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1781B1 - 접속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접속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1781B1
KR101611781B1 KR1020147023831A KR20147023831A KR101611781B1 KR 101611781 B1 KR101611781 B1 KR 101611781B1 KR 1020147023831 A KR1020147023831 A KR 1020147023831A KR 20147023831 A KR20147023831 A KR 20147023831A KR 101611781 B1 KR101611781 B1 KR 101611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bend
movable contact
contact
be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9769A (ko
Inventor
지로 코야마
히로타다 테라니시
타카히로 사카이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9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meander springs

Abstract

응력의 집중을 완화하고, 소성변형이 생기기 어렵고,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접속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10)의 접점구멍(16)의 외부로부터 가압 가능하게 돌출하는 가동 접점부(40)를 갖는 접속단자(30)이다. 특히, 연속하는 제1 만곡부(38) 및 제2 만곡부(39)로 개략 S자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1 만곡부(38)의 자유단부에 가동 접점부(40)를 마련함과 함께, 상기 가동 접점부(40)를 가압한 때에, 상기 가동 접점부(40)로부터 제1 만곡부(38)의 내주면, 또는 제1 만곡부(38)와 제2 만곡부(39)가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영역에 당접하는 위치 규제용 돌기부(43)를 연재하였다.

Description

접속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SAME}
본원 발명은 접속단자, 예를 들면, 하우징에 조립되어 커넥터를 구성할 뿐만 아니라, 기판의 측단면에 직접 실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접속단자로서는, 예를 들면, 기간부(基幹部)를 지지변부(支持邊部)에 연접한 스프링변부를 통하여 단자 접점부를 일체로 형성한 IC 소켓용 콘택트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변부는, 연결부로부터 상기 단자 접점부로 늘어나는 상편(上片)암과 상기 기간부에 늘어나는 하편암에 의해 구성된 횡방향 개략 U형태를 나타내고, 그 상편암이, 각각 서로 이간하여 병행형상으로 연재된 제1 스프링부, 제2 스프링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하편암이, 각각 서로 이간하고 병행형상으로 연재되는 제3 스프링부, 제4 스프링부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스프링변부가, 상기 연결부측부터 기간부측을 향하고 내려가는 경사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소켓용 콘택트가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특개2001-237015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IC 소켓용 콘택트에서는, 그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력이 부하되면, 기간부(5)에 응력이 집중하기 쉽고, 소성변형이 생기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접속단자는, 응력의 집중을 완화하고, 소성변형이 생기기 어렵고,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접속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속단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우징의 접점구멍의 외부로부터 가압 가능하게 돌출하는 가동 접점부를 갖는 접속단자로서, 연속하는 제1 만곡부 및 제2 만곡부로 개략 S자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1 만곡부의 자유단부에 가동 접점부를 마련함과 함께, 상기 가동 접점부를 가압한 때에, 상기 가동 접점부로부터 제1 만곡부의 내주면, 또는 제1 만곡부와 제2 만곡부가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영역에 당접하는 위치 규제용 돌기부를 연재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개략 S자형상이란, 제1 만곡부의 개구 방향과 제2 만곡부의 개구 방향이 역방향을 향하도록 제1 만곡부와 제2 만곡부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상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속하는 제1 만곡부와 제2 만곡부의 양단을 이은 선분에 대해, 각각의 만곡부의 개구부가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 접점부에 외력이 부하되어 접속단자가 탄성변형하여도, 위치 규제용 돌기부가 제1 만곡부의 내주면에 당접함에 의해, 제1 만곡부의 변형량을 규제하여, 과대한 부하에 의한 소성변형을 저지하고,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접속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선단부로부터 제1 만곡부의 내주면, 또는 제1 만곡부와 제2 만곡부가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영역을 제2 만곡부의 개구 방향으로 밀어내(押出)도록 당접하는 위치 규제용 돌기부를, 가동 접점부로부터 연재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직선적으로 부하되는 외력을 꼬이는 힘으로 변환하여 흡수하기 때문에, 보다 큰 부하에 견딜수 있는 단자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선단부가 제1 만곡부의 내주면, 또는 제1 만곡부와 제2 만곡부가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영역을 제2 만곡부의 개구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당접한 후, 기부(基部)가 상기 제1 만곡부의 내주면에 당접하는 위치 규제용 돌기부를, 가동 접점부로부터 연재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위치 규제용 돌기부가 2단계로 제1 만곡부의 내주면에 당접하여 외력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제1 만곡부의 소성변형을 보다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큰 부하에 견딜수 있는 접속단자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제1 만곡부 및 제2 만곡부가 복수개의 연재부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연재부의 사이에 만곡부를 갖는 슬릿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탄성변형량이 보다 한층 많은 접속단자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새로운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위치 규제용 돌기부가 당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상기 연재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당접 받이부를 마련하여 두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당접 받이부를 마련함에 의해, 접속단자 전체의 강성이 높아짐과 함께, 상기 위치 규제용 돌기부의 당접시에 있어서의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기 때문에, 피로 파괴하기 어려워지고, 내구성이 향상한다.
또한, 위치 규제용 돌기부와 당접 받이부를 마련한 연재부와의 당접에 의해, 위치 규제용 돌기부로부터 연재부에 이르는 전기 저항이 작아져서, 접속단자에 통전할 수 있는 전류치를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는, 전술(前述)에서 기재한 접속단자의 가동 접점부를, 하우징에 마련한 접점구멍의 외부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돌출시킨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 접점부에 외력이 부하되어 접속단자가 탄성변형하여도, 위치 규제용 돌기부가 제1 만곡부의 내주면에 당접함에 의해, 제1 만곡부의 변형량을 규제하여, 과대한 부하에 의한 소성변형을 저지하고,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A, 1B, 1C는 본원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접속단자를 조립한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우측면도 및 부분 단면도.
도 2A, 2B는 도 1에서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접속단자를 조립한 커넥터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3A, 3B는 도 1에서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접속단자를 조립한 커넥터의 배면도 및 저면도.
도 4A, 4B, 4C는 도 1에서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접속단자를 조립한 커넥터의 동작 전, 동작 중 및 동작 후의 단면도.
도 5A, 5B, 5C는 도 1에서 도시한 하우징 단체의 사시도, 부분 단면도, 및 중앙 단면도.
도 6A, 6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접속단자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7A, 7B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접속단자를 조립한 커넥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A, 8B는 도 7에서 도시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접속단자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9A, 9B 및 9C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접속단자를 조립한 커넥터의 동작 전, 동작 중 및 동작 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A, 10B는 도 9에서 도시한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접속단자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11A, 11B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접속단자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12A, 12B는 도 11에서 도시한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접속단자의 동작 후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정면도.
본 발명에 관한 접속단자의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10의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 성형된 하우징(10)의 양단에 고정 금구(20)를 압입함과 함께, 상기 고정 금구(20, 20)의 사이에 접속단자(30)를 소정의 피치로 압입한 커넥터에 적용한 경우이다.
또한,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10)은, 높이 3.5mm, 최대 안길이(奧行) 2.8mm의 외형 치수를 가지며,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기판의 윗면 연부(緣部)에 마련한 개략 ㄷ자형상의 노치부에 감합하여 조립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양측면 및 배면에 따라 연속하는 돌출부(11)를 측방에 돌설하고 있다. 상기 돌출부(11)의 양단에는 고정 금구(20)를 상방에서 압입할 수 있는 제1 수납 스페이스(12)를 각각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수납 스페이스(12)에는, 그 대향하는 내측면에 따라 압입용 계지구멍(13)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1)는, 그 저면 기부에 위치 결정용 돌기(14)를 돌설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제1 수납 스페이스(12, 12)의 사이에 접속단자(30)를 상방에서 압입할 수 있는 3개의 제2 수납 스페이스(15)를 병설하고 있다. 특히, 상기 제1 수납 스페이스(12)와 이웃하는 위치에 마련한 제2 수납 스페이스(15)는, 칸막이벽(15a)으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그 정면측에, 상기 제2 수납 스페이스(15)에 연통하고, 또한, 후술하는 접속단자(30)의 가동 접점부(40)를 출입할 수 있는 접점구멍(16)을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제2 수납 스페이스(15)에 연통하는 압입용 계지구멍(17)을 마련하고 있다.
고정 금구(20)는, 도 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제 박판을 타발(打拔)하여 형성한 프레스 성형품이고, 계지폴(21) 및 위치 결정용 지지부(22)를 병설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하우징(10)에 마련한 제1 수납 스페이스(12)의 압입용 계지구멍(13)에 상기 고정 금구(20)의 계지폴(21)을 상방에서 압입하면, 상기 고정 금구(20)가 빠짐방지됨과 함께, 상기 고정 금구(20)의 위치 결정용 지지부(22)가 상기 하우징(10)의 위치 결정용 돌기(14)의 하단면과 같은 면(面一)으로 된다.
접속단자(30)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입용 고정부(31)의 중간 위치에서 하방측에 압입용 계지폴(32a)을 돌설함과 함께, 그 일단부로부터 하방측으로 지지부(33)를 연재하고 있는 한편, 그 타단부로부터 개략 L자형상의 단자부(32b)를 하방측으로 연재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3)의 선단에 위치하는 분기부(分岐部)(34)로부터 제1 연재부(35), 제2 연재부(36)가 개략의 평행하게 사행(蛇行)하도록 연재하고, 만곡부를 갖는 슬릿(37)을 형성함과 함께, 제1 만곡부(38) 및 제2 만곡부(39)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분기부(34)에 응력 집중이 생기기 어려워지고, 수명이 길어짐과 함께, 설계의 자유도가 넓어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재부(35)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동 접점부(40)로 함과 함께, 제1, 제2 연재부(35, 36)의 선단부를 일체화하여 연결부(41)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41)의 선단부(42)로부터, 제1 만곡부(38) 내에 위치하는 제2 연재부(36)의 내주면에 당접 가능한 위치 규제용 돌기부(43)를 상방으로 연재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제2 연재부(35, 36)는 일양한 폭(幅) 치수는 아니고, 그 만곡부분에 있어서 외측에 위치한 만곡부분의 폭 치수를 내측에 위치한 만곡부분의 폭 치수보다도 크게 하여 둔다. 이 때문에, 동작시에 응력 집중이 보다 한층 생기기 어려워지고, 수명이 신장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슬릿(37)의 폭 치수는, 일양할 필요는 없고, 필요에 응하여 다르게 하고 있어서도 좋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제2 수납 스페이스(15)에 상방에서 상기 접속단자(30)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압입용 고정부(31)의 압입용 계지폴(32a)을 압입구멍(17)에 압입하여 계지한다. 이에 의해, 제2 연재부(36)의 제2 만곡부(39) 내에 위치한 외주면이 상기 제2 수납 스페이스(15)의 내주면에 당접하여 위치 결정된다(도 4A).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제1 수납 스페이스(12)에 고정 금구(20)를 삽입하고, 상기 베이스(10)의 압입구멍(13)에 상기 고정 금구(20)의 압입용 계지폴(21)을 압입하여 고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1C 및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1)의 저면에 마련한 위치 결정용 돌기(14)의 하단면과, 고정 금구(20)의 위치 결정용 지지부(22)의 하단면 및 접속단자(30)의 단자부(32b)의 하단면이 같은면으로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를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기판의 연부에 마련한 개략 ㄷ자형상의 노치부에 조립하고, 상기 프린트 기판에 마련한 위치 결정용 관통구멍에 상기 고정 금구(20)의 계지폴(21)을 삽입하면, 상기 프린트 기판에 상기 커넥터를 덜커덕거림 없이 조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단자(30)의 가동 접점부(40)에 외력이 부하되면, 처음에 제1 만곡부(38)가 내방(內方)으로 만곡하고, 위치 규제용 돌기부(43)가 경사 상방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고, 제1 만곡부(38) 내에 위치하는 제2 연재부(36)의 내주면에 당접한다. 더욱, 가동 접점부(40)를 압입하면, 도 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위치 규제용 돌기부(43)가 제2 연재부(36)를 제1 만곡부(38)의 만곡의 외주 방향(환언하면, 제2 만곡부(39)의 개구 방향)으로 밀어내고, 제1 만곡부(38)의 탄성변형을 규제함과 함께, 제2 만곡부(39)가 크게 탄성변형한다. 이 때문에, 제1 만곡부(38)에서의 응력 집중을 저지할 수 있고, 소성변형의 발생을 방지한다.
계속해서, 가동 접점부(40)에 대한 부하를 제거하면, 접속단자(30)는, 도 4A에 도시하는 초기 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다. 즉, 위치 규제용 돌기부(43)는, 접속단자(30)가 탄성변형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제2 연재부(36)의 내주면과 접리하도록, 그 형상이 정하여져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위치 규제용 돌기부(43)가 제1 만곡부(38) 내에 위치하는 제2 연재부(36)의 내주면에 당접하는 구성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위치 규제용 돌기부(43)가 당접하는 장소는, 제1 만곡부(38)로부터 제2 만곡부(39)에 이르는 영역(제1 만곡부(38)와 제2 만곡부(39)가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영역)이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가동 접점부(40)와 압입용 고정부(31) 사이에, 사행한 제1, 제2, 제3 연재부(38, 39) 및 지지부(33)가 배치되고, 스프링 길이가 길기 때문에, 소망하는 변위량을 확보하면서, 응력 집중이 생기기 어렵다. 이 때문에, 소성변형이 생기기 어렵고, 수명이 긴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41)의 선단부(42)로부터 위치 규제용 돌기부(44)를 수평 방향으로 연재하고, 제1 만곡부(38) 내에 위치하는 제2 연재부(36)의 내주면에 당접 가능하게 한 경우이다. 다른 것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위치 규제용 돌기부(44)를 수평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보다도 제2 연재부(36)의 내주면에 조기에 당접한다. 이 때문에, 제1 만곡부(38)에 대한 응력 집중을 저지하고, 소성변형을 보다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3 실시 형태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41)의 선단부(42)로부터 제1 만곡부(38) 내에 위치하는 제2 연재부(36)의 천장면 부근까지 위치 규제용 돌기부(45)를 돌설한 경우이다. 다른 것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력이 부하된 경우에는, 위치 규제용 돌기부(45)의 상단부가 제1 만곡부(38) 내의 제2 연재부(36)의 내주면에 당접하고(도 9B), 제1 만곡부(38)를 제1 만곡부(38)의 만곡의 외주 방향(환언하면, 제2 만곡부(39)의 개구 방향)으로 밀어낸다. 계속해서, 상기 위치 규제용 돌기부(45)의 기부에 위치하는 상기 선단부(42)가 제2 연재부(36)의 내주면에 당접한다(도 9C). 이 때문에, 제1 만곡부(38)의 변형량이 감소하는 한편, 제2 만곡부(39)의 변형량이 증대함에 의해, 제1 만곡부(38)에 대한 응력 집중이 완화되고, 제1 만곡부(38)에서의 소성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외력에 의한 부하를 제거하면, 접속단자(30)는, 도 9A에 도시하는 초기 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다. 즉, 위치 규제용 돌기부(45)는, 접속단자(30)가 탄성변형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제2 연재부(36)의 내주면과 접리하도록, 그 형상이 정하여져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위치 규제용 돌기부(45)가 제1 만곡부(38) 내에 위치하는 제2 연재부(36)의 내주면에 당접하는 구성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위치 규제용 돌기부(45)가 당접하는 장소는, 제1 만곡부(38)로부터 제2 만곡부(39)에 이르는 영역(제1 만곡부(38)와 제2 만곡부(39)가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영역)이라도 좋다.
제4 실시 형태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접속단자(30)와 거의 마찬가지이고, 다른 점은, 위치 규제용 돌기부(43)가 제2 연재부(36)에 당접하는 위치에 마련된 당접 받이부(46)로, 상기 제1, 제2 연재부(35, 36)를 연결한 점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당접 받이부(46)를 마련함에 의해, 접속단자(30) 전체의 강성이 높아짐과 함께, 상기 위치 규제용 돌기부(43)의 당접시에 있어서의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기 때문에, 피로 파괴하기 어려워지고, 내구성이 향상한다는 이점이 있다.
제5 실시 형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접속단자(30)와 거의 마찬가지이고, 다른 점은, 위치 규제용 돌기부(44)가 제2 연재부(36)에 당접하는 위치에 마련된 당접 받이부(46)로, 상기 제1, 제2 연재부(35, 36)를 연결한 점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당접 받이부(46)를 마련함에 의해, 접속단자(30) 전체의 강성이 높아짐과 함께, 상기 위치 규제용 돌기부(44)의 당접시에 있어서의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기 때문에, 피로 파괴하기 어려워지고, 내구성이 향상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접촉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2매(枚) 1조(組)의 접속단자와 1매(枚)의 접속단자를 조합시키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전부 1매의 접속단자만으로 구성하여도 좋고, 또는, 전부 2매 1조의 접속단자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3매 1조로 접속단자를 조립하여도 좋고, 필요에 응하여 접속단자의 수를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연재부 및 슬릿은 일양한 폭 치수일 필요는 없고, 필요에 응하여 폭 치수를 변화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연재부의 만곡부분 중, 외측에 위치하는 연재부의 만곡부분의 폭 치수만을 크게 하여, 응력 집중의 발생을 방지함에 의해, 내구성을 높여도 좋다.
또한, 상기 당접 받이부는, 접속단자에 적어도 1개소 마련하여 두면 좋고, 복수개소에 마련하여 두어도 좋다. 또한, 연재부가 2개 이상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내측의 2개의 연재부만을 연결하여도 좋고, 또는, 모든 연재부를 당접 받이부로 연결하여도 좋다. 단, 상기 당접 받이부는 반드시 동일 직선상에 배치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지그재그형상으로 비껴서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당접 받이부의 설치는 전술한 모든 실시 형태에 적용할 수 있지만, 다른 접속단자에 적용하여도 좋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에 접속단자를 조립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프린트 기판 자체를 하우징으로 하고, 그 측단면에 본원의 접속단자를 직접 조립하여도 좋다. 이에 의하면, 종래의 하우징 및 고정 금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결과로서 장치 전체를 보다 한층 소형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실시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접속단자를 실시례 1로 하고,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접속단자를 실시례 2로 하였다. 그리고, 상기 실시례 1, 2의 상기 위치 규제용 돌기부(44)를 제2 연재부(36)에 각각 당접시킴에 의해, 파괴하기까지의 동작 회수를 측정하였다.
측정의 결과, 평균 동작 회수에 있어서 실시례 2가 실시례 1보다도 약 5배의 동작 회수가 되고, 수명이 현저하게 늘어났기 때문에, 상기 당접 받이부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접속단자를 조립한 커넥터는, 전술한 형상으로 한하지 않고, 프린트 기판의 윗면에 표면 실장할 수 있는 형상으로 하여도 좋음은 물론이다.
10 : 하우징
11 : 돌출부
15 : 제2 수납 스페이스
16 : 접점구멍
20 : 고정 금구
30 : 접속단자
31 : 압입용 고정부
32a : 압입용 계지폴
32b : 단자부
33 : 지지부
34 : 분기부
35, 36 : 제1, 제2 연재부
37 : 슬릿
38, 39 : 제1, 제2 만곡부
40 : 가동 접점부
41 : 연결부
42 : 선단부
43, 44, 45 : 위치 규제용 돌기부
46 : 당접 받이부

Claims (6)

  1. 하우징의 접점구멍의 외부로부터 가압 가능하게 돌출하는 가동 접점부를 갖는 접속단자로서,
    연속하는 제1 만곡부 및 제2 만곡부로 개략 S자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1 만곡부의 자유단부에 가동 접점부를 마련함과 함께, 상기 가동 접점부를 가압한 때에, 상기 가동 접점부로부터 제1 만곡부의 내주면, 또는 제1 만곡부와 제2 만곡부가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영역에 당접하는 위치 규제용 돌기부를 연재하는 한편,
    상기 제1 만곡부 및 상기 제2 만곡부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연재부 중, 상기 위치 규제용 돌기부가 당접하는 위치에, 상기 복수개의 연재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당접 받이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선단부로 제1 만곡부의 내주면, 또는 제1 만곡부와 제2 만곡부가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영역을 제2 만곡부의 개구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당접하는 위치 규제용 돌기부를, 가동 접점부로부터 연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3. 제1항에 있어서,
    선단부가 제1 만곡부의 내주면, 또는 제1 만곡부와 제2 만곡부가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영역을 제2 만곡부의 개구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당접한 후, 기부가 상기 제1 만곡부의 내주면에 당접하는 위치 규제용 돌기부를, 가동 접점부로부터 연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만곡부 및 제2 만곡부를 형성하는 상기 복수개의 연재부의 사이에, 만곡부를 갖는 슬릿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속단자의 가동 접점부를, 하우징에 마련한 접점구멍의 외부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4항에 기재된 접속단자의 가동 접점부를, 하우징에 마련한 접점구멍의 외부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47023831A 2012-03-15 2013-03-14 접속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 KR1016117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59298 2012-03-15
JPJP-P-2012-059298 2012-03-15
PCT/JP2013/057253 WO2013137405A1 (ja) 2012-03-15 2013-03-14 接続端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769A KR20140119769A (ko) 2014-10-10
KR101611781B1 true KR101611781B1 (ko) 2016-04-11

Family

ID=49161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831A KR101611781B1 (ko) 2012-03-15 2013-03-14 접속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66906B2 (ko)
JP (1) JP5637336B2 (ko)
KR (1) KR101611781B1 (ko)
CN (1) CN104170176B (ko)
WO (1) WO20131374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66906B2 (en) * 2012-03-15 2016-10-11 Omron Corporation Resilient contact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same
JP7065400B2 (ja) * 2018-04-26 2022-05-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ンタクト、コネクタ及び接続装置
WO2024011607A1 (zh) * 2022-07-15 2024-01-18 珠海领翌科技有限公司 连接器和弹性接触件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5816A (en) * 1989-09-29 1991-02-26 Amp Incorporated Pivotal electrical contact
GB9519204D0 (en) * 1995-09-20 1995-11-22 Amp Gmbh Electrical installataion bus connector
JP4199897B2 (ja) 2000-02-23 2008-12-24 株式会社秩父富士 Icソケット用コンタクト
US7040935B2 (en) * 2004-10-07 2006-05-09 Jess-Link Products Co., Ltd. Elastic terminal
US7150658B1 (en) * 2006-06-19 2006-12-19 Excel Cell Electronic Co., Ltd. Terminal for an electrical connector
JP2008166198A (ja) * 2006-12-28 2008-07-17 Smk Corp コネクタ
JP2008276987A (ja) * 2007-04-25 2008-11-13 Tyco Electronics Amp Kk コンタクト及び電気コネクタ
JP4365877B2 (ja) 2007-06-14 2009-11-18 ミック電子工業株式会社 接触ピン
CN201303183Y (zh) * 2008-11-03 2009-09-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5540718B2 (ja) * 2010-01-15 2014-07-02 オムロン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電子機器および導電接触方法
JP5493896B2 (ja) * 2010-01-15 2014-05-14 オムロン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電子機器および導電接触方法。
JP4883215B1 (ja) 2010-10-29 2012-02-22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4811530B1 (ja) 2010-11-04 2011-11-09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US8784145B2 (en) * 2011-03-14 2014-07-22 Omron Corporation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US9466906B2 (en) * 2012-03-15 2016-10-11 Omron Corporation Resilient contact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769A (ko) 2014-10-10
JPWO2013137405A1 (ja) 2015-08-03
US20150064981A1 (en) 2015-03-05
US9466906B2 (en) 2016-10-11
CN104170176A (zh) 2014-11-26
CN104170176B (zh) 2016-12-28
JP5637336B2 (ja) 2014-12-10
WO2013137405A1 (ja) 201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4074B1 (ja)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6297928B2 (ja) コネクタ
KR101155798B1 (ko) 단자 및 이것을 사용한 커넥터
US20130203290A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155814B1 (ko) 단자 및 이것을 사용한 커넥터
JP5522217B2 (ja) 電気コネクタ
US20190109396A1 (en) Connector
JP2006059646A (ja) 基板内蔵型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方法
JPH11233201A (ja) シールド板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KR101482563B1 (ko) 연결 단자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US20080020608A1 (en) Connector-mounting configuration
KR101611781B1 (ko) 접속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
US10707619B2 (en) Movable connector
JP5812187B2 (ja) 接続端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US7544067B1 (en) Board mount-type connector and board mount-type connector assembly
KR101931094B1 (ko) 통합된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직접 플러그인 부재
KR101397772B1 (ko) 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
JP4506712B2 (ja) コネクタ
JP5342633B2 (ja) 固定金具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KR20230095810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JP2019216118A (ja) プラグ
JP5626189B2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