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6461A - 엘이디 모듈 분류용 빈 설치 조립체 - Google Patents

엘이디 모듈 분류용 빈 설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6461A
KR20110066461A KR1020090123123A KR20090123123A KR20110066461A KR 20110066461 A KR20110066461 A KR 20110066461A KR 1020090123123 A KR1020090123123 A KR 1020090123123A KR 20090123123 A KR20090123123 A KR 20090123123A KR 20110066461 A KR20110066461 A KR 20110066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
opening
closing member
empty
le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3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0688B1 (ko
Inventor
김태연
김동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90123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688B1/ko
Publication of KR20110066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7Circuits therefor
    • G01R31/2632Circuits therefor for testing diodes
    • G01R31/2635Testing light-emitting diodes, laser diodes or photodi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71Sor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이디 모듈 분류용 빈 설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빈이 세워져서 설치되도록 다수의 빈 설치구멍이 형성되는 빈 지지판을 구비한 빈 설치용 운반 프레임과, 상기 빈 지지판의 상부에서 상기 다수의 빈 설치구멍에 대응되도록 다수의 엘이디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 플레이트를 구비한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내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안내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 평면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엘이디 통과구멍에 대응하는 다수의 빈 개폐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빈 개폐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빈 개폐부재 등에 의해 임시로 엘이디 모듈이 바닥으로 낙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충전된 빈의 교체중에도 엘이디 모듈의 분류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어 생산성이 크게 높아진다는 이점이 있다.
엘이디, 분류, 등급, 개폐부재, 빈

Description

엘이디 모듈 분류용 빈 설치 조립체{Bin locating assembly for LED Module Sorting}
본 발명은 엘이디 모듈 분류용 빈 설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이디 모듈 분류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등급 분류가 완료된 엘이디 모듈이 바닥에 낙하하는 경우 없이 빈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엘이디 모듈 분류용 빈 설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이디(LED) 모듈은 다수의 엘이디 칩들이 형성된 웨이퍼(wafer)를 접착 시트에 접착하는 접착공정, 상기 접착 시트에 접착된 상기 웨이퍼를 절단하여 상기 다수의 엘이디 칩을 각각 개별화하는 소잉 공정, 개별화된 상기 엘이디 칩을 상기 접착 시트로부터 분리하는 다이 분리 공정, 상기 접착 시트로부터 분리된 상기 엘이디 칩을 리드 프레임에 본딩하는 다이 본딩 공정, 상기 엘이디 칩을 리드 프레임의 접속 패드와 와이어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본딩 공정, 상기 엘이디 칩을 에폭시(epoxy) 수지로 몰딩하는 몰딩 공정, 및 개개의 엘이디 모듈로 분할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엘이디 모듈은 그 제조과정에서 특성이 광범위하게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광학시험이나 전기시험 등 다양한 성능시험을 통해 각각 등급이 결정되어야 하고 결정된 등급에 따라 등급 분류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하,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엘이디 모듈의 분류장치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엘이디 모듈의 분류장치(1)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며 측면에 다수의 관통공(13)이 형성된 분류통(11), 및 상기 분류통(11)의 관통공(13)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빈 공급관(12)을 구비한 분류부(10)와, 상기 다수의 관통공(13) 중 목표로 하는 관통공(13)으로 이동하여 엘이디 모듈을 전달하는 분류기 작동부(20)와, 등급이 결정된 엘이디 모듈을 상기 분류기 작동부(20)로 공급하도록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불어넣는 블로어(blower)(30)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기술의 작동 관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등급이 결정된 엘이디 모듈이 블로어(30)에 배치되면, 이를 감지한 상기 분류기 작동부(20)가 해당 등급에 해당하는 빈 공급관(12)과 연통하는 관통공(13)으로 이동하여 대기하게 되고, 이후 상기 블로어(30)가 에어를 공급하면 상기 엘이디 모듈이 분류기 작동부(20), 관통공(13), 및 빈 공급관(1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빈(40)에 수용되어 등급분류를 완료하게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빈(40)은 빈 설치용 운반 프레임(50)에 하나씩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위에서 아래쪽으로 바라볼 때, 상기 빈 설치용 운반 프레임(50) 의 빈 지지판(53)에는 각각의 빈(40)이 삽입되기 위한 빈 설치구멍(51)이 등급별로 형성되어 있어 빈(40)을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삽입하는 방식으로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빈 설치용 운반 프레임(50)의 바깥쪽에는 상기 빈 설치용 운반 프레임(50)을 하부에서 수용하며, 분류되는 엘이디 모듈을 안내하기 위한 고정 프레임(6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60)은 빈 설치용 운반 프레임(50)의 빈 지지판(53) 상부에서 상기 빈 설치구멍(51)에 대응되도록 다수의 엘이디 통과구멍(61)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 플레이트(62)와, 상기 안내 플레이트(62)를 바닥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63)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구성에 따라, 등급분류가 완료된 엘이디 모듈이 블로어(30)에 의해 기동되어 분류기 작동부(20), 관통공(13), 빈 공급관(12), 튜브(B), 및 엘이디 통과구멍(61)을 거쳐 빈(40)으로 공급된다.
한편, 이러한 엘이디 모듈의 등급분류작업을 수만 또는 수십만개의 엘이디 모듈을 대상으로 수행하면 어느 순간 특정한 빈(40)이 완전히 충전되어 더 이상 빈(40)을 수용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된다.
이 경우 빈(40)이 설치되어 있는 빈 설치용 운반 프레임(50)을 손잡이(52) 등을 이용하여 빼낸 상태에서, 충전된 빈(40)으로부터 엘이디 모듈을 완전히 비운 상태에서 다시 원래의 빈 설치구멍(51) 위치로 복원시켜 주어야 한다.
그러나 빈(40)의 교체를 위해 빈 설치용 운반 프레임(50)을 고정 프레임(60)으로부터 분리하더라도, 엘이디 모듈의 분류장치는 계속 작동하고 있기 때문에 등 급분류되어 빈으로 이동하던 엘이디 모듈이 고정 프레임(60)의 바닥에 바로 낙하함으로써 엘이디 모듈의 분류작업이 불완전하게 될 뿐만 아니라 낙하한 엘이디 모듈을 폐기 처분할 경우 재료의 낭비가 커지고 작업장의 바닥도 청소해주어야 하므로 추가적인 노동력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단점을 피하기 위해 엘이디 모듈 분류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면 유휴시간에 의한 생산성의 감소가 불가피했다.
한편, 종래에는 빈을 교체할 때 해당 빈을 식별할 수 있는 별도의 표식이 없어서 다수의 빈을 한번에 교체할 때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기 어렵고 교체시간도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빈의 교체시 빈으로부터 엘이디 모듈을 비울 때 정전기 등에 의해 엘이디 모듈이 빈의 내측면이나 바닥에 붙어 있어, 완전히 비울 때까지 시간과 노동력이 소모되는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빈의 교체시 엘이디 모듈 분류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엘이디 모듈이 바닥에 낙하하는 경우가 없도록 함으로써 엘이디 모듈 분류작업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엘이디 모듈 분류용 빈 설치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모듈 분류용 빈 설치 조립체는, 다수의 빈이 세워져서 설치되도록 다수의 빈 설치구멍이 형성되는 빈 지지판을 구비한 빈 설치용 운반 프레임과, 상기 빈 지지판의 상부에서 상기 다수의 빈 설치구멍에 대응되도록 다수의 엘이디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 플레이트를 구비한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내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안내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 평면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엘이디 통과구멍에 대응하는 다수의 빈 개폐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빈 개폐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빈 개폐부재에는 개폐부재 구동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개폐부재 구동장치는 빈 개폐부재와 안내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선형 모터일 수 있다.
대신, 상기 개폐부재 구동장치는 빈 개폐부재와 안내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가압 실린더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빈 개폐부재와 안내 플레이트 사이에는 안내수단이 개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빈 개폐부재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한 빈 설치용 운반 프레임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빈 개폐부재와 안내 플레이트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빈 개폐부재에 의해 임시로 엘이디 모듈이 낙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충전된 빈의 교체작업 중에도 엘이디 모듈의 분류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엘이디 모듈의 분류장치를 항상 가동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증가하고 전력의 소모 및 고장율을 줄일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하, 도 3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엘이디 분류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부여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엘이디 모듈의 분류장치(1)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며 측면에 다수의 관통공(13)이 형성된 분류통(11), 및 상기 분류통(11)의 관통공(13)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빈 공급관(12)을 구비한 분류기 박스(10)와, 상기 다수의 관통공(13) 중 목표로 하는 관통공(13)으로 이동하여 엘이디 모듈을 전달하는 분류기 작동부(20)와, 등급이 결정된 엘이디 모듈을 상기 분류기 작동부(20)로 공급하도록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불어넣는 블로어(blower)(30)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등급이 결정된 엘이디 모듈이 블로어(30)에 배치되면, 이를 감지한 상기 분류기 작동부(20)가 해당 등급에 해당하는 빈 공급관(12)과 연통하는 관통공(13)으로 이동하여 대기하게 되고, 이후 상기 블로어(30)가 에어를 공급하면 상기 엘이디 모듈이 분류기 작동부(20), 관통공(13), 및 빈 공급관(1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빈(40)에 수용되어 등급분류를 완료하게 된 다.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빈(40)은 빈 설치용 운반 프레임(50)의 빈 지지판(53)에 하나씩 세워져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위에서 아래쪽으로 바라볼 때, 상기 빈 설치용 운반 프레임(50)의 수평으로 설치된 빈 지지판(53)에는 각각의 빈(40)이 삽입되기 위한 다수의 빈 설치구멍(51)이 등급별로 형성되어 있어 빈(40)을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삽입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빈 설치용 운반 프레임(50)의 바깥쪽에는 상기 빈 설치용 운반 프레임(50)을 수용하며 엘이디 모듈의 공급을 안내하기 위한 고정 프레임(60)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 프레임(60)은, 빈 설치용 운반 프레임(50)의 상부에서 상기 빈 설치용 운반 프레임(50)의 빈 지지판(53)에 형성된 빈 설치구멍(51)에 대응되도록 다수의 엘이디 통과구멍(61)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 플레이트(62)와, 상기 안내 플레이트(62)를 바닥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63)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구성에 따라, 등급분류가 완료된 엘이디 모듈이 블로어(30)에 의해 기동되어 분류기 작동부(20), 관통공(13), 빈 공급관(12), 튜브(B), 및 엘이디 통과구멍(61)을 거쳐 빈(40)으로 공급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내 플레이트(62)의 하부에서 상기 안내 플레이트에 대하여 평면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엘이디 통과구멍(61)에 대응하는 다수의 빈 개폐구멍(110)이 형성되어 있는 빈 개폐부재(10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빈 개폐부재(100)는 두꺼운 판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판 형상으로 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안내 플레이트(62)의 하부에서 상대적인 평면운동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빈 개폐부재(100)의 평면이동은 작업자가 빈의 충전상태에 관하여 육안이나 경고음을 인지하고 난 후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별도의 감지장치 및 개폐부재 구동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특정의 빈 내에서 엘이디 모듈이 충전된 것이 감지되고, 이 감지된 신호가 제어부에 전달되며, 이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가 상기 구동장치에 기계적 운동을 위한 신호를 부여함으로써 빈 개폐부재(100)의 평면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 구동장치는 빈 개폐부재(100)와 안내 플레이트(62) 사이에 배치된 선형 모터(3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신, 상기 개폐부재 구동장치는 빈 개폐부재(100)와 안내 플레이트(62) 사이에 배치된 가압 실린더(미도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빈 개폐부재(100)와 안내 플레이트(62) 사이에는 선형운동 가이드 등 전당한 안내수단(400)이 개재되어 정확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상기 빈 개폐부재(100)는 어느 하나의 빈(40)에 엘이디 모듈이 완전히 충전된 것이 감지된 순간 바로 작동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상기 빈 개폐부재(100)의 왕복이동범위는 상기 빈 개폐부재(100)가 상기 안내 플레이트(62)의 엘이디 통과구멍(61) 또는 빈(40)의 개구를 완전히 개방하거나 완전히 폐쇄하는 2개 위치 사이의 거리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빈 개폐부재(100)가 안내 플레이트(62)의 엘이디 통과구멍(61) 또는 빈(40)의 개구를 폐쇄할 경우에도 엘이디 모듈의 분류작업은 계속 진행되고 있으므로, 분류가 완료된 엘이디 모듈은 빈 개폐부재(10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튜브(B) 또는 파이프를 통해 내부에 쌓이게 된다. 즉, 빈을 교체하는 동안 상기 튜브(B)나 파이프가 엘이디 모듈을 수용하는 버퍼(buffer)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빈 개폐부재(100)는 안내 플레이트(62)에 대하여 상대적인 평면이동을 하게 되지만 엘이디 모듈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인접할 필요가 있다.
상기 빈 개폐부재(100)는 상기 고정 프레임(60)에 대한 빈 설치용 운반 프레임(50)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공간이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빈(40)과 빈 설치용 운반 프레임(50)의 빈 지지판(53)에 형성된 빈 설치구멍(51)의 주변에는 각각 구별되는 색상의 표식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별되는 색상은 각각 엘이디 모듈의 구별되는 등급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다수의 빈을 한번에 교체할 경우에도 빈 설치용 운반 프레임(50)의 해당 빈 설치구멍(51)에 해당 빈을 신속히 복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빈(40)의 내면에 대전(帶電) 방지용 코팅이 형성되도록 하면 엘이디 모듈을 비울 때 정전기 등에 의해 빈의 내면에 들러붙는 경우 없이 신속하게 처리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빈 설치 조립체를 포함하는 엘이디 모듈의 분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 설치 조립체를 포함하는 엘이디 모듈의 분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3에서 빈 개폐부재, 개폐부재 구동장치 및 안내수단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모듈 분류용 빈 설치 조립체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도 6에서 빈 지지판의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40 - 빈 50 - 빈 설치용 운반 프레임
60 - 고정 프레임 62 - 안내 플레이트
100 - 빈 개폐부재 110 - 빈 개폐구멍
300 - 선형 모터 400 - 안내수단

Claims (7)

  1. 다수의 빈이 세워져서 설치되도록 다수의 빈 설치구멍이 형성되는 빈 지지판을 구비한 빈 설치용 운반 프레임과, 상기 빈 지지판의 상부에서 상기 다수의 빈 설치구멍에 대응되도록 다수의 엘이디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 플레이트를 구비한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내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안내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 평면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엘이디 통과구멍에 대응하는 다수의 빈 개폐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빈 개폐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모듈 분류용 빈 설치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빈 개폐부재에는 개폐부재 구동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모듈 분류용 빈 설치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 구동장치는 빈 개폐부재와 안내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선형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모듈 분류용 빈 설치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 구동장치는 빈 개폐부재와 안내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가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모듈 분류용 빈 설치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빈 개폐부재와 안내 플레이트 사이에는 안내수단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모듈 분류용 빈 설치 조립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빈 개폐부재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한 빈 설치용 운반 프레임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모듈 분류용 빈 설치 조립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빈 개폐부재와 안내 플레이트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엘이디 모듈 분류용 빈 설치 조립체.
KR1020090123123A 2009-12-11 2009-12-11 엘이디 모듈 분류용 빈 설치 조립체 KR101090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123A KR101090688B1 (ko) 2009-12-11 2009-12-11 엘이디 모듈 분류용 빈 설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123A KR101090688B1 (ko) 2009-12-11 2009-12-11 엘이디 모듈 분류용 빈 설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461A true KR20110066461A (ko) 2011-06-17
KR101090688B1 KR101090688B1 (ko) 2011-12-08

Family

ID=44399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123A KR101090688B1 (ko) 2009-12-11 2009-12-11 엘이디 모듈 분류용 빈 설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6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1647A (zh) * 2012-11-14 2013-02-13 深圳市华腾半导体设备有限公司 一种电子元器件的分类分选方法
KR101375528B1 (ko) * 2013-01-07 2014-03-18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빈 적재 시스템
CN110034049A (zh) * 2019-04-03 2019-07-19 汤科尔 一种方形光电子器件的筛选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318B1 (ko) 2018-08-31 2020-06-18 (주)에이피텍 Led 모듈 분류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1647A (zh) * 2012-11-14 2013-02-13 深圳市华腾半导体设备有限公司 一种电子元器件的分类分选方法
CN102921647B (zh) * 2012-11-14 2014-09-03 深圳市华腾半导体设备有限公司 一种电子元器件的分类分选方法
KR101375528B1 (ko) * 2013-01-07 2014-03-18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빈 적재 시스템
CN110034049A (zh) * 2019-04-03 2019-07-19 汤科尔 一种方形光电子器件的筛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0688B1 (ko) 201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23909B (zh) 一种基于机器人视觉的自动送钉系统及方法
KR101090688B1 (ko) 엘이디 모듈 분류용 빈 설치 조립체
JP5291805B2 (ja) モールド用タブレット選別及び供給装置
CN104741326B (zh) 一种全自动贴片led碟片式分光分色机及其工作方法
CN103687469A (zh) 电子部件安装装置
KR101855886B1 (ko) 전자부품 분류장치
CN102169926A (zh) 用于检测发光二极管封装件的设备及使用其的检测方法
CN105775289A (zh) 用于监测贴标签机机头处标签吸附情况的电控系统及方法
CN103379818A (zh) 抓持吸嘴以及电子部件安装装置
CN202988329U (zh) 一种印刷品质量检测走纸设备
CN103465514A (zh) 小张检品糊盒一体机
CN105032791A (zh) 利用电池自动测试分拣装置进行电池测试与分拣的方法
KR20160118906A (ko) 부품 공급 장치
CN103929940A (zh) 碗式供给器组合体以及电子部件安装装置
CN206343883U (zh) 一种轴承装配机的分拣机构
KR101739780B1 (ko) 라벨 부착기
CN102815532A (zh) 一种用于板状电子零组件的分类派发设备
KR20110062709A (ko) 엘이디 모듈의 분류장치
CN203638623U (zh) 周转托盘回转装置
CN219173393U (zh) 散料振动供料、检测及分类设备
CN107303638A (zh) 一种阀柄自动上料识别压入装置
KR100554444B1 (ko) 트레이 이송식 반도체패키지 마킹방법 및 시스템
CN215572699U (zh) 一种产品尺寸检测设备
KR101115948B1 (ko) 엘이디 모듈의 분류장치
KR101423540B1 (ko) 전자 부품 검사 지그 교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