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886B1 - 전자부품 분류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886B1
KR101855886B1 KR1020110017648A KR20110017648A KR101855886B1 KR 101855886 B1 KR101855886 B1 KR 101855886B1 KR 1020110017648 A KR1020110017648 A KR 1020110017648A KR 20110017648 A KR20110017648 A KR 20110017648A KR 101855886 B1 KR101855886 B1 KR 101855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electronic component
line feeder
electronic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8006A (ko
Inventor
전성록
박준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017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886B1/ko
Priority to CN2011101848739A priority patent/CN102649116A/zh
Publication of KR20120098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8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1Subjecting similar articles in turn to test, e.g. "go/no-go" tests in mass production; Testing objects at points as they pass through a testing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7Circuits therefor
    • G01R31/2632Circuits therefor for testing diodes
    • G01R31/2635Testing light-emitting diodes, laser diodes or photodi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3Contacting devices, e.g. sockets, burn-in boards or mounting fix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02Contactless testing
    • G01R31/308Contactless testing using non-ioni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radiation
    • G01R31/311Contactless testing using non-ioni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radiation of integra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에서는, 전자부품을 반송유닛의 부품안착부재상으로 이동시키는 공급유닛의 구성에 있어서 큰 정밀도를 요하지 아니하면서도 전자부품을 부품안착부재로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하여 제시한다.

Description

전자부품 분류장치 {APPARATUS FOR SORTING ELECTRONIC PARTS}
본 발명은 전자부품의 특성을 검사하고 전자부품을 특성 별로 분류하는 전자부품 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다이오드(LED)와 같은 전자부품은 제작이 완료된 후 각각의 특성을 판별하기 위하여 검사되며, 검사가 완료된 전자부품은 각 특성 별로 분류된다. 이를 위하여 전자부품을 검사하고 각 특성 별로 분류하기 위한 전자부품 분류장치가 사용된다.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공급유닛과, 전자부품을 반송하는 반송유닛과, 전자부품이 반송되는 경로상에 설치되어 전자부품의 특성을 검사하는 검사유닛과, 검사유닛의 검사결과를 기준으로 전자부품을 특성 별로 분별하는 분별유닛과, 분별유닛에 의하여 분별된 전자부품을 특성 별로 수납하는 수납유닛으로 구성된다.
반송유닛은 전자부품이 안착되며 전자부품이 반송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부품안착부재를 구비하며, 전자부품은 이러한 부품안착부재상에 안착된 상태로 반송된다. 검사유닛은, 부품안착부재의 상측에 위치되며, 전자부품에 전원을 인가한 후, 부품안착부재에 안착된 전자부품의 상측에서 전원의 인가에 따른 전자부품의 상태를 측정하는 과정을 통하여 전자부품의 특성을 검사한다.
전자부품을 반송유닛의 부품안착부재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유닛은, 흡착노즐과, 흡착노즐과 연결되는 부압원과, 흡착노즐을 상측 및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와, 흡착노즐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로 구성되며, 이러한 공급유닛은 부압원에 의한 흡인력에 의하여 흡착노즐에 전자부품을 하나씩 흡착시키고 전자부품이 부품안착부재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흡착노즐을 이동 및 회전시켜 부품안착부재상에 전자부품을 안착시키는 방법으로 부품안착부재상으로 전자부품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공급유닛은 흡착노즐에 작용되는 부압의 변동 또는 흡착노즐의 회전력에 의하여 전자부품이 흡착노즐로부터 이탈되어 낙하되면서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흡착노즐의 정확한 위치에 전자부품을 흡착시킨 후 부품안착부재상의 정확한 위치에 전자부품을 안착시키기 위하여 공급유닛의 구성에 있어서의 큰 정밀도가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부품을 반송유닛의 부품안착부재상으로 이동시키는 공급유닛의 구성에 있어서 큰 정밀도를 요하지 아니하면서도 전자부품을 부품안착부재상으로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전자부품 분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전자부품이 안착되는 부품안착부재가 구비되는 반송유닛과, 상기 부품안착부재상으로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공급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부품안착부재를 향하여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라인피더와, 상기 라인피더와 연결되어 상기 라인피더에 진동을 가하여 상기 라인피더상에 위치된 전자부품을 상기 부품안착부재에 공급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라인피더와 연결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라인피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고정자와,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고정자에 인접되도록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자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상기 고정자에 인접되는 방향 및 상기 고정자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동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상기 부품안착부재에 대향하는 상기 라인피더의 단부에서 상기 전자부품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흡착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상기 라인피더와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라인피더상에서의 상기 전자부품을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상기 부품안착부재로 공급된 상기 전자부품의 상기 부품안착부재상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구동장치의 구동에 의하여 진동하는 라인피더를 구비하고, 라인피더의 진동을 이용하여 전자부품을 부품안착부재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은 흡착노즐을 이용하여 전자부품을 하나씩 부품안착부재상에 안착시키는 구성에 비하여 큰 정밀도를 요하지 아니하며 흡착노즐로부터 전자부품이 낙하하여 파손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라인피더의 단부에서 전자부품을 선택적으로 흡착시키는 흡착유닛을 구비하여 부품안착부재상으로 이동되어야 할 전자부품 외의 다른 전자부품을 라인피더의 단부에서 흡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부품안착부재상으로 이동되어야 할 전자부품 외의 다른 전자부품이 부품안착부재상으로 이동하거나 라인피더의 단부와 부품안착부재사이에 위치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라인피더의 단부에서의 전자부품의 유무 및 전자부품의 통과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구비하고, 감지유닛의 감지결과에 따라 턴테이블의 회전동작 및/또는 흡착유닛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라인피더로부터 부품안착부재로의 전자부품의 공급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전자부품의 부품안착부재상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전자부품을 부품안착부재상의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부품 분류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자부품 분류장치의 공급유닛과 반송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공급유닛의 라인피더와 반송유닛의 부품안착부재가 확대되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공급유닛의 구동장치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에서 공급유닛의 라인피더와 반송유닛의 부품안착부재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에서 공급유닛의 라인피더와 반송유닛의 부품안착부재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전자부품 분류장치의 다른 예로서, 라인피더와 부품안착부재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의 공급유닛, 반송유닛 및 위치결정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위치결정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공급유닛의 라인피더, 반송유닛의 부품안착부재 및 위치결정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위치결정유닛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3은 도 9의 전자부품 분류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에서 위치결정유닛의 다른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에서 위치결정유닛의 다른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전자부품(P)을 공급하는 공급유닛(10)과, 공급유닛(10)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자부품(P)을 반송하는 반송유닛(20)과, 반송유닛(20)에 의하여 전자부품(P)이 반송되는 경로상에 설치되어 전자부품(P)의 특성을 검사하는 검사유닛(30)과, 검사유닛(30)의 검사결과에 따라 전자부품(P)을 특성 별로 선별하여 분배하는 분별유닛(40)과, 분별유닛(40)에 의하여 분별된 전자부품(P)이 특성 별로 나뉘어 수납되는 수납유닛(50)과, 전자부품(P)을 분류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반송유닛(20)은 회전되는 원판형상의 턴테이블(21)과, 턴테이블(21)의 둘레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공급유닛(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자부품(P)이 안착되는 부품안착부재(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품안착부재(22)는 턴테이블(21)의 상측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턴테이블(21)의 회전에 의하여 부품안착부재(22)가 턴테이블(21)의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부품안착부재(22)상에 안착된 전자부품(P)이 검사유닛(30)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검사유닛(30)은 턴테이블(21)의 회전에 의하여 턴테이블(21)의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는 전자부품(P)의 특성을 검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전자부품(P)이 발광다이오드가 되는 경우, 검사유닛(30)은 발광다이오드에 전원을 인가한 후 발광다이오드에서 발광되는 광의 휘도를 측정하는 제1검사부(31)와, 발광다이오드에 전원을 인가한 후 발광다이오드에서 발광되는 광의 색도를 측정하는 제2검사부(32)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검사부(31) 및 제2검사부(32)에 의하여 검사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는 그 휘도 및 색도의 특성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분별유닛(40)은, 검사유닛(30)에 의하여 검사가 완료된 전자부품(P)을 턴테이블(21)상의 부품안착부재(22)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장치(41)와, 턴테이블(21)의 일측에 설치되며 분리장치(41)에 의하여 분리된 전자부품(P)이 유입되는 제1도관(42)과, 제1도관(42)과 연통되어 제1도관(42)을 통하여 유입되는 전자부품(P)을 분별하는 분별장치(43)와, 분별장치(43)에 의하여 분별된 전자부품이 배출되는 복수의 제2도관(4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납유닛(50)은, 수납유닛(50)에 마련되는 수용공간(51) 내에 배치되며 복수의 제2도관(45)이 연결되는 연결플레이트(53)와, 연결플레이트(53)를 통하여 제2도관(45)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수납통(54)과, 복수의 수납통(54)을 수용하는 트레이(55)와, 트레이(55)를 수납유닛(50)의 수용공간(51)으로 삽입시키는 방향 및 수납유닛(50)의 수용공간(51)으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트레이이동장치(5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검사유닛(30)의 검사결과에 따라 분별유닛(40)에 의하여 분별되어 복수의 제2도관(45)으로 유입된 전자부품(P)은 각 특성 별로 복수의 수납통(54)에 나뉘어 수납된다. 연결플레이트(53)는 복수의 제2도관(45)을 지지하는 것과 아울러 복수의 수납통(54)이 수용된 트레이(55)가 수납유닛(50)의 수용공간(51)에 삽입되는 경우 복수의 제2도관(45)과 복수의 수납통(54)이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트레이(55)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유닛(10)은, 복수의 전자부품(P)이 수용되어 회전되는 볼피더(bowl feeder)(11)와, 볼피더(11)의 일측에 배치되어 직선형으로 연장되며 볼피더(11) 내의 전자부품(P)이 반송유닛(20) 쪽으로 이송되는 것을 안내하는 라인피더(line feeder)(12)와, 라인피더(12)와 연결되어 라인피더(12)상에 위치된 전자부품(P)이 부품안착부재(22)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라인피더(12)에 직선형의 진동을 가하는 구동장치(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라인피더(12)는 볼피더(11)의 일측에서 턴테이블(21)상의 부품안착부재(22)를 향하여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라인피더(12)에는 전자부품(P)의 이동을 안내홈(121)이 라인피더(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볼피더(11) 내로 복수의 전자부품(P)이 반입되면, 볼피더(11) 내의 전자부품(P)은 볼피더(11)의 회전에 의하여 볼피더(11)의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다가 라인피더(12)에 안내되어 순차적으로 반송유닛(20) 쪽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13)는, 라인피더(12)와 연결되는 이동부재(131)와, 이동부재(131)를 전자부품(P)의 공급방향(도 5에서의 A방향) 및 그 반대방향(도 5에서의 B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132)와, 이동부재(131)와 지지부재(132)의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부재(133)와, 이동부재(131)와 지지부재(132)의 사이에서 지지부재(132)에 설치되는 고정자(134)와, 이동부재(131)와 지지부재(132)의 사이에서 고정자(134)에 인접되도록 이동부재(131)에 설치되고, 고정자(134)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고정자(134)에 인접되는 방향 및 고정자(134)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동자(1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부재(131)가 지지부재(132)에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132)에는 이동부재(131)와 연결되어 이동부재(132)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136)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가이드(136)를 별도로 마련하지 아니하고 이동부재(131)가 탄성부재(133)를 통하여 지지부재(132)에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탄성부재(133)로는,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 소정의 탄성계수를 가지는 다양한 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가동자(135)와 고정자(134) 중 어느 하나는 자성을 가지는 부재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는 전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가동자(135)와 고정자(134)가 모두 전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가동자(135)와 고정자(134) 사이에는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될 수 있다.
도 5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가동자(135)는 고정자(134)를 기준으로 전자부품(P)의 이동방향(A방향)의 전방측에 배치되므로, 가동자(135)와 고정자(134)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는 경우, 이동부재(131)는 전자부품(P)의 이동방향과 반대되는 방향(B방향)으로 이동되며, 가동자(135)와 고정자(134)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는 경우, 이동부재(131)는 A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가동자(135)와 고정자(134) 사이의 인력 및 척력을 이용하면, 이동부재(131)가 A방향 및 B방향으로 왕복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133)는 이동부재(131)에 공진이 발생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가동자(135)와 고정자(134) 사이의 인력 및 척력을 모두 이용하지 않고 어느 하나만 이용할 수 있다. 즉, 가동자(135)와 고정자(134) 사이의 인력을 이용하여 이동부재(131)를 B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가동자(135)와 고정자(134) 사이의 인력을 해제하면 탄성부재(133)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이동부재(131)는 A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가동자(135)와 고정자(134) 사이의 척력을 이용하여 이동부재(131)를 A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가동자(135)와 고정자(134) 사이의 척력을 해제하면 탄성부재(133)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이동부재(131)는 B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동자(135)와 고정자(134) 사이의 인력 및 척력을 이용하면, 이동부재(131)가 A방향 및 B방향으로 왕복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동자(135), 고정자(134), 탄성부재(133)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이동부재(131)가 A방향 및 B방향으로 왕복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라인피더(12)가 A방향 및 B방향으로 왕복으로 진동될 수 있다. 이러한 라인피더(12)의 진동에 의하여 라인피더(12)상에 위치된 전자부품(P)은 라인피더(12)의 안내홈(121)을 따라 부품안착부재(22)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라인피더(12)에 진동을 가하기 위하여 가동자(135), 고정자(134) 및 탄성부재(133)로 구성되는 구동장치(13)에 대하여 제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구동장치(13)로 리니어모터,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볼스크류장치 등 이동부재(131)를 A방향 및 B방향으로 왕복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기구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회전되는 볼피더(11)의 내부에 전자부품(P)이 공급되고, 전자부품(P)이 볼피더(11)의 외주에서 라인피더(12)의 안내홈(121) 내로 유입되면, 구동장치(13)의 동작에 의하여 작용되는 라인피더(12)의 직선형의 진동에 의하여 전자부품(P)이 안내홈(121)에 안내되어 라인피더(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턴테이블(21)의 회전에 의하여 전자부품(P)이 안착되지 않은 빈 상태의 부품안착부재(22)가 라인피더(12)의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면 라인피더(12)를 따라 이동하는 전자부품(P)이 부품안착부재(22)를 향하여 이동하여 부품안착부재(22)상에 안착된다.
전자부품(P)이 부품안착부재(22)상에 안착되면, 턴테이블(21)의 회전에 의하여 부품안착부재(22)가 턴테이블(21)의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전자부품(P)이 검사유닛(30)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부품안착부재(22)의 이동에 따라 검사유닛(30)으로 이동한 전자부품(P)은 검사유닛(30)에 의하여 그 특성이 검사되며, 검사유닛(30)에서 측정한 전자부품(P)의 특성에 관한 검사결과는 제어유닛(60)에 저장된다. 그리고, 턴테이블(21)의 회전에 따른 부품안착부재(22)의 이동에 의하여 검사가 완료된 전자부품(P)이 분별유닛(40)으로 이동하며, 전자부품(P)의 검사결과를 근거로 한 제어유닛(60)의 제어에 따른 분별유닛(40)의 동작에 의하여, 전자부품(P)이 부품안착부재(22)상으로부터 분리됨과 함께 전자부품(P)의 특성 별로 나뉘어 수납유닛(50)의 수납통(54)으로 수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구동장치(13)의 구동에 의하여 진동하는 라인피더(12)를 구비하고, 라인피더(12)의 진동을 이용하여 전자부품(P)을 부품안착부재(22)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은 흡착노즐을 이용하여 전자부품(P)을 하나씩 부품안착부재상에 안착시키는 구성에 비하여 큰 정밀도를 요하지 아니하며 흡착노즐로부터 전자부품이 낙하하여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부품안착부재(22)에 대향하는 라인피더(12)의 단부에는 전자부품(P)을 흡착하는 흡착유닛(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흡착유닛(70)은, 라인피더(12)의 단부에 형성되는 흡착홀(71)과, 흡착홀(71)과 연결통로(72)를 통하여 연통되는 부압발생장치(73)와, 연결통로(72)상에 설치되는 스위치(7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압발생장치(73) 및 스위치(74)의 동작은 제어유닛(60)에 의하여 제어되며, 이에 따라, 라인피더(12)의 단부에서 전자부품(P)은 흡착홀(71)에 선택적으로 흡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부품안착부재(22)가 라인피더(12)의 단부와 인접되게 위치되는 경우에는 흡착홀(71)에서의 부압작용이 중단되어 전자부품(P)이 흡착홀(71)에서 흡착되지 않고 라인피더(12)로부터 부품안착부재(22)상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턴테이블(21)의 회전에 의하여 부품안착부재(22)가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흡착홀(71)에서의 부압작용이 재개됨에 따라 전자부품(P)이 흡착홀(71)에 흡착되어 전자부품(P)의 이동이 중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턴테이블(21)의 회전에 의하여 전자부품(P)이 안착되지 않은 빈 상태의 부품안착부재(22)가 라인피더(12)의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면 라인피더(12)를 따라 이동하는 전자부품(P)이 부품안착부재(22)를 향하여 이동하여 부품안착부재(22)상에 안착되면, 부품안착부재(22)에 안착된 전자부품(P)에 후속하는 전자부품(P)의 이동을 방지될 수 있도록, 제어유닛(60)의 제어에 따른 스위치(74)의 동작에 의하여 후속하는 전자부품(P)은 라인피더(12)의 단부에서 흡착홀(71)에 흡착되며, 이에 따라, 부품안착부재(22)상으로 이동되어야 할 전자부품(P)만이 라인피더(12)를 벗어나 부품안착부재(22)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턴테이블(21)의 회전에 의하여 전자부품(P)이 안착되지 않은 빈 상태의 부품안착부재(22)가 라인피더(12)의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면 스위치(74)의 동작에 의하여 흡착홀(71)에서의 부압작용이 중단되며, 이에 따라, 전자부품(P)이 라인피더(12)로부터 부품안착부재(22)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치(74)의 동작에 따른 흡착홀(71)에서의 부압작용의 중단 및 재개와, 턴테이블(21)의 회전에 따른 부품안착부재(22)의 이동에 의하여, 복수의 부품안착부재(22)상에는 전자부품(P)이 순차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라인피더(12)의 단부에서 전자부품(P)을 선택적으로 흡착시키는 흡착유닛(70)을 구비하고, 부품안착부재(22)상으로 이동되어야 할 전자부품(P)외에 다른 전자부품(P)을 라인피더(12)의 단부에서 흡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부품안착부재(22)상으로 이동되어야 할 전자부품(P)외에 다른 전자부품(P)이 부품안착부재(22)상으로 이동하거나 라인피더(12)의 단부와 부품안착부재(22)사이에 위치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라인피더(12)와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라인피더(12)의 단부에서의 전자부품(P)의 유무 및 전자부품(P)의 통과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감지유닛(80)은 라인피더(12)의 단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제어유닛(60)과 전기신호로 연결될 수 있다. 감지유닛(80)은, 라인피더(12)를 향하여 광을 발광한 후 라인피더(12)의 단부의 상측면이나 라인피더(12)의 단부상에 위치된 전자부품(P)의 상측면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광의 수광정보에 따라 라인피더(12)의 단부상에서의 전자부품(P)의 존부 및/또는 전자부품(P)의 통과여부를 감지하는 광학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감지유닛으로 라인피더(12)의 단부 및/또는 전자부품(P)과 물리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전자부품(P)의 존부 및/또는 전자부품(P)의 통과여부를 감지하는 구성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감지유닛(80)은 라인피더(12)의 단부상에서의 전자부품(P)의 위치여부 및 전자부품(P)의 통과여부를 감지하며, 제어유닛(60)은 감지유닛(80)의 감지결과를 근거로 하여 턴테이블(21)의 회전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라인피더(12)에서 부품안착부재(22)상으로 이동되어야 할 전자부품(P)이 라인피더(12)의 단부를 통과한 것을 감지유닛(80)이 감지한 경우에는, 제어유닛(60)은 부품안착부재(22)상에 안착된 전자부품(P)이 검사유닛(30)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턴테이블(21)이 회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라인피더(12)에서 부품안착부재(22)상으로 이동되어야 할 전자부품(P)이 라인피더(12)의 단부를 통과한 것을 감지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제어유닛(60)은 전자부품(P)이 통과하는 것을 감지될 때까지 턴테이블(21)의 회전이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같이 전자부품 분류장치에 흡착유닛(70)이 구비되는 경우, 제어유닛(60)은 감지유닛(80)의 감지결과를 근거로 하여 부압발생장치(73) 및 스위치(7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라인피더(12)에서 부품안착부재(22)상으로 이동되어야 할 전자부품(P)이 통과한 것을 감지유닛이 감지한 경우에는, 제어유닛(60)은 스위치(74)의 동작을 제어하여 후속하는 전자부품(P)을 흡착홀(71)에 흡착시켜 후속하는 전자부품(P)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라인피더(12)에서 부품안착부재(22)상으로 이동되어야 할 전자부품(P)의 통과를 감지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제어유닛(60)은 스위치(74)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자부품(P)이 흡착홀(71)에 흡착되지 않고 라인피더(12)를 따라 부품안착부재(22)상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안착부재(22)에는 부품안착부재(22)상으로 이동된 전자부품(P)을 흡착하는 흡착홀(77)이 형성될 수 있으며, 흡착홀(77)은 연결통로(78)를 통하여 부압발생장치(73)와 연통될 수 있으며, 연결통로(78)에는 스위치(79)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어유닛(60)은 감지유닛(80)의 감지정보에 따라 부품안착부재(22) 내의 흡착홀(77)과 연결되는 스위치(79)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라인피더(12)에서 부품안착부재(22)상으로 이동되어야 할 전자부품(P)이 통과한 것을 감지유닛(80)이 감지한 경우에는, 제어유닛(60)은 스위치(79)의 동작을 제어하여 라인피더(12)로부터 부품안착부재(22)로 이동하는 전자부품(P)을 부품안착부재(22)상에 흡착시킬 수 있으며, 라인피더(12)에서 부품안착부재(22)상으로 이동되어야 할 전자부품(P)의 통과를 감지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제어유닛(60)은 스위치(79)의 동작을 제어하여 부품안착부재(22)상에서 불필요한 흡입력이 작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유닛(60)은 감지유닛(80)에서 감지된 전자부품(P)의 감지여부를 근거로 하여 라인피더(12)로부터 부품안착부재(22)로 이동된 전자부품(P)의 개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라인피더(12)의 단부에서의 전자부품(P)의 유무 및 전자부품(P)의 통과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80)을 구비하고, 감지유닛(80)의 감지결과에 따라 턴테이블(21)의 회전동작 및/또는 흡착유닛(7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라인피더(12)로부터 부품안착부재(22)로의 전자부품(P)의 공급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라인피더(12)로부터 부품안착부재(22)로 공급된 전자부품(P)의 부품안착부재(22)상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유닛(9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위치결정유닛(90)은, 라인피더(12) 및 부품안착부재(22)의 일측에 설치되며 전자부품(P)의 공급방향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전자부품(P)의 전방측면(P1)과 접촉되는 접촉면(911)을 가지는 위치결정부재(91)와, 위치결정부재(91)와 가이드레일(921)을 통하여 연결되어 위치결정부재(91)를 전자부품(P)의 공급방향(도 11에서의 A방향) 및 그 반대방향(도 11에서의 B방향)으로 왕복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9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위치결정부재(91)는, 전자부품(P)의 공급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지지부(912)와, 지지부(912)로부터 부품안착부재(22)를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913)로 구성되는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부(913)의 하측에 단차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전자부품(P)의 전방측면(P1)과 접촉되는 접촉면(911)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위치결정부재(91)의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위치결정부재(91)의 형상으로, 전자부품(P)이 부품안착부재(22)에 안착될 때 부품안착부재(22)에 충돌하지 않고 전자부품(P)의 전방측면(P1)을 접촉면(911)에 접촉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이동장치(92)는, 턴테이블(21)이 회전되는 경우 위치결정부재(91)가 부품안착부재(22)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위치결정부재(91)를 전자부품(P)의 공급방향(A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동장치(92)는, 라인피더(12)의 단부에 인접되게 부품안착부재(22)가 위치된 경우, 위치결정부재(91)의 접촉면(911)이 전자부품(P)의 전방측면(P1)과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위치결정부재(91)를 전자부품(P)의 공급방향과 반대되는 방향(B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부품(P)이 라인피더(12)로부터 부품안착부재(22)상으로 공급되는 경우 전자부품(P)의 전방측면(P1)이 위치결정부재(91)의 접촉면(911)에 접촉되면서 전자부품(P)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이동장치(92)로는, 리니어모터, 볼스크류장치, 유압 또는 공압으로 동작하는 실린더를 구비한 직선이동기구 등 위치결정부재(90)를 직선형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와 같이 전자부품 분류장치에 감지유닛(80)이 구비되는 경우, 제어유닛(60)은 감지유닛(80)의 감지결과를 근거로 하여 위치결정유닛(9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라인피더(12)에서 부품안착부재(22)상으로 이동되어야 할 전자부품(P)이 통과한 것을 감지유닛이 감지한 경우에는, 제어유닛(60)은 이동장치(92)의 동작을 제어하여 접촉면(911)이 전자부품(P)의 전방측면(P1)과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위치결정부재(91)를 전자부품(P)의 공급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결정유닛(90)의 다른 예로서, 위치결정유닛(90)은, 부품안착부재(22)의 상측면에는 전자부품(P)의 형상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설치되는 돌출부(9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전자부품(P)이 라인피더(12)로부터 부품안착부재(22)상으로 공급되는 경우 전자부품(P)의 측면이 부품안착부재(22)상의 돌출부(98)에 접촉되면서 부품안착부재(22)상에서의 전자부품(P)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결정유닛(90)의 또 다른 예로서, 위치결정유닛(90)은, 부품안착부재(22)의 상측면에서 전자부품(P)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착홈(99)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전자부품(P)이 라인피더(12)로부터 부품안착부재(22)상으로 공급되는 경우 전자부품(P)의 측면이 부품안착부재(22)상의 안착홈(99)에 삽입되면서 부품안착부재(22)상에서의 전자부품(P)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분류장치는, 전자부품(P)의 부품안착부재(22)상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유닛(90)을 구비함으로써, 전자부품(P)을 부품안착부재(22)상의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10: 공급유닛 12: 라인피더
13: 구동장치 20: 반송유닛
22: 부품안착부재 30: 검사유닛
40: 분별유닛 50: 수납유닛
60: 제어유닛 70: 흡착유닛
80: 감지유닛 90: 위치결정유닛

Claims (8)

  1. 전자부품이 안착되는 부품안착부재가 구비되는 반송유닛;
    상기 부품안착부재를 향하여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라인피더와, 상기 라인피더와 연결되며 상기 라인피더상에 위치된 전자부품을 상기 부품안착부재로 공급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공급유닛; 및
    상기 전자부품이 상기 부품안착부재에 안착될 때 상기 전자부품과 접촉하여 상기 전자부품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결정유닛은,
    상기 라인피더 및 상기 부품안착부재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자부품의 공급방향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상기 전자부품의 전방측면과 접촉되는 접촉면을 가지는 위치결정부재; 및
    상기 위치결정부재를 상기 전자부품의 공급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왕복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분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라인피더와 연결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라인피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부재;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고정자; 및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고정자에 인접되도록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자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상기 고정자에 인접되는 방향 및 상기 고정자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동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분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안착부재에 대향하는 상기 라인피더의 단부에서 상기 전자부품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흡착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분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피더와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라인피더상에서의 상기 전자부품을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분류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안착부재의 상측면에는 상기 전자부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분류장치.
  8. 제1항 있어서,
    상기 부품안착부재의 상측면에는 상기 전자부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분류장치.
KR1020110017648A 2011-02-28 2011-02-28 전자부품 분류장치 KR101855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648A KR101855886B1 (ko) 2011-02-28 2011-02-28 전자부품 분류장치
CN2011101848739A CN102649116A (zh) 2011-02-28 2011-07-04 用于分选电子部件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648A KR101855886B1 (ko) 2011-02-28 2011-02-28 전자부품 분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006A KR20120098006A (ko) 2012-09-05
KR101855886B1 true KR101855886B1 (ko) 2018-05-10

Family

ID=46691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648A KR101855886B1 (ko) 2011-02-28 2011-02-28 전자부품 분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5886B1 (ko)
CN (1) CN10264911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36829A (zh) * 2012-09-19 2012-12-26 无锡红光微电子有限公司 To251/252分选机进料区保持块结构
CN103041995B (zh) * 2012-11-28 2014-07-16 东莞市凯昶德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连接器外壳引脚变形自动筛选机
CN103043422B (zh) * 2012-12-20 2015-11-04 广东志成华科光电设备有限公司 一种led分光机的供料装置
CN103878126B (zh) * 2014-04-08 2017-01-04 苏州嘉大电子有限公司 一种led器件分选机
TW201613699A (en) * 2014-10-02 2016-04-16 All Ring Tech Co Ltd Electronic component sorting method and device
CN104355069B (zh) * 2014-11-11 2017-01-18 苏州新豪轴承股份有限公司 一种无内圈滚针轴承自动分组系统
CN109597002B (zh) * 2018-12-28 2021-02-26 陈清尧 一种led测试检测装置
CN111515136A (zh) * 2020-04-09 2020-08-11 南京华群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气动筛选式零件表面检测装置
CN111468424B (zh) * 2020-04-21 2021-07-30 临海龙威灯饰有限公司 一种能快速筛分led灯的流水生产检测装置
CN112642737A (zh) * 2021-01-25 2021-04-13 福州派利德电子科技有限公司 集成电路测试分选机送料分粒装置及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9002A (ja) * 2004-02-06 2005-08-18 Unitec:Kk 素子分別収納装置
JP2007230661A (ja) 2006-02-27 2007-09-13 Tokyo Weld Co Ltd ワーク搬送システム
JP2008024401A (ja) * 2006-07-19 2008-02-07 Murata Mfg Co Ltd 位置決め手段付き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31674C2 (de) * 1995-08-29 1997-06-19 Mrw Digit Electronicgeraete Gm Steuergerät für elektrisch angetriebene Vibrationsförderer
JPH10291623A (ja) * 1997-04-16 1998-11-04 Ishida Co Ltd 電磁フィーダー
CN201684732U (zh) * 2010-04-09 2010-12-29 福建省德传电子科技有限公司 全自动咪头测试机
CN101811615A (zh) * 2010-04-20 2010-08-25 哈尔滨博实自动化设备有限责任公司 电磁驱动式振动输送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9002A (ja) * 2004-02-06 2005-08-18 Unitec:Kk 素子分別収納装置
JP2007230661A (ja) 2006-02-27 2007-09-13 Tokyo Weld Co Ltd ワーク搬送システム
JP2008024401A (ja) * 2006-07-19 2008-02-07 Murata Mfg Co Ltd 位置決め手段付き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006A (ko) 2012-09-05
CN102649116A (zh) 201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886B1 (ko) 전자부품 분류장치
JP5457085B2 (ja) ワーク搬送分類装置及びワーク搬送分類方法
JP3062517B2 (ja) 物品整列装置
KR101020703B1 (ko) 발광소자 테스트 핸들러 및 발광소자 분류방법
CN105944975B (zh) 一种全自动led分光机的底部测试机构
CN103379818A (zh) 抓持吸嘴以及电子部件安装装置
KR100955698B1 (ko) 발광소자 테스트 핸들러
TWI486599B (zh) Led晶片分選設備
CN103796498A (zh) 吸嘴更换机构以及电子部件安装装置
TWI712807B (zh) 電子零件搬送裝置及電子零件檢查裝置
JP5375528B2 (ja) 電子部品検査装置
TW201431764A (zh) 模組積體電路分選機及模組積體電路分選機的上載方法
KR101855885B1 (ko) 전자부품 분류장치 및 전자부품 분류장치의 프로브유닛
KR101057797B1 (ko) 엘이디 칩 분류장치
JP5465973B2 (ja) 分類装置
TWI658981B (zh) 輸送裝置之承載機構及其應用之電子元件作業設備
JP4702262B2 (ja) ハンドラの半導体チップ検出方法及びハンドラ
KR100992176B1 (ko) 캠 승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칩 분류장치
TWI557047B (zh) An oscillating type detecting device for an electronic component holder and a working device for its application
KR20040029929A (ko) 워크 반송 수납 장치 및 워크 반송 수납 방법
JP2005536069A (ja) 保持装置を選択的に運動させるための装置および構成素子を搬送するための実装ヘッド
KR101092966B1 (ko) 엘이디 칩 분류장치
KR101092674B1 (ko) 소형압축스프링의 n,s극 선별 순차이송장치
KR101374698B1 (ko) Led 패키지 테스트 핸들러
KR20120115804A (ko) 발광소자 분류장치 및 발광소자 테스트 핸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