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6624A -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6624A
KR20110066624A KR1020090123356A KR20090123356A KR20110066624A KR 20110066624 A KR20110066624 A KR 20110066624A KR 1020090123356 A KR1020090123356 A KR 1020090123356A KR 20090123356 A KR20090123356 A KR 20090123356A KR 20110066624 A KR20110066624 A KR 20110066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layer
resist layer
resist
insul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3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6955B1 (ko
Inventor
안호균
임종원
윤형섭
장우진
김해천
남은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3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6955B1/ko
Priority to US12/773,216 priority patent/US8053345B2/en
Publication of KR20110066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46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active layer made of a group 13/15 material, e.g. group 13/15 velocity modulation transistor [VMT], group 13/15 negative resistance FET [NERFET]
    • H01L29/66462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active layer made of a group 13/15 material, e.g. group 13/15 velocity modulation transistor [VMT], group 13/15 negative resistance FET [NERFET] with a heterojunction interface channel or gate, e.g. HFET, HIGFET, SISFET, HJFET, HEM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17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1725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Junction Field-Effect Trans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이 방법은 기판 상에 활성 층과 캡핑 층을 형성하고, 상기 캡핑 층 상에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을 형성한다. 이후, 기판 상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의 층간 절연막 상에서 비대칭적인 깊이의 제 1 개구부와 제 2 개구부를 갖는 레지스트 층들을 형성한다. 제 1 개구부는 층간 절연막을 노출시키고, 제 2 개구부는 상기 레지스트 층들 중 최하부 레지스트 층을 노출시킨다. 다음으로, 제 1 개구부 바닥의 층간 절연막과 제 2 개구부 바닥의 최하부 레지스트 층을 동시에 제거하여 상기 제 1 개구부 내에 캡핑 층을 노출시키고, 상기 제 2 개구부 내에 층간 절연막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제 1 개구부의 캡핑 층을 제거하여 활성 층을 노출 시킨 후, 기판 상에 금속 층을 증착하여 제 1 개구부와 제 2 개구부 내에 게이트 전극과 전계 전극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레지스트 층들을 제거하여 상기 레지스트 층들 상의 금속 층을 리프트 오프 시킬 수 있다.
활성, 캡핑(capping), 개구부, 절연막, 리프트 오프(lift-off)

Description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Field Effect Transistor }
본 발명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합물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합물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는 실리콘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에 비하여 속도 특성이 우수하여 마이크로파(Microwave) 또는 밀리미터파(10 GHz ~ 100 GHz) 대역의 응용 소자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과 드레인 전극의 전계를 감소시켜 높은 항복 전압을 얻을 수 있고, 상기 게이트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 사이에서 발생되는 커패시턴스를 감소시키는 전계 전극(field plate)을 포함할 수 있다. 전계 전극은 게이트 전극과 드레인 전극사이의 층간 절연막(2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게이트 전극은 전계 전극보다 선행되어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게이트 전극과 전계 전극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금속 층 형성 공정과 복수의 리소그래피 공정을 요구하기 때문에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게이트 전극과 전계 전극을 동시에 형성하여 생산성을 증대 또는 극대화할 수 있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그의 방법은, 기판 상에 활성 층과 캡핑 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캡핑 층 상에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절연막 및 제 1 레지스트 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막 상에 제 1 레지스트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스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사이의 상기 제 1 레지스트 층상에서 제 1 개구부와 제 2 개구부를 갖는 제 2 레지스트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스 전극과 인접하는 상기 제 1 개구부 바닥의 상기 제 1 레지스트 층을 상기 제 1 개구부의 입구보다 작은 선폭으로 제거하여 상기 절연막을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개구부 바닥의 상기 절연막과 상기 제 2 개구부 바닥의 상기 제 1 레지스트 층을 제거하여, 상기 제 1 개구부에서 상기 캡핑 층을 노출시키고 상기 제 2 개구부에서 상기 절연막을 노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1 개구부와 상기 제 2 개구부 내에 게이트 전극과, 전계 전극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막과, 상기 제 1 레지스트 층은 건식식각방법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식식각방법은 상기 절연막과 상기 제 1 레지스트 층의 두께에 비례하는 선택식각비를 갖는 반응 가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응 가스는 사불화탄소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연막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BCB 폴리머, 실리카 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레지스트 층은 PMMA 또는 ZE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레지스트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레지스트 층 상에서 적층되고, 상기 제 1 개구부 및 상기 제 2 개구부의 내부로 돌출되는 오버행을 구비한 제 3 레지스트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3 레지스트 층은 상기 제 1 레지스트 층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제 1 레지스트 층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스 전극에 인접하는 제 1 영역의 상기 제 1 및 제 2 레지스트 층을 노광하고, 상기 드레인 전극에 인접하는 제 2 영역의 상기 제 2 레지스트 층을 노광한 후,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절연막을 노출시키는 제 1 개구부와,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제 1 레지스트 층을 노출하는 제 2 개구부를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개구부 바닥의 상기 캡핑 층을 제거하는 단 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의 층간 절연막(20) 상에서 비대칭적인 깊이로 형성되는 제 1 개구부와 제 2 개구부 내에 게이트 전극과 전계 전극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증대 또는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도전성막, 반도체막, 또는 절연성막 등의 어떤 물질막이 다른 물질막 또는 기판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 어떤 물질막은 다른 물질막 또는 기판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또 다른 물질막이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분, 물질 등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부분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소 정 부분을 다른 부분과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예에서의 제 1 부분으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 2 부분으로 언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이 용어 앞뒤에 열거된 구성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여, 기판(10) 상에 활성 층(12) 및 캡핑 층(14)을 형성한다. 기판(10)은 갈륨비소(GaAs), 인듐-인(InP), 갈륨질소(GaN), 실리콘-게르마늄(SiGe), 실리콘-카바이드(SiC), 및 인듐-갈륨-비소(InGaAs) 중 어느 하나의 반도체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판(10)은 유리, 사파이어, 석영등의 절연성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과 활성 층(12) 사이에는 격자 부정합을 줄이고 결함들(예를 들면, 전위(dislocation))을 트랩(trapping)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슈퍼 래티스(super lattice) 층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슈퍼 래티스 층은 에피-성장된 인듐-알루미늄-비소(InAlAs), 또는 갈륨-비소(GaAs)를 포함할 수 있다. 활성 층(12)은 MBE(Molecular Beam Epitaxy)방법 또는 MOCVD(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방법을 포함하는 에피택시얼 성장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활성 층(12)은 채널 층, 버퍼 층, 베리어 층이 적층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채널 층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서 전하(전자)들의 이동이 일어나는 영역으로, 2DEG(two dimensional electron gas)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층은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고 에피-성장된 인듐-갈륨-비소(InGaAs)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 층은 스페이서 층과 전하 공급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스페이서 층은 은 인듐-알루미늄-비소(InAlAs)를 포함하며 채널 층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전하 공급 층은 스페이서 층을 통과하여 채널 층으로 전이되는 전하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하 공급 층은 알루미늄-갈륨-비소(n+ AlGaAs), 또는 실리콘 층(Si planar doping)을 포함하고, n형 도전성 불순물로 도핑되어 있을 수 있다. 베리어 층은 빠른 동작 속도를 요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에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리어 층은 쇼트키 접합(Schottky Junction, 반도체 층과 상기 반도체 층과 접속하는 금속 간의 접합)이 이루어지는 광대역 (wide band gap) 삼원계 화합물 반도체 물질들 중 하나인 인듐-알루미늄-비소(InAlAs)을 포함할 수 있다.
캡핑 층(14)은 오믹 층으로서,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오믹 접촉을 형성하여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캡핑 층(14)은 n형 도전성 불순물로 도핑된 인듐-갈륨-비소(InGaAs)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캡핑 층(14) 상에서 서로 이격되는 소스 전극(16) 및 드레인 전극(18)을 형성한다. 소스 전극(16) 및 드레인 전극(18)은 도전성 불순물로 도핑된 게르마늄(Ge), 금(Au), 니켈(Ni), 티타늄(Ti), 알루미늄(A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 층(12)이 갈륨 나이트라이드(GaN)로 이루어지면, 소스 전극(16)과 드레인 전극(18)은 티타늄, 알루미늄, 니켈, 및 금의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활성 층(12)이 갈륨비소로 이 루어지면, 소스 전극(16)과 드레인 전극(18)은 금게르마늄 합금(AuGe), 니켈, 및 금의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소스 전극(16) 및 드레인 전극(18)은 스퍼터링(sputtering)방법, 이베퍼레이션(evaporation)방법, 또는 MBE(Molecular Beam Epitaxy)방법으로 형성된 금속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전극(16) 및 드레인 전극(18)은 포토리소그래피 공정과, 금속 증착, 및 리프트 오프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소스 전극(16) 및 드레인 전극(18)은 급속 열처리(Rapid Thermal Annealing: RTA) 공정에 의해 활성 층(12)이하의 깊이까지 확산될 수 있다. 급속 열처리 공정은 질소 분위기에서 섭씨 230도 ~ 250도 정도의 온도 범위에서 진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기판(10)의 전면에 층간 절연막(20)을 형성한다. 여기서, 층간 절연막(20)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BCB(Benzocyclobutene) 폴리머, 또는 다공성 실리카겔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 산화막과 실리콘 질화막은 화학기상증착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BCB와 다공성 실리카겔은 프린팅 또는 스핀 코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층간 절연막(20) 상에 레지스트 층(28)을 도포한다. 예를 들어, 레지스트 층(28)은 제 1 내지 제 3 레지스트 층(22, 24, 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레지스트 층(22, 24, 26)은 스핀 코팅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레지스트 층(22, 24, 26)은 해당 층이 형성될 때마다 수행되는 베이크 공정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레지스트 층(22, 24, 26)은 친수성 및 연화성이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내지 제 3 레지스트 층(22, 24, 26)은 PMMA(polymethyl methacraylate) /Co-polymer/PMMA 적층 구조, 또는 ZEP/PMGI/ZEP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레지스트 층(24)은 제 1 레지스트 층(22) 및 제 3 레지스트 층(26)과 다른 종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레지스트 층(22)과 제 3 레지스트 층(26)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3 레지스트 층(26)은 제 1 레지스트 층(22)에 비해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소스 전극(16)과 드레인 전극(18) 사이의 층간 절연막(20) 상부의 제 2 레지스트 층(24)과 제 3 레지스트 층(26)을 패터닝하여 제 1 개구부(32)와 제 2 개구부(34)를 형성할 수 있다. 제 2 레지스트 층(24)과 제 3 레지스트 층(26)은 전자 빔(e-beam)에 의해 노광될 수 있다. 전자 빔은 제 3 레지스트 층(26)을 통과하여 제 2 레지스트 층(24)에 도달되는 도즈 및 에너지로 입사될 수 있다. 이후, 전자 빔에 노광된 제 2 레지스트 층(24)과 제 3 레지스트 층(26)은 현상액에 의해 제거되어 제 1 개구부(32)와 제 2 개구부(34)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개구부(32)와 제 2 개구부(34)는 동일한 깊이로 형성되고, 제 1 레지스트 층(22)을 노출시킬 수 있다. 제 1 개구부(32)가 형성되는 부분을 제 1 영역으로 정의하고, 제 2 개구부(34)가 형성되는 부분을 제 2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제 3 레지스트 층(26)은 제 1 개구부(32) 및 제 2 개구부(34) 가장자리 상단에서 내부로 돌출되는 오버행(overhang, 27)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개구부(32) 바닥의 제 1 레지스트 층(22)을 상기 제 1 개구부(32)의 입구보다 작은 선폭으로 제거하여 층간 절연막(20)을 노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1 레지스트 층(22)은 전자 빔에 의해 노광된 후 현상됨으로서 패 터닝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개구부(32)와 제 2 개구부(34)는 서로 다른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내지 제 3 레지스트 층(22, 24, 26)은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에 비대칭적인 깊이로 패터닝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내지 제 3 레지스트 층(22, 24, 26)은 2번의 노광 공정과 2번의 현상 공정을 통해 비대칭적인 깊이의 제 1 개구부(32)와 제 2 개구부(34)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개구부(32)와 제 2 개구부(34)는 노광 공정과 현상 공정을 포함한 단일 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비대칭적인 깊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내지 제 3 레지스트 층(22, 24, 26)은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에서 각각 서로 다른 도즈 및 에너지를 갖는 전자 빔에 의해 비대칭적으로 노광될 수 있다. 제 1 영역의 제 1 내지 제 3 레지스트 층(22, 24, 26)은 제 1 도즈 및 제 1 에너지의 전자빔에 노광되고, 제 2 영역의 제 2 및 제 3 레지스트 층(24, 26)은 상기 제 1 도즈 및 제 1 에너지보다 낮은 제 2 도즈 및 제 2 에너지의 상기 전자빔에 노광될 수 있다. 이후, 제 1 영역의 제 1 내지 제 3 레지스트 층(22, 24, 26)과, 제 2 영역의 제 2 및 제 3 레지스트 층(24, 26)이 현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영역은 층간 절연막(20)이 노출되는 제 1 개구부(32)가 형성되고, 제 2 영역은 제 1 레지스트 층(22)이 노출되는 제 2 개구부(3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제 1 개구부(32)의 바닥에서 노출되는 층간 절연막(20)과, 제 2 개구부(34)의 바닥에서 노출되는 제 1 레지스트 층(22)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층간 절연막(20)과 제 1 레지스트 층(22)은 반응 이온 식각, 자기적 반응 이온 식각, 또는 유도 커플 플라즈마 식각과 같은 건식식각방법에 의해 식각될 수 있다. 건식식각방법은 층간 절연막(20)과 제 1 레지스트 층(22) 각각의 종류, 또는 두께에 따라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20)과 제 1 레지스트 층(22)이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면, 층간 절연막(20)과 제 1 레지스트 층(22)의 선택식각비가 동일한 반응 가스를 이용한 건식식각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 가스는 사불화탄소(CF4)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물을 포함하는 BCB 폴리머 재질의 층간 절연막(20)과, PMMA 재질의 제 1 레지스트 층(22)은 사불화탄소의 반응 가스에 유사한 선택식각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층간 절연막(20)과 제 1 레지스트 층(22)은 건식식각방법으로 제 1 개구부(32)와 제 2 개구부(34) 내에서 동시에 제거될 수 있다.
실리콘 산화막 재질의 층간 절연막(20)과, PMMA 재질의 제 1 레지스트 층(22)은 사불화탄소에 대해 선택식각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층간 절연막(20)과 제 1 레지스트 층(22)은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되고, 서로 다른 선택식각비를 갖는 반응 가스를 사용한 건식식각방법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층간 절연막(20)과 제 1 레지스트 층(22)이 2 : 1의 두께로 형성되면, 층간 절연막(20)과 제 1 레지스트 층(22)의 선택식각비가 2 : 1 인 반응 가스를 이용한 건식식각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층간 절연막(20)과 제 1 레지스트 층(22)의 두께에 비례하는 선택식각비를 갖는 반응 가스를 이용한 건식식각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 1 개구부(32)는 바닥의 가장자리에서 잔존하는 제 1 레지스트 층(22)이 제거되어 층간 절연막(20)의 상부면이 노출될 수 있다. 제 1 개구부(32)의 바닥은 캡핑 층(14)과 층간 절연막(20)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개구부(34)는 층간 절연막(20)을 노출시킬 수 있다. 제 1 개구부(32)는 T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제 2 개구부(34)는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3 레지스트 층(26)은 제 1 레지스트 층(22)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경우, 식각 공정 시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 레지스트 층(26)은 도포 시에 제 1 레지스트 층(22)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식각공정 시 제거되지 않고 잔존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개구부(32)의 바닥에서 노출되는 캡핑 층(14)을 제거하여 활성 층(12)을 노출시킬 수 있다. 캡핑 층(14)은 습식식각방법으로 제거될 수 있다. 습식식각방법은 제 1 개구부(32) 바닥에서 노출되는 캡핑 층(14)을 등방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개구부(32)의 바닥은 층간 절연막(20)의 하부까지 확장될 수 있다. 습식식각방법은 호박산 용액(succinic acid)과 염산(HCl)용액을 식각액(etchant)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각액은 층간 절연막(20)에 비해 캡핑 층(14)의 선택식각비가 높을 수 있다. 이때, 습식식각방법은 제 1 개구부(32) 바닥에서 노출되는 활성 층(12)의 두께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개구부(32) 바닥에서 노출되는 활성 층(12)의 깊이에 따라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활성 층(12)의 베리어 층 두께가 크면 공핍 모드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가 제조될 수 있고, 상기 활성 층(12)의 베리어 층 두께가 작으면 증가 모드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가 제조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기판(10)의 전면에 금속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금속 층은 타이타늄(Ti), 백금(Pt), 금(Au)이 적층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층은 몰리브덴(Mo), 텅스텐(W), 니켈(Ni), 코발트(Co) 및 팔라듐(Pd) 중 의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금속 층은 스퍼터링(sputtering), 이베포레이션(evaporation), MBE(Molecular Beam Epitaxy)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오버행(27)은 제 1 개구부(32) 및 제 2 개구부(34) 내부에서 형성되는 제 1 금속 층(38, 40)과, 제 3 레지스트 층(26) 상에 형성되는 제 2 금속 층(36)을 분리시킬 수 있다 제 1 금속 층은 제 1 개구부(32) 내에서 단면이 T자 모양의 게이트 전극(38)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금속 층은 제 2 개구부(34)에서 단면이 직사각형 모양의 전계 전극(40)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38)의 머리(head)는 층간 절연막(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전계 전극(40)과 동일한 레벨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38)의 높이는 층간 절연막(20)과 캡핑 층(14)의 두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38)은 캡핑 층(14)과 일정 거리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38)은 활성 층(12)에서 미세한 게이트 길이를 가지면서 동시에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게이트 저항이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은 기판(10) 상에 금속 층을 증착하여 비대칭적인 레벨을 갖는 게이트 전극(38) 및 전계 전극(40)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를 참조하면, 제 1 내지 제 3 레지스트 층(22, 24, 26)을 제거하여 제 2 금속 층(36)을 리프트 오프시킬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레지스트 층(22, 24, 26)은 휘발성분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내지 제 3 레지스트 층(22, 24, 26) 상부의 제 2 금속 층(36)은 기판(10)에서 박리되어 제거될 수 있다. 이때, 게이트 전극(38)과 전계 전극(40)은 기판(10) 상에 잔존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은 적층되는 제 1 내지 제 3 레지스트 층(22, 24, 26)에 비대칭적인 깊이의 제 1 개구부(32)와 제 2 개구부(34)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개구부(32)는 층간 절연막(20)을 노출시키고, 제 2 개구부(34)는 제 1 레지스트 층(22)을 노출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개구부(32)의 층간 절연막(20)과, 제 2 개구부(34)의 레지스트 층을 건식식각방법으로 동시에 제거하여 제 1 개구부(32)에서 캡핑 층(14)을 노출시키고, 제 2 개구부(34)에서 층간 절연막(20)을 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1 개구부(32)의 캡핑 층(14)을 제거하여 활성 층(12)을 노출시킬 수 있다. 기판(10)의 전면에 금속 층(36)을 형성하여 제 1 개구부(32) 내에 게이트 전극(38)과, 제 2 개구부(34) 내에 전계 전극(40)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증대 또는 극대화할 수 있다.
이 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단면도들.

Claims (10)

  1. 기판 상에 활성 층과 캡핑 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캡핑 층 상에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절연막 및 제 1 레지스트 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스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사이의 상기 제 1 레지스트 층상에서 제 1 개구부와 제 2 개구부를 갖는 제 2 레지스트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스 전극과 인접하는 상기 제 1 개구부 바닥의 상기 제 1 레지스트 층을 상기 제 1 개구부의 입구보다 작은 선폭으로 제거하여 상기 절연막을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개구부 바닥의 상기 절연막과 상기 제 2 개구부 바닥의 상기 제 1 레지스트 층을 제거하여, 상기 제 1 개구부에서 상기 캡핑 층을 노출시키고 상기 제 2 개구부에서 상기 절연막을 노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1 개구부와 상기 제 2 개구부 내에 게이트 전극과, 전계 전극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과, 상기 제 1 레지스트 층은 건식식각방법으로 제거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식각방법은 상기 절연막과 상기 제 1 레지스트 층의 두께에 비례하는 선택식각비를 갖는 반응 가스를 사용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가스는 사불화탄소를 포함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BCB 폴리머, 실리카 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지스트 층은 PMMA 또는 ZE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지스트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레지스트 층 상에서 적층되고, 상기 제 1 개구부 및 상기 제 2 개구부의 내부로 돌출되는 오버행을 구비한 제 3 레지스트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레지스트 층은 상기 제 1 레지스트 층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제 1 레지스트 층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레지스트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전극에 인접하는 제 1 영역의 상기 제 1 및 제 2 레지스트 층을 노광하고, 상기 드레인 전극에 인접하는 제 2 영역의 상기 제 2 레지스트 층을 노광한 후,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절연막을 노출시키는 제 1 개구부와,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제 1 레지스트 층을 노출하는 제 2 개구부를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구부 바닥의 상기 캡핑 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20090123356A 2009-12-11 2009-12-11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1226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356A KR101226955B1 (ko) 2009-12-11 2009-12-11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US12/773,216 US8053345B2 (en) 2009-12-11 2010-05-04 Method for fabricating field effect transistor using a compound semicondu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356A KR101226955B1 (ko) 2009-12-11 2009-12-11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624A true KR20110066624A (ko) 2011-06-17
KR101226955B1 KR101226955B1 (ko) 2013-01-28

Family

ID=44143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356A KR101226955B1 (ko) 2009-12-11 2009-12-11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53345B2 (ko)
KR (1) KR1012269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094B1 (ko) * 2010-12-14 2016-01-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US8455312B2 (en) * 2011-09-12 2013-06-04 Cindy X. Qiu Fabrication methods for T-gate and inverted L-gate structure for high frequency devices and circuits
KR101596079B1 (ko) * 2011-09-21 2016-02-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US20130069127A1 (en) * 2011-09-21 2013-03-2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Field effect transistor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9443941B2 (en) * 2012-06-04 2016-09-13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Compound semiconductor transistor with self aligned gate
US8822290B2 (en) * 2013-01-25 2014-09-0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FinFET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9302905B1 (en) * 2015-06-15 2016-04-05 Innovative Micro Technology Method for forming a microfabricated structure
CN106298882B (zh) * 2016-08-04 2019-10-08 苏州能讯高能半导体有限公司 高电子迁移率晶体管器件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077B1 (ko) 1998-05-11 2001-01-15 이계철 미세 티자형 게이트 전극의 제작방법
US7573078B2 (en) 2004-05-11 2009-08-11 Cree, Inc. Wide bandgap transistors with multiple field plates
KR100606290B1 (ko) 2004-12-02 2006-07-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US7548112B2 (en) 2005-07-21 2009-06-16 Cree, Inc. Switch mode power amplifier using MIS-HEMT with field plate extension
US7429506B2 (en) * 2005-09-27 2008-09-30 Freescale Semiconductor, Inc. Process of making a III-V compound semiconductor heterostructure MOSFET
KR100695670B1 (ko) 2005-12-06 2007-03-16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고 전계 이동도 트랜지스터의 오프셋 광폭 식각 방법
US8003504B2 (en) * 2006-09-01 2011-08-23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on of field effect transistor gates with or without field plates
KR100782430B1 (ko) 2006-09-22 2007-12-05 한국과학기술원 고전력을 위한 내부전계전극을 갖는 갈륨나이트라이드기반의 고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 구조
JP5105160B2 (ja) 2006-11-13 2012-12-19 クリ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トランジスタ
US7893499B2 (en) * 2008-04-04 2011-02-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OS transistor with gate trench adjacent to drain extension field insulation
KR101243836B1 (ko) * 2009-09-04 2013-03-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53345B2 (en) 2011-11-08
US20110143505A1 (en) 2011-06-16
KR101226955B1 (ko) 2013-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6955B1 (ko)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US7432142B2 (en) Methods of fabricating nitride-based transistors having regrown ohmic contact regions
US8105889B2 (en) Methods of fabricating transistors including self-aligned gate electrodes and source/drain regions
KR100948211B1 (ko) 높은 유전상수 유전체층을 사용하는 양자 우물 트랜지스터
US11316028B2 (en) Nitride-based transistors with a protective layer and a low-damage recess
US7592211B2 (en) Methods of fabricating transistors including supported gate electrodes
KR101736277B1 (ko)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US884115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field effect type compound semiconductor device
JPH08241983A (ja) 耐熱ゲート・ヘテロ構造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方法
JP3377022B2 (ja) ヘテロ接合型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CN110429127B (zh) 一种氮化镓晶体管结构及其制备方法
CN112103340B (zh) 一种氮化镓晶体管的非合金欧姆接触制作方法
CN113284802A (zh) 一种高电子迁移率晶体管及其制备方法
JP7197005B2 (ja) 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038143A1 (en) Field effect compound semiconductor device
CN111081772A (zh) 氮化镓晶体管及其制造方法
CN111243962A (zh) 一种氧化镓高电子迁移率异质结晶体管及其制备方法
US20230246088A1 (en) Manufacturing process of an ohmic contact of a hemt device and hemt device
KR101184321B1 (ko)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2208592A1 (ja) 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83663B1 (ko) 계단형 리쎄스 게이트 구조를 갖는 자기 정렬 화합물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100523065B1 (ko) 적층된 감마형 게이트를 이용한 화합물 반도체소자 제조방법
CN113410285B (zh) 半导体器件及其制备方法
JP2019079975A (ja) 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61461B1 (ko) 비대칭 리쎄스 구조를 갖는 화합물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