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5042A - 조혈 줄기 세포를 증식시키는 화합물 - Google Patents

조혈 줄기 세포를 증식시키는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5042A
KR20110075042A KR1020117012091A KR20117012091A KR20110075042A KR 20110075042 A KR20110075042 A KR 20110075042A KR 1020117012091 A KR1020117012091 A KR 1020117012091A KR 20117012091 A KR20117012091 A KR 20117012091A KR 20110075042 A KR20110075042 A KR 20110075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in
ethyl
isopropyl
ylamino
pyrid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2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4719B1 (ko
Inventor
앤소니 보이타노
마이클 쿡
시펭 팬
피터 지. 슐츠
존 텔레우
용퀸 완
싱 왕
Original Assignee
아이알엠 엘엘씨
더 스크립스 리서치 인스티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11133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07504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알엠 엘엘씨, 더 스크립스 리서치 인스티튜트 filed Critical 아이알엠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10075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5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6Antianaem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 C07D47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with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s 2 and 6
    • C07D473/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with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s 2 and 6 two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 C07D473/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with an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or 6, but not in both
    • C07D473/32Nitrogen atom
    • C07D473/34Nitrogen atom attached in position 6, e.g. aden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5/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C12N5/0647Haematopoietic stem cells; Uncommitted or multipotent progen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2035/124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the cells being hematopoietic, bone marrow derived or blood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30Hormones
    • C12N2501/38Hormones with nuclear recep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60Transcription fa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abet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Vir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Obesity (AREA)
  • On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식용 CD34+ 세포의 개수를 증식시키기 위한 화합물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증식된 조혈 줄기 세포 (HSC)를 포함하는 세포 집단, 및 유전 면역결핍 및 자가면역 질병 및 조혈 세포 계통 및 면역계 방어를 재구성하는 다양한 조혈 질환을 갖는 환자의 치료를 위한 자가 또는 동종이계 이식에서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혈 줄기 세포를 증식시키는 화합물 {COMPOUNDS THAT EXPAND HEMATOPOIETIC STEM CELLS}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08년 10월 30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61/109,821호 및 2009년 9월 15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61/242,765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이들 가출원의 전체 개시내용은 모든 목적을 위해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식용 CD34+ 세포의 개수를 증식시키기 위한 화합물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증식된 조혈 줄기 세포 (HSC)를 포함하는 세포 집단, 및 유전 면역결핍 및 자가면역 질병 및 조혈 세포 계통 및 면역계 방어를 재구성하는 다양한 조혈 질환을 갖는 환자의 치료를 위한 자가 또는 동종이계 이식에서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조혈 줄기 세포 (HSC)는 개인의 일생 전반에 걸쳐 모든 혈액 산물을 재생성하여, 그의 자가 재생성과 자손 분화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조혈 줄기 세포는 이식 수용자에서 혈액 및 면역 세포를 회복시키는 그의 능력의 결과로서 치료학적 잠재성을 갖는다. 더욱이, HSC는 다른 조직, 예컨대 뇌, 근육 및 간을 위한 세포를 재생성하는 잠재성을 갖는다. 인간 자가 및 동종이계 골수 이식 방법은 백혈병, 림프종 및 다른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을 위한 치료요법으로서 현재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절차를 위해, 생착을 위한 충분한 HSC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다수의 줄기 세포가 단리되어야 한다. 치료에 이용가능한 HSC의 개수가 임상적 한계이다.
본 발명은 조혈 줄기 세포 집단을 증식시키기 위한 화합물 및 조성물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요약>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N-옥시드 유도체, 전구약물 유도체, 보호된 유도체, 개별 이성질체 및 이들의 이성질체들의 혼합물; 또는 이러한 화합물의 염 (바람직하게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용매화물 (예를 들어 수화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G1은 N 및 CR3으로부터 선택되고;
G2, G3 및 G4는 CH 및 N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나; 단 G3 및 G4 중 적어도 하나는 N이고; G1 및 G2가 둘 모두 N은 아니고;
L은 -NR5a(CH2)0-3- (여기서 0-3은 0, 1, 2 또는 3을 의미함), -NR5aCH(C(O)OCH3)CH2-, -NR5a(CH2)2NR5b-, -NR5a(CH2)2S-, -NR5aCH2CH(CH3)CH2-, -NR5aCH2CH(OH)- 및 -NR5aCH(CH3)CH2-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a 및 R5b는 수소 및 C1 -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1은 수소, 페닐, 티오페닐, 푸라닐, 1H-벤조이미다졸릴, 이소퀴놀리닐, 1H-이미다조피리디닐, 벤조티오페닐, 피리미디닐, 1H-피라졸릴, 피리디닐, 1H-이미다졸릴, 피롤리디닐, 피라지닐, 피리다지닐, 1H-피롤릴 및 티아졸릴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R1의 페닐, 티오페닐, 푸라닐, 1H-벤조이미다졸릴, 이소퀴놀리닐, 1H-이미다조피리디닐, 벤조티오페닐, 피리미디닐, 1H-피라졸릴, 피리디닐, 1H-이미다졸릴, 피롤리디닐, 피라지닐, 피리다지닐, 1H-피롤릴 또는 티아졸릴은 시아노, 히드록시, C1 - 4알킬, C1 - 4알콕시, 할로, 할로-치환된-C1 - 4알킬, 할로-치환된-C1 - 4알콕시, 히드록시, 아미노, -C(O)R8a, -S(O)0-2R8a, -C(O)OR8a 및 -C(O)NR8aR8b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라디칼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고; 여기서 R8a 및 R8b는 수소 및 C1 - 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나; 단 R1 및 R3이 둘 모두 수소는 아니고;
R2는 -S(O)2NR6aR6b, -NR9aC(O)R9b, -NR6aC(O)NR6bR6c, 페닐, 1H-피롤로피리딘-3-일, 1H-인돌릴, 티오페닐, 피리디닐, 1H-1,2,4-트리아졸릴, 2-옥소이미다졸리디닐, 1H-피라졸릴, 2-옥소-2,3-디히드로-1H-벤조이미다졸릴 및 1H-인다졸릴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6a, R6b 및 R6c는 수소 및 C1 - 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상기 R2의 페닐, 1H-피롤로피리딘-3-일, 1H-인돌릴, 티오페닐, 피리디닐, 1H-1,2,4-트리아졸릴, 2-옥소이미다졸리디닐, 1H-피라졸릴, 2-옥소-2,3-디히드로-1H-벤조이미다졸릴 또는 1H-인다졸릴은 히드록시, 할로, 메틸, 메톡시, 아미노, -O(CH2)nNR7aR7b, -S(O)2NR7aR7b, -OS(O)2NR7aR7b 및 -NR7aS(O)2R7b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라디칼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고; 여기서 R7a 및 R7b는 수소 및 C1 - 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3은 수소, C1 - 4알킬 및 비페닐로부터 선택되고;
R4는 C1 - 10알킬, 프로프-1-엔-2-일, 시클로헥실, 시클로프로필, 2-(2-옥소피롤리딘-1-일)에틸, 옥세탄-3-일, 벤즈히드릴, 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 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 페닐, 테트라히드로푸란-3-일, 벤질, (4-펜틸페닐)(페닐)메틸 및 1-(1-(2-옥소-6,9,12-트리옥사-3-아자테트라데칸-14-일)-1H-1,2,3-트리아졸-4-일)에틸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킬, 시클로프로필, 시클로헥실, 2-(2-옥소피롤리딘-1-일)에틸, 옥세탄-3-일, 옥세탄-2-일, 벤즈히드릴, 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 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 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 페닐, 테트라히드로푸란-3-일, 테트라히드로푸란-2-일, 벤질, (4-펜틸페닐)(페닐)메틸 또는 1-(1-(2-옥소-6,9,12-트리옥사-3-아자테트라데칸-14-일)-1H-1,2,3-트리아졸-4-일)에틸은 히드록시, C1 - 4알킬 및 할로-치환된-C1 - 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라디칼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도 1은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의 고체 형태 변형 A의 PXRD 패턴을 개시한다.
도 2 내지 12는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염, 니트레이트, 메실레이트, 토실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술페이트, 베실레이트, 에실레이트, 히드로브로마이드, 오로테이트, 푸마레이트 및 나파디실레이트 염의 고체 형태의 PXRD 패턴을 각각 개시한다.
도 13은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의 무정형 형태의 DSC 패턴을 개시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정의
"알킬"은 기로서 및 다른 기의 구조적 요소로서 (예를 들어 할로-치환된-알킬 및 알콕시)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알킬에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부틸 등이 포함된다. C1 -4-알콕시에는 메톡시, 에톡시 등이 포함된다. 할로-치환된 알킬에는 트리플루오로메틸, 펜타플루오로에틸 등이 포함된다.
"아릴"은 6 내지 1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모노시클릭 또는 융합된 비시클릭 방향족 고리 어셈블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아릴은 페닐 또는 나프틸, 바람직하게는 페닐일 수 있다. "아릴렌"은 아릴 기로부터 유도된 2가 라디칼을 의미한다.
"헤테로아릴"은 고리 구성원 중 하나 이상이 -O-, -N=, -NR-, -C(O)-, -S-, -S(O)- 또는 -S(O)2- (여기서 R은 수소, C1 - 4알킬 또는 질소 보호기임)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원자 또는 모이어티인 아릴인 것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헤테로아릴에는 피리딜, 인돌릴, 인다졸릴, 퀴녹살리닐, 퀴놀리닐, 벤조푸라닐, 벤조피라닐, 벤조티오피라닐, 벤조[1,3]디옥솔, 이미다졸릴, 벤조-이미다졸릴, 피리미디닐, 푸라닐,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피라졸릴, 티에닐 등이 포함된다.
"시클로알킬"은 지정된 개수의 고리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 모노시클릭, 융합된 비시클릭 또는 다리 폴리시클릭 고리 어셈블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C3 - 10시클로알킬에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등이 포함된다. "헤테로시클로알킬"은 지정된 고리 탄소 중 하나 이상이 -O-, -N=, -NR-, -C(O)-, -S-, -S(O)- 또는 -S(O)2- (여기서 R은 수소, C1 - 4알킬 또는 질소 보호기임)로부터 선택된 모이어티에 의해 대체된,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시클로알킬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을 기재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C3 - 8헤테로시클로알킬에는 모르폴리노, 피롤리디닐, 피페라지닐, 피페리디닐, 피페리디닐온, 2-옥소-피롤리딘-1-일, 1,4-디옥사-8-아자-스피로[4.5]데크-8-일 등이 포함된다.
"할로겐" (또는 할로)은 바람직하게는 클로로 또는 플루오로를 나타내나, 또한 브로모 또는 요오도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조혈 줄기 세포" (HSC)는 과립구 (예를 들어, 전골수구, 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 적혈구 (예를 들어, 망상적혈구, 적혈구), 트롬보사이트 (예를 들어, 거핵모구, 혈소판 생성 거핵구, 혈소판) 및 단핵구 (예를 들어, 단핵구, 대식세포)를 포함하는 보다 성숙한 혈구로 분화하고 자가 재생성하는 능력을 가진 미성숙 혈구를 지칭한다. HSC는 명세서 전반에 걸쳐 줄기 세포로서 상호교환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세포가 CD34+ 세포를 포함할 수 있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은 당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CD34+ 세포는 CD34 세포 표면 마커를 발현하는 미성숙 세포이다. CD34+ 세포는 상기 정의된 줄기 세포 특성을 갖는 세포의 하위집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HSC는 만능 줄기 세포, 다능 줄기 세포 (예를 들어, 림프성 줄기 세포), 및/또는 특정 조혈 계통에 관계된 줄기 세포를 포함하는 것으로 당분야에 익히 공지되어 있다. 특정 조혈 계통에 관계된 줄기 세포는 T 세포 계통, B 세포 계통, 수지상 세포 계통, 랑게르한스 세포 계통 및/또는 림프성 조직-특이적 대식세포 세포 계통일 수 있다. 또한, HSC는 또한 장기 HSC (LT-HSC) 및 단기 HSC (ST-HSC)를 지칭한다. ST-HSC는 LT-HSC보다 더 활성이고 더 증식성이다. 그러나, LT-HSC는 무제한 자가 재생성을 갖는 반면 (즉, 이는 성인기 전반에 걸쳐 생존한다), ST-HSC는 제한된 자가 재생성을 갖는다 (즉, 이는 제한된 기간 동안만 생존한다). 이들 HSC 중 임의의 것이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임의로, ST-HSC는 고도로 증식성이고 그러므로 HSC 및 그의 자손의 개수를 신속하게 증가시키기 때문에 유용하다. 조혈 줄기 세포는 임의로 혈액 산물로부터 얻는다. 혈액 산물은 조혈 기원의 세포를 함유하는 신체 또는 신체 기관으로부터 얻어지는 산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공급원에는 비분획화된 골수, 제대, 말초혈, 간, 흉선, 림프 및 비장이 포함된다. 상기 언급된 조 혈액 산물 또는 비분획화된 혈액 산물 모두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조혈 줄기 세포 특징을 갖는 세포가 풍부하게 될 수 있다.
"치료하다", "치료하는" 및 "치료"는 질병 및/또는 그의 수반 증상을 경감시키거나 완화시키는 방법을 지칭한다.
세포와 관련하여 "증식"은 특징적인 세포 유형, 또는 동일할 수 있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는 세포의 시원 세포 집단으로부터의 세포 유형들의 개수의 증가를 지칭한다. 증식을 위해 사용되는 시원 세포는 증식으로부터 생성된 세포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세포 집단"은 생물학적 공급원, 예를 들어, 혈액 산물 또는 조직으로부터 단리되고 하나 초과의 세포로부터 유래된 진핵생물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 세포를 지칭한다.
"풍부한"은 세포 집단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마커, 예를 들어, CD34+의 존재에 기초하여 선택된 세포 집단을 지칭한다.
용어 "CD34+ 세포"는 그의 표면에 CD34 마커를 발현하는 세포를 지칭한다. CD34+ 세포는 예를 들어 유동세포계측법 및 형광으로 표지된 항-CD34 항체를 이용하여 검출되고 계수될 수 있다.
"CD34+ 세포가 풍부한"은 세포 집단이 CD34 마커의 존재에 기초하여 선택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선택 단계 후 세포 집단 중 CD34+ 세포의 백분율이 CD34 마커에 기초한 선택 단계 전 시원 세포 집단 중 CD34+ 세포의 백분율보다 더 높다. 예를 들어, CD34+ 세포는 CD34+ 세포가 풍부한 세포 집단 중 세포의 적어도 50%, 60%, 70%, 80% 또는 적어도 90%를 나타낼 수 있다.
"제대혈 유닛"은 단일 출생의 제대로부터 수집된 혈액을 지칭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설명>
본 발명은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및/또는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경로의 하류 이펙터의 활성 및/또는 발현을 하향조절할 수 있는 작용제를 사용하여 HSC 집단을 증식시키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의 활성 및/또는 발현을 하향조절할 수 있는 상기 작용제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하여,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a, Ib, Ic, Id 및 Ie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 Ia>
Figure pct00002
<화학식 Ib>
Figure pct00003
<화학식 Ic>
Figure pct00004
<화학식 Id>
Figure pct00005
<화학식 Ie>
Figure pct00006
상기 식에서,
L은 -NR5a(CH2)0-3-, -NR5aCH(C(O)OCH3)CH2-, -NR5a(CH2)2NR5b-, -NR5a(CH2)2S-, -NR5aCH2CH(CH3)CH2-, -NR5aCH2CH(OH)- 및 -NR5aCH(CH3)CH2-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a 및 R5b는 수소 및 C1 - 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표시낸 바와 같은 L 모이어티의 우측은 R2에 부착되며, 예를 들어 -NR5a(CH2)0-3-R2, -NR5aCH(C(O)OCH3)CH2-R2, -NR5a(CH2)2NR5b-R2, -NR5a(CH2)2S-R2, -NR5aCH2CH(CH3)CH2-R2, -NR5aCH2CH(OH)-R2 및 -NR5aCH(CH3)CH2-R2이고;
R1은 수소, 페닐, 티오펜-2-일, 티오펜-3-일, 푸란-3-일, 1H-벤조[d]이미다졸-1-일, 이소퀴놀린-4-일, 1H-이미다조[4,5-b]피리딘-1-일, 벤조[b]티오펜-3-일, 피리미딘-5-일, 1H-피라졸-4-일, 피리딘-2-일, 피리딘-4-일, 1H-이미다졸-1-일, 피롤리딘-1-일, 피라진-2-일, 피리딘-3-일, 피리다진-4-일, 1H-피롤-2-일 및 티아졸-5-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R1의 페닐, 티오펜-2-일, 티오펜-3-일, 푸란-3-일, 1H-벤조[d]이미다졸-1-일, 이소퀴놀린-4-일, 1H-이미다조[4,5-b]피리딘-1-일, 벤조[b]티오펜-3-일, 피리미딘-5-일, 피리딘-2-일, 피리딘-4-일, 1H-이미다졸-1-일, 피롤리딘-1-일, 피라진-2-일, 피리딘-3-일, 피리다진-4-일, 1H-피롤-2-일 또는 티아졸-5-일은 시아노, 히드록시, C1 - 4알킬, C1 - 4알콕시, 할로, 할로-치환된-C1 - 4알킬, -S(O)0-2R8a 및 -C(O)OR8a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라디칼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고; 여기서 R8a 및 R8b는 수소 및 C1 - 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나; 단 R1 및 R3이 둘 모두 수소는 아니고;
R2는 -NR6aC(O)NR6bR6c, 페닐, 1H-피롤로[2,3-b]피리딘-3-일, 1H-피롤로[2,3-b]피리딘-5-일, 1H-인돌-3-일, 티오펜-3-일, 피리딘-2-일, 피리딘-3-일, 피리딘-4-일, 1H-1,2,4-트리아졸-5-일, 2-옥소이미다졸리딘-1-일, 1H-피라졸-3-일, 1H-피라졸-4-일, 2-옥소-2,3-디히드로-1H-벤조[d]이미다졸-5-일 및 1H-인다졸-3-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6a, R6b 및 R6c는 수소 및 C1 - 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상기 R2의 페닐, 1H-피롤로[2,3-b]피리딘-3-일, 1H-피롤로[2,3-b]피리딘-5-일, 1H-인돌-3-일, 티오펜-3-일, 피리딘-2-일, 피리딘-3-일, 피리딘-4-일, 1H-1,2,4-트리아졸-5-일, 2-옥소이미다졸리딘-1-일, 1H-피라졸-3-일, 1H-피라졸-4-일, 2-옥소-2,3-디히드로-1H-벤조[d]이미다졸-5-일 또는 1H-인다졸-3-일은 히드록시, 할로, 메톡시, 아미노, -OS(O)2NR7aR7b 및 -NR7aS(O)2R7b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라디칼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고; 여기서 R7a 및 R7b는 수소 및 C1 - 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3은 수소, C1 - 4알킬 및 비페닐로부터 선택되고;
R4는 이소프로필, 메틸, 에틸, 프로프-1-엔-2-일, 이소부틸, 시클로헥실, sec-부틸, (S)-sec-부틸, (R)-sec-부틸, 1-히드록시프로판-2-일, (S)-1-히드록시프로판-2-일, (R)-1-히드록시프로판-2-일, 노난-2-일, 2-(2-옥소피롤리딘-1-일)에틸, 옥세탄-3-일, 옥세탄-2-일, 벤즈히드릴, 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 페닐, 테트라히드로푸란-3-일 및 벤질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시클로헥실, 2-(2-옥소피롤리딘-1-일)에틸, 옥세탄-3-일, 옥세탄-2-일, 벤즈히드릴, 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 페닐, 테트라히드로푸란-3-일 또는 벤질은 C1 - 4알킬 및 할로-치환된-C1 - 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라디칼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L은 -NR5a(CH2)0-3-, -NR5aCH(C(O)OCH3)CH2-, -NR5a(CH2)2NR5b-, -NR5a(CH2)2S-, -NR5aCH2CH(CH3)CH2-, -NR5aCH(CH3)CH2- 및 -NR5aCH2CH(OH)-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a 및 R5b는 수소 및 메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1은 수소, 페닐, 티오펜-2-일, 티오펜-3-일, 푸란-3-일, 1H-벤조[d]이미다졸-1-일, 이소퀴놀린-4-일, 1H-이미다조[4,5-b]피리딘-1-일, 벤조[b]티오펜-3-일, 피리미딘-5-일, 1H-피라졸-4-일, 피리딘-2-일, 피리딘-4-일, 1H-이미다졸-1-일, 피롤리딘-1-일, 피라진-2-일, 피리딘-3-일, 피리다진-4-일, 1H-피롤-2-일 및 티아졸-5-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R1의 페닐, 티오펜-2-일, 티오펜-3-일, 푸란-3-일, 1H-벤조[d]이미다졸-1-일, 이소퀴놀린-4-일, 1H-이미다조[4,5-b]피리딘-1-일, 벤조[b]티오펜-3-일, 피리미딘-5-일, 피리딘-2-일, 피리딘-4-일, 1H-이미다졸-1-일, 피롤리딘-1-일, 피라진-2-일, 피리딘-3-일, 피리다진-4-일, 1H-피롤-2-일 또는 티아졸-5-일은 시아노, 히드록시, C1 - 4알킬, C1 - 4알콕시, 할로, 할로-치환된-C1 - 4알킬, -S(O)0-2R8a 및 -C(O)OR8a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라디칼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고; 여기서 R8a 및 R8b는 수소 및 C1 - 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나; 단 R1 및 R3이 둘 모두 수소는 아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L이 -NR5a(CH2)0-3인 경우, 이는 바람직하게는 -NR5a(CH2)1-3 (여기서 1-3은 본원에서 1, 2 또는 3임)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2는 우레아, 페닐, 1H-인돌-2-일, 1H-인돌-3-일, 티오펜-3-일, 피페리딘-1-일, 피리딘-2-일, 피리딘-3-일, 피리딘-4-일, 1H-1,2,4-트리아졸-3-일, 1H-1,2,4-트리아졸-5-일, 2-옥소이미다졸리딘-1-일, 1H-피라졸-3-일, 1H-피라졸-4-일, 2-옥소-2,3-디히드로-1H-벤조[d]이미다졸-5-일, 1H-벤조[d]이미다졸-5-일 및 1H-이미다졸-4-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R2의 페닐, 1H-인돌-2-일, 1H-인돌-3-일, 티오펜-3-일, 피페리딘-1-일, 피리딘-2-일, 피리딘-3-일, 피리딘-4-일, 1H-1,2,4-트리아졸-3-일, 1H-1,2,4-트리아졸-5-일, 2-옥소이미다졸리딘-1-일, 1H-피라졸-3-일, 1H-피라졸-4-일, 2-옥소-2,3-디히드로-1H-벤조[d]이미다졸-5-일 또는 1H-벤조[d]이미다졸-5-일은 히드록시, 메톡시, 메틸, 할로, 아미노 및 아미노-술포닐로 임의로 치환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3은 수소, 메틸 및 비페닐로부터 선택되고; R4는 이소프로필, 메틸, 에틸, 프로프-1-엔-2-일, 이소부틸, 시클로헥실, sec-부틸, (S)-sec-부틸, (R)-sec-부틸, 1-히드록시프로판-2-일, (S)-1-히드록시프로판-2-일, (R)-1-히드록시프로판-2-일, 노난-2-일, 2-(2-옥소피롤리딘-1-일)에틸, 옥세탄-3-일, 옥세탄-2-일, 벤즈히드릴, 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 페닐, 테트라히드로푸란-3-일 및 벤질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시클로헥실, 2-(2-옥소피롤리딘-1-일)에틸, 옥세탄-3-일, 옥세탄-2-일, 벤즈히드릴, 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 페닐, 테트라히드로푸란-3-일 또는 벤질은 메틸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라디칼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벤조[b]티오펜-3-일)-9-sec-부틸-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벤즈히드릴-2-(벤조[b]티오펜-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벤조[b]티오펜-3-일)-9-(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티오펜-2-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벤조[b]티오펜-3-일)-9-(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부틸-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벤조[b]티오펜-3-일)-9-메틸-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벤조[b]티오펜-3-일)-9-(4-메틸벤질)-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N-(2-(1H-인돌-3-일)에틸)-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N-(2-(티오펜-3-일)에틸)-9H-퓨린-6-아민; 3-(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2-(벤조[b]티오펜-3-일)-N-(4-플루오로페네틸)-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N-(4-아미노페네틸)-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4-(2-(9-이소프로필-2-(피리미딘-5-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페닐-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티오펜-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푸란-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2-(벤조[b]티오펜-3-일)-N-(4-플루오로페네틸)-9-페닐-9H-퓨린-6-아민; N-벤질-8-(비페닐-4-일)-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4-(2-(2-(벤조[b]티오펜-3-일)-9-(노난-2-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N-(2-(1H-인돌-3-일)에틸)-2-(벤조[b]티오펜-3-일)-9-sec-부틸-9H-퓨린-6-아민; 3-(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1H-인돌-5-일 5-((3aS,4S,6aR)-2-옥소헥사히드로-1H-티에노[3,4-d]이미다졸-4-일)펜타노에이트; N-(2-(2-(2-(2-(4-(1-(2-(벤조[b]티오펜-3-일)-6-(4-히드록시페네틸아미노)-9H-퓨린-9-일)에틸)-1H-1,2,3-트리아졸-1-일)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세트아미드; 4-(2-(9-이소프로필-2-(피리딘-4-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에틸 5-(6-(4-히드록시페네틸아미노)-9-이소프로필-9H-퓨린-2-일)니코티네이트; 에틸 5-(6-(4-히드록시페네틸아미노)-9-이소프로필-9H-퓨린-2-일)니코티네이트; 4-(2-(2-(6-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4-메틸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5-(6-(4-히드록시페네틸아미노)-9-이소프로필-9H-퓨린-2-일)니코티노니트릴; 4-(2-(9-이소프로필-2-(피롤리딘-1-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1H-이미다졸-1-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피리다진-4-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피라진-2-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피리딘-2-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5-(메틸술포닐)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5-메틸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4-클로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1-메틸-1H-피라졸-4-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2-메톡시페놀; 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2-메톡시페놀; N-[2-(6-메톡시-1H-인돌-3-일)에틸]-9-(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N-[2-(5-메틸-1H-인돌-3-일)에틸]-9-(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1-(2-{[9-(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이미다졸리딘-2-온; N-(2-{[9-(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피리딘-2-아민; 9-(프로판-2-일)-N-[3-(1H-피라졸-4-일)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N-{2-[(3-메틸-1H-1,2,4-트리아졸-5-일)술파닐]에틸}-9-(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1-(2-{[2-(1-벤조티오펜-3-일)-9-(프로판-2-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이미다졸리딘-2-온; N-[2-(5-아미노-1H-1,2,4-트리아졸-3-일)에틸]-2-(1-벤조티오펜-3-일)-9-(프로판-2-일)-9H-퓨린-6-아민; N-(2-{[2-(1-벤조티오펜-3-일)-9-(프로판-2-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피리딘-2-아민; 2-(1-벤조티오펜-3-일)-9-(프로판-2-일)-N-[3-(1H-피라졸-4-일)프로필]-9H-퓨린-6-아민; 2-(1-벤조티오펜-3-일)-N-[3-(3,5-디메틸-1H-피라졸-4-일)프로필]-9-(프로판-2-일)-9H-퓨린-6-아민; (2-{[2-(1-벤조티오펜-3-일)-9-(프로판-2-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우레아; 5-({[2-(1-벤조티오펜-3-일)-9-(프로판-2-일)-9H-퓨린-6-일]아미노}메틸)-2,3-디히드로-1H-1,3-벤조디아졸-2-온; N-[2-(1H-인돌-3-일)에틸]-9-(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N-(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닐)메탄-술폰아미드; 4-(2-(2-(피리딘-3-일)-9-(테트라히드로푸란-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프로필)페놀; 4-(2-(9-(옥세탄-3-일)-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5-(6-(4-히드록시페네틸아미노)-9-이소프로필-9H-퓨린-2-일)-N-메틸니코틴아미드; 4-(2-(9-(1-히드록시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닐 술파메이트; 4-(2-(2-(2-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1-메틸-1H-피롤-2-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티아졸-5-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1H-벤조[d]이미다졸-1-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2,4-디메틸-1H-이미다졸-1-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2-메틸-1H-이미다졸-1-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5-(9-sec-부틸-6-(4-히드록시-3-메틸페네틸아미노)-9H-퓨린-2-일)니코티노니트릴; N-(2-(1H-피롤로[2,3-b]피리딘-5-일)에틸)-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9-이소프로필-N-(2-(5-메틸-1H-피라졸-3-일)에틸)-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4-(2-(2-(5-플루오로피리딘-3-일)-9-(옥세탄-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5-클로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5-(6-(2-(1H-인돌-3-일)에틸아미노)-9-sec-부틸-9H-퓨린-2-일)니코티노니트릴; N-(2-(1H-인돌-3-일)에틸)-9-sec-부틸-2-(5-메틸피리딘-3-일)-9H-퓨린-6-아민; (R)-N-(2-(1H-인돌-3-일)에틸)-9-sec-부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H-퓨린-6-아민; (S)-N-(2-(1H-인돌-3-일)에틸)-9-sec-부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H-퓨린-6-아민; N-(2-(1H-인돌-3-일)에틸)-9-sec-부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H-퓨린-6-아민; (R)-N-(2-(1H-인돌-3-일)에틸)-9-sec-부틸-2-(5-메틸피리딘-3-일)-9H-퓨린-6-아민; (S)-N-(2-(1H-인돌-3-일)에틸)-9-sec-부틸-2-(5-메틸피리딘-3-일)-9H-퓨린-6-아민; 5-(6-(4-히드록시페네틸아미노)-9-(옥세탄-3-일)-9H-퓨린-2-일)니코티노니트릴; 4-(2-(6-(5-플루오로피리딘-3-일)-1-이소프로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일아미노)에틸)페놀; 4-(2-(6-(벤조[b]티오펜-3-일)-1-이소프로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일아미노)에틸)페놀; (R)-4-(2-(2-(5-플루오로피리딘-3-일)-9-(테트라히드로푸란-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3-메틸페놀; 5-(6-(4-히드록시페네틸아미노)-9-이소프로필-9H-퓨린-2-일)피콜리노니트릴; 3-(6-(4-히드록시페네틸아미노)-9-이소프로필-9H-퓨린-2-일)이소니코티노니트릴; 4-(2-(2-(5-플루오로피리딘-3-일)-7-이소프로필-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에틸)페놀; 3-(6-(4-히드록시페네틸아미노)-9-이소프로필-9H-퓨린-2-일)피콜리노니트릴; 4-(2-(9-이소프로필-2-(6-메틸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이소퀴놀린-4-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2-클로로-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3-플루오로-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N-(2-(5-클로로-1H-인돌-3-일)에틸)-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N-(2-(5-플루오로-1H-인돌-3-일)에틸)-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2-메틸페놀; 4-(2-(2-(벤조[b]티오펜-3-일)-9-(옥세탄-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S)-4-(2-(2-(벤조[b]티오펜-3-일)-9-(테트라히드로푸란-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R)-4-(2-(2-(벤조[b]티오펜-3-일)-9-(테트라히드로푸란-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2-(6-(2-(1H-인돌-3-일)에틸아미노)-2-(5-플루오로피리딘-3-일)-9H-퓨린-9-일)프로판-1-올; (R)-2-(6-(2-(1H-인돌-3-일)에틸아미노)-2-(5-플루오로피리딘-3-일)-9H-퓨린-9-일)프로판-1-올; (S)-2-(6-(2-(1H-인돌-3-일)에틸아미노)-2-(5-플루오로피리딘-3-일)-9H-퓨린-9-일)프로판-1-올; (R)-N-(2-(1H-인돌-3-일)에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테트라히드로푸란-3-일)-9H-퓨린-6-아민; 4-(2-(2-(3H-이미다조[4,5-b]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1H-이미다조[4,5-b]피리딘-1-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6-(5-플루오로피리딘-3-일)-1-이소프로필-1H-이미다조[4,5-c]피리딘-4-일아미노)에틸)페놀; 4-(2-(2-(4,5-디메틸-1H-이미다졸-1-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N-(2-(피리딘-3-일)에틸)-9H-퓨린-6-아민; 4-(2-(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페놀; 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N-(2-(6-메톡시-1H-인돌-3-일)에틸)-9H-퓨린-6-아민; N-(2-(1H-인돌-3-일)에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N-(2-(5-메톡시-1H-인돌-3-일)에틸)-9H-퓨린-6-아민; N-(2-(1H-인돌-3-일)에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프로프-1-엔-2-일)-9H-퓨린-6-아민; 5-(2-(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피리딘-2-올; N-(2-(1H-피롤로[2,3-b]피리딘-3-일)에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N-(2-(6-(2-(디에틸아미노)에톡시)-1H-인돌-3-일)에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4-(2-(5-(5-플루오로피리딘-3-일)-3-이소프로필-3H-이미다조[4,5-b]피리딘-7-일아미노)에틸)페놀; N-(2-(1H-인돌-3-일)에틸)-9-sec-부틸-2-(2-메틸-1H-이미다졸-1-일)-9H-퓨린-6-아민; 4-(2-(2-(2-에틸-1H-이미다졸-1-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2-프로필-1H-이미다졸-1-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3-(2-(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1H-인돌-6-올; N-(2-(1H-인돌-3-일)에틸)-9-이소프로필-2-(5-메틸피리딘-3-일)-9H-퓨린-6-아민; N-(2-(1H-인돌-3-일)에틸)-9-이소프로필-2-(2-메틸-1H-이미다졸-1-일)-9H-퓨린-6-아민; 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N-(2-(7-메틸-1H-인돌-3-일)에틸)-9H-퓨린-6-아민; N-(2-(1H-인돌-3-일)에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옥세탄-3-일)-9H-퓨린-6-아민; N-(2-(1H-인돌-3-일)에틸)-2-(5-메틸피리딘-3-일)-9-(옥세탄-3-일)-9H-퓨린-6-아민; N-(2-(6-플루오로-1H-인돌-3-일)에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N-(2-(6-메틸-1H-인돌-3-일)에틸)-9H-퓨린-6-아민; 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N-(2-(2-메틸-1H-인돌-3-일)에틸)-9H-퓨린-6-아민; N-(2-(4-플루오로-1H-인돌-3-일)에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N-(2-(7-플루오로-1H-인돌-3-일)에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N-(2-(4-메틸-1H-인돌-3-일)에틸)-9H-퓨린-6-아민; 4-(2-(2-(벤조[b]티오펜-3-일)-7-이소프로필-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에틸)페놀; 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N-(2-(피리딘-4-일)에틸)-9H-퓨린-6-아민; N-(2-(1H-피롤로[2,3-b]피리딘-5-일)에틸)-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4-(2-(2-(5-플루오로피리딘-3-일)-9-(1-히드록시프로판-2-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2-메틸페놀; 4-(2-(2-(벤조[b]티오펜-3-일)-9-시클로헥실-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티오펜-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및 1-(2-(2-(벤조[b]티오펜-3-일)-6-(4-히드록시페네틸아미노)-9H-퓨린-9-일)에틸)피롤리딘-2-온으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실시예 및 표 1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Ia의 화합물; 또는 N-옥시드 유도체, 전구약물 유도체, 보호된 유도체, 개별 이성질체 및 그의 이성질체들의 혼합물; 또는 이러한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용매화물 (예를 들어 수화물)이다.
<화학식 Ia>
Figure pct00007
상기 식에서,
L은 -NR5a(CH2)0-3-, -NR5aCH(C(O)OCH3)CH2-, -NR5a(CH2)2NR5b-, -NR5a(CH2)2S-, -NR5aCH2CH(CH3)CH2-, -NR5aCH(CH3)CH2-, -(CH2)3-, -CH2OCH2-, -CH2NR5aCH2-, -NR5aC(O)CH2- 및 -NR5aY-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a 및 R5b는 수소 및 C1 - 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Y는 O, N 및 S로부터 선택된 3개 이하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원 헤테로아릴 고리이고;
R1은 수소, 페닐, 티오펜-2-일, 티오펜-3-일, 푸란-2-일, 푸란-3-일, 벤조[b]티오펜-2-일, 벤조[b]티오펜-3-일, 벤조푸란-2-일, 벤조푸란-3-일, 피리미딘-4-일, 피리미딘-5-일, 1H-피라졸-4-일, 1H-피라졸-3-일, 피리딘-2-일, 피리다진-3-일, 피리딘-4-일, 1H-이미다졸-1-일, 피롤리딘-1-일, 피라진-2-일, 피리딘-3-일, 1H-피라졸-1-일, 피리다진-4-일, 1H-인돌-2-일, 티아졸-4-일, 1H-인돌-3-일, 1H-피롤-2-일 및 티아졸-5-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R1의 페닐, 티오펜-2-일, 티오펜-3-일, 푸란-2-일, 푸란-3-일, 벤조[b]티오펜-2-일, 벤조[b]티오펜-3-일, 벤조푸란-2-일, 벤조푸란-3-일, 피리미딘-4-일, 피리미딘-5-일, 1H-피라졸-4-일, 1H-피라졸-3-일, 피리딘-2-일, 피리다진-3-일, 피리딘-4-일, 1H-이미다졸-1-일, 피롤리딘-1-일, 피라진-2-일, 피리딘-3-일, 1H-피라졸-1-일, 피리다진-4-일, 1H-인돌-2-일, 티아졸-4-일, 1H-인돌-3-일, 1H-피롤-2-일 또는 티아졸-5-일은 시아노, 히드록시, C1 - 4알킬, C1 - 4알콕시, 할로, 할로-치환된-C1 - 4알킬, 할로-치환된-C1 - 4알콕시, 히드록시, 아미노, -C(O)R8a, -S(O)0-2R8a, -C(O)OR8a 및 -C(O)NR8aR8b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라디칼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고; 여기서 R8a 및 R8b는 수소 및 C1 - 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나; 단 R1 및 R3이 둘 모두 수소는 아니고;
R2는 -S(O)2NR6aR6b, -NR9aC(O)R9b, -NR6aC(O)NR6bR6c, 페닐, 1H-인돌-2-일, 1H-인돌-3-일, 벤조[b]티오펜-2-일, 벤조[b]티오펜-3-일, 벤조푸란-2-일, 벤조푸란-3-일, 티오펜-2-일, 티오펜-3-일, 푸란-2-일, 푸란-3-일, 피페리딘-4-일, 피페리딘-3-일, 피페리딘-2-일, 피페리딘-1-일, 피리딘-2-일, 피리딘-3-일, 피리딘-4-일, 1H-1,2,4-트리아졸-3-일, 1H-1,2,4-트리아졸-5-일, 2-옥소이미다졸리딘-1-일, 1H-피라졸-3-일, 1H-피라졸-4-일, 3-옥소피페라진-1-일, 2-옥소-2,3-디히드로-1H-벤조[d]이미다졸-5-일, 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2-일, 인돌린-5-일, 2-옥소인돌린-5-일, 1H-벤조[d]이미다졸-5-일, 1H-인다졸-5-일 및 1H-이미다졸-4-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6a, R6b 및 R6c는 수소 및 C1 - 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2의 상기 페닐, 1H-인돌-2-일, 1H-인돌-3-일, 벤조[b]티오펜-2-일, 벤조[b]티오펜-3-일, 벤조푸란-2-일, 벤조푸란-3-일, 티오펜-2-일, 티오펜-3-일 또는 푸란-2-일, 푸란-3-일, 피페리딘-4-일, 피페리딘-3-일, 피페리딘-2-일, 피페리딘-1-일, 피리딘-2-일, 피리딘-3-일, 피리딘-4-일, 1H-1,2,4-트리아졸-3-일, 1H-1,2,4-트리아졸-5-일, 2-옥소이미다졸리딘-1-일, 1H-피라졸-3-일, 3-옥소피페라진-1-일, 2-옥소-2,3-디히드로-1H-벤조[d]이미다졸-5-일, 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2-일, 인돌린-5-일, 2-옥소인돌린-5-일, 1H-벤조[d]이미다졸-5-일, 1H-인다졸-5-일 또는 1H-이미다졸-4-일은 히드록시, 할로, 메틸, 메톡시, 아미노, -S(O)2NR7aR7b, -OS(O)2NR7aR7b 및 -NR7aS(O)2R7b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라디칼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고; 여기서 R7a 및 R7b는 수소 및 C1 - 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5-((3aS,4S,6aR)-2-옥소헥사히드로-1H-티에노[3,4-d]이미다졸-4-일)펜타노일옥시, 2-(2-(5-((3aS,4S,6aR)-2-옥소헥사히드로-1H-티에노[3,4-d]이미다졸-4-일)펜탄아미도)에톡시)에톡시 및 2-(4-(4-헥스-5-인아미도벤조일)페닐아미노)-2-옥소에톡시로부터 선택된 단일 라디칼이고;
R3은 수소, C1 - 4알킬 및 비페닐로부터 선택되고;
R4는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sec-부틸, 1-히드록시프로판-2-일, 시클로프로필, 옥세탄-3-일, 옥세탄-2-일, 벤즈히드릴, 피페리딘-4-일, 피페리딘-3-일, 피페리딘-2-일, 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 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 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 페닐, 테트라히드로푸란-3-일, 테트라히드로푸란-2-일, 벤질, (4-펜틸페닐)(페닐)메틸 및 1-(1-(2-옥소-6,9,12-트리옥사-3-아자테트라데칸-14-일)-1H-1,2,3-트리아졸-4-일)에틸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시클로프로필, 옥세탄-3-일, 옥세탄-2-일, 벤즈히드릴, 피페리딘-4-일, 피페리딘-3-일, 피페리딘-2-일, 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 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 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 페닐, 테트라히드로푸란-3-일, 테트라히드로푸란-2-일, 벤질, (4-펜틸페닐)(페닐)메틸 또는 1-(1-(2-옥소-6,9,12-트리옥사-3-아자테트라데칸-14-일)-1H-1,2,3-트리아졸-4-일)에틸은 C1 - 4알킬 및 할로-치환된-C1 - 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라디칼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a의 화합물에 관하여, L은 -NR5a(CH2)0-3-, -NR5aCH(C(O)OCH3)CH2-, -NR5a(CH2)2NR5b-, -NR5a(CH2)2S-, -NR5aCH2CH(CH3)CH2-, -NR5aCH(CH3)CH2-, -(CH2)3-, -CH2OCH2-, -CH2NR5aCH2-, -NR5aC(O)CH2- 및 -NR5aY-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a 및 R5b는 수소 및 메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Y는 이속사졸 및 1,3,4-옥사디아졸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L이 -NR5a(CH2)0-3인 경우, 이는 바람직하게는 -NR5a(CH2)1-3 (여기서 1-3은 본원에서 1, 2 또는 3을 의미함)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1은 수소, 페닐, 티오펜-3-일, 티오펜-2-일, 푸란-3-일, 푸란-2-일, 벤조[b]티오펜-3-일, 피리미딘-5-일, 피리딘-4-일, 피리딘-2-일, 피롤리딘-1-일, 1H-피라졸-4-일, 피라진-2-일, 피리다진-3-일, 피리다진-4-일, 1H-피라졸-1-일, 1H-피라졸-3-일, 1H-이미다졸-1-일, 티아졸-4-일, 1H-피롤-2-일, 티아졸-5-일 및 피리딘-3-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R1의 페닐, 티오펜-3-일, 티오펜-2-일, 푸란-3-일, 푸란-2-일, 벤조[b]티오펜-3-일, 피리미딘-5-일, 피리딘-4-일, 피리딘-2-일, 피롤리딘-1-일, 1H-피라졸-4-일, 피라진-2-일, 피리다진-3-일, 피리다진-4-일, 1H-피라졸-1-일, 1H-피라졸-3-일, 1H-이미다졸-1-일, 티아졸-4-일, 1H-피롤-2-일, 티아졸-5-일 또는 피리딘-3-일은 시아노, 메틸, 메틸-술포닐, 메톡시, 할로, 히드록시, 카르복실, 에톡시-카르보닐, 메틸-아미노-카르보닐 및 아미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라디칼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나; 단 R1 및 R3이 둘 모두 수소는 아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2는 아미노-술포닐, 메틸-카르보닐-아미노, 메틸-술포닐-아미노, 아미노-술포닐-옥시, 우레아, 페닐, 1H-인돌-2-일, 1H-인돌-3-일, 벤조[b]티오펜-2-일, 벤조[b]티오펜-3-일, 벤조푸란-2-일, 벤조푸란-3-일, 티오펜-2-일, 티오펜-3-일, 푸란-2-일, 푸란-3-일, 피페리딘-4-일, 피페리딘-3-일, 피페리딘-2-일, 피페리딘-1-일, 피리딘-2-일, 피리딘-3-일, 피리딘-4-일, 1H-1,2,4-트리아졸-3-일, 1H-1,2,4-트리아졸-5-일, 2-옥소이미다졸리딘-1-일, 1H-피라졸-3-일, 1H-피라졸-4-일, 3-옥소피페라진-1-일, 2-옥소-2,3-디히드로-1H-벤조[d]이미다졸-5-일, 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2-일, 인돌린-5-일, 2-옥소인돌린-5-일, 1H-벤조[d]이미다졸-5-일, 1H-인다졸-5-일 및 1H-이미다졸-4-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R2의 페닐, 1H-인돌-2-일, 1H-인돌-3-일, 벤조[b]티오펜-2-일, 벤조[b]티오펜-3-일, 벤조푸란-2-일, 벤조푸란-3-일, 티오펜-2-일, 티오펜-3-일, 푸란-2-일, 푸란-3-일, 피페리딘-4-일, 피페리딘-3-일, 피페리딘-2-일, 피페리딘-1-일, 피리딘-2-일, 피리딘-3-일, 피리딘-4-일, 1H-1,2,4-트리아졸-3-일, 1H-1,2,4-트리아졸-5-일, 2-옥소이미다졸리딘-1-일, 1H-피라졸-3-일, 1H-피라졸-4-일, 3-옥소피페라진-1-일, 2-옥소-2,3-디히드로-1H-벤조[d]이미다졸-5-일, 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2-일, 인돌린-5-일, 2-옥소인돌린-5-일, 1H-벤조[d]이미다졸-5-일, 1H-인다졸-5-일 및 1H-이미다졸-4-일은 히드록시, 메톡시, 메틸, 할로, 아미노, 아미노-술포닐, 5-((3aS,4S,6aR)-2-옥소헥사히드로-1H-티에노[3,4-d]이미다졸-4-일)펜타노일옥시, 2-(2-(5-((3aS,4S,6aR)-2-옥소헥사히드로-1H-티에노[3,4-d]이미다졸-4-일)펜탄아미도)에톡시)에톡시 및 2-(4-(4-헥스-5-인아미도벤조일)페닐아미노)-2-옥소에톡시로 임의로 치환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3은 수소, 메틸 및 비페닐로부터 선택되고; R4는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sec-부틸, 1-히드록시프로판-2-일, 시클로프로필, 옥세탄-3-일, 옥세탄-2-일, 벤즈히드릴, 피페리딘-4-일, 피페리딘-3-일, 피페리딘-2-일, 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 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 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 페닐, 테트라히드로푸란-3-일, 테트라히드로푸란-2-일, 벤질, (4-펜틸페닐)(페닐)메틸 및 1-(1-(2-옥소-6,9,12-트리옥사-3-아자테트라데칸-14-일)-1H-1,2,3-트리아졸-4-일)에틸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시클로프로필, 옥세탄-3-일, 옥세탄-2-일, 벤즈히드릴, 피페리딘-4-일, 피페리딘-3-일, 피페리딘-2-일, 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 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 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 페닐, 테트라히드로푸란-3-일, 테트라히드로푸란-2-일, 벤질, (4-펜틸페닐)(페닐)메틸 또는 1-(1-(2-옥소-6,9,12-트리옥사-3-아자테트라데칸-14-일)-1H-1,2,3-트리아졸-4-일)에틸은 메틸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벤조[b]티오펜-3-일)-9-sec-부틸-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벤즈히드릴-2-(벤조[b]티오펜-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벤조[b]티오펜-3-일)-9-(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벤조[b]티오펜-3-일)-9-(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부틸-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벤조[b]티오펜-3-일)-9-메틸-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벤조[b]티오펜-3-일)-9-(4-메틸벤질)-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N-(2-(1H-인돌-3-일)에틸)-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N-(2-(티오펜-3-일)에틸)-9H-퓨린-6-아민; 3-(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2-(벤조[b]티오펜-3-일)-N-(4-플루오로페네틸)-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N-(4-아미노페네틸)-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4-(2-(9-이소프로필-2-(피리미딘-5-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페닐-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티오펜-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푸란-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2-(벤조[b]티오펜-3-일)-N-(4-플루오로페네틸)-9-페닐-9H-퓨린-6-아민; N-벤질-8-(비페닐-4-일)-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4-(2-(2-(벤조[b]티오펜-3-일)-9-(노난-2-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벤조[b]티오펜-3-일)-9-((4-펜틸페닐)(페닐)메틸)-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N-(2-(1H-인돌-3-일)에틸)-2-(벤조[b]티오펜-3-일)-9-sec-부틸-9H-퓨린-6-아민; 4-(2-(2-(벤조[b]티오펜-3-일)-9-sec-부틸-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3-(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1H-인돌-5-올; 3-(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1H-인돌-5-일 5-((3aS,4S,6aR)-2-옥소헥사히드로-1H-티에노[3,4-d]이미다졸-4-일)펜타노에이트; N-(2-(2-(3-(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1H-인돌-5-일옥시)에톡시)에틸)-5-((3aS,4S,6aR)-2-옥소헥사히드로-1H-티에노[3,4-d]이미다졸-4-일)펜탄아미드; N-(4-(4-(2-(3-(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1H-인돌-5-일옥시)아세트아미도)벤조일)페닐)헥스-5-인아미드; N-(2-(2-(2-(2-(4-(1-(2-(벤조[b]티오펜-3-일)-6-(4-히드록시페네틸아미노)-9H-퓨린-9-일)에틸)-1H-1,2,3-트리아졸-1-일)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세트아미드; 4-(2-(9-이소프로필-2-(피리딘-4-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에틸 5-(6-(4-히드록시페네틸아미노)-9-이소프로필-9H-퓨린-2-일)니코티네이트; 에틸 5-(6-(4-히드록시페네틸아미노)-9-이소프로필-9H-퓨린-2-일)니코티네이트; 4-(2-(2-(6-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4-메틸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2-메톡시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5-(6-(4-히드록시페네틸아미노)-9-이소프로필-9H-퓨린-2-일)니코티노니트릴; 4-(2-(9-이소프로필-2-(피롤리딘-1-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1H-피라졸-1-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1H-이미다졸-1-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피리다진-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피리다진-4-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피라진-2-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피리딘-2-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5-(메틸술포닐)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5-메틸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2-클로로피리딘-3-일)-6-이소프로필-2,6-디히드로이미다조[4,5-c]피라졸-3-일아미노)에틸)페놀; 4-(2-(2-(4-클로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4-메톡시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티아졸-4-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1-메틸-1H-피라졸-4-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1H-피라졸-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1H-피라졸-4-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티오펜-2-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6-(4-히드록시페네틸아미노)-9-이소프로필-9H-퓨린-2-일)티오펜-2-카르복실산; 4-(2-(2-(푸란-2-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4-메틸티오펜-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2-메톡시페놀; 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2-메톡시페놀; N-[2-(6-메톡시-1H-인돌-3-일)에틸]-9-(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N-[2-(5-메틸-1H-인돌-3-일)에틸]-9-(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N-[2-(피페리딘-4-일)에틸]-9-(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1-(2-{[9-(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피페리딘-4-올; 메틸 (2S)-3-(4-히드록시페닐)-2-{[9-(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프로파노에이트; 4-(2-{[9-(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벤젠-1-술폰아미드; 2-{[2-(1-벤조티오펜-3-일)-9-(프로판-2-일)-9H-퓨린-6-일]아미노}에탄-1-술폰아미드; 4-(2-{[9-(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벤젠-1,2-디올; N-[2-(1H-이미다졸-4-일)에틸]-9-(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1-(2-{[9-(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이미다졸리딘-2-온; N-[2-(5-아미노-1H-1,2,4-트리아졸-3-일)에틸]-9-(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N-(2-{[9-(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피리딘-2-아민; 9-(프로판-2-일)-N-[3-(1H-피라졸-4-일)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N-[2-({[9-(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4-(2-{[9-(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피페라진-2-온; N-{2-[(3-메틸-1H-1,2,4-트리아졸-5-일)술파닐]에틸}-9-(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N-[3-(3,5-디메틸-1H-피라졸-4-일)프로필]-9-(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2-{[9-(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우레아; 5-({[9-(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메틸)-2,3-디히드로-1H-1,3-벤조디아졸-2-온; 2-(1-벤조티오펜-3-일)-N-[2-(1H-이미다졸-4-일)에틸]-9-(프로판-2-일)-9H-퓨린-6-아민; 1-(2-{[2-(1-벤조티오펜-3-일)-9-(프로판-2-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이미다졸리딘-2-온; N-[2-(5-아미노-1H-1,2,4-트리아졸-3-일)에틸]-2-(1-벤조티오펜-3-일)-9-(프로판-2-일)-9H-퓨린-6-아민; N-(2-{[2-(1-벤조티오펜-3-일)-9-(프로판-2-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피리딘-2-아민; 2-(1-벤조티오펜-3-일)-9-(프로판-2-일)-N-[3-(1H-피라졸-4-일)프로필]-9H-퓨린-6-아민; N-[2-({[2-(1-벤조티오펜-3-일)-9-(프로판-2-일)-9H-퓨린-6-일]아미노}메틸)프로필]아세트아미드; 4-(2-{[2-(1-벤조티오펜-3-일)-9-(프로판-2-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피페라진-2-온; 2-(1-벤조티오펜-3-일)-N-{2-[(3-메틸-1H-1,2,4-트리아졸-5-일)술파닐]에틸}-9-(프로판-2-일)-9H-퓨린-6-아민; 2-(1-벤조티오펜-3-일)-N-[3-(3,5-디메틸-1H-피라졸-4-일)프로필]-9-(프로판-2-일)-9H-퓨린-6-아민; (2-{[2-(1-벤조티오펜-3-일)-9-(프로판-2-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우레아; 5-({[2-(1-벤조티오펜-3-일)-9-(프로판-2-일)-9H-퓨린-6-일]아미노}메틸)-2,3-디히드로-1H-1,3-벤조디아졸-2-온; N-[2-(1H-인돌-3-일)에틸]-9-(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N-(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닐)메탄술폰아미드; 4-(2-(2-(피리딘-3-일)-9-(테트라히드로푸란-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프로필)페놀; 4-(2-(9-(옥세탄-3-일)-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5-(6-(4-히드록시페네틸아미노)-9-이소프로필-9H-퓨린-2-일)-N-메틸니코틴아미드; 6-(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5,6,7,8-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2-올; N-(2-(1H-인다졸-3-일)에틸)-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메틸)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8-메틸-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1-(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1H-벤조[d]이미다졸-2(3H)-온; 4-(3-(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프로필)페놀; 4-((((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메틸)(메틸)아미노)메틸)페놀; 4-(((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메틸아미노)메틸)페놀; 4-(((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메톡시)메틸)페놀; N-(2-(인돌린-5-일)에틸)-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4-(2-(9-(1-메틸피페리딘-4-일)-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피페리딘-4-일)-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N-(2-(1H-인다졸-5-일)에틸)-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N-(2-(1H-벤조[d]이미다졸-5-일)에틸)-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5-(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인돌린-2-온; 4-(2-(9-시클로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1-히드록시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닐 술파메이트; 2-(4-히드록시페닐)-N-(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세트아미드; 4-(5-(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이속사졸-3-일)페놀; 4-(5-(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1,3,4-옥사디아졸-2-일)페놀; 4-(2-(2-(2-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1-메틸-1H-피롤-2-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및 4-(2-(9-이소프로필-2-(티아졸-5-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If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If>
Figure pct00008
상기 식에서, R2는 히드록시로 임의로 치환된 1H-인돌-3-일 및 페닐로부터 선택되고; R4는 이소프로필, sec-부틸, 벤즈히드릴, 노난-2-일, 옥세탄-3-일 및 테트라히드로푸란-3-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벤조[b]티오펜-3-일)-9-sec-부틸-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벤즈히드릴-2-(벤조[b]티오펜-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N-(2-(1H-인돌-3-일)에틸)-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4-(2-(2-(벤조[b]티오펜-3-일)-9-(노난-2-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N-(2-(1H-인돌-3-일)에틸)-2-(벤조[b]티오펜-3-일)-9-sec-부틸-9H-퓨린-6-아민; 4-(2-(2-(벤조[b]티오펜-3-일)-9-(옥세탄-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S)-4-(2-(2-(벤조[b]티오펜-3-일)-9-(테트라히드로푸란-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및 (R)-4-(2-(2-(벤조[b]티오펜-3-일)-9-(테트라히드로푸란-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Ig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Ig>
Figure pct00009
상기 식에서, R2는 1H-피롤로[2,3-b]피리딘-3-일; 할로, 메틸 및 메톡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2개의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된 1H-인돌-3-일; 및 메틸, 할로 및 히드록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2개의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로부터 선택되고; R4는 이소프로필, sec-부틸, 1-히드록시프로판-2-일, 프로프-1-엔-2-일, 벤즈히드릴, 노난-2-일, 옥세탄-3-일 및 테트라히드로푸란-3-일로부터 선택되고; Ra, Rb 및 Rc는 수소, 시아노, 메틸, 할로, -SO2CH3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6-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4-메틸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5-(6-(4-히드록시페네틸아미노)-9-이소프로필-9H-퓨린-2-일)니코티노니트릴; 4-(2-(9-이소프로필-2-(5-메틸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5-(메틸술포닐)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4-클로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9-이소프로필-N-(2-(6-메톡시-1H-인돌-3-일)에틸)-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9-이소프로필-N-(2-(5-메틸-1H-인돌-3-일)에틸)-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N-(2-(1H-인돌-3-일)에틸)-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4-(2-(9-(옥세탄-3-일)-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1-히드록시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2-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5-(9-sec-부틸-6-(4-히드록시-3-메틸페네틸아미노)-9H-퓨린-2-일)니코티노니트릴; 4-(2-(2-(5-플루오로피리딘-3-일)-9-(옥세탄-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5-클로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5-(6-(2-(1H-인돌-3-일)에틸아미노)-9-sec-부틸-9H-퓨린-2-일)니코티노니트릴; N-(2-(1H-인돌-3-일)에틸)-9-sec-부틸-2-(5-메틸피리딘-3-일)-9H-퓨린-6-아민; (R)-N-(2-(1H-인돌-3-일)에틸)-9-sec-부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H-퓨린-6-아민; (S)-N-(2-(1H-인돌-3-일)에틸)-9-sec-부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H-퓨린-6-아민; N-(2-(1H-인돌-3-일)에틸)-9-sec-부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H-퓨린-6-아민; (R)-N-(2-(1H-인돌-3-일)에틸)-9-sec-부틸-2-(5-메틸피리딘-3-일)-9H-퓨린-6-아민; (S)-N-(2-(1H-인돌-3-일)에틸)-9-sec-부틸-2-(5-메틸피리딘-3-일)-9H-퓨린-6-아민; 5-(6-(4-히드록시페네틸아미노)-9-(옥세탄-3-일)-9H-퓨린-2-일)니코티노니트릴; 4-(2-(6-(5-플루오로피리딘-3-일)-1-이소프로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일아미노)에틸)페놀; 3-(6-(4-히드록시페네틸아미노)-9-이소프로필-9H-퓨린-2-일)이소니코티노니트릴; 4-(2-(2-(5-플루오로피리딘-3-일)-7-이소프로필-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6-메틸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2-클로로-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3-플루오로-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N-(2-(5-플루오로-1H-인돌-3-일)에틸)-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N-(2-(5-클로로-1H-인돌-3-일)에틸)-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2-메틸페놀; 2-(6-(2-(1H-인돌-3-일)에틸아미노)-2-(5-플루오로피리딘-3-일)-9H-퓨린-9-일)프로판-1-올; (R)-2-(6-(2-(1H-인돌-3-일)에틸아미노)-2-(5-플루오로피리딘-3-일)-9H-퓨린-9-일)프로판-1-올; (S)-2-(6-(2-(1H-인돌-3-일)에틸아미노)-2-(5-플루오로피리딘-3-일)-9H-퓨린-9-일)프로판-1-올; (R)-N-(2-(1H-인돌-3-일)에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테트라히드로푸란-3-일)-9H-퓨린-6-아민; 4-(2-(6-(5-플루오로피리딘-3-일)-1-이소프로필-1H-이미다조[4,5-c]피리딘-4-일아미노)에틸)페놀; N-(2-(1H-인돌-3-일)에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N-(2-(6-메톡시-1H-인돌-3-일)에틸)-9H-퓨린-6-아민; 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N-(2-(5-메톡시-1H-인돌-3-일)에틸)-9H-퓨린-6-아민; N-(2-(1H-인돌-3-일)에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프로프-1-엔-2-일)-9H-퓨린-6-아민; N-(2-(1H-피롤로[2,3-b]피리딘-3-일)에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4-(2-(5-(5-플루오로피리딘-3-일)-3-이소프로필-3H-이미다조[4,5-b]피리딘-7-일아미노)에틸)페놀; N-(2-(1H-인돌-3-일)에틸)-9-이소프로필-2-(5-메틸피리딘-3-일)-9H-퓨린-6-아민; 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N-(2-(7-메틸-1H-인돌-3-일)에틸)-9H-퓨린-6-아민; N-(2-(1H-인돌-3-일)에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옥세탄-3-일)-9H-퓨린-6-아민; N-(2-(1H-인돌-3-일)에틸)-2-(5-메틸피리딘-3-일)-9-(옥세탄-3-일)-9H-퓨린-6-아민; N-(2-(6-플루오로-1H-인돌-3-일)에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N-(2-(2-메틸-1H-인돌-3-일)에틸)-9H-퓨린-6-아민; 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N-(2-(6-메틸-1H-인돌-3-일)에틸)-9H-퓨린-6-아민; N-(2-(4-플루오로-1H-인돌-3-일)에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N-(2-(4-메틸-1H-인돌-3-일)에틸)-9H-퓨린-6-아민; N-(2-(7-플루오로-1H-인돌-3-일)에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및 4-(2-(2-(5-플루오로피리딘-3-일)-9-(1-히드록시프로판-2-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2-메틸페놀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과 줄기 세포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분열 횟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줄기 세포의 증식을 자극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줄기 세포의 증식이 생체내에서, 시험관내에서 또는 생체외에서 수행되는 것인 방법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줄기 세포가 인간 조혈 줄기 세포인 방법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수득된 바와 같은 또는 수득가능한, 증식된 조혈 줄기 세포를 갖는 세포 집단이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이 적어도 105개 세포, 107개 세포, 108개 세포 또는 109개 세포의 세포 총량을 함유하고, 총 세포의 20 내지 100%가 CD34+ 세포이며, 예를 들어 총 세포의 40 내지 80%가 CD34+인, 1개 또는 2개의 제대혈 유닛, 바람직하게는 1개의 제대혈 유닛으로부터 유래된 증식된 HSC를 갖는 세포 집단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줄기 세포 치료요법이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근절을 가져오는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 방법이다.
줄기 세포 사용이 진행됨에 따라 줄기 세포 이식에 의해 치료될 수 있는 질병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비제한적인 실례의 목록이 이하 기재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유전 면역결핍 질병, 자가면역 질병 및/또는 조혈 질환의 치료를 위한 조성물의 제조에서, 발명의 요약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용도이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투여는 자가 이식이고, 조혈 질환은 다발성 골수종, 비호지킨 림프종, 호지킨병, 급성 골수성 백혈병, 신경모세포종, 배아 세포종, 자가면역 질환 및 아밀로이드증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자가면역 질환은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SLE) 및 전신성 경화증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투여는 동종이계 이식이고, 조혈 질환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 급성 림프모세포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골수증식성 질환, 골수이형성 증후군, 다발성 골수종, 비호지킨 림프종, 호지킨병, 재생불량성 빈혈, 진정 적혈구계 무형성증,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판코니 빈혈, 중증성 지중해빈혈, 겸상적혈구 빈혈, 중증 복합형 면역결핍증 (SCID), 비스코트-알드리히 증후군, 식혈세포성 림프조직구증 (HLH) 및 선천성 대사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선천성 대사 이상은 점액다당류증, 고셰병, 이염색 백색질장애 및 부신백질이영양증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유전 면역결핍 질병, 자가면역 질병 및/또는 조혈 질환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발명의 요약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화합물에 의해 증식된 조혈 줄기 세포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전 면역결핍 질병, 자가면역 질병 및/또는 조혈 질환의 치료 방법이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투여는 자가 이식이고, 조혈 질환은 다발성 골수종, 비호지킨 림프종, 호지킨병, 급성 골수성 백혈병, 신경모세포종, 배아 세포종, 자가면역 질환 및 아밀로이드증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자가면역 질환은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SLE) 및 전신성 경화증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투여는 동종이계 이식이고, 조혈 질환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 급성 림프모세포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골수증식성 질환, 골수이형성 증후군, 다발성 골수종, 비호지킨 림프종, 호지킨병, 재생불량성 빈혈, 진정 적혈구계 무형성증,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판코니 빈혈, 중증성 지중해빈혈, 겸상적혈구 빈혈, 중증 복합형 면역결핍증 (SCID), 비스코트-알드리히 증후군, 식혈세포성 림프조직구증 (HLH) 및 선천성 대사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선천성 대사 이상은 점액다당류증, 고셰병, 이염색 백색질장애 및 부신백질이영양증으로부터 선택된다.
유용성
HSC는 모든 혈구를 재생성할 수 있는 원시 세포이다. 발생 동안, 조혈은 태아 간으로부터 골수로 이동한 후, 이는 성인기 전반에 걸쳐 조혈 부위를 유지한다. 조혈이 골수에서 확립되면, HSC는 골강 전반에 걸쳐 무작위로 분포되지 않는다. 대신에, 이는 골내막 표면에 근접하여 발견된다. 보다 성숙한 줄기 세포는 골 표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개수가 증가한다. 최종적으로, 골의 중심 종축이 접근할 때 성숙 세포의 종말 분화가 일어난다.
성인, 제대혈, 태아 또는 배아 공급원으로부터 유래된 줄기 세포의 개수의 증식은 이식 및 혈액학 및 종양학 질병 및 질환을 위한 다른 치료요법에 거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러한 영향 중 최소는 증가된 안전성 및 감소된 비용일 것이다. 본원에서 방법에 기재된 바와 같이, HSC 개수는 생체외에서 증가된다. 현재 자가 공여자 이식의 대략 25%가 충분한 줄기 세포 결핍으로 금지되고 있기 때문에 줄기 세포 개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중요하다. 또한, 동종이계 이식을 필요로 하는 환자 중 25% 미만이 조직적합성이 있는 공여자를 찾을 수 있다. 제대혈 은행이 현재 존재하고, 일반 집단의 광범위한 인종간 체질을 망라하나, 이들 은행은 성인 수용자에 대한 표본에서 부적절한 줄기 세포 개수로 인해 아동에서 사용하는 것이 현재 제한된다. 줄기 세포 개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은 제대혈이 성인 환자에 대해 유용하게 되도록 하며, 이에 의해 동종이계 이식의 사용을 확대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임상적으로 유용한, 예를 들어, 생착을 빠르게 하고 호중구감소증의 지속시간을 감소시키데 유용한 선조 세포 개수를 증식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HSC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HSC의 증가는 대상체가 적어도 하나 초과의 HSC, 10% 증가, 20% 증가, 30% 증가 또는 그 초과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HSC는 CD34+ 세포의 서브세트로 구성될 수 있고, HSC의 증가는 세포 집단 내의 CD34+ 세포의 개수를 계수함으로써, 및 임의로 하기 실험 부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콜로니 형성 단위 (CFU)를 분석함으로써 CD34+ 세포의 분화 특성을 평가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증식 없는 대조와 비교하여 최소 10%, 바람직하게는 20% 증가 또는 30% 증가 또는 그 초과의 CD34+ 세포 배양물의 개수의 증가는 HSC 증식을 표시한다. HSC의 증식된 집단을 예를 들어, 대상체의 골수 샘플로부터 또는 배양물로부터 수확한다. HSC의 수확은 세포의 이탈 또는 분리로서 정의된다. 이는 수많은 방법, 예컨대 효소적, 비-효소적, 원심분리적, 전기적 또는 크기-기반 방법을 이용하여, 또는 바람직하게는, 배양 배지 (예를 들어, 세포가 인큐베이션되는 배지) 또는 완충액을 사용한 세포의 플러싱에 의해 달성된다. 세포를 임의로 수집하고, 분리하고, 추가로 증식하여 HSC의 훨씬 더 큰 집단 및 분화된 자손을 생성한다.
HSC의 증식된 집단의 제조 방법은 AHR 및/또는 AHR의 하류 이펙터의 활성 및/또는 발현을 하향조절할 수 있는 작용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을, HSC 및 임의로 HSC 지지 세포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출발 세포 집단 (즉, 세포의 비증식된 집단)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투여 단계는 생체외에서, 생체내에서 및/또는 시험관내에서 수행된다.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HSC의 증식된 집단은 임의로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생체외 증식을 위해, HSC 증식을 위한 이러한 작용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은 DMSO 또는 세포로부터 "세척된" 몇몇 다른 적합한 담체 중에 제제화될 수 있고, 세포는 예를 들어, 주입 완충액으로 이동될 수 있다. DMSO 제제는 예를 들어, 60% DMSO/40% 물 용액 중 0.3 mg/ml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원에 기재된 또는 본원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HSC의 증식된 집단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체에게 HSC의 증식된 집단을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HSC의 증식된 집단은 임의로 혈구를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혈구는 임의로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임의로, 대상체는 HSC의 비증식된 집단 또는 HSC 및 HSC 지지 세포의 혼합물이 유래된 대상체와 동일한 대상체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HSC 지지 세포는 HSC 지지 세포에 의해 방출된 인자가 예를 들어 확산에 의해 HSC에 도달하도록 하나 이상의 HSC의 부근에서 천연적으로 발견되는 세포를 지칭한다. HSC 지지 세포에는 림프망상 간질 세포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림프망상 간질 세포에는 림프구 또는 림프구 전구체 또는 선조가 아닌 림프성 조직에 존재하는 모든 세포 유형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림프망상 간질 세포에는 골모세포, 상피 세포, 내피 세포, 중피 세포, 수지상 세포, 비장세포 및 대식세포가 포함된다. 림프망상 간질 세포에는 또한 HSC 및 그의 자손의 유지, 성장 또는 분화에 필요한 인자를 그의 세포 표면 상에서 분비하거나 발현하도록 유전적으로 변경된, 섬유모세포와 같은 림프망상 간질 세포로서 통상적으로 기능하지 않는 세포가 포함된다. 림프망상 간질 세포는 임의로 림프성 조직의 조각의 분해로부터 유도된다. 이러한 세포는 HSC 및 그의 자손의 유지, 성장 또는 분화를 시험관내에서 또는 생체내에서 지지할 수 있다. 림프성 조직은 골수, 말초혈 (가동화 말초혈 포함), 제대혈, 태반혈, 태아 간, 배아 세포 (배아 줄기 세포 포함), 대동맥-생식선-중간콩팥 유래 세포 및 림프성 연부 조직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림프성 연부 조직에는 흉선, 비장, 간, 림프절, 피부, 편도, 인두 편도 및 파이어판과 같은 조직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림프망상 간질 세포는 HSC 및 그의 자손의 유지, 성장 또는 분화를 위한 무손상 림프성 조직 내의 미세 환경의 지지를 제공한다. 미세 환경은 림프망상 간질을 포함하는 다양한 세포 유형에 의해 발현된 가용성 및 세포 표면 인자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림프망상 간질 세포가 제공하는 지지는 접촉-의존성 및 접촉-비의존성 둘 모두로서 특징화된다.
림프망상 간질 세포는 예를 들어 HSC와 관련하여 자가 (autologous, self) 또는 비-자가 (non-autologous, non-self, 예를 들어, 이종, 동종이계, 동계 또는 이종발생성)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자가는 동일한 대상체로부터의 세포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동종이계는 유전적으로 상이한 동일한 종의 세포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동계는 비교하여 세포와 유전적으로 동일한 상이한 대상체의 세포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이종발생성은 상이한 종의 세포를 지칭한다. 림프망상 간질 세포는, 예를 들어 기관/조직이 HSC의 유지, 성장 또는 분화를 지지할 수 있는 단계 (성숙 단계)로 발달된 후의 임의의 시간에 인간 또는 비인간 대상체의 림프성 조직으로부터 얻어진다. 림프망상 간질 세포가 유래되는 림프성 조직은 계통-예탁 HSC가 착수하여 분화된 자손의 계통-특이성에 이르게 하는가를 통상적으로 결정한다.
림프망상 간질 세포와 HSC (및 그의 자손)의 공동배양은 통상적으로 당분야에 공지된 조건 (예를 들어, 온도, CO2 및 O2 함량, 영양 배지, 지속시간 등) 하에 수행된다. 세포의 개수를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시간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고 시딩된 세포의 본래의 개수에 의존하여 다양한 시간이다. 초기에 도입된 (및 후속적으로 시딩된) HSC 및 림프망상 간질 세포의 양은 실험의 필요사항에 따라 다양하다. 이상적인 양은 필요사항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된다.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대상체는 개인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대상체에는, 예를 들어 길들어진 동물, 예컨대 고양이 및 개, 가축 (예를 들어, 소, 말, 돼지, 양 및 염소), 실험실 동물 (예를 들어, 마우스, 토끼, 래트 및 기니피그), 포유동물, 비인간 포유동물, 영장류, 비인간 영장류, 설치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 어류 및 임의의 다른 동물이 포함된다. 대상체는 임의로 포유동물, 예컨대 영장류 또는 인간이다.
조혈 줄기 세포를 증식시키는 방법
본 발명은 그러므로 (a) 조혈 줄기 세포를 포함하는 출발 세포 집단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조혈 줄기 세포의 증식에 적합한 조건 하에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및/또는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경로의 하류 이펙터의 활성 및/또는 발현을 하향조절할 수 있는 작용제의 존재하에 생체외에서 상기 출발 세포 집단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혈 줄기 세포를 증식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릴 탄화수소 (다이옥신) 수용체 (AHR)는 동물 및 가능하게는 인간에서 다수의 독성 및 발암성 효과를 매개하는 것으로 공지된 세포질 리간드-활성화된 전사 인자이다 (문헌 [Safe S 2001 Toxicol Lett 120: 1-7]). 그의 리간드에 의한 AHR 활성화의 결과로서, I상 생체이물-대사성 효소, 예컨대 시토크롬 P450 CYP1A1, CYP1A2, CYP1B1 및 CYP2S1, 및 II상 효소 UDP-글루쿠로노실트랜스퍼라제 UGT1A6, NAD(P)H-의존적 퀴논 산화환원효소-1 (NQO1), 알데히드 데히드로게나제 ALDH3A1 및 여러 글루타티온-S-트랜스퍼라제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많은 해독 유전자가 전사적으로 유도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및/또는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경로의 하류 이펙터의 활성 및/또는 발현을 하향조절할 수 있는 작용제는 (i) 유기 화합물; (ii) AHR의 발현을 하향조절할 수 있는 작은 간섭 RNA (siRNA) 분자; 및 (iii) AHR의 발현을 하향조절할 수 있는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
한 구체적 실시양태에서, 조혈 줄기 세포를 증식시키는 상기 방법은 (a) 조혈 줄기 세포를 포함하는 출발 세포 집단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조혈 줄기 세포의 증식에 적합한 조건 하에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및/또는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경로의 하류 이펙터의 활성 및/또는 발현을 하향조절할 수 있는 작용제의 존재하에 생체외에서 상기 출발 세포 집단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및/또는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경로의 하류 이펙터의 활성 및/또는 발현을 하향조절할 수 있는 상기 작용제는 알파-나프토플라본 또는 3'-메톡시-4'-니트로플라본이 아니다.
AHR 활성을 억제하는 유기 화합물 (또한 본원에서 AHR 길항제라고 지칭됨), 예를 들어 2-메틸-2H-피라졸-3-카르복실산 (2-메틸-4-o-톨릴아조페닐)아미드 (CH223191), 알파 나프토플라본, 레스베라트롤 (문헌 [Nutr. Metab. Cardiovasc. Dis., 2003 Apr; 13(2):104-13]), 3'-메톡시-4'-니트로플라본 (문헌 [Biochem. Pharmacol., 2007 May 15; 73(10):1622-34, Epub 2007 Jan 30]) 및 6-메틸-1,3,8-트리클로로디벤조푸란 (문헌 [Cancer Res., 2004, Apr 15;64(8):2889-97])이 당분야에 기재되어 있다. AHR 활성의 억제제는 활성화된 조건 하에 관측된 바와 같은 AHR 활성을 AHR의 전사 활성의 적어도 10%, 20%, 30%, 50%, 60%, 70%, 80% 또는 적어도 90%로 감소시키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AHR 억제 활성을 측정하는 검정은 예를 들어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다이옥신-유도 AHR 의존적 루시퍼라제 리포터 유전자 검정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AHR 활성의 억제제는 다이옥신-유도 AHR 의존적 루시퍼라제 리포터 유전자 검정에서 측정된 바와 같은 10 μM 미만, 바람직하게는 5 μM 미만의 EC50을 갖는 화합물이다.
AHR은 인간에서 다양한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하는 전사 인자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AHR 경로의 하류 이펙터는 AHR에 의해 전사 수준에서 직접적으로 조절되는 유전자이다. 이러한 유전자의 예는 Cyp1B1, Cyp1A1 및 AHRR로부터 선택된다. AHR은 또한 생체이물 효소 유도에서 그의 잘 특징화된 역할 이외에 경로에서 기능한다. AHR의 생체이물 리간드는 베타 카테닌, STAT5, STAT1, HES-1, c-Myc, C/EBP, PU.1, β-카테닌, p21, P27, pRb, 데옥시뉴클레오티딜 트랜스퍼라제, CXCR4 및 그의 케모카인 리간드 CXCL12 (SDF-1)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구체적 실시양태에서,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의 활성 및/또는 발현을 하향조절할 수 있는 작용제는 발명의 요약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합물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의 활성 및/또는 발현을 하향조절할 수 있는 작용제는 AHR 단백질 발현 또는 AHR의 하나 이상의 하류 이펙터의 단백질 발현을 하향조절할 수 있는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작은 간섭 RNA 분자 (siRNA)이다.
AHR 단백질 발현을 효율적으로 억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설계는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그의 번역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세포 내의 mRNA라고 지칭되는 것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방법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AHR mRNA, 게놈 DNA 및/또는 그의 프로모터 또는 다른 제어 서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설계 및 합성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서열은 AHR, 특히 인간 AHR의 공개된 서열에서 이용가능하다. 또한, 표적 mRNA 및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둘 모두의 구조적 변경의 에너지학의 원인이 되는 열역학 사이클에 기초하여 그의 표적 mRNA에 대한 최고 예상 결합 친화도를 갖는 서열을 확인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또한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RNAi 분자의 합성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AHR mRNA 서열 (또는 그의 하류 이펙터들 중 하나 이상)을 AA-디뉴클레오티드 서열에 대한 AUG 출발 코돈의 하류로 스캐닝한다. 각각의 AA 및 19 3'-인접의 발생을 잠재적 siRNA 표적 부위로서 기록한다. 그 후, 임의의 서열 정렬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적절한 게놈 데이터베이스 (예를 들어, 인간, 마우스, 래트 등)와 잠재적 표적 부위를 비교한다. 다른 코딩 서열과 유의한 상동성을 나타내는 추정 표적 부위를 필터링 아웃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서열은 낮은 G/C 함량을 포함하는 서열, 특히 55% 미만의 G/C 함량을 갖는 서열이다. 그 후, 여러 표적 부위를 표적 유전자의 길이에 따라 선별한다. siRNA의 추정 표적 부위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문헌 [Tilesi, et al., Curr. Opin. Mol. Ther. 11:156, 2009]에 기재되어 있다. AHR의 발현을 하향조절할 수 있는 siRNA 분자의 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10
조혈 줄기 세포를 포함하는 출발 세포 집단은 예상되는 용도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선별될 것이다. 골수, 말초혈, 신생아 제대혈, 태반 또는 다른 공급원, 예컨대 간, 특히 태아 간을 포함하는, 조혈 줄기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의 다양한 공급원이 당분야에 기재되어 있다.
세포 집단을 먼저, 출발 세포 집단을 제공하기 위해 특이적 세포성 마커에 기초한 세포의 음성 및/또는 양성 선별을 포함하는 풍부화 또는 정제 단계로 처리할 수 있다. 특이적 세포성 마커에 기초하여 상기 출발 세포 집단을 단리하는 방법은 형광 활성화된 세포 분류법 (FACS) 기술 (또한 유동세포계측법이라 함), 또는 특이적 세포 표면 마커와 상호작용하는 항체 또는 리간드가 결합된 고체 또는 불용성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포는 항체를 함유하는 고체 기판 (예를 들어, 비드 컬럼, 플라스크, 자성 입자)과 접촉될 수 있으며, 임의의 비결합 세포는 제거된다. 자성 또는 상자성 비드를 포함하는 고체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비드에 결합된 세포를 자성 분리기에 의해 용의하게 단리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출발 세포 집단는 바람직한 세포 마커 표현형 (예를 들어, CD34+, CD133+, CD90+)이 풍부하거나, 또는 염료, 예컨대 로다민, 훽스트(Hoechst)의 유출량 또는 알데히드 데히드로게나제 활성에 기초한다. 한 구체적 실시양태에서, 상기 출발 세포 집단은 CD34+ 세포가 풍부하다. 혈구 집단을 CD34+ 세포가 풍부하게 하는 방법은 밀테니 바이오테크(Miltenyi Biotec) (CD34+ 직접 단리 키트, 밀테니 바이오테크(독일 베르기슈 글라트바흐)) 또는 백스터(Baxter) (아이솔렉스(Isolex) 3000)에 의해 상품화된 키트를 포함한다.
단일 출생으로부터의 제대혈의 양은 성인 또는 나이가 많은 아동을 치료하기에 종종 부적절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및/또는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경로의 하류 이펙터의 활성 및/또는 발현을 하향조절할 수 있는 작용제를 사용한 증식 방법의 한 장점은 오직 1개의 제대혈 유닛으로부터 충분량의 조혈 줄기 세포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출발 세포 집단은 CD34+ 세포가 풍부한 신생아 제대혈 세포로부터 유래된다. 한 관련 실시양태에서, 상기 출발 세포 집단은 1개 또는 2개의 제대혈 유닛으로부터 유래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출발 세포 집단은 CD34+ 세포가 풍부한 인간 가동화 말초혈 세포로부터 유래된다. 한 관련 실시양태에서, 상기 출발 세포 집단은 오직 1명의 환자로부터 단리된 인간 가동화 말초혈 세포로부터 유래된다.
상기 출발 세포 집단은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의 CD34+ 세포, 일부 실시양태에서, 90% 초과의 CD34+ 세포를 함유할 수 있고, 105개 내지 109개 유핵 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출발 세포 집단은 증식을 위해 직접적으로 사용되거나, 후일 사용하기 위해 동결되고 저장될 수 있다.
조혈 줄기 세포 증식을 위한 출발 세포 집단의 배양을 위한 조건은 특히 출발 세포 집단, 세포의 원하는 최종 개수 및 HSC의 원하는 최종 비율에 따라 다양할 것이다.
한 구체적 실시양태에서, 특히 CD34+ 세포가 풍부한 제대혈 세포로부터의 출발 세포 집단을 사용하는 실시양태에서, 배양 조건은 조혈 줄기 세포 증식을 위한 일반적으로 당분야에 공지된 다른 시토카인 및 성장 인자의 사용을 포함한다. 이러한 시토카인 및 성장 인자에는 제한 없이 IL-1, IL-3, IL-6, IL-11, G-CSF, GM-CSF, SCF, FlT3-L, 트롬보포이에틴 (TPO), 에리트로포이에틴 및 그의 유사체가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유사체"는 천연 형태로서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시토카인 및 성장 인자의 임의의 구조적 변이체, 예를 들어 제한 없이 천연 형태와 비교하여 향상된 또는 감소된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변이체, 또는 시토카인 수용체 효능제(agonist), 예컨대 TPO 수용체에 대한 효능제 항체 (예를 들어, 특허 공개 제WO 2007/145227호에 상세히 기재된 바와 같은 VB22B sc(Fv)2 등)를 포함한다. 시토카인 및 성장 인자 조합은 종말 분화된 세포의 생성을 제한하면서 HSC 및 선조 세포를 증식시키기 위해 선택된다. 한 구체적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시토카인 및 성장 인자는 SCF, Flt3-L 및 TP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한 구체적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TPO가 HSC 증식에 적합한 조건 하에 혈청-비함유 배지에서 사용된다. 한 관련 실시양태에서, IL6, SCF, Flt3-L 및 TPO의 혼합물이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및/또는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경로의 하류 이펙터의 활성 및/또는 발현을 하향조절할 수 있는 작용제와 조합하여 HSC를 증식시키는 방법에서 사용된다.
인간 IL6 또는 인터류킨-6 (또한 B-세포 자극 인자 2라고 공지됨)은 문헌 [Kishimoto, Ann. review of Imm. 23:1 2005]에 기재되어 있고 시판된다. 인간 SCF 또는 줄기 세포 인자 (또한 c-kit 리간드, 비만 세포 성장 인자 또는 스틸 인자라고 공지됨)는 문헌 [Smith, MA et al., ACTA Haematologica, 105, 3:143, 2001]에 기재되어 있고 시판된다. Flt3-L 또는 FLT-3 리간드 (또한 FL이라고 공지됨)는 flt3-수용체에 결합하는 인자이다. 이는 문헌 [Hannum C, Nature 368 (6472): 643-8]에 기재되어 있고 시판된다. TPO 또는 트롬보포이에틴 (또한 거핵구 성장 인자 (MGDF) 또는 c-Mpl 리간드라고 공지됨)은 문헌 [Kaushansky K (2006). N. Engl. J. Med. 354 (19): 2034-45]에 기재되어 있고 시판된다.
HSC의 증식은 상기 기재된 시토카인 및 성장 인자의 혼합물로 보충된 기초 배지에서 수행될 수 있다. 기초 배지는 전형적으로 아미노산, 탄소 공급원, 비타민, 혈청 단백질 (예를 들어 알부민), 무기 염, 2가 양이온, 완충제 및 HSC 증식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원소를 포함한다. HSC를 증식하는 방법에 적절한 이러한 기초 배지의 예로는 제한 없이, 스템스팬(StemSpan)® SFEM - 혈청-비함유 증식 배지 (스템셀 테크놀로지스(StemCell Technologies; 캐나다 밴쿠버), 스템스팬® H3000 - 한정 배지 (스템셀 테크놀로지스; 캐나다 밴쿠버), 셀그로(CellGro)® SCGM (셀게닉스(CellGenix; 독일 프라이부르크), 스템프로(StemPro)®-34 SFM (인비트로젠(Invitrogen))이 포함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및/또는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경로의 하류 이펙터의 활성 및/또는 발현을 하향조절할 수 있는 작용제는 HSC 증식에 적절한 농도 하에 상기 출발 세포 집단의 증식 방법 동안 투여된다. 한 구체적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합물 또는 AhR 조정제는 1 pM 내지 100 μM, 예를 들어 10 pM 내지 10 μM, 또는 100 pM 내지 1 μM으로 구성된 농도로 투여된다.
출발 세포 집단이 1개 또는 2개의 제대혈 유닛으로부터의 CD34+ 풍부 세포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한 구체적 실시양태에서, 세포는 약 3일 내지 약 90일, 예를 들어 7일 내지 2일 및/또는 지정된 배가 증식 및 특징적 세포 집단이 얻어질 때까지 HSC 증식을 위한 조건 하에 성장된다. 한 구체적 실시양태에서, 세포는 21일, 14일 또는 7일 이하 동안 HSC 증식을 위한 조건 하에 성장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출발 세포 집단은 적어도 105개, 106개, 107개, 108개 또는 109개 세포의 CD34+ 세포의 절대수에 도달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배양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출발 세포 집단은 CD34+ 세포의 10 내지 50000배 증식, 예를 들어 100 내지 10000배 증식에 충분한 시간 동안 배양된다.
증식 방법 후 얻어진 세포 집단은 추가 정제 없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추가 정제 또는 선별 단계로 처리될 수 있다.
그 후, 세포 집단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및/또는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경로의 하류 이펙터의 활성 및/또는 발현을 하향조절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작용제 및/또는 세포 배양의 임의의 다른 구성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되고, 단기 사용을 위한 적절한 세포 현탁액 배지 또는 장기 저장 배지, 예를 들어 냉동보존에 적합한 배지에 재현탁될 수 있다.
증식 방법에 의해 수득된 바와 같은 증식된 HSC를 갖는 세포 집단 및 치유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증식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또는 수득된, 증식된 HSC를 갖는 세포 집단을 추가로 제공한다. 한 구체적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세포 집단은 포유동물 숙주에게 투여하기에 적합한 제약상 허용되는 배지에 재현탁되고, 이에 의해 치유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발명의 요약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합물 또는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및/또는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경로의 하류 이펙터의 활성 및/또는 발현을 하향조절할 수 있는 작용제는 HSC, 예를 들어 오직 1개 또는 2개의 제대혈 유닛으로부터의 HSC의 증식을 가능하게 하여, 효율적 단기 및 장기 생착에 정량적으로 및 정성적으로 적절한 세포 집단을 이를 필요로 하는 인간 환자에게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1개 또는 2개 이하의 제대혈 유닛으로부터 유래된 증식된 HSC를 갖는 세포 집단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치유학적 조성물은 총 세포의 20 내지 100%, 예를 들어 40 내지 80%가 CD34+ 세포인 적어도 105개, 106개, 107개, 108개 또는 109개 세포의 세포 총량을 함유한다. 한 관련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CD34+ Thy1+인 총 세포 0.1 내지 40%, 예를 들어 0.1 내지 10% 및 CD34+ CD45RA+인 세포 20 내지 80%를 함유한다. 일부 구체적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CD38+인 세포 10 내지 95% 및 CD133+인 세포 5 내지 70%를 함유한다.
치유학적 조성물의 용도
본 발명은 포유동물 대상체에서 동종이계 또는 자가 줄기 세포 이식에서 사용하기 위한 증식된 HSC를 갖는 세포 집단 또는 그의 조성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원에서 지칭되는 대상체는 예를 들어 골수 공여자, 또는 고갈된 또는 제한된 혈구 수준을 갖거나 또는 이에 대한 위험을 갖는 개인이다. 임의로, 대상체는 골수 수확 전 골수 공여자 또는 골수 수확 후 골수 공여자이다. 대상체는 임의로 골수 이식의 수용자이다. 본원에 기재된 방법은 제한된 골수 예비력을 갖는 대상체, 예컨대 노년 대상체, 또는 면역 고갈성 치료 또는 골수박멸성 치료, 예컨대 화학요법, 예를 들어 백혈병 또는 림프종 치료용 화학요법에 이전에 노출된 대상체에서 특히 유용하다. 대상체는 임의로 감소된 혈구 수준을 갖거나, 또는 대조 혈구 수준과 비교하여 감소된 혈구 수준을 발병할 위험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대조 혈구 수준은 대상체에서 혈구 수준을 변화시키는 사건 전에 또는 상기 사건의 실질적인 부재하에 대상체에서 혈구의 평균 수준을 지칭한다. 대상체에서 혈구 수준을 변화시키는 사건에는 예를 들어 빈혈, 외상, 화학요법, 골수 이식 및 방사선요법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대상체는 빈혈 또는 실혈, 예를 들어, 외상으로 인한 빈혈 또는 실혈을 갖는다.
증식된 HSC 집단 또는 증식된 HSC를 갖는 세포 집단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상체에게, 예를 들어 화학요법, 방사선요법 또는 골수 이식 전에, 이와 동시에 또는 그 후에 투여된다. 대상체는 임의로 예를 들어, 골수 손실 또는 고갈된 골수를 특징으로 하는 선천성, 유전성 또는 후천성 증후군과 관련된 고갈된 골수를 갖는다. 그러므로, 대상체는 임의로 조혈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이다. 임의로, 대상체는 골수 공여자이거나, 또는 고갈된 골수를 갖거나 또는 이에 대한 위험이 있는 대상체이다.
조혈 줄기 세포 조작은 화학요법 또는 방사선요법에 대한 보충 치료로서 유용하다. 예를 들어, HSC를 말초혈로 편재화한 후, 화학요법을 받을 대상체로부터 단리하고, 치료요법 후 세포를 회수한다. 그러므로, 대상체는 면역 세포 고갈성 치료, 예컨대 화학요법, 방사선요법을 받고 있거나 또는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대상체, 또는 골수 이식을 위한 공여자로서 역할을 하는 대상체이다. 골수는 체내에서 가장 증식성 조직 중 하나이고, 그러므로 종종 화학요법 약물 및 방사선에 의해 초기에 손상되는 기관이다. 결과는 혈구 생성이 화학요법 또는 방사선 치료 동안 신속하게 파괴되고, 환자가 화학요법으로 재치료되기 전에 조혈계가 혈구 공급을 보충하도록 화학요법 또는 방사선이 중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원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생성된 HSC 또는 혈구는 임의로 추가 혈구를 필요로 하는 이러한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및/또는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경로의 하류 이펙터의 활성 및/또는 발현을 하향조절할 수 있는 작용제, 또는 HSC의 증식을 생체내에서, 시험관내에서 또는 생체외에서 향상시킬 수 있는 치료제 (예를 들어, 작은 분자, 항체 등) 및 임의로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담체와 조합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증식된 HSC를 갖는 조성물에 의해 증식된 HSC가 제공된다. HSC 증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료제는 다음을 의미한다: TPO 수용체에 대한 효능제 항체 (예를 들어, 특허 공개 제WO 2007/145227호에 상세히 기재된 바와 같은 VB22B sc(Fv)2 등); 시토카인, 예컨대 SCF, IL-6, Flt-3 리간드, TPO 또는 TPO 모방체 (예를 들어, 제WO/2007/022269호; 제WO/2007/009120호; 제WO/2004/054515호; 제WO/2003/103686호; 제WO/2002/085343호; 제WO/2002/049413호; 제WO/2001/089457호; 제WO/2001/039773호; 제WO/2001/034585호; 제WO/2001/021180호; 제WO/2001/021180호; 제WO/2001/017349호; 제WO/2000/066112호; 제WO/2000/035446호; 제WO/2000/028987호; 제WO/2008/028645호 등에 기재된 것); 과립구 콜로니 자극 인자 (G-CSF); 과립구 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 (GM-CSF); 프로스타글란딘 또는 프로스타글란딘 수용체 효능제 (예를 들어, 특허 공개 제WO/2008/073748호에 상세히 기재된 바와 같은 프로스타글란딘 E2 수용체-1 (EP-1) 효능제, 프로스타글란딘 E2 수용체-2 (EP-2) 효능제, 프로스타글란딘 E2 수용체-3 (EP-3) 효능제 및 프로스타글란딘 E2 수용체-4 (EP-4) 효능제); 테트라에틸렌펜타민 (TEPA); 노치-리간드 (델타-1); 및/또는 WNT 효능제. 또한, 중간엽 줄기 세포 (MSC)와 줄기 세포를 배양하는 것은 이식편-대-숙주 질병 (GVHD)을 예방하고, 줄기 세포 증식을 도울 수 있다. MSC 및 줄기 세포는 전체 배양물로서 이식될 수 있다.
"제약상 허용되는"은 생물학적으로 또는 다르게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 아닌 물질을 의미하며, 즉, 물질은 바람직하지 못한 생물학적 효과를 유발하거나 또는 이를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의 다른 구성성분과 유해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하지 않으면서 대상체 또는 세포에 투여될 수 있다. 담체 또는 부형제는 활성 성분의 분해를 최소화하고 대상체 또는 세포에서 유해 부작용을 최소화하도록 선택된다.
조성물은 본원에 기재된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해 임의의 통상적인 방식으로 제제화된다. 투여는 당업자에 의해 효과적인 것으로 공지된 임의의 경로를 통한다. 예를 들어, 조성물은 경구로, 비경구로 (예를 들어, 정맥내로), 근육내 주사에 의해, 복강내 주사에 의해, 경피로, 체외로, 비강내로 또는 국소로 투여된다.
바람직한 투여 방법은 정맥내 주입이다. 수혈된 세포의 개수는 성별, 연령, 체중, 질병 또는 질환의 유형, 질환의 단계, 세포 집단 내의 원하는 세포의 백분율 및 치유학적 이익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세포의 양과 같은 인자를 고려할 것이다. 한 특정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정맥내 주입에 의해 투여되고, 필요에 따라 적어도 104개 세포/kg, 105개 내지 5.107개 세포/kg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한다. 한 구체적 실시양태에서, 주입된 세포는 모두 단일 출생으로부터의 증식된 제대혈 세포로부터 유래된다.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환자로의 주입을 위한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는 전형적으로 완충 염수를 5% HSA 또는 보충되지 않은 기초 배지 또는 당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은 배지와 함께 포함한다.
경구 투여를 위해, 조성물은, 예를 들어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예컨대 결합제 (예를 들어, 전호화 옥수수 전분,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충전제 (예를 들어, 락토스,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또는 인산수소칼슘); 윤활제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탈크 또는 실리카); 붕해제 (예를 들어, 감자 전분 또는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또는 습윤제 (예를 들어,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로 제조된 정제 또는 캡슐 형태를 취한다. 정제는 당분야에 익히 공지된 방법에 의해 코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체 제제는 예를 들어, 용액, 시럽 또는 현탁액 형태를 취하거나, 또는 사용전 물 또는 다른 적합한 비히클로 구성되기 위한 건조 생성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액체 제제는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제약상 허용되는 첨가제, 예컨대 현탁화제 (예를 들어, 소르비톨 시럽, 셀룰로스 유도체 또는 수소화된 식용 지방); 유화제 (예를 들어, 레시틴 또는 아카시아); 비수성 비히클 (예를 들어, 아몬드유, 유성 에스테르, 에틸 알콜 또는 분획화된 식물성유); 및 방부제 (예를 들어, 메틸 또는 프로필-p-히드록시벤조에이트 또는 소르브산)로 제조된다. 제제는 임의로 완충 염, 향미제, 착색제 및 감미제를 경우에 따라 함유한다.
조성물은 주사에 의한, 예를 들어, 볼루스 주사 또는 연속 주입에 의한 비경구 투여를 위해 제제화된다. 주사용 제형은 첨가된 방부제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는 단위 투여량 형태, 예를 들어, 앰플 또는 다중 용량 용기에 제공된다. 조성물은 유성 또는 수성 비히클 중 현탁액, 용액 또는 에멀젼과 같은 형태를 취하고, 제제화제, 예컨대 현탁화제, 안정화제 및/또는 분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별법으로, 활성 성분은 사용전 적합한 비히클, 예를 들어 발열원-비함유 멸균수로 구성되기 위한 분말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물, 적합한 오일, 염수, 수성 덱스트로스 (글루코스) 및 관련 당 용액 및 글리콜, 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비경구 용액에 적합한 담체이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용액은 예를 들어, 활성 성분의 수용성 염, 적합한 안정화제, 및 필요에 따라, 완충 물질을 함유한다. 항산화제, 예컨대 중황산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은 (단독 또는 조합)은 적합한 안정화제이다. 또한 시트르산 및 그의 염 및 나트륨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EDTA)이 임의로 사용된다. 또한, 비경구 용액은 임의로 방부제, 예컨대 염화벤잘코늄,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을 함유한다. 적합한 제약 담체는 문헌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1st Edition, David B. Troy,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는 적어도 제약 담체 및 조성물과 관련된 물질에 대해서 그 전문이 참고로 포함된다.
조성물은 임의로 저장부 제제로서 제제화된다. 이러한 장기간 작용 제형은 임의로 이식에 의해 투여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조성물은 적합한 중합체성 또는 소수성 물질 (예를 들어 허용되는 오일 중 에멀젼으로서) 또는 이온 교환 수지로, 또는 낮은 가용성(sparingly soluble) 유도체로서, 예를 들어, 낮은 가용성 염으로서 제제화된다. 조성물은 수술적 이식과 동시에 또는 그 후에 이식물에 적용되거나 이식물에 봉입된다.
또한, 표준 제약 방법이 작용 지속시간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들에는 제어 방출 제제 및 적절한 거대분자, 예를 들어, 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노산, 폴리비닐, 피롤리돈,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또는 프로타민 술페이트가 포함된다. 거대분자의 농도 뿐만 아니라 혼입 방법이 방출을 제어하기 위해 조절된다. 임의로, 작용제는 중합체 물질,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노산, 히드로겔, 폴리 (락트산)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입자로 혼입된다. 혼입되는 것 이외에, 이들 작용제는 임의로 화합물을 마이크로캡슐 중에 포획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에 기재된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은 임의로 지속 및/또는 점진 방출 제형으로 제제화된다. 이러한 지속 및/또는 점진 방출 제형은 당업자에게 익히 공지된 지속 방출 수단 또는 전달 장치에 의해 제조된다. 조성물은 다양한 분율의 원하는 방출 프로파일을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히드로프로필메틸 셀룰로스, 다른 중합체 매트릭스, 겔, 투과성 막, 삼투 시스템, 다층 코팅, 미세입자, 리포좀, 미세구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활성 성분 중 하나 이상의 저속 또는 지속 방출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적합한 지속 방출 제형은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선택된다. 그러므로, 경구 투여에 적합한 단일 단위 투여량 형태, 예컨대 지속 방출을 위해 순응된 정제, 캡슐, 젤캡, 카플렛, 분말 (이에 제한되지 않음)이 사용된다.
조성물은 임의로 제어 방출 시스템에 의해 전달된다. 예를 들어, 조성물은 정맥내 주입, 이식가능한 삼투 펌프, 리포좀 또는 다른 투여 방식을 이용하여 투여된다. 제어 방출 시스템은 표적 근처에 위치된다.
임의로,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즉, 치료를 필요로 하는 구역에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조성물은 예를 들어 장골의 골수로 주사에 의해 투여된다. 국소 투여는 예를 들어 수술 도중 국소 주입, 국소 적용 (예를 들어, 수술 후 창상 드레싱과 함께), 주사, 카테터, 좌약 또는 이식물에 의해 달성된다. 이식물은 막, 예컨대 시알라스트(sialastic) 막 또는 섬유를 포함하는 다공성, 비다공성 또는 젤라틴성 물질이다.
본원에 기재된 제약 조성물은 제약과 관련된 용도로 이용가능한 임의의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개별 치유학적 활성 성분으로서 또는 치유학적 활성 성분과 조합하여 투여된다. 이는 임의로 단독으로 투여되나, 일반적으로 선택된 투여 경로 및 표준 제약 관행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약 담체와 함께 투여된다.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은 제약상 허용되는 형태, 예를 들어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그의 유도체로 제공된다. 용어 제약상 허용되는 형태는 일반적으로 안전하고 상대적으로 무독성이고 생물학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 아니고 다르게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 아닌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지칭한다. 이들 조성물은 임의로 사용되는 투여량 및 농도에서 이에 노출될 세포 또는 대상체에 대해 무독성인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안정화제를 포함한다. 생리학상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는 완충제, 예컨대 포스페이트, 시트레이트 및 다른 유기산; 항산화제, 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 저분자량 (약 10개 미만의 잔기) 폴리펩티드; 단백질, 예컨대 혈청 알부민, 젤라틴 또는 이뮤노글로불린; 친수성 중합체, 예컨대 폴리비닐피롤리돈; 아미노산, 예컨대 글리신,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아르기닌 또는 리신; 단당류, 이당류 및 다른 탄수화물, 예를 들어 글루코스, 만노스 또는 덱스트린; 킬레이트화제, 예컨대 EDTA; 당 알콜, 예컨대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 염-형성 반대이온, 예컨대 나트륨; 및/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컨대 트윈(TWEEN)™ (유니퀘마(Uniqema; 영국)),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및 플루로닉스(PLURONICS)™ (바스프(BASF; 독일))가 포함된다.
용어 제약상 허용되는 산 염 및 유도체는 기재된 바와 같은 생물학적 유효성 및 특성을 보유하고 생물학적으로 또는 다르게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 아닌 본원에 기재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염 및 유도체를 지칭한다.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예를 들어, 무기산, 예컨대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 및 유기산, 예컨대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리콜산, 피루브산, 옥살산, 말레산, 말론산, 숙신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신남산, 만델산,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살리실산 등으로 형성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화학적 안정성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향상된다. 예를 들어, 폴리에톡시화된 소르비톨의 알칸산 에스테르 (폴리소르베이트)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화합물의 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첨가된다.
세포 배양 검정 및 동물 연구로부터 얻은 데이터는 임의로 인간에서 사용하기 위한 투여량 범위를 공식화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화합물의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독성을 거의 또는 전혀 포함하지 않는 순환 농도 범위 내에 포함된다. 투여량은 사용되는 투여량 형태 및 이용되는 투여 경로에 따라 이 범위 내에서 다양하다. 제공된 방법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화합물의 경우, 치료학적으로 효과적인 용량은 초기에 세포 배양 검정으로부터 추정된다.
또한, 본원에 기재된 성분들 중 하나 이상으로 충전된 하나 이상의 용기를 포함하는 팩 또는 키트가 본원에 제공된다. 이러한 키트는 임의로 용액 및 완충액을 필요에 따라 또는 경우에 따라 포함한다. 키트는 임의로 상기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줄기 세포의 증식된 집단을 포함하거나, HSC의 증식된 집단의 제조를 위한 조성물 또는 용기를 함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발명의 요약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합물 및 HSC 증식 방법에서 이러한 화합물의 사용에 대한 지시사항,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시토카인 또는 성장 인자, 또는 세포 성장을 위한 배지, 특히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조혈 줄기 세포 성장을 위한 배지를 포함하는, 생체외에서 조혈 줄기 세포를 증식시키기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 키트는 세포의 생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항체, 예컨대 항-CD34, 항-CD133, 항-CD38, 항-CD45RA 및/또는 항-Thy1 항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적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키트는 IL6, FLT3-L, SCF 및 TP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시토카인 또는 성장 인자를 추가로 포함한다. 사용에 대한 지시사항이 임의로 이러한 팩(들) 또는 키트(들)에 결합된다.
또한, 일정 기간에 걸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의 하나 이상의 용량을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HSC를 증가시키기 위한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공하기 위한 키트가 제공되며, 여기서 키트 내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용량의 총 개수는 대상체에서 HSC를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유효량과 동등하다. 기간은 약 1일 내지 수일 또는 수주 또는 수개월이다. 그러므로, 기간은 적어도 약 5, 6, 7, 8, 10, 12, 14, 20, 21, 30 또는 60일 또는 그 초과 또는 1 내지 90일 중 임의의 수일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기재된 반응에서, 이러한 관능기가 최종 생성물에서 바람직한 경우, 반응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참여를 회피하기 위해 반응성 관능기, 예를 들어 히드록시, 아미노, 이미노, 티오 또는 카르복시 기를 보호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통상적인 보호기는 표준 관행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문헌 [T.W. Greene and P. G. M. Wuts in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Chemistry", John Wiley and Sons, 1991]을 참조한다.
아래 반응식 1 내지 5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를 상세히 기재한다. 당업자는 하기 상세히 기재된 방법에 의한 도입에 따라 기 R1, R2, R3, R4 및 L1 중 임의의 기를 임의로 공지된 변환에 의해 추가로 번형하여 원하는 최종 화학식 I의 화합물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아래 반응식 1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ct00011
상기 식에서, G1, G2, G3, G4, R1, R2 및 R4는 발명의 요약에서 화학식 I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고, 화학식 I의 L은 반응식에서 -NH-L1-로서 정의되며, 이는 예를 들어, -NR5a(CH2)0-3- (여기서 R5a는 수소이고, -(CH2)0-3-은 L1임)과 등가이다.
적합한 촉매 (예를 들어, Pd2(dba)3 등)의 존재하에, 적절한 리간드 (예를 들어, 1,3-비스(2,4,6-트리메틸페닐) 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Cs2CO3 등) 및 적절한 용매 (예를 들어, 1,4-디옥산)의 존재하에 약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2 내지 약 48시간 동안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화학식 3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적절한 용매 (예를 들어 이소프로판올)에서 약 실온 내지 약 80℃의 온도에서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약간 과량의 화학식 5의 아민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화학식 2의 화합물을 다시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수소화나트륨 또는 탄산칼륨)의 존재하에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DMF)에서 약 0℃ 내지 약 80℃의 온도에서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적합한 알킬화제 7 (여기서 X1은 염소, 브롬, 요오드 또는 술포네이트 에스테르임)로 알킬화함으로써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별법으로, 적합한 포스핀 (예를 들어 트리페닐포스핀) 및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예를 들어 디에틸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THF 또는 톨루엔에서 약 0℃ 내지 약 실온의 온도에서 적합한 알콜 R4-OH를 이용하여 미쯔노부(Mitsunobu)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아래 반응식 2에서와 같이 진행함으로써 화학식 Ia의 화합물 (여기서 G1은 CR3이고, 모든 다른 G 기는 N임)을 또한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pct00012
상기 식에서, R1, R2, R3 및 R4는 발명의 요약에서 화학식 I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고, 화학식 I의 L은 반응식에서 -NH-L1-로서 정의되며, 이는 예를 들어, -NR5a(CH2)0-3- (여기서 R5a는 수소이고, -(CH2)0-3-은 L1임)과 등가이다.
적절한 용매 (예를 들어 이소프로판올)에서 약 실온 내지 약 100℃의 온도에서 화학식 8의 화합물을 화학식 5의 아민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촉매 (예를 들어, Pd(Ph3P)4, Pd2(dba)3 등)의 존재하에, 임의로 적절한 리간드 (예를 들어, 1,3-비스(2,4,6-트리메틸페닐) 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Cs2CO3 등) 및 적절한 용매 (예를 들어, 1,4-디옥산)의 존재하에 약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2 내지 약 48시간 동안 화학식 9의 화합물을 화학식 3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화학식 8의 화합물을 다시 제조할 수 있다. 임의로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에 약 50 내지 100℃의 온도에서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디-요오도메탄, 요오드화구리(I) 및 알킬 니트라이트 (예를 들어 이소아밀니트라이트)의 혼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화학식 9의 화합물을 다시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수소화나트륨 또는 탄산칼륨)의 존재하에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DMF)에서 약 0℃ 내지 약 80℃의 온도에서 화학식 11의 화합물을 적합한 알킬화제 7 (여기서 X1은 염소, 브롬, 요오드 또는 술포네이트 에스테르임)로 알킬화함으로써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별법으로, 적합한 포스핀 (예를 들어 트리페닐포스핀) 및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예를 들어 디에틸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THF 또는 톨루엔에서 약 0℃ 내지 약 실온의 온도에서 적합한 알콜 R4-OH를 이용하여 미쯔노부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아래 반응식 3에 상세히 기재된 바와 같이 화학식 I의 화합물 (여기서 R1은 N-연결된 헤테로시클릴 또는 N-연결된 헤테로아릴임)의 서브세트인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3>
Figure pct00013
상기 식에서, G1, G2, G3, G4, R1, R2 및 R4는 발명의 요약에서 화학식 I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고, 화학식 I의 L은 반응식에서 -NH-L1-로서 정의되며, 이는 예를 들어, -NR5a(CH2)0-3- (여기서 R5a는 수소이고, -(CH2)0-3-은 L1임)과 등가이다. 과량의 시클릭 아민 또는 NH-보유 헤테로사이클 (예를 들어, 치환된 피라졸, 치환된 이미다졸 등)의 존재하에 약 50℃ 내지 약 250℃의 온도에서 약 1 내지 약 24시간 동안, 임의로 염기, 예컨대 수소화나트륨 또는 DBU의 존재하에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화학식 20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아래 반응식 4에서와 같이 진행함으로써 화학식 10의 화합물 (여기서 G1은 CR3이고, 모든 다른 G 기는 N임)을 또한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4>
Figure pct00014
상기 식에서, R3 및 R4는 발명의 요약에서 화학식 I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다. 문헌 [J. Med. Chem., 1972, 456] 및 [J. Med. Chem., 1992, 4180]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21의 오르토에스테르 화합물을 임의로 아세트산과 같은 산의 존재하에 약 실온 내지 약 150℃의 온도에서 약 1 내지 약 24시간 동안 화학식 22의 화합물과 반응시킨다. 화학식 23의 화합물을 임의로 pTSA와 같은 산 또는 트리에틸아민 또는 DBU와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약 50 내지 약 200℃의 온도에서 화학식 24의 1차 아민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화학식 22의 화합물을 다시 제조할 수 있다.
아래 반응식 5에 상세히 기재된 바와 같이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5>
Figure pct00015
상기 식에서, G1, G2, G3, G4, R1 및 R2는 발명의 요약에서 화학식 I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고, 화학식 I의 L은 반응식에서 -NH-L1-로서 정의되며, 이는 예를 들어, -NR5a(CH2)0-3- (여기서 R5a는 수소이고, -(CH2)0-3-은 L1임)과 등가이다. R20 및 R21은 수소 및 C1 - 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화학식 III의 화합물로부터 적합한 용매, 예컨대 THF 또는 톨루엔에서 약 -78℃ 내지 약 50℃의 온도에서 적합한 환원제, 예컨대 수소화알루미늄리튬 또는 디이소부틸 수소화알루미늄으로 처리함으로써 화학식 IV의 화합물 (여기서 R21은 수소임)을 제조할 수 있다. 반응을 완료될 때까지 약 0.5 내지 약 16시간 동안 수행한다.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적합한 용매, 예컨대 에테르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에서 약 -78℃ 내지 약 50℃의 온도에서 알킬 리튬 또는 그리그나드 시약으로 처리함으로써 화학식 IV의 화합물 (여기서 R21은 저급 알킬임)을 제조할 수 있다. 반응을 완료될 때까지 약 0.5 내지 약 16시간 동안 수행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합성의 상세한 예는 아래 실시예에서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추가 제조 방법
화합물의 유리 염기 형태를 제약상 허용되는 무기산 또는 유기산과 반응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약상 허용되는 산 부가 염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별법으로, 화합물의 유리 산 형태를 제약상 허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 염기와 반응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기 부가 염을 제조할 수 있다. 별법으로, 출발 물질 또는 중간체의 염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의 염 형태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하기 실시예 1)의 염 형태를 다음과 같이 합성하였다:
메실레이트 염: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유리 염기 (0.60 g; 1.40 mmol)를 50℃에서 아세톤 12 ml에 용해시켰다. 메탄술폰산 (0.137 g; 1.40 mmol)을 적가하였다. 결정화를 신속하게 수행하였다. 백색 현탁액을 약 30분에 걸쳐 냉각하여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슬러리를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고체를 아세톤 (6 ml)으로 세 부분으로 세척하고, 먼저 50℃/약 10 mbar에서 약 3시간 동안 및 이어서 80℃/약 10 mbar에서 약 16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물질은 98 g/J의 용융 엔탈피로 약 233℃의 융점을 가졌다. 생성된 물질은 0.2%의 건조 손실을 나타내었다. 24시간 동안 상대 습도 (80%rh)에 노출 후 열중량측정법에 의해 물 흡수를 추정하였다. 0.4%의 물 흡수가 관측되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1의 화합물의 메실레이트 염을 제공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다음 분말 X선 회절 피크 (각도 2-세타 °): 6.4, 6.7, 18.3, 18.6, 26.9를 포함하고; 추가 실시양태에서 다음 분말 X선 회절 피크 (각도 2-세타 °): 6.4, 6.7, 10.3, 12.9, 16.4, 18.3, 25.8, 26.5, 26.9를 포함하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의 메실레이트 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원의 도 3에 나타낸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갖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의 메실레이트 염을 제공한다.
토실레이트 염: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유리 염기 (0.60 g; 1.40 mmol)를 50℃에서 12 ml에 용해시켰다. 아세톤 (1.2 ml) 중 파라-톨루엔술폰산 일수화물 (0.271 g; 1.40 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용액을 50℃에서 시딩하고, 결정화를 신속하게 수행하였다. 현탁액을 약 30분에 걸쳐 실온으로 냉각하고, 약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 후, 고체를 아세톤 (6 ml)으로 세 부분으로 세척하고, 먼저 50℃/약 10 mbar에서 약 3시간 동안 및 이어서 80℃/약 10 mbar에서 약 16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물질은 88 g/J의 용융 엔탈피로 약 233℃의 융점을 가졌다. 생성된 물질은 0.2%의 건조 손실을 나타내었다. 24시간 동안 상대 습도 (80%rh)에 노출 후 열중량측정법에 의해 물 흡수를 추정하였다. 0.4%의 물 흡수가 관측되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1의 화합물의 토실레이트 염을 제공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다음 분말 X선 회절 피크 (각도 2-세타 °): 6.2, 13.3, 16.7, 19.5, 25.4를 포함하고, 추가 실시양태에서 다음 분말 X선 회절 피크: 6.2, 7.6, 12.4, 13.3, 15.1, 16.7, 17.7, 19.5, 20.2, 24.6, 24.9, 25.4, 25.6을 포함하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의 토실레이트 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원의 도 4에 나타낸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갖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의 토실레이트 염을 제공한다.
술페이트 염: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유리 염기 (0.60 g; 1.40 mmol)를 약 55℃에서 아세톤 10 ml 및 물 1 ml에 용해시켰다. 물 1 ml 중 황산 (0.280 g; 2.79 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결정화를 신속하게 수행하였다. 현탁액을 약 30분에 걸쳐 냉각하여 실온으로 냉각하고, 약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아세톤 6 ml로 세 부분으로 세척하고, 먼저 50℃/약 10 mbar에서 약 3시간 동안 및 이어서 80℃/약 10 mbar에서 약 16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물질은 91 g/J의 용융 엔탈피로 약 224℃의 융점을 가졌다. 생성된 물질은 0.05% 미만의 건조 손실을 나타내었다. 24시간 동안 상대 습도 (80%rh)에 노출 후 열중량측정법에 의해 물 흡수를 추정하였다. 0.2%의 물 흡수가 관측되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1의 화합물의 술페이트 염을 제공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다음 분말 X선 회절 피크 (각도 2-세타 °): 6.5, 6.8, 10.7, 13.5, 26.4, 27.6을 포함하고, 추가 실시양태에서 다음 분말 X선 회절 피크 (각도 2-세타 °): 6.5, 6.8, 10.7, 13.1, 13.5, 18.6, 18.8, 20.8, 26.4, 27.1, 27.6을 포함하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의 술페이트 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원의 도 6에 나타낸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갖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의 술페이트 염을 제공한다.
에실레이트 염: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유리 염기 (0.60 g; 1.40 mmol)를 50℃에서 아세톤 12 ml에 용해시켰다. 에탄술폰산 (0.155 g; 1.40 mmol)을 적가하였다. 결정화를 신속하게 수행하였다. 생성된 백색 현탁액을 약 30분에 걸쳐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현탁액을 약 1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고체를 아세톤 6 ml로 세 부분으로 세척하고, 먼저 50℃/약 10 mbar에서 약 3시간 동안 및 이어서 80℃/약 10 mbar에서 약 16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물질은 76 g/J의 용융 엔탈피로 약 231℃의 융점을 가졌다. 생성된 물질은 0.6%의 건조 손실을 나타내었다. 24시간 동안 상대 습도 (80%rh)에 노출 후 열중량측정법에 의해 물 흡수를 추정하였다. 0.05%의 물 흡수가 관측되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1의 화합물의 에실레이트 염을 제공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다음 분말 X선 회절 피크 (각도 2-세타 °): 6.3, 9.9, 18.4, 25.3, 26.1을 포함하고, 추가 실시양태에서 다음 분말 X선 회절 피크 (각도 2-세타 °): 6.3, 9.9, 17.1, 17.9, 18.4, 19.0, 22.0, 25.3, 26.1, 27.1을 포함하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의 에실레이트 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원의 도 8에 나타낸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갖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의 에실레이트 염을 제공한다.
히드로브로마이드 염: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유리 염기 (0.60 g; 1.40 mmol)를 65℃에서 DMF 6 ml에 용해시켰다. 브롬화수소산 48% (0.235 g; 1.40 mmol)를 적가하였다. 용액을 약 30분에 걸쳐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시드를 55℃에서 첨가하고, 결정화를 천천히 수행하였다. 현탁액을 약 1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고체를 1:1 DMF/물 4 ml 및 물 6 ml로 세척하였다. 염을 먼저 50℃/약 10 mbar에서 약 3시간 동안 및 이어서 80℃/약 10 mbar에서 약 16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물질은 119 g/J의 용융 엔탈피로 약 285℃의 융점을 가졌다. 생성된 물질은 1.0%의 건조 손실을 나타내었다. 24시간 동안 상대 습도 (80%rh)에 노출 후 열중량측정법에 의해 물 흡수를 추정하였다. 물 흡수가 관측되지 않았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1의 화합물의 히드로브로마이드 염을 제공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다음 분말 X선 회절 피크 (각도 2-세타 °): 7.0, 25.9, 26.8, 27.9를 포함하고, 추가 실시양태에서 다음 분말 X선 회절 피크 (각도 2-세타 °): 7.0, 11.4, 13.3, 21.4, 23.4, 25.9, 26.4, 26.8, 27.9를 포함하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의 히드로브로마이드 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원의 도 9에 나타낸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갖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의 히드로브로마이드 염을 제공한다.
오로테이트 염: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유리 염기 (0.60 g; 1.40 mmol) 및 오로트산 (0.222 g; 1.40 mmol)을 85℃에서 NMP (1-메틸-2-피롤리돈) 7.8 ml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60℃로 냉각하고, 물 6 ml를 약 5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생성된 백색 현탁액을 약 30분에 걸쳐 실온으로 냉각하고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 후, 필터 케이크를 1:1 NMP/물 4 ml로 두 부분으로 및 물 6 ml로 세 부분으로 세척하였다. 고체를 먼저 50℃/약 10 mbar에서 약 3시간 동안 및 이어서 80℃/약 10 mbar에서 약 16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물질은 130 g/J의 용융 엔탈피로 약 240℃의 융점을 가졌다. 생성된 물질은 0.05% 미만의 건조 손실을 나타내었다. 24시간 동안 상대 습도 (80%rh)에 노출 후 열중량측정법에 의해 물 흡수를 추정하였다. 1.7%의 물 흡수가 관측되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1의 화합물의 오로테이트 염을 제공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다음 분말 X선 회절 피크 (각도 2-세타 °): 7.1, 16.3, 19.2, 23.5, 25.6, 26.9를 포함하고, 추가 실시양태에서 다음 분말 X선 회절 피크 (각도 2-세타 °): 7.1, 14.4, 16.3, 18.6, 19.2, 21.7, 23.0, 23.5, 25.6, 26.9, 28.7을 포함하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의 오로테이트 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원의 도 10에 나타낸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갖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의 오로테이트 염을 제공한다.
헤미-푸마레이트 염: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유리 염기 (0.60 g; 1.40 mmol)를 65℃에서 메탄올 18 ml에 용해시켰다. 푸마르산 (0.164 g; 1.40 mmol) 및 메탄올 6 m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약 30분에 걸쳐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얼마간의 시드 결정을 60℃에서 첨가하고, 결정화를 천천히 수행하였다. 현탁액을 1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고체를 메탄올 6 ml로 세 부분으로 세척하고, 먼저 50℃/약 10 mbar에서 약 3시간 동안 및 이어서 80℃/약 10 mbar에서 약 16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물질은 83 g/J의 용융 엔탈피로 약 232℃의 융점을 가졌다. 생성된 물질은 0.05% 미만의 건조 손실을 나타내었다. 24시간 동안 상대 습도 (80%rh)에 노출 후 열중량측정법에 의해 물 흡수를 추정하였다. 0.3%의 물 흡수가 관측되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1의 화합물의 헤미-푸마레이트 염을 제공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다음 분말 X선 회절 피크 (각도 2-세타 °): 7.2, 8.7, 14.4, 15.8, 17.4, 19.0, 23.7을 포함하고, 추가 실시양태에서 다음 분말 X선 회절 피크 (각도 2-세타 °): 7.2, 8.7, 10.8, 14.4, 15.8, 17.4, 17.8, 19.0, 20.1, 23.7, 27.5를 포함하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의 헤미-푸마레이트 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원의 도 11에 나타낸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갖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의 헤미-푸마레이트 염을 제공한다.
베실레이트 염: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유리 염기 (0.60 g; 1.40 mmol)를 50℃에서 아세톤 12 ml에 용해시켰다. 아세톤 1.2 ml 중 벤젠술폰산 (0.225 g; 2.79 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시드 결정을 48℃에서 첨가하고, 결정화를 천천히 수행하였다. 현탁액을 약 30분에 걸쳐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슬러리를 약 1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염을 아세톤 6 ml로 세 부분으로 세척하고, 먼저 50℃/약 10 mbar에서 약 3시간 동안 및 이어서 80℃/약 10 mbar에서 약 16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물질은 92 g/J의 용융 엔탈피로 약 219℃의 융점을 가졌다. 생성된 물질은 0.3%의 건조 손실을 나타내었다. 24시간 동안 상대 습도 (80%rh)에 노출 후 열중량측정법에 의해 물 흡수를 추정하였다. 약 0.05%의 물 흡수가 관측되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1의 화합물의 베실레이트 염을 제공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다음 분말 X선 회절 피크 (각도 2-세타 °): 6.2, 7.7, 17.7, 25.5를 포함하고, 추가 실시양태에서 다음 분말 X선 회절 피크 (각도 2-세타 °): 6.2, 7.7, 15.2, 16.7, 17.1, 17.7, 19.8, 20.2, 24.9, 25.2, 25.5를 포함하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의 베실레이트 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원의 도 7에 나타낸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갖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의 베실레이트 염을 제공한다.
나파디실레이트 염: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유리 염기 (0.60 g; 1.40 mmol) 및 1,5-나프탈렌디술폰산 (0.70 mmol) 0.259 g을 87℃에서 DMF 9 ml에 용해시켰다. 투명한 용액을 약 30분에 걸쳐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시드를 65℃에서 첨가하고, 결정화를 천천히 수행하였다. 현탁액을 약 1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고체를 1:1 DMF/물 4 ml로 두 부분으로 및 물 6 ml로 세 부분으로 세척하였다. 염을 먼저 50℃/약 10 mbar에서 약 3시간 동안 및 이어서 80℃/약 10 mbar에서 약 16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물질은 83 g/J의 용융 엔탈피로 약 304℃의 융점을 가졌다. 물 손실로부터 기인될 수 있는 광범위한 흡열 현상이 107℃에서 관측되었다. 생성된 물질은 6.1%의 건조 손실을 나타내었다. 24시간 동안 상대 습도 (80%rh)에 노출 후 열중량측정법에 의해 물 흡수를 추정하였다. 0.05% 미만의 물 흡수가 관측되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1의 화합물의 나파디실레이트 염을 제공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다음 분말 X선 회절 피크 (각도 2-세타 °): 6.4, 9.6, 13.1, 15.7, 16.1, 26.0을 포함하고, 추가 실시양태에서 다음 분말 X선 회절 피크 (각도 2-세타 °): 9.6, 13.1, 15.7, 16.1, 16.4, 20.4, 20.9, 23.7, 26.0, 26.9를 포함하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의 나파디실레이트 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원의 도 12에 나타낸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갖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의 나파디실레이트 염을 제공한다.
히드로클로라이드 염: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유리 염기 (0.60 g; 1.40 mmol)를 55℃에서 아세톤 12 ml에 용해시켰다. 염산 37% (0.138 g; 1.40 mmol)를 적가하였다. 결정화를 신속하게 수행하였다. 백색 현탁액을 약 30분에 걸쳐 실온으로 냉각하고,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 후, 고체를 아세톤 6 ml로 세 부분으로 세척하고, 먼저 50℃/약 10 mbar에서 약 3시간 동안 및 이어서 80℃/약 10 mbar에서 약 16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물질은 -13.8 J/g의 엔탈피로 약 162℃에서 발열 사건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현상은 더 안정한 변형으로의 고체 변환에 기인될 수 있었다. 그 후, 99.7 J/g의 엔탈피로 약 259℃에서 흡열 사건이 관찰되었다. 생성된 물질은 0.6%의 건조 손실을 나타내었다. 24시간 동안 상대 습도 (80%rh)에 노출 후 열중량측정법에 의해 물 흡수를 추정하였다. 0.3%의 물 흡수가 관측되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1의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을 제공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다음 분말 X선 회절 피크 (각도 2-세타 °): 6.1, 7.0, 19.8, 26.1을 포함하고, 추가 실시양태에서 다음 분말 X선 회절 피크 (각도 2-세타 °): 6.1, 7.0, 18.1, 19.8, 24.7, 26.1, 27.0, 27.7을 포함하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원의 도 5에 나타낸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갖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리 산 또는 유리 염기 형태는 각각 상응하는 염기 부가 염 또는 산 부가 염 형태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 부가 염 형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수산화암모늄 용액, 수산화나트륨 등)로 처리함으로써 상응하는 유리 염기로 전환될 수 있다. 염기 부가 염 형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적합한 산 (예를 들어, 염산 등)으로 처리함으로써 상응하는 유리 산으로 전환될 수 있다. 실시예 1의 화합물의 니트레이트 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분말 X선 회절 패턴은 본원의 도 2에 개시되어 있다.
비산화 형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적합한 불활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아세토니트릴, 에탄올, 수성 디옥산 등)에서 0 내지 80℃에서 환원제 (예를 들어, 황, 이산화황, 트리페닐 포스핀, 리튬 보로히드라이드, 나트륨 보로히드라이드, 삼염화인, 트리브로마이드 등)로 처리함으로써 본 발명의 화합물의 N-옥시드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전구약물 유도체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문헌 [Saulnier et al., (1994), Bioorganic and Medicinal Chemistry Letters, Vol. 4, p. 1985]을 참조한다). 예를 들어, 적절한 전구약물은 비-유도체화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적합한 카르바밀화제 (예를 들어, 1,1-아실옥시알킬카르바노클로리데이트, 파라-니트로페닐 카르보네이트 등)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보호된 유도체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수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보호기의 제조 및 그의 제거에 적용가능한 기술의 상세한 기재는 문헌 [T. W. Greene, "Protecting Groups in Organic Chemistry", 3rd edition, John Wiley and Sons, Inc., 1999]에서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편의상 본 발명의 공정 도중에 용매화물 (예를 들어, 수화물)로서 제조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수화물은 편의상 유기 용매, 예컨대 다이옥신,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메탄올을 사용하여 수성/유기 용매 혼합물로부터 재결정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화합물의 라세미 혼합물을 광학적으로 활성인 분할제와 반응시켜 부분입체이성질체 화합물의 쌍을 형성시키고, 부분입체이성질체를 분리하고 광학적으로 순수한 거울상이성질체를 회수함으로써 그의 개별 입체이성질체로서 제조될 수 있다. 거울상이성질체의 분할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공유결합 부분입체이성질체 유도체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해리가능한 복합체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결정질 부분입체이성질체 염). 부분입체이성질체는 독특한 물리적 특성 (예를 들어, 융점, 비점, 용해도, 반응성 등)을 갖고, 이들 비유사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부분입체이성질체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또는 바람직하게는 용해도 차이에 기초한 분리/분할 기술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그 후, 광학적으로 순수한 거울상이성질체가 라세미화를 초래하지 않는 임의의 실제 수단에 의해 분할제와 함께 회수된다. 라세미 혼합물로부터의 화합물의 입체이성질체의 분할에 적용가능한 기술의 더 상세한 기재는 문헌 [Jean Jacques, Andre Collet, Samuel H. Wilen, "Enantiomers, Racemates and Resolutions", John Wiley And Sons, Inc., 1981]에서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키랄 크로마토그래피 기술의 이용에 의해, 특히 키랄 정지상을 사용하는 HPLC 또는 SFC 크로마토그래피의 이용에 의해 그의 개별 입체이성질체로서 제조될 수 있다.
투과 기하학에서 기기 브루커(Bruker) D8 바리오(Vario), 조사 CuKα (30 kV, 40 mA), 스캔 범위 2° 내지 40° (2 세타 값), 단계 시간 90.3초를 이용하여 본원에 기재된 분말 X선 회절 스펙트럼을 얻었다. 40℃/분의 가열 속도로 기기 퍼킨 엘머(Perkin Elmer) DSC7을 이용하여 실시예 1 무정형 물질의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DSC)을 수행하였다.
요약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은
(a) 반응식 1 내지 5 중 반응식; 및
(b)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으로의 임의의 전환;
(c) 본 발명의 화합물의 염 형태의 비-염 형태로의 임의의 전환;
(d) 본 발명의 화합물의 비산화 형태의 제약상 허용되는 N-옥시드로의 임의의 전환;
(e) 본 발명의 화합물의 N-옥시드 형태의 그의 비산화 형태로의 임의의 전환;
(f) 이성질체 혼합물로부터 본 발명의 화합물의 개별 이성질체의 임의의 분할;
(g) 비-유도체화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전구약물 유도체로의 임의의 전환; 및
(h)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전구약물 유도체의 그의 비-유도체화된 형태로의 임의의 전환
을 수반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출발 물질의 제조가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다면, 화합물은 공지되어 있거나, 또는 이하 실시예에 개시된 바와 같이 또는 당분야에 공지된 방법과 유사하게 제조될 수 있다.
당업자는 상기 변환은 오직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대표할 뿐이고, 다른 익히 공지된 방법이 유사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를 예시하는 하기 예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예시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Figure pct00016
2,6-디클로로-9-이소프로필-9H-퓨린 (b)의 합성: 무수 DMF (5.0 mL)에 용해된 2,6-디클로로-9H-퓨린 (a) (6.0 mmol)에 수소화나트륨 (7.8 mmol)을 실온에서 2시간에 걸쳐 교반하면서 천천히 첨가하였다. 2-요오도프로판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실리카 겔 상에서 헥산/EtOAc (20:1 내지 3:1)로 용리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17
4-(2-(2-클로로-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c)의 합성: 2,6-디클로로-9-이소프로필-9H-퓨린 (1.1 mmol)을 i-PrOH (6 ml)에 용해된 티라민 (1.16 mmol)과 혼합하고,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실리카 겔 상에서 헥산/EtOAc (5:1 내지 1:2)로 용리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18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d)의 합성: 화염-건조된 쉬링크(schlenk) 플라스크를 4-(2-(2-클로로-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0.62 mmol), 티아나프텐-3-보론산 (0.94 mmol), pd2(dba)3 (0.062 mmol), Cs2CO3 (1.25 mmol) 및 1,3-비스(2,4,6-트리메틸페닐) 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 (0.125 mmol)로 충전하였다. 플라스크를 배기시키고, N2로 역충전하고, 무수 1,4-디옥산 (2 mL)을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밀봉하고,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실리카 겔 상에서 헥산/EtOAc (20:1 내지 1:4)로 용리하여 직접적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별법으로, 실시예 1의 합성을 다음과 같이 수행할 수 있었다:
2-(벤조[b]티오펜-3-일)-6-클로로-9-이소프로필-9H-퓨린 (b)의 합성: 둥근 바닥 플라스크를 6-클로로-2-요오도-9-이소프로필-9H-퓨린 (실시예 15c에서 제조됨, 3.31 g, 0.0103 mol), 벤조[b]티오펜-3-일보론산 (2.74 g, 0.0154 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1.19 g, 0.0103 mol)으로 충전하였다. 이 혼합물에 톨루엔 (80 ml), 에탄올 (25 ml) 및 탄산나트륨 수용액 (2M, 21 ml)을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밀봉하고,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냉각된 혼합물에 첨가하였으며,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분획물을 합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실리카 겔 상에서 헥산 중 20 내지 50% EtOAc로 용리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1:1 메탄올/물로부터 재결정화하였다.
Figure pct00019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c)의 합성: 2-(벤조[b]티오펜-3-일)-6-클로로-9-이소프로필-9H-퓨린 (2.2 g, 0.0067 mol)을 압력 튜브에서 무수 2-프로판올 (70 mL)에서 현탁하였다. 티라민 (1.01 g, 0.0074 mol)을 첨가하였다. 튜브를 밀봉하고, 85℃에서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추가 티라민 (0.50 g, 0.0037 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85℃에서 48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농축시켰다.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잔류물에 첨가하였으며, 이를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실리카 겔 상에서 헥산 중 50 내지 85% EtOAc로 용리하여 정제하여, 고체를 수득하였다. 고체를 메탄올로 연마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별법으로, 실시예 1의 합성을 다음과 같이 수행할 수 있었다:
2,6-디클로로-9-이소프로필-9H-퓨린 (b)의 합성: 무수 DMF (5.0 L)에 용해된 2,6-디클로로-9H-퓨린 (a) (998 g, 5.28 mol)에 수소화나트륨 (60% 분산액, 254 g, 6.35 mol)을 10℃에서 1시간에 걸쳐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2-요오도프로판 (1595 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5.0 L)을 첨가하고, 생성된 고체 침전물을 수집하고, 물 (500 ml) 및 헵탄 (2 x 2.5 L)으로 세척하였다. 조 고체를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2.1 L)로부터 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4-(2-(2-클로로-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c)의 합성: 2,6-디클로로-9-이소프로필-9H-퓨린 (500 g)을 50℃에서 티라민 (593 g), 트리에틸아민 (262 g) 및 i-PrOH (5.0 L)의 교반된 혼합물에 일부분씩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상기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6.0 L)에서 녹이고, 20% 시트르산 용액 (2.0 L) 및 물 (2.0 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물로 농축시킨 후, 에탄올 (2.0 L)에 녹이고 다시 건조물로 농축시켰다. 조 고체를 에탄올 (3.2 L)로부터 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d)의 합성: 4-(2-(2-클로로-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950 g), 티아나프텐-3-보론산 (561 g), 디클로로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10.1 g), 탄산칼륨 (791 g), 물 (3.25 L) 및 DMA (3.25 L)의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교반된 혼합물을 70℃에서 1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6.5 L) 및 물 (3.25 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 L)로 헹구면서 50℃에서 셀라이트(Celite) (125 g)를 통해 여과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50℃에서 추가 에틸 아세테이트 (7.5 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 (3 x 2.5 L)로 세척한 후, 증류하여 용매 약 2.5 L를 제거하였다. 테트라히드로푸란 (2.5 L) 및 실리카 결합 티오 실리카 겔 (200 g)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1.0 L)로 패드를 세척하면서 여과하였다. 합한 여과액을 대기압에서 약 5 L의 부피로 농축시킨 후, 혼합물을 냉각시켰다. 생성된 고체를 수집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 1.0 L)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1의 화합물을 톨루엔/에탄올 혼합물을 이용하여 재결정화하고, 실온에서 NaHCO3 수용액으로 세척할 수 있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1의 화합물을 결정 형태 변형 A로 제공하며, 여기서 변형 A는 다음 분말 X선 회절 피크 (각도 2-세타 °): 12.1, 16.9, 18.9, 21.3을 포함하고; 추가 실시양태에서 다음 분말 X선 회절 피크 (각도 2-세타 °): 12.1, 15.9, 16.9, 17.3, 18.9, 21.3, 22.1, 23.6, 24.4, 27.3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1의 화합물을 다음 분말 X선 회절 피크 (각도 2-세타 °): 9.0, 12.1, 13.0, 13.1, 13.6, 14.4, 14.7, 15.1, 15.9, 16.9, 17.3, 17.7, 18.0, 18.9, 19.0, 20.1, 21.3, 22.1, 22.3, 22.6, 22.8, 23.4, 23.6, 24.4, 25.3, 26.3, 26.5, 27.3, 27.8, 28.2, 29.5, 29.7, 30.4, 30.7, 31.0, 31.4, 32.2, 32.8, 33.3, 34.3, 35.5, 36.4, 37.5, 38.4, 39.0, 39.4를 포함하는 고체 형태 변형 A로서 제공한다.
실시예 1의 화합물, 변형 A의 분말 X선 회절 패턴은 본원의 도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의 화합물의 무정형 물질을, 용융될 때까지 화합물의 가열 및 어닐링(annealing)/냉각에 의해 DSC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도가니에서 계내에서 제조하였다. 냉각 순환시 유리 전이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재가열 순환시 약 70 내지 75℃에서 훨씬 더 특징화되었다. DSC 패턴은 본원의 도 13에 나타낸다.
실시예 15
4-(2-(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Figure pct00020
2-아미노-6-클로로-9-이소프로필-9H-퓨린 (b)의 합성: 수소화나트륨 (광유 중 60% 분산액 1.5 g, 38 mmol)을 실온에서 무수 DMF (50 mL) 중 2-아미노-6-클로로-9H-퓨린 (5.34 g, 31.5 mmol)의 교반된 현탁액에 일부분씩 1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45분 후, 혼합물을 빙조에서 냉각한 후, 2-요오도프로판을 첨가하였다. 냉각조를 제거하고, 교반된 혼합물을 16시간에 걸쳐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혼합물을 얼음에서 냉각한 후, 물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고온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처리하였다. 냉각된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실리카 겔 상에서 헥산 중 0 내지 50% EtOAc로 용리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21
6-클로로-2-요오도-9-이소프로필-9H-퓨린 (c)의 합성: 6-클로로-9-이소프로필-9H-퓨린-2-아민 (2.68 g, 12.7 mmol)을 실온에서 THF (64 mL)에 용해시켰다. 요오드 (1.61 g, 6.25 mmol), CH2I2 (10.6 mL) 및 CuI (1.27 g, 6.66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소펜틸 니트라이트 (5.33 m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5분 동안 환류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EtOAc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실리카 겔 상에서 헥산 중 0 내지 3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22
6-클로로-2-(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 (d)의 합성: 둥근 바닥 플라스크를 6-클로로-2-요오도-9-이소프로필-9H-퓨린 (1.2 g, 3.7 mmol), 피리딘-3-보론산 1,3-프로판디올 시클릭 에스테르 (0.91 g, 5.6 m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430 mg, 0.37 mmol)으로 충전하였다. 이 혼합물에 톨루엔 (60 ml), 에탄올 (6 ml) 및 탄산나트륨 수용액 (2M, 15 ml)을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밀봉하고,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냉각된 혼합물에 첨가하였으며,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 (50 ml x 3)로 추출하였다. 유기 분획물을 합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실리카 겔 상에서 헥산 중 30 내지 70% EtOAc로 용리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23
4-(2-(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e)의 합성: 6-클로로-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 (300 mg, 1.1 mmol)을 압력 튜브에서 무수 2-프로판올 (40 mL)에 현탁하였다. 티라민 (300 mg, 2.2 mmol)을 첨가하였다. 튜브를 밀봉하고, 16시간 동안 85℃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실리카 겔 상에서 헥산 중 0 내지 70% EtOAc로 용리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123
4-(2-(9-이소프로필-2-(2-메틸-1H-이미다졸-1-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Figure pct00024
마이크로웨이브 반응 튜브를 4-(2-(2-클로로-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30 mg, 0.091 mmol), 2-메틸-1H-이미다졸 (59 mg, 0.73 mmol) 및 0.5 ml의 NMP로 충전하였다. 밀봉된 튜브를 마이크로웨이브 조사 하에 24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역상 HPLC (C18 컬럼, ACN-H2O 0.05% TFA로 용리함)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128
4-(2-(2-(5-클로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Figure pct00025
4-(2-(2-요오도-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b)의 합성: 6-클로로-2-요오도-9-이소프로필-9H-퓨린 (a) (1.0 g, 3.1 mmol), 티라민 (0.64 g, 4.65 mmol), 트리에틸아민 (0.63 g, 6.2 mmol) 및 2-프로판올 (30 mL)의 혼합물을 85℃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실리카 겔 상에서 (헥산 용리액 중 25 내지 75% 에틸 아세테이트)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26
4-(2-(2-(5-클로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c)의 합성: 실시예 15d의 절차에 따라, 4-(2-(2-요오도-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b)을 5-클로로피리딘-3-일보론산과 반응시켰다. 조 생성물을 역상 HPLC (C18 컬럼, ACN-H2O 0.05% TFA로 용리함)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134
4-(2-(6-(5-플루오로피리딘-3-일)-1-이소프로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일아미노)에틸)페놀
Figure pct00027
4-(2-(6-클로로-1-이소프로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일아미노)에틸)페놀 (b)의 합성: 실시예 128b의 절차에 따라, 4,6-디클로로-1-이소프로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제US3399196호) (a) (0.184 g, 0.795 mmol)을 티라민과 반응시켰다. 조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용리액 중 25 내지 75%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28
4-(2-(6-(5-플루오로피리딘-3-일)-1-이소프로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일아미노)에틸)페놀 (c)의 합성: 실시예 15d의 절차에 따라, 4-(2-(6-클로로-1-이소프로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일아미노)에틸)페놀 (b)을 5-플루오로피리딘-3-일보론산과 반응시켰다. 조 잔류물을 역상 HPLC (C18 컬럼, ACN-H2O 0.05% TFA로 용리함)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141
4-(2-(2-(5-플루오로피리딘-3-일)-7-이소프로필-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에틸)페놀
Figure pct00029
2,4-디클로로-7-이소프로필-7H-피롤로[2,3-d]피리미딘 (b)의 합성: 실시예 15b의 절차에 따라, 2,4-디클로로-7H-피롤로[2,3-d]피리미딘 (0.5 g, 2.67 mmol)을 2-요오도프로판과 반응시켰다. 조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용리액 중 15 내지 25%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30
4-(2-(2-클로로-7-이소프로필-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에틸)페놀 (c)의 합성: 실시예 128b의 절차에 따라, 2,4-디클로로-7-이소프로필-7H-피롤로[2,3-d]피리미딘 (b) (0.278 g, 1.21 mmol)을 티라민과 반응시켰다. 조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용리액 중 25 내지 75%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31
4-(2-(2-(5-플루오로피리딘-3-일)-7-이소프로필-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에틸)페놀 (d)의 합성: 실시예 15d의 절차에 따라, 4-(2-(2-클로로-7-이소프로필-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에틸)페놀 (20 mg, 0.06 mmol)을 5-플루오로피리딘-3-일보론산과 반응시켰다. 조 잔류물을 역상 HPLC (C18 컬럼, ACN-H2O 0.05% TFA로 용리함)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153
(R)-4-(2-(2-(벤조[b]티오펜-3-일)-9-(테트라히드로푸란-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Figure pct00032
(R)-2,6-디클로로-9-(테트라히드로푸란-3-일)-9H-퓨린 (b)의 합성: 무수 THF (30 mL) 중 5,7-2,6-디클로로-9H-퓨린 (400 mg, 2.12 mmol), (S)-테트라히드로푸란-3-올 (88 mg, 2.5 mmol) 및 트리페닐포스핀 (1.0 g, 3.8 mmol)의 용액을 -78℃에서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856 mg, 4.23 mmol)로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용리액 중 10 내지 8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트리페닐포스폭시드로 오염된 표제 화합물로 구성된 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33
(R)-4-(2-(2-클로로-9-(테트라히드로푸란-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c)의 합성: 실시예 128b의 절차에 따라, (R)-2,6-디클로로-9-(테트라히드로푸란-3-일)-9H-퓨린 (b)을 티라민과 반응시켰다. 조 반응 혼합물을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Figure pct00034
(R)-4-(2-(2-(벤조[b]티오펜-3-일)-9-(테트라히드로푸란-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의 합성: 실시예 15d의 절차에 따라, (R)-4-(2-(2-클로로-9-(테트라히드로푸란-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c)을 벤조[b]티오펜-3-일보론산 (22.3 mg, 0.125 mmol)과 반응시켰다. 조 잔류물을 역상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157
2-(6-(2-(1H-인돌-3-일)에틸아미노)-2-(5-플루오로피리딘-3-일)-9H-퓨린-9-일)프로판-1-올
Figure pct00035
메틸 2-(2,6-디클로로-9H-퓨린-9-일)프로파노에이트 (b)의 합성: 무수 DMF (100 mL) 중 2,6-디클로로-9H-퓨린 (5.0 g, 26.5 mmol), 메틸 2-브로모프로파노에이트 (5.3 g, 31.7 mmol) 및 탄산칼륨 (11.0 g, 79.4 mmol)의 혼합물을 100℃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50 ml X 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용리액 중 10 내지 8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36
메틸 2-(6-(2-(1H-인돌-3-일)에틸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프로파노에이트 (c)의 합성: 메틸 2-(2,6-디클로로-9H-퓨린-9-일)프로파노에이트 (b) (600 mg, 2.2 mmol), 트립타민 (420 mg, 2.6 mmol) 및 2-프로판올 (30 mL)의 혼합물을 85℃에서 밀봉된 튜브에서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용리액 중 10 내지 8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37
메틸 2-(6-(2-(1H-인돌-3-일)에틸아미노)-2-(5-플루오로피리딘-3-일)-9H-퓨린-9-일)프로파노에이트 (d)의 합성: 150 ml 압력 튜브를 메틸 2-(6-(2-(1H-인돌-3-일)에틸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프로파노에이트 (c) (300 mg, 0.75 mmol), 5-플루오로피리딘-3-일보론산 (159 mg, 1.1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87 mg, 0.075 mmol), K3PO4 (638 mg, 3.0 mmol) 및 무수 디옥산 (15 mL)으로 충전하였다. 압력 튜브를 질소로 살포하고, 밀봉한 후,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6시간 동안 130℃에서 가열하였다. 물을 냉각된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용리액 중 10 내지 8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소량의 트리페닐포스핀 옥시드로 오염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38
2-(6-(2-(1H-인돌-3-일)에틸아미노)-2-(5-플루오로피리딘-3-일)-9H-퓨린-9-일)프로판-1-올의 합성: 수소화알루미늄리튬 (230 mg, 6.1 mmol)을 무수 THF (15 mL) 중 메틸 2-(6-(2-(1H-인돌-3-일)에틸아미노)-2-(5-플루오로피리딘-3-일)-9H-퓨린-9-일)프로파노에이트 (282 mg, 0.61 mmol)의 0℃ 용액에 일부분씩 첨가하였다. 교반된 반응 혼합물을 2시간에 걸쳐 실온으로 가온한 후, 물을 조심스럽게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EtOAc (50 ml x 3)로 추출하였다. 유기 분획물을 합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로메탄 중 0 내지 5% 용매 B; 용매 B = 메탄올 중 2M 암모니아)에 의해 정제하여, 부분적으로 정제된 표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를 정제용 TLC (디클로로메탄 중 5% 용매 B)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실시예 157R & 157S
(R)-2-(6-(2-(1H-인돌-3-일)에틸아미노)-2-(5-플루오로피리딘-3-일)-9H-퓨린-9-일)프로판-1-올 & (S)-2-(6-(2-(1H-인돌-3-일)에틸아미노)-2-(5-플루오로피리딘-3-일)-9H-퓨린-9-일)프로판-1-올
Figure pct00039
(R/S)-(6-(2-(1H-인돌-3-일)에틸아미노)-2-(5-플루오로피리딘-3-일)-9H-퓨린-9-일)프로판-1-올을 21x250 mm 룩스-셀룰로스-2(Lux-Cellulose-2) (페노메넥스(Phenomenex)) 키랄 컬럼 상에서 정제용 키랄 HPLC를 이용하여 개별 거울상이성질체로 분리하였다. 메탄올 중 라세미체의 3 mg/ml 용액을 제조하고, 이를 주입 당 용액 0.5 ml로 컬럼에 로딩하였다. 컬럼을 85/7.5/7.5 헥산/에탄올/메탄올로 25분 동안 20 mL/분의 유속으로 용리하였다. 피크 1 및 2는 각각 20분 및 22.5분에 용리되었다. 분석용 크로마토그래피를 4.6 x 100 mm 룩스-셀룰로스-2 (페노메넥스) 키랄 컬럼 상에서 90/5/5 헥산/에탄올/메탄올을 20분 동안 1 mL/분으로 용리하여 수행하였다. 피크 1 및 2는 각각 17.45분 및 18.14분에 용리되었다.
실시예 157R
(R)-2-(6-(2-(1H-인돌-3-일)에틸아미노)-2-(5-플루오로피리딘-3-일)-9H-퓨린-9-일)프로판-1-올
Figure pct00040
(R)-N-(2-(1H-인돌-3-일)에틸)-9-(1-(벤질옥시)프로판-2-일)-2-(5-플루오로피리딘-3-일)-9H-퓨린-6-아민 (b)의 합성: 연속적으로 실시예 153b (반응물로서 2,6-디클로로-9H-퓨린 및 (S)-1-(벤질옥시)프로판-2-올을 사용함), 실시예 153c (반응물로서 트립타민을 사용함) 및 실시예 153d (반응물로서 5-플루오로피리딘-3-일보론산을 사용함)의 절차에 따라,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2-(6-(2-(1H-인돌-3-일)에틸아미노)-2-(5-플루오로피리딘-3-일)-9H-퓨린-9-일)프로판-1-올 (c)의 합성: DCM (10 ml) 중 (R)-N-(2-(1H-인돌-3-일)에틸)-9-(1-(벤질옥시)프로판-2-일)-2-(5-플루오로피리딘-3-일)-9H-퓨린-6-아민 (b) (0.15 g, 0.29 mmol)의 용액을 2시간 동안 -78℃에서 DCM (10 ml) 중 BCl3 (1M, 2.9 ml, 2.9 mmol)으로 처리하였다.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DCM 용리액 중 5% MeOH)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Figure pct00041
실시예 157S
(S)-2-(6-(2-(1H-인돌-3-일)에틸아미노)-2-(5-플루오로피리딘-3-일)-9H-퓨린-9-일)프로판-1-올
Figure pct00042
(S)-1-(벤질옥시)프로판-2-올 대신에 (R)-1-(벤질옥시)프로판-2-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57R의 절차에 따라,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43
실시예 161
4-(2-(6-(5-플루오로피리딘-3-일)-1-이소프로필-1H-이미다조[4,5-c]피리딘-4-일아미노)에틸)페놀
Figure pct00044
4,6-디클로로-1-이소프로필-1H-이미다조[4,5-c]피리딘 (b)의 합성: 실시예 15b의 절차에 따라, 4,6-디클로로-1H-이미다조[4,5-c]피리딘 (문헌 [J. Het. Chem. 1965, 196-201]) (0.19 g, 1.0 mmol)을 2-요오도프로판과 반응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용리액 중 25 내지 35%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45
4-(2-(6-클로로-1-이소프로필-1H-이미다조[4,5-c]피리딘-4-일아미노)에틸)페놀 (c)의 합성: 4,6-디클로로-1-이소프로필-1H-이미다조[4,5-c]피리딘 (b) (40 mg, 0.17 mmol), 티라민 (120 mg, 0.86 mmol) 및 2-부탄올 (2 mL)의 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 조사 하에 140℃에서 8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역상 HPLC (C18 컬럼, ACN-H2O 0.05% TFA로 용리함)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46
4-(2-(6-(5-플루오로피리딘-3-일)-1-이소프로필-1H-이미다조[4,5-c]피리딘-4-일아미노)에틸)페놀 (d)의 합성: 5 ml 마이크로웨이브 반응 바이알을 4-(2-(6-클로로-1-이소프로필-1H-이미다조[4,5-c]피리딘-4-일아미노)에틸)페놀 (c) (17 mg, 0.051 mmol), 5-플루오로피리딘-3-일보론산 (72 mg, 0.51 m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36 mg, 0.031 mmol)으로 충전하였다. 이 혼합물에 톨루엔 (1 ml), 에탄올 (0.5 ml) 및 탄산나트륨 수용액 (2M, 0.5 ml)을 첨가하였다. 바이알을 밀봉하고,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 조사 하에 14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냉각된 혼합물에 첨가하였으며,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 (5 ml x 3)로 추출하였다. 유기 분획물을 합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역상 HPLC (C18 컬럼, ACN-H2O 0.05% TFA로 용리함)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177
4-(2-(5-(5-플루오로피리딘-3-일)-3-이소프로필-3H-이미다조[4,5-b]피리딘-7-일아미노)에틸)페놀
Figure pct00047
5,7-디클로로-3-이소프로필-3H-이미다조[4,5-b]피리딘 (b)의 합성: 실시예 15b의 절차에 따라, 5,7-디클로로-3H-이미다조[4,5-b]피리딘 (문헌 [J. Med. Chem., 2007, 50, 828-834]) (0.118 g, 0.624 mmol)을 2-요오도프로판과 반응시켰다. 조 생성물 혼합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용리액 중 25 내지 35%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주요) 및 이성질체 생성물의 혼합물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48
4-(2-(5-클로로-3-이소프로필-3H-이미다조[4,5-b]피리딘-7-일아미노)에틸)페놀 (c)의 합성: 5,7-디클로로-3-이소프로필-3H-이미다조[4,5-b]피리딘 (b) (40 mg, 0.17 mmol), 티라민 (120 mg, 0.87 mmol) 및 2-프로판올 (2 mL)을 함유하는 생성물 혼합물을 밀봉된 바이알에서 140℃에서 7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정제용 TLC (1:2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용리액)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49
4-(2-(5-(5-플루오로피리딘-3-일)-3-이소프로필-3H-이미다조[4,5-b]피리딘-7-일아미노)에틸)페놀 (d)의 합성: 실시예 161d의 절차에 따라, 4-(2-(5-클로로-3-이소프로필-3H-이미다조[4,5-b]피리딘-7-일아미노)에틸)페놀 (c) (15 mg, 0.047 mmol)을 5-플루오로피리딘-3-일보론산과 반응시켰다. 조 잔류물을 정제용 TLC (1: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용리액)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적절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절차를 반복함으로써,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은 아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50
Figure pct00051
Figure pct00052
Figure pct00053
Figure pct00054
Figure pct00055
Figure pct00056
Figure pct00057
Figure pct00058
Figure pct00059
Figure pct00060
Figure pct00061
Figure pct00062
Figure pct00063
Figure pct00064
Figure pct00065
Figure pct00066
Figure pct00067
Figure pct00068
Figure pct00069
Figure pct00070
Figure pct00071
Figure pct00072
Figure pct00073
Figure pct00074
Figure pct00075
Figure pct00076
Figure pct00077
Figure pct00078
Figure pct00079
Figure pct00080
Figure pct00081
Figure pct00082
본 발명의 화합물과 관련된 친화도 프로브 화합물을 아래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또한 제조할 수 있었다.
실시예 210
3-(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1H-인돌-5-일 6-(5-((3aS,4S,6aR)-2-옥소헥사히드로-1H-티에노[3,4-d]이미다졸-4-일)펜탄아미도)헥사노에이트
Figure pct00083
3-(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1H-인돌-5-일 6-아미노헥사노에이트 (e)의 합성: DCM (20 ml) 중 3-(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1H-인돌-5-일 6-(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헥사노에이트 (a) (80 mg, 0.117 mmol)의 용액에 TFA (5 m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를 농축시켰다.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분획물을 합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생성물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84
3-(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1H-인돌-5-일 6-(5-((3aS,4S,6aR)-2-옥소헥사히드로-1H-티에노[3,4-d]이미다졸-4-일)펜탄아미도)헥사노에이트의 합성: DMF (1 ml) 중 (+)-바이오틴 (35 mg, 0.14 mmol) 및 Et3N (36 mg, 0.35 mmol)의 용액에 HATU (90 mg, 0.24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한 후, DMF (1 ml) 중 (3-(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1H-인돌-5-일 6-아미노헥사노에이트 (b) (68 mg, 0.12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역상 HPLC (C18 컬럼, MeOH-H2O 0.05% TFA로 용리함)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210은 %CD34+ 검정에서 2.1 μM의 EC50 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11
3-(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1H-인돌-5-일 6-(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헥사노에이트
Figure pct00085
2-(벤조[b]티오펜-3-일)-6-클로로-9-이소프로필-9H-퓨린 (b)의 합성: 실시예 15d의 절차에 따라, 6-클로로-2-요오도-9-이소프로필-9H-퓨린 (3.31 g, 0.0103 mol)을 벤조[b]티오펜-3-일보론산과 반응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중 20 내지 5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86
3-(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1H-인돌-5-올 (c)의 합성: 실시예 15e의 절차에 따라, 2-(벤조[b]티오펜-3-일)-6-클로로-9-이소프로필-9H-퓨린 (b) (80 mg, 0.243 mmol)을 세로토닌과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킨 후,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분획물을 합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DCM 용리액 중 0 내지 5% MeOH)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87
3-(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1H-인돌-5-일 6-(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헥사노에이트 (d)의 합성: DMF (3 ml) 중 3-(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1H-인돌-5-올 (55.5 mg, 0.119 mmol) 및 6-(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헥산산 (30 mg, 0.113 mmol)의 용액에 Et3N (24 mg, 0.237 mmol) 및 HATU (90 mg, 0.237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 농축시켰다. 물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분획물을 합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DCM 용리액 중 0 내지 5% MeOH)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적절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절차를 반복함으로써,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은 아래 친화도 프로브를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88
Figure pct00089
Figure pct00090
검정
조혈 줄기 세포 (HSC) 증식을 촉진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하기 검정을 이용하였다.
1차 성인 CD34+ 인간 조혈 줄기 세포 (HSC)를 배양하고, HSC 증식을 촉진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확인하기 위해 스크리닝하였다. 세포를 원하는 표현형의 존재 (CD34 발현)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용량 의존적 방식으로 HSC 증식을 촉진하였다.
배양 배지: 스템스팬 SFEM 배지는 아래 인간 재조합 시토카인으로 보충된 혈청-비함유 배지 (스템셀 테크놀로지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밴쿠버)였다: 트롬보포이에틴, 인터류킨-6, Flt-3 리간드 및 줄기 세포 인자 (모두 알앤디 시스템스 (R&D Systems; 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로부터) (각각은 비히클 (DMSO) 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과 함께 50 ng/mL의 최종 농도로 존재함).
인간 세포 배양: 정상적인 공여자로부터의 신선한 인간 백혈구제거된 G-CSF 가동화 말초혈, 성인 골수로부터의 CD34+ 세포 및 냉동보존된 인간 제대혈 CD34+ 세포를 올셀스 (AllCells; 미국 캘리포니아주 버클리)로부터 구입하였다. 자성 세포 분류법 (MACS, 직접 CD34 선조 세포 단리 키트, 밀테니 바이오테크, 독일 베르기슈 글라트바흐)을 이용하여 백혈구제거된 G-CSF 가동화 말초혈로부터 인간 CD34+ 세포를 풍부하게 하고, 냉동보존하였다. 유동세포계측법에 의해 검사된 CD34+ 세포 순도는 90%보다 높았다. 해동 후, 트립판 블루 배제에 의해 시험된 세포 생존도는 70%보다 높았다. 해동된 세포를 원심분리하고, 스템스팬 배지로 재현탁한 후, 즉시 배양을 위해 분취하였다. 세포를 7일 동안 웰 당 배지 50 μL를 갖는 384 웰 플레이트 (그라이너 바이오-원 (Greiner Bio-One;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먼로))에서 104개 세포/mL로 플레이팅하였다. 7일 마다 세포를 더 큰 웰 플레이트로 이동시키고, 신선한 배지를 첨가하여 세포 밀도를 104 내지 5 × 105개 세포/mL로 유지하였다. 세포를 37℃에서 5% CO2에서 배양하였다. 이식을 위해, 세포를 75 ㎠ 플라스크에서 배양한 후, 세포를 마우스에 이식하였다. 1 마이크로몰 농도에서,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화합물 1, 표 1; 실시예 1), 4-(2-(2-(벤조[b]티오펜-3-일)-9-sec-부틸-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화합물 2, 표 1) 및 N-(2-(1H-인돌-3-일)에틸)-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화합물 9, 표 1)은 각각 비히클과 비교하여 21일 후 1000 mPB CD34+ HSC로부터 유래된 CD34+CD45RA- 세포의 개수의 10배 초과의 증가를 유발하였다. 세포의 50%에서 원하는 효과를 생성한 유효 농도 (EC50)를 결정하기 위해 용량 반응 포맷 (1 nM 내지 10 μM)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을 검정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10 μM 미만의 EC50으로 CD34+ 세포의 총 개수 및/또는 퍼센트를 증가시켰다. 결과는 상기 표 1 및 예에 나타낸다.
배양물 내 콜로니-형성 단위 (CFU-C) 검정: 제대혈 제5주 및 mPB 제3주 배양의 경우 mL 당 1000개의 단핵 세포 및 CB 제3주 및 mPB 제1주 배양의 경우 mL 당 100개 세포를, 이스코브의 MDM 중 메틸셀룰로스, 소 혈청 알부민, 2-머캅토에탄올, L-글루타민, 인간 전이(transferring) (철 포화), 재조합 인간 인슐린 및 재조합 인간 시토카인: 줄기 세포 인자, GM-CSF, IL-3, IL-6, G-CSF 및 에리트로포이에틴 (스템셀 테크놀로지스)을 함유하는 메토컬트(MethoCult) SF H4436, 혈청-비함유 메틸셀룰로스 배지에 첨가하였다. 메토컬트를 다음 인간 재조합 시토카인으로 보충하였다: 트롬보포이에틴 및 Flt-3 리간드 (알앤디 시스템스) (각각은 50 ng/mL의 최종 농도로 존재함). 교반 후, 혼합물을 3개의 35-mm 접시로 나누었다. 접시를 14일 동안 37℃에서 공기 중 5% CO2의 가습 분위기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기간 끝에, 골수성 및 적혈구계 콜로니를 도립 현미경 하에 40X 확대로 계수하였다. 증식 배양물의 CFU-C 함량을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3개의 접시 당 점수화된 콜로니의 개수 × 총 단핵 세포 개수/도입 세포 개수. 1주까지, 밀리리터 당 세포 개수에 배양 부피를 곱하여 총 단핵 세포를 결정하였다. 제1주에 및 제1주로부터, 통과 개수를 또한 고려하였다. 1 마이크로몰 농도의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화합물 1, 표 1; 실시예 1)로 처리된 배양물은 비히클과 비교하여 mPB CD34+ 세포의 배양의 21일 후 콜로니 형성 세포의 개수의 10배 초과의 증가를 생성하였다. 제5주 배양물로부터 취한 1 마이크로몰 농도의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화합물 1, 표 1; 실시예 1)로 처리된 1 x 103개 CB CD34+ 세포의 사용은 대조와 비교하여 콜로니 형성 단위의 >10배 증가를 나타내었다.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화합물 1, 표 1; 실시예 1)로 처리된 세포는 적혈구 콜로니의 >10배 증가, 과립구/대식세포 콜로니의 >10배 증가 및 대식세포 콜로니의 >10배 증가와 관련된 더 많은 혼합된 콜로니를 생성하였다.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화합물 1, 표 1; 실시예 1)로 처리된 세포는 또한 혼합된 과립구/적혈구/단핵구/대식세포 콜로니를 유발하였으며, 이는 비처리된 배양물로부터 유래된 콜로니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조약돌 구역-형성 세포 (CAFC) 검정: FBMD-1 간질 세포를 25-㎠ 플라스크에서 유지시키고, 1/3 전면성장 후 트립신화하였다. 이러한 비-형질전환된 계통은 노화되고 그러므로 후기에 CAFC 성장을 지지하는 그의 잠재력을 점차 손실하기 때문에, 모든 공급자는 통과 20 아래로 사용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서 CAFC 성장을 지지하기 위해, 웰 당 1 × 103개 간질 세포를 시딩하였다. 배양물을 37℃에서 공기 중 5% CO2의 가습 분위기에서 10% 소 태아 혈청 (FCS), 2.5% 말 혈청 (HS), 1% L-글루타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및 1 × 10-5 M 히드로코르티손으로 보충된 이스코브 배지에서 유지하였다. 간질층이 전면성장에 도달한 후, 이를 비히클 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과 함께 5일 동안 배양된 CD34+ HSC로 접종하였다. 각각의 세포 용량에 대해 10개의 웰로 8개의 일련의 1:3 희석물 (25,000개 세포/웰로 시작함)로 MNC를 첨가하였다. 간질층 아래 5종 이상의 세포의 하나 이상의 상-암흑 조혈 클론 (조약돌 구역)을 갖는 웰을 갖는 희석물을 제4주에 결정하였다. 1 마이크로몰의 시험 농도에서,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화합물 1, 표 1; 실시예 1)은 DMSO 단독으로 처리된 대조 배양과 비교하여 배양의 5일 후 mPB CD34+ HSC로부터 유래된 조약돌 구역 형성 세포의 개수의 2배 초과의 증가를 자극하였다.
표면 항원 분석: 세포를 염색 배지 (FBS (2%) 및 EDTA (2mM)를 함유하는 행크 균형 염(Hanks balanced salt) 용액)로 세척하고, 지정된 1차 접합된 항체로 염색하였다 (4℃에서 30분 동안). 세포를 이전에 기재된 완충액에서 세척하고, BD LSR II 유동세포계측기 (벡톤 딕킨슨(Becton Dickinson;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호세))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여기를 위한 광원으로서 488-nm 아르곤 및 633-nm HeNe 레이져 빔을 이용하여 1000개 세포/초 이하의 속도로 세포를 통과시켰다. 대수 증폭을 이용하여 104개 세포의 방출을 측정하고, 플로우조(FlowJo) 소프트웨어 (트리스타 인크. (TreeStar Inc.; 미국 오리건주 애쉬랜드))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차 접합된 이소형 대조 항체로 염색된 세포를 사용하여 배경 형광을 결정하였다.
CD34+ 세포 서브세트의 결정: CD34+ 세포 서브세트의 백분율을 세포 배양물의 분취액으로부터 결정하였다. CD34+Thy1.1+, CD34+CD45RA-, CD34+CD38-, CD133+CD38- 및 CD34+CD133+ 세포의 결정을 위해 세포를 APC 항-Thy1.1, PerCP 항-CD34, PECy7 항 CD45RA, FITC 항 CD38 및 PE 항-CD133으로 염색하였다. CD34, CD38, Thy1.1 및 CD45RA에 대한 항체를 벡톤 딕킨슨으로부터 구입하고, CD133에 대한 항체를 밀테니 바이오테크로부터 구입하였다. 이들 서브세트의 FACS 분석 결과는 총 집단의 백분율로서 제공하였다. 세포의 총 개수에 각각의 집단의 백분율을 곱하여 배양물 중 세포의 각각의 집단의 절대수를 계산하였다. CB CD34+ 세포로 시작하여, 5주 후, 배양물 중 총 세포 개수는 대조 배양물과 비교하여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화합물 1, 표 1; 실시예 1) 1 마이크로몰 농도 처리된 세포에서 평균 2배 초과 증가하였다. 보다 중요하게는,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화합물 1, 표 1; 실시예 1) 배양된 세포의 >50%는 비히클 배양된 세포의 < 10%과 비교하여 CD34+였으며, 이는 대조와 비교하여 CD34+ 세포의 10배 초과의 증식 및 도입 세포와 비교하여 10,000배 초과의 증식을 유발하였다. 또한, 1 마이크로몰 농도의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화합물 1, 표 1; 실시예 1)의 존재는 CD34+ 하위집단, CD34+CD45RA-, CD34+CD38-, CD133+CD38- 및 CD34+CD133+의 백분율 및 총 개수 둘 모두를 증가시켰으며, 이는 각각의 서브세트에 대해 30배 초과의 순 증식을 유발하였다.
NOD.CB17-Prkdcscid 마우스 (NOD/SCID)로의 인간 CD34+ 세포의 이식: CD34+ 세포 및 그의 배양된 자손의 생체내 재증식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배양되지 않은 CD34+ 또는 4일 (mPB) 또는 21일 (CB) 후 배양된 CD34+ 세포의 자손을 비히클 또는 시험 화합물과 함께 치사량 이하로 조사된 (3.0 Gy) 8주령 내지 10주령 NOD/SCID (mPB HSC 실험의 경우) 또는 NOD/SCIDgc-/- (CB HSC 실험의 경우) 마우스에게 안구뒤 경로를 통해 정맥내로 주사하였다. 생착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안구뒤를 통해 1주마다 채혈하고, 적혈구 용균 용액 (퀴아젠 (Qiagen; 미국 캘리포니아주 발렌시아))으로 처리하여, 적혈구를 제거하고, 염색 배지로 세척하고, 유동세포계측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혈액 중 항-인간 CD45+ 세포의 검출에 의해 생착을 측정하였다. 마우스를 이식후 10주에 희생시키고; BM을 대퇴골 및 경골 둘 모두로부터 수집하였다. BM 세포를 염색 배지에서 세척하고, 항-인간 항체로 염색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현탁액을 적혈구 용균 용액 (퀴아젠; 미국 캘리포니아주 발렌시아)으로 처리하여 적혈구를 제거하고, 염색 배지로 세척하고,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유동세포계측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1 마이크로몰 농도의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화합물 1, 표 1; 실시예 1)로 배양된 mPB 및 CB 유래된 HSC 둘 모두는 생착 후 10주에 인간 세포의 백분율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유발하였다.
표적 확인
본 발명의 화합물이 미분화된 상태의 HSC를 증식시키는 메카니즘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1 및 실시예 1의 덜 활성인 유사체 (약 20배) (2-(벤조[b]티오펜-3-일)-N-(3-(3,5-디메틸-1H-피라졸-4-일)프로필)-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로 24시간 동안 처리된 mPB-유래된 CD34+ 세포의 게놈-전체(genome-wide) 전사 프로파일링을 수행하였다. 분석된 >50,000 프로브 세트 중에서, 오직 5개의 유전자만이 실시예 1에 의한 처리시 3배 초과로 상향조절되었고, 대부분은 또한 비활성 유사체에 의해 어느 정도로 유도되었다. 또한, 5개의 유전자는 1 μM 실시예 1에 의한 처리시 >70%만큼 하향조절되었다. 모두는 용량 의존적 방식으로 하향조절되었으며, 비활성 유사체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실시예 1 (시토크롬 P450 1B1 [CYP1B1] 및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억제제 [AHRR])에 의한 처리에 의해 가장 많이 억제된 2개이 유전자는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AHR)에 의해 전사적으로 조절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AHR 신호전달의 길항제로서 작용하는 것일 수 있었다.
추가로, mPB-유래된 CD34+ 세포에서 qPCR에 의한 2,3,7,8-테트라클로로디벤조-p-다이옥신 (TCDD, 다이옥신)-매개 CYP1B1 mRNA 발현을 차단하는 실시예 1의 능력을 결정하였다. TCDD (3 nM)에 의한 처리는 비히클 대조 (0.01% 톨루엔)와 비교하여 CYP1B1 mRNA 수준의 4.5배 증가를 유발하였다. 이러한 증가는 실시예 1에 의해 용량-의존적 방식으로 억제되었으며, 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AHR 신호전달을 길항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AHR 전사에서 실시예 1의 효과를 결정하기 위해, 다이옥신-유도 AHR 의존적 루시퍼라제 리포터 유전자 검정을 억제하는 실시예 1의 능력을 시험하였다. 실시예 1 (1 μM)의 포함은 인간 AHR을 발현하는 세포 상에 사용시 다이옥신-유도 AHR 의존적 전사를 완전히 폐지하였다. 실시예 1의 적정은 127 nM의 EC50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실시예 1이 강력한 AHR 길항제라는 것을 나타내었다. 흥미롭게는, 실시예 1은 뮤린 세포에서 다이옥신 유도된 전사를 오직 약하게 억제하였으며, 래트 세포에 대한 활성을 갖지 않았고, 이는 실시예 1이 인간 AHR을 우선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뮤린 HSC에 대한 실시예 1의 활성의 결핍과 상관관계가 있고, 실시예 1의 종 선택성을 설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시예 1은 뮤린 또는 래트 세포에 대한 오직 약한 효능제 활성을 가졌으며, 인간 세포에서 AHR 의존적 전사를 유도하는데 실패하였다.
HSC에서 AHR 신호전달의 역할을 추가로 조사하기 위해, 2종의 다른 AHR 길항제 (알파-나프토플라본 및 CH-223191)를 시험하였다. 화합물 둘 모두는 7일 동안 mPB-유래된 CD34+ 세포와 배양시 CD34+ 세포의 개수의 용량 의존적 증가를 유발하였다: 1 μM CH223191의 포함은 CD34+ 세포의 2.2배 증식을 제공하였고, 0.75 μM α-나프토플라본은 CD34+ 세포의 1.9배 증식을 제공하였으나, 0.75 μM 실시예 1은 총 CD34+ 세포의 3.4배 증식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1 유도된 HSC 증식에서 AHR에 대한 직접적 역할을 나타내기 위해, GFP를 공동-발현한 shRNA-표적화 AHR을 함유하는 렌티바이러스 입자 또는 대조 바이러스로 인간 CB-유래된 CD34+ HSC를 처리하였다. 형질도입 후 48시간에, CD34+GFP+ 세포를 세포 분류법에 의해 정제하고, AHR 수준을 qPCR에 의해 결정하였다. AHR 표적화 shRNA 둘 모두는 형질도입 후 AHR 발현의 감소를 유발하였다 (sh111에서 81% 및 sh242에서 51%). 이들 감소는 GFP가 결핍된 세포에서 또는 대조 바이러스로 형질도입된 세포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감소된 AHR 발현을 갖는 CB-유래된 CD34+ 세포는 CD34+의 지속 발현을 갖는 실시예 1 처리된 세포와 유사한 표현형을 나타내었다. 이들 데이터는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한 AHR 활성의 억제가 HSC의 생체외 증식을 촉진하기에 충분하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인간 신생아 제대혈로부터 HSC를 증식시키는 방법
사용된 배양 배지는 다음 재조합 인간 시토카인: TPO, IL6, Flt3 리간드 및 SCF (각각은 50 ng/mL의 최종 농도로 존재함)로 보충된 스템스팬 SFEM (스템셀 테크놀로지스, Cat. #09650)이었다. 배양 배지를 사용날 신선하게 제조하였다.
배지로의 화합물 희석: 본 발명의 화합물의 10,000x 농축물을 희석을 위해 사용하였다. 배양 배지로의 화합물의 첨가를 두 단계로 수행하였다. 제1 단계는 배양 배지 중 화합물의 100x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1:100 희석 (10,000x 농축물 10 μL를 1.5 mL 에펜도르프 튜브 [유에스에이 사이언티픽(USA Scientific), Cat #1615-5500]에서 완전 배양 배지 (시토카인 함유) 990 μL로)이었다. 제2 단계는 세포 배양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될 배양 배지로의 1:100 희석이었다. 배양물의 부피는 제대혈 (CB) CD34+ 세포의 도입 개수에 따라 다양하였다. 예를 들어, 1x106개 CB CD34+ 세포를 배지 20 mL로 시딩하였다 (5x104개 세포/mL). 이 경우에, 100x 실시예 1 용액 200 μL를 50 mL 코니칼 튜브 (벡톤 딕킨슨, Cat #352098)에서 배지 20 mL에 첨가하여, 최종 농도 (표 3 참조)에 도달시켰다.
세포 배양 개시: 생체외 증식 실험을 위해 정제된 인간 CB CD34+ 세포를 사용하였다. 해동 후, 트립판 블루 배제에 의해 시험된 세포 생존도는 50%보다 높았다. 해동된 세포를 배양 배지 (시토카인 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 예컨대 실시예 1 없음)로 5배 희석하고, 300 g에서 25℃에서 8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을 흡입한 후, 펠렛을 적절한 부피의 배양 배지로 재현탁한 후 (5 x 104개 세포/mL, 표 3), 즉시 배양을 위해 AFC 백에 주사하였다 (22 게이지 니들, 에어-타이트(Air-Tite) 제품; 20 mL 주사기, BD cat # 309661) (표 5). 세포를 37℃에서 5% CO2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물로의 배지의 첨가: 80 mL 이하의 배지 부피의 경우, 상기 절차 (배지로의 화합물 희석물)를 이용하였다. 80 mL 초과의 배지 부피의 경우, 먼저 1:100 희석을 10 mL 코니칼 튜브 (코닝(Corning), Cat #430052, 표 4)에서 수행하였다. 제2 단계는 멸균 용기 (비디 팔콘(BD Falcon), Cat #354015)에서 배양 배지로의 1:100 희석이었으며, 이를 AFC 백에 첨가하였다 (22 게이지 니들, 에어-타이트 제품; 60 mL 주사기, BD cat # 309653).
Figure pct00091
Figure pct00092
Figure pct00093
자가 이식편 이식을 위해 환자로부터의 가동화 말초혈 세포로부터 출발하는 동일한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었다.
주입으로서 정맥내 투여에 적절한 증식된 HSC를 갖는 세포의 집단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또한 제조할 수 있었다. 주입을 위한 세포를 제조하기 위해, 배양된 세포를 300 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에 의해 펠렛화하고, 5% HSA로 구성된 주입 완충액 (백스터)에서 106 내지 108개 세포/ml의 농도로 재현탁하였다.
본원에 기재된 실시예 및 실시양태는 오직 예시를 위한 것이고, 그의 약간의 다양한 변형 또는 변화가 당업자에게 제안될 것이고, 본원의 취지 및 범위 및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원에서 인용된 모든 공개, 특허 및 특허 출원은 모든 목적을 위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Claims (48)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화학식 I>
    Figure pct00094

    상기 식에서,
    G1은 N 및 CR3으로부터 선택되고;
    G2, G3 및 G4는 CH 및 N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나; 단 G3 및 G4 중 적어도 하나는 N이고; G1 및 G2가 둘 모두 N은 아니고;
    L은 -NR5a(CH2)0-3-, -NR5aCH(C(O)OCH3)CH2-, -NR5a(CH2)2NR5b-, -NR5a(CH2)2S-, -NR5aCH2CH(CH3)CH2-, -NR5aCH2CH(OH)- 및 -NR5aCH(CH3)CH2-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a 및 R5b는 수소 및 C1 - 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1은 수소, 페닐, 티오페닐, 푸라닐, 1H-벤조이미다졸릴, 이소퀴놀리닐, 1H-이미다조피리디닐, 벤조티오페닐, 피리미디닐, 1H-피라졸릴, 피리디닐, 1H-이미다졸릴, 피롤리디닐, 피라지닐, 피리다지닐, 1H-피롤릴 및 티아졸릴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R1의 페닐, 티오페닐, 푸라닐, 1H-벤조이미다졸릴, 이소퀴놀리닐, 1H-이미다조피리디닐, 벤조티오페닐, 피리미디닐, 1H-피라졸릴, 피리디닐, 1H-이미다졸릴, 피롤리디닐, 피라지닐, 피리다지닐, 1H-피롤릴 또는 티아졸릴은 시아노, 히드록시, C1 - 4알킬, C1 - 4알콕시, 할로, 할로-치환된-C1 - 4알킬, 할로-치환된-C1 - 4알콕시, 히드록시, 아미노, -C(O)R8a, -S(O)0-2R8a, -C(O)OR8a 및 -C(O)NR8aR8b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라디칼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고; 여기서 R8a 및 R8b는 수소 및 C1 - 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나; 단 R1 및 R3이 둘 모두 수소는 아니고;
    R2는 -S(O)2NR6aR6b, -NR9aC(O)R9b, -NR6aC(O)NR6bR6c, 페닐, 1H-피롤로피리딘-3-일, 1H-인돌릴, 티오페닐, 피리디닐, 1H-1,2,4-트리아졸릴, 2-옥소이미다졸리디닐, 1H-피라졸릴, 2-옥소-2,3-디히드로-1H-벤조이미다졸릴 및 1H-인다졸릴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6a, R6b 및 R6c는 수소 및 C1 - 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상기 R2의 페닐, 1H-피롤로피리딘-3-일, 1H-인돌릴, 티오페닐, 피리디닐, 1H-1,2,4-트리아졸릴, 2-옥소이미다졸리디닐, 1H-피라졸릴, 2-옥소-2,3-디히드로-1H-벤조이미다졸릴 또는 1H-인다졸릴은 히드록시, 할로, 메틸, 메톡시, 아미노, -O(CH2)nNR7aR7b, -S(O)2NR7aR7b, -OS(O)2NR7aR7b 및 -NR7aS(O)2R7b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라디칼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고; 여기서 R7a 및 R7b는 수소 및 C1 - 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3은 수소, C1 - 4알킬 및 비페닐로부터 선택되고;
    R4는 C1 - 10알킬, 프로프-1-엔-2-일, 시클로헥실, 시클로프로필, 2-(2-옥소피롤리딘-1-일)에틸, 옥세탄-3-일, 벤즈히드릴, 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 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 페닐, 테트라히드로푸란-3-일, 벤질, (4-펜틸페닐)(페닐)메틸 및 1-(1-(2-옥소-6,9,12-트리옥사-3-아자테트라데칸-14-일)-1H-1,2,3-트리아졸-4-일)에틸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킬, 시클로프로필, 시클로헥실, 2-(2-옥소피롤리딘-1-일)에틸, 옥세탄-3-일, 옥세탄-2-일, 벤즈히드릴, 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 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 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 페닐, 테트라히드로푸란-3-일, 테트라히드로푸란-2-일, 벤질, (4-펜틸페닐)(페닐)메틸 또는 1-(1-(2-옥소-6,9,12-트리옥사-3-아자테트라데칸-14-일)-1H-1,2,3-트리아졸-4-일)에틸은 히드록시, C1 - 4알킬 및 할로-치환된-C1 - 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라디칼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Ia, Ib, Ic, Id 및 Ie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화학식 Ia>
    Figure pct00095

    <화학식 Ib>
    Figure pct00096

    <화학식 Ic>
    Figure pct00097

    <화학식 Id>
    Figure pct00098

    <화학식 Ie>
    Figure pct00099

    상기 식에서,
    L은 -NR5a(CH2)0-3-, -NR5aCH(C(O)OCH3)CH2-, -NR5a(CH2)2NR5b-, -NR5a(CH2)2S-, -NR5aCH2CH(CH3)CH2-, -NR5aCH2CH(OH)- 및 -NR5aCH(CH3)CH2-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a 및 R5b는 수소 및 C1 - 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1은 수소, 페닐, 티오펜-2-일, 티오펜-3-일, 푸란-3-일, 1H-벤조[d]이미다졸-1-일, 이소퀴놀린-4-일, 1H-이미다조[4,5-b]피리딘-1-일, 벤조[b]티오펜-3-일, 피리미딘-5-일, 1H-피라졸-4-일, 피리딘-2-일, 피리딘-4-일, 1H-이미다졸-1-일, 피롤리딘-1-일, 피라진-2-일, 피리딘-3-일, 피리다진-4-일, 1H-피롤-2-일 및 티아졸-5-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R1의 페닐, 티오펜-2-일, 티오펜-3-일, 푸란-3-일, 1H-벤조[d]이미다졸-1-일, 이소퀴놀린-4-일, 1H-이미다조[4,5-b]피리딘-1-일, 벤조[b]티오펜-3-일, 피리미딘-5-일, 피리딘-2-일, 피리딘-4-일, 1H-이미다졸-1-일, 피롤리딘-1-일, 피라진-2-일, 피리딘-3-일, 피리다진-4-일, 1H-피롤-2-일 또는 티아졸-5-일은 시아노, 히드록시, C1 - 4알킬, C1 - 4알콕시, 할로, 할로-치환된-C1 - 4알킬, -S(O)0-2R8a 및 -C(O)OR8a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라디칼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고; 여기서 R8a 및 R8b는 수소 및 C1 - 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나; 단 R1 및 R3이 둘 모두 수소는 아니고;
    R2는 -NR6aC(O)NR6bR6c, 페닐, 1H-피롤로[2,3-b]피리딘-3-일, 1H-피롤로[2,3-b]피리딘-5-일, 1H-인돌-3-일, 티오펜-3-일, 피리딘-2-일, 피리딘-3-일, 피리딘-4-일, 1H-1,2,4-트리아졸-5-일, 2-옥소이미다졸리딘-1-일, 1H-피라졸-3-일, 1H-피라졸-4-일, 2-옥소-2,3-디히드로-1H-벤조[d]이미다졸-5-일 및 1H-인다졸-3-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6a, R6b 및 R6c는 수소 및 C1 - 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상기 R2의 페닐, 1H-피롤로[2,3-b]피리딘-3-일, 1H-피롤로[2,3-b]피리딘-5-일, 1H-인돌-3-일, 티오펜-3-일, 피리딘-2-일, 피리딘-3-일, 피리딘-4-일, 1H-1,2,4-트리아졸-5-일, 2-옥소이미다졸리딘-1-일, 1H-피라졸-3-일, 1H-피라졸-4-일, 2-옥소-2,3-디히드로-1H-벤조[d]이미다졸-5-일 또는 1H-인다졸-3-일은 히드록시, 할로, 메톡시, 아미노, -OS(O)2NR7aR7b 및 -NR7aS(O)2R7b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라디칼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고; 여기서 R7a 및 R7b는 수소 및 C1 - 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3은 수소, C1 - 4알킬 및 비페닐로부터 선택되고;
    R4는 이소프로필, 메틸, 에틸, 프로프-1-엔-2-일, 이소부틸, 시클로헥실, sec-부틸, (S)-sec-부틸, (R)-sec-부틸, 1-히드록시프로판-2-일, (S)-1-히드록시프로판-2-일, (R)-1-히드록시프로판-2-일, 노난-2-일, 2-(2-옥소피롤리딘-1-일)에틸, 옥세탄-3-일, 옥세탄-2-일, 벤즈히드릴, 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 페닐, 테트라히드로푸란-3-일 및 벤질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시클로헥실, 2-(2-옥소피롤리딘-1-일)에틸, 옥세탄-3-일, 옥세탄-2-일, 벤즈히드릴, 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 페닐, 테트라히드로푸란-3-일 또는 벤질은 C1 - 4알킬 및 할로-치환된-C1 - 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라디칼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3. 제2항에 있어서, L이 -NR5a(CH2)0-3-, -NR5aCH(C(O)OCH3)CH2-, -NR5a(CH2)2NR5b-, -NR5a(CH2)2S-, -NR5aCH2CH(CH3)CH2-, -NR5aCH(CH3)CH2- 및 -NR5aCH2CH(OH)-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a 및 R5b가 수소 및 메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1이 수소, 페닐, 티오펜-2-일, 티오펜-3-일, 푸란-3-일, 1H-벤조[d]이미다졸-1-일, 이소퀴놀린-4-일, 1H-이미다조[4,5-b]피리딘-1-일, 벤조[b]티오펜-3-일, 피리미딘-5-일, 1H-피라졸-4-일, 피리딘-2-일, 피리딘-4-일, 1H-이미다졸-1-일, 피롤리딘-1-일, 피라진-2-일, 피리딘-3-일, 피리다진-4-일, 1H-피롤-2-일 및 티아졸-5-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R1의 페닐, 티오펜-2-일, 티오펜-3-일, 푸란-3-일, 1H-벤조[d]이미다졸-1-일, 이소퀴놀린-4-일, 1H-이미다조[4,5-b]피리딘-1-일, 벤조[b]티오펜-3-일, 피리미딘-5-일, 피리딘-2-일, 피리딘-4-일, 1H-이미다졸-1-일, 피롤리딘-1-일, 피라진-2-일, 피리딘-3-일, 피리다진-4-일, 1H-피롤-2-일 또는 티아졸-5-일이 시아노, 히드록시, C1 - 4알킬, C1 - 4알콕시, 할로, 할로-치환된-C1 - 4알킬, -S(O)0-2R8a 및 -C(O)OR8a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라디칼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고; 여기서 R8a 및 R8b가 수소 및 C1 - 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나; 단 R1 및 R3이 둘 모두 수소는 아닌 화합물.
  4. 제3항에 있어서, L이 -NR5a(CH2)1-3-, -NR5aCH(C(O)OCH3)CH2-, -NR5a(CH2)2NR5b-, -NR5a(CH2)2S-, -NR5aCH2CH(CH3)CH2-, -NR5aCH(CH3)CH2- 및 -NR5aCH2CH(OH)-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5a 및 R5b가 수소 및 메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5. 제4항에 있어서, R2가 우레아, 페닐, 1H-인돌-2-일, 1H-인돌-3-일, 티오펜-3-일, 피페리딘-1-일, 피리딘-2-일, 피리딘-3-일, 피리딘-4-일, 1H-1,2,4-트리아졸-3-일, 1H-1,2,4-트리아졸-5-일, 2-옥소이미다졸리딘-1-일, 1H-피라졸-3-일, 1H-피라졸-4-일, 2-옥소-2,3-디히드로-1H-벤조[d]이미다졸-5-일, 1H-벤조[d]이미다졸-5-일 및 1H-이미다졸-4-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R2의 페닐, 1H-인돌-2-일, 1H-인돌-3-일, 티오펜-3-일, 피페리딘-1-일, 피리딘-2-일, 피리딘-3-일, 피리딘-4-일, 1H-1,2,4-트리아졸-3-일, 1H-1,2,4-트리아졸-5-일, 2-옥소이미다졸리딘-1-일, 1H-피라졸-3-일, 1H-피라졸-4-일, 2-옥소-2,3-디히드로-1H-벤조[d]이미다졸-5-일 또는 1H-벤조[d]이미다졸-5-일이 히드록시, 메톡시, 메틸, 할로, 아미노 및 아미노-술포닐로 임의로 치환되는 것인 화합물.
  6. 제5항에 있어서, R3이 수소, 메틸 및 비페닐로부터 선택되고; R4가 이소프로필, 메틸, 에틸, 프로프-1-엔-2-일, 이소부틸, 시클로헥실, sec-부틸, (S)-sec-부틸, (R)-sec-부틸, 1-히드록시프로판-2-일, (S)-1-히드록시프로판-2-일, (R)-1-히드록시프로판-2-일, 노난-2-일, 2-(2-옥소피롤리딘-1-일)에틸, 옥세탄-3-일, 옥세탄-2-일, 벤즈히드릴, 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 페닐, 테트라히드로푸란-3-일 및 벤질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시클로헥실, 2-(2-옥소피롤리딘-1-일)에틸, 옥세탄-3-일, 옥세탄-2-일, 벤즈히드릴, 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 페닐, 테트라히드로푸란-3-일 또는 벤질이 메틸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라디칼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것인 화합물.
  7. 제6항에 있어서,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벤조[b]티오펜-3-일)-9-sec-부틸-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벤즈히드릴-2-(벤조[b]티오펜-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벤조[b]티오펜-3-일)-9-(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티오펜-2-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벤조[b]티오펜-3-일)-9-(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부틸-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벤조[b]티오펜-3-일)-9-메틸-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벤조[b]티오펜-3-일)-9-(4-메틸벤질)-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N-(2-(1H-인돌-3-일)에틸)-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N-(2-(티오펜-3-일)에틸)-9H-퓨린-6-아민; 3-(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2-(벤조[b]티오펜-3-일)-N-(4-플루오로페네틸)-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N-(4-아미노페네틸)-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4-(2-(9-이소프로필-2-(피리미딘-5-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페닐-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티오펜-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푸란-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2-(벤조[b]티오펜-3-일)-N-(4-플루오로페네틸)-9-페닐-9H-퓨린-6-아민; N-벤질-8-(비페닐-4-일)-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4-(2-(2-(벤조[b]티오펜-3-일)-9-(노난-2-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N-(2-(1H-인돌-3-일)에틸)-2-(벤조[b]티오펜-3-일)-9-sec-부틸-9H-퓨린-6-아민; 3-(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1H-인돌-5-일 5-((3aS,4S,6aR)-2-옥소헥사히드로-1H-티에노[3,4-d]이미다졸-4-일)펜타노에이트; N-(2-(2-(2-(2-(4-(1-(2-(벤조[b]티오펜-3-일)-6-(4-히드록시페네틸아미노)-9H-퓨린-9-일)에틸)-1H-1,2,3-트리아졸-1-일)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세트아미드; 4-(2-(9-이소프로필-2-(피리딘-4-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에틸 5-(6-(4-히드록시페네틸아미노)-9-이소프로필-9H-퓨린-2-일)니코티네이트; 에틸 5-(6-(4-히드록시페네틸아미노)-9-이소프로필-9H-퓨린-2-일)니코티네이트; 4-(2-(2-(6-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4-메틸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5-(6-(4-히드록시페네틸아미노)-9-이소프로필-9H-퓨린-2-일)니코티노니트릴; 4-(2-(9-이소프로필-2-(피롤리딘-1-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1H-이미다졸-1-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피리다진-4-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피라진-2-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피리딘-2-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5-(메틸술포닐)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5-메틸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4-클로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1-메틸-1H-피라졸-4-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2-메톡시페놀; 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2-메톡시페놀; N-[2-(6-메톡시-1H-인돌-3-일)에틸]-9-(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N-[2-(5-메틸-1H-인돌-3-일)에틸]-9-(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1-(2-{[9-(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이미다졸리딘-2-온; N-(2-{[9-(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피리딘-2-아민; 9-(프로판-2-일)-N-[3-(1H-피라졸-4-일)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N-{2-[(3-메틸-1H-1,2,4-트리아졸-5-일)술파닐]에틸}-9-(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1-(2-{[2-(1-벤조티오펜-3-일)-9-(프로판-2-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이미다졸리딘-2-온; N-[2-(5-아미노-1H-1,2,4-트리아졸-3-일)에틸]-2-(1-벤조티오펜-3-일)-9-(프로판-2-일)-9H-퓨린-6-아민; N-(2-{[2-(1-벤조티오펜-3-일)-9-(프로판-2-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피리딘-2-아민; 2-(1-벤조티오펜-3-일)-9-(프로판-2-일)-N-[3-(1H-피라졸-4-일)프로필]-9H-퓨린-6-아민; 2-(1-벤조티오펜-3-일)-N-[3-(3,5-디메틸-1H-피라졸-4-일)프로필]-9-(프로판-2-일)-9H-퓨린-6-아민; (2-{[2-(1-벤조티오펜-3-일)-9-(프로판-2-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우레아; 5-({[2-(1-벤조티오펜-3-일)-9-(프로판-2-일)-9H-퓨린-6-일]아미노}메틸)-2,3-디히드로-1H-1,3-벤조디아졸-2-온; N-[2-(1H-인돌-3-일)에틸]-9-(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N-(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닐)메탄-술폰아미드; 4-(2-(2-(피리딘-3-일)-9-(테트라히드로푸란-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프로필)페놀; 4-(2-(9-(옥세탄-3-일)-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5-(6-(4-히드록시페네틸아미노)-9-이소프로필-9H-퓨린-2-일)-N-메틸니코틴아미드; 4-(2-(9-(1-히드록시프로판-2-일)-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닐 술파메이트; 4-(2-(2-(2-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1-메틸-1H-피롤-2-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티아졸-5-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1H-벤조[d]이미다졸-1-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2,4-디메틸-1H-이미다졸-1-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2-메틸-1H-이미다졸-1-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5-(9-sec-부틸-6-(4-히드록시-3-메틸페네틸아미노)-9H-퓨린-2-일)니코티노니트릴; N-(2-(1H-피롤로[2,3-b]피리딘-5-일)에틸)-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9-이소프로필-N-(2-(5-메틸-1H-피라졸-3-일)에틸)-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4-(2-(2-(5-플루오로피리딘-3-일)-9-(옥세탄-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5-클로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5-(6-(2-(1H-인돌-3-일)에틸아미노)-9-sec-부틸-9H-퓨린-2-일)니코티노니트릴; N-(2-(1H-인돌-3-일)에틸)-9-sec-부틸-2-(5-메틸피리딘-3-일)-9H-퓨린-6-아민; (R)-N-(2-(1H-인돌-3-일)에틸)-9-sec-부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H-퓨린-6-아민; (S)-N-(2-(1H-인돌-3-일)에틸)-9-sec-부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H-퓨린-6-아민; N-(2-(1H-인돌-3-일)에틸)-9-sec-부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H-퓨린-6-아민; (R)-N-(2-(1H-인돌-3-일)에틸)-9-sec-부틸-2-(5-메틸피리딘-3-일)-9H-퓨린-6-아민; (S)-N-(2-(1H-인돌-3-일)에틸)-9-sec-부틸-2-(5-메틸피리딘-3-일)-9H-퓨린-6-아민; 5-(6-(4-히드록시페네틸아미노)-9-(옥세탄-3-일)-9H-퓨린-2-일)니코티노니트릴; 4-(2-(6-(5-플루오로피리딘-3-일)-1-이소프로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일아미노)에틸)페놀; 4-(2-(6-(벤조[b]티오펜-3-일)-1-이소프로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일아미노)에틸)페놀; (R)-4-(2-(2-(5-플루오로피리딘-3-일)-9-(테트라히드로푸란-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3-메틸페놀; 5-(6-(4-히드록시페네틸아미노)-9-이소프로필-9H-퓨린-2-일)피콜리노니트릴; 3-(6-(4-히드록시페네틸아미노)-9-이소프로필-9H-퓨린-2-일)이소니코티노니트릴; 4-(2-(2-(5-플루오로피리딘-3-일)-7-이소프로필-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에틸)페놀; 3-(6-(4-히드록시페네틸아미노)-9-이소프로필-9H-퓨린-2-일)피콜리노니트릴; 4-(2-(9-이소프로필-2-(6-메틸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이소퀴놀린-4-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2-클로로-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3-플루오로-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N-(2-(5-클로로-1H-인돌-3-일)에틸)-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N-(2-(5-플루오로-1H-인돌-3-일)에틸)-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4-(2-(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2-메틸페놀; 4-(2-(2-(벤조[b]티오펜-3-일)-9-(옥세탄-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S)-4-(2-(2-(벤조[b]티오펜-3-일)-9-(테트라히드로푸란-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R)-4-(2-(2-(벤조[b]티오펜-3-일)-9-(테트라히드로푸란-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2-(6-(2-(1H-인돌-3-일)에틸아미노)-2-(5-플루오로피리딘-3-일)-9H-퓨린-9-일)프로판-1-올; (R)-2-(6-(2-(1H-인돌-3-일)에틸아미노)-2-(5-플루오로피리딘-3-일)-9H-퓨린-9-일)프로판-1-올; (S)-2-(6-(2-(1H-인돌-3-일)에틸아미노)-2-(5-플루오로피리딘-3-일)-9H-퓨린-9-일)프로판-1-올; (R)-N-(2-(1H-인돌-3-일)에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테트라히드로푸란-3-일)-9H-퓨린-6-아민; 4-(2-(2-(3H-이미다조[4,5-b]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2-(1H-이미다조[4,5-b]피리딘-1-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6-(5-플루오로피리딘-3-일)-1-이소프로필-1H-이미다조[4,5-c]피리딘-4-일아미노)에틸)페놀; 4-(2-(2-(4,5-디메틸-1H-이미다졸-1-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N-(2-(피리딘-3-일)에틸)-9H-퓨린-6-아민; 4-(2-(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페놀; 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N-(2-(6-메톡시-1H-인돌-3-일)에틸)-9H-퓨린-6-아민; N-(2-(1H-인돌-3-일)에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N-(2-(5-메톡시-1H-인돌-3-일)에틸)-9H-퓨린-6-아민; N-(2-(1H-인돌-3-일)에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프로프-1-엔-2-일)-9H-퓨린-6-아민; 5-(2-(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피리딘-2-올; N-(2-(1H-피롤로[2,3-b]피리딘-3-일)에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N-(2-(6-(2-(디에틸아미노)에톡시)-1H-인돌-3-일)에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4-(2-(5-(5-플루오로피리딘-3-일)-3-이소프로필-3H-이미다조[4,5-b]피리딘-7-일아미노)에틸)페놀; N-(2-(1H-인돌-3-일)에틸)-9-sec-부틸-2-(2-메틸-1H-이미다졸-1-일)-9H-퓨린-6-아민; 4-(2-(2-(2-에틸-1H-이미다졸-1-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2-프로필-1H-이미다졸-1-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3-(2-(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1H-인돌-6-올; N-(2-(1H-인돌-3-일)에틸)-9-이소프로필-2-(5-메틸피리딘-3-일)-9H-퓨린-6-아민; N-(2-(1H-인돌-3-일)에틸)-9-이소프로필-2-(2-메틸-1H-이미다졸-1-일)-9H-퓨린-6-아민; 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N-(2-(7-메틸-1H-인돌-3-일)에틸)-9H-퓨린-6-아민; N-(2-(1H-인돌-3-일)에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옥세탄-3-일)-9H-퓨린-6-아민; N-(2-(1H-인돌-3-일)에틸)-2-(5-메틸피리딘-3-일)-9-(옥세탄-3-일)-9H-퓨린-6-아민; N-(2-(6-플루오로-1H-인돌-3-일)에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N-(2-(6-메틸-1H-인돌-3-일)에틸)-9H-퓨린-6-아민; 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N-(2-(2-메틸-1H-인돌-3-일)에틸)-9H-퓨린-6-아민; N-(2-(4-플루오로-1H-인돌-3-일)에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N-(2-(7-플루오로-1H-인돌-3-일)에틸)-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 2-(5-플루오로피리딘-3-일)-9-이소프로필-N-(2-(4-메틸-1H-인돌-3-일)에틸)-9H-퓨린-6-아민; 4-(2-(2-(벤조[b]티오펜-3-일)-7-이소프로필-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에틸)페놀; 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N-(2-(피리딘-4-일)에틸)-9H-퓨린-6-아민; N-(2-(1H-피롤로[2,3-b]피리딘-5-일)에틸)-9-이소프로필-2-(피리딘-3-일)-9H-퓨린-6-아민; 4-(2-(2-(5-플루오로피리딘-3-일)-9-(1-히드록시프로판-2-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2-메틸페놀; 4-(2-(2-(벤조[b]티오펜-3-일)-9-시클로헥실-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4-(2-(9-이소프로필-2-(티오펜-3-일)-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 및 1-(2-(2-(벤조[b]티오펜-3-일)-6-(4-히드록시페네틸아미노)-9H-퓨린-9-일)에틸)피롤리딘-2-온; 또는 그의 염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8.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및/또는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경로의 하류 이펙터의 활성 및/또는 발현을 길항할 수 있는 작용제와 줄기 세포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줄기 세포 및 선조 세포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및/또는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경로의 하류 이펙터의 활성 및/또는 발현을 길항할 수 있는 상기 작용제가
    (i) 유기 화합물,
    (ii)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하는 작은 간섭 RNA 분자, 및
    (iii)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하는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의 활성 및/또는 발현을 길항할 수 있는 상기 작용제가 제1항의 화합물인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생체내에서, 시험관내에서 또는 생체외에서 수행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줄기 세포가 인간인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줄기 세포가 골수로부터 유래된 것인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줄기 세포가 제대혈로부터 유래된 것인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줄기 세포가 조혈 줄기 세포인 방법.
  16. (a) 조혈 줄기 세포를 포함하는 출발 세포 집단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조혈 줄기 세포의 증식에 적합한 조건 하에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및/또는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경로의 하류 이펙터의 활성 및/또는 발현을 길항할 수 있는 작용제의 존재하에 생체외에서 상기 출발 세포 집단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혈 줄기 세포를 증식시키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의 활성을 하향조절할 수 있는 상기 작용제가
    (i) 유기 화합물,
    (ii)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하는 작은 간섭 RNA 분자, 및
    (iii)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하는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화합물이 4-(2-(2-(벤조[b]티오펜-3-일)-9-이소프로필-9H-퓨린-6-일아미노)에틸)페놀인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경로의 하류 이펙터가 Cyp1B1, Cyp1A1, 베타 카테닌, AHRR, STAT5 및 STAT1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의 활성을 하향조절할 수 있는 상기 작용제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인 방법.
  21. 제16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 세포 집단이 CD34+ 세포가 풍부한 것인 방법.
  22. 제16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 세포 집단이 제대혈 세포로부터 유래된 것인 방법.
  23. 제16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 세포 집단이 1개 또는 2개의 제대혈 유닛, 바람직하게는 1개의 제대혈 유닛으로부터 유래된 것인 방법.
  24. 제16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 세포 집단이 가동화 말초혈 세포로부터 유래된 것인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가동화 말초혈 세포가 단일 포유동물 대상체로부터 얻은 것인 방법.
  26. 제16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 세포 집단이 1개 또는 2개의 제대혈 유닛, 바람직하게는 1개의 제대혈 유닛으로부터 정제된 CD34+ 세포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것인 방법.
  27. 제16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 세포 집단이 친화도 크로마토그래피 컬럼 또는 CD34 항원 결합 항체 단편을 포함하는 자성 비드를 사용하여 1개 또는 2개의 제대혈 유닛으로부터 정제된 CD34+ 세포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것인 방법.
  28. 제16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조혈 줄기 세포 증식을 위한 상기 조건이 충분량의 IL6, Flt3-L, TPO 및 SCF 및 제1항의 화합물의 존재하에 상기 출발 세포 집단을 배양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29. 제16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항의 화합물이 세포 배양 배지 중 1 pM 내지 10 μM, 예를 들어 10 pM 내지 100 μM의 농도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30. 제16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 세포 집단이 1개 또는 2개의 제대혈 유닛, 바람직하게는 1개의 제대혈 유닛으로부터 정제된 CD34+ 세포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발 세포 집단이 약 3일 내지 약 90일, 바람직하게는 7일 내지 35일 동안 제1항의 화합물의 존재하에 배양되는 것인 방법.
  31. 제16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 세포 집단이 CD34+ 세포의 10배 내지 50000배 증식을 위한 충분한 시간 동안 제1항의 화합물의 존재하에 배양되는 것인 방법.
  32. 제1항의 화합물 및 제16항의 방법에서의 사용에 대한 지시사항, 및 임의로 시토카인, 성장 인자 및 세포 성장 배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혈 줄기 세포 증식용 키트.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시토카인 또는 성장 인자가 IL6, Flt3-L, SCF 및 TP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키트.
  34. 제16항 또는 제18항의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또는 수득된 바와 같은, 증식된 조혈 줄기 세포를 갖는 세포 집단.
  35. 포유동물 숙주에 투여하기에 적합한 제약상 허용되는 배지에 재현탁된, 제34항의 세포 집단을 포함하는 조성물.
  36. 적어도 105개 세포, 107개 세포, 108개 세포 또는 109개 세포의 세포 총량을 함유하고, 총 세포의 20 내지 100%가 CD34+ 세포인, 1개 또는 2개의 제대혈 유닛, 바람직하게는 1개의 제대혈 유닛으로부터 유래된 증식된 조혈 줄기 세포를 갖는 세포 집단을 포함하는 조성물.
  37. 제36항에 있어서, CD34 및 Thy1 마커를 발현하는 총 세포 0.1% 내지 40%; CD34 및 CD45RA 마커를 발현하는 총 세포 20% 내지 80%; CD38+인 세포 10% 내지 95%; 및 CD133+인 세포 5% 내지 70%를 함유하는 조성물.
  38. 제35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동물 대상체에서 동종이계 조혈 줄기 세포 이식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39. 제35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혈 부전을 앓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40. 제39항에 있어서, 환자가 유전 면역결핍 질병, 자가면역 질환 또는 조혈 질환을 앓는 것인 조성물.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조혈 질환이 급성 골수성 백혈병, 급성 림프모세포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골수증식성 질환, 골수이형성 증후군, 다발성 골수종, 비호지킨 림프종, 호지킨병, 재생불량성 빈혈, 진정 적혈구계 무형성증,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판코니 빈혈, 중증성 지중해빈혈, 겸상적혈구 빈혈, 중증 복합형 면역결핍증, 비스코트-알드리히 증후군, 식혈세포성 림프조직구증 및 선천성 대사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42. 제35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맥내 주입에 적절하고, 적어도 104개 세포/환자에서 수혈된 kg, 바람직하게는 105개 세포/kg 내지 109개 세포/kg을 포함하는 조성물.
  43. 유전 면역결핍 질병, 자가면역 질병 및/또는 조혈 질환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및/또는 AHR 경로의 하류 이펙터의 활성 및/또는 발현을 하향조절할 수 있는 작용제에 의해 증식된 조혈 줄기 세포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전 면역결핍 질병, 자가면역 질병 및/또는 조혈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의 활성 및/또는 발현을 하향조절할 수 있는 상기 작용제가 제1항의 화합물인 방법.
  45. 제43항에 있어서, 투여가 자가 이식이고, 조혈 질환이 다발성 골수종, 비호지킨 림프종, 호지킨병, 급성 골수성 백혈병, 신경모세포종, 배아 세포종, 자가면역 질환 및 아밀로이드증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자가면역 질환이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및 전신성 경화증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투여가 동종이계 이식이고, 조혈 질환이 급성 골수성 백혈병, 급성 림프모세포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골수증식성 질환, 골수이형성 증후군, 다발성 골수종, 비호지킨 림프종, 호지킨병, 재생불량성 빈혈, 진정 적혈구계 무형성증,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판코니 빈혈, 중증성 지중해빈혈, 겸상적혈구 빈혈, 중증 복합형 면역결핍증, 비스코트-알드리히 증후군, 식혈세포성 림프조직구증 및 선천성 대사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선천성 대사 이상이 점액다당류증, 고셰병, 이염색 백색질장애 및 부신백질이영양증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KR1020117012091A 2008-10-30 2009-10-29 조혈 줄기 세포를 증식시키는 화합물 KR101434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82108P 2008-10-30 2008-10-30
US61/109,821 2008-10-30
US24276509P 2009-09-15 2009-09-15
US61/242,765 2009-09-15
PCT/US2009/062646 WO2010059401A2 (en) 2008-10-30 2009-10-29 Compounds that expand hematopoietic stem cel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042A true KR20110075042A (ko) 2011-07-05
KR101434719B1 KR101434719B1 (ko) 2014-08-27

Family

ID=42111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2091A KR101434719B1 (ko) 2008-10-30 2009-10-29 조혈 줄기 세포를 증식시키는 화합물

Country Status (41)

Country Link
US (4) US8927281B2 (ko)
EP (2) EP3524604B1 (ko)
JP (1) JP5390626B2 (ko)
KR (1) KR101434719B1 (ko)
CN (1) CN102203096B (ko)
AR (1) AR074063A1 (ko)
AU (1) AU2009317898B2 (ko)
BR (1) BRPI0921799B8 (ko)
CA (3) CA2943540C (ko)
CL (2) CL2009002010A1 (ko)
CO (1) CO6410309A2 (ko)
CR (1) CR20110192A (ko)
CU (1) CU24495B1 (ko)
CY (1) CY1121857T1 (ko)
DK (1) DK2350078T3 (ko)
DO (1) DOP2011000114A (ko)
EA (1) EA019872B1 (ko)
EC (1) ECSP11011090A (ko)
ES (2) ES2948567T3 (ko)
GE (1) GEP20146053B (ko)
HN (1) HN2011001195A (ko)
HR (1) HRP20191238T1 (ko)
HU (1) HUE044802T2 (ko)
IL (1) IL212368A (ko)
JO (1) JO3593B1 (ko)
LT (1) LT2350078T (ko)
MA (1) MA32828B1 (ko)
MX (1) MX347834B (ko)
MY (1) MY155137A (ko)
NI (1) NI201100083A (ko)
NZ (1) NZ592435A (ko)
PE (1) PE20100362A1 (ko)
PL (1) PL2350078T3 (ko)
PT (1) PT2350078T (ko)
RS (1) RS59027B1 (ko)
SI (1) SI2350078T1 (ko)
SM (1) SMP201100024B (ko)
SV (1) SV2011003888A (ko)
TN (1) TN2011000174A1 (ko)
TW (1) TWI532486B (ko)
WO (1) WO201005940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1454A (ko) * 2012-01-27 2014-10-15 유니버시떼 드 몬트리얼 피리미도[4,5-b]인돌 유도체 및 조혈 줄기 세포의 증식에서의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46393B2 (en) * 2005-11-29 2014-09-30 Gamida-Cell Ltd. Methods of improving stem cell homing and engraftment
UA98482C2 (ru) * 2007-03-28 2012-05-25 Ньюросерч А/С Пуринильные производные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модуляторов каналов калия
US20100152210A1 (en) 2007-03-28 2010-06-17 Neuro Search A/S/ Purinyl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potassium channel modulators
CA2721851A1 (en) * 2008-05-30 2009-12-03 Genentech, Inc. Purine pi3k inhibitor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EP2344501A1 (en) * 2008-09-26 2011-07-20 NeuroSearch A/S Substituted purinyl-pyrazol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potassium channel modulators
WO2010034707A1 (en) * 2008-09-26 2010-04-01 Neurosearch A/S Substituted purinyl-pyrazol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potassium channel modulators
PE20100362A1 (es) * 2008-10-30 2010-05-27 Irm Llc Derivados de purina que expanden las celulas madre hematopoyeticas
WO2012074068A1 (ja) 2010-12-01 2012-06-07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ピラゾール化合物による造血幹細胞の製造方法
WO2012102937A2 (en) * 2011-01-25 2012-08-02 Irm Llc Compounds that expand hematopoietic stem cells
US9353115B2 (en) 2011-06-01 2016-05-31 Janus Biotherapeutics, Inc. Immune system modulators
JP2014523741A (ja) * 2011-07-06 2014-09-18 セレラント セラピュー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血小板産生のための巨核球前駆細胞
US20140328811A1 (en) * 2011-08-01 2014-11-06 Alnylam Pharmaceuticals, Inc. Method for improving the success rate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s
EP2753315B1 (en) * 2011-09-07 2017-03-01 Deutsches Krebsforschungszentrum Means and methods for treating and/or preventing natural ahr ligand-dependent cancer
CA2858069C (en) 2011-12-08 2020-02-11 Fred Hutchinson Cancer Research Center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nhanced generation of hematopoietic stem/progenitor cells
EP2814951B1 (en) 2012-02-13 2019-04-03 Gamida-Cell Ltd. Culturing of mesenchymal stem cells
US9475797B2 (en) 2012-06-26 2016-10-25 Saniona A/S Phenyl triazole derivative and its use for modulating the GABAA receptor complex
US9567569B2 (en) * 2012-07-23 2017-02-14 Gamida Cell Ltd. Methods of culturing and expanding mesenchymal stem cells
US9175266B2 (en) 2012-07-23 2015-11-03 Gamida Cell Ltd. Enhancement of natural killer (NK) cell proliferation and activity
US9074186B2 (en) 2012-08-15 2015-07-07 Boston Medical Center Corporation Production of red blood cells and platelets from stem cells
CA2897499A1 (en) 2013-01-08 2014-07-17 Fred Hutchinson Cancer Research Center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xpansion of embryonic hematopoietic stem cells
WO2014138485A1 (en) 2013-03-08 2014-09-12 Irm Llc Ex vivo production of platelets from hematopoietic stem cells and the product thereof
US9757378B2 (en) * 2013-05-17 2017-09-12 Universite De Montreal Methods to modulate acute myeloid leukemia stem/progenitor cell expansion and/or differentiation
US10617721B2 (en) * 2013-10-24 2020-04-14 Ospedale San Raffaele S.R.L. Methods for genetic modification of stem cells
SG10201803533YA (en) 2013-10-31 2018-06-28 Hutchinson Fred Cancer Res Modified hematopoietic stem/progenitor and non-t effector cells, and uses thereof
UA115388C2 (uk) 2013-11-21 2017-10-25 Пфайзер Інк. 2,6-заміщені пуринові похідні та їх застосування в лікуванні проліферативних захворювань
JP6734283B2 (ja) 2015-01-21 2020-08-05 フレッド ハッチンソン キャンサー リサーチ センター 遺伝子治療用ポイントオブケア及び/又はポータブルプラットフォーム
EP3288570A4 (en) 2015-04-29 2018-11-21 Fred Hutchinson Cancer Research Center Modified stem cells and uses thereof
WO2016176651A2 (en) 2015-04-29 2016-11-03 Fred Hutchinson Cancer Research Center Modified hematopoietic stem/progenitor and non-t effector cells, and uses thereof
MX2018004600A (es) * 2015-10-15 2019-09-04 Celularity Inc Celulas aniquiladoras naturales y células ilc3 y usos de las mismas.
EP3842450A1 (en) 2015-10-23 2021-06-30 Eureka Therapeutics, Inc. Antibody/t-cell receptor chimeric constructs and uses thereof
CN108463548B (zh) 2015-10-30 2023-04-18 加利福尼亚大学董事会 由干细胞产生t细胞的方法及使用所述t细胞的免疫治疗方法
US20190010495A1 (en) * 2015-12-28 2019-01-10 Novartis A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hemoglobinopathies
KR102542533B1 (ko) 2016-04-14 2023-06-13 프레드 허친슨 캔서 센터 표적화 핵산 나노수송체를 이용하여 치료 세포를 프로그램화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CA3023239A1 (en) * 2016-05-07 2017-11-16 Celularity Inc. Methods of treating acute myeloid leukemia and multiple myeloma using natural killer cells
WO2017202816A1 (en) 2016-05-25 2017-11-30 Bayer Pharma Aktiengesellschaft 3-oxo-2,6-diphenyl-2,3-dihydropyridazine-4-carboxamides
WO2018013430A2 (en) 2016-07-12 2018-01-18 Arisan Therapeutics Inc. Heterocyclic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arenavirus infection
WO2018048346A1 (en) * 2016-08-18 2018-03-15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Substituted azole derivatives for generati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hematopoietic stem and progenitor cells
CN109844126A (zh) 2016-09-28 2019-06-04 诺华股份有限公司 基于多孔膜的大分子递送系统
TW201839136A (zh) 2017-02-06 2018-11-01 瑞士商諾華公司 治療血色素異常症之組合物及方法
JOP20190193A1 (ar) 2017-02-09 2019-08-08 Bayer Pharma AG ممركبات 2-أريل غير متجانس-3-أكسو-2، 3-ثنائي هيدرو بيريدازين-4-كربوكساميد لمعالجة السرطان
US10457683B2 (en) * 2017-04-12 2019-10-29 Magenta Therapeutics Inc. Aryl hydrocarbon receptor antagonists and uses thereof
EP3612030A4 (en) * 2017-04-21 2021-04-28 Ikena Oncology, Inc. AHR INDOLE INHIBITORS AND THEIR USES
CA3059755A1 (en) 2017-04-26 2018-11-01 Eureka Therapeutics, Inc. Cells expressing chimeric activating receptors and chimeric stimulating receptors and uses thereof
WO2019018562A1 (en) 2017-07-19 2019-01-24 Ideaya Biosciences, Inc. AMIDO COMPOUND AS MODULATORS OF AHR
US11878001B2 (en) 2017-07-31 2024-01-23 Novartis Ag Use of mavoglurant in the reduction of cocaine use or in preventing relapse into cocaine use
MX2020001261A (es) * 2017-08-02 2020-08-17 Univ Northwestern Compuestos de pirimidina fusionada sustituida y usos de los mismos.
US20200246393A1 (en) 2017-09-28 2020-08-06 Celularity, Inc. Tumor suppression using human placenta-derived intermediate natural killer (pink) cells in combination with an antibody
CA3077391A1 (en) 2017-09-29 2019-04-04 Intellia Therapeutics, Inc. In vitro method of mrna delivery using lipid nanoparticles
EP3704232A1 (en) 2017-10-31 2020-09-09 Magenta Therapeutic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expansion of hematopoietic stem and progenitor cells
US20190343885A1 (en) 2017-10-31 2019-11-14 Magenta Therapeutic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hematopoietic stem and progenitor cell transplant therapy
WO2019101641A1 (en) 2017-11-21 2019-05-31 Bayer Aktiengesellschaft 2-hetarylpyrimidine-4-carboxamides as aryl hydrocarbon receptor anatgonists
WO2019101647A1 (en) 2017-11-21 2019-05-31 Bayer Aktiengesellschaft 2-phenylpyrimidine-4-carboxamides as ahr inhibitors
CA3082856A1 (en) 2017-11-21 2019-05-31 Bayer Aktiengesellschaft Sulphur substituted 3-oxo-2,3-dihydropyridazine-4-carboxamides
US11591311B2 (en) 2017-11-21 2023-02-28 Bayer Aktiengesellschaft 3-oxo-6-heteroaryl-2-phenyl-2,3-dihydropyridazine-4-carboxamides
BR112020011186A2 (pt) 2017-12-06 2020-11-17 Magenta Therapeutics, Inc. regimes de dosagem para a mobilização de células-tronco e progenitoras hematopoiéticas
US11260079B2 (en) 2017-12-06 2022-03-01 Magenta Therapeutics, Inc. Dosing regimens for the mobilization of hematopoietic stem and progenitor cells
WO2019136159A1 (en) 2018-01-03 2019-07-11 Magenta Therapeutic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expansion of hematopoietic stem and progenitor cells and treatment of inherited metabolic disorders
WO2019156989A1 (en) * 2018-02-06 2019-08-15 Ideaya Biosciences, Inc. COMPOUNDS AND METHODS FOR THE MODULATION OF AhR
US20220340875A1 (en) * 2018-07-19 2022-10-27 Ideaya Biosciences, Inc. Methods of culturing and/or expanding stem cells and/or lineage committed progenitor cells using amido compounds
BR112021003529A2 (pt) 2018-08-24 2021-05-18 Jaguahr Therapeutics Pte Ltd derivados de tetra-hidropiridopirimidina como moduladores de ahr
EP3843853A1 (en) 2018-08-31 2021-07-07 Jaguahr Therapeutics Pte Ltd Heterocyclic compounds as ahr modulators
EP3847176A1 (en) 2018-09-07 2021-07-14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Heterocyclic compound
EP4268831A3 (en) 2018-09-12 2024-05-22 Fred Hutchinson Cancer Center Reducing cd33 expression to selectively protect therapeutic cells
WO2020081636A1 (en) * 2018-10-16 2020-04-23 Ikena Oncology, Inc. Indole ahr inhibitors and uses thereof
EP3874027A4 (en) * 2018-10-31 2022-08-10 Magenta Therapeutics, Inc. PROCEDURE FOR HEMATOPOIETIC STEM AND PROGENITOR CELL TRANSPLANTATION THERAPY
PE20220967A1 (es) * 2019-08-12 2022-06-10 Bayer Ag [1,2,4] triazolo [1,5-c] quinazolin-5-aminas
US20220401481A1 (en) 2019-11-01 2022-12-22 Magenta Therapeutics, Inc. Dosing regimens for the mobilization of hematopoietic stem and progenitor cells
CN115279764A (zh) 2019-11-26 2022-11-01 医肯纳肿瘤学公司 多晶型咔唑衍生物及其用途
JP2023505366A (ja) 2019-12-09 2023-02-08 大塚製薬株式会社 アクリルアミド化合物
EP4077676A1 (en) 2019-12-18 2022-10-26 Novartis A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hemoglobinopathies
AU2021226411A1 (en) 2020-02-26 2022-09-22 Jaguahr Therapeutics Pte Ltd Pyridopyrimidine derivatives useful in modulation of AhR signalling
JP2023525513A (ja) 2020-05-06 2023-06-16 セレクティス ソシエテ アノニム 細胞ゲノムにおける外因性配列の標的化挿入のための方法
EP4146797A1 (en) 2020-05-06 2023-03-15 Orchard Therapeutics (Europe) Limited Treatment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US20230279440A1 (en) 2020-05-06 2023-09-07 Cellectis S.A. Methods to genetically modify cells for delivery of therapeutic proteins
EP4177337A1 (en) 2020-07-01 2023-05-10 Nextgem Inc. Human long-term hematopoietic stem cell marker
WO2022029063A1 (en) 2020-08-04 2022-02-10 Bayer Aktiengesellschaft Pyrido[1,2,4]triazolo[1,5-c]pyrimidin-5-amines
WO2022078356A1 (zh) * 2020-10-15 2022-04-21 山东轩竹医药科技有限公司 杂芳环类AhR抑制剂
WO2022197776A1 (en) 2021-03-16 2022-09-22 Magenta Therapeutics, Inc. Dosing regimens for hematopoietic stem cell mobilization for stem cell transplants in multiple myeloma patients
EP4359527A2 (en) 2021-06-23 2024-05-01 Novartis A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hemoglobinopathies
WO2023150393A2 (en) 2022-02-07 2023-08-10 Ensoma, Inc. Inhibitor-resistant mgmt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 of mgmt-encoding nucleic acids
WO2024020429A1 (en) 2022-07-22 2024-01-25 Lyell Immunopharma, Inc. Immune cell therapy
WO2024076300A1 (en) 2022-10-03 2024-04-11 Jaguahr Therapeutics Pte Ltd Compounds useful in modulation of ahr signalling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9196A (en) 1959-01-22 1968-08-27 Ciba Geigy Corp Nu-substituted pyrazolo-pyrimidines
DE3150486A1 (de) * 1981-12-19 1983-08-25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Imidazo(4,5-c)pyridine, diese enthaltende pharmazeutische zubereitung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5437994A (en) 1989-06-15 1995-08-01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Method for the ex vivo replication of stem cells, for the optimization of hematopoietic progenitor cell cultures, and for increasing the metabolism, GM-CSF secretion and/or IL-6 secretion of human stromal cells
US5117830A (en) 1990-11-08 1992-06-02 Whitby Research, Inc. Method of determining viability of tissue
ATE159257T1 (de) 1994-05-03 1997-11-15 Ciba Geigy Ag Pyrrolopyrimidinderivate mit antiproliferativer wirkung
FR2732604B1 (fr) * 1995-04-07 1997-06-06 Vacsyn Sa Derives et conjugues du mdp presentant une activite stimulatrice de la fonction hematopoietique et compositions les contenant
FR2741881B1 (fr) 1995-12-01 1999-07-30 Centre Nat Rech Scient Nouveaux derives de purine possedant notamment des prorietes anti-proliferatives et leurs applications biologiques
US6232320B1 (en) 1998-06-04 2001-05-15 Abbott Laboratories Cell adhesion-inhibiting antiinflammatory compounds
JP2002529502A (ja) 1998-11-17 2002-09-10 スミスクライン・ビーチャム・コーポレイション 血小板減少症の治療法
GC0000177A (en) 1998-12-17 2006-03-29 Smithkline Beecham Thrombopoietin mimetics
TR200102714T2 (tr) * 1999-02-01 2002-01-21 Cv Therapeutics, Inc. Sikline bağımlı kinaz 2 ve IkB-&'nın pürün inhibitörleri
AU4692400A (en) 1999-05-03 2000-11-17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Cxcr-4 receptor antagonists - thrombopoietin mimetics
US6960439B2 (en) * 1999-06-28 2005-11-01 Source Precision Medicine, Inc. Identification, monitoring and treatment of disease and characterization of biological condition using gene expression profiles
CN1110552C (zh) * 1999-07-13 2003-06-04 中国人民解放军第二军医大学 一种体外扩增造血干细胞的新方法
ES2256038T3 (es) 1999-09-10 2006-07-16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Mimeticos de trombopoyetina.
US6552008B1 (en) 1999-09-24 2003-04-22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Thrombopoietin mimetics
EP1228051A1 (en) 1999-11-05 2002-08-07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Semicarbazo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thrombopoietin mimetics
DE60031714T2 (de) 1999-12-06 2007-09-06 Smithkline Beecham Corp. Thrombopoietin-mimetika
DE60028253T2 (de) 1999-12-17 2007-03-08 Ariad Pharmaceuticals, Inc., Cambridge Neue purine
CZ20022353A3 (cs) * 2000-01-07 2003-02-12 Universitaire Instelling Antwerpen Deriváty purinu, způsob jejich přípravy a jejich použití
CY2010012I2 (el) 2000-05-25 2020-05-29 Novartis Ag Μιμητικα θρομβοποιητινης
AU7107301A (en) * 2000-07-18 2002-01-30 Nichimo Co. Ltd. Stem cell reinforcing material
US7241783B2 (en) 2000-12-19 2007-07-10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Thrombopoietin mimetics
WO2002085343A1 (en) 2001-03-01 2002-10-31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Thrombopoietin mimetics
AU2002342051B2 (en) * 2001-10-12 2009-06-11 Irm Llc Kinase inhibitor scaffold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CA2439471A1 (en) 2001-12-28 2003-07-17 Daiichi Suntory Pharma Co., Ltd. Promoters of the growth and/or differentiation of hematopoietic stem cells and/or hematopoietic progenitors
AU2003248630A1 (en) 2002-06-06 2003-12-22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Thrombopoietin mimetics
US20030139427A1 (en) * 2002-08-23 2003-07-24 Osi Pharmaceuticals Inc. Bicyclic pyrimidinyl derivativ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2004089068A (ja) * 2002-08-30 2004-03-25 Kobe University Ah受容体リガンド特異的な遺伝子発現誘導因子及びその機能に基づく異種遺伝子誘導発現系の利用技術
US20060084682A1 (en) 2002-12-13 2006-04-20 Heerding Dirk A Thrombopoietin mimetics
US20070161582A1 (en) 2003-08-08 2007-07-12 Dusan Mijikovi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etabolic modulation
WO2005026164A1 (en) * 2003-09-18 2005-03-24 Altana Pharma Ag Pharmacologically active imidazo[4,5-c]pyridines
EP1715871A1 (en) 2003-12-22 2006-11-02 Gilead Sciences, Inc. Kinase inhibitor phosphonate conjugates
WO2005080377A1 (ja) 2004-02-20 2005-09-01 Kirin Beer Kabushiki Kaisha TGFβ阻害活性を有する化合物およびそれを含んでなる医薬組成物
US7622108B2 (en) * 2004-04-23 2009-11-24 Bioe, Inc. Multi-lineage progenitor cells
CA2578993A1 (en) * 2004-09-03 2006-03-09 Prometic Biosciences Inc. Substituted purinyl derivatives with immunomodulator and chemoprotective activity and use alone or with medium-chain length fatty acids or glycerides
GB0420719D0 (en) 2004-09-17 2004-10-20 Addex Pharmaceuticals Sa Novel allosteric modulators
AU2005288858B2 (en) * 2004-09-30 2011-04-21 Janssen R&D Ireland HCV inhibiting bi-cyclic pyrimidines
FR2876583B1 (fr) 2004-10-15 2007-04-13 Centre Nat Rech Scient Cnrse Utilisation de derives de purines pour la fabrication de medicaments pour le traitement de la mucoviscidose et de maladies liees a un defaut d'adressage des proteines dans les cellules
EP1824850A2 (en) * 2004-12-09 2007-08-29 Nycomed GmbH SUBSTITUTED IMIDAZO[4,5-b]PYRIDINES AS INHIBITORS OF GASTRIC ACID SECRETION
WO2006118914A2 (en) 2005-04-29 2006-11-09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Methods of increasing proliferation of adult mammalian cardiomyocytes through p38 map kinase inhibition
CN101213190A (zh) 2005-07-14 2008-07-02 Irm责任有限公司 用作tpo模拟物的化合物和组合物
AU2006279537A1 (en) 2005-08-15 2007-02-22 Irm Llc Compounds and compositions as TPO mimetics
PL2322525T3 (pl) * 2006-04-21 2014-03-31 Novartis Ag Pochodne puryny do zastosowania jako agoniści receptora adenozyny A<sub>2A</sub>
KR20090021217A (ko) 2006-06-14 2009-02-27 추가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조혈 줄기세포 증가 촉진제
WO2007149548A2 (en) * 2006-06-22 2007-12-27 Medistem Laboratories, Inc. Treatment of erectile dysfunction by stem cell therapy
EP1889846A1 (en) * 2006-07-13 2008-02-20 Novartis AG Purine derivatives as A2a agonists
WO2008028645A1 (en) 2006-09-05 2008-03-13 Aplagen Gmbh Peptides binding the tpo receptor
WO2008051502A1 (en) 2006-10-19 2008-05-02 Genzyme Corporation Pur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cystic diseases
WO2008073748A1 (en) 2006-12-08 2008-06-19 University Of Rochester Expansion of hematopoietic stem cells
US20100152210A1 (en) * 2007-03-28 2010-06-17 Neuro Search A/S/ Purinyl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potassium channel modulators
ES2494365T3 (es) * 2008-01-30 2014-09-15 Genentech, Inc. Compuestos de pirazolopirimidina que inhiben PI3K y métodos de uso
PE20100362A1 (es) * 2008-10-30 2010-05-27 Irm Llc Derivados de purina que expanden las celulas madre hematopoyeticas
US9175266B2 (en) * 2012-07-23 2015-11-03 Gamida Cell Ltd. Enhancement of natural killer (NK) cell proliferation and activi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1454A (ko) * 2012-01-27 2014-10-15 유니버시떼 드 몬트리얼 피리미도[4,5-b]인돌 유도체 및 조혈 줄기 세포의 증식에서의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40589C (en) 2017-11-21
US20170239296A1 (en) 2017-08-24
HUE044802T2 (hu) 2019-11-28
WO2010059401A2 (en) 2010-05-27
LT2350078T (lt) 2019-07-25
KR101434719B1 (ko) 2014-08-27
CU24495B1 (es) 2021-01-12
DOP2011000114A (es) 2017-09-29
NI201100083A (es) 2011-11-03
JP2012507554A (ja) 2012-03-29
US20100183564A1 (en) 2010-07-22
SMP201100024B (it) 2012-03-05
IL212368A0 (en) 2011-06-30
US8927281B2 (en) 2015-01-06
IL212368A (en) 2015-02-26
AU2009317898A1 (en) 2010-05-27
AU2009317898B2 (en) 2013-07-11
US20210187033A1 (en) 2021-06-24
ECSP11011090A (es) 2011-09-30
CL2013001874A1 (es) 2014-04-04
CO6410309A2 (es) 2012-03-30
MY155137A (en) 2015-09-15
PT2350078T (pt) 2019-07-19
SI2350078T1 (sl) 2019-08-30
CA2943540C (en) 2020-10-27
BRPI0921799A2 (pt) 2016-01-12
TWI532486B (zh) 2016-05-11
EP3524604A1 (en) 2019-08-14
US20140114070A1 (en) 2014-04-24
CA2740589A1 (en) 2010-05-27
US9580426B2 (en) 2017-02-28
GEP20146053B (en) 2014-03-10
MX347834B (es) 2016-10-07
DK2350078T3 (da) 2019-07-15
CA2943540A1 (en) 2010-05-27
HRP20191238T1 (hr) 2019-11-29
PL2350078T3 (pl) 2019-09-30
AR074063A1 (es) 2010-12-22
NZ592435A (en) 2013-01-25
RS59027B1 (sr) 2019-08-30
ES2948567T3 (es) 2023-09-14
CL2009002010A1 (es) 2010-06-25
TW201028153A (en) 2010-08-01
CN102203096B (zh) 2014-09-17
WO2010059401A3 (en) 2010-09-23
BRPI0921799B8 (pt) 2021-05-25
MA32828B1 (fr) 2011-11-01
CN102203096A (zh) 2011-09-28
JO3593B1 (ar) 2020-07-05
HN2011001195A (es) 2014-01-13
CA3061937A1 (en) 2010-05-27
TN2011000174A1 (en) 2012-12-17
EP3524604B1 (en) 2023-03-29
SV2011003888A (es) 2011-07-05
CU20110096A7 (es) 2012-01-31
EA201100663A1 (ru) 2011-12-30
BRPI0921799B1 (pt) 2020-09-29
PE20100362A1 (es) 2010-05-27
EP2350078A2 (en) 2011-08-03
CR20110192A (es) 2011-06-10
JP5390626B2 (ja) 2014-01-15
CY1121857T1 (el) 2020-07-31
MX2011004593A (es) 2011-06-16
SMAP201100024A (it) 2011-07-11
ES2736728T3 (es) 2020-01-07
EA019872B1 (ru) 2014-06-30
EP2350078B1 (en) 2019-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87033A1 (en) Compounds that expand hematopoietic stem cells
US10336747B2 (en) Pyrimido[4,5-B]indole derivatives and use thereof in the expansion of hematopoietic stem cells
WO2014138485A1 (en) Ex vivo production of platelets from hematopoietic stem cells and the product thereof
US9567569B2 (en) Methods of culturing and expanding mesenchymal stem cells
KR20190138837A (ko)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길항제 및 이의 용도
WO2012102937A2 (en) Compounds that expand hematopoietic stem cells
AU2013203936A1 (en) Compounds that expand hematopoietic stem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