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278Y1 - 차량용 단자 - Google Patents

차량용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278Y1
KR200454278Y1 KR2020090015701U KR20090015701U KR200454278Y1 KR 200454278 Y1 KR200454278 Y1 KR 200454278Y1 KR 2020090015701 U KR2020090015701 U KR 2020090015701U KR 20090015701 U KR20090015701 U KR 20090015701U KR 200454278 Y1 KR200454278 Y1 KR 2004542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terminal
piece
contact
contac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7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747U (ko
Inventor
고범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0900157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278Y1/ko
Publication of KR201100057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7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2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2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탭의 진행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탭의 삽입이 원활하며, 탭과 접촉하는 접촉편의 과변형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차량용 단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주요구성은 탭을 구비한 탭 단자와, 상기 탭이 삽입되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접속 단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 단자는, 내부에 상기 탭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단일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상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탭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하향 절곡되어 탄성을 갖는 접촉편와; 몸체의 내부 하면에서 돌출된 받침편; 및 상기 접촉편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의 상면 일단에서 상기 탭이 진행하는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하향 절곡되어 상기 접촉편의 이동을 제한하는 보강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탭 단자, 접속 단자, 커넥터, 탄성 변형, 과변형, 비드, 접촉 저항

Description

차량용 단자{Terminal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탭의 삽입이 원활하고 전기적 접촉에 있어서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는 차량용 단자에 관련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차량에는 각종 전기, 전자부품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부품들은 차량의 전원부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부품과 전선을 연결하는 경우, 배선작업의 편리함을 기하기 위하여 커넥터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커넥터는 부품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전선과 접속되는 수 커넥터(연결 커넥터)와, 수 커넥터에 결합하며 차량의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과 접속되는 암 커넥터(접속 커넥터)로 나누어진다.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에는 각각의 단자들이 내장되어 있는데, 이러한 단자는 다시 수 커넥터에 결합하는 탭 단자와, 암 커넥터에 결합하는 접속단자로 나누어진다. 즉, 암수 커넥터의 결합시 탭 단자가 접속단자에 삽입됨으로써 암수 커넥터는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탭 단자와 접속단자의 종래 일반적인 구성은 첨부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탭 단자(10)와, 탭 단자(10)에 구비된 탭(12)을 압지하는 접속편(22)을 구비하며 탭 단자(1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되는 접속단자(20)로 이루어진 차량용 단자에 있어서, 접속편(22)은 일측의 밴딩부(24)를 중심으로 상, 하단에는 고정편(26)과 탄성편(28)을 각각 연장 형성하고, 상기 탄성편(28)에는 상기 탭(12)과 접촉하는 압지부(28a)를 하향으로 만곡 형성하며; 상기 압지부(28a)는 상기 접속단자(20)의 전방에 형성된 탭 삽입홀과의 사이 간격(D)이 좁혀지도록 상기 탄성편(28)의 중앙에서 일측으로 치우쳐지도록 만곡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자구조가 개시된다.
그러나, 이 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탄성편(28)은 탭(12)의 진행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아 이동하기 때문에 탄성편(28) 자체가 저항으로 작용하여 탭(12) 삽입이 원활하지 않다.
둘째, 탭(12)이 압지부(28a)와 선 접촉을 하기 때문에 접촉면적이 작아 접촉 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셋째, 탄성편(28)의 과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압력조절부(26a)가 있지만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반복동작으로 압력조절부 자체가 변형되어 탄성편의 과변형을 방지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탭의 진행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탭의 삽입이 원활하며, 탭과 접촉하는 접촉편의 과변형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차량용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해결과제는 탭과 접속단자가 면 접촉되는 차량용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차량용 단자는 탭을 구비한 탭 단자와, 상기 탭이 삽입되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접속 단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 단자는, 내부에 상기 탭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단일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상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탭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하향 절곡되어 탄성을 갖는 접촉편와; 몸체의 내부 하면에서 돌출된 받침편; 및 상기 접촉편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의 상면 일단에서 상기 탭이 진행하는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하향 절곡되어 상기 접촉편의 이동을 제한하는 보강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촉편의 일단과 타단은 평행을 이루고, 상기 타단에 인접하여 일정한 표면적으로 가지고 하향 돌출하는 접촉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촉편을 상기 돌출 측의 반대 측에서 압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탭이 진행하는 방향과 접촉편이 이동하는 방향은 서로 충돌하지 않는 방향이기 때문에 접촉편에 의해 탭의 진행이 방해받지 않아 탭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일정한 표면적을 갖는 접촉부가 탭과 면 접촉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접촉 면적이 증가함으로써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탭이 접촉편에 가하는 힘을 보강편과 나누어 분배함으로써 접촉편의 과변형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단자의 단면도이고, 도 4는 탭이 접속단자에 삽입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용 단자는 탭(120)을 구비한 탭 단자와, 탭(120)이 삽입되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접속 단자(110)로 이루어진다.
접속 단자(110)는 단일의 몸체(112)와 탭(120)을 지지하는 접촉편(114)과 받침편(115), 접촉편(114)의 이동을 제한하는 보강편(116)으로 구성된다.
몸체(112)는 내부에 탭(120)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11)이 형성되고, 수용공간(111)의 전방에 탭 삽입홀(113)이 형성된다.
접촉편(114)은 몸체(112)의 상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탭(120)이 진행 하는 방향으로 하향 절곡되어 탄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접촉편(114)은 2차로 절곡되어 접촉편(114)의 일단과 타단이 평행을 이루도록 가공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타단에 인접하여 일정한 표면적으로 가지고 하향 돌출하는 접촉부(118)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일정한 표면적을 갖는 접촉부(118)가 탭(120)과 면 접촉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접촉 면적이 증가함으로써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접촉부(118)는, 가령 접촉부(118)가 돌출되는 측의 반대 측에서 접촉편(114)을 압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받침편(115)은 몸체(112)의 하면에서 일정한 높이를 갖으면서 표면이 탭(120)과 면 접촉할 수 있도록 평면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받침편은 삽입되는 탭(120)이 정확한 위치가 될 수 있도록 위치를 고정한다. 이에 따라 탭(120)이 유입되면 접촉편의 접촉부(118)와 받침편(115)이 상하 방향에서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정확한 위치에 놓여질 수 있다.
보강편(116)은 몸체(112)의 상면의 일단이 절곡되어 탭(120)이 진행하는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하향 절곡된다. 이때, 보강편의 일부는 접촉부(118)의 상부에 위치하여 탭(120)이 삽입될 때 접촉편(118)이 과도하게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여 보강편의 과변형을 방지하고, 탭(120)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지지한다.
바람직하게, 보강편(116)의 하향 절곡되는 정도는 접촉편(114)이 탭(120)에 의해 이동한 상태에서 보강편(116)에 의해 눌릴 경우, 접촉부(118)의 표면이 탭(120)의 표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정도면 충분하다.
이하, 상기의 구조를 갖는 차량용 단자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탭(120)을 접속 단자(110)의 탭 삽입홀(113)을 통해 강제로 밀어 넣으면, 탭(120)의 단부가 접촉편(114)과 받침편(115)의 저면 사이를 통과하면서 접촉편(114)을 밀어 올린다.
이때, 탭(120)이 진행하는 방향과 접촉편(114)이 이동하는 방향은 서로 충돌하지 않는 방향이기 때문에 접촉편(114)에 의해 탭(120)의 진행이 방해받지 않아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탭(120)의 표면은 접촉편(114)의 접촉부(118)와 면 접촉을 하게 되어 전기적 접촉의 경우 접촉 저항이 감소한다. 특히, 접촉편(114)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도중 보강편(116)과의 접촉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며, 이에 따라 탭(120)에 의해 접촉편(114)이 받는 힘은 접촉편(114)과 보강편(116)에 분배되어 결과적으로 접촉편(114)의 과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이하에 기재된 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단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탭이 접속단자에 삽입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Claims (3)

  1. 탭을 구비한 탭 단자와, 상기 탭이 삽입되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접속 단자로 이루어진 차량용 단자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는,
    내부에 상기 탭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단일의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 상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탭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하향 절곡되어 탄성을 갖는 접촉편;
    몸체의 내부 하면에서 돌출된 받침편; 및
    상기 접촉편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의 상면 일단에서 상기 탭이 진행하는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하향 절곡되어 상기 접촉편의 이동을 제한하는 보강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의 일단과 타단은 평행을 이루고, 상기 타단에 인접하여 일정한 표면적으로 가지고 하향 돌출하는 접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촉편을 상기 돌출 측의 반대 측에서 압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자.
KR2020090015701U 2009-12-03 2009-12-03 차량용 단자 KR2004542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701U KR200454278Y1 (ko) 2009-12-03 2009-12-03 차량용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701U KR200454278Y1 (ko) 2009-12-03 2009-12-03 차량용 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747U KR20110005747U (ko) 2011-06-10
KR200454278Y1 true KR200454278Y1 (ko) 2011-06-27

Family

ID=44484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701U KR200454278Y1 (ko) 2009-12-03 2009-12-03 차량용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27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834Y1 (ko) 2001-04-27 2001-10-12 한기경 통전검사용 컴퓨터 케이블의 플러그 어뎁터
KR20020038834A (ko) * 2000-11-18 2002-05-24 전형구 편향요크의 보정편 고정구조
KR20040015897A (ko) * 2002-08-14 200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트라인 커플링과 로딩 효과에 대해 안정적인 소스라인을 갖는 플레쉬 메모리 어레이
KR200415897Y1 (ko) 2006-02-24 2006-05-10 케이유엠 주식회사 차량용 접속단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8834A (ko) * 2000-11-18 2002-05-24 전형구 편향요크의 보정편 고정구조
KR200238834Y1 (ko) 2001-04-27 2001-10-12 한기경 통전검사용 컴퓨터 케이블의 플러그 어뎁터
KR20040015897A (ko) * 2002-08-14 200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트라인 커플링과 로딩 효과에 대해 안정적인 소스라인을 갖는 플레쉬 메모리 어레이
KR200415897Y1 (ko) 2006-02-24 2006-05-10 케이유엠 주식회사 차량용 접속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747U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4074B1 (ja)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CN102185220B (zh) 卡缘连接器
JP5270703B2 (ja) 電気コネクタ
JP5196648B2 (ja) 基板間接続用コネクタ構造
US7651381B2 (en) Contact terminal and electric connector using the same
US7530839B1 (en) Electrical connector
CN104934772A (zh) 连接器组件
JP2007324029A (ja)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EP2733792A2 (en)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EP2733793A2 (en)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CN107978887B (zh) 线对板连接器总成及其板端连接器与线端连接器
CN103797650A (zh) 母端子
US7604483B2 (en) Intermediate electrical connector device and its connecting structure
KR200442350Y1 (ko) 일체형 이중 결합 커넥터
CN106257762A (zh) 连接器
KR200454278Y1 (ko) 차량용 단자
US20160120024A1 (en) Linear Conductor Connection Terminal
CN106356659A (zh) 卡缘连接器
US9466906B2 (en) Resilient contact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same
KR101651653B1 (ko) 와이어 투 와이어 커넥터 조립체
KR101182660B1 (ko) 암단자
KR101446536B1 (ko) 암단자
KR200454279Y1 (ko) 차량용 단자
TWM499672U (zh) 電連接器
KR200415897Y1 (ko) 차량용 접속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