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798B1 - 단자 및 이것을 사용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단자 및 이것을 사용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798B1
KR101155798B1 KR1020117021909A KR20117021909A KR101155798B1 KR 101155798 B1 KR101155798 B1 KR 101155798B1 KR 1020117021909 A KR1020117021909 A KR 1020117021909A KR 20117021909 A KR20117021909 A KR 20117021909A KR 101155798 B1 KR101155798 B1 KR 101155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extension
press
termin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1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7557A (ko
Inventor
지로오 고야마
히로따다 테라니시
Original Assignee
오무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무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무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7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meander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긴 스프링 길이를 확보함으로써, 소정의 접점 압력을 확보할 수 있고, 접촉 신뢰성이 높은 동시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 어려워, 수명이 긴 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로 인해, 하우징(10)에 압입 고정하여 사용하는 단자(3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에 압입하는 압입용 고정부(31)에 설치한 분기부(33)로부터 제1, 제2, 제3 연장부(34a, 34b, 34c)를 사행시키면서 연장하여 사행된 제1, 제2 슬릿(35a, 35b)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제2, 제3 연장부(34a, 34b, 34c)의 자유단부를 일체화한 선단부에, 상기 하우징(10)의 접점 구멍(14)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돌출되는 가동 접점부(36)를 설치하고 있다.

Description

단자 및 이것을 사용한 커넥터{TERMINAL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본원 발명은 단자, 예를 들어 하우징에 내장되어 커넥터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기판에 직접 실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단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단자로서는, 예를 들어 기간부(基幹部)를 지지변부에 연접한 스프링 변부를 통해 단자 접점부를 일체로 형성한 IC 소킷용 콘택트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변부는 연결부로부터 상기 단자 접점부로 연장되는 상편 아암과 상기 기간부로 연장되는 하편 아암에 의해 구성되는 횡방향 대략 U형을 나타내고, 그 상편 아암이, 각각 서로 이격되어 병행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1 스프링부, 제2 스프링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하편 아암이, 각각 서로 이격되어 병행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3 스프링부, 제4 스프링부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스프링 변부가, 상기 연결부측으로부터 기간부측을 향해 내려가는 경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소킷용 콘택트가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237015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IC 소킷용 콘택트에서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 형상의 상편 아암(2) 및 하편 아암(3)을 연결부(8)로 접속하고 있다. 이로 인해, 스프링 길이를 길게 할 수 없어, 소정의 접점압을 확보하기 어려우므로, 높은 접촉 신뢰성이 얻어지지 않는 동시에, 연결부(8)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 쉬워, 수명이 짧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단자는 긴 스프링 길이를 확보함으로써, 소정의 접점압을 확보할 수 있어, 접촉 신뢰성이 높은 동시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 어려워, 수명이 긴 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단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재(基材)에 압입 고정하여 사용하는 단자에 있어서, 상기 기재에 압입하는 압입용 고정부에 설치한 분기부로부터 복수개의 연장부를 사행시키면서 연장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행된 슬릿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연장부의 자유단부를 일체화한 선단부에, 상기 기재의 접점 구멍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돌출되는 가동 접점부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 길이가 길어져, 복수개의 스프링이 가동 방향으로 겹치기 때문에, 소정의 접점압이 얻기 쉬워져,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수명이 긴 단자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는, 압입용 고정부에 교차하도록 돌출 설치한 지지부의 선단에, 분기부를 설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지지부의 길이분만큼 스프링 길이가 길어지므로, 접촉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지지부가 만곡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스프링 길이가 보다 길어져,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다. 특히, 지지부가 외측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으면, 동작 시에 다른 연장부에 접촉하기 어려워져, 변위량이 큰 가동 접점부가 얻어지고, 내충격성이 우수한 단자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분기부로부터 3개의 연장부를 연장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전기 저항값이 낮은 단자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새로운 실시 형태로서는, 분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제2, 제3 연장부의 일단부가,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제2, 제3 연장부의 지지점이 동일 직선 상에 정렬되므로, 응력 해석이 용이해져, 설계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압입용 고정부에 설치한 제1 분기부로부터 제1 연장부와 제2 분기부가 연장하는 동시에, 상기 제2 분기부로부터 제2 연장부와 제3 연장부가 연장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1개의 분기부로부터 다수의 연장부가 연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수명이 보다 한층 긴 단자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이웃하는 연장부가 평행하게 연장되는 구성이라도 좋다. 특히, 슬릿의 폭 치수는 동작 시에 이웃하는 연장부가 서로 접촉하지 않는 폭 치수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동작 시에 불쾌한 접촉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연장부를 일체화한 선단부에, 기재의 위치 규제용 수용부에 접촉하는 위치 규제용 돌기부를 돌출 설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연장부를 일체화한 선단부에, 기재의 위치 규제용 수용부에 접촉하는 위치 규제용 접촉부를 설치하고 있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단자의 가동 접점부를 소정의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으므로, 동작 특성이 향상된다.
본원의 발명에 관한 커넥터로서는, 전술한 단자의 압입용 고정부를, 기재인 하우징의 압입 구멍에 압입하여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에 설치한 접점 구멍으로부터 단자의 가동 접점부가 출입 가능하게 돌출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 신뢰성이 높고, 수명이 긴 커넥터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는, 하우징의 접점 구멍의 개구 테두리부에 설치한 위치 규제용 수용부에, 단자의 가동 접점부의 주위에 돌출 설치한 위치 규제용 돌기부를 접촉시켜 위치 결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하우징의 접점 구멍의 개구 테두리부에 설치한 위치 규제용 수용부에, 단자의 가동 접점부의 주위에 설치한 위치 규제용 접촉부를 접촉시켜 위치 결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단자의 가동 접점부를 높은 위치 결정 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으므로, 동작 특성에 편차가 없는 커넥터가 얻어진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A), 도 1의 (B) 및 도 1의 (C)는 본원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단자를 내장한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단면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2의 (A), 도 2의 (B)는 도 1에서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단자를 내장한 커넥터의 단면 사시도 및 단자 단일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의 (A), 도 3의 (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단자의 동작 전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의 (A) 및 도 4의 (B)는 본원 발명의 제2 실시에 관한 단자를 내장한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5의 (A), 도 5의 (B)는 도 4에서 도시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단자를 내장한 커넥터의 단면 사시도 및 단자 단일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의 (A), 도 6의 (B)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단자의 동작 전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의 (A) 및 도 7의 (B)는 본원 발명의 제3 실시에 관한 단자를 내장한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8의 (A), 도 8의 (B)는 도 7에서 도시한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단자를 내장한 커넥터의 단면 사시도 및 단자 단일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의 (A), 도 9의 (B)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단자의 동작 전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의 (A) 및 도 10의 (B)는 본원 발명의 제4 실시에 관한 단자를 내장한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1의 (A), 도 11의 (B)는 도 10에서 도시한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단자를 내장한 커넥터의 단면 사시도 및 단자 단일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의 (A), 도 12의 (B)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단자의 동작 전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의 (A) 및 도 13의 (B)는 본원 발명의 제5 실시에 관한 단자를 내장한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4의 (A), 도 14의 (B)는 도 13에서 도시한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단자를 내장한 커넥터의 단면 사시도 및 단자 단일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5의 (A), 도 15의 (B)는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단자의 동작 전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단자의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15의 첨부 도면을 따라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 성형된 높이 4㎜의 하우징(10)에 소정의 피치로 고정 금속 부재(20)를 압입하는 동시에, 상기 고정 금속 부재(20, 20) 사이에 접속 단자(30)를 압입한 커넥터에 적용한 경우이다.
상기 하우징(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양측 근방과 그 중앙에 고정 금속 부재(20)를 상방으로부터 압입할 수 있는 제1 수납 스페이스(11)를 설치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제1 수납 스페이스(11)의 대향하는 내측면에는 걸림용 돌조(12)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수납 스페이스(11, 11) 사이에 배면측으로부터 접속 단자(30)를 압입할 수 있는 제2 수납 스페이스(13)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은 그 정면측에, 상기 제2 수납 스페이스(13)에 연통하고, 또한 후술하는 가동 접점부(36)가 출입할 수 있는 접점 구멍(14)을 형성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제2 수납 스페이스(13)에 연통하는 압입 구멍(15)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접점 구멍(14)의 양측 개구 테두리부에 보강용 리브(16)를 돌출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접점 구멍(14)의 상방 테두리부에 위치 규제용 수용부(17)를 형성하고 있다.
고정 금속 부재(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판을 프레스 가공으로 펀칭하여 형성한 대략 문형의 프레스 성형품으로, 그 내측면에 걸림 갈고리(21)를 돌출 설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하우징(10)의 제1 수납 스페이스(11)에 상기 고정 금속 부재(20)를 상방으로부터 압입하면, 상기 걸림 갈고리(21)가 상기 하우징(10)의 걸림용 돌조(12)에 걸려, 상기 고정 금속 부재(20)가 빠짐 방지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 금속 부재(20)의 고정용 하단부(22)가 상기 하우징(10)의 저면으로부터 접속 고정할 수 있도록 노출된다(도 3).
접속 단자(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입용 고정부(3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대략 J 형상의 지지부(32)의 선단에 분기부(33)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압입용 고정부(31)에는 그 일단부의 상면에 걸림 갈고리(31a)를 돌출 설치하고 있는 한편, 그 타단부의 하면으로부터 접속부(31b)를 설치함으로써, 압입용 절결부(31c)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분기부(33)로부터 대략 평행하게 사행되는 제1, 제2, 제3 연장부(34a, 34b, 34c)를 연장함으로써, 제1, 제2 슬릿(35a, 35b)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제3 연장부(34a, 34b, 34c)의 선단부를 일체화하여 형성한 자유단부에 가동 접점부(36)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장부(34a)의 선단에는 위치 규제용 돌기부(37)를 돌출 설치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제2, 제3 연장부(34a, 34b, 34c)의 만곡 부분에 있어서의 폭 치수를 순차적으로 크게 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동작 시에 있어서의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수명이 연장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제2 슬릿(35a, 35b)의 폭 치수는 접속 단자(30)의 가동 접점부(36)를 동작시켜도 제1, 제2, 제3 연장부(34a, 34b, 34c)가 서로 접촉하지 않는 크기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소정의 동작 시에 있어서 제1, 제2, 제3 연장부(34a, 34b, 34c)가 서로 접촉하는 일이 없어, 불쾌한 접촉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제2 수납 스페이스(13)에 배면측으로부터 상기 접속 단자(30)를 삽입하고, 상기 압입용 고정부(31)를 압입 구멍(15)에 압입하고, 걸림 갈고리(31a)를 압입 구멍(15)의 내면에 거는 동시에, 절결부(31c)를 하우징(10)의 테두리부에 결합함으로써,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 단자(30)의 위치 규제용 돌기부(37)가 하우징(10)의 위치 규제용 수용부(17)에 접촉하여 위치 규제되는 동시에, 접속 단자(30)의 접속부(31b)가 고정 금속 부재(20)의 고정용 하단부(22)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게 된다.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기판에 실장한 커넥터에, 예를 들어 휴대 전자 기기의 배터리를 압접시킴으로써, 가동 접점부(36)를 압입하면, 제1, 제2, 제3 연장부(34a, 34b, 34c)가 탄성 변형되는 동시에, 지지부(32)가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소정의 압입량의 범위 내이면, 제1, 제2 슬릿(35a, 35b)의 폭 치수를 크게 하고 있으므로, 제1, 제2, 제3 연장부(34a, 34b, 34c)가 서로 접촉하는 일이 없어, 마찰음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특히, 가동 접점부(36)와 압입용 고정부(31) 사이에, 사행되는 제1, 제2, 제3 연장부(34a, 34b, 34c) 및 지지부(32)가 배치되어, 스프링 길이가 길고, 원하는 변위량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접촉 신뢰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수명이 긴 커넥터가 얻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제2 실시 형태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대략 마찬가지이고, 다른 점은 제1, 제2, 제3 연장부(34a, 34b, 34c)의 접속 구조가 다른 점이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접속 단자(30)는 지지부(32)의 선단에 위치하는 제1 분기부(33a)로부터 제1 연장부(34a)와 제2 분기부(33b)가 연장되고, 상기 제2 분기부(33b)로부터 제2, 제3 연장부(34b, 34c)가 분기되어 있다. 이로 인해, 분기부(33a, 33b)에 대한 응력 집중이 보다 한층 발생하기 어려워져, 수명이 연장되는 동시에, 설계의 자유도가 넓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 밖에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대략 마찬가지이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와 대략 마찬가지이고, 다른 점은 하우징(10)에 고정 금속 부재(20)를 내장하는 제1 수납 스페이스(11)를 설치하지 않고, 접점 구멍(14)의 하방 테두리부에 위치 규제용 수용부(17)를 배치한 점이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접속 단자(3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압입용 고정부(31)에 설치한 분기부(33)로부터 대략 평행하게 사행되는 제1, 제2 연장부(34a, 34b)를 연장함으로써, 제1 슬릿(35a)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연장부(34a, 34b)의 선단부를 일체화하여 형성한 자유단부에 가동 접점부(36)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슬릿(35a)의 폭 치수는 접속 단자(30)의 가동 접점부(36)를 동작시켜도 제1, 제2 연장부(34a, 34b)가 서로 접촉하지 않는 간극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 접점부(36)의 선단부에 위치 규제용 돌기부(37)를 돌출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제2 수납 스페이스(13)에 배면측으로부터 상기 접속 단자(30)를 삽입하고, 상기 압입용 고정부(31)를 압입 구멍(15)에 압입하고, 걸림 갈고리(31a)를 압입 구멍(15)의 내면에 거는 동시에, 절결부(31c)를 하우징(10)의 테두리부에 결합함으로써, 빠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속 단자(30)의 위치 규제용 돌기부(37)가 하우징(10)의 위치 규제용 수용부(17)에 접촉하여 위치 규제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기판에 실장한 커넥터에, 예를 들어 휴대 전자 기기의 배터리를 압접시킴으로써, 가동 접점부(36)를 압입하면, 제1, 제2 연장부(34a, 34b)가 탄성 변형된다. 이때, 소정의 압입량의 범위 내이면, 제1 슬릿(35a)의 폭 치수를 크게 하고 있으므로, 제1, 제2 연장부(34a, 34b)가 서로 접촉하는 일이 없어, 마찰음을 발생하지 않고, 원활한 동작이 가능해진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 접점부(36)와 압입용 고정부(31) 사이의 제1, 제2 연장부(34a, 34b)가 크게 사행되어, 스프링 길이가 길고,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접촉 신뢰성이 높은 동시에, 수명이 긴 커넥터를 얻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그 밖에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 대략 마찬가지이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세로로 긴 하우징(10)에 접속 단자(30)를 내장한 경우이다.
상기 하우징(10)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저면의 양측 테두리부에 배치한 제1 수납 스페이스(도시하지 않음)에 고정 금속 부재(20)를 압입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제1 수납 스페이스 사이에 배면측으로부터 접속 단자(30)를 압입할 수 있는 제2 수납 스페이스(13)를 설치하고 있다(도 11).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그 저면에 프린트 기판의 관통 구멍에 삽입할 수 있는 고정 금속 부재(23)를 압입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그 정면측에, 상기 제2 수납 스페이스(13)에 연통하고, 또한 후술하는 가동 접점부(36)가 출입할 수 있는 접점 구멍(14)을 형성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제2 수납 스페이스(13)에 연통하는 압입 구멍(15)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접점 구멍(14)의 상방 테두리부에 위치 규제용 수용부(17)를 형성하고 있다.
접속 단자(3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입용 고정부(3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만곡되는 지지부(32)의 선단에 분기부(33)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압입용 고정부(31)에는 그 일단부의 상면에 걸림 갈고리(31a)를 돌출 설치하고 있는 한편, 그 타단부의 하면으로부터 접속부(31b)를 설치함으로써, 압입용 절결부(31c)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분기부(33)로부터 대략 평행하게 사행되는 제1, 제2 연장부(34a, 34b)를 연장함으로써, 제1 슬릿(35a)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연장부(34a, 34b)의 선단부를 일체화하여 형성한 자유단부에 가동 접점부(36)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연장부(34a)의 위치 규제용 접촉부(38)를 하우징(10)의 위치 규제용 수용부(17)에 접촉시켜 위치 규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슬릿(35a)의 폭 치수는 접속 단자(30)의 가동 접점부(36)를 동작시켜도 제1, 제2 연장부(34a, 34b)가 서로 접촉하지 않는 간극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소정의 동작 시에는 접촉하는 일이 없어, 불쾌한 접촉음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제2 수납 스페이스(13)에 배면측으로부터 상기 접속 단자(30)를 삽입하고, 상기 압입용 고정부(31)를 압입 구멍에 압입하고, 걸림 갈고리(31a)를 압입 구멍(15)의 내면에 거는 동시에, 절결부(31c)를 하우징(10)의 테두리부에 결합함으로써, 빠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 단자(30)의 위치 규제용 접촉부(38)가 하우징(10)의 위치 규제용 수용부(17)에 접촉하여 위치 규제된다.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기판에 실장한 커넥터의 가동 접점부(36)를 압입하면, 제1, 제2 연장부(34a, 34b)가 탄성 변형되는 동시에, 지지부(32)가 탄성 변형된다. 이때, 소정의 압입량의 범위 내이면, 제1 슬릿(35a)의 폭 치수를 크게 하고 있으므로, 제1, 제2 연장부(34a, 34b)가 서로 접촉하는 일이 없어, 마찰음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특히, 가동 접점부(36)와 압입용 고정부(31) 사이에 지지부(32) 및 제1, 제2 연장부(34a, 34b)가 배치되어, 스프링 길이가 길고,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접촉 신뢰성이 높고, 수명이 긴 커넥터가 얻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동 접점부(36)가 내측으로 압입되어도, 지지부(32)가 외측으로 만곡되어 있으므로, 제2 연장부(34b)가 지지부(32)에 접촉하는 일이 없다. 이로 인해, 세로로 길고 바닥 면적이 작은 커넥터가 얻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 테두리부에 대략 L자 형상의 설치용 단차부(10a)를 갖는 하우징(10)에 접속 단자(30)를 내장한 경우이다.
상기 하우징(10)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저면 테두리부에 대략 L자 형상의 설치용 단차부(10a)를 형성하고 있는 동시에, 그 양측 근방에 고정 금속 부재(23)를 상방으로부터 압입할 수 있는 제1 수납 스페이스(11)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수납 스페이스(11) 사이에 상방측으로부터 접속 단자를 압입할 수 있는 제2 수납 스페이스(13)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은 그 정면측에 상기 제2 수납 스페이스(13)에 연통하고, 또한 후술하는 가동 접점부(36)가 출입할 수 있는 접점 구멍(14)을 형성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제2 수납 스페이스(13)에 연통하는 압입 구멍(15)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접점 구멍(14)의 개구 테두리부의 양측에 보강용 리브(16)를 돌출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접점 구멍(14)의 하방측 테두리부를 위치 규제용 수용부(17)로 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수납 스페이스(13)의 내측면에는 빠짐 방지용 돌기(18)를 돌출 설치하고 있다.
접속 단자(3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 테두리부에 걸림 갈고리(31a)를 돌출 설치한 압입용 고정부(31)의 일단부의 일측에 분기부(33)를 연장하고 있는 동시에, 타측으로부터 접속부(31b)를 연장하여 압입용 절결부(31c)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분기부(33)로부터 대략 평행하게 사행되는 제1, 제2 연장부(34a, 34b)를 연장함으로써, 제1 슬릿(35a)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2 연장부(34a, 34b)의 선단부를 일체화하여 형성한 자유단부에 가동 접점부(36)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연장부(34b)의 위치 규제용 접촉부(38)를 위치 규제용 수용부(17)에 접촉시켜 위치 규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제2 연장부(34a, 34b)의 만곡 부분에 있어서의 폭 치수를 순차적으로 크게 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동작 시에 있어서의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수명이 연장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슬릿(35a)의 폭 치수는 접속 단자(30)의 가동 접점부(36)를 동작시켜도, 제1, 제2 연장부(34a, 34b)가 서로 접촉하지 않는 간극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소정의 동작 시에는 접촉하는 일이 없어, 불쾌한 접촉음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제2 수납 스페이스(13)에 상방으로부터 상기 접속 단자(30)를 삽입하고, 상기 압입용 고정부(31)를 압입 구멍(15)에 압입하고, 걸림 갈고리(31a)를 압입 구멍(15)의 내면에 거는 동시에, 절결부(31c)를 하우징(10)의 테두리부에 결합함으로써, 빠짐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1, 2 연장부(34a, 34b)가 빠짐 방지 돌기(18)를 타고 넘은 후, 제2 연장부(34b)의 위치 규제용 접촉부(38)가 하우징(10)의 위치 규제용 수용부(17)에 접촉하여 위치 규제된다.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기판이 절결한 코너부의 상면 테두리부에 커넥터를 실장하고,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배터리를 압접시킴으로써, 가동 접점부(36)를 내측으로 압입하면, 제1, 제2 연장부(34a, 34b)가 탄성 변형된다. 이때, 소정의 압입량의 범위 내이면, 제1 슬릿(35a)의 폭 치수를 크게 하고 있으므로, 제1, 제2 연장부(34a, 34b)가 서로 접촉하는 일이 없는 동시에, 제1 연장부(34a)끼리 접촉하는 일이 없으므로, 마찰음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원활한 동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접촉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2매 1조의 접속 단자와 1매의 접속 단자를 조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모두 1매의 접속 단자만으로 구성해도 좋고, 또한 모두 2매 1조의 접속 단자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3매 1조로 접속 단자를 내장해도 좋고, 필요에 따라서 접속 단자의 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연장부 및 슬릿은 똑같은 폭 치수일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서 폭 치수를 변화시켜도 좋다. 예를 들어, 연장부의 만곡 부분 중, 외측에 위치하는 연장부의 만곡 부분의 폭 치수만을 크게 하여, 응력 집중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을 높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기재인 하우징에 접속 단자를 내장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프린트 기판을 기재로 하고, 그 측단부면에 본원의 접속 단자를 직접 내장해도 좋다. 이에 따르면, 하우징 및 고정 금속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결과적으로 장치 전체를 보다 한층 소형화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단자는 전술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평행하게 사행되는 복수개의 연장부를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 베이스
13 : 제2 수납 스페이스
14 : 접점 구멍
17 : 위치 규제용 수용부
20, 23 : 고정 금속 부재
30 : 접속 단자
31 : 압입용 고정부
32 : 지지부
33 : 분기부
34a, 34b, 34c : 제1, 제2, 제3 연장부
35a, 35b : 제1, 제2 슬릿
36 : 가동 접점부
37 : 위치 규제용 돌기부
38 : 위치 규제용 접촉부

Claims (14)

  1. 기재에 압입 고정하여 사용하는 단자에 있어서,
    상기 기재에 압입하는 압입용 고정부에 설치한 분기부로부터 복수개의 연장부를 사행시키면서 연장하여 적어도 1개의 사행된 슬릿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연장부의 자유단부를 일체화한 선단부에, 상기 기재의 접점 구멍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돌출되는 가동 접점부를 설치하고,
    상기 연장부의 중간부 중, 곡률반경이 작은 응력 집중이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연장부의 폭 치수를 상이하게 하는 한편,
    상기 슬릿의 폭 치수를, 동작시에 탄성 변형하는 상기 연장부의 대향하는 부분이 접근해도 접촉하지 않는 폭 치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압입용 고정부에 교차하도록 돌출 설치한 지지부의 선단에 분기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3. 제2항에 있어서, 지지부가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기부로부터 3개의 연장부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5. 제4항에 있어서, 분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제2, 제3 연장부의 일단부가,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6. 제4항에 있어서, 압입용 고정부에 설치한 제1 분기부로부터 제1 연장부와 제2 분기부가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제2 분기부로부터 제2 연장부와 제3 연장부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연장부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릿의 폭 치수가, 동작 시에 이웃하는 연장부가 서로 접촉하지 않는 폭 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장부를 일체화한 선단부에, 기재의 위치 규제용 수용부에 접촉하는 위치 규제용 돌기부를 돌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장부를 일체화한 선단부에, 기재의 위치 규제용 수용부에 접촉하는 위치 규제용 접촉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자의 압입용 고정부를, 기재인 하우징의 압입 구멍에 압입하여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에 형성한 접점 구멍으로부터 단자의 가동 접점부가 출입 가능하게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접점 구멍의 개구 테두리부에 설치한 위치 규제용 수용부에, 단자의 가동 접점부의 주위에 돌출 설치한 위치 규제용 돌기부를 접촉시켜 위치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11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접점 구멍의 개구 테두리부에 설치한 위치 규제용 수용부에, 단자의 가동 접점부의 주위에 설치한 위치 규제용 접촉부를 접촉시켜 위치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중간부 중, 곡률반경이 작은 응력 집중이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연장부의 폭 치수를 곡률반경이 커짐에 따라 순차적으로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KR1020117021909A 2010-10-29 2011-03-24 단자 및 이것을 사용한 커넥터 KR1011557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44120 2010-10-29
JP2010244120A JP4883215B1 (ja) 2010-10-29 2010-10-29 端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PCT/JP2011/057168 WO2012056746A1 (ja) 2010-10-29 2011-03-24 端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557A KR20120057557A (ko) 2012-06-05
KR101155798B1 true KR101155798B1 (ko) 2012-06-12

Family

ID=45851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1909A KR101155798B1 (ko) 2010-10-29 2011-03-24 단자 및 이것을 사용한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57635B2 (ko)
JP (1) JP4883215B1 (ko)
KR (1) KR101155798B1 (ko)
CN (1) CN102598424B (ko)
TW (1) TWI467855B (ko)
WO (1) WO20120567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3215B1 (ja) * 2010-10-29 2012-02-22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4811530B1 (ja) * 2010-11-04 2011-11-09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US8784145B2 (en) * 2011-03-14 2014-07-22 Omron Corporation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CN103843199B (zh) * 2011-10-14 2016-11-09 欧姆龙株式会社 端子
WO2013137406A1 (ja) * 2012-03-15 2013-09-19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続端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KR101611781B1 (ko) * 2012-03-15 2016-04-11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접속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
US9219334B2 (en) * 2012-08-06 2015-12-22 Omron Corporation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USD731983S1 (en) * 2012-12-25 2015-06-16 Omron Corporation Electric connector terminal
JP6193184B2 (ja) 2013-07-08 2017-09-06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の製造方法、非水電解質二次電池、電池パック及び車
TWI500222B (zh) * 2013-07-12 2015-09-11 Ccp Contact Probes Co Ltd 連接器組合
JP5737375B2 (ja) * 2013-11-29 2015-06-17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3794902A (zh) * 2014-02-10 2014-05-14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具一体成型端子之电连接器
CN205385059U (zh) * 2015-12-21 2016-07-1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源连接器
JP6988954B2 (ja) * 2016-06-17 2022-01-05 オムロン株式会社 プローブピン
WO2019018239A1 (en) * 2017-07-17 2019-01-24 Jose Lopez SELF-CLEANING ELECTRICAL CONTACT CONTACT DEVICE FOR SEMICONDUCTOR CONTACTS
CN111033273B (zh) * 2018-01-11 2022-04-26 欧姆龙株式会社 探针、检查工具、检查单元和检查装置
USD984380S1 (en) * 2019-09-18 2023-04-25 Abb Schweiz Ag Equipment for distribution or control of electric pow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8133A (ja) * 1999-05-31 2000-12-08 Isao Kimoto 接触子
JP2001237015A (ja) * 2000-02-23 2001-08-31 Chichibu Fuji Co Ltd Icソケット用コンタクト
JP3120893U (ja) * 2005-04-28 2006-04-20 鴻海精密工業股▲ふん▼有限公司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9975B2 (ja) * 1989-08-18 1998-02-04 アンプ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ンタクト
JPH03120893U (ko) * 1990-02-23 1991-12-11
US5100338A (en) * 1990-08-31 1992-03-31 Foxconn International, Inc. Contact for circuit board socket
JPH07109780B2 (ja) * 1991-02-19 1995-11-22 山一電機株式会社 電気部品用ソケットにおけるコンタクト
JPH0517973U (ja) * 1991-08-21 1993-03-05 株式会社エンプラス Icソケツト
JPH09274956A (ja) * 1996-04-02 1997-10-21 S Ii R:Kk 小型接触端子
JP2759637B2 (ja) * 1996-04-10 1998-05-28 株式会社エンプラス Icソケット
JP2002164135A (ja) * 2000-11-26 2002-06-07 Isao Kimoto ソケット
US7265565B2 (en) * 2003-02-04 2007-09-04 Microfabrica Inc. Cantilever microprobes for contacting electronic components and methods for making such probes
TW200536039A (en) * 2003-12-31 2005-11-01 Microfabrica Inc Cantilever microprobes for contacting electronic components and methods for making such probes
JP5099487B2 (ja) * 2007-08-03 2012-12-19 軍生 木本 複数梁合成型接触子
JP5540718B2 (ja) * 2010-01-15 2014-07-02 オムロン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電子機器および導電接触方法
JP5493896B2 (ja) * 2010-01-15 2014-05-14 オムロン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電子機器および導電接触方法。
JP4883215B1 (ja) * 2010-10-29 2012-02-22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4811530B1 (ja) * 2010-11-04 2011-11-09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USD665361S1 (en) * 2011-02-15 2012-08-14 Omron Corporation Electric connector terminal
US8784145B2 (en) * 2011-03-14 2014-07-22 Omron Corporation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8133A (ja) * 1999-05-31 2000-12-08 Isao Kimoto 接触子
JP2001237015A (ja) * 2000-02-23 2001-08-31 Chichibu Fuji Co Ltd Icソケット用コンタクト
JP3120893U (ja) * 2005-04-28 2006-04-20 鴻海精密工業股▲ふん▼有限公司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98424A (zh) 2012-07-18
JP4883215B1 (ja) 2012-02-22
US8657635B2 (en) 2014-02-25
WO2012056746A1 (ja) 2012-05-03
US20120108111A1 (en) 2012-05-03
KR20120057557A (ko) 2012-06-05
JP2012099267A (ja) 2012-05-24
TWI467855B (zh) 2015-01-01
TW201222995A (en) 2012-06-01
CN102598424B (zh)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798B1 (ko) 단자 및 이것을 사용한 커넥터
KR101155814B1 (ko) 단자 및 이것을 사용한 커넥터
JP6712794B2 (ja)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KR20120027020A (ko) 전기 접속용 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
JP5522217B2 (ja) 電気コネクタ
US8784145B2 (en)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JP2015008053A (ja)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US20120048705A1 (en) Switching device
JP2008027612A (ja) コネクタ装着構造
JP5708728B2 (ja) 接続端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5351005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187374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4514553B2 (ja) Icソケットおよびicソケット組立体
KR101611781B1 (ko) 접속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
KR20130112938A (ko) 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
JP2004281364A (ja) 基板対基板型コネクタ
KR101397772B1 (ko) 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
JP2005228716A (ja) 電子部品用ソケット
JP5626189B2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CN118057674A (zh) 板对板连接器
KR200454278Y1 (ko) 차량용 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