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8834A - 편향요크의 보정편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편향요크의 보정편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8834A
KR20020038834A KR1020000068680A KR20000068680A KR20020038834A KR 20020038834 A KR20020038834 A KR 20020038834A KR 1020000068680 A KR1020000068680 A KR 1020000068680A KR 20000068680 A KR20000068680 A KR 20000068680A KR 20020038834 A KR20020038834 A KR 20020038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deflection yoke
fixing structure
piece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수
Original Assignee
전형구
파츠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형구, 파츠닉(주) filed Critical 전형구
Priority to KR1020000068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8834A/ko
Publication of KR20020038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83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01J2229/5681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magne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향요크의 보정편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세퍼레이터(20)의 네크부(21) 하면에 보정편(30)을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편(23)과 고정돌기(100)로 구비된 편향요크의 보정편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100)는 보정편(30)이 삽입되기 시작하는 부분에서 최초의 1/3지점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를 0.5t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화면의 가장자리 하단에 집중되는 자계분포를 분산시켜 전자빔의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고 품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편향요크의 보정편 고정구조{Compensation plate fixing structure of deflection yoke}
본 발명은 편향요크의 보정편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퍼레이터의 네크부 하면에 형성된 보정편 고정구조를 개선하여 화면의 가장자리에 일그러져 주사되는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도록 한 편향요크의 보정편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향요크는 음극선관의 외주에 장착되어 음극선관의 전자총으로부터 발사되는 전자빔을 편향시켜 정확도 있는 화상을 구현한다.
이러한 편향요크는 음극선관으로부터 발사되는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평편향코일과,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직편향코일과, 두 편향코일의 위치를 정밀도 있게 구분함과 동시에 상호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도록 하는 세퍼레이터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음극선관의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R(Red), G(Green), B(Blue)의 전자빔은 편향요크에 의하여 소정 각도로 편향되어 섀도우마스크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해서 패널(panel)의 내주에 장착된 형광면 각각의 스트라이프(stripe)에 봉착하여 발광함으로써 텔레비젼의 스크린에 정상적인 화상을 구현한다.
한편, 상기 세퍼레이터의 내외주연에 각각 장착된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은 음극선관의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전자빔을 소정 각도로 편향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그 장착된 상태 또는 권회된 형상에 따라 편향각도가 어긋나 역크로스및 미스컨버전스를 초래하여 정상적인 화상을 구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으로 니켈(Ni) 및 철(Fe) 등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보정편을 사용하여 미스컨버전스 등을 보정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편향요크의 보정편 고정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편향요크의 보정편 고정구조는 플랜지부(22)와 네크부(21)가 구비된 세퍼레이터(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퍼레이터(20)의 네크부(21) 하면에는 일체로 성형되어 하부로 절곡 형성되고 그 일 측면이 대응되어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한쌍의 고정편(23)과, 상기 고정편(23a)의 중심에 돌출 성형된 고정돌기(2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24)의 두께는 전체가 균일하며 보통 0.2 ∼ 0.3t의 두께로 형성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편향요크의 보정편 고정구조에 의하면 보정편의 자계 영향이 화면의 가장자리 하단에 집중됨으로 인해 전자빔이 정확도 있게 편향되지 못하여 화면의 가장자리 위에서 아래로 비스듬하게 일그러져 주사되는 미스컨버전스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세퍼레이터의 네크부 하면에 형성된 보정편 고정구조를 개선하여 즉, 보정편이 삽입되기 시작하는 부분에서 최초의 1/3지점에 위치하는 부분의 고정돌기 두께를 0.5t로 조정함으로써 보정편의 일부를 더욱 지지되게 하고 화면의 가장자리 하단에 집중되는 자계분포를 분산시켜 전자빔의 미스컨버전스가 보정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편향요크의 보정편 고정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보정편 고정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고정돌기의 확대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편향요크 20; 세퍼레이터
21; 네크부 22; 플랜지부
23; 고정편 30; 보정편
100; 고정돌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퍼레이터의 네크부 하면에 보정편을 고정시킬 수 있게 고정편과 고정돌기를 구비한 편향요크의 보정편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보정편이 삽입되기 시작하는 부분에서 최초의 1/3지점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를 0.5t로 조정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보정편 고정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고정돌기를 나타낸 확대측면도이고, 종래 구성과 동일 작용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병기 사용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향요크의 보정편 고정구조는 플랜지부(22)와 네크부(21)가 구비된 세퍼레이터(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퍼레이터(20)의 네크부(21) 하면에는 일체로 성형되어 하부로 절곡 형성되고 그 일 측면이 대응되어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한쌍의 고정편(23)과, 상기 고정편(23)의 중심에 돌출 성형된 고정돌기(1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100)는 보정편(30)이 삽입되기 시작하는 부분에서 최초의 1/3지점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를 0.5t가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편향요크의 보정편 고정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세퍼레이터(20)의 내·외주연에 수평편향코일 및 수직편향코일을 장착한 다음 네크부(21) 하면에 구비된 고정편(23)과 고정돌기(100)에 보정편(30)을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보정편(30)은 고정편(23)과 고정돌기(100) 사이로 가압하여 삽입시키고 인입된 보정편(30)은 고정돌기(100)의 조정된 두께의 위치에서 더욱 긴밀히 지지되어 고정을 완료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보정편 고정구조에 의하면, 보정편이 삽입되기 시작하는 부분에서 최초의 1/3지점에 위치하는 고정돌기의 두께를 0.5t로 조정함으로써 화면의 가장자리 하단에 집중되는 자계분포를 분산시켜 전자빔의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고 품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세퍼레이터(20)의 네크부(21) 하면에 보정편(30)을 고정시킬 수 있게 고정편(23)과 고정돌기(100)를 구비한 편향요크의 보정편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100)는 보정편(30)이 삽입되기 시작하는 부분에서 최초의 1/3지점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를 0.5t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의 보정편 고정구조.
KR1020000068680A 2000-11-18 2000-11-18 편향요크의 보정편 고정구조 KR200200388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680A KR20020038834A (ko) 2000-11-18 2000-11-18 편향요크의 보정편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680A KR20020038834A (ko) 2000-11-18 2000-11-18 편향요크의 보정편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834A true KR20020038834A (ko) 2002-05-24

Family

ID=19699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680A KR20020038834A (ko) 2000-11-18 2000-11-18 편향요크의 보정편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88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278Y1 (ko) * 2009-12-03 2011-06-2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용 단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278Y1 (ko) * 2009-12-03 2011-06-2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용 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1922A (en) Coma-error correcting means of CRT
KR20020038834A (ko) 편향요크의 보정편 고정구조
US4659961A (en) Cup member of an in-line electron gun capable of reducing a coma aberration
US4972519A (en) Vertical coma correction arrangement
KR200289348Y1 (ko) 편향요크의 보정편 삽입구조
KR200289349Y1 (ko) 편향요크의 보정편 삽입구조
US4723094A (en) Color picture device having magnetic pole pieces
KR200260577Y1 (ko) 편향요크의 퍼멀로이 보정편 고정구조
KR200317359Y1 (ko) 편향요크의 아이코어 고정구조
JP2862575B2 (ja) カラー受像管
KR100693828B1 (ko) 편향요크
US20070182305A1 (en) Cathode-ray tube apparatus
KR20010018033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176207Y1 (ko) 편향요크의 퍼멀로이 보정편 결합구조
KR200312968Y1 (ko) 편향요크의 러버 마그네트 삽입구조
KR920000342Y1 (ko) 편향요크의 코일권선용 금형
KR20020038833A (ko) 편향요크의 폴 마그네트 지지구조
US20050023952A1 (en) Color picture tube apparatus
KR19990013353U (ko) 편향요크의 마그네트 설치구조
EP1372182A1 (en) Colour picture tube device
KR20020018409A (ko) 편향요크의 보정철편 삽입구조
KR20000002549A (ko) 편향요크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KR20050031220A (ko) 보정철편 조립부가 구비된 코일 세퍼레이터
JPH07326303A (ja) ビデオ画像表示装置
JPS6290094A (ja) カラ−受像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