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6632A - 면 광원 장치 및 그것에 이용하는 도광체 - Google Patents

면 광원 장치 및 그것에 이용하는 도광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6632A
KR20110086632A KR1020117014162A KR20117014162A KR20110086632A KR 20110086632 A KR20110086632 A KR 20110086632A KR 1020117014162 A KR1020117014162 A KR 1020117014162A KR 20117014162 A KR20117014162 A KR 20117014162A KR 20110086632 A KR20110086632 A KR 20110086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light guide
source devic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4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마사 호조
겐타로 하야시
아츠시 사이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6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6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9Details of refra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68Arrangements of plural sources, e.g. multi-colour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일차 광원(2)으로부터 발생하는 광을 도광하고, 또한 광 입사 단부면(41), 광 출사면(43) 및 그 반대측의 이면(44)을 갖는 판형상의 도광체(4). 이면(44)에, 이면(44)과 광 입사 단부면(41)의 경계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제 1 렌즈열(44a)이 형성되어 있다. 광 출사면(43)의, 광 입사 단부면(41)에 근접하는 영역에, 광 출사면(43)과 광 입사 단부면(41)의 경계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제 2 렌즈열(43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영역에 있어서의 도광체(4)의 두께(T)에 대한, 광 출사면(43)과 광 입사 단부면(41)의 경계에 수직인 방향의 상기 영역의 치수(A)의 비(A/T)가 5 이상이며, 또한 제 2 렌즈열(43b)을 구성하는 렌즈면이 조면화되어 있다.

Description

면 광원 장치 및 그것에 이용하는 도광체{PLANAR LIGHT SOURCE DEVICE AND LIGHT GUIDE USE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에지 라이트 방식의 면 광원 장치, 및 그것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도광체에 관한 것으로, 해당 도광체는 예를 들어 휴대용 노트북 등의 모니터나 액정 텔레비전 등의 표시부로서 사용되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에 적합하다.
액정 표시 장치는 기본적으로 백라이트와 액정 표시 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백라이트로서는, 액정 표시 장치의 컴팩트화 관점에서 에지 라이트 방식의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에지 라이트 방식의 백라이트에 있어서는, 장방형 판형상의 도광체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면을 광 입사 단부면으로서 이용하여, 해당 광 입사 단부면을 따라 직관형 형광 램프 등의 선형상 또는 봉형상의 일차 광원을 배치하고, 해당 일차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광을 도광체의 광 입사 단부면으로부터 도광체 내부에 도입하여, 해당 도광체의 2개의 주면 중 한쪽인 광 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도록 하고 있다.
휴대 전화기나 휴대용 게임기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 혹은 각종 전기기기 또는 전자기기의 인디케이터 등의 비교적 작은 화면 치수의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서는, 특히 소형화와 함께 소비 전력의 저감이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소비 전력 저감을 위하여, 백라이트의 일차 광원으로서, 점상 광원인 발광 다이오드(LED)가 사용되고 있다. LED를 일차 광원으로서 사용한 백라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제 1995-270624 호 공보(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형상의 일차 광원을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LED를 도광체의 광 입사 단부면을 따라 일차원으로 배열하고 있다. 이러한 점상 일차 광원의 사용은, 최근에는 소형의 액정 표시 장치뿐만 아니라, 휴대용 노트북 등의 모니터나 액정 텔레비전 등의 표시부 외에 비교적 큰 액정 표시 장치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 공고 특허 제 1995-27137 호 공보(특허문헌 2)에서는, 광 출사면이 조면(粗面)인 도광체를 이용하여, 다수의 프리즘열을 배열한 프리즘 시트를, 그 프리즘면이 도광체측이 되도록 도광체의 광 출사면 상에 배치하여, 백라이트의 소비 전력을 줄이는 동시에, 휘도도 극력 희생되지 않게 않기 위하여 출사광의 분포를 좁게 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백라이트에서는, 저소비 전력으로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지만, 휘도 얼룩이 프리즘 시트를 통해 시인되기 쉬운 것이었다.
이러한 휘도 얼룩의 해소를 목적으로, 일본 공개 특허 제 2004-6326 호 공보(특허문헌 3)에는, 도광체가 형성하는 프리즘열의 표면을 조면화하거나, 프리즘열의 직선적 형상을 변형시킨 렌즈열을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또한, 일본 공개 특허 제 2006-171253 호 공보(특허문헌 4)나 일본 공개 특허 제 2006-261064 호 공보(특허문헌 5)에는, 도광체의 한쪽 면의 일부에 입사 단부면으로부터 광의 진행 방향을 거의 따르는 방향으로 복수의 홈을 형성함으로써 휘도 얼룩을 적게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 특허 제 1995-270624 호 공보 일본 공고 특허 제 1995-27137 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제 2004-6326 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제 2006-171253 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제 2006-261064 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3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도광체를 사용한 면 광원 장치에 있어서도, 면 광원 장치의 크기, 배치하는 LED 등의 점상 광원의 개수나 점상 광원의 배치 간격에 따라서는, 각 점상 광원으로부터 출사한 광끼리 겹치는 부분에서 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인한 점상 광원 전방 부분에서의 암부(暗部)의 발생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4나 특허문헌 5에서는, 홈형상의 최적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휘도 얼룩의 근본적인 해소를 달성하지 못하였다. 특히, 이들 특허문헌에서는, 다수의 프리즘열을 배열한 프리즘 시트를 도광체의 광 출사면 상에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면 광원 장치(특히, 프리즘 시트의 프리즘면이 도광체측이 되도록 도광체의 광 출사면 상에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고휘도의 면 광원 장치)에 있어서, 휘도 얼룩, 특히 LED 등의 점상 광원에 대응하여 출현하는 스폿 형상의 고휘도 부분[핫 스폿(HotSpot)]의 출현에 기초하는 휘도 얼룩을 해소하는 것에 대한 시사는 없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면 광원 장치의 점상의 일차 광원의 사용 등에 수반되는, 일차 광원으로부터 도광체 내로의 도입광의 분포 불균일에 기인하는 면 광원 장치의 휘도 얼룩을 해소하여, 고품위의 면 광원 장치의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면 광원 장치용 도광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상과 같은 면 광원 장치용 도광체를 사용하는 면 광원 장치, 나아가서는 해당 면 광원 장치를 이용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과제 중 어느 하나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일차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광을 도광하고, 또한 상기 일차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광이 입사하는 광 입사 단부면, 도광되는 광이 출사하는 광 출사면, 및 해당 광 출사면의 반대측의 이면을 갖는 판형상의 도광체로서, 상기 광 입사 단부면에 근접하여, 상기 도광체를 이용한 면 광원 장치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표시 장치의 유효한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유효 표시 영역의 밖이 되는 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가 형성되는 면 광원 장치용 도광체에 있어서, 상기 광 출사면 및 이면 중 한쪽 면에, 해당 한쪽 면과 상기 광 입사 단부면의 경계에 수직인 방향을 대략 따라 연장되고, 또한 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제 1 렌즈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기 광 출사면 및 이면 중 다른쪽 면에는, 상기 다른쪽 면과 상기 광 입사 단부면의 경계에 수직인 방향을 대략 따라 연장되고, 또한 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제 2 렌즈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도광체의 두께(T)에 대한, 상기 다른쪽 면과 상기 광 입사 단부면의 경계에 수직인 방향의 상기 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의 치수(A)의 비(A/T)가 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광원 장치용 도광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렌즈열은, 상기 다른쪽 면과 상기 광 입사 단부면의 경계에 수직인 방향의 치수가 상기 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의 치수(A)의 50%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렌즈열을 구성하는 렌즈면은 조면화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2 렌즈열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평균 경사각이 0.1° 내지 8°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렌즈열이 형성된 영역은 상기 다른쪽 면의 일부이며, 상기 제 2 렌즈열은, 부분적으로, 상기 다른쪽 면의 상기 제 2 렌즈열이 형성된 영역 이외의 영역보다 상기 한쪽 면의 가까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렌즈열이 형성된 영역은 상기 다른쪽 면의 일부이며, 상기 제 2 렌즈열은, 전체가, 상기 다른쪽 면의 상기 제 2 렌즈열이 형성된 영역 이외의 영역보다 상기 한쪽 면의 가까이에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과제 중 어느 하나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면 광원 장치용 도광체와, 해당 도광체의 상기 광 입사 단부면에 인접해서 배치된 상기 일차 광원과, 상기 도광체의 상기 광 출사면에 인접해서 배치된 광 편향 소자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면 광원 장치로서, 상기 면 광원 장치용 도광체의 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는 상기 면 광원 장치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표시 장치의 유효한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유효 표시 영역의 밖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광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광 편향 소자는 상기 도광체의 광 출사면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입광면과 그 반대측의 출광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입광면에는 상기 광 입사 단부면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프리즘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과제 중 어느 하나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면 광원 장치와, 해당 면 광원 장치로부터 출광하는 광이 도래하도록 배치된 표시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면 광원 장치용 도광체의 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는 상기 표시 장치의 유효한 표시 영역의 밖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면 광원 장치용 도광체에 따르면, 휘도 얼룩을 해소하여, 고품위의 면 광원 장치, 나아가서는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면 광원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모식적 부분 투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면 광원 장치의 모식적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면 광원 장치에 있어서의 광 편향 소자에 의한 광 편향의 모양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4는 도 1의 면 광원 장치에 있어서의 제 1 렌즈열의 단면도,
도 5는 실시예에서 제작된 면 광원 장치용 도광체의 모식적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면 광원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모식적 부분 분해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면 광원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모식적 부분 투시 사시도이며, 도 2는 그 모식적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면 광원 장치는, Y 방향으로 적당한 거리를 두고 배치된 점상의 일차 광원으로서의 복수의 LED(2)와, 해당 LED로부터 발생하는 광을 도광하는 판형상의 도광체(4)와, 광 편향 소자(6)와, 광 반사 소자(8)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LED(2)는, 그들로부터 발생하는 광의 최대 강도 광의 방향이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ED(2)로부터 발생하는 광의 최대 강도 광의 방향은, 예를 들어 X 방향으로 할 수 있다.
도광체(4)는 XY 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장방형 판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광체(4)는 4개의 측단면을 가지고 있고, 그 중의 YZ 면과 거의 평행한 한 쌍의 측단면 중 한쪽이 광 입사 단부면(41)으로 되고, 해당 광 입사 단부면과 대향하도록 LED(2)가 인접 배치되어 있다. 도광체(4)의 YZ 면과 거의 평행한 한 쌍의 측단면 중 다른쪽 측단면은 광 입사 단부면과 반대측의 반대 단부면(42)으로 되어 있다. 도광체(4)의 광 입사 단부면(41)에 대략 직교하는 2개의 주면은 모두 Z 방향과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한쪽 주면인 상면이 광 출사면(43)으로 되어 있다. 해당 광 출사면(43)에는, 복수의 제 2 렌즈열(43b)이 형성된 영역이 형성된다. 제 2 렌즈열(43b)은, LED(2)로부터 발생하여 도광체(4)로 도입된 광의 최대 강도 광의, 광 출사면(43)을 따른 면 내에서의 방향[즉, 광 출사면(43)을 따른 면 내에서의, 도광체 광 입사 단부면(41)에 입사하여 도광체(4) 내에 도입된 광의 지향성의 방향]인 X 방향을 대략 따라 연장되고, 또한 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즉, 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열된 제 2 렌즈열(43b)의 각각은, 광 출사면(43)과 광 입사 단부면(41)의 경계에 수직인 방향, 즉 X 방향을 대략 따라 연장되어 있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광 출사면(43)과 광 입사 단부면(41)의 경계"에서의 "광 출사면(43)"은, 조면(43a) 및 렌즈열(43b)의 형상을 제외한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고, 구체적으로는 XY 면과 평행하다. 즉, 여기서 말하는 "광 출사면(43)과 광 입사 단부면(41)의 경계"는 대략 Y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 2 렌즈열(43b)은, 제 2 렌즈열(43b)이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의 형상을, LED(2)의 배치 간격에 따라 원호형상, V자 형상, 선단 R의 V자 형상, 사인 곡선, 포물선 형상 등의 원하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제 2 렌즈열(43b)은, 거기를 통과 또는 반사하는 광선을 규칙적으로 방향 제어하는 기능이 있으며, 점상의 일차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빈틈없이 확산시키는 기능이 있다. 그 때문에, 단면 형상은 다수의 각도 성분을 갖는 원호형상, 또는 선단 R의 V자 형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면 내에서, 제 2 렌즈열(43b)의 형상으로서 원호형상 또는 선단 R의 V자 형상을 이용한 경우, 그 곡률 반경은, 예를 들어 5㎛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이다. 또한, 제 2 렌즈열(43b)의 배열 피치는, 예를 들어 1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이며, 상기 곡률 반경과 조합하여 원하는 형상을 얻을 수 있으면 된다.
또한, 어느 형상의 경우라도, 제 2 렌즈열(43b)의 표면, 즉 해당 렌즈열을 구성하는 렌즈면(이하, 렌즈열의 "경사면"이라고도 함)이 조면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면은 광을 랜덤하게 확산시키는 기능이 있다. 렌즈열의 경사면을 조면화함으로써, 양자의 기능이 믹스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휘도 얼룩의 해소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렌즈열 경사면의 조면화 정도에 따라 규칙적 방향 제어 기능에 의한 효과와 랜덤 확산 기능에 의한 효과의 비율이 변화되지만, 경사면의 조면화의 정도는, 경사면을 기준면으로 한 후술하는 평균 경사각[상기 평균 경사각은 제 2 렌즈열(43b)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측정할 수 있음]이 0.1° 내지 8°가 바람직하고, 0.5° 내지 3°가 보다 바람직하다. 평균 경사각이 0.1° 이상이면 조면에 의한 확산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평균 경사각이 8° 이하이면 렌즈열의 규칙적 방향 제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평균 경사각이 0.5° 이상이면 조면에 의한 확산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고, 평균 경사각이 3° 이하이면 렌즈열의 규칙적 방향 제어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광 출사면(43)에 있어서 제 2 렌즈열(43b)이 형성되는 영역은 광 입사 단부면에 근접하는 영역이다. 이 영역은, 광 입사 단부면(41)에 인접하는 광 출사면(43)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띠형상의 영역으로 할 수 있다. 이 영역은, 후술하는 유효 표시 영역(F)의 밖에 있는 것, 즉 광 입사 단부면(41)에 인접하는 광 출사면(43)의 단부 가장자리[다시 말해, 상기 광 출사면(43)과 광 입사 단부면(41)의 경계]와 유효 표시 영역(F) 사이에 끼워진 부분(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렌즈열(43b)이 유효 표시 영역(F) 내로 튀어나와 형성되면, 제 2 렌즈열(43b)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의 경계선이 유효 표시 영역(F) 내로 나가버려, 휘도 얼룩이 보이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는, 이상과 같이 광 출사면(43)에 대한 부분을 가리킬 뿐만 아니라, 도광체(4)에 대한 부분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제 2 렌즈열(43b)이 형성된 띠형상 영역의 폭[즉, 광 출사면(43)과 광 입사 단부면(41)의 경계에 수직인 방향(X 방향)의 치수]은, 상기의 작용 효과를 충분히 얻어지는 크기, 예를 들어 도광체(4)의 두께의 2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렌즈열(43b)이 형성되는 영역이 지나치게 작으면, 상기의 작용 효과를 충분히 얻어지지 않아, 휘도 얼룩이 해소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의 폭[즉, 광 출사면(43)과 광 입사 단부면(41)의 경계에 수직인 방향(X 방향)의 치수)(A)은 해당 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도광체(4)의 두께(T)에 대한 비(A/T)가 5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도광체(4)의 두께(T)는, 광 출사면(43)의 제 2 렌즈열(43b)의 정상부와 이면[후술하는 제 1 렌즈열(44a)이 상기 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렌즈열(44a)의 정상부] 사이의 거리(Z 방향 치수)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상기 비(A/T)가 지나치게 작으면, 상기의 작용 효과를 충분히 얻어지지 않아, 휘도 얼룩이 해소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비(A/T)를 5 이상으로 함으로써, 특히 LED(2) 등의 점상 광원에 대응해서 출현하는 핫 스폿의 출현에 기초하는 휘도 얼룩을 양호하게 해소할 수 있다.
유효 표시 영역(F)이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면 광원 장치의 발광면 상에 투과형 액정 표시 소자 등의 표시 소자(11)를 배치하여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를 구성한 경우에, 면 광원 장치에 있어서 실제로 표시 장치의 유효 표시를 위한 조명에 이용되는 광이 발생하는 영역(즉, 표시 장치의 유효한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면 광원 장치의 영역)이다. 상기 유효 표시 영역(F)은, 예를 들어 도광체(4)의 영역에 대하여, 특히 광 출사면(43) 내의 영역에 대해서도 말할 수 있다. 상기 유효 표시 영역(F)은 면 광원 장치의 발광 영역에 대하여 대각으로 1㎜ 내지 5㎜ 정도 작은 영역이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도광체 광 출사면(43)에 있어서, 도광체(4)의 광 입사 단부면(41)에 인접하는 단부 가장자리에서 유효 표시 영역(F)까지의 거리[상기 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의 폭(A)]는 면 광원 장치의 형상 및 사이즈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2㎜ 내지 10㎜ 정도이다.
광 출사면(43)에 있어서 제 2 렌즈열(43b)이 형성되는 영역은 상기 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의 폭 방향에 관하여 부분적이어도 좋다. 단, 그 폭(X 방향의 치수)(B)은, 상기 제 2 렌즈열(43b)의 작용 효과를 한층 높이기 위해서는, 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의 폭(A)의 1/2 이상(즉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 출사면(43)의 유효 표시 영역(F)에 상당하는 영역은 광 출사 제어 기능 구조로서의 미세 요철 구조를 갖는 조면(43a)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면(43a)으로 이루어지는 영역으로부터는, 광 출사면(43)의 법선 방향(Z 방향) 및 광 입사 단부면(41)과 직교하는 X 방향의 쌍방을 포함하는 XZ 면 내의 분포에 있어서 지향성이 있는 광을 출사시킨다. 상기 출사광 분포의 피크 방향이 광 출사면과 이루는 각도는 예를 들어 10° 내지 40°이며, 출사광 분포의 반값 전폭은 예를 들어 10° 내지 40°이다.
도광체(4)의 광 출사면(43)에 형성되는 광 출사 제어 기능 구조로서의 미세 요철 구조를 갖는 조면(43a)의 평균 경사각(θa)은, ISO 4287/1-1984에 따라서, 촉침식 표면 거칠기 측정계를 이용하여 조면 형상을 측정하고, 측정 방향의 좌표를 x로 하여, 얻어진 경사 함수 f(x)로부터 다음의 (1)식 및 (2)식
Δa=(1/L)∫0 L|(d/dx)f(x)|dx ···(1)
θa=tan-1(Δa) ···(2)
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여기서, L은 측정 길이이며, Δa는 평균 경사각(θa)의 정접이다.
도광체(4)의 광 출사면(43)과 반대측의 주면(이면)(44)에는, 광 출사면(43)으로부터의 출사광의 LED(2)의 배열 방향과 평행한 YZ 면 내에서의 지향성을 제어하기 위하여, 광 입사 단부면(41)을 가로지르는 방향, 예를 들어 광 입사 단부면(41)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즉, 광 출사면(43)을 따른 면 내에서의 도광체(4)에 입사한 광의 지향성 방향인 X 방향]을 대략 따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다수의 제 1 렌즈열(44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열된 제 1 렌즈열(44a)의 각각은, 이면(44)과 광 입사 단부면(41)의 경계에 수직인 방향, 즉 X 방향을 거의 따라 연장되어 있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이면(44)과 광 입사 단부면(41)의 경계"에서의 "이면(44)"은, 렌즈열(44a)의 형상을 제외한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며, 구체적으로는 XY 면과 평행하다. 즉, 여기서 말하는 "이면(44)과 광 입사 단부면(41)의 경계"는 대략 Y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 1 렌즈열(44a)로서는, 선단부가 R 형상인 프리즘열 또는 렌티큘러 렌즈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렌즈열(44a)이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의 형상에 있어서, 제 1 렌즈열의 어스펙트비, 즉 제 1 렌즈열(44a)의 배열 피치(P1)와 높이(H1)의 비(P1/H1)가 7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이며, 단면 형상이 원호이거나 혹은 선단부가 곡선인 제 1 렌즈열(44a)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는, 제 1 렌즈열(44a)의 어스펙트비를 이 범위로 함으로써, 광 출사면(43)으로부터의 출사광을 충분히 집광시킬 수 있고, 또한 렌즈열(44a)의 파손이나 광 반사 소자(8)와의 마찰에 기인하는 흰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제 1 렌즈열(44a)의 형상을 이 범위 내로 함으로써, 출사광 분포에 있어서의 피크광 방향을 포함하여 XZ 면에 수직인 면에 있어서 출사광 분포의 반값 전폭이 30° 내지 65°인 집광된 출사광을 출사시킬 수 있어, 면 광원 장치로서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렌즈열(44a)의 배열 피치(P1)는 예를 들어 1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이다. 또한, 제 1 렌즈열(44a)의 선단부의 단면 형상은 곡률 반경(R)이 25㎛ 내지 300㎛인 원호형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특별히 원호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것에 근사할 수 있는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제 1 렌즈열(44a)의 단면 형상은 선단부 이외의 부분도 곡선 형상으로 되어도 좋고, 예를 들어 사인 곡선 등에 의해 나타내지는 물결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제 1 렌즈열(44a)의 단면 형상은 복수의 원호형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져도 좋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곡률 반경(R)이 25㎛ 내지 300㎛인 원호형상으로 내접하도록 복수의 원호형상을 조합시킨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복수의 원호형상을 조합시켜서 각각의 제 1 렌즈열(44a)을 구성하는 경우, 모든 원호형상이 완전하게 곡률 반경(R)이 25㎛ 내지 300㎛인 원호형상으로 내접하고 있을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제 1 렌즈열(44a)의 정상부에 위치하는 원호형상이, 곡률 반경(R)이 25㎛ 내지 300㎛인 원호형상으로부터 약간 돌출되는 형상이어도 좋다. 본원에 있어서는 이러한 형상에 대해서도, 곡률 반경(R)이 25㎛ 내지 300㎛인 원호형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광체(4)의 이면의 제 1 렌즈열(44a)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미세한 요철 구조가 복수 형성되어도 좋다. 도 4에는 제 1 렌즈열(44a)의 단면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이 미세한 요철 구조의 각각은, 광 출사면에 수직인 면에서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 최대 어스펙트비, 즉 장변과 높이(깊이)의 비가 7 내지 200이 되는 요철 형상으로 된다. 이러한 형상의 미세한 요철 구조를 제 1 렌즈열(44a)의 표면에 다수 형성함으로써, 광 출사면(43)을 평면 형상으로 한 경우에도, 광 출사면(43)의 법선 방향(Z 방향) 및 광 입사 단부면(41)과 직교하는 X 방향의 쌍방을 포함하는 XZ 면 내의 분포에 있어서 지향성이 있는 광을 출사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미세한 요철 구조는 이면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데, 반드시 전체 면에 걸쳐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도광체의 용도 등에 따라 바람직한 범위로 미세한 요철 구조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도광체(4)의 광 출사 기능 구조로서는, 상기와 같은 광 출사면(43) 및/또는 이면(44)에 형성한 미세 요철 구조와 병용하여, 도광체(4)의 내부에 광 확산성 미립자를 혼입 분산함으로써 형성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광체(4)로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전체적으로 똑같은 두께[광 출사면(43)의 조면의 미세 요철 형상 및 렌즈열 형상 및 이면(44)의 렌즈열 형상 등을 무시한 경우의 두께]의 판형상의 것 이외에, X 방향에 관하여 광 입사 단부면(41)으로부터 반대 단부면(42) 쪽으로 서서히 두께가 작아지는 쐐기 형상의 것 등의, 다양한 단면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광 출사면(43)의 구조와 이면(44)의 구조를 반대로 해도 좋다.
도광체(4)의 두께는 예를 들어 0.3㎜ 내지 10㎜이다.
광 편향 소자(6)는 도광체(4)의 광 출사면(43) 상에 배치되어 있다. 광 편향 소자(6)의 2개의 주면은 각각 전체적으로 XY 면과 거의 평행하게 위치한다. 2개의 주면 중 한쪽[도광체의 광 출사면(43)과 대향하는 주면]은 입광면(61)으로 되어 있고, 다른쪽이 출광면(62)으로 되어 있다. 출광면(62)은 도광체(4)의 광 출사면(43)과 평행한 평탄면 또는 조면으로 되어 있다. 입광면(61)은 다수의 프리즘열(61a)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프리즘열 형성면으로 되어 있다.
입광면(61)의 프리즘열(61a)은 LED(2)의 배열 방향과 대략 평행한 Y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즉, 입광면(61)에는 도광체 광 입사 단부면(41)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프리즘열(61a)이 형성되어 있다]. 프리즘열(61a)의 배열 피치(P3)는 10㎛ 내지 10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의 범위이다. 또한, 프리즘열(61a)의 꼭지각은 30° 내지 8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의 범위이다.
광 편향 소자(6)에 있어서는, 원하는 형상의 프리즘열을 정확하게 제작하여 안정적인 광학 성능을 얻는 동시에, 조립 작업시나 광원 장치로서의 사용시에 있어서의 프리즘열 정상부의 마모나 변형을 억지할 목적으로, 프리즘열의 정상부에 정상부 평탄부 혹은 정상부 곡면부를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정상부 평탄부 혹은 정상부 곡면부의 폭은, 3㎛ 이하로 하는 것이 면 광원 장치로서의 휘도의 저하나 스티킹에 의한 휘도의 불균일 패턴의 발생을 억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정상부 평탄부 혹은 정상부 곡면부의 폭은 2㎛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광 편향 소자(6)의 두께는 예를 들어 30㎛ 내지 350㎛이다.
도 3에, 광 편향 소자(6)에 의한 광 편향의 모양을 도시한다. 상기 도면은 XZ 면 내에서의 도광체(4)로부터의 피크 출사광(출사광 분포의 피크에 대응하는 광)의 진행 방향을 도시하는 것이다. 도광체(4)의 광 출사면(43)의 특히 조면(43a)으로 이루어지는 영역으로부터 경사지게 출사되는 광은, 프리즘열(61a)의 제 1 면에 입사하고 제 2 면에 의해 전반사되어, 도광체(4)로부터의 출사광의 지향성을 거의 유지한 채 출광면(62)의 대략 법선 방향으로 출사한다. 이로 인해, XZ 면 내에서는, 출광면(62)의 법선 방향에 있어서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다.
광 편향 소자(6)는, 도광체(4)로부터의 출사광을 목적하는 방향으로 편향(변각)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지향성이 높은 광을 출사하는 도광체(4)와 조합시키는 경우에는, 적어도 한쪽 면에 다수의 렌즈 단위가 병렬로 형성된 렌즈면을 갖는 렌즈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렌즈 시트에 형성되는 렌즈 형상은, 목적에 따라서 다양한 것이 사용되며, 예를 들면, 프리즘 형상, 렌티큘러 렌즈 형상, 플라이 아이 렌즈 형상, 물결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단면이 대략 삼각형상인 다수의 프리즘열이 병렬로 배치된 프리즘 시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단, 프리즘열을 구성하는 2개의 프리즘면의 적어도 한쪽은, 단면이 복수의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것 또는 1개 이상의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것 혹은 1개 이상의 직선과 1개 이상의 곡선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다.
도광체(4) 및 광 편향 소자(6)는 광 투과율이 높은 합성 수지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합성 수지로는, 메타크릴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 수지를 예시할 수 있다. 특히, 메타크릴 수지가, 광 투과율의 높이, 내열성, 역학적 특성, 성형 가공성이 우수하여 최적이다. 이러한 메타크릴 수지로는, 메타크릴산 메틸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이며, 메타크릴산 메틸이 8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광체(4) 및 광 편광 소자(6)의 조면의 표면 구조나 프리즘열 등의 표면 구조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투명 합성 수지판을 원하는 표면 구조를 갖는 금형 부재를 이용하여 열 프레스함으로써 형성해도 좋고, 스크린 인쇄, 압출 성형이나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성형과 동시에 형상 부여해도 좋다. 또한, 열 혹은 광 경화성 수지 등을 이용하여 구조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폴리메타크릴이미드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필름 혹은 시트 등의 투명 기재 상에, 활성 에너지 선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조면 구조 또는 렌즈열 배열 구조를 표면에 형성해도 좋고, 이러한 시트를 접착, 융착 등의 방법에 의해 별개의 투명 기재 상에 접합 일체화시켜도 좋다. 활성 에너지 선경화형 수지로서는, 다관능(메타)아크릴 화합물, 비닐 화합물,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류, 아릴 화합물, (메타)아크릴산의 금속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 반사 소자(8)로서는, 예를 들어 표면에 금속 증착 반사층을 갖는 플라스틱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광 반사 소자(8)로서 반사 시트 대신에, 도광체(4)의 이면(44)에 금속 증착 등에 의해 형성된 광 반사층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광체(4)의 광 입사 단부면으로서 이용되는 단부면 이외의 단부면에도 반사 부재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ED(2)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적은 손실로 도광체(4)의 광 입사 단부면(41)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리플렉터(10)가 마련되어 있다. 해당 리플렉터(10)로서는, 예를 들어 표면에 금속 증착 반사층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플렉터(10)는 광 반사 소자(8)의 단부 가장자리부 외면으로부터 LED(2)의 외측을 거쳐 광 편광 소자(6)의 출광면 단부 가장자리부로 감겨져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광원 리플렉터(10)는, 광 편광 소자(6)를 피하여 광 반사 소자(8)의 단부 가장자리부 외면으로부터 LED(2)의 외측을 거쳐 도광체(4)의 광 출사면 단부 가장자리부로 감겨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LED 등의 점상 일차 광원을 복수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점상 광원은 그들로부터 발생하는 광의 최대 강도 광의 방향이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LED(2), 도광체(4), 광 편향 소자(6) 및 광 반사 소자(8)로 이루어지는 면 광원 장치의 발광면[광 편광 소자(6)의 출광면(62)] 상에,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여 투과형 액정 표시 소자 등의 표시 소자(11)를 배치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가 구성된다. 도 1에 있어서, 도면부호(F)는 면 광원 장치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표시 소자(11)의 유효 표시의 영역에 대응하는 해당 면 광원 장치의 상기 유효 표시 영역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플렉터(10)는, 유효 표시 영역(F) 이외의 영역의 광 편향 소자(6), 도광체(4) 및 광 반사 소자(8)의 적층체의 단면부 및 LED(2)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적층체의 단면부로부터 출사하는 광 및 LED(2)의 케이스로부터 새어나가는 광을 XY 면 내에서 양호하게 확산 및 반사시켜 도광체(4)로 재입사시킬 수 있고, 도광체 광 출사면(43)의 넓은 영역으로 필요한 강도의 광을 안내할 수 있어, 휘도의 균제도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는, 도 1 및 도 3에서의 상방으로부터 액정 표시 소자 등의 표시 소자(11)를 통해 관찰자에 의해 관찰된다. 충분히 콜리메이트된 좁은 분포의 광을 면 광원 장치로부터 액정 표시 소자에 입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액정 표시 소자에서의 계조 반전 등이 없이 밝기, 색상의 균일성이 양호한 화상 표시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원하는 방향으로 집중된 광 조사를 얻을 수 있어, 이 방향의 조명에 대한 일차 광원의 발광 광량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광 편향 소자(6)의 출광면(62) 상에, 광 확산 소자를 인접 배치할 수 있다. 이 광 확산 소자에 의해, 화상 표시의 품위 저하의 원인이 되는 번쩍임이나 휘도 얼룩 등을 억지하여, 화상 표시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광 확산 소자는, 광 확산 재료를 혼입한 시트 형상의 것으로 할 수 있고, 광 편향 소자(6)의 출광면(62) 측에서 해당 광 편향 소자(6)에 접합 등에 의해 일체화시켜도 좋고, 광 편향 소자(6) 상에 탑재해도 좋다. 광 편향 소자(6) 상에 탑재하는 경우에는, 광 편향 소자(6)와의 스티킹 방지를 위하여, 광 확산 소자의 광 편향 소자(6)와 대향하는 측의 면(광 입사측의 면)에 요철 구조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 확산 소자의 광 출사측 면에도, 그 위에 배치되는 액정 표시 소자와의 사이에서의 스티킹 방지를 위하여, 요철 구조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요철 구조는, 10점 평균 거칠기가 바람직하게는 0.7°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이상이 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면 광원 장치용 도광체의 제조 방법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 출사면(43) 및 이면(44)을 각각 형성하기 위한 형상 전사면을 갖는 성형용 금형 부재를 이용하여 투광성 수지를 성형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의 면 광원 장치용 도광체(4)를 제조한다. 성형용 금형 부재를 제작함에 있어서, 금형 소재의 소요 영역을 블라스트 처리에 의해 조면화하여 상기 형상 전사면을 형성한다. 블라스트 노즐과 금형 소재 사이의 거리는 블라스트 처리의 간편함의 관점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라스트 입자로서는, 유리 비즈와 같은 구형 형상의 것이나 알루미나 입자와 같은 다각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작된 성형용 금형 부재를 사용하여 투광성 수지(조성물)를 성형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도광체가 제조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면 광원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모식적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 2에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형태와는, 도광체(4)의 광 출사면(43)에 형성된 제 2 렌즈열(43b)의 Z 방향 위치만 다르다. 즉, 도 1 내지 도 4의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렌즈열(43b)의 정상부를 포함하는 렌즈면, 즉 경사면은, 광 출사면(43)의 제 2 렌즈열(43b)이 형성된 영역 이외의 영역[즉, 조면(43a)으로 이루어지는 영역]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도 6의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렌즈열(43b)의 정상부를 포함하는 렌즈면, 즉 경사면의 전체가, 광 출사면(43)의 조면(43a)으로 이루어지는 영역보다 하방에[즉, 이면(44)의 가까이에] 위치한다.
제 2 렌즈열(43b)의 높이를 H2라고 하면, Z 방향에 관하여, 제 2 렌즈열(43b)의 표면 중, 조면(43a)에 가장 가까운 부분과 조면(43a)의 거리는, 예를 들어 0.1㎛ 내지 (H2+10)㎛,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H2+3)㎛로 할 수 있다. 이 거리, 즉 제 2 렌즈열(43b)의 정상부와 광 출사면(43)의 조면(43a)으로 이루어지는 영역의 Z 방향 위치의 차(즉, 높이의 차)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1㎛ 내지 30㎛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광체(4)의 광 출사면(43)에 있어서, 제 2 렌즈열(43b)이 형성된 영역과 조면(43a)으로 이루어지는 영역의 경계 영역의 Z 방향 기준의 면경사의 방향은 도 1 내지 도 4의 실시형태의 것과 반대이다. 즉, 도 1 내지 도 4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경계 영역의 면은 Z 방향(광 출사면 법선 방향)과 조면(43a)으로 이루어지는 영역 사이를 향하고 있으며, 이에 대하여, 도 6의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경계 영역의 면은 Z 방향(광 출사면 법선 방향)과 제 2 렌즈열(43b)이 형성된 영역 사이를 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는, 도 1 내지 도 4의 실시형태에 비해, 상기 경계 영역으로부터의 도광의 누설이 적어, 이 경계 영역에서 유래하는 휘도 얼룩의 발생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면 광원 장치용 도광체(4)도, 광 출사면(43) 및 이면(44)을 각각 형성하기 위한 형상 전사면을 갖는 성형용 형 부재를 이용하여 투광성 수지를 성형하는 것을 포함해서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성형용 금형 부재를 제작함에 있어서, 제 2 렌즈열(43b)의 형상 전사부의 형성이 용이하다. 즉, 성형용 금형 부재에 있어서는, 제 2 렌즈열(43b)의 형상 전사부 전체가 조면(43a)의 형상 전사부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며, 따라서 제 2 렌즈열(43b)의 형상 전사부를 셰이퍼 등의 절삭 가공 장치를 이용한 절삭날의 왕복 이동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광체(4)의 광 출사면(43)에 형성된 제 2 렌즈열(43b)의 Z 방향 위치가, 도 1 내지 도 4의 실시형태의 것과 도 6의 실시형태의 것 사이에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즉, 제 2 렌즈열(43b)이, 부분적으로, 해당 제 2 렌즈열이 형성된 영역 이외의 영역인 조면(43a)으로 이루어지는 영역보다 이면(44)의 가까이에 위치하는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광체(4)의 광 출사면(43)에 있어서, 제 2 렌즈열(43b)이 형성된 영역과 조면(43a)으로 이루어지는 영역의 경계 영역은, 상기의 Z 방향 기준의 면 경사 방향에 대해서는, 일부분이 도 1 내지 도 4의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지만, 다른 부분이 도 6의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4의 실시형태에 비해, 상기 경계 영역으로부터의 도광의 누설이 적어, 이 경계 영역에서 유래하는 휘도 얼룩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가공면이 경면 처리된 유효 면적 195㎜(X 방향 치수)×307㎜(Y 방향 치수), 두께 30㎜인 NiP 도금 블록의 가공면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제 2 렌즈열(43b)을 전사 형성하기 위한 전사 영역이 형성되도록 절삭 가공을 실시하였다. 제 2 렌즈열(43b)은, 제 2 렌즈열(43b)이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 폭 50㎛(Y 방향 치수), 높이 11㎛(Z 방향 치수), 곡률 반경 34㎛의 원호형상으로 하였다. 블록의 전사 영역은, 이에 대응하는 반전 형상을 갖는다. 절삭 가공 길이(X 방향 치수)는 유효 면적 내에서 5㎜로 하여, 도광체(4)의 유효 표시 영역(F)에 절삭 가공 부분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였다.
다음에, 얻어진 블록의 가공면에, 유리 비즈(포터스 발로티니사 제품 J220)를, 평균 경사각(θa)이 광 입사 단부면에 가까운 측에서 먼 측으로 0.9°에서 3.0°의 그라데이션이 되도록 블라스트하여, 제 1 전사면 형성 금형으로 하였다. 블라스트 처리의 조건은 이하와 같이 하였다. 유리 비즈는, 40g/분의 양을 320㎜의 높이에서, 광 입사 단부면에 가까운 측에서 먼 측으로 2.5㎜ 피치로 띠형상으로 복수회에 걸쳐 분사하고, 각각의 띠에 대해 속도 및 압력을 각각 20m/분에서 4m/분 및 0.2MPa에서 0.4MPa로 변화시킴으로써, 평균 경사각(θa)의 그라데이션을 형성하였다.
가공면이 경면 처리된 유효 면적 195㎜(X 방향 치수)×307㎜(Y 방향 치수), 두께 10㎜인 다른 NiP 도금 블록의 가공면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제 1 렌즈열(44a)을 전사 형성하기 위한 전사면이 형성되도록 절삭 가공을 실시하였다. 제 1 렌즈열(44a)은, 제 1 렌즈열(44a)이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 폭 50㎛(Y 방향 치수), 높이 5㎛(Z 방향 치수), 곡률 반경 65㎛의 대략 원호형상으로 하였다. 블록의 전사 영역은 이에 대응하는 반전 형상을 갖는다.
다음에, 얻어진 블록의 가공면에, 유리 비즈(포터스 발로티니사 제품 J400)를 블라스트처리하여, 제 2 전사면 형성 금형으로 하였다. 또한, 블라스트 처리에 있어서는, 유리 비즈는, 60g/분의 양을 520㎜의 높이에서, 광 입사 단부면에 가까운 측에서 먼 측으로 1㎜ 피치로 띠형상으로, 속도 5m/분 및 압력 0.11MPa로 복수회에 걸쳐 분사하였다.
상기 제 1 및 제 2 전사면 형성 금형을 사출 성형 장치에 내장하여 사출 성형을 실시하였다. 성형 재료로서는 아크릴 수지(미쯔비시 레이온사 제품, ACRYPET TF-8)를 사용하였다. 얻어진 성형품, 즉 도광체(4)의 개략도를 도 5에 도시한다.
도광체의 두께 0.8㎜인 장변측 단부면[광 입사 단부면(41)]에 대향하도록 하여, 해당 장변을 따라 등간격으로 54개의 LED(도요타합성사 제품, E1S62-YWOS7-07)를 배치하고, 또한 광원 리플렉터(10)를 배치하였다. 또한, 도광체의 이면(44)에 대향하도록 하여 광 반사 소자(8)로서 광 산란 반사 시트(토레이사 제품 E6SP)를 배치하고, 광 출사면(43)에 대향하도록 하여 광 편향 소자(6)로서 꼭지각 65°로 피치 50㎛의 렌즈열이 다수 병렬로 형성된 두께 155㎛의 프리즘 시트(미츠비시 레이온사 제품 M168YK)를, 그 렌즈열 형성면이 광 출사면(43)에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면 광원 장치를 제작하였다.
상기 면 광원 장치는, 조합되는 투과형 액정 표시 소자의 유효한 표시 영역과의 관계상, 유효 표시 영역(F)의 외주연이 도광체 외주연으로부터 5.2㎜의 위치에 있다. 따라서, 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의 도광체(4)의 두께(T)(0.811㎜)에 대한, 해당 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의 폭(X 방향 치수)(A)(5.2㎜)의 비(A/T)는 6.41이다. 또한, 제 2 렌즈열(43b)이 형성되는 띠형상 영역의 폭, 즉 제 2 렌즈열(43b)의 X 방향 치수(B)(5㎜)는 상기 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의 폭(A)(5.2㎜)의 96%이다.
얻어진 면 광원 장치를 점등시켜 발광 상태를 관찰한 결과, 유효 표시 영역(F) 내에서는 LED의 배치에 기인하는 휘도 얼룩(특히, 핫 스폿)은 보이지 않고, 휘도 균제도도 양호하였다.
(비교예 1)
제 1 전사면 형성 금형을 제작함에 있어서, 경면 처리를 한 유효 면적 195㎜(X 방향 치수)×307㎜(Y 방향 치수), 두께 3㎜의 스테인리스 스틸판을 금형 소재로서 이용하여, 제 2 렌즈열(43b)을 전사 형성하기 위한 전사 영역을 형성시키지 않고, 유리 비즈(포터스 발로티니사 제품 J220)를 이용하여 블라스트 처리를 행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면 광원 장치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면 광원 장치를 점등시켜 발광 상태를 관찰한 결과, 유효 표시 영역(F) 내에서 LED의 배치에 기인하는 휘도 얼룩(특히, 핫 스폿)이 약간 보였다.
(실시예 2)
가공면이 경면 처리된 유효 면적 175.5㎜(X 방향 치수)×285.5㎜(Y 방향 치수)의 NiP 도금판이며, 제 2 렌즈열(43b)을 전사 형성하기 위한 전사 영역을 형성하는 부분의 두께가 3.05㎜이고, 조면(43a)을 전사 형성하기 위한 전사 영역을 형성하는 부분의 두께가 3㎜이고, 이들 부분의 경계 영역의 폭이 0.7㎜인 판의 가공면에,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제 2 렌즈열(43b)을 전사 형성하기 위한 전사 영역이 형성되도록 절삭 가공을 실시하였다. 제 2 렌즈열(43b)은, 제 2 렌즈열(43b)이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 폭 70㎛(Y 방향 치수), 높이 24㎛(Z 방향 치수), 꼭지각 80°, 선단부의 곡률 반경 34㎛의, 선단 R이 V자 형상으로 하였다. 또한, 제 2 렌즈열(43b)의 선단부가 조면(43a)으로 이루어지는 영역보다 5㎛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였다. 블록의 전사 영역은 이에 대응하는 반전 형상을 갖는다. 절삭 가공 길이(X 방향 치수)는 유효 면적 내에서 3㎜로 하여, 도광체(4)의 유효 표시 영역(F)에 절삭 가공 부분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였다.
다음에, 얻어진 판의 가공면에,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해서 유리 비즈(포터스 발로티니사 제품 J220)를 블라스트하여, 제 1 전사면 형성 금형으로 하였다. 단, 블라스트 처리의 조건은 이하와 같이 하였다. 유리 비즈는, 40g/분의 양을 320㎜의 높이에서, 광 입사 단부면에 가까운 측에서 먼 측으로 2.5㎜ 피치로 띠형상으로 복수회에 걸쳐 분사하고, 각각의 띠에 대해 속도 및 압력을 각각 20m/분에서 3m/분 및 0.2MPa에서 0.4MPa로 변화시킴으로써, 평균 경사각(θa)의 그라데이션을 형성하였다.
가공면이 경면 처리된 유효 면적 175.5㎜(X 방향 치수)×285.5㎜(Y 방향 치수), 두께 30㎜인 NiP 도금 블록의 가공면에,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제 1 렌즈열(44a)을 전사 형성하기 위한 전사면이 형성되도록 절삭 가공을 실시하였다. 제 1 렌즈열(44a)은, 제 1 렌즈열(44a)이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면 내에서, 폭 50㎛(Y 방향 치수), 높이 5㎛(Z 방향 치수), 곡률 반경 65㎛의 대략 원호형상으로 하였다. 블록의 전사 영역은 이에 대응하는 반전 형상을 갖는다.
다음에, 얻어진 블록의 가공면에 유리 비즈(포터스 발로티니사 제품 J400)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블라스트하여, 제 2 전사면 형성 금형으로 하였다.
상기 제 1 및 제 2 전사면 형성 금형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사출 성형 장치에 장착하여 사출 성형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도광체의 광 출사면(43)에는, 평균 경사각(θa)이 광 입사 단부면에 가까운 측에서 먼 측으로 0.8°에서 2.9°의 그라데이션으로 된 조면(43a)과 제 2 렌즈열(43b)이 형성되어 있었다. 제 2 렌즈열(43b)은 표면이 일부 조면화되어 있고, 폭 70㎛, 높이 24㎛, 꼭지각 80°, 선단부의 곡률 반경 34㎛의, 선단 R이 V자 단면 형상을 가지고, 또한 광 입사 단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3㎜ 연장되어 있었다. 또한, 광 출사면의 이면(44)에는, 표면이 일부 조면화된 폭 50㎛, 높이 5㎛, 곡률 반경 65㎛의 대략 원호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제 1 렌즈열(44a)이 전체 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었다.
도광체의 두께 0.7㎜인 장변측 단부면[광 입사 단부면(41)]에 대향하도록 하여, 해당 장변을 따라 등간격으로 54개의 LED(도요타합성사 제품, E1S62-YWOS7-07)를 배치하고, 또한 광원 리플렉터(10)를 배치하였다. 또한, 도광체의 이면(44)에 대향하도록 하여 광 반사 소자(8)로서 광 산란 반사 시트(토레이사 제품 E6SP)를 배치하고, 광 출사면(43)에 대향하도록 해서 광 편향 소자(6)로서 꼭지각 68°로 피치 29㎛의 렌즈열이 다수 병렬로 형성된 두께 188㎛의 프리즘 시트(미츠비시 레이온사 제품 M268YWC3)를, 그 렌즈열 형성면이 광 출사면(43)에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면 광원 장치를 제작하였다.
상기 면 광원 장치는, 조합되는 투과형 액정 표시 소자의 유효한 표시 영역과의 관계상, 유효 표시 영역(F)의 외연부가 도광체 외주연으부터 6㎜의 위치에 있다. 따라서, 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의 도광체(4)의 두께(T)(0.795㎜)에 대한, 해당 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의 폭(X 방향 치수)(A)(6㎜)의 비(A/T)는 7.55이다. 또한, 제 2 렌즈열(43b)이 형성되는 띠형상 영역의 폭, 즉 제 2 렌즈열(43b)의 X 방향 치수(B)(3㎜)는 상기 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의 폭(A)(6㎜)의 50%이다.
얻어진 면 광원 장치를 점등시켜 발광 상태를 관찰한 결과, 유효 표시 영역(F) 내에서는 LED의 배치에 기인하는 휘도 얼룩(특히, 핫 스폿)은 보이지 않고, 휘도 균제도도 양호하였다.
(비교예 1) 및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9)
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의 도광체(4)의 두께(T)[㎜], 해당 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의 폭(A)[㎜] 및 제 2 렌즈열(43b)의 X 방향 치수(B)[㎜]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고, 따라서 A/T 및 B/A[%]를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고, 사이즈[인치형]를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면 광원 장치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면 광원 장치를 점등시켜 발광 상태를 관찰한 결과, 유효 표시 영역(F) 내에서의 LED의 배치에 기인하는 휘도 얼룩(특히, 핫 스폿)에 관하여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인치 A B T A/T B/A 핫 스폿(휘도 얼룩)
비교예 2 10.6 4.7 4.5 1.05 4.48 95.7 약간 보임
(휘도 얼룩 있음)
실시예 3 12.1 6 5.8 1.0 6.0 96.7 보이지 않음
(휘도 얼룩 없음)
실시예 4 13.3 6 5.8 0.7 8.57 96.7 보이지 않음
(휘도 얼룩 없음)
실시예 5 14.1 6 5.8 0.8 7.50 96.7 보이지 않음
(휘도 얼룩 없음)
실시예 6 15.4 6 5.8 0.9 6.67 96.7 보이지 않음
(휘도 얼룩 없음)
실시예 7 2.2 2.9 2.7 0.5 5.80 93.1 보이지 않음
(휘도 얼룩 없음)
실시예 8 3.0 6.25 6.0 0.85 7.35 96.8 보이지 않음
(휘도 얼룩 없음)
실시예 9 2.95 5.7 5.5 0.6 9.50 96.5 보이지 않음
(휘도 얼룩 없음)
2 : LED 4 : 도광체
41 : 광 입사 단부면 42 : 반대 단부면
43 : 광 출사면 43a : 조면
43b : 제 2 렌즈열 44 : 이면
44a : 제 1 렌즈열 6 : 광 편향 소자
61 : 입광면 61a : 프리즘열
62 : 출광면 8 : 광반사 소자
10 : 리플렉터 11 : 표시 소자
F : 유효 표시 영역

Claims (8)

  1. 일차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광을 도광하고, 또한 상기 일차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광이 입사하는 광 입사 단부면, 도광되는 광이 출사하는 광 출사면, 및 상기 광 출사면의 반대측의 이면을 갖는 판형상의 도광체로서, 상기 광 입사 단부면에 근접하여, 상기 도광체를 이용한 면 광원 장치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표시 장치의 유효한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유효 표시 영역의 밖이 되는 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가 형성되는 면 광원 장치용 도광체에 있어서,
    상기 광 출사면 및 이면 중 한쪽 면에, 상기 한쪽 면과 상기 광 입사 단부면의 경계에 수직인 방향을 대략 따라 연장되고, 또한 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제 1 렌즈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기 광 출사면 및 이면 중 다른쪽 면에는, 상기 다른쪽 면과 상기 광 입사 단부면의 경계에 수직인 방향을 대략 따라 연장되고, 또한 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제 2 렌즈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도광체의 두께(T)에 대한, 상기 다른쪽 면과 상기 광 입사 단부면의 경계에 수직인 방향의 상기 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의 치수(A)의 비(A/T)가 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광원 장치용 도광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열은 상기 다른쪽 면과 상기 광 입사 단부면의 경계에 수직인 방향의 치수가 상기 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의 치수(A)의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광원 장치용 도광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열을 구성하는 렌즈면은 조면화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2 렌즈열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평균 경사각이 0.1° 내지 8°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광원 장치용 도광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열이 형성된 영역은 상기 다른쪽 면의 일부이며,
    상기 제 2 렌즈열은, 부분적으로, 상기 다른쪽 면의 상기 제 2 렌즈열이 형성된 영역 이외의 영역보다, 상기 한쪽 면의 가까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광원 장치용 도광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열이 형성된 영역은 상기 다른쪽 면의 일부이며,
    상기 제 2 렌즈열은, 전체가, 상기 다른쪽 면의 상기 제 2 렌즈열이 형성된 영역 이외의 영역보다, 상기 한쪽 면의 가까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광원 장치용 도광체.
  6. 제 1 항에 기재된 면 광원 장치용 도광체와, 상기 도광체의 상기 광 입사 단부면에 인접해서 배치된 상기 일차 광원과, 상기 도광체의 상기 광 출사면에 인접해서 배치된 광 편향 소자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면 광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면 광원 장치용 도광체의 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는 상기 면 광원 장치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표시 장치의 유효한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유효 표시 영역의 밖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광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편향 소자는, 상기 도광체의 광 출사면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입광면과 그 반대측의 출광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입광면에는 상기 광 입사 단부면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프리즘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광원 장치.
  8. 제 6 항에 기재된 면 광원 장치와, 상기 면 광원 장치로부터 출광하는 광이 도래하도록 배치된 표시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면 광원 장치용 도광체의 입사측 단부 가장자리부는 상기 표시 장치의 유효한 표시 영역의 밖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117014162A 2008-11-21 2009-11-20 면 광원 장치 및 그것에 이용하는 도광체 KR201100866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97957 2008-11-21
JP2008297957 2008-11-21
JPJP-P-2009-123999 2009-05-22
JP2009123999 2009-05-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632A true KR20110086632A (ko) 2011-07-28

Family

ID=42198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4162A KR20110086632A (ko) 2008-11-21 2009-11-20 면 광원 장치 및 그것에 이용하는 도광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424901B2 (ko)
KR (1) KR20110086632A (ko)
CN (1) CN102224373A (ko)
TW (1) TW201030395A (ko)
WO (1) WO20100588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11164B (zh) * 2010-07-23 2013-07-31 颖台科技股份有限公司 导光装置及具有导光装置的背光模块与液晶显示器
JP5664100B2 (ja) * 2010-10-07 2015-02-04 ソニー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CN103162177B (zh) * 2011-12-16 2015-07-15 奇美实业股份有限公司 侧光式背光模组及导光板
US9664840B2 (en) 2014-11-12 2017-05-30 E Ink Holdings Inc. Light emitting module and display device
TWI580893B (zh) * 2014-11-12 2017-05-0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發光模組及顯示設備
JP5867573B2 (ja) * 2014-12-03 2016-02-24 ソニー株式会社 発光装置
CN114509843B (zh) * 2021-12-30 2023-08-01 苏州天禄光科技股份有限公司 侧入式导光板及侧入式背光模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3124A (ja) * 2001-05-15 2002-11-29 Mitsubishi Rayon Co Ltd 面光源装置
JP2005019417A (ja) * 2002-03-05 2005-01-20 Seiko Epson Corp 照明装置、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171253A (ja) * 2004-12-15 2006-06-29 Kuroda Techno Co Ltd バックライトアッセンブリの導光板
JP2008218418A (ja) * 2008-03-31 2008-09-18 Mitsubishi Rayon Co Ltd 面光源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導光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30395A (en) 2010-08-16
WO2010058845A1 (ja) 2010-05-27
CN102224373A (zh) 2011-10-19
JP5424901B2 (ja) 2014-02-26
JPWO2010058845A1 (ja)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431B1 (ko) 면광원 장치
US6502947B2 (en) Planar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WO2011043466A1 (ja) 画像表示装置
KR20110086632A (ko) 면 광원 장치 및 그것에 이용하는 도광체
KR100950613B1 (ko) 면 광원 장치용 도광체 및 면 광원 장치
JP2004111352A (ja) 面光源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導光体
JP2008218418A (ja) 面光源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導光体
JPWO2004016985A1 (ja) 面光源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導光体
JP4761472B2 (ja) 面光源装置用導光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面光源装置
KR100927513B1 (ko) 면광원 장치용 도광체 및 그 제조 방법 및 면광원 장치
JP5527711B2 (ja) 面光源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導光体
JP2012098595A (ja) 導光体製造用型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08032A (ja) 面光源装置用導光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面光源装置
JP4716876B2 (ja) 面光源装置用導光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面光源装置
JP2010040429A (ja) 面光源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導光体
JP5371125B2 (ja) 面光源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導光体
JP4693190B2 (ja) 面光源装置、面光源装置用導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85806B2 (ja) 面光源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導光体
JP2012038423A (ja) 導光体および面光源装置
JP5438989B2 (ja) 面光源装置用導光体および面光源装置
JP5348960B2 (ja) 面光源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導光体
KR100776863B1 (ko) 면광원 장치 및 이것에 이용되는 도광체
JP2009266643A (ja) 導光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JP2011222284A (ja) 面光源装置用導光体および該導光板成形型の製造方法
JP2011008953A (ja) 面光源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導光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