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9802A - 가식 시트 및 성형 동시 가식 장치 - Google Patents

가식 시트 및 성형 동시 가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9802A
KR20110079802A KR1020117004091A KR20117004091A KR20110079802A KR 20110079802 A KR20110079802 A KR 20110079802A KR 1020117004091 A KR1020117004091 A KR 1020117004091A KR 20117004091 A KR20117004091 A KR 20117004091A KR 20110079802 A KR20110079802 A KR 20110079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sheet
sheet
sensor
width direction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4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1218B1 (ko
Inventor
겐타로 후지이
Original Assignee
니혼샤신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샤신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샤신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79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B29C45/14016Intermittently feeding endless articles, e.g. transfer films, 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827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using a transfer foil detachable from the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20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식 시트는, 기체 시트(11)의 표면에 복수의 도안(12)을 포함한 전사층(18)을 갖추고, 전사층(18)은, 기체 시트(11)의 폭방향의 일단부의 근방 부분에, 기체 시트(11)의 길이방향으로 띠 모양으로 연장되도록 위치맞춤 마크(13, 19, 20)를 갖추고, 위치맞춤 마크(13, 19, 20)는, 각각의 도안(12)에 대응하는 위치에 기체 시트(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개구부(14, 21, 22)를 갖고, 복수의 개구부(14, 21, 22)는, 가식 시트가 금형(36, 40) 내에 보내질 때에, 가식 시트의 이송방향의 위치검출용 영역으로서 쓰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식 시트의 폭 치수 및 성형 동시 가식 장치의 금형의 소형화를 실현한다.

Description

가식 시트 및 성형 동시 가식 장치 {DECORATIVE SHEET AND IN-MOLD DECORATING APPARATUS}
[0001] 본 발명은, 폭방향 및 이송방향으로 위치가 맞춰진 상태로 금형 사이에 삽입되어, 금형 내에 사출된 용융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수지성형품의 표면에 가식을 행하기 위한 가식 시트 및 성형 동시 가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0002] 종래의 수지성형품의 표면을 장식하는 방법으로는, 전사재(轉寫材) 등을 기체(基體) 시트의 표면에 형성시킨 가식(加飾) 시트를 이용한 성형 동시 가식법(成形同時加飾法)이 있다.
[0003] 성형 동시 가식법이라 함은, 기체 시트 상에 전사층을 형성한 가식 시트를 성형 금형 내에 끼워넣고서, 금형 내에 용융 수지를 사출하고, 냉각시켜 수지성형품을 얻음과 동시(同時)에 성형품 표면에 가식 시트를 접착시킨 후, 기체 시트를 박리해서, 피전사물 면에 전사층을 전이시켜 장식을 실행하는 방법이다. 성형 동시 가식법은, 인쇄법을 가지고는 직접 도안무늬를 형성하기가 곤란한 형상의 성형품이라 하더라도 도안무늬를 형성할 수가 있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0004] 그런데, 성형 동시 가식을 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성형 동시 가식 장치가 쓰이고 있다. 성형 동시 가식 장치는, 롤 형상의 가식 시트를 연속적으로 금형 내(고정 몰드와 가동 몰드의 사이)로 보내어, 금형에 가식 시트를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용융 수지를 사출하여, 가식 시트의 표면에 붙여져 있는 도안무늬를 수지성형품의 표면에 전사시킴으로써 수지성형품을 가식하는 장치이다. 이 성형 동시 가식 장치는, 마이크로컴퓨터와 같은 제어장치에 의해, 금형 내로의 가식 시트의 이송, 위치맞춤, 금형의 개폐, 용융 수지의 사출과 같은 일련의 동작에 대해 동작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0005] 도 9는, 종래의 성형 동시 가식 장치에 쓰이고 있는 가식 시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가식 시트의 부분 확대도이다. 가식 시트(200)에는, 기체 시트(201)의 표면에 도안(202)을 포함한 전사층이 설치되어 있다. 도안(202)은, 성형 동시 가식 장치의 금형(210)에 설치되어 있는 캐비티 형성용 오목부 내에 위치가 맞춰져야 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성형 동시 가식 장치 및 가식 시트(200)는, 각각 당해 위치맞춤을 위한 구성을 하고 있다.
[0006] 가식 시트(200)의 위치맞춤은, 도 9의 화살표(151)로 나타내어진 이송방향 및, 화살표(152)로 나타내어진 폭 방향에 대해 이루어지게 된다. 가식 시트(200)에는, 이송방향(151)의 위치맞춤에 쓰이는 이송방향 마크(203; 아이 마크라고도 함)와, 폭방향(152)의 위치맞춤에 쓰이고 있는 폭방향 마크(204; 플로 라인이라고도 함)가 각각 독립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송방향 마크(203)는, 도안(202)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도안(202)마다 점(点)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폭방향 마크(204)는, 가식 시트(20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폭의 연속된 띠 모양(帶狀)의 마크로 형성되어 있다.
[0007] 또, 성형 동시 가식 장치는, 이들 이송방향 마크(203) 및 폭방향 마크(204)를 각각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서,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길이방향 센서(205), 폭방향 센서(206a, 206b)를 구비하고 있다. 길이방향 센서(205) 및 폭방향 센서(206a, 206b)는, 성형 동시 가식 장치의 금형(210)에 설치된 광학센서로서, 가식 시트(200)를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도록 설치되는 발광부와 수광부(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이들 센서(205, 206a, 206b)는, 금형(210)의 캐비티 형성용 오목부의 근방에 매립(埋立)되어 있다. 따라서, 이송방향 마크(203)를 도안(202)의 근방에 배치함으로써, 도안(202)의 위치맞춤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들 센서(205, 206a, 206b)는,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각종 마크(203, 204)가 존재함으로써 발광부로부터 수광부로의 광이 차폐(遮蔽)됨으로써, 각종 마크(203, 204)의 존재를 검출하게 된다.
[0008] 길이방향 센서(205)는, 이송방향(151)으로 보내지고 있는 가식 시트(200)에 형성된 이송방향 마크(203)를 검출하게 된다. 길이방향 센서(205)가 이송방향 마크(203)를 검출한 위치가, 도안(202)의 이송방향(151)의 위치맞춤을 위한 목표위치로 된다.
[0009] 폭방향 센서(206a, 206b)는, 금형(2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각각의 위치에서 폭방향 마크(204)를 검출하게 된다. 이에 의해, 가식 시트(200)의 폭방향(152)의 위치맞춤을 실행할 수 있다. 폭방향 센서(206a, 206b) 가 폭방향 마크(204)를 검출한 위치가, 도안(202)의 폭방향(152) 위치맞춤의 목표위치로 된다. 또, 폭방향 센서(206a, 206b)는, 금형(210)의 상하 2곳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화살표 154(도 11 참조)로 나타내어지는 가식 시트(200)의 기울기를 위치맞춤 할 수가 있다.
국제공개 제WO2005/008155호 공보
[0011] 그러나, 종래의 성형 동시 가식 장치에서는, 이송방향 마크(203)와 폭방향 마크(204)가, 도안(202)을 사이에 두고 가식 시트(202)의 양단(兩端)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길이방향 센서(205)와 폭방향 센서(206a, 206b)는, 가식 시트(202)의 대략 폭 치수만큼 상호 떨어져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그들 센서(205, 206a, 206b)를 매립하기 위한 금형(210)의 여분, 즉 캐비티 형성용 오목부의 주위 부분의 면적을 크게 취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결과적으로 금형(210)이 대형화하게 된다. 또, 이송방향 마크(203)와 폭방향 마크(204)가, 가식 시트(200)의 이송방향에 대해 도안(202)을 사이에 두고 병렬로 설치되기 때문에, 가식 시트(200)의 폭 치수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이는, 가식 시트(200)의 재료의 낭비가 생기도록 하는 원인으로 되고 있다.
[0012]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식 시트의 폭 치수 및 성형 동시 가식 장치의 금형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가식 시트 및 당해 가식 시트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성형 동시 가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0013]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와 같이 구성된 가식 시트 및 성형 동시 가식 장치를 제공한다.
[0014] 본 발명의 제1태양에 의하면, 금형에 대해 가식 시트를 위치맞춤한 상태에서 형폐(型閉)한 후, 당해 형폐된 금형 내에 용융 수지를 사출해서, 상기 가식 시트가 구비한 전사층을 상기 용융 수지가 고화된 성형품의 표면에 전사시킴으로써 성형 동시 가식을 실행하는 성형 동시 가식 장치에 쓰이는 롤 형상의 가식 시트로서,
상기 가식 시트는, 기체 시트의 표면에 복수의 도안을 포함한 전사층을 갖추되,
상기 전사층은, 상기 기체 시트의 폭방향 일단부의 근방 부분에, 상기 기체 시트의 길이방향으로 띠 모양으로 뻗어 위치하도록 배치된 위치맞춤 마크를 구비하되,
상기 위치맞춤 마크는, 상기 각각의 도안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기체 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상기 가식 시트가 상기 금형 내로 보내질 때에, 당해 가식 시트의 이송방향의 위치검출용 영역으로 쓰이게 되는, 가식 시트를 제공한다.
[0015] 본 발명의 제2태양에 의하면, 상기 위치맞춤 마크는, 상기 기체 시트의 길이방향으로 띠 모양으로 뻗고서, 상호 간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복수의 마크로 구성되어 있는, 제1태양에 기재된 가식 시트를 제공한다.
[0016] 본 발명의 제3태양에 의하면, 상기 위치맞춤 마크는, 상기 각각의 도안에 대응하는 위치에 투명 영역을 구비한 띠 모양의 구성으로 되어, 상기 투명 영역이 개구부로서 기능을 하는, 제1태양에 기재된 가식 시트를 제공한다.
[0017] 본 발명의 제4태양에 의하면, 상기 위치맞춤 마크는, 상기 각각의 도안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결부를 구비한 띠 모양의 구성으로 되어, 상기 절결부 이 개구부로서 기능을 하는, 제1태양에 기재된 가식 시트를 제공한다.
[0018] 본 발명의 제5태양에 의하면, 제1 ~ 제4태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식 시트의 상기 위치맞춤 마크를 검출하는 길이방향 센서와 폭방향 센서를 갖추고서, 당해 길이방향 센서 및 폭방향 센서의 검출결과에 기해 상기 가식 시트의 길이방향 및 폭 방향으로 상기 가식 시트를 위치맞춤한 후, 상기 성형 동시 가식을 실행하는 성형 동시 가식 장치로서,
상기 길이방향 센서와 폭방향 센서는, 상기 가식 시트가 상기 금형 내로 보내지는 상기 가식 시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성형 동시 가식 장치를 제공한다.
[0019]
본 발명의 제6태양에 의하면, 상기 길이방향 센서는, 상기 가식 시트의 이송방향으로 뻗어 위치하도록 배치된 라인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폭방향 센서는, 상기 가식 시트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상기 가식 시트의 폭 방향으로 뻗어 위치하도록 배치된 라인 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5태양에 기재된 성형 동시 가식 장치를 제공한다.
[0020] 본 발명의 가식 시트에 의하면, 위치맞춤 마크가, 길이방향으로 띠 모양으로 뻗어 위치하도록 배치된 형상을 하고서 도안에 대응하는 위치에 간헐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개구부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위치맞춤 마크의 폭 치수에 의해 가식 시트의 폭방향의 위치맞춤을 실행할 수 있음과 더불어, 위치맞춤 마크의 개구부에 의해 가식 시트의 이송방향의 위치맞춤을 실행할 수 있다.
[0021] 본 발명의 성형 동시 가식 장치에 의하면, 폭방향 센서와 길이방향 센서을 가식 시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배열되도록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금형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가 있다.
[0022] 또, 본 발명의 성형 동시 가식 장치에 의하면, 폭방향 센서와 길이방향 센서로서 라인 센서를 쓰고 있기 때문에, 가식 시트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위치맞춤을 동시에 실행할 수가 있어, 가식 시트의 위치맞춤의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이들과 다른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와 관련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밝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성형 동시 가식 시스템에 쓰이고 있는 성형 동시 가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II-II 선에 따라 평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성형 동시 가식 장치에 쓰이는 검사 전의 상태를 나타낸 가식 시트의 1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B-B 선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이송방향 및 폭방향의 위치맞춤이 종료한 상태인 가식 시트와 금형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a는, 가식 시트의 폭 치수가 큰 경우에 폭이 넓은 가식 롤의 분할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가식 시트의 폭 치수가 작은 경우에 폭이 넓은 가식 롤의 분할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가식 시트에 형성되는 위치맞춤 마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가식 시트에 설치되는 위치맞춤 마크 및 각종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a는, 가식 시트의 이송량에 대한 길이방향 센서의 차폐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와, 길이방향 센서와 절결부와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b는, 가식 시트의 이송량에 대한 폭방향 센서의 차폐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는, 종래의 성형 동시 가식 장치에 쓰이는 가식 시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가식 시트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11은, 도 9의 가식 시트와 각종 센서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0024] 본 발명의 설명을 계속하기 전에, 첨부도면에서 같은 부품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관한 가식 시트 및 당해 가식 시트가 쓰이고 있는 성형 동시 가식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0025] (제1실시형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성형 동시 가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성형 동시 가식 장치(1)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한 제어에 따라, 롤 형상의 가식 시트(10)를 연속적으로 금형 내(고정 몰드(36)와 가동 몰드(40) 사이)로 보내져, 당해 금형에 가식 시트(10)를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용융 수지를 사출하여, 가식 시트(10)가 구비하는 전사층을 수지성형품의 표면에 전사시킴으로써 수지성형품을 가식(加飾)하는 장치이다.
[0026] 성형 동시 가식 장치(1)는, 프레임(31) 상에 고정된 고정반(32)에 부착된 타이 바(33)에 의해 가동 반(34)이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동 반(34)은, 그 프레임이 도시되지 않은 롤러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타이 바(33)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0027] 고정반(32)에는, 고정 몰드(36)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 몰드(36)는 그 분할 면 측에 볼록부(36a)를 갖고 있다. 이 고정 몰드(36)는, 사출노즐(39)을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고정 몰드(36)는, 사출노즐(39)로부터 사출된 용융 수지를, 형폐된 금형 내에 형성되는 캐비티 내로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0028] 가동 반(34)에는, 가동 몰드(40)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 몰드(40)는, 고정 몰드(36)의 볼록부(36a)에 대응한 캐비티 형성용 오목부(40a)를 갖고 있다. 가동 몰드(40)에는, 가식 시트(10)를 금형에 밀착시키기 위한 필름 클램프(80, 81)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 몰드(36)에는, 가동 몰드(40)에 설치되어 있는 필름 클램프(80, 81)와 간섭을 하지 않도록, 오목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고정 몰드(36)와 가동 몰드(40)를 형폐했을 때, 필름 클램프(80, 81)가 상기 오목부 내로 회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0029] 가동 반(34)의 상부에는 안내레일(61a)이 설치되고, 가동 반(34)의 하부에도 안내레일(61b)이 설치되어 있다. 안내레일(61a)은, 상류측 프레임(60a)에 설치된 가이드(61a)에 수평방향(도 1의 안쪽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안내레일(61b)은, 하류측 프레임(60b)에 설치된 가이드( 61b)에 수평방향(도 1의 안쪽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즉, 상류측 프레임(60a)과 하류측 프레임(60b)은, 가동 반(34)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62a, 62b)로는, 예컨대 직동형(直動型) 스라이드 베어링을 사용할 수가 있다. 상류측 프레임(60a)에 설치된 시트 공급 롤러(69)로부터 하류측 프레임(60b)에 설치된 시트 권취 롤러(70)로, 임의의 이송량만큼 가식 시트(10)를 보냄으로써, 가식 시트(10)의 이송방향의 위치맞춤을 실행할 수 있다. 또, 상류측 프레임(60a) 및 하류측 프레임(60b)은, 그들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식 시트(10)의 폭방향의 위치맞춤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상류측 프레임(60a)과 하류측 프레임(60b)은, 가식 시트(10)의 공급부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
[0030] 상류측 프레임(60a)과 하류측 프레임(60b)은, 각각에 대응해서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폭방향 이동장치에 의해, 각각 독립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가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폭방향 이동장치는, 예컨대 모터, 풀리, 벨트 등에 의해 볼 나사를 소정의 회전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폭방향 이동장치의 볼 나사는, 각각 대응하는 상류측 프레임(60a) 또는 하류측 프레임(60b)에 설치된 너트와 서로 맞물려 있다. 따라서, 모터를 회전시킴으로써, 볼 나사가 회전하고, 당해 볼 나사에 대응하는 너트가 부착된 상류측 프레임(60a) 또는 하류측 프레임(60b)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0031] 상류측 프레임(60a)의 시트 공급 롤러(69)는, 상류측 모터(76a)의 구동에 의해 회전을 해서, 가식 시트(10)를 풀어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류측 프레임(60a)에는, 상류측 시트 가이드 롤러(72, 73)가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상류측 시트 가이드 롤러(72, 73)는, 시트 공급 롤러(69)로부터 풀려나와 가식 시트(10)가 가동 몰드(40)와 고정 몰드(36) 사이로 공급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한편, 상류측 프레임(60a)에 설치되는 상류측 시트 가이드 롤러(72, 73)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수로 설치할 수가 있다. 공급된 가식 시트(10)에 적절한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가식 시트(10)를 감아 들이는 릴의 축에 도시되지 않은 파우더 클러치(powder clutch)를 설치하여도 좋다.
[0032] 하류측 프레임(60b)의 시트 권취 롤러(70)는, 가동 몰드(40)와 고정 몰드(36) 사이로 공급된 가식 시트(10)를 권취(卷取)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공급된 가식 시트(10)에 적절한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시트 권취 롤러(70)에는, 릴의 구동에 DC 서보모터 등으로 구성된 모터(76b)가 설치되어 있다. 또, 하류측 프레임(60b)에는, 가동 몰드(40)와 고정 몰드(36) 사이를 통과한 가식 시트(10)를 시트 권취 롤러(70)로 유도하기 위해, 임의의 수의 하류측 시트 가이드 롤러(77, 78, 75)가 설치되어 있다.
[0033] 한편, 상류측 프레임(60a)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76a)로는, 회전속도를 안정시키기 위해 서보모터를 사용하고, 다코 제너레이터 또는 엔코더를 이용한 피드백 제어에 의해 회전속도의 제어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34] 가동 몰드(40)의 상하로는 각각, 폭방향 센서(82a, 82b)가 가식 시트(10)의 이송방향으로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 금형(가동 몰드(40), 고정 몰드(36))에는, 길이방향 센서(83)가 매립되어 있다. 폭방향 센서(82a, 82b) 및 길이방향 센서(83)가 각각 가식 시트(1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발광부와 수광부을 구비한 광학센서로서, 광의 투과상태, 비투과상태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0035] 본 제1실시예에서, 길이방향 센서(83)는, 폭방향 센서(82a)와 폭방향 센서(82b)의 중간위치에서, 가식 시트(10)의 이송방향에 대해 조금 안쪽으로 비켜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0036] 폭방향 센서(82a, 82b) 및 길이방향 센서(83)는, 가식 시트(10)의 폭방향 및 이송방향의 위치맞춤을 실행하기 위해,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식 시트(10)에 설치된 띠 모양의 위치맞춤 마크(13)와, 위치맞춤 마크(13)에 소정의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개구부(간극 부; 14)를 검출한다. 폭방향 센서(82a, 82b) 및 길이방향 센서(83)는, 가동 몰드(40)의 캐비티 형성용 오목부(40a)의 한쪽 측방으로 가식 시트(10)의 이송방향을 따라 대략 일렬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폭방향 센서(82a, 82b) 및 길이방향 센서(83)가 금형(가동 몰드(40), 고정 몰드(36)) 내에 매립되어 배치됨으로써, 도안(12)과 각종 센서(82a, 82b, 83)와의 위치가 가까워지게 되어, 위치맞춤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0037] 도 3a는 가식 시트(1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가식 시트(10)는, 기재 시트(11)의 표면에 가식 시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도안(12)과 가식 시트(10)의 측단부 근방에 설치된 위치맞춤 마크(13)를 구비하고 있다. 위치맞춤 마크(13)는, 길이방향으로 뻗은 띠 모양의 마크이다. 위치맞춤 마크(13)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복수의 개구부(14)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4)는, 도안(12)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개구부(14)는, 각 도안(12)의 측방 부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성형 동시 가식 장치(1)에서는, 가식 시트(10)가 금형 내로 공급될 때에, 폭방향 센서(82a, 82b) 및 길이방향 센서(83)가 가식 시트(10)의 위치맞춤 마크(13) 및 개구부(14)를 읽어들임으로써, 금형에 대한 가식 시트(10)의 위치맞춤이 이루어지게 된다.
[0038] 도 3b는, 도 3a의 B-B 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식 시트(10)는, 투명한 기체 시트(11)의 표면에 박리층(16), 도안(12), 위치맞춤 마크(13), 접착층(17)등을 포함한 전사층(18)이 설치된 구성이다. 도안(12) 및 위치맞춤 마크(13)는, 도안무늬층으로서 가식 시트(10)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기체 시트(11)로부터의 전사층(18)의 박리성을 개선하기 위해, 기체 시트(11) 상에 전사층(18)을 설치하기 전에, 이형층(도시되지 않음)을 전면적으로 형성시켜도 좋다.
[0039] 도안(12) 및 위치맞춤 마크(13)는, 박리층(16)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안(12) 및 위치맞춤 마크(13)는, 박리층(16) 상에 잉크를 이용한 인쇄 또는 스퍼터링 등에 의해 붙여진 금속박막층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금속박막층을 형성시킬 때에, 다른 층과 금속박막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앵커층(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여도 좋다. 접착층(17)은, 수지성형품의 표면에 각 층을 접착하기 위한 층이다.
[0040] 가식 시트(10)는, 시트 공급 롤러(69)로부터 공급되어, 상류측 시트 가이드 롤러(72, 73)에 안내되어, 가동 몰드(40)와 고정 몰드(36) 사이를 통과한 후, 하류측 시트 가이드 롤러(77, 78, 75)로 안내되어, 시트 권취 롤러(70)에 권취된다.
[0041] 가식 시트(10)의 공급은, 가식 시트(10)에 형성된 도안(12)이, 가동 몰드(40)의 캐비티 형성용 오목부(40a)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위치맞춤 시에 정지하도록 구동이 제어된다. 가식 시트(10)의 공급 및 위치맞춤, 즉 시트 공급 롤러(69), 시트 권취 롤러(70), 상류측 프레임(60a)의 폭방향 이동장치, 하류측 프레임의 폭방향 이동장치의 구동 제어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가 맡는다.
[0042] 가식 시트(10)의 위치맞춤이 완료되었을 때, 가식 시트(10)의 도안(12)은, 고정 몰드(36), 가동 몰드(40)의 캐비티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가동 반(34)이 고정반(32)을 향해 이동해서 금형의 형폐동작이 실행된다. 그 후, 노즐(39)을 통해 용융 수지가 금형 내로 사출되어, 용융 수지의 성형과 동시에 가식 시트(10)가 구비하는 전사층(18)의 전사가 실행된다. 성형품이 냉각된 후, 금형을 형개(型開)하고서 성형품을 취출한다. 이에 의해, 성형 동시 가식의 1 싸이클의 동작이 완료된다.
[0043] 다음에는, 도 1에 도시된 성형 동시 가식 장치(1)를 이용해서, 도 3a에 도시된 가식 시트(10)를 위치맞춤 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여기서는,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의 제어 하에 가식 시트(10)의 위치맞춤 동작이 실행된다.
[0044] 먼저, 성형 동시 가식의 싸이클의 스타트를 나타내는 신호가 성형 동시 가식 장치(1)에 입력되면, 상류측 프레임(60a) 및 하류측 프레임(60b)이, 뒤에 설명하는 기계 원점(機械原點)으로 복귀한다. 그 후 모터(76a, 76b)가 구동함에 따라, 시트 공급 롤러(69)와 시트 권취 롤러(70)가 회전하여, 시트 공급 롤러(69)로부터 가식 시트(10)가 풀려나오게 된다. 한편, 이때, 모터(76a, 76b)는 고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 때문에, 가식 시트(10)의 이송속도는 고속으로 되어 있다. 모터(76a, 76b)의 고속회전은, 뒤에 설명되듯이, 길이방향 센서(83)가 가식 시트(10)의 위치맞춤 마크(13)를 검출하지 않게 될 때까지(즉, 개구부(14)이 길이방향 센서(83)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기까지) 유지된다.
[0045] 가식 시트(10)가 소정의 길이만큼 보내져, 길이방향 센서(83)가 가식 시트(10)의 개구부(14)를 검출하게 된다, 즉, 위치맞춤 마크(13)의 상단부(13a; 도 4 참조)가 길이방향 센서(83)의 상방을 통과하면, 모터(76a, 76b)의 회전속도는 저속으로 바뀌게 된다. 이에 의해, 가식 시트(10)의 이송속도는 저속으로 된다. 저속시의 가식 시트(10)의 이송속도는, 예컨대, 고속 시의 가식 시트(10)의 이송속도의 20분의 1 정도가 되도록 할 수가 있다.
[0046] 한편, 가식 시트(10)의 이송속도를 고속으로부터 저속으로 바꾸는 제어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센서(83)가 개구부(14)를 검출함으로써 실행하지 않고, 가식 시트(10)의 이송량에 기해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예컨대 상호 이웃하는 개구부(14)의 간극을 모두 일정하게 하면, 상기 제어가 용이하게 된다.
[0047] 도 4는, 이송방향 및 폭방향의 위치맞춤이 종료된 상태로 있는 가식 시트(10)와 금형(가동 몰드(40))와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가식 시트(10)의 이송속도가 저속일 때에, 길이방향 센서(83)가 위치맞춤 마크(13)를 검출했을 때, 모터(76a, 76b)의 구동이 정지되어, 가식 시트(10)의 길이방향 이송 동작이 정지된다. 즉, 개구부(14)가 길이방향 센서(83)의 상방을 통과해서, 위치맞춤 마크(13)의 하단부(13b)가 길이방향 센서(83)에 의해 검출되고, 길이방향 센서(83)의 출력 신호가 비투과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로부터 투과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로 바뀌었을 때, 가식 시트(10)의 길이방향의 이송동작이 정지된다.
[0048] 상기와 같이 해서 가식 시트(10)의 길이방향의 위치맞춤을 실행한 후, 다음과 같이 가식 시트(10)의 폭방향 위치맞춤을 실행하게 된다.
[0049] 먼저, 상류측 프레임(60a) 및 하류측 프레임(60b)을 각각 도 2의 오른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식 시트(10)를 도 4의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원점 위치로 되돌린다. 여기서, 원점 위치라 함은, 폭방향 센서(82a, 82b)가 위치맞춤 마크(13)의 안쪽 단부(13c)보다도 안쪽에 위치하는 위치이다. 상류측 프레임(60a) 및 하류측 프레임(60b)이 원점 위치로 되돌려졌는지 여부는, 위치맞춤 마크(13)가 폭방향 센서(83a, 82b)의 상방을 통과해서, 폭방향 센서(82a, 82b)의 출력신호가 비투과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로부터 투과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로 바뀐 것을 가지고 판정하면 된다.
[0050] 다음에, 상류측 프레임(60a) 및 하류측 프레임(60b)을 각각 왼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식 시트(10)를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때의 상류측 프레임(60a) 및 하류측 프레임(60b)의 이동속도는, 위치맞춤 마크(13)의 안쪽 단부(13c)가 폭방향 센서(82a, 82b)에 의해 검출되기까지는 고속으로 되고, 당해 검출 후는 저속으로 바뀌게 된다.
[0051] 다음에, 위치맞춤 마크(13)의 바깥쪽 단부(13d)가 폭방향 센서(82a, 82b)를 통과해서, 폭방향 센서(82a, 82b)의 출력 신호가 비투과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로부터 투과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로 바뀌게 된 타이밍에서, 상류측 프레임(60a) 및 하류측 프레임(60b)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또는, 가식 시트(10)의 이송속도를 저속으로 하고 나서 소정의 길이만큼 가식 시트(10)를 왼쪽으로 이동시킨 후, 상류측 프레임(60a) 및 하류측 프레임(60b)의 이동을 정지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0052] 한편, 가식 시트(10)의 폭방향 위치맞춤을 함에 있어, 폭방향 센서(82a, 82b)의 2개의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가식 시트(10)의 연직방향에 대한 기울기를 조정(위치맞춤)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기울기의 조정의 필요가 없는 경우는, 폭방향 센서는 1개라도 좋다. 이 경우, 폭방향 센서는, 길이방향 센서보다도 가식 시트(10)의 이송방향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0053] 이와 같이, 본 제1실시형태에 따른 성형 동시 가식 장치(1) 및 가식 시트(10)에 의하면, 가식 시트(10)의 일 단부에 형성된 위치맞춤 마크(13)의 구성을 궁리함으로써, 1개의 위치맞춤 마크(13)를 이용해서 폭방향 및 이송방향의 양쪽의 위치맞춤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가식 시트(10)의 폭 치수(H)를 종래의 것에 비해 작게 할 수가 있다.
[0054] 또, 가식 시트(10)의 폭 치수(H)를 작아지게 함으로써, 한번에 제조되는 가식 시트(10)의 롤 수를 많아지게 할 수가 있다. 즉, 가식 시트(10)의 제조는, 통상적으로 복수의 도안(12)이 폭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된 폭이 넓은 가식 롤을 권취심(卷取芯)에 권취한 후, 필요한 폭 치수로 절단함으로써 실행된다. 따라서, 예컨대 1개의 가식 시트(10)의 폭 치수(H)를 작게 구성할 수가 있어, 폭이 넓은 가식 롤이 폭 방향으로 나열될 될 수 있는 롤의 수를 늘릴 수가 있다. 이에 의해, 효율적인 가식 시트(10)의 제조를 실현할 수가 있다.
[0055] 예컨대,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폭 치수(L)가 큰 폭이 넓은 가식 롤(100)을 5개의 롤(101 ~ 105)로 분할함으로써, 폭 치수 K를 가진 종래의 가식 시트를 5개 얻을 수가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식 롤(100)을 6개의 롤(111 ~ 116)로 분할함으로써, 폭 치수 K보다도 작은 폭 치수(H)의 가식 시트를 6개 얻을 수가 있다. 즉, 본 제1실시형태에 따른 가식 시트(10)는, 종래의 가식 시트보다도 폭 치수를 작게 할 수가 있기 때문에, 1개의 가식 롤(100)로부터 종래보다도 많은 가식 시트를 얻을 수가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가식 시트(10)의 제조를 실현할 수가 있다.
[0056] (제2실시형태)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가식 시트에 설치되는 위치맞춤 마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제2실시형태는, 상기 제1실시형태와 비교해서, 주로 가식 시트에 설치되는 위치맞춤 마크의 구성이 다르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제2실시형태에 따른 가식 시트는, 위치맞춤 마크의 폭 치수(G)를 크게 해서, 폭방향 위치맞춤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점에서, 상기 제1실시형태의 가식 시트와 다르다.
[0057]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제2실시형태에 따른 가식 시트의 위치맞춤 마크(19)는, 연속된 띠 모양의 구성을 갖도록 되어 있다. 또, 띠 모양으로 연속하는 위치맞춤 마크(19)에는, 도안(12)에 대응하는 위치에 투명 영역(21)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투명 영역(21)은, 가식 시트의 이송방향의 위치맞춤을 실행하기 위한 개구부로서 기능을 하는 것이다.
[0058] 한편, 본 제2실시예에서, 투명 영역(21)은 길이방향 센서(83)의 검출 영역보다도 크게 구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위치맞춤 마크(19)의 폭 치수(G)가 커지게 된다. 위치맞춤 마크(19)의 폭 치수(G)를 크게 함으로써, 가식 시트의 폭방향 위치맞춤에 있어, 폭방향 센서(82a, 82b)가 위치맞춤 마크(19)에 의해 차폐되는 시간을 길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류측 프레임(60a) 및 하류측 프레임(60b)이 폭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고속 이동으로부터 저속 이동으로 절환되어 바뀐 후, 속도가 안정될 때까지 사이에 상류측 프레임(60a) 및 하류측 프레임(60b)이 소정의 이동량을 지나쳐 이동한다고 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위치맞춤 마크(19)가 폭방향 센서(82a, 82b) 상을 통과하는 일이 없어, 폭방향 센서(82a, 82b)로부터의 출력신호가 투과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로부터 비투과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로 절환된 타이밍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가식 시트의 폭방향 위치맞춤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0059] (제3실시형태)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가식 시트에 설치되는 위치맞춤 마크 및 각종 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도 7은, 가식 시트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위치맞춤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제3실시형태는, 상기 제1실시형태와 비교해서, 주로 가식 시트에 설치되는 위치맞춤 마크의 구성과, 성형 동시 가식 장치에 설치되는 길이방향 센서 및 상하 2개의 폭방향 센서의 구성이 다르게 되어 있다.
[0060] 본 제3실시형태에 따른 가식 시트에 설치되는 위치맞춤 마크(20)는, 연속된 띠 모양의 구성을 갖도록 되어 있다. 또, 띠 모양으로 연속하는 위치맞춤 마크(20)에는, 도안(12)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결부(22)가 설치되어 있다. 당해 절결부(22)는, 가식 시트의 이송방향의 위치맞춤을 실행하기 위한 개구부로서 기능을 하는 것이다.
[0061] 본 제3실시예에서, 폭방향 센서(도 7에는 위쪽의 폭방향 센서(182a)만을 도시 하고 있고, 아래쪽의 폭방향 센서는 생략되어 있음) 및 길이방향 센서(183)에는, 라인 센서의 1 예로서 레이저 선 센서가 쓰이고 있다. 폭방향 센서(182a)는, 가식 시트의 폭 방향으로 따르도록 배치되고, 길이방향 센서(183)는, 가식 시트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길이방향 센서(183)에 쓰이고 있는 레이저 선 센서의 수광폭(M)은, 절결부(22)의 길이방향 치수(N)보다도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0062] 레이저 선 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추되, 그들은 가식 시트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금형에 매립되어 있다. 폭방향 센서(182a) 및 길이방향 센서(183)에 레이저 선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위치맞춤 마크(20)가 당해 레이저 선 센서를 차폐하는 차폐율을 출력신호로서 얻을 수가 있다. 당해 차폐율을 이용함으로써, 뒤에 설명되듯이, 가식 시트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의 위치맞춤을 동시에 실행할 수가 있어, 가식 시트의 위치맞춤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0063] 다음에는, 본 제3실시형태에 따른 성형 동시 가식 장치의 위치맞춤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가식 시트의 길이방향의 위치맞춤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8a는, 가식 시트의 이송량에 대한 길이방향 센서의 차폐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와, 길이방향 센서와 절결부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0064] 먼저, 전회(前回)의 싸이클의 종료 시(t0)에,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길이방향 센서(183)의 하단부(183a)와 절결부의 하단부(22a)는 대략 일치하고 있다. 이때, 길이방향 센서(183)의 위쪽 부분은, 절결부(22-1)를 지나쳐 위치해 있다. 즉, 길이방향 센서(183)의 위쪽 부분은, 위치맞춤 마크(20)에 의해 덮여지도록 위치해 있다. 이때의 상기 차폐율은, 길이방향 센서(183)의 위쪽 부분이 차폐되는 비율로 되어, 소정 값(C(%))으로 된다.
[0065] 도 7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가식 시트가 화살표(151)로 나타내어진 이송방향의 하류측(도 7의 하방)으로 보내지면,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위치맞춤 마크(20)에 덮여지는 길이방향 센서(183)의 면적이 커지게 되고, 상기 차폐율이 상승하게 된다. 가식 시트의 이송량이 t1으로 된 타이밍에서, 절결부(22-1)가 길이방향 센서(183)의 하단부(183a)를 지나쳐 이동하면, 길이방향 센서(183)의 차폐율은 100%로 된다.
[0066] 다음에, 가식 시트의 이송량이 t2로 된 타이밍에서, 금회(今回)의 싸이클에 대응하는 절결부(22-2)의 하단부가 길이방향 센서(183)에 도달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가식 시트가 보내지면, 길이방향 센서(183)와 절결부(22-2)가 오버랩하게 된다. 당해 오버랩하는 길이방향 센서(183)의 영역은, 투과상태로 된다. 길이방향 센서(183)의 차폐율은, 가식 시트의 이송량이 커짐에 따라 저하된다.
[0067] 가식 시트가 다시 보내져, 가식 시트의 이송량이 t3으로 된 타이밍에서, 절결부(22-2)의 상단부와 길이방향 센서(183)의 상단부가 일치하게 된다. 이때, 절결부(22-2)의 길이방향 폭(N)의 영역에 위치하는 길이방향 센서(183)만 투과상태로 되고, 길이방향 센서(183)의 차폐율은 소정 값 C로 된다.
[0068] 다음에, 가식 시트의 이송량이 t4로 된 타이밍에서, 길이방향 센서(183)의 하단부가 절결부(22-2)의 하단부와 일치하게 된다. 가식 시트의 이송량이 t3으로부터 t4로 되기까지의 사이에, 길이방향 센서(183)의 차폐율은 소정 값 C인 채로 있게 된다. 가식 시트의 이송량이 t4로 되는 타이밍에서는, 가식 시트의 길이방향의 위치맞춤이 종료하게 된다. 한편, 이 상태에서 다시 가식 시트가 보내지면, 위치맞춤 마크(20)에 덮여지는 길이방향 센서(183)의 면적이 커지게 되어, 길이방향 센서(183)의 차폐율이 상승하게 된다.
[0069] 다음에는, 가식 시트의 폭방향 위치맞춤에 대해 설명한다. 도 8b는, 가식 시트의 이송량에 대한 폭방향 센서의 차폐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제3실시예에서는, 가식 시트의 폭방향 위치맞춤이 종료했을 때의 폭방향 센서(182a)의 차폐율을 소정 값(50%)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가식 시트를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폭방향 센서(182a)로부터의 출력신호를 피드백 제어해서, 항상 소정 값(50%)을 유지하도록 상류측 프레임(60a)과 하류측 프레임(60b)의 위치제어를 행하도록 한다. 예컨대, 가식 시트가 도 7에 나타나 있는 상태보다도 오른쪽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폭방향 센서(182a)의 차폐율이 소정 값(50%)보다 커지게 된다. 이 경우, 상류측 프레임(60a)과 하류측 프레임(60b)을 왼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위치 제어를 행하면 된다. 한편, 본 제3실시예에서, 상측의 폭방향 센서(182a)는 상류측 프레임(60a)의 이동 제어에 쓰이고, 하측의 폭방향 센서(도시되지 않음)는 하류측 프레임(60b)의 이동 제어에 쓰이도록 되어 있다.
[0070] 한편,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식 시트의 이송량이 t1로부터 t2의 구간은, 절결부(22)가 폭방향 센서(182a)의 상방을 통과하고 있는 기간에 상당한다. 따라서, 폭방향 센서(182a)의 차폐율은 낮아져 있다.
[0071] 이와 같이, 폭방향 센서(182a) 및 길이방향 센서(183)로서 레이저 선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가식 시트의 길이방향의 이송동작을 실행하고 있는 사이에, 가식 시트의 폭방향 위치맞춤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즉, 가식 시트의 길이방향의 위치맞춤과 폭방향의 위치맞춤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가식 시트의 위치맞춤을 신속히 실행할 수가 있다.
[0072] 또, 길이방향 센서(183)의 은폐율의 소정 값을 변경함으로써, 가식 시트의 위치맞춤의 미세조정을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차폐율의 소정 값을 50%보다 크게 함으로써, 폭방향 위치맞춤의 목표위치를 도 7에서의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길이방향 센서(183)의 부착위치를 조정하지 않고, 길이방향 센서(183)의 은폐율의 소정 값을 조정하는 것만으로 위치맞춤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하드웨어적 조정이 아니고, 소프트웨어적 조정으로, 위치맞춤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0073]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제3실시형태에 따른 성형 동시 가식 장치 및 가식 시트에 의하면, 1개의 띠 모양으로 형성된 위치맞춤 마크(20)에 의해, 가식 시트의 폭방향 위치맞춤과 이송방향 위치맞춤을 동시에 실행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가식 시트의 폭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가 있다. 또, 당해 가식 시트의 위치맞춤 마크(20)에 대응해서 폭방향 센서(182a) 및 길이방향 센서(183)를 금형에 부착함으로써, 금형도 소형화할 수가 있다. 또, 도안(12)에 불량이 있는 경우, 당해 도안(12)에 대응하는 절결부(22)에 미리 빈틈없이 칠을 함으로써(위치맞춤 마크(20)가 연속하도록 함으로써), 당해 도안(12)을 성형 동시 가식에 이용하지 않고 건너뛰도록(skip) 할 수가 있다.
[0074]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기타 여러 가지의 태양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0075] 예컨대, 상기 제3실시예에서 이용한 레이저 선 센서는, 상기 제1실시형태 및 상기 제2실시형태의 구성을 가진 가식 시트와 조합해서 사용하여도 좋다.
[0076]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련해서 충분히 기재되어 있으나, 이 기술에 숙련된 사람들로서는 여러 가지로 변형이나 수정해서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그와 같은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따른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그 중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0077] 2008년 8월 27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8-217799호의 명세서, 도면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개시된 내용은, 전체로서 참조되어 본 명세서 중에 도입될 수 있는 것이다.
1 - - - 성형 동시 가식 장치
10 - - - 가식 시트
11 - - - 기재필름
12 - - - 도안
13, 19, 20 - - - 위치맞춤 마크
14 - - - 개구부
16 - - - 박리층
17 - - - 접착층
18 - - - 전사층
21 - - - 투명 영역(개구부)
22 - - - 절결부(개구부)
31 - - - 프레임
32 - - - 고정반
33 - - - 타이 바
34 - - - 가동 반
36 - - - 고정 몰드
39 - - - 사출노즐
40 - - - 가동 몰드
60a - - - 상류측 프레임
60b - - - 하류측 프레임
61a, 61b - - - 안내레일
62a, 62b - - - 가이드
69 - - - 시트 공급 롤러
70 - - - 시트 권취 롤러
72, 73 - - - 상류측 시트 가이드 롤러
75, 77, 78 - - - 하류측 시트 가이드 롤러
76a, 76b - - - 모터
80, 81 - - - 필름 클램프
82a, 82b, 182a - - - 폭방향 센서
83, 183 - - - 길이방향 센서

Claims (6)

  1. 금형에 대해 가식 시트를 위치맞춤한 상태에서 형폐한 후, 당해 형폐된 금형 내에 용융 수지를 사출해서, 상기 가식 시트가 구비하는 전사층을 상기 용융 수지가 고화된 성형품의 표면에 전사함으로써 성형 동시 가식을 실행하는 성형 동시 가식 장치에 쓰이는 롤 형상의 가식 시트로서,
    상기 가식 시트는, 기체 시트의 표면에 복수의 도안을 포함한 전사층을 구비하되,
    상기 전사층은, 상기 기체 시트의 폭방향 일단부 근방 부분에, 상기 기체 시트의 길이방향으로 띠 모양으로 뻗어 위치하는 위치맞춤 마크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맞춤 마크는, 상기 각각의 도안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기체 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를 가져,
    상기 복수의 개구부가, 상기 가식 시트가 상기 금형 내로 보내질 때에, 당해 가식 시트의 이송방향의 위치검출용 영역으로서 쓰이도록 된, 가식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맞춤 마크는, 상기 기체 시트의 길이방향으로 띠 모양으로 뻗어 있고, 상호의 사이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복수의 마크로 구성되어 있는, 가식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맞춤 마크는, 상기 각각의 도안에 대응하는 위치에 투명 영역을 구비한 띠 모양으로 구성되고서, 상기 투명 영역이 개구부로서 기능을 하게 되는, 가식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맞춤 마크는, 상기 각각의 도안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결부를 구비한 띠 모양으로 구성되고서, 상기 절결부가 개구부로서 기능을 하게 되는, 가식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식 시트의 상기 위치맞춤 마크를 검출하는 길이방향 센서와 폭방향 센서를 갖추고서, 당해 길이방향 센서 및 폭방향 센서의 검출결과에 기해 상기 가식 시트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상기 가식 시트를 위치맞춤한 후 상기 성형 동시 가식을 실행하는 성형 동시 가식 장치로서,
    상기 길이방향 센서와 상기 폭방향 센서가, 상기 가식 시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성형 동시 가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센서는, 상기 가식 시트의 이송방향으로 뻗어 위치하도록 배치된 라인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폭방향 센서는, 상기 가식 시트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상기 가식 시트의 폭방향으로 뻗어 위치하도록 배치된 라인 센서로 구성되어 있는, 성형 동시 가식 장치.
KR1020117004091A 2008-08-27 2009-08-05 가식 시트 및 성형 동시 가식 장치 KR101121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17799 2008-08-27
JP2008217799 2008-08-27
PCT/JP2009/063861 WO2010024095A1 (ja) 2008-08-27 2009-08-05 加飾シート及び成形同時加飾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802A true KR20110079802A (ko) 2011-07-08
KR101121218B1 KR101121218B1 (ko) 2012-03-22

Family

ID=41721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091A KR101121218B1 (ko) 2008-08-27 2009-08-05 가식 시트 및 성형 동시 가식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703783B2 (ko)
KR (1) KR101121218B1 (ko)
CN (1) CN102131624B (ko)
DE (1) DE112009002031T5 (ko)
TW (1) TWI373407B (ko)
WO (1) WO20100240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16448B4 (de) 2015-06-10 2021-01-14 "Klöckner Desma Schuhmaschinen GmbH" Spritzgießverfahren zum Anspritzen einer Schuhbesohlung an einen Schuhschaft
DE102016118259A1 (de) * 2016-09-27 2018-03-29 Leonhard Kurz Stiftung & Co. Kg Verfahren zum Verarbeiten von Folien sowie eine Vorschubeinrichtung, ein Spritzgusswerkzeug und ei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1810U (ko) * 1986-02-13 1987-08-20
JPS63297011A (ja) * 1987-05-29 1988-12-05 Toppan Printing Co Ltd 同時転写成形方法及び装置
DE69739732D1 (de) 1996-09-26 2010-02-25 Nxp Bv Verarbeitungssystem und verfahren zum lesen und wiederherstellen von informationen in einer ram-konfiguration
AU6601400A (en) * 1999-08-20 2001-04-10 Fountain Technologies B.V.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oducts and placing labels in a mold
JP2004017326A (ja) * 2002-06-12 2004-01-22 Mitsubishi Materials Corp 成形同時転写品の製造装置
PL1680635T3 (pl) 2003-07-21 2013-08-30 Arcelik As Lodówka
JP2006272883A (ja) * 2005-03-30 2006-10-12 Nissha Printing Co Ltd 転写成形装置及び転写成形方法
CN101059650A (zh) * 2006-04-18 2007-10-24 佳能株式会社 图案转印设备、压印设备和图案转印方法
JP2009166288A (ja) * 2008-01-11 2009-07-30 Nissha Printing Co Ltd 成形同時加飾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09002031T5 (de) 2012-05-10
CN102131624B (zh) 2013-09-04
KR101121218B1 (ko) 2012-03-22
TW201016430A (en) 2010-05-01
CN102131624A (zh) 2011-07-20
WO2010024095A1 (ja) 2010-03-04
JPWO2010024095A1 (ja) 2012-01-26
JP4703783B2 (ja) 2011-06-15
TWI373407B (en) 2012-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272883A (ja) 転写成形装置及び転写成形方法
US7922952B2 (en) Simultaneous injection-molding and decorating method
KR101121218B1 (ko) 가식 시트 및 성형 동시 가식 장치
KR100843431B1 (ko) 성형 동시 인쇄 장치 및 전사 인쇄 성형품의 제조 방법
EP2130661A1 (en) Simultaneous molding-decorat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imultaneous molded-decorated article
KR100978994B1 (ko) 성형 동시 가식장치 및 수평방향 가식시트 이송장치
US7261532B2 (en) In-mold decoration apparatus and horizontal direction decorating sheet feeding machine
JP5518599B2 (ja) 転写印刷装置
JP2009166288A (ja) 成形同時加飾装置
JP3917065B2 (ja) 成形同時加飾装置および水平方向加飾シート送り装置
WO2010113310A1 (ja) 成形同時加飾装置、加飾シート、及び成形同時加飾システム
JPS63297011A (ja) 同時転写成形方法及び装置
JP2004017326A (ja) 成形同時転写品の製造装置
JP2005343027A (ja) 成形同時加飾装置および水平方向加飾シート送り装置
JP2009166287A (ja) 加飾シート
JPH08267502A (ja) 両面絵付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04130704A (ja) 射出成形金型の連続フィルム印刷位置調整装置
JP2008001047A (ja) 転写成形方法
JPS62174152A (ja) 同時成形転写機における転写フイルムの幅方向位置決め装置
JPH0523301Y2 (ko)
JP2009166289A (ja) 成形同時加飾システム
JPS6359851B2 (ko)
JP2588157B2 (ja) 帯状フィルムの幅方向の位置合せ方法
JP2006289660A (ja) インモールド成形装置
TW201036790A (en) In-mold decorating apparatus, decorative sheet, and in-mold decora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