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4105A - 자동제빵기 - Google Patents

자동제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4105A
KR20110084105A KR1020110003120A KR20110003120A KR20110084105A KR 20110084105 A KR20110084105 A KR 20110084105A KR 1020110003120 A KR1020110003120 A KR 1020110003120A KR 20110003120 A KR20110003120 A KR 20110003120A KR 20110084105 A KR20110084105 A KR 20110084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d
container
temperature
grinding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와타나베
마사유키 시모자와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0647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14307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9708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224165A/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4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7/00Baking plants
    • A21B7/005Baking plants in combination with mixing or knea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2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vertically-mounted tools; Machines for whipping or b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5Controlling; Testing; Measur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3/00Provers, i.e. apparatus permitting dough to rise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 A21D8/06Bak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5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elements, materials or mechanical properties
    • B01F27/054Deformable stirrers, e.g. deformed by a centrifugal force applied during operation
    • B01F27/0541Deformable stirrers, e.g. deformed by a centrifugal force applied during operation with mechanical means to alter the position of the stir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 B01F27/0725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on the free end of the rotating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08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stirrers driven from the bottom of the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자동제빵기는, 빵원료가 투입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를 받아들이는 본체와,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에 받아들여진 상태에서 빵의 제조공정을 실행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에 받아들여진 상태에서 빵생지가 상기 용기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까지 부풀어 오른 것을 검지하는 부풀어 오름 검지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자동제빵기{AUTOMATIC BREAD MAKER}
본 발명은 주로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자동제빵기에 관한 것이다.
시판하는 가정용 자동제빵기는 빵원료가 들어가는 빵용기를 그대로 굽기형틀로 하여 빵을 제조하는 구조인 것이 일반적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자동제빵기에서는, 우선, 빵원료를 넣은 빵용기가 본체 내의 소성실에 넣어진다. 그리고, 빵용기 내의 빵원료가 빵용기 내에 설치되는 혼련(混練)블레이드에 의해 빵생지(生地)로 반죽된다(반죽공정). 그 후, 반죽된 빵생지를 발효시키는 발효공정이 행해지고, 빵용기가 굽기형틀로서 사용되어 빵이 구워진다(소성공정).
이와 같은 자동제빵기를 이용하여 빵을 제조하는 경우에, 특허문헌 1에도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반죽공정이나 발효공정시에서의 외기온도의 영향에 의해서 빵의 품질이 변동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종래, 외기온도의 영향을 억제하여 안정하게 맛있는 빵을 제조하는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0-116526호 공보
그렇지만, 발효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빵원료에 더해지는 재료의 투입량의 변동에 의해서 발효의 진행상태(빵생지가 부푼 상태)가 변동하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설탕의 양이 너무 많으면, 발효가 빠르게 진행되어 버린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빵생지가 너무 부풀어 올라서 자동제빵기의 뚜껑에 붙어 버린다고 하는 경우도 있었다. 즉, 자동제빵기에서 외기온도의 영향을 억제하는 연구를 행해도 품질이 나쁜 빵을 제조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빵생지가 너무 부풀어 올라서 자동제빵기의 뚜껑에 붙으면, 그 후의 세정이 번거롭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사용하는 빵원료의 빵용기로의 투입량에 대해서 미리 결정된 양을 엄격하게 지키면 상기와 같은 문제는 별로 생기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예를 들면 설탕의 양 등은,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으로 변경하고 싶을 것이며, 이와 같은 경우에서도 가능한 한 품질이 나쁜 빵이 제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종래에는 자동제빵기를 이용하여 빵의 제조가 행해지는 경우, 밀이나 쌀 등의 곡물을 제분한 가루(소맥분, 미분 등)나, 그와 같은 제분한 가루에 각종의 보조원료가 혼합된 믹스가루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렇지만, 일반 가정에서는 미립(米粒)으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가루의 형태는 아니고 알갱이의 형태로 곡물이 소지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자동제빵기를 이용하여 곡물알갱이로부터 직접 빵을 제조할 수 있으면 편리하다. 이와 같은 것으로부터, 본 출원인들은 예의(銳意) 연구한 끝에, 곡물알갱이를 원료로 하여 빵을 제조하는 방법을 발명하고 있다. 또한, 이것에 대해서는, 먼저 특허출원을 행하고 있다(일본국 특원2008-201507).
여기서, 먼저 출원한 빵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소개한다. 이 빵의 제조방법에서는, 우선, 곡물알갱이가 액체와 혼합되고, 이 혼합물이 분쇄블레이드에 의해서 분쇄된다(분쇄공정). 그리고, 분쇄공정을 거쳐 얻어진 페이스트(paste) 상태의 분쇄가루에 예를 들면 글루텐(gluten)이나 이스트 등이 더해지며, 이들의 빵원료가 생지에 반죽되고(반죽공정), 생지의 발효가 행해진(발효공정) 후, 발효된 생지를 빵으로 구워진다(소성공정).
그렇지만, 상기의 제조공정이 적용된 자동제빵기는 현재 개발단계에 있으며, 자동제빵기를 이용하여 곡물알갱이로부터 빵을 제조한 경우에, 빵의 품질에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은 편차는, 예를 들면, 자동제빵기가 놓이는 환경의 변동이나, 원료로서 이용하는 곡물알갱이의 딱딱함 등의 편차에 원인이 있다고 생각되었다. 또, 이와 같은 자동제빵기로 빵을 제조하는 경우도 상술한 원료의 투입량의 변동 등에 수반하는 빵생지의 너무 부풀어 오름이 발생하여, 품질이 나쁜 빵을 제조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곡물알갱이로부터 빵을 제조할 수 있는 자동제빵기는 가정에서의 빵 제조를 보다 친숙한 것으로 할 수 있다고 하는 메리트를 가진다. 그러나, 품질이 나쁜 빵을 제조해 버릴 가능성이 높으면, 모처럼의 메리트를 살리지 못하고, 사용자의 가정에서의 빵만들기에 대한 의욕이 상실될지도 모른다.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발효공정에서 빵생지가 너무 부풀어 오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자동제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곡물알갱이로부터 빵을 제조하는 경우에, 품질이 나쁜 빵을 제조해 버릴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자동제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자동제빵기는, 빵원료가 투입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를 받아들이는 본체와,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에 받아들여진 상태에서 빵의 제조공정을 실행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에 받아들여진 상태에서 빵생지가 상기 용기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까지 부풀어 오른 것을 검지하는 부풀어 오름 검지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빵의 제조공정에는 상기 용기 내에서 곡물알갱이를 분쇄하는 분쇄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부풀어 오름 검지부에 의해서 빵생지가 소정의 높이까지 부풀어 오른 것을 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빵생지가 너무 부풀어 오르기 전에 발효공정을 종료시켜, 발효시킨 빵을 소성하는 소성공정으로 이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구성의 자동제빵기에서는 발효공정에서의 빵생지의 취급이 불충분하다는 것이 원인이 되어 품질이 나쁜 빵이 제조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빵생지가 너무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제빵기의 뚜껑에 빵생지가 붙는다고 하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자동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빵생지를 발효시키는 발효공정에서 상기 부풀어 오름 검지부에 의해서 빵생지가 상기 용기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까지 부풀어 오른 것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발효공정을 강제적으로 종료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부풀어 오름 검지부에 의해서, 빵생지가 용기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까지 부풀어 오른 것을 검지한 경우에, 알림음 등으로 사용자에게 알리고, 그 후, 사용자의 판단에 의해 발효공정을 종료시켜 소성공정을 개시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점, 본 구성에 의하면, 빵생지가 용기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까지 부풀어 오른 것을 검지한 경우에, 자동적으로 소성공정으로 이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동제빵기의 근처에 있을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상기 구성의 자동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풀어 오름 검지부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근거하여, 빵생지를 발효시키는 발효공정의 도중에 가스빼기를 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함과 아울러, 상기 발효공정에서 빵생지가 상기 소정의 높이를 넘어 부풀어 오르지 않도록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본 구성에 의하면, 부풀어 오름 검지부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적절히 발효공정의 도중에 가스빼기를 행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발효공정을 거친 빵생지 내에 큰 공동(空洞)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품질이 좋은(양질의) 빵을 구울 수 있다. 또, 부풀어 오름 검지부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빵생지가 소정의 높이를 넘어 부풀어 오르지 않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발효공정에서의 빵생지의 취급이 불충분하다라고 하는 것이 원인이 되어 품질이 나쁜 빵이 제조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자동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효공정이 개시되고 나서 제1 소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상기 부풀어 오름 검지부가 상기 소정의 높이까지 빵생지가 부풀어 오른 것을 검지하는 검지상태가 된 경우에는, 상기 검지상태가 된 단계에서 상기 가스빼기를 행하지 않고 상기 발효공정을 종료시키고, 상기 제1 소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상기 검지상태가 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가스빼기를 실행시키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본 구성에 의하면, 발효공정의 시간이 장시간이 되지 않고 빵생지가 소망의 상태로 부풀어 오른 경우(이 경우에는 빵생지 내에 큰 공동이 생겨 있을 가능성이 낮음)에 가스빼기를 행하지 않고 발효공정을 종료시키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발효공정의 시간이 장시간이 된 경우(이 경우에는 빵생지 내에 큰 공동이 생겨 있을 가능성이 있음)에는, 적절히 발효공정의 도중에 가스빼기를 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발효공정을 거친 빵생지 내에 큰 공동이 생기는 것을 적절히 억제하여 양질의 빵을 구울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자동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효공정이 개시되고 나서 상기 제1 소정시간보다 긴 제2 소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상기 검지상태가 된 경우에는, 상기 검지상태가 된 단계에서 상기 가스빼기를 실행시키고, 상기 제2 소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상기 검지상태가 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가스빼기를 행하지 않고 상기 발효공정을 종료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본 구성에 의하면, 발효공정의 시간이 장시간이 되어 빵생지 내에 큰 공동이 생겨 있을 가능성이 높은 상태를 적절히 판단하여 가스빼기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구성에 의하면, 양질의 빵을 안정하게 얻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의 자동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빼기가 실행된 경우에, 상기 가스빼기가 종료하고 나서 제3 소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상기 검지상태가 된 경우에는, 상기 검지상태가 된 단계에서 상기 발효공정을 종료시키고, 상기 제3 소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상기 검지상태가 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3 소정시간이 경과한 단계에서 상기 발효공정을 종료시킨다.
본 구성에 의하면, 발효공정에서 가스빼기를 행한 경우에, 가스빼기 후에 빵생지가 적절히 부풀어 오른 단계에서 발효공정을 종료시킬 수 있다. 또, 가스빼기 후에서의 빵생지의 부풀어 오름이 나쁜 경우에, 소정시간(제3 소정시간)이 경과한 단계에서 발효공정을 종료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빵의 제조공정이 너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자동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부풀어 오름 검지부는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을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하는 포토인터럽터(photointerruptor)이며, 수광 상태의 변화에 근거하여 빵생지가 상기 용기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높이를 넘은 것을 검지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본 구성에 의하면, 부풀어 오름을 검지하는 수단을 얻기 위해서 큰 스페이스가 취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특히 사용자의 손을 번거롭게 하지 않고 부풀어 오름을 검지할 수 있는 상태가 얻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에 있어서도 사용하기 편리하다.
상기 구성의 자동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용기를 수용하는 소성실이 마련되고, 상기 발광소자 및 상기 수광소자는 상기 소성실의 측벽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광소자 및 발광소자는 빵용기나 자동제빵기의 덮개(본체에 장착되는 덮개)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구성에 의하면, 수광소자 및 발광소자가 외부로 노출되기 어려워, 고장 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자동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빵의 제조공정에는 상기 용기 내에서 곡물알갱이를 분쇄하는 분쇄공정과, 상기 곡물알갱이의 분쇄가루를 포함하는 상기 용기 내의 빵원료를 빵생지에 반죽하는 반죽공정과, 반죽된 빵생지를 발효시키는 발효공정과, 발효시킨 빵생지를 소성하는 소성공정이 포함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본 구성에 의하면, 곡물알갱이로부터 빵을 제조할 수 있는 자동제빵기에 있어서, 발효공정에서의 빵생지의 취급이 불충분한 것이 원인이 되어 품질이 나쁜 빵이 제조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빵생지가 너무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제빵기의 뚜껑에 빵생지가 붙는다고 하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자동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빵의 제조공정에는 상기 분쇄공정 전에 상기 용기 내의 곡물알갱이에 액체를 흡액(吸液)시키는 분쇄전 흡액공정이 더 포함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구성에 의하면, 곡물알갱이에 액체(대표적인 것은 물)를 포함시킨 상태에서 분쇄가 행해지므로, 곡물알갱이를 심(芯)까지 분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성의 자동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빵의 제조공정에는 상기 분쇄공정 후에 상기 용기 내의 곡물알갱이의 분쇄가루에 액체를 흡액시키는 분쇄후 흡액공정이 더 포함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구성에 의하면, 분쇄후 흡액공정에 의해서, 분쇄공정에서 상승한 분쇄가루의 온도를 냉각하는 기간이 얻어지기 때문에, 냉각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빵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본 구성에 의하면, 자동제빵기에 필요로 하는 비용의 억제가 가능하다. 또, 분쇄후 흡액공정에 의해서, 분쇄가루가 더 붕괴되어 미립자의 양이 많아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구성에 의하면, 결이 가늘고, 품질이 좋은(맛있는) 빵을 구울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자동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분쇄공정에서 분쇄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분쇄모터와, 상기 반죽공정에서 혼련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혼련모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분쇄공정과 상기 반죽공정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되는 모터의 부하를 감시하여, 그 부하에 근거하여 실행중의 공정의 종료판단을 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자동제빵기를 이용하여 곡물알갱이로부터 빵을 제조하는 경우, 예를 들면 곡물알갱이의 딱딱함의 편차나 자동제빵기가 놓이는 환경(주로 온도) 변동에 의해서, 분쇄공정의 종료시에 얻어지는 분쇄가루의 입도(粒度)나, 반죽공정의 종료시에 얻어지는 빵생지의 탄력성 등에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점, 본 구성에서는 모터의 부하를 기준으로 분쇄공정 및/또는 반죽공정의 종료시점을 판단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분쇄공정이나 반죽공정의 종료시의 빵원료(빵생지도 포함함)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품질이 나쁜 빵이 생길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분쇄공정과 반죽공정과의 양쪽에서 모터의 부하에 근거하여 종료시점을 판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의 자동제빵기에 있어서, 외기온도, 상기 용기의 온도, 상기 용기 주변의 온도 및 상기 용기 내의 빵원료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지 가능한 온도검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빵의 제조공정이 실행되는 경우에 행해지는 복수의 공정 가운데, 상기 온도검지부에서 검지되는 온도를 이용하여 공정시간을 변동시키는 공정이 적어도 하나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자동제빵기가 놓이는 환경에 의해서, 곡물알갱이로부터 구워지는 빵의 품질이 변동하는 요인으로서, 환경온도나 사용하는 물 등의 온도가 변동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점, 본 구성의 자동제빵기에서는 외기온도, 빵원료를 투입하는 용기의 온도, 상기 용기 주변의 온도 및 상기 용기 내의 빵원료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지 가능한 온도검지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구성에서는 빵의 제조공정이 실행되는 경우에 행해지는 복수의 공정 가운데, 상기 온도검지부에서 검지된 온도에 근거하여 공정시간이 변동되는 공정이 적어도 하나 포함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환경온도 등에 의해서 빵의 품질이 변동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효공정에서 빵생지가 너무 부풀어 오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품질이 나쁜 빵이 제조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곡물알갱이로부터 빵을 제조하는 경우에, 품질이 나쁜 빵을 제조해 버릴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가정에서의 빵제조를 보다 친숙한 것으로 하여, 가정에서의 빵 만들기가 활발하게 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부풀어 오름 검지부에 의해서 빵생지가 소정의 높이까지 부풀어 오른 것을 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빵생지가 너무 부풀어 오르기 전에 발효공정을 종료시켜, 발효시킨 빵을 소성하는 소성공정으로 이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구성의 자동제빵기에서는 발효공정에서의 빵생지의 취급이 불충분하다는 것이 원인이 되어 품질이 나쁜 빵이 제조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빵생지가 너무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제빵기의 뚜껑에 빵생지가 붙는다고 하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의 수직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를 도 1과 직각인 방향으로 절단한 일부 수직 단면도.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가 구비하는 분쇄블레이드 및 혼련블레이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가 구비하는 분쇄블레이드 및 혼련블레이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평면도.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에서의 혼련블레이드가 접음 자세로 있는 경우의 빵용기의 상면도.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에서의 혼련블레이드가 열림 자세로 있는 경우의 빵용기의 상면도.
도 7은 제1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에서의 혼련블레이드가 열림 자세로 있는 경우의 클러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도 8은 제1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의 제어 블럭도.
도 9는 제1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에서의 미립용 제빵코스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0은 제1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에서 사용되는, 온도에 대응시켜 분쇄전 흡수공정의 시간을 정한 테이블의 일례.
도 11은 제1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에서 실행되는 분쇄공정의 상세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제1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에서 실행되는 분쇄후 흡수공정의 상세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3은 제1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에서 실행되는 반죽공정의 상세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4는 제1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에서 실행되는 발효공정의 상세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5는 제2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에서의 미립용 제빵코스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6은 제2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에서 실행되는 발효공정의 상세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이하, 본 발명의 자동제빵기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등장하는 구체적인 시간이나 온도 등은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제1 실시형태
(자동제빵기의 구성)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를 도 1과 직각인 방향으로 절단한 일부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가 구비하는 분쇄블레이드 및 혼련블레이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로서, 경사 아래쪽에서부터 본 경우의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가 구비하는 분쇄블레이드 및 혼련블레이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평면도로서, 아래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에서의 혼련블레이드가 접음 자세로 있는 경우의 빵용기의 상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에서의 혼련블레이드가 열림 자세로 있는 경우의 빵용기의 상면도이다. 이하, 주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자동제빵기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1에서의 좌측이 자동제빵기(1)의 정면(전면(前面)), 우측이 자동제빵기(1)의 배면(후면)으로 한다. 또, 자동제빵기(1)에 정면에서 마주본 관찰자의 왼손 측이 자동제빵기(1)의 좌측, 오른손 측이 자동제빵기(1)의 우측인 것으로 한다.
자동제빵기(1)는 합성수지제의 외각(外殼)으로 구성되는 상자형의 본체(10)를 가진다. 본체(10)에는 그 좌측면과 우측면의 양단에 연결한 'コ'자 모양의 합성수지제 핸들(11)이 설치되고, 이것에 의해 자동제빵기(1)는 운반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본체(10)의 상면 전부(前部)에는 조작부(20)가 설치된다. 조작부(20)에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스타트키, 취소키, 타이머키, 예약키, 빵의 제조코스(미분빵코스, 소맥분빵코스 등)를 선택하는 선택키 등의 조작키군과, 조작키군에 의해서 설정된 내용이나 에러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는 액정표시패널과 발광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하는 표시램프로 구성되어 있다.
조작부(20)로부터 뒤쪽의 본체 상면은 합성수지제의 덮개(30)로 덮힌다. 덮개(30)는, 도시하지 않은 경첩축으로 본체(10)의 배면 측에 장착되어 있고, 그 경첩축을 지점으로 하여 수직면 내에서 회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덮개(30)에는 내열유리로 이루어지는 관찰창이 설치되어 있고, 이 관찰창을 통하여 사용자는 후술의 소성실(40)을 관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소성실(40)이 설치되어 있다. 소성실(40)은 판금제이며, 상면이 개구하고 있고, 이 개구로부터 빵용기(50)는 소성실(40)에 넣어진다. 소성실(40)은 수평 단면 직사각형인 주(周)측벽(40a)과 저벽(40b)을 구비한다. 소성실(40)의 내부에는 시즈히터(sheath heater)(41)가 소성실(40)에 수용된 빵용기(50)를 포위하도록 배치되고, 빵용기(50) 내의 빵원료의 가열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소성실(40)을 구성하는 4개의 주측벽(40a) 가운데, 자동제빵기(1)의 좌우 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주측벽에는 그 한쪽에 발광소자(42a)가, 다른 쪽에 수광소자(42b)가 장착되어 있다. 이 발광소자(42a)와 수광소자(42b)는 포토인터럽터를 구성한다. 발광소자(42a)와 수광소자(42b)는 소성실(40)에 빵용기(50)가 수용된 상태에서 빵용기(50)의 상면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통상 상태에서는 발광소자(42a)로부터의 광이 수광소자(42b)에 의해서 수광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빵생지가 빵용기(5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예를 들면 5㎜ 등)까지 부풀어 오른 경우에, 수광소자(42b)의 수광 상태가 변화하기 때문에, 그것을 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발광소자(42a)와 수광소자(42b)는 부풀어 오름 검지부(42)로서 기능한다.
또한, 발광소자(42a)와 수광소자(42b)에는 포토인터럽터를 구성하는 소자로서 공지의 소자를 이용하면 되지만, 예를 들면 발광소자(42a)에는 근적외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이 이용되고, 수광소자(42b)에는 포토트랜지스터 등이 이용된다.
또, 본체(10)의 내부에는 판금제의 기대(基臺)(12)가 설치되어 있다. 기대(12)에는 소성실(40)의 중심에 닿는 개소에 알루미늄 합금의 다이캐스트 성형품 으로 이루어지는 빵용기 지지부(13)가 고정되어 있다. 빵용기 지지부(13)의 내부는 소성실(40)의 내부로 노출하고 있다.
빵용기 지지부(13)의 중심에는 원동축(14)이 수직으로 지지되어 있다. 원동축(14)에 회전을 주는 것은 풀리(15, 16)이다. 풀리(15)와 원동축(14) 사이 및 풀리(16)와 원동축(14) 사이에는 각각 클러치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풀리(15)를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켜 원동축(14)에 회전이 전해질 때, 원동축(14)의 회전은 풀리(16)에 전해지지 않고, 풀리(16)를 풀리(15)와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원동축(14)에 회전이 전해질 때, 원동축(14)의 회전은 풀리(15)에는 전해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풀리(15)를 회전시키는 것은 기대(12)에 고정된 혼련모터(60)이다. 혼련모터(60)는 세로축으로서, 하면으로부터 출력축(61)이 돌출한다. 출력축(61)에는 풀리(15)에 벨트(63)로 연결되는 풀리(62)가 고정되어 있다. 혼련모터(60) 자신이 저속·고토크 타입이며, 게다가, 풀리(62)가 풀리(15)를 감속회전시키므로, 원동축(14)은 저속·고토크로 회전한다.
풀리(16)를 회전시키는 것은 동일하게 기대(12)에 지지된 분쇄모터(64)이다. 분쇄모터(64)도 세로축으로서, 상면으로부터 출력축(65)이 돌출한다. 출력축(65)에는 풀리(16)에 벨트(67)로 연결되는 풀리(66)가 고정되어 있다. 분쇄모터(64)는 후술하는 분쇄블레이드에 고속회전을 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 때문에, 분쇄모터(64)에는 고속회전인 것이 선정되며, 풀리(66)와 풀리(16)의 감속비는 대략 1 : 1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빵용기(50)는 판금제이며, 물통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고, 입구 가장자리부에는 휴대용의 핸들(도시생략)이 장착되어 있다. 빵용기(50)의 수평 단면은 네 모서리를 둥글게 한 직사각형이다. 또, 빵용기(50)의 저부에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분쇄블레이드(54)와 커버(70)를 수용하는 오목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5)는 평면 형상 원형이고, 커버(70)의 외주부와 오목부(55)의 내면 사이에는 제빵원료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틈새(56)가 마련되어 있다. 또, 빵용기(50)의 저면에는 알루미늄 합금의 다이캐스트 성형품인 통 모양의 대좌(臺座)(51)가 설치되어 있다. 빵용기(50)는 이 대좌(51)가 빵용기 지지부(13)에 받아들여진 상태에서 소성실(40) 내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빵용기(50)의 저부 중심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블레이드 회전축(52)이 씰(seal) 대책이 시행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블레이드 회전축(52)에는 원동축(14)으로부터 커플링(53)을 통하여 회전력이 전해진다. 커플링(53)을 구성하는 2부재 가운데, 한쪽의 부재는 블레이드 회전축(52)의 하단에 고정되고, 다른 부재는 원동축(14)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다. 커플링(53)의 전체는 대좌(51)와 빵용기 지지부(13)에 둘러싸인다.
빵용기 지지부(13)의 내주면과 대좌(51)의 외주면에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돌기는 주지의 바요넷트(bayonet) 결합을 구성한다. 상세하게는, 빵용기(50)가 빵용기 지지부(13)에 장착될 때, 대좌(51)의 돌기가 빵용기 지지부(13)의 돌기에 간섭하지 않도록 하여 빵용기(50)가 내려진다. 그리고, 대좌(51)가 빵용기 지지부(13)에 끼워 넣은 후, 빵용기(50)가 수평으로 비틀어지면, 빵용기 지지부(13)의 돌기의 하면에 대좌(51)의 돌기가 맞물린다. 이것에 의해, 빵용기(50)가 위쪽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또, 이 조작에 의해, 커플링(53)의 연결도 동시에 달성된다.
또한, 빵용기(50)의 장착시의 비틂 방향은 후술하는 혼련블레이드(72)의 회전 방향과 일치시켜, 혼련블레이드(72)가 회전해도 빵용기(50)가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블레이드 회전축(52)에는 빵용기(50)의 저부보다 조금 위의 개소에 분쇄블레이드(54)가 장착되어 있다. 분쇄블레이드(54)는 블레이드 회전축(52)에 대해서 회전 불능으로 장착된다. 분쇄블레이드(54)는 스테인리스 강판제이며,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행기의 프로펠라와 같은 형상(이 형상은 어디까지나 일례임)을 가지고 있다. 분쇄블레이드(54)는 블레이드 회전축(52)으로부터 당겨서 떼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제빵작업 종료 후의 세정이나, 날카로움이 나빠졌을 때의 교환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블레이드 회전축(52)의 상단에는 평면 형상 원형의 돔 모양 커버(70)가 장착되어 있다. 커버(70)는 알루미늄 합금의 다이캐스트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분쇄블레이드(54)의 허브(54a)에 의해서 받아들여지며, 분쇄블레이드(54)를 덮어 가린다. 이 커버(70)도 블레이드 회전축(52)으로부터 간단하게 당겨 뺄 수 있으므로, 제빵작업 종료 후의 세정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커버(70)의 상부 외면에는 블레이드 회전축(52)으로부터 떨어진 개소에 배치된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축(支軸)(71)에 의해, 평면 형상 「く」자형의 혼련블레이드(72)가 장착되어 있다. 혼련블레이드(72)는 알루미늄 합금의 다이캐스트 성형품이다. 지축(71)은 혼련블레이드(72)에 고정 내지 일체화되어 있으며, 혼련블레이드(72)와 움직임을 함께 한다.
혼련블레이드(72)는 지축(71)을 중심으로 하여 수평면 내에서 회동하고, 도 5에 나타내는 접음 자세와, 도 6에 나타내는 열림 자세를 취한다. 접음 자세에서는, 혼련블레이드(72)는 커버(70)에 형성한 스토퍼부(73)에 맞닿아 있고, 그 이상 커버(70)에 대해 시계방향의 회동을 행할 수 없다. 혼련블레이드(72)의 선단은, 이 때, 커버(70)로부터 조금 돌출해 있다. 열림 자세에서는, 혼련블레이드(72)의 선단은 스토퍼부(73)로부터 떨어지고, 혼련블레이드(72)의 선단은 커버(70)로부터 크게 돌출한다.
또한, 커버(70)에는 커버 내 공간과 커버 외 공간을 연통하는 창(74)과, 각 창(74)에 대응하여 내면 측에 설치되어 분쇄블레이드(54)에 의해서 분쇄된 분쇄물을 창(74)의 방향으로 유도하는 리브(7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분쇄블레이드(54)를 이용한 분쇄의 효율이 높아져 있다.
커버(70)와 블레이드 회전축(52) 사이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러치(76)가 개재한다. 클러치(76)는 혼련모터(60)가 원동축(14)을 회전시킬 때의 블레이드 회전축(52)의 회전 방향(이 회전 방향을「정(正)방향 회전」이라고 한다. 도 4에서는 시계방향 회전이 된다.)에서 블레이드 회전축(52)과 커버(70)를 연결한다. 반대로, 분쇄모터(64)가 원동축(14)을 회전시킬 때의 블레이드 회전축(52)의 회전 방향(이 회전 방향을「역방향 회전」이라고 한다. 도 4에서는 반시계방향 회전이 된다.)에서는 클러치(76)는 블레이드 회전축(52)과 커버(70)의 연결을 끊는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는, 상기 「정방향 회전」은 반시계방향 회전이 되며, 상기 「역방향 회전」은 시계방향 회전이 된다.
클러치(76)는 혼련블레이드(72)의 자세에 따라 연결상태를 전환한다. 즉, 혼련블레이드(72)가 도 5에 나타내는 접음 자세로 있는 경우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맞물림체(76b)(예를 들면 지축(71)에 고정됨)는 제1 맞물림체(76a)(예를 들면 분쇄블레이드(54)의 허브(54a)에 고정됨)의 회전궤도에 간섭하고 있다. 이 때문에, 블레이드 회전축(52)이 정방향 회전하면, 제1 맞물림체(76a)와 제2 맞물림체(76b)는 맞물리고, 블레이드 회전축(52)의 회전력이 커버(70) 및 혼련블레이드(72)에 전달된다. 한편, 혼련블레이드(72)가 도 6에 나타내는 열림 자세로 있는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맞물림체(76b)는 제1 맞물림체(76a)의 회전궤도로부터 일탈한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블레이드 회전축(52)이 역방향 회전해도 제1 맞물림체(76a)와 제2 맞물림체(76b)는 맞물리지 않는다. 따라서, 블레이드 회전축(52)의 회전력은 커버(70) 및 혼련블레이드(72)에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도 7은 혼련블레이드가 열림 자세로 있는 경우의 클러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제빵기(1)에서의 제어동작은 제어장치(81)에 의해서 행해진다. 제어장치(81)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I/O(input/output) 회로부 등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 컴퓨터(Micro Computer)에 의해서 구성된다. 이 제어장치(81)는 소성실(40)의 열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자동제빵기(1)에서는 본체(10)의 정면 측벽과 소성실(40)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어장치(81)에는 제1 온도검지부(18)와, 제2 온도검지부(19)와, 상술의 조작부(20)와, 상술의 발광소자(42a)와 수광소자(42b)로 구성되는 부풀어 오름 검지부(42)와, 혼련모터 구동회로(82)와, 분쇄모터 구동회로(83)와, 히터 구동회로(84)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온도검지부(18)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측면에 설치되어 외기온도를 검지 가능한 온도센서이다. 제2 온도검지부(19)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도센서(19a)와 솔레노이드(19b)를 구비하고, 온도센서(19a)의 선단 측이 소성실(40)의 정면 측벽으로부터 소성실(40)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온도센서(19a)의 선단은 솔레노이드(19b)에 의해서, 빵용기(50)에 접촉하는 위치와 비접촉의 위치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온도센서(19a)의 선단이 빵용기(50)에 비접촉의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제2 온도검지부(19)는 온도센서(19a)의 선단위치의 전환에 의해서, 소성실(40) 내의 온도(이것은 본 발명의 용기 주변의 온도의 일례임)와 빵용기(50)의 온도를 전환하여 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혼련모터 구동회로(82)는 제어장치(81)로부터의 지령하에서 혼련모터(60)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로이다. 또, 분쇄모터 구동회로(83)는 제어장치(81)로부터의 지령하에서 분쇄모터(64)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로이다. 히터 구동회로(84)는 제어장치(81)로부터의 지령하에서 시즈 히터(41)의 동작을 제어하는 회로이다.
제어장치(81)는 조작부(20)로부터의 입력신호에 근거하여 ROM 등에 격납된 빵의 제조코스(제빵코스)에 관한 프로그램을 읽어내고, 혼련모터 구동회로(82)를 통하여 혼련블레이드(72)의 회전, 분쇄모터 구동회로(83)를 통하여 분쇄블레이드(54)의 회전, 히터 구동회로(84)를 통하여 시즈 히터(41)에 의한 가열동작을 제어하면서, 자동제빵기(1)에 빵의 제조공정을 실행시킨다. 또, 제어장치(81)에는 시간계측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빵의 제조공정에서의 시간적인 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어장치(81)는 본 발명의 제어부의 실시형태이다. 또, 혼련블레이드(72), 혼련모터(60) 및 혼련모터 구동회로(82)는 혼련수단(혼련부)의 일례이다. 또, 분쇄블레이드(54), 분쇄모터(64) 및 분쇄모터 구동회로(83)는 분쇄수단(분쇄부)의 일례이다. 또, 시즈 히터(41) 및 히터 구동회로(84)는 가열수단(가열부)의 일례이다. 또, 제1 온도검지부(18) 및 제2 온도검지부(19)는 본 발명의 온도검지부의 실시형태이다. 또, 부풀어 오름 검지부(42)는 본 발명의 부풀어 오름 검지부의 실시형태이다.
(자동제빵기의 동작)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1)는 소맥분이나 미분으로부터 빵을 제조하는(굽는) 제빵코스에 더하여, 미립(곡물알갱이의 한 형태)으로부터 빵을 제조하는(굽는) 제빵코스(미립용 제빵코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미립용 제빵코스를 실행하는 경우의 제어동작을 예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한다.
도 9는 제1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에서의 미립용 제빵코스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9에서 온도는 빵용기(50)의 온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립용 제빵코스에서는 분쇄전 흡수공정(분쇄전 흡액공정의 한 형태)과, 분쇄공정과, 분쇄후 흡수공정(분쇄후 흡액공정의 한 형태)과, 반죽(빚음)공정과, 발효공정과, 소성공정이 이 순서로 순차적으로 실행된다.
미립용 제빵코스를 실행할 때, 사용자는 빵용기(50)에 분쇄블레이드(54)와 혼련블레이드(72)가 부착된 커버(70)를 장착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미립과 물을 각각 소정량씩 계량(일례로서 미립 220g, 물 210g)하여 빵용기(50)에 넣는다. 또한, 여기에서는 미립과 물이 혼합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단순한 물 대신에, 예를 들면, 맛국물과 같은 맛성분을 가지는 액체, 과즙, 알코올을 함유하는 액체 등이 이용되어도 된다. 사용자는 미립과 물을 투입한 빵용기(50)를 소성실(40)에 넣어 덮개(30)를 닫고, 조작부(20)에 의해서 미립용 제빵코스를 선택하며, 스타트키를 누른다. 이것에 의해, 미립으로부터 빵을 제조하는 미립용 제빵코스가 개시된다.
분쇄전 흡수공정은 미립에 물(액체의 한 형태)을 포함시키는 것에 의해서, 그 후에 행해지는 분쇄공정에서 미립을 심까지 분쇄하기 쉽게 하는 것을 지향하는 공정이다. 제어장치(81)는 분쇄전 흡수공정을 개시할 때, 솔레노이드(19b)를 구동시켜 온도센서(19a)의 선단을 빵용기(50)에 접촉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어장치(81)는 온도센서(19a)를 통하여 빵용기(50)의 온도를 검지한다. 또한, 빵용기(50)의 온도를 검지하는 타이밍은, 예를 들면, 스타트키를 누른 즉시의 타이밍이라도 되고, 잠시 경과하고 나서라도 된다.
그리고, 제어장치(81)는 검지한 빵용기(50)의 온도와, 용기온도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한 분쇄전 흡수공정의 시간을 나타내는 테이블(도 10 참조)로부터 분쇄전 흡수공정의 시간을 결정한다. 이 테이블은, 예를 들면 제어장치(81)의 ROM에 기억되어 있다. 미립의 흡수속도는 물의 온도에 의해서 변동하며, 수온이 높으면 흡수속도가 높아지고, 수온이 낮으면 흡수속도가 저하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와 같이, 빵용기(50)의 온도(수온을 반영한 온도를 나타냄)가 높은 경우에는 분쇄전 흡수공정의 시간을 짧게 하고, 빵용기(50)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분쇄전 흡수공정의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미립의 흡수 정도의 편차가 억제된다.
또한, 도 10의 테이블은 품질이 좋은 빵을 얻을 수 있도록 미리 실험에 의해서 구한 것이지만, 단순한 일례이며,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0에서는 5℃마다 분쇄전 흡수공정의 시간을 변경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 온도간격은 크게 해도 되고, 작게 해도 된다. 또, 온도의 상한이나 하한도 적절히 정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빵용기(50)의 온도에 근거하여 분쇄전 흡수공정의 시간이 결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취지는 아니다. 즉, 예를 들면 빵용기(50)에 들어간 빵원료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이 온도에 근거하여 분쇄전 흡수공정의 시간이 결정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계절에 따라 사용하는 물이 차가와지거나 따뜻해지거나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외기온도나 소성실(40)의 온도(빵용기(50) 주변의 온도)에 근거하여 분쇄전 흡수공정의 시간이 결정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빵용기(50) 내의 수온이 적절히 반영되지 않아, 미립의 흡수 정도에 편차가 발생하는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빵용기(50)의 온도나 빵용기(50) 내의 빵원료의 온도에 근거하여 분쇄전 흡수공정의 시간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분쇄전 흡수공정에서는 그 초기단계에서 분쇄블레이드(54)를 회전시키고, 그 후에도 단속적으로 분쇄블레이드(54)를 회전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미립의 표면에 흠집을 낼 수 있어, 미립의 흡액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정된 분쇄전 흡수공정의 시간이 경과하면(분쇄전 흡수공정이 종료함), 제어장치(81)의 지령에 의해서, 미립을 분쇄하는 분쇄공정이 실행된다. 이 분쇄공정에서는 미립과 물과의 혼합물 중에서 분쇄블레이드(54)가 고속회전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장치(81)는 분쇄모터(64)를 제어하여 블레이드 회전축(52)을 역방향 회전시키고, 미립과 물과의 혼합물 중에서 분쇄블레이드(54)의 회전을 개시시킨다. 또한, 이 때, 커버(70)도 블레이드 회전축(52)의 회전에 추종하여 회전을 개시하지만, 다음과 같은 동작에 의해서 커버(70)의 회전은 곧바로 저지된다.
분쇄블레이드(54)를 회전시키기 위한 블레이드 회전축(52)의 회전에 수반하는 커버(70)의 회전 방향은 도 5에서 시계방향이며, 혼련블레이드(72)는 그 때까지 접음 자세(도 5에 나타내는 자세)였을 경우에는 미립과 물의 혼합물로부터 받는 저항으로 열림 자세(도 6에 나타내는 자세)로 변한다. 혼련블레이드(72)가 열림 자세가 되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러치(76)는 제2 맞물림체(76b)가 제1 맞물림체(76a)의 회전궤도로부터 일탈하기 때문에, 블레이드 회전축(52)과 커버(70)의 연결을 끊는다. 동시에, 열림 자세가 된 혼련블레이드(72)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빵용기(50)의 내측벽에 닿기 때문에, 커버(70)의 회전은 저지된다.
분쇄공정에서의 미립의 분쇄는, 먼저 행해지는 분쇄전 흡수공정에 의해서 미립에 물이 침입된 상태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미립을 심까지 용이하게 분쇄할 수 있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에서 실행되는 분쇄공정의 상세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도 11을 참조하면서, 이하 분쇄공정의 상세 플로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분쇄공정의 개시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장치(81)는 분쇄모터(64)를 제어하여 분쇄블레이드(54)의 회전을 개시시킨다(스텝 S1). 이 분쇄블레이드(54)의 회전개시와 거의 동시에, 제어장치(81)는 시간측정 및 분쇄모터(64)에 공급되는 제어전류의 값의 감시를 개시한다(스텝 S2). 또한, 분쇄모터(64)에 공급되는 제어전류의 값은 분쇄모터(64)의 부하와 상관관계가 있는 파라미터의 일례이다. 그리고, 분쇄모터(64)의 부하를 감시하는 것은 빵용기(50)에 투입된 미립의 분쇄상태를 검지하는 것을 지향한 것이다.
분쇄모터(64)의 제어전류값의 감시가 개시되면, 제어장치(81)는, 우선, 전류값이 소정 레벨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3). 여기서, 소정 레벨은 품질이 좋은 빵을 굽기 위한 바람직한 조건으로서, 미리 실험에 의해서 결정한 값(전류값)이며, 예를 들면 제어장치(81)의 ROM에 기억되어 있다. 전류값이 소정 레벨에 도달하고 있는 경우(스텝 S3에서 예)에는, 제어장치(81)는 분쇄블레이드(54)의 회전을 정지(스텝 S4)하여, 분쇄공정을 종료시킨다.
한편, 전류값이 소정 레벨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스텝 S3에서 아니오)에는, 제어장치(81)는 분쇄블레이드(54)의 회전시간이 1분을 경과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5). 회전시간이 1분을 경과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5에서 아니오)에는 스텝 S3으로 돌아오고, 상술의 동작이 반복된다. 한편, 회전시간이 1분을 경과해 있는 경우(스텝 S5에서 예)에는, 제어장치(81)는 분쇄블레이드(54)의 회전을 정지시킨다(스텝 S6). 제어장치(81)는 분쇄블레이드(54)의 회전정지기간이 3분을 경과할 때까지 기다리고(스텝 S7), 그 후, 분쇄블레이드(54)의 회전을 재개시킨다(스텝 S8). 그 후는, 스텝 S3로 돌아와, 상술의 동작이 반복된다.
이와 같이 분쇄공정을 진행시키는 경우, 자동제빵기(1)가 놓이는 환경의 변동이나 사용하는 미립의 딱딱함의 편차 등이 있어도 분쇄공정 후의 물과 분쇄가루의 혼합물 상태(분쇄가루 상태)를 거의 일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자동제빵기(1)는 빵의 품질의 편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1)에서는 분쇄블레이드(54)의 회전이 개시되자마자 분쇄모터(64)의 제어전류값이 소정 레벨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취지는 아니다. 즉, 예를 들면 분쇄블레이드(54)의 회전을 개시한 초기단계는 전류값이 불안정하게 되기 쉽다. 이 때문에, 제어전류값이 소정 레벨에 도달했는지 여부의 확인은 소정 기간 경과 후부터 개시되도록 해도 된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제어전류값이 언제까지나 소정 레벨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의 대책으로서, 예를 들면, 분쇄개시부터 소정시간 경과해 있는 경우에는, 제어전류값이 소정 레벨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라도 분쇄공정이 종료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 다른 대책으로서, 예를 들면 에러표시 등으로 이상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분쇄공정이 중단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쇄블레이드(54)의 회전은 회전(1분간)과 정지(3분)를 반복하는 간헐회전으로 되고, 분쇄모터(64)의 제어전류값이 소정 레벨에 도달하면, 회전동작을 정지하여 분쇄공정이 종료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분쇄블레이드(54)의 회전기간이나 정지기간은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또, 분쇄블레이드(54)의 회전은 간헐회전이 아니고, 연속회전으로 해도 된다. 단, 간헐회전으로 함으로써, 미립을 대류시켜 고르게 미립의 분쇄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분쇄블레이드(54)의 회전은 간헐회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쇄모터(64)의 부하를 이용하여 미립의 분쇄상태를 검지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분쇄모터(64)의 부하와 상관관계가 있는 파라미터로서, 분쇄모터(64)에 공급되는 제어전류값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구성에 한정되는 취지가 아니고, 분쇄모터(64)의 부하와 상관관계가 있는 파라미터로서 예를 들면 분쇄모터(64)의 토크, 분쇄모터(64) 구동시의 전력값, 분쇄모터(64)의 온도변화 등이 이용되어도 상관없다. 요는 분쇄모터(64)의 부하와 상관관계가 있는 파라미터로서, 그 파라미터를 감시함으로써 분쇄상태를 검지할 수 있는 것을 선택하면 된다.
또, 분쇄공정시에서는 빵용기(50)의 진동이 크기 때문에, 제2 온도검지부(19)의 온도센서(19a)는 빵용기(50)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온도센서(19a) 및 빵용기(5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쇄공정에서는 분쇄시의 마찰열에 의해 빵용기(50)의 온도(빵용기(50) 내의 분쇄가루의 온도)가 상승한다. 그리고, 빵용기(50)의 온도는 예를 들면 40 ~ 45℃정도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스트를 투입하여 빵생지의 제작을 행하면, 이스트가 반응하지 않아 품질이 좋은 빵을 제조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점 등을 고려하여, 자동제빵기(1)에서는 분쇄공정의 후에 미립의 분쇄가루를 물에 침지(浸漬)한 상태로 방치하는 분쇄후 흡수공정이 마련되어 있다.
이 분쇄후 흡수공정은 미립의 분쇄가루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냉각기간임과 동시에, 분쇄가루에 더욱 물을 흡수시켜 미립자의 양을 늘리는 역할도 담당하는 공정이다. 이와 같이, 미립자를 늘림으로써, 결이 가는 빵을 굽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분쇄후 흡수공정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시간만 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되지만,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예를 들면 환경온도의 영향 등에 의해서, 다음에 행하는 반죽공정의 개시시에서의 빵용기(50)(빵원료)의 온도에 편차가 생겨, 품질이 좋은 빵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하나의 대책으로서, 제1 온도검지부(18)(외기온도를 검지함) 혹은 제2 온도검지부(19)(온도센서(19a)의 선단을 빵용기(50)에 접촉시키지 않는 상태로 한다. 즉, 빵용기(50) 주변의 온도(소성실(40) 내의 온도)를 검지하는 모드로 사용)에 의해서, 예를 들면 분쇄공정의 종료시(경우에 따라서는 분쇄공정의 개시 전이라도 됨)에 환경온도를 검지하고, 이 환경온도에 근거하여 분쇄후 흡수공정의 시간이 결정되도록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분쇄후 흡수공정이 종료한 단계에서의 빵용기(50)의 온도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미리 실험에 의해, 환경온도와, 분쇄공정 후의 빵용기(50)의 온도가 최적인 온도(예를 들면 28℃ ~ 30℃정도)가 되는 시간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테이블을 작성하고, 이 테이블을 제어장치(81)의 ROM에 기억시켜 둔다. 예를 들면, 도 10의 테이블과 마찬가지로, 일정 범위의 환경온도에 대해서, 5℃ 간격으로 최적인 흡수시간을 조사하여 기억시켜 둔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환경온도를 검지하고, 검지된 온도와 미리 제어장치(81)의 ROM에 기억시켜 둔 테이블로부터 결정된 시간에서 분쇄후 흡수공정이 실행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분쇄후 흡수공정의 경우는, 환경온도가 높은 경우에 공정시간을 길게 하고, 환경온도가 낮은 경우에 공정시간을 짧게 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1)에서는, 분쇄후 흡수공정은 상기의 수법이 아니고, 도 12에 나타내는 다른 수법으로 분쇄후 흡수공정의 공정시간을 적절히 변동시켜 분쇄후 흡수공정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이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분쇄공정이 종료하면, 제어장치(81)는 제1 온도검지부(18)에 의해서 외기온도를 검지한다(스텝 S11). 검지된 외기온도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12). 소정의 온도는 반죽공정을 개시할 때 바람직한 온도이며, 예를 들면 28℃ 이상 30℃ 이하의 온도로 설정된다.
외기온도가 소정의 온도 이하인 경우(스텝 S12에서 예)에는, 제어장치(81)는 제2 온도검지부(19)에 의해서 빵용기(50)의 온도를 검지한다(스텝 S13). 또한, 여기에서는 제2 온도검지부(19)의 온도센서(19a)의 선단이 빵용기(50)에 접촉한 상태에서 온도검지를 행한다. 그리고, 제어장치(81)는 검지된 빵용기(50)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14).
검지된 빵용기(50)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 이하인 경우(스텝 S14에서 예)에는, 제어장치(81)는 분쇄후 흡수공정이 개시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제1 시간(예를 들면 30분)이 경과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15). 이 제1 시간은 분쇄후 흡수공정의 시간이 너무 짧아 지지 않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분쇄후 흡수공정은 분쇄공정에서 얻어진 분쇄가루에 더욱 물을 흡수시킴으로써, 분쇄가루의 미립자의 양을 증가시키는 역할도 담당한다. 이 때문에, 분쇄후 흡수공정이 너무나 짧아지면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제1 시간은 설정되어 있다. 단, 제1 시간을 너무 길게 설정하면, 분쇄가루의 냉각이 너무 진행되어서, 반죽공정 개시시의 온도편차의 요인도 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1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시간을 경과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스텝 S15는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상관없다.
분쇄후 흡수공정이 개시되고 나서 제1 시간이 경과해 있는 경우(스텝 S15에서 예)에는, 제어장치(81)는 분쇄후 흡수공정을 종료한다. 한편, 분쇄후 흡수공정이 개시되고 나서 제1 시간이 경과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5에서 아니오)에는, 제어장치(81)는 제1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려, 분쇄후 흡수공정을 종료한다.
검지된 빵용기(50)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보다 높은 경우(스텝 S14에서 아니오)에는, 제어장치(81)는 분쇄후 흡수공정이 개시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제2 시간(제1 시간보다 긴 시간이며, 예를 들면 60분)이 경과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16). 그리고, 제2 시간을 경과해 있는 경우(스텝 S16에서 예)에는 빵용기(50)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고 있지 않아도 분쇄후 흡수공정을 종료한다. 한편, 제2 시간을 경과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6에서 아니오)에는 스텝 S13으로 돌아와, 스텝 S13 이후의 동작을 행한다.
분쇄후 흡수공정의 개시부터 제2 시간을 경과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스텝 S16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해 마련된다. 즉, 빵용기(50)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까지 내리는데에 매우 긴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상정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언제까지나 반죽공정을 개시하지 않으면 빵의 제조시간이 현저하게 길어져, 사용자가 불편하게 느낄 가능성도 있다. 이 때문에, 분쇄후 흡수공정의 시간이 너무 길어지지 않도록 흡수시간의 상한으로서 제2 시간이 설정되어 있다. 단, 이 스텝 S16은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빵용기(50)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가 될 때까지 기다려, 분쇄후 흡수공정을 종료하게 된다.
그런데, 외기온도가 소정의 온도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분쇄후 흡수공정에서 빵용기(50)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까지 내리는 것은 무리이다. 이 때문에, 이 경우에는 원칙으로서 외기온도까지 내린 시점에서 분쇄후 흡수공정을 종료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다음과 같이 처리된다.
즉, 스텝 S12에서 외기온도가 소정의 온도보다 높은 경우(스텝 S12에서 아니오), 제어장치(81)는 제2 온도검지부(19)에 의해서 빵용기(50)의 온도를 검지한다(스텝 S17). 그리고, 제어장치(81)는 검지된 빵용기(50)의 온도가 외기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18).
검지된 빵용기(50)의 온도가 외기온도 이하인 경우(스텝 S18에서 예)에는, 제어장치(81)는 분쇄후 흡수공정이 개시되고 나서 제1 시간이 경과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19). 이 제1 시간은 스텝 S15의 경우와 동일한 취지로 정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스텝 S15와 마찬가지로 스텝 S19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분쇄후 흡수공정이 개시되고 나서 제1 시간이 경과해 있는 경우(스텝 S19에서 예)에는, 제어장치(81)는 분쇄후 흡수공정을 종료한다. 한편, 분쇄후 흡수공정이 개시되고 나서 제1 시간이 경과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9에서 아니오)에는, 제어장치(81)는 제1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려, 분쇄후 흡수공정을 종료한다.
검지된 빵용기(50)의 온도가 외기온도보다 높은 경우(스텝 S18에서 아니오)에는, 제어장치(81)는 분쇄후 흡수공정이 개시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제2 시간이 경과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20). 그리고, 제2 시간을 경과해 있는 경우(스텝 S20에서 예)에는 빵용기(50)의 온도가 외기온도에 도달하고 있지 않아도 분쇄후 흡수공정을 종료한다. 한편, 제2 시간을 경과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20에서 아니오)에는 스텝 S17로 돌아와, 스텝 S17 이후의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스텝 S20을 마련하는 취지는 스텝 S16을 마련하는 취지와 동일하다. 스텝 S20은 스텝 S16과 마찬가지로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상관없다. 이 경우에는 빵용기(50)의 온도가 외기온도가 될 때까지 기다려, 분쇄후 흡수공정을 종료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빵용기(50)의 온도에 근거하여 분쇄후 흡수공정의 시간을 변동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빵용기(50) 내의 빵원료 온도에 근거하여 분쇄후 흡수공정의 시간을 변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쇄후 흡수공정에 필요로 하는 시간(분쇄후 흡수공정의 종료시기)이 분쇄후 흡수공정중에 적절히 검지되는 빵용기(50)의 온도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구성으로 했다. 이것에 대신하여, 분쇄후 흡수공정의 개시시에, 예를 들면 외기온도 및 빵용기(50)의 온도를 검지하고, 외기온도에 의해서 예상되는 빵용기(50)의 온도저하율(미리 실험에 의해서 구해 둘 필요가 있음)과 빵용기(50)의 온도로부터 분쇄후 흡수공정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결정되는 구성 등으로 하여도 상관없다.
분쇄후 흡수공정이 종료하면, 이어서 반죽공정이 행해진다. 반죽공정의 개시시에는, 글루텐이나, 식염, 설탕, 쇼트닝이라고 하는 조미료가 각각 소정량(일례로서 글루텐 50g, 설탕 16g, 소금 4g, 쇼트닝 10g) 빵용기(50)에 투입된다. 이 투입은,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에 의해서 행해져도 되고, 자동투입장치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손을 번거롭게 하는 일 없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글루텐은 빵원료로서 필수인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기호에 따라 빵원료에 더할지 여부를 판단해도 된다. 또, 글루텐 대신에 증점(增粘)안정제(예를 들면 구아검(guar gum))를 투입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반죽공정의 개시에서는, 제어장치(81)는 혼련모터(60)를 제어하여 블레이드 회전축(52)을 정방향 회전시킨다. 이 블레이드 회전축(52)의 정방향 회전에 추종하여 커버(70)가 정방향(도 6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빵용기(50) 내의 빵원료로부터의 저항을 받아 혼련블레이드(72)가 열림 자세(도 6 참조)로부터 접음 자세(도 5 참조)로 변한다. 이것을 받아 클러치(76)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맞물림체(76b)가 제1 맞물림체(76a)의 회전궤도에 간섭하는 각도가 되어, 블레이드 회전축(52)과 커버(70)를 연결한다. 이것에 의해, 커버(70)와 혼련블레이드(72)는 블레이드 회전축(52)과 일체가 되어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혼련블레이드(72)의 회전은 저속·고토크로 된다.
혼련블레이드(72)의 회전에 의해서 빵원료는 혼련되고, 소정의 탄력을 가지는 하나로 연결된 생지(dough)에 반죽되어 간다. 혼련블레이드(72)가 생지를 휘저어 빵용기(50)의 내벽에 내팽개침으로써, 혼련에 「빚음」의 요소가 더해지게 된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에서 실행되는 반죽공정의 상세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도 13을 참조하면서, 이하 반죽공정의 상세 플로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분쇄후 흡수공정이 종료하여, 빵용기(50)에 글루텐이나 조미료가 투입되면, 제어장치(81)는 혼련모터(60)를 제어하여 혼련블레이드(72)의 회전을 개시시킨다(스텝 S21). 또, 이 혼련블레이드(72)의 회전개시와 거의 동시에, 제어장치(81)는 시간측정을 개시한다(스텝 S22). 시간측정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빵용기(50) 내의 빵원료를 혼련블레이드(72)에 의해서 혼련한다(스텝 S23). 또한, 정확하게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사이의 혼련블레이드(72)의 회전은 간헐회전이다. 단, 그 사이의 혼련블레이드(72)의 회전은 연속회전으로 하여도 된다.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제어장치(81)는 혼련블레이드(72)의 회전을 정지시킨다(스텝 S24). 그리고, 이 혼련블레이드(72)가 정지되고 있는 동안에, 이스트(예를 들면 드라이 이스트)의 투입이 행해진다. 이 이스트는 사용자에 의해서 투입되도록 해도 되고, 자동투입장치를 마련하여 자동투입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스트를 글루텐 등과 함께 투입하지 않는 것은 이스트(드라이 이스트)와 물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가능한 한 피함과 아울러, 이스트의 비산(飛散)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단, 경우에 따라서는 이스트와 글루텐 등이 동시에 투입되도록 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혼련블레이드(72)를 정지한 상태에서 이스트가 투입되도록 되어 있지만, 혼련블레이드(72)를 회전하면서 이스트가 투입되도록 하여도 된다.
혼련블레이드(72)가 정지되어 있는 기간에 이스트가 투입되면, 제어장치(81)는 혼련블레이드(72)의 회전을 재개시킴과 아울러, 혼련모터(60)에 공급되는 제어전류의 값의 감시를 개시한다(스텝 S25).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스트 투입 후의 혼련블레이드(72)의 회전은 연속회전으로 하고 있다. 혼련블레이드(72)가 회전되면, 제어장치(81)는 전류값이 소정 레벨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26). 이 확인은 전류값이 소정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행해진다. 그리고, 제어장치(81)는 전류값이 소정의 레벨에 도달한 단계에서 혼련블레이드(72)의 회전을 정지하여(스텝 S27), 반죽공정을 종료한다.
또한, 소정 레벨은 품질이 좋은 빵을 굽기 위한 바람직한 조건으로서, 미리 실험에 의해서 결정한 값(전류값)이며, 예를 들면 제어장치(81)의 ROM에 기억되어 있다. 또, 혼련모터(60)에 공급되는 제어전류의 값은 혼련모터(60)의 부하와 상관관계가 있는 파라미터의 일례이며, 그 외, 예를 들면 혼련모터(60)의 토크, 혼련모터(60) 구동시의 전력값, 혼련모터(60)의 온도변화 등이 상기 파라미터로서 이용되어도 상관없다. 또한, 혼련모터(60)의 부하를 감시하는 것은 빵용기(50)의 빵생지 상태를 검지하는 것을 지향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1)에서는 혼련블레이드(72)의 회전이 재개되자마자 혼련모터(60)의 제어전류값이 소정 레벨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취지는 아니다. 즉, 예를 들면 혼련블레이드(72)의 회전을 재개한 초기단계는 전류값이 불안정하게 되기 쉽다. 이 때문에, 제어전류값이 소정 레벨에 도달했는지 여부의 확인은 소정 기간 경과 후부터 개시되도록 해도 된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제어전류값이 언제까지나 소정 레벨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의 대책으로서, 예를 들면, 혼련블레이드(72)의 회전 재개로부터 소정시간 경과해 있는 경우에는 제어전류값이 소정 레벨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라도 반죽공정이 종료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 다른 대책으로서 예를 들면 에러표시 등으로 이상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반죽공정이 중단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 자동제빵기(1)에서는, 이 반죽공정에서 제어장치(81)는 시즈 히터(41)를 제어하여 소성실(40)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예를 들면 32℃ 등)가 되도록 조정하고 있다. 이 경우, 제2 온도검지부(19)의 온도센서(19a)의 선단은 빵용기(50)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빵용기(50)의 진동이 큰 반죽공정에서 온도센서(19a) 및 빵용기(50)의 손상은 발생하기 어렵다. 또, 속재료(예를 들면 건포도 등)가 들어간 빵을 굽는 경우에는 이 반죽공정의 도중에 속재료가 투입되도록 하면 된다.
반죽공정이 종료하면, 제어장치(81)의 지령에 의해서 이어서 발효공정이 실행된다. 이 발효공정에서는, 제어장치(81)는 소성실(40)의 온도가 발효에 적절한 온도(발효온도)가 되도록 시즈 히터(41)를 제어한다. 또한, 자동제빵기(1)가 놓이는 장소의 환경온도(외기온도)에 의해서 발효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알고 있다. 이 때문에, 발효공정의 시간을 소정의 시간으로 고정하고 있으면, 빵생지의 발효상태에 편차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자동제빵기(1)에서는, 제어장치(81)는 도 14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발효공정을 실행시키고, 발효공정의 공정시간을 적절히 변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우선, 반죽공정이 종료하면, 제어장치(81)는 소성실(40)의 온도의 검지를 개시함과 아울러, 시즈 히터(41)를 제어하여, 소성실(40)의 온도가 미리 결정한 발효온도(예를 들면 38℃ 등)가 되도록 온도제어를 개시한다(스텝 S31). 또한, 소성실(40)의 온도의 검지는 제2 온도검지부(19)의 솔레노이드(19b)의 구동을 정지하여 온도센서(19a)가 빵용기(50)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행해진다.
또, 제어장치(81)는 소성실(40)의 온도검지 및 온도제어개시와 거의 동시에 시간계측을 개시한다(스텝 S32). 그리고, 제어장치(81)는 소성실(40)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가 될 때까지, 소성실(40)의 온도를 감시한다(스텝 S33). 또한, 여기서의 소정의 온도는, 예를 들면 38℃이다. 소성실(40)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가 되면, 다음으로, 제어장치(81)는 빵생지가 빵용기(5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예를 들면 5㎜)에 도달하고 있는지 여부를 부풀어 오름 검지부(42)에 의해서 확인한다(스텝 S34).
빵생지가 빵용기(5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예를 들면 5㎜)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스텝 S34에서 예)에는, 제어장치(81)는 소성실(40)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가 되고 나서 미리 정한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50분)을 경과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35). 소정의 시간이 경과해 있는 경우(스텝 S35에서 예)에는 발효공정을 종료시킨다. 한편, 소정의 시간을 경과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35에서 아니오)에는 스텝 S34로 돌아온다. 또한, 소성실(40)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가 되고 나서 발효공정의 종료까지는, 제어장치(81)는 소성실(40)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로 유지되도록 시즈 히터(41)를 제어한다.
그런데, 스텝 S34에서 빵생지가 빵용기(5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도달하고 있는 경우(스텝 S34에서 아니오)에는, 제어장치(81)는 소성실(40)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가 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고 있지 않아도, 발효공정을 강제적으로 종료시켜, 다음의 소성공정을 실행시킨다. 이것은 빵생지의 너무 부풀어 오름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상과 같이 발효공정이 행해지면, 소정의 온도에서의 빵생지의 발효시간을 자동제빵기(1)가 놓인 환경에 의하지 않고 일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빵생지의 발효가 예상 이상으로 빠르게 진행된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부풀어 오름 검지부(42)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발효공정을 소정의 시간 도중에 종료시켜, 소성공정으로 진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발효공정에서의 문제점이 원인이 되어 품질이 나쁜 빵이 제조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발효공정에서 빵생지가 자동제빵기(1)의 덮개(30)의 이면 측에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1)에서는 소성실(40)의 온도(빵용기(50) 주변의 온도)를 검지함으로써 발효공정의 종료판단이 행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빵용기(50)의 온도, 빵용기(50) 내의 빵원료 온도(보다 정확하게는 빵생지온도)를 검지함으로써, 발효공정의 종료판단이 행해지도록 하여도 된다.
또, 발효공정은, 이상에 나타낸 플로우와는 다른 플로우로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미리 실험에 의해, 외기온도와 발효공정의 최적 시간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테이블을 작성해 두고, 발효공정의 개시에 이르러 외기온도를 검지(제1 온도검지부(18)에 의함)하도록 한다. 그리고, 검지된 외기온도와 테이블(예를 들면 제어장치(81)의 ROM에 기억됨)로부터 발효공정의 시간(예를 들면 50분 ~ 70분의 범위의 시간)이 결정되도록 한다. 이 결정된 시간만큼 발효공정이 행해지도록 한다. 외기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발효공정은 짧아지고, 외기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발효공정은 길어진다. 이 경우에서도 부풀어 오름 검지부(42)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예외적으로 결정된 시간의 도중에 발효공정이 강제종료되는 경우가 있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이 발효공정의 도중에 가스빼기나 생지를 마는 처리가 행해지도록 해도 상관없다.
발효공정이 종료하면, 제어장치(81)의 지령에 의해서 이어서 소성공정이 실행된다. 제어장치(81)는 시즈 히터(41)를 제어하여, 소성실(40)의 온도를 빵굽기를 행하는데 적합한 온도(예를 들면 125℃)까지 상승시키고, 소성환경하에서 소정의 시간(본 실시형태에서는 50분) 빵굽기를 실행시킨다. 소성공정의 종료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조작부(20)의 도시하지 않은 액정표시패널에서의 표시나 알림음 등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알려진다. 사용자는 제빵완료를 검지하면, 덮개(30)를 열어 빵용기(50)를 취출한다.
또한, 이 소성공정에서도 자동제빵기(1)가 놓이는 환경온도(외기온도)에 의해서, 빵을 굽는데 적합한 온도에까지 도달하는 시간에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이 소성공정에서도 외기온도에 근거하여 소성공정의 시간이 변동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1)에 의하면, 미립으로부터 빵을 굽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다. 그리고, 자동제빵기(1)가 놓이는 환경온도의 변동이나, 사용하는 미립의 딱딱함의 편차 등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또한, 발효공정에서의 빵생지가 너무 부풀어 오르는 것이 방지되도록, 미립용 제빵코스는 연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자동제빵기(1)는 미립으로부터 품질이 좋은 빵을 안정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2.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에 대해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5는 제2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에서의 미립용 제빵코스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에서 실행되는 발효공정의 상세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제2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효공정에서의 동작(도중에 가스빼기가 행해지는 경우가 있음)이 제1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1)와 다르다. 이 점을 제외하고, 제2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는 제1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1)와 동일하다. 이하, 이 다른 발효공정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에 대해서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1)와 중복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죽공정이 종료하면, 제어장치(81)는, 우선, 시즈 히터(41)를 제어하여, 소성실(40)의 온도가 미리 정한 발효온도(예를 들면 38℃ 등)가 되도록 온도제어를 개시함과 아울러, 시간계측을 개시한다. 또, 이들과 대략 동시에 부풀어 오름 검지부(42)의 감시를 개시한다(스텝 N31). 또한, 발효공정에서의 소성실(40)의 온도검지는 제2 온도검지부(19)의 솔레노이드(19b)의 구동을 정지하여 온도센서(19a)가 빵용기(50)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행해진다.
다음으로, 제어장치(81)는 발효공정 개시부터 제1 소정시간이 경과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한다(스텝 N32). 이 제1 소정시간은 이대로의 상태로 빵생지의 발효가 계속되면 빵생지에 큰 공동이 생겨 버려 양질의 빵을 얻을 수 없을 가능성이 높아지는 시간으로서 실험에 의해서 구해지는 시간이다. 제2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에서는 이 제1 소정시간이 60분으로 되어 있지만, 이 시간은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제1 소정시간이 경과해 있지 않은 경우(스텝 N32에서 예)에는, 제어장치(81)는 부풀어 오름 검지부(42)가 검지상태인(빵생지가 소정의 높이(예를 들면 빵용기(50)의 상면으로부터 5㎜의 높이)까지 부풀어 올라 있는 상태임)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N33). 부풀어 오름 검지부(42)가 검지상태인 경우(스텝 N33에서 예)에는, 제어장치(81)는 빵생지가 알맞게 좋은 상태로 발효하고, 그 이상 발효를 계속하면 빵생지가 너무 부풀어 올라서 상태가 나쁘다(예를 들면, 큰 공동이 발생하거나 빵생지가 덮개(30)에 부착해 버리거나 하는 등)라고 판단하여 발효공정을 종료시킨다(스텝 N34). 한편, 부풀어 오름 검지부(42)가 검지상태가 아닌(빵생지가 소정의 높이까지 부풀어 오르지 않은 상태임) 경우(스텝 N33에서 아니오)에는, 제어장치(81)는 스텝 32로 돌아와 반복처리를 행한다.
제1 소정시간이 경과해 있는 경우(스텝 N32에서 아니오)에는, 제어장치(81)는 제2 소정시간이 경과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한다(스텝 N35). 이 제2 소정시간은 빵생지가 알맞게 좋은 상태로 발효하기(부풀어 오름 검지부(42)에 의해서 검지되는 상태까지 빵생지가 부풀어 오른 상태가 됨)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발효공정 개시부터의 시간)으로서, 아무리 길게 걸리는 경우라도 통상은 이 시간을 넘지 않으려는 기준으로 결정되는 시간이며, 실험적으로 구해지는 것이다. 제2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에서는 이 제2 소정시간이 80분으로 되어 있지만, 이 시간은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제2 소정시간이 경과해 있지 않은 경우(스텝 N35에서 예)에는, 제어장치(81)는 부풀어 오름 검지부(42)가 검지상태인(빵생지가 소정의 높이까지 부풀어 올라 있는 상태임)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N36). 부풀어 오름 검지부(42)가 검지상태인 경우(스텝 N36에서 예)에는, 제어장치(81)는 혼련모터(60)를 제어하여 혼련블레이드(72)를 매우 천천히 한 속도(예를 들면 10.8rpm)로 단시간(예를 들면 10초) 회전시켜, 빵생지에 모인 가스를 빼는 가스빼기를 행한다(스텝 N37). 이것에 의해, 빵생지는 오므라들어 소정의 높이(예를 들면 빵용기(50)의 상면으로부터 5㎜의 높이)보다 낮아진다. 한편, 부풀어 오름 검지부(42)가 검지상태가 아닌 경우(스텝 N36에서 아니오)에는, 제어장치(81)는 스텝 35로 돌아와 반복처리를 행한다.
제1 소정시간을 경과한 후에 제2 소정시간을 경과하기까지, 부풀어 오름 검지부(42)에서 검지된 빵생지에는 가스가 모여 큰 공동이 형성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빵을 구우면 내부에 큰 공동을 가지는 빵이 구워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 때문에, 빵 내부에 큰 공동이 형성되지 않도록, 발효공정의 도중에 가스빼기를 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가스빼기를 행할 때에, 혼련블레이드(72)를 고속으로 회전하면 빵생지가 붕괴되어 버려, 부드럽게 부푼 빵을 굽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와 같이, 가스빼기에서의 혼련블레이드(72)의 회전은 저속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 그 시간도 단시간이 바람직하다.
가스빼기를 행한 후에는 가스빼기가 종료한 시점으로부터 제3 소정시간이 경과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한다(스텝 N38). 이 제3 소정시간은 가스빼기를 행한 후의 빵생지가 알맞게 좋은 상태로 부풀어 오르기(부풀어 오름 검지부(42)에 의해서 검지되는 상태까지 빵생지가 부풀어 오름)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가스빼기 후로부터의 시간)으로서, 아무리 길게 걸리는 경우라도 통상은 이 시간을 넘지 않으려는 기준으로 결정되는 시간이며, 실험적으로 구해지는 것이다. 제2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에서는 이 제3 소정시간이 50분으로 되어 있지만, 이 시간은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제3 소정시간이 경과해 있지 않은 경우(스텝 N38에서 예)에는, 제어장치(81)는 부풀어 오름 검지부(42)가 검지상태인(빵생지가 소정의 높이까지 부풀어 올라 있는 상태임)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N39). 부풀어 오름 검지부(42)가 검지상태인 경우(스텝 N39에서 예)에는, 제어장치(81)는 빵생지가 알맞게 좋은 상태로 발효하고, 그 이상 발효를 계속하면 빵생지가 너무 부풀어 올라서 상태가 나쁘다고(예를 들면, 큰 공동이 발생하거나 빵생지가 덮개(30)에 부착해 버리거나 하는 등) 판단하여, 발효공정을 종료시킨다(스텝 N34). 한편, 부풀어 오름 검지부(42)가 검지상태가 아닌 경우(스텝 N39에서 아니오)에는, 제어장치(81)는 스텝 N38로 돌아와 반복처리를 행한다.
그런데, 스텝 N35에서 제2 소정시간이 경과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스텝 N35에서 아니오) 및 스텝 N38에서 제3 소정시간이 경과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스텝 N38에서 아니오)에는 빵생지의 부풀어 오름이 불충분하지만, 제어장치(81)는 발효공정을 종료시킨다(스텝 N34).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소정시간 및 제3 소정시간은, 통상은, 이 시간이 경과하기까지 빵생지가 부풀어 오름 검지부(42)에서 검지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상태(스텝 N35에서 아니오 및 스텝 N38에서 아니오)에서 더욱 빵생지가 부풀어 오르는 것을 기다려도, 좀처럼 빵생지가 소망의 상태로 부풀어 오르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빵의 제조공정이 공연히 길어져 버리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발효공정을 종료시키기로 하고 있다. 제2 소정시간 및 제3 소정시간은 이와 같은 의도로 마련되는 것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스텝 N35나 스텝 N38은 마련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단, 본 실시형태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은 상태(스텝 N35에서 아니오 및 스텝 N38에서 아니오)는 통상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며, 이와 같은 상태가 발생한 경우에는 양질의 빵을 구울 수 없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발효공정에 이어서 행해지는 소성공정을 개시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알림음이나 에러표시 등으로, 이와 같은 사태가 알려지도록 해도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빵의 제조가 중단되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발효공정을 행하면, 예를 들면 자동제빵기가 놓인 환경이나 원료의 변동(특히 이스트량의 변동) 등에 의하지 않고, 발효상태의 편차를 억제하여 발효공정을 종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발효공정에서의 문제점이 원인이 되어 품질이 나쁜 빵이 제조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발효공정에서 빵생지가 자동제빵기의 덮개(30)의 이면 측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에서는, 제1 내지 제3 소정시간을 고정값으로서 제어장치(81)의 ROM 등에 기억시켜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를 들면 제1 내지 제3 소정시간에 대해서, 환경온도에 대응하여 복수 준비해 두고(ROM 등에 테이블을 기억시켜 둠), 자동제빵기가 놓이는 환경온도에 대응하여 적절히 변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3. 그 외
또한, 이상에 나타낸 자동제빵기는 본 발명의 일례이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제빵기의 구성은 이상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이상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미립으로부터 빵을 제조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미립에 한정하지 않고, 밀, 보리, 밤, 피, 메밀, 옥수수, 대두 등의 곡물알갱이를 원료로 하여 빵을 제조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되는 것이다.
또, 이상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부풀어 오름 검지부(42)를 구성하는 발광소자(42a)와 수광소자(42b)가 소성실(40)을 구성하는 4개의 주측벽(40a) 가운데, 자동제빵기(1)의 좌우 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주측벽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했다. 그러나, 이 구성에 한정되는 취지는 아니다. 즉, 예를 들면, 자동제빵기(1)의 전후 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주측벽에 발광소자(42a) 및 수광소자(42b)가 설치되는 구성 등으로 하여도 상관없다. 또, 발광소자(42a) 및 수광소자(42b)가 소성실(40)의 주측벽(40a)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덮개(30)의 이면 측이나 빵용기(50)에 설치되는 구성 등으로 하여도 상관없다. 또, 이상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부풀어 오름 검지부(42)를 구성하는 포토인터럽터는 이른바 광투과형의 구성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광반사형의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 이상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부풀어 오름 검지부(42)를 포토인터럽터로 구성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취지는 아니다. 즉, 예를 들면, 부풀어 오름 검지부를 금속 등의 세선(細線)과, 이 세선에 가해지는 장력의 변화를 검지하는 장력검지부로 구성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세선은 빵용기(5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 떨어지도록 마련된다. 세선의 양단은, 예를 들면 소성실(40)의 주측벽(40a)에 고정되고, 한쪽 끝 측에서 장력검지부에 의해서 장력변화를 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빵생지가 빵용기(5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넘으면 세선에 가해지는 장력에 변화가 발생하므로, 빵생지가 빵용기(5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까지 부풀어 오른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의 경우에는 빵용기(50)를 소성실(40)에 수용한 후에, 세선을 세트할 필요가 있다.
또, 이상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분쇄공정 및 반죽공정에서 모터의 부하(상세하게는 전류값)를 감시하고, 그 부하에 근거하여 실행중의 공정의 종료판단이 행해지는 구성으로 했다. 그러나, 어느 한쪽에 대해서만, 모터의 부하에 근거하여 실행중의 공정의 종료판단을 하는 구성이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반죽공정에 대해서, 모터의 부하에 근거하여 실행중의 공정의 종료판단을 행하지 않는 경우, 다음과 같이 반죽공정을 실행해도 된다. 즉, 반죽공정을 개시할 때, 제1 온도검출부(18)에 의해서 외기온도를 검지한다. 그리고, 검지한 외기온도와, 외기온도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한 반죽공정의 시간을 나타내는 테이블로부터 반죽공정의 시간을 결정한다. 이 테이블은, 예를 들면 제어장치(81)의 ROM에 기억한다. 반죽공정에 의해서 완성되는 빵생지의 품질은 자동제빵기(1)가 놓이는 환경온도에 의한 영향을 받기 쉽지만,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환경온도의 변동에 의한 빵의 품질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외기온도에 근거하여 반죽공정의 시간을 결정하는 대신에, 빵용기(50) 주변의 온도(예를 들면 소성실(40)의 온도)에 근거하여 반죽공정의 시간을 결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 이상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에서는 분쇄전 흡수공정, 분쇄후 흡수공정 및 발효공정에서 온도검지부에서 검지된 온도에 근거하여 공정시간을 변동시키는 구성으로 했다. 그러나, 이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3개의 공정 중 어느 하나(전부 아닌 복수의 경우가 포함됨)에 대해서, 공정시간이 소정의 시간에 고정되도록 해도 된다. 또, 이상에 나타낸 제2 실시형태에서는 분쇄전 흡수공정 및 분쇄후 흡수공정에서 온도검지부에서 검지된 온도를 이용하여 공정시간을 변동시키는 구성으로 했다. 그러나, 이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2개의 공정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해서 공정시간이 소정의 시간에 고정되도록 해도 된다.
또, 이상에 나타낸 미립용 제빵코스에서 실행되는 제조공정은 예시이며, 다른 제조공정으로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이상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미립으로부터 빵을 제조할 때, 분쇄공정을 행하는 전후에 흡수공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러한 흡수공정을 행하지 않는 구성 등으로 하여도 된다.
또, 이상에서는 부풀어 오름 검지부(42)를 이용한 발효공정의 제어가 미립용 제빵코스에 적용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소맥분이나 미분을 이용하여 빵을 제조하는 제빵코스의 경우에도 부풀어 오름 검지부(42)를 이용한 상술의 발효공정의 제어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그 외, 이상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자동제빵기(1)가 분쇄블레이드(54)와 혼련블레이드(72)의 2개의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그 각각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모터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분쇄공정과 반죽공정에서 동일한 블레이드가 겸용되는 구성으로 하거나, 분쇄공정과 반죽공정에서 동일한 모터가 겸용되는 구성으로 하거나 해도 된다. 또, 자동제빵기에 의해서 실행되는 제빵코스가 미립용 제빵코스뿐인 구성이라도 된다.

Claims (17)

  1. 빵원료가 투입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를 받아들이는 본체와,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에 받아들여진 상태에서 상기 용기 내에서 곡물알갱이를 분쇄하는 분쇄공정을 포함하는 빵의 제조공정을 실행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에 받아들여진 상태에서 빵생지가 상기 용기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까지 부풀어 오른 것을 검지하는 부풀어 오름 검지부로 이루어지는 자동제빵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빵생지를 발효시키는 발효공정에서 상기 부풀어 오름 검지부에 의해서 빵생지가 상기 용기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까지 부풀어 오른 것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발효공정을 강제적으로 종료시키는 자동제빵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풀어 오름 검지부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근거하여, 빵생지를 발효시키는 발효공정의 도중에 가스빼기를 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함과 아울러, 상기 발효공정에서 빵생지가 상기 소정의 높이를 넘어 부풀어 오르지 않도록 제어를 행하는 자동제빵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효공정이 개시되고 나서 제1 소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상기 부풀어 오름 검지부가 상기 소정의 높이까지 빵생지가 부풀어 오른 것을 검지하는 검지상태가 된 경우에는 상기 검지상태가 된 단계에서 상기 가스빼기를 행하지 않고 상기 발효공정을 종료시키고, 상기 제1 소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상기 검지상태가 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가스빼기를 실행시키는 경우가 있는 자동제빵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효공정이 개시되고 나서 상기 제1 소정시간보다 긴 제2 소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상기 검지상태가 된 경우에는 상기 검지상태가 된 단계에서 상기 가스빼기를 실행시키고, 상기 제2 소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상기 검지상태가 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가스빼기를 행하지 않고 상기 발효공정을 종료시키는 자동제빵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빼기가 실행된 경우에, 상기 가스빼기가 종료하고 나서 제3 소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상기 검지상태가 된 경우에는 상기 검지상태가 된 단계에서 상기 발효공정을 종료시키고, 상기 제3 소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상기 검지상태가 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3 소정시간이 경과한 단계에서 상기 발효공정을 종료시키는 자동제빵기.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풀어 오름 검지부는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을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하는 포토인터럽터이며, 수광상태의 변화에 근거하여 빵생지가 상기 용기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높이를 넘은 것을 검지하는 자동제빵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용기를 수용하는 소성실이 설치되고,
    상기 발광소자 및 상기 수광소자는 상기 소성실의 측벽에 장착되어 있는 자동제빵기.
  9.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빵의 제조공정에는 상기 분쇄공정과, 상기 곡물알갱이의 분쇄가루를 포함하는 상기 용기 내의 빵원료를 빵생지에 반죽하는 반죽공정과, 반죽된 빵생지를 발효시키는 발효공정과, 발효시킨 빵생지를 소성하는 소성공정이 포함되는 자동제빵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빵의 제조공정에는 상기 분쇄공정 전에 상기 용기 내의 곡물알갱이에 액체를 흡액시키는 분쇄전 흡액공정이 더 포함되는 자동제빵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빵의 제조공정에는 상기 분쇄공정 후에 상기 용기 내의 곡물알갱이의 분쇄가루에 액체를 흡액시키는 분쇄후 흡액공정이 더 포함되는 자동제빵기.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분쇄공정에서 분쇄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분쇄모터와,
    상기 반죽공정에서 혼련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혼련모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분쇄공정과 상기 반죽공정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되는 모터의 부하를 감시하고, 그 부하에 근거하여 실행중의 공정의 종료판단을 행하는 자동제빵기.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외기온도, 상기 용기의 온도, 상기 용기 주변의 온도 및 상기 용기 내의 빵원료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지 가능한 온도검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빵의 제조공정이 실행되는 경우에 행해지는 복수의 공정 가운데, 상기 온도검지부에서 검지되는 온도를 이용하여 공정시간을 변동시키는 공정이 적어도 하나 포함되어 있는 자동제빵기.
  14. 빵원료가 투입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를 받아들이는 본체와,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에 받아들여진 상태에서 빵의 제조공정을 실행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에 받아들여진 상태에서 빵생지가 상기 용기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까지 부풀어 오른 것을 검지하는 부풀어 오름 검지부로 이루어지는 자동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풀어 오름 검지부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근거하여, 빵생지를 발효시키는 발효공정의 도중에 가스빼기를 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함과 아울러, 상기 발효공정에서 빵생지가 상기 소정의 높이를 넘어 부풀어 오르지 않도록 제어를 행하는 자동제빵기.
  1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효공정이 개시되고 나서 제1 소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상기 부풀어 오름 검지부가 상기 소정의 높이까지 빵생지가 부풀어 오른 것을 검지하는 검지상태가 된 경우에는 상기 검지상태가 된 단계에서 상기 가스빼기를 행하지 않고 상기 발효공정을 종료시키고, 상기 제1 소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상기 검지상태가 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가스빼기를 실행시키는 경우가 있는 자동제빵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효공정이 개시되고 나서 상기 제1 소정시간보다 긴 제2 소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상기 검지상태가 된 경우에는 상기 검지상태가 된 단계에서 상기 가스빼기를 실행시키고, 상기 제2 소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상기 검지상태가 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가스빼기를 행하지 않고 상기 발효공정을 종료시키는 자동제빵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빼기가 실행된 경우에, 상기 가스빼기가 종료하고 나서 제3 소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상기 검지상태가 된 경우에는 상기 검지상태가 된 단계에서 상기 발효공정을 종료시키고, 상기 제3 소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상기 검지상태가 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3 소정시간이 경과한 단계에서 상기 발효공정을 종료시키는 자동제빵기.
KR1020110003120A 2010-01-15 2011-01-12 자동제빵기 KR201100841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06473A JP2011143075A (ja) 2010-01-15 2010-01-15 自動製パン器
JPJP-P-2010-006473 2010-01-15
JPJP-P-2010-097083 2010-04-20
JP2010097083A JP2011224165A (ja) 2010-04-20 2010-04-20 自動製パン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105A true KR20110084105A (ko) 2011-07-21

Family

ID=44276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120A KR20110084105A (ko) 2010-01-15 2011-01-12 자동제빵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174169A1 (ko)
KR (1) KR20110084105A (ko)
CN (1) CN102138574A (ko)
TW (1) TW2011386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52442B2 (en) 2015-11-06 2021-03-23 Mukesh Agarwal Automated preparation of brea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57878B2 (en) * 2010-02-25 2016-06-07 Bonnie Lee Buzick Grill with safety system
CN103300746B (zh) * 2012-03-08 2019-04-19 卢润侨 家用面包机
CN104203052B (zh) 2012-03-19 2016-05-04 夏普株式会社 加热烹调器
CN104869877B (zh) * 2012-12-20 2017-12-01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自动制面包机
CN103494537A (zh) * 2013-09-11 2014-01-08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全自动面包机及全自动面包制作方法
JP6128446B2 (ja) * 2014-06-23 2017-05-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自動製パン機
CN204248975U (zh) * 2014-12-04 2015-04-08 惠阳亚伦塑胶电器实业有限公司 一种切丁机
AU2016209300A1 (en) 2015-01-22 2017-08-17 Hollymatic Corporation Mixer grinder monitoring system
JP2019000629A (ja) * 2017-06-14 2019-01-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自動製パン機
CN108208050B (zh) * 2017-12-08 2020-05-01 福州奇新食品有限公司 一种传统鱼面生产线
DE102018101068A1 (de) * 2018-01-18 2019-07-18 Klaus Lösche Gärapparat zum Gären von Teiglingen sowie Verfahren, insbesondere zum Betreiben eines solchen Gärapparates
US20200330936A1 (en) * 2018-10-05 2020-10-22 University Of Baltimore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Utilizing a Resuspension Tank
CN109171486A (zh) * 2018-10-17 2019-01-11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蒸汽烤箱的控制方法及蒸汽烤箱
WO2020154848A1 (zh) * 2019-01-28 2020-08-06 湖北润生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芝麻九蒸九晒的自动化系统
CN110200034B (zh) * 2019-06-13 2021-09-07 豪士(福建)食品有限公司 一种用于面包制作的自动发酵烘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800B1 (ko) * 2002-07-19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71073B1 (ko) * 2002-07-19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빵기
ES2254842T3 (es) * 2002-09-11 2006-06-16 Lg Electronics Inc. Horno microondas y tostador combinado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52442B2 (en) 2015-11-06 2021-03-23 Mukesh Agarwal Automated preparation of brea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38695A (en) 2011-11-16
CN102138574A (zh) 2011-08-03
US20110174169A1 (en) 201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4105A (ko) 자동제빵기
JP5418212B2 (ja) 自動製パン器
JP5810280B2 (ja) 自動製パン器
JP5824616B2 (ja) パン生地生成機及びそのパン生地を用いた製パン機
TW201106907A (en) Automatic bread-producing machine
JP2011224165A (ja) 自動製パン器
JP2011143075A (ja) 自動製パン器
JP6028224B2 (ja) 自動製パン器
WO2011065273A1 (ja) 自動製パン器
JP6065326B2 (ja) 自動製パン機
JP2012100795A (ja) 自動製パン器
JP5824617B2 (ja) パン生地生成機及びそのパン生地を用いた製パン機
WO2011074427A1 (ja) 自動製パン器
JP2014050625A (ja) 自動製パン器
WO2011102306A1 (ja) 自動製パン器
JP5957738B2 (ja) 自動製パン機
JP5402577B2 (ja) 自動製パン器
JP5945696B2 (ja) 調理器
JP5938564B2 (ja) 自動製パン機
JP2012147994A (ja) 自動製パン器
JP2011161216A (ja) 自動製パン器
JP2011161217A (ja) 自動製パン器
JP2014100274A (ja) 自動製パン機
JP2014151032A (ja) 自動製パン機
JP2013106894A (ja) 自動製パン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