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661B1 -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661B1
KR102025661B1 KR1020130093223A KR20130093223A KR102025661B1 KR 102025661 B1 KR102025661 B1 KR 102025661B1 KR 1020130093223 A KR1020130093223 A KR 1020130093223A KR 20130093223 A KR20130093223 A KR 20130093223A KR 102025661 B1 KR102025661 B1 KR 102025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t
mobile terminal
radiator
antenna
antenna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0788A (ko
Inventor
노승정
정병운
권영배
유한필
윤창원
김덕윤
최득수
이재우
홍성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3/00710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20244A1/ko
Priority to KR1020130093223A priority patent/KR102025661B1/ko
Priority to US14/648,850 priority patent/US9564679B2/en
Priority to EP13890966.8A priority patent/EP3032646B1/en
Publication of KR20150030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01Q1/46Electric supply lines or communication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10Resonant slo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10Resonan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42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42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 H01Q5/35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using two or more simultaneously fed p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78Combination of fed elements with parasit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안테나 장치는, 슬롯을 한정하는 제1 및 제2 멤버, 상기 슬롯을 덮는 캐리어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슬롯을 급전시키는 급전부 및 상기 급전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캐리어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멤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슬롯과 함께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방사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ANTEN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및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멀티 미디어 기기의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 시도들에 더하여, 상기 하드웨어 등의 기능을 보다 개선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개선 방안에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좀더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이 포함된다. 상기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의 하나로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에 대해 고려될 수 있다.
안테나는 무선통신을 위해 무선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되는 장치로서, 이동 단말기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구성 요소이다.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디자인을 매우 중시하고 있으며, 특히 사용자들은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동시에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제공받기를 희망하고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 제조사들은 단말기의 베젤(bezel)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기술에 대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는 결론적으로 안테나 크기가 점점 줄어들도록 원인이 된다. 또한 통신 사업자들은 기존의 2G/3G를 통한 음성/데이터 서비스에서 4G LTE/LTE-A 서비스로 점점 초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확장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것은 단순히 몇몇 국가에서 한정적으로 발생하는 트랜드가 아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를 설계함에 있어서, 전세계의 다양한 통신 사업자들의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고려되어야 한다. 이것은 이동 단말기에서 커버해야 하는 주파수 대역의 숫자가 기존에 비해 굉장히 증가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언급했던 소비자의 디자인 트랜드에 발맞추어 안테나 공간이 혁신적으로 줄어들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다 적은 공간에서 충분한 효율을 발휘하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안테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허문헌 1: US2008/0316115 (공개일: 12. 25, 2008) 특허문헌 2: US2009/0015507 (공개일: 01. 15, 2009)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멀티 주파수 대역의 무선 전자기파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보다 나은 효율을 가지면서도 보다 소형화된 안테나 장치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안테나 장치는, 슬롯을 한정하는 제1 및 제2 멤버, 상기 슬롯을 덮는 캐리어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슬롯을 급전시키는 급전부 및 상기 급전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캐리어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멤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슬롯과 함께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방사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슬롯의 일측은 개구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방사체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롯에 평행한 제1 부분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롯을 교차하는 제2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슬롯의 길이는 제1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λ)의 0.15λ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급전부의 일측은 상기 캐리어를 관통하여 급전 라인과 연결되는 컨택트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캐리어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멤버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멤버는 상면과 하면을 구비하는 유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캐리어에 덮이는 상기 상면에 컨택트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하면에 도전성 플레이트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컨택트부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급전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컨택트부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방사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장치가 제3 주파수 대역에서 추가로 공진할 수 있도록 상기 급전부로부터 분기되는 제2 방사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방사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급전부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단말기 본체 및 상기 단말기 본체의 어느 일측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안테나 장치와 제2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장치는, 슬롯을 한정하는 제1 및 제2 멤버와, 상기 슬롯을 덮는 캐리어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슬롯을 급전시키는 급전부 및 상기 급전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캐리어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멤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슬롯과 함께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방사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안테나 장치는 PIFA(Planar Inverted F Antenna) 타입 안테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안테나 장치는 자기적 횡파(Transverse magneic wave)를 주로 방사하고, 상기 제2 안테나 장치는 전기적 횡파((Transverse electric wave)를 주로 방사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멤버는 각각 상기 단말기 본체에 형성되는 도전성 부재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방사체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롯에 평행한 제1 부분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롯을 교차하는 제2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급전부의 일측은 상기 캐리어를 관통하여 급전 라인과 연결되는 컨택트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캐리어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멤버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멤버는 상면과 하면을 구비하는 유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캐리어에 덮이는 상기 상면에 컨택트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하면에 도전성 플레이트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컨택트부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급전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컨택트부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방사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컨택트부들은 상기 제1 멤버를 관통하는 비어홀을 통해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안테나 장치가 제3 주파수 대역에서 추가로 공진할 수 있도록 상기 급전부로부터 분기되는 제2 방사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방사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급전부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멤버는 상기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어 외부 기기와 접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소켓으로부터 입출력되는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연성회로기판이 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내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도전성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와 상기 도전성 프레임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는 보다 짧은 슬롯의 길이로 충분한 안테나 성능이 발휘될 수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에 내장되는 경우 다른 부품들의 실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이동 단말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안테나 장치가 슬롯을 구비하고, 제2 안테나 장치는 PIFA타입 안테나로 구현됨으로써, 안테나들이 서로 근접하더라도 안테나간 격리도가 -15dB 이하를 만족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3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도 3b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제1 안테나 장치의 개념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들의 전압정재파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제1 및 제2 안테나 장치의 개념도.
도 8은 안테나 장치들과 각종 부품들이 이동 단말기에 내장되는 일 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안테나 장치들이 장착된 이동 단말기 일측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제1 안테나 장치를 구성하는 제1 멤버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a와 도 11b는 도 10에 도시된 제1 멤버의 전면과 배면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전면 디스플레이부(151) 및/또는 후면 디스플레이부(155)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전면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전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전면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전면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전면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전면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전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전면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센서는 전면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전면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전면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전면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에는 전면 디스플레이부(151)와 대응되는 후면 디스플레이부(155)가 구비된다. 후면 디스플레이부(155)는 전면 디스플레이부(151)에 비하여 작은 크기를 가지며, 비교적 간단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다시 사용자 입력부(130)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단말기 후면에 배치되어, 전면 디스플레이가 보다 대화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사용자 입력부(130)가 후면에 배치되는 상세 구조와, 이에 의하여 구현되는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하여 구현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단말기는 본체의 일면, 예를 들어 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251)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부(251)에는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가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GUI에 대한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251)에는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상기 GUI와 같이 이미지, 텍스트 및 아이콘 등의 형태로 구현되는 시각정보를 출력하나, 일정시간이 지나거나 특정 제어명령의 입력에 의하여 비활성화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2a의 상태는 이러한 상태로서, 음악 재생 어플레이케이션의 실행 중에 디스플레이부(251)가 비활성화된 상태를 예시한다.
상기 본체의 타면, 예를 들어 후면에는 후면 입력부(230)가 배치된다. 상기 후면 입력부(230)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51)에 대한 제어명령이 수신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면 입력부(230)의 어느 버튼(233)에 대하여 푸시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51)는 활성화된 상태로 전환된다. 즉, 후면 입력부(230)는 디스플레이부(251)를 온오프시키는 파워키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 자체의 온오프도 상기 버튼(233)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51)가 활성화되면서 음악 재생 어플레이케이션의 GUI가 출력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도 2a의 상태에서 후면 입력부(230)의 다른 버튼(232)에 대하여 푸시입력이 가해지면 볼륨 바(VB)가 출력되면서, 상기 다른 버튼(232)의 조작에 의하여 볼륨이 조절된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상기 프로세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230)의 다른 버튼(232)에 대한 푸시입력은 도 2a의 상태에서 볼륨 조절에 대한 입력이 될 수 있다.
상기 예시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51)를 바라보면서 단말기의 후면에 제어명령을 푸시 형태로 입력시킬 수 있게 된다. 결론적으로, 단말기 후면의 후면 입력부는 푸시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 단말기의 파워키 및 볼륨키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2a 내지 도 2b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하드웨어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200)는 바 형태의 휴대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 이상 도 4 참조)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201)에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출력부(252), 카메라 모듈(221)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201) 및 리어 케이스(202)의 측면들에는 인터페이스(2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프론트 케이스(2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즉, 디스플레이부는 단말기의 전면에 배치되며, 시각정보를 보여주도록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부(2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252)와 카메라 모듈(221)이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전면 입력부(231)와 마이크(222)가 배치된다.
전면 입력부(231)는 사용자 입력부(130, 도 1 참조)의 일 예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하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 입력부(231)는 터치키로서 구성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면 입력부(231)에 푸시키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단말기 전면에 전면 입력부가 없는 구성도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 이동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본체에 대한 입력조작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51)와 후술할 후면 입력부(230)를 통하여만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202)에는 카메라 모듈(221')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21')은 카메라(221, 도 3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 모듈(221)과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221)은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 모듈(221')은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 모듈들(221,221')은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2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와 거울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는 카메라 모듈(2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은 사용자가 카메라 모듈(221')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후면의 음향 출력부는 전면의 음향 출력부(252, 도 3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2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후면 입력부(230)가 배치된다. 후면 입력부(230)는,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모듈(22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후면 입력부(230)는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음향출력부(2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후면 입력부(230)는 푸시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면 입력부(230)는 터치스크린에 대한 상대적인 개념인 기계적 또는 물리적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3b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에는 인쇄회로기판(281, PCB)이 내장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81)은, 예를 들어 프론트 케이스(201) 또는 리어 케이스(202) 등에 장착되거나, 별도의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구조물은 중간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프론트 케이스(201) 또는 리어 케이스(202)가 별도로 구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케이스들(201, 20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81)은 이동 단말기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180, 도 1 참조)의 일 예로서 구성된다. 인쇄회로기판(281)은 복수로 구비되어, 서로의 조합에 의하여 제어부(180)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 수행을 위하여 인쇄회로기판(281)에는 각종 전자소자가 장착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281)은 안테나 장치(ANT 1, ANT 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안테나 장치(ANT 1, ANT 2)에 의하여 송수신되는 무선 전자기파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 안테나 장치(ANT 1, ANT 2)는 구조물과 인쇄회로기판(281)의 사이에 배치되어 주로 리어 케이스(202)를 관통하여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인쇄회로기판(281)은 카메라 모듈(221', 도 3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202)에는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수용부를 덮는 배터리 커버(204)가 케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리어 케이스(202)와 배터리 커버(204)에는 각각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들을 통하여 외부를 바라보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221')이 배치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221')은 단말기의 후면을 통하여 외부 영상을 촬영하도록 이루어진다.
다시, 후면 입력부(230)에 대하여 살펴보면, 후면 입력부에 의하여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 홈이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도록, 상기 후면 입력부(230)는 상기 본체의 두께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51)에 중첩되어 상기 측면이 아니라 상기 후면으로 노출된다.
후면 입력부(230)는 카메라 모듈(221')과 배터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입력부(230)의 위치는 전면의 디스플레이부(251, 도 3a 참조)와 중첩되는 위치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251)의 배면상에 입력장치가 배치되는 사용감이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23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배터리 커버(204)는 상기 후면 입력부(230)에 대응하는 관통홀(H1)을 구비한다. 또한, 리어 케이스(202)에는 상기 관통홀(H1)에 대응하는 관통홀(H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제1 안테나 장치는 슬롯 안테나를 변형시킨 안테나로서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슬롯 안테나는 도파관 벽면, 원통형 도체 표면 또는 평면 도체판 상에 슬롯을 형성하고, 슬롯 내에 전기장이 형성되도록 슬롯이 형성된 부분을 급전함으로써, 슬롯 안테나가 전파의 방사체가 되도록 동작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슬롯 안테나는 하나의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경우 사용되어 왔으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왜냐하면, 각 주파수 대역에서 안테나의 임피던스 매칭은 대략 50 옴(ohm) 내외에서 이루어지는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임피던스 매칭이 어렵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안테나 장치는 슬롯과 함께 공진하는 제1 방사체를 슬롯을 한정하는 멤버에 연결하여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제1 안테나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들의 전압정재파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안테나의 무선 신호의 방사는 단말기 본체 전체에 걸쳐 이루어지지만 주된 방사는 방사체나 슬롯에서 이루어지므로 편의상 방사체나 슬롯이 특정 주파수에서 무선 신호의 방사를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안테나 장치(ANT 1)는 제1 멤버(310), 제2 멤버(320), 급전부(330) 및 제1 방사체(34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2 방사체(3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각 멤버들을 따라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제1 멤버(310)와 제2 멤버(320)는 도전성 멤버로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멤버(310)와 제2 멤버(320)는 안테나 장치의 슬롯(S)을 한정한다. 즉, 제1 멤버(310)와 제2 멤버(320) 사이의 빈 공간이 안테나 장치의 슬롯(S)이 된다. 여기서 편의상 슬롯(S)의 개구된 부분을 개구부(313)라 하고, 제1 멤버(310)와 제2 멤버(320)가 연결되어 닫힌 부분을 연결부(315)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러한 슬롯(S)의 길이는 안테나의 급전 방식이나 안테나를 구성하는 유전체의 유전율 또는 급전부(330)에 형성되는 커패시터의 추가 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장치는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도록 슬롯(S)이 어느 일부분에서 만곡되거나, 슬롯(S)이 미앤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슬롯은 일측은 개구되고 타측은 제1 멤버(310)와 제2 멤버(32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에 의해 닫힌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일측이 개구된 슬롯 형상을 하는데, 이러한 안테나는 양측의 슬롯이 닫힌 슬롯 안테나보다 미러(Mirror) 효과에 의해 보다 짧은 슬롯의 길이로 저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일측이 개구된 슬롯 안테나는 양측이 닫힌 슬롯 안테나의 슬롯의 길이보다 대략 1/2의 길이로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할 수 있다.
슬롯(S)의 폭은 안테나 효율을 고려하여 최소 0.003λ배 이상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요구된다. 슬롯(S)의 폭이 넓어질수록 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안테나 장치가 동작할 수 있다.
양측이 닫힌 슬롯 안테나의 경우 제1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방사하기 위하여, 슬롯은 제1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f1)에 해당하는 파장의 λ/2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으며, 일측이 개구된 슬롯 안테나의 슬롯은 중심 주파수 파장의 λ/4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다. 다시 말하면, 일측이 개구된 슬롯 안테나는 보다 적은 길이의 슬롯으로 저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전파를 방사할 수 있으므로, 그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방사체(340)가 슬롯을 한정하는 어느 하나의 멤버에 연결되어 슬롯과 함께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슬롯의 길이가 보다 짧아질 수 있다.
제2 주파수 대역은 제1 주파수 대역보다 고주파수 대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가 850MHz일 때, 개구된 슬롯 안테나의 슬롯은 중심 주파수 파장의 λ/4에 해당하는 길이인 45mm 내지 50mm의 길이를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는 안테나 장치는 제1 방사체(340)를 구비함으로써, 중심 주파수 파장의 0.15λ에 해당하는 길이인 40mm 내외로 충분한 안테나 성능이 발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안테나 장치는 보다 짧은 슬롯의 길이로 충분한 안테나 성능이 발휘될 수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에 내장되는 경우 다른 부품들의 실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이동 단말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제1 멤버(310)와 제2 멤버(320)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기만 하면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멤버(310)를 그라운드를 구비하는 연성회로기판으로 선택하고, 제2 멤버(320)는 단말기의 내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선택하였다. 그리고, 제1 멤버(310)와 제2 멤버(3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를 이용하여 제1 멤버(310)가 제2 멤버(3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멤버(310)와 제2 멤버(320)는 단말기 본체에 형성되는 도전성 부재들로서, 각각 연성회로기판, 회로기판, 또는 금속 프레임과 같은 그라운드를 구비하는 도전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급전부(330)는 안테나 장치가 특정 주파수에서 공진할 수 있도록 슬롯 안테나를 급전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급전부(330)가 슬롯(S) 내에 전기장을 형성하도록 급전부(330)의 일단이 슬롯을 한정하는 어느 하나의 멤버에 연결될 수 있다.
급전 방식에 따라 급전부(330)와 멤버들은 서로 연결되거나, 적어도 일부만이 연결될 수 있다.
직접 급전(direct feeding) 방식에 따르면 동축 케이블(252, 도 4 참조)로부터 연장되는 급전부(330)가 슬롯(S)을 가로지르도록 어느 하나의 멤버로부터 다른 하나의 멤버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직접 급전 방식에 따르면, 급전부(330)의 일단은 어느 하나의 멤버에 연결되고, 급전부(330)의 타단은 다른 하나의 멤버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다른 하나의 멤버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커플링 급전(coupling feeding) 방식에 의하면 급전부(330)의 일단은 어느 하나의 멤버에 연결되고, 타단은 다른 하나의 멤버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급전부(330)의 위치는 연결부(315)로부터 일정 거리 만큼 이격된 위치로서, 급전부(330)로 인하여 제1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의 임피던스가 50 옴(ohm) 내외가 되는 거리이다. 또한 급전부(330)는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커패시터나 인덕터를 포함하여 구현되는 분로 소자(shunt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분로 소자는 임피던스의 실수부인 저항값(resistance)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일 예로 인덕터는 저항값을 높이고 커패시터는 저항값을 낮추어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튜닝이 가능하다. 이러한 분로 소자는 급전부(330)의 일단에 집중 정수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급전 장치(391, 392)는 급전부와 정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급전부는 발룬, 이상기, 분배기, 감쇠기, 증폭기 등이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정합부는 직렬 소자나 분로 소자들로 구현될 수 있다. 직렬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 임피던스의 허수부인 리액턴스 값(reactance)이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인덕터는 리액턴스를 높이고 커패시터는 리액턴스를 낮추므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임피던스가 변경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분로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 임피던스의 실수부인 저항값(resistance)을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인덕터는 저항값을 높이고 커패시터는 저항값을 낮추어 특정 주파수 대역의 임피던스가 변경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룰러 폰은 850MHz, 900 MHz, 1800 MHz, 및 1900 MHz의 셀룰러 폰 대역들(cellular telephone bands){예를 들면, 주요 글로벌 이동통신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또는 GSM 셀룰러 폰 대역들}을 이용하여 통신할수 있다. 또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tiple Accees)서비스를 위하여 1.92 ~ 2.17 GHz 대역에서도 통신이 가능해야 한다. 나아가 LTE(Long Term Evolution)의 B13 또는 B17 통신 서비스를 위하여 704 ~ 960 MHz 대역에서도 통신이 가능해야 한다.
특히, 제1 안테나 장치(ANT 1)는 상기한 무선 통신 대역들에서 통신이 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안테나 장치는 고주파수 대역에서 대역폭이 확장되도록 공진 주파수가 추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안테나 장치(ANT 1)는 제3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도록 형성되는 제2 방사체(35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방사체(350)는 급전부(330)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제2 방사체(350)의 일측은 급전부(3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방사체(350)는 제2 주파수 대역에 인접한 제3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슬롯과 함께 공진하는 제1 방사체(340)가 제1 및 제2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는 경우, 제2 방사체(350)는 제3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할 수 있도록 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안테나 장치(ANT 1)의 주파수 대역 중 고주파수 대역이 제2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제3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까지 확장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가 1.7GHz인 경우, 제3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는 2.1GHz가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가 2.1GHz인 경우, 제3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는 1.7GHz가 될 수 있다. 제2 방사체(350)는 상기한 중심 주파수에서 무선 신호를 방사할 수 있도록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방사체들의 길이에 상응하여 슬롯의 길이나 폭이 변경될 수 있다. 방사체들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슬롯의 폭이 넓어지거나 길이가 길어질수록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제1 방사체(340)는 적어도 일부가 슬롯에 평행한 제1 부분(341)과 적어도 일부가 슬롯을 교차하는 제2 부분(34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부분(341)의 길이 변화는 제1 및 제2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 이동(f1, f2)에 영향을 주고, 제2 부분(342)의 길이 변화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 이동에 영향을 준다.
그리고, 제2 방사체(350)의 적어도 일부는 급전부(330)에 평행하게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제2 방사체(350)의 길이를 보다 줄일 수 있다. 급전부(330)로부터 용량성 결합(Capacitive coupling)되기 때문이다. 용량성 결합으로 인해, 안테나의 용량성 리액턴스의 값이 증가될 수 있다. 용량성 리액턴스의 값을 증가시키면 커패시턴스에 의한 입력 임피던스가 주파수에 반비례하므로 공진 주파수가 감소한다. 공진 주파수가 감소된다는 것은 안테나 장치가 용량성 결합을 포함함으로써, 보다 짧은 길이로 보다 저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안테나 장치가 용량성 결합되는 멤버들을 포함하게 되면, 보다 좁은 공간내에서 안테나 장치가 저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제1 및 제2 안테나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8은 안테나 장치들과 각종 부품들이 이동 단말기에 내장되는 일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안테나 장치들은 단말기 본체의 어느 일측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 본체의 하부에서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제1 안테나 장치(ANT 1)와 제2 안테나 장치(ANT 2)가 배치된다.
이러한, 제1 안테나 장치(ANT 1)의 급전부(330), 제1 방사체(340)와 제2 방사체(350), 그리고 제2 안테나 장치(ANT 2)의 방사체는 캐리어(390)의 일면에 인쇄된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되거나, 단말기의 회로기판(281) 또는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캐리어(390)는 일정 유전율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유전체로서, 에폭시레진 접합제를 함침시킨 여러겹의 종이로 이루어진 FR-3, 에폭시레진을 함침시킨 종이코어를 가진 합성체인 CEM-1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표면에는 직조된 유리섬유가 에폭시레진이 함침되어 있고, 코어는 직조되지 않은 유리섬유에 에폭시레진이 함침되어 있는 CEM-3, 에폭시레진이 함침된 유리섬유가 여러겹 쌓여 있는 FR-4, 다기능 에폭시 레진을 함침시킨 직조 유리섬유를 여러겹 쌓은 FR-5, 폴리이미드 레진을 함침시킨 여러 겹의 직조된 유리섬유로 이루어져 있는 GI, 인쇄회로기판(PCB)의 일부와 같은 재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390)는 단말기 바디의 양측면에 접할 수 있게 일정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론트 케이스에 캐리어(390)가 수용되고, 프론트 케이스와 캐리어(390)는 서로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캐리어(390)의 일측에 제1 안테나 장치(ANT 1)의 급전부(330), 제1 방사체(340)와 제2 방사체(350)가 타측에 제2 안테나 장치(ANT 2)의 방사체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안테나 장치(ANT1, ANT2)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같은 주파수 대역의 신호(데이터 신호, MIMO 등)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안테나 장치(ANT 1)는 DCN 1x 방식 또는 PCS 1x 방식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고, 제2 안테나 장치(ANT 2)는 DCN EVDO(Evolution-Data Optimized 또는 Evolution-Data Only) 방식에 따른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안테나 장치(ANT 1)가 LTE B4 방식에 따르는 신호를 송수신하면, 제2 안테나 장치(ANT 2)는 LTE B13 방식에 따르는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안테나 장치(ANT 1)가 이동 단말기의 음성 서비스에 해당하는 신호를 송수신하면, 제2 안테나 장치(ANT 2)는 이동 단말기의 LTE 서비스에 해당하는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캐리어(390)의 하부에는 연성회로기판(245, 도 9 참조)이 배치될 수 있으며 캐리어에 형성된 도전 멤버들과 연성회로기판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245)은 일단이 제어부를 구비하는 회로기판(28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성회로기판(245)은 단말기의 조작부(231, 도 3a 참조)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성회로기판(245)은 조작부(231)에서 생성된 신호가 회로기판(281)의 제어부에 전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회로기판(281, 도 4 참조) 상에 송수신 회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로기판은 연성회로기판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은 유전체 기판 또는 반도체 기판일 수 있으며, 기판이 어느 일면에 그라운드가 형성되거나, 기판이 다층 기판인 경우 어느 하나의 층이 그라운드가 될 수 있다. 안테나 타입에 따라 도전 멤버의 일단이 그라운드에 접지 연결될 수 있다.
송수신 회로부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송수신 회로부는 CP(Call Processor), Modem chip, RF transiver chip, RF receiver chi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통신 칩은 급전부(330)와 정합부를 통해 도전 멤버를 급전함으로써, 무선 신호를 송신하거나, 도전 멤버에 의해 수신된 수신 무선 신호를 정합부와 급전부(330)를 통해서 입력받아 주파수 변환 처리나 복조 처리 등의 소정의 수신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송수신 회로부는 각각 제1 통신 칩(282, 도 4 참조)과 제2 통신 칩(283, 도 4 참조)이 나누어질 수 있으며, 제1 통신 칩(282)은 제1 안테나 장치(ANT 1)에 대한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 처리할 수 있으며, 제2 통신 칩(283)은 제2 안테나 장치(ANT 2)에 대한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제1 안테나 장치(ANT 1)와 제2 안테나 장치(ANT 2)는 각각 전송 라인(340)에 의해 송수신 회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전송 라인은 동축 케이블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통신 칩(282)은 제1 안테나 장치(ANT 1)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고, 제2 통신 칩(283)은 제2 안테나 장치(ANT 2)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도록 형성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신호의 혼선을 줄이고 보다 효율적으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신호들을 처리할 수 있다.
MIMO 또는 다이버시티로 동작하는 안테나를 장착하는 시스템에서, 원활하게 신호의 송수신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제1안테나(primary)(송신 또는 수신측의 메인 안테나)와 제2 안테나(secondary)(다이버시티 또는 MIMO 시스템의 수신측 서브 안테나) 사이에 상호간섭(mutual coupling) 및 관련계수(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값이 낮아야 한다.
예를 들어, 요구되는 수신 조건으로서, 메인 안테나는 단일 수신기(single-receiver)일 때와 동일하게 동작할 것, 두 안테나 간 이득의 차이는 6㏈보다 작을 것, 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ECC)가 0.5 보다 작을 것, 송신쪽에서 항상 메인 안테나를 사용할 것, 안테나간 격리도(Antenna to antenna isolation)가 8㏈ 보다 클 것 등이 만족되면, LTE 대역의 주파수에서 MIMO 안테나로서 양호하게 동작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요구 조건 중에서 Gain(이득) 및 Bandwidth(대역폭) 등 안테나 기본적인 성능은 제외하고, 두 안테나 간의 상관 관계를 표현하는 ECC를 0.5 이하로 구현하는 것이 이동 단말기 내에 MIMO 안테나를 구현하는 데 있어 가장 어려운 점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두 안테나는 반파장 이상의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하거나, 두 안테나의 편파 방향이 서로 최대한 직교를 이루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4세대 이동 통신인 LTE의 경우 700MHz대역을 사용하는데 이때의 반파장의 길이는 400mm를 넘기도 하여 실제로 이동 단말기에서 두 안테나를 반파장 이상의 거리로 이격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에서 안테나 장치들은 서로 이격된 간격이 200mm 이하이므로, 안테나간 격리도를 만족시키기 어렵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제1 안테나 장치(ANT 1)가 슬롯을 구비하고, 제2 안테나 장치(ANT 2)는 PIFA(Planar Inverted F Antenna) 타입 안테나로 구현됨으로써, 안테나들이 서로 근접하더라도 안테나간 격리도가 -15dB 이하를 만족할 수 있다.
이는 제1 안테나 장치(ANT 1)가 슬롯을 구비함으로써, 제1 안테나 장치(ANT 1)가 자기적 횡파(Transverse magneic wave)를 주로 방사하고, 제2 안테나 장치(ANT 2)가 PIFA(Planar Inverted F Antenna) 타입 안테나로서 전기적 횡파((Transverse electric wave))를 주로 방사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주로 방사된다 함은 각각의 안테나 장치가 자기적 횡파와 전기적 횡파를 방사할 수 있으나 어느 하나의 횡파가 보다 우세하게 방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과 같이, 제1 및 제2 안테나 장치(ANT 1, ANT 2)를 구현함으로써, 단말기 본체 내부의 각종 장치들이 컴팩트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이러한 이동 단말기에서 각종 부품들의 실장예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51)의 배면에 안테나 장치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스피커(241)나 이어잭(244), 각종 소자(일 예로, Integrated Chip, 243)들에 근접하거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형태로 안테나 장치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안테나 장치들이 장착된 이동 단말기 일측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제1 안테나 장치(ANT 1)를 구성하는 제1 멤버(310)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a와 도 11b는 도 10에 도시된 제1 멤버(310)의 전면과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안테나 장치(ANT 1)의 급전부(330), 제1 방사체(340)와 제2 방사체(350)가 캐리어(39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안테나 장치(ANT 2)의 방사체가 캐리어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202)는 일정한 유전율을 갖도록 형성되어 캐리어로 기능할 수 있다.
캐리어(390)에 의해 덮이는 위치에 소켓(242)이 구비된 연성회로기판(245)이 배치될 수 있으며, 연성회로기판의 하부에 제1 및 제2 멤버(310, 3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멤버(3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면에 그라운드로 동작하는 도전성 플레이트(3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멤버(320)는 단말기 본체의 내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도전성 프레임(320)일 수 있다. 도전성 프레임(320)은 회로기판(281)과 배터리(290) 및 디스플레이부(251, 도 3a 참조)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제1 멤버(310)와 제2 멤버(320)는 스크류(314)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314)가 제2 멤버(320)의 돌출된 부분(321)과 제1 멤버(310)를 관통함으로써, 스크류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멤버(310)와 제2 멤버(3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멤버(310)와 제2 멤버(3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제1 멤버(310)의 배면에 형성된 도전성 플레이트(312)와 제2 멤버(32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과 도 9를 참조하면, 제2 안테나 장치(ANT 2)는 PIFA 타입 안테나로서, 방사체(393)가 각각 급전 및 접지 연결된다. 방사체(393)의 급전 연결되는 일측과 접지 연결되는 타측은 캐리어(290)를 관통하여 각각 컨택트부들(C)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안테나 장치(ANT 2)의 방사체를 급전연결 또는 접지연결시키는 컨택트부들(C)은 제2 멤버(32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연성회로기판(245)의 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안테나 장치(ANT 1)에서 급전부(330)의 일측은 캐리어(390)를 관통하여 제2 멤버(320) 상에 형성된 컨택트부(C)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급전부(330)의 일측과 연결되는 컨택트부(C)는 제2 멤버(320) 상에 연성회로기판(245)이 배치된 경우 연성회로기판(245)의 일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제2 멤버(32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급전부(330)의 타측은 캐리어를 관통하여 제1 멤버(3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캐리어는 캐리어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관통된 비어홀들을 구비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컨택트부들(C)은 각각 서로 다른 도전성 부재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EM(Electro-Magnetic) 급전 방식으로 연결시킨다. 각각의 컨택트부들(C)은 각 멤버들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택트부들(C)은 도전판, 도전용 클립 또는 도전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전판, 도전용 클립 또는 도전선은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급전되는 전류(또는 전압)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도전성 부재들로 전달한다. 여기서, 도전선은 기판 상에 인쇄되는 마이크로스트립(microstrip)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전용 클립으로서 C-Clip을 사용하였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연성회로기판(245)과 제1 및 제2 멤버(310, 320)가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각각의 컨택트부들(C)은 노출될 수 있다. 즉, 연성회로기판(245)은 제1 멤버(310)에 형성된 컨택트부들(C)을 덮지 않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해, 컨택트부들(C)은 캐리어(390)의 배면으로 노출된 제1 방사체(340) 및 급전부(33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b를 참조하면, 제1 멤버(310)는 상면과 하면을 구비하는 유전체(3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멤버(310)는 그 상면이 캐리어(290, 도 9 참조)에 의해 덮이도록 단말기 본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멤버(310)의 상면에 복수의 컨택트부들(C)이 형성되면, 컨택트부들의 일측이 각각 급전부(330)나 제1 방사체(34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멤버(310)의 하면에 도전성 플레이트(3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전성 플레이트(312)는 안테나 장치에서 그라운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컨택트부들(C)의 타측은 유전체(311)를 관통하여 도전성 플레이트(31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전체(311)는 비어홀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멤버(310)를 구성하는 도전성 플레이트(312)는 슬롯을 한정하므로, 도전성 플레이트(312)의 형상에 따라 슬롯의 길이와 폭이 정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6)

  1. 슬롯을 한정하는 제1 멤버 및 제2 멤버;
    상기 슬롯을 덮는 캐리어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슬롯을 급전시키는 급전부; 및
    상기 급전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캐리어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멤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슬롯과 함께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방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급전부의 일측은 상기 캐리어를 관통하여 상기 제2 멤버에 형성된 컨택트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캐리어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멤버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멤버는 상면과 하면을 구비하는 유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캐리어에 덮이는 상기 상면에 컨택트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하면에 도전성 플레이트가 형성되는 안테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일측은 개구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체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롯에 평행한 제1 부분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롯을 교차하는 제2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길이는 제1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λ)의 0.15λ에 대응하는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부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급전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부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방사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가 제3 주파수 대역에서 추가로 공진할 수 있도록 상기 급전부로부터 분기되는 제2 방사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사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급전부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1. 단말기 본체; 및
    상기 단말기 본체의 어느 일측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안테나 장치와 제2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장치는,
    슬롯을 한정하는 제1 멤버 및 제2 멤버;
    상기 슬롯을 덮는 캐리어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슬롯을 급전시키는 급전부; 및
    상기 급전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캐리어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멤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슬롯과 함께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방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급전부의 일측은 상기 캐리어를 관통하여 급전 라인과 연결되는 컨택트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캐리어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멤버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멤버는 상면과 하면을 구비하는 유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캐리어에 덮이는 상기 상면에 컨택트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하면에 도전성 플레이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 장치는 PIFA(Planar Inverted F Antenna) 타입 안테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멤버는 각각 상기 단말기 본체에 형성되는 도전성 부재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일측은 개구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체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롯에 평행한 제1 부분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롯을 교차하는 제2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길이는 제1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λ)의 0.15λ에 대응하는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삭제
  19. 삭제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부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급전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부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방사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부들은 상기 제1 멤버를 관통하는 비어홀을 통해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장치가 제3 주파수 대역에서 추가로 공진할 수 있도록 상기 급전부로부터 분기되는 제2 방사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사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급전부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멤버는 상기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어 외부 기기와 접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소켓으로부터 입출력되는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연성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내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도전성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와 상기 도전성 프레임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30093223A 2013-08-06 2013-08-06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25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7101 WO2015020244A1 (ko) 2013-08-06 2013-08-06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30093223A KR102025661B1 (ko) 2013-08-06 2013-08-06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US14/648,850 US9564679B2 (en) 2013-08-06 2013-08-06 Antenna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EP13890966.8A EP3032646B1 (en) 2013-08-06 2013-08-06 Antenna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223A KR102025661B1 (ko) 2013-08-06 2013-08-06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788A KR20150030788A (ko) 2015-03-23
KR102025661B1 true KR102025661B1 (ko) 2019-09-26

Family

ID=52461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223A KR102025661B1 (ko) 2013-08-06 2013-08-06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64679B2 (ko)
EP (1) EP3032646B1 (ko)
KR (1) KR102025661B1 (ko)
WO (1) WO20150202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23153A1 (en) * 2013-08-23 2016-08-04 Philips Lighting Holding B.V. Luminary with a wireless transmitter
KR101544698B1 (ko) * 2013-12-23 2015-08-17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내장형 안테나
CN204391262U (zh) * 2015-01-20 2015-06-10 瑞声精密制造科技(常州)有限公司 天线模块
US10637147B2 (en) 2015-09-29 2020-04-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ideband antennas
KR101622731B1 (ko) * 2016-01-11 2016-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243279B2 (en) * 2016-02-29 2019-03-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lot antenna with radiator element
WO2017183801A1 (ko) * 2016-04-22 2017-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5977614B (zh) * 2016-05-30 2020-02-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通信天线、通信天线的控制方法、装置及终端
US10038234B2 (en) * 2016-07-21 2018-07-31 Chiun Mai Communication Systems, Inc.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WO2018194546A1 (en) * 2017-04-17 2018-10-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ntenna elements
TWI637558B (zh) * 2017-05-25 2018-10-0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天線結構及電子裝置
TWI637559B (zh) * 2017-05-26 2018-10-0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與其天線結構
KR102266626B1 (ko) * 2017-07-17 2021-06-1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내장형 안테나를 갖는 무선통신칩, 무선통신칩용 내장형 안테나, 및 내장형 안테나를 갖는 무선통신칩의 제조 방법
TWI652853B (zh) 2017-07-24 2019-03-01 啓碁科技股份有限公司 天線裝置和行動裝置
KR102409115B1 (ko) * 2017-11-28 2022-06-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제어 방법
TWI674705B (zh) * 2018-12-28 2019-10-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混合式多頻天線陣列
US10680332B1 (en) 2018-12-28 2020-06-0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Hybrid multi-band antenna array
CN110011025B (zh) * 2018-12-29 2021-03-26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一种天线系统及移动终端
US11342671B2 (en) * 2019-06-07 2022-05-24 Sonos, Inc. Dual-band antenna topology
US11114748B2 (en) 2019-09-06 2021-09-07 Apple Inc. Flexible printed circuit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 antennas
CN111010470B (zh) * 2019-12-10 2021-09-03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天线调谐方法、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46002A1 (en) 2007-06-21 2012-02-23 Hill Robert J Antenna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with conductive bezel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2863B2 (en) * 2004-12-30 2011-04-26 Fractus, S.A. Shaped ground plane for radio apparatus
WO2007084051A1 (en) 2006-01-23 2007-07-26 Laird Technologies Ab An antenna arrangement for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KR100964652B1 (ko) 2007-05-03 2010-06-22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다중 대역 안테나 및 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KR20090006336A (ko) * 2007-07-11 2009-01-15 삼성전기주식회사 케이스 일체형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US7551142B1 (en) * 2007-12-13 2009-06-23 Apple Inc. Hybrid antennas with directly fed antenna slot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9450291B2 (en) 2011-07-25 2016-09-20 Pulse Finland Oy Multiband slot loop antenna apparatus and methods
KR101803337B1 (ko) 2011-08-25 2017-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46002A1 (en) 2007-06-21 2012-02-23 Hill Robert J Antenna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with conductive bez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32646A4 (en) 2017-04-12
WO2015020244A1 (ko) 2015-02-12
US9564679B2 (en) 2017-02-07
KR20150030788A (ko) 2015-03-23
US20150340757A1 (en) 2015-11-26
EP3032646A1 (en) 2016-06-15
EP3032646B1 (en) 2018-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5661B1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US11888213B2 (en) Mobile terminal
US9627743B2 (en) Antenna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977078B1 (ko) 이동 단말기
US9326319B2 (en) Mobile terminal
KR101708311B1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58948B1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20327B1 (ko) 이동 단말기
KR101990041B1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20326B1 (ko) 이동 단말기
KR101955981B1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1984099B1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20130135646A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1995488B1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