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0533A -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0533A
KR20200130533A KR1020190053602A KR20190053602A KR20200130533A KR 20200130533 A KR20200130533 A KR 20200130533A KR 1020190053602 A KR1020190053602 A KR 1020190053602A KR 20190053602 A KR20190053602 A KR 20190053602A KR 20200130533 A KR20200130533 A KR 20200130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back cover
conduit
display devic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시영
Original Assignee
희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희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3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0533A/ko
Publication of KR20200130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5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 G02F2001/133314
    • G02F2001/133317
    • G02F2001/13332
    • G02F2001/133325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패널(110)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10)의 측면을 감싸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10)의 배면에 결합되는 일체형백커버(140)를 포함하되, 상기 일체형백커버(140)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10)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프레임(141)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10)의 배면에 배치되는 배면플레이트(143)와; 상기 배면플레이트(143)와 관로(144)를 사이에 두고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10)을 향해 이격배치되는 상부플레이트(145)와; 상기 측면프레임(141)과 상기 배면플레이트(143)와 및 상부플레이트(145)는 압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이너플레이트와 백커버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백커버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발광디스플레이 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양산화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현이라는 장점에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
도 1은 종래 디스플레이장치(10)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디스플레이장치(10)는 디스플레이패널(11)과, 디스플레이패널(11)의 배면을 커버하는 백커버(12)와, 백커버(12)와 디스플레이패널(11) 사이에 구비되는 이너플레이트(14)와, 디스플레이패널(11)을 백커버(12)에 결합시키는 제1접착부재(13)와, 이너플레이트(14)를 백커버(12)에 결합시키는 제2접착부재(15)를 포함한다.
여기서, 백커버(12)의 단부에는 수직방향을 절곡형성되어 디스플레이패널(11)의 측면을 커버하는 측면커버(12a)가 일체로 형성되고, 측면커버(12a)의 상단에는 휨강성과 외관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내향벤딩부(12b)가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 디스플레이장치(10)는 백커버(12)와, 백커버(12)의 내측에 구비되어 백커버(12)의 휨강성을 증가시키는 이너플레이트(14)가 각각 구비된다. 이에 따라 종래 디스플레이장치(10)는 전체 부품이 증가되고, 이너플레이트(14)와 백커버(12) 각각을 조립해야 하는 공정이 추가되므로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디스플레이장치(10)는 내향벤딩부(12b)를 통해 디자인의 유려함을 꾀하고 있으나, 외관화 수단이 내향벤딩부(12b) 하나 뿐이므로 전체 구조가 단조로와 심미감을 불러일으키기에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36052호 "표시장치"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15597호 "디스플레이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너플레이트와 백커버 및 미들캐비넷을 일체로 제조하여 공정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순한 구조이나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광부재를 이용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패널(110)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10)의 측면을 감싸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10)의 배면에 결합되는 일체형백커버(140)를 포함하되, 상기 일체형백커버(140)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10)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프레임(141)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10)의 배면에 배치되는 배면플레이트(143)와; 상기 배면플레이트(143)와 관로(144)를 사이에 두고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10)을 향해 이격배치되는 상부플레이트(145)와; 상기 측면프레임(141)과 상기 배면플레이트(143)와 및 상부플레이트(145)는 압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로(144)는 상기 배면플레이트(143)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을 향해 직선형태로 상기 배면플레이트(143)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체형백커버(140)의 하부측 관로(144)에 결합되어 상방향을 향해 발광하는 복수개의 발광부재(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체형백커버(140)의 하부에 결합되어 하부측 관로(144)를 차폐하는 하부데코바(160)와, 상기 일체형백커버(14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부측 관로(144)를 차폐하는 상부데코바(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로(144)의 단면형상은 원형, 타원,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데코바(170)는 상기 발광부재(151)에 의해 발생되어 상기 관로(144)를 따라 이동된 광을 외부로 투과시키도록 광투과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데코바(160)와 상기 상부데코바(170)은 각각 상기 관로(144)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삽입돌기(161)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돌기(161)가 상기 관로(144)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데코바(160)와 상기 상부데코바(170)는 상기 일체형백커버(14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체형백커버(140)는 상기 측면프레임(141)과 상기 상부플레이트(145)의 경계영역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10)이 안착되는 안착면(14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종래 백커버, 미들캐비넷, 이너플레이트가 하나의 일체형백커버로 구현되므로, 조립과정이 간편하고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일체형백커버의 내부에 복수개의 관로가 형성되므로, 재료비를 절감함과 동시에 간단한 구조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관로 내부에 발광부재가 배치되어 관로를 따라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이동된 광이 상부데코바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이에 의해 무드등의 기능을 할 수 있어, 디자인적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디스플레이장치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과 B-B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발광부재에 의한 발광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패널(110)과, 디스플레이패널(110)의 배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일체형백커버(140)와, 일체형백커버(140)의 내측 외주연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패널(110)을 지지하는 패드(120)와, 일체형백커버(140)의 배면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패널(110)을 통해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PCB플레이트(130)와, 일체형백커버(140)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구비되는 하부데코바(160) 및 상부데코바(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일체형백커버(140)가 디스플레이패널(110)의 배면을 감싸게 배치되는 배면플레이트(143)와, 디스플레이패널(110)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프레임(141)과, 배면플레이트(143)와 관로(144)에 의해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플레이트(145)가 압출에 의해 일체로 제조된다.
여기서, 배면플레이트(143)는 종래 디스플레이장치의 백커버에 대응되며, 측면프레임(141)은 종래 디스플레이장치의 미들커버에 대응되며, 상부플레이트(145)는 종래 디스플레이장치의 이너플레이트에 대응된다. 즉, 종래 디스플레이장치에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백커버, 미들커버 및 이너플레이트가 본 발명에서는 일체형백커버 하나로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전체 구성부품이 간소화되고, 이들의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디스플레이패널(110)은 액정 디스플레이패널이거나,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 하부 기판에 부착된 하부 편광판, 및 상부 기판의 전면에 부착된 상부 편광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 기판 및 상부 기판의 구체적인 구성은 액정 패널의 구동모드, 예를 들어, TN(Twisted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및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에 따라,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전원(VDD)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된 복수의 발광 셀을 포함하는 하부 기판 및 하부 기판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발광 셀 각각은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전원(VDD) 라인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트랜지스터 및 구동 트랜지스터의 스위칭에 따라 제어되는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소자(예로서, OLE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기판은 수분 또는 대기 중의 산소로부터 발광 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흡습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부 기판에는 구동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발광 소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하부기판의 발광 소자는 생략될 수도 있다.
패드(120)는 일체형백커버(140)의 내측 테두리영역, 즉 상부플레이트(145)의 내측 테두리영역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패널(110)을 지지한다. 도 4의 (a)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120)는 디스플레이패널(110)을 일체형백커버(140)의 상부에 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패드(120)는 일체형백커버(140)와 디스플레이패널(110) 사이의 간격에 맞게 높이가 구비될 수 있다.
PCB플레이트(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백커버(140)의 배면에 결합된다. PCB플레이트(130)는 디스플레이패널(110)의 화상 구동용 회로 고정 및 제품의 강도 보강 기능을 수행한다.
일체형백커버(140)는 디스플레이패널(110)의 측면과 배면을 감싼다. 일체형백커버(140)는 디스플레이패널(110)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프레임(141)과, 디스플레이패널(110)의 배면을 커버하는 배면플레이트(143)와, 배면플레이트(143)와 일체로 형성되며 디스플레이패널(110)와 배면플레이트(143)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플레이트(145)와, 배면플레이트(143)와 상부플레이트(145)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관로(144)와, 측면프레임(141)과 상부플레이트(145) 사이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패널(110)가 안착되는 안착면(147)을 포함한다.
여기서, 측면프레임(141)과 배면플레이트(143), 복수개의 관로(144) 및 안착면(147)은 금속소재로 압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측면프레임(141)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패널(110)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측면프레임(141)은 디스플레이패널(110)의 측면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면이 디스플레이패널(110)과 동일 높이로 일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외부로 드러나는 상면에는 헤어라인(미도시)이 형성되어 디자인적인 요소를 부가할 수 있다.
이 때, 측면프레임(141)과 디스플레이패널(110)의 측면 사이에 이격간격이 존재하는 경우, 이격간격을 통해 수분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 씰링접착부재(미도시)나 접착패드(미도시)를 배치할 수 있다.
배면플레이트(143)는 디스플레이패널(110)의 외부를 감싸 디스플레이패널(110)을 보호하고, 디스플레이패널(110)의 위치를 잡아준다.
상부플레이트(145)는 배면플레이트(143)와 관로(144)를 중심으로 상부에 위치된다. 상부플레이트(145)와 배면플레이트(143)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관로(144)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부플레이트(145)와 배면플레이트(143)는 금속소재로 형성되므로, 디스플레이패널(11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관로(144)는 상부플레이트(145)와 배면플레이트(143) 사이에 구비되어 일체형백커버(14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관로(144)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백커버(140)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관로(144)는 일체형백커버(140)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관로(144)의 단면형상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 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관로(144)의 형성에 의해 일체형백커버(140)는 단면계수가 커지게 되고, 강도가 증가하게 된다.
안착면(147)은 상부플레이트(145)와 측면프레임(141)의 경계영역에 단차지게 구비되어 디스플레이패널(110)의 단부가 안착된다. 안착면(147)은 상부플레이트(145) 보다 높은 높이를 갖게 형성되고, 일정 면적을 갖게 형성된다. 안착면(147)의 상부에는 패드(120)가 배치되고, 패드(120)의 상부에 디스플레이패널(110)의 단부가 안착된다.
발광부(150)는 일체형백커버(140)의 하부에 구비되어 관로(144)를 따라 발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무드등 기능을 추가하게 된다. 발광부(150)는 도 4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관로에 삽입 배치되는 발광부재(151)와, 발광부재(151)가 실장되는 기판(153)을 포함한다. 발광부재(151)는 다양한 색상의 LED로 구비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전구나 광섬유로 구비될 수 있다.
관로(144)의 일단에 발광부재(151)가 삽입되고, 발광부재(151)가 발광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L)이 관로(144)를 따라 직선이동되어 일체형백커버(140)의 상부까지 도달하게 된다.
기판(153)은 발광부재(151)와 함께 관로(144) 내부에 삽입되거나, 발광부재(151)만 관로(144)에 삽입되고 기판(153)은 일체형백커버(14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153)은 일체형백커버(140)에 제1접착부재(155)를 이용해 고정될 수 있다.
하부데코바(160)와 상부데코바(1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백커버(140)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결합된다. 일체형백커버(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관로(144)가 형성된다. 관로(144)가 개방되어 있으면 관로(144)를 통해 이물질 및 수분이 유입될 수 있다.
하부데코바(160)와 상부데코바(170)는 개방된 관로를 폐쇄하고, 디자인적인 요소를 부가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데코바(160)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144)를 향해 돌출된 복수개의 삽입돌기(161)를 갖는다. 삽입돌기(161)가 관로(144) 내부에 삽입되고, 삽입돌기(161)의 상하부에 제2접착부재(162)가 배치되어 일체형백커버(140)에 고정결합된다.
이때, 하부데코바(160)는 디스플레이패널(110)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부데코바(170)도 하부데코바(160)와 동일한 구조로 일체형백커버(140)의 상부에 고정결합된다. 이 때, 상부데코바(170)는 관로(144)를 통해 이동된 광을 상방향으로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한 광투과재질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재(151)에서 발생된 광(L)이 관로(144)를 따라 이동된 후, 상부데코바(170)를 통해 외부로 조사된다. 이러한 상부데코바(170)의 광투과기능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상부에 조명이 켜지는 무드등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무드등 기능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단순히 영상을 보는 장치가 아니라 실내의 인테리어를 담당하는 용품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조립과정과 사용과정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조립을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패널(110)의 배면에 일체형백커버(140)를 배치하고, 일체형백커버(140)의 내측 테두리영역에 패드(120)를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패널(110)을 일체형백커버(140)에 부착한다.
그리고, 일체형백커버(140)의 관로(144)에 발광부(150)를 결합시키고, 일체형백커버(140)의 상부와 하부에 하부데코바(160)와 상부데코바(170)를 결합시켜 조립을 완료한다.
이렇게 조립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종래 백커버, 미들캐비넷, 이너플레이트가 하나의 일체형백커버로 구현되므로, 조립과정이 간편하고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일체형백커버(140)의 내부에 복수개의 관로(144)가 형성되므로, 재료비를 절감함과 동시에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관로(144) 내부에 발광부재(151)가 배치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144)를 따라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광(L)이 이동되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데코바(17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무드등의 기능을 할 수 있어, 디자인적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디스플레이패널
120 : 패드 130 : PCB 플레이트
140 : 일체형백커버 141 : 측면프레임
143 : 배면플레이트 144 : 관로
145 : 상부플레이트 147 : 안착면
150 : 발광부 151 : 발광부재
153 : 기판 155 : 제1접착부재
160 : 하부데코바 161 : 삽입돌기
162 : 제2접착부재 170 : 상부데코바
L : 광

Claims (8)

  1. 디스플레이패널(110)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10)의 측면을 감싸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10)의 배면에 결합되는 일체형백커버(140)를 포함하되,
    상기 일체형백커버(140)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10)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프레임(141)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10)의 배면에 배치되는 배면플레이트(143)와;
    상기 배면플레이트(143)와 관로(144)를 사이에 두고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10)을 향해 이격배치되는 상부플레이트(145)와;
    상기 측면프레임(141)과 상기 배면플레이트(143)와 및 상부플레이트(145)는 압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144)는 상기 배면플레이트(143)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을 향해 직선형태로 상기 배면플레이트(143)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백커버(140)의 하부측 관로(144)에 결합되어 상방향을 향해 발광하는 복수개의 발광부재(15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백커버(140)의 하부에 결합되어 하부측 관로(144)를 차폐하는 하부데코바(160)와, 상기 일체형백커버(14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부측 관로(144)를 차폐하는 상부데코바(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144)의 단면형상은 원형, 타원,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데코바(170)는 상기 발광부재(151)에 의해 발생되어 상기 관로(144)를 따라 이동된 광을 외부로 투과시키도록 광투과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데코바(160)와 상기 상부데코바(170)은 각각 상기 관로(144)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삽입돌기(161)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돌기(161)가 상기 관로(144)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데코바(160)와 상기 상부데코바(170)는 상기 일체형백커버(14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백커버(140)는 상기 측면프레임(141)과 상기 상부플레이트(145)의 경계영역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10)이 안착되는 안착면(14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190053602A 2019-05-08 2019-05-08 디스플레이장치 KR20200130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602A KR20200130533A (ko) 2019-05-08 2019-05-08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602A KR20200130533A (ko) 2019-05-08 2019-05-08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533A true KR20200130533A (ko) 2020-11-19

Family

ID=73678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602A KR20200130533A (ko) 2019-05-08 2019-05-08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053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5597A (ko) 2015-07-29 2017-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36052A (ko) 2016-05-30 2017-1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5597A (ko) 2015-07-29 2017-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36052A (ko) 2016-05-30 2017-1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9703B2 (ja) 表示装置
JP5396244B2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JP5694383B2 (ja) 表示装置
US10409108B2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KR102347477B1 (ko) 표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세트 전자 장치
WO2014196228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9606287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WO2013051473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8956033B2 (en)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module
JP5519758B2 (ja) 液晶表示装置
US10330966B2 (en) Display device
KR10218300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4090473B2 (ja) 光拡散装置を具えた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
US9493111B2 (en) Lamp unit
KR20140011104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83435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075264B2 (en) Display device
US20150346541A1 (en) Display device
KR20160136114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394064B2 (en) Display apparatus
KR20200130533A (ko) 디스플레이장치
CN115167033A (zh) 背光模组、显示装置及拼接显示装置
US10317729B2 (en) Display device
KR102253797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US20120327312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