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3522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3522A
KR20110083522A KR1020110002271A KR20110002271A KR20110083522A KR 20110083522 A KR20110083522 A KR 20110083522A KR 1020110002271 A KR1020110002271 A KR 1020110002271A KR 20110002271 A KR20110002271 A KR 20110002271A KR 20110083522 A KR20110083522 A KR 20110083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ortions
contact
connector
opera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9249B1 (ko
Inventor
데츠 우라노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3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2Adjustable pressure p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접촉 안정성이 높은 커넥터. 조작 부재가 1 개의 금속판을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조작 부재가 전개 상태일 때, 대향 배치되어 한 쌍의 조작부를 연결하는 제 1, 제 2 연결부가 한 쌍의 조작부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고, 조작 부재가 완성 상태일 때, 제 1, 제 2 연결부는, 각각 한 쌍의 조작부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CONNECTOR}
이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본체와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백라이트용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44749호 (단락 0014 ∼ 0017, 도 2, 도 3) 참조).
본체는 한 쌍의 컨택트와 평판부와 한 쌍의 가이드부와 한 쌍의 측판을 갖는다. 컨택트는 탄성을 갖는다. 컨택트는 평면에서 보아 U 자형으로, 외벽부와 내벽부를 갖는다. 외벽부의 외면에는 외측으로 팽출된 팽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평판부는 형광관을 수용한다. 측판은 평판부의 측가장자리로부터 기립되어 있다. 측판에는 가늘고 긴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 구멍은 본체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이드부의 일단으로부터 컨택트의 외벽부가 연장되어 있다.
슬라이더는 평면에서 보아 거의 U 자형으로, 한 쌍의 측벽부를 갖는다. 한 쌍의 측벽부는 연결판으로 연결되어 있다. 측벽부는 슬라이더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기립편을 갖는다. 기립편은 가이드부의 구멍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로써, 슬라이더는 본체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측벽부는 누름판을 갖는다. 누름판은 측벽부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다.
한 쌍의 측벽부를 연결하는 연결판은 정면에서 보아 U 자형이다. 연결판의 상단부에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내측에 돌출된 한 쌍의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에 장착된 슬라이더가 높은 위치에 있을 때, 한 쌍의 플랜지는 한 쌍의 컨택트의 팽출부를 가압하지 않는다. 본체에 장착된 슬라이더가 낮은 위치에 있을 때, 한 쌍의 플랜지는 한 쌍의 컨택트의 팽출부를 한 쌍의 컨택트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가압한다.
이 백라이트용 커넥터는 커넥터 실장 기판에 실장된다.
백라이트용 커넥터에 형광관을 접속하려면, 우선, 돌기를 갖는 홀더에 복수의 형광등을 유지시킨다.
다음으로, 각 백라이트용 커넥터의 본체에 장착된 슬라이더를 상방으로 높은 위치로 이동시킨다. 일단 높은 위치로 이동하면, 슬라이더가 하강해도, 슬라이더의 연결판의 플랜지가 컨택트의 팽출부에 부딪치므로, 슬라이더는 그 이상 내려가지 않는다.
그 후, 복수의 형광관을 유지시킨 홀더를 백라이트용 커넥터의 상방에 배치하고, 그 위치로부터 홀더를 내린다. 이 때, 형광관의 단부 (端部) 가 평판부에 배치됨과 함께, 홀더의 돌편이 슬라이더의 누름판을 아래로 향하여 가압하므로, 슬라이더는 눌려 내려진다. 슬라이더가 눌려 내려질 때, 슬라이더의 한 쌍의 플랜지가 한 쌍의 컨택트의 팽출부를 가압하여 한 쌍의 컨택트의 간격을 좁힌다. 그 결과, 형광관의 도선이 한 쌍의 컨택트에 의해 좁혀져, 백라이트용 커넥터를 통해서 형광관은 커넥터 실장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서술한 백라이트용 커넥터에서는, 눌려 내려진 슬라이더의 한 쌍의 플랜지가 한 쌍의 컨택트를 가압함으로써 컨택트와 형광관의 도선과의 도통이 유지된다. 그러나, 연결판은 정면에서 보아 거의 U 자형이므로, 슬라이더의 한 쌍의 플랜지가 한 쌍의 컨택트를 가압했을 때의 반력에 의해 연결판이 변형되어, 한 쌍의 플랜지의 간격이 넓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백라이트용 커넥터의 컨택트와 형광관의 도선과의 접촉 안정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었다.
이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과제는 접속 대상물과 컨택트의 접촉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소정 방향에서 대향 배치됨과 함께 접속 대상물의 단자부를 협지 가능한 한 쌍의 접촉부를 갖는 컨택트와, 상기 한 쌍의 접촉부를 수용하고, 상기 한 쌍의 접촉부를 조작하는 조작 부재로서, 상기 제 1 소정 방향에서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조작부와, 상기 접속 대상물의 단자부를 상기 제 1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소정 방향에서 상기 한 쌍의 접촉부 사이에 삽입 가능하게 하는 절결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조작부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1, 제 2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제 3 소정 방향에서 상기 제 1 연결부와 대향됨과 함께 상기 한 쌍의 조작부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와, 상기 조작부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제 1 소정 방향에서 대향 배치되고, 상기 조작 부재가 제 1 소정 위치로부터 제 2 소정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한 쌍의 접촉부가 상기 접속 대상물의 단자부를 협지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접촉부를 가압하여 접근시키는 한 쌍의 가압부를 구비하는 조작 부재와, 상기 제 2 소정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소정 위치와 상기 한 쌍의 가압부가 상기 한 쌍의 접촉부를 접근시키는 상기 제 2 소정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조작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커넥터의 구성에 있어서는, 한 쌍의 가압부에 연결된 한 쌍의 조작부가 서로 대향되는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한 쌍의 가압부에 가해지는 컨택트로부터의 반력은 한 쌍의 조작부를 개재하여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로 분산되어, 그 결과, 가압부끼리의 간격이 잘 넓어지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부와 상기 가압부가, 상기 조작부와 상기 가압부를 걸어맞춤으로써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부가 상기 조작부로부터 연장되도록 상기 가압부와 상기 조작부가 일체 형성됨으로써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택트가, 다른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컨택트와 상기 지지 부재가 1 개의 금속판을 타발 가공 및 절곡 가공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택트가, 다른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지지 부재가 절연체로 성형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 부재가 1 개의 금속판을 타발 가공 및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 부재가 전개 상태일 때, 상기 제 1, 제 2 연결부가 상기 한 쌍의 조작부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고, 상기 조작 부재가 완성 상태일 때, 상기 제 1, 제 2 연결부가 각각 상기 한 쌍의 조작부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접속 대상물과 컨택트의 접촉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서술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그리고 이점은, 첨부하는 도면에 기초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한층 더 분명해질 것이다.
도 1 은 이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에 형광관을 접속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하우징으로부터 조작 부재를 떼어낸 상태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 는 커넥터의 하우징으로부터 조작 부재를 떼어낸 상기 상태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조작 부재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조작 부재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5 에 나타내는 조작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Ⅷ-Ⅷ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9 는 도 5 에 나타내는 조작 부재의 전개도이다.
도 10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11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를 후방에서 보았을 때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조작 부재가 제 1 소정 위치에 있을 때의 커넥터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조작 부재가 제 2 소정 위치에 있을 때의 커넥터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 는 이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 는 도 14 에 나타내는 커넥터에 형광관을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6 은 도 14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 은 도 16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 은 도 16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컨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19 는 도 16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0 은 도 19 에 나타내는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21 은 도 16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컨택트가 형광관의 단자부에 접촉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2 는 도 16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컨택트가 형광관의 단자부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3 은 이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조작 부재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4 는 도 23 에 나타내는 조작 부재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5 는 이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컨택트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6 은 도 25 에 나타내는 컨택트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바람직한 양태의 상세한 설명
이하, 이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도 1 ∼ 도 13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10) 는 섀시 (다른 접속 대상물) (2) 상에 등간격으로 고정되어 있다. 커넥터 (10) 는 형광관 (접속 대상물) (1) 과 섀시 (2) 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도 2,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10) 는 컨택트 (20) 와 하우징 (지지 부재) (50) 과 조작 부재 (80) 를 구비하고 있다.
도 4,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택트 (20) 는 저판부 (21) 와 한 쌍의 스프링부 (22) 와 한 쌍의 접촉부 (23) 와 한 쌍의 걸어맞춤부 (24) 와 한 쌍의 유도부 (25) 와 한 쌍의 연결부 (26) 와 한 쌍의 접속부 (27) 와 연결부 (28) 와 한 쌍의 지지부 (29) 를 갖는다.
저판부 (21) 는 섀시 (2) 상에 배치된다. 한 쌍의 스프링부 (22) 는 각각 저판부 (21) 에 연속해 있으며, 상방 (도 12 의 커넥터 (10) 를 향해 상방) 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접촉부 (23) 는 각각 스프링부 (22) 에 연속해 있다. 한 쌍의 걸어맞춤부 (24) 는 각각 조작 부재 (80) 에 걸어맞춤 가능하다. 걸어맞춤부 (24) 는 거의 L 자형으로 절곡되어 있다. 걸어맞춤부 (24) 의 일단부에 누름부 (24a) (도 11 참조) 가 있다. 한 쌍의 유도부 (25) 는 만곡되어 있으며, 각각 걸어맞춤부 (24) 에 연속해 있다. 한 쌍의 연결부 (26) 는 각각 U 자형으로, 걸어맞춤부 (24) 와 접촉부 (23) 를 연결한다. 한 쌍의 접속부 (27) 는 각각 볼트, 너트 (도시 생략) 에 의해 섀시 (2) 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연결부 (28) 는 저판부 (21) 와 한 쌍의 접속부 (27) 를 연결한다. 한 쌍의 지지부 (29) 는 각각 저판부 (21) 에 연속해 있으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부 (29) 의 상부에는 절결 (29a) 이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커넥터 (10) 중 일방의 커넥터 (10) 의 접속부 (27) 와 타방의 커넥터 (10) 의 접속부 (27) 는 연속해 있다.
또한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50) 은 컨택트 (20) 와 함께 1 장의 금속판에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50) 은 정면부 (51) 와 한 쌍의 측면부 (52) 와 연결부 (55) 를 갖는다. 정면부 (51) 의 중앙부에는 절결 (51a) 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 (51a) 은 하우징 (50) 의 상하 방향 D2 로 연장되어 있다. 절결 (51a) 은 형광관 (1) 의 단자부 (1a) 를 상하 방향 D2 에서 하우징 (50) 내에 삽입 가능하게 한다 (도 10 참조). 한 쌍의 측면부 (52) 는 각각 정면부 (51) 의 측부에 연속해 있다. 측면부 (52) 에는 구멍 (52a) 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 (52a) 은 상하 방향 D2 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부 (55) 는 한 쌍의 접속부 (27) 와 정면부 (51) 를 연결한다 (도 3 참조). 측면부 (52) 의 지지부 (29) 측 부분에는, 3 개의 볼록부 (54) 가 상하 방향 D2 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 도 11 참조). 3 개의 볼록부 (54) 와 측면부 (52) 가 이루는 각도는 각각 거의 직각이다. 제일 아래의 볼록부 (54) 는 지지부 (29) 의 절결 (29a) 에 삽입된다. 이로써, 하우징 (50) 은 지지부 (29) 에 의해 지지된다.
도 5, 도 6,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 (80) 는 한 쌍의 조작부 (81) 와 제 1 연결부 (82) 와 제 2 연결부 (83) 와 한 쌍의 측면부 (84) 와 한 쌍의 가압부 (86) 를 갖는다. 조작 부재 (80) 는 1 장의 금속판에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조작부 (81) 는 조작 부재 (80) 의 좌우 (도 12 의 커넥터 (10) 를 향해 좌우) 방향 (제 1 소정 방향) D1 에서 대향 배치되어 있다. 조작부 (81) 는 거의 직사각형이다. 조작부 (81) 는 볼록부 (81a) 를 갖는다.
제 1 연결부 (82) 는 절결 (82a) 을 갖는다. 제 1 연결부 (82) 의 정면에서 본 형상은 거의 U 자형이다. 절결 (82a) 은 조작 부재 (80) 의 상하 (도 12 의 커넥터 (10) 를 향해 상하) 방향 (제 2 소정 방향) D2 로 연장되어 있다. 절결 (82a) 은, 형광관 (1) 의 단자부 (1a) 를 상하 방향 D2 에서 조작 부재 (80) 내에 삽입 가능하게 함과 함께, 조작 부재 (80) 내에 삽입된 단자부 (1a) 를 위치 결정한다 (도 10 참조). 제 1 연결부 (82) 는 한 쌍의 조작부 (81) 를 연결한다.
제 2 연결부 (83) 는 절결 (83a) 을 갖는다. 제 2 연결부 (83) 의 정면에서 본 형상은 거의 U 자형이다. 절결 (83a) 은 조작 부재 (80) 의 상하 방향 D2 로 연장되어 있다. 절결 (83a) 은, 형광관 (1) 의 단자부 (1a) 를 상하 방향 D2 에서 조작 부재 (80) 내에 삽입 가능하게 함과 함께, 조작 부재 (80) 내에 삽입된 단자부 (1a) 를 절결 (82a) 과 함께 위치 결정한다 (도 10 참조). 제 2 연결부 (83) 의 좌우 양측면은 캠면 (83b) 이며, 제 2 연결부 (83) 의 하부에는 한 쌍의 클로우 (83c)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연결부 (83) 는 한 쌍의 조작부 (81) 를 연결한다. 제 2 연결부 (83) 는 조작 부재 (80) 의 전후 (도 7 의 조작 부재 (80) 를 향해 왼쪽이 앞, 오른쪽이 뒤) 방향 (제 3 소정 방향) D3 에서 제 1 연결부 (82) 에 대향된다.
한 쌍의 측면부 (84) 는 각각 겹쳐 포개지도록 절곡되고 (도 6 참조), 측면부 (84) 와 제 1 연결부 (82) 가 이루는 각도는 거의 직각이다. 측면부 (84) 는 외측 부분 (84a) 과 내측 부분 (84b) 을 갖는다. 외측 부분 (84a) 은 제 1 연결부 (82) 에 연속해 있다. 외측 부분 (84a) 에는 볼록부 (84c) 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 (84c) 는 상하 방향 D2 로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가압부 (86) 는 각각 경사부 (86a) 와 수직부 (86b) 를 갖는다. 경사부 (86a) 는 측면부 (84) 의 내측 부분 (84b) 의 상단에 연속해 있다. 경사부 (86a) 는 내측 부분 (84b) 에 대해 경사져 있다. 수직부 (86b) 는 경사부 (86a) 의 상단에 연속해 있으며, 내측 부분 (84b) 에 대해서 평행이다. 수직부 (86b) 의 상단부에는 오목부 (86c) 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 (86c) 에는 조작부 (81) 의 볼록부 (81a) 가 끼워진다. 이로써, 조작부 (81) 와 가압부 (86) 가 걸어맞춰져 연결되어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 (80) 를 전개 상태로 했을 때, 제 1 연결부 (82) 와 제 2 연결부 (83) 가 한 쌍의 조작부 (81) 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고, 조작 부재 (80) 의 중앙부에는 거의 십자형의 구멍 (80a) 이 있다. 구멍 (80a) 은 조작 부재 (80) 를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의 U 자형으로 절곡했을 때, 절결 (82a, 83a) 이나 한 쌍의 조작부 (81) 사이의 공간이 된다.
조작 부재 (80) 의 절곡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내측 부분 (84b) 을 외측 부분 (84a) 과 겹쳐지도록 되접어 꺾는다. 이어서, 경사부 (86a) 와 수직부 (86b) 를 외측 부분 (84a)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하여, 경사부 (86a) 를 내측 부분 (84b) 에 대해 경사지게 한다. 그 후, 수직부 (86b) 를 외측 부분 (84a) 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하여, 수직부 (86b) 를 내측 부분 (84b) 과 거의 평행하게 한다.
다음으로,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연결부 (82) 와 제 2 연결부 (83) 가 전후 방향 D3 에서 대향되도록, 제 1 연결부 (82) 와 제 2 연결부 (83) 를 조작부 (81) 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한다. 그 결과, 도 5,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 (81) 의 볼록부 (81a) 가 가압부 (86) 의 오목부 (86c) 에 끼워진다.
조작 부재 (80) 를 하우징 (50) 에 장착하려면, 도 3,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50) 의 상방으로부터 조작 부재 (80) 를 하우징 (50) 에 삽입하면 된다. 이 때, 컨택트 (20) 의 유도부 (25) 가 조작 부재 (80) 의 제 2 연결부 (83) 를 컨택트 (20) 의 한 쌍의 걸어맞춤부 (24) 사이로 유도함으로써, 조작 부재 (80) 는 하우징 (50) 에 간단하게 장착된다.
커넥터 (10) 에 형광관 (1) 을 접속하려면, 우선, 조작부 (81) 를 쥐고 조작 부재 (80) 를 상방으로 끌어올린다. 그러면, 도 11,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 (80) 의 클로우 (83c) 가 컨택트 (20) 의 걸어맞춤부 (24) 에 부딪쳐, 조작 부재 (80) 가 제 1 소정 위치 (한 쌍의 접촉부 (23) 가 이격되는 위치) 에서 멈춘다. 이 때, 조작 부재 (80) 의 제 2 연결부 (83) 의 캠면 (83b) 이 컨택트 (20) 의 걸어맞춤부 (24) 를 가압하므로, 한 쌍의 접촉부 (23) 의 간격이 넓어진다.
조작 부재 (80) 가 제 1 소정 위치에 있을 때, 조작부 (81) 로부터 손을 떼어도, 조작 부재 (80) 의 볼록부 (84c) 의 하단이 하우징 (50) 의 측면부 (52) 의 상단에 부딪치고 있기 때문에 (도 12 참조), 조작 부재 (80) 는 내려가지 않는다.
조작 부재 (80) 가 제 1 소정 위치에 있을 때, 형광관 (1) 의 단자부 (1a) 를 한 쌍의 접촉부 (23) 사이에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조작 부재 (80) 의 조작부 (81) 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조작 부재 (80) 를 눌러 내린다. 이 때, 조작 부재 (80) 의 볼록부 (84c) 가 하우징 (50) 의 측면부 (52) 를 가압하여, 2 개의 측면부 (52) 의 간격이 넓어져, 볼록부 (84c) 의 전체가 하우징 (50) 안으로 들어온다. 조작 부재 (80) 의 볼록부 (84c) 가 하우징 (50) 의 측면부 (52) 의 구멍 (52a) 내로 들어가면,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 (80) 가 제 2 소정 위치 (한 쌍의 접촉부 (23) 가 접근하는 위치) 에서 멈춘다. 이 때, 조작 부재 (80) 의 가압부 (86) 의 경사부 (86a) 에 의해 컨택트 (20) 의 연결부 (26) 가 가압되어, 2 개의 접촉부 (23) 의 간격이 좁아져, 최종적으로 가압부 (86) 의 수직부 (86b) 가 연결부 (26) 에 접촉되고, 한 쌍의 접촉부 (23) 에 의해 단자부 (1a) 가 협지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형광관 (1) 은 커넥터 (10) 에 도통하고, 커넥터 (10) 를 개재하여 섀시 (2)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때, 조작 부재 (80) 의 가압부 (86) 는 컨택트 (20) 의 연결부 (26) 로부터의 하중을 받는데, 이 하중은 제 1, 제 2 연결부 (82, 83) 의 판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제 1 연결부 (82) 와 제 2 연결부 (83) 로 분산되므로, 2 개의 가압부 (86) 의 간격은 거의 넓어지지 않는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형광관 (1) 이 커넥터 (10) 에 접속되어 있을 때, 한 쌍의 가압부 (86) 의 간격이 거의 넓어지지 않아, 형광관 (1) 과 컨택트 (20) 의 안정적인 접촉 상태가 얻어진다.
또, 컨택트 (20) 와 하우징 (50) 을 1 장의 금속판에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하고, 또한, 조작 부재 (80) 를 1 장의 금속판에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 (10) 를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조작 부재 (80) 가 상하 방향 D2 로 이동하므로, 형광관 (1)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작 부재를 슬라이드시키는 커넥터에 비해, 커넥터 (10) 에서는 조작 부재 (80) 를 조작하기 위한 스페이스에 여유가 있어, 백라이트를 조립할 때의 조작 부재 (80) 를 조작하는 공정을 자동 조립기 (도시 생략) 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도 14 ∼ 도 22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제 1 실시형태와의 주된 상이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4,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210) 는 섀시 (2) 에 등간격으로 고정되어 있다. 커넥터 (210) 는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 (10) 와 조합하여 사용되고, 형광관 (1) 과 프린트 기판 (6) 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 (10) 는 형광관 (1) 의 한 쌍의 단자부 (1a) 의 일방측 단자부와의 접속에,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 (210) 는 한 쌍의 단자부 (1a) 의 타방측 단자부와의 접속에 사용되는 것이다.
도 16,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210) 는 컨택트 (220) 와 하우징 (250) (지지 부재) 과 조작 부재 (80) 를 구비한다.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택트 (220) 는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 (10) 의 컨택트 (20) 와 마찬가지로, 스프링부 (22) 와 접촉부 (23) 와 걸어맞춤부 (24) 와 유도부 (25) 와 연결부 (26) 를 갖는다.
컨택트 (220) 는, 상기 서술한 스프링부 (22) 등 외에, 고정부 (231) 와 가동부 (232) 와 기판 접촉부 (접속부) (233) 와 한 쌍의 기판 유도부 (234) 와 한 쌍의 기판 누름부 (235) 를 갖는다. 컨택트 (220) 는 1 장의 금속판에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 (231) 는 하우징 (250) 에 유지된다. 고정부 (231) 는 전면부 (231a) 와 한 쌍의 측면부 (231b) 를 갖는다.
가동부 (232) 는 하우징 (250) 의 좌우 방향 D1' 및 하우징 (250) 의 전후 방향 D3' 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 (250) 에 수용되어 있다.
가동부 (232) 는 전면부 (232a) 와 한 쌍의 측면부 (232b) 를 갖는다. 전면부 (232a) 의 상부에는 한 쌍의 빠짐방지부 (244) 가 연속해 있다. 빠짐방지부 (244) 에는 클로우 (244a)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전면부 (232a) 의 상부에는 차단부 (245) 가 연속해 있다. 차단부 (245) 는 열팽창된 형광관 (1) 이 직접 컨택트 (220) 에 접촉되는 것을 저지한다.
기판 접촉부 (233) 는 거의 단면 C 자형으로 형성되고, 프린트 기판 (6) 의 패드 (도시 생략) 에 접촉된다. 기판 접촉부 (233) 는 연결부 (236) 를 개재하여 고정부 (231) 의 전면부 (231a) 에 연속해 있다.
한 쌍의 기판 유도부 (234) 는 각각 연결부 (237) 를 개재하여 고정부 (231) 의 측면부 (231b) 에 연속해 있다. 기판 유도부 (234) 는 프린트 기판 (6) 을 커넥터 (210) 에 삽입할 때, 프린트 기판 (6) 을 컨택트 (220) 내로 유도한다.
한 쌍의 기판 누름부 (235) 는 각각 연결부 (238) 를 개재하여 측면부 (231b) 에 연속해 있다. 기판 누름부 (235) 는 커넥터 (210) 에 삽입된 프린트 기판 (6) 을 기판 접촉부 (233) 에 누르다.
고정부 (231) 의 한 쌍의 측면부 (231b) 에는 각각 L 자형의 다리부 (241) 가 연속해 있다. 다리부 (241) 에는 클로우 (241a) 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 (231) 와 가동부 (232) 와 스프링부 (242) 와 한 쌍의 스프링부 (243) 를 개재하여 상하 방향 D2' 로 연속해 있다. 스프링부 (242) 는 거의 S 자형으로, 고정부 (231) 의 전면부 (231a) 와 가동부 (232) 의 전면부 (232a) 를 연결한다. 스프링부 (243C) 는 거의 C 자형으로, 고정부 (231) 의 측면부 (231b) 와 가동부 (232) 의 측면부 (232b) 를 연결한다.
도 19,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250) 은 절연성 수지 (절연체) 로 일체 형성되고, 제 1 수용부 (261) 와 제 2 수용부 (262) 와 섀시 지지부 (263) 을 갖는다.
제 1 수용부 (261) 는 오목부 (261a) 를 갖는다. 오목부 (261a) 에 조작 부재 (80) 가 하우징 (250) 의 상하 방향 D2' 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또, 제 1 수용부 (261) 에는 오목부 (261a) 로 통하는 오목부 (261b)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1 참조).
제 2 수용부 (262) 는 기판 수용 공간 (262a) 을 갖는다. 기판 수용 공간 (262a) 은 프린트 기판 (6) 의 일부 (도시 생략) 를 수용한다.
섀시 지지부 (263) 는 거의 판형상으로, 제 1 수용부 (261) 와 제 2 수용부 (262) 사이에 위치한다. 섀시 지지부 (263) 의 앞부분 하면에는 기판 유도부 (264) 가 형성되어 있다. 기판 유도부 (264) 에는 2 개의 큰 육발부 (肉拔部) (264a)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0 에는 일방의 기판 유도부 (264) 만이 나타나 있다). 기판 유도부 (264) 는 프린트 기판 (6) 을 커넥터 (210) 에 삽입할 때, 프린트 기판 (6) 의 일부를 기판 수용 공간 (262a) 으로 유도한다.
섀시 지지부 (263) 의 상면에는 한 쌍의 볼록부 (265) 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볼록부 (265) 는 전후 방향 D3' 으로 연장되고, 좌우 방향 D1' 에서 제 1 수용부 (261) 를 사이에 두고 있다. 볼록부 (265) 의 전후 방향 D3' 의 양단에는 각각 섀시 누름부 (266) 가 형성되어 있다. 섀시 누름부 (266) 의 하면과 섀시 지지부 (263) 의 상면의 간격은 섀시 (2) 의 두께보다 약간 크다. 섀시 지지부 (263) 의 양측면에는 각각 L 자형의 섀시 지지 아암 (267) 이 형성되어 있다. 섀시 지지 아암 (267) 에는 걸어맞춤 아암 (268) 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아암 (268) 은 전후 방향 D3' 으로 연장되어 있다. 걸어맞춤 아암 (268) 의 선단부에는 클로우 (268a) 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210) 를 조립하려면, 우선, 도 17,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250) 의 상방으로부터 컨택트 (220) 를 하우징 (250) 에 삽입한다. 그 결과, 하우징 (250) 에 삽입된 컨택트 (220) 의 다리부 (241) 의 클로우 (241a) 와 빠짐방지부 (244) 의 클로우 (244a) 는 하우징 (250) 의 내면에 형성된 볼록부 (도시 생략) 에 걸려, 컨택트 (220) 가 하우징 (250) 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그 후, 하우징 (250) 의 상방으로부터 조작 부재 (80) 를 하우징 (250) 의 제 1 수용부 (261) 내에 삽입한다. 그 결과, 하우징 (250) 에 삽입된 조작 부재 (80) 는 상하 방향 D2' 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다음으로, 커넥터 (210) 의 섀시 (2) 에 대한 장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섀시 (2) 의 삽입 구멍 (2a) 은, 섀시 (2) 의 하방으로부터 커넥터 (210) 의 제 1 수용부 (261) 와 볼록부 (265) 와 섀시 누름부 (266) 를 수용하여, 커넥터 (210) 의 제 1 수용부 (261) 및 볼록부 (265) 를 소정 거리만큼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다.
커넥터 (210) 를 섀시 (2) 에 장착하려면, 우선, 섀시 (2) 의 하방으로부터 삽입 구멍 (2a) 에 커넥터 (210) 를 삽입한다. 삽입 구멍 (2a) 에 커넥터 (210) 를 삽입하면, 커넥터 (210) 의 섀시 지지부 (263) 및 섀시 지지 아암 (267) 이 섀시 (2) 의 하면에 부딪친다.
그 후, 커넥터 (210) 를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커넥터 (210) 를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커넥터 (210) 의 하우징 (250) 의 섀시 누름부 (266) 가 섀시 (2) 의 상면을 타고 올라가, 커넥터 (210) 가 섀시 (2) 의 삽입 구멍 (2a) 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또, 커넥터 (210) 가 후방으로 슬라이드되어, 걸어맞춤 아암 (268) 의 클로우 (268a) (도 19 참조) 가 섀시 (2) 의 하면에 형성된 볼록부 (도시 생략) 를 상대적으로 타고 넘으면, 그 볼록부의 기능에 의해 커넥터 (210) 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커넥터 (210) 는 섀시 (2) 에 고정된다.
커넥터 (210) 에 형광관 (1) 을 접속하려면, 미리, 프린트 기판 (6) 의 일부 (도시 생략) 를 커넥터 (210) 의 하우징 (250) 의 제 2 수용부 (262) 의 기판 수용 공간 (262a) 에 삽입해 둔다.
다음으로, 조작부 (81) 를 손 등으로 쥐고 조작 부재 (80) 를 상방으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 (80) 의 클로우 (83c) 가 컨택트 (20) 의 걸어맞춤부 (24) 에 부딪쳐 조작 부재 (80) 가 제 1 소정 위치에서 멈춘다. 이 때, 조작 부재 (80) 의 제 2 연결부 (83) 의 캠면 (83b) 이 컨택트 (20) 의 걸어맞춤부 (24) 를 가압하므로, 한 쌍의 접촉부 (23) 의 간격이 넓어진다.
조작 부재 (80) 가 제 1 소정 위치에 있을 때, 조작부 (81) 로부터 손을 떼어도, 조작 부재 (80) 의 볼록부 (84c) 의 하단이 하우징 (250) 의 제 1 수용부 (261) 의 상단에 부딪치고 있기 때문에, 조작 부재 (80) 는 내려가지 않는다.
조작 부재 (80) 가 제 1 소정 위치에 있을 때, 형광관 (1) 의 단자부 (1a) 를 한 쌍의 접촉부 (23) 사이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조작 부재 (80) 의 조작부 (81) 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조작 부재 (80) 을 눌러 내린다. 그러면, 조작 부재 (80) 의 볼록부 (84c) 가 하우징 (250) 안으로 들어와,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 (80) 의 볼록부 (84c) 가 하우징 (250) 의 제 1 수용부 (261) 의 오목부 (261b) 내로 들어가, 조작 부재 (80) 가 제 2 소정 위치에서 멈춘다. 이 때, 조작 부재 (80) 의 가압부 (86) 의 경사부 (86a) 에 의해 컨택트 (220) 의 연결부 (26) 가 가압되어, 한 쌍의 접촉부 (23) 의 간격이 서서히 좁아져, 최종적으로 가압부 (86) 의 수직부 (86b) 가 연결부 (26) 에 접촉되고, 한 쌍의 접촉부 (23) 에 의해 단자부 (1a) 가 협지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형광관 (1) 은 커넥터 (210) 에 도통하고, 커넥터 (210) 를 개재하여 프린트 기판 (6)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조작 부재 (80) 가 제 2 소정 위치에 있을 때, 조작 부재 (80) 의 가압부 (86) 는 컨택트 (220) 의 연결부 (26) 로부터 하중을 받는데, 이 하중은 제 1, 제 2 연결부 (82, 83) 의 판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좌우 방향 D1' 의 방향) 에서 제 1 연결부 (82) 와 제 2 연결부 (83) 로 분산되므로, 2 개의 가압부 (86) 의 간격은 거의 넓어지지 않는다.
조작 부재 (80) 가 제 2 소정 위치에 있을 때,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 (80) 의 가압부 (86) 의 수직부 (86b) 에 형성된 볼록부 (86d) 가 컨택트 (20) 의 연결부 (26) 에 형성된 오목부 (26a) 에 끼워지고, 조작 부재 (80) 의 볼록부 (84c) 가 제 1 수용부 (261) 의 오목부 (261b) 에 끼워져 있으므로, 조작 부재 (80) 가 갑자기 제 2 소정 위치로부터 제 1 소정 위치로 이동하는 일이 없다.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함과 함께, 컨택트 (220) 가 가동부 (232) 를 가지므로, 형광관 (1) 의 온도 변화에 의한 형광관 (1) 의 신축에 가동부 (232) 를 추종할 수 있어, 형광관 (1) 의 신축시의 컨택트 (220) 와 형광관 (1) 의 스침을 해소할 수 있다. 그 결과, 마모분의 발생에 의한 접촉 불량이나 스침소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컨택트 (220) 와 조작 부재 (80) 가 절연성 수지제 하우징 (250) 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절연성이 우수하고, 커넥터 (210) 를 형광등 (1) 의 고전압측 커넥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조작 부재를 도 23, 도 24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제 1 실시형태와의 주된 상이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의 조작 부재 (80) 에서는, 조작부 (81) 와 가압부 (86) 는 걸어맞춰짐으로써 연결되어 있지만, 제 3 실시형태의 조작 부재 (380) 에서는, 도 23,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 (386) 는 조작부 (81) 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조작부 (81) 와 가압부 (386) 는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가압부 (386) 는 측면부 (384) 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조작 부재 (80) 에서는, 측면부 (84) 는 되접어 꺾여져 있고, 측면부 (84) 는 외측 부분 (84a) 과 내측 부분 (84b) 을 갖지만, 제 3 실시형태의 조작 부재 (380) 의 측면부 (384) 는 되접어 꺾여져 있지 않다.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작 부재 (380) 의 전개 형상에 있어서의 면적을, 제 1 실시형태의 조작 부재 (80) 의 전개 형상의 면적보다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금속판의 사용량을 제 1 실시형태보다 적게 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이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컨택트를 도 25, 도 26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제 2 실시형태와의 주된 상이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의 컨택트 (220) 의 스프링부 (243) 는 고정부 (231) 의 측면부 (231b) 의 후단부와 가동부 (232) 의 측면부 (232b) 의 후단부를 연결하고 있고, 스프링부 (243) 는 측면부 (231b, 232b) 의 후단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도 18 참조). 이에 대해, 제 4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컨택트 (420) 에서는, 도 25,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 (443) 가 컨택트 (420) 의 높이 방향에서 측면부 (231b) 와 측면부 (232b) 사이에 놓여지도록 배치되어 있고, 스프링부 (443) 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지 않다.
또, 스프링부 (442) 도 컨택트 (420) 의 높이 방향에서 전면부 (231a) 와 전면부 (232a) 사이에 놓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4 실시형태에 의하면, 스프링부 (442, 443) 가 컨택트 (420) 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컨택트 (420) 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 (210) 의 하우징 (250) 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부재 (80, 380) 는 1 장의 금속판에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조작 부재를 1 장의 금속판으로부터 형성할 필요는 없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컨택트 (20) 와 하우징 (50) 을 일체로 형성했지만, 반드시 컨택트 (20) 와 하우징 (50) 을 일체로 형성할 필요는 없으며, 컨택트 (20) 와 하우징 (50) 을 따로 따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제 1 및 제 3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형광관의 한 쌍의 단자부 중 일방측 단자부와의 접속에, 제 2 및 제 4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형광관의 한 쌍의 단자부 중 타방측 단자부와의 접속에 주로 사용하지만, 제 1 및 제 3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형광관의 한 쌍의 단자부의 양측 단자부와의 접속에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부 (81) 의 구멍 (80a) 측 단부에 가압부 (386) 를 일체로 연결했지만,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조작부 (81) 의 구멍 (80a) 측과 반대측 단부에 가압부 (도시 생략) 를 일체로 연결하고, 가압부를 조작부 (81) 의 하방에서 거의 V 자형으로 절곡하여, 가압부의 선단부를 조작부 (81) 의 구멍 (80a) 측 단부에 걸어맞춰지게 연결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의 설명으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15)

  1. 하기를 구비하는 커넥터 :
    제 1 소정 방향에서 대향 배치됨과 함께 접속 대상물의 단자부를 협지 가능한 한 쌍의 접촉부를 갖는 컨택트 ;
    상기 한 쌍의 접촉부를 수용하고, 상기 한 쌍의 접촉부를 조작하는 조작 부재,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제 1 소정 방향에서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조작부와,
    상기 접속 대상물의 단자부를 상기 제 1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소정 방향에서 상기 한 쌍의 접촉부 사이에 삽입 가능하게 하는 절결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조작부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1, 제 2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제 3 소정 방향에서 상기 제 1 연결부와 대향됨과 함께 상기 한 쌍의 조작부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와,
    상기 조작부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제 1 소정 방향에서 대향 배치되고, 상기 조작 부재가 제 1 소정 위치로부터 제 2 소정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한 쌍의 접촉부가 상기 접속 대상물의 단자부를 협지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접촉부를 가압하여 접근시키는 한 쌍의 가압부를 구비하고 ; 및
    상기 제 2 소정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소정 위치와 상기 한 쌍의 가압부가 상기 한 쌍의 접촉부를 접근시키는 상기 제 2 소정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조작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와 상기 가압부가, 상기 조작부와 상기 가압부를 걸어맞춤으로써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가 상기 조작부로부터 연장되도록 상기 가압부와 상기 조작부가 일체 형성됨으로써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가, 다른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컨택트와 상기 지지 부재가 1 개의 금속판을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가, 다른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컨택트와 상기 지지 부재가 1 개의 금속판을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가, 다른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컨택트와 상기 지지 부재가 1 개의 금속판을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가, 다른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지지 부재가 절연체로 성형되어 있는 커넥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가, 다른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지지 부재가 절연체로 성형되어 있는 커넥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가, 다른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지지 부재가 절연체로 성형되어 있는 커넥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가 1 개의 금속판을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가 1 개의 금속판을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가 1 개의 금속판을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가 전개 상태일 때, 상기 제 1, 제 2 연결부가 상기 한 쌍의 조작부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고,
    상기 조작 부재가 완성 상태일 때, 상기 제 1, 제 2 연결부가 각각 상기 한 쌍의 조작부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는 커넥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가 전개 상태일 때, 상기 제 1, 제 2 연결부가 상기 한 쌍의 조작부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고,
    상기 조작 부재가 완성 상태일 때, 상기 제 1, 제 2 연결부가 각각 상기 한 쌍의 조작부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는 커넥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가 전개 상태일 때, 상기 제 1, 제 2 연결부가 상기 한 쌍의 조작부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고,
    상기 조작 부재가 완성 상태일 때, 상기 제 1, 제 2 연결부가 각각 상기 한 쌍의 조작부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는 커넥터.
KR1020110002271A 2010-01-12 2011-01-10 커넥터 KR1012792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04371 2010-01-12
JP2010004371A JP4963130B2 (ja) 2010-01-12 2010-01-12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522A true KR20110083522A (ko) 2011-07-20
KR101279249B1 KR101279249B1 (ko) 2013-06-26

Family

ID=44258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271A KR101279249B1 (ko) 2010-01-12 2011-01-10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87947B2 (ko)
JP (1) JP4963130B2 (ko)
KR (1) KR101279249B1 (ko)
CN (1) CN102157855B (ko)
TW (1) TWI4402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71439A (zh) * 2008-03-13 2011-02-09 夏普株式会社 灯连接器、背光源装置和液晶显示装置
CN201927740U (zh) * 2010-06-14 2011-08-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灯管连接器
EP2546932A3 (en) * 2011-07-15 2015-06-24 Hosiden Corporation Terminal box and terminal box fixing arrangement
CN103378342B (zh) * 2012-04-17 2016-03-23 苏州方林科技股份有限公司 双层电池端子
JP5943692B2 (ja) * 2012-04-24 2016-07-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線対基板コネクタ
JP5480990B1 (ja) * 2013-03-28 2014-04-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CN110858672B (zh) * 2018-08-23 2023-02-21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池模块
US20230129374A1 (en) * 2021-10-25 2023-04-27 Nvidia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9724A (ja) * 2004-08-20 2006-03-02 Smk Corp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US7059888B2 (en) * 2004-08-31 2006-06-13 Osram Sylvania Inc. High temperature lamp connector and socket for double-ended lamp
JP2006244749A (ja) * 2005-03-01 2006-09-14 Avenir Electronics International Co Ltd バックライト用コネクタ
US6988906B1 (en) * 2005-04-27 2006-01-24 Chuan-Ying Chen Fluorescent lamp tube seat
JP4728065B2 (ja) * 2005-08-12 2011-07-2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JP4509054B2 (ja) * 2006-03-20 2010-07-2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複合コネクタ、複合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ホルダ、回路基板への蛍光管の端子の接続構造、および回路基板への蛍光管の端子の接続方法
JP4738275B2 (ja) * 2006-07-07 2011-08-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ランプ管用コネクタ
KR100758352B1 (ko) * 2006-09-07 2007-09-14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백라이트 커넥터
US7347705B1 (en) * 2006-10-23 2008-03-25 Cvilux Corporation Adapter for a fluorescent tube
CN201000988Y (zh) * 2006-12-18 2008-01-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座连接器
US7806710B2 (en) * 2007-02-27 2010-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mp holding unit
EP2012176A1 (en) * 2007-07-02 2009-01-07 Hee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connection apparatus of direct type backlight unit
JP2009021120A (ja) * 2007-07-12 2009-01-29 Yamaichi Electronics Co Ltd 冷陰極管用ソケット
KR101334023B1 (ko) * 2007-08-17 2013-1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 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어셈블리를 갖는 표시장치
USD617285S1 (en) * 2009-01-22 2010-06-0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Backlight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57855A (zh) 2011-08-17
US20110171854A1 (en) 2011-07-14
US8087947B2 (en) 2012-01-03
CN102157855B (zh) 2013-07-10
JP2011146173A (ja) 2011-07-28
TWI440267B (zh) 2014-06-01
KR101279249B1 (ko) 2013-06-26
JP4963130B2 (ja) 2012-06-27
TW201205995A (en)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9249B1 (ko) 커넥터
CN102144338B (zh) 板对板连接器
US809223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JP4958645B2 (ja) 基板接続コネクタ
CN109004411B (zh) 多触点连接器
US7621755B2 (en) Contact and IC socket using the contact
US20150111400A1 (en) Connector
US7927110B1 (en) Connector clip
CN110098505B (zh) 电连接器与连接器组件
KR20100115303A (ko) 컨택트 및 커넥터
US8162680B2 (en) Board-mounted electrical connector
CN117913571A (zh) 端子组件和连接器
TWI415344B (zh) 浮動型連接器
CN110994298B (zh) 同轴开关
CN110061391B (zh) 电连接器
KR101611781B1 (ko) 접속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
KR101470331B1 (ko) 압접형 커넥터
US20220368053A1 (en) Terminal for contacting a contact pin
CN109193192B (zh) 电连接器
CN102185198B (zh) 功率接触件及其接触片
KR101177739B1 (ko) 컨택트 및 커넥터
CN216120882U (zh) 电连接器
CN216120876U (zh) 电连接器
JP7266464B2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コネクタ、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アセンブリ
CN219777985U (zh) 连接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