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3508A - 전기 광학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광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3508A
KR20110083508A KR1020110000442A KR20110000442A KR20110083508A KR 20110083508 A KR20110083508 A KR 20110083508A KR 1020110000442 A KR1020110000442 A KR 1020110000442A KR 20110000442 A KR20110000442 A KR 20110000442A KR 20110083508 A KR20110083508 A KR 20110083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electro
panel
layer
heat dissip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조 교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3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5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7Arrangements for heating or cool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28Illuminating devices with cool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01Thermal arrangements, e.g. for cooling, heating or preventing overheat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4Arrangements for heating and cool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90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장시간 사용 가능한 자발광형의 펼침형 전기 광학 장치를 얻는다.
(해결 수단) 제1 방열 부재(34)를 갖는 지지 유닛(32)과, 적어도 일부가 제1 방열 부재(34)와 접촉하도록, 지지 유닛(32)의 양측에 배치된 제2 방열 부재(40)와, 빛을 사출하는 측의 반대측 면의 적어도 일부가 제2 방열 부재(40)에 면(面) 접촉하도록 지지 유닛(32)의 양측에 배치된 전기 광학 패널(53)과, 전기 광학 패널(53)의 빛을 사출하는 측의 면을 덮도록 배치된 투명한 필름 시트(4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1)이다.

Description

전기 광학 장치{ELECTRO-OPTICAL DEVICE}
본 발명은 전기 광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판 상에 전기 광학 소자를 2차원적으로 배치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전기 광학 패널을 이용한 전기 광학 장치는, 휴대 전화기나 퍼스널 컴퓨터, 차량 탑재용 모니터 등으로의 채용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유리 기판을 20㎛∼100㎛ 정도까지 박형화하고, 동시에 필름 시트로 협지(sandwiched)함으로써, 기계적인 충격 등에 대한 내성을 유지하면서 가요성(flexibility)을 발휘시킨 전기 광학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337322호
그러나, 전술한 전기 광학 패널이 자발광(self-luminous)형의 전기 광학 소자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 필름 시트로 협지하면 발광시의 열이 방출되기 어려워, 장시간 사용하면 열의 영향에 의해 발광 특성이 변화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당해 전기 광학 패널의 이면(reverse face)에 Al 등으로 이루어지는 방열판을 배치하면 가요성이 손상되기 때문에, 전자북과 같은 펼침형(en-face)의 전기 광학 장치에는 적용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이하의 형태 또는 적용예로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용예 1] 본 적용예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는, 제1 방열 부재를 갖는 지지 유닛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방열 부재와 접촉하도록, 상기 지지 유닛의 양측에 배치된 제2 방열 부재와, 빛을 사출(emit)하는 측의 반대측 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방열 부재에 면(面) 접촉하도록 상기 지지 유닛의 양측에 배치된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빛을 사출하는 측의 면을 덮도록 배치된 투명한 필름 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전기 광학 패널의 발광에 의해 발생한 열을 제2 방열 부재를 개재하여 제1 방열 부재로부터 방산(放散)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방열 부재를 축으로 하여, 당해 제1 방열 부재의 양측에 배치된 전기 광학 패널을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속적으로 사용 가능한 펼침형의 전기 광학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적용예 2] 전술한 전기 광학 장치로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부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전지를 추가로 갖고 있고,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를 개재하여 상기 회로부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이동 가능한 펼침형의 전기 광학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적용예 3] 전술한 전기 광학 장치로서, 상기 제2 방열 부재는 그래파이트(graphite)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래파이트 시트는 층 두께 방향보다도 면 내(面內) 방향으로 높은 열전도성을 갖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이라면 상기 전기 광학 패널에서 발생한 열을 효율적으로 제1 방열 부재로 전도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속 사용시의 신뢰성이 보다 한층 향상된 펼침형의 전기 광학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적용예 4] 전술한 전기 광학 장치는, 상기 제2 방열 부재의, 상기 전기 광학 패널과 접촉하는 면의 반대측 면이 상기 필름 시트로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제1 방열 부재로부터의 방열을 방해하지 않고, 제2 방열 부재를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속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또한 내구성 등이 향상된 펼침형의 전기 광학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적용예 5] 전술한 전기 광학 장치로서, 상기 제2 방열 부재의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이 표리 양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3면 이상의 표시면을 갖는 펼침형의 전기 광학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적용예 6] 전술한 전기 광학 장치로서,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은 자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자발광 소자가 유기 EL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열에 의한 특성 변화가 큰 유기 EL 소자를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펼침형의 전기 광학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 EL 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 EL 장치가 구비하는 그래파이트 시트와 유기 EL 패널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유기 EL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그래파이트 시트와 유기 EL 패널과의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 EL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그래파이트 시트와 유기 EL 패널과의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 EL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서술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광학 장치로서, 전기 광학 패널로서의 유기 EL 패널을 구비하는 유기 EL 장치를 예로 기재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각 도면에 있어서는, 각 층이나 각 부위를 도면 상에서 인식 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하기 위해, 각 층이나 각 부위를 적절히 확대 또는 축소하고 있다.
(제1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 EL 장치(1)에 대해서, 도 1∼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유기 EL 장치(1)의 개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유기 EL 장치(1)가 구비하는 제2 방열 부재로서의 그래파이트 시트(40)와 당해 그래파이트 시트에 적층되는 유기 EL 패널(53)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은 유기 EL 패널(53)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그래파이트 시트(40)와 유기 EL 패널(53)과의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는 유기 EL 장치(1)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유기 EL 장치(1)는, 지지 유닛(32)과 당해 지지 유닛과 일체화된 제2 방열 부재로서의 그래파이트 시트(40)와 당해 그래파이트 시트의 한쪽 면 상에 겹쳐 배치된 유기 EL 패널(53) 등을 구비하고 있다. 유기 EL 패널(53)은, 지지 유닛(32)의 양측에 1개씩 배치되어 있다.
유기 EL 패널(53)은, 표시 영역(100) 내에 복수의 자발광 소자인 유기 EL 소자(29)(도 3 참조)를 규칙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지지 유닛(3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유기 EL 소자(29)를 구동하는 회로부(36)(도 5 참조)를 내장하고 있다. 당해 회로부에 의해 개개의 유기 EL 소자(29)의 발광 강도 등이 제어됨으로써, 표시 영역(100) 내에 문자 혹은 화상 등이 표시된다.
여기에서, 지지 유닛(32)은 강성(rigidity)을 갖는 부재이지만, 당해 지지 유닛의 양측에는 유기 EL 패널(53)과 그래파이트 시트(40)와의 적층체와 당해 적층체를 덮는(후술하는) 보호 시트 등 밖에 배치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유기 EL 패널(53)은 전술한 유기 EL 소자(29) 등을 협지하는 한 쌍의 기판이 박판화되어 있기 때문에 가요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유기 EL 장치(1)는, 지지 유닛(32)을 축으로 하여, 양측의 유기 EL 패널(53)의 페이지와 같이 이용할 수 있다. 즉, 유기 EL 장치(1)는 펼침형의 표시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유기 EL 장치(1)는, 유기 EL 소자(29)가 구동될 때에 발생하는 열을 그래파이트 시트(40)에 의해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그래파이트 시트는 매우 얇은 시트 형상의 흑연으로, 세로 방향(시트면에 수직인 방향)의 열전도성은 낮고, 가로 방향의 열전도성은 Al(알루미늄) 등의 금속에 비하여 높은 특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그래파이트 시트는 매우 얇은 흑연 시트이기 때문에, Al 등으로 이루어지는 방열판과는 상이하게 가요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유기 EL 장치(1)는, 유기 EL 패널(53)의 가요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당해 유기 EL 패널이 화상 등을 표시할 때에 발생하는 열을 지지 유닛(32)으로 전달시켜, 당해 지지 유닛으로부터 방열시킬 수 있다.
도 2는, 유기 EL 장치(1)가 구비하는, 제2 방열 부재로서의 그래파이트 시트(40)와 유기 EL 패널(53)과의 적층체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그래파이트 시트(40)의, 중앙부를 Y방향으로 연재하는 일점쇄선으로 구획된 영역은, 지지 유닛(32)(도 1 참조)과 조합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당해 영역의 양측에 유기 EL 패널(53)이 배치되어 있고, 당해 영역과 유기 EL 패널(53)과의 사이에는, Y방향으로 연재하는 슬릿(slits; 44)이 형성되어 있다.
유기 EL 패널(53)의 표측(front face), 즉 그래파이트 시트(40)와 대향하는 면의 반대측 면에는 표시 영역(100)이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표시 영역의 슬릿(44) 측에는 단자부(57)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단자부에는 FPC(58)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FPC는 슬릿(44)을 개재하여, 그래파이트 시트(40)의 이면(유기 EL 패널(53)과 대향하는 면의 반대측 면)측과 도통(導通)을 도모할 수 있다.
유기 EL 패널(53)의 표시 영역(100) 내에는, 복수의 화소 영역(99)이 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화소 영역(99)에는, 전술한 유기 EL 소자(29)가 1대 1로 대응하고 있다. 유기 EL 소자(29)에 있어서 발생하는 발광이 사출되는 영역이 화소 영역(99)이다. 따라서, 화소 영역(99)은 평면적인 개념이고, 색 등이 균일한 빛이 사출되는 영역이다. 각 화소 영역(99)에 기재되어 있는 알파벳은 사출되는 빛의 색을 나타내고 있다. 즉, R이라고 부기된 화소 영역(99)으로부터는 적색광이 사출되고, G라고 부기된 화소 영역(99)으로부터는 녹색광이 사출되고, B라고 부기된 화소 영역(99)으로부터는 청색광이 사출된다.
개개의 유기 EL 소자(29)는, 평면에서 보아 표시 영역(100)의 외측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 구동 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고, 당해 외부 구동 회로는 단자부(57)와 접속되어 있다. FPC(58)는 슬릿(44)을 개재하여 단자부(57)에 접속된 당해 외부 구동 회로와, 전술한 지지 유닛(32)에 내장되는 회로부(36)를 도통시키고 있다.
도 3은, 유기 EL 패널(53)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기 EL 패널(53)은, 소자 기판(10)과 대향 기판(11) 및, 이러한 한 쌍의 기판 사이에 형성된 각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발광 소자로서의 유기 EL 소자(29) 등이 형성된 소자 기판(10)과 컬러 필터층(76)이 형성된 대향 기판(11)이, 시일재(30) 및 접착층(79)을 개재하여 접합되어(대향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 소자 기판(10)의 접착층(79)측을 「상」 또는 「상방」이라고 표기한다.
소자 기판(10) 상에는 구동용 TFT(Thin Film Transistor)(이하, 단순히 「TFT」라고 칭함)(112)와 단자부(57)가 형성되어 있다. TFT(112)는, 반도체층(21)과, Ti(티탄) 혹은 AlCu(알루미늄·구리 합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체층을 패터닝하여 형성된 게이트 전극(23) 및, 반도체층(21)과 게이트 전극(23)과의 사이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층(70) 등으로 이루어진다. 반도체층(21) 중 게이트 전극(23)과 평면에서 보아 겹치는 영역이 채널 영역(22)이고, 당해 채널 영역의 양측에 소스 영역(25)과 드레인 영역(26)이 형성되어 있다. 소자 기판(10) 상에는, TFT(112) 외에 스위칭용 TFT(도시하지 않음)와 지지 용량(도시하지 않음)이 유기 EL 소자(29)와 1대 1로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TFT 등은 단자부(57)를 거쳐 FPC(58)와 도통하고 있다.
TFT(112)의 상층에는, 질화 실리콘, 또는 산화 실리콘 등의 무기 절연 재료와 아크릴 수지 등의 유기계 재료를 적층시킨 층간 절연층(71)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TFT의 드레인 영역(26)에는, 층간 절연층(71)을 국소적으로 에칭하여 형성된 콘택트 홀(27)을 개재하여, 화소 전극(24)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화소 전극(24)의 형성 재료는 후술하는 음극(19)보다도 워크 함수가 높은 것이 필요하고, 또한 도전성이 필요하다. 그 때문에, 화소 전극(24)은 투명 도전 재료인 ITO(산화 인듐·주석 합금)로 형성되어 있다.
화소 전극(24)의 하층에는, 후술하는 발광 기능층(15)으로부터 소자 기판(10)측으로 사출되는 빛을 상방으로 반사하는 반사층(13)과, 당해 반사층을 덮는 보호층(28)이 형성되어 있다. 반사층(13)의 형성 재료는, 반사율이 높고 가공성(패터닝성)이 우수한 재료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기 EL 패널(53)의 반사층(13)은 Al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호층(28)은, 질화 실리콘 등의 ITO 부식제(etchant)에 대하여 내성(선택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되고 있다.
화소 전극(24)은, 전술한 TFT(112)마다 1개씩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화소 전극(24)은 섬 형상으로 패터닝되어 있어, 서로 이웃하는 당해 전극과는 전기적으로 서로 독립되어 있다. 그리고, 평면에서 보아 화소 전극(24)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는, 격벽(74)이 형성되어 있다. 격벽(74)은 아크릴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층을 패터닝하여 형성되어 있어, 서로 이웃하는 화소 전극(24) 간의 절연을 보장하고 있다.
화소 전극(24)과 격벽(74)이 형성된 소자 기판(10)의 상층에는, 발광 기능층(15)이 전면(全面)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기 EL 패널(53)은 컬러 필터로 3원색광을 얻고 있기 때문에, 발광 기능층(15)은 통전에 의해 백색광을 사출하는 백색 발광 기능층이다. 발광 기능층(15)은 총칭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소자 기판(10)측으로부터 차례로 정공 주입층과 정공 수송층과 유기 EL층과 전자 수송층과의 4층이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다. 정공 주입층은 정공을 주입하기 쉽게 하기 위한 층이고, 정공 수송층은 주입된 정공을 발광층으로 수송하기 쉽게 하기 위한 층이고, 전자 주입층은 전자를 주입하기 쉽게 하기 위한 층이다.
유기 EL층은, 전계(electric field)에 의해 주입된 정공과 전자와의 재결합에 의해 여기(excitation)되어 발광하는 층이고, 저(低)분자계 유기 EL 재료 혹은 고(高)분자계 유기 EL 재료가 이용된다. 저분자계 유기 EL 재료는, 정공과 전자와의 재결합에 의해 여기되어 발광하는 유기 화합물 중, 분자량이 비교적 낮은 것이다. 또한, 고분자계 유기 EL 재료는, 정공과 전자와의 재결합에 의해 여기되어 발광하는 유기 화합물 중, 분자량이 비교적 높은 것이다.
발광 기능층(15)의 상층에는, 공통 전극으로서의 음극(19)이 전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기 EL 패널(53)은 톱 이미션(top-emission)형이기 때문에, 음극(19)은 도전성과 함께 투명성(투광성)이 필요해진다. 그리고, 전자 주입성을 확보하기 위해, 발광 기능층(15)과의 계면에 화소 전극(24)의 형성 재료보다도 워크 함수(work function)가 낮은 재료층을 전자 주입층으로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유기 EL 패널(53)에 있어서는, 전자 주입층으로서 Al을 2nm, LiF(불화 리튬)를 1nm 적층한 위에 음극(19)으로서 ITO를 적층하여, 투명성과 전자 주입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격벽(74) 상에서는, Al 등으로 이루어지는 저저항의 층을 보조 전극으로서 형성하여, 음극(19)의 면 저항을 저하시켜도 좋다.
음극(19)과 발광 기능층(15)과 화소 전극(24)과의 적층체가 유기 EL 소자(29)이다. TFT(112)를 개재하여 화소 전극(24)에 전압이 인가되면 당해 화소 전극과 음극(19)과의 사이에 발광 기능층(15)을 개재하여 전류가 흘러, 발광 기능층(15)에 포함되는 유기 EL층은 전류량에 따라 발광한다.
소자 기판(10) 상에 규칙적으로 형성된 유기 EL 소자(29) 및 격벽(74)의 상층에는, 봉지층(sealing layer; 78)이 형성되어 있다. 봉지층(78)은 단층인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음극(19)의 상층으로부터 차례로 형성된 음극 보호층과 유기 완충층과 가스 배리어층(gas barrier layer)과의 3층을 적어도 포함하는 적층체이다.
음극 보호층은, 무기 재료, 예를 들면, 산화 질화 실리콘(SiON) 등의 규소 화합물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유기 완충층은, 격벽(74)과 그의 개구부에 의한 요철 형상을 매우도록 형성되어, 기계적 충격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유기 완충층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에폭시 화합물 등의 투명성이 높고, 투습성이 낮은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가스 배리어층은, 무기 재료, 특히, 투광성, 가스 배리어성, 내수성(water-resisting property)을 고려하여, 예를 들면 산화 질화 실리콘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대향 기판(11)의 소자 기판(10)측에는 컬러 필터층(76)이 형성되어 있다. 컬러 필터층(76)은, 각각의 유기 EL 소자(29)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컬러 필터(75(r, g, b))와 당해 컬러 필터 사이에 형성된 차광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블랙 매트릭스(75k)와 오버코팅층(77)과 당해 오버코팅층을 덮는 무기 가스 배리어층(73)을 구비하고 있다.
블랙 매트릭스(75k)는, Cr(크롬) 등을 포토리소그래피법으로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오버코팅층(77)은 예를 들면 아크릴이나 폴리이미드 등의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고, 무기 가스 배리어층(73)은 무기 재료, 예를 들면 산화 질화 실리콘(SiON) 등의 규소 화합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컬러 필터(75(r, g, b))는, 색재(colorants)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재료를 도포하여, 노광·현상함으로써 형성하는 포토리소그래피법이나, 격벽에 의해 구획된 막 형성 영역에 색재를 포함하는 액상체를 토출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하는 액적 토출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컬러 필터는, 소정 파장 범위의 빛을 투과시키고 다른 파장 범위의 빛을 흡수함으로써, 백색광으로부터 유색광을 얻을 수 있다. 소문자의 알파벳(r, g, b)은 투과시키는 파장 범위의 빛이 해당하는 색을 나타내고 있다.
유기 EL 소자(29) 자체는, 사출하는 빛의 색에 따른 구조의 차이는 없으며, 각 유기 EL 소자가 사출하는 빛의 색은 컬러 필터(75(r, g, b))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각각의 유기 EL 소자(29)가 컬러 필터층(76)을 개재하여 3원색광의 어느 것을 임의의 강도로 사출함으로써, 대향 기판(11)측의 면인 표시 영역(100)(도 1 참조)에 컬러 화상이 형성(표시)된다.
전술한 표시 영역(100)은 대략 직사각형이고, 유기 EL 소자(29)는 당해 표시 영역 내에 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일재(30)는, 이러한 규칙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유기 EL 소자(29)를 평면에서 보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시일재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는, 수지 재료가 충전되어 접착층(79)이 형성되어 있다. 접착층(79)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탄계 수지나 아크릴계 수지에 경화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한 저탄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시일재(30)는, 소자 기판(10) 상에 인쇄법 등에 의해 미(未)경화의 시일재층을 형성하고, 대향 기판(11)을 대향 배치한 후, 당해 미경화의 시일재층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시일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계 수지 등의 수분 투과율이 낮은 재료에 경화제로서 산 무수물를 첨가하고, 촉진제로서 실란 커플링제를 첨가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시일재(30)의 두께는 약 15㎛이다. 즉 전술한 컬러 필터층(76), 유기 EL 소자(29) 등 및, 접착층(79) 등의 합계의 두께는 약 15㎛의 두께 범위 내에 들어가고 있다.
유기 EL 패널(53)을 구성하는 한 쌍의 기판, 즉 소자 기판(10)과 대향 기판(11)은 모두 유리 재료(glass material)로 이루어진다. 두께는 20㎛∼1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이다. 이러한 두께는, 약 500㎛ 두께의 유리 기판을 이용하여, 전술한 유기 EL 소자(29) 등을 형성하고 시일재(30)를 개재하여 접합한 후에, 에칭법 혹은 CMP(화학적 기계적 연마)법으로 박판화함으로써 얻어지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일재(30)의 두께가 약 15㎛이기 때문에, 유기 EL 패널(53)의 두께는 약 75㎛이다. 이러한 두께가 될 때까지 (소자 기판(10)과 대향 기판(11)이) 박형화됨으로써, 유기 EL 패널(53)은 가요성을 갖고 있다.
도 4는, 지지 유닛(32)(도 1 참조)의 양측의 부분, 즉 유기 EL 패널(53)과 그래파이트 시트(40)와의 적층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유기 EL 패널(53)은 시일재(30)를 개재하여 접합된 소자 기판(10)과 대향 기판(11)의 한 쌍의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소자 기판(10)측에 있어서 그래파이트 시트(40)와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유기 EL 패널(53)과 그래파이트 시트(40)와의 적층체는 양면이 필름 시트(42)로 덮여 있다. Al 등의 금속제 방열판이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본 도면에 있어서 나타내는 부분은 완전히 가요성을 갖고 있다.
필름 시트(42)는, 투명성을 갖는 기재 필름과, 마찬가지로 투명성을 갖는 접착층으로 이루어지고, FPC(58)측에 있어서 그래파이트 시트(40)가 연신(extension)하고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 전술한 적층체를 덮고 있다. 기재 필름은, 외부로부터의 수분이나 가스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가스 투과성이 낮은 투명한 수지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수지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PEN(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PES(폴리에테르술폰), PC(폴리카보네이트), PE(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들 수 있다. 접착층의 형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의 에폭시 수지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점착성을 갖는 점착제로서도 좋다.
유기 EL 패널(53)과 그래파이트 시트(40)는 각각 단면(end face)을 갖기 때문에, 상기 적층체의 단부에서는 단차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단차부를 필름 시트(42)만으로 완전히 덮는 것은 곤란하다. 그 때문에, 이러한 단차부에는 봉지 수지(sealing resin; 84) 등이 충전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필름 시트(42)끼리가 접합되어 있는 부분에도 봉지 수지(84)로 밀봉되어 있다. 또한, FPC(58)와 그래파이트 시트(40)와의 사이에는, 스페이서(46)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에 의해, 필름 시트(42)로 전술한 적층체를 덮을 때에, FPC(58)가 접어 구부러져 크랙(crack) 등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되고 있다.
도 5는, 지지 유닛(32)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인 면에서 자른 유기 EL 장치(1)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또한, 양측의 유기 EL 패널(53)은 도시를 일부 생략하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유닛(32)은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1 방열 부재로서의 방열봉(34)과, 당해 방열봉의 한쪽 면을 개방하고 그 이외의 부분(면)과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된 그래파이트 시트(4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그래파이트 시트(40)의, 당해 방열봉과 접촉하는 측의 반대측에는, 유기 EL 패널(53)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부(36)와, 유기 EL 패널(53)을 구동하기 위한 전지(3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 유닛(32)은 양측에 유기 EL 패널(53)을 지지할 수 있고, 또한 회로부(36) 등을 지지할 수 있으면 좋고, 봉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경우(지지 유닛이 봉 형상이 아닌 경우)는, 제1 방열 부재도 봉 형상의 부재(즉 방열봉(34))로 한정되지 않는다.
방열봉(34)은 Al 등의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어, 그래파이트 시트(40)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주위, 즉 공중으로 효과적으로 방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래파이트 시트(40)는, 가로 방향의 열전도성이 높고 세로 방향의 열전도성은 낮다는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필름 시트(42)로 전면적으로 덮여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기 EL 소자(29)를 구동할 때에 발생하는 발열을 방열봉(34)으로 효과적으로 전도하여, 당해 방열봉으로부터 방열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기 EL 소자(29)는 가열에 의해 발광 특성이 변화하는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어떠한 기구로 발광시의 발열을 방열하지 않는 한, 장시간의 안정적인 구동은 곤란하다. 유기 EL 장치(1)는, 이러한 발열을, 표시 영역(100)(도 1 참조)측의 반대측에 그래파이트 시트(40)를 배치함으로써, 당해 표시 영역에 있어서 소자 기판(10)의 기판 면에 수직 방향으로 방열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이웃하는 유기 EL 패널(53)의 사이에 배치된 방열봉(34)을 개재하여 방열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기 EL 장치(1)는, 유기 EL 패널(53)의 이면(소자 기판(10)측의 면)을 개방하지 않고, 또한, 금속제의 방열판을 배치하지 않는 일 없이, 장시간 안정적인 화상 등의 표시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유기 EL 패널(53)은 가요성을 부여하기 위해 약 75㎛까지 박형화되어 있다. 따라서, 어떠한 시트 등으로 보강하여, 내구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EL 패널(53)의 이면에 금속제의 방열판을 배치한 경우, 보강은 충분이 이루어지지만 가요성은 손상된다. 또한, 필름 시트(42)로 (유기 EL 패널(53)의) 표리 양면을 직접 덮으면, 가요성은 유지되지만 방열이 불충분해져, 장시간의 안정적인 표시가 곤란해질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유기 EL 장치(1)는, 유기 EL 패널(53)을, 가로 방향 즉 면 방향의 열전도성이 높은 그래파이트 시트(40)를 개재하여 필름 시트(42)로 덮음으로써, 방열성 및 가요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내구성을 얻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유기 EL 장치(1)는, 그래파이트 시트(40)로부터 전도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부재를 봉 형상의 방열봉(34)으로서, 지지 유닛(32)의 구성 요소를 겸비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지지 유닛(32)을 축으로 하여, 당해 지지 유닛의 양측에 배치된 가요성을 갖는 유기 EL 패널(53)을, 양면 가능한 페이지와 같이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유기 EL 패널(53)의 단자부(57)(도 3 참조)에 접속된 FPC(58)는, 그래파이트 시트(40)에 형성된 슬릿(44)을 개재하여, 회로부(36)와 도통하고 있다. 그리고, 유기 EL 패널(53)은 회로부(36)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유기 EL 소자(29)(도 3 참조)를 개별로 구동하여, 표시 영역(100)(도 1 참조)에 화상을표시한다. 또한, 이러한 구동에 요하는 전력은, 내장하는 전지(38)로부터 공급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유기 EL 장치(1)는 전원 코드 등을 필요로 하지 않아, 이동 가능한 펼침형의 표시 장치, 즉 전자북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서술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 EL 장치(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 EL 장치(1)와 구성 등이 유사하다. 즉, 지지 유닛(32)의 양측에 유기 EL 패널(53)과 그래파이트 시트(40)와의 적층체가 배치되어 있어 펼침형의 전자북과 같이 사용 가능하다. 유기 EL 패널(53)의 구성도 대략 동일하다. 그래파이트 시트(40)가, FPC(58)를 통과시키기 위한 슬릿(44)을 구비하고 있는 것도 동일하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도 1∼3에 상당하는 도면은 생략하고, 도 4 및 도 5에 상당하는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 EL 장치(1)의 구성 요소와 공통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의 기재는 일부 생략한다.
도 6은, 유기 EL 장치(2)에 있어서의 유기 EL 패널(53)과 그래파이트 시트(40)와의 적층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전술한 도 4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유기 EL 장치(2)는, 그래파이트 시트(40)의 양면에 유기 EL 패널(53)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그래파이트 시트(40)의 양면 각각에, 유기 EL 패널(53)이 소자 기판(10)측을 대향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유기 EL 장치(1)와 동일하게, 그래파이트 시트(40)와 유기 EL 패널(53)과의 적층체는 전체가 필름 시트(42)로 덮여 있고, 극간(gap)에는 봉지 수지(84)가 충전되어 있다. FPC(58)와 그래파이트 시트(40)와의 사이에 스페이서(46)가 배치되어 있는 점도, 유기 EL 장치(1)와 동일하다. 도시하는 쌍방의 유기 EL 패널(53)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각각이 FPC(58)를 구비하고 있다.
도 7은, 지지 유닛(32)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인 면에서 자른 유기 EL 장치(2)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전술한 도 5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양측의 유기 EL 패널(53)은 도시를 일부 생략하고 있는 점도, 도 5와 공통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기 EL 장치(2)의 지지 유닛(32)은, 회로부(36)를 4개 내장하고 있다. 그리고, 전지(38)는, 4개의 유기 EL 패널(53)에 구동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용량을 갖고 있다. 그래파이트 시트(40)의 양면에 배치된 2개의 유기 EL 패널(53)은, 각각 독립적으로 회로부(36)와 접속되어 있다. 즉, 그래파이트 시트(40)의 방열봉(34)측에 배치된 유기 EL 패널(53)의 FPC(58)는 슬릿(44)을 개재하여 회로부(36)와 접속되어 있고, 그래파이트 시트(40)의 회로부(36)측에 배치된 유기 EL 패널(53)의 FPC(58)는 그대로 회로부(36)와 접속되어 있다.
유기 EL 장치(2)에 있어서는, 2개의 유기 EL 패널(53)이 각각의 소자 기판(10)측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화상을 표시할 때에는 유기 EL 소자(29)(도 3 참조)의 발열이 대향하는 유기 EL 패널(53)로 전도될 수 있다. 그러나, 쌍방의 소자 기판(10) 사이에는 그래파이트 시트(40)가 협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발열의 대부분은 가로 방향(면 방향)으로 전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래파이트 시트(40)는 가로 방향의 열전도성이 높기 때문에, 한쪽의 유기 EL 패널(53)의 발열 대부분은, 그래파이트 시트(40)를 개재하여 방열봉(34)으로 전달되어, 당해 방열봉으로부터 방산된다. 따라서, 대향하는 유기 EL 패널(53)을 가열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따라서, 유기 EL 장치(2)는,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유기 EL 패널(53)을 2조(pairs), 즉 4개의 유기 EL 패널(53)을, 신뢰성 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동시에 구동하여 화상 등을 표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기 EL 장치(2)는, 4개의 유기 EL 패널(53)을 책의 페이지와 같이 취급할 수 있어, 4페이지의 전자북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전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변경이나 개량을 더한 변형예로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형예는 이하에 서술한다.
(변형예 1)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광학 패널로서, 자발광 소자인 유기 EL 소자(29)를 구비하는 유기 EL 패널(53)을 이용하는 유기 EL 장치에 대해서 서술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자발광 소자를 갖지 않는 액정 패널 등을 이용하는 실시 형태에서도 실현 가능하다. 액정 패널은, 광원으로서 백라이트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백라이트의 발열을, 그래파이트 시트(40)를 개재하여 방열봉(34)으로부터 방산시킴으로써 안정적인 화상 등의 표시가 가능해져, 전자북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유기 EL 패널(53)과 다른 전기 광학 패널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변형예 2)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그래파이트 시트(40)가 1매만의 구성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래파이트 시트(40)를 2매 이상 구비하는 구성에서도 실현 가능하다. 그래파이트 시트(40)만을 적층하면 열전도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지만, 방열봉(34)을 2개 이상 배치하여 지지 유닛(32) 내에 있어서 방열봉(34)과 그래파이트 시트(40)를 번갈아 겹치는 실시 형태로 하면 방열성을 확보할 수 있어, 보다 한층 페이지 수가 많은 전자북을 실현할 수 있다.
1 :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로서의) 유기 EL 장치
2 :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로서의) 유기 EL 장치
10 : 소자 기판
11 : 대향 기판
13 : 반사층
15 : 발광 기능층
19 : 음극
21 : 반도체층
22 : 채널 영역
23 : 게이트 전극
24 : 화소 전극
25 : 소스 영역
26 : 드레인 영역
27 : 콘택트 홀
28 : 보호층
29 : (자발광 소자로서의) 유기 EL 소자
30 : 시일재
32 : 지지 유닛(supporting unit)
34 : (제1 방열 부재로서의) 방열봉
36 : 회로부
38 : 전지
40 : (제2 방열 부재로서의) 그래파이트 시트
42 : 필름 시트
44 : 슬릿
46 : 스페이서
53 : 유기 EL 패널
57 : 단자부
58 : FPC
70 : 게이트 절연층
71 : 층간 절연층
73 : 무기 가스 배리어층
74 : 격벽
75 : 컬러 필터
75k : 블랙 매트릭스
76 : 컬러 필터층
77 : 오버코팅층
78 : 봉지층
79 : 접착층
84 : 봉지 수지
99 : 화소 영역
100 : 표시 영역
112 : TFT

Claims (6)

  1. 제1 방열 부재를 갖는 지지 유닛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방열 부재와 접촉하도록, 상기 지지 유닛의 양측에 배치된 제2 방열 부재와,
    빛을 사출하는 측의 반대측 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방열 부재에 면(面) 접촉하도록, 상기 지지 유닛의 양측에 배치된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빛을 사출하는 측의 면을 덮도록 배치된 투명한 필름 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부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전지를 추가로 갖고 있고,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은 FPC를 개재하여 상기 회로부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열 부재는 그래파이트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열 부재의, 상기 전기 광학 패널과 접촉하는 면의 반대측 면이 상기 필름 시트로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열 부재의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이 표리 양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은 자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자발광 소자가 유기 EL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KR1020110000442A 2010-01-12 2011-01-04 전기 광학 장치 KR201100835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03685A JP5381729B2 (ja) 2010-01-12 2010-01-12 電気光学装置
JPJP-P-2010-003685 2010-0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508A true KR20110083508A (ko) 2011-07-20

Family

ID=44258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442A KR20110083508A (ko) 2010-01-12 2011-01-04 전기 광학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50914B2 (ko)
JP (1) JP5381729B2 (ko)
KR (1) KR20110083508A (ko)
CN (1) CN102157544A (ko)
TW (1) TWI5409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653B1 (ko) 2009-05-02 2023-09-0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US8975624B2 (en) * 2011-07-19 2015-03-10 Panasonic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JP5924928B2 (ja) * 2011-12-22 2016-05-25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20210068638A (ko) 2014-10-28 2021-06-0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KR102224632B1 (ko) 2014-11-07 202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2016161743A (ja) * 2015-03-02 2016-09-05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撮像装置
WO2017019450A2 (en) * 2015-07-24 2017-02-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flective stack with heat spreading layer
JP6045675B2 (ja) * 2015-11-19 2016-12-14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282060B1 (ko) * 2017-05-23 2021-07-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7064157B2 (ja) * 2019-01-09 2022-05-10 株式会社Joled 表示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2020167174A (ja) * 2020-06-29 2020-10-0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
CN111970904A (zh) * 2020-08-19 2020-11-2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支撑组件及显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751Y2 (ja) * 1979-12-28 1984-03-0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El表示装置
JPH08305301A (ja) * 1995-05-10 1996-11-22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1255513A (ja) * 2000-03-13 2001-09-21 Minolta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03058081A (ja) * 2001-08-09 2003-02-28 Casio Comput Co Ltd 電子表示装置
JP4131639B2 (ja) * 2002-05-17 2008-08-13 東芝松下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携帯可能な媒体に搭載可能な表示装置および情報機器
WO2006008863A1 (ja) * 2004-07-15 2006-01-26 Fujifilm Corporation 無機分散型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1221428B1 (ko) * 2004-07-20 2013-01-11 김시환 휴대용 표시장치
JP2006084977A (ja) * 2004-09-17 2006-03-30 Sony Corp 表示装置
JPWO2006080335A1 (ja) * 2005-01-25 2008-06-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06259307A (ja) * 2005-03-17 2006-09-28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撮像装置
CN2862088Y (zh) * 2005-12-26 2007-01-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计算机
JP2007206845A (ja) * 2006-01-31 2007-08-16 Wacom Co Ltd 情報処理装置
KR100703514B1 (ko) * 2006-04-07 2007-04-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듀얼 화면 모바일 디스플레이 기기
FR2901347B1 (fr) * 2006-05-22 2008-07-18 Valeo Vision Sa Composant de dissipation thermique et dispositif d'eclairage et/ou de signalisation a diode equipe d'un tel composant
JP5324778B2 (ja) * 2007-12-19 2013-10-23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960913B2 (en) * 2008-01-09 2011-06-14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a second bez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40937B (zh) 2016-07-01
JP5381729B2 (ja) 2014-01-08
US20110169393A1 (en) 2011-07-14
US8450914B2 (en) 2013-05-28
TW201204172A (en) 2012-01-16
JP2011145320A (ja) 2011-07-28
CN102157544A (zh)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1729B2 (ja) 電気光学装置
JP5444940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381447B2 (ja) 電気光学装置
JP6629564B2 (ja) 発光装置
JP5644075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446790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099060B2 (ja) 有機el装置、有機el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US10691163B2 (en) Display device
KR102045733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5609941B2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048053B1 (ko) 윈도우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20150075688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6004907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0244698A (ja) 有機el装置、有機el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KR102553875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70136052A (ko) 표시 장치
JP2010244694A (ja) 有機el装置、電子機器
JP2011034996A (ja) 透過型有機el表示装置
JP2011027811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1113704A (ja) 有機el装置、有機el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JP2011108564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JP2011044375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KR102650335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210080945A (ko) 표시장치
WO2021107145A1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