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704B1 - 화재 발생시 전원 차단을 방지하는 전원 회로 - Google Patents

화재 발생시 전원 차단을 방지하는 전원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3704B1
KR100633704B1 KR1020040100365A KR20040100365A KR100633704B1 KR 100633704 B1 KR100633704 B1 KR 100633704B1 KR 1020040100365 A KR1020040100365 A KR 1020040100365A KR 20040100365 A KR20040100365 A KR 20040100365A KR 100633704 B1 KR100633704 B1 KR 100633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fire
coi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0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1576A (ko
Inventor
임성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템
Priority to KR1020040100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3704B1/ko
Publication of KR20060061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Abstract

전동차의 화재 발생시에도 부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회로가 개시된다. 전원 회로는, 전원에 일단이 접속된 제어부, 접점부 및 코일부를 포함하되, 접점부는 전원과 부하 사이에 접속되고, 코일부는 제어부의 전원에 접속되지 않은 타단에 접속되며, 코일부가 여자 되면 접점부가 폐쇄되는, 접촉기, 및 전원과 코일부 사이에 접속되고, 하나 이상의 화재 감지 장치와 연결되어 화재 감지 장치가 화재를 감지하면 전원과 코일부를 접속하는 전원 차단 방지부를 구비한다. 전원 회로는 전원 차단 방지부에 의해 화재 발생시에는 항상 배터리와 부하의 접속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역전기, 배터리, 차량용 제어 전원 공급 접촉기, 전원 차단 방지부

Description

화재 발생시 전원 차단을 방지하는 전원 회로{A POWER CIRCUIT PREVENTING POWER SHUT DOWN UPON A FIRE}
도 1 은 종래의 철도 차량의 전원 회로의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전원 회로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배터리 2: 마스콘 역전기
3: 차량용 제어 전원 공급 접촉기 4: 부하
5: 전원 차단 방지부 6: 접점
21, 22: 역전기 내부 단자 31: 여자 코일
32: 접점
본 발명은 철도 차량의 전원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가 발생한 때에 철도 차량의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철도 차량의 전원 회로에 관한 것이다.
철도 차량에는 출입문, 형광등, 비상등과 같은 다수의 전기 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들을 구동하기 위해 전원을 인가하여야 한다. 종래에, 이들 전기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데에는 접촉기를 이용한 전원 회로가 사용되었다.
도 1 은 종래의 철도 차량의 전원 회로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철도 차량의 전원 회로는, 전원 공급 장치로서의 배터리 (1), 형광등, 출입문, 비상등 등을 포함하는 부하 (4), 부하 (4) 로의 전원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마스콘 (master controller) 내부의 역전기 (2), 및 역전기 (2) 의 제어에 따라 부하 (4) 와 배터리 (1) 의 접속을 개폐하는 차량용 제어 전원 공급 접촉기 (3) 를 포함한다. 차량용 제어 전원 공급 접촉기 (3) 는 코일부 (31) 과 접점부 (32) 로 구성된다.
종래의 전원 회로에서, 배터리 (1) 의 단자 (11) 는 역전기 (2) 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역전기 (2) 의 타단은 차량용 제어 전원 공급 접촉기 (3) 의 여자 코일 (31) 의 단자 (311) 에 접속되어 있다. 역전기 (2) 는 내부에 단자 (21, 22) 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단자 (21, 22) 의 상호 접속은 마스콘 키에 의해 조정된다.
또한, 배터리 (1) 의 일단 (11) 은 차량용 제어 전원 공급 접촉기 (3) 의 접점 (32) 의 단자 (321) 에 접속되어 있으며, 접점 (32) 의 타 단자는 부하 (4) 에 접속되어 있다. 여자 코일 (31) 에 전류가 인가되어 여자 코일 (31) 이 여기되면, 접점 (32) 이 폐쇄되어, 배터리 (1) 와 부하 (4) 사이에 폐회로를 형성한다.
배터리 (1) 의 타 단자 및 여자 코일 (31) 의 타 단자는 접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전원 회로는 마스콘의 역전기 (2) 에 의해 제어 된다. 운전사는 마스콘에 마스콘 키를 삽입하고, 키를 전진 또는 후진 위치에 놓는다. 마스콘 키가 삽입되어 전진 또는 후진 위치에 놓이면, 마스콘 내의 역전기 (2) 내부 단자 (21, 22) 가 서로 접속되므로, 배터리 (1) 로 부터의 전력이 역전기 (2) 를 통해 차량용 제어 전원 공급 접촉기 (3) 의 여자 코일 (31) 에 인가되어, 여자 코일 (31) 이 여자된다. 여자 코일 (31) 의 여자에 따라, 접촉기 (3) 의 접접 (32) 이 폐쇄되어, 배터리 (1) 의 전력이 부하 (4) 로 전달된다. 부하 (4) 는 형광등, 출입문, 비상등 등을 포함하므로, 배터리(1) 의 전원에 의해 이들 전기 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전원 회로에서는, 마스콘 키에 의해 회로 전체의 구동이 결정되며, 운전사가 마스콘 키를 탈거하거나 마스콘 키를 중립상태에 놓는 경우에는 역전기 (2) 내부의 단자 (21, 22) 가 접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배터리 (1) 의 단자 (11) 와 여자 코일 (31) 의 단자 (311) 가 접속될 수 없어 여자 코일 (31) 이 여자 되지 않으며, 그에 따라 접점 (32) 도 개방 상태로 유지되어 부하 (4) 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전기 장치들을 구동할 수 없다.
특히, 화재 시에 운전사가 마스콘 키를 탈거하거나 마스콘 키를 중립 위치에 놓은 채로 탈출한 경우, 승객의 탈출에 필수적인 출입문이나 비상등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이들을 작동시킬 수 없고, 승객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없게 되어 대형 참사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여 발명된 것으로, 화재가 발생한 때 에는, 마스콘 키가 중립위치에 있거나 탈거된 때에도 전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철도 차량용 전원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원에 일단이 접속된 역전기;
접점부 및 코일부를 포함하되, 상기 접점부는 상기 전원과 상기 부하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코일부는 상기 제어부의 상기 전원에 접속되지 않은 타단에 접속되며, 상기 코일부가 여자 되면 상기 접점부가 폐쇄되는, 접촉기; 및
상기 전원과 상기 코일부 사이에 접속되고, 하나 이상의 화재 감지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화재 감지 장치가 화재를 감지하면 역전기의 상태와 상관없이 상기 전원과 상기 코일부를 접속하는 전원 차단 방지부를 구비하는, 철도 차량용 전원 회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키가 삽입되어 상기 키에 의해 상기 전원과 상기 코일부 사이의 접속을 조정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재 감지기는 열차 차량 각각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전원 차단 방지부는, 상기 화재 감지 장치로부터의 화재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여기되는 코일부; 및 상기 여기 코일의 여기에 반응하여 상기 전원과 상기 코일부를 접속하는 접점부을 구비하는 계전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전원 회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전원 회로는 화 재 감지 장치에 연결된 전원 차단 방지부 (5) 가 추가된 것을 제외하고는 종래의 전원 회로와 유사하므로, 종래의 전원 회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전원 회로의 전원 차단 방지부 (5) 는 배터리 (1) 의 단자 (11) 와 차량용 제어 전원 공급 접촉기 (3) 의 여자 코일 (31) 의 단자 (311)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원 차단 방지부 (5) 는 화재 감지 장치 (도시되지 않음) 에 접속되어 있다.
화재 감지 장치로서는 종래의 화재 감지 장치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온도 센서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화재의 발생이 감지된 경우에 전원 차단 방지부 (5) 로 화재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화재 감지 장치는 전동차의 각 차량 모두에 설치되어, 이들 모두가 전원 차단 방지부 (5) 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열차의 차량들 중 일부에서만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전원 차단 방지부 (5) 로 화재 감지 신호가 전송되고, 본 발명의 전원 회로가 동작할 수 있다.
전원 차단 방지부 (5) 는 화재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재 감지 신호에 반응하여, 배터리 (1) 와 코일 (31) 을 접속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본 실시형태에서 이 수단은 접점 (6)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접점 (6) 은 계전기의 접점부일 수 있다. 이 경우, 화재 감지 장치는 계전기의 코일로 화재 감지 신호를 인가하여 코일 (도 시되지 않음) 을 여기시키고, 접점 (6) 은 코일의 여기에 반응하여 접촉되는 a 접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접점 (6) 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화재 감지 신호에 반응하여 배터리 (1) 의 단자 (11) 와 여자 코일 (31) 의 단자 (311) 의 접속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계전기, 접촉기 등 공지되어 있는 수단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전원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차량의 화재 감지 장치가 화재를 감지하면, 화재 감지 신호를 발생하고, 이 신호는 전원 차단 방지부 (5) 로 수신되어 접점 (6) 이 폐쇄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 (1) 의 단자 (11) 와 여자 코일 (31) 의 단자 (311) 는 역전기 (2) 대신 접점 (6) 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따라서, 배터리 (1) 의 전력이 여자 코일 (31) 에 인가될 수 있으며, 여자 코일 (31) 이 여자 되어 접점 (32) 이 폐쇄된다. 접점 (32) 이 폐쇄되면, 배터리 (1) 와 부하 (4) 사이에 폐회로가 형성되어 배터리 (1) 의 전력이 부하 (4) 에 인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 (1) 의 단자 (11) 와 여자 코일 (31) 의 단자 (311) 의 접속이 역전기 (2) 가 아닌 접점 (6) 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역전기 (2) 가 어떤 상태에 놓여 있는 지와 상관없이 배터리의 전력이 여자 코일 (31) 에 인가되어 여자 코일 (31) 을 여자 시키게 된다. 따라서, 역전기 (2) 의 상태와 관계 없이 접촉기 (3) 의 접점 (32) 이 폐쇄되어 부하 (4) 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운전사가 마스콘 키를 탈거하거나 중립위 치에 놓더라도, 접점 (32) 에 의해 부하 (4) 에는 항상 전원이 공급되므로, 출입문이나 비상등을 정상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고 승객들의 탈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전원 회로를 배터리를 사용하는 철도 차량의 전원 회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배터리 이외의 전원을 사용하는 전원 회로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철도 차량의 전원 회로뿐만 아니라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회로라면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화재의 감지에 의해 배터리와 부하의 접속을 확보하여 부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면, 구체적인 구성의 변경은 당업자가 이상의 설명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 시에 마스콘 키가 탈거되거나 중립위치에 놓인 경우에도 출입문, 비상등 등의 부하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 화재 발생시 승객들의 탈출을 용이하게 하며 대형 참사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화재 시 전원으로부터 부하로의 전원 차단을 방지할 수 있는 철도 차량의 전원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원에 일단이 접속되는 역전기;
    접점부 및 코일부를 포함하되, 상기 접점부는 상기 전원과 상기 부하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코일부는 상기 제어부의 상기 전원에 접속되지 않은 타단에 접속되며, 상기 코일부가 여자 되면 상기 접점부가 폐쇄되는, 접촉기; 및
    상기 전원과 상기 코일부 사이에 접속되고, 하나 이상의 화재 감지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화재 감지 장치가 화재를 감지하면 상기 역전기의 상태와 상관없이 상기 전원과 상기 코일부를 접속하는 전원 차단 방지부를 구비하는, 전원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전기는 키가 삽입되어 상기 키에 의해 상기 전원과 상기 코일부 사이의 접속을 조정하는, 전원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기는 열차 차량 각각에 설치된, 전원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차단 방지부는,
    상기 화재 감지 장치로부터의 화재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여기되는 코일부; 및 상기 여기 코일의 여기에 반응하여 상기 전원과 상기 코일부를 접속하는 접점부을 구비하는 계전기를 포함하는, 전원 회로.
KR1020040100365A 2004-12-02 2004-12-02 화재 발생시 전원 차단을 방지하는 전원 회로 KR100633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365A KR100633704B1 (ko) 2004-12-02 2004-12-02 화재 발생시 전원 차단을 방지하는 전원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365A KR100633704B1 (ko) 2004-12-02 2004-12-02 화재 발생시 전원 차단을 방지하는 전원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576A KR20060061576A (ko) 2006-06-08
KR100633704B1 true KR100633704B1 (ko) 2006-10-16

Family

ID=37157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0365A KR100633704B1 (ko) 2004-12-02 2004-12-02 화재 발생시 전원 차단을 방지하는 전원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37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714B1 (ko) * 2008-07-21 2009-12-21 고려화공 주식회사 전기식 자동소화장치용 작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576A (ko) 200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755B1 (ko) 철도 차량용 도어 제어 시스템
US5547208A (en) Vehicle safety exit apparatus
JP4715079B2 (ja) 車両用電源装置
JP5764714B2 (ja) エレベータ駆動装置への電力供給制御
JP3769843B2 (ja) 電気自動車の強電リレー診断装置
US20030080621A1 (en) Automotive electrical system protection device
JP2006103629A (ja) 車両用電源装置
US11180033B2 (en) Motor vehicle with an electric motor, in particular a hybrid or electric vehicle
KR100633704B1 (ko) 화재 발생시 전원 차단을 방지하는 전원 회로
JP2006196251A (ja) インターロック回路
KR20160032556A (ko) 차량 탑승자 보호 장치 및 방법
JP6611106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バイパス装置
KR100852739B1 (ko) 차량용 전원 차단 장치
JPH10194007A (ja) 車両衝突時の電力供給遮断装置
JP2006278003A (ja) リレーシステム
JP2000092605A (ja) 自動車用安全装置
JPS5972933A (ja) 自動車用装置の安全装置
JP2001301616A (ja) 鉄道車両用側扉制御装置
KR100485773B1 (ko) 전동차량 보조전원 연장급전 제어장치
CN206900299U (zh) 整车控制器以及车辆
WO2003057536A1 (ko) Power supply apparatus for prevention of a vehicle fire
KR100533504B1 (ko) 사구간 통과 제어장치
KR102548307B1 (ko) 전기 자동차의 감전사고 방지방법
KR100275804B1 (ko) 사구간 자동통과방법 및 장치
JP2680064B2 (ja) 鉄道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