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9726A - 식물배양세포주를 이용한 표준물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물배양세포주를 이용한 표준물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69726A KR20110069726A KR1020100128970A KR20100128970A KR20110069726A KR 20110069726 A KR20110069726 A KR 20110069726A KR 1020100128970 A KR1020100128970 A KR 1020100128970A KR 20100128970 A KR20100128970 A KR 20100128970A KR 20110069726 A KR20110069726 A KR 201100697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netically modified
- standard
- sample
- tissue culture
- analysi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5—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plants, fungi or alga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4/00—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refor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4—Plant cells or tissue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C12Q1/6851—Quantitative amplific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97—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lant cell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3—Plant trait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66—Oligonucleotides used as internal standards, controls or normalisation prob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ll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유전자비변형식물의 조직을 조직배양하여 얻은 조직배양세포주로부터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여부 또는 혼입률 분석용 표준물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여부 또는 혼입률을 분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유전자비변형식물을 각각 조직배양하여 얻은 조직배양세포주를 이용한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여부 또는 혼입률 분석용 표준물질은 조직배양을 통해 유전형질이 동일한 개체를 무수히 많이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대량으로 배양용량을 증가시키면 batch 간의 불균질성을 배제한 균일한 질의 표준물질을 대량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곡물분말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표준물질과는 달리, 배양세포주의 순도가 입증됨으로써 순도가 100%인 유전자변형(GM) 또는 유전자비변형(non-GM)인 표준물질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하여 일정한 조성의 표준물질을 항상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유전자비변형식물을 각각 조직배양하여 얻은 조직배양세포주를 이용한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여부 또는 혼입률 분석용 표준물질은 조직배양을 통해 유전형질이 동일한 개체를 무수히 많이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대량으로 배양용량을 증가시키면 batch 간의 불균질성을 배제한 균일한 질의 표준물질을 대량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곡물분말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표준물질과는 달리, 배양세포주의 순도가 입증됨으로써 순도가 100%인 유전자변형(GM) 또는 유전자비변형(non-GM)인 표준물질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하여 일정한 조성의 표준물질을 항상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유전자비변형식물의 조직을 조직배양하여 얻은 조직배양세포주로부터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여부 또는 혼입률 분석용 표준물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여부 또는 혼입률을 분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전자변형식물(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이란 기존의 작물육종에 의한 품종 개발과는 달리, 동식물 또는 미생물의 유용한 유전자를 인공적으로 분리, 결합시켜 생산성이나 기능성이 증가되도록 한 생물체를 총칭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전자변형식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품질을 강화하기 위하여 제초제 저항성, 내충성, 내병성, 내한성, 영양 증대 등에 관련된 유전자를 식물에 도입하고 있다.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상업화되어 있는 유전자변형식물로는 옥수수, 콩이 있으며 그 밖에 면화, 카놀라, 감자, 토마토 등 다른 작물에도 넓게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전자변형식물에 대한 안전성이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아, 우리나라의 경우 유전자변형식물이 3% 이상 혼입된 경우 유전자변형식물이라고 표기하도록 하는 표시제를 시행하고 있고, 다른 나라들도 혼입허용치(threshold)의 차이는 있으나 비슷한 실정이다.
따라서 유전자변형식물의 혼입 여부를 측정하는 정성적인 분석법 이외에도, 혼입률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분석기술을 요구하게 되었다.
유전자변형식물의 정량 분석법은 크게 단백질 분석법과 DNA 분석법 두 가지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유전자변형식물에 도입된 유전자로부터 발현되는 단백질을 대상으로 하는 ELISA법은 검출강도가 PCR 법에 비해 떨어지며 열처리 등으로 단백질의 변성이 생길 수 있어 한계가 있다. 이에 실시간 PCR(Real-Time PCR)법을 이용하여 유전자변형식물에 도입된 유전자를 정량하는 기술이 현재 주로 이용되고 있다.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률을 실시간 PCR법으로 정량하기 위해서는 유전자변형식물에 도입된 도입 유전자의 카피수를 비교할 수 있는 표준물질이 필요하다.
GMO 표시제의 시행에 따라 유전자변형식물의 혼입허용치에 대한 분석의 정확도, 정밀성 등이 매우 중요해졌으며, 혼입허용치에 대한 정확하고 정밀한 분석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분석에 사용한 표준물질이 매우 중요하다. 표준물질은 장기간 보존 가능성과 그 자체의 안정성(stability) 및 균질성(homogeneity)도 보장되어야 한다.
현재 표준물질로는 재래적인 방식에 의거하여 각 작물별 유전자변형식물(GMO) 및 유전자비변형식물(non-GMO)의 종자 분쇄물을 일정량씩 중량에 따라 혼합하여 만든 표준물질 또는 유전자변형식물 및 유전자비변형식물이 일정량 혼합된 시료로부터 추출한 내재유전자 및 도입유전자의 앰플리콘(amplicon)을 삽입하여 만든 표준플라스미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표준물질에 대한 신뢰도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부분이 개선되어야 하며, 특히 표준물질 제조시 시작시료의 순도에 대한 정보가 부재하고 이를 입증할 기술적인 방법이 없다는 것이 큰 걸림돌이 되어 왔다. 따라서 보다 안정적으로 균질하게 이용 가능한 표준물질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시작시료의 순도 확보 또는 입증의 차원에서 표준물질의 신뢰도를 개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시작시료의 순도가 100%로 입증되었을 뿐만 아니라 균질성까지 확보된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률 분석용 표준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률 분석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유전자비변형식물을 각각 조직배양하는 단계: 및 각각의 조직배양세포주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여부 또는 혼입률 분석용 표준물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비유전자변형식물을 각각 조직배양하여 얻은 각각의 조직배양세포주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여부 또는 혼입률 분석용 표준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전자변형식물을 조직배양하여 얻은 조직배양세포주로부터 추출한 genomic DNA를 템플레이트로 하여 도입유전자의 염기서열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제작하여 분석시료의 PCR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전자변형식물의 혼입여부 분석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비유전자변형식물을 각각 조직배양하여 얻은 조직배양세포주로부터 추출한 genomic DNA를 유전자변형식물의 혼입률 분석용 표준물질로 이용하여 시료로부터 얻은 PCR 산물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률 분석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유전자비변형식물을 각각 조직배양하여 얻은 조직배양세포주를 이용한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여부 또는 혼입률 분석용 표준물질은 조직배양을 통해 유전형질이 동일한 개체를 무수히 많이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대량으로 배양용량을 증가시키면 batch 간의 불균질성을 배제한 균일한 질의 표준물질을 대량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곡물분말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표준물질과는 달리, 배양세포주의 순도가 입증됨으로써 순도가 100%인 유전자변형(GM) 또는 유전자비변형(non-GM)인 표준물질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하여 일정한 조성의 표준물질을 항상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 의 (a)는 발아 5일 후 생성되는 대두의 자엽, (b)는 발아 7일 후 생성되는 일차엽이 있는 대두 식물체를 보여준다.
도 2 는 대두의 잎조직으로부터 유래된 캘러스(좌)와 대두의 캘러스로부터 유래된 액체현탁 배양세포주의 세포 현미경 사진(우)을 보여준다.
도 3 은 35S3F와 NOS3R PCR 프라이머를 사용한 도입유전자의 PCR 결과를 보여준다. (M: 분자량 마커 DNA; G: GM 대두 DNA; N: non-GM 대두)
도 4 는 대두의 genomic DNA의 전기영동 결과를 보여준다. (M: 분자량 마커 DNA; G: GM 대두 DNA; N: non-GM 대두)
도 5 는 Lec 3F 와 Lec 1R 프라이머를 사용한 내재유전자의 PCR 결과를 보여준다. (M: 분자량 마커 DNA; G: GM 대두 DNA; N: non-GM 대두)
도 6 은 상용화된 플라스미드 DNA 기준물질을 사용하여 실시간 정량 PCR을 수행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은 상용화된 플라스미드 DNA 기준물질을 사용하여 실시간 정량 PCR을 수행한 결과로부터 얻은 표준곡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은 자체 제조한 플라스미드 DNA 기준물질을 사용하여 실시간 정량 PCR을 수행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는 자체 제조한 플라스미드 DNA 기준물질을 사용하여 실시간 정량 PCR을 수행한 결과로부터 얻은 표준곡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은 GM 현탁배양세포주의 genomic DNA 기준물질을 사용하여 실시간 정량 PCR을 수행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은 GM 현탁배양세포주의 genomic DNA 기준물질을 사용하여 실시간 정량 PCR을 수행한 결과로부터 얻은 표준곡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대두의 잎조직으로부터 유래된 캘러스(좌)와 대두의 캘러스로부터 유래된 액체현탁 배양세포주의 세포 현미경 사진(우)을 보여준다.
도 3 은 35S3F와 NOS3R PCR 프라이머를 사용한 도입유전자의 PCR 결과를 보여준다. (M: 분자량 마커 DNA; G: GM 대두 DNA; N: non-GM 대두)
도 4 는 대두의 genomic DNA의 전기영동 결과를 보여준다. (M: 분자량 마커 DNA; G: GM 대두 DNA; N: non-GM 대두)
도 5 는 Lec 3F 와 Lec 1R 프라이머를 사용한 내재유전자의 PCR 결과를 보여준다. (M: 분자량 마커 DNA; G: GM 대두 DNA; N: non-GM 대두)
도 6 은 상용화된 플라스미드 DNA 기준물질을 사용하여 실시간 정량 PCR을 수행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은 상용화된 플라스미드 DNA 기준물질을 사용하여 실시간 정량 PCR을 수행한 결과로부터 얻은 표준곡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은 자체 제조한 플라스미드 DNA 기준물질을 사용하여 실시간 정량 PCR을 수행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는 자체 제조한 플라스미드 DNA 기준물질을 사용하여 실시간 정량 PCR을 수행한 결과로부터 얻은 표준곡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은 GM 현탁배양세포주의 genomic DNA 기준물질을 사용하여 실시간 정량 PCR을 수행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은 GM 현탁배양세포주의 genomic DNA 기준물질을 사용하여 실시간 정량 PCR을 수행한 결과로부터 얻은 표준곡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률'이란 미지 시료의 전체 양 대비 유전자변형식물이 차지하는 양의 비율 또는 특정 작물의 내재유전자와 인위적으로 도입된 변형유전자의 비율을 백분율(%)로 환산하여 나타낸 값을 의미한다.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률은 유전자변형식물에 도입된 도입유전자 또는 이로부터 발현된 단백질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는데, 내재유전자 또는 이로부터 발현된 단백질에 대한 도입유전자의 양 또는 카피수, 또는 이로부터 발현된 단백질의 비율을 측정하여 유전자변형식물이 몇 % 존재하는지 상대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내재유전자란 각 작물들이 본래부터 고유하게 보유하고 있는 유전자를 의미하고, 도입유전자란 유전자변형식물에 도입된 외래유전자를 의미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혼입률을 계산하게 되므로 표준물질을 제조하는데 사용하는 시작시료의 순도가 모든 정량 결과에 영향을 미치고 bias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므로 표준물질 제조시에 사용되는 시작 시료의 순도가 매우 중요한 불확도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이전에는 종자 등의 분말을 사용하여 표준물질을 제조하였기 때문에 순도가 보장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순도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이 없었다. 이는 종자의 유전적 전수조사 이외에는 순도를 확인할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이 없고 전수조사는 현실적으로 불가능 하기에 순도를 입증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은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유전자비변형식물을 각각 조직배양하여 얻은 각각의 조직배양세포주 또는 이로부터 추출한 genomic DNA를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여부 또는 혼입률 분석용 표준물질로 이용함으로써, 초기 시료의 균질성을 입증하여 보장하는 방법으로 표준물질 제조에 사용되는 시작시료의 순도를 입증코자 하였다. 조직배양기법을 이용하면 유전형질이 동일한 개체를 무수히 많이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표준물질 제조시에 batch 간의 불균질성을 배제하고 초기 시료의 균질성과 순도를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유전자비변형식물을 각각 조직배양하는 단계; 및 각각의 조직배양세포주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률 분석용 표준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표준물질'이란 유전자변형식물의 혼입여부 또는 혼입률을 측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시료로서, 100% 유전자변형식물(100% GMO)로 조성된 시료나 100% 유전자비변형식물(100% non-GMO)로 조성된 시료 각각을 의미할 수도 있고, 유전자변형식물의 혼입률이 이미 소정 비율로 조성된 시료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르면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여부 또는 혼입률 분석용 표준물질은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유전자비변형식물의 특정 조직을 각각 조직배양하여 얻은 순수한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유전자비변형식물의 조직배양세포주 자체를 100% GMO 또는 100% non-GMO 표준물질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유전자비변형식물 각각의 조직배양세포주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동결건조와 같은 전저리 후에 보관 또는 유통이 가능하다.
상기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유전자비변형식물의 특정 조직을 각각 조직배양하여 얻은 순수한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유전자비변형식물의 조직배양세포주 자체를 순수한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들을 소정 비율로 혼합하여 이를 기지의 GMO 혼입률을 갖는 표준물질로 제조할 수도 있다. 혼입률을 알고 있는 표준물질을 제조하여 이를 실시간 PCR 증폭시켜 표준곡선을 산출하고 분석시료의 실시간 PCR 증폭결과를 표준곡선과 대비함으로써 분석시료의 유전자변형식물 혼입률을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표준물질의 경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유전자변형식물의 혼입률이 각각 0%, 0.1%, 0.5%, 1%, 2%, 3% 또는 5%가 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률 분석용 표준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분리된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비유전자변형식물의 조직배양세포주를 소정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유전자비변형식물의 특정 조직을 각각 조직배양하여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유전자비변형식물의 조직배양세포주를 얻고, 상기 분리된 유전자변형식물과 유전자비변형식물의 조직배양세포주를 소정 비율로 혼합하여 이를 기지의 GMO 혼입률을 갖는 표준물질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조직배양세포주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함으로써, genomic DNA를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여부 또는 혼입률 분석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비유전자변형식물을 각각 조직배양하여 얻은 각각의 조직배양세포주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률 분석용 표준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르면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여부 또는 혼입률 분석용 표준물질은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유전자비변형식물의 특정 조직을 각각 조직배양하여 얻은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유전자비변형식물의 조직배양세포주로부터 각각의 genomic DNA를 추출하여 100% GMO 또는 100% non-GMO 의 genomic DNA를 표준물질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유전자비변형식물의 조직배양세포주로부터 추출한 각각의 genomic DNA 자체를 순수한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들을 정량한 후 소정 비율로 혼합하여 이를 기지의 GMO 혼입률을 갖는 표준물질로 제조할 수도 있다. 혼입률을 알고 있는 표준물질을 제조하여 이를 실시간 PCR 증폭시켜 표준곡선을 산출하고 분석시료의 실시간 PCR 증폭결과를 표준곡선과 대비함으로써 분석시료의 유전자변형식물 혼입률을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표준물질의 경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유전자변형식물의 혼입률이 각각 0%, 0.1%, 0.5%, 1%, 2%, 3% 또는 5%가 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률 분석용 표준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각각의 genomic DNA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유전자비변형식물의 특정 조직을 각각 조직배양하여 얻은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유전자비변형식물의 조직배양세포주로부터 추출한 각각의 genomic DNA를 소정 비율로 혼합하여 이를 표준물질로 사용할 수 있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표준물질은 유전자변형식물과 유전자비변형식물이 일정량 혼합된 분말 시료나 이들의 내재유전자 및 도입유전자의 앰플리콘(amplicon)을 삽입하여 만든 표준플라스미드이다. 특히 표준플라스미드에는 내재유전자와 도입유전자의 PCR 앰플리콘들이 동일한 플라스미드 내에 삽입되어 있어서 상기 표준플라스미드를 대장균 내에서 증식시킴으로써 일정한 상태의 표준플라스미드를 표준물질로서 무한 공급 가능하다. 그러나 분말 표준물질을 사용하는 경우의 순도에 관한 문제점은 이미 상술한 바와 같으며, 플라스미드를 대장균에서 증식시키는 경우에는 표준물질의 제조에 관한 ISO국제 규격의 '표준물질'의 엄밀한 정의에 일치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어 문제가 된다. 이는 소위 'matrix effect'라고 하는 매질효과에 대한 직접비교가 불가능한 이질적인 두 가지 시료 (식물 DNA와 대장균 DNA)를 비교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매질효과가 분석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는 예측하기 어려운데 그렇기에 될 수 있으면 비슷한 매질의 표준물질을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플라스미드 DNA보다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로부터 유래한 genomic DNA 표준물질이 매질효과에 따른 이상 결과를 방지하는데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라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유전자비변형식물을 각각 조직배양하여 얻은 조직배양세포주 자체 또는 이들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여 표준물질을 제조하는 경우, 직접 해당 식물의 세포로부터 추출한 동일한 유전형질을 갖는 수많은 배양세포로부터 균질한 품질의 표준물질을 대량으로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일정하고 균일한 표준물질의 공급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순도가 불확실한 표준물질을 사용한 경우보다 정확한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률 분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직배양은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유전자비변형식물의 특정 조직의 일부를 적절한 영양과 식물생장조절물질이 함유된 액체배지에서 액체배양하여 배양세포주(캘러스, callus)를 생산하고, 상기 배양세포주를 계대배양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직배양은 바람직하게는 무균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양세포주로부터 DNA를 추출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Method development in relation to regulatory requirements for the detection of GMOs in the food chain (Anklam et al. 2002, Journal of AOAC International. 85(3), 753) 또는 Validation studies and proficiency testing (Anklam et al. 2002, Journal of AOAC International. 85(3), 809-815)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전자변형식물을 조직배양하여 얻은 조직배양세포주로부터 추출한 genomic DNA를 템플레이트로 하여 도입유전자의 염기서열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제작하여 분석시료의 PCR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전자변형식물의 혼입여부 분석방법을 제공한다. 분석시료로부터 도입유전자에 해당하는 PCR 산물의 증폭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도입유전자를 포함하는 유전자변형식물이 혼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정성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분석시료의 PCR 산물을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비유전자변형식물을 템플레이트로 하여 수행한 PCR 산물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유전자변형식물의 혼입여부를 정성적으로 분석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유전자비변형식물을 각각 조직배양하여 얻은 조직배양세포주로부터 추출한 genomic DNA를 유전자변형식물의 혼입률 분석용 표준물질로 이용하여 분석시료로부터 얻은 PCR 산물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률 분석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표준물질과 분석시료로부터 얻은 PCR 산물을 비교하는 것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이하, Real-Time PCR)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Real-Time PCR을 이용할 경우, 내재유전자 및 도입유전자의 DN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양 방향 프라이머와 검출용 프로브를 이용하여 PCR 증폭과정에서 발색되는 형광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내재 및 도입유전자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해당 계통의 식물이 반드시 가지고 있는 내재유전자에 대한 외래 도입유전자의 상대적인 비율을 통하여 유전자변형식물이 몇 % 함유되어 있는지를 분석해내는 방법이다.
이때 상기 검출용 프로브는 Real-Time PCR 수행시 정량분석을 위해 형광물질이 염기서열에 도입되어 있는 프로브를 의미한다. 검출용 프로브의 종류는 내재유전자 및 도입유전자의 종류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준물질을 검출용 프로브와 도입유전자 검출용 프라이머 및 내재유전자 검출용 프라이머로 Real-Time PCR하여 형광을 측정함으로써 유전자 카피수에 대한 PCR 사이클수를 나타내는 표준곡선을 산출하고 이를 분석시료로부터 얻은 Real-Time PCR 산물과 비교함으로써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률을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표준곡선은 유전자변형식물을 조직배양하여 얻은 조직배양세포주로부터 추출한 genomic DNA를 소정의 비율로 희석하여 서로 다른 유전자 카피수를 갖는 복수개의 표준시료에 대해 Real-Time PCR을 수행하고 이로부터 얻은 유전자 카피수에 대한 PCR 사이클수를 적용하여 산출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표준곡선은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유전자비변형식물의 조직배양세포주로부터 추출한 각각의 genomic DNA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서로 다른 유전자 카피수를 갖는 복수개의 표준시료에 대해 Real-Time PCR을 수행하고 이로부터 얻은 유전자 카피수에 대한 PCR 사이클수를 적용하여 산출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률을 알고 있는 여러 개의 표준물질을 한가지 표준물질의 DNA를 적절히 희석하여 카피수를 일정한 간격으로 만들거나 유전자변형식물과 유전자비변형식물의 DNA를 소정비율로 혼합하여 일정한 혼입률을 갖도록 제조한 수개의 시료에 대해 Real-Time PCR을 수행하면, PCR 사이클 수에 따른 형광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형광 시그널이 증가하기 시작하는 지점의 사이클 수를 Ct(threshold cycle)라고 하는데, 이 값은 시료의 초기농도(유전자 카피수)와 가장 재현성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시점으로서 Real-Time PCR을 이용한 정량적인 분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수치이다. Real-Time PCR에서 표준곡선은 Ct 값에서의 표준물질의 유전자 카피수를 로그(log)값으로 환산한 값을 X축, 상기 유전자 카피수에 대한 PCR 사이클수를 Y축으로 하여 작성한다. 분석시료의 형광량을 이 표준곡선에 적용하면 분석시료의 유전자 카피수를 알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률의 분석은, 100% 유전자변형식물의 DNA를 검출용 프로브, 도입유전자 검출용 프라이머 및 내재유전자 검출용 프라이머로 PCR하여 측정한 형광량을 상기 표준곡선에 대입하여 유전자 카피수를 측정함으로써 하기 식에 의하여 산출한 보정계수를 이용하여 더욱 정확하게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률을 측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100% 유전자변형식물 내에는 원래부터 내재유전자와 도입유전자의 카피수가 동일하게 존재하는 것이 아니므로, 내재유전자와 도입유전자의 비율을 이용하여 상대적인 정량을 하고자 할 때는 100% 유전자변형식물에서의 내재유전자와 도입유전자의 카피수의 비율과 DNA 추출과정에서 PCR 증폭효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 등을 보정하기 위하여 보정계수(conversion factor, Cf)를 사용한다. 보정계수란 하나의 유전자변형식물에 있어서의 도입 유전자와 내재유전자 사이의 DNA 카피수의 비율을 의미한다.
그러나 하나의 유전자변형식물 계통 내에도 다수의 품종이 있고, 유전자비변형식물에도 다수의 품종이 있기 때문에, 보정계수도 어떤 품종을 이용했느냐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률은 분석시료를 검출용 프로브, 도입유전자 검출용 프라이머 및 내재유전자 검출용 프라이머로 PCR하여 측정한 형광량을 표준곡선에 대입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으며, 더욱더 구체적으로는 하기 혼입률 계산식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Real-Time PCR을 통한 형광량의 정량적인 측정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SYBR Green I 법, Taqman probe법, Molecular beacon probe법 또는 Hybridization probe법을 사용할 수 있다.
SYBR Green I 법은 PCR 반응에 의해 생성된 PCR 산물인 DNA 의 이중나선의 minor groove에 결합하여 형광을 방출하는 시약인 SYBR Green I을 사용하여, 이로 인해 발생하는 형광량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검출되는 형광량은 증폭된 DNA의 양에 비례하므로 정량측정 수단이 될 수 있다.
Taqman probe법은 프로브의 5' 말단에 리포터형광을 붙이고 3' 말단에는 퀀처(quencher)를 붙여, PCR이 진행될 때 5' 말단의 리포터형광이 떨어지면서 내는 고유의 형광을 정량하는 방식이다. 이 프로브 서열은 타겟의 고유한 염기서열로서 특정 산물에만 붙으며, PCR 반응이 없으면 3' 말단의 퀀처에 의해 형광이 억제된다. PCR 반응에 비례하여 형광의 양도 누적 증가하므로 정량측정 수단이 될 수 있다.
Molecular beacon probe법은 특이한 헤어핀(hair-pin)의 스템과 루프(stem-and-loop) 구조로, 가운데 루프 부분은 타겟에 상보적인 염기서열로 구성되고 양 말단은 각각 4 내지 7 염기쌍의 상보적인 염기서열로서 스템 구조를 형성한다. 5' 말단에는 리포터형광이 붙어있고 3' 말단에는 퀀처로 DABSYL이 붙어 있어, 이들 헤어핀 구조가 타겟에 붙어있지 않은 경우에는 구조적으로 리포터가 형광을 내지 못하는 반면, 타겟에 결합하게 되면 PCR의 진행에 따라 증가하는 특정산물에 루프 부위가 붙게 되고, 헤어핀 구조가 풀어지면서 퀀처의 영향권에서 벗어난 리포터가 발산하는 형광을 측정하여 정량하는 방법이다.
Hybridization probe법은 타겟 서열 내의 서로 인접한 2개의 프로브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 한 프로브의 3' 말단에는 공여체형광이 붙어 있고 다른 프로브의 5' 말단에는 수용체형광이 붙어 있어 이들 프로브가 서로 인접해야만 형광공면에너지전이(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FRET)가 일어나서 공여체의 방사광(emission light)이 수용체의 여기광(excitation light)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근접한 공여체형광에서 전달된 에너지에 의해 수용체 형광이 형광을 발하게 되며, 그 형광의 양은 PCR 산물에 붙은 프로브의 양에 비례 증대하여 간접적 정량측정 수단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조직배양세포주의 제조
GM 대두(Glycine max)가 혼합된 미국산 대두를 무작위로 선별하여 발아시켜서 재배한 후 개체별, 조직별로 유전자 분석을 통한 GM 대두 여부를 결정하였다.
암소에서 대두를 발아시키고 토양에 심은 후, 배양실(명/암: 16/8시간; 22/18 ℃, 습도 80 %)에서 1 주 정도 성장시키면 일차엽(primary leaf)이 형성되며 이 식물체의 잎(leaf)을 수확하여 질량을 측정하고 액체질소로 급냉 시킨 후 genomic DNA를 추출하여 GM 여부를 유전자 증폭을 통해 결정하였다.
GM 여부는 GM 대두의 변형 유전자인 glyphosate 계열의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EPSPS: 5-enolpyruvyl shikimate-3-phosphate synthase)를 포함하는 DNA 절편을 PCR 증폭하여 결정하였다. GM DNA와 같은 크기의 밴드가 증폭된 시료는 GM 대두, 같은 크기의 밴드가 증폭되지 않은 시료는 non-GM 대두 시료임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방법을 통해 GM 대두 또는 non-GM 대두 현탁배양세포주를 확보하고 분리된 세포주로 배양, 유지하였다. 각 세포주는 하나의 잎으로부터 유래한 후 개별적인 용기 내에서 배양하고 유지하였으므로 다른 세포가 혼입되거나 오염될 가능성이 전무하다. 이를 통해 100 % GM 세포로만 구성된GM 대두 현탁배양세포주와 100 % non-GM 세포로만 구성된 non-GM 대두 현탁배양세포주를 확보하였다.
상기 100% GM 대두와 100% non-GM 대두로부터 유래한 잎을 각각 bleach와 70% 에탄올로 표면살균하여 다음의 LS (Linsmaier & Skoog) 배지(BAP를 제외)에서 캘러스를 유도하였고 유도된 캘러스는 다음의 LS 고체배지에서 배양하거나 phytagel을 제외한 액체배지에서 현탁배양을 하였다.
LS 배지조성은 다음과 같다: LS 염 4.4 g/L, 수크로스 3 % (30 g/L), BAP (6-benzylaminopurine) 3 mg/mL, 2,4-D (2,4 dichlorophenoxy-Acetic Acid) 0.1 mg/ mL, Phytagel 0.3 % (3 g/L).
고체배지의 캘러스는 3-4주에 한번 새로운 배지로 옮겨주고, 현탁배양세포주는 10일에 한번씩 새로운 배지로 옮겨주었다. 이들의 배양조건은 25℃, 암조건이며 현탁배양 세포주는 200 rpm으로 진탕배양 하였다.
도 1 의 (a)는 발아 5일 후 생성되는 대두의 자엽, (b)는 발아 7일 후 생성되는 일차엽이 있는 대두 식물체를 보여준다.
도 2 는 대두의 잎조직으로부터 유래된 캘러스(좌)와 대두의 캘러스로부터 유래된 액체현탁 배양세포주의 세포 현미경 사진(우)을 보여준다.
도 3 은 GM DNA라고 표시한 화살표를 따라서 같은 크기의 밴드가 증폭된 시료는 도입 유전자를 갖는 GM 대두이고, 같은 크기의 밴드가 증폭되지 않은 시료는 도입 유전자가 없는 non-GM 대두임을 보여준다.
<
실시예
2>
조직배양세포주로부터
genomic
DNA
추출
Genomic DNA의 추출은 여러 상용화된 식물 DNA 추출 키트를 제조사 (Qiagen, Promega 등)가 제안하는 방법을 그대로 또는 약간 변형시켜 사용하거나 식약청에서 고시한 '식품의 기준 및 규격' 중 '제 10. 일반시험법 중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시험법'에 기술된 CTAB 방법을 용량을 줄인 방법으로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추출한 genomic DNA는 도 4 와 같은 형태를 보였다. 상기 DNA는 자외선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순도를 확인한 후 사용하였다 (식약청 고시 참조).
<
실험예
1> 유전자변형식물의
혼입여부
정성분석
정성분석은 GM 대두의 변형 유전자인 glyphosate 계열의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EPSPS: 5-enolpyruvyl shikimate-3-phosphate synthase)를 포함하는 DNA 절편을 PCR 증폭함으로써 수행하였다.
유전자증폭을 통한 시료의 GM 여부의 판별은 식약청에서 고시된 방법을 따르거나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다음 조건으로 수행하는 경우에는 증폭산물은 약 2 kb 정도의 크기를 보이며 그 외에 양성대조구로는 내재유전자인 lectin을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도입유전자를 확인코자 하는 경우에는PCR 튜브에 정방향 프라이머 35S 3F (AAGATGCCTCTGCCGACA, 10 μM) 2 μL, 역방향 프라이머 NOS 3R (ATGTATAATTGCGGGACTCTAATCA, 10 μM) 2 μL, dNTP (10 mM) 2 μL, 10x buffer 2 μL, MgCl2 (25 mM) 2 μL, Taq polymerase (5U/μL) 0.2 μL를 넣고 템플레이트 DNA로 genomic DNA는 약 50 ng이 되도록 첨가하고 나머지는 증류수로 채워서 총 20 μL를 사용하였다. PCR 반응은 denaturation step, 94 ℃, 3 min; 35 사이클의 amplification step, (94 ℃, 20 sec; 60 ℃, 30 sec; 72 ℃, 2 min); final elongation step, 72 ℃, 10 min의 조건으로 gradient cycler PTC-0225(MJ Research, Waltham, MA)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내재유전자를 확인하는 경우에는 대두에 특이적인 lectin 유전자를 사용하였는데 모든 조건은 동일하되 프라이머만 다음과 같이 사용하였다. 정방향 프라이머로는 Lec 3F (GACTAGAGTGCTACAAATGCTTATC)를, 역방향 프라이머로는 Lec 1R (GGCATAGAAGGTGAAGTTGAAGGA)를 사용하였다.
도 3 은 도입유전자의 PCR 수행 결과를 보여준다. GM DNA와 같은 크기의 밴드가 증폭된 시료는 변형 유전자를 갖는 GM 대두이고, GM DNA 와 같은 크기의 밴드가 증폭되지 않은 시료는 변형 유전자가 없는 non-GM 대두이다.
도5는 내재유전자의 PCR 수행 결과를 보여준다. 내재유전자의 경우 GMO, non-GMO 여부와 무관하게 항상 양성의 PCR 결과가 나오게 된다.
<
실험예
2>
조직배양세포주로부터
추출한
genomic
DNA
의 순도 검증
본 발명에 따른 GM 대두의 조직배양세포주로부터 추출한 genomic DNA의 순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유전자변형식물의 혼입률을 정량분석하기 위한 실시간 정량 PCR(real-time PCR)을 수행하였다. 분석시료의 GM 혼입률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앞서 기술한 대로 내재유전자에 대한 도입유전자의 상대적인 비율을 구해야 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유전자의 증폭 정도를 관찰하는 real-time PCR을 사용하였다. 본 실험예에서는 ABI 7900HT를 사용하여 모든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의 기본적인 디자인 및 프라이머, 프로브 등의 실험 구성요소는 식약청의 규격에 나온 내용을 취하여 사용하였다.
먼저 이미 카피수를 아는 상용화된 플라스미드 DNA(Nippon Gene, Japan) 를 표준곡선을 그리기 위한 기준물질을 사용하고,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100% GM 대두의 조직배양세포주로부터 추출한 genomic DNA를 분석시료로 사용하여, 실시간 정량 PCR을 수행하였다.
도 6 은 이미 카피수를 아는 상용화된 플라스미드 DNA를 기준물질로 삼아 농도별로 내재유전자를 증폭을 한 결과를 보여준다. 250000부터 20 카피 사이로 DNA 기준물질을 첨가하여 농도간 간격이 일정하면서 반복성이 있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GM 유전자의 결과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이에 대해 100 % GM 대두의 조직배양세포주로부터 추출한 genomic DNA를 분석시료로 사용하여 표준곡선으로부터 유래된 GM 상대정량치가 100 %에 근접하게 결과를 얻게 되는지를 확인하였다.
도 7 은 도 6 의 DNA 농도로부터 유래된 표준곡선과 그에 의해서 계산된 내재유전자의 양 (적색 x로 표시)을 나타내는 실험 결과로서 3회 반복 실험을 한 결과를 보여준다. 회귀선의 연관성은 0.99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GM 혼입률은 약 108 % ± 2.6 % (상대표준편차)인 것으로 나타나서 상당히 정확한 결과임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상용화된 플라스미드 기준물질 대신에 본 발명자들이 자체적으로 제조하여 이미 카피수를 아는 플라스미드 DNA 를 보정곡선을 그리기 위한 기준물질을 사용하고,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100% GM 대두의 조직배양세포주로부터 추출한 genomic DNA를 분석시료로 사용하여, 앞서와 마찬가지로 실시간 정량 PCR을 수행하였다.
도 8 은 본 발명자들이 자체적으로 제조하여 카피수를 이미 아는 플라스미드 DNA를 기준물질로 사용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한 결과를 보여준다. 1000000부터 1000 카피 사이로 DNA 기준물질을 첨가하여 농도간 간격이 일정하면서 반복성이 있는 결과를 얻었다. 내재유전자의 결과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이에 대해 100 % GM 대두의 조직배양세포주로부터 추출한 genomic DNA를 분석시료로 사용하여 표준곡선으로부터 유래된 GM상대정량치가 100 %에 근접하게 결과를 얻게 되는지를 확인하였다.
도 9 는 도 8의 DNA 농도로부터 유래된 표준곡선과 그에 의해서 계산된 GM 유전자의 양 (적색 x로 표시)을 나타내는 실험 결과로서 3회 반복 실험을 한 결과를 보여준다. 회귀선의 연관성은 0.99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GM 혼입률은 약 105 % ± 5.5 % (상대표준편차)인 것으로 나타나서 상당히 정확한 결과임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3>
조직배양세포주로부터
추출한
genomic
DNA
를 표준물질로 사용한
분석시료내
유전자변형식물의 혼입률 정량분석
본 발명에 따른 조직배양세포주로부터 추출한 genomic DNA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유전자변형식물의 혼입률을 정량분석하기 위한 실시간 정량 PCR(real-time PCR)을 수행하였다. 실험방법은 실험예 2와 동일하며, 다만 실험예 2를 통하여 100 % GM 비율에 근접한 것으로 검증된 조직배양세포주로부터 추출한 genomic DNA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였고, 이미 GM 혼입률을 아는 시료(5 % GM 대두ERM, IRMM-410S-5)를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100% GM 대두의 조직배양세포주로부터 추출한 genomic DNA를 표준물질로 삼아 농도별로 내재유전자를 증폭을 한 결과를 보여준다. DNA 농도 10 ng/μL부터 0.08 ng/μL 사이로 DNA를 첨가하여 반복성이 있는 결과를 얻었다.
도 11 은 도 10의 genomic DNA 농도로부터 유래된 표준곡선과 그에 의해서 계산된 GM 유전자의 양 (적색 x로 표시)을 나타내는 실험 결과로서 3회 반복 실험을 한 결과 회귀선의 연관성은 약 0.99로 나타났다. 해당 ERM의 인증값인 4.76 % ± 0.47 % (상대표준편차)와 약간의 차이가 나기는 하나 GM 혼입률(%)이 비교적 근접한 값인 약 4 %로 나타났다. 여러 농도를 사용하는 실험을 진행하면 인증값에 더욱 근접한 혼입률을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
실험예
4> 보정계수 산출
GM 유전자변형식물은 각기 다양한 카피수의 도입유전자를 갖고 있기 때문에 내재유전자와의 관계에 있어 각 GM 유전자변형식물별로 보정이 필요하다. 유전자변형식물의 혼입률을 결정하기 위한 보정계수는 실시간 정량 PCR(real-time PCR)을 실시하여 산출하였다. 이미 카피수를 아는 상용화된 플라스미드 DNA (NipponGene, Japan)와 자체적으로 제조하여 카피수를 이미 아는 플라스미드 DNA를 표준곡선을 그리기 위한 기준물질로 사용하고 실시예 1 및 실시에 2에 따라 100 % GM 대두의 현탁배양세포주에서 추출한 genomic DNA를 분석시료로 사용하였으며 도입유전자 검출용 프라이머 및 내재유전자 검출용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실시간 정량 PCR을 실시하였다. 보정계수 산출에 사용된 내재유전자는 대두에 특이적인 lectin 유전자이며, 내재유전자 검출용 정방향 프라이머로는 Le1n02-5' (GCCCTCTACTCCACCCCCA)을, 역방향 프라이머로는 Le1n02-3' (GCCCATCTGCAAGCCTTTTT)을 사용하였다. 검출용 프로브로는 Le1-Taq (FAM-AGCTTCGCCGCTTCCTTCAACTTCAC-TAMRA)을 사용하였다. 도입유전자는 RRS 유전자이며, 도입유전자 검출용 정방향 프라이머로는 RRS01-5' (CCTTTAGGATTTCAGCATCAGTGG)을, 역방향 프라이머로는 RRS01-3' (GACTTGTCGCCGGGAATG)을, 검출용 프로브로는 RRS-Taq (FAM-CGCAACCGCCCGCAAATCC-TAMRA)을 사용하였다.
보정계수는 기준물질의 표준곡선으로부터 분석시료의 도입유전자와 내재유전자의 카피수를 구한 후 다음 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표 1은 이미 카피수를 아는 상용화된 플라스미드 DNA (Nippon Gene, Japan)를 기준물질로 사용하여 산출한 보정계수 결과를 보여주며 보정계수는 1.08로 나왔다.
평균값 | 표준편차 | 상대표준편차 | |
GM 대두 | 1.08 | 0.03 | 2.63 |
표 2는 자체적으로 제조한 이미 카피수를 아는 플라스미드 DNA 를 기준물질로 사용하여 산출한 보정계수 결과를 보여주며 보정계수는 1.05로 나왔다.
평균값 | 표준편차 | 상대표준편차 | |
GM 대두 | 1.05 | 0.06 | 5.52 |
<
실험예
5> 보정계수 적용에 따른 분석시료의
GM
혼입률 결정
유전자변형식물의 혼입률을 정량분석하기 위해 이미 카피수를 아는 상용화된 플라스미드 DNA(NipponGene, Japan)와 자체적으로 제조하여 카피수를 이미 아는 플라스미드 DNA를 표준곡선을 그리기 위한 기준물질로 사용하고, 100 % GM 대두의 현탁배양세포주에서 추출한 genomic DNA를 분석시료로 실시간 정량 PCR(real-time PCR)을 수행하였다. 상기 두 개의 기준물질의 표준곡선으로부터 분석시료의 도입유전자와 내재유전자의 카피수를 구한 후 실험예 4에서 산출한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GM 혼입률을 결정하고, 100 %에 근접하게 결과를 얻게 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GM 혼입률을 결정하는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표 3은 이미 카피수를 아는 상용화된 플라스미드 DNA(NipponGene, Japan)를 기준물질로 사용하여 실험예 4에서 산출한 보정계수 1.08을 적용하여 GM 혼입률을 결정한 결과이다. GM 혼입률은 약 100.03 %로, GM 상대정량치가 100 %에 상당히 근접하게 나온 결과임을 확인하였다.
표 4는 자체적으로 제조한 이미 카피수를 아는 플라스미드 DNA를 기준물질로 사용하여 실험예 4에서 산출한 보정계수 1.05를 적용하여 GM 혼입률을 결정한 결과이다. GM 혼입률은 약 99.8 %로, GM 상대정량치가 100 %에 상당히 근접하게 나온 결과임을 확인하였다.
Claims (13)
-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유전자비변형식물을 각각 조직배양하는 단계; 및
각각의 조직배양세포주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여부 또는 혼입률 분석용 표준물질을 제조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유전자비변형식물의 조직배양세포주를 소정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여부 또는 혼입률 분석용 표준물질을 제조하는 방법. -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유전자비변형식물을 각각 조직배양하여 얻은 각각의 조직배양세포주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여부 또는 혼입률 분석용 표준물질을 제조하는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genomic DNA를 소정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여부 또는 혼입률 분석용 표준물질을 제조하는 방법. - 유전자변형식물을 조직배양하여 얻은 조직배양세포주로부터 추출한 genomic DNA를 템플레이트로 하여 도입유전자의 염기서열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제작하여 분석시료의 PCR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전자변형식물의 혼입여부 분석방법. -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유전자비변형식물을 각각 조직배양하여 얻은 조직배양세포주로부터 추출한 genomic DNA를 유전자변형식물의 혼입률 분석용 표준물질로 이용하여 분석시료로부터 얻은 PCR 산물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률 분석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물질과 분석시료로부터 얻은 PCR 산물을 비교하는 것은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Real-Time PCR)을 이용하는 것인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률 분석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물질과 시료로부터 얻은 Real-Time PCR 산물의 비교는 표준물질을 검출용 프로브, 도입유전자 검출용 프라이머 및 내재유전자 검출용 프라이머로 Real-Time PCR하여 형광을 측정함으로써 산출된 유전자 카피수에 대한 PCR 사이클수를 나타내는 표준곡선을 이용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인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률 분석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곡선은 유전자변형식물을 조직배양하여 얻은 조직배양세포주로부터 추출한 genomic DNA를 소정의 비율로 희석하여 서로 다른 유전자 카피수를 갖는 복수개의 표준시료에 대해 PCR을 수행하고 이로부터 얻은 유전자 카피수에 대한 PCR 사이클수를 적용하여 산출되는 것인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률 분석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곡선은 유전자변형식물 또는 유전자비변형식물의 조직배양세포주로부터 추출한 각각의 genomic DNA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서로 다른 유전자 카피수를 갖는 복수개의 표준시료에 대해 PCR을 수행하고 이로부터 얻은 유전자 카피수에 대한 PCR 사이클수를 적용하여 산출되는 것인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률 분석방법. - 제8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률은 분석시료를 검출용 프로브, 도입유전자 검출용 프라이머 및 내재유전자 검출용 프라이머로 PCR하여 측정한 형광량을 표준곡선에 대입하여 산출한 유전자 카피수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것인
유전자변형식물의 시료내 혼입률 분석방법.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2541033A JP5784034B2 (ja) | 2009-12-17 | 2010-12-16 | 植物培養細胞株を利用した標準物質の製造方法 |
US13/513,096 US9512492B2 (en) | 2009-12-17 | 2010-12-16 | Method of manufacturing reference material using plant cultured cell lines |
PCT/KR2010/009027 WO2011074897A2 (ko) | 2009-12-17 | 2010-12-16 | 식물배양세포주를 이용한 표준물질의 제조방법 |
EP10837893.6A EP2514816B1 (en) | 2009-12-17 | 2010-12-16 | Method of manufacturing reference material using plant cultured cell lines |
US15/336,499 US20170044629A1 (en) | 2009-12-17 | 2016-10-27 | Method of Manufacturing Reference Material Using Plant Cultured Cell Lin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126139 | 2009-12-17 | ||
KR1020090126139 | 2009-12-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69726A true KR20110069726A (ko) | 2011-06-23 |
KR101288738B1 KR101288738B1 (ko) | 2013-07-23 |
Family
ID=44401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8970A KR101288738B1 (ko) | 2009-12-17 | 2010-12-16 | 식물배양세포주를 이용한 표준물질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2) | US9512492B2 (ko) |
EP (1) | EP2514816B1 (ko) |
JP (1) | JP5784034B2 (ko) |
KR (1) | KR101288738B1 (ko) |
WO (1) | WO2011074897A2 (ko)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50318A (en) * | 1990-04-17 | 1996-08-27 | Dekalb Genetics Corporation |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production of stably transformed, fertile monocot plants and cells thereof |
US5658772A (en) * | 1989-12-22 | 1997-08-19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Site-specific recombination of DNA in plant cells |
DE19906169A1 (de) * | 1999-02-08 | 2000-08-10 | Bioinside Ges Fuer Biodiagnost | Testkit und Verfahren zum quantitativen Nachweis von gentechnisch veränderter DNS in Lebensmitteln mittels fluoreszenzgekoppelter PCR |
KR100439168B1 (ko) * | 2001-07-02 | 2004-07-05 | (주)넥스젠 | 유전자 변형 식물체의 정량적 검출용 dna 증폭 키트 및이를 이용한 유전자 변형 식물체의 정량적 검출방법 |
KR100482649B1 (ko) | 2002-04-25 | 2005-04-13 | 한국화학연구원 | 기재에 광촉매를 직접 고정시키는 방법 |
KR20030084184A (ko) * | 2002-04-25 | 2003-11-01 | 주식회사 지디바이오텍 | 유전자 조작 농산물과 이의 가공품의 정성 검정용프라이머와 정량 검정용 프라이머, 프로브 및 검정키트 |
US20040172682A1 (en) * | 2003-02-12 | 2004-09-02 | Kinney Anthony J. | Production of very long 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oilseed plants |
KR100687765B1 (ko) * | 2005-01-27 | 2007-03-02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SYBR Green I를 이용하는 실시간-PCR을 통한유전자변형 콩의 혼입률 정량분석 방법 |
KR100707830B1 (ko) * | 2005-12-14 | 2007-04-13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유전자변형 벼에서 도입유전자를 검출하는 방법 |
EP2118312B1 (en) * | 2007-01-29 | 2015-01-07 | Scientific Institute of Public Health (IPH) | Transgenic plant event detection |
-
2010
- 2010-12-16 EP EP10837893.6A patent/EP2514816B1/en active Active
- 2010-12-16 KR KR1020100128970A patent/KR10128873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12-16 US US13/513,096 patent/US9512492B2/en active Active
- 2010-12-16 WO PCT/KR2010/009027 patent/WO2011074897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12-16 JP JP2012541033A patent/JP5784034B2/ja active Active
-
2016
- 2016-10-27 US US15/336,499 patent/US20170044629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514816A2 (en) | 2012-10-24 |
US20120282620A1 (en) | 2012-11-08 |
EP2514816A4 (en) | 2013-06-05 |
WO2011074897A3 (ko) | 2011-11-10 |
WO2011074897A2 (ko) | 2011-06-23 |
KR101288738B1 (ko) | 2013-07-23 |
JP2013511980A (ja) | 2013-04-11 |
EP2514816A9 (en) | 2013-04-17 |
EP2514816B1 (en) | 2019-06-26 |
US20170044629A1 (en) | 2017-02-16 |
US9512492B2 (en) | 2016-12-06 |
JP5784034B2 (ja) | 2015-09-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62267B2 (en) | Standard plasmid for assaying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and analysis method and assay kit using same | |
KR102634293B1 (ko) | 오미자 '청순' 품종을 구별하기 위한 미토콘드리아 게놈 서열 기반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 |
TWI317382B (en) | Method and kits for detecting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 | |
KR101642702B1 (ko) | 초위성체 마커를 이용한 배 품종식별 방법 | |
KR101877532B1 (ko) | 하례조생 품종 특이적 snp 마커 검출용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 |
JP2023060024A (ja) | ブラシカ・オレラセア植物の異型検出法 | |
KR101605530B1 (ko) | 초위성체 마커를 이용한 딸기 품종식별 방법 | |
KR101288738B1 (ko) | 식물배양세포주를 이용한 표준물질의 제조방법 | |
KR102332689B1 (ko) | 인삼 '금진' 및 '선향' 품종을 구별하기 위한 미토콘드리아 게놈 서열 기반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 |
KR102332688B1 (ko) | 인삼 '선향' 품종을 구별하기 위한 핵 게놈 서열 기반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 |
KR101820077B1 (ko) | 유전자 변형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벼 검정용 프라이머,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검정 방법 | |
KR101014238B1 (ko) | 수박 f1 종자 순도 검정 방법 | |
CN110894538B (zh) | 一种转基因油菜品系MON88302检测试剂、试剂盒及ddPCR定量检测方法 | |
KR101820048B1 (ko) | 유전자 변형체의 검정을 위한 표준 플라스미드, 이를 이용한 분석 방법 및 검정용 키트 | |
CN106967830B (zh) | Zfp基因作为内参基因在定量检测螟黄赤眼蜂基因表达量中的应用 | |
KR20220092112A (ko) | 콩 역병균에 대한 저항성 또는 감수성을 가지는 콩 품종 판별용 마커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
KR101612044B1 (ko) | 유전자 변형체의 검정을 위한 표준 플라스미드, 이를 이용한 분석 방법 및 검정용 키트 | |
Ahmad et al. | RAPD and protein analyses revealed polymorphism in mutated potato cultivars | |
CN108950056A (zh) | 与小麦种子休眠/穗发芽抗性相关的caps标记及其检测方法 | |
KR102291826B1 (ko) | 잔디품종 및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 변형 판별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
KR20110138691A (ko) | 유전자재조합 콩 검출방법 및 검출세트 | |
KR20030084184A (ko) | 유전자 조작 농산물과 이의 가공품의 정성 검정용프라이머와 정량 검정용 프라이머, 프로브 및 검정키트 | |
KR101680643B1 (ko) | 유전자 변형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벼 검정용 프라이머,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검정 방법 | |
Kulukovska et al. | Real time PCR method for PPV diagnostic on plums and apricot in the Republic of North Macedonia | |
US20190000031A1 (en) | Improved variety of sorghu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