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5211A - 화상판독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판독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5211A
KR20110075211A KR1020090131593A KR20090131593A KR20110075211A KR 20110075211 A KR20110075211 A KR 20110075211A KR 1020090131593 A KR1020090131593 A KR 1020090131593A KR 20090131593 A KR20090131593 A KR 20090131593A KR 20110075211 A KR20110075211 A KR 20110075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mark pattern
cover
length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1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1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5211A/ko
Priority to US12/979,452 priority patent/US20110181920A1/en
Publication of KR20110075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52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708Size or dim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708Size or dimensions
    • H04N1/0071Wid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708Size or dimensions
    • H04N1/00713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29Detection means
    • H04N1/00734Optical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29Detection means
    • H04N1/00734Optical detectors
    • H04N1/00737Optical detectors using the scanning elements as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42Detection methods
    • H04N1/0075Detecting a change in refle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42Detection methods
    • H04N1/00761Detection methods using reference marks, e.g. on sheet, sheet holder or gu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고의 폭 감지를 위해 미리 설정된 길이로 마크패턴이 형성된 커버와, 마크패턴이 형성된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마크패턴이 형성된 영역에서 반사된 광을 수신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센서와, 이 이미지센서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에서 동일한 픽셀값이 연속된 영역의 길이에 따라 원고의 폭을 판단함으로써 원고 폭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을 없앨 수 있어 원고 사이즈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면서도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화상판독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화상판독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E REA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화상판독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고의 사이즈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는 화상판독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판독장치는 광을 주사하여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읽어 들임으로써 사진이나 그림과 같이 종이에 표시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이다. 화상처리장치의 예로서, 스캐너(scanner), 팩시밀리(facsimile), 혹은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한 복합기, 문서 번역기, CAD(computer Aided Design)용 컴퓨터, 문자인식기, 디지털 복사기 등이 있다.
화상판독장치의 스캐닝 방식에는 플랫 베드 스캐닝 방식(Flat bed scanning method)과 시트 피드 스캐닝 방식(Sheet feed Scanning method)이 있다. 플랫 베드 스캐닝 방식은 원고는 고정되어 있고 스캐닝모듈을 움직여 스캔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복사기와 같이 유리로 된 평판위에 용지를 올려놓고 스캐닝모듈을 좌우로 이동하면서 스캔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플랫 베드 스캐닝 방식의 화상판독장치는 원고대 내부의 특정 위치에 배치된 여러 개의 원고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원고대 위에 복사를 하려는 원고를 올려놓은 후 커버를 닫을 때 원고감지센서들의 수신신호를 감지하여 각 원고감지센서의 상단에 원고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원고의 폭과 길이를 감지하여 원고 사이즈를 판단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다수 개의 원고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원고 사이즈를 판단하는 방식은 화상판독장치의 제조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원고 사이즈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수를 줄일 수 있도록 원고 폭 감지를 위한 마크 패턴을 이용하여 원고의 폭을 감지하는 화상판독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화상판독장치는 원고의 폭 감지를 위해 미리 설정된 길이로 마크패턴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마크패턴이 형성된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마크패턴이 형성된 영역에서 반사된 광을 수신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센서와, 상기 생성된 이미지에서 동일한 픽셀값이 연속된 영역의 길이에 따라 상기 원고의 폭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크 패턴은 서로 다른 색상의 두 개의 마크가 주주사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교대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크 패턴은 상기 커버가 닫힐 때 상기 원고를 누르도록 마련된 원고누름판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크 패턴은 상기 원고누름판의 영역 중 상기 원고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의 닫힘을 감지하는 커버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감지부를 통해 상기 커버가 닫히면 상기 이미지센서에 상기 이미지가 생성되도록 상기 광원을 점등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원고가 놓이는 원고대의 하부측에 마련되어 상기 원고의 유무를 감지하는 원고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고의 유무에 따라 상기 원고의 길이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고의 폭 및 길이에 따라 상기 원고의 사이즈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화상판독장치는 원고의 폭 감지를 위해 미리 설정된 길이로 마크패턴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마크패턴이 형성된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마크패턴이 형성된 영역에서 반사된 광을 수신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센서와, 상기 커버의 닫힘을 감지하는 커버감지부와, 상기 커버감지부를 통해 상기 커버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이미지를 생성시키고, 상기 생성된 이미지에서 동일한 픽셀값이 연속된 영역의 길이에 따라 상기 원고의 폭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크 패턴은 상기 커버의 영역 중 상기 원고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서로 다른 색상의 두 개의 마크가 주주사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교대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원을 부주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가 닫힐 때 상기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상기 커버가 닫히면 상기 광원을 상기 마크 패턴이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원고의 놓이는 원고대의 하부측에 마련되어 상기 원고의 유무를 감지하는 원고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고의 유무에 따라 상 기 원고의 길이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고의 폭 및 길이에 따라 상기 원고의 사이즈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화상판독장치의 제어방법은 원고의 폭 감지를 위해 미리 설정된 길이로 마크패턴이 형성된 커버를 구비한 화상판독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크 패턴이 형성된 영역에 광원을 통해 광을 조사하고, 상기 마크 패턴이 형성된 영역에서 반사된 광을 수신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미지에서 동일한 픽셀값이 연속된 영역의 길이에 따라 상기 원고의 폭을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을 조사하는 단계에서 상기 마크 패턴이 형성된 영역은 상기 커버의 영역 중 상기 원고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영역이고, 상기 마크 패턴은 서로 다른 색상의 두 개의 마크가 주주사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교대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원고가 놓이는 원고대의 하부측에 설치된 원고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원고의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원고의 길이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원고의 폭 및 길이에 따라 상기 원고의 사이즈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화상판독장치의 제어방법은 원고의 폭 감지를 위해 미리 설정된 길이로 마크패턴이 형성된 커버를 구비한 화상판독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닫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커버가 닫히면 상기 마 크 패턴이 형성된 영역에 광원을 통해 광을 조사하고, 상기 마크 패턴이 형성된 영역에서 반사된 광을 수신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미지에서 동일한 픽셀값이 연속된 영역의 길이에 따라 상기 원고의 폭을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을 조사하는 단계에서 상기 마크 패턴이 형성된 영역은 상기 커버의 영역 중 상기 원고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영역이고, 상기 마크 패턴은 서로 다른 색상의 두 개의 마크가 주주사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교대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상기 마크 패턴이 형성된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는, 상기 커버가 닫히면 상기 광원을 상기 마크패턴이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광원이 상기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광원을 점등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원고가 놓이는 원고대의 하부측에 설치된 원고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원고의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원고의 길이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원고의 폭 및 길이에 따라 상기 원고의 사이즈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고 폭을 감지를 위한 마크 패턴을 이용하여 원고 폭을 판단하므로 원고 폭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을 없앨 수 있어 원고 사이즈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면서도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판독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판독장치의 정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판독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판독장치는 본체(10), 이 본체(10)의 윗면에 설치되어 원고가 놓이는 원고대(11), 본체(11)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플래튼 커버(platen cover)(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플래튼 커버(12)는 플래튼 커버(12)가 닫힐 때 원고대(11)를 덮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판독장치의 본체(10)에는 커버감지부(50), 스캐닝부(20) 및 구동모터(30)를 포함한다.
커버감지부(50)는 커버(12)가 일정각도(일예로, 80도)로 이상으로 열리면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커버(12)가 일정각도(일예로, 80도) 이상으로 열려 있다가 닫히게 되면 닫히는 순간에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커버감지부(50)는 광센서(50)와 센서 플래그(51)를 구비한다. 센서 플래그(51)는 커버(12)의 개폐에 의해 상하 이동하도록 마련되어 커버(12)가 닫히는 동안 커버(12)(13)에 의해 압착되고 커버(12)가 열렸을 때 압착이 해제된다. 이러한 센서 플래그(51)의 상하이동에 의해 광센서(50)의 빛이 차단되게 구성함으로써 커버(12)의 닫힘을 감지한다. 후술하겠지만, 커버(12)가 닫힐 때 원고대(11)에 놓인 원고(D)의 폭과 길이를 감지하여 원고 사이즈를 판단한다.
스캐닝부는 원고대(11)의 배면에 마련된다. 스캐닝부는 원고(D)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21)과, 광이 조사된 원고(D)에서 반사된 광을 반사하는 다수의 미러(22,24,25)와, 이 미러들(22,24,25)에 의해 반사된 광을 집광하는 렌즈(27)와, 이 렌즈(27)에 의해 집광된 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28)를 구비한다. 따라서,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은 제1 미러(22), 제2 미러(24) 및 제3 미러(25)에 의해 순차적으로 반사되고 렌즈(27)에 집속되어 기판에 설치된 이미지센서(28)로 들어온다.
광원(21)과 제1 미러(22)는 원고대(11)를 따라 부주사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광학대(23)에 탑재된다. 제2 미러(24) 및 제3 미러(25)는 원고대(11)를 따라 부주사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 광학대(26)에 탑재된다. 제1 광학대(23)와 제2 광학대(26)는 구동모터(30)에 의해 부주사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이미지센서(28)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 고정 설치된다. 참고로, 스캐닝부(20)의 구성요소들을 일체로 모듈화하여 원고대(11)를 따라 부주사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광원(21)은 원고에 광을 조사하는 램프로 이루어진다.
이미지센서(28)는 원고를 스캐닝하여 얻은 광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혹은 CIS(contact image sensor)로 이루어진다. 이미지센서(28)는 주주사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원고대(11)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원고 판독시 이미지센서(28)는 광원(21)에 의해 광이 조사된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고, 수광량에 따라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광원(21)으로부터 원고에 조사된 광은 원고에 반사되고 그 반사광은 제1 미러(22) 내지 제3 미러(25)에 의해 반사되고 렌즈(27)에 의해 집광되어 이미지센서(28)에 전달된다. 원고 판독시 제1 광학대(23) 및 제2 광학대(26)를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시켜 원고의 화상에 대응하 는 이미지 데이터가 이미지센서(28)에 의해 생성되게 한다. 이미지센서(28)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는 후술하는 제어부(60)에 전달되고, 이 제어부(60)에 의해 이미지 데이터를 화상으로 인식하게 된다.
원고감지센서(40)는 원고대(11)에 놓인 원고의 길이를 알 수 있도록 설치된 위치에서의 원고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원고대(11)로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소자와, 이 광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를 가진 반사형 광센서를 포함한다.
원고감지센서(40)는 대향한 위치에 원고가 있는 경우에는 발광소자로부터 발산된 광이 원고에 의해 반사되어 광량의 대부분이 수광소자에 수광된다. 하지만, 대향한 위치에 원고가 없는 경우에는 발광소자로부터 발산된 광이 수광소자 이외의 방향으로 반사되기 때문에 수광소자에 수광되는 광량이 적어진다. 이러한 수광되는 광량 차이에 따라 원고의 유무를 감지한다. 도 2에서는 2개의 원고감지센서(40)를 도시하고 있지만, 3개 이상의 센서가 원고대(11)의 아래쪽에 원고의 길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판독장치의 플래트 커버(12)는 원고대(11)에 놓인 원고를 누르는 원고누름판(13)을 포함한다. 이 원고누름판(13)은 원고를 판독할 때 여백을 백색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백색시트로 이루어진다. 원고누름판(13)에는 복수 개의 화이트 바(white bar)와 블랙 바(black bar)가 교대로 인쇄된 마크 패턴(14)이 주주사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판독장치에서 원고누름판(13)에 형성된 마크 패턴(14)과 그에 대응하는 원고 폭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대(11)의 외주부에는 규격 사이즈의 원고(B6, A3, B5, A4, B5R, A4R, B4, A3)를 나타내는 원고 사이즈 라벨(size label)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원고 사이즈 라벨을 참고하여 원고 사이즈에 알맞은 위치에 원고를 올려놓는다. 규격 사이즈의 원고를 원고대(11)에 놓는다면, 각 사이즈의 원고(B6, A3, B5, A4, B5R, A4R, B4, A3)는 원고대(11)에 도 4와 같이 배치된다.
원고 사이즈 감지시 원고의 폭은 원고누름판(13)에 원고 폭에 대응하여 형성된 마크 패턴(14)을 이용하여 감지하고, 원고의 길이는 원고 길이별로 배치된 원고감지센서(40)를 이용하여 감지한다.
사용자가 원고 사이즈 라벨에 따라 원고를 원고대(11)에 올려놓은 경우, 원고감지센서(40)에 의해 원고의 유무를 감지함으로써 원고의 길이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1 원고감지센서(40)가 B5R 사이즈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제2 원고감지센서(41)가 A4R 사이즈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경우, 제1 원고감지센서(40)가 "원고없음"을 감지하고, 제2 원고감지센서(41)가 "원고없음"을 감지하면, 원고의 길이를 B6, A5, B5, A4 사이즈 중 어느 하나라고 판단한다. 또한, 제1 원고감지센서(40)가 "원고있음"을 감지하고, 제2 원고감지센서(41)가 "원고없음"을 감지하면, 원고 길이를 B5R 사이즈라고 판단한다. 또한, 제1 원고감지센서(40)가 "원고있음"을 감지하고, 제2 원고감지센서(41)가 "원고있음"을 감지하면, 원고의 길이를 A4R, B4, A3 사이즈 중 어느 하나라고 판단한다.
한편, 원고대(11)에 놓이는 원고의 폭을 감지할 수 있도록 원고누름판(13)에 형성된 마크 패턴(14)은 원고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원고누름판(13) 상의 영역에 주주사방향으로 인쇄된다. 예를 들면, 마크 패턴(14)은 스캔 마스킹 영역 이내(일예로, 4mm 이하)에서 미리 설정된 폭(일예로, 2.5ㅁ0.5mm)과 미리 설정된 높이(일예로, 0.5mm)으로 블랙 바(14a)와 화이트 바(14b)(혹은 그레이 바)가 인쇄된 형태이다. 즉, 마크 패턴(14)은 복수 개의 블랙 바(14a)가 미리 설정된 길이에 대하여 동일 간격으로 인쇄된 형태이다. 일예로, 마크 패턴에 대한 스캐닝은 원고 선단부로부터 일예로 약 3mm 정도까지만 순간적으로 이루어진다.
원고 사이즈 감지시 스캐닝부(20)의 제1 광학대(23)(107)는 원고누름판(13)에 형성된 마크 패턴(14) 영역에 상응하는 장소에 위치한다. 이 장소는 제1 광학대(23)의 홈포지션 위치일 수 있다. 따라서, 원고누름판(13)에 형성된 마크 패턴(14) 영역에 상응하는 위치가 홈포지션 위치인 경우에는 제1 광학대(23)를 별도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원고 사이즈를 판단한 후 신속히 원고를 판독하기 위한 작업으로 전환할 수 있어 화상 판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원고 사이즈 감지시 원고누름판(13)에 형성된 마크 패턴(14)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 마크 패턴(14)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픽셀값이 0 내지 256 중 동일한 픽셀값이 연속되다가 픽셀값이 다른 픽셀값으로 전환되는 시점(예를 들면, 0(블랙)에서 256(화이트)으로 전환되는 시점)을 판단하여 그 시점 이전에 동일한 픽셀값이 연속되는 영역의 길이를 원고의 폭으로 판단한다. 즉, 원고가 원고대(11)에 놓여지면, 원고의 폭 만큼 마크들이 가려지기 때문에 그 마크들의 영역에서는 동일한 픽셀값인 256인 연속된다. 그러다가 원고의 폭을 벗어나면 비로소 마크가 블랙 마크 와 화이트 마크가 번갈아 나타나 픽셀값이 0→256→0→256→0→256→0→256→??의 순서로 바뀐다. 이때, 동일한 픽셀값이 연속된 영역의 길이를 원고의 폭으로 판단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판독장치에서 제1 원고의 제1 원고 폭(L1)을 판단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판독장치에서 제2 원고의 제2 원고 폭(L2)을 판단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B6 사이즈와 원고 길이는 같고, B6 사이즈보다 원고 폭이 더 큰 원고(원고 폭 L1)의 경우, 마크 패턴(14)이 형성된 영역의 이미지를 생성하여 분석해보면, 이미지에서 픽셀값은 원고의 원고 폭 L1 길이까지는 화이트 픽셀값인 256이 연속해서 나타난다. 그러다가 원고 폭 L1 길이를 벗어나면 픽셀값이 0→256→0→256→0→256→0→256→??의 순서로 바뀐다. 따라서, 원고의 폭을 동일한 픽셀값 256이 연속된 영역의 길이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B5R 사이즈와 원고 길이는 같고, B5R 사이즈보다 원고 폭이 더 큰 원고(원고 폭 L2(L2>L1))의 경우, 마크 패턴(14)이 형성된 영역의 이미지를 생성하여 분석해보면, 이미지에서 픽셀값은 원고의 원고 폭 L2 길이까지는 화이트 픽셀값인 256이 연속해서 나타난다. 그러다가 원고 폭 L2 길이를 벗어나면 픽셀값이 0→256→0→256→0→256→0→256→??의 순서로 바뀐다. 따라서, 원고의 폭을 동일한 픽셀값 256이 연속된 영역의 길이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원고의 길이와 원고의 폭이 감지되면, 그에 대응하는 원고 사이즈를 판단한다. 이때, 규정 사이즈의 원고만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감지된 원고의 길이와 폭을 규정 사이즈에 알맞은 원고 사이즈로 판단한다(도 5의 경우 A5, 도 7의 경우 B4). 반면에 비규정 사이즈의 원고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라면 감지된 원고의 길이와 폭 그대로 원고 사이즈로 판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판독장치의 개략적인 제어블록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판독장치는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60)를 구비한다.
제어부(60)는 커버감지부(50), 스캐닝부(20) 및 구동모터(30)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60)는 커버감지부(50)의 작동을 감지하여 커버(12)가 열리거나 닫히는 것을 인식한다.
제어부(60)는 스캐닝부(20)의 이미지센서(28)의 출력과 원고감지센서(40)의 출력을 근거로 하여 원고의 폭과 길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원고 사이즈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60)는 이미지센서(28)의 출력에 대해서는 이미지에서 동일한 픽셀값이 연속된 영역의 길이에 따라 원고의 폭을 판단하고, 원고감지센서(40)의 출력에 대해서는 원고감지센서(40)가 위치한 장소에서의 원고의 유무에 따라 원고의 길이를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60)는 커버감지부(50)를 통해 커버(12)가 닫히는지를 판단하고, 커버(12)의 닫힘이 감지되면, 스캐닝부(20)의 제1 광학대(23)와 제2 광학 대(26)를 부주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모터(30)를 제어하여 광원(21)이 있는 제1 광학대(23)를 원고누름판(13)에 형성된 마크 패턴(14)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킨 후 마크 패턴(14) 영역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성하고, 생성된 이미지에서 동일한 픽셀값이 연속된 영역의 길이에 따라 원고의 폭을 판단한다. 원고의 폭이 판단된 후에는 제1 광학대(23)를 원래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홈 포지션 위치와 마크 패턴(14)이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가 동일한 경우에는 제1 광학대(23)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원고 사이즈 판단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판독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제어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가 원고 판독을 위해 원고를 원고대(11)에 올려놓고 커버(12)를 닫으면 제어부(60)는 커버감지부(50)의 상태를 파악하여 커버(12)의 닫힘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100).
커버(12)의 닫힘이 감지되면, 제어부(60)는 원고감지센서(40,41)의 출력을 읽어 들인다(101).
제어부(60)는 원고감지센서(40,41)의 출력을 읽어 들임으로써 원고의 길이(부주사방향의 길이)를 판단한다(102). 도 4와 같이, 제1 원고감지센서(40)가 B5R 사이즈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제2 원고감지센서(41)가 A4R 사이즈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경우, 제1 원고감지센서(40)가 "원고없음"을 감지하고 제2 원고감지센서(41)가 "원고없음"을 감지하면, 원고의 길이를 B6, A5, B5, A4 사이즈 중 어느 하나라고 판단한다. 또한, 제1 원고감지센서(40)가 "원고있음"을 감지하고 제2 원고감지센서(41)가 "원고없음"을 감지하면, 원고 길이를 B5R 사이즈라고 판단한다. 또한, 제1 원고감지센서(40)가 "원고있음"을 감지하고 제2 원고감지센서(41)가 "원고있음"을 감지하면, 원고의 길이를 A4R, B4, A3 사이즈 중 어느 하나라고 판단한다.
원고의 길이를 판단함과 함께 제어부(60)는 구동모터(30)를 통해 스캐닝유닛(20)의 광원(21)을 가진 제1 광학대(23)를 마크 패턴(14)이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1 광학대(23)의 초기 위치가 마크 패턴(14)이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인 경우에는 제1 광학대(23)를 이동시킬 필요 없다.
제1 광학대(23)를 이동시킨 후 제어부(60)는 마크 패턴(14)이 형성된 영역을 스캔하기 위해 광원(21)을 점등시킨다(103). 이 광원(21)이 점등됨으로 인해 마크 패턴(14)이 형성된 영역에 광이 조사되고, 그 영역에서 반사된 광이 다수의 미러(22,24,25) 및 렌즈(27)를 경유하여 이미지센서(28)에 유입된다.
광원(21)을 점등시킨 후 제어부(60)는 이미지센서(28)의 제어하여 마크 패턴(14)이 형성된 영역의 이미지를 생성한다(104).
마크 패턴 이미지를 생성한 후 제어부(60)는 마크 패턴 이미지를 분석한다(105). 마크 패턴 이미지 분석은 마크 패턴 이미지의 픽셀값을 분석하여 동일한 픽셀값이 연속된 영역과 픽셀값이 반복해서 바뀌는 영역을 구분한다. 이때, 구분된 영역이 나타나는 이유는 원고대에 놓인 원고에 의해 마크 패턴 중 특정 부분의 패턴은 원고에 가려져서 스캐닝부(20)이 그 패턴을 감지할 수 없으며, 원고에 가려지 지 않은 부분의 마크 패턴부터 그 이후의 마크 패턴만 인식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크 패턴 이미지를 분석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제어부(60)는 동일한 픽셀값이 연속된 영역의 길이를 원고의 폭(주주사방향의 길이)을 판단한다(106).
작동모드 102와 106에서 판단된 원고의 길이와 폭에 따라 제어부(60)는 최종적으로 원고 사이즈를 판단한다(107).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판독장치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판독장치의 부주사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판독장치의 주주사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판독장치에서 원고누름판에 형성된 마크 패턴과 그에 대응하는 원고 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판독장치에서 제1 원고의 제1 원고 폭(L1)을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판독장치에서 제2 원고의 제2 원고 폭(L2)를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판독장치의 개략적인 제어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판독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기능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원고대
12 : 커버 13 : 원고누름판
14 : 마크 패턴 20 : 스캐닝부
21 : 광원 28 : 이미지센서
30 ; 구동모터 40,41 : 원고감지센서
50 : 커버감지부 60 : 제어부

Claims (21)

  1. 원고의 폭 감지를 위해 미리 설정된 길이로 마크패턴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마크패턴이 형성된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마크패턴이 형성된 영역에서 반사된 광을 수신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센서와,
    상기 생성된 이미지에서 동일한 픽셀값이 연속된 영역의 길이에 따라 상기 원고의 폭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판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 패턴은 서로 다른 색상의 두 개의 마크가 주주사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교대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화상판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 패턴은 상기 커버가 닫힐 때 상기 원고를 누르도록 마련된 원고누름판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판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 패턴은 상기 원고누름판의 영역 중 상기 원고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판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닫힘을 감지하는 커버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감지부를 통해 상기 커버가 닫히면 상기 이미지센서에 상기 이미지가 생성되도록 상기 광원을 점등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판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가 놓이는 원고대의 하부측에 마련되어 상기 원고의 유무를 감지하는 원고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고의 유무에 따라 상기 원고의 길이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판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고의 폭 및 길이에 따라 상기 원고의 사이즈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판독장치.
  8. 원고의 폭 감지를 위해 미리 설정된 길이로 마크패턴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마크패턴이 형성된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마크패턴이 형성된 영역에서 반사된 광을 수신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센서와,
    상기 커버의 닫힘을 감지하는 커버감지부와,
    상기 커버감지부를 통해 상기 커버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이미지를 생성시키고, 상기 생성된 이미지에서 동일한 픽셀값이 연속된 영역의 길이에 따라 상기 원고의 폭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판독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 패턴은 상기 커버의 영역 중 상기 원고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서로 다른 색상의 두 개의 마크가 주주사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교대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화상판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을 부주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가 닫힐 때 상기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상기 커버가 닫히면 상기 광원을 상기 마크 패턴이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판독장치.
  11. 제10에 있어서,
    상기 원고의 놓이는 원고대의 하부측에 마련되어 상기 원고의 유무를 감지하는 원고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고의 유무에 따라 상기 원고의 길이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판독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고의 폭 및 길이에 따라 상기 원고의 사이즈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판독장치.
  13. 원고의 폭 감지를 위해 미리 설정된 길이로 마크패턴이 형성된 커버를 구비한 화상판독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크 패턴이 형성된 영역에 광원을 통해 광을 조사하고,
    상기 마크 패턴이 형성된 영역에서 반사된 광을 수신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미지에서 동일한 픽셀값이 연속된 영역의 길이에 따라 상기 원고의 폭을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판독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을 조사하는 단계에서 상기 마크 패턴이 형성된 영역은 상기 커버의 영역 중 상기 원고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영역이고, 상기 마크 패턴은 서로 다른 색상의 두 개의 마크가 주주사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교대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화상판독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가 놓이는 원고대의 하부측에 설치된 원고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원고의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원고의 길이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판독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의 폭 및 길이에 따라 상기 원고의 사이즈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판독장치의 제어방법.
  17. 원고의 폭 감지를 위해 미리 설정된 길이로 마크패턴이 형성된 커버를 구비한 화상판독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닫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커버가 닫히면 상기 마크 패턴이 형성된 영역에 광원을 통해 광을 조사하고,
    상기 마크 패턴이 형성된 영역에서 반사된 광을 수신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미지에서 동일한 픽셀값이 연속된 영역의 길이에 따라 상기 원고의 폭을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판독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을 조사하는 단계에서 상기 마크 패턴이 형성된 영역은 상기 커버의 영역 중 상기 원고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영역이고, 상기 마크 패턴은 서로 다른 색상의 두 개의 마크가 주주사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교대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화상판독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 패턴이 형성된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는, 상기 커버가 닫히면 상기 광원을 상기 마크패턴이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광원이 상기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광원을 점등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판독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9에 있어서,
    상기 원고가 놓이는 원고대의 하부측에 설치된 원고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원고의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원고의 길이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판독장치의 제어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의 폭 및 길이에 따라 상기 원고의 사이즈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판독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90131593A 2009-12-28 2009-12-28 화상판독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7521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593A KR20110075211A (ko) 2009-12-28 2009-12-28 화상판독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2/979,452 US20110181920A1 (en) 2009-12-28 2010-12-28 Image rea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593A KR20110075211A (ko) 2009-12-28 2009-12-28 화상판독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211A true KR20110075211A (ko) 2011-07-06

Family

ID=44308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1593A KR20110075211A (ko) 2009-12-28 2009-12-28 화상판독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181920A1 (ko)
KR (1) KR2011007521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6878B2 (en) * 2011-11-23 2014-05-27 Canon U.S.A., Inc.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an electronic document
KR20130061604A (ko) * 2011-12-01 2013-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방법 및 기록 매체
US8913304B2 (en) * 2012-05-31 2014-12-16 Reynaldo Anaya Method of copying and scanning document
CN103685840B (zh) * 2012-09-21 2015-12-02 京瓷办公信息系统株式会社 图像读取装置
US9413912B2 (en) 2012-10-26 2016-08-09 Abbyy Development Llc Scanning device having a bed cover including a pattern of repeated design elements
US9571684B1 (en) * 2015-12-16 2017-02-14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of using a fiducial in determining two media types of different lengths used on a flatbed scanner
JP6869076B2 (ja) * 2017-03-30 2021-05-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2023060708A (ja) 2021-10-18 2023-04-28 株式会社リコー 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3069396A (ja) * 2021-11-05 2023-05-18 株式会社リコー 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3152008A (ja) * 2022-04-01 2023-10-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読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6712A (ja) * 1999-08-30 2001-03-16 Fuji Xerox Co Ltd 画像読取装置
US7492488B2 (en) * 2001-04-11 2009-02-17 Cathy Liu Image scanning system and method for scanner
US6920307B2 (en) * 2003-04-25 2005-07-19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implex and duplex image on paper regist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81920A1 (en) 201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5211A (ko) 화상판독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7098019B2 (ja) 画像読取装置
JP5473355B2 (ja) 原稿読取装置
US7464876B2 (en) Image reading device
JP5228749B2 (ja) 原稿サイズ検知機能を有する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548353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method
US913109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7355764B2 (en) Image reading system
JP4006417B2 (ja) 原稿読取り装置
JP6830325B2 (ja) 画像読取装置
JP2007174221A (ja) 画像読取装置
JPH0869215A (ja) 原稿サイズ検知装置
JP2010273099A (ja) 画像読取装置
JP4715674B2 (ja) 画像読取装置
JP3963855B2 (ja) 画像読取装置
JP7062551B2 (ja) 画像読取装置
KR20050046969A (ko) 용지가 위치한 영역만을 스캔할 수 있는 스캐너
JP2004264529A (ja) 画像読取装置
JP6443076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014598A (ja) 画像読取装置、及び原稿の状態の検知方法
JP2021072494A (ja) 画像読取装置
KR100492108B1 (ko) 사무용 자동화기기의 원고 테두리 검출방법
JP2021136567A (ja) 画像読取装置
JP2008016951A (ja) 画像読取装置
JP3014474U (ja) 原稿読み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