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6052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6052A
KR20170136052A KR1020160066448A KR20160066448A KR20170136052A KR 20170136052 A KR20170136052 A KR 20170136052A KR 1020160066448 A KR1020160066448 A KR 1020160066448A KR 20160066448 A KR20160066448 A KR 20160066448A KR 20170136052 A KR20170136052 A KR 20170136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ayer
display panel
back cover
organic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5011B1 (ko
Inventor
김동훈
최충현
박환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6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011B1/ko
Priority to CN201710387588.4A priority patent/CN107452892B/zh
Priority to US15/608,171 priority patent/US10593731B2/en
Publication of KR20170136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4Arrangements for heating and cool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01L51/523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7/00Patterns; Manufacture thereof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2C7/02Lost patterns
    • B22C7/023Patterns made from expanded plastic materials
    • B22C7/026Patterns made from expanded plastic materials by assembling preform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7/00Patterns; Manufacture thereof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2C7/06Core boxes
    • B22C7/065Ve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40Mountings or securing means for detachabl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 fixed by friction, plugs or springs
    • H01L27/322
    • H01L51/5243
    • H01L51/5253
    • H01L51/5281
    • H01L51/5293
    • H01L51/5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7Arrangements for heating or cool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40Mountings or securing means for detachabl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 fixed by friction, plugs or springs
    • H01L23/4006Mountings or securing means for detachabl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 fixed by friction, plugs or springs with bolts or screws
    • H01L2023/4075Mechanical elements
    • H01L2023/4087Mounting accessories, interposers, clamping or screwing parts
    • H01L2251/533
    • H01L2251/5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35Edge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61Temperatur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표시장치의 후면 지지구조인 백커버 내면에 배치되는 이너 플레이트의 단부에 하향 벤딩부를 형성하고 하향 벤딩부의 외면이 백커버 내면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이너 플레이트의 강성 및 방열 성능을 향상시키고, 하향 벤딩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표시패널의 크랙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백커버의 수직 연장부의 선단에 내향 벤딩부를 형성함으로써, 백커버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내향 벤딩부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표시장치를 측면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 보다 표시장치의 후면 지지구조인 백커버(Back Cover)와 백커버 내면에 배치되는 강성 보강용 이너플레이트(Inner Plate) 중 하나 이상의 단부에 벤딩부를 형성함으로써 지지구조의 강성 및 방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가 발전함에 따라 이에 적용할 수 있는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평판 표시 장치로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등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 중 액정 표시장치(LCD)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그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물질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화소 영역의 양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계에 따라 액정층의 배열 상태가 조절되고 그에 따라 광의 투과도가 조절되어 화상이 표시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액정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은 사용자에게 이미지를 제공하는 표시 영역(active area, AA)과 상기 표시영역(AA)의 주변 영역인 비표시 영역(non-active area, NA)으로 정의되며, 표시 패널은 통상 박막 트랜지스터 등이 형성되어 화소영역이 정의되는 어레이기판인 제1기판과, 블랙매트릭스 및/또는 칼라필터층 등이 형성된 상부 기판으로서의 제2기판이 합착되어 제조된다.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어레이기판 또는 제1기판은 다시,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GL)과, 제1방향과 수직인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을 포함하며, 각각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의하여 하나의 화소영역(Pixel; P)이 정의된다. 하나의 화소영역(P) 내에는 1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며, 각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또는 소스 전극은 각각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 중에서 액정 표시 장치는 자체 발광요소를 갖지 못하는 소자이므로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배면에 LED와 같은 광원을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이 마련되어 액정 패널 전면을 향해 광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서 비로소 식별 가능한 화상이 구현된다.
한편, 최근 표시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스스로 발광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함으로써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 등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자발광(Self-Light Emitting) 소자를 이용함으로써, 비발광 소자를 사용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하다. 또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및 대조비가 우수하며,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이와 더불어,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직류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부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도 넓으며, 특히 제조비용 측면에서도 저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제 1 전극, 제 2 전극 및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의 구조에 따라 탑 에미션(Top emission) 방식 또는 바텀 에미션(bottom emission) 방식 등의 형태로 화상을 표시한다. 바텀 에미션 방식은 유기발광층에서 발생된 가시광을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기판 하부 쪽으로 표시하는 데 반해, 탑 에미션 방식은 유기발광층에서 발생된 가시광을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기판 상부 쪽으로 표시한다.
이러한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유기발광다이오드가 포함된 서브픽셀을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하고 스캔 신호에 의해 선택된 서브픽셀들의 밝기를 데이터의 계조에 따라 제어한다. 또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자발광 소자로서, 소비전력이 낮고, 고속의 응답 속도, 높은 발광 효율, 높은 휘도 및 광시야각을 가지고 있다.
한편, 이러한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완제품 개념의 세트 장치가 있으며, 이러한 세트장치의 예로는 TV, 컴퓨터 모니터, 광고판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 또는 세트장치는 액정 또는 유기발광 표시패널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지지구조를 포함하며, 이러한 지지구조는 표시장치의 외관을 형성하여 표시패널을 보호하여야 하므로 일정 이상의 강성이 확보되어야 하며, 표시패널 또는 제어회로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기능을 구비하여야 한다.
한편, 일반적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는 유기발광 표시패널 후면을 지지하는 백커버와, 백커버 내면에 부착되어 백커버의 강성을 보강하고 방열기능을 하는 이너 플레이트(Inner Plate)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백커버 및 이너 플레이트 구조에서는 표시장치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백커버 또는 이너 플레이트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이너 플레이트를 통한 발열이 충분치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실시에에서는 백커버 및 이너 플레이트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표시장치의 지지구조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지지구조를 통한 방열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지지구조인 백버커 및 이너 플레이트의 구조를 변경하여, 강성 및 방열 특성이 향상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시장치의 후면 지지구조인 백커버의 수직 연장부의 선단에 내향 벤딩부를 형성함으로써, 백커버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내향 벤딩부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측면 충격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시장치의 후면 지지구조인 백커버 내면에 배치되는 이너 플레이트의 단부에 하향 벤딩부를 형성하고 하향 벤딩부의 외면이 백커버 내면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이너 플레이트의 강성 및 방열 성능을 향상시키고, 하향 벤딩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표시패널의 크랙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면 지지구조인 백커버의 수직 연장부의 선단에 내향 벤딩부를 형성하고, 백커버 내면에 배치되는 이너 플레이트의 단부에 하향 벤딩부를 형성함으로써, 표시장치 지지구조의 전체적인 강성을 증가시키고 표시장치에서 발생되는 열을 원활히 방출시킬 수 있는 구조의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후방을 지지하는 수평부와 수평부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표시패널의 측면을 커버하는 수직연장부를 포함하는 백커버와, 접착부재를 통해 백커버의 수평부 내면에 접착되는 수평부와, 수평부의 가장자리에서 하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백커버의 수평부 내면에 접촉되는 하향 벤딩부를 포함하는 이너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더하여 백커버의 수직연장부의 단부에는 표시패널 측면방향으로 벤딩되는 내향 벤딩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백커버 수직 연장부와 내향 벤딩부 사이에는 내향 벤딩부의 탄성변형을 위한 제1갭이 제공되고, 이너 플레이트의 수평부와 하향 벤딩부 사이에는 하향 벤딩부의 탄성변형을 위한 제2갭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너 플레이트의 하향 벤딩부는 이너 플레이트의 수평부에서 상부로 1차 절곡되는 제1차 절곡부와, 1차 절곡부의 단부에서 하부로 절곡되는 제2차 절곡부를 포함하는 이중 절곡구조일 수 있다.
한편, 표시패널은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일측에 배치되는 양 전극층 사이에서 발광하는 유기발광소자층을 포함하는 발광 레이어, 및 발광레이어의 일측에 배치되는 인캡슐레이션 레이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으며, 특히 유기발광 표시패널은 유기발광소자층의 광이 기판을 관통하여 방출되는 바텀 에미션 방식의 유기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이 때,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광이 방출되는 면을 영상표시면으로 정의할 때, 상표시면의 하부로 광레이어, 인캡슐레이션 레이어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발광레이어는 영상표시면의 하부로 기판, 박막트랜지스터, 유기발광소자층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기판의 상부에는 편광 레이어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위의 유기발광소자층은 백색광을 방출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층이고, 발광레이어는 백색 유기발광소자층 상에 배치되는 컬러필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할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지지구조인 백버커 및 이너 플레이트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표시장치 지지구조의 강성 및 방열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더 구체적으로, 표시장치의 후면 지지구조인 백커버의 수직 연장부의 선단에 내향 벤딩부를 형성함으로써, 백커버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내향 벤딩부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표시장치를 측면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시장치의 후면 지지구조인 백커버 내면에 배치되는 이너 플레이트의 단부에 하향 벤딩부를 형성하고 하향 벤딩부의 외면이 백커버 내면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이너 플레이트의 강성 및 방열 성능을 향상시키고, 하향 벤딩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표시패널의 크랙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표시장치 지지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표시장치 지지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백커버 및 이너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백커버 및 이너 플레이트의 일부 사시도로서 백커버의 수직 연장부에 내향 벤딩부가 형성되고, 이너 플레이트의 단부에 하향 벤딩부가 형성된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하여 백커버의 수직 연장부에 형성된 내향 벤딩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의하여 이너 플레이트의 단부에 형성되는 하향 벤딩부의 여러 형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여러가지 단면구조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바텀 에미션 타입의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적층구조를 도시하는 세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표시장치 지지구조의 일 예를 도시하며,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표시장치 지지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에 의한 종래의 표시장치에서는 표시패널(10)과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로서 백커버(20) 및 미들 캐비닛(30)을 포함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백커버(30)가 일정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약2.5mm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선진 복합 재료(Advanced Composite Material; ACM)로 제작될 수 있다.
선진 복합 재료(Advanced Composite Material; ACM)는 탄소섬유, 탄화규소 섬유,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보론섬유 등과 에폭시 수지(epoxy resin)나 폴리이미드 등의 내열성 수지를 조합한 고성능 복합재료를 의미한다.
이러한 ACM 재료의 백커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재료상 특징으로 인하여 단부를 절곡성형할 수 없기 때문에, 백커버(30)에 결합되어 표시장치의 측면외관을 구성하면서 표시패널(10)의 측면을 보호하는 미들 캐비닛(30)이 더 사용되어야 한다.
즉, T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미들 캐비닛(30)이 평판 형태의 백커버(20)의 단부영역에서 양면 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부재(42)를 통해 백커버와 결합되며, 미들캐비닛(30)의 수평 지지부 상에 표시패널(10)이 접착되어 고정된다.
또한, 도 1의 구조에서는 백커버(20)의 내측면 상에 내측면 상에 마그네틱 또는 비자성 재질의 패드(50)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마그네틱 패드(50)는 백커버(20)와 표시패널(10)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기능을 한다.
이 때, 미들캐비닛(30)은 가이드 패널(Guide Panel), 플라스틱 샤시, p-샤시, 서포트 메인, 메인 서포트, 몰드 프레임 등 다른 표현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다수의 절곡부가 있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사각 프레임 형상의 구조물이다.
이러한 미들캐비닛(30)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와 같은 합성수지의 몰드재질 또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사출성형 방식을 통하여 제작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과 같은 표시장치 지지구조에서는 ACM 재료의 특성상 정확한 치수 구현을 위한 포밍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고, 충분한 백커버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백커버의 두께 T1이 비교적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백커버(20)의 재료인 ACM의 특성상 단부의 벤딩 또는 절곡이 어려워서 미들캐비닛(30)이 더 필요하므로, 그에 따라 부품수가 증가되고 표시장치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지다는 단점이 있다.
도 2는 도 1과 같은 구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제안된 다른 표시장치 지지구조로서, 단부가 절곡된 L자형 단면을 가지는 백커버(20)와, 백커버의 강성을 보완하고 방열 기능을 하도록 백커버 내면에 부착되는 이너 플레이트(Inner Plate; 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백커버(20)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구성되는 PCM(Pre-Coated Metal) 재료로 제작될 수 있으며, 금속재료의 특성상 절곡이 가능하므로, 백커버는 표시장치의 후면 전체를 커버하는 수평부(22)와 수평부의 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직 연장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백커버(20)의 수평부의 가장자리 내면에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44)가 배치되고, 그 접착부재 상부에 표시패널(10)의 가장자리가 안착되어 고정된다.
또한, 도 2의 구조에서는 백커버의 수평부 전체에 걸쳐 내면상에 금속재료로 형성되는 이너 플레이트(60)가 배치된다.
이러한 이너 플레이트(60)는 양면 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부재(46)을 통해 백커버의 수평부 내면에 부착되어, 백커버의 휨강성을 증가시키고, 표시패널(10) 및 표시장치의 제어회로(C-PCB)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흡수하여 방출하는 히트 싱크(HeatSink)의 기능을 가진다.
도 1의 방식과 비교할 때, 도 2의 지지구조에서는 미들캐비닛이 사용될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수가 감소하고 구조가 단순해지며, 금속재료(PCM)의 강도로 인하여 백커버의 두께를 및 전체적인 표시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도 2의 구조를 사용하더라도, 지지구조의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너 플레이트(60) 또는 백커버(20)의 두께가 두꺼워져야 하고, 이너 플레이트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표시장치의 구동시 표시패널 또는 제어회로 등에 발생되는 열이 이너 플레이트로 전달되지만, 이너 플레이트와 백커버 사이에 양면 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부재가 배치되는데, 일반적으로 접착부재는 열전도성이 우수하지 않으므로 방열 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도 2의 구조에서는, 표시장치의 박형화 경향에 부응하여 백커버(20)의 두께를 작게 하여야 하는데, 백커버의 두께가 얇아지는 경우 백커버의 강성, 특히 수직 연장부의 강성이 약해지므로, 백커버의 두께를 일정 이상으로 축소시키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너 플레이트(60)의 단부가 날카롭게 노출되어 있으므로, 그 단부에 의하여 표시패널 고정용 접착부재(44)가 손상되고, 더 나아가서 표시패널의 크랙(Crack) 등의 우려가 있다.
또한, 표시패널 고정용 접착부재(44)의 손상 등에 의하여 표시패널이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강한 재질의 이너 플레이트(60)에 표시패널이 부딪혀 크랙불량이 발생되기도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표시패널 후방을 지지하는 백커버의 내면에 접착부재로 부착되는 이너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하향 벤딩부를 형성하고, 그 하향 벤딩부가 백커버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이너 플레이트의 강성 및 방열 특성을 향상시키고, 하향 벤딩부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표시패널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에 추가하여 백커버의 수직 연장부 가장자리에도 내향 벤딩부를 형성함으로써, 백커버의 강성을 보완하고, 벤딩부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측면 충격에 의한 표시장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백커버 및 이너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100)과, 표시패널 후방을 지지하는 수평부(210)와 수평부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표시패널의 측면을 커버하는 수직연장부(220)를 포함하는 백커버(200)과, 접착부재(420)를 통해 백커버의 수평부 내면에 접착되며, 단부에 하향으로 벤딩되어 백커버의 수평부 내면에 접촉되는 하향 벤딩부(520)를 포함하는 이너 플레이트(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이너 플레이트(500)에 하향 벤딩부를 형성하는 것에 추가하여, 백커버(200)의 수직 연장부(220)의 일부를 표시패널 측면방향인 내측으로 벤딩한 내향 벤딩부(23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500)는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등의 재료로 구성되는 PCM(Pre-Coated Material) 재료로 형성되는 판상 부재로서, 접착부재(420)에 의하여 백커버 내면에 부착되는 부분인 수평부(510)와, 수평부의 가장자리에서 표시장치의 후면방향인 아래로 절곡되는 하향 벤딩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이너 플레이트의 하향 벤딩부(520)는 백커버(200)의 수평부(510)의 내면과 접촉하며, 도 3b에서와 같이 하향벤딩부(520)와 백커버가 접촉하는 접촉 영역을 A로 표시한다.
즉, 도 3b와 같이, 이너 플레이트의 수평부(510)의 저면은 백커버(200)의 수평면 상에 부착된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부재(420)의 일면에 부착되어 장착되며, 그 상태에서 하향 벤딩부(520)의 저면이 백커버의 수평면 표면과 바로 접촉된다.
따라서, 하향벤딩부(520)와 백커버가 접촉하는 접촉 영역 A를 통해서 이너 플레이트(500)으로 전달된 열이 역시 금속재료인 백커버(200)로 전달되어 외부로 방출될수 있으므로, 도 2와 같은 종래 구조와 비교할 때 표시장치의 방열 특성이 향상된다.
또한, 하향 벤딩부(520)가 없는 도 2의 구성과 비교할 때, 하향 벤딩부(520)에 의하여 이너 플레이트(500)의 강성, 특히 휨 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따라서 표시장치 전체의 강도가 증가되거나, 동일한 강도 조건 하에서는 백커버 또는 이너 플레이트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너 플레이트(500)의 수평부(510)과 하향 벤딩부(520)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이 존재하며, 이를 제2갭(522)이라 표현한다. 이러한 제2갭에 의하여, 하향 벤딩부(520)가 상하방향 탄성력을 가지며, 상하방향 하중에 따라 일정한 탄성변형을 할 수 있다.
하향 벤딩부(520)의 제2갭(522)에 의하여 이너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부가 탄성력을 가지게 되므로, 표시패널 고정용 접착부재(410)의 손상이나 강한 상하 충격에 의하여 표시패널(100)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너 플레이트와 충돌하더라도, 그 충격을 일정부분 흡수함으로써 표시패널의 크랙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도 3b에서 하향 벤딩부(520)가 접촉영역 A에 의하여 백커버에 지지되되 하향 벤딩부(520)와 이너 플레이트의 수평부(510) 사이에 제2갭(522)이 형성되므로, 하부 충격 등에 의하여 표시패널(100)이 이너 플레이트에 충돌되는 경우, 이너 플레이트가 탄성변형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백커버(200)의 수직 연장부(220)의 일부를 표시패널 측면방향인 내측으로 벤딩한 내향 벤딩부(230)를 더 형성할 수 있고, 이때에도 수직 연장부(220)과 내향 벤딩부(230) 사이에는 일정 간극이 형성되며, 이러한 간극을 제1갭(232)으로 표현한다.
이러한 백커버의 내향 벤딩부(230)로 인하여, 도 2의 종래 구조와 비교할 때, 백커버 가장자리 영역의 강성, 특히 휨강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백커버 가장자리부가 부드러운 라운딩 효과를 가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백커버(200)의 내향 벤딩부(230)과 수직 연장부(220) 사이의 제1갭(232)에 의하여 내향 벤딩부(230)가 탄성력을 가지고 일정 정도 탄성변형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력에 의하여 측면 충격에 의한 패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측면 충격 등으로 인하여 표시패널이 가장자리쪽으로 밀려 이동하는 경우, 도 2의 구조에서는 표시패널이 바로 백커버의 수직 연장부에 부딪혀 손상될 가능성이 있는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백커버의 내향 벤딩부가 탄성변형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므로 표시패널의 크랙 손상 등이 방지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표시장치가 지면으로 떨어지는 상황 등에서 표시장치의 측면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제1갭(232)에 의하여 백커버의 내향 벤딩부(230)가 그 충격을 일정 부분 흡수할 수 있어서, 표시장치를 측면 충격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내측 또는 내면은 표시장치의 내부로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표면을 의미하며, 하측 또는 외면은 표시장치의 바깥으로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표면을 의미한다.
즉, 도 3b에서 백커버 수직 연장부(220)의 내측은 우에서 좌로 항햐는 방향을 의미하며, 이너 플레이트의 하측은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백커버 및 이너 플레이트의 일부 사시도로서 백커버의 수직 연장부에 내향 벤딩부가 형성되고, 이너 플레이트의 단부에 하향 벤딩부가 형성된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하여 백커버의 수직 연장부에 형성된 내향 벤딩부의 확대도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커버(200)는 일정한 두께의 판상부재로서, 표시장치 후면을 형성하는 수평부(210)와 수평부의 가장자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220)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L자형 단면을 가지는 판상 부재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백커버(200)는 수직 연장부(220)의 가장자리를 표시패널 측면 방향인 내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내향 벤딩부(230)를 포함하며, 수직 연장부(220)와 내향 벤딩부(230)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인 제1갭(232)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 연장부 및/또는 내향 벤딩부는 백커버의 4개면 모두에 제공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회로 등의 배치 설계에 따라서 백커버의 4개면 중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백커버(200)은 그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레이트 버텀(Plate Bottom), 커버버텀(Cover Bottom),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 메탈 프레임(Metal Frame), 메탈 샤시(Metal Chassis), 샤시 베이스(Chassis Base), m-샤시 등 다른 표현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지지체로서 표시장치의 후방 기저부에 배치되는 모든 형태의 프레임 또는 판상 구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표시장치"라는 용어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 모듈(Liquid Crystal Module; LCM), 유기발광 표시모듈(OLED Module)과 같은 협의의 표시장치는 물론, 그러한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완제품인 노트북 컴퓨터,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스마트폰 또는 전자패드와 같은 모바일 전자장치 등과 같은 세트 전자 장치 또는 세트 장치까지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의 표시장치는 LCM, OLED 모듈과 같은 협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물론, 그를 포함하는 응용제품인 세트 장치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백커버(200)는 열전도성을 가지는 금속 및 금속포함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기 아연도금(Electrolytic Galvanized Iron; EGI), 용융아연도금강판, 갈바륨강판, 알루미늄 도금강판, 전기아연도금강판 등 강판소재에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수지를 도장하거나 라미 필름(Lami Film) 등을 부착한 컬러 강판 소재인 PCM(Pre-Coated Metal)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백커버(200)의 두께는 약0.5mm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2와 같은 구성의 백커버 두께인 약1.8mm 보다는 작을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백커버에 형성된 내향 벤딩부와, 이너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하향 벤딩부에 의하여 강성이 증가되기 때문에, 그러한 벤딩부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도 2)에 비하여 백커버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를 표시장치 전체의 두께 및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커버의 내향 벤딩부(230)의 높이 H2는 백커버의 수직연장부(220)의 높이 H1보다는 작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백커버의 수직연장부의 높이 H1에서 도 3b의 표시패널 고정용 접착부재(410)의 두께를 뺀 값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더 작을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백커버의 수직 연장부(220)와 내향 벤딩부(230) 사이의 간극인 제1갭(232)의 크기 G1는 내향 벤딩부의 벤딩 공정의 편의성 및 내향 벤딩부의 필요 탄성변형 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이너 플레이트(Inner Plate; 500)는 접착부재(420)를 통하여 백커버(200)의 수평부 내부 표면에 장착되는 판상 부재로서, 접착부재(420)에 부착되는 평판 부분인 수평부(510)와, 수평부 가장자리가 아래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백커버의 수평부 내면에 접촉하는 하향 벤딩부(520)를 포함한다.
또한, 이너 플레이트(500)의 수평부(510)와 하향 벤딩부(520) 사이에는 일정 간극(G2)이 형성되며, 이 간극을 제2갭(522)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하향 벤딩부(520)는 아래와 같이 3가지 기능을 가진다.
우선, 이너 플레이트의 전체적인 강성 증가 기능이다. 즉, 일반적인 평판 형태의 이너 플레이트에 비하여, 가장자리부가 이중으로 벤딩되어 있으므로 이너 플레이트의 전체적인 휨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두번째로, 이너 플레이트의 방열 특성 향상 기능이다. 하향 벤딩부가 없는 도 2의 구조에서는 이너 플레이트가 접착부재(46)에 의하여 백커버에 접착되는데 접착부재(46)는 양면 테이프로서 열전도성이 거의 없는 재료로 형성되므로, 결과적으로 표시패널이나 제어회로 등에서 방출된 열을 금속 재료의 이너 플레이트가 흡수하더라도 그를 외부로 전달하여 방열시키는 기능이 미미하다.
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하향 벤딩부(520)를 제공하면, 하향 벤딩부(520)가 백커버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표시패널 및 제어 회로 등에서 발생된 열이 이너 플레이트의 하향 벤딩부와 백커버를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다.
특히, 표시패널이 유기발광 표시패널인 경우 유기발광 소자가 열에 취약하기 때문에, 이러한 이너 플레이트의 하향 벤딩부에 의한 방열 성능 향상이 더 필요해진다.
세번째로, 이너 플레이트의 하향 벤딩부의 탄성변형에 의한 상하 충격 흡수 기능이다.
표시장치에 상하 방향 하중 또는 충격이 발생하거나, 표시패널 고정용 접착부재(도 2의 44)의 손상 등에 의하여 표시패널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너 플레이트에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하향 벤딩부가 없는 도 2의 종래 구조에서는 이너 플레이트가 단일 평판 구조이므로 표시패널의 충돌에 의한 충격량을 흡수할 수 없고, 따라서 표시패널의 갈라짐 또는 크랙 등의 불량이 발생될 여지가 있었다.
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제2갭(522)을 가지는 하향 벤딩부(520)를 제공하면, 이너 플레이트에 하부 하중이 주어지는 경우 하향 벤딩부가 탄성변형됨으로써, 하중을 흡수하는 댐퍼 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경우, 표시패널이 이너 플레이트에 충돌하더라도 그 충격을 적절히 흡수함으로써, 표시장치의 상하 방향으로 인가되는 하중 또는 충격에 따른 패널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와 같이, 제2갭(522)의 크기 G2는 접착부재 및 이너 플레이트의 기본 두께와 이너 플레이트의 제2갭의 필요 탄성변형 정도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즉, 도 6a와 같이 제2갭(522)을 일정한 크기인 G2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전체적인 이너 플레이트의 두께가 커져서 접착부재(420)의 두께다 t1으로 커야 하지만, 탄성변형량이 커짐으로써 충격흡수 성능은 향상된다.
한편,도 6b와 같이 제2갭(522)을 아주 작은 값이나 거의 0이 되도록 형성하는 경우, 탄성변형 정도는 다소 낮아지지만, 백커버와 열전도 접촉되는 영역이 커짐으로써 방열 특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접착부재(420)의 두께를 t2로 작게 할 수 있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도 6c는 도 6a 및 도 6b의 장점만을 취하기 위한 구조로서, 하향 벤딩부(520')가 이중 절곡구조를 가지는 예를 도시한다.
즉, 이너 플레이트의 하향 벤딩부(520')가 수평부(510)에서 상부로 1차 절곡되는 제1차 절곡부(524')와 하부로 180도 절곡되는 제2차 절곡부(52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도 6c와 같이 제2갭의 크기는 G2로 일정 이상 확보하면서도, 접착부재(420)의 두께는 t2로 작게 유지할 수 있어서, 탄성변형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이너 플레이트의 장착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이너 플레이트의 하향 벤딩부의 연장길이 L은 방열 특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가급적 큰 것이 유리하다.
즉, 이너 플레이트의 수평부는 접착부재(420)를 통해 백커버에 접착할 수 있는 정도의 영역으로 형성하고, 하향 벤딩부가 그 이외의 영역 전체를 커버하도록, 하향 벤딩부의 길이 L을 최대한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이너 플레이트(500)는 알루미늄이나 그 합금이나 기타 다른 금속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 이상의 강도과 열전도 특성을 가지는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표시패널(100)은 원칙적으로 액정표시패널, 유기전계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표시패널, 플라즈마 표시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등 모든 형태의 표시패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의한 백커버 및 이너 플레이트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 한 특정한 표시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표시패널이 액정 표시패널인 경우에는, 표시패널과 백커버 또는 커버버텀 사이에 광원, 도광판, 광학시트 등으로 구성되는 백라이트 유닛이 구비되어야 하며,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가 더 필요할 수 있으며, 액정물질은 아래에서 설명할 바와 같은 유기발광 재료보다 열에 강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이너 플레이트가 적용될 여지가 다소 낮을 수 있다.
반면, 유기 발광(OLED) 표시 패널의 경우에는, 유기발광소자와 박막트랜지스터(TFT) 등을 포함하는 글래스 기판으로서의 발광패널 레이어, 인캡슐레이션 레이어(Encapsulation Layer) 등의 여러 레이어가 하나의 패널로 합지되는 단일 어셈블리 형태이고, 사용되는 유기 발광 소자가 자발광 소자여서 별도의 광원 등의 백라이트 유닛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의한 백커버 및 이너 플레이트의 구조가 적용되기 용이하다.
또한, 유기발광 표시패널에 사용되는 유기발광소자 또는 유기발광재료는 액정재료에 비하여 열에 취약하고, 표시장치의 방열이 더 중요해지므로 본 실시예에 의한 이너 플레이트의 필요성이 더 크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패널(100)은 유기발광(OLED) 표시패널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여러가지 단면구조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표시패널은 액정표시패널, 유기발광 표시패널 등 여하한 방식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백라이트 유닛이 필요없고 발광소자가 열에 취약하여 방열 특성이 중요한 점을 고려하여, 유기발광 표시패널을 가지는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패널(100)은 기판과 기판상에 형성된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박막트랜지스터 일측에 배치되는 양 전극층 사이에서 발광하는 유기발광소자층을 포함하는 발광레이어와, 그 발광레이어의 일측에 배치되는 인캡슐레이션 레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유기발광 표시패널은 유기발광소자층으로부터의 광이 진행하는 방향에 따라서, 탑 에미션 방식과 바텀 에미션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간단히 언급하면, 탑 에미션 방식은 유기발광소자층에서 발생된 광이 발광레이어의 기판 반대방향인 상부방향으로 진행하며 기판 반대방향의 일면이 영상표시면이 된다.
반대로, 바텀 에미션 방식은 유기발광소자층에서 발생된 광이 발광레이어의 기판 방향으로 진행하여 기판을 관통하여 방출되며, 이 때에는 발광레이어의 기판의 외측면이 영상표시면이 된다.
도 7a는 유기발광 표시패널 중 발광레이어의 기판을 기준으로 박막트랜지스터(TFT) 방향으로 광이 방출되는 탑 에미션(Top Emission) 방식의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7a과 같이, 탑 에미션 방식의 유기발광 표시패널(1100)은 발광레이어(1180)와 발광레이어의 일측에 배치되어 발광레이어를 보호하는 인캡슐레이션 레이어(1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발광레이어(1180)는 자발광되는 유기발광소자층을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부로서, 다시 글래스 기판(1182)과, 글래스 기판(1182)상에 형성된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층(TFT; 1184)과, 박막트랜지스터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소자층(1186)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또는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는 제1전극(애노드 또는 캐소드 전극)과, 제2전극(캐소드 또는 애노드)이 배치되며 양 전극층 사이에 유기발광소자층(1186)이 배치된다.
박막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에 의하여 양 전극 사이에 발생되는 전위차에 따라 유기발광소자가 자발광함으로써 광을 방출한다.
한편, 발광레이어의 양측면 중에서 글래스 기판이 배치되는 방향으로는 글래스 재질의 기판이 외부 수분,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때문에 문제가 없으나, 글래스 기판의 반대방향, 즉, 유기발광표시층이 형성되는 방향의 면상에는 외부에서 수분, 이물질 등의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보호할 필요가 있다.
인캡슐레이션 레이어(1182)는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보호층으로서, 발광레이어의 유기발광소자층의 상부면에 합착되어 유기발광소자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인캡슐레이션 레이어는 그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기발광 표시패널을 구성하는 발광레이어의 유기발광소자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모든 종류의 보호층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보호층, 제2기판층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 에미션 방식에서는 발광레이어의 글래스 기판(1182)의 반대방향으로 광이 방출되고 그 방향에 영상 표시면이 형성되며, 영상표시면 방향, 즉 유기발광소자층(1186)의 바로 바깥쪽 면에 인캡슐레이션 레이어(1190)가 형성된다.
또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에미션 방식에서는 인캡슐레이션 레이어(1190)가 영상표시면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투명하여야 하며, 결과적으로 글래스 재료 등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또한, 탑 에미션 방식에서는 인캡슐레이션 레이어(1190)가 관찰자에게 노출되는 영상표시면을 이루게 되므로, 외부의 충격 등에 강하도록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탑 에미션 방식에서는 인캡슐레이션 레이어(1190)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제1두께 T1를 가지는 글래스 레이어로 형성되어야 하며, 대형 TV 등에서는 인캡슐레이션 레이어(1190)의 제1두께 T1이 적어도 약1mm 이상이어야 한다.
도 7b 및 도 7c는 바텀 에미션(Bottom Emission) 타입의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단면도로서, 도 7b는 컬러별 유리발광층이 적용된 경우이도, 도 7c는 화이트 유기발광층(WOLED)과 컬러필터층이 사용되는 경우며, 아래에서는 도 7b를 대표로 설명한다.
도 7b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패널(1200)은 인캡슐레이션 레이어(1290)과, 인캡슐레이션 레이어 상에 배치되는 발광레이어(1280) 및 발광레이어 상에 배치되는 편광 레이어(12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발광레이어(1280)는 자발광되는 유기발광소자층을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부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다시 글래스 재료의 기판(1211)과, 기판(1211)상에 형성된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층(TFT; 1214)과, 박막트랜지스터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소자층(1219)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도 8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듯이,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또는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는 제1전극(애노드 또는 캐소드 전극)과, 제2전극(캐소드 또는 애노드)이 배치되며 양 전극층 사이에 유기발광소자층(1219)이 배치된다.
박막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에 의하여 양 전극 사이에 발생되는 전위차에 따라 유기발광소자가 자발광함으로써 광을 방출한다.
이 때, 편광 레이어(1270)의 일면이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표시면이 되며, 영상표시면 아래로 순서대로 편광 레이어(1270), 발광레이어(1280) 및 인캡슐레이션 레이어(1290)가 배치되며, 경우에 따라서 편광 레이어(1270)는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도 7b는 별도의 컬러필터 없이 발광레이어(1280)를 구성하는 유기발광소자층(1219)이 각 컬러(R,G,B)별 광을 출력하는 유기발광재료가 사용된 경우를 예시하며, 도 7c는 유기발광소자층이 백색광을 방출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층(1264)이고, 백색 유기발광소자층 상에 배치되는 컬러필터층(1248)로 구성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7b 및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텀 에미션 방식의 유기발광 표시패널(1200)에서는 발광레이어(1280)가 영상표시면을 기준으로 그 아래에 기판(1211), 박막트랜지스터층(1214), 유기발광소자층(1219)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유기발광소자층에서 방출된 광은 박막트랜지스터층(1214) 및 기판(1211)을 관통하여 진행한다. 따라서, 기판(1211)을 하측(Bottom 측)으로 가정할 때, 광이 기판방향으로 방출되는 바텀 에미션 방식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바텀 에미션 방식의 유기발광 표시패널(1200)에서는 유기발광소자층(1219)을 보호하기 위하여, 인캡슐레이션 레이어(1290)가 유기발광소자층(1219)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탑 에미션 방식의 인캡슐레이션 레이어(도 7a의 1190)는 영상표시면쪽에 배치되는 반면, 도 7b 및 도 7cd와 같은 바텀 에미션 방식에서는 인캡슐레이션 레이어(1290)가 영상표시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므로 투명 재료일 필요가 없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가 필요한 정도의 강성 역시 필요치 않다.
즉, 바텀 에미션 방식에서의 인캡슐레이션 레이어(1290)는 단지 발광레이어(1280)의 유기발광소자층으로의 수분, 이물질 침투 등을 방지하는 기능만을 가지면 충분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인캡슐레이션 레이어(1290)는 전술한 탑 에미션 방식의 인캡슐레이션 레이어(1190)의 제1두께(T1)보다 작은 제2두께(T2)를 가지는 금속재료 박막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실제로, 본 실시예에 의한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인캡슐레이션 레이어(1290)의 제2두께는 약0.05 내지 0.2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인캡슐레이션 레이어(1290)를 구성하는 재료는 금속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기발광소자층을 보호할 수 있고 얇은 박막으로 형성할 수 있는 한 재료의 제한은 없다.
그러나, 유기발광소자층(1219)으로 수소, 산소 등이 침투하여 유기발광소자를 산화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소/산소 등의 투과를 막아주는 철-니켈 합금, 소위 인바(Invar) 금속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캡슐레이션 레이어(1290)는 일정 이상의 반사특성을 가지는 금속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발광소자층(1219)에서 방출된 광은 인캡슐레이션 레이어(1290)의 반대방향인 영상표시면으로 출력되어야 하므로, 인캡슐레이션 레이어(1290)가 일정 이상의 반사특성을 가지는 금속재료로 형성되는 경우 인캡슐레이션 레이어(1290)가 일종의 반사판의 기능을 가져서, 표시패널의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바텀 에미션 방식의 유기발광 표시패널을 이용하면, 도 7a와 같은 탑 에미션 방식에 비하여 인캡슐레이션 레이어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인캡슐레이션 레이어(1290)의 반사특성에 따라 표시패널의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b 및 도 7c와 같이, 유기발광소자층(1219)에서 방출된 광은 인캡슐레이션 레이어(1290)의 반대방향인 영상표시면으로 출력되어야 하므로, 인캡슐레이션 레이어(1290)가 일정 이상의 반사특성을 가지는 금속재료로 형성되는 경우 인캡슐레이션 레이어(1290)가 일종의 반사판의 기능을 가져서, 표시패널의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컬러별 유리발광층이 적용된 도 7b와 달리, 도 7c는 유기발광소자층이 백색광을 방출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층(WOLED; 1264)이고, 백색 유기발광소자층 상에 배치되는 컬러필터층(1248)로 구성되는 예를 도시한다.
통상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광효율이 다른 컬러별 유기발광소자보다 우수하기 때문에, 도 7c와 같은 구조를 사용하면,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광효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바텀 에미션 타입의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적층구조를 도시하는 세부 단면도이다.
편의상. 도 8에서 발광방향 또는 영상표시면을 도 7과 반대로 도면의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도시한다.
도 8과 같이, 영상표시면측에 편광 레이어(1270)가 배치되며, 그에 접촉하여 발광레이어(1280)가 적층되고, 발광레이어(1280)의 일면에 인캡슐레이션 레이어(129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바텀 에미션 방식의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발광레이어(128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광레이어(1280)의 기판(1211) 상에는 버퍼층(1220), 차광층(1222), 제1 층간절연막(1224), 반도체층(1226), 게이트 절연막(1228), 게이트 전극(1230), 제2 층간절연막(1232), 소스 전극(1242), 드레인 전극(1244), 제3 층간절연막(1246), 컬러필터(1248), 평탄화층(1250), 제1전극(1260), 뱅크(1262), 유기발광소자층(1264), 제2전극(1266), 패시베이션층(12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발광레이어(1280)의 기판(1211)은 글래스(Glass) 기판일 수 있지만,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PEN(Polyethylen naphtha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등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기판 등일 수 있다.
버퍼층(1220)은 기판(1211) 상의 불순원소의 침투를 차단하거나, 계면 특성 및 평탄도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질화실리콘(SiOx), 산화실리콘(SiNx) 등의 단일층 또는 다수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광층(1222)은 반도체층(1226)의 채널영역으로 입사되는 광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차광층(1222)은 광을 차단하기 위해 불투명한 금속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광층(1222)은 드레인 전극(124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기생 캐패시턴스(Parasitic Capacitance)를 방지할 수도 있다.
제1 층간절연막(1224)은 차광층(1222)과 반도체층(1226)을 상호 절연시킨다. 이러한 제1 층간절연막(1224)은 절연물질을 포함하고, 버퍼층(1220) 및 차광층(1222) 상에 적층될 수 있다.
반도체층(1226)은 규소(Si)를 포함하여 제1 층간절연막(1224) 상에 배치되고, 채널을 이루는 액티브 영역과, 액티브 영역의 양측으로 고농도의 불순물이 도핑된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228)은 반도체층(1226)과 게이트 전극(1230)을 상호 절연시킨다. 이러한 게이트 절연막(1228)은 절연 물질을 포함하고, 반도체층(1226) 상에 적층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230)은 게이트 절연막(1228) 상에 배치되고 게이트라인으로부터 게이트 전압을 공급받는다.
제2 층간절연막(1232)은 게이트 전극(1230)을 보호하고, 게이트 전극(1230), 소스 전극(1242) 및 드레인 전극(1244)을 상호 절연시킨다. 이러한 제2 층간절연막(1232)은 절연물질을 포함하고, 제1 층간절연막(1224), 반도체층(1226) 및 게이트 전극(1230)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소스 전극(1242) 및 드레인 전극(1244) 각각은 제2 층간절연막(1232) 상에 배치되고, 제2 층간절연막(1232)에 형성된 제1 및 제2 컨택홀을 통해 반도체층(1226)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드레인 전극(1244)은 제3 컨택홀을 통해 차광층(1222)에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소스 전극(1242) 및 드레인 전극(1244)과, 이들 전극과 접촉하는 반도체층(1226)과, 반도체층(1226)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1228) 및 게이트 전극(1230) 등이 박막 트랜지스터층(1214)을 구성할 수 있다.
제3 층간절연막(1246)은 소스 전극(1242) 및 드레인 전극(1244)을 보호한다.
컬러필터(1248)는 바텀 에미션 방식에서 기판(1211)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의 색상을 변경하기 위해 제2 층간절연막(1232) 상에서 유기발광소자층(1216)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평탄화층(1250)은 소스 전극(1242) 및 드레인 전극(1244)을 보호하고, 제1전극(1260)이 배치되는 면을 평탄하게 만들 수 있다.
제1 전극(1260)은 평탄화층(1250) 상에 배치되고, 평탄화층(1250)에 형성된 제4 컨택홀을 통해 드레인 전극(1244)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1전극(1260)은 애노드(anode) 전극을 역할을 하고, 유기발광소자층(1264)에서 발생한 광이 투과되도록 일함수 값이 비교적 크며 투명한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전극(1260)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금속 산화물, ZnO:Al 또는 SnO2:Sb와 같은 금속과 산화물의 혼합물, 폴리(3-메틸티오펜), 폴리[3,4-(에틸렌-1,2-디옥시)티오펜](PEDT), 폴리피롤 및 폴리아닐린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전극(260)은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 그래핀(graphene), 은나노와이어(silver nano wir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층(1264)은 제1전극(1260) 상에 배치되고, 발광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으로 구성되거나,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기발광소자층(1264)은 백생광을 출력하는 백색광 유기발광소자층일 수 있으며, 패터닝(patterning)하지 않고 전면에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유기발광소자층(1264)은 패터닝 과정이 생략되어 제조 공정상의 간편함 또는 비용절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전극(1266)은 유기발광소자층(1264) 상에 배치되고, 캐소드 전극(음극)으로서, 일함수 값이 비교적 작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2전극(1266)은 바텀 에미션방식에 따라 Ag 등의 단일 금속 또는 Mg 등이 일정 비율로 구성된 합금의 단일층 또는 이들의 다수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제1전극(1260)과, 제1전극(1260)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전극(1266)과, 제1전극(1260) 및제2전극(1266) 사이에 개재된 유기발광소자층(1264)을 통칭하여 유기발광소자로 표현할 수도 있다.
유기발광소자층(1264)는 제1전극(1260)과 제2전극(1266)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제1전극(1260)으로부터 주입된 정공과 제2전극(1266)으로부터 제공된 전자가 유기발광소자층(1264)으로 수송되어 엑시톤(exciton)을 이루고, 엑시톤이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천이될 때 빛이 발생되어 가시광선의 형태로 방출할 수 있다.
뱅크는 제1전극(1260)의 가장자리 상에 형성되고, 제1전극(1260)이 노출되도록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뱅크는 SiOx, SiNx, SiON 등의 무기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1270)은 수분과 산소로부터 유기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무기물질, 유기물질과 이들의 혼합 물질의 다층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차광층(1222), 게이트 전극(1230), 소스 전극(1242) 및 드레인 전극(1244) 각각의 상부에는 하나의 저반사층(127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반사층은 외부 광의 반사를 방지함으로써, 시인성 저하, 휘도 감소, 명암비 특성 감소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저반사층(1271)은 기판(1211)을 통해 유입된 외부광을 흡수하는 물질로 되어 있거나, 광 흡수제가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외부광은, 편광판 또는 편광층 등을 거치지 않은 비편광을 의미할 수 있다.
외부광을 흡수하는 물질은, 광을 흡수하는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흑색 계열의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저반사층(1271)은 몰리브덴(Mo), 크롬(Cr), 티타늄(Ti), 나이오븀(Nb), 망간(Mn), 탄탈륨(Ta)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합금일 수 있다. 다만, 실시예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광을 흡수할 수 있는 다른 금속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저반사층(1271)은 외부광이 다시 외부로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저반사층(1271)은, 금속 산화물 또는 광을 흡수하는 금속과 금속 산화물의 합금으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유입된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저반사층(1271)은,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및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의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외부 광은, 저반사층(1271)의 표면에서 반사된 광과 저반사층(1271)을 통과한 후 도전층과 저반사층(1271)의 계면에서 반사된 광이 서로 상쇄 간섭을 일으킴으로써, 다시 외부로 나갈 수 없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유기발광 표시패널(1200)은 기판(211)의 일면에 배치되어 가시영역 파장의 광을 흡수하는 투과율 조정 필름(미도시) 및/또는 투명다층막(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투과율 조정 필름은 외부에서 기판(1211)으로 입사하는 광을 흡수하여 소정의 투과율을 가지고, 외부광 흡수를 통해 기판(1211)의 반사율을 매우 낮출 수 있는 기능을 한다.
투명다층막은 상호 인접한 층끼리 굴절률이 상이한 복수의 굴절층이 적층된 구조로서, 여러 굴절율을 가지는 굴절층에서 반사된 광들의 상쇄 간섭에 의하여 외부광을 소멸시켜 외부광의 반사율을 저감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투과율 조정필름 및/또는 투명다층막은 전술한 편광 레이어(1270) 자체 또는 그의 일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장치의 후면 지지구조인 백커버 내면에 배치되는 이너 플레이트의 단부에 하향 벤딩부를 형성하고 하향 벤딩부의 외면이 백커버 내면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이너 플레이트의 강성 및 방열 성능을 향상시키고, 하향 벤딩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표시패널의 크랙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백커버의 수직 연장부의 선단에 내향 벤딩부를 형성함으로써, 백커버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내향 벤딩부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표시장치를 측면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표시패널 200 : 백커버
210 : (백커버의) 수평부 220 : 수직 연장부
230 : 내향 벤딩부 232 : 제1갭
410 : 표시패널 고정용 접착부재 420 : 접착부재
500 : 이너 플레이트 510 : (이너플레이트의) 수평부
520 : 하향 벤딩부 522 : 제2갭
1280 : 발광 레이어 1290 : 인캡슐레이션 레이어
1211 : 기판 1214 : 박막트랜지스터(층)
1219, 1264 : 유기발광소자층

Claims (9)

  1.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후방을 지지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표시패널의 측면을 커버하는 수직연장부를 포함하는 백커버;
    접착부재를 통해 상기 백커버의 상기 수평부 내면에 접착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가장자리에서 하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백커버의 수평부 내면에 접촉되는 하향 벤딩부를 포함하는 이너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의 수직연장부의 단부에는 표시패널 측면방향으로 벤딩되는 내향 벤딩부가 배치되는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 수직 연장부와 상기 내향 벤딩부 사이에는 내향 벤딩부의 탄성변형을 위한 제1갭이 제공되고, 상기 이너 플레이트의 수평부와 하향 벤딩부 사이에는 하향 벤딩부의 탄성변형을 위한 제2갭이 제공되는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플레이트의 하향 벤딩부는 표시패널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접촉된 상기 백커버를 통해 방출하는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플레이트의 하향 벤딩부는 상기 이너 플레이트의 수평부에서 상부로 1차 절곡되는 제1차 절곡부와, 상기 1차 절곡부의 단부에서 하부로 절곡되는 제2차 절곡부를 포함하는 이중 절곡구조인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일측에 배치되는 양 전극층 사이에서 발광하는 유기발광소자층을 포함하는 발광 레이어, 및 상기 발광레이어의 일측에 배치되는 인캡슐레이션 레이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패널인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 표시패널은 상기 유기발광소자층의 광이 상기 기판을 관통하여 방출되는 바텀 에미션 방식의 유기발광표시패널인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광이 방출되는 면을 영상표시면으로 정의할 때, 상기 영상표시면의 하부로 상기 발광레이어, 상기 인캡슐레이션 레이어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상기 발광레이어는 상기 영상표시면의 하부로 상기 기판,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유기발광소자층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기판의 상부에는 편광 레이어가 더 배치되는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소자층은 백색광을 방출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층이고, 상기 발광레이어는 상기 백색 유기발광소자층 상에 배치되는 컬러필터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160066448A 2016-05-30 2016-05-30 표시 장치 KR102655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448A KR102655011B1 (ko) 2016-05-30 2016-05-30 표시 장치
CN201710387588.4A CN107452892B (zh) 2016-05-30 2017-05-26 显示装置
US15/608,171 US10593731B2 (en) 2016-05-30 2017-05-30 Display device having back support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448A KR102655011B1 (ko) 2016-05-30 2016-05-30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052A true KR20170136052A (ko) 2017-12-11
KR102655011B1 KR102655011B1 (ko) 2024-04-08

Family

ID=60420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448A KR102655011B1 (ko) 2016-05-30 2016-05-30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93731B2 (ko)
KR (1) KR102655011B1 (ko)
CN (1) CN107452892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591B1 (ko) * 2019-05-27 2020-01-08 (주)티에스이 유기발광소자 패널 파손방지를 위한 이너플레이트 보강구조
KR20200130533A (ko) 2019-05-08 2020-11-19 희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200130538A (ko) 2019-05-08 2020-11-19 희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 커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921864B2 (en) 2019-05-10 2021-02-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047B1 (ko) * 2016-11-24 2023-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EP3678367B1 (en) * 2017-08-28 2023-12-1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20200042579A (ko) * 2018-10-15 2020-04-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1092062B (zh) * 2018-10-24 2021-06-08 欣兴电子股份有限公司 晶片封装结构及其制造方法
KR102212888B1 (ko) * 2018-10-29 2021-02-05 주식회사 오성디스플레이 복합소재 프레스 성형 방법
CN112150939B (zh) * 2019-06-28 2024-09-20 株式会社午星D&E Oled显示器装置及其后盖的制造方法
US11570938B2 (en) * 2019-08-27 2023-01-31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680252B1 (ko) * 2019-12-31 2024-07-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1564109B (zh) * 2020-05-07 2022-08-0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盖板玻璃及具有该盖板玻璃的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3348A (ko) * 2008-11-12 2010-05-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US20140063412A1 (en) * 2012-06-29 2014-03-06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40071845A (ko) * 2012-12-04 2014-06-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845B1 (ko) * 2011-12-23 2018-06-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ed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16652A (ko) * 2013-03-25 2014-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107008B1 (ko) * 2013-12-16 2020-05-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00457B1 (ko) * 2015-03-16 2022-05-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플렉서블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의 제조방법
CN107533818B (zh) * 2015-05-26 2019-10-11 堺显示器制品株式会社 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3348A (ko) * 2008-11-12 2010-05-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US20140063412A1 (en) * 2012-06-29 2014-03-06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40071845A (ko) * 2012-12-04 2014-06-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0533A (ko) 2019-05-08 2020-11-19 희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200130538A (ko) 2019-05-08 2020-11-19 희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 커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921864B2 (en) 2019-05-10 2021-02-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050591B1 (ko) * 2019-05-27 2020-01-08 (주)티에스이 유기발광소자 패널 파손방지를 위한 이너플레이트 보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45874A1 (en) 2017-11-30
CN107452892A (zh) 2017-12-08
KR102655011B1 (ko) 2024-04-08
CN107452892B (zh) 2019-06-18
US10593731B2 (en) 202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1163B2 (en) Display device
US10593731B2 (en) Display device having back support structure
US11815960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71009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24597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41135A (ko)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US10826025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1737315B2 (en) Display panel comprising heat dissipation memb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306135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70023231A (ko)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KR20240037224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035496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569691B1 (ko) 표시장치
US20220085318A1 (en) Display device
KR102395576B1 (ko) 표시 장치
KR102122528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86302B1 (ko) 평판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79680A (ko) 표시 장치
KR20240048172A (ko) 표시 장치
KR20200075411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