입문 제어회로 KR2003308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246U KR200330883Y1 (ko) 1998-12-31 1998-12-31 출입문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246U KR200330883Y1 (ko) 1998-12-31 1998-12-31 출입문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872U true KR20000014872U (ko) 2000-07-25
KR200330883Y1 KR200330883Y1 (ko) 2003-12-24

Family

ID=49339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8246U KR200330883Y1 (ko) 1998-12-31 1998-12-31 출입문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88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187B1 (ko) * 2007-05-17 2008-07-04 현대로템 주식회사 출입문 재 개/폐 제어장치
KR100889792B1 (ko) * 2007-11-13 2009-03-20 현대로템 주식회사 열차출입문 제어시스템
KR101008849B1 (ko) * 2009-06-18 2011-01-19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들 간의 방향성 신호의 제어방법
KR101306103B1 (ko) * 2011-09-26 2013-09-09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KR101434307B1 (ko) * 2013-07-23 2014-08-26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회로 및 그 철도차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147B1 (ko) * 2011-02-25 2013-03-11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 출입문 제어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187B1 (ko) * 2007-05-17 2008-07-04 현대로템 주식회사 출입문 재 개/폐 제어장치
KR100889792B1 (ko) * 2007-11-13 2009-03-20 현대로템 주식회사 열차출입문 제어시스템
KR101008849B1 (ko) * 2009-06-18 2011-01-19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들 간의 방향성 신호의 제어방법
KR101306103B1 (ko) * 2011-09-26 2013-09-09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KR101434307B1 (ko) * 2013-07-23 2014-08-26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회로 및 그 철도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883Y1 (ko) 200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30883Y1 (ko) 출입문 제어회로
CN110962871A (zh) 一种城轨车辆站前折返零速保持装置及控制方法
KR101252542B1 (ko)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
KR100889792B1 (ko) 열차출입문 제어시스템
US4369428A (en) Parking brake warning system
US5027031A (en) Truck trailer lighting control circuit
KR100250611B1 (ko) 비상제동 강제완해 제어장치
KR101074718B1 (ko) 철도차량의 도어 제어회로
KR0166120B1 (ko) 전동차의 브레이크 구동회로
KR0120789Y1 (ko) Ats장치를 이용한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회로
KR19990032681U (ko)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시스템
KR200153464Y1 (ko) 철도차량에 있어서 ats 전원차단시 비상제동 체결방지회로
SU68299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электродинамическим тормозомзамедлителем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9990032675U (ko) 열차의 출입문 닫힘 자동경보 시스템
KR0143616B1 (ko) 전동차의 브레이크제어시스템
KR0140537Y1 (ko) 철도 차량의 스텝램프 점등 장치
JPH0736839Y2 (ja) トレーラ用ストップランプの断線検出回路
JPH0237642Y2 (ko)
RU16117U1 (ru) Электропневма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стоп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960008394Y1 (ko) 주차시 주차브레이크 미작동경보장치
KR200143799Y1 (ko) 자동차의 도어 잠금 표시 장치
JPS61246485A (ja) 車両用窓自動開閉装置
SU87706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шахтной вентил ционной дверью
CN115573629A (zh) 一种轨道交通车辆车门紧急解锁控制电路及方法
JPH0667187U (ja) 扉連動ステップ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