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3576A - 필름 드레싱 - Google Patents

필름 드레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3576A
KR20110073576A KR1020117011008A KR20117011008A KR20110073576A KR 20110073576 A KR20110073576 A KR 20110073576A KR 1020117011008 A KR1020117011008 A KR 1020117011008A KR 20117011008 A KR20117011008 A KR 20117011008A KR 20110073576 A KR20110073576 A KR 20110073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layer
dividing
flap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1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1269B1 (ko
Inventor
요시오 후나코시
세이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73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3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handl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12Plasters use for use with needles, tubes or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9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 A61F2013/008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easy removing of the protection sheet
    • A61F2013/00812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easy removing of the protection sheet perforate or breakable z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9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 A61F2013/00817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handles or handling ta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855Plasters pervious to air or vapours
    • A61F2013/00868Plasters pervious to air or vapours thin fil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71Protective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76Release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5Sheet, web, or layer weakened to permit separation through 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19Fold at ed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19Fold at edge
    • Y10T428/24215Acute or reverse fold of exterior compon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2)의 한 면에 점착제층(3)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필름 드레싱 본체(1)와, 이 점착제층(3)의 점착면을 덮는 박리 라이너(4)와, 상기 필름(2)의 배면을 덮는 캐리어(5)를 갖는 필름 드레싱에 관한 것이다. 캐리어(5)에 캐리어 분단부(5d)를 형성하여, 캐리어 제1 부분(51), 제2 부분(52)으로 분단한다. 캐리어 분단부(5d)를 덮는 플랩층(7)을 적층하고, 이 플랩층(7)에 플랩층 분단부(7d)를 형성하여, 플랩층 제1 부분(71), 제2 부분(72)으로 분단하고, 이들을 각각 부분적으로, 캐리어 제1 부분(51), 제2 부분(52)에 접합한다. 박리 라이너(4)에도 분단부(4d1, 4d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필름 드레싱{FILM DRESSING}
본 발명은, 의료용 또는 외과용의 필름 드레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상 부위의 피복 또는 카테터 등의 의료 기구의 고정 등에 이용되는 필름 드레싱에 관한 것이다.
카테터 등의 의료 기구의 고정용이나 창상 피복재 등에 널리 이용되어 있는 필름 드레싱은, 피부에 순응할 수 있는 필름과, 이 필름의 한 쪽의 주요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지니어 이루어지는 일종의 점착 시트이다.
필름 드레싱은, 사용하기 전(유통 단계 등)의 상태에서는, 통상 상기한 점착 시트에, 또한 다음 (a), (b)의 구성 요소가 더해진 다층의 적층 구조로 되어 있다.
(a) 점착제층면(점착면)을 덮는 박리 라이너.
(b) 필름의 다른 쪽의 주요면(배면)에 박리 가능한 지지체층으로서 적층된 캐리어(캐리어는, 점착 시트에 강성을 부여하여, 박리 라이너를 제거하더라도 점착 시트의 취급성이 나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임).
필름 드레싱을 피부 등에 첩부하기 위해서는, 우선, 박리 라이너를 제거하고, 점착제층의 점착면을 노출시켜, 피부에 붙이고(카테터 등의 의료 기구나 가제의 고정을 포함함), 그 후, 캐리어를 박리하여, 첩부 작업을 완료한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종래의 필름 드레싱의 실제의 사용 상황을 자세히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필름 드레싱은, 주로 의료 현장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한 일련의 첩부 작업은, 일반적으로 의료용 고무장갑 등을 착용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문제란, 캐리어가 얇고, 적절한 잡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고무장갑을 낀 채로는, 캐리어를 박리하기가 용이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특허문헌 1에서는, 캐리어를 중앙부에서 분단하고(그 분단선을 「접합부」라고 부르고 있음), 그 「접합부」를 「지지체 박리 부재」로 더 덮어, 이에 의해 캐리어의 박리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은 구성에서는, 둘로 분단된 캐리어의 한 쪽만은 「지지체 박리 부재」에 의해서 박리되지만, 또 한 쪽의 캐리어는 남겨져, 그 박리는 여전히 곤란하다.
또한, 캐리어에 분단부를 형성하지 않고서, 바깥 둘레에 잡는 부분 등을 형성해 두고서, 캐리어를 끝에서부터 전면적으로 박리한다고 하는 양태도 있다. 그러나, 필름 드레싱으로 창상 부위를 단순히 덮을 뿐이라면, 그와 같은 양태라도 방수 등의 점에 문제는 생기지 않지만, 카테터 등을 고정하는 경우에는, 캐리어의 강성이 원인이 되어, 충분한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카테터의 탈락과 같은 중대한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박리 라이너의 조작성에 주목하면, 상기 캐리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첩부 작업이 의료용 고무장갑 등을 착용한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박리 라이너를 제거하여 노출된 점착면에 고무장갑이 붙어 버려, 조작성(취급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3-339762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 드레싱에 강성을 부여하는 캐리어로서 양호하게 기능하면서도, 카테터 등의 여러 가지 의료 기구를 양호하게 생체 표면에 고정할 수 있고, 또한, 캐리어를 박리할 때의 조작성이 양호한 필름 드레싱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캐리어에 관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면서, 나아가, 박리 라이너의 조작성도 개선하여, 점착면을 노출시켜 붙이고 캐리어를 박리한다고 하는 일련의 첩부 조작의 작업성이 개선된 필름 드레싱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캐리어에 분단부를 형성하고, 또한, 그 분단부를 덮는 플랩층을 설치하고, 또, 그 플랩층에도 분단부를 형성함으로써, 카테터 등이 존재하더라도 양호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캐리어를 제거하는 조작이 용이하게 되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이에 더하여, 박리 라이너에 분단부를 형성함으로써, 박리 라이너를 부분적으로 제거한 상태라도 필름 전체를 유지하기 위한 잡는 부분(손잡이 부분)을 확보할 수 있어, 캐리어 측 및 박리 라이너 측의 양면에 대해서 조작성이 양호한 필름 드레싱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필름 드레싱은 다음의 특징을 갖는 것이다.
필름의 한 쪽의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필름 드레싱 본체와, 상기 점착제층의 점착면을 덮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박리 라이너와, 상기 필름의 다른 쪽의 면을 덮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캐리어를 갖는 필름 드레싱으로서,
상기 캐리어에는, 그 외형을 분단하는 캐리어 분단부가 형성되어, 그로써 상기 캐리어는, 캐리어 제1 부분과 캐리어 제2 부분으로 분단되어 있고,
상기 캐리어 상에는, 캐리어 분단부를 덮는 플랩층이 또한 적층되고, 이 플랩층에는 그 외형을 분단하는 플랩층 분단부가 형성되어, 그로써 상기 플랩층은, 플랩층 제1 부분과 플랩층 제2 부분으로 분단되어 있고,
플랩층 제1 부분은, 잡는 부분이 남도록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캐리어 제1 부분에 접합되고, 플랩층 제2 부분도, 잡는 부분이 남도록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캐리어 제2 부분에 접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캐리어 분단부가 선형이며, 캐리어 제1 부분과 캐리어 제2 부분이, 상기 캐리어 분단부에서 서로 접촉하고 있거나, 또는,
캐리어 분단부가 띠형(帶狀)이며, 캐리어 제1 부분과 캐리어 제2 부분이, 상기 캐리어 분단부를 사이에 두고서, 서로 떨어져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캐리어 분단부에 접하는 영역 또는 캐리어 분단부 근방의 영역에 있어서, 플랩층 제1 부분이 캐리어 제1 부분에 접합되어 있고, 플랩층 제2 부분도, 캐리어 분단부에 접하는 영역 또는 캐리어 분단부 근방의 영역에 있어서, 캐리어 제2 부분에 접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캐리어 분단부가 띠형이며, 캐리어 제1 부분과 캐리어 제2 부분이, 상기 캐리어 분단부를 사이에 두고서, 서로 떨어져 있고, 더욱이,
상기 띠형 캐리어 분단부 내에는, 상기 캐리어 분단부와 대략 같은 폭과, 대략 같은 두께를 갖는 충전층이, 필름의 다른 쪽의 면에 대하여 박리 가능하게 끼워져 들어가 있고, 이 충전층에는, 캐리어 분단부의 방향을 따라서 분단부가 형성되어, 그로써 상기 충전층은, 충전층 제1 부분과 충전층 제2 부분으로 분단되어 있고,
플랩층 제1 부분이, 충전층 제1 부분과 캐리어 제1 부분에 걸쳐 접합되고, 플랩층 제2 부분이, 충전층 제2 부분과 캐리어 제2 부분에 걸쳐 접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플랩층 분단부의 진행 방향이, 캐리어 분단부의 진행 방향과 대략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플랩층이, 플렉시블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층이거나, 또는 플렉시블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박리 라이너에, 이 박리 라이너의 외형을 분단하는 선형의 박리 라이너 분단부가 1 라인 이상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박리 라이너에, 진행 방향이 서로 대략 동일한 박리 라이너 분단부가 2 라인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박리 라이너 분단부의 진행 방향이, 캐리어 분단부의 진행 방향과 대략 동일하다.
본 발명에 의한 필름 드레싱(이하, 단순히, 상기 드레싱이라고도 함)은, 우선, 캐리어 분단부에 의해서, 캐리어 제1 부분과 캐리어 제2 부분으로 분단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분단부 부분에서 상기 드레싱 전체가 용이하게 꺾여 구부러질 수 있기 때문에, 카테터가 부풀어 올라 있더라도 피부에 바람직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캐리어 분단부를 덮는 플랩을 형성하고 있어, 이 플랩을 분단하여, 각각을, 캐리어 제1 부분과 캐리어 제2 부분에 접합하여, 잡는 부분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의료용 고무장갑을 낀 채로의 상태라도, 분단된 2개의 캐리어를, 플랩을 잡고서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에의 개선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또한 박리 라이너에 분단부를 형성한다. 그로써, 박리 라이너를 부분적으로 제거하더라도, 상기 드레싱에는 손잡이 부분이 남는다. 이로써, 의료용 고무장갑을 낀 채로의 상태라도, 점착면에 닿는 일 없이, 생체 표면에 상기 드레싱을 첩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서로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는 2 라인의 분단선을 형성하여 박리 라이너를 3분할함으로써, 중앙의 박리 라이너를 제거하더라도, 양측에 박리 라이너가 남는다. 이로써, 점착면에 닿는 일 없이, 양손으로 확실하게 상기 드레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첩부의 조작성이 보다 향상된다. 즉,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고, 상기 드레싱을 생체 표면에 첩부하고, 캐리어를 박리한다고 하는 일련의 첩부 작업을, 고무장갑을 낀 채로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필름 드레싱의 한 실시예의 적층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 중의 해칭(hatching)은, 각 층을 서로 구별하기 쉽도록 적절하게 가한 것이다. 해칭을 하는 의미는 다른 도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캐리어 분단부의 양태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선형의 캐리어 분단부의 양태를 예시하는 도면으로, 캐리어의 상면을 봤을 때에, 캐리어 분단부가 그리는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띠형 캐리어 분단부의 양태를 예시하는 도면으로, 캐리어의 상면을 봤을 때에, 캐리어 분단부가 그리는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필름 드레싱을 사용할 때의, 플랩층의 기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선형의 플랩층 분단부의 양태를 예시하는 도면으로, 플랩의 상면을 봤을 때에, 캐리어 분단부가 그리는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플랩층 분단부의 다른 패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캐리어 분단부가 띠형인 경우의, 플랩층을 잡는 부분의 양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 플랩층의 바로 아래에 있는 접착제층의 바람직한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있어서, 캐리어 분단부가 띠형인 경우의, 플랩층의 특수한 양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있어서, 박리 라이너면을 봤을 때에, 박리 라이너 분단부가 그리는 패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구체적인 양태의 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상기 드레싱의 한 실시예의 적층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상기 드레싱은, 가요성을 갖는 필름(2)의 한 쪽의 면에 점착제층(3)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필름 드레싱 본체(1)를 갖는다. 상기 드레싱은, 또한, 점착제층(3)의 점착면(3a)을 덮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박리 라이너(4)를 지니고, 상기 필름(2)의 다른 쪽의 면(2b)에 지지체층으로서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캐리어(5)를 갖는다.
캐리어(5)에는, 그 외형을 분단하는 캐리어 분단부(5d)가 형성되고, 그로써 상기 캐리어(5)는, 캐리어 제1 부분(51)과 캐리어 제2 부분(52)으로 분단되어 있다.
캐리어(5) 상에는, 캐리어 분단부(5d)를 덮도록 플랩층(7)이 더 적층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접착제층(61, 62)을 과장하여 두껍게 그리고 있기 때문에, 플랩층(7)이 캐리어(5)로부터 크게 떨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의 접착제층(61, 62)은 얇고, 플랩층(7)은 캐리어(5)에 접한 상태로 되어 있다. 플랩층(7)에는, 그 외형을 분단하는 플랩층 분단부(7d)가 형성되고, 그로써 플랩층(7)은, 플랩층 제1 부분(71)과 플랩층제2 부분(72)으로 분단되어 있다.
여기서, 플랩층 제1 부분(71)은, 잡는 부분(7a)이 남도록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캐리어 제1 부분(51)에 접합되고, 플랩층 제2 부분(72)도, 잡는 부분(7b)이 남도록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캐리어 제2 부분(52)에 접합되어 있다. 즉, 플랩층 제1 부분(71)은, 접착제층(61)에 의해서 국소적으로 캐리어 제1 부분(51)에 접합되어 있고, 그로써, 잡는 부분(7a)은, 접착제층(61)에 의해서 캔틸레버 상태가 되어, 자유단을 갖는 플랩 양태로 되어 있다. 플랩층 제2 부분(72)도 마찬가지로, 접착제층(62)에 의해서 국소적으로 캐리어 제2 부분(52)에 접합되어 있고, 그로써, 잡는 부분(7b)은, 접착제층(62)에 의해서 캔틸레버 상태가 되어, 자유단을 갖는 플랩의 양태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서, 상기 드레싱은, 캐리어에 의해서 강성을 부여 받으면서도, 천자 상태의 카테터를 덮을 때에는, 캐리어 분단부(5d)에서 꺾여 구부려져 카테터의 부풀어 오름을 추종하여, 그 카테터를 바람직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싱을 첩부한 후에는, 플랩층 제1 부분(71)과 제2 부분(72)의 각각의 잡는 부분(7a, 7b)을 쥐고서 잡아당기거나 또는 젖히는 것만으로, 캐리어 제1 부분(51)과 제2 부분(52)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상기 드레싱은, 정척품(定尺品)(컷트 제품)이라도, 장척품(長尺品)(롤형 제품)이라도 좋다.
상기 드레싱의 외주 형상이나 치수에 한정은 없다. 일례를 들면, 정척품에 있어서, 정방형이나 장방형 등의 사각형상으로 재단한 경우에는, 폭 50 mm∼100 mm, 길이 80 mm∼250 mm 정도인 것을 범용적인 제품으로 들 수 있다. 정척품의 외주 형상은, 사각형상(코너부에는 적절한 라운딩이 되어 있음) 외에, 원형, 타원형, 이형 등, 임의의 디자인을 들 수 있다. 장척품의 경우는, 띠형 폭이 50 mm∼150 mm 정도인 것이 범용적이다.
상기 드레싱은, 방사선 등에 의해 멸균 처리하더라도 좋고, 멸균 주머니에 개별 포장하더라도 좋다.
필름 드레싱 본체의 구조에 있어서 기판이 되는 필름은, 종래 공지된 필름 드레싱에 이용되는 것을 이용하면 되며, 가요성을 지니고, 피부 등의 생체 표면에 장해를 주지 않는 것이면 된다. 그와 같은 필름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아크릴 중합체, 폴리에틸렌,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및 나일론 유도체 등의 중합체가 이용된다. 이들 중, 아크릴 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및 나일론 유도체 등의 중합체는, 필름으로 했을 때의 수증기 투과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피복한 피부의 호흡을 방해하는 일이 적고, 또한, 피부의 백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투명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첩부 장소를 보면서(예컨대, 천자된 카테터를 고정할 때는, 카테터 삽입부를 관찰하면서) 첩부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필름의 두께는, 한정되지는 않지만, 피부의 요철에의 추종성 등, 필름 드레싱으로서 바람직하게 기능한다는 점에서는, 20∼150 ㎛ 정도가 바람직하고, 25∼75 ㎛가 보다 바람직하다.
필름 드레싱 본체의 점착제층의 재료는, 생체 표면에 첩부되는 공지된 점착 시트에 이용되는 점착제를 이용하면 되며, 예컨대, 천연고무계, 합성고무계, 아크릴계, 실리콘계 등의 감압성 점착제를 들 수 있다. 필름의 투명성을 보다 높여, 피부에 주는 자극을 보다 억제한다는 점에서는,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한정되지는 않지만, 통상 10∼60 ㎛ 정도가 바람직하고, 20∼50 ㎛ 정도가 특히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을 필름(2)의 한 쪽의 면에 형성하기 위한 방법은,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면 되며, 예컨대, 점착제 조성물을 필름 상에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방법, 미리 성형된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필름 상에 적층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캐리어는, 필름 드레싱 본체에 강성을 부여하여, 취급성을 개선하기 위한 지지체층이다. 또한, 캐리어는, 사용 전에 필름에 상처가 나거나 파손되거나 하는 것을 막고, 상기 드레싱이 멸균 처리된 경우에는, 필름 표면을 무균 상태로 길게 유지하는 보호층이기도 한다.
캐리어의 소재로서는, 플라스틱 필름(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및 이들의 적층 복합체 등), 종이(예컨대 상질지, 크라프트지 등)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투명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은, 첩부 장소를 상기 드레싱을 통해서 보면서 첩부할 수 있어, 카테터 등의 의료 기구를 고정할 때에는 그 유용성이 특히 현저하게 된다.
캐리어를 필름의 배면에 박리 가능하게 접합시키기 위해서는, 인플레이션 성형, 압출 라미네이트 성형, 적층 성형, 캐스팅 등,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캐리어의 두께는, 소재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통상 15∼200 ㎛ 정도가 바람직하고, 20∼100 ㎛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캐리어 분단부는, 반드시 처음부터 캐리어를 완전히 절단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캐리어를 박리할 때에, 그 캐리어 분단부가 경계가 되어, 캐리어가 복수로 분리될 수 있는 양태면 된다.
예컨대, 도 2(a)에 도시하는 양태에서는, 캐리어 분단부(5d)는, 캐리어를 완전히는 분단하고 있지 않고, 칼집이 캐리어의 상면에서부터 들어와 도중에 멈추어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불완전한 분단이라도, 칼집의 나머지 부분이 얇아 충분히 취약하다면, 그 캐리어 분단부(5d)에서 캐리어를 둘로 분단하면서 별개로 박리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하는 양태에서는, 캐리어 분단부(5d)는, 처음부터 캐리어를 완전히 분단하고 있으며, 칼집은 캐리어의 상면에서부터 들어와 하면에 달하고 있다.
이들, 도 2(a), 2(b)의 양태에서는, 캐리어의 상면을 보았을 때, 캐리어 제1 부분(51)과 캐리어 제2 부분(52)은, 캐리어 분단부(5d)에서 서로 접촉하고 있으며, 캐리어 분단부(5d)는 선형을 띠고 있다.
한편, 도 2(c)의 양태에서는, 캐리어 분단부(5d)는, 캐리어를 완전히 분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떤 폭(5w)을 가지고서, 캐리어 제1 부분(51)과 캐리어 제2 부분(52)을 떼어 놓고 있다. 즉, 캐리어(5)의 상면을 보았을 때, 캐리어 분단부(5d)는 폭(5w)의 띠형을 띠고 있다.
선형의 캐리어 분단부(5d)의 이점은, 캐리어의 박리 용이성과 함께, 카테터 등을 고정할 때에 피부면을 추종하기 쉽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띠형 캐리어 분단부(5d)의 이점은, 선형의 캐리어 분단부보다도 더욱 카테터 고정성이나 추종성이 향상된다는 것이다.
캐리어 분단부는, 상기와 같은 선형, 띠형의 양태뿐만 아니라, 〔외관상은 칼집 등이 없지만, 그 부분의 조직이 기계 강도적으로 충분히 취약하게 되어 있으며, 그 취약한 라인이 분단부로서 작용한다〕라는 양태, 바늘땀의 양태, 나아가서는, 이들 양태의 임의의 조합 등이라도 좋다.
도 3, 도 4는, 캐리어의 상면을 보았을 때에, 캐리어 분단부가 그리는 패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플랩층은 도시하지 않고 있다. 도 3은, 캐리어 분단부가 선형을 띠는 경우의 예이다. 도 4는, 캐리어 분단부가 띠형을 띠는 경우의 예이며, 캐리어 제1 부분(51)과 캐리어 제2 부분(52)은, 띠형 캐리어 분단부(5d)를 사이에 두고서, 서로 떨어져 있으며, 하층의 필름 드레싱 본체가 띠형 캐리어 분단부 내에 노출되어 있다.
캐리어 분단부가 그리는 패턴은, 캐리어 외주의 임의의 부위에서 출발하여, 캐리어의 중앙부를 통과하여, 캐리어 외주의 대향하는 측에 달하는 패턴이 바람직하다. 도 3, 도 4에서는, 어느 예에서도, 캐리어 분단부(5d)는, 사각형상 드레싱의 한 변에서부터 대향하는 변에 걸쳐서 전체를 대략 2등분하여, 캐리어 제1 부분(51)과 캐리어 제2 부분(52)으로 나누고 있다.
도 3(a), 도 4(a)에서는, 캐리어 분단부(5d)는 단순한 직선형이다.
도 3(b), 도 4(b)에서는, 캐리어 분단부(5d)는 사인파 등의 파선형이다.
도 3(c), 도 4(c)에서는, 캐리어 분단부(5d)는 삼각파나 톱파 등의 파선형이다.
도 3(d), 도 4(d)에서는, 캐리어 분단부(5d)는 구형파(矩形波) 등 파선형이다.
도 3(e), 도 4(e)에서는, 캐리어 분단부(5d)는 구형파의 피크 부분을 반원으로 한 진폭이 큰 파선형이다.
캐리어 분단부가 그리는 패턴은, 단순한 직선형이라면, 카테터 등을 고정할 때에, 그 카테터 등의 부분의 부풀어 오름에 추종하는 성질이 양호하며, 또한, 파상이라면, 캐리어를 분단부로부터 박리할 때에, 박리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플랩층은, 둘로 분단된 캐리어에 플랩을 제공하여, 캐리어 제1 부분과 캐리어 제2 부분을, 각각 개별적으로 박리하기 위한 손잡이가 되는 층이다. 그 때문에, 이 플랩층은, 캐리어 분단부를 덮도록 적층되며, 또한, 플랩층 분단부에서 분단되어, 각각의 일부만이 캐리어에 접합되고, 나머지는 플랩(자유단부)으로 되어 있다.
플랩층의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플라스틱 필름(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및 이들의 적층 복합체 등), 종이(예컨대, 상질지, 크라프트지 등),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투명에 가까운 플라스틱 필름이나 투명성이 있는 종이 및 눈이 거친 부직포는, 첩부 장소를 상기 드레싱을 통해서 보면서 붙일 수 있어, 카테터 등의 의료 기구를 고정할 때는 그 유용성이 특히 현저하게 된다.
플랩층에는 다른 층과 식별하기 쉽도록 유색으로 투명한 착색을 실시하더라도 좋다.
플랩층은, 박리 조작시에 파단되지 않을 정도의 기계적 강도를 갖는 것이면 된다. 강성이 없고, 유연한 플랩층이라고 하면, 카테터 등의 고정 조작시의 피부에의 추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플랩층의 바람직한 유연성이나 강성을 수치로 나타내면, 예컨대, JIS L 1069에 준한 루프압축법에 의한 루프 경도가 80 mN 이하, 특히, 15∼60 mN인 것이 바람직하다.
플랩층 분단부에서 플랩층의 최외단부면까지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분단부의 사행 폭이나 접착층 등에 의해서 플랩으로 될 수 없는 부분과, 플랩으로서의 낭비가 없는 적당한 잡는 부분의 길이(5 mm∼15 mm 정도)를 고려하면, 10 mm∼30 mm 정도면 되며, 10 mm∼20 mm가 보다 바람직한 범위이다.
플랩층의 두께는, 재료의 기계적 강도, 탄성, 유연성, 강성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예컨대,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하는 경우, 10∼200 ㎛ 정도가 바람직하고, 20∼150 ㎛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 5는, 플랩층의 가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캐리어 분단부, 플랩층 분단부의 각각의 라인을 직선형으로 하고 있지만,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임의의 패턴으로 하여도 좋다.
도 5(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플랩층(7)은, 캐리어 분단부(5d)를 타고 걸치는 식으로 캐리어(5) 상에 적층되며, 또한, 플랩층 분단부(7d)가 형성되어, 플랩층 제1 부분(71)과 플랩층 제2 부분(72)으로 분단되어 있다. 이 도면의 예에서는, 캐리어 분단부(5d)의 라인과 플랩층 분단부(7d)의 라인은 완전히 일치하고 있다.
플랩층 제1 부분(71), 플랩층 제2 부분(72)은, 각각 하층의 접착제층(61, 62)에 의해서, 국소적으로 캐리어 제1 부분(51), 캐리어 제2 부분(52)에 접합되어 있다. 접착제층(61, 62)은, 플랩층의 하층에 있지만, 이 도면에서는, 짙은 해칭에 의해서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5(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이 예에서는, 접착제층(61, 62)은, 분단부에 가까운 측에 형성되어 있고, 그로써, 도 5(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플랩층 제1 부분(71), 플랩층 제2 부분(72)은 각각 분단부에서 먼 측이 플랩으로 되어 있다. 도 5(b)는 이 플랩을 잡아당겨, 캐리어를 벗겨내려고 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예와 같이, 플랩층 분단부(7d)의 진행 방향이, 캐리어 분단부(5d)의 진행 방향과 대략 동일한 양태(특히, 양자의 패턴이 서로 완전히 일치하는 양태)는, 플랩층과 캐리어를 일괄적으로 박리할 때에, 작은 힘으로 박리할 수 있다고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2개의 분단부의 진행 방향이 서로 동일하다는 것은, 2 라인의 평행선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2개의 분단부가 파동적인 패턴이라도, 각각이 면내를 전파하는 방향이 대략 서로 같음을 의미한다. 예컨대, 2개의 분단부가 각각 사인파를 그리고 있는 경우, 각 파선을 국소적으로 비교하면, 위상이 틀어지고 있기 때문에 평행하다고는 말할 수 없는 경우가 있지만, 전체를 본 경우에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으면, 진행 방향이 서로 동일하다고 하여, 전체적으로는 2 라인의 평행선과 같은 작용을 보인다.
플랩층 분단부는, 도 2에 도시한 캐리어 분단부의 양태와 마찬가지로, 반드시 처음부터 플랩층을 완전히 절단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칼집이 플랩층의 상면에서 들어와 도중에서 멈추어 있는 하프컷 양태나, 완전히 분단되어 있는 양태, 라인을 따라서 취약하게 되어 있는 양태, 바늘땀의 양태 등, 이들을 임의로 조합한 양태 등, 플랩 부분을 잡아당겨 캐리어를 박리할 때에, 그 플랩층 분단부가 경계가 되어, 플랩층이 복수로 분리되는 것이 가능한 양태면 된다.
플랩층 분단부가 그리는 패턴은, 상기 캐리어 분단부와 같은 패턴으로 할 수 있다. 양자는 서로 다른 패턴이어도 되지만, 플랩층 분단부의 패턴과 캐리어 분단부의 패턴을 서로 일치하여 서로 겹치는 패턴으로 함으로써, 플랩층을 박리할 때에, 작은 힘으로 플랩층과 캐리어를 동시에 박리할 수 있다.
도 6은 플랩층의 상면을 본 도면이며, 플랩층 분단부가 그리는 패턴을 예시하고 있다. 하층의 캐리어와 구별하기 쉽게, 플랩층에는 해칭을 하고 있다.
도 6(a)에서는, 플랩층 분단부(7d)는 단순한 직선형이다.
도 6(b)에서는, 플랩층 분단부(7d)는 사인파 등의 파선형이다.
도 6(c)에서는, 플랩층 분단부(7d)는 삼각파나 톱파 등의 파선형이다.
도 6(d)에서는, 플랩층 분단부(7d)는 구형파 등의 파선형이다.
도 6(e)에서는, 플랩층 분단부(7d)는 구형파의 피크 부분을 반원으로 한 진폭이 큰 파선형이다.
플랩층 분단부의 패턴에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상기 플랩층 분단부가 파상인 경우, 도 6(b)와 같이, 외형 크기 전체에 대하여 물결의 진폭이 작으면, 상기 플랩층을 박리할 때에, 작은 힘으로 분단부를 꺾어 구부리는 것만으로 잡는 부분이 생긴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도 6(e)와 같이, 물결의 진폭이 크면, 캐리어를 박리할 때에, 분단부에 충분히 큰 잡는 부분을 얻기 쉽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플랩층 분단부를 파상의 패턴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 파형, 진폭, 파장은 목적에 따라서 자유롭게 선택하여 조합하더라도 좋다.
도 7은 플랩층 분단부의 다른 패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의 예에서는, 플랩층(7)은, 파선으로 나타낸 캐리어 분단부(5d)를 타고 걸치는 식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플랩층 분단부(7d)의 라인은, 캐리어 분단부(5d)의 라인과는 일치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플랩층 제1 부분(71), 플랩층 제2 부분(72)은 각각 하층의 접착제층(짙은 해칭 부분)(61, 62)에 의해서, 국소적으로 캐리어 제1 부분(51), 캐리어 제2 부분(52)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 도면의 예에서도, 플랩이 형성되어 있다. 도 7(b)는 이 플랩을 잡아당겨, 캐리어를 벗겨내려고 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플랩층 제1 부분과, 플랩층 제2 부분은 각각 국소적으로 캐리어 제1 부분과, 캐리어 제2 부분에 접합되어 있으면 된다.
도 8은 캐리어 분단부가 띠형인 경우의, 플랩층을 잡는 부분(플랩 부분)의 양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각 부의 부호는 도 1과 마찬가지다.
도 8(a)의 양태에서는, 캐리어 분단부(5d)는 띠형이며, 캐리어 제1 부분(51)과 캐리어 제2 부분(52)은 거리를 두고서 서로 떨어져 있다. 플랩층(7)은, 띠형 캐리어 분단부(5d)를 덮어 적층되어 있으며, 플랩층 분단부(7d)는, 띠형이 아니라 선형으로 되어 있어, 캐리어 분단부(5d)를 덮어서 숨기고 있다. 이 양태에서는, 플랩으로서 손끝으로 잡는 부분은 외측으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도 8(b)의 양태에서는, 캐리어 분단부(5d)가, 도 8(a)의 양태보다도 폭이 넓은 띠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플랩으로서 손끝으로 잡는 부분은, 플랩층 분단부(7d)의 측으로 되어 있다. 즉, 도면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플랩층은 중앙에서 개방되며, 그에 이어서 캐리어가 박리되어 간다.
플랩층과 캐리어를 접착하는 접착제층에는 공지된 접착제나 점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열용융성을 갖는 재료를 접착제층으로서 이용하여, 히트시일로 접착할 수도 있다.
접착제층의 형성 영역은, 띠형으로 연속해 있더라도, 점재하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분단부가 파선을 그리는 경우에는, 그것에 따라서 파선을 그리도록 형성하더라도 좋고, 조금 떨어진 위치에 직선 띠형으로 형성하더라도 좋다. 후자와 같이, 접착제층을 직선 띠형으로 형성하는 양태는, 플랩층을 박리할 때의 힘이 작아도 되므로 바람직하다.
접착제층을 띠형으로 하는 경우, 그 띠형의 폭은 상기 드레싱의 크기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1 mm∼10 mm 정도가 바람직하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30 ㎛∼200 ㎛ 정도가 바람직한 범위이다.
접착제층은, 캐리어 분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고, 그로써,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플랩층의 외측을 플랩으로서 이용하는 양태가 바람직하다. 캐리어 분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접착제층을 형성함으로써, 캐리어 분단부에서 캐리어를 집어올려 벗겨내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여, 박리에 필요로 하는 힘이 작게 끝난다. 캐리어 분단부에서 보다 먼 위치에 접착제층을 형성하면, 보다 큰 힘을 필요로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필름 드레싱 본체가 피부로부터 떠 버린다. 또한, 플랩층을 피부 표면을 따라서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피부에 물리적인 자극을 줘 버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캐리어 분단부에서, 캐리어를 피부 표면에 수직으로 젖혀 올리는 식으로 박리하는 양태가 바람직하다.
도 9는 접착제층의 바람직한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a), 도 9(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접착제층(61, 62)은 각각 캐리어 분단부(5d)의 단부면으로부터, 특정한 거리(L)를 두고서 형성하는 양태가 바람직하다.
거리(L)의 바람직한 값은, 상기 드레싱의 크기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0 mm∼5 mm 정도가 바람직하고, 0.5 mm∼3 mm가 보다 바람직한 거리이다. 거리(L)가 0 mm인 경우, 접착제 성분이 캐리어 분단부(5d)에 침투하여 캐리어와 드레싱을 접착해 버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0<L로 하는 것을 장려한다. 또한, 거리(L)가 상한 5 mm보다도 커지면, 플랩층과 캐리어를 일체로 박리할 때에, 캐리어를 필름으로부터 박리하는 힘이 커져, 필름 드레싱이 피부면으로부터 박리되어 버리거나, 뜨거나 할 우려가 있고, 또한, 플랩층이 캐리어로부터 박리되는 등의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도 10은 캐리어 분단부가 띠형인 경우의, 플랩층의 특수한 양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의 양태에서는, 띠형 캐리어 분단부 내에는, 상기 캐리어 분단부의 폭, 두께와 대략 같은 충전층(8)이 끼워져 들어가 있다. 상기 충전층(8)은 캐리어와 마찬가지로, 필름(2)의 배면에 대하여 박리 가능하다.
상기 충전층(8)에는, 캐리어 분단부의 진행 방향(도면에서는, 지면에 수직)을 따라서 분단부(8d)가 형성되어 있고, 이로써 상기 충전층(8)은, 충전층 제1 부분(81)과, 충전층 제2 부분(82)으로 분단되어 있다. 그리고, 그 위를 덮어 플랩층(7)이 형성되고, 플랩층 제1 부분(71)이(즉, 접착제층(61)이) 충전층 제1 부분(81)과 캐리어 제1 부분(51)에 걸쳐 접합되고, 플랩층 제2 부분(72)이(즉, 접착제층(62)이) 충전층 제2 부분(82)과 캐리어 제2 부분(52)에 걸쳐 접합되어 있다.
충전층의 재료는, 플라스틱 필름이나 종이 등, 탄성이 적고, 적절한 강성을 갖는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충전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공지된 적층 방법, 예컨대,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열융착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박리 라이너는 종래 공지된 것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박리 라이너의 기판 부분으로서는, 예컨대, 플라스틱 필름(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적층 복합체 등)이나, 종이(예컨대, 상질지, 크라프트지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 기판 부분의 한 쪽의 주요면에,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실리콘계 수지 처리나 불소계 수지 처리 등을 실시함으로써, 박리 라이너를 얻을 수 있다.
박리 라이너의 두께는, 한정되지는 않지만, 통상 50∼250 ㎛ 정도가 바람직하고, 75∼200 ㎛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박리 라이너에, 그 외형을 분단하는 선형의 박리 라이너 분단부를 1 라인 이상 형성함으로써, 한 쪽의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더라도, 다른 쪽의 박리 라이너가 남아, 점착면에 닿는 일없이 첩부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박리 라이너 분단부의 바람직한 양태는, 진행 방향이 대략 동일한 것을 2 라인 형성하는 양태이다. 즉, 상기 분단부가 직선인 경우에는, 평행한 2 라인의 박리 라이너 분단부를 형성하는 양태가 바람직하다. 그 이점은 발명의 효과에서 설명한 대로이다.
도 11은 박리 라이너면을 봤을 때에, 박리 라이너 분단부가 그리는 패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예는, 진행 방향이 서로 대략 동일한 2 라인의 박리 라이너 분단부를 형성하는 경우의 예이다.
도 11의 박리 라이너 분단부(4d1, 4d2)는, 도 11(a)에서는 단순한 직선형이며, 도 11(b)에서는 사인파 등의 파선형이며, 도 11(c)에서는 삼각파나 톱파 등의 파선형이며, 도 11(d)에서는 구형파 등의 파선형이며, 도 11(e)에서는 구형파의 피크 부분을 반원으로 한 진폭이 큰 파선형이다.
박리 라이너 분단부의 위치는, 상기 분단부가 1 라인만인 경우에는, 박리 라이너의 끝(=필름 드레싱 본체의 끝)의 변에서부터 10 mm 이상의 위치를, 바람직하게는 중앙부를 분단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박리 라이너 분단부가 2 라인(부가적으로 더욱 가해지는 경우도 포함함)인 경우에는, 박리 라이너의 외주 중 대향하는 2개 끝변에서부터 각각 10 mm 이상 떨어진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잡는 부분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실시예]
실시예 1
(필름 드레싱 본체)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두께 30 ㎛의 필름 상에, 아크릴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두께 30 ㎛가 되도록 형성하여, 필름 드레싱 본체로 했다.
(박리 라이너)
상기 점착제층의 점착면에, 두께 100 ㎛의 종이의 표면에 실리콘 수지 처리를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박리 라이너를 접합시켰다.
(캐리어)
필름 드레싱 본체의 배면에, 캐리어로서,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OPP)으로 이루어지는 두께 40 ㎛의 필름을 압출 라미네이트 성형에 의해서 박리 가능하게 접합시켰다.
상기 캐리어의 중앙부에는, 직선형의 칼집선을, 도 2(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캐리어를 완전히 분단하도록 가하여, 캐리어 분단부로 했다. 캐리어 분단부의 형성은 다이컷트롤을 이용하여 행했다.
(플랩층)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두께 40 ㎛, 전체 폭 50 mm의 플랩층을, 캐리어 분단부를 덮도록 적층했다. 상기 플랩층에는, 캐리어 분단부와 일치하는 패턴으로, 플랩층 분단부를 형성했다. 플랩층 분단부의 형성은 다이컷트롤을 이용하여 행했다.
2분할에 의해서 형성된 플랩층 제1 부분과 플랩층 제2 부분을 각각 캐리어 제1 부분, 캐리어 제2 부분에 접착했다. 접착제에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계의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했다.
또한, 캐리어 분단부에서부터 접착부까지의 거리는 2 mm로 했다.
(박리 라이너 분단부)
상기 필름 드레싱의 외형을 한 변 100 mm×100 mm의 정방형으로 하고, 박리 라이너에는, 서로 대향하는 2변으로부터 각각 15 mm인 곳에, 상기 2변에 평행하고 직선적인 분단부(칼집)를 넣어, 필름 드레싱으로 했다. 캐리어 분단부와 박리 라이너 분단부의 진행 방향은 동일하다.
(평가)
피부 상에 두께 2 mm로 접어 포갠 가제를 배치하고, 그것을 상기 드레싱으로 덮어 피부에 고정할 때의 조작성과 고정성을 평가했다.
우선, 중앙부의 박리 라이너를 제거하더라도 양끝에 박리 라이너가 남아 있기 때문에, 이것을 잡는 부분으로 하여, 고무장갑을 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가제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했다.
또한, 필름 드레싱을 피부에 첩부한 후, 2개의 플랩층의 외측에 있는 플랩을 각각 잡아당김으로써, 캐리어를 용이하게 피부로부터 들뜨는 일없이 깨끗하게 첩부할 수 있었다.
가제의 고정 상태는 양호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플랩층을 두께 30 ㎛의 OPP 필름에 의해서 형성한 것과 캐리어 분단부에서 접착부까지의 거리를 4 mm로 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와 같은 식으로 상기 드레싱을 제작했다.
조작성과 고정성은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양호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선형의 캐리어 분단부 대신에, 직선형으로 뻗는 폭 10 mm의 띠형 캐리어 분단부로 하고, 이 띠형 캐리어 분단부의 끝에서 접착부까지의 거리를 4 mm로 하고, 박리 라이너 분단선을 한 쪽의 1 라인만으로 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식으로 상기 드레싱을 제작했다.
조작성과 고정성은 상기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양호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서는, 폭 20 mm의 띠형 캐리어 분단부로 하여, 상기 띠형 캐리어 분단부의 끝에서부터 접착부까지의 거리를 2 mm로 하고, 박리 라이너의 분단부는 실시예 1과 같은 2 라인으로 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3과 같은 식으로 상기 드레싱을 제작했다.
조작성과 고정성은 상기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양호했다.
실시예 5
본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폭 15 mm의 띠형 캐리어 분단부로 하고, 상기 띠형 캐리어 분단부의 내부에,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폭 15 mm, 두께 38 ㎛의 필름을 충전층으로서 끼워 넣고, 그 위를 덮어 OPP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플랩층을 적층했다. 상기 충전층에는, 캐리어 분단부의 방향을 따라서 분단부를 형성하여, 그 충전층을, 충전층 제1 부분과 충전층 제2 부분으로 분단했다. 그리고, 플랩층 제1 부분을 충전층 제1 부분과 캐리어 제1 부분에 걸쳐 접합하고, 플랩층 제2 부분을 충전층 제2 부분과 캐리어 제2 부분에 걸쳐 접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4와 같은 식으로 하여 상기 드레싱을 제작했다.
조작성과 고정성은 상기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양호했다.
실험 1
본 실험에서는, 캐리어 분단부에서 접착부까지의 거리(도 9(a)의 거리(L))의 바람직한 값을 조사하기 위해서, L=6 mm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필름 드레싱을 제작했다.
그 결과, 박리 라이너의 제거에서부터 첩부까지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양호했다. 그러나, 첩부 후의 캐리어의 박리에 대해서는, 캐리어 분단부에서 접착부까지의 거리를 크게 잡았기 때문에, 캐리어를 분단부에서 피부면에 수직으로 순차 젖혀 올린다고 하는 가장 바람직한 조작 상태에는 이르지 못하고, 캐리어의 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큰 힘이 작용하여, 그로써, 필름 드레싱 본체에도 힘이 전해 져, 상기 드레싱 본체가 가제나 피부에서 다소 뜬다고 하는 상태가 생겼다.
본 실험에 의해서, 캐리어 분단부에서 접착부까지의 거리를 지나치게 크게 잡으면, 본 발명품이라도, 캐리어의 박리성은 양호하지 않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캐리어 분단부에서 접착부까지의 거리(L)와, 캐리어의 박리 조작성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실시예 1(거리 L=2 mm)의 박리 조작성이 양호하며, 실험 1(거리 L=6 mm)에서는 양호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 범위를 상세히 확인하는 보충 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L=0 mm인 경우에는, 캐리어는 박리할 수 있었지만, 캐리어 분단부에서 필름 드레싱면으로 접착제가 침입한다고 하는 현상이 생기고, 1 mm≤L≤3 mm인 경우에는 특히 바람직하게 박리할 수 있고, 3 mm<L≤5 mm에서는, 다소의 문제점이 생기고, L의 값이 5 mm를 넘으면, 캐리어의 박리는 곤란하게 되었다.
실험 2
본 실험에서는, 캐리어 분단부에서 접착부까지의 거리(L)를 6 mm로 하고, 플랩층을 OPP 제조의 필름에 의해서 형성하여, 박리 라이너 분단부를 한 쪽 1 라인만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필름 드레싱을 제작했다.
그 결과, 상기 실험 1과 마찬가지로, 박리 라이너의 제거에서부터 첩부까지는 양호했지만, 첩부 후의 캐리어의 박리에 대해서는 박리 조작은 곤란했다.
비교예 1
본 비교예에서는, 플랩층을 형성하지 않고, 박리 라이너의 분단선을 1 라인만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필름 드레싱을 제작했다.
그 결과, 박리 라이너에 분단부를 1 라인 형성했기 때문에,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고무장갑을 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가제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캐리어를 제거하는 조작에서는, 캐리어에 잡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조작이 곤란했다.
비교예 2
본 비교예에서는, 플랩층을 형성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같은 식으로 하여, 필름 드레싱을 제작했다.
그 결과, 박리 라이너에 분단부를 1 라인 형성했기 때문에,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고무장갑을 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가제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캐리어를 제거하는 조작에서는, 캐리어에 잡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조작이 곤란했다.
비교예 3
본 비교예에서는, 띠형 캐리어 분단부의 폭을 10 mm로 하고, 또한, 박리 라이너에는 분단부를 형성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같은 식으로 필름 드레싱을 제작했다.
그 결과, 박리 라이너를 전면적으로 제거할 필요가 있어, 고무장갑을 낀 상태에서는 고무장갑에 점착면이 접촉되어 조작성이 나빴다.
또한, 띠형 캐리어 분단부의 폭을 10 mm로 함으로써, 캐리어를 박리하는 조작은 양호했다.
이상, 실시예 1∼5의 평가 결과 및 비교예 1∼3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한다. 박리 라이너의 조작성, 캐리어 박리의 조작성에 대해서, 양호를 ○, 불량을 ×로 나타냈다.
박리 라이너의 조작성 캐리어의 조작성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필름 드레싱은, 캐리어 박리의 조작성, 점착면에 관한 조작성에 대해서 양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필름 드레싱은, 캐리어에 의해서 충분한 강성이 주어지고 있어,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캐리어가 붙은 상태라도, 카테터 등의 여러 가지 의료 기구를 양호하게 생체 표면에 고정할 수 있으며, 캐리어를 박리할 때의 조작성도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 드레싱은, 박리 라이너를 부분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때문에, 점착면을 노출시키더라도 박리 라이너가 부분적으로 남아 있고, 그것이 잡는 부분으로 되어, 첩부 조작의 작업성이 양호하다.
1 : 필름 드레싱 본체 2 : 필름
3 : 점착제층 4 : 박리 라이너
4d1 : 박리 라이너 분단부 4d2 : 박리 라이너 분단부
5 : 캐리어 5d : 캐리어 분단부
51 : 캐리어 제1 부분 52 : 캐리어 제2 부분
7 : 플랩층 7d : 플랩층 분단부
71 : 플랩층 제1 부분 72 : 플랩층 제2 부분

Claims (9)

  1. 필름의 한 쪽의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필름 드레싱 본체와, 상기 점착제층의 점착면을 덮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박리 라이너와, 상기 필름의 다른 쪽의 면을 덮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캐리어를 갖는 필름 드레싱으로서,
    상기 캐리어에는 그 외형을 분단하는 캐리어 분단부가 형성되어, 그로써 상기 캐리어는 캐리어 제1 부분과 캐리어 제2 부분으로 분단되어 있고,
    상기 캐리어 상에는 캐리어 분단부를 덮는 플랩층이 더 적층되고, 이 플랩층에는 그 외형을 분단하는 플랩층 분단부가 형성되어, 그로써 상기 플랩층은 플랩층 제1 부분과 플랩층 제2 부분으로 분단되어 있고,
    플랩층 제1 부분은 잡는 부분이 남도록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캐리어 제1 부분에 접합되고, 플랩층 제2 부분도 잡는 부분이 남도록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캐리어 제2 부분에 접합되어 있는 필름 드레싱.
  2. 제1항에 있어서, 캐리어 분단부가 선형이며, 캐리어 제1 부분과 캐리어 제2 부분이 상기 캐리어 분단부에서 서로 접촉하고 있거나, 또는,
    캐리어 분단부가 띠형이며, 캐리어 제1 부분과 캐리어 제2 부분이 상기 캐리어 분단부를 사이에 두고서 서로 떨어져 있는 필름 드레싱.
  3. 제1항에 있어서, 캐리어 분단부에 접하는 영역 또는 캐리어 분단부 근방의 영역에 있어서 플랩층 제1 부분이 캐리어 제1 부분에 접합되어 있고, 플랩층 제2 부분도 캐리어 분단부에 접하는 영역 또는 캐리어 분단부 근방의 영역에 있어서 캐리어 제2 부분에 접합되어 있는 필름 드레싱.
  4. 제1항에 있어서, 캐리어 분단부가 띠형이며, 캐리어 제1 부분과 캐리어 제2 부분이 상기 캐리어 분단부를 사이에 두고서 서로 떨어져 있고, 또한,
    상기 띠형 캐리어 분단부 내에는, 상기 캐리어 분단부와 대략 같은 폭과 대략 같은 두께를 갖는 충전층이, 필름의 다른 쪽의 면에 대하여 박리 가능하게 끼워져 들어가 있고, 상기 충전층에는 캐리어 분단부의 방향을 따라서 분단부가 형성되어, 그로써 상기 충전층은 충전층 제1 부분과 충전층 제2 부분으로 분단되어 있고,
    플랩층 제1 부분이 충전층 제1 부분과 캐리어 제1 부분에 걸쳐 접합되고, 플랩층 제2 부분이 충전층 제2 부분과 캐리어 제2 부분에 걸쳐 접합되어 있는 필름 드레싱.
  5. 제1항에 있어서, 플랩층 분단부의 진행 방향이 캐리어 분단부의 진행 방향과 대략 동일한 필름 드레싱.
  6. 제1항에 있어서, 플랩층이 플렉시블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층이거나, 또는 플렉시블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인 필름 드레싱.
  7. 제1항에 있어서, 박리 라이너에, 상기 박리 라이너의 외형을 분단하는 선형의 박리 라이너 분단부가 1 라인 이상 형성되어 있는 필름 드레싱.
  8. 제7항에 있어서, 박리 라이너에, 진행 방향이 서로 대략 동일한 박리 라이너 분단부가 2 라인 형성되어 있는 필름 드레싱.
  9. 제7항에 있어서, 박리 라이너 분단부의 진행 방향이 캐리어 분단부의 진행 방향과 대략 동일한 필름 드레싱.
KR1020117011008A 2008-10-15 2008-10-15 필름 드레싱 KR101461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68655 WO2010044152A1 (ja) 2008-10-15 2008-10-15 フィルムドレッシン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576A true KR20110073576A (ko) 2011-06-29
KR101461269B1 KR101461269B1 (ko) 2014-11-12

Family

ID=42106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008A KR101461269B1 (ko) 2008-10-15 2008-10-15 필름 드레싱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691355B2 (ko)
EP (1) EP2347741B1 (ko)
KR (1) KR101461269B1 (ko)
CN (1) CN102186441B (ko)
AU (1) AU2008363029B2 (ko)
CA (1) CA2740805C (ko)
ES (1) ES2608609T3 (ko)
WO (1) WO20100441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6023A1 (ja) * 2009-10-14 2011-04-21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D686734S1 (en) 2010-01-28 2013-07-23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Medical patch
USD686735S1 (en) 2010-05-28 2013-07-23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Medical patch
USD698928S1 (en) 2010-11-05 2014-02-04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Medical patch
BR112014026369A2 (pt) * 2012-04-23 2017-07-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 artigo e método para prender um objeto a uma superfície
JP6034999B1 (ja) * 2015-05-29 2016-11-30 株式会社共和 医療用テープ
US11154427B2 (en) 2015-05-29 2021-10-26 Kyowa Limited Medical tape
US20210161720A1 (en) * 2018-04-04 2021-06-03 Cardiac Assist Holdings Medical dressing removable adhesive strips
US11407534B2 (en) 2019-04-12 2022-08-09 Altria Client Services Ll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forming pouch product
US11975514B2 (en) * 2019-04-12 2024-05-07 Altria Client Services Llc Carrier material layer
CN110840653B (zh) * 2019-11-14 2022-04-05 南京医科大学附属逸夫医院 一种减压敷料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6563Y2 (ja) 1982-02-15 1985-10-30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薬の剥離紙構造
JP2597846Y2 (ja) * 1993-12-20 1999-07-19 ニチバン株式会社 貼付材
JP3694696B2 (ja) * 1994-10-03 2005-09-14 タック化成株式会社 ドレッシング
JPH09154872A (ja) 1995-12-07 1997-06-17 Nichiban Co Ltd 医療用貼付材
JP4051227B2 (ja) 2002-05-29 2008-02-20 株式会社共和 褥創及び擦過部位保護用絆創膏
DE102005009634A1 (de) * 2005-03-03 2006-09-07 Paul Hartmann Ag Folienverband mit verbesserter Applikationshilfe
JP3135535U (ja) * 2007-07-06 2007-09-20 共立薬品工業株式会社 創傷保護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40805C (en) 2016-03-22
AU2008363029A1 (en) 2010-04-22
WO2010044152A1 (ja) 2010-04-22
CN102186441B (zh) 2014-05-21
KR101461269B1 (ko) 2014-11-12
US20110229676A1 (en) 2011-09-22
US8691355B2 (en) 2014-04-08
CN102186441A (zh) 2011-09-14
AU2008363029B2 (en) 2015-06-25
EP2347741A4 (en) 2013-03-06
EP2347741A1 (en) 2011-07-27
ES2608609T3 (es) 2017-04-12
EP2347741B1 (en) 2016-09-28
CA2740805A1 (en)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6385B2 (ja) フィルムドレッシング
KR20110073576A (ko) 필름 드레싱
US20110070391A1 (en) Releasably adhesive tapes
WO2012029831A1 (ja) 貼付体シート、及び、その使用、並びに、貼付体シートの貼付方法
JP2011004850A (ja) フィルムドレッシング
JP4594677B2 (ja) 粘着フィルムドレッシング
JP5177758B2 (ja) フィルムドレッシング
KR20090048323A (ko) 첩부시트
JP3152966B2 (ja) 粘着シート
JP4260800B2 (ja) 絆創膏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255856A (ja) 貼付体シート
JP5044770B2 (ja) 貼付材
JP2012061171A (ja) ドレッシング材
CN102970940A (zh) 具有粘合性边缘的外科用盖布或毛巾
JP5271533B2 (ja) 粘着フィルムドレッシング
JPH09238975A (ja) 粘着フィルム
JP5951176B2 (ja) ドレッシング材
JP2003153938A (ja) 粘着シート
JP3199420U (ja) ドレッシング材
KR200323831Y1 (ko) 상처보호를 위한 투명 점착필름 밴드
JP5812601B2 (ja) 薄膜シート
JP3970639B2 (ja) 貼着体
JP2010063547A (ja) 鍼治療用指先感染防止シート
JP5861620B2 (ja) ドレッシング材
JPWO2012029831A1 (ja) 貼付体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