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536B1 - 암단자 - Google Patents

암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536B1
KR101446536B1 KR1020130028969A KR20130028969A KR101446536B1 KR 101446536 B1 KR101446536 B1 KR 101446536B1 KR 1020130028969 A KR1020130028969 A KR 1020130028969A KR 20130028969 A KR20130028969 A KR 20130028969A KR 101446536 B1 KR101446536 B1 KR 101446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lastic
male terminal
elastic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4575A (ko
Inventor
하치봉
김은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30028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536B1/ko
Publication of KR20140114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4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square transverse s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수단자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전방에 상기 수단자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 내에 마련되고, 상기 수단자 상면에 탄성 접촉되는 탄성접촉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접촉부재는, 상기 수단자가 삽입되는 전단이 상기 몸체에 밀폐되며, 후단이 자유단으로 형성된 탄성판으로 형성되는 암단자가 개시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접속단자의 수단자가 암단자에 삽입될 때 수단자 또는 암단자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접속단자의 수단자와 암단자가 다점 접촉하면서 장착되기 때문에 수단자가 암단자에 삽입될 때 발생하는 삽입력을 분산시켜 수단자와 암단자가 장착된 후 통전시키면 수단자와 암단자의 접촉저항에 의한 열 발생을 분산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암단자{Female Terminal}
본 발명은 암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수단자 장착 시, 접촉저항을 줄이고, 보다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암단자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는 어느 한 커넥터에 전기선과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전기 단자가 배열되고, 이와 대응되는 타 커넥터에도 전기 단자가 배열되어, 커넥터의 전기 단자끼리 연결되면서 각 단자가 서로 통전되도록 접촉되는 구성을 갖는다. 즉, 커넥터의 암단자와 수단자가 접점을 형성하되, 하나의 접점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상기의 전기 커넥터의 암단자는, 암단자에 장착되는 수단자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부재를 구비한다. 즉, 도 1을 참고하면, 암단자(10)는 수단자(50) 상면과 접하는 탄성편(14)과 수단자(50) 하면과 접하는 비드부(12) 및 수단자(50)가 암단자(10)에 장착될 때, 탄성편(14)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편(16)을 구비한다.
이때, 수단자(50)에 단자를 압착하는 과정에서 수단자(50)의 상면 높이가 2 ~ 5˚ 가량 경사지게 상승할 수 있다. 즉, 수단자(50)에 단자를 압착하기 위하여 단자 끝 단을 가압하여 단자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단자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단자(50)의 상면 높이가 소정 각도 경사지게 상승한 상태에서 암단자(10)에 장착할 경우 수단자(50)가 암단자(1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수단자(50)가 삽입되는 삽입구와 탄성편(14) 사이에 형성된 홀(18)에 수단자(50)의 상면이 끼움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로 인하여 수단자(50) 및 암단자(10)가 파손되거나 변형되어 터미널의 신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접속단자의 수단자가 암단자에 삽입될 때 수단자 또는 암단자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암단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속단자의 수단자와 암단자가 다점 접촉하면서 장착되기 때문에 수단자가 암단자에 삽입될 때 발생하는 삽입력을 분산시켜 수단자와 암단자가 장착된 후 통전시키면 수단자와 암단자의 접촉저항에 의한 열 발생을 분산시킬 수 있는 암단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암단자는 내부에 수단자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전방에 상기 수단자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 내에 마련되고, 상기 수단자 상면에 탄성 접촉되는 탄성접촉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접촉부재는, 상기 수단자가 삽입되는 전단이 상기 몸체에 밀폐되며, 후단이 자유단으로 형성된 탄성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접속단자의 수단자가 암단자에 삽입될 때 수단자 또는 암단자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접속단자의 수단자와 암단자가 다점 접촉하면서 장착되기 때문에 수단자가 암단자에 삽입될 때 발생하는 삽입력을 분산시켜 수단자와 암단자가 장착된 후 통전시키면 수단자와 암단자의 접촉저항에 의한 열 발생을 분산시킬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암단자를 형성하는 몸체에 수단자를 삽입할 때 수단자의 안정적인 삽입을 위하여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접촉부재를 마련하여 수단자의 과도한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암단자를 형성하는 몸체에 수단자를 삽입할 때, 몸체와 수단자가 접촉하는 접점부위를 복수 개 형성하여 통전 시 발생한 접촉 저항이 분산되어 발생할 수 있게 하며, 몸체와 수단자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종래의 암단자와 수단자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단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암단자에 수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암단자에 수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정면도.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암단자에 수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암단자에 수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암단자(100)는 몸체(120)와 탄성접촉부재(18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20)는 내부에 수단자(5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23)이 형성되며, 수용공간(123)의 전방에 수단자(50)가 삽입되는 삽입구(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20) 내에는 수단자(50) 상면과 탄성 접촉되는 탄성접촉부재(180)가 마련된다. 상기 탄성접촉부재(180)는 수단자(50)가 삽입되는 전단(183)은 몸체(120)에 밀폐되며, 후단(185)은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탄성판(18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탄성접촉부재(180)는 수단자(5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몸체(120)로 수단자(50)가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보다 자세하게, 탄성접촉부재(180)의 탄성판(182)은 수단자(50) 상면과 접하도록 위치하며, 소정의 탄성이 적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탄성판(182)은 중심부가 수단자(50) 상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되게 형성된 굴곡위치(B)가 형성되며, 굴곡위치(B)는 수단자(50)의 삽입에 의하여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즉, 몸체(120)에 수단자(50)가 삽입될 때 수단자(50) 상면과 굴곡위치(B)이 접하면서 굴곡위치(B)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굴곡위치(B)가 몸체(120) 상면으로 탄성이 적용되어 수단자(50)와 몸체(120)의 탄성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탄성판(182)의 전단(183)이 밀폐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몸체(120)에 수단자(50)가 삽입될 때 수단자(50)의 상면이 탄성판(182)에 걸림되는 간섭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탄성접촉부재(180)는 탄성판(182)의 자유단을 탄성 지지하는 보강판(189)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보강판(189)은 자유단으로 향할수록 탄성판(182)과 인접하게 형성되어 수단자(50)가 몸체(120)로 삽입될 때, 탄성판(182)의 후단(185)을 탄성 지지하여 탄성판(182)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보강판(189)은 몸체(120)로 수단자(50) 삽입 전에, 몸체(120) 내부 방향으로 하향 절곡되게 형성된다. 이후, 몸체(120) 내로 수단자(50)가 삽입되면 보강판(189)은 탄성판(182)과 거의 밀접한 상태로 몸체(120) 상면으로 상태가 변형된다. 이때, 보강판(189)은 탄성판(182)에서 발생한 탄성력에 대응하는 응력이 발생하여 탄성판(182)이 탄성 변형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고, 발생한 압력이 탄성판(182)을 밀어냄으로써 탄성판(182)을 탄성 변형을 지지함과 동시에 탄성판(182)의 탄성 변형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탄성접촉부재(180)는 탄성판(182)과 상기 보강판(189) 사이에 마련되는 고정판(187)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판(187)은 몸체(120)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판(187)은 탄성판(182)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고정판(187)과 탄성판(182)이 일체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암단자(100)를 성형하는 성형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87)은 탄성판(182)의 과도한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수단자(50)가 몸체(120)에 삽입되면서 상기 탄성판(182)이 탄성 변형될 때, 탄성판(182)에 적용되는 탄성력에 의하여 탄성판(182)이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이때 고정판(187)에서 탄성판(182)에 발생한 탄성력을 흡수하는 응력이 발생하여 탄성판(182)의 과도한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구비하는 탄성접촉부재(18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R-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탄성판(182)의 전단(183)이 몸체(120)를 밀폐시킴으로써, 수단자(50)의 전단이 몸체(120) 상면에 삽입되거나 탄성판(182)과 수단자(5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접촉부재(180)는 탄성판(182)의 굴곡위치(B)에 형성되며, 수단자(50) 상면과 접촉하는 접촉도트(184)를 더 포함하고, 몸체(120) 하면에는 굴곡위치와 대향되도록 돌출접촉부재(124)가 마련된다. 이때, 접촉도트(184)와 돌출접촉부재(124)는 대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접촉도트(184) 및 돌출접촉부재(124)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접촉도트(184)와 돌출접촉부재(124)는 수단자(50)의 상면 및 하면과 접점되는 부재이다. 이때, 접점위치를 복수 개로 형성하여 몸체(120)와 수단자(50)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수단자(50)와 몸체(120)의 접촉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접촉도트(184) 및 돌출접촉부재(124)에 의하여 통전 시 접촉 저항에 의한 열 발생을 분산할 수 있다. 즉, 몸체(120)에 수단자(50)가 삽입되어 단자가 통전되면, 통전 시 수단자(50)와 몸체(120) 사이에서 접촉 저항이 발생하는데, 다수의 위치에서 접촉 저항이 발생하기 때문에 특정 위치에서 저항에 의한 열 발생이 응집되는 것을 방지하여 단자의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탄성접촉부재(180)는 몸체(120) 측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스토퍼(186)를 더 포함하고, 몸체(120) 측면에는 스토퍼(186)가 삽입되는 삽입홀(12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86)는 탄성판(182)에서 몸체(120) 측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단이라고 할 수 있으며, 삽입홀(128)에 장착된 스토퍼(186)에 의하여 탄성판(182) 후단(185)의 처짐을 방지하고, 탄성판(182) 후단(185)의 탄성 변형 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186)은 암단자(100)에 수단자(50)가 삽입될 때, 수단자(50)의 상면이 스토퍼(186)를 몸체(120)의 상면 방향으로 밀어 올려 스토퍼(186)의 위치가 상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암단자(100)로 수단자(50)의 삽입에 따라 스토퍼(186)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암단자(100)로 수단자(50)의 삽입 유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몸체(120)에 수단자(50)가 삽입되기 이전에 탄성판(182)의 후단(185)에는 지지물체가 부재(不在)한 상태이다. 따라서 탄성판(182)의 처짐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의 처짐에 의하여 몸체(120)에 삽입되는 수단자(50)의 전단과 탄성판(182)의 후단(185)이 간섭될 수도 있다. 이때, 스토퍼(186)가 삽입홀(128)에 삽입되면서 탄성판(182)의 후단(185)이 삽입홀(128)에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탄성판(182) 후단(185)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120)에 수단자(50)가 삽입될 때, 탄성판(182)은 몸체(120) 상면으로 상태가 변경된다. 이때, 삽입홀(128)의 형성 최대 높이만큼 탄성판(182)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판(182)의 과도한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스토퍼(186)은 탄성판(182)의 후단(185)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스토퍼(186)은 탄성판(182)의 후단(185) 측면 이외에 보강판(189)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스토퍼(186)은 탄성판(182)의 후단(185)과 보강판(189) 모두 형성될 수 있지만, 어느 한 곳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몸체(120)는 상면에 형성되며 수단자(50) 및 보강판(189)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홀(126)을 더 포함한다.
상기 위치확인홀(126)은 몸체(120)에 수단자(50)를 삽입하기 전에 보강판(189)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보강판(189)의 처짐이나 정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등의 확인을 통해 불량이 발생하지 않은 몸체(120)에 수단자(50)를 삽입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몸체(120)에 수단자(50)가 삽입되면, 상기 위치확인홀(126)을 통해 삽입된 수단자(50)가 정확한 위치에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 수단자(50)의 삽입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암단자(100)는 몸체(120) 상면 일단에서 수단자(50) 상면 방향으로 하향된 보호가이드부재(125)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호가이드부재(125)는 탄성판(182)의 전단(183)과 대향되도록 마련된 부재이며, 탄성판(182)의 전단(183)과 밀접하게 마련되어 몸체(120)로 삽입되는 수단자(50)의 전단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가이드부재(125)는 탄성판(182)의 굴곡위치(B)가 형성된 위치(d₁)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d₂). 다시 말해 보호가이드부재(125)는 탄성판(182)의 굴곡위치(B)에 비해 몸체(120) 상면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형성된 보호가이드부재(125)에 의하여 몸체(120)에 삽입되는 수단자(50)의 상면이 보호가이드부재(125)에 걸림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암단자(100)를 이루는 몸체(120)는 일체(一體)화된 원재료를 금형 제작하여 성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재료를 몸체(120) 형상에 맞도록 절단한 후, 후술할 돌출접촉부재(124)와 접촉도트(184)에 대응되는 면을 펀치(punch)하여 가공한다.
상기 펀치 가공이 완료되면, 탄성접촉부재(180)를 성형할 수 있다. 이때, 탄성접촉부재(180)는 성형이 완료된 몸체(120)의 삽입구(122)로 삽입되는 수단자(50)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탄성접촉부재(180)에 대응되는 면을 구부려 성형한 후, 원재료를 박스 형상으로 성형하여 몸체(120) 성형을 완료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50: 수단자 100: 암단자
120: 몸체 122: 삽입구
123: 수용공간 124: 돌출접촉부재
125: 보호가이드부재 126: 위치확인홀
128: 삽입홀 180: 탄성접촉부재
182: 탄성판 183: 전단
184: 접촉도트 185: 후단
186: 스토퍼 187: 고정판
189: 보강판

Claims (10)

  1. 내부에 수단자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전방에 상기 수단자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 내에 마련되고, 상기 수단자 상면에 탄성 접촉되는 탄성접촉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접촉부재는,
    상기 수단자가 삽입되는 전단이 상기 몸체에 밀폐되며, 후단이 자유단으로 형성된 탄성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 측면에는 스토퍼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수단자 삽입 시, 상기 탄성판 후단이 상기 삽입홀에 걸리도록 상기 몸체 측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단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촉부재는,
    상기 탄성판과 상기 몸체 사이에 위치하며 전단이 상기 몸체에 고정되고, 후단이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탄성 변형되는 상기 탄성판 자유단을 탄성 지지하는 보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단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촉부재는,
    상기 탄성판과 상기 보강판 사이에 마련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은 상기 몸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단자.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상기 자유단으로 향할수록 상기 탄성판과 인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단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은 중심부가 상기 수단자 상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되게 형성된 굴곡위치가 형성되며, 상기 굴곡위치는 상기 수단자의 삽입에 의하여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단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촉부재는
    상기 굴곡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수단자 상면과 접촉하는 접촉도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도트는 복수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단자.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몸체 하면에 상기 굴곡위치와 대향되도록 복수 개 마련되는 돌출접촉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단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 상면 일단에서 상기 수단자 상면 방향으로 하향된 보호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단자.
  9. 삭제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보강판 및 상기 수단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단자.



KR1020130028969A 2013-03-19 2013-03-19 암단자 KR101446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969A KR101446536B1 (ko) 2013-03-19 2013-03-19 암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969A KR101446536B1 (ko) 2013-03-19 2013-03-19 암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575A KR20140114575A (ko) 2014-09-29
KR101446536B1 true KR101446536B1 (ko) 2014-11-03

Family

ID=51758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969A KR101446536B1 (ko) 2013-03-19 2013-03-19 암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5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83261B2 (ja) * 2017-07-05 2021-06-09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KR102041776B1 (ko) * 2018-07-10 2019-11-0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듀얼 탄성부를 갖는 피메일 터미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436U (ja) * 1991-07-05 1993-03-26 矢崎総業株式会社 雌型端子
JPH05190227A (ja) * 1992-01-13 1993-07-30 Fujikura Ltd 端子金具
JP2002063961A (ja) 2000-06-07 2002-02-28 Yazaki Corp 雌端子、及び、雌端子と雄端子との接続構造
JP2007287360A (ja) 2006-04-12 2007-11-01 Jst Mfg Co Ltd バネ出し雌端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436U (ja) * 1991-07-05 1993-03-26 矢崎総業株式会社 雌型端子
JPH05190227A (ja) * 1992-01-13 1993-07-30 Fujikura Ltd 端子金具
JP2002063961A (ja) 2000-06-07 2002-02-28 Yazaki Corp 雌端子、及び、雌端子と雄端子との接続構造
JP2007287360A (ja) 2006-04-12 2007-11-01 Jst Mfg Co Ltd バネ出し雌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575A (ko) 2014-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8836B2 (en) Electric connector
KR102178226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US7344422B2 (en) Electrical component, in particular relay socket, having spring clamps,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EP3113290B1 (en) Electric connector
CN105470728B (zh) 连接器
US9368906B2 (en) Electric terminal
JP2007165195A (ja) コネクタ
US8821197B2 (en) Fuse terminal
US1003826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contact module and method for making same
WO2014156531A1 (ja) 電気接触子及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KR101446536B1 (ko) 암단자
JP2008053190A (ja) コネクタ
JP3992024B2 (ja) 雌側端子金具
JP5761115B2 (ja) 端子金具
CN106257762A (zh) 连接器
US20160120024A1 (en) Linear Conductor Connection Terminal
KR101533808B1 (ko) 커넥터
EP3267533A1 (en) Connection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CN107104303B (zh) 电联接端子结构
KR102102588B1 (ko) 플러그 장치 및 배전 시스템
JP2020135998A (ja) コネクタ
KR200444472Y1 (ko) 리셉터클 터미널
CN102832472A (zh) 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的制造方法
JP7218718B2 (ja) 端子金具およびコネクタ
CN110401051B (zh) 电子卡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