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9063A - 분수장치 - Google Patents

분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9063A
KR20110069063A KR1020117008261A KR20117008261A KR20110069063A KR 20110069063 A KR20110069063 A KR 20110069063A KR 1020117008261 A KR1020117008261 A KR 1020117008261A KR 20117008261 A KR20117008261 A KR 20117008261A KR 20110069063 A KR20110069063 A KR 20110069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ressure
compressed air
fountain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8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6996B1 (ko
Inventor
스구루 우에다
마사키 우스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케이디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케이디에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케이디에프
Publication of KR20110069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35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veral spray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Landscapes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분수장치에 있어서, 물을 분출하는 노즐(51)과, 물을 저류(貯留)하는 밀폐된 저수(貯水)용기(41)와, 상기 저수용기(41) 속의 상부공간에 압축공기를 송급(送給)하는 압축공기 공급수단(2, 46, 47)과, 상기 저수용기(41)와 상기 노즐(51) 사이를 접속하는 송수관(8)과, 상기 송수관(8)의 도중에 설치된 개폐밸브(52)와, 상기 저수용기(41) 속의 상부공간의 공기압을 소정압으로 유지하도록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2, 46, 47)에 의한 압축공기의 송급을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밸브(52)의 개폐에 의하여 상기 노즐(51)로부터의 물의 분출 및 그 정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9)을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분수의 분출 개시·정지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탱크 속의 상부공간의 공기압력의 값을 변경함으로써, 분수의 높이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분수장치{Water-spouting device}
본 발명은 감상용 분수(噴水)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물을 분출시키는 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원 등에 설치되는 분수장치에서는, 노즐로부터 물을 분출시키는 방법으로서, 크게 나눠서, 송수펌프의 구동에 의한 물의 압송(壓送)을 이용한 것과, 컴프레서(compressor) 등에 의한 압축공기를 이용한 것이 종래 알려져 있다. 전자의 방법은, 구성은 비교적 간단하지만, 송수펌프가 구동되고 나서 실제로 소정압의 물이 송급(送給)될 때까지는 시간지연이 있기 때문에, 물의 분출의 개시나 정지가 늦는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하여, 후자의 방법은, 구성은 복잡해지는 경향이 있지만, 물의 분출의 개시나 정지의 신속성이라는 점에서는 유리하다.
후자의 방법을 이용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분수장치는, 물을 분출하는 노즐에 접속되고, 물이 충전되는 워터차지탱크(water charge tank)와, 개폐밸브를 통하여 워터차지탱크에 접속되고, 고압공기가 충전되는 에어차지탱크(air charge tank)와, 에어차지탱크에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서를 구비하고, 개폐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에어차지탱크 속의 고압공기를 워터차지탱크 속에 공급하며, 그 압력에 의하여 워터차지탱크 속에 충전된 물을 노즐로부터 토출(吐出)시키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분수장치에서도, 개폐밸브를 열어서 고압공기가 워터차지탱크에 공급되고나서 노즐로부터 물이 분출하기까지의 시간지연이 있기 때문에, 물의 분출 개시를 고속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분수의 높이나 크기를 워터차지탱크에 공급하는 물의 급수량으로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분수의 높이나 크기를 신속하게 변화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복수의 노즐로부터의 물의 분출 높이를 일제히 변화시키는 경우에, 그 높이의 편차가 생기기 쉽다.
물의 분출의 각도나 회전 등의 분수의 움직임만을 즐기는 분수장치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시간지연은 그다지 문제로는 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최근, 분수의 엔터테인먼트성을 높이기 위하여,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음악과의 동조나 조명과의 동조를 도모한 분수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음악이나 조명이라는 다른 요소와 분수의 동조성을 높이기 위하여서는, 물의 분출 개시·정지의 고속화, 혹은, 분수의 높이, 크기 등의 변화의 고속화는 극히 중요하고, 종래의 분수장치에 있어서의 큰 과제 중의 하나이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1-20515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2004-148233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주된 목적으로 하는 바는, 물의 분출 개시·정지, 혹은 분수의 높이나 크기 등의 변화의 고속화를 도모함으로써, 감상성이나 엔터테인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관한 분수장치는,
a) 물을 분출하는 노즐과,
b) 소정의 수위(水位)범위의 물을 저류(貯留)하는 밀폐된 저수(貯水)용기와,
c) 상기 저수용기 속의 상부공간에 압축공기를 송급하는 압축공기 공급수단과,
d) 상기 저수용기와 상기 노즐 사이를 접속하는 송수관과,
e) 상기 송수관의 도중에 설치된 개폐밸브와,
f) 상기 저수용기 속의 상부공간의 공기압을 소정압으로 유지하도록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에 의한 압축공기의 송급을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밸브의 개폐에 의하여 상기 노즐로부터의 물의 분출 및 그 정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압축공기 공급수단은 예컨대 에어컴프레서(air compressor)와 전자(電磁)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저수용기에는 그 내부의 상부공간의 공기압을 검출하는 압력센서가 부설(付設)되고, 제어수단은, 그 압력센서에 의한 검출압이 목표치가 되도록 에어컴프레서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저수용기에 도입하는 전자개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분수장치의 1 실시형태는, 바람직하게는,
g) 상기 저수용기 속에 물을 공급하는 송수(送水)수단과,
h) 상기 저수용기 속의 수위를 감시하여, 그 수위가 소정의 수위범위에 들도록 상기 송수수단을 제어하는 급수제어수단
을 더욱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본 발명에 관한 분수장치에서는, 저수용기 속에는 항상 적어도 소정량의 물이 저류되어 있는 상태로 하고, 그 상부공간의 공기압이 대기압보다도 높은 목표치로 유지되도록 저수용기 속에 공급하는 압축공기의 양을 제어한다. 즉, 밀폐된 저수용기 속의 배압(背壓)의 일정 제어를 행한다. 그와 같이 저수용기 속의 저류수(貯留水)에 일정한 배압이 가하여진 상태에서 그때까지 닫혀 있던 개폐밸브를 열면, 노즐의 분출구멍 외측의 공기압(통상은 대기압)과 저수용기 속의 배압의 압력차에 의하여, 저수용기 속의 저류수는 노즐로 향하여 송수관 속으로 세차게 밀려나가서, 노즐의 분출구멍으로부터 분출한다. 이로써, 분수의 물기둥이 형성된다.
노즐로부터의 물의 분출에 의하여 저수용기 속의 수위가 내려가면, 저수용기 속 상부공간의 용적이 증가하는데, 압축공기 공급수단에 의하여 신속하게 압축공기가 공급되므로 배압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다만, 목표치에 변화가 없는 경우). 또한, 저수용기 속의 수위가 어느 정도 내려가면, 송수수단에 의하여 물이 저수용기 속에 보급되기 때문에, 저수용기 속의 수위는 회복된다. 노즐로부터의 물의 분출을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개폐밸브를 폐쇄하면 노즐 속이나 개폐밸브보다도 하류측의 송수관 속에 있는 물을 밀어내는 힘이 없어지므로, 노즐로부터의 물의 분출은 신속하게 정지된다.
노즐로부터의 물의 분출의 기세, 결국 분수의 높이는, 주로, 노즐의 분출구멍 외측의 공기압과 저수용기 속의 배압의 압력차에 의존한다. 따라서, 저수용기 속 상부공간의 공기압의 목표치를 변경하면, 저수용기로부터 송수관으로 압송되는 물의 유속(유량)이 변화하고, 이에 의하여 노즐 분출구멍으로부터 분출하는 물의 높이나 크기가 바뀐다. 저수용기 속 상부공간의 공기압, 즉 배압이 변화하면, 즉시 분수의 높이나 크기에 반영되기 때문에, 제어수단은, 분수의 원하는 높이 또는 크기에 따라서 상기 소정압을 변경함으로써, 신속하게 분수의 높이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관한 분수장치의 제1 형태로서, 상기 송수수단은 펌프인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분수장치의 제2 형태로서
상기 송수수단은,
g1) 소정의 수위범위의 물을 저류하는 밀폐된 제2 저수용기와,
g2) 상기 제2 저수용기 속의 상부공간에 압축공기를 송급하는 제2 압축공기 공급수단과,
g3) 상기 제2 저수용기와 상기 저수용기 사이를 접속하는 제2 송수관과,
g4) 상기 제2 송수관의 도중에 설치된 제2 개폐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제어수단은, 상기 제2 저수용기 속의 상부공간의 공기압을 상기 소정압보다도 높은 제2 소정압으로 유지하도록 상기 제2 압축공기 공급수단에 의한 압축공기의 송급을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제2 개폐밸브의 개폐에 의하여 상기 저수용기로의 물의 공급 및 그 정지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즉, 상기 제2 형태에서는, 상기 송수수단도 저수용기의 앞 단에 설치한 제2 저수용기 속의 배압 제어에 의하여 발생되는 압력차를 이용하여 물을 저수용기로 보낸다. 한편, 제1 형태에서는, 펌프의 구동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저수용기에 물을 보급한다. 따라서, 대규모인 분수장치로서 송수관 등이 길어지는 경우에는, 제1 형태 쪽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분수장치에 의하면, 물의 분출 개시나 정지, 혹은, 분수의 높이나 크기의 변경 등을 극히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분수의 높이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경우에, 그 변화를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예컨대 음악이나 조명 등과 분수의 형태를 동조시키는 경우에도, 그 동조성이 양호하게 되어, 종래에 비하여 감상성이나 엔터테인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인 분수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인 분수장치의 개략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수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의한 분수장치의 요부의 구성도이다. 이 분수장치는, 저수조(1)와, 에어컴프레서(2)와, 1차 탱크유닛(3)과, 복수의 2차 탱크유닛과, 복수의 분수유닛(5)과, 중앙제어부(9)를 구비한다.
저수조(1)는, 분수지(噴水池, spray pond), 혹은, 분수유닛(5)으로부터 분출된 물이 회수되는 수수조(受水槽) 등으로 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9)는 제어프로그램을 가지며,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 등에 의하여 구성할 수 있다.
1차 탱크유닛(3)은, 적당한 내압성을 가지는 밀폐된 메인탱크(31)와, 메인탱크(31) 속에 저류되는 물의 수위(Lu, Ll)를 검출하는 상위 수위센서(32), 하위 수위센서(33)와, 저수조(1)로부터 메인탱크(31)로 물을 송급하는 펌프(34)와, 메인탱크(31)로부터 저수조(1)로의 물의 역류를 저지하는 역류방지밸브(35)와, 메인탱크(31) 속의 상부공간의 공기압을 검출하는 압력센서(36)와, 메인탱크(31) 속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가압(加壓)전자밸브(37)와, 메인탱크(31) 속의 상부공간의 공기압을 내리는 감압(減壓)전자밸브(38)와, 1차 탱크유닛(3) 내에서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39)를 포함한다.
복수의 2차 탱크유닛(4)은 각각, 적당한 내압성을 가지는 밀폐된 서브탱크(41)와, 서브탱크(41) 속에 저류되는 물의 수위(Lu, Ll)를 검출하는 상위 수위센서(42), 하위 수위센서(43)와, 서브탱크(41) 속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전자밸브(44)와, 서브탱크(41) 속의 상부공간의 가스압을 검출하는 압력센서(45)와, 서브탱크(41)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가압전자밸브(46)와, 서브탱크(41) 속의 상부공간의 공기압을 내리는 감압전자밸브(47)와, 그 2차 탱크유닛(4) 속에서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48)를 포함한다.
2차 탱크유닛(4)마다 설치되는 분수유닛(5)은, 서브탱크(41) 하부의 토수구(吐水口)에 접속되고, 도중에서 분기된 말단송수관(8)에 각각 설치된 분수전자밸브(52)와, 말단송수관(8)의 말단에 접속되고, 물을 분출하는 분출구멍이 형성된 노즐(51)을 포함한다. 다만, 이 예와 같이 노즐(51)과 분수전자밸브(52)를 일대 일로 설치할 필요는 없고, 하나의 분수전자밸브(52)의 하류측에 복수의 노즐(51)을 병렬로 접속하여도 좋다. 또한, 노즐(51)의 형상이나 분출구멍의 형상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에어컴프레서(2)의 압축공기 토출구(吐出口)에는 압축공기 송급관(6)이 접속되고, 압축공기 송급관(6)은 도중에서 분기되어 1차 탱크유닛(3)의 가압전자밸브(37)와 각 2차 탱크유닛(4)의 가압전자밸브(4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1차 탱크유닛(3)의 하부에 있는 토수구에는 메인송수관(7)이 접속되고, 메인송수관(7)은 도중에서 분기되어 각 2차 탱크유닛(4)의 급수전자밸브(44)에 접속되어 있다.
이 분수장치 전체의 동작을 관리하는 중앙제어부(9)는, 에어컴프레서(2)의 동작, 각 분수유닛(5)의 분수전자밸브(52)의 ON·OFF 동작을 제어함과 함께, 1차 탱크유닛(3) 및 각 2차 탱크유닛(4)의 제어부(39, 48)에 대하여, 공기압 제어의 목표치를 부여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공기압 제어의 목표치가 각 노즐(51)로부터 분출하는 물의 높이나 크기를 변화시키는 파라미터이다.
다만, 이 분수장치에서는, 노즐(51)은 모터에 의하여 각각 직교하는 2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에 의하여 물의 분출방향이 소정 각도범위에서 기울어지도록 되어 있지만, 본 발명과는 직접 관련되지 않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의 본 실시예에 의한 분수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1차 탱크유닛(3)에 있어서, 제어부(39)는, 상위 수위센서(32) 및 하위 수위센서(33)의 검출신호를 각각 받아서, 메인탱크(31) 속의 저류수의 수위가 상위 수위센서(32) 및 하위 수위센서(33)의 장착위치로 결정되는 Lu와 Ll 사이에 유지되도록 펌프(34)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9)는, 메인탱크(31)로부터의 물의 유출에 의하여 수위가 Ll을 하회(下回)하여 하위 수위센서(33)가 OFF되면 펌프(34)를 작동시켜서, 저수조(1)의 저류수를 펌프(34)에 의하여 흡인하여 메인탱크(31)로 보낸다. 이로써, 메인탱크(31) 속의 수위는 회복된다. 또한 제어부(39)는, 메인탱크(31) 속의 수위가 Lu에 도달하여 상위 수위센서(32)가 ON되면, 펌프(34)를 정지시킨다. 이로써, 메인탱크(31)로의 그 이상의 물의 유입이 정지되어, 메인탱크(31) 속에는 압축공기를 들여보낼 공간이 확보된다.
여기서, 펌프(34)의 동작 제어는 단순한 ON·OFF이더라도 좋지만, 인버터 제어에 의하여 송수량 가변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메인탱크(31)로의 물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하여, 펌프(34)의 ON·OFF를 행하는 것이 아니라, 펌프(34)와 메인탱크(31)의 송수관 상에 전자밸브를 부설하고, 이 전자밸브의 ON·OFF로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에어컴프레서(2)는 소정의 공기압(P1)으로 압축공기 토출구에 압축공기를 보낸다. 1차 탱크유닛(3)에 있어서, 제어부(39)는 압력센서(36)에 의하여 메인탱크(31) 속 상부공간의 공기압을 검출하고, 그 공기압이 중앙제어부(9)로부터 지시되는 목표치(P2)가 되도록 가압전자밸브(37)와 감압전자밸브(38)의 ON·OFF를 제어한다. 목표치(P2)는 에어컴프레서(2)에 의한 압축공기의 공기압(P1)보다도 낮은 값이다.
제어부(39)는, 압력센서(36)에 의한 검출압력이 목표치(P2)를 하회(下回)하였을 경우에는 가압전자밸브(37)를 ON한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은 압력차에 의하여, 압축공기 송급관(6)을 통하여 압축공기가 메인탱크(31) 속 상부공간에 유입하여, 메인탱크(31) 속 상부공간의 공기압이 상승한다. 그래서, 검출압력이 목표치(P2)에 도달한 시점에서, 가압전자밸브(37)를 OFF한다. 한편, 압력센서(36)에 의한 검출압력이 목표치(P2)를 상회(上回)하였을 경우에는 감압전자밸브(38)를 ON한다. 그러면, 메인탱크(31) 속 상부공간의 공기가 메인탱크(31) 외부로 방출되어, 공기압이 내려간다. 검출압력이 목표치(P2)에 도달한 시점에서 감압전자밸브(38)를 OFF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노즐(51)로부터의 물의 분출에 의하여 메인탱크(31) 속의 저류수의 수위가 내려가면, 수면 위의 공간의 체적이 증가한 것에 의하여 공기압이 저하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가압전자밸브(37)가 ON되어 공기압은 신속하게 목표치(P2)로 되돌아온다. 또한, 메인탱크(31) 속의 저류수의 수위가 Ll을 하회하여 펌프(34)에 의한 물의 보급이 개시되어 수위가 올라가면, 수면 위의 공간의 체적이 감소한 것에 의하여 공기압이 증가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감압전자밸브(38)가 ON되어 공기압은 신속하게 목표치(P2)로 되돌아온다. 이와 같이 하여, 메인탱크(31) 속의 저류수의 수위의 고저에 관계없이, 항상 목표치(P2)에 거의 일치하는 공기압이 메인탱크(31) 속의 저류수에 가하여지게 된다.
각 2차 탱크유닛(4)에 있어서, 제어부(48)는 압력센서(45)에 의하여 서브탱크(41) 속 상부공간의 공기압을 검출하고, 그 공기압이 중앙제어부(9)로부터 지시받는 목표치(P3)가 되도록 가압전자밸브(46)와 감압전자밸브(47)의 ON·OFF를 제어한다. 이 목표치(P3)는 1차 탱크유닛(3)에 있어서의 목표치(P2)보다도 반드시 낮은 값이다. 즉, 압력센서(45)에 의한 검출압력이 목표치(P3)를 하회하였을 경우에는 가압전자밸브(46)를 ON한다. 그러면, 압축공기 송급관(6)을 통하여 압축공기가 서브탱크(41) 속 상부공간에 유입하여, 공기압이 상승한다. 검출압력이 목표치(P3)에 도달한 시점에서 가압전자밸브(46)를 OFF한다. 한편, 압력센서(45)에 의한 검출압력이 목표치(P3)를 상회하였을 경우에는, 감압전자밸브(47)를 ON한다. 그러면, 서브탱크(41) 속 상부공간의 공기가 서브탱크(41) 밖으로 방출되어, 공기압이 내려간다. 검출압력이 목표치(P3)에 도달한 시점에서 감압전자밸브(47)를 OFF한다.
각 2차 탱크유닛(4)에 있어서, 제어부(48)는 상위 수위센서(42) 및 하위 수위센서(43)의 검출신호를 각각 받아서, 서브탱크(41) 속의 저류수의 수위가 상위 수위센서(42) 및 하위 수위센서(43)의 장착위치로 결정되는 Lu와 Ll 사이에 유지되도록 급수전자밸브(44)의 ON·OFF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저류수의 유출에 의하여 수위가 Ll을 하회하여 하위 수위센서(43)가 OFF되면, 급수전자밸브(44)를 ON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탱크(31) 속의 저류수에 가하여지는 공기압(P2)은 서브탱크(41) 속의 저류수에 가하여지는 공기압(P3)보다도 높기 때문에, 급수전자밸브(44)가 ON되면 메인탱크(31) 속의 저류수가 메인송수관(7)을 거쳐서 서브탱크(41)로 유입된다. 이로써, 서브탱크(41) 속의 수위는 회복한다. 서브탱크(41) 속의 수위가 Lu에 도달하여 상위 수위센서(42)가 ON되면, 급수전자밸브(44)를 OFF시킨다. 이로써, 서브탱크(41)로의 그 이상의 물의 유입이 정지되고, 서브탱크(41) 속에는 압축공기를 들여보낼 공간이 확보된다.
중앙제어부(9)는 미리 정해진 제어프로그램에 따라서, 소정의 순서, 수, 위치에 분수가 형성되도록, 각 분수유닛(5)의 분수전자밸브(52)의 ON·OFF를 제어함과 함께, 분수의 높이나 크기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목표치(P3)를 변경한다. 물론, 이 목표치(P3)는 P2보다도 작고 대기압보다는 높은 범위이다. 분수를 높게 하고자 하는 경우나 크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목표치(P3)를 높게 한다.
서브탱크(41) 속의 저류수에는 상시 거의 P3의 공기압이 가하여지고 있어서, 말단송수관(8)을 통하여 서브탱크(41) 속과 연통(連通)하고 있는 분수전자밸브(52)가 ON되면, 가압된 저류수가 말단송수관(8)을 통하여 노즐(51)에 도달하여, 물 분출구멍으로부터 세차게 물이 토출된다. 이로써 노즐(51)의 선단에 분수의 물기둥이 형성된다. 물의 분출에 의하여 서브탱크(41) 속의 저류수는 점차로 감소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가압전자밸브(46)의 ON·OFF 제어에 의하여, 서브탱크(41) 속의 공기압은 거의 P2로 유지되고, 그로 인하여 노즐(51)로부터 분출하는 물의 유량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중앙제어부(9)가 목표치(P3)를 변경하면, 그에 따라서 서브탱크(41) 속의 공기압이 변화하고, 노즐(51)로부터 분출되는 물의 유량이 변화하여, 분수의 높이나 크기가 변화한다. 목표치(P3)를 변경하면 거의 시간지연 없이 서브탱크(41) 속의 공기압이 변화하기 때문에, 분수의 높이나 크기의 변화도 신속하고 또한 스무스하다.
서브탱크(41) 속의 수위가 Ll을 하회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급수전자밸브(44)가 ON되어, 메인탱크(31) 속의 저류수가 서브탱크(41)에 공급된다. 이에 수반하여, 메인탱크(31) 속의 저류수는 점차로 감소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가압전자밸브(37)의 ON·OFF 제어에 의하여, 메인탱크(31) 속의 공기압은 거의 P1으로 유지된다. 그로 인하여, 메인송수관(7)을 통한 메인탱크(31)로부터 서브탱크(41)로의 물의 공급은 스무스하게 행하여져서, 서브탱크(41)가 비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분수장치에서는, 복수의 노즐(51)로부터 각각 분출시키는 물의 배압(서브탱크(41) 속 상부공간의 공기압)을 제어함과 함께, 노즐(51)로부터의 물의 분출·정지의 제어는 분수전자밸브(52)에 의하여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써, 물의 분출 개시·정지를 신속하게 또한 물이 깨끗하게 끊기도록 행할 수 있음과 함께, 분수의 높이나 크기의 변경도 신속하고 또한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다.
도 2는 제2 실시예에 의한 분수장치의 요부의 구성도이다. 기본적인 물의 분출 원리는 제1 실시예와 같으며, 상당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즉, 제2 실시예의 분수장치에서는, 1차 탱크유닛(3)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저수조(1) 하부의 토수구에 접속된 메인송수관(7)이 도중에서 분기되고, 각각의 말단에 2차 탱크유닛(4')이 접속되어 있다. 2차 탱크유닛(4')에 있어서는, 메인송수관(7)의 말단은 펌프(34)의 흡수구(吸水口)에 접속되고, 그 펌프(34)의 토수구는 역류방지밸브(35)를 통하여 서브탱크(41)에 접속되어 있다. 서브탱크(41) 속의 저류수의 수량(水量)의 제어는 제1 실시예의 1차 탱크유닛(3) 속의 수량 제어와 마찬가지이고, 서브탱크(41) 속의 상부공간의 공기압 제어는 제1 실시예의 2차 탱크유닛(4) 속의 공기압 제어와 마찬가지이다.
이 구성에서는, 각 2차 탱크유닛(4')이 펌프(34)를 구비하고, 이 펌프(34)의 동작에 의하여 저수조(1) 속의 물이 서브탱크(41)에 공급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같이, 압력차에 의하여 물을 메인탱크(31)로부터 서브탱크(41)로 공급하는 경우에 비하여, 예컨대 메인송수관(7)이 길고 유로(流路)저항이 큰 경우이더라도, 다량의 물을 확실하게 보낼 수 있다. 그로 인하여, 특히 대규모인 분수장치에 적절하다.
다만,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례로서, 본 발명의 취지의 범위에서 적절히 수정이나 변경, 추가를 행하더라도 본원 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명백하다.
1…저수조
2…에어컴프레서
3…1차 탱크유닛
31…메인탱크
32…상위 수위센서
33…하위 수위센서
34…펌프
35…역류방지밸브
36…압력센서
37…가압전자밸브
38…감압전자밸브
39…제어부
4, 4'…2차 탱크유닛
41…서브탱크
42…상위 수위센서
43…하위 수위센서
44…급수전자밸브
45…압력센서
46…가압전자밸브
47…감압전자밸브
48…제어부
5…분수유닛
51…노즐
52…분수전자밸브
6…압축공기 송급관
7…메인송수관
8…말단송수관
9…중앙제어부

Claims (5)

  1. a) 물을 분출하는 노즐과,
    b) 소정의 수위범위의 물을 저류(貯留)하는 밀폐된 저수(貯水)용기와,
    c) 상기 저수용기 속의 상부공간에 압축공기를 송급(送給)하는 압축공기 공급수단과,
    d) 상기 저수용기와 상기 노즐 사이를 접속하는 송수관과,
    e) 상기 송수관의 도중에 설치된 개폐밸브와,
    f) 상기 저수용기 속의 상부공간의 공기압을 소정압으로 유지하도록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에 의한 압축공기의 송급을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밸브의 개폐에 의하여 상기 노즐로부터의 물의 분출 및 그 정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g) 상기 저수용기 속에 물을 공급하는 송수수단과,
    h) 상기 저수용기 속의 수위를 감시하여, 그 수위가 소정의 수위범위에 들도록 상기 송수수단을 제어하는 급수제어수단
    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송수수단은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송수수단은,
    g1) 소정의 수위범위의 물을 저류하는 밀폐된 제2 저수용기와,
    g2) 상기 제2 저수용기 속의 상부공간에 압축공기를 송급하는 제2 압축공기 공급수단과,
    g3) 상기 제2 저수용기와 상기 저수용기 사이를 접속하는 제2 송수관과,
    g4) 상기 제2 송수관의 도중에 설치된 제2 개폐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제어수단은, 상기 제2 저수용기 속의 상부공간의 공기압을 상기 소정압보다도 높은 제2 소정압으로 유지하도록 상기 제2 압축공기 공급수단에 의한 압축공기의 송급을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제2 개폐밸브의 개폐에 의하여 상기 저수용기로의 물의 공급 및 그 정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분수의 높이 또는 크기에 따라서 상기 소정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장치.
KR1020117008261A 2008-09-12 2009-09-10 분수장치 KR1015469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34884 2008-09-12
JPJP-P-2008-234884 2008-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063A true KR20110069063A (ko) 2011-06-22
KR101546996B1 KR101546996B1 (ko) 2015-08-24

Family

ID=42005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8261A KR101546996B1 (ko) 2008-09-12 2009-09-10 분수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657211B2 (ko)
EP (1) EP2324930B1 (ko)
JP (1) JP5033921B2 (ko)
KR (1) KR101546996B1 (ko)
CN (1) CN102123796B (ko)
DK (1) DK2324930T3 (ko)
ES (1) ES2395231T3 (ko)
PL (1) PL2324930T3 (ko)
PT (1) PT2324930E (ko)
WO (1) WO20100297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8025B2 (en) * 2010-11-02 2013-12-17 Nordson Corporation Pneumatic liquid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SG11201502876RA (en) 2012-11-08 2015-06-29 Eleven Biotherapeutics Inc Il-6 antagonists and uses thereof
US20140263715A1 (en) * 2013-03-15 2014-09-18 Mark Fuller Floating Water Delivery Device
CN103230849B (zh) * 2013-04-25 2016-02-10 浙江大学 一种基于磁致伸缩执行器的开关流量控制型微滴喷射装置
CN104365253A (zh) * 2014-10-20 2015-02-25 遵义钦旺农牧器械有限公司 恒压装置
HUE046181T2 (hu) 2014-11-07 2020-02-28 Sesen Bio Inc Javított ellenanyagok IL-6 ellen
CN104409389B (zh) * 2014-11-07 2017-10-27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机台
CN107096663A (zh) * 2017-05-24 2017-08-29 浙江普莱得电器有限公司 一种液壶高度可调的锂电喷枪
JP7322666B2 (ja) * 2019-07-23 2023-08-08 東洋製罐株式会社 吐出装置、無人航空機および吐出方法
KR20230033567A (ko) 2021-09-01 2023-03-08 박세동 분수 장치의 작동 방법
KR20230154646A (ko) 2022-05-02 2023-11-09 박세동 분수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CN115200787B (zh) * 2022-07-20 2024-01-12 今创集团股份有限公司 淋雨试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7474A (en) * 1973-10-26 1976-08-31 Paul Boegli Emergency reserve water and foam generating system
US4318443A (en) * 1978-08-14 1982-03-09 Cummins Mark A Foam generating fire fighting device
US5133500A (en) * 1988-12-02 1992-07-28 Virgil Simpson Marking foam system for agricultural equipment
JPH0295565U (ko) * 1989-01-19 1990-07-30
JPH04145974A (ja) * 1990-10-04 1992-05-19 Kubota Corp 高射噴水装置
CN1064908A (zh) * 1991-03-18 1992-09-30 廖国桢 以压缩空气汲水的方法及装置
JP3029333B2 (ja) * 1992-01-07 2000-04-04 株式会社山本製作所 精米装置
JPH05184995A (ja) 1992-01-14 1993-07-27 Kubota Corp 波力噴水装置
JP2578466Y2 (ja) * 1992-10-06 1998-08-13 株式会社アイテック 噴水装置
CN2225403Y (zh) * 1995-04-11 1996-04-24 张瑞灶 对汽车制动鼓、制动摩擦片自动喷水冷却系统的装置
US6155351A (en) * 1995-05-24 2000-12-05 Intelagard, Inc. Foam based product solution delivery apparatus
US5934558A (en) 1997-11-21 1999-08-10 Wet Enterprises, Inc. Water display with multiple characteristics
JPH11201050A (ja) * 1998-01-07 1999-07-27 Kubota Corp 水景設備における給水槽の水位制御方法
US6009954A (en) * 1998-02-23 2000-01-04 Phillips; Mark A. Residential fire sprinkler water supply system
JP4614488B2 (ja) 2000-01-25 2011-01-19 株式会社光栄 噴水装置
TW541230B (en) * 2000-10-06 2003-07-11 Ebara Corp Method for supplying slurry to polishing apparatus
JP4068945B2 (ja) 2002-10-31 2008-03-26 新明和工業株式会社 音楽同調噴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2324930T3 (da) 2012-12-10
JPWO2010029748A1 (ja) 2012-02-02
CN102123796A (zh) 2011-07-13
EP2324930A4 (en) 2011-08-31
PL2324930T3 (pl) 2013-02-28
US8657211B2 (en) 2014-02-25
WO2010029748A1 (ja) 2010-03-18
JP5033921B2 (ja) 2012-09-26
EP2324930A1 (en) 2011-05-25
EP2324930B1 (en) 2012-11-14
ES2395231T3 (es) 2013-02-11
CN102123796B (zh) 2013-09-11
US20110163122A1 (en) 2011-07-07
KR101546996B1 (ko) 2015-08-24
PT2324930E (pt)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9063A (ko) 분수장치
JP5085249B2 (ja) インク供給機構
JP4105135B2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装置、インクジェット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装置のインク供給方法
CA2514240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dissolved amount of gas
KR20120069777A (ko) 액체 순환 시스템
JP2008272631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KR101392847B1 (ko) 수격방지설비 겸용 가압펌프
KR102574136B1 (ko) 액적 토출 장치 및 액적 토출 방법
KR101671225B1 (ko) 압력탱크 내부 이물질 제거 기능을 구비하는 수배관 시스템
JP5841868B2 (ja) ミスト装置
KR101897678B1 (ko) 매직 파운틴 노즐
JP4895033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2006062024A (ja) ミスト生成装置
CA2231709C (en) Drive source for fire fighting apparatus
KR200452941Y1 (ko) 비누방울 총
KR0146279B1 (ko) 신속하게 작동하는 공기동력식 물 디스플레이
KR20080076644A (ko) 프로펠러가 없는 고압에어추진선박
CN102205291B (zh) 一种水炮装置
JP5337828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CN216915258U (zh) 带负压控制的供墨系统
CN219405851U (zh) 印刷机的小循环墨路系统
JP2005099895A (ja) 貯水槽の水位自動制御装置及び貯水槽
KR101331948B1 (ko) 냉장고의 급수 장치
JP2007205594A (ja) 降温用噴霧システム
KR20220128001A (ko) 물 토출 효율을 향상 구조를 갖는 분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