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3435A - 도전성 직조물,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도전성 직조물,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3435A
KR20110083435A KR1020100004164A KR20100004164A KR20110083435A KR 20110083435 A KR20110083435 A KR 20110083435A KR 1020100004164 A KR1020100004164 A KR 1020100004164A KR 20100004164 A KR20100004164 A KR 20100004164A KR 20110083435 A KR20110083435 A KR 20110083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weaving
weft
warp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5817B1 (ko
Inventor
전병옥
김윤영
Original Assignee
실버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버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실버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4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817B1/ko
Priority to EP11733073.8A priority patent/EP2524983A4/en
Priority to JP2012548886A priority patent/JP5711267B2/ja
Priority to EP14159665.0A priority patent/EP2743386B1/en
Priority to PCT/KR2011/000232 priority patent/WO2011087286A2/ko
Priority to CN201180006133.4A priority patent/CN102713037B/zh
Priority to US13/521,025 priority patent/US20130102217A1/en
Publication of KR20110083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817B1/ko
Priority to US15/586,688 priority patent/US1038548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3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antistatic; electrically conductiv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88Fabrics having an electronic functi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5Met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multicomponent, e.g. blend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03D27/02Woven pile fabrics wherein the pile is formed by warp or weft
    • D03D27/06Warp p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20Metallic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8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electronic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008Woven fabric has an elastic qua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065Including strand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3073Strand material is core-spun [not sheath-core bicomponent stra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79Woven fabric is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ther than fabric in which the strand denier or warp/weft pick count is specif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79Woven fabric is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ther than fabric in which the strand denier or warp/weft pick count is specified
    • Y10T442/3195Three-dimensional weave [e.g., x-y-z planes, multi-planar warps and/or wefts,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전성 직조물,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조물에 함께 직조되는 도전선의 일 부분이 선택적으로 직조물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도전선의 결선, 각종 소자나 모듈의 접속 등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함으로써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도전성 직조물,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도전성 직조물은, 도전성 직조물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 가닥의 경사; 상기 경사에 엮여지는 다수 가닥의 위사; 및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 직조되는 적어도 한 가닥의 도전선을 포함하여 면상으로 직조, 구성되되, 상기 도전선이 상기 경사 및/또는 위사에 엮여져 상기 도전성 직조물에 일체로 구속되는 도전선 직조구간과, 상기 도전선이 상기 경사 및/또는 위사에 엮여지지 않고 상기 도전성 직조물의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노출되는 도전선 노출구간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도전선이 경사 및/또는 위사에 엮여져 도전성 직조물에 일체로 구속되는 도전선 직조구간과, 도전선이 경사 및/또는 위사에 엮여지지 않고 도전성 직조물의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노출되는 도전선 노출구간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도전선의 결선, 각종 소자나 모듈의 접속 등을 위한 부위에 도전선 노출구간을 형성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결선이 접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도전성 직조물을 이용한 물품의 제조, 유지보수, 사용시에 작업성과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도전성 직조물,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ELECTRIC CONDUCTION WOVEN-STUFF,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도전성 직조물,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조물에 함께 직조되는 도전선의 일부분이 선택적으로 직조물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도전선의 결선, 각종 소자나 모듈의 접속 등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함으로써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전성 직조물,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커버, 커튼, 의복 등의 제조에 이용되는 편물이나 직물과 같은 천(이하 직조물이라 통칭한다)은 천연 섬유사나 인조 섬유사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그 종류가 다양하고, 사용목적에 따라 보온성, 흡수성, 신축성, 등 나름대로 고유의 성질과 특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산업사회가 고도화되고, 첨단화되면서 현대인들은 종래와 같이 추위를 막을 수 있는 보온성과, 충분한 활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신축성, 및 땀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성에 더하여 새로운 기능을 갖는 직조물을 요구하고 있다.
예컨대, 전류의 통전이 가능하여 각종 전자기기를 설치하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스스로 발열작용을 수행하거나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직조물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직조물은 가볍고 두께가 얇으면서도 계절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침대, 지능형 의류, 등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섬유분야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요구를 만족하고, 미래의 섬유분야를 선도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과 연구개발 활동을 수행하고 있고, 그 대표적인 연구 성과로서 탄소섬유사를 엮어서 구성한 면상발열체가 개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탄소섬유사에 의해 직조된 면상발열체는 전원의 공급시에 발열작용을 수행하므로 온열작용을 필요로 하는 물품에 적용할 수는 있지만, 탄소섬유사의 특성상 신축성이 전혀 없으므로 쿠션작용이 요구되는 침대용 소재나, 신축성과 활동성을 필요로 하는 의복 등에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사용중에 계속적인 마찰력이 작용할 경우 탄소섬유사의 미세한 조직들이 풀어져 손상되거나 미세한 전기 스파크가 발생되므로 충분한 내구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었다.
그리고, 웨어러블 컴퓨터, MP3 등과 같은 전자기기를 구비한 스마트 의류의 경우에는 의복 내부에 조작버튼, 전원부, 각종 전자소자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전기신호의 전달을 위한 도전선을 필요로 하지만 탄소섬유사에 의해 제조된 면상발열체는 이러한 기능을 전혀 수행할 수 없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대안으로 동선과 같은 도전선을 의복에 별도로 꿰매는 방법이 제시될 수 있지만, 동선은 전혀 신축성을 갖고 있지 않으므로 의복으로서의 활동성과 착용감이 불량하고, 세탁시에 의복의 내부에 설치된 도전선과 조작버튼 등을 제거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한 단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8-0050545호(발명의 명칭:도전성 패드 및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8-0128928호(발명의 명칭:도전성 패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9-0043932호(발명의 명칭:도전성 패드 및 그 제조장치) 등을 출원하게 되었다.
이에 따르면, 도전선을 직조방식에 의해 신축성을 갖는 직조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도전선을 꿰매지 않고 발열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전기의 통전, 전기신호의 전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침대나 의복 등을 구현할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도전성 직조물은 전원공급부와의 접속이나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 직조물 내에 섬유사와 함께 직조된 도전선을 서로 결선하는 작업, 각종 소자나 모듈을 접속하는 작업 등이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즉, 도전성 직조물을 구성하는 섬유사 중에 포함된 도전선을 일일이 찾아내 서로 연결하여야 하므로 도전선을 찾아내는 작업이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성과 생산성이 저하되고, 도전선을 찾아내는 과정에서 주변의 섬유사들이 손상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한 것으로, 직조물에 함께 직조되는 도전선의 일부분이 선택적으로 직조물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도전선의 결선, 각종 소자나 모듈의 접속 등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함으로써 작업성과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 도전성 직조물,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전성 직조물은, 도전성 직조물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 가닥의 경사; 상기 경사에 엮여지는 다수 가닥의 위사; 및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 직조되는 적어도 한 가닥의 도전선을 포함하여 면상으로 직조, 구성되되, 상기 도전선이 상기 경사 및/또는 위사에 엮여져 상기 도전성 직조물에 일체로 구속되는 도전선 직조구간과, 상기 도전선이 상기 경사 및/또는 위사에 엮여지지 않고 상기 도전성 직조물의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노출되는 도전선 노출구간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전선의 직조시에 함께 공급되어, 상기 도전선 직조구간에서 상기 도전선이 상기 경사 및/또는 위사에 구속되도록 엮여지고, 상기 도전선 노출구간에서 상기 경사 및/또는 위사에 엮여지되 상기 도전선이 상기 도전성 직조물에 구속되지 않도록 엮여지는 구속 및 해제용 위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사는, 상기 도전선을 기준으로 하여 내측으로 상기 경사와 엮여지는 제1 경사엮음용 위사; 상기 도전선을 기준으로 하여 외측으로 상기 경사와 엮여지되 상기 도전선의 배치 폭에 해당되는 폭의 범위로는 엮여지지 않는 공급제외공간이 형성되도록 엮여지는 제2 경사엮음용 위사; 및 상기 공급제외공간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상기 도전선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도록 상기 경사에 엮여지는 구속 및 해제용 위사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 및 해제용 위사는, 상기 도전선 직조구간에서 상기 도전선이 상기 경사와 제1 경사엮음용 위사에 함께 구속되도록 엮여지고, 상기 도전선 노출구간에서 상기 도전선이 상기 경사와 제1 경사엮음용 위사에 구속되지 않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엮여지도록 된다.
상기 경사는 상기 도전성 직조물이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도록 신축성 섬유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전선의 뒤틀림이 방지되도록 그 배치 경로를 따라 좌우측에 배치되게 직조되는 지지선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선은 경사 방향을 따라 일자형 구조 또는 파형 구조로 배치되도록 직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선은 복수 가닥의 절연된 도전사를 복수 가닥의 섬유사로 피복되게 엮어 하나의 묶음으로 형성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선은, 내부 중심에 배치되는 신축성 내선; 상기 내선에 감김되는 복수 가닥의 절연된 도전사; 및 상기 도전사의 외주면에 신축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외피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방법은, 다수 가닥의 경사를 길이방향을 따라 공급하는 경사 공급과정, 다수 가닥의 위사를 공급하는 위사 공급과정, 및 상기 경사에 상기 위사를 엮는 직조물 직조과정을 직기에 의해 수행하는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사의 공급방향으로 적어도 한 가닥 이상의 도전선을 공급하는 도전선 공급과정을 구비하고, 상기 직조물 직조과정은 상기 도전선을 함께 직조하는 도전선 직조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도전선 직조과정은 상기 도전선을 상기 경사에 엮여지게 하는 도전선 직조단계와, 상기 도전선 직조단계의 시행중에 상기 도전선이 공급되지만 상기 경사에 엮여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도전성 직조물의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노출되게 하는 도전선 노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사 공급과정은 상기 도전선을 상기 경사에 엮어 매는 용도의 구속 및 해제용 위사를 공급하는 구속 및 해제용 위사 공급과정은 포함하고, 상기 도전선 직조단계는 상기 구속 및 해제용 위사를 상기 경사에 엮어 매는 과정을 통해 상기 도전선이 상기 경사 및 위사에 함께 엮여져 구속되도록 하여 시행하고, 상기 도전선 노출단계는 상기 구속 및 해제용 위사를 상기 경사에 엮어 매는 과정을 시행하되, 상기 구속 및 해제용 위사가 상기 도전선에 엮여지지 않도록 하여 시행할 수 있다.
상기 위사 공급과정은, 상기 도전선을 기준으로 하여 내측으로 상기 경사와 엮여지는 제1 경사엮음용 위사를 공급하는 제1 위사공급과정; 상기 도전선을 기준으로 하여 외측으로 상기 경사와 엮여지는 제2 경사엮음용 위사를 공급하되 상기 도전선의 배치 폭에 해당되는 폭의 범위로는 상기 제2 경사엮음용 위사의 공급을 배제한 공급제외공간을 갖도록 하여 시행하는 제2 위사공급과정; 및 상기 공급제외공간과 대응하도록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도전선을 선택적으로 상기 경사에 엮어 매는 용도의 구속 및 해제용 위사를 공급하는 구속 및 해제용 위사 공급과정은 포함하고; 상기 도전선 직조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경사엮음용 위사와 상기 구속 및 해제용 위사를 동시에 상기 경사에 엮어 매는 과정을 시행하되, 상기 구속 및 해제용 위사에 의해 상기 도전선이 상기 경사와 제1 경사엮음용 위사에 함께 엮여져 구속되도록 하여 시행하고; 상기 도전선 노출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경사엮음용 위사를 상기 경사에 엮여지도록 하고, 상기 구속 및 해제용 위사를 경사에 엮되 상기 도전선이 상기 경사와 제1 경사엮음용 위사에 구속되지 않도록 하는 범위내에서 엮여지도록 하여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 공급과정에서 공급되는 경사는 상기 도전성 직조물이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도록 신축성 섬유사를 이용하여 시행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선 직조단계는 상기 도전선의 뒤틀림이 방지되도록 그 배치 경로를 따라 좌우측에 배치되게 지지선이 상기 도전선과 함께 공급, 직조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선 직조단계는, 상기 도전선이 경사 방향을 따라 일자형 구조 또는 파형 구조로 배치되도록 직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전선은, 복수 가닥의 절연된 도전사를 복수 가닥의 섬유사로 피복되게 엮어 하나의 묶음으로 형성한 것이거나, 신축성 내선과, 이 내선에 감김되는 복수 가닥의 절연된 도전사, 상기 도전사의 외주면에 감김되는 섬유사로 구성되어 신축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이용하여 시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장치는, 경사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다수 가닥의 경사를 길이방향을 따라 직조하는 경사 직조부; 위사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다수 가닥의 위사를 직조하는 위사 직조부; 도전선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적어도 한 가닥 이상의 도전선을 직조하는 도전선 직조부; 상기 경사 직조부측의 상기 경사를 당겨 상기 위사 직조부 및 상기 도전선 직조부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경사, 위사 및 도전선의 엮임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사 유도부; 및 상기 경사 직조부, 위사 직조부, 도전선 직조부, 및 경사 유도부를 작동시켜 상기 경사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상기 위사를 엮고, 상기 도전선을 상기 경사에 선택적으로 엮는 직조부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조부 구동장치는 상기 위사 직조부, 상기 도전선 직조부 등의 작동 영역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도전선이 상기 경사 및/또는 위사에 엮여져 상기 도전성 직조물에 일체로 구속되는 도전선 직조구간과, 상기 도전선이 상기 경사 및/또는 위사에 엮여지지 않고 상기 도전성 직조물의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노출되는 도전선 노출구간이 반복, 형성되게 직조할 수 있도록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 직조부는 프레임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지지대에 경사가 꿰어지는 다수의 경사바늘이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도전선 직조부는 상기 경사 직조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지지대에 도전선이 꿰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전선바늘이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위사 직조부는 상기 제2 지지대와 접하여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 지지대에 위사가 꿰어지는 다수의 위사바늘이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경사 유도부는 상기 제1 지지대와 마주보게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4 지지대에 상기 경사바늘에 꿰여진 경사를 걸어 당기는 다수의 당김바늘이 배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직조부 구동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대에 이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상기 제1 지지대를 상하방향으로 병진운동 시키고, 상기 제2 및 제3 지지대를 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병진운동 시키며, 상기 제4 지지대를 전후방향으로 병진운동 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사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복수 가닥의 위사를 이용하여 상기 도전선 직조구간에서 상기 도전선이 상기 경사 및/또는 위사에 구속되도록 엮고, 상기 도전선 노출구간에서 상기 경사 및/또는 위사에 엮되 상기 도전선이 상기 도전성 직조물에 구속되지 않도록 엮는 구속 및 해제용 직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직조부 구동장치는, 상기 제1 지지대를 상하로 요동시키는 제1 지지대 구동부; 상기 제4 지지대를 전후진 시키는 제4 지지대 구동부; 상기 제2 및 제3 지지대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지지대 승강구동부; 및 상기 제2 및 제3 지지대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횡방향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횡방향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제2 및 제3 지지대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도록 대응하는 수량으로 구성된 연결로드; 상기 각 연결로드와 접속되는 캠부재; 출력축에 상기 캠부재가 접속되어 상기 제2 및 제3 지지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캠부재의 회동 각도를 감지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속 및 해제용 직조부는, 상기 제2 지지대와 대향되는 상기 제3 지지대의 바깥쪽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5 지지대에 구속 및 해제용 위사가 꿰어지는 복수의 바늘이 상기 도전선의 배치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직조부 구동장치는 상기 제5 지지대를 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요동시키되, 상기 도전선 직조구간에서 상기 제5 지지대의 횡방향 병진운동 범위를 상기 구속 및 해제용 위사가 도전선에 엮여지는 범위로 작동시키고, 상기 도전선 노출구간에서 상기 제5 지지대의 횡방향 병진운동 범위를 상기 구속 및 해제용 위사가 상기 도전선에 엮여지지 않는 범위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장치는, 경사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다수 가닥의 경사를 길이방향을 따라 직조하는 경사 직조부; 상기 경사 직조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도전선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적어도 한 가닥 이상의 도전선을 경사방향을 따라 직조하는 도전선 직조부; 상기 도전선 직조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전성 직조물의 일측면을 형성하도록 위사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다수 가닥의 제1 경사엮음용 위사를 경사에 직조하는 제1 위사 직조부; 상기 도전선 직조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전성 직조물의 타측면을 형성하도록 위사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다수 가닥의 제2 경사엮음용 위사를 경사에 직조하는 제2 위사 직조부; 상기 경사 직조부측의 상기 경사를 당길 수 있도록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위사 직조부 및 상기 도전선 직조부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경사, 제1 및 제2 경사엮음용 위사 및 도전선의 엮임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사 유도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경사엮음용 위사가 상기 경사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엮여지고, 상기 도전선이 상기 경사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엮여지도록 상기 경사 직조부, 제1 및 제2 위사 직조부, 도전선 직조부, 및 경사 유도부를 작동시키는 직조부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조부 구동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위사 직조부, 상기 도전선 직조부 등의 작동 영역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도전선이 상기 경사 및/또는, 제1 및 제2 경사엮음용 위사에 엮여져 상기 도전성 직조물에 일체로 구속되는 도전선 직조구간과, 상기 도전선이 상기 경사 및/또는, 제1 및 제2 경사엮음용 위사에 엮여지지 않고 상기 도전성 직조물의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노출되는 도전선 노출구간을 반복, 형성되게 직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 직조부는 프레임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지지대에 경사가 꿰어지는 다수의 경사바늘이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도전선 직조부는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지지대에 도전선이 꿰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전선바늘이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 위사 직조부는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a 지지대에 제1 경사엮음용 위사가 꿰어지는 다수의 위사바늘이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2 위사직조부는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b 지지대에 제2 경사엮음용 위사가 꿰어지는 다수의 위사바늘이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경사 유도부는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4 지지대에 상기 경사바늘에 꿰여진 경사를 걸어 당기는 다수의 당김바늘이 배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직조부 구동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대에 이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상기 제1 지지대를 상하방향으로 병진운동 시키고, 상기 제2, 제3a, 제3b 지지대를 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병진운동 시키며, 상기 제4 지지대를 전후방향으로 병진운동 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위사 직조부는 상기 도전선바늘의 배치 폭에 해당되는 폭의 범위로는 상기 위사바늘이 배치되는 않은 바늘 미설치구간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위사 직조부에 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직조부 구동장치에 의해 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요동되는 제5 지지대에 상기 바늘 미설치구간과 대응되는 영역으로 도전사엮음용 바늘이 배치된 구속 및 해제용 직조부를 구비하고, 상기 직조부 구동장치는 상기 제5 지지대를 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요동시키되, 상기 도전선 직조구간에서 상기 제5 지지대의 횡방향 병진운동 범위를 상기 구속 및 해제용 위사가 도전선에 엮여지는 범위로 작동시키고, 상기 도전선 노출구간에서 상기 제5 지지대의 횡방향 병진운동 범위를 상기 구속 및 해제용 위사가 상기 도전선에 엮여지지 않는 범위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대는, 상기 도전선의 배치 경로를 따라 좌우측에 배치되게 직조되는 지지선이 꿰어지도록 상기 도전선바늘의 양측에 지지선바늘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직조부 구동장치는, 상기 제1 지지대를 상하로 요동시키는 제1 지지대 구동부; 상기 제4 지지대를 전후진 시키는 제4 지지대 구동부; 상기 제2, 제3a, 제3b, 제5 지지대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지지대 승강구동부; 및 상기 제2, 제3a, 제3b, 제5 지지대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횡방향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횡방향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제2, 제3a, 제5 지지대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도록 대응하는 수량으로 구성된 연결로드; 상기 각 연결로드와 접속되는 캠부재; 출력축에 상기 캠부재가 접속되어 상기 제2, 제3a, 제5 지지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캠부재의 회동 각도를 감지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의하면, 도전선이 경사 및/또는 위사에 엮여져 도전성 직조물에 일체로 구속되는 도전선 직조구간과, 도전선이 경사 및/또는 위사에 엮여지지 않고 도전성 직조물의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노출되는 도전선 노출구간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도전선의 결선, 각종 소자나 모듈의 접속 등을 위한 부위에 도전선 노출구간을 형성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결선이 접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도전성 직조물을 이용한 물품의 제조, 유지보수, 사용시에 작업성과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b 및 도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난 도면,
도1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1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1f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2b 내지 도2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을 설명하기 위해 요부를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구성도,
도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 제조장치의 변형예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 제조장치를 전체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난 도면,
도5b는 도5a의 F부 확대 사시도,
도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 제조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 제조장치의 변형예에 대한 요부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구성도,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 제조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1a 내지 도9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1a 내지 도9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첨부도면 도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b 및 도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난 도면으로, 도1b는 도전선 직조구간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1c는 도전선 노출구간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경사는 도전성 직조물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선사를 말하고, 위사는 경사에 엮여지는 선사를 의미한다.
도1a 내지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1)은 패브릭 형태의 면상체로 형성되되, 전류의 공급시에 발열작용을 수행하는 발열용 도전선, 전류의 통전을 위한 통전용 도전선, 및 전기신호의 전달이 가능한 신호전달용 도전선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직조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 가닥의 경사(11), 이 경사(11)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엮여지는 다수 가닥의 위사(12), 및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 직조되는 복수 가닥의 도전선(13)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1)은 도1a 및 도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전선(13)이 경사(11) 및/또는 위사(12)에 엮여져 도전성 직조물에 일체로 구속되는 도전선 직조구간(a)과, 도1a 및 도1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전선(13)이 경사 및/또는 위사에 엮여지지 않고 도전성 직조물의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노출되는 도전선 노출구간(b)이 반복 되도록 구성된 점에 특징을 갖는다.
경사(11)는 도전성 직조물(1)을 길이방향으로 신축되지 않도록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에 통상의 섬유사를 적용하고, 도전성 직조물(1)을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도록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판사 등과 같은 신축성 섬유사를 적용하여 구성한다.
위사(12)는 통상의 섬유사를 적용하되, 고강도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케브라사, 아라미드사 등의 고장력 섬유사를 적용하여 구성한다.
도전선(13)은 도1a의 확대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 가닥의 절연된 도전사(131)를 복수 가닥의 섬유사(132)로 피복되게 엮어 하나의 묶음으로 형성한 것을 적용하여 구성한다. 이때, 도전사(131)는 전류의 통전이 가능하다면 다양한 소재와 직경을 갖는 것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수십 내지 수백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직경을 갖는 스텐레스선, 티타늄선, 동선 등에 절연 피복층이 형성된 금속사(통상 에나멜선이라 한다) 중에서 선택하고, 그 외주면에 외피층으로서 다수 가닥의 섬유사(132)를 엮어 구성한다. 그리고, 도전선(13)을 구성하는 도전사(131)의 가닥 수는 도전성 직조물의 용도,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전사를 5 내지 20 가닥을 하나의 묶음으로 하여 구성한다.
또한, 도전선(13)은 경사 방향을 따라 일자형 구조 또는 파형 구조로 배치되도록 직조된다. 이때, 도전선(13)을 일자형 구조로 직조하는 경우에는 후술되는 제2 변형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전선이 신축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직조물은, 도전선의 배치 경로를 따라 지지선(15)이 직조, 구성되어 있다.
지지선(15)은 도전선(13)의 좌우측에 직조되어 경사 및 위사에 도전선을 구속하여 변형이 방지되도록 하는 작용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즉, 도전선(13)이 금속사로 구성된 경우 위사 및 경사로 공급되는 섬유사와의 유연성 차이로 도전성 직조물(1) 표면이나 배면으로 돌출되게 되는데, 이때 지지선(15)이 좌우측에서 위사 및 경사와 잡아주는 보강선으로서 기능을 수행하므로 도전선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선(15)은 복수 개의 섬유사를 꼬아서 위사 및 경사에 비하여 직경(데니아)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은,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 가닥의 경사(11), 이 경사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엮여지는 다수 가닥의 위사(12), 및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 직조되는 복수 가닥의 도전선(13)을 이용하여 도전선 직조구간(a)과 도전선 노출구간(b)을 갖는 면상체로 구성하되, 도전선(13)이 경사 방향을 따라 일자형 구조로 배치되게 직조되어 있다.
이때, 도전선(13)은, 도1e의 확대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부 중심에 배치되고 스판사와 같이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신축성 내선(133), 내선(133)에 감김되는 복수 가닥의 절연된 도전사(134), 및 도전사(134)의 외주면에 복수 가닥의 섬유사를 엮여 신축성을 갖도록 형성한 외피층(135)을 포함한다.
도1f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전선 직조구간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전선 노출구간의 단면을 생략하였다.
도1f를 참조하면, 도전성 직조물은 별도의 구속 및 해제용 위사(14)에 의해 도전선(13)이 경사(11) 및/또는 위사(12)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도록 하여 면상체 내에 도전선이 매입되는 도전선 직조구간(a)과 면상체 외부로 도전선이 노출되는 도전선 노출구간(b)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구속 및 해제용 위사(14)는 도전선(13)의 직조시에 함께 공급되어 도전선 직조구간(a)에서 도전선(13)이 경사 및/또는 위사에 구속되도록 엮여지고, 도전선 노출구간(b)에서 경사 및/또는 위사에 엮여지되 도전선(13)이 도전성 직조물(1)에 구속되지 않도록 엮여져 구성된다.
도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2b 내지 도2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을 설명하기 위해 요부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2b는 도전선 직조구간인 도2a의 C부의 일 부분을 나타낸 것이고, 도2c는 도전선 노출구간인 도2a의 D부의 일 부분을 나타낸 것이고, 도2d는 도전선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인 도2a의 E부를 나타낸 도면으로, 제1 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도전선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경사 방향을 따라 일자형 구조 또는 파형 구조로 배치되도록 직조될 수 있지만, 파형 구조로 배치된 것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2a 내지 도2c, 도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1')은,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 가닥의 경사(11), 이 경사(11)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엮여지는 다수 가닥의 위사(12), 및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 직조되는 복수 가닥의 도전선(13)을 구비하되, 위사(12)는 도전선(13)을 기준으로 하여 내측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경사와 엮여지는 제1 경사엮음용 위사(12a), 도전선(13)을 기준으로 하여 외측으로 경사(11)와 엮여지되 도전선(13)의 배치 폭에 해당되는 폭의 범위로는 엮여지지 않는 공급제외공간이 형성되도록 엮여지는 제2 경사엮음용 위사(12b), 및 공급제외공간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도전선(13)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도록 경사에 엮여지는 구속 및 해제용 위사(14)를 포함한다.
구속 및 해제용 위사(14)는, 도전선 직조구간(a)에서 도전선이 경사(11)와 제1 경사엮음용 위사(12a)에 함께 구속되도록 엮여지고, 도전선 노출구간(b)에서 도전선(13)이 경사(11)와 제1 경사엮음용 위사(12a)에 구속되지 않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엮여져 구성된다.
그리고, 도전선(13)은 파형 구조로 배치되게 직조되고, 이 도전선(13)의 배치 경로를 따라 그 양쪽에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도전선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선(15)이 직조, 구성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구성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방법은 직기에 의해 도1a에 도시된 형태의 도전성 직조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 가닥의 경사를 길이방향을 따라 공급하는 경사 공급과정(S1), 다수 가닥의 위사를 공급하는 위사 공급과정(S2), 위사의 공급방향으로 도전선을 공급하는 도전선 공급과정(S3), 및 경사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위사를 엮는 직조물 직조과정(S4)을 구비하고, 직조물 직조과정(S4)은 도전선(13)을 함께 직조하는 도전선 직조과정(S41)을 포함하고 있다.
도전선 직조과정(S4)은, 경사(11)와 위사(12)를 서로 엮되, 도전선(13)을 경사(11) 및/또는 위사(12)에 엮여지게 하는 도전선 직조단계(S411)와, 도전선 직조단계(S411)의 시행중에 도전선(13)이 공급되지만 경사(11) 및/또는 위사(12)에 엮여지지 않도록 하여 도전선(13)이 도전성 직조물의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노출되게 하는 도전선 노출단계(S412)를 구비한 점에 특징을 갖는다.
경사 공급과정(S1)과 위사 공급과정(S2)은 일반적인 섬유 직조물의 직조과정에서와 마찬가지로 릴에 섬유사를 각각 감아 준비하고 경사는 직기의 경사 직조부로 공급하고, 위사는 직기의 위사 직조부로 공급한다.
도전선 직조단계(S411)는 도1a에 도시된 형태의 도전성 직조물을 직조하는 경우에는 위사(12)를 경사(11)에 엮어 매는 과정에서 도전선(13)이 경사(11) 및 위사(12)에 함께 엮여져 구속되도록 하여 시행한다.
그리고, 도전선 노출단계(S412)는 위사(12)를 경사(11)에 엮어 매는 과정을 시행하되, 위사(14)가 도전선(13)에 엮여지지 않도록 하여 시행한다.
한편, 도1f에 도시된 형태의 도전성 직조물을 직조하는 경우에는 도전선(13)이 위사(12)에 의해 구속되는 것이 아니라, 도전선(13)을 경사(11) 및/또는 위사(12)에 엮어 매는 용도의 구속 및 해제용 위사(14)를 공급하는 별도의 구속 및 해제용 위사 공급과정(S5)을 구비하여 도전선 직조과정(S41)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전선 직조단계(S411)는 구속 및 해제용 위사(14)를 경사(11) 및/또는 위사(12)에 엮어 매는 과정을 통해 도전선(13)이 도전성 직조물에 엮여져 구속되도록 하여 시행한다. 그리고, 도전선 직조단계(S411)는, 도전선(13)이 경사 방향을 따라 일자형 구조 또는 파형 구조로 배치되도록 직조한다.
그리고, 도전선 노출단계(S412)는 구속 및 해제용 위사(14)를 경사(11)에 엮어 매는 과정을 시행하되, 구속 및 해제용 위사(14)가 도전선(13)에 엮여지지 않도록 하여 시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 제조방법은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도전성 직조물 제조장치에 의해 시행할 수 있다.
도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 제조장치의 변형예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 제조장치를 전체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난 도면, 도5b는 도5a의 F부 확대 사시도, 도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 제조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 제조장치의 변형예에 대한 요부 사시도로서, 도6a 및 도6b는 경사 직조부(310), 위사 직조부(320), 도전선 직조부(330), 경사 유도부(34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a, 도5a, 도5b, 및 도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 제조장치는, 경사(11), 위사(12), 및 도전선(13)을 공급하기 위한 경사공급부(210), 위사공급부(220), 및 도전선공급부(230)와, 직조과정을 수행하도록 프레임(300)상에 구성되는 경사 직조부(310), 위사 직조부(320), 도전선 직조부(330), 경사 유도부(340), 및 직조부 구동장치(350)를 구비한다.
경사공급부(210), 위사공급부(220), 및 도전선공급부(230)는 도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사(11), 위사(12), 및 도전선(13)이 감겨져 보관되는 릴로서, 도전성 직조물의 직조에 요구되는 경사, 위사, 및 도전선의 가닥 수량과 대응하는 수량으로 구성되어 릴설치대(200)에 설치된다. 이때, 릴은 경사, 위사, 및 도전선를 권취하기 위한 실패로서 중심 감김봉의 양측에 원형 이탈방지판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경사 직조부(310)는 도4a 및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공급부(210)로부터 공급되는 다수 가닥의 경사(11)를 길이방향을 따라 직조하는 구성으로, 프레임(300)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지지대(311)에 경사(11)가 꿰어지는 다수의 경사바늘(312)이 배치되어 설치된다.
도전선 직조부(330)는 도전선공급부(230)로부터 공급되는 적어도 한 가닥 이상의 도전선(13)을 직조하는 구성으로, 경사 직조부(310)의 상측에 배치되고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지지대(331)에 도전선이 꿰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전선바늘(332)이 배치되어 설치되고, 이 제2 지지대(331)의 상측에는 도전선(13)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도전선안내봉(333)이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위사 직조부(320)는 위사공급부(220)로부터 공급되는 다수 가닥의 위사(12)를 직조하는 구성으로, 제2 지지대(331)와 접하여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 지지대(321)에 위사(12)가 꿰어지는 다수의 위사바늘(322)이 배치되어 설치되고, 이 제3 지지대(321)의 상측에는 위사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위사안내봉(323)이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경사유도부(340)는 경사 직조부(310)측의 경사(11)를 당겨 위사 직조부(320) 및 도전선 직조부(330)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경사(11), 위사(12) 및 도전선(13)의 엮임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제1 지지대(311)와 마주보게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4 지지대(341)에 경사바늘(312)에 꿰여진 경사(11)를 걸어 당기는 다수의 당김바늘(342)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당김바늘(342)은 바늘대의 단부에 갈고리(코)가 형성된 구조로 형성되어 전진시에 경사바늘(312)측의 경사(11)를 걸어 매고 후진시에 경사를 당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직조부 구동장치(350)는 진행되는 경사(11)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위사(12)를 엮고, 도전선(13)을 경사(11)에 선택적으로 엮을 수 있도록 경사 직조부(310), 위사 직조부(320), 도전선 직조부(330), 및 경사 유도부(340)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경사 직조부(310), 위사 직조부(320), 도전선 직조부(330)의 작동 영역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도전선(13)이 경사(11) 및/또는 위사(12)에 엮여져 도전성 직조물(1)에 일체로 구속되는 도전선 직조구간(a)과, 도전선(13)이 경사 및/또는 위사에 엮여지지 않고 도전성 직조물(1)의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노출되는 도전선 노출구간(b)을 반복, 형성되게 직조한다.
그리고, 직조부 구동장치(350)는 제1 내지 제4 지지대(311,331,321,341)에 이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제1 지지대(311)를 상하방향으로 병진운동시키고, 제2 및 제3 지지대(331,321)를 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병진운동 시키며, 제4 지지대(341)를 전후방향으로 병진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직조부 구동장치(350)는 제1 지지대 구동부(351), 제4 지지대 구동부(352), 지지대 승강구동부(353), 및 횡방향 구동부(354)를 구비한다.
제1 지지대 구동부(351)는 제1 지지대(311)를 상하로 요동시키는 구성으로, 제4 지지대(341)의 전진동작에 따라 당김바늘(342)이 전진되면서 경사(11)를 용이하게 걸어 맬 수 있도록 제1 지지대(311)를 상승시켜 경사바늘(312)을 들어올리고, 제4 지지대(341)의 후진시에 제1 지지대(311)가 하강되면서 경사바늘(312)이 하방 이동되도록 하는 작동을 수행한다. 이 제1 지지대 구동부(351)는 제1 지지대(311)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제한 없이 다양한 기구적 메커니즘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지지대 구동부(351)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축상에 캠(미도시)을 설치하여 이 캠의 회전동작에 따라 제1 지지대(311)를 승강시키도록 구성하거나, 전기실린더(미도시) 또는 공압실린더(미도시)로 구성되어 로드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제1 지지대를 승강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제1 지지대 구동부(351)는 모터, 풀리, 타이밍벨트 등을 구비한 벨트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제4 지지대 구동부(352)는 제4 지지대(341)를 전후진 시키는 구성으로, 당김바늘(342)이 전진 및 후진될 수 있도록 제4 지지대(341)을 전후진 시킬 수 있다면, 캠을 구비한 모터, 전기실린더 및 공압실린더 등 널리 알려진 다양한 기구적 메커니즘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대 승강구동부(353)는 제2 및 제3 지지대(331,321)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00)의 양측에 설치되고 제2 및 제3 지지대(331,321)가 삽입되는 승강블록(353a), 이 승강블록(353a)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장치(353b)로 이루어진다. 이때, 승강구동장치(353b)는 전기실린더, 공압실린더, 캠을 구비한 모터, 벨트구동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횡방향 구동부(354)는,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및 제3 지지대(331,321)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프레임(300)의 일측에 제2 및 제3 지지대(331,321)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도록 대응하는 수량으로 구성된 연결로드(354a), 각 연결로드(354a)와 접속되는 캠부재(354b), 출력축에 캠부재(354b)가 접속되어 제2 및 제3 지지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354c), 캠부재(354b)의 회동 각도를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에 인가함으로써 모터(354c)의 구동을 제어하는 감지센서(354d)를 구비한다.
한편, 전술한 도1f에 도시된 형태의 도전성 직조물을 직조하기 위한 도전성 직조물 제조장치는 도4b 및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선(13)이 위사(12)에 의해 구속되는 것이 아니라, 도전선(13)을 경사(11) 및/또는 위사(12)에 엮어 매는 구속 및 해제용 위사(14)를 직조하기 위한 구속 및 해제용 직조부(360)가 더 구비되어야 한다.
구속 및 해제용 직조부(360)는 릴설치대(200)에 별도로 추가되는 위사공급부(240)로부터 공급되는 복수 가닥의 위사를 이용하여 도전선 직조구간(a)에서 도전선(13)이 경사(11) 및/또는 위사(12)에 구속되도록 엮고, 도전선 노출구간(b)에서 경사(11) 및/또는 위사(12)에 엮되 도전선(13)이 도전성 직조물(1)에 구속되지 않도록 엮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구속 및 해제용 직조부(360)는, 제2 지지대(331)와 대향되는 제3 지지대(321)의 바깥쪽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5 지지대(361)에 구속 및 해제용 위사(14)가 꿰어지는 복수의 구속 및 해제용 바늘(362)이 도전선(13)의 배치 영역에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직조부 구동장치(350)는 제5 지지대(361)를 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요동시키되, 도전선 직조구간(a)에서 제5 지지대(361)의 횡방향 병진운동 범위를 구속 및 해제용 위사(14)가 도전선(13)에 엮여지는 범위로 작동시키고, 도전선 노출구간(b)에서 제5 지지대(361)의 횡방향 병진운동 범위를 구속 및 해제용 위사(14)가 도전선(13)에 엮여지지 않는 범위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제2 및 제3 지지대(331,321)를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해 구성된 지지대 승강구동부(353)의 승강블록(353a)에 제5 지지대(361)가 삽입 설치되고, 제5 지지대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연결로드(354a), 캠부재(354b), 모터(354c), 및 감지센서(354d)로 구성된 횡방향 구동부(354) 유닛이 하나 더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5a의 미설명부호 301은 직조부 구동장치(350)의 구동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로서, 이 입력부(301)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직조부 구동장치(350)를 제어하여 경사 및 위사의 엮임 형태, 도전선의 횡방향 이동거리, 도전선이 파형구조로 엮여질 경우 도전선 굴곡부의 진폭, 굴곡횟수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구성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방법은 직기에 의해 도2a 내지 도2d에 도시된 형태의 도전성 직조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방법과 마찬가지로 경사 공급과정(S1), 위사 공급과정(S2), 도전선 공급과정(S3), 및 직조물 직조과정(S4)을 구비하고, 직조물 직조과정(S4)은 도전선을 함께 직조하는 도전선 직조과정(S41)을 포함하고 있다.
도전선 직조과정(S41)은, 도전선(13)을 경사(11)에 엮여지게 하는 도전선 직조단계(S411)와, 도전선 직조단계(S411)의 시행중에 도전선(13)이 공급되지만 경사(11)에 엮여지지 않도록 하여 도전성 직조물(1')의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노출되게 하는 도전선 노출단계(S412)를 구비한다.
위사 공급과정(S2)은 제1 위사공급과정(S21), 제2 위사공급과정(S22), 및 구속 및 해제용 위사 공급과정(S23)을 포함한다.
제1 위사공급과정(S21)은 도전선(13)을 기준으로 하여 내측으로 경사(11)와 엮여지는 제1 경사엮음용 위사(12a)를 공급하는 것으로, 도전선 직조과정(S41)의 시행 후에 도전성 직조물(1')의 내측면에 배열되는 위사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제2 위사공급과정(S22)은 도전선(13)을 기준으로 하여 외측으로 경사(11)와 엮여지는 제2 경사엮음용 위사(12b)를 공급하되 도전선(13)의 배치 폭에 해당되는 폭의 범위로는 제2 경사엮음용 위사의 공급을 배제한 공급제외공간을 갖도록 하여 시행한다.
구속 및 해제용 위사 공급과정(S23)은 제2 위사공급과정(S22)에서 형성된 공급제외공간과 대응하는 이격된 위치에서 도전선(13)을 선택적으로 경사(11)에 엮어 매는 용도의 구속 및 해제용 위사(12c)를 공급하는 과정이다.
도전선 직조단계(S411)는 제1 및 제2 경사엮음용 위사(12a,12b)와 구속 및 해제용 위사(12c)를 동시에 경사(11)에 엮어 매는 과정을 시행하되, 구속 및 해제용 위사(12c)에 의해 도전선(13)이 경사(11)와 제1 경사엮음용 위사(12a,12b)에 함께 엮여져 구속되도록 하여 시행한다. 그리고, 도전선 직조단계(S411)는 도전선(13)이 경사(11) 방향을 따라 일자형 구조로도 직조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전선(13)을 파형 구조로 배치되게 직조한다.
그리고, 도전선 노출단계(S412)는 제1 및 제2 경사엮음용 위사(12a,12b)를 경사(11)에 엮여지도록 하고, 구속 및 해제용 위사(12c)를 경사에 엮되 도전선이 경사와 제1 경사엮음용 위사에 구속되지 않도록 하는 범위내에서 엮여지도록 하는 것으로, 후술되는 제5 지지대(361)의 횡방향 이동범위를 작게 하여 구속 및 해제용 위사(12c)가 도전선(13)에 엮여지지 않고 경사(11)에만 엮여지도록 하여 시행하면, 도전선(13)은 도전성 직조물(1')의 외부로 노출되어 도전선 노출구간(b)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도전선 직조단계(S411)는 도전성 직조물(1')에 직조된 도전선(1)의 돌출이나 뒤틀림이 방지되도록 그 배치 경로를 따라 좌우측에 배치되게 지지선(15)이 도전선(13)과 함께 공급, 직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후술되는 바와 같이 도전선(13)을 직조하는 도전선바늘(332)의 좌우측에 해당되는 제2 지지대(331)에 지지선바늘(334)을 설치하여 지지선(15)을 꿰여 공급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 제조방법은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도전성 직조물 제조장치에 의해 시행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 제조장치의 요부 사시도로서,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 제조장치의 전체 외관구조와 직조부 구동장치(350)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하였다. 그리고,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 제조장치와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5a, 도5b, 도8,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 제조장치는, 경사(11), 제1 및 제2 경사엮음용 위사(12a,12b), 구속 및 해제용 위사(12c), 및 도전선(13)을 공급하기 위한 경사공급부(210), 위사공급부(220), 및 도전선공급부(230)를 구비하고, 직조과정을 수행하도록 프레임(300)상에 구성되는 경사 직조부(310), 제1 위사 직조부(370), 제2 위사 직조부(380), 도전선 직조부(330), 경사 유도부(340), 및 직조부 구동장치(350)를 구비한다.
경사공급부(210), 위사공급부(220), 및 도전선공급부(23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경사, 위사, 및 도전선이 감겨져 보관되는 릴로 구성하되, 제2 실시예의 위사는 제1 및 제2 경사엮음용 위사(12a,12b), 구속 및 해제용 위사(12c)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각각 별도로 릴을 설치하여 구성한다.
경사 직조부(310)는 경사공급부(210)로부터 공급되는 다수 가닥의 경사를 길이방향을 따라 직조하는 구성으로 프레임(300)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지지대(311)에 경사(11)가 꿰어지는 다수의 경사바늘(312)이 설치되어 있다.
도전선 직조부(320)는 경사 직조부(310)의 상측에 배치되어 도전선공급부(230)로부터 공급되는 적어도 한 가닥 이상의 도전선(13)을 경사방향을 따라 직조하는 구성으로,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지지대(331)에 도전선(13)이 꿰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전선바늘(33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대(331)는 도전선(13)의 배치 경로를 따라 좌우측에 배치되게 지지선(15)을 직조할 수 있도록 도전선바늘(332)의 좌우측에 지지선(15)이 꿰여지는 지지선바늘(334)이 설치되는 바람직하다. 이때, 지지선바늘(334)은 지지선(15)의 이격거리에 맞도록 도전선바늘(332)과 일정한 이격 거리를 두고 설치한다.
경사 유도부(340)는 경사 직조부(310)측의 경사(11)를 당길 수 있도록 마주보게 배치되고, 제1 및 제2 위사 직조부(370,380) 및 도전선 직조부(310)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경사(11), 제1 및 제2 경사엮음용 위사(12a,12b) 및 도전선(13)의 엮임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4 지지대(341)에 경사바늘(312)에 꿰여진 경사(11)를 걸어 당기는 다수의 당김바늘(342)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위사 직조부(370)는 도전선 직조부(320)의 일측에 배치되어, 도전성 직조물(1')의 일측면을 형성하도록 위사공급부(220)로부터 공급되는 다수 가닥의 제1 경사엮음용 위사(12a)를 경사(11)에 직조하는 구성으로, 제2 지지대(331)의 내측에 접하여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a 지지대(371)에 제1 경사엮음용 위사(12a)가 꿰어지는 다수의 위사바늘(372)이 배치되어 설치되고, 이 제3a 지지대(371)의 상측에는 제1 경사엮음용 위사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위사안내봉(373)이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2 위사 직조부(380)는 도전선 직조부(320)의 타측에 배치되어, 도전성 직조물(1')의 타측면을 형성하도록 위사공급부(220)로부터 공급되는 다수 가닥의 제2 경사엮음용 위사(12b)를 경사(11)에 직조하는 구성으로, 제3a 지지대(371)와 마주보는 제2 지지대(331)의 외측에 접하여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b 지지대(381)에 제2 경사엮음용 위사(12b)가 꿰어지는 다수의 위사바늘(382)이 배치되어 설치되고, 이 제3b 지지대(371)의 상측에는 제2 경사엮음용 위사(12b)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위사안내봉(383)이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직조부 구동장치(350)는 제1 및 제2 경사엮음용 위사(12a,12b)가 경사(11)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엮여지고, 도전선(13)이 경사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엮여지도록 경사 직조부(310), 제1 및 제2 위사 직조부(370,380), 도전선 직조부(320), 및 경사 유도부(34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직조부 구동장치(350)는 제1 및 제2 위사 직조부(370,380), 도전선 직조부(320) 등의 작동 영역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도전선(13)이 경사(11) 및/또는 제1 및 제2 경사엮음용 위사(12a,12b)에 엮여져 도전성 직조물(1')에 일체로 구속되는 도전선 직조구간(a)과, 도전선이 경사 및/또는 제1 및 제2 경사엮음용 위사에 엮여지지 않고 도전성 직조물의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노출되는 도전선 노출구간(b)을 갖는 도전성 직조물을 직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점에 특징을 갖는다.
이를 위해, 직조부 구동장치(350)는 제1 지지대(311)를 상하방향으로 병진운동 시키고, 제2, 제3a, 제3b 지지대(331,371,381)를 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병진운동 시키며, 제4 지지대(341)를 전후방향으로 병진운동 시킬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4 지지대에 이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기구적으로 접속되는 제1 지지대 구동부(351), 제4 지지대 구동부(352), 지지대 승강구동부(353), 및 횡방향 구동부(354)를 구비한다. 그리고,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지만, 횡방향 구동부(354)에 제3b 지지대(381)를 구동시키기 위한 연결로드(354a), 캠부재(354b), 모터(354c), 및 감지센서(354d)가 더 구비되어 있다.
한편,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 제조장치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위사 직조부(380)를 도전선바늘(332)의 배치 폭에 해당되는 폭의 범위로 위사바늘(382)의 배치를 생략한 바늘 미설치구간(e)을 갖도록 구성하고, 이 바늘 미설치구간(e)과 대응되는 영역으로 구속 및 해제용 위사를 선택적으로 엮는 구속 및 해제용 직조부(360)를 구비한 점에 특징을 갖는다.
구속 및 해제용 직조부(360)는 제2 위사 직조부(380)에 접하여 배치되어 직조부 구동장치(350)에 의해 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요동되는 제5 지지대(361)에 바늘 미설치구간(e)과 대응되는 영역으로 도전사엮음용 바늘(363)이 배치, 설치된다.
제5 지지대(361)는 직조부 구동장치(350)의 작동에 따라 도전사엮음용 바늘(363)을 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요동시키면서 도전선 직조구간(a)과 도전선 노출구간(b)을 갖도록 직조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도2b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선 직조구간(a)에서 도전사엮음용 바늘(362)의 이동거리(제5 지지대의 횡방향 병진운동 범위)를 구속 및 해제용 위사(12c)를 도전선(13)에 엮여지는 범위로 작동시키고, 도2c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선 노출구간(b)에서는 도전사엮음용 바늘(362)의 이동거리(제5 지지대의 횡방향 병진운동 범위)를 구속 및 해제용 위사(12c)가 도전선(13)에 엮여지지 않는 범위로 작동시킨다.
한편,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도전성 직조물을 직조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입력부(301)를 통해 도전선(13)이 파형구조로 엮여지는 도전선 직조구간(a)과, 소정 간격 마다 도전선 노출구간(b)이 형성되도록 설정하고 직조부 구동장치(350)를 작동시키게 되면, 제1 지지대 구동부(351)의 작동으로 경사(11)가 상하로 이동되면서 당김바늘(342)측으로 공급되고, 제4 지지대 구동부(352)의 작동에 따라 전후진되는 제4 지지대(341)에 배치된 당김바늘(342)이 경사(11)를 당겨 루프(코)를 형성하며, 지지대 승강구동부(353) 및 횡방향 구동부(354)의 작동으로 제2, 제3a, 제3b, 및 제5 지지대(331,371,381,361)가 상하 및 횡방향으로 병진운동을 시행하면서 직조과정을 수행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지지대(311)의 상승동작시에 제4 지지대(341)가 전진되면서 당김바늘(342)이 전진되고, 제2, 제3a, 제3b, 및 제5 지지대(331,371,381,361)가 상승됨과 동시에 일측 횡방향측(횡방향 구동부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연이어 제1 지지대(311)의 하강동작과 제4 지지대(341)의 후진동작이 동시에 시행되면서 당김바늘(342)이 경사(11)를 당겨 루프를 형성하게 되며, 이때, 제2, 제3a, 제3b, 및 제5 지지대(331,371,381,361)는 저마다 설정된 이동거리만큼 일측 횡방향측(횡방향 구동부측) 이동을 계속하면서 점차적으로 하강되고, 제1 및 제2 경사엮음용 위사, 도전선, 및 구속 및 해제용 위사(12a,12b,13,12c)는 경사(11)와 엮여지게 된다.
연이어, 제1 지지대(311)가 상승되고 제4 지지대(341)가 전진되면서 당김바늘(342)이 전진되고, 제2, 제3a, 제3b, 및 제5 지지대(331,371,381,361)는 상승동작과 함께 반대로 타측 횡방향측(횡방향 구동부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계속해서 제1 지지대(311)의 하강동작이 시행되고 제4 지지대(341)의 후진동작이 시행되면서 당김바늘(342)이 경사(11)를 당겨 루프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제2, 제3a, 제3b, 및 제5 지지대(331,371,381,361)는 각각 설정된 이동거리만큼 타측 횡방향측(횡방향 구동부) 이동을 계속하면서 점차적으로 하강되고, 제1 및 제2 경사엮음용 위사(12a,12b), 도전선(13), 및 구속 및 해제용 위사(12c)는 다시 한번 더 경사(11)와 엮여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지지대(311)의 승강동작 및 제4 지지대(341)의 전후진 동작과 동시에 제2, 제3a, 제3b, 및 제5 지지대(331,371,381,361)의 승강과 함께 일측 및 타측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경사(11)의 양측에 제1 및 제2 경사엮음용 위사(12a,12b)가 배치되고 구속 및 해제용 위사(12c)의 내측에 해당하는 위치에 도전선(13)이 배치된 형태의 도전성 직조물(1')이 직조되어 하방으로 배출된다.
이때, 도전성 직조구간(a)에서는 제어부의 제어하에 제5 지지대(361)와 연결된 횡방향 구동부(354)의 모터(354c)의 회전 범위를 증가시켜 도전사엮음용 바늘(362)의 이동거리(제5 지지대(351)의 횡방향 병진운동 범위)를 구속 및 해제용 위사(12c)를 도전선(13)에 엮여지는 범위로 작동시킴으로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전성 직조물(1')의 도전선 직조구간(a)을 직조한다. 반대로, 도전선 노출구간(b)에서는 제어부의 제어하에 모터(354c)의 회전 범위를 감소시켜 도전사엮음용 바늘(362)의 이동거리(제5 지지대의 횡방향 병진운동 범위)를 구속 및 해제용 위사(12c)가 도전선(13)에 엮여지지 않는 범위로 작동시킴으로 도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전성 직조물(1')의 도전선 노출구간(b)을 직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직조물,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도전성 직조물
a:도전선 직조구간 b:도전선 노출구간
11:경사 12:위사
12a:제1 경사엮음용 위사 12b:제2 경사엮음용 위사
12c,14:구속 및 해제용 위사 13:도전선
15:지지선 200:릴설치대
210:경사공급부 220:위사공급부
230:도전선공급부 300:프레임
310:경사 직조부 320:위사 직조부
330:도전선 직조부 340:경사 유도부
350:직조부 구동장치 351:제1 지지대 구동부
352:제4 지지대 구동부 353:지지대 승강구동부
354:횡방향 구동부

Claims (29)

  1. 도전성 직조물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 가닥의 경사;
    상기 경사에 엮여지는 다수 가닥의 위사; 및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 직조되는 적어도 한 가닥의 도전선을 포함하여 면상으로 직조, 구성되되,
    상기 도전선이 상기 경사 및/또는 위사에 엮여져 상기 도전성 직조물에 일체로 구속되는 도전선 직조구간과, 상기 도전선이 상기 경사 및/또는 위사에 엮여지지 않고 상기 도전성 직조물의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노출되는 도전선 노출구간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선의 직조시에 함께 공급되어, 상기 도전선 직조구간에서 상기 도전선이 상기 경사 및/또는 위사에 구속되도록 엮여지고, 상기 도전선 노출구간에서 상기 경사 및/또는 위사에 엮여지되 상기 도전선이 상기 도전성 직조물에 구속되지 않도록 엮여지는 구속 및 해제용 위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는,
    상기 도전선을 기준으로 하여 내측으로 상기 경사와 엮여지는 제1 경사엮음용 위사;
    상기 도전선을 기준으로 하여 외측으로 상기 경사와 엮여지되 상기 도전선의 배치 폭에 해당되는 폭의 범위로는 엮여지지 않는 공급제외공간이 형성되도록 엮여지는 제2 경사엮음용 위사; 및
    상기 공급제외공간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상기 도전선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도록 상기 경사에 엮여지는 구속 및 해제용 위사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 및 해제용 위사는, 상기 도전선 직조구간에서 상기 도전선이 상기 경사와 제1 경사엮음용 위사에 함께 구속되도록 엮여지고, 상기 도전선 노출구간에서 상기 도전선이 상기 경사와 제1 경사엮음용 위사에 구속되지 않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는 상기 도전성 직조물이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도록 신축성 섬유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조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선의 뒤틀림이 방지되도록 그 배치 경로를 따라 좌우측에 배치되게 직조되는 지지선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조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선은 경사 방향을 따라 일자형 구조 또는 파형 구조로 배치되도록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선은 복수 가닥의 절연된 도전사를 복수 가닥의 섬유사로 피복되게 엮어 하나의 묶음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조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선은,
    내부 중심에 배치되는 신축성 내선;
    상기 내선에 감김되는 복수 가닥의 절연된 도전사; 및
    상기 도전사의 외주면에 신축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외피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조물.
  9. 다수 가닥의 경사를 길이방향을 따라 공급하는 경사 공급과정, 다수 가닥의 위사를 공급하는 위사 공급과정, 및 상기 경사에 상기 위사를 엮는 직조물 직조과정을 직기에 의해 수행하는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사의 공급방향으로 적어도 한 가닥 이상의 도전선을 공급하는 도전선 공급과정을 구비하고,
    상기 직조물 직조과정은 상기 도전선을 함께 직조하는 도전선 직조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도전선 직조과정은 상기 도전선을 상기 경사에 엮여지게 하는 도전선 직조단계와, 상기 도전선 직조단계의 시행중에 상기 도전선이 공급되지만 상기 경사에 엮여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도전성 직조물의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노출되게 하는 도전선 노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방법 .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 공급과정은 상기 도전선을 상기 경사에 엮어 매는 용도의 구속 및 해제용 위사를 공급하는 구속 및 해제용 위사 공급과정은 포함하고,
    상기 도전선 직조단계는 상기 구속 및 해제용 위사를 상기 경사에 엮어 매는 과정을 통해 상기 도전선이 상기 경사 및 위사에 함께 엮여져 구속되도록 하여 시행하고,
    상기 도전선 노출단계는 상기 구속 및 해제용 위사를 상기 경사에 엮어 매는 과정을 시행하되, 상기 구속 및 해제용 위사가 상기 도전선에 엮여지지 않도록 하여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 공급과정은, 상기 도전선을 기준으로 하여 내측으로 상기 경사와 엮여지는 제1 경사엮음용 위사를 공급하는 제1 위사공급과정; 상기 도전선을 기준으로 하여 외측으로 상기 경사와 엮여지는 제2 경사엮음용 위사를 공급하되 상기 도전선의 배치 폭에 해당되는 폭의 범위로는 상기 제2 경사엮음용 위사의 공급을 배제한 공급제외공간을 갖도록 하여 시행하는 제2 위사공급과정; 및 상기 공급제외공간과 대응하도록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도전선을 선택적으로 상기 경사에 엮어 매는 용도의 구속 및 해제용 위사를 공급하는 구속 및 해제용 위사 공급과정은 포함하고,
    상기 도전선 직조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경사엮음용 위사와 상기 구속 및 해제용 위사를 동시에 상기 경사에 엮어 매는 과정을 시행하되, 상기 구속 및 해제용 위사에 의해 상기 도전선이 상기 경사와 제1 경사엮음용 위사에 함께 엮여져 구속되도록 하여 시행하고,
    상기 도전선 노출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경사엮음용 위사를 상기 경사에 엮여지도록 하고, 상기 구속 및 해제용 위사를 경사에 엮되 상기 도전선이 상기 경사와 제1 경사엮음용 위사에 구속되지 않도록 하는 범위내에서 엮여지도록 하여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공급과정에서 공급되는 경사는 상기 도전성 직조물이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도록 신축성 섬유사를 이용하여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선 직조단계는 상기 도전선의 뒤틀림이 방지되도록 그 배치 경로를 따라 좌우측에 배치되게 지지선이 상기 도전선과 함께 공급,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방법.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선 직조단계는, 상기 도전선이 경사 방향을 따라 일자형 구조 또는 파형 구조로 배치되도록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선은,
    복수 가닥의 절연된 도전사를 복수 가닥의 섬유사로 피복되게 엮어 하나의 묶음으로 형성한 것이거나,
    신축성 내선과, 이 내선에 감김되는 복수 가닥의 절연된 도전사, 상기 도전사의 외주면에 감김되는 섬유사로 구성되어 신축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이용하여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방법.
  16.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경사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다수 가닥의 경사를 길이방향을 따라 직조하는 경사 직조부;
    위사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다수 가닥의 위사를 직조하는 위사 직조부;
    도전선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적어도 한 가닥 이상의 도전선을 직조하는 도전선 직조부;
    상기 경사 직조부측의 상기 경사를 당겨 상기 위사 직조부 및 상기 도전선 직조부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경사, 위사 및 도전선의 엮임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사 유도부; 및
    상기 경사 직조부, 위사 직조부, 도전선 직조부, 및 경사 유도부를 작동시켜 상기 경사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상기 위사를 엮고, 상기 도전선을 상기 경사에 선택적으로 엮는 직조부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부 구동장치는 상기 위사 직조부, 상기 도전선 직조부 등의 작동 영역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도전선이 상기 경사 및/또는 위사에 엮여져 상기 도전성 직조물에 일체로 구속되는 도전선 직조구간과, 상기 도전선이 상기 경사 및/또는 위사에 엮여지지 않고 상기 도전성 직조물의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노출되는 도전선 노출구간이 반복, 형성되게 직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직조부는 프레임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지지대에 경사가 꿰어지는 다수의 경사바늘이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도전선 직조부는 상기 경사 직조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지지대에 도전선이 꿰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전선바늘이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위사 직조부는 상기 제2 지지대와 접하여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 지지대에 위사가 꿰어지는 다수의 위사바늘이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경사 유도부는 상기 제1 지지대와 마주보게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4 지지대에 상기 경사바늘에 꿰여진 경사를 걸어 당기는 다수의 당김바늘이 배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직조부 구동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대에 이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상기 제1 지지대를 상하방향으로 병진운동 시키고, 상기 제2 및 제3 지지대를 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병진운동 시키며, 상기 제4 지지대를 전후방향으로 병진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복수 가닥의 위사를 이용하여 상기 도전선 직조구간에서 상기 도전선이 상기 경사 및/또는 위사에 구속되도록 엮고, 상기 도전선 노출구간에서 상기 경사 및/또는 위사에 엮되 상기 도전선이 상기 도전성 직조물에 구속되지 않도록 엮는 구속 및 해제용 직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장치.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부 구동장치는,
    상기 제1 지지대를 상하로 요동시키는 제1 지지대 구동부;
    상기 제4 지지대를 전후진 시키는 제4 지지대 구동부;
    상기 제2 및 제3 지지대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지지대 승강구동부; 및
    상기 제2 및 제3 지지대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횡방향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제2 및 제3 지지대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도록 대응하는 수량으로 구성된 연결로드;
    상기 각 연결로드와 접속되는 캠부재;
    출력축에 상기 캠부재가 접속되어 상기 제2 및 제3 지지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캠부재의 회동 각도를 감지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및 해제용 직조부는, 상기 제2 지지대와 대향되는 상기 제3 지지대의 바깥쪽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5 지지대에 구속 및 해제용 위사가 꿰어지는 복수의 바늘이 상기 도전선의 배치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직조부 구동장치는 상기 제5 지지대를 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요동시키되, 상기 도전선 직조구간에서 상기 제5 지지대의 횡방향 병진운동 범위를 상기 구속 및 해제용 위사가 도전선에 엮여지는 범위로 작동시키고, 상기 도전선 노출구간에서 상기 제5 지지대의 횡방향 병진운동 범위를 상기 구속 및 해제용 위사가 상기 도전선에 엮여지지 않는 범위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장치.
  23.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경사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다수 가닥의 경사를 길이방향을 따라 직조하는 경사 직조부;
    상기 경사 직조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도전선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적어도 한 가닥 이상의 도전선을 경사방향을 따라 직조하는 도전선 직조부;
    상기 도전선 직조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전성 직조물의 일측면을 형성하도록 위사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다수 가닥의 제1 경사엮음용 위사를 경사에 직조하는 제1 위사 직조부;
    상기 도전선 직조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전성 직조물의 타측면을 형성하도록 위사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다수 가닥의 제2 경사엮음용 위사를 경사에 직조하는 제2 위사 직조부;
    상기 경사 직조부측의 상기 경사를 당길 수 있도록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위사 직조부 및 상기 도전선 직조부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경사, 제1 및 제2 경사엮음용 위사 및 도전선의 엮임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사 유도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경사엮음용 위사가 상기 경사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엮여지고, 상기 도전선이 상기 경사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엮여지도록 상기 경사 직조부, 제1 및 제2 위사 직조부, 도전선 직조부, 및 경사 유도부를 작동시키는 직조부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부 구동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위사 직조부, 상기 도전선 직조부 등의 작동 영역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도전선이 상기 경사 및/또는, 제1 및 제2 경사엮음용 위사에 엮여져 상기 도전성 직조물에 일체로 구속되는 도전선 직조구간과, 상기 도전선이 상기 경사 및/또는, 제1 및 제2 경사엮음용 위사에 엮여지지 않고 상기 도전성 직조물의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노출되는 도전선 노출구간을 반복, 형성되게 직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직조부는 프레임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지지대에 경사가 꿰어지는 다수의 경사바늘이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도전선 직조부는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지지대에 도전선이 꿰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전선바늘이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 위사 직조부는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a 지지대에 제1 경사엮음용 위사가 꿰어지는 다수의 위사바늘이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2 위사 직조부는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b 지지대에 제2 경사엮음용 위사가 꿰어지는 다수의 위사바늘이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경사 유도부는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4 지지대에 상기 경사바늘에 꿰여진 경사를 걸어 당기는 다수의 당김바늘이 배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직조부 구동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대에 이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상기 제1 지지대를 상하방향으로 병진운동 시키고, 상기 제2, 제3a, 제3b 지지대를 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병진운동 시키며, 상기 제4 지지대를 전후방향으로 병진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사 직조부는 상기 도전선바늘의 배치 폭에 해당되는 폭의 범위로는 상기 위사바늘이 배치되는 않은 바늘 미설치구간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위사 직조부에 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직조부 구동장치에 의해 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요동되는 제5 지지대에 상기 바늘 미설치구간과 대응되는 영역으로 도전사엮음용 바늘이 배치된 구속 및 해제용 직조부를 구비하고,
    상기 직조부 구동장치는 상기 제5 지지대를 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요동시키되, 상기 도전선 직조구간에서 상기 제5 지지대의 횡방향 병진운동 범위를 상기 구속 및 해제용 위사가 도전선에 엮여지는 범위로 작동시키고, 상기 도전선 노출구간에서 상기 제5 지지대의 횡방향 병진운동 범위를 상기 구속 및 해제용 위사가 상기 도전선에 엮여지지 않는 범위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대는,
    상기 도전선의 배치 경로를 따라 좌우측에 배치되게 직조되는 지지선이 꿰어지도록 상기 도전선바늘의 양측에 지지선바늘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조물.
  28. 제2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부 구동장치는,
    상기 제1 지지대를 상하로 요동시키는 제1 지지대 구동부;
    상기 제4 지지대를 전후진 시키는 제4 지지대 구동부;
    상기 제2, 제3a, 제3b, 제5 지지대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지지대 승강구동부; 및
    상기 제2, 제3a, 제3b, 제5 지지대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횡방향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제2, 제3a, 제5 지지대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도록 대응하는 수량으로 구성된 연결로드;
    상기 각 연결로드와 접속되는 캠부재;
    출력축에 상기 캠부재가 접속되어 상기 제2, 제3a, 제5 지지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캠부재의 회동 각도를 감지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직조물의 제조장치.
KR1020100004164A 2010-01-14 2010-01-14 도전성 직조물,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325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164A KR101325817B1 (ko) 2010-01-14 2010-01-14 도전성 직조물,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EP11733073.8A EP2524983A4 (en) 2010-01-14 2011-01-13 CONDUCTIVE FIBERS AND METHOD AND DEVICE FOR THEIR PRODUCTION
JP2012548886A JP5711267B2 (ja) 2010-01-14 2011-01-13 導電性編物、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EP14159665.0A EP2743386B1 (en) 2010-01-14 2011-01-13 Conductive fabric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PCT/KR2011/000232 WO2011087286A2 (ko) 2010-01-14 2011-01-13 도전성 직조물,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201180006133.4A CN102713037B (zh) 2010-01-14 2011-01-13 导电织物及其制造方法和设备
US13/521,025 US20130102217A1 (en) 2010-01-14 2011-01-13 Electrically conductive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15/586,688 US10385487B2 (en) 2010-01-14 2017-05-04 Electrically conductive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164A KR101325817B1 (ko) 2010-01-14 2010-01-14 도전성 직조물,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435A true KR20110083435A (ko) 2011-07-20
KR101325817B1 KR101325817B1 (ko) 2013-11-05

Family

ID=44304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164A KR101325817B1 (ko) 2010-01-14 2010-01-14 도전성 직조물,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102217A1 (ko)
EP (2) EP2743386B1 (ko)
JP (1) JP5711267B2 (ko)
KR (1) KR101325817B1 (ko)
CN (1) CN102713037B (ko)
WO (1) WO201108728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104A (ko)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와이케이테크 발열 패브릭 직조를 위한 금속사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2259B2 (en) * 2012-04-09 2017-09-05 The Hong Kong Research Intitute Of Textiles And Apparel Limited Stretchable electrical interconnec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9277684B2 (en) * 2013-03-13 2016-03-01 Federal-Mogul Powertrain, Inc. Self-wrapping EMI shielding textile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JP6077933B2 (ja) * 2013-05-24 2017-02-08 旭化成株式会社 伸縮性を有する帯状伝送路
EP3013166B1 (en) 2013-06-26 2018-02-07 IMEC vzw Method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extile integrated conductive yarns
CN103361836A (zh) * 2013-08-07 2013-10-23 吴江市旭阳纺织有限公司 经纬编织环保面料
US9575560B2 (en) 2014-06-03 2017-02-21 Google Inc. Radar-based gesture-recognition through a wearable device
FR3022266B1 (fr) * 2014-06-16 2016-05-27 Tresse Ind Tissu pour blindage electromagnetique.
CN105297232A (zh) * 2014-07-22 2016-02-03 句容市润龙纺织品有限公司 一种远红外发热保暖纤维的制备方法
US9921660B2 (en) 2014-08-07 2018-03-20 Google Llc Radar-based gesture recognition
US9811164B2 (en) 2014-08-07 2017-11-07 Google Inc. Radar-based gesture sensing and data transmission
US9588625B2 (en) 2014-08-15 2017-03-07 Google Inc. Interactive textiles
US10268321B2 (en) 2014-08-15 2019-04-23 Google Llc Interactive textiles within hard objects
US11169988B2 (en) 2014-08-22 2021-11-09 Google Llc Radar recognition-aided search
US9778749B2 (en) 2014-08-22 2017-10-03 Google Inc. Occluded gesture recognition
US9600080B2 (en) 2014-10-02 2017-03-21 Google Inc. Non-line-of-sight radar-based gesture recognition
EP3231477B1 (en) * 2014-12-12 2021-03-24 Woo, Dae-Ki Wearable band for low-frequency therapy
US10016162B1 (en) 2015-03-23 2018-07-10 Google Llc In-ear health monitoring
US20160284436A1 (en) * 2015-03-26 2016-09-29 Google Inc. Conductive Thread for Interactive Textiles
US9983747B2 (en) 2015-03-26 2018-05-29 Google Llc Two-layer interactive textiles
US10310620B2 (en) 2015-04-30 2019-06-04 Google Llc Type-agnostic RF signal representations
KR102002112B1 (ko) 2015-04-30 2019-07-19 구글 엘엘씨 제스처 추적 및 인식을 위한 rf―기반 마이크로―모션 추적
EP3289434A1 (en) 2015-04-30 2018-03-07 Google LLC Wide-field radar-based gesture recognition
TWI652385B (zh) * 2015-05-12 2019-03-01 財團法人紡織產業綜合研究所 導電織物
US9693592B2 (en) * 2015-05-27 2017-07-04 Google Inc. Attaching electronic components to interactive textiles
US10088908B1 (en) 2015-05-27 2018-10-02 Google Llc Gesture detection and interactions
EP3314048A1 (en) 2015-06-29 2018-05-02 Apple Inc. Warp knit fabrics with variable path weft strands
US10817065B1 (en) 2015-10-06 2020-10-27 Google Llc Gesture recognition using multiple antenna
WO2017075703A1 (en) 2015-11-02 2017-05-11 Omsignal Inc. Biosensing garment
EP3371855A1 (en) * 2015-11-04 2018-09-12 Google LLC Connectors for connecting electronics embedded in garments to external devices
KR101847913B1 (ko) * 2016-03-21 2018-04-12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신호 전송용 섬유밴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웨어
CN105897149B (zh) * 2016-04-27 2018-11-20 天津工业大学 一种太阳能电池片用柔性电池盒
WO2017192167A1 (en) 2016-05-03 2017-11-09 Google Llc Connecting an electronic component to an interactive textile
US10145036B1 (en) * 2016-05-04 2018-12-04 Apple Inc. Items with conductive yarn
WO2017200570A1 (en) 2016-05-16 2017-11-23 Google Llc Interactive object with multiple electronics modules
US10905188B2 (en) * 2016-07-19 2021-02-02 Bradford C. Jamison Plexus of filaments with linked members
US10514772B1 (en) 2016-09-15 2019-12-24 Apple Inc. Keyboard with touch sensor illumination
US10635186B1 (en) * 2016-09-21 2020-04-28 Apple Inc. Devices having keyboards with fabric layers
JP6949320B2 (ja) * 2016-11-15 2021-10-13 株式会社Shindo 導電性ストレッチ連続状体
US10579150B2 (en) 2016-12-05 2020-03-03 Google Llc Concurrent detection of absolute distance and relative movement for sensing action gestures
GB2557648A (en) * 2016-12-14 2018-06-27 Polimer Kaucuk Sanayi Ve Pazarlama A S Hose for guiding a fluid
WO2018128584A1 (en) * 2017-01-04 2018-07-12 Mas Innovation (Private) Limited Conductive pathway
KR20180091615A (ko) 2017-02-06 2018-08-16 주식회사 코넥실 분사고정식 기능성선재가 구비된 면상체,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18206547A (ja) * 2017-06-01 2018-12-2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ワイヤーハーネス
KR102303393B1 (ko) * 2017-06-21 2021-09-17 에이씨에스 인더스트리즈, 인크. 개선된 전기적 연속성을 갖는 튜브형 올와이어 위편 메쉬 슬리브
JP2019148022A (ja) * 2018-02-26 2019-09-05 新日本無線株式会社 繊維構造体
CN108505182A (zh) * 2018-03-29 2018-09-07 宁晋县繁伟矿产品销售有限公司 一种高分子无线监测篷布及其制作工艺
CN112154401A (zh) * 2018-05-09 2020-12-29 苹果公司 具有织物的手指安装设备
TWI776036B (zh) * 2018-05-18 2022-09-01 良漢有限公司 導電織物及其製造方法
CN110864827B (zh) * 2018-08-27 2020-11-03 重庆大学 具有织物结构的摩擦纳米发电传感器阵列
KR20200075703A (ko) 2018-12-18 2020-06-26 김도경 태그, 태그 결속형 면상체 및 태그 결속장치
DE102019103934B3 (de) * 2019-02-15 2020-05-20 Müller Textil GmbH Abstandsgewirkeabschnitt, Verfahren zur Bildung einer Heizanlage aus einem Abstandsgewirkeabschnitt und beheizbares Interieurbauteil für ein Kraftfahrzeug
CN109722781B (zh) * 2019-03-08 2021-05-14 天津工业大学 一种基于纬编针织结构的电加热织物及其织造方法
US10983600B2 (en) * 2019-08-13 2021-04-20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fabric buttons
JP2023505667A (ja) * 2019-12-12 2023-02-10 ウィーヴスリーディ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伝達材料と一体化された交絡複合材料およびその作製方法
CN112663207A (zh) * 2020-10-15 2021-04-16 魏桥纺织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大提花面料的生产方法及该面料的应用
CN113174694B (zh) * 2021-05-06 2023-02-03 苏州市晟海泉清洁科技有限公司 一种导电尼龙加尼龙丝的混合编织方法
CN113985544A (zh) * 2021-09-29 2022-01-28 杭州富通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层绞光缆用金属编织物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358A (en) * 1910-02-01 1910-11-08 Leonard J Lewery Electrical heater and manner of manufacturing same in the form of textiles.
US1736590A (en) * 1927-05-09 1929-11-19 Walter D Graham Electrically-heated belt and the like
JPS4828070Y1 (ko) * 1969-08-14 1973-08-21
US4654748A (en) * 1985-11-04 1987-03-31 Coats & Clark, Inc. Conductive wrist band
FR2695003B1 (fr) * 1992-08-31 1994-10-28 Catherine Bellon Clôture électrique à réseau conducteur perfectionné.
US5795835A (en) * 1995-08-28 1998-08-18 The Tensar Corporation Bonded composite knitted structural textiles
US6276177B1 (en) * 1999-09-03 2001-08-21 Liberty Fabrics Knitted elastomeric fabric
US6341504B1 (en) * 2001-01-31 2002-01-29 Vivometrics, Inc. Composite elastic and wire fabric for physiological monitoring apparel
US7288494B2 (en) * 2001-07-27 2007-10-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o-magnetic wave shield cover
US7348285B2 (en) * 2002-06-28 2008-03-25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Fabric and yarn structures for improving signal integrity in fabric-based electrical circuits
JP3704332B2 (ja) * 2002-10-16 2005-10-12 株式会社ナーゲット 織物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04190194A (ja) * 2002-12-13 2004-07-08 Yoshio Imai 電磁波遮蔽編織用複合糸および電磁波遮蔽編織物
KR200321270Y1 (ko) * 2003-04-24 2003-07-31 강문수 도전성 직물
DE10342285B4 (de) * 2003-07-07 2005-08-11 Textilforschungsinstitut Thüringen-Vogtland e.V.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extilen Flächen sowie textile Flächengebilde mit Heizleitern
DE20320479U1 (de) * 2003-07-10 2004-11-04 Synteen & Lückenhaus Textil-Technologie GmbH Textiles Flächengebilde zur Stabilisierung eines Wandelements
US7038177B2 (en) * 2003-09-08 2006-05-02 Malden Mills Industries, Inc. Electric heating/warming fabric articles
CN1715473B (zh) * 2004-06-29 2011-06-08 上海利昂高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导电织物及其制造方法
US7191803B2 (en) * 2004-12-13 2007-03-20 Woven Electronics Corporation Elastic fabric with sinusoidally disposed wires
JP2008542565A (ja) * 2005-05-31 2008-11-2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パッシブ・マトリクス・アドレッシングおよび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アドレッシングを許容する完全に製織物状の電極レイアウト
WO2007071077A1 (de) * 2005-12-23 2007-06-28 Textilma Ag Nadelbandwebmaschine zur herstellung eines bandes, insbesondere eines etikettenbandes, mit einem eingewebten leiterfaden, insbesondere antennenfaden
DE102006036405B4 (de) * 2006-01-27 2012-01-26 W. Zimmermann Gmbh & Co. Kg Textiler Leiter
KR200434635Y1 (ko) * 2006-09-30 2006-12-22 이원형 전자파 차단용 원단
KR100915329B1 (ko) 2006-12-02 2009-09-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그래픽 프로세서의 범용 계산을 위한 성능 테스트 방법
FI20070313A0 (fi) * 2007-04-23 2007-04-23 Neule Apu Oy Valaistusjärjestely tekstiilirakenteen yhteydessä
KR100928063B1 (ko) 2007-10-30 2009-11-23 허용호 셀프 런칭 이동식 거푸집
JP5347022B2 (ja) * 2008-05-28 2013-11-20 シルバレイ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導電性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64092B1 (ko) * 2008-05-28 2010-06-16 실버레이 주식회사 도전성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588893B1 (ko) * 2009-07-24 2016-02-15 주식회사 광세로 도전성 직물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104A (ko)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와이케이테크 발열 패브릭 직조를 위한 금속사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7286A2 (ko) 2011-07-21
WO2011087286A3 (ko) 2011-12-29
CN102713037B (zh) 2015-01-21
US20130102217A1 (en) 2013-04-25
JP2013517389A (ja) 2013-05-16
EP2743386A1 (en) 2014-06-18
CN102713037A (zh) 2012-10-03
EP2524983A4 (en) 2013-09-18
JP5711267B2 (ja) 2015-04-30
EP2743386B1 (en) 2018-11-07
KR101325817B1 (ko) 2013-11-05
EP2524983A2 (en)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5817B1 (ko) 도전성 직조물,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US10385487B2 (en) Electrically conductive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TWI485300B (zh) 導電織物、織物電路及其製造方法
CN103097597B (zh) 用于制造带有垫入的覆盖纱线的编织物或材料的织机
US10829878B2 (en) Warp knit fabrics with variable path weft strands
CA3000639C (en) Conductive fabric,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ductive fabric and apparatus therefor
US9955532B2 (en) Fabric heater
WO2009145536A2 (ko) 도전성 패드 및 그 제조방법
US11401638B2 (en) Method of knitting a warp structure on a flat knitting machine
WO2012160995A1 (ja) 面状発熱体
KR100521409B1 (ko) 편직기. 이에 의해 제조된 발열사를 포함하는 편직물 및양말
KR101588893B1 (ko) 도전성 직물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945045B1 (ko) 부분 신축 도전성 면상체
KR101455976B1 (ko) 파일직물의 편직방법
KR101766465B1 (ko) 탄소섬유를 망사에 직병렬로 제직한 면상 발열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891295B1 (ko) 카본사 패턴 공급수단을 구비한 면상발열체 편성장치
CN117702357A (zh) 一种具有可控变色能力的织物
JP7482572B1 (ja) 導電配線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200849A (ja) 面状発熱体、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及び車両用シート
CN107429447A (zh) 金属纱张力调节装置以及利用该装置的面状发热体织造方法
JP2023177330A (ja) 布ヒータ及び加熱部材
CN117802684A (zh) 一种带有鱼线夹层的3d提花贾卡布料及其经编机
JP2021524663A (ja) 加熱テキスタイル、加熱テキスタイルの製造方法、ならびに加熱テキスタイルの使用
GB2545483A (en) Conductive fabric,method of manufacturing a conductive fabric and apparatus therefor
JPH06151045A (ja) 被覆電線を生地に編み込んだテキスタイルヒ−タ−とその編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