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5212A - 모터, 디스크 구동 장치 및 모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모터, 디스크 구동 장치 및 모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5212A
KR20110095212A KR1020110014428A KR20110014428A KR20110095212A KR 20110095212 A KR20110095212 A KR 20110095212A KR 1020110014428 A KR1020110014428 A KR 1020110014428A KR 20110014428 A KR20110014428 A KR 20110014428A KR 20110095212 A KR20110095212 A KR 20110095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holder
turntable
motor
circumferential surface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루히코 이토
다쿠야 야마네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5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2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598Coating tubular artic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means provided on the turntab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2Impregnating, heating or drying of windings, stators, rotors or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2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around the armatures, e.g. flywheel magneto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48Machine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L2031/749M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09Dynamoelectric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Permanent Field Magnets Of Synchronous Machinery (AREA)
  • Rotational Drive Of Disk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achine (AREA)

Abstract

턴테이블은 원통부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돌출부의 직경방향 내측의 부위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연장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피복부를 갖는다. 피복부는 원통부의 바깥둘레면을 덮고 있다. 또한, 로터 홀더의 직경방향 외측의 단부는 피복부의 바깥둘레면과 동일한 직경방향 위치 또는 피복부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인서트 성형에 사용되는 금형과 로터 홀더의 접촉 면적이 저감된다. 따라서, 이형시에 있어서의 금형과 로터 홀더의 슬라이딩 접촉이 억제된다. 그 결과, 금형의 열화가 억제된다.

Description

모터, 디스크 구동 장치 및 모터의 제조 방법{MOTOR, DISK DRIVE APPARATUS AND MOTOR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모터, 디스크 구동 장치 및 모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디스크 구동 장치에는 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브러시리스 모터가 탑재되어 있다. 종래의 브러시리스 모터의 예로서, 특허 문헌 1에는, 턴테이블과 로터 요크를 갖춘 브러시리스 모터가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 문헌 2에는, 로터 요크와 턴테이블을 구비하는 디스크 모터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3-299302 호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1-37141 호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3-299302 호에는, 자성체의 로터 요크가 합성 수지제의 턴테이블의 바닥부에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해 부착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모터로서, 턴테이블을 수지 성형할 때에, 로터 요크 및 샤프트를 금형에 배치하고, 동시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조립하는 것도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3-299302 호 및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1-37141 호의 모터에서는 로터 요크의 바깥둘레면이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인서트 성형시에는 로터 요크의 바깥둘레면이 인서트 성형용의 금형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턴테이블 및 로터 요크를 금형으로부터 이형시킬 때에, 로터 요크의 바깥둘레면과 금형이 접촉하게 된다.
로터 요크의 바깥둘레면과 금형이 접촉하면, 금형의 슬라이딩 접촉한 면이 마모하는 등에 의해, 금형의 사용 수명이 단축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로터 홀더와 턴테이블이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되는 경우에 있어서, 금형과 로터 홀더의 슬라이딩 접촉을 억제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발명은 정지(靜止)부와, 상기 정지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회전부는, 상하로 연장하는 중심축을 따라 배치된 샤프트와, 상기 중심축과 동축에 배치된 원통부를 갖는 금속제의 로터 홀더와, 상기 원통부의 안둘레면에 고정된 제 1 마그네트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상기 로터 홀더와 일체화된 수지제의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에 고정되고 그 상면에 디스크가 탑재되는 디스크 탑재부를 갖고 있다. 상기 정지부는, 상기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부와, 상기 제 1 마그네트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스테이터를 갖고 있다. 상기 턴테이블은, 상기 원통부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디스크 탑재부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직경방향 내측의 부위로부터 아래쪽을 향해서 연장되고, 상기 원통부의 바깥둘레면을 덮는 대략 원통형상의 피복부를 갖고 있다. 상기 로터 홀더의 직경방향 외측의 단부는 상기 피복부의 바깥둘레면과 동일한 직경방향 위치 또는 상기 피복부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모터이다.
제 2 발명은 모터 제조 방법에서는 중심축과 동축에 배치되는 원통부를 갖는 금속제의 로터 홀더와, 상기 원통부의 위쪽에 있어서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수지제의 턴테이블을 구비하는 모터의 제조 방법이다. 이 제조 방법은 a) 한 쌍의 금형의 사이에 형성되는 캐비티내에 상기 로터 홀더를 배치하는 공정과, b) 상기 공정 a) 후, 상기 캐비티내에 용융된 수지를 유입하는 공정과, c) 상기 공정 b) 후, 상기 캐비티내의 수지를 고화하여 턴테이블로 하고, 일체화된 상기 로터 홀더 및 상기 턴테이블을 얻는 공정과, d) 상기 공정 c) 후, 일체화된 상기 턴테이블 및 상기 로터 홀더를 상기 금형으로부터 이형시키는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금형의 한쪽은 상기 원통부의 바깥둘레면보다 대직경의 안둘레면을 갖고 있다. 상기 공정 a)에서는 상기 원통부의 바깥둘레면과 상기 금형의 안둘레면이 상기 캐비티의 일부로 되는 대략 원통형상의 간극을 거쳐서 대향하도록, 상기 로터 홀더를 배치되어 있다.
제 1 발명에 의하면, 인서트 성형에 사용되는 금형과 로터 홀더의 슬라이딩 접촉 면적이 저감된다. 이 때문에, 이형시에 있어서의 금형과 로터 홀더의 슬라이딩 접촉이 억제된다. 따라서, 금형의 열화가 억제된다.
제 2 발명에 의하면, 로터 홀더의 원통부의 바깥둘레면이 수지로 덮이고, 금형과 로터 홀더의 슬라이딩 접촉 면적이 저감된다. 이 때문에, 이형시에 있어서의 금형과 로터 홀더의 슬라이딩 접촉이 억제된다. 따라서, 금형의 열화가 억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모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디스크 구동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모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브러시리스 모터의 회전부의 바깥둘레부 부근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인서트 성형의 수순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인서트 성형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인서트 성형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인서트 성형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인서트 성형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다른 타입의 브러시리스 모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브러시리스 모터의 회전부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인서트 성형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인서트 성형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인서트 성형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인서트 성형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관한 변형예를 도시하는 플랜지부 부근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플랜지부 부근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관한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회전부의 바깥둘레부 부근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관한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브러시리스 모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관한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브러시리스 모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관한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브러시리스 모터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모터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고,턴테이블에 대해 디스크가 배치되는 측을 위로 하여, 각 부의 형상이나 위치 관계를 설명한다. 단, 이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하 방향을 정의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관한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의 사용시에 있어서의 자세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일실시형태에 따른 척킹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모터(113)의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113)는 정지부(102)와 회전부(103)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부(103)는 정지부(10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정지부(102)는 축받이부(122) 및 스테이터(123)를 갖고 있다. 축받이부(122)는 샤프트(13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위이다. 스테이터(123)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류에 따라 자속을 발생시키는 부위이다. 한편, 회전부(103)는 샤프트(131), 로터 홀더(132), 제 1 마그네트(133), 턴테이블(134), 디스크 탑재부(136), 및 중심 조정부(137)를 갖고 있다.
샤프트(131)는 상하로 연장하는 중심축(109)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로터 홀더(132)는 금속제의 부재이며, 샤프트(131)와 함께 회전한다. 로터 홀더(132)는 중심축(109)과 동축에 배치된 원통부(132c)를 갖는다. 제 1 마그네트(133)는 로터 홀더(132)의 원통부(132c)의 안둘레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마그네트(133)는 스테이터(123)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한다.
턴테이블(134)은 수지제의 부재이며, 인서트 성형에 의해 로터 홀더(132)와 일체화되어 있다. 디스크 탑재부(136)는 턴테이블(134)에 고정되어 있다. 디스크(190)는 디스크 탑재부(136)의 상면에 탑재된다. 중심 조정부(137)는 디스크 탑재부(136)의 직경방향 내측에 있어서 턴테이블(134)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중심 조정부(137)는 디스크(190)의 안둘레부를 지지한다.
턴테이블(134)은 돌출부(134c)와 피복부(134d)를 갖는다. 돌출부(134c)는 로터 홀더(132)의 원통부(132c)의 위쪽에 있어서, 원통부(132c)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이다. 디스크 탑재부(136)는 돌출부(134c)상에 지지되어 있다. 피복부(134d)는 돌출부(134c)의 직경방향 내측의 부위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연장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부위이다. 로터 홀더(132)의 원통부(132c)의 바깥둘레면은 피복부(134d)에 덮여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로터 홀더(132)의 직경방향 외측의 단부는 피복부(134d)의 바깥둘레면에서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단, 로터 홀더(132)의 직경방향 외측의 단부는 피복부(134d)의 바깥둘레면과 동일한 직경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모터(113)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로터 홀더(132)와 턴테이블(134)을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는 공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처음에, 한 쌍의 금형을 준비한다. 한 쌍의 금형의 한쪽은 로터 홀더(132)의 원통부(132c)의 바깥둘레면보다 대직경의 안둘레면을 갖고 있다. 다음에, 한 쌍의 금형의 사이에 구성되는 캐비티내에 로터 홀더(132)를 배치한다. 여기서는 원통부(132c)의 바깥둘레면과 금형의 안둘레면이 캐비티의 일부로 되는 대략 원통형상의 간극을 거쳐서 대향하도록, 로터 홀더(132)가 배치된다.
계속해서, 캐비티내에 용융된 수지를 유입한다. 그리고, 캐비티내의 수지를 고화해서 턴테이블(134)로 한다. 이에 따라, 일체화된 로터 홀더(132) 및 턴테이블(134)이 얻어진다. 그 후, 일체화된 로터 홀더(132) 및 턴테이블(134)을 금형으로부터 이형시킨다.
상술한 인서트 성형의 공정에 있어서, 금형의 내면과 원통부(132c)의 사이에 수지가 개재된 상태에서 수지가 고화된다. 그 때문에, 로터 홀더(132)의 원통부(132c)의 바깥둘레면은 수지층인 피복부(134d)에 덮인다. 즉, 금형과 로터 홀더의 접촉 면적이 저감되게 된다. 따라서, 일체화된 로터 홀더(132) 및 턴테이블(134)이 금형으로부터 이형시에 있어서, 금형과 로터 홀더(32)의 슬라이딩 접촉이 억제된다. 그 결과, 금형의 열화가 억제되게 된다. 그 때문에, 동일한 금형으로 실행할 수 있는 성형 회수가, 인서트 성형이 아닌 수지 성형을 동일 형상의 금형으로 실행하는 경우에 실행할 수 있는 성형 회수에 근접한다.
(2. 더욱 구체적인 실시형태)
(2-1. 디스크 구동 장치의 구성)
계속해서, 본 발명의 더욱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디스크 구동 장치(1)의 종단면도이다. 디스크 구동 장치(1)는 광디스크(90)(이하, 단지「디스크(90)」라 함)를 회전시키면서, 디스크(90)에 대해 정보의「판독」 및「기입」을 실행하는 장치이다. 디스크 구동 장치(1)는 장치 하우징(11), 디스크 트레이(12), 브러시리스 모터(13), 클램퍼(14), 및 액세스부(15)를 구비하고 있다.
장치 하우징(11)은 디스크 트레이(12), 브러시리스 모터(13), 클램퍼(14), 및 액세스부(15)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이다. 디스크 트레이(12)는 장치 하우징(11)의 외부와 내부의 사이에서 디스크(90)를 반송하기 위한 기구이다. 섀시(16)는 장치 하우징(11)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브러시리스 모터(13)는 섀시(16)에 고정되어 있다. 디스크(90)는 디스크 트레이(12)에 의해, 브러시리스 모터(13)에 탑재 이송된다. 그리고, 디스크(90)는 브러시리스 모터(13)의 회전부(3)와 클램퍼(14)의 사이에 유지된다. 그 후, 디스크(90)는 브러시리스 모터(13)에 의해, 중심축(9)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된다.
액세스부(15)는 광픽업 기능을 구비한 헤드(15a)를 갖고 있다. 액세스부(15)는 브러시리스 모터(13)에 유지된 디스크(90)의 기록면을 따라 헤드(15a)를 이동시켜, 디스크(90)에 대한 정보의 판독 및 기입을 실행한다. 또, 액세스부(15)는 디스크(90)에 대해 정보의 판독 및 기입의 한쪽만을 실행하는 것이어도 좋다.
(2-2. 브러시리스 모터의 구성)
계속해서, 상기의 브러시리스 모터(13)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브러시리스 모터(13)의 종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러시리스 모터(13)는 정지부(2)와 회전부(3)를 구비하고 있다. 정지부(2)는 디스크 구동 장치(1)의 섀시(16)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부(3)는 정지부(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4는 회전부(3)의 바깥둘레부 부근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과 함께 도 4도 적절하게 참조한다.
정지부(2)는 베이스 부재(21), 정지 축받이 유닛(22), 및 스테이터 유닛(23)을 갖는다. 정지 축받이 유닛(22)은 베이스 부재(21)에 고정되어 있다. 정지 축받이 유닛(22)은 샤프트(31)를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지지하는 기구이다. 정지 축받이 유닛(22)은 슬리브(22a)와 슬리브 하우징(22b)을 갖는다. 슬리브(22a)는 샤프트(31)의 바깥둘레면을 포위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부재이다. 슬리브 하우징(22b)은 대략 컵형상의 부재이며, 슬리브(22a)를 내부에 수용한다. 스테이터 유닛(23)은 복수개의 티스부(24a)를 갖는 스테이터 코어(24)와, 각 티스부(24a)에 감긴 코일(25)을 갖는다.
회전부(3)는 샤프트(31), 로터 홀더(32), 로터 마그네트(33), 턴테이블(34), 복수의 구체(35), 디스크 탑재 부재(36), 콘(37), 요크(38), 및 예압(予壓) 마그네트(39)를 갖는다. 샤프트(31)는 중심축(9)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대략 원주형상의 부재이다. 로터 홀더(32)는 샤프트(31)에 고정되며, 샤프트(31)와 함께 회전하는 부재이다.
로터 홀더(32)는 체결부(32a), 상부 덮개부(32b), 원통부(32c), 및 플랜지부(32d)를 갖는다. 체결부(32a)는 대략 원통형상의 부위이다. 체결부(32a)에는 샤프트(31)가 압입에 의해 체결된다. 상부 덮개부(32b)는 대략 원판형상의 부위이며, 체결부(32a)의 상단부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넓어진다. 원통부(32c)는 대략 원통형상의 부위이며, 상부 덮개부(32b)의 직경방향 외측의 단가장자리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연장한다. 원통부(32c)는 중심축(9)과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32d)는 원환상의 부위이며, 원통부(32c)의 하단부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로터 홀더(32)는, 예를 들면, 아연 도금 강판 등의 금속을 프레스 성형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단, 로터 홀더(32)는 절삭 등의 다른 공법에 의해 얻어진 것이어도 좋다.
로터 마그네트(33)는 원환상의 영구자석이다. 로터 마그네트(33)는 로터 홀더(32)의 원통부(32c)의 안둘레면에 고정되어 있다. 로터 마그네트(33)는 본 발명의「제 1 마그네트」의 일예로 된다. 로터 마그네트(33)의 안둘레면은 스테이터 코어(24)의 티스부(24a)의 단면과,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자극면으로 되어 있다.
턴테이블(34)은 로터 홀더(32)에 고정되어, 로터 홀더(32)와 함께 회전하는 부재이다. 턴테이블(34)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성형용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터 홀더(32)와 턴테이블(34)이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따라서, 로터 홀더(32)와 턴테이블(34)은 밀착 고정되어 있다.
턴테이블(34)은 평판부(34a), 구체 유지부(34b), 돌출부(34c), 피복부(34d), 및 걸어맞춤부(34e)를 갖는다. 평판부(34a)는 대략 원판형상의 부위이며, 콘(37)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구체 유지부(34b)는 평판부(34a)의 직경방향 외측에 있어서 복수의 구체(35)를 유지하는 부위이다. 구체 유지부(34b)에는 위쪽을 향해 열린 원환상의 홈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구체(35)는 홈부(41)의 내부에, 둘레방향으로 롤링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또한, 홈부(41)의 상부는 원환상의 커버부재(42)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복수의 구체(35)는 회전부(3) 및 디스크(90)의 전체로서의 무게중심의 중심축(9)에 대한 위치 어긋남을 보정하는 역할을 한다. 브러시리스 모터(13)의 구동시에는 회전부(3) 및 디스크(90)가 회전한다. 그리고, 그 회전수가 일정 이상이 되면, 복수의 구체(35)는 중심축(9)에 대해 무게중심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롤링 이동한다. 이에 따라, 회전부(3) 및 디스크(90)의 전체로서의 무게중심의 위치가 중심축(9)에 근접하도록 조정된다.
돌출부(34c)는 구체 유지부(34b)의 바깥둘레면의 상단부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이다. 돌출부(34c)는 로터 홀더(32)의 원통부(32c)보다 위쪽의 위치에 있어서, 원통부(32c)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디스크 탑재 부재(36)는 돌출부(34c)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디스크 탑재 부재(36)의 상면은 디스크(90)가 탑재되는 탑재면으로 되어 있다.
피복부(34d)는 원통형상의 부위이며, 돌출부(34c)의 직경방향 내측의 부위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연장된다. 피복부(34d)는 로터 홀더(32)의 원통부(32c) 및 플랜지부(32d)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원통부(32c) 및 플랜지부(32d)의 바깥둘레면은 수지의 층인 피복부(34d)에 덮여 있다. 로터 홀더(32)의 직경방향 외측의 단부는 피복부(34d)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인서트 성형의 공정에서는 로터 홀더(32)의 원통부(32c) 및 플랜지부(32d)의 바깥둘레면과 금형(51)의 사이에 피복부(34d)가 개재한다. 이 때문에, 원통부(32c) 및 플랜지부(32d)의 바깥둘레면은 금형(51)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로터 홀더(32) 및 턴테이블(34)을 금형(51)으로부터 이형시킬 때에, 원통부(32c) 및 플랜지부(32d)의 바깥둘레면과 금형(51)이 슬라이딩 접촉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성형시에 있어서의 금형(51)의 마모가 억제된다. 그 결과, 원통부(32c) 및 플랜지부(32d)의 바깥둘레면과 금형(51)이 슬라이딩 접촉하는 경우에 비해, 동일한 금형(51)으로 보다 다수회의 인서트 성형이 가능해진다. 즉, 동일한 금형(51)으로 실행할 수 있는 성형 회수가, 인서트 성형이 아닌 수지 성형을 동일 형상의 금형으로 실행하는 경우의 성형 회수에 근접한다.
특히, 로터 홀더(32)가 프레스 성형품인 경우에는 절삭품에 비해, 로터 홀더(32)를 저렴하게 얻을 수 있다. 한편, 프레스 성형에 의해 로터 홀더(32)를 성형하면, 로터 홀더(32)의 치수 정밀도가 잘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로터 홀더(32)의 원통부(32c) 및 플랜지부(32d)의 외측에 피복부(34d)가 없는 경우, 원통부(32c) 또는 플랜지부(32d)의 바깥둘레면과 금형(51)의 사이에 강한 슬라이딩 접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통부(32c) 및 플랜지부(32d)의 바깥둘레면이 피복부(34d)에 덮여 있기 때문에, 그러한 강한 슬라이딩 접촉도 방지된다.
즉, 피복부(34d)를 마련하여, 로터 홀더(32)와 금형의 슬라이딩 접촉을 억제하는 것은 로터 홀더(32)가 프레스 성형품인 경우에, 특히 유익한 기술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속제의 로터 홀더(32)와 수지제의 턴테이블(34)이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착제 등의 다른 부재를 거쳐서 양자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보다도 턴테이블(34)의 진동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복수의 구체(35)가 롤링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이 억제된다.
또한, 특히, 본 실시형태의 턴테이블(34)은 피복부(34d)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로터 홀더(32)와 턴테이블(34)은 서로의 접촉 면적이 넓어진 상태에서 밀착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턴테이블(34)의 진동이나 소음이 더욱 저감된다. 또한, 피복부(34d)가 없는 경우에 비해, 로터 홀더(32)와 턴테이블(34)이 더욱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걸어맞춤부(34e)는 로터 홀더(32)의 원통부(32c)보다 직경방향 내측에 있어서 상부 덮개부(32b)의 하면에 접하도록 형성된 부위이다. 로터 홀더(32)의 상부 덮개부(32b)에는 관통 구멍(32e)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32e)은 상부 덮개부(32b)의 상면측과 하면측을 연통한다. 걸어맞춤부(34e)는 관통 구멍(32e)을 거쳐서, 평판부(34a) 및 구체 유지부(34b)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걸어맞춤부(34e)는 관통 구멍(32e)의 하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넓게 되어 있다. 걸어맞춤부(34e)의 상면은 상부 덮개부(32b)의 하면에 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걸어맞춤부(34e)는 로터 홀더(32)와 턴테이블(34)의 분리를 방지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로터 홀더(32)와 턴테이블(34)이 더욱 강고하게 고정된다. 특히, 후술하는 인서트 성형의 공정에 있어서, 한 쌍의 금형을 열고 일체화한 로터 홀더(32)와 턴테이블(34)을 금형으로부터 이형할 때에, 로터 홀더(32)와 턴테이블(34)이 분리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 관통 구멍(32e)은 상부 덮개부(32b)의 1개소에만 마련되어 있어도 좋고, 복수 개소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걸어맞춤부(34e)는 상부 덮개부(32b)의 하면에 원환상으로 마련되어 있어도 좋고, 둘레방향으로 불연속으로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콘(37)은 디스크(90)의 안둘레부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콘(37)은 턴테이블(34)의 평판부(34a)의 위쪽에 있어서, 샤프트(31)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콘(37)은 아래쪽을 향해 점차 직경이 확대되는 경사면(37a)을 갖는다. 콘(37)은 디스크(90)의 안둘레부를 경사면(37a)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디스크(90)를 지지한다. 이에 따라, 디스크(90)의 중심이 중심축(9)상에 위치 결정된다. 즉, 콘(37)은 디스크(90)의 직경방향 위치를 정하는 중심 조정부로서 기능한다.
턴테이블(34)의 평판부(34a)와 콘(37)의 사이에는 축방향으로 신축하는 스프링 부재(40)가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40)는 콘(37)을 위쪽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요크(38)는 샤프트(31)의 상단부에 고정된 자성체이다. 디스크(90)가 유지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콘(37)은 요크(38)의 하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요크(38)는 클램퍼(14)측에 마련된 클램프 마그네트와의 사이에 자기적인 흡인력을 발생시킨다. 이 흡인력에 의해, 디스크 탑재 부재(36) 및 콘(37)과 클램퍼(14)의 사이에 디스크(90)가 협지된다.
예압 마그네트(39)는 원환상의 영구자석이다. 예압 마그네트(39)는 로터 홀더(32)의 상부 덮개부(32b)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예압 마그네트(39)는 본 발명의 제 2 마그네트의 일예로 된다. 예압 마그네트(39)는 정지 축받이 유닛(22)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축방향의 자기적 흡인력에 의해, 회전부(3)를 정지부(2)측으로 바싹 당겨서, 회전부(3)의 회전 자세를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브러시리스 모터(13)에 있어서, 정지부(2)의 코일(25)에 구동 전류가 인가되면, 스테이터 코어(24)의 복수의 티스부(24a)에 자속이 발생한다. 그리고, 티스부(24a)와 로터 마그네트(33)의 사이의 자속의 작용에 의해, 둘레 방향의 토크가 발생한다. 이 토크에 의해, 정지부(2)에 대해 회전부(3)가 중심축(9)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한다. 회전부(3)에 유지된 디스크(90)는 회전부(3)와 함께, 중심축(9)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한다.
<2-3. 인서트 성형의 수순>
계속해서, 상기의 브러시리스 모터(13)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로터 홀더(32)와 턴테이블(34)을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할 때의 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인서트 성형의 수순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또한, 도 6∼도 9는 인서트 성형의 각 공정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인서트 성형을 실행할 때에는 한 쌍의 금형(51, 52)과 미리 제작된 로터 홀더(32)가 준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로터 홀더(32)는, 예를 들면, 프레스 성형이나 절삭 가공에 의해 제작된다. 한 쌍의 금형(51, 52)은 서로의 대향면을 맞닿게 하면, 그들의 내부에 캐비티(53)가 구성된다. 캐비티(53)는 로터 홀더(32) 및 턴테이블(34)의 일체화 후의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우선, 로터 홀더(32)를 한쪽의 금형(51)의 내부에 세트한다. 그리고, 한 쌍의 금형(51, 52)의 대향면을 맞닿게 하고, 금형(51, 52)의 내부에 캐비티(53)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캐비티(53)내에 로터 홀더(32)가 배치된 상태로 된다(스텝 S1, 도 6). 도 6과 같이, 금형(51)은 로터 홀더(32)의 원통부(32c)의 바깥둘레면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 안둘레면(51a)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원통부(32c)의 바깥둘레면과 금형(51)의 안둘레면(51a)의 사이에는 원통형상의 간극(53a)이 형성된다. 이 간극(53a)은 캐비티(53)의 일부이다.
다음에, 금형(52)에 형성된 게이트(52a)를 거쳐서, 캐비티(53)내에 용융된 수지를 주입한다(스텝 S2, 도 7). 용융된 수지는 캐비티(53) 중, 로터 홀더(32)를 제외한 공간에 충전된다. 본 실시형태의 금형(51)에는 원통형상의 간극(53a)의 하단부에 연통하는 공기빼기구멍(51b)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빼기구멍(51b)은 도시하지 않은 부압 발생 기구에 접속되어 있다. 스텝 S2에서는 공기빼기구멍(51b)으로부터 캐비티(53)내의 공기를 배출하면서, 용융된 수지를 주입한다. 이에 따라, 캐비티(53)에 있어서 용융된 수지가 원통형상의 간극(53a)의 하단부까지 골고루 퍼진다.
계속해서, 캐비티(53)내의 수지를 냉각해서 고화한다(스텝 S3, 도 8). 캐비티(53)내의 수지가 고화되는 것에 의해, 턴테이블(34)로 된다. 또한, 이에 따라, 로터 홀더(32)와 턴테이블(34)이 일체화된다.
상술한 공정에 의해 성형된 턴테이블(34)은 평판부(34a), 구체 유지부(34b), 돌출부(34c), 피복부(34d), 및 걸어맞춤부(34e)를 갖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원통형상의 간극(53a)에 충전된 수지는 고화되어 피복부(34d)로 된다. 그 결과, 로터 홀더(32)의 원통부(32c) 및 플랜지부(32d)가 수지층인 피복부(34d)에 의해서 덮인 상태로 된다.
그 후, 한 쌍의 금형(51, 52)을 여는 동시에, 금형(51)으로부터 이형용의 핀(51c)을 로터 홀더(32) 및 턴테이블(34)에 부딪치게 한다. 이에 따라, 일체화된 로터 홀더(32) 및 턴테이블(34)을 금형(51, 52)으로부터 이형시킨다(스텝 S4, 도 9). 이 때, 원통부(32c)는 피복부(34d)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금형(51)의 안둘레면(51a)은 원통부(32c) 및 플랜지부(32d)의 바깥둘레면와 슬라이딩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금형(51)의 마모가 억제된다. 그 결과, 금형(51)이 원통부(32c) 및 플랜지부(32d)의 바깥둘레면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경우에 비해, 동일한 금형(51)을 이용해서 보다 다수회의 인서트 성형이 가능해진다. 즉, 동일한 금형(51)으로 실행할 수 있는 성형 회수가, 인서트 성형이 아닌 수지 성형을 동일 형상의 금형으로 실행하는 경우의 성형 회수에 근접한다.
(3. 다른 타입의 모터)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샤프트(31)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콘(37)을 구비한 소위 슬라이딩 콘 타입의 모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른 타입의 모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다른 타입의 브러시리스 모터(213)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해당 브러시리스 모터(213)의 회전부(203)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브러시리스 모터(213)는 턴테이블(234)과 일체로 형성된 중심 조정부(237)를 갖는 중심 조정 발톱 타입의 모터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브러시리스 모터(13)와 동등한 점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브러시리스 모터(13)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브러시리스 모터(213)의 로터 홀더(232)는 상부 덮개부(232b), 원통부(232c), 및 플랜지부(232d)를 갖는다. 상부 덮개부(232b)는 원통부(232c)의 상단부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으로 넓어지는 부위이다. 원통부(232c)는 원통형상의 부위이며, 중심축(209)과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232d)는 원환상의 부위이며, 원통부(232c)의 하단부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턴테이블(234)은 상술한 인서트 성형에 의해, 로터 홀더(232)와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231)는 턴테이블(234)을 압입되는 동시에, 접착제에 의해 턴테이블(234)에 고정되어 있다.
턴테이블(234)은 중심 조정부(237), 평판부(234a), 돌출부(234c), 피복부(234d), 및 걸어맞춤부(234e)를 갖는다. 중심 조정부(237)는 디스크의 안둘레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면(237a)을 갖는다. 또한, 중심 조정부(237)에는 중심 조정 발톱(237b)이 둘레방향의 복수 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중심 조정 발톱(237b)은 직경방향으로 가요성을 갖는다. 중심 조정부(237)는 디스크의 안둘레부를 중심 조정 발톱(237b)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디스크를 지지한다. 이에 따라, 디스크의 중심이 중심축(209)상에 위치 결정된다.
평판부(234a)는 원반형상의 부위이며, 중심 조정부(237)의 바깥가장자리부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넓어진다. 돌출부(234c)는 평판부(234a)의 바깥가장자리부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이다. 돌출부(234c)는 로터 홀더(232)의 원통부(232c)보다 위쪽의 위치에 있어서, 원통부(232c)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디스크 탑재 부재(236)는 돌출부(234c)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피복부(234d)는 원통형상의 부위이며, 돌출부(234c)의 직경방향 내측의 부위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연장된다. 피복부(234d)는 로터 홀더(232)의 원통부(232c) 및 플랜지부(232d)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원통부(232c) 및 플랜지부(232d)의 바깥둘레면은 수지의 층인 피복부(234d)에 덮여 있다. 로터 홀더(232)의 직경방향 외측의 단부는 피복부(234d)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인서트 성형의 공정에서는 로터 홀더(232)의 원통부(232c) 및 플랜지부(232d)의 바깥둘레면과 금형(251)의 사이에 피복부(234d)가 개재한다. 이 때문에, 원통부(232c) 및 플랜지부(232d)의 바깥둘레면은 금형(251)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로터 홀더(232) 및 턴테이블(234)을 금형(251)으로부터 이형시킬 때에, 금형(251)이 원통부(232c) 및 플랜지부(232d)의 바깥둘레면과 슬라이딩 접촉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금형(251)의 마모가 억제된다. 그 결과, 금형(251)이 원통부(232c) 및 플랜지부(232d)의 바깥둘레면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경우에 비해, 동일한 금형(251)으로 보다 다수회의 인서트 성형이 가능해진다. 즉, 동일한 금형(251)으로 실행할 수 있는 성형 회수가, 인서트 성형이 아닌 수지 성형을 동일 형상의 금형으로 실행하는 경우의 성형 회수에 근접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브러시리스 모터(13)와 마찬가지로, 이 브러시리스 모터(213)에 있어서도 턴테이블(234)의 진동이나 소음이 저감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브러시리스 모터(13)와 마찬가지로, 이 브러시리스 모터(213)에 있어서도 로터 홀더(232)와 턴테이블(234)이 강고하게 고정된다.
걸어맞춤부(234e)는 로터 홀더(232)의 원통부(232c)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에 있어서, 상부 덮개부(232b)의 하면에 접하도록 형성된 부위이다. 로터 홀더(232)의 상부 덮개부(232b)에는 중심 조정 발톱(237b)의 아래쪽위치 부근에 관통 구멍(232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터 홀더(232)는 샤프트(231)에 직접 고정되어 있지 않다. 샤프트(231)의 바깥둘레면과 로터 홀더(232)의 상부 덮개부(232b)의 사이에는 원환상의 간극부(232f)가 형성되어 있다. 즉, 로터 홀더(232)는 간극부(232f)를 거쳐서 샤프트(231)에 고정된다. 걸어맞춤부(234e)는 이들 관통 구멍(232e) 및 간극부(232f)를 거쳐서 중심 조정부(237)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걸어맞춤부(234e)는 관통 구멍(232e)의 아래쪽위치와 간극부(232f)의 아래쪽위치의 사이에서 연결되어 있다. 걸어맞춤부(234e)의 상면은 상부 덮개부(232b)의 하면에 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걸어맞춤부(234e)는 로터 홀더(232)와 턴테이블(234)의 분리를 방지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로터 홀더(232)와 턴테이블(234)이 더욱 강고하게 고정된다. 특히, 후술하는 인서트 성형의 공정에 있어서, 한 쌍의 금형을 열어 일체화한 로터 홀더(232)와 턴테이블(234)이 이형할 때에, 로터 홀더(232)와 턴테이블(234)이 분리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 걸어맞춤부(234e)는 상부 덮개부(232b)의 하면에 원환상으로 마련되어 있어도 좋고, 둘레방향으로 불연속으로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 브러시리스 모터(213)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로터 홀더(232)와 턴테이블(234)을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할 때의 수순도 도 5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12∼도 15는 인서트 성형의 각 공정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인서트 성형을 실행할 때에는 한 쌍의 금형(251, 252)과 미리 제작된 로터 홀더(232)가 준비된다. 로터 홀더(232)는, 예를 들면, 프레스 성형이나 절삭 가공 등에 의해 제작된다. 한 쌍의 금형(251, 252)은 서로의 대향면을 맞닿게 하면, 그들 내부에 캐비티(253)가 구성된다. 캐비티(253)의 형상은 로터 홀더(232) 및 턴테이블(234)의 일체화 후의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우선, 로터 홀더(232)를 한쪽의 금형(251)의 내부에 세트한다. 계속해서, 양 금형(251, 252)의 대향면을 맞닿게 하고, 금형(251, 252)의 내부에 캐비티(253)를 구성한다. 이에 따라, 캐비티(253)내에 로터 홀더(232)가 배치된 상태로 된다(스텝 S1, 도 12). 도 12와 같이, 금형(251)은 로터 홀더(232)의 원통부(232c)의 바깥둘레면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 안둘레면(251a)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원통부(232c)의 바깥둘레면과 금형(251)의 안둘레면(251a)의 사이에는 원통형상의 간극(253a)이 형성된다. 이 간극(253a)은 캐비티(253)의 일부이다.
다음에, 금형(252)에 형성된 게이트(252a)를 거쳐서, 캐비티(253)내에 용융된 수지를 주입한다(스텝 S2, 도 13). 용융된 수지는 캐비티(253) 중, 로터 홀더(232)를 제외한 공간에 충전된다. 본 실시형태의 금형(251)에는 원통형상의 간극(253a)의 하단부에 연통하는 공기빼기구멍(251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빼기구멍(251b)은 부압 발생 기구(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스텝 S2에서는 공기빼기구멍(251b)으로부터 캐비티(253)내의 공기를 배출하면서, 용융된 수지를 주입시킨다. 이에 따라, 용융된 수지가 캐비티(253)에 있어서, 원통형상의 간극(253a)의 하단부까지 골고루 퍼진다.
계속해서, 캐비티(253)내의 수지를 냉각해서 고화한다(스텝 S3, 도 14). 캐비티(253)내의 수지는 고화하는 것에 의해, 턴테이블(234)로 된다. 또한, 이에 따라, 로터 홀더(232)와 턴테이블(234)이 일체화해서 성형된다.
상술한 공정에 의해, 턴테이블(234)은 중심 조정부(237), 평판부(234a), 돌출부(234c), 피복부(234d), 및 걸어맞춤부(234e)를 갖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원통형상의 간극(253a)에 충전된 수지는 고화되어 피복부(234d)로 된다. 그 결과, 로터 홀더(232)의 원통부(232c) 및 플랜지부(232d)가 수지층인 피복부(234d)에 의해서 덮인 상태로 된다.
그 후, 한 쌍의 금형(251, 252)을 열어, 금형(251)으로부터 이형용의 핀(251c)을 일체화된 로터 홀더(232) 및 턴테이블(234)에 부딪치게 한다. 이에 따라, 일체화된 로터 홀더(232) 및 턴테이블(234)이 금형(251, 252)으로부터 이형한다(스텝 S4, 도 15). 이 때, 금형(251)의 안둘레면(251a)은 원통부(232c) 및 플랜지부(232d)의 바깥둘레면과 슬라이딩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금형(251)의 마모가 억제된다. 그 결과, 금형(251)이 원통부(232c) 및 플랜지부(232d)의 바깥둘레면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경우에 비해, 동일한 금형(251)을 이용해서 보다 다수회의 인서트 성형이 가능해진다. 즉, 동일한 금형(251)으로 실행할 수 있는 성형 회수가, 인서트 성형이 아닌 수지 성형을 동일 형상의 금형으로 실행하는 경우의 성형 회수에 근접한다.
(4.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각종 변형예에 대해, 상기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관한 일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로터 홀더의 플랜지부(332d) 부근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예에서는 턴테이블의 피복부(334d)가 원통부(332c) 및 플랜지부(332d)의 바깥둘레면 뿐만 아니라, 플랜지부(332d)의 하면도 덮고 있다. 이렇게, 로터 홀더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하면, 로터 홀더와 턴테이블의 접촉 면적이 더욱 증가한다. 이 때문에, 턴테이블의 진동이나 소음이 더욱 저감된다. 또한, 로터 홀더와 턴테이블이 더욱 강고하게 고정된다.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로터 홀더의 플랜지부(432d) 부근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예에서는 플랜지부(432d)의 직경방향 외측의 단부와 피복부(434d)의 바깥둘레면이 대략 동일한 직경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피복부(434d)의 바깥둘레면의 중심축에 대한 직경과, 플랜지부(432d)의 바깥둘레면의 중심축에 대한 직경이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원통부(432c) 및 플랜지부(432d)의 바깥둘레면 중, 원통부(432c)의 바깥둘레면만이 피복부(434d)에 의해서 덮여 있다.
이 경우, 인서트 성형시에, 플랜지부(432d)의 바깥둘레면이 금형에 접촉할 가능성은 있다. 그러나, 도 17에 도시된 구조였다고 해도, 종래에 비하면, 금형과 로터 홀더의 접촉 면적은 저감된다. 따라서, 도 17에 도시된 예에서도, 이형시에 있어서의 금형과 로터 홀더의 슬라이딩 접촉이 억제된다. 그 결과, 금형의 마모가 억제된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구조를 채용하면, 상기의 실시형태보다 피복부(434d)의 직경방향의 치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회전부의 바깥둘레부 부근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예에서는 피복부(534d)의 바깥둘레면의 중심축에 대한 직경이 위쪽을 향함에 따라 점차 확대하고 있다. 즉, 피복부(534d)의 바깥둘레면이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인서트 성형시에, 금형으로부터 턴테이블(534)을 더욱 용이하게 이형할 수 있다. 또한, 턴테이블(534)의 상부에 있어서의 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턴테이블(534)의 강성이나 고정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브러시리스 모터(613)의 종단면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예에서는 로터 홀더(632)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드러나 있다(수지로 덮여 있지 않다). 여기서는 로터 홀더(632)의 상면의 직경방향 안쪽이 샤프트(631)를 둘러싸는 원환상으로 드러나 있으며, 수지로 덮여 있지 않다. 그 때문에, 턴테이블(634)의 안둘레면과 샤프트(631)의 바깥둘레면이 이간되어 있다. 인서트 성형을 이용해서 로터 홀더(632) 및 턴테이블(634)을 일체화해서 성형하는 경우, 로터 홀더(632)에 대한 턴테이블(634)의 상대 위치는 인서트 성형시에 정해진다. 이 때문에, 인서트 성형의 정밀도와 샤프트(631)에 대한 로터 홀더(632)의 부착 정밀도가 모두 충분하면, 중심축(609)에 대한 턴테이블(634)의 동축도는 고정밀도로 얻어진다. 그 경우, 턴테이블(634)의 안둘레면을 샤프트(631)의 바깥둘레면에 맞닿게 할 필요는 없다.
도 19에 도시된 예에서는 턴테이블(634)의 안둘레면과 샤프트(631)의 바깥둘레면의 사이의 공간(604)을 다른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간(604)의 주위에 있어서의 각 부재의 위치나 치수를 더욱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구조를 채용하면, 성형에 필요한 수지의 양을 줄일 수 있고, 턴테이블(634)의 부피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인서트 성형시에, 원통부(632c) 및 플랜지부(632d)와 금형의 사이의 좁은 간극에 수지를 더욱 용이하게 골고루 퍼지게 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브러시리스 모터(713)의 종단면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예에서는 예압 마그네트(739)의 바깥둘레면이 걸어맞춤부(734e)의 안둘레면에 맞닿고 있다. 이 브러시리스 모터(713)의 제조공정에서는 인서트 성형시에, 예압 마그네트739의 바깥둘레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어맞춤부(734e)의 안둘레면을 형성해 둔다. 그리고, 인서트 성형 후에, 걸어맞춤부(734e)의 안둘레면의 내측에 예압 마그네트(739)를 끼워 넣는다.
이와 같이 하면, 걸어맞춤부(734e)의 안둘레면을 기준으로 해서, 예압 마그네트(39)를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예압 마그네트(739)가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되면, 예압 마그네트의 위치 어긋남에 기인하는 자기 진동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예압 마그네트(739)의 바깥둘레면과 걸어맞춤부(734e)의 안둘레면은 전체 둘레에 걸쳐 맞닿아 있어도 좋고, 부분적으로 맞닿아 있어도 좋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브러시리스 모터(813)의 종단면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예에서는 로터 홀더(832)는 원통부(832c) 및 플랜지부(832d)만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본 발명의 모터는 상부 덮개부가 없는 로터 홀더(832)를 갖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모터에 있어서 로터 홀더에 플랜지부가 없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모터는 상기의 실시형태와 같이, 광디스크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어도 좋고, 자기 디스크 등의 다른 기록 디스크(Removable Disk)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은 모터, 디스크 구동 장치, 및 모터의 제조 방법에 이용할 수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크 구동장치  2, 102 : 정지부
 3, 103, 203 : 회전부  9, 109, 209, 609 : 중심축
 11 : 장치 하우징  
13, 213, 613, 713, 813 : 브러시리스 모터
 15 : 액세스부  21 : 베이스 부재
 22 : 정지 베어링 유닛  23 : 고정자 유닛
 31, 131, 231, 631 : 샤프트  32, 132, 232, 632, 832 : 로터 홀더
 32b, 232b : 위덮개부  
32c, 232c, 332c, 432c, 632c, 832c : 원통부
 32d, 232d, 332d, 432d, 632d, 832d : 플랜지부
 33 : 로터 마그넷  34, 134, 234, 534, 634 : 턴테이블
 34c, 134c, 234c : 게시부  
34d, 134d, 234d, 334d, 434d, 534d : 피복부
 34e, 234e, 734e : 걸어맞춤부 36 : 디스크 탑재부
 39, 739 : 예압마그넷  51, 52, 251, 252 : 금형
 53, 253 : 캐비티  53a : 틈새
 90, 190 : 디스크  113 : 모터
 122 : 베어링부  123 : 고정자
 133 : 마그넷  136 : 디스크 탑재부

Claims (16)

  1. 정지부와,
    상기 정지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하로 연장하는 중심축을 따라 배치된 샤프트와,
    상기 중심축과 동축에 배치된 원통부를 갖는 금속제의 로터 홀더와,
    상기 원통부의 안둘레면에 고정된 제 1 마그네트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상기 로터 홀더와 일체화된 수지제의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에 고정되고, 그 상면에 디스크가 탑재되는 디스크 탑재부를 갖고,
    상기 정지부는,
    상기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부와,
    상기 제 1 마그네트와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스테이터를 갖고,
    상기 턴테이블은,
    상기 원통부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디스크 탑재부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직경방향 내측의 부위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원통부의 바깥둘레면을 덮는 대략 원통형상의 피복부를 갖고,
    상기 로터 홀더의 직경방향 외측의 단부는 상기 피복부의 바깥둘레면과 동일한 직경방향 위치 또는 상기 피복부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홀더는 상기 원통부의 하단부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된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피복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바깥둘레면을 덮는
    모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는 상기 로터 홀더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모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홀더는 상기 원통부의 하단부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된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피복부의 바깥둘레면의 상기 중심축에 대한 직경과, 상기 플랜지부의 바깥둘레면의 상기 중심축에 대한 직경이 동일한
    모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의 바깥둘레면의 상기 중심축에 대한 직경이 위쪽을 향함에 따라 점차 확대되어 있는 모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홀더는 상기 원통부의 상단부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으로 넓어지는 상부 덮개부를 갖는 모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은 상기 상부 덮개부의 하면에 밀착하는 걸어맞춤부를 갖는 모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부에는 상면측과 하면측을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관통 구멍의 하단부로부터 직경방향으로 넓게 되어 있고,
    상기 걸어맞춤부의 상면은 상기 상부 덮개부의 하면에 밀착되어 있는
    모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상부 덮개부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부를 상기 정지부측으로 자기적 흡인력에 의해 바싹 당기는 대략 원환형상의 제 2 마그네트를 갖고,
    상기 제 2 마그네트의 바깥둘레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걸어맞춤부에 맞닿아 있는
    모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홀더는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더 갖고,
    상기 턴테이블의 안둘레면과 상기 샤프트의 바깥둘레면이 이간되어 있는
    모터.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은,
    대략 원판형상의 부위인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직경방향 외측에 있어서 복수의 구체를 유지하는 구체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체 유지부에는 위쪽을 향해 열린 원환상의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구체는 상기 홈부의 내부에 둘레방향으로 롤링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는
    모터.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은,
    대략 원판형상의 부위인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위쪽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콘과,
    상기 평판부와 상기 콘의 사이에 배치되고,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콘은 아래쪽을 향해 점차 직경이 확대되는 경사면을 갖는
    모터.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은,
    상기 디스크의 안둘레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면을 갖는 중심 조정부와,
    상기 중심 조정부의 바깥가장자리부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는 원판형상의 부위인 평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심 조정부에는 직경방향으로 가요성을 갖는 중심 조정 발톱이 둘레방향의 복수 개소에 마련되어 있는
    모터.
  14. 청구항 1에 기재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상기 디스크 탑재부 상에 탑재된 디스크에 대해, 정보의 판독 및 기입의 적어도 한쪽을 실행하는 액세스부와,
    상기 모터 및 상기 액세스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을 구비한 디스크 구동 장치.
  15. 중심축과 동축에 배치되는 원통부를 갖는 금속제의 로터 홀더와, 상기 원통부의 위쪽에 있어서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수지제의 턴테이블을 구비하는 모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한 쌍의 금형의 사이에 형성되는 캐비티내에 상기 로터 홀더를 배치하는 공정과,
    b) 상기 공정 a) 후, 상기 캐비티내에 용융된 수지를 주입하는 공정과,
    c) 상기 공정 b) 후, 상기 캐비티내의 수지를 고화해서 턴테이블로 하고, 일체화된 상기 로터 홀더 및 상기 턴테이블을 얻는 공정과,
    d) 상기 공정 c) 후, 일체화된 상기 턴테이블 및 상기 로터 홀더를 상기 금형으로부터 이형시키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금형의 한쪽은 상기 원통부의 바깥둘레면보다 대직경의 안둘레면을 갖고,
    상기 공정 a)에서는 상기 원통부의 바깥둘레면과 상기 금형의 안둘레면이 상기 캐비티의 일부로 되는 대략 원통형상의 간극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상기 로터 홀더를 배치하는
    모터의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상기 대략 원통형상의 간극의 하단부에 연통하는 공기빼기구멍을 갖고,
    상기 공정 b)에서는 상기 공기빼기구멍으로부터 상기 캐비티내의 공기를 배출하면서, 용융된 수지를 주입하는 모터의 제조 방법.
KR1020110014428A 2010-02-18 2011-02-18 모터, 디스크 구동 장치 및 모터의 제조 방법 KR201100952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33364 2010-02-18
JP2010033364A JP2011172371A (ja) 2010-02-18 2010-02-18 モータ、ディスク駆動装置、およびモータ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212A true KR20110095212A (ko) 2011-08-24

Family

ID=44370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428A KR20110095212A (ko) 2010-02-18 2011-02-18 모터, 디스크 구동 장치 및 모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202940A1 (ko)
JP (1) JP2011172371A (ko)
KR (1) KR20110095212A (ko)
CN (3) CN10382541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8988A (ja) 2010-04-28 2011-12-08 Nippon Densan Corp チャッキング装置、モータ、ディスク駆動装置、およびチャッキング装置の製造方法
JP5846224B2 (ja) * 2014-01-22 2016-0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テータ
WO2016181421A1 (ja) * 2015-05-08 2016-11-17 黒田精工株式会社 磁石埋め込み型コアの樹脂充填装置および樹脂充填方法
JP6160730B1 (ja) * 2016-03-25 2017-07-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ロ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915391B2 (ja) * 2016-08-30 2021-08-04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テ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733593B2 (ja) * 2017-04-13 2020-08-05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テップモータ及び車両用指針計器
WO2020045485A1 (ja) * 2018-08-30 2020-03-05 パナソニック アプライアンシズ リフリジレーション デヴァイシズ シンガポール 圧縮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冷凍・冷蔵装置、並びに、圧縮機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030B1 (ko) * 1996-09-17 2006-09-28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디스크장치
US5952760A (en) * 1996-09-30 1999-09-14 Seiko Epson Corporation Brushless DC motor
JPH1173721A (ja) * 1997-08-22 1999-03-16 Samsung Electro Mech Co Ltd ディスクドライブ用ブラシレスdcモータ
KR100288928B1 (ko) * 1998-06-02 2001-05-02 구자홍 디스크드라이브장치
JP3502266B2 (ja) * 1998-06-18 2004-03-02 日本電産株式会社 記録媒体の駆動用モータ
JP2001023288A (ja) * 1999-07-12 2001-01-26 Tokyo Parts Ind Co Ltd スピンドルモータ
CN1306332A (zh) * 2000-01-18 2001-08-01 株式会社三协精机制作所 自动平衡装置
JP2001216718A (ja) * 2000-02-02 2001-08-10 Hitachi Ltd ディスク装置
JP2002359947A (ja) * 2001-05-31 2002-12-13 Sankyo Seiki Mfg Co Ltd 自動平衡装置
JP2003299302A (ja) * 2002-03-29 2003-10-17 Tokyo Parts Ind Co Ltd ロータ部の軸方向振動防止機構を備えたスピンドルモータ
CN1957516B (zh) * 2004-05-25 2010-10-13 Ntn株式会社 流体动力轴承设备和使用其的电动机
JP4792915B2 (ja) * 2005-10-21 2011-10-12 日本電産株式会社 ブラシレスモータ
JP4455542B2 (ja) * 2006-06-20 2010-04-21 日本電産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を備えた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このブラシレスモータを備えたディスク駆動装置
JP5141146B2 (ja) * 2007-08-31 2013-02-13 日本電産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および、このチャッキング装置を搭載した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2011141917A (ja) * 2010-01-06 2011-07-21 Nippon Densan Corp チャッキング装置、モータ、ディスク駆動装置、およびチャッキング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63447B (zh) 2014-04-02
JP2011172371A (ja) 2011-09-01
CN102163447A (zh) 2011-08-24
US20110202940A1 (en) 2011-08-18
CN103825419A (zh) 2014-05-28
CN103794225A (zh) 201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5212A (ko) 모터, 디스크 구동 장치 및 모터의 제조 방법
JP5141146B2 (ja) チャッキング装置、および、このチャッキング装置を搭載した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7059040A (ja) チャッキング装置およびこのチャッキング装置を搭載したブラシレスモータ、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7059040A5 (ko)
KR101130943B1 (ko) 턴테이블, 그것을 구비한 모터 및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와 턴테이블의 제조 방법
US8438588B2 (en) Turntable for a storage disk apparatus including ferromagnetic material and a resin member
JP2011222077A (ja) スピンドル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US8407731B2 (en) Motor with a chucking device having a turntable and a plurality of balls, and a disk drive apparatus including the motor
JP2008210421A (ja) チャッキング装置を備えたモータ、およびこのモータを搭載したディスク駆動装置
US20100192169A1 (en) Data storage medium support member, chucking device, brushless motor, and disc drive apparatus
US8341658B2 (en) Turntable for a storage disk drive apparatus, a motor using the turntable, a storage disk drive apparatus using the same
JP4035409B2 (ja) 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ターンテーブル並びにその製造方法
US8468554B2 (en) Spindle motor and disk drive apparatus
CN102280955B (zh) 电机及盘片驱动装置
KR100258127B1 (ko) 디스크형 정보 캐리어용 턴테이블
CN102290073B (zh) 夹持装置、电机、盘片驱动装置和夹持装置的制造方法
KR101107874B1 (ko) 척킹 장치, 모터 유닛 및 디스크 구동 장치
KR20060013365A (ko) 턴테이블 장치의 제조방법 및 턴테이블 장치
JP5578346B2 (ja) チャッキング装置、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並びに、チャッキング装置の製造方法
JP2014191833A (ja) スピンドル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2014203472A (ja) スピンドル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2014093109A (ja) チャッキング装置を備えた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このブラシレスモータを備えた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7080405A (ja) ディスク回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