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8060A - 홍삼농축액 및 천일염을 이용한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홍삼농축액 및 천일염을 이용한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8060A
KR20110088060A KR1020100007790A KR20100007790A KR20110088060A KR 20110088060 A KR20110088060 A KR 20110088060A KR 1020100007790 A KR1020100007790 A KR 1020100007790A KR 20100007790 A KR20100007790 A KR 20100007790A KR 20110088060 A KR20110088060 A KR 20110088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aver
red ginseng
parts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귀식
이창훈
이종걸
Original Assignee
이종걸
고려인삼과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걸, 고려인삼과학(주) filed Critical 이종걸
Priority to KR1020100007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8060A/ko
Publication of KR20110088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0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15Ancho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06B1/363Bay windows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농축액 및 천일염을 이용한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액상인 홍삼 농축액, 식용 유지 및 천일염을 균질화시키고 김에 분사하여 김과 홍삼의 맛과 향을 부가하는 조미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홍삼농축액 및 천일염을 이용한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Roasted-seasoned laver using red gingeng extract and sun-dried sal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홍삼농축액 및 천일염을 이용한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액상인 홍삼 농축액, 식용 유지 및 천일염을 균질화시키고 김에 분사하여 김과 홍삼의 맛과 향을 부가하는 조미김에 관한 것이다.
김은 홍조류 중의 김속(屬:Porphyra)을 총칭하며 세계적으로 약 50 여종이 알려져 있으나 우리나라에는 16여 종이 분포하고 있다. 염분에 대한 적응성이 강하여 해조류 중 가장 넓은 분포 구역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 전 연안의 암석, 나무 등 그 밖의 여러 다른 물체 위에 착생하고 또 다른 해조류에도 부착, 서식하기도 한다.
주요 양식종은 일반 김인 참김, 방사무늬김 과 돌김류인 잇바디돌김, 모무늬돌김 등이 있으며 가공방법에 따라 마른김, 재래김, 김밥용 김, 가시 파래김으로 나눌 수 있다.
김은 칼륨이 풍부하여 여분의 나트륨을 체외로 배출시켜 고혈압 및 동맥경화증을 예방 및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철분이 풍부하여 피로회복과 혈압안정, 빈혈 예방 및 개선효과가 있다. 하루 20g씩 1주일간 섭취한 후 헤모글로빈의 수치를 측정한 결과, 돌김이 일본김에 비해 2~3배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또한, 김을 조미김으로 제조하여 섭취하면, 식물성 섬유를 다량 함유하는 김과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식물성 스테롤인 참기름의 상승효과로 활성산소에 의한 혈관 충격이 감소하여 혈관이 강해진다. 또한, 변비 예방 및 항산화력으로 인한 면역력 향상의 효과가 있다.
또한, 소금은 체내에서 세포막의 전압 조절부터 혈압 조절 등 많은 신체기능에 관련되어 있으며, 특히 나트륨 이온은 체액의 삼투압과 혈장의 부피유지, 신경 흥분, 근육 수축 및 영양소의 이동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과다 섭취시 고혈압 등 성인병의 원인이 된다. 이런 소금은 주로 해수로부터 만들어지는데, 해수에는 인체에 유용한 성분인 칼륨, 칼슘, 마그네슘, 아연, 철, 인, 나트륨, 망간 등의 미네럴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체에 유해한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황산마그네슘 등도 포함하고 있다.
소금은 제재염(백염 또는 꽃소금), 기계염을 글루탐산나트륨이나 화학조미료로 피복시킨 맛소금, 세척염, 부산물염(회수염), 암염 등과 같이 가정용 식염을 비롯하여 공장용염 등으로 가공되고 있다. 그러나, 가공소금은 가공과정에서 미네럴이 소실되거나 남아 있더라도 체내에서 흡수되기 어려운 분자구조와 크기로 변형되어 인체에 유익한 미네럴을 섭취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천일염은 가공소금과 달리 인체에 유익한 미네럴을 포함하나, 보통 5mm 정도의 입자크기를 갖고 염도는 78~85%밖에 이르지 못하여 천일염을 분쇄하여도 약 0.8mm 정도로 분쇄하여 식염으로 이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효과가 있는 조미김에 건강에 좋은 홍삼 농축액 및 천일염을 더 추가하여 김과 홍삼맛이 어울어지면서 인체에 유익한 미네럴이 풍분한 건강에 좋은 천일염이 첨가된 홍삼 농축액 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선별한 김을 수분 8% 이하로 건조하는 화입 단계; 상기 건조김을 1차 구이하는 단계; 옥배유 30~40중량부, 들기름 1~8중량부, 참기름 1~3중량부, 천일염 1.0~2.0중량부, 홍삼 농축액 0.5~1.5중량부 및 유화제 0.01~0.03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 100중량부를 상기 1차 구이한 김 120~140 중량부에 균일하게 분사하는 단계; 및 상기 분사된 김을 2차 구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홍삼 농축액 및 천일염을 이용한 조미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혼합하는 단계는 정제수에 상기 홍삼 농축액 0.5~1.5중량부를 10~40brix로 희석하는 단계; 상기 희석 홍삼 농축액에 천일염 1.0~2.0중량부를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천일염이 용해된 희석 홍삼 농축액에 옥배유 30~40중량부, 들기름 1~8중량부, 참기름 1~3중량부 및 유화제 0.01~0.03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농축액 및 천일염을 이용한 조미김을 제공한다.
발명에 따른 조미김은 건강에 좋은 홍삼 농축액 및 천일염을 더 추가하여 김과 홍삼맛이 어울어지면서 인체에 유익한 미네럴이 풍부한 건강에 좋은 천일염이 첨가된 홍삼 농축액 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삼 농축액 및 천일염을 이용한 조미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삼 농축액 및 천일염을 이용한 조미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건조 김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건조 김은 바다에서 채취한 김 원초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고, 세척한 후 탈수하여 제조된다.
화입 단계에서 이물질과 불순물을 제거한 건조 김을 열풍 건조기 또는 전기 건조기를 이용하여 10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천천히 건조시켜, 건조 김의 수분함량을 8% 이하로 한다. 이때, 김의 형태가 뒤틀리거나 변형되어서는 안 된다.
화입 단계를 통해 수분함량이 8% 이하로 유지된 건조 김을 260~270℃에서 1차 구이를 한다.
홍삼 농축액은 수용성으로 일반적인 조미김에 도포되는 기름과 서로 혼합되지 않아 김에 흡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수용성인 홍삼 농축액과 지용성 기름을 혼합하기 위해 소량의 유화제를 이용하여 조미유를 제조한다.
홍삼 농축액은 일반적으로 홍삼 사포닌 농도가 70mg/g 정도인 것을 사용한다.
수용성인 홍삼농축액을 일정량의 정제수에 희석시켜 브릭스를 일정 수치 내로 내린 후 여기에 천일염을 녹여 홍삼농축액과 천일염의 혼합액을 생산한다. 천일염은 입자가 불규칙적이고 굵어서 조미김에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천일염을 희석된 홍삼 농축액에 용해시켜 균질화하여 이용한다. 천일염을 홍삼 농축액에 용해시키면 종래 조미김과 달리 소금이 일정 부분에 집중해서 존재하지 않고, 또한 유통·보관·섭취 시 식염이 떨어져 나가지 않으며 섭취시 조미김의 식염이 손에 묻지 않는 등, 항상 균일한 맛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 상세히 살펴보면, 정제수에 상기 홍삼 농축액 0.5~1.5중량부를 10~40brix로 희석한다. 희석된 홍삼 농축액에 천일염 1.0~2.0중량부를 용해시킨다. 이때, 이용된 정제수의 양은 홍삼 농축액의 1.5배 내지 3배가 적당하다.
천일염이 용해된 희석 홍삼 농축액에 옥배유 30~40중량부, 들기름 1~8중량부, 참기름 1~3중량부 및 유화제 0.01~0.03중량부를 혼합한다. 유화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성인 홍삼 농축액과 지용성인 기름을 균일하게 혼합하기 위해 이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홍삼 농축액과 기름을 혼합한 조미유를 1차 구이가 완료된 김에 균일하게 분무시킨다. 구체적으로, 조미유 100중량부를 1차 구이한 김 120~140 중량부에 균일하게 분사한다. 이와 같이 조미유가 김에 균일하게 분사되어, 조미김의 맛이 균일하게 된다.
조미유가 분무된 김을 통상의 김구이기에서 300℃에서 4~5초간 2차 구이를 한다. 이때 김을 2차 구이를 하는 동안, 조미유 제조시 사용된 정제수가 모두 증발하여 조미유가 분사된 김이 2차 구이가 완료된 후 바삭한 상태를 유지하며 최종 조미김에는 남아 있지 않는다.
2차 구이가 완료된 김은 소정크기로 절단하거나, 절단하지 않고 포장 용기에 방습제와 함께 포장된다.

Claims (3)

  1. 선별한 김을 수분 8% 이하로 건조하는 화입 단계;
    상기 건조김을 1차 구이하는 단계;
    옥배유 30~40중량부, 들기름 1~8중량부, 참기름 1~3중량부, 천일염 1.0~2.0중량부, 홍삼 농축액 0.5~1.5중량부 및 유화제 0.01~0.03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 100중량부를 상기 1차 구이한 김 120~140 중량부에 균일하게 분사하는 단계; 및
    상기 분사된 김을 2차 구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홍삼 농축액 및 천일염을 이용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하는 단계는
    정제수에 상기 홍삼 농축액 0.5~1.5중량부를 10~40brix로 희석하는 단계;
    상기 희석 홍삼 농축액에 천일염 1.0~2.0중량부를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천일염이 용해된 희석 홍삼 농축액에 옥배유 30~40중량부, 들기름 1~8중량부, 참기름 1~3중량부 및 유화제 0.01~0.03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홍삼 농축액 및 천일염을 이용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라 제조된, 홍삼 농축액 및 천일염을 이용한 조미김.
KR1020100007790A 2010-01-28 2010-01-28 홍삼농축액 및 천일염을 이용한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880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790A KR20110088060A (ko) 2010-01-28 2010-01-28 홍삼농축액 및 천일염을 이용한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790A KR20110088060A (ko) 2010-01-28 2010-01-28 홍삼농축액 및 천일염을 이용한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060A true KR20110088060A (ko) 2011-08-03

Family

ID=44926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790A KR20110088060A (ko) 2010-01-28 2010-01-28 홍삼농축액 및 천일염을 이용한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806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6040A (ko) * 2014-01-17 2015-07-27 주식회사 제이솔 김 조미용 마이크로 분쇄 소금 입자 함유 식용유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KR20150102279A (ko) * 2014-02-28 2015-09-07 김태진 아로니아가 함유된 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83724B1 (ko) * 2018-03-26 2019-05-2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온성 잇바디돌김 신품종
KR20190135785A (ko) * 2018-05-29 2019-12-09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홍삼맛 생들기름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6040A (ko) * 2014-01-17 2015-07-27 주식회사 제이솔 김 조미용 마이크로 분쇄 소금 입자 함유 식용유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KR20150102279A (ko) * 2014-02-28 2015-09-07 김태진 아로니아가 함유된 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83724B1 (ko) * 2018-03-26 2019-05-2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온성 잇바디돌김 신품종
KR20190135785A (ko) * 2018-05-29 2019-12-09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홍삼맛 생들기름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60992A (zh) 一种草木灰腌制咸鸭蛋及其制作方法
KR20110088060A (ko) 홍삼농축액 및 천일염을 이용한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
CN104783112A (zh) 一种纯天然鲜味剂及其制备方法
KR101011177B1 (ko) 뽕잎 장아찌 제조방법
KR102211024B1 (ko) 해파리 젓갈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해파리 젓갈
KR101178178B1 (ko) 홍게를 이용한 홍게간장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간장소스
KR101671382B1 (ko) 황칠나무 뿌리와 줄기 가지의 추출액으로 제조된 김칫소를 이용한 황칠성분이 첨가된 김치제조방법
KR20170126746A (ko) 국산 콩으로 제조된 저염 조미 된장
KR102029008B1 (ko) 홍삼향과 분말이 순차 첨가된 저염 기능성 맛김 제조방법
KR102037980B1 (ko) 동충하초를 이용한 조미 김과 그 제조방법
KR101413235B1 (ko) 육질과 기호성이 향상된 반건조 어류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반건조 어류
CN103815309B (zh) 即食蔬菜饼的加工方法
KR20120134893A (ko) 가공 무 및 그 제조 방법
KR101173889B1 (ko) 건조해산물 식해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건조해산물 식해
KR101185638B1 (ko) 물회 육수의 제조방법
KR20110135605A (ko) 청매실 절임 제조방법
KR20040096850A (ko) 함초를 이용한 간장과 된장의 제조방법
KR101702720B1 (ko) 양념 고기의 제조방법
US2018013999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mushroom kimchi, and the mushroom kimchi manufactured by the method
KR100733585B1 (ko) 함초 돌김장아찌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함초 돌김장아찌
CN106579118A (zh) 一种芝麻香秋葵全麦粉及其生产方法
CN102948829B (zh) 一种即食调味干扇贝柱的加工方法
KR101170227B1 (ko) 전복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101706954B1 (ko) 양념게장의 제조방법
KR101876417B1 (ko) 버섯이 포함된 김치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버섯이 포함된 김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