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635B1 - 휴대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635B1
KR100973635B1 KR1020087005216A KR20087005216A KR100973635B1 KR 100973635 B1 KR100973635 B1 KR 100973635B1 KR 1020087005216 A KR1020087005216 A KR 1020087005216A KR 20087005216 A KR20087005216 A KR 20087005216A KR 100973635 B1 KR100973635 B1 KR 100973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e
flexible substrate
terminal device
housing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5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3494A (ko
Inventor
히데까쯔 고바야시
와따루 무라따
히로아끼 마쯔다
요시후미 가지와라
마사미찌 와따나베
다쯔히또 아라끼
요시아끼 가또오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3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18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y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ground planes or power pla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54High voltage adaptations; Electrical insulation details; Overvoltage o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 Arrangements for regulating voltages or for using plural volta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8Arrangements of two or more hingeably connected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i.e. connected by flexible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4Assemblies of printed circuits
    • H05K2201/041Stacked PCBs, i.e. having neither an empty space nor mounted components in betwee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1Ro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2개의 하우징을 포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 내를 통해 배치되는 신호선 가요성 기판의 신호선에 대한 정전기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휴대 단말 장치는, 한쪽의 하우징과 다른 쪽의 하우징(300)이 연결부(400)를 통해 포갬 가능하게 연결되고, 한쪽의 하우징과 다른 쪽의 하우징(300)의 각각에 내장된 회로 기판 사이를 접속하는 신호선 가요성 기판(501)이 연결부(400) 내를 통해 배치된 휴대 단말 장치이며, 하우징 접지되는 도전체 패턴을 갖고 신호선 가요성 기판(501)보다 폭 넓게 형성되고 상기 신호선 가요성 기판(501)의 외측 양면을 사이에 두는 한 쌍의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502)을 구비하고 있다.
휴대 단말 장치, 신호선 가요성 기판, 하우징, 연결부, 도전체 패턴

Description

휴대 단말 장치 {MOBIL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2개의 하우징이 연결부를 통해 포갬 가능하게 연결된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2개의 하우징의 각각에 내장된 회로 기판 사이를 접속하는 신호선 가요성 기판이 연결부 내를 통과하여 배치된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소형화 등의 요망에 대응하기 위해, 2개의 하우징을 힌지 구조에 의한 절첩 방식 등에 의해 포갬 가능하게 한 것이 많다. 이 경우, 각각의 하우징에 내장되어 있는 회로 기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방식으로서, 굴곡성이 우수한 신호선 가요성 기판을 이용하여, 이 신호선 가요성 기판을 힌지 구조 등의 연결부 내를 통과시켜 배치하는 방식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2 등 참조).
여기서, 특허 문헌 1, 2에서는, 도전층이 발하는 노이즈를 외부로 내보내지 않거나, 또는 외부의 노이즈가 도전층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도전층의 실드(shield)의 목적에서, 신호선을 갖는 도전층의 양면을 덮는 전자기 실드층을 마련한 가요성 기판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시판되고 있는 휴대 전화기로서는, 도12 및 도13에 도시하는 바와 같 이 힌지 구조에 의한 연결부(700) 내를 통과하도록 배치된 수 매의 신호선 가요성 기판(701)의 외측에 하우징 접지된 1매의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702)을 배치하여, 하우징 접지하도록 한 것도 있다. 도12는 종래의 휴대 전화기의 연결부 부근의 주요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투시도이고, 도13은 연결부에 있어서의 가요성 기판 배치 부분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12에 있어서, 부호 703은 송화부, 조작 키 등이 마련된 고정측 하우징이고, 704는 수화부, 액정 표시부 등이 마련된 가동측 하우징이다. 가동측 하우징(704)은, 예를 들어 도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면측에 위치하는 전방면 외장 케이스(705)와, 배면측에 위치하는 배면 외장 케이스(706)의 2개 분할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우징(703)은, 단부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힌지 구조에 있어서의 지지축(708)이 끼워 맞추어지는 원통 형상의 베어링 외장 통부(709, 710)를 갖는다. 하우징(704)의 전방면 외장 케이스(705)는, 베어링 외장 통부(709, 710)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지지축(708)이 끼워 맞추어지는 원통 형상의 베어링 외장 통부(711, 712)를 갖는다. 또한, 전방면 외장 케이스(705)는, 베어링 외장 통부(711)와 옆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일체로 대략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베어링 외장부(713)를 갖고, 배면 외장 케이스(706)는 베어링 외장부(71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동일 폭으로 대략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베어링 외장부(714)를 갖고, 전방면 외장 케이스(705)와 배면 외장 케이스(706)를 조합한 상태에 있어서 베어링 외장부(713, 714)가 걸림 고정되어 내부에 원통 형상 공간을 갖는 베어링 외장 통부(715)를 형성한다. 여기서, 외장 케이스(705, 706)는 강도 확보를 위 해, 예를 들어 Mg 등의 금속 케이스로서 형성되어 있지만, 베어링 외장부(714) 부분은, ABS 등의 수지재에 의해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703)은 베어링 외장 통부(715, 712) 사이에 위치하도록 단부에 돌출 형성된 베어링 외장 통부(716)를 갖는다. 이 베어링 외장 통부(716)는 베어링 외장 통부(715)와 마찬가지로, 반원 통 형상의 2개의 베어링 외장부를 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신호선 가요성 기판(701) 및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702)은, 원통 형상 공간을 갖는 베어링 외장 통부(715, 716) 부분을 통과하도록 연결부(700) 내에 배치된다. 여기서, 신호선 가요성 기판(701) 및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702)은, 하우징(703, 704)의 개폐 조작에 수반되는 단선을 방지하고 추종성을 좋게 하기 위해, 연결부(700) 내에서 1회전하도록 컬되어 배치된다. 또한, 신호선 가요성 기판(701)과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702)은, 도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일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14는, 신호선 가요성 기판(701) 및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702)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하우징 접지된 도전체 패턴(717)이 전면적으로 형성된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702)은, 도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측에 비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커버레이(718)를 갖고, 도전체 패턴(717)의 단부가 덮여 있다. 도15는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702)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214443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7-274275호 공보
그런데, 사용자는 휴대 전화기를 손에 쥐고 조작하거나 들고 다니지만, 사용자의 대전·방전에 수반되는 정전기가 휴대 전화기에 들어간 경우, 회로적으로 정전기가 흐르면 곤란한 부분으로 흘러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특히, 도12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힌지 구조에 의한 연결부(700)는, 베어링 외장 통부(715, 716) 사이에 간극(719)을 가지므로, 이 간극(719)으로 흘러 들어간 정전기가, 간극(719)으로부터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 베어링 외장 통부(715, 716)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신호선 가요성 기판(701)에 2차 방전하여 신호선에 흘러, 하우징(703 또는 704) 내의 회로 기판 상의 내부 회로로 흘러 들어가 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12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선 가요성 기판(701)의 외측에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702)을 마련한 구성의 경우도, 내부 공간에서 1회전하도록 컬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간극(719)으로 흘러 들어간 정전기가,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702)의 도전체 패턴(717)에 우선하여, 신호선 가요성 기판(701)에 2차 방전하여 신호선에 흘러 버릴 가능성이 있어, 정전기 대책으로서는 불충분하다.
또한, 특허 문헌 1, 2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도전층의 양면을 전자기 실드층으로 덮은 가요성 기판을 이용한 경우라도, 실드 목적에서 전자기 실드층이 접지되어 있지만, 외부로부터의 정전기가 신호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은 아니며, 정전기에 대한 피뢰침으로서의 기능은 행해지지 않아, 도전층 중의 신호선에 정전기가 흘러 버릴 가능성이 있어, 정전기 대책으로서는 불충분하다. 즉, 가요성 기판은 접지된 전자기 실드층을 갖지만, 도전층 중의 신호선 사이의 갭은 수 ㎛ 정도로, 전자기 실드층에 정전기가 흘렀다고 해도, 바로 옆에는 신호선이 존재하는 구조이며, 신호선에 대한 영향을 무시할 수 없어, 정전기는 신호선에 대해서도 흘러 버릴 가능성이 크다.
한편, 힌지 구조 등의 연결부를 통해 2개의 하우징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휴대 단말 장치에서는, 가동하는 구조상, 연결부에 있어서 하우징 사이의 간극을 없애는 것은 곤란하며, 따라서 발생한 정전기가 연결부 내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힌지 구조와 같은 연결부를 통과시켜 신호선 가요성 기판이 배치되는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는, 효과적인 정전기 대책이 요망된다. 특히, 오늘날 휴대 전화기는 일상적으로 필요 불가결한 기기로 되어 있고, 인체에 정전기가 발생하기 쉬운 건조 시기 등을 막론하고, 들고 다니면서 조작되는 것이 당연한 상황에 있어, 정전기 대책은 중요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2개의 하우징을 포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 내를 통과시켜 배치되는 신호선 가요성 기판의 신호선에 대한 정전기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2개의 하우징이 연결부를 통해 포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각각에 내장된 회로 기판 사이를 접속하는 신호선 가요성 기판이 상기 연결부 내를 통과하여 배치된 휴대 단말 장치이며, 하우징 접지되는 도전체 패턴을 갖고 상기 신호선 가요성 기판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신호선 가요성 기판의 외측 양면을 사이에 끼우는 한 쌍의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연결부에 있어서의 간극으로부터 정전기가 침입하였다고 해도, 신호선 가요성 기판의 외측 양면에는 폭이 넓은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이 마련되어 있어, 신호선보다도 큰 접지가 존재하게 되어, 정전기가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으로 흐르기 쉬우므로, 정전기를 적극적으로 하우징 접지에 흘러 들어가게 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은 신호선 가요성 기판과는 별도의 기판으로서 마련되어 있어, 신호선과의 사이의 갭을 조금이라도 크게 하여 피뢰침으로서의 기능을 갖게 할 수 있어,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에 흐르는 정전기가 신호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제1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은, 양측에 비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보강재를 갖고, 상기 신호선 가요성 기판보다 폭이 넓은 상기 보강재 단부면 부분이 상기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박리되어 상기 도전체 패턴이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정전기가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 사이에 끼워진 옆쪽으로부터 신호선측으로 들어가려고 해도, 신호선이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보다도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데다가, 외측 단부에는 노출된 도전체 패턴이 존재하여, 신호선측으로 흘러 들어가기 전에 정전기는 노출된 도전체 패턴 부분으로 흐르기 쉬워져, 피뢰침으로서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재를 전면적으로 박리하고 있지 않으므로,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의 강도를 유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3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제1 또는 제2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절첩 가능한 힌지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외장 케이스가 금속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 장치이며, 상기 힌지 구조 중, 상기 신호선 가요성 기판이 배치되는 부분의 외장 케이스가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연결부의 간극으로부터 정전기가 침입하여 신호선을 향해 흘러 들어가려고 할 때의 연면 거리를 수지재에 의한 외장 케이스에 의해 확보할 수 있어, 정전기에 의한 영향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제1 또는 제2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한쪽의 상기 하우징은, 접지된 안테나용 판금부를 상기 연결부 근방에 갖고, 상기 안테나용 판금부는, 그 일부로부터 상기 신호선 가요성 기판의 외측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상기 연결부 내로 연장된 판금 연장부를 일체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피뢰침으로서 기능하는 한 쌍의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에 더하여, 판금 연장부도 피뢰침으로서 기능하여, 연결부의 간극으로부터 침입하는 정전기를 판금 연장부에 의해 적극적으로 하우징 접지에 흘러 들어가게 할 수 있어, 신호선 가요성 기판 상의 신호선에의 정전기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제4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금 연장부는 상기 신호선 가요성 기판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판금 연장부가 확실하게 피뢰침으로서의 기능을 다하여, 신호선 가요성 기판 상의 신호선에의 정전기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제1 또는 제2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가요성 기판은 복수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연결부의 폭, 구조의 제약을 받는 조건하에서, 회로 기판 사이의 필요한 전기적인 접속을 확보할 수 있는데다가, 이들 신호선 가요성 기판의 외측 양면에 한 쌍의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을 마련함으로써, 정전기가 침입한 경우의 신호선 가요성 기판 상의 신호선에의 정전기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제1 또는 제2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절첩 가능한 힌지 구조로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 장치이며, 상기 신호선 가요성 기판은, 상기 힌지 구조 내에서 1회전하도록 컬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하우징의 개폐 조작에 수반되는 단선을 방지하고 추종성을 좋게 하기 위해, 신호선 가요성 기판이 연결부 내에서 1회전하도록 컬되어 배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신호선 가요성 기판의 외측 양면에 한 쌍의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을 마련함으로써, 정전기가 침입한 경우의 신호선 가요성 기판 상의 신호선에의 정전기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2개의 하우징이 힌지 구조로 이루어지는 연결부를 통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각각에 내장된 회로 기판 사이를 접속하는 신호선 가요성 기판이 상기 연결부 내를 통과하여 배치된 휴대 단말 장치이며, 한쪽의 상기 하우징은 접지된 안테나용 판금부를 상기 연결부 근방에 갖고, 상기 안테나용 판금부는 그 일부로부터 상기 신호선 가요성 기판의 외측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상기 연결부 내로 연장된 판금 연장부를 일체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판금 연장부가 피뢰침으로서 기능하여, 연결부의 간극으로부터 침입하는 정전기를 판금 연장부에 의해 적극적으로 하우징 접지로 흘러 들어가게 할 수 있어, 신호선 가요성 기판 상의 신호선에의 정전기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제8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금 연장부는 상기 신호선 가요성 기판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판금 연장부가 확실하게 피뢰침으로서의 기능을 다하여, 신호선 가요성 기판 상의 신호선에의 정전기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제8 또는 제9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가요성 기판은 복수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연결부의 폭, 구조의 제약을 받는 조건하에서, 회로 기판 사이의 필요한 전기적인 접속을 확보할 수 있는데다가, 안테나용 판금부의 일부로부터 연장시킨 판금 연장부를 설치함으로써, 정전기가 침입한 경우의 신호선 가요성 기판 상의 신호선에의 정전기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제8 또는 제9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가요성 기판은 상기 힌지 구조 내에서 1회전하도록 컬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하우징의 개폐 조작에 수반되는 단선을 방지하고 추종성을 좋게 하기 위해, 신호선 가요성 기판이 연결부 내에서 1회전하도록 컬되어 배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안테나용 판금부의 일부로부터 연장시킨 판금 연장부를 설치함으로써, 정전기가 침입한 경우의 신호선 가요성 기판 상의 신호선에의 정전기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휴대 단말 장치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2는 외장 케이스를 제거한 휴대 전화기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3은 가요성 기판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의 A-A선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5는 가요성 기판군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6은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7은 본 제1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의 연결부 부근의 주요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도8은 연결부에 있어서의 가요성 기판군의 배치 부분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의 연결부 부근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10은 본 제2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의 연결부 부근의 주요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도11은 안테나용 판금부의 형상을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12는 종래의 휴대 전화기의 연결부 부근의 주요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도13은 연결부에 있어서의 가요성 기판 배치 부분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14는 신호선 가요성 기판 및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15는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 휴대 전화기(휴대 단말 장치)
200, 300 : 하우징
211, 311 : 회로 기판
322, 323 : 베어링 외장부(외장 케이스)
400 : 연결부
402 : 간극
501 : 신호선 가요성 기판
502 :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
511 : 도전체 패턴
512 : 커버레이(보강재)
600 : 안테나용 판금부
602 : 판금 연장부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휴대 단말 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상 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휴대 단말 장치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본 제1 실시예의 휴대 단말 장치는, 구체적으로는 휴대 전화기(100)이다. 휴대 전화기(100)는, 손바닥 사이즈의 2개의 하우징(200, 300)과, 이들 하우징(200, 300)을 포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400)를 구비한다. 본 제1 실시예에서는, 연결부(400)는 힌지 구조로 이루어져, 하우징(200, 300)을 절첩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하우징(200)은 송화부(201), 다이얼 키, 기능키 등의 조작 키(202) 등이 마련된 고정측 하우징이고, 하우징(300)은 수화부(301), 액정 표시부(302) 등이 마련된 가동측 하우징이며, 도1은 가동측 하우징(300)이 고정측 하우징(200)에 대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200)은 내면이 되는 조작면측에 위치하는 전방면 외장 케이스(203)와, 외면이 되는 배면측에 위치하는 배면 외장 케이스(204)의 2개 분할 구조로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하우징(300)은 내면이 되는 표시면측에 위치하는 전방면 외장 케이스(303)와, 외면이 되는 배면측에 위치하는 배면 외장 케이스(304)의 2개 분할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2는 외장 케이스를 제거한 휴대 전화기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고정측 하우징(200)은, 내부 프레임체(210) 등에 지지된 회로 기판(211)을 구비한다. 회로 기판(211)은 각종 회로 부품을 실장한 것으로, 전방면 외장 케이스(203)측이 되는 표면측에는 조작 키(202)에 대응하는 복수의 키 스위치(212)가 배열된 키 시트(213)나 마이크(214)나 충전용 커넥터(215)도 실장되어 있다. 가동측 하우징(300)은, 내부 프레임체(310) 등에 지지된 회로 기판(311)을 구비한다. 회로 기판(311)은, 수신용 회로 부품, 표시용 회로 부품 등을 실장한 것으로, 전방면 외장 케이스(303)측이 되는 표면측에는 액정 표시부(302)에 대응하는 액정 패널(312)이나 스피커(313) 등이 실장되어 있다.
여기서, 본 제1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100)는, 연결부(400) 내를 통과시켜 배치된 가요성 기판군(500)을 구비한다. 도3은 가요성 기판군(50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의 A-A선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가요성 기판군(500)은, 신호선 가요성 기판(501)과, 신호선 가요성 기판(501)의 외측 양면을 사이에 두는 한 쌍의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502)의 포갬 구조로 이루어지고, 연결부(400) 내에서 1회전하도록 컬되어 배치된다. 신호선 가요성 기판(501)은, 하우징(200, 300)에 내장된 각각의 회로 기판(211, 311)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신호선 패턴이나 이 신호선 패턴을 덮는 절연층 등이 형성된 것으로, 배치할 연결부(400)의 폭의 제약 등을 받으므로, 복수매, 본 제1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2매의 신호선 가요성 기판으로 분할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신호선 가요성 기판(501)은, 회로 기판(211, 311) 상의 단부측 위치에 설치된 커넥터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부(503, 504)를 양단에 구비한다.
다음에,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502)에 대해 설명한다. 도5는 가요성 기판군(500)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6은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502)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502)은,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접지용 도전체 패턴(511)이 전면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단부의 접속 단자부(505a, 505b)를 회로 기판(211, 311)의 소정 위치에 접속함으로써 하우징 접지된다. 여기서, 도4 및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502)은, 신호선 가요성 기판(501)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신호선 가요성 기판(501)의 폭 W1을 5 ㎜ 정도로 한 경우,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502)의 폭 W2는 6 ㎜ 정도가 되고, 양측 ΔW 부분이 0.5 ㎜ 정도씩 폭이 넓게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501)은, 양측에 비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보강재로서의 커버레이(512)를 갖는다. 이 커버레이(512)는,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선 가요성 기판(501)보다 폭이 넓은 부분 단부면이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5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박리됨으로써 도전체 패턴(511)이 노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제1 실시예에서는, 노출 패턴을 규칙적인 직사각형 톱니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러한 패턴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패턴이라도 좋다. 특히,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502)의 크랭크 형상의 굴곡 부분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레이(512)를 남기도록 해도 좋다. 또한, 가요성 기판군(500)은, 연결부(400) 내에서 1회전하도록 컬하여 배치하는 경우, 그 컬 부분을 연결부(400)의 중심축에 대해 평행하게 한 상태에서, 2개의 하우징(200, 300)에 대한 인입 위치가 하우징 폭 방향에서 다르도록 하기 위해(도8 참조), 크랭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5 및 도6 참조).
다음에, 가요성 기판군(500)에 대한 연결부(400)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7은 본 제1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100)의 연결부(400) 부근의 주요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투시도이고, 도8은 연결부(400)에 있어서의 가요성 기판군(500)의 배치 부분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고정측 하우징(200)의 전방면 외장 케이스(203)는, 단부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힌지 구조에 있어서의 지지축(401)이 끼워 맞추어지는 통 형상의 베어링 외장 통부(220, 221)를 갖는다. 또한, 가동측 하우징(300)의 전방면 외장 케이스(303)는, 베어링 외장 통부(220, 221)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지지축(401)이 끼워 맞추어지는 원통 형상의 베어링 외장 통부(320, 321)를 갖는다. 또한, 전방면 외장 케이스(303)는, 베어링 외장 통부(321)와 옆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일체로 대략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베어링 외장부(322)를 갖고, 배면 외장 케이스(304)는 베어링 외장부(32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동일 폭으로 대략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베어링 외장부(323)를 갖고, 전방면 외장 케이스(303)와 배면 외장 케이스(304)를 조합한 상태에 있어서 베어링 외장부(322, 323)가 걸림 고정되어 내부에 원통 형상 공간을 갖는 베어링 외장 통부(324)를 형성한다. 여기서, 외장 케이스(303, 304)는, 강도 확보를 위해 예를 들어 Mg, Al 등의 금속 케이스로서 형성되어 있지만, 도1 및 도8 중에 사선으로 나타내는 베어링 외장부(322, 323) 부분은, 모두 ABS 등의 수지재에 의한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측 하우징(200)은, 베어링 외장 통부(324, 320) 사이에 위치하도록 단부에 돌출 형성된 베어링 외장 통부(222)를 갖는다. 이 베어링 외장 통부(222)는, 베어링 외장 통부(324)와 마찬가지로, 외장 케이스(203, 204)의 단부에 형성된 반원통 형상의 2개의 베어링 외장부(223, 224)를 조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가요성 기판군(500)은,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400) 중의 베어링 외장 통부(222, 324) 부분의 내부 공간 을 통과하여 각각의 하우징(200, 300) 내에 인입되도록 배치된다.
다음에, 작용을 설명한다. 여기서는, 연결부(400)에 있어서의 베어링 외장 통부(222, 324) 사이의 간극(402)으로부터 사용자가 대전하여 방전하는 정전기가 침입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본 제1 실시예에서는, 간극(402)으로부터 정전기가 침입하였다고 해도, 신호선 가요성 기판(501)의 외측 양면에는 폭이 넓은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502)이 마련되어 있어, 신호선보다도 큰 접지가 존재하게 되어, 정전기가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502)으로 흐르기 쉬우므로, 정전기를 적극적으로 하우징 접지에 흘러 들어가게 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502)은 신호선 가요성 기판(501)과는 별도의 기판으로서 마련되어 있고, 각각의 가요성 기판(501, 502)이 적절하게 절연층 등을 가지므로, 도전체 패턴(511)과 신호선 사이의 갭을 동일 기판 구성의 경우보다도 조금이라도 크게 하여 피뢰침으로서의 기능을 갖게 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502)에 흐르는 정전기는 신호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신호선 가요성 기판(501)은, 외측 양면이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502) 사이에 끼워져 있으므로, 신호선 가요성 기판(501)이 복수매(예를 들어, 2매)로 이루어지고, 또한 연결부(400) 내에서 1회전하도록 컬되어 배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신호선에 대한 정전기의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제1 실시예에서는, 신호선 가요성 기판(501)보다 폭이 넓은 커버레이(512) 단부면 부분이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5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박리되어 도전체 패턴(511)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정전기가 한 쌍의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502) 사이에 끼워진 옆쪽으로부터 신호선측으로 들어가려고 해 도, 신호선이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502)보다도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데다가, 외측 단부에는 노출된 도전체 패턴(511)이 존재하여, 신호선측으로 흘러 들어가기 전에 정전기는 노출된 도전체 패턴(511) 부분으로 흐르기 쉬워져, 피뢰침으로서의 기능이 향상된다. 또한, 커버레이(512)를 전면적으로 박리하고 있지 않으므로,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502)의 강도도 유지된다.
또한, 본 제1 실시예에서는, 힌지 구조 중, 가요성 기판군(500)이 배치되는 부분의 외장 케이스가 되는 베어링 외장 통부(221, 324) 부분이 절연성을 갖는 수지재로 이루어지므로, 연결부(400)의 간극(402)으로부터 정전기가 침입하여 신호선을 향해 흘러 들어가려고 할 때의 연면(沿面) 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당해 부분의 외장 케이스를 금속제로 한 경우보다도 정전기에 의한 영향을 경감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의 연결부 부근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고, 도10은 본 제2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의 연결부 부근의 주요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본 제2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100)는, 하우징(200)이 연결부(400) 근방에 안테나용 판금부(板金部)(600)를 갖는 휴대 전화기에의 적용예를 나타낸다. 안테나용 판금부(600)는, 고정측 하우징(200)의 배면 외장 케이스(204)의 연결부(400)측 단부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용 판금부(600)에 대응하는 지지 형상의 수지재(601) 등을 통해 하우징 폭 방향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하우징 접지된 것이다. 도11은 안테나용 판금부(600)의 형상을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본 제2 실시예에서는, 안테나용 판금부(600)는 연결부(400) 내를 통과하 도록 배치된 신호선 가요성 기판(501)의 배치 부위에 대응시켜, 이 신호선 가요성 기판(501)의 외측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배면 외장 케이스(204), 전방면 외장 케이스(203)의 내벽 형상에 따르는 형상으로 굴곡시켜 연장시킨 판금 연장부(602)를 일체로 갖는다. 도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금 연장부(602)는 신호선 가요성 기판(501)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제2 실시예에서는 복수매, 예를 들어 2매의 신호선 가요성 기판(501) 중의 외측의 신호선 가요성 기판(501a)의 외면측에만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502a)을 일체로 갖는 구성예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휴대 전화기(100)에 있어서는, 판금 연장부(602)가 피뢰침으로서 기능하여, 연결부(400)의 간극(402)으로부터 정전기가 침입해도, 그 내부 공간 내에 존재하는 판금 연장부(602)에 의해 정전기를 적극적으로 하우징 접지에 흘러 들어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선 가요성 기판(501) 상의 신호선에의 정전기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특히, 판금 연장부(602)의 쪽이 신호선 가요성 기판(501)보다 폭이 넓으므로, 간극(402)으로부터 침입한 정전기는 판금 연장부(602)로 흐르기 쉬워져, 피뢰침으로서의 기능을 확실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제2 실시예에서는, 신호선 가요성 기판(501a)의 외면측에만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502a)을 일체로 갖는 구성예에의 적용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경우와 같이, 신호선 가요성 기판(501)의 외측 양면에 한 쌍의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502)을 갖는 가요성 기판군(500)을 이용하는 구성예라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한 쌍의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502)과 판금 연장부(602)에 의한 2개의 피뢰침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어, 한층 확실한 정전기 대책이 된다.
또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는, 힌지 구조에 의한 절첩 방식의 연결부(400)를 갖는 휴대 전화기(100)에의 적용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도시예의 힌지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힌지 구조에 적용할 수 있고, 또한 힌지 구조에 의한 절첩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슬라이드 방식의 연결부 구성에 의해 하우징끼리를 포갬 가능하게 한 것이라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휴대 단말 장치는, 정전기 대책이 필요한 휴대 단말 장치에 유용하며, 특히 2개의 하우징을 포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 내를 통과시켜 배치되는 신호선 가요성 기판을 구비하여 연결부에서의 정전기 대책이 필요한 휴대 전화기 등에 적합하다.

Claims (11)

  1. 2개의 하우징이 연결부를 통해 포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각각에 내장된 회로 기판 사이를 접속하는 신호선 가요성 기판이 상기 연결부 내를 통과하여 배치된 휴대 단말 장치이며,
    하우징 접지되는 도전체 패턴을 갖고 상기 신호선 가요성 기판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신호선 가요성 기판의 외측 양면을 사이에 끼우는 한 쌍의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은, 양측에 비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보강재를 갖고, 상기 신호선 가요성 기판보다 폭이 넓은 상기 보강재 단부면 부분이 상기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박리되어 상기 도전체 패턴이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절첩 가능한 힌지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외장 케이스가 금속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 장치이며,
    상기 힌지 구조 중, 상기 신호선 가요성 기판이 배치되는 부분의 외장 케이스가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하우징 중 한 쪽은, 접지된 안테나용 판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용 판금부는, 상기 안테나용 판금부가 상기 신호선 가요성 기판의 외측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상기 연결부 내로 연장된 판금 연장부를 일체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4. 2개의 하우징이 연결부를 통해 포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각각에 내장된 회로 기판 사이를 접속하는 신호선 가요성 기판이 상기 연결부 내를 통과하여 배치된 휴대 단말 장치이며,
    하우징 접지되는 도전체 패턴을 갖고 상기 신호선 가요성 기판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신호선 가요성 기판의 외측 양면을 사이에 끼우는 한 쌍의 하우징 접지 가요성 기판을 구비하고,
    2개의 하우징 중 한 쪽은, 접지된 안테나용 판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용 판금부는, 상기 안테나용 판금부가 상기 신호선 가요성 기판의 외측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상기 연결부 내로 연장된 판금 연장부를 일체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금 연장부는, 상기 신호선 가요성 기판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가요성 기판은, 복수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절첩 가능한 힌지 구조로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 장치이며, 상기 신호선 가요성 기판은, 상기 힌지 구조 내에서 1회전하도록 컬(curl)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8. 2개의 하우징이 힌지 구조로 이루어지는 연결부를 통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각각에 내장된 회로 기판 사이를 접속하는 신호선 가요성 기판이 상기 연결부 내를 통과하여 배치된 휴대 단말 장치이며,
    2개의 하우징 중 한 쪽은, 접지된 안테나용 판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용 판금부는, 상기 안테나용 판금부가 상기 신호선 가요성 기판의 외측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상기 연결부 내로 연장된 판금 연장부를 일체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금 연장부는, 상기 신호선 가요성 기판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가요성 기판은, 복수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가요성 기판은, 상기 힌지 구조 내에서 1회전하도록 컬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KR1020087005216A 2005-09-16 2005-09-16 휴대 단말 장치 KR100973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17186 WO2007032087A1 (ja) 2005-09-16 2005-09-16 携帯端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494A KR20080033494A (ko) 2008-04-16
KR100973635B1 true KR100973635B1 (ko) 2010-08-02

Family

ID=37864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5216A KR100973635B1 (ko) 2005-09-16 2005-09-16 휴대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43175B2 (ko)
JP (1) JP4516604B2 (ko)
KR (1) KR100973635B1 (ko)
CN (1) CN101263702B (ko)
WO (1) WO20070320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8808A (ja) * 2007-12-27 2009-07-16 Kyocera Corp フレキシブル基板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電子機器
JP4603617B2 (ja) * 2008-11-27 2010-12-22 京セラ株式会社 通信機器
JP5141517B2 (ja) * 2008-11-28 2013-02-13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5621690B2 (ja) * 2011-03-31 2014-11-12 富士通株式会社 電子装置及びフレキシブル基板
JP6240376B2 (ja) * 2012-07-13 2017-11-29 タツタ電線株式会社 シールドフィルム、及び、シールドプリント配線板
CN103873610A (zh) * 2012-12-13 2014-06-18 上海共联通信信息发展有限公司 一种使用寿命长的公用电话终端设备
JP7345134B2 (ja) * 2019-10-03 2023-09-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5315A (ja) * 2001-05-08 2002-11-22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端末装置
US20040065472A1 (en) * 2002-10-02 2004-04-08 Daishiro Sekijima Cable arranging structure
JP2004319585A (ja) * 2003-04-11 2004-11-11 Sanyo Electric Co Ltd 折畳式携帯電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5518Y2 (ja) * 1992-05-16 1997-08-2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部
JP3413675B2 (ja) 1994-03-29 2003-06-03 ソニー株式会社 マイクロホン装置
CN100559810C (zh) * 2000-06-30 2009-11-1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携带电话机
JP2002027066A (ja) * 2000-07-06 2002-01-25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形携帯無線機
US20020006809A1 (en) * 2000-07-14 2002-01-17 Tetsuya Kubo Portable radio terminal device
JP4637332B2 (ja) * 2000-08-04 2011-02-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無線装置
US7289627B2 (en) * 2002-03-19 2007-10-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inge, and opening/closing type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the same
US7248903B2 (en) * 2002-12-25 2007-07-24 Kyocera Corporation Mobile instrument with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JP2004214443A (ja) 2003-01-06 2004-07-29 Nec Corp 折り畳み式電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5315A (ja) * 2001-05-08 2002-11-22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端末装置
US20040065472A1 (en) * 2002-10-02 2004-04-08 Daishiro Sekijima Cable arranging structure
JP2004319585A (ja) * 2003-04-11 2004-11-11 Sanyo Electric Co Ltd 折畳式携帯電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43175B2 (en) 2013-09-24
US20090264166A1 (en) 2009-10-22
CN101263702B (zh) 2012-06-27
CN101263702A (zh) 2008-09-10
WO2007032087A1 (ja) 2007-03-22
JP4516604B2 (ja) 2010-08-04
KR20080033494A (ko) 2008-04-16
JPWO2007032087A1 (ja) 2009-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635B1 (ko) 휴대 단말 장치
US11425833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ldable conductive plate
US7957123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1881681B1 (en) Mobile phone
EP1770824A1 (en) Folding type portable wireless unit
US20110025575A1 (en) Integrated antenna and emi shielding support member for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s
US20080001830A1 (en) Folding Portable Wireless Device
US20060268187A1 (en) Electro-static discharge structure for terminal with LCD module
EP1328068A1 (en) A grounding device for a portable radio terminal
US8340732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JP5413921B2 (ja) 携帯無線装置
US20070229373A1 (en) Folding Portable Wireless Apparatus
KR20100133536A (ko)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
JP4319385B2 (ja) 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フレキシブル基板
KR20080100207A (ko) 휴대 무선기
KR20070016329A (ko) 휴대용 단말기의 정전기 방전을 위한 엘씨디 모듈 고정구조
JP2002246935A (ja) 内蔵アンテナを備えた無線装置及び携帯無線装置
CN211481302U (zh) 一种电子设备
US20090167680A1 (en) Electronic Apparatus
JP2008085021A (ja) 電子回路とその製造方法、及び電子回路を備えた携帯端末
JP2007013014A (ja) 折畳み式携帯電子機器および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
KR20080054514A (ko)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
KR20070069574A (ko) 이동 통신 단말기
JP4522175B2 (ja) 折畳式携帯無線機
JP2005354552A (ja) 折畳式携帯無線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