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5768A - 도어구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어구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5768A
KR20110095768A KR1020100015417A KR20100015417A KR20110095768A KR 20110095768 A KR20110095768 A KR 20110095768A KR 1020100015417 A KR1020100015417 A KR 1020100015417A KR 20100015417 A KR20100015417 A KR 20100015417A KR 20110095768 A KR20110095768 A KR 20110095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losing means
door frame
dam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5942B1 (ko
Inventor
이영만
Original Assignee
(주)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 filed Critical (주)삼우
Priority to KR1020100015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942B1/ko
Publication of KR20110095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로 유동하여 개폐되는 미닫이 도어의 내부에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닫힘수단이 구비되는 도어구조 및 이러한 도어구조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구조는, 문틀(10)과; 상기 문틀(10)에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도어레일(20)과; 테두리에는 도어프레임(32)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레일(20)을 따라 좌우로 유동하는 도어(30)와; 도어(30)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제어하는 닫힘수단(100)과; 닫힘수단(100)이 상기 도어프레임(32) 또는 문틀(10)에 장착되도록 하는 댐퍼어댑터(200)와; 상기 닫힘수단(100)의 장착을 위한 출입구(3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댐퍼커버(300)와; 상기 닫힘수단(100)의 일단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걸림링크(40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미닫이 문의 닫힘이 원활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도어구조 및 그 제조방법 {DOOR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도어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로 유동하여 개폐되는 미닫이 도어의 내부에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닫힘수단이 구비되는 도어구조 및 이러한 도어구조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베란다나 각종 건물에 설치된 대부분의 미닫이식 도어(또는 창문)는 사람이 직접 개폐시켜야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처음부터 끝까지 사람이 직접 따라다니며 열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도어구조에서는 도어가 완전히 닫힐 때까지 사용자가 도어를 밀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도어를 완전히 닫기 위해 도어를 강하게 미는 경우에는, 도어가 문틀에 부딪힌 다음 반동에 의해 다시 열리는 문제점도 있다. 즉, 도어의 충돌 소음은 물론이고, 도어의 닫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 내부에 댐퍼가 내장된 닫힘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도어를 일정 범위까지 수동으로 닫게 되면, 그 이후에는 자동적으로 도어가 완전히 닫히도록 하는 도어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닫힘수단을 도어프레임의 내부에 내장하기 위해, 도어프레임의 일부를 절개하여 닫힘수단을 장착하는 도어구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구조는,
문틀과; 상기 문틀에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도어레일과; 테두리에는 도어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레일을 따라 좌우로 유동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 또는 문틀의 일측에 구비되어,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제어하는 닫힘수단과; 상기 닫힘수단과 결합되어, 닫힘수단이 상기 도어프레임 또는 문틀에 장착되도록 하는 댐퍼어댑터와; 상기 댐퍼어셈블리의 장착을 위한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댐퍼커버와; 상기 문틀이나 도어레일 또는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닫힘수단의 일단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걸림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구조의 제조방법은,
도어레일에 걸림링크를 설치하는 링크설치단계와; 도어프레임의 일부를 절개하여, 닫힘수단이 출입되는 출입구를 형성하는 커버절개단계와; 상기 커버절개단계에서 형성된 출입구를 통해 닫힘수단을 도어프레임에 장착하여 고정하는 닫힘수단장착단계와; 상기 커버절개단계에서 형성된 출입구를 댐퍼커버로 차폐하는 커버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도어구조에 따르면, 도어의 닫힘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어를 일정 범위까지만 밀어 닫게 되면, 그 다음에는 자동으로 닫힘수단에 의해 도어가 천천히 닫히게 되므로, 도어가 완전히 닫히는 장점은 물론, 충돌 및 충격소음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구조에는, 도어가 열리는 경우에는 걸림링크가 닫힘수단의 걸림스위치에 걸어지므로, 걸림스위치를 동시에 이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도어를 여는 힘 외에 닫힘수단에 의해 추가적인 힘이 필요하다. 따라서, 어린이가 도어를 여는 경우에는 힘이 들게 되므로, 아파트 등의 고층에서는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도어구조의 제조방법에서는, 도어프레임의 일면을 절개한 다음, 이 부분(출입구)을 통하여 닫힘수단을 장착한다. 따라서, 기존의 도어에도 닫힘수단을 장착 가능하므로,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구조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댐퍼커버가 벗겨진 상태의 도어프레임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닫힘수단 및 댐퍼어댑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닫힘수단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닫힘수단의 일측 케이스가 벗겨진 상태의 닫힘수단 내부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구조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댐퍼커버가 벗겨진 상태의 도어프레임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보강부재의 일부 구성을 보인 부분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단턱에 의해 닫힘수단이 보강부재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도어프레임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닫힘수단 및 댐퍼어댑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구조의 제조방법 구성을 보인 블럭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도어구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구조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구조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댐퍼커버가 벗겨진 상태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닫힘수단 및 댐퍼어댑터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어구조는, 문틀(10)과, 상기 문틀(10)에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도어레일(20)과, 테두리에는 도어프레임(32)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레일(20)을 따라 좌우로 유동하는 도어(30)와, 상기 도어(30) 또는 문틀(10)의 일측에 구비되어 도어(30)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제어하는 닫힘수단(100)과, 상기 닫힘수단(100)과 결합되어 닫힘수단(100)이 상기 도어프레임(32) 또는 문틀(10)에 장착되도록 하는 댐퍼어댑터(200)와, 상기 댐퍼어댑터(200)에 체결되거나 부착되며 상기 닫힘수단(100)의 장착을 위한 출입구(3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댐퍼커버(300)와, 상기 도어레일(20) 또는 도어(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닫힘수단(100)의 일단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걸림링크(40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문틀(10)은, 아파트의 베란다나 창문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위치에 구비되어 도어를 지지하는 것으로, 통상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문틀(10)은 재료절감과 강도를 동시에 만족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도어레일(20)은, 상기 문틀(10)을 따라 설치되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도어(30)가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안내한다. 즉, 상기 도어레일(20)은, 상기 문틀(10)과 별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결합되거나, 문틀(10)과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도어(30)는, 통상 유리가 조립되어져 좌우로 개폐되는 미닫이 형태의 문으로, 테두리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32)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프레임(32)도,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 비어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도어프레임(32)에는 상기 닫힘수단(100) 등이 설치된다.
상기 도어프레임(32)이 내부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부재(5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재(50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
Figure pat00001
'형상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닫힘수단(100)은, 상기 도어(30)가 일정 범위 내에서는 자동적으로 닫히도록 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구성과 기능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댐퍼어댑터(200)는, 상기 닫힘수단(100)이 상기 도어프레임(32)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
Figure pat00002
'형상의 단면(도 1에서)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닫힘수단(100)의 하면과 측면을 감싼다.
상기 댐퍼어댑터(200)에는, 댐퍼어댑터(200)의 양단으로부터 좌우로 더 돌출된 체결단(210)과 커버결합부(2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댐퍼어댑터(200)의 하면은, 양측으로 더 연장되어, 댐퍼어댑터(200)가 상기 도어프레임(32)에 볼트(bolt) 등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단(2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어댑터(200)의 측면은, 양측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댐퍼커버(300)가 체결되도록 지지하는 커버결합부(220)를 형성한다.
상기 체결단(210)은 어댑터체결구(230)에 의해 상기 도어프레임(32)에 체결된다. 즉, 볼트(bolt) 등으로 이루어지는 체결단(210)에 의해 댐퍼어댑터(200)가 상기 도어프레임(32)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단(210)에는, 상기 어댑터체결구(230)가 삽입되는 아답터홀(240)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커버(300)는, 커버체결구(310)에 의해 상기 커버결합부(220)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결합부(220)에는 상기 커버체결구(31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커버홀(320)이 관통 형성된다.
물론, 상기 커버홀(320)이 별도로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즉, 미리 커버홀(320)이 관통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상기 커버체결구(310)를 드라이버 등으로 상기 댐퍼커버(300)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댐퍼어댑터(200)는, 상기 보강부재(500)의 일측(도 2에서는 우측)에 구비된다. 즉, 처음에는 상기 도어프레임(32)보다 짧은 길이의 보강부재(500)가 도어프레임(32)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닫힘수단(100)의 설치를 위해 상기 댐퍼커버(300)를 도어프레임(32)으로부터 절개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보강부재(500)의 일부도 절개하고, 절개된 보강부재(500)의 빈 자리에 상기 댐퍼어댑터(200)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도어(30)의 설치시, 상기 댐퍼어댑터(200)의 설치를 고려하여 사전에 미리 도어프레임(32)과 보강부재(500)의 일부를 절개한 다음, 시공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댐퍼커버(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댐퍼커버(300)는 상기 도어프레임(32)과는 별도의 평판으로 구성하기도 하지만, 상기 도어프레임(32)의 일부로 구성되기도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댐퍼커버(300)는, 상기 도어프레임(32)으로부터 절개하여 형성한다. 즉, 상기 도어프레임(32)의 우측단 일부를 절개하여 사각형상의 댐퍼커버(300)를 분리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프레임(32)의 전면(도 2에서)에는, 상기 댐퍼커버(300)와 대응되는 사각형상의 출입구(31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링크(400)는, 아래에서 설명할 닫힘수단(100)의 돌기(132,133)에 접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레일(20)의 하단에 설치된다. 즉, 도시(도 1)된 바와 같이, 상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부가 상기 도어레일(20)의 하단에 장착되며, 하단부는 아래에서 설명할 닫힘수단(100)의 돌기(132,133)에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물론, 상기 걸림링크(400)를 상기 문틀(10)에 직접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도어레일(20)의 일부를 절개하여 분리한 다음, 상기 문틀(10)의 저면에 걸림링크(400)를 직접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닫힘수단의 외관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일측 케이스가 벗겨진 상태의 닫힘수단 내부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닫힘수단(100)은, 서로 대칭되는 구성을 가지는 한 쌍의 케이스(110,110')와, 상기 한 쌍의 케이스(110,110')에 각각 형성되는 안내홈(140)을 따라 슬라이딩 유동하는 걸림스위치(130)와, 상기 걸림스위치(130)에 일방향의 힘을 가하는 당김부재(150)와,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유동 속도를 조절하는 1 이상의 댐퍼(16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케이스(110,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의 후방케이스(110) 및 전방의 전방케이스(110') 2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전방케이스(110')와 후방케이스(110)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볼트(bolt) 등으로 서로 체결된다.
상기 케이스(110,110')의 상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걸림스위치(130)의 돌기(132,133)가 돌출되는 돌출홈(112)이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전방케이스(110')와 후방케이스(110)는 서로 대칭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전방케이스(110')와 후방케이스(110)의 우측부분에는 안내홈(140)이 소정 길이로 후방케이스(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140)은, 아래에서 설명할 걸림스위치(130)에 형성되는 가이드핀(136,137)이 수용되어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홀(hole)이다.
상기 안내홈(140)은, 상기 후방케이스(110)에는 후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방케이스(110')에는 전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케이스(110,110')의 각각의 안내홈(140)에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핀(136,137) 전후단이 삽입되어, 케이스(110,110')의 길이방향(좌우)으로 유동된다.
상기 안내홈(140)은,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핀(136,137)이 상기 닫힘수단(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수평홀(142)과, 상기 수평홀(142)의 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가이드핀(136,137)의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가이드홀(144)과, 상기 가이드홀(144)의 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핀(136,137)이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홀(14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10,110')의 양단과 중앙 부분에는 다수의 체결홀(120)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120)은 상기 전방케이스(110')와 후방케이스(110)가 서로 체결되도록 하기 위해 볼트(bolt)와 같은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스위치(130)는, 걸림링크(400)가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부분이며, 상기 닫힘수단(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유동한다.
상기 걸림스위치(130)는, 상기 걸림링크(400)가 걸어지는 돌기(132,133)와, 상기 당김부재(150)의 일단이 걸어지는 당김부재체결단(134)과, 상기 안내홈(140)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가이드핀(136,137)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기(132,133)는,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단 좌측에 형성되는 닫힘돌기(132)와, 상단 우측단에 형성되는 열림돌기(13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닫힘돌기(132)와 열림돌기(133) 사이에는 소정의 거리가 형성된다. 상기 닫힘돌기(132)는 상기 도어(30)가 닫히는 경우에 상기 걸림링크(400)와 먼저 접하는 부분이며, 상기 열림돌기(133)는 상기 도어(30)가 열리는 경우에 걸림링크(400)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핀(136,137)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상기 안내홈(140)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유동하는 것으로,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중앙 부근 우측단에 전후로 서로 대칭되게 돌출 형성되는 제1가이드핀(136)과,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중앙 부근 좌측단에 전후로 서로 대칭되게 전후로 돌출 형성되는 제2가이드핀(13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당김부재체결단(134)은, 상기 돌기(132,133)와 대칭되는 하단에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하단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여기에 상기 당김부재(150)의 일단(우측단)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당김부재체결단(134)의 위치는, 상기 가이드핀(136,137)의 위치보다 항상 하측에 위치된다. 즉, 상기 당김부재(150)의 우측단이 연결되는 당김부재체결단(134)의 위치는, 상기 닫힘수단(100)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가이드핀(136)보다 아래에 위치된다. 이는 상기 걸림스위치(130)가 상기 안내홈(140)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한 다음 다시 좌측으로 슬라이딩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하단부를 당겨 걸림스위치(130)가 고정되도록 하는 당김부재체결단(134)은,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회전 중심(작용점) 역할을 하는 상기 제1가이드핀(136)보다 적어도 하측에 위치되어야 하는데, 이는 상기 제1가이드핀(136)이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홀(146)에 정지한 채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당김부재(150)는, 도시되 바와 같이, 좌측단은 상기 닫힘수단(100)의 케이스(110,110') 하단 좌측에 연결되고, 우측단은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당김부재체결단(134)에 연결된다. 그리고, 이러한 당김부재(150)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걸림스위치(130)가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계속적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상기 댐퍼(160)는, 2 이상이 구비되기도 하며,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유동 속도를 조절한다. 즉, 상기 댐퍼(160)는, 상기 걸림스위치(130)의 복귀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케이스(110,11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댐퍼(160)는, 원기둥 형상의 댐퍼본체(162)와, 상기 댐퍼본체(162)로부터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로드(164)와, 상기 로드(164)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연결단(16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댐퍼본체(162)는, 내부에 오일(oil)과 같은 유체가 내장되는 것으로, 이러한 댐퍼본체(162)는 많이 사용되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상세 구성과 작용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연결단(166)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는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걸림스위치(130)에 끼워져 걸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단(166)이 상기 걸림스위치(130)에 연결되므로, 상기 걸림스위치(130)가 좌측으로 복귀하는 경우에는 상기 댐퍼(160)에 의해 도어(30)의 이동 속도가 감속되어 결국, 도어(30)의 닫힘 속도가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110')에는 당김부재수용부(116)가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당김부재수용부(116)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당김부재(150)가 수용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이러한 당김부재수용부(116)의 좌측에는 당김부재(150)의 좌측단이 걸어지는 당김부재걸림턱(116a)이 더 형성된다.
도 6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구조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구조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댐퍼커버가 벗겨진 상태의 정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는 본 발명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보강부재의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본 발명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단턱에 의해 닫힘숟단이 보강부재에 고정된 상태가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닫힘수단 및 댐퍼어댑터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제2실시예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기본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서도, 상기 도어프레임(32)의 전면 일부를 절개하여 분리함으로써, 상기 댐퍼커버(300)와 대응되는 사각형상의 출입구(310)를 형성한다.
그리고, 전방(도 7에서)으로부터 상기 닫힘수단(100)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프레임(32)은 우측에서 보면, 도 6과 같은 구성이 된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댐퍼어댑터(200)에는 체결단(210)과 커버결합부(220)가 더 구비된다. 다만, 여기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단(210)은, 커버결합부(220)보다 양측(도 7에서)으로 더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댐퍼어댑터(200)의 끝단에는, 상기 닫힘수단(100) 및 댐퍼어댑터(200)가 상기 보강부재(500)에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단(210)과, 상기 댐퍼커버(300)가 상기 댐퍼어댑터(200)에 결합되는 커버결합부(22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단(210)은, 상기 커버결합부(220)보다 좌우(도 7에서)로 더 돌출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단턱(510)에 끼워진다.
한편, 상기 보강부재(500)에는, 상기 체결단(210)이 끼워지는 체결단턱(510)이 구비되며, 이러한 체결단턱(510)은 상기 보강부재(500)의 일부가 절개되어 절곡 형성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재(500)에는 소정 크기의 평판이 절개되어, 상방으로 절곡된 다음 다시 수평으로 절곡되어 체결단턱(510)을 형성한다. 상기 체결단턱(5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 및 '┓'형상(도 7에서)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마주본다.
물론, 상기와 같은 한 쌍의 체결단턱(510)은,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상기 보강부재(500)에 결합되기도 한다. 즉, 상기 보강부재(500)로부터 일부를 절개하여 체결단턱(510)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로 '┏' 및 '┓'형상의 체결단턱(510)을 제작하여 용접이나 볼트 등으로 상기 보강부재(500)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체결단턱(510) 사이에 상기 댐퍼어댑터(20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단(210)은, 상기 한 쌍의 체결단턱(510)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500)의 선단(도 8 및 도 9에서)에는, 상기 닫힘수단(100)이 도어프레임(3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단턱(520)이 더 형성된다. 상기 고정단턱(5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단턱(510)과 대응되도록 체결단턱(510)의 전방에 '┏' 및 '┓'형상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고정단턱(520)도, 상기 체결단턱(510)과 같이 보강부재(500)로부터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하거나,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보강부재(500)에 용접이나 볼트 등으로 결합된다.
상기 고정단턱(520)은, 상기 체결단(210)이 전방(도 8 및 도 9에서)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한 쌍의 체결단턱(510) 사이에 상기 댐퍼어댑터(200)가 삽입된 다음, 사용자가 끝단을 아래로 내리면 도 9와 같이 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단(210)의 선단이 상기 고정단턱(520)에 걸려 닫힘수단(100)과 댐퍼어댑터(200)가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도어구조의 제조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구조의 제조방법의 구성이 블럭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어구조의 제조방법은, 도어레일(20) 또는 문틀(10)에 걸림링크(400)를 설치하는 링크설치단계(S600)와, 도어프레임(32)의 일부를 절개하여 닫힘수단(100)이 출입되는 출입구(310)를 형성하는 커버절개단계(S610)와, 상기 커버절개단계(S610)에서 형성된 출입구(310)를 통해 닫힘수단(100)을 도어프레임(32)에 장착하여 고정하는 닫힘수단장착단계(S620)와, 상기 커버절개단계(S610)에서 형성된 출입구(310)를 댐퍼커버(300)로 차폐하는 커버결합단계(S63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링크설치단계(S600)는, 상기 도어레일(20) 또는 문틀(10)에 걸림링크(400)를 볼트(bolt) 등으로 체결하여 설치하는 과정이다.
상기 커버절개단계(S610)는, 상기 도어프레임(32)의 전면(도 2 및 도 7에서) 일부를 절개하는 과정이며, 이 단계에서는 상기 보강부재(500)의 일부도 함께 절개된다. 따라서, 이러한 커버절개단계(S610)가 진행되면, 출입구(310)가 형성되어 상기 닫힘수단(100)을 전방(도 2 및 도 7에서)상기 도어프레임(32) 내부에 삽입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32)의 전면 일부 또는 보강부재(500)의 일부는 도어(30)가 설치되기 전에 미리 절개되기도 한다.
상기 닫힘수단장착단계(S620)는, 상기 닫힘수단(100)을 출입구(310)를 통해 상기 도어프레임(32) 내부의 공간에 설치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닫힘수단장착단계(S620)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는 서로 다른 과정을 거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실시에서는 상기 닫힘수단(100)을 도어프레임(32) 내부에 삽입한 다음, 상기 어댑터체결구(230)를 이용하여 상기 댐퍼어댑터(200)를 도어프레임(32)에 고정한다.
반면,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닫힘수단장착단계(S620)는, 상기 도어프레임(32)에 구비되는 보강부재(500)에 '┏' 및 '┓'형상으로 성형되어 마주보는 체결단턱(510)을 형성하는 체결단턱형성과정(S622)과, 상기 체결단턱(510)에 댐퍼어댑터(200)의 일단이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닫힘수단(100)이 도어프레임(32)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닫힘수단삽입과정(S624)과, 상기 닫힘수단(100)이 도어프레임(32)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닫힘수단고정과정(S62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단턱형성과정(S622)은, 상기 한 쌍의 체결단턱(510)을 상기 보강부재(500)의 상면에 형성하는 과정이다. 물론, 이 과정에서는 상기 고정단턱(520)도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단턱(510)과 고정단턱(520)의 형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재(500)로부터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하거나, 별개의 부품으로 형성한 다음 상기 보강부재(500)에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닫힘수단삽입과정(S624)은 상기 댐퍼어댑터(200)를 전방으로부터 밀어넣어, 상기 한 쌍의 체결단턱(510) 사이에 끼워 결합하는 과정이다.
상기 닫힘수단고정과정(S626)은, 상기 닫힘수단삽입과정(S624)에 의해 한 쌍의 체결단턱(510) 사이에 끼워진 댐퍼어댑터(200)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과정이다. 이와 같은 닫힘수단고정과정(S626)이 진행된 상태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같이 어댑터체결구(230)를 이용하여 댐퍼어댑터(200)를 도어프레임(32)에 결합시키는 과정이 사용되지 않는다.
상기 커버결합단계(S630)는, 상기 댐퍼커버(300)를 상기 닫힘수단(100)의 전방(도 2 및 도 7에서)에 설치하여, 출입구(310)를 차폐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커버체결구(310)나 기타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댐퍼커버(300)가 상기 커버결합부(220)에 장착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상기 댐퍼커버(300)는, 상기 도어프레임(32)에서 절개한 것일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하여 마련한 것이 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닫힘수단(100)이 상기 도어프레임(32)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댐퍼어댑터(200)가 '
Figure pat00003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하여 닫힘수단(100)의 3면을 감싸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댐퍼어댑터(200)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닫힘수단(100)의 어느 일면에 접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댐퍼커버(300)가 커버체결구(310)와 같은 별도의 체결기구에 의해 닫힘수단(100)에 고정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 외에 다양한 수단에 의해 댐퍼커버(300)가 닫힘수단(100)이나 댐퍼어댑터(200) 또는 도어프레임(32) 등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강력 접착제나 용접 등에 의해서도 상기 댐퍼커버(300)가 닫힘수단(100)이나 댐퍼어댑터(200) 또는 도어프레임(32) 등에 장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닫힘수단(100)이 도어(30)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링크(400)가 문틀(10)이나 도어레일(20)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닫힘수단(100)과 걸림링크(400)의 설치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즉, 상기 닫힘수단(100)을 문틀(10)에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걸림링크(400)가 도어(30)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창틀 20. 도어레일
30. 도어 100. 닫힘수단
200. 댐퍼어댑터 300. 댐퍼커버
400. 걸림링크 500. 보강부재

Claims (8)

  1. 문틀(10)과;
    상기 문틀(10)에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도어레일(20)과;
    테두리에는 도어프레임(32)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레일(20)을 따라 좌우로 유동하는 도어(30)와;상기 도어(30) 또는 문틀(10)의 일측에 구비되어, 도어(30)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제어하는 닫힘수단(100)과;
    상기 닫힘수단(100)과 결합되어, 닫힘수단(100)이 상기 도어프레임(32) 또는 문틀(10)에 장착되도록 하는 댐퍼어댑터(200)와;
    상기 닫힘수단(100)의 장착을 위한 출입구(3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댐퍼커버(300)와;
    상기 문틀(10)이나 도어레일(20) 또는 도어(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닫힘수단(100)의 일단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걸림링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32)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부재(5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댐퍼어댑터(200)는, 상기 보강부재(500)의 일측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어댑터(200)의 끝단에는,
    상기 닫힘수단(100) 및 댐퍼어댑터(200)가 상기 보강부재(500)에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단(21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구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500)에는,
    상기 체결단(210)이 끼워지는 체결단턱(51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단턱(510)은,
    상기 보강부재(500)의 일부가 절개되어 절곡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500)에는,
    상기 닫힘수단(100)이 도어프레임(3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단턱(520)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구조.
  7. 도어레일(20) 또는 문틀(10)에 걸림링크(400)를 설치하는 링크설치단계(S600)와;
    도어프레임(32)의 일부를 절개하여, 닫힘수단(100)이 출입되는 출입구(310)를 형성하는 커버절개단계(S610)와;
    상기 커버절개단계(S610)에서 형성된 출입구(310)를 통해 닫힘수단(100)을 도어프레임(32)에 장착하여 고정하는 닫힘수단장착단계(S620)와;
    상기 커버절개단계(S610)에서 형성된 출입구(310)를 댐퍼커버(300)로 차폐하는 커버결합단계(S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구조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닫힘수단장착단계(S620)는,
    상기 보강부재(500)의 일면에 '┏' 및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마주보는 체결단턱(510)을 형성하는 체결단턱형성과정(S622)과;
    상기 체결단턱(510)에 댐퍼어댑터(200)가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닫힘수단(100)이 도어프레임(32)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닫힘수단삽입과정(S624)과;
    상기 닫힘수단(100)이 도어프레임(32)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닫힘수단고정과정(S6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구조의 제조방법.

KR1020100015417A 2010-02-19 2010-02-19 도어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175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417A KR101175942B1 (ko) 2010-02-19 2010-02-19 도어구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417A KR101175942B1 (ko) 2010-02-19 2010-02-19 도어구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768A true KR20110095768A (ko) 2011-08-25
KR101175942B1 KR101175942B1 (ko) 2012-08-22

Family

ID=44931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417A KR101175942B1 (ko) 2010-02-19 2010-02-19 도어구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9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936A (ko) * 2017-02-22 2018-08-30 (주)엘지하우시스 미서기 창호용 안전감속장치
KR20190072202A (ko) *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케이씨씨 창호의 완충부 장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창호
KR102353941B1 (ko) * 2021-09-03 2022-01-20 지승근 손끼임 방지 도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1524A (ja) 2006-02-27 2007-09-13 Maruyoshi Kogyo Kk 戸閉具
JP2008156851A (ja) 2006-12-21 2008-07-10 Kuriki Manufacture Co Ltd 引戸クローザー
JP2008223456A (ja) * 2007-03-13 2008-09-25 Kg Paltec Co Ltd 引戸の閉鎖緩衝装置
JP2008285933A (ja) 2007-05-18 2008-11-27 Atom Livin Tech Co Ltd 引戸のスライドアシスト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936A (ko) * 2017-02-22 2018-08-30 (주)엘지하우시스 미서기 창호용 안전감속장치
KR20190072202A (ko) *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케이씨씨 창호의 완충부 장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창호
KR102353941B1 (ko) * 2021-09-03 2022-01-20 지승근 손끼임 방지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5942B1 (ko)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2970B2 (ja) 引戸クローザーセット
JP5812621B2 (ja) 管理及び防災併用開閉装置
KR101175942B1 (ko) 도어구조 및 그 제조방법
JPH0658028B2 (ja) ケーブル駆動式ウィンドウレギュレータ
JP2009255724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6259220B2 (ja) 建物の開口部の改装構造と改装工法
JP5189328B2 (ja) 引戸装置における点検カバーの取付構造
JP4875472B2 (ja) 多重引き式引戸装置
KR101156640B1 (ko) 도어 개폐구조
KR20220082255A (ko) 닫힘수단이 구비되는 미닫이 도어구조 및 그 제조방법
US7574828B2 (en) Power sliding device of vehicle sliding door
JP2008013356A (ja) エレベータ出入り口装置およびその付設方法
JP2008106538A (ja) 引戸の吊り込み方法
JP2003176667A (ja) 上げ下げ窓
JP6175332B2 (ja) ワイヤ式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
JP5826010B2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JP5649350B2 (ja) エレベータの乗り場三方枠装置
KR20090110445A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JP3612810B2 (ja) 開閉体のガイドレール構造
KR20130084439A (ko) 호차 체결구조
KR20100076203A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개폐도어 이탈방지용 슬라이더
JP2003232175A (ja) 窓シャッターの耐風圧構造
JP4447426B2 (ja) 蓋取付具及び蓋取付構造
JP3448028B2 (ja) 網戸装置
KR101538885B1 (ko) 개선된 미닫이식 창문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