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7897A - 통신기기 - Google Patents
통신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97897A KR20110097897A KR1020117014501A KR20117014501A KR20110097897A KR 20110097897 A KR20110097897 A KR 20110097897A KR 1020117014501 A KR1020117014501 A KR 1020117014501A KR 20117014501 A KR20117014501 A KR 20117014501A KR 20110097897 A KR20110097897 A KR 201100978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x body
- unit
- signal
- shield
- electrically connec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with folded element or elements,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operating wavelength
- H01Q9/27—Spiral antenna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8—Arrangements of two or more hingeably connected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i.e. connected by flexible mea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18—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y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ground planes or power plane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7—Electric details
- H05K2201/0707—Shielding
- H05K2201/0715—Shielding provided by an outer layer of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고 급전부를 제2 박스체까지 늘일 수 있는 통신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휴대전화기(1)는, 조작부측 박스체(2)에 배치된 회로 기판(70)과, 표시부측 박스체(3)에 배치된 회로 기판(80)과, 회로 기판(70)에 형성되고, 그라운드 패턴과 접점(104)을 가지는 회로부와, 조작부측 박스체(2)에 배치되고, 그라운드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기준 전위 패턴층(75)과, 표시부측 박스체(3)에 배치된 기준 전위 패턴층(86)과, 회로 기판(70)과 회로 기판(8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FPC부(101)를 구비하고, FPC부(101)는, 소정의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배선(210)과, 신호 배선(210)을 전기적으로 실드하는 실드층(240)을 가지며, 실드층(240)은, 조작부측 박스체(2)에 있어서 접점(10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표시부측 박스체(3)에 있어서 기준 전위 패턴층(8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전화기(1)는, 조작부측 박스체(2)에 배치된 회로 기판(70)과, 표시부측 박스체(3)에 배치된 회로 기판(80)과, 회로 기판(70)에 형성되고, 그라운드 패턴과 접점(104)을 가지는 회로부와, 조작부측 박스체(2)에 배치되고, 그라운드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기준 전위 패턴층(75)과, 표시부측 박스체(3)에 배치된 기준 전위 패턴층(86)과, 회로 기판(70)과 회로 기판(8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FPC부(101)를 구비하고, FPC부(101)는, 소정의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배선(210)과, 신호 배선(210)을 전기적으로 실드하는 실드층(240)을 가지며, 실드층(240)은, 조작부측 박스체(2)에 있어서 접점(10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표시부측 박스체(3)에 있어서 기준 전위 패턴층(8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수의 박스체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전화기 등의 통신기기의 소형화, 박형화의 요청에 따라,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소형화, 박형화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표시부측 박스체와 조작부측 박스체를 연결부를 개재하여 상대 이동 가능한 통신기기에 있어서, 표시부측 박스체 및 조작부측 박스체의 각각에 배치된 회로 기판을 안테나 및 그라운드로서 기능시키고, 다이폴 안테나로서 동작하는 통신기기가 제안되어 있다.
또, 이러한 통신기기에 있어서, 이득이 높은 안테나 특성을 얻기 위한 기술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는, 표시부측 박스체(제2 박스체)의 실드 박스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s : 이하 FPC라고 칭한다)을 접속하고, 표시부측 박스체의 실드 박스에 급전시킨다. 그리고, 표시부측 박스체의 실드 박스와, 조작부측 박스체(제1 박스체)의 접지 전위를 가지는 회로 기판 상의 그라운드 패턴이 다이폴 안테나로서 동작하는 통신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통신기기에서는, 급전부를 제2 박스체까지 늘이기 위하여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통신기기의 소형화의 요청을 감안하면, 이러한 급전부를 늘이는 구성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별도의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고 급전부를 제2 박스체까지 늘일 수 있는 통신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통신기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 박스체와, 제2 박스체와, 상기 제1 박스체에 배치된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박스체에 배치된 제2 회로 기판과,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형성되고, 그라운드부 그리고 급전부 및 상기 급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신호 처리부를 가지는 회로부와, 상기 제1 박스체에 배치되고, 상기 그라운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도전부와, 상기 제2 박스체에 배치된 제2 도전부와,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신호선을 구비하고, 상기 신호선은, 소정의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와, 상기 신호 전송부를 전기적으로 실드하는 실드부를 가지고, 상기 실드부는, 상기 제1 박스체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박스체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실드부는, 복수의 접점을 가지고, 상기 급전부와 상기 복수의 접점 중 하나의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상태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선택부와, 상기 제1 선택부에 의한 상기 접속 상태의 선택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통신기기는, 상기 제1 박스체와 상기 제2 박스체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를 통한 상기 제1 박스체와 상기 제2 박스체의 상대 이동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1 박스체와 상기 제2 박스체의 상대 이동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선택부에 의해 상기 접속 상태의 선택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검출부는, 상기 상대 이동 상태로서, 상기 제1 박스체와 상기 제2 박스체가 서로 겹치도록 배치된 닫힌 상태, 상기 제1 박스체와 상기 제2 박스체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된 열린 상태, 및 상기 닫힌 상태와 상기 열린 상태의 중간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통신기기는, 상기 제2 도전부에 의해 공진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기능을 동작하는 기능 동작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2 도전부에 의해 공진되는 신호로서 상기 기능 동작부에 의해 동작되는 기능의 기초가 되는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제1 선택부에 의해 상기 접속 상태의 선택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 동작부는, 튜너부 및 디코더부를 가지고, 상기 튜너부는, 상기 제2 도전부에 의해 공진되는 신호를 방송파로서 수신하고, 상기 디코더부는, 상기 튜너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방송파를 디코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부의 상기 제1 박스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상기 제2 도전부의 상기 제2 박스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와 상기 제2 도전부에 의해 공진되는 신호의 상기 실드부에 있어서의 전송 경로 길이의 합에 의해 얻어지는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부는,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형성된 제1 기준 전위 패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부는,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형성된 제2 기준 전위 패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은, 상기 신호 전송부를 협지(挾持)하는 제1 실드부와, 제2 실드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실드부 및 상기 제2 실드부는, 상기 제1 박스체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박스체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드부는, 제1 주파수대에 공진하는 제1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실드부는, 제2 주파수대에 공진하는 제2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드부가 상기 제1 박스체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박스체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상태와, 상기 제2 실드부가 상기 제1 박스체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박스체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상태 중 어느 한쪽을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선택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부는,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선과, 기준 전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그라운드선을 가지고, 상기 실드부는, 상기 제1 박스체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선의 근방에서 상기 급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실드부에는, 상기 신호 전송선과 상기 그라운드선 사이의 부위에 대응하여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부는, 제1 전송 속도로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신호 전송선과, 상기 제1 전송 속도보다 빠른 전송 속도인 제2 전송 속도로 신호를 전송하는 제2 신호 전송선을 가지고, 상기 실드부는, 상기 제1 박스체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 전송선보다 상기 제1 신호 전송선의 근방에서 상기 급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실드부에는, 상기 제1 신호 전송선과 상기 제2 신호 전송선 사이의 부위에 대응하여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고 급전부를 제2 박스체까지 늘일 수 있는 통신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휴대전화기를 연 상태에 있어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휴대전화기를 접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조작부측 박스체에 내장되는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표시부측 박스체에 내장되는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의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의 닫힌 상태에 있어서의 FPC부와 급전점의 도통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FPC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FPC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의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FPC부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의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접점 및 급전부의 도통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의 닫힌 상태에 있어서의 접점 및 급전부의 도통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3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의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제4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의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제5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의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제6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FPC(101)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은 제6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FPC(101)부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은 제6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FPC(101)부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9는 제7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FPC(10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8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와 관련되는 FPC(10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휴대전화기를 접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조작부측 박스체에 내장되는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표시부측 박스체에 내장되는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의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의 닫힌 상태에 있어서의 FPC부와 급전점의 도통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FPC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FPC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의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FPC부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의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접점 및 급전부의 도통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의 닫힌 상태에 있어서의 접점 및 급전부의 도통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3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의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제4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의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제5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의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제6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FPC(101)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은 제6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FPC(101)부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은 제6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FPC(101)부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9는 제7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FPC(10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8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와 관련되는 FPC(10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 의해, 전자기기로서의 휴대전화기(1)에 있어서의 기본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휴대전화기(1)를 연 상태에 있어서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1)는, 박스체로서의 조작부측 박스체(2)와, 표시부측 박스체(3)를 구비한다. 조작부측 박스체(2)(제1 박스체)와 표시부측 박스체(3)(제2 박스체)는, 힌지 기구를 구비하는 연결부(4)를 개재하여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측 박스체(2)의 상단부(上端部)와 표시부측 박스체(3)의 하단부는, 연결부(4)를 개재하여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휴대전화기(1)는, 힌지 기구를 개재하여 연결된 조작부측 박스체(2)와 표시부측 박스체(3)를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휴대전화기(1)는, 조작부측 박스체(2)와 표시부측 박스체(3)가 벌어진 상태(열린 상태)와, 조작부측 박스체(2)와 표시부측 박스체(3)가 접힌 상태(닫힌 상태)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닫힌 상태란, 양 박스체가 서로 겹치도록 배치된 상태이고, 열린 상태란, 양 박스체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된 상태를 말한다.
조작부측 박스체(2)는, 외면(外面)이 프론트 케이스(2a)와 리어 케이스(2b)에 의해 구성된다. 조작부측 박스체(2)는, 프론트 케이스(2a) 측에, 조작키 그룹(11)과, 휴대전화기(1)의 사용자가 통화시에 발한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로서의 음성 입력부(12)가 각각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조작키 그룹(11)은, 각종 설정이나 전화번호부 기능이나 메일 기능 등의 각종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한 기능 설정 조작키(13)와, 전화번호의 숫자나 메일 등의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조작키(14)와, 각종 조작에 있어서의 결정이나 상하 좌우 방향의 스크롤 등을 행하는 조작 부재로서의 결정 조작키(15)에 의해 구성된다. 조작키 그룹(11)을 구성하는 각 키 각각에는, 조작부측 박스체(2)와 표시부측 박스체(3)의 개폐 상태나 각종 모드, 혹은 기동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등의 종류에 따라 소정의 기능이 할당된다(키·할당). 그리고, 사용자가 각 키를 가압함으로써, 각 키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에 따른 동작이 실행된다.
음성 입력부(12)는, 조작부측 박스체(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연결부(4) 측과 반대의 외단부측(外端部側)에 배치된다. 즉, 음성 입력부(12)는, 휴대전화기(1)가 열린 상태에 있어서 일방의 외단부측에 배치된다.
조작부측 박스체(2)에 있어서의 일방측의 측면에는, 외부기기(예를 들면, 호스트 장치)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도시 생략)가 배치된다. 조작부측 박스체(2)의 타방측의 측면에는, 소정의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사이드 키와, 외부 메모리의 삽입 및 취출(取出)이 이루어지는 인터페이스(도시 생략)가 배치된다. 인터페이스는, 캡에 의해 덮여 있다. 각 인터페이스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캡에 의해 덮인다.
표시부측 박스체(3)는, 외면이 프론트 패널(3a)과, 프론트 케이스(3b)와, 리어 케이스(3c)와, 리어 패널(3d)에 의해 구성된다. 표시부측 박스체(3)에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1)와, 통화의 상대측의 음성을 출력하는 리시버로서의 음성 출력부(22)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디스플레이(21)는, 액정 패널과, 이 액정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회로와, 이 액정 패널의 배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등의 광원부로 구성된다.
또, 도 2는, 휴대전화기(1)를 접은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조작부측 박스체(2)는, 일방의 측면에, 소정의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사이드 키(30)와, 외부 메모리의 삽입 및 취출이 행하여지는 인터페이스용 캡(31)을 구비하고 있다. 또, 표시부측 박스체(3)는, 또한, 표시부측 박스체(3)의 리어 패널(3d) 표면에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카메라(33)와, 피사체에 광을 조사하는 라이트(34)가 노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조작부측 박스체(2)에 내장되는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측 박스체(2)는, 프론트 케이스(2a)와, 키 구조부(40)와, 키 기판(50)과, 케이스체(60)와, 후술하는 RF(Radio Frequency) 회로부(106)에 있어서의 그라운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기준 전위 패턴층(75)(제1 도전부) 및 휴대전화기용 RF 모듈 등의 각종 전자부품을 구비하는 회로 기판(70)(제1 회로 기판)과, 배터리 리드(2c)를 구비한 리어 케이스(2b)와, 배터리(81)를 구비한다. 키 기판(50)과 회로 기판(70)은, 키 기판(50)으로부터 연장 도출되는 기판으로서의 FPC부(9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회로 기판(70)에는 고주파 신호에 급전하는, 또는 급전되는 급전부와 기준 전위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그라운드부를 가지고, 고주파 신호의 처리를 행하는 RF 회로부(106)(회로부)가 실장되어 있다.
프론트 케이스(2a)와 리어 케이스(2b)는, 서로의 오목형상의 내측면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서로의 외주연(外周緣)이 서로 겹치도록 하여 결합된다. 또, 프론트 케이스(2a)와 리어 케이스(2b)의 사이에는, 키 구조부(40)와, FPC부(90)를 가지는 키 기판(50)과, 케이스체(60)와, 회로 기판(70)이 끼워지도록 하여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2a)에는, 휴대전화기(1)를 접은 상태에서 표시부측 박스체(3)의 디스플레이(21)와 대향하는 내측면에, 키 구멍(13a, 14a, 15a)이 형성된다. 키 구멍(13a, 14a, 15a) 각각으로부터는, 기능 설정 조작키(13)를 구성하는 기능 설정 조작키 부재(13b)의 가압면, 입력 조작키(14)를 구성하는 입력 조작키 부재(14b)의 가압면, 및 결정 조작키(15)를 구성하는 결정 조작키 부재(15b)의 가압면이 노출된다. 이 노출된 기능 설정 조작키 부재(13b), 입력 조작키 부재(14b) 및 결정 조작키 부재(15b)의 가압면을 누르도록 가압함으로써, 대응하는 키 스위치(51, 52, 53) 각각에 설치되는 후술하는 메탈 돔(그릇모양 형상)의 정점이 가압되어, 스위치 단자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키 구조부(40)는, 조작 부재(40A)와, 보강 부재로서의 키 프레임(40B)과, 시트 부재로서의 키 시트(40C)에 의해 구성된다.
조작 부재(40A)는, 복수의 키 조작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기능 설정 조작키 부재(13b)와, 입력 조작키 부재(14b)와, 결정 조작키 부재(15b)에 의해 구성된다. 조작 부재(40A)를 구성하는 각 조작키 부재 각각은, 후술하는 키 프레임(40B)을 사이에 두고 키 시트(40C)에 접착된다. 키 시트(40C)에 접착된 각 조작키 부재 각각에 있어서의 가압면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키 구멍(13a, 14a, 15a) 각각으로부터 외부에 노출하여 배치된다.
키 프레임(40B)은, 구멍부(14c)가 복수 형성된 금속성의 판형상 부재이다. 키 프레임(40B)은, 입력 조작키 부재(14b)의 가압에 의한 회로 기판(70) 등에 대한 악영향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부재이다. 또, 키 프레임(40B)은 도전성 부재이고, 입력 조작키 부재(14b)에 있어서의 정전기를 빠져나가게 하기 위한 부재로서도 기능한다. 키 프레임(40B)에 형성되는 복수의 구멍부(14c)에는, 후술하는 키 시트(40C)에 형성되는 볼록부(14d)가 감합(嵌合)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이 볼록부(14d)에 입력 조작키 부재(14b)가 접착된다.
키 시트(40C)는, 가요성을 가지는 실리콘 고무제의 시트 형상 부재이다. 키 시트(40C)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볼록부(14d)가 형성된다. 복수의 볼록부(14d)는, 키 시트(40C)에 있어서의 키 프레임(40B)이 배치되는 측의 면에 형성된다. 이 복수의 볼록부(14d) 각각은, 후술하는 키 스위치(5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키 기판(50)은, 키 시트(40C) 측의 면인 제1 면(50a)에 배치되는 복수의 키 스위치(51, 52, 53)를 가진다. 복수의 키 스위치(51, 52, 53), 각각은, 각 조작 부재(40A)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키 기판(50)에 배치되는 키 스위치(51, 52, 53)는, 그릇모양으로 만곡하여 입체적으로 형성된 금속판의 메탈 돔을 가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메탈 돔은, 그 그릇모양 형상의 정점이 가압되면, 키 기판(50)의 표면에 인쇄된 전기 회로(도시 생략)에 형성되는 스위치 단자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구성된다. 또, 키 기판(50)에 있어서의 제2 면(50b) 측에는, 복수의 전극 배선이 형성된다.
도 4는, 표시부측 박스체(3)에 내장되는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측 박스체(3)는, 프론트 패널(3a)과, 프론트 케이스(3b)와, 연결부(4)와, 디스플레이(21)와, 디스플레이(21)가 접속된 회로 기판(80)(제2 회로 기판)과, 리어 케이스(3c)와, 리어 패널(3d)을 구비한다. 또, 표시부측 박스체(3)에 있어서, 프론트 패널(3a)과, 프론트 케이스(3b)와, 디스플레이(21)와, 회로 기판(80)과, 리어 케이스(3c)와, 리어 패널(3d)이 적층적으로 배치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케이스(3b)와 리어 케이스(3c)는, 서로의 오목형상의 내측면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서로의 외주연이 서로 겹치도록 하여 결합된다. 또, 프론트 케이스(3b)와 리어 케이스(3c)의 사이에는, 디스플레이(21)와, 회로 기판(80)이 끼워지도록 하여 내장된다. 또, 회로 기판(80)에는, 기준 전위 패턴층(86)(제2 도전부)이 형성되어 있다.
또, 휴대전화기(1)에서는, 조작부측 박스체(2)와 표시부측 박스체(3)의 사이에 있어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s : 이하 FPC라고 칭한다)(101)에 의해, 표시부측 박스체(3)의 내부에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는 회로 기판(80)과, 조작부측 박스체(2)의 내부에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는 회로 기판(7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의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70)과, 회로 기판(80)은, FPC부(101)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회로 기판(70)의 조작부측 박스체(2) 측의 단부에는, FPC 커넥터(102)가 배치되고, 회로 기판(80)의 표시부측 박스체(3) 측의 단부에는, FPC 커넥터(103)가 배치된다. 그리고, FPC 커넥터(102, 103)에는, FPC부(101)가 삽입되어, 회로 기판(70) 및 회로 기판(8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또, 회로 기판(70) 측에 위치하는 FPC부(101)에는, 접점(104)이 설치되어 있고, 신호선(105)을 통해 RF 회로부(106)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의 닫힌 상태에 있어서의 FPC부(101)와 접점(104)의 도통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F 회로부(106)는, FPC 커넥터(102)가 배치되는 면과는 반대면에 실장된다. 또, 회로 기판(70)에는, 개구부(10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점(104)은, FPC부(101)[후술하는 실드층(240) 또는 실드층(260)]에 설치되고, 개구부(107)를 통해 신호선(105)에 의해 RF 회로부(106)의 급전부와 접속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접점(104)은, 급전부로부터 급전되거나 또는 급전하는 급전점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도 5에 있어서의 FPC부(101)의 A-A선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FPC부(101)의 내부 구조의 구성예이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FPC부(101)의 구조는, FPC부(101)의 두께 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선대칭이기 때문에, 주로 상면측에 대하여 설명하고, 하면측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FPC부(10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PC부(101)는, 기재(基材)(200)와, 기재(200)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신호 배선(210)(신호 전송부)과, 절연층(220)과, 도전성 접착제층(230)과, 실드층(240)(실드부)을 구비한다.
신호 배선(210)은, 소정의 신호로서, 디스플레이(21)의 표시 신호나 리시버 신호를 전송한다. 절연층(220)은, 신호 배선(210) 상에 형성된다. 도전성 접착제층(230)은, 절연층(220)과 실드층(240)을 접착한다.
실드층(240)은, 신호 배선(210)을 전기적으로 실드(차폐)한다. 또, 실드층(240)은, 조작부측 박스체(2)에 있어서, 접점(10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실드층(240)은, 표시부측 박스체(3)에 있어서, 제2 도전부인 기준 전위 패턴층(8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결과적으로 기준 전위 패턴층(86)은, 접점(104)을 통해 RF 회로부(106)의 급전부로부터 급전되거나 또는 급전부에 급전한다.
여기서, 도 7에 나타내는 FPC부(101)에 있어서의 노이즈 신호의 전파(傳播), 및 외부로부터의 전파(電波) 신호의 전파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디스플레이(21)의 표시 신호나 리시버 신호 등은, 신호 배선(210)을 전파한다. 또, 신호 배선(210)으로부터의 노이즈의 전계는, 신호 배선(210)에 근접한 도전성 접착제층(230)의 기재(200) 측의 면을 향하고, 표피 효과에 의해 도전성 접착제층(230)의 기재(200) 측의 면으로 전류가 흐른다.
한편, 외부로부터의 전파 신호는, 실드층(240)의 표면을 향하고, 표피 효과에 의해 실드층(240)의 외면[기재(200)와는 반대측의 면]으로 전류가 흐른다. 이렇게 하여, FPC부(101)는, 신호 배선(210)으로부터의 노이즈와, 외부로부터의 전파 신호를 적절하게 격리할 수 있다.
또, 도 8은, FPC부(101)의 내부 구조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PC부(101)는, 기재(200)와, 기재(200)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신호 배선(210)(신호 전송부)과, 절연층(220)과, 도전성 접착제층(230)과, 실드층(240)과, 절연층(250)과, 실드층(260)(실드부)을 구비한다. 도 8에 나타내는 FPC부(101)는, 절연층(250)과, 실드층(260)을 구비하는 점이 도 7에 나타낸 FPC부(101)와 다르다.
절연층(250)은, 실드층(240) 상에 형성되고, 실드층(240)과 실드층(260)을 전기적으로 격리한다.
도전성 접착제층(230) 및 실드층(260)은, 신호 배선(210)을 전기적으로 실드 한다. 또, 실드층(260)은, 조작부측 박스체(2)에 있어서, 접점(10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실드층(260)은, 표시부측 박스체(3)에 있어서, 제2 도전부인 기준 전위 패턴층(8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결과적으로, 기준 전위 패턴층(86)은, 접점(104)을 거쳐 RF 회로부(106)의 급전부로부터 급전되거나 또는 급전부에 급전한다.
여기서, 도 8에 나타내는 FPC부(101)에 있어서의 외부로부터의 전파 신호의 전파에 대하여 설명한다. 외부로부터의 전파 신호는, 실드층(260)의 표면을 향하고, 표피 효과에 의해 실드층(260)의 외면[기재(200)와는 반대측의 면]으로 전류가 흐른다. 이와 같이, 도 8에 나타내는 FPC부(101)는, 실드층(240) 상에 절연층(250)을 설치했기 때문에, 신호 배선(210)으로부터의 노이즈와, 외부로부터의 전파 신호를 더 적절하게 격리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실드층(240)을 실드부로서 사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나, 도 8에 나타내는 실드층(260)을 실드부로서 사용한 경우이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낼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회로 기판(70)에는, 제1 도전부로서의 기준 전위 패턴층(75)이 형성된다. 기준 전위 패턴층(75)은, 회로 기판(70)에 실장된 RF 회로부(106)의 그라운드부에 접속된다. 또, 회로 기판(80)에는, 제2 도전부로서의 기준 전위 패턴층(86)이 형성되어 있고, 기준 전위 패턴층(86)은, 접점(104)을 통해 RF 회로부(106)의 급전부로부터 급전되거나 또는 급전부에 급전한다.
이것에 의해, 기준 전위 패턴층(75)은, 그라운드부로서 기능하고, 실드층(240) 및 기준 전위 패턴층(86)은, 안테나 소자로서 기능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기준 전위 패턴층(75) 및 기준 전위 패턴층(86)은, 다이폴 안테나로서 기능한다.
또, 이 경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준 전위 패턴층(75)의 길이 L2와, 안테나 소자로서 동작하는 기준 전위 패턴층(86)의 길이 L1 및 FPC부(101)[실드층(240)]의 길이 L3의 합계 길이인 (L1 + L3)이 대략 동일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에 의하면, 실드층(240)은, 신호 배선(210)을 전기적으로 실드한다. 또, 실드층(240)은, 조작부측 박스체(2)에 있어서, 접점(10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실드층(240)은, 표시부측 박스체(3)에 있어서, 제2 도전부인 기준 전위 패턴층(8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때문에, FPC부(101)의 실드층(240)을 통해 기준 전위 패턴층(86)과 접점(104)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신호 배선(210) 이외에 별도의 급전선을 설치하여 표시부측 박스체(3)로 늘일 수 있고, FPC부(101)의 배선 구조나, 연결부(4)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전화기(1) 전체로서도 구조의 간소화가 도모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에 의하면, 그라운드부로서 동작하는 기준 전위 패턴층(75)의 길이 L2와, 안테나 소자로서 동작하는 기준 전위 패턴층(86)의 길이 L1 및 FPC부(101)[실드층(240)]의 길이 L3의 합계 길이인 (L1 + L3)이 대략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휴대전화기(1)는, 다이폴 안테나로서 동작하는 기준 전위 패턴층(75), 기준 전위 패턴층(86), 및 FPC부(101)의 안테나 특성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에 의하면, 제1 도전부는, 회로 기판(70)에 형성된 기준 전위 패턴층(75)이다. 이 때문에, 회로 기판(70)의 유효 활용이 도모되어, 조작부측 박스체(2)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에 의하면, 제2 도전부는, 회로 기판(80)에 형성된 기준 전위 패턴층(86)이다. 이 때문에, 회로 기판(80)의 유효 활용이 도모되어, 표시부측 박스체(3)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전화기(1)에 대하여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전화기(1)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설명을 간략 또는 생략한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의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1)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회로 기판(70)과, 회로 기판(80)은, FPC부(101)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는, 주로, 접점(104a)과, 접점(104b)과, 접점(104c)과, 급전부(109a)와, 급전부(109b)와, 급전부(109c)와, 스위치부(110)와, 방송파를 수신하는 튜너부(112)와, 튜너부(112)에 의해 수신된 방송파를 디코드하는 디코더부(113)와, 각도 검출부(114)와, 휴대전화기(1)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115)를 구비하는 점이 제1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도 10은, 도 9에 있어서의 FPC부(101)의 확대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점(104a)과 접점(104b)은, 서로 간격 L10으로 이간되어 있다. 접점(104b)과 접점(104c)은 서로 간격 L11로 이간되어 있다.
접점(104a)은, FPC 커넥터(102)의 단부로부터 길이 L12이고, FPC 커넥터(102)의 단부로부터 길이 L15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접점(104b)은, FPC 커넥터(102)의 단부로부터 길이 L13이고, FPC 커넥터(102)의 단부로부터 길이 L16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접점(104c)은, FPC 커넥터(102)의 단부로부터 길이 L14이고, FPC 커넥터(102)의 단부로부터 길이 L17에 배치되어 있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의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접점(104a, 104b, 104c) 및 급전부(109a, 109b, 109c)의 도통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2는, 제2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의 닫힌 상태에 있어서의 접점(104a, 104b, 104c) 및 급전부(109a, 109b, 109c)의 도통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F 회로부(106)는, FPC 커넥터(102)의 배치되는 면과는 반대면에 실장된다. 또, 회로 기판(70)에는, 개구부(107a, 107b, 107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점(104a, 104b, 104c)은, FPC부(101)[실드층(240)] 상에 설치된다. 급전부(109a, 109b, 109c)는, 스프링 특성을 가지는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일단(一端)이 스위치부(1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급전부(109a, 109b, 109c)는, 타단(他端)이 각각 개구부(107a, 107b, 107c)를 통해, 접점(104a, 104b, 104c)과 각각 스프링 특성에 의해 접촉 또는 이간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부(110)는, 급전부(109a)와 접점(104a)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상태와, 급전부(109b)와 접점(104b)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상태와, 급전부(109c)와 접점(104c)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3 상태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부(110)는, 제어부(115)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1 상태와, 제2 상태와, 제3 상태 중 하나의 상태(접점)로 스위치를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튜너부(112)는, 기준 전위 패턴층(86)에 의해 공진되는 신호로서, 예를 들면, 방송파를 수신한다. 디코더부(113)는, 튜너부(112)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파를 디코드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튜너부(112) 및 디코더부(113)는, 안테나 소자로서 기능하는 기준 전위 패턴층(86)에 의해 공진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기능을 동작하는 기능 동작부로서 기능한다.
각도 검출부(114)는, 조작부측 박스체(2)의 표시부측 박스체(3)에 대한 개방 각도, 즉 조작부측 박스체(2)와 표시부측 박스체(3)의 상대 위치 상태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한 신호를 제어부(115)에 출력한다.
제어부(115)는, 스위치부(110)의 전환을 제어함으로써, 제1 상태와, 제2 상태와, 제3 상태의 선택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15)는, 각도 검출부(114)에 의해 검출된 조작부측 박스체(2)와 표시부측 박스체(3)의 상대 이동 상태에 따라, 스위치부(110)를 전환함으로써 제1 상태와, 제2 상태와, 제3 상태의 선택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에 의하면, 실드층(240)에 접점(104a)과 접점(104b)과 접점(104c)을 설치하고, 급전부(109a)와 접점(104a), 급전부(109b)와 접점(104b), 및 급전부(109c)와 접점(104c)의 접속을 선택 가능한 스위치부(110)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제어부(115)는, 각도 검출부(114)에 의해 검출된 조작부측 박스체(2)와 표시부측 박스체(3)의 상대 이동 상태에 따라, 스위치부(110)를 전환함으로써 제1 상태와 제2 상태와 제3 상태의 선택을 제어한다.
이 때문에, 휴대전화기(1)는, 제어부(115)의 제어에 근거하여 행해지는 스위치부(110)의 선택에 따라, 실드층(240)에 있어서의 안테나 소자로서 기능하는 범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실드층(240)[실드층(260)]에 있어서의 안테나 특성의 조정, 유지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전화기(1)의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에서는, 안테나 소자로서 기능하는 기준 전위 패턴층(86) 및 실드층(240)과, 그라운드부로서 기능하는 기준 전위 패턴층(75)의 상대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기준 전위 패턴층(86) 및 실드층(240)의 안테나 특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 접점(104a)과, 접점(104b)과, 접점(104c)에서는, 실드층(240)의 임피던스가 다르다. 본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에 의하면, 각도 검출부(114)에 의해 검출되는 휴대전화기(1)의 상대 이동 상태에 따라, 접점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기준 전위 패턴층(86) 및 실드층(240)의 안테나 특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휴대전화기(1)를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천이시킨 경우, 회로 기판(70)과 회로 기판(80)은, 서로의 거리가 근접한다. 또, 조작부측 박스체(2) 및 표시부측 박스체(3)는, 일반적으로 소정의 유전율을 가지는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스위치부(110)를 접점(104b)으로부터 전환하지 않고, 휴대전화기(1)를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천이시킨 경우, 회로 기판(70) 및 회로 기판(80)이 소정의 유전율을 가지는 조작부측 박스체(2) 및 표시부측 박스체(3)에 근접하기 때문에, 닫힌 상태에 있어서의 안테나로서 동작하는 기준 전위 패턴층(86) 및 실드층(240)의 공진 주파수가 열린 상태의 경우보다 낮아진다.
이 경우, 제어부(115)는, 스위치부(110)를 제어하여, 접점(104a)을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기준 전위 패턴층(86)의 길이 L1과 실드층(240)의 길이 L15의 합계값 (L1 + L15)가 기준 전위 패턴층(86)의 길이 L1과 실드층(240)의 길이 L16의 합계값 (L1 + L16)보다 짧아지기 때문에, 기준 전위 패턴층(86) 및 실드층(240)의 공진 주파수를 높은 값으로 조정함으로써, 안테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동일하게 하여, 휴대전화기(1)를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천이시킨 경우, 회로 기판(70) 및 회로 기판(80)이 소정의 유전율을 가지는 조작부측 박스체(2) 및 표시부측 박스체(3)로부터 이간하기 때문에,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안테나로서 동작하는 기준 전위 패턴층(86) 및 실드층(240)의 공진 주파수가 닫힌 상태의 경우보다 낮아진다.
이 경우, 제어부(115)는, 스위치부(110)를 제어하여, 접점(104c)을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기준 전위 패턴층(86)의 길이 L1과 실드층(240)의 길이 L17의 합계값 (L1 + L17)이 기준 전위 패턴층(86)의 길이 L1과 실드층(240)의 길이 L16의 합계값 (L1 + L16)보다 길어지기 때문에, 기준 전위 패턴층(86) 및 실드층(240)의 공진 주파수를 낮은 값으로 조정함으로써, 안테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전화기(1)를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의 중간에 천이시킨 경우, 안테나 소자로서 기능하는 기준 전위 패턴층(86) 및 실드층(240)의 공진 주파수는, 열린 상태의 경우보다 낮아지고, 또한, 닫힌 상태의 경우보다 높아진다.
그래서, 제어부(115)는, 스위치부(110)를 제어하여, 접점(104b)을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기준 전위 패턴층(86)의 길이 L1과 FPC부(101)의 길이 L16의 합계값 (L1 + L16)이 기준 전위 패턴층(86)의 길이 L1과 실드층(240)의 길이 L15의 합계값 (L1 + L15)보다 길어지고, 또한, 기준 전위 패턴층(86)의 길이 L1과 실드층(240)의 길이 L17의 합계값 (L1 + L17)보다 짧아진다. 따라서, 기준 전위 패턴층(86) 및 실드층(240)의 공진 주파수를 열린 상태보다 높고, 또한, 닫힌 상태보다 낮은 값으로 조정함으로써, 안테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제어부(115)는, 튜너부(112) 및 디코더부(113)에 의해 공진되는 신호인 방송파의 주파수에 따라, 스위치부(110)에 의해 제1 상태와 제2 상태와 제3 상태의 선택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기준 전위 패턴층(86)에 의해 공진되어, 튜너부(112) 및 디코더부(113)에 의한 동작의 기초가 되는 신호와 관련되는 안테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이폴 안테나로서 기능하는 기준 전위 패턴층(75), FPC부(101), 및 기준 전위 패턴층(86)은, 예를 들면, 지상파 디지털 방송용 안테나로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서술한 스위치부(110)에 의한 접점(104a, 104b, 104c)의 전환을 지상파 디지털 방송에 적용한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지상파 디지털 방송은, UHF 대역을 사용하고 있고, 수신 주파수가 473MHz∼737MHz로 매우 넓은 대역이다. 이 때문에, 지상 디지털 방송용 안테나도 넓은 대역의 특성이 요구된다.
그래서, 예를 들면, 473MHz∼737MHz의 수신 주파수를 3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한다. 그리고, 주파수가 낮은 대역을 UHF_L, 중간 주파수의 대역을 UHF_M, 주파수가 높은 대역을 UHF_H라고 한다.
그리고, 제어부(115)는, 주파수가 낮은 대역인 UHF_L의 채널이, 예를 들면, 조작키 그룹(11)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경우, 스위치부(110)를 제어하여, 접점(104c)을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준 전위 패턴층(86)의 길이 L1과 실드층(240)의 길이 L17의 합계값 (L1 + L17)이 기준 전위 패턴층(86)의 길이 L1과 실드층(240)의 길이 L16의 합계값 (L1 + L16)보다 길어지기 때문에, 기준 전위 패턴층(86) 및 실드층(240)의 공진 주파수를 낮은 값으로 조정함으로써, UHF_L에 있어서 적절한 안테나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동일하게 하여, 제어부(115)는, 주파수가 높은 대역인 UHF_H의 채널이 선택된 경우, 스위치부(110)를 제어하여, 접점(104a)을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기준 전위 패턴층(86)의 길이 L1과 실드층(240)의 길이 L15의 합계값 (L1 + L15)가 기준 전위 패턴층(86)의 길이 L1과 실드층(240)의 길이 L16의 합계값 (L1 + L16)보다 짧아지기 때문에, 기준 전위 패턴층(86) 및 실드층(240)의 공진 주파수를 높은 값으로 조정함으로써, UHF_H에 있어서 적절한 안테나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동일하게 하여, 제어부(115)는, 중간 주파수 대역인 UHF_M의 채널이 선택된 경우, 스위치부(110)를 제어하여, 접점(104b)을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기준 전위 패턴층(86)의 길이 L1과 실드층(240)의 길이 L16의 합계값 (L1 + L16)이 기준 전위 패턴층(86)의 길이 L1과 실드층(240)의 길이 L15의 합계값 (L1 + L15)보다 길어지고, 또한, 기준 전위 패턴층(86)의 길이 L1과 실드층(240)의 길이 L17의 합계값 (L1 + L17)보다 짧아진다. 따라서, 기준 전위 패턴층(86) 및 실드층(240)의 공진 주파수를 조정함으로써, UHF_M에 있어서 적절한 안테나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지상파 디지털 방송에 있어서, 수신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스위치부를 전환함으로써, 적절한 안테나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3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의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에 있어서, FPC부(125)는, 직선 형상이 아니고, 회로 기판(70) 측에서 L자로 절곡되고, 다시 L자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FPC 커넥터(102)와 접속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FPC부(125)의 길이, 즉 실드층(240)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안테나 소자로서 기능하는 기준 전위 패턴층(86) 및 실드층(240)의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4 실시형태>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4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의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에 있어서, FPC부(101) 대신 세선(細線) 동축케이블(130)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세선 동축케이블(130)은, 커넥터(131)에 의해 회로 기판(8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세선 동축케이블(130)은, 커넥터(132)에 의해 회로 기판(7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세선 동축케이블(130)은, 접점(133)을 통해 RF 회로부(106)의 급전부로부터 급전되거나 또는 급전부에 급전한다. 이와 같이, FPC부(101) 대신 세선 동축케이블(130)을 사용해도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회로 기판(70)에 그라운드 패턴이 설치되고, 제1 도전부로서의 기준 전위 패턴층(75)이 RF 회로부(106)의 그라운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고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준 전위 패턴층(75)의 전위와 RF 회로부(106)의 전위가 동일 전위이면, 기준 전위 패턴층(75), FPC부(101)[실드층(240)], 및 기준 전위 패턴층(86)은, 다이폴 안테나로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도전부는, 회로 기판(70)에 형성된 기준 전위 패턴층(75)이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도전부는, 회로 기판(70) 상에 형성되는 실드 케이스나 조작부측 박스체(2)의 외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착탈 가능한 도전성의 케이스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2 도전부는, 회로 기판(80)에 형성된 기준 전위 패턴층(86)이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 도전부는, 회로 기판(80) 상에 형성되는 실드 케이스나 표시부측 박스체(3)의 외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착탈 가능한 도전성의 케이스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FPC부(101)에 접점을 3개 설치하고, 이 접점을 스위치부(110)에 의해 전환하였으나, 접점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원하는 주파수에 따른 개수의 접점을 배치하고, 배치한 접점을 스위치부(110)에 의해 전환해도 된다.
<제5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5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에 대하여 도 7 및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전화기(1)에 대하여 제1 실시형태와는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제5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는, FPC부(101)의 실드층(240)의 표면측인 실드층(240a), 및 이면측인 실드층(240b)을 각각 다른 안테나 소자로서 동작시키는 점이 제1 실시형태와는 주로 다르다.
상기 서술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PC부(101)에 있어서의 실드층(240)은, 표면측의 실드층(240)(제1 실드층)과, 이면측의 실드층(240)(제2 실드층)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표면측의 실드층(240)을 실드층(240a)이라고 하고, 이면측의 실드층(240)을 실드층(240b)이라고 한다.
FPC부(101)는, 신호 배선(210)을, 실드층(240a)과, 실드층(240b)으로 협지됨으로써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FPC부(101)는, 신호 배선(210)을, 절연층(220) 및 도전성 접착제층(230)을 개재하여, 실드층(240a)과, 실드층(240b)으로 협지됨으로써 구성된다.
도 15는, 제5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의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70)은, FPC 커넥터(102)와, 신호선(105d)과, 신호선(105e)과, RF 회로부(106)(신호 처리부)와, 전환부(120)(제2 선택부)와, 제어부(121)(제2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한, FPC 커넥터(102)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FPC부(101)에는, 급전부로서의 접점(104d, 104e)이 형성되어 있다. 접점(104d)은, 실드층(240a) 상에 형성되고, 신호선(105d)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점(104e)은, 실드층(240b) 상에 형성되고, 신호선(105e)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접점(104d) 및 접점(104e)은, 각각 신호선(105d) 및 신호선(105e)을 통해 전환부(1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실드층(240a) 및 실드층(240b)은, 조작부측 박스체(2)에 있어서 접점(104d)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표시부측 박스체(3)에 있어서 기준 전위 패턴층(8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환부(120)는, 예를 들면, 스위치 등으로 구성되고, 제어부(121)의 제어에 따라, 실드층(240a)과 실드층(240b)을 전기적으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전환부(120)는, 실드층(240a)이 조작부측 박스체(2)에 있어서 접점(104d)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표시부측 박스체(3)에 있어서 기준 전위 패턴층(8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상태와, 실드층(240b)이 조작부측 박스체(2)에 있어서 접점(104d)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표시부측 박스체(3)에 있어서 기준 전위 패턴층(8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상태 중 어느 한쪽을 선택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전환부(120)로 전환됨으로써 실드층(240a)과 실드층(240b) 중 어느 한쪽은, 안테나 소자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제어부(121)는, 신호선(105), RF 회로부(106), 및 전환부(1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이들 신호선(105), RF 회로부(106), 및 전환부(120)를 제어한다.
RF 회로부(106)는, 전환부(120)로 전환함으로써 실드층(240a), 또는 실드층(240b) 중 어느 한쪽을 안테나 소자의 일부로서 사용하여, 수신된 신호의 처리를 행한다.
다음으로, 제5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실드층(240)이 안테나로서 기능할 때의 동작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1)의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통화시에는, 제어부(121)는, 전환부(120)를 전환하여 접점(104e)을 선택한다. 이 경우, 기준 전위 패턴층(75)은, 안테나 소자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측으로서 동작한다. 또, 실드층(240b)은, 안테나 소자에 있어서의 방사 소자의 일부로서 동작한다. 또한, 기준 전위 패턴층(86)은, 안테나 소자에 있어서의 방사 소자로서 동작한다. 이와 같이, 기준 전위 패턴층(75), 실드층(240b) 및 기준 전위 패턴층(86)은, 안테나 소자(예를 들면, 모노폴 안테나, 다이폴 안테나 등)로서 동작한다.
한편,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1)의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통신시나 조작키 그룹(11)의 조작시에는, 제어부(121)는, 전환부(120)를 전환하여 접점(104d)을 선택한다. 이 경우, 기준 전위 패턴층(75)은, 안테나 소자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측의 방사 소자로서 동작한다. 또, 실드층(240a)은, 안테나 소자에 있어서의 방사 소자의 일부로서 동작한다. 또한, 기준 전위 패턴층(86)은, 안테나 소자에 있어서의 방사 소자로서 동작한다. 이와 같이, 기준 전위 패턴층(75), 실드층(240a) 및 기준 전위 패턴층(86)은, 안테나 소자(예를 들면, 모노폴 안테나, 다이폴 안테나 등)로서 동작한다.
휴대전화기(1)가 닫힌 상태에서는, 열린 상태보다 안테나 소자에 있어서의 방사 소자로서 동작할 때의 방사 효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제5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에 의하면, 신호 배선(210)은, 표면측의 실드층(240a)과, 이면측의 실드층(240b)으로 협지됨으로써 구성된다. 또, 실드층(240a)은, 조작부측 박스체(2)에 있어서 접점(104d)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실드층(240b)은, 조작부측 박스체(2)에 있어서 접점(104e)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실드층(240a) 및 실드층(240b)은, 표시부측 박스체(3)에 있어서 기준 전위 패턴층(8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실드층(240a) 및 실드층(240b)의 양면에 있어서 급전을 행할 수 있어, 닫힌 상태이어도 방사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제5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에 의하면, 예를 들면, 통화시에는, 사용자의 얼굴이 휴대전화기(1)의 프론트 케이스(2a) 및 프론트 패널(3a) 측에 근접한다. 이때, 전환부(120)가 전환됨으로써, 실드층(240b)은, 안테나 소자의 일부로서 동작하고, 실드층(240a)은, 신호 배선(210)으로부터의 노이즈 등을 실드한다.
한편으로, 예를 들면, 데이터 통신시나 조작키 그룹(11)의 조작시에는, 사용자의 얼굴이 휴대전화기(1)의 프론트 케이스(2a) 및 프론트 패널(3a) 측으로부터 이간된다. 이때, 전환부(120)가 전환됨으로써, 실드층(240a)은, 안테나 소자의 일부로서 동작하고, 실드층(240b)은, 신호 배선(210)으로부터의 노이즈 등을 실드한다.
따라서, 휴대전화기(1)는, 통화시 등의 사용자의 얼굴이 휴대전화기(1)의 프론트 케이스(2a) 및 프론트 패널(3a) 측에 근접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인체에 대한 전파나 노이즈 등의 방사를 억제할 수 있고, SAR(Specific Absorption Rate : 비흡수율)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RF 회로부(106)는, 실드층(240a)에 있어서 수신되는 신호와, 실드층(240b)에 있어서 수신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21)는, 실드층(240a)에 있어서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와, 실드층(240b)에 있어서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 신호의 강도가 높은(큰) 측을 선택하도록 전환부(120)를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RF 회로부(106)는, 전환부(120)로 전환된 실드층(240a) 또는 실드층(240b)의 어느 한쪽으로 수신되는 신호의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5 실시형태에서는, FPC부(101)의 구성예로서 도 7에 나타내는 FPC부(101)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FPC부(101)는,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6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6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에 대하여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전화기(1)에 대하여 제1 실시형태와는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1 및 제5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제6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는, FPC(101)부의 실드층(240a, 240b)에 있어서, 복수의 다른 주파수에 대응 가능하게 구성되는 점이 주로 다르다.
도 16은, 제6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FPC(101)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A)는, FPC(101)부의 표면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B)는, FPC(101)부의 이면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PC(101)부의 표면측에 있어서의 실드층(240a)에는, 복수의 슬릿(홈)(241a)이 형성되어 있다. 실드층(240a)은, 슬릿(241a)이 형성됨으로써, 제1 주파수대에 공진하는 미앤더 형상(제1 형상)으로 구성된다[도 16(A)의 사선으로 나타낸 부분]. 또, 실드층(240a) 상에는, 급전부로서의 접점(104d)이 형성된다.
한편,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PC(101)부의 이면측에 있어서의 실드층(240b)에는, 슬릿이 형성되지 않고, 실드층(240b)은, 제1 주파수대와는 다른 제2 주파수대에 공진하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제2 형상)으로 구성된다[도 16(B)의 사선으로 나타낸 부분]. 또, 실드층(240b) 상에는, 급전부로서의 접점(104e)이 형성된다.
접점(104d)과 접점(104e)은, 신호선(105d)과 신호선(105e)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신호선(105d, 105e)은, 전환부(1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전환부(120)는, 제5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실드층(240a)이 조작부측 박스체(2)에 있어서 접점(104d)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표시부측 박스체(3)에 있어서 기준 전위 패턴층(8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상태와, 실드층(240b)이 조작부측 박스체(2)에 있어서 접점(104e)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표시부측 박스체(3)에 있어서 기준 전위 패턴층(8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상태 중 어느 한쪽을 선택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실드층(240a)은, 미앤더 형상으로 형성되고, 실드층(240b)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문에, 실드층(240a)은, 실드층(240b)보다 고주파적인 길이가 길어진다. 따라서, 실드층(240a)은, 제1 주파수대에 공진하고, 실드층(240b)은, 제2 주파수대에 공진할 수 있으며, 실드층(240a) 및 실드층(240b)을 복수의 다른 주파수대에 대응할 수 있는 멀티 밴드 안테나의 일부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도 17은, 제6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FPC(101)부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A)는, FPC(101)부의 표면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B)는, FPC(101)부의 이면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A)에 나타내는 FPC(101)부의 표면측의 구성은, 상기 서술한 도 16(A)의 FPC부(101)의 표면측의 구성으로 동일하여, 실드층(240a)은, 제1 주파수대에 공진하는 미앤더 형상(제1 형상)으로 구성된다[도 17(A)의 사선으로 나타낸 부분]. 또, 실드층(240a) 상에는, 접점(104d)이 형성된다.
한편,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PC부(101)의 이면측에 있어서의 실드층(240b)에는, 슬릿(241b)과, 슬릿(241c)이 형성되어 있다[도 17(B)의 사선으로 나타낸 부분]. 구체적으로는, 슬릿(241b)은, FPC부(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릿(241b)은, 실드층(240b)을 좌우로 분할하여, 실드층(240b)에는, 실드 영역 A와 실드 영역 B가 형성된다. 슬릿(241c)은, 슬릿(241b)에 의해 좌우로 분할된 실드 영역 B에 복수 개 형성된다.
실드 영역 A는, 슬릿(241b)에 의해 직선 형상(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실드 영역 B의 형상은, 슬릿(241b) 및 슬릿(241c)에 의해, 실드층(240a)과는 전기적인 길이가 다른 미앤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드층(240b)은, 제2 주파수대에 공진하는 직선 형상, 및 제3 주파수대에 공진하는 미앤더 형상을 가지는 형상(제2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 실드 영역 A 상에는, 급전부로서의 접점(104f)이 형성되고, 실드 영역 B 상에는, 급전부로서의 접점(104g)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실드층(240a)은, 제1 주파수대에 공진하는 미앤더 형상(제1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 실드층(240b)은, 제2 주파수대에 공진하는 직선 형상으로 구성되는 실드 영역 A 및 제3 주파수대에 공진하는 미앤더 형상으로 구성되는 실드 영역 B를 가진다. 이 때문에, 실드층(240a), 실드 영역 A 및 실드 영역 B 각각의 고주파적인 길이가 다르다. 따라서, 휴대전화기(1)는, 실드층(240a) 및 실드층(240b)을 3개의 다른 주파수대에 대응할 수 있는 멀티 밴드 안테나의 일부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도 18은, 제6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FPC부(101)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A)는, FPC부(101)의 표면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B)는, FPC부(101)의 이면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PC부(101)의 표면측에는, 실드층(240a)이 형성된다. 실드층(240a)에는, 슬릿(241d)과, 슬릿(241e)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슬릿(241d)은, FPC부(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슬릿(241e)은, 각각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고, 실드 영역 C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슬릿(241d)은, 실드층(240a)을 좌우로 분할하고, 실드층(240a)에는, 실드 영역 C와 실드 영역 D가 형성된다.
실드 영역 C는, 슬릿(241d, 241e)에 의해 격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실드 영역 D는, 슬릿(241d)에 의해 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드층(240a)은, 제1 주파수대에 공진하는 격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실드 영역 C와, 제1 주파수대와는 다른 제2 주파수대에 공진하는 직선 형상으로 구성되는 실드 영역 D를 가진다.
한편, 도 18(B)는, 상기 서술한 도 16(B)와 동일한 구성으로, FPC부(101)의 이면측에는, 실드층(240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실드층(240b) 상에는, 접점(104e)이 형성된다.
실드층(240b)에는, 슬릿은 형성되지 않고, 실드층(240b)은, 직선 형상을 가진다. 실드층(240b)은, 제1 및 제2 주파수대와는 다른 제3 주파수대에 공진하는 직선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 실드 영역 C 상에는, 급전부로서의 접점(104h)이 형성되고, 실드 영역 D 상에는, 급전부로서의 접점(104i)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실드층(240a)은, 제1 주파수대에 공진하는 격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실드 영역 C, 및 제2 주파수대에 공진하는 직선 형상으로 구성되는 실드 영역 D를 가진다. 또, 실드층(240b)은, 제3 주파수대에 공진하는 직선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 때문에, 실드 영역 C, 실드 영역 D 및 실드층(240b) 각각의 고주파적인 길이가 다르다. 따라서, 실드 영역 C, 실드 영역 D 및 실드층(240b)을 3개의 다른 주파수대에 대응할 수 있는 멀티 밴드 안테나의 일부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도 17 및 도 18의 구성예에서는, 도 16의 구성예와 동일하게, 각각의 접점이 신호선을 통해 전환부(1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환부(120)에서의 전환에 의해 각각의 접점을 선택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제7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7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에 대하여 도 1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9는, 제7 실시형태 휴대전화기(1)와 관련되는 FPC(10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PC(101)는, 기재(200)와, 신호 배선(210)과, 절연층(220)과, 도전성 접착제층(230)과, 실드층(240)과, 슬릿(241)과, 접점(104j)과, 접점(104k)을 구비한다. 제7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FPC부(101)는, 슬릿(241), 접점(104j), 및 접점(104k)을 구비하는 점, 및 신호 배선(210)의 구성이 다른 점이 제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FPC(101)(도 7 참조)와는 주로 다르다.
신호 배선(210)은, 신호 전송선(211)과, 그라운드선(212)을 구비한다. 신호 전송선(211)은, 신호 배선(210)의 FPC부(101)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내측에 복수 배치하여 설치되어, 신호를 전송한다. 그라운드선(212)은, 기준 전위[예를 들면, 기준 전위 패턴층(75), 기준 전위 패턴층(86)]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신호 배선(210)의 FPC부(101)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하여 설치된다.
여기서, 신호 전송선(211)이 FPC부(101)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내측에 배치하여 설치되고, 그라운드선(212)이 FPC부(101)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는 목적은, 외부로부터의 노이즈로부터 신호 전송선(211)을 보호하기 위해서나, 신호 전송선(211)으로부터 방사되는 노이즈를 FPC부(101)의 외부에 방사시키지 않기 위해서 등이다.
접점(104j, 104k)은, 실드층(240) 상의 신호 전송선(211)과 FPC부(101)의 폭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실드층(240)은, 조작부측 박스체(2)에 있어서 그라운드선(212)의 근방에서 접점(104j) 및 접점(104k)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실드층(240)에는, 신호 전송선(211)과 그라운드선(212) 사이의 부위에 대응하여 소정 깊이의 슬릿(홈)(241)이 형성된다. 슬릿(241)은, 상기 서술한 도 18(A)의 슬릿(241d)과 마찬가지로, FPC부(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7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에 의하면, 실드층(240)은, 조작부측 박스체(2)에 있어서 그라운드선(212)의 근방에서 접점(104j) 및 접점(104k)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때문에, 급전부로서의 접점(104j) 및 접점(104k)을 그라운드선(212)의 근방에 배치함으로써, 접점(104j) 및 접점(104k)과 그라운드선(212)의 거리는, 접점(104j) 및 접점(104k)과 그라운드선(212)의 거리보다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접점(104j) 및 접점(104k)은, 신호 전송선(211)으로부터의 고주파적인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
또, 제7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에 의하면, 실드층(240)에는, 신호 전송선(211)과 그라운드선(212) 사이의 부위에 대응하여 소정 깊이의 슬릿(241)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휴대전화기(1)는, 급전부로서 2지점의 접점(104j) 및 접점(104k)을 설치할 수 있고, 접점(104j) 및 접점(104k)이 신호 전송선(211)으로부터의 고주파적인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상태에서 급전을 행할 수 있다.
<제8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8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에 대하여 도 2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0은, 제8 실시형태 휴대전화기(1)와 관련되는 FPC(10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제8 실시형태에서는, 제7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7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PC(101)는, 기재(200)와, 신호 배선(210)과, 절연층(220)과, 도전성 접착제층(230)과, 실드층(240)과, 슬릿(241)과, 접점(104l)과, 접점(104m)을 구비한다. 제8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FPC(101)는, 신호 배선(210)의 구성이 제7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FPC(101)(도 19 참조)와는 주로 다르다.
신호 배선(210)은, 제1 신호 전송선(213)과, 제2 신호 전송선(214)을 구비한다.
제1 신호 전송선(213)은, 신호 배선(210)에 배치하여 설치되고, 제1 전송 속도로 신호를 전송한다. 제2 신호 전송선(214)은, 신호 배선(210)에 배치하여 설치되고, 제1 전송 속도보다 빠른 전송 속도인 제2 전송 속도로 신호를 전송한다.
접점(104l) 및 접점(104m)은, 실드층(240) 상의 신호 전송선(211)과 FPC부(101)의 폭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실드층(240)은, 조작부측 박스체(2)에 있어서 제2 신호 전송선(214)보다 제1 신호 전송선(213)의 근방에서 접점(104l) 및 접점(105m)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실드층(240)에는, 제1 신호 전송선(213)과 제2 신호 전송선(214) 사이의 부위에 대응하여 소정 깊이의 슬릿(홈)(242)이 형성된다. 슬릿(242)은, 상기 서술한 제7 실시형태의 슬릿(241)과 마찬가지로, FPC부(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8 실시형태에 의하면, 실드층(240)은, 조작부측 박스체(2)에 있어서 제1 신호 전송선(213)의 근방에서 접점(104l) 및 접점(105m)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때문에, 급전부로서의 접점(104l) 및 접점(105m)을 제1 신호 전송선(213)의 근방에 배치함으로써, 접점(104l) 및 접점(105m)과 제2 신호 전송선(214)의 거리는, 접점(104l) 및 접점(105m)과 제1 신호 전송선(213)의 거리보다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접점(104l) 및 접점(105m)은, 제2 신호 전송선(214)으로부터의 고주파적인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된다.
또, 제8 실시형태에 의하면, 실드층(240)에는, 제1 신호 전송선(213)과 제2 신호 전송선(214) 사이의 부위에 대응하여 소정 깊이의 슬릿(242)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휴대전화기(1)는, 급전부로서 2지점의 접점(104l) 및 접점(105m)을 설치할 수 있어, 접점(104l) 및 접점(105m)이 제2 신호 전송선(214)으로부터의 고주파적인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상태에서 급전을 행할 수 있다.
1 : 휴대전화기(통신기기) 2 : 조작부측 박스체(제1 박스체)
3 : 표시부측 박스체(제2 박스체) 70 : 회로 기판(제1 회로 기판)
75 : 기준 전위 패턴층(제1 도전부) 80 : 회로 기판(제2 회로 기판)
86 : 기준 전위 패턴층(제2 도전부) 101 : FPC(신호선)
104 : 접점(급전부) 106 : RF 회로부(회로부)
210 : 신호 배선(신호 전송부) 240 : 실드층(실드부)
3 : 표시부측 박스체(제2 박스체) 70 : 회로 기판(제1 회로 기판)
75 : 기준 전위 패턴층(제1 도전부) 80 : 회로 기판(제2 회로 기판)
86 : 기준 전위 패턴층(제2 도전부) 101 : FPC(신호선)
104 : 접점(급전부) 106 : RF 회로부(회로부)
210 : 신호 배선(신호 전송부) 240 : 실드층(실드부)
Claims (16)
- 제1 박스체와,
제2 박스체와,
상기 제1 박스체에 배치된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박스체에 배치된 제2 회로 기판과,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형성되고, 그라운드부 그리고 급전부 및 상기 급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신호 처리부를 가지는 회로부와,
상기 제1 박스체에 배치되고, 상기 그라운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도전부와,
상기 제2 박스체에 배치된 제2 도전부와,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신호선을 구비하고,
상기 신호선은, 소정의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와, 상기 신호 전송부를 전기적으로 실드하는 실드부를 가지고,
상기 실드부는, 상기 제1 박스체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박스체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부는, 복수의 접점을 가지고,
상기 급전부와 상기 복수의 접점 중 하나의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상태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선택부와,
상기 제1 선택부에 의한 상기 접속 상태의 선택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스체와 상기 제2 박스체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를 통한 상기 제1 박스체와 상기 제2 박스체의 상대 이동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1 박스체와 상기 제2 박스체의 상대 이동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선택부에 의해 상기 접속 상태의 선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상대 이동 상태로서, 상기 제1 박스체와 상기 제2 박스체가 서로 겹치도록 배치된 닫힌 상태, 상기 제1 박스체와 상기 제2 박스체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된 열린 상태, 및 상기 닫힌 상태와 상기 열린 상태의 중간 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부에 의해 공진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기능을 동작하는 기능 동작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2 도전부에 의해 공진되는 신호로서 상기 기능 동작부에 의해 동작되는 기능의 기초가 되는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제1 선택부에 의해 상기 접속 상태의 선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동작부는, 튜너부 및 디코더부를 가지고,
상기 튜너부는, 상기 제2 도전부에 의해 공진되는 신호를 방송파로서 수신하고,
상기 디코더부는, 상기 튜너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방송파를 디코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부의 상기 제1 박스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상기 제2 도전부의 상기 제2 박스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와 상기 제2 도전부에 의해 공진되는 신호의 상기 실드부에 있어서의 전송 경로 길이의 합에 의해 얻어지는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부는,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형성된 제1 기준 전위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부는,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형성된 제2 기준 전위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은, 상기 신호 전송부를 협지하는 제1 실드부와, 제2 실드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실드부 및 상기 제2 실드부는, 상기 제1 박스체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박스체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드부는, 제1 주파수대에 공진하는 제1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실드부는, 제2 주파수대에 공진하는 제2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드부가 상기 제1 박스체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박스체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상태와, 상기 제2 실드부가 상기 제1 박스체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박스체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상태 중 어느 한쪽을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선택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부는,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선과, 기준 전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그라운드선을 가지고,
상기 실드부는, 상기 제1 박스체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선의 근방에서 상기 급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부에는, 상기 신호 전송선과 상기 그라운드선 사이의 부위에 대응하여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부는, 제1 전송 속도로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신호 전송선과, 상기 제1 전송 속도보다 빠른 전송 속도인 제2 전송 속도로 신호를 전송하는 제2 신호 전송선을 가지고,
상기 실드부는, 상기 제1 박스체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 전송선보다 상기 제1 신호 전송선의 근방에서 상기 급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부에는, 상기 제1 신호 전송선과 상기 제2 신호 전송선 사이의 부위에 대응하여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8-301955 | 2008-11-27 | ||
JP2008301955 | 2008-11-27 | ||
JP2009107102A JP4603617B2 (ja) | 2008-11-27 | 2009-04-24 | 通信機器 |
JPJP-P-2009-107102 | 2009-04-24 | ||
PCT/JP2009/006441 WO2010061633A1 (ja) | 2008-11-27 | 2009-11-27 | 通信機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7897A true KR20110097897A (ko) | 2011-08-31 |
KR101231062B1 KR101231062B1 (ko) | 2013-02-07 |
Family
ID=42225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14501A KR101231062B1 (ko) | 2008-11-27 | 2009-11-27 | 통신기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798694B2 (ko) |
JP (1) | JP4603617B2 (ko) |
KR (1) | KR101231062B1 (ko) |
CN (1) | CN102224632B (ko) |
WO (1) | WO201006163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674415B2 (ja) * | 2009-10-28 | 2015-02-25 | 京セラ株式会社 | 携帯通信端末 |
JP5503984B2 (ja) * | 2010-01-27 | 2014-05-28 | 京セラ株式会社 | 携帯端末 |
JP2011187582A (ja) * | 2010-03-05 | 2011-09-22 | Nec Corp | 通信端末 |
JP5584086B2 (ja) * | 2010-10-14 | 2014-09-03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電子機器 |
MX2013011486A (es) * | 2011-04-06 | 2013-11-04 | Saint Gobain | Elemento de conexion conductor plano para una estructura de antena. |
DE102013106305A1 (de) * | 2012-06-20 | 2013-12-24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Tragbares Endgerät |
JP6146998B2 (ja) * | 2012-12-21 | 2017-06-14 | キヤノン株式会社 | 電子機器 |
US9337531B2 (en) * | 2013-05-28 | 2016-05-10 | 6Harmonics Inc. | Method and system for antenna sharing |
TWI517495B (zh) * | 2013-06-21 | 2016-01-11 | 群邁通訊股份有限公司 | 無線通訊裝置 |
KR102102644B1 (ko) * | 2013-12-24 | 2020-04-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JP6273182B2 (ja) * | 2014-08-25 | 2018-01-31 | 株式会社東芝 | 電子機器 |
TR201907761T4 (tr) | 2014-12-16 | 2019-06-21 | Saint Gobain | Elektrikle ısıtılabilen antenli cam levha ve bunun üretim yöntemi. |
PL3281247T3 (pl) | 2015-04-08 | 2021-05-17 | Saint-Gobain Glass France | Szyba anteny samochodowej |
US10665919B2 (en) | 2015-04-08 | 2020-05-26 | Saint-Gobain Glass France | Antenna pane |
US9941611B2 (en) | 2015-09-25 | 2018-04-10 | Intel Corporation | Connection structures for providing a reference potential to a flexible circuit device |
KR102622767B1 (ko) * | 2016-02-11 | 2024-01-09 | 주식회사 기가레인 | 연성회로기판 |
KR102553887B1 (ko) * | 2016-06-01 | 2023-07-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폴더블 전자 장치 |
US9799947B1 (en) * | 2016-06-06 | 2017-10-24 | Motorola Mobility Llc | Modular device system desense reduction |
US9634774B1 (en) * | 2016-06-06 | 2017-04-25 | Motorola Mobility Llc | Desense reduction via pin remap in modular device |
US10075570B2 (en) * | 2016-08-09 | 2018-09-11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Providing sensing ability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
CN107509352B (zh) * | 2017-08-25 | 2019-06-07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柔性电路板fpc的固定方法及移动终端 |
KR101938104B1 (ko) * | 2018-01-25 | 2019-01-14 | 주식회사 기가레인 | 접합 평탄도가 개선된 연성회로기판 |
KR102640610B1 (ko) | 2019-02-19 | 2024-02-2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통합된 접지 구조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
KR20210081968A (ko) * | 2019-12-24 | 2021-07-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KR20210101669A (ko) * | 2020-02-10 | 2021-08-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폴더블 전자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782970B2 (ja) * | 2000-06-30 | 2011-09-2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携帯電話機 |
JP3830773B2 (ja) * | 2001-05-08 | 2006-10-11 | 三菱電機株式会社 | 携帯電話機 |
JP3789424B2 (ja) * | 2002-11-20 | 2006-06-21 |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 携帯端末 |
AU2003289883A1 (en) | 2002-11-26 | 2004-06-18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Antenna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 hinge |
JP2004214726A (ja) * | 2002-12-26 | 2004-07-29 | Sony Corp | 無線通信アンテナ及び無線通信装置 |
JP4371914B2 (ja) * | 2004-06-04 | 2009-11-25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折畳式携帯無線機 |
JP2005354552A (ja) | 2004-06-14 | 2005-12-2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折畳式携帯無線機 |
JP2006050056A (ja) | 2004-08-02 | 2006-02-1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折り畳み式携帯無線機 |
US7456794B2 (en) | 2004-10-28 | 2008-11-25 | Panasonic Corporation | Foldable portable radio |
JP2006166370A (ja) * | 2004-12-10 | 2006-06-2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折畳式携帯無線機 |
JP4662243B2 (ja) * | 2005-02-28 | 2011-03-30 |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 携帯無線装置 |
JP4633533B2 (ja) | 2005-05-02 | 2011-02-16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携帯無線機 |
JP2007089123A (ja) * | 2005-08-24 | 2007-04-05 | Nec Saitama Ltd | 携帯無線機 |
KR100973635B1 (ko) * | 2005-09-16 | 2010-08-02 |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 휴대 단말 장치 |
JP2007201918A (ja) * | 2006-01-27 | 2007-08-09 | Mitsubishi Electric Corp | 携帯電話 |
JP4624302B2 (ja) * | 2006-05-12 | 2011-02-02 | シャープ株式会社 | 携帯端末 |
EP2023437A4 (en) * | 2006-05-30 | 2009-12-09 | Panasonic Corp | PORTABLE WIRELESS UNIT |
WO2008004479A1 (fr) * | 2006-07-06 | 2008-01-10 | Sharp Kabushiki Kaisha | dispositif terminal sans fil portable |
JP2008227560A (ja) * | 2007-03-08 | 2008-09-25 | Nec Corp | 携帯無線機 |
-
2009
- 2009-04-24 JP JP2009107102A patent/JP4603617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11-27 CN CN200980146767.2A patent/CN102224632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11-27 WO PCT/JP2009/006441 patent/WO201006163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11-27 US US13/131,642 patent/US879869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11-27 KR KR1020117014501A patent/KR10123106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8798694B2 (en) | 2014-08-05 |
CN102224632A (zh) | 2011-10-19 |
JP2010154492A (ja) | 2010-07-08 |
JP4603617B2 (ja) | 2010-12-22 |
CN102224632B (zh) | 2014-03-12 |
KR101231062B1 (ko) | 2013-02-07 |
WO2010061633A1 (ja) | 2010-06-03 |
US20110230146A1 (en) | 2011-09-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31062B1 (ko) | 통신기기 | |
EP2448065B1 (en) | Mobile communiction terminal with a frame and antenna | |
JP4372156B2 (ja) | アンテナ装置およびそのアンテナ装置を用いた無線端末 | |
US7821463B2 (en) | Mobile telephone with broadcast receiving element | |
KR102013588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2025661B1 (ko) |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 |
CN113517556B (zh) | 天线结构及具有该天线结构的电子设备 | |
EP1770875A1 (en) | Mobile telephone device | |
KR20040071656A (ko) | 휴대 무선통신 장치 | |
JP4709667B2 (ja) | アンテナ装置及び受信装置 | |
WO2006013843A1 (ja) | 携帯電話機 | |
US8884828B2 (en) | Mobile wireless terminal | |
KR100737561B1 (ko) | 안테나 장치, 안테나 시스템 및 방송 수신 장치 | |
JPWO2010150543A1 (ja) | 携帯無線端末 | |
US8698698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JP4082302B2 (ja) | 平面アンテナ | |
KR102020327B1 (ko) | 이동 단말기 | |
JP3113460B2 (ja) | 移動体通信装置 | |
CN118054192A (zh) | 电子设备 | |
CN118137113A (zh) | 电子设备 | |
CN118738843A (zh) | 天线组件及电子设备 | |
WO2007011191A1 (en) | Small monopole antenna having loop element included feeder | |
WO2014002378A1 (ja) | アンテナ装置及び携帯無線機 | |
JP2005020450A (ja) | 平面アンテナ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