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6066A - 차량용 회전 전기기계 - Google Patents

차량용 회전 전기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6066A
KR20110066066A KR1020100036805A KR20100036805A KR20110066066A KR 20110066066 A KR20110066066 A KR 20110066066A KR 1020100036805 A KR1020100036805 A KR 1020100036805A KR 20100036805 A KR20100036805 A KR 20100036805A KR 20110066066 A KR20110066066 A KR 20110066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t
winding
coil end
phase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6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7884B1 (ko
Inventor
카즈노리 타나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66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windings, prior to mounting into machines
    • H02K15/0435Wound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8Forming windings by laying conductors into or around core parts
    • H02K15/085Forming windings by laying conductors into or around core parts by laying conductors into slotted st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0Applying solid insulation to windings, stators or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2Impregnating, heating or drying of windings, stators, rotors or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1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arranged in slo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8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around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48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in slo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indings For Motors And Generators (AREA)
  • Synchronous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선의 전기저항 및 동손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외주측의 코일 엔드부의 과도한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고정자를 구비한 차량용 회전 전기기계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 권선의 각각은, 슬롯(21c)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하여 나온 후, 둘레 방향으로 늘어나 6슬롯수 떨어진 슬롯(21c)에 들어가도록 도체선(30)을 동일 슬롯군의 각 슬롯(21c)의 내주측에 감겨 장착되어 구성된 제 1a상 내지 f상 분배 권선(232 내지 281)과, 슬롯(21c)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하여 나온 후, 둘레 방향으로 늘어나 6슬롯수 떨어진 슬롯(21c)에 들어가도록 도체선(30)를 동일 슬롯군의 각 슬롯(21c)의 외주측에 감겨 장착되어 구성된 제 2a상 내지 f상 분배 권선(232 내지 282)으로 2분할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a상 내지 f상 분배 권선(231 내지 281)의 코일 엔드부의 축방향 길이가, 제 2a상 내지 f상 분배 권선(232 내지 282)의 축방향 길이보다 짧다.

Description

차량용 회전 전기기계{AUTOMOTIVE DYNAMOELECTRIC MACHINE}
본 발명은, 차량용 교류 발전기 등의 차량용 회전 전기기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고정자는, 다수의 슬롯이 내주측으로 개구하도록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원통형상의 고정자 철심과, 소정 슬롯수 마다의 슬롯으로 구성되는 슬롯군의 각각에 감겨 장착된 복수의 권선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자 권선을 구비하고, 각 권선은, 도체선을 소정회수 권회하여 제작된 권선 유닛을 원통형상의 고정자 철심에 감겨 장착하여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여기서, 종래의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고정자에 있어서의 고정자 권선의 감아 장착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단면 원형의 도체선을 링 형상으로 소정회수 권회하여 제 1 권선 유닛을 제작하고, 계속해서 링 형상으로 소정회수 권회하여 제 2 권선 유닛을 제작한다. 계속해서, 제 1 및 제 2 권선 유닛을 절곡하여, 직선형상의 슬롯 수납부가 길이 방향을 지름방향으로 개략 일치시켜서 둘레 방향으로 소정 슬롯 피치로 배열되고, 소정 슬롯 피치 떨어진 이웃하는 슬롯 수납부의 단부끼리가 ㄷ자 형상의 코일 엔드에 의해 내주측 및 외주측으로 교대로 연결된 성형(星形) 패턴을 갖는 제 1 및 제 2 성형 권선 유닛을 제작한다.
계속해서, 제 1 및 제 2 성형 권선 유닛을 연결하고 있는 도체선의 부위에서 되접어 꺾고, 제 1 및 제 2 성형 권선 유닛의 성형 패턴의 코일 엔드가 지름방향으로 서로 대하도록, 제 1 및 제 2 성형 권선 유닛을 겹쳐서, 성형 권선 유닛을 제작한다.
계속해서, 성형 권선 유닛의 슬롯 수납부의 다발을 가압 성형기에 의해 단면 편평하게 소성 변형한다. 계속해서, 성형 권선 유닛을 변형하여, 슬롯 수납부가 길이 방향을 평행하게 하여 둘레 방향으로 소정 슬롯 피치로 배열된 원통형상의 분배 권선 유닛을 제작한다.
계속해서, 분배 권선 유닛의 일측의 코일 엔드군이 지름방향 안쪽을 향하도록 코일 엔드군을 개략 직각으로 절곡하고, 코일 엔드군의 지름방향 안쪽을 향하는 부위가 동일 슬롯군을 구성하는 슬롯의 각각의 개구를 통과하도록, 분배 권선 유닛을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코일 엔드군의 지름방향 안쪽을 향하는 부위가 슬롯의 각각의 개구를 통과하여 지날 때까지 분배 권선 유닛을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각 슬롯 수납부를 동일 슬롯군을 구성하는 각 슬롯 내에 수납한다. 계속해서, 절곡된 코일 엔드군이 축방향 바깥쪽에 향하도록 코일 엔드군을 개략 직각으로 절곡하고, 하나의 상 권선(相卷線)을 하나의 슬롯군에게 감아 장착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하여, 소정 슬롯수 마다의 슬롯으로 구성된 슬롯군의 각각에, 상 권선을 하나씩 감아 장착한다. 그리고, 감겨 장착된 복수의 상 권선을 교류 결선하여 고정자 권선을 제작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3-88021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고정자에서는, 각 슬롯군에게 감겨 장착된 권선이 단일한 분배 권선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배 권선 유닛을 고정자 철심의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슬롯 수납부를 고정자 철심의 슬롯 내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코일 엔드군의 축방향 길이를 슬롯 깊이보다 길게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권선을 구성하는 도체선의 길이가 길어지고, 권선의 전기저항이 커지고, 또한 동손(銅損)이 증대한다는 부적합함이 있다.
또한, 코일 엔드군은 회전자의 회전에 기인하여 지름방향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흐르는 냉각풍에 의해 냉각된다. 그러나, 각 코일 엔드의 축방향 길이가 개략 동등하기 때문에, 지름방향 외측의 코일 엔드가 냉각풍에 노출되지 않아, 과도하게 온도 상승한다는 부적합함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각 슬롯군에 감겨 장착되는 상 권선을 2개의 권선 유닛으로 분할 구성하고, 2개의 권선 유닛을 고정자 철심의 슬롯 내의 외주측과 내주측으로 나누어서 감아 장착하고, 내주측에 감겨 장착되는 권선 유닛을 구성하는 도체선의 길이를 단축하여, 권선의 전기저항 및 동손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외주측의 권선 유닛의 과도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고정자를 구비한 차량용 회전 전기기계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회전 전기기계는,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자와, 링 형상의 코어백부, 각각 해당 코어백부로부터 지름방향 안쪽으로 연재되어 둘레 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배열된 티스부, 이웃하는 해당 티스부에 의해 구획된 슬롯, 및 해당 티스부의 선단부터 둘레 방향 양측으로 연장 설치된 차양부를 갖는 원통형상의 고정자 철심, 및 소정 슬롯수 마다의 슬롯으로 구성된 슬롯군의 각각에 감겨 장착된 복수의 상 권선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자 권선을 가지며, 상기 회전자를 둘러싸도록 상기 브래킷에 지지된 고정자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상 권선의 각각은, 상기 슬롯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하여 나온 후, 둘레 방향으로 늘어나 상기 소정 슬롯수 떨어진 상기 슬롯에 들어가도록 도체선을 동일 슬롯군의 각 슬롯의 내주측에 감겨 장착되어 구성된 제 1 분할 권선과, 상기 슬롯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하여 나온 후, 둘레 방향으로 늘어나 상기 소정 슬롯수 떨어진 상기 슬롯에 들어가도록 상기 도체선을 동일 슬롯군의 각 슬롯의 외주측에 감겨 장착되어 구성된 제 2 분할 권선으로 분할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체선은, 상기 슬롯에 수납되는 직선형상의 슬롯 수납부와,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슬롯 수납부의 단부끼리를 연결한 ㄷ자 형상의 코일 엔드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분할 권선의 상기 코일 엔드부의 축방향 길이가, 상기 제 2 분할 권선의 축방향 길이보다 짧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롯의 내주측에 감겨 장착되어 구성된 제 1 분할 권선의 코일 엔드부의 축방향 길이가 슬롯의 외주측에 감겨 장착되어 구성된 제 2 분할 권선의 코일 엔드부의 축방향 길이보다 짧다. 그래서, 상 권선을 구성하는 도체선의 길이가 짧아지고, 권선의 전기저항 및 동손의 증대가 억제된다. 또한, 슬롯의 외주측에 감겨 장착되어 구성된 제 2 분할 권선의 코일 엔드부가 냉각풍에 노출되게 되어, 과도한 온도 상승이 억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에서의 고정자 철심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에서의 고정자 권선의 감겨 장착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에서의 고정자 권선의 감겨 장착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에서의 고정자 권선을 구성하는 a상 권선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에서의 고정자 권선을 구성하는 a상 권선의 감겨 장착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전기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에서의 고정자 권선을 구성하는 성형 분배 권선 유닛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에서의 분배 권선 유닛을 고정자 철심에 감아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에서의 분배 권선 유닛을 고정자 철심에 감아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에서의 분배 권선 유닛을 고정자 철심에 감아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에서의 고정자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회전 전기기계의 고정자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에서의 고정자 철심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에서의 고정자 권선의 감겨 장착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모식도이고, 고정자 철심의 티스부의 선단을 지름방향 안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에서의 고정자 권선의 감겨 장착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모식도이고, 고정자 철심의 축방향의 일단면을 축방향 바깥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에서의 고정자 권선을 구성하는 a상 권선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에서의 고정자 권선을 구성하는 a상 권선의 감겨 장착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전기회로도이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 부호 1 내지 16, 71, 72는 슬롯 번호를 나타낸다.
도 1에서, 차량용 회전 전기기계로서의 차량용 교류 발전기(1)는, 각각 거의 주발형상의 알루미늄제의 프론트 브래킷(2)과 리어 브래킷(3)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4)과, 이 하우징(4)에 축받이(5a, 5b)를 통하여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샤프트(6)와, 하우징(4)의 프론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샤프트(6)의 단부에 고정된 풀리(7)와, 샤프트(6)에 고정되어 하우징(4) 내에 배설된 회전자(8)와, 회전자(8)를 둘러싸도록 하우징(4)에 고정된 고정자(20)와, 샤프트(6)의 리어측에 고정되고, 회전자(8)에 전류를 공급하는 한 쌍의 슬립 링(12)과, 각 슬립 링(12)의 표면에 활주하는 한 쌍의 브러시(13)와, 이들의 브러시(13)를 수용하는 브러시 홀더(14)와, 고정자(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고정자(20)에서 생긴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15)와, 브러시 홀더(14)에 부착되어, 고정자(20)에서 생긴 교류 전압의 크기를 조정하는 전압조정기(16)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자(8)는, 여자 전류가 흘러서 자속을 발생하는 계자 코일(9)과, 계자 코일(9)을 덮도록 마련되고, 그 자속에 의해 자극이 형성되는 폴 코어(10)와, 폴 코어(10)의 축심 위치에 관통 장착된 샤프트(6)를 구비하고 있다. 팬(11)이 폴 코어(10)의 축방향 양단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고정자(20)는, 프론트 브래킷(2) 및 리어 브래킷(3)에 축방향 양측에서 끼여지지되고, 회전자(8)의 폴 코어(1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균일한 갭을 확보하고 폴 코어(10)을 둘러싸도록 부착된 고정자 철심(21)과, 고정자 철심(21)에 감겨 장착된 고정자 권선(22)을 구비하고 있다. '
다음에, 고정자(20)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고정자 철심(21)은,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링 형상의 코어백부(21a), 각각 코어백부(21a)의 내주면부터 지름방향 안쪽에 연재되고, 또한 둘레 방향으로 등각(等角) 피치로 배열하는 티스부(21b), 코어백부(21a)와 이웃하는 티스부(21b)에 의해 구획되는 슬롯(21c), 및 티스부(21b)의 선단부로부터 둘레 방향 양측으로 연재되는 차양부(21d)를 갖는다. 그리고, 티스부(21b)는, 각각 둘레 방향 폭이 지름방향 안쪽을 향하여 점차 좁아지는 끝이 가는 형상으로 제작되고, 슬롯(21c)은 단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자 철심(21)은, 예를 들면, 자성강판의 박판을 타발하여 제작된 링 형상의 철심편을 소정매 적층하고, 적층된 소정매의 철심편을 용접에 의해 일체화하여 원통형상으로 제작된 적층 철심이다. 또한, 도 2중, 철심편을 일체화한 용접부(19)가,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복수조(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용접부(19)의 각각은, 고정자 철심(21)의 외주면에 축방향의 일단부터 타단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자(8)의 폴 코어(10)의 폴형상 자극의 개수는 12이고, 슬롯(21c)의 개수는 72개이다. 즉, 슬롯(21c)은, 매극마다 상(相) 당 2의 비율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롯 번호 1번, 7번, 13번, …, 67번의 슬롯(21c)으로 이루어지는 슬롯군을 제 1 슬롯군, 슬롯 번호 2번, 8번, 14번, …, 68번의 슬롯(21c)으로 이루어지는 슬롯군을 제 2 슬롯군, 슬롯 번호 3번, 9번, 15번, …, 69번의 슬롯(21c)으로 이루어지는 슬롯군을 제 3 슬롯군, 슬롯 번호 4번, 10번, 16번, …, 70번의 슬롯(21c)으로 이루어지는 슬롯군을 제 4 슬롯군, 슬롯 번호 5번, 11번, 17번, …, 71번의 슬롯(21c)으로 이루어지는 슬롯군을 제 5 슬롯군, 슬롯 번호 6번, 12번, 18번, …, 72번의 슬롯(21c)으로 이루어지는 슬롯군을 제 6 슬롯군으로 한다.
고정자 권선(22)은, 제 1 슬롯군을 구성하는 슬롯(21c)에 도체선(30)을 감겨 장착되어 구성되는 a상 권선, 제 2 슬롯군을 구성하는 슬롯(21c)에 도체선(30)을 감겨 장착되어 구성되는 d상 권선, 제 3 슬롯군을 구성하는 슬롯(21c)에 도체선(30)을 감겨 장착되어 구성되는 b상 권선, 제 4 슬롯군을 구성하는 슬롯(21c)에 도체선(30)을 감겨 장착되어 구성되는 e상 권선, 제 5 슬롯군을 구성하는 슬롯(21c)에 도체선(30)을 감겨 장착되어 구성되는 c상 권선, 제 6 슬롯군을 구성하는 슬롯(21c)에 도체선(30)을 감겨 장착되어 구성되는 f상 권선을 갖는다. 여기서, 도체선(30)은, 절연 피복된 동선(銅線)으로 이루어지는 연속선이다.
a상 권선(23)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 1개의 도체선(30)을 슬롯 번호 1번의 슬롯(21c)으로부터 축방향 일측으로 연장하여 나오고, 고정자 철심(21)의 일단 면상을 둘레 방향 일측으로 늘어나 슬롯 번호 7번의 슬롯(21c)에 들어가고, 슬롯 번호 7번의 슬롯(21c)으로부터 축방향 타측으로 연장하여 나오고, 고정자 철심(21)의 타단면상을 둘레 방향 일측으로 늘어나 슬롯 번호 13번의 슬롯(21c)에 들어가도록, 제 1 슬롯군의 슬롯(21c)에 파권(波卷)으로 2턴 감아 장착한 후, 슬롯 번호 1번의 슬롯(21c)으로부터 축방향 일측으로 연장하여 나온 도체선(30)을, 고정자 철심(21)의 일단면상을 둘레 방향 타측으로 늘어나 슬롯 번호 67번의 슬롯(21c)에 들어가고, 슬롯 번호 67번의 슬롯(21c)으로부터 축방향 타측으로 연장하여 나오고, 고정자 철심(21) 의 타단면상을 둘레 방향 타측으로 늘어나 슬롯 번호 61번의 슬롯(21c)에 들어가도록, 제 1 슬롯군의 슬롯(21c)에 파권으로 2턴 감겨 장착되어 형성된 제 1 및 제 2a상 분배 권선(231, 232)으로 분할 구성되어 있다.
d상 권선(24)은, 각각, 1개의 도체선(30)을 제 2 슬롯군을 구성하는 슬롯(21c)에 마찬가지로 감겨 장착되어 형성된 제 1 및 제 2d상 분배 권선(241, 242)으로 분할 구성되어 있다. b상 권선(25)은, 각각, 1개의 도체선(30)을 제 3 슬롯군을 구성하는 슬롯(21c)에 마찬가지로 감겨 장착되어 형성된 제 1 및 제 2b상 분배 권선(251, 252)으로 분할 구성되어 있다. e상 권선(26)은, 각각, 1개의 도체선(30)을 제 4 슬롯군을 구성하는 슬롯(21c)에 마찬가지로 감겨 장착되어 형성된 제 1 및 제 2e상 분배 권선(261, 262)으로 분할 구성되어 있다. c상 권선(27)은, 각각, 1개의 도체선(30)을 제 5 슬롯군을 구성하는 슬롯(21c)에 마찬가지로 감겨 장착되어 형성된 제 1 및 제 2c상 분배 권선(271, 272)으로 분할 구성되어 있다. f상 권선(28)은, 각각, 1개의 도체선(30)을 제 6슬롯군을 구성하는 슬롯(21c)에 마찬가지로 감겨 장착되어 형성된 제 1 및 제 2f상 분배 권선(281, 282)으로 분할 구성되어 있다.
제 1a상 분배 권선(231)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서로 평행하게 하여 둘레 방향으로 6슬롯 피치(6P)로 배열되고, 또한 지름방향으로 4층으로 겹쳐저서 배열된 단면 편평한 슬롯 수납부(31)와,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슬롯 수납부(31)의 단부끼리를 축방향에 관해 교대로 연결하는 원형 단면의 코일 엔드부(32)를 갖는다. 그리고, 슬롯 수납부(31)의 단면 편평한 긴변 길이는, 슬롯(21c)의 둘레 방향 폭보다 약간 짧은 길이로 형성되고, 코일 엔드부(32)는, 슬롯(21c)의 개구 폭, 즉 차양부(21d) 사이의 간격보다 약간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a상 분배 권선(231)은, 코일 엔드부(32)의 축방향 길이가 길게 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제 1a상 분배 권선(231)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코일 엔드부(32)는,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슬롯 수납부(31)의 양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재되는 한 쌍의 상승부와, 한 쌍의 상승부의 연출 단부끼리를 둘레 방향으로 늘어나 연결하는 건너는부로 이루어지는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 엔드부(32)의 축방향 길이란, 상승부의 축방향 길이, 즉 슬롯 수납부(31)의 단부로부터 건너는부의 슬롯 수납부(31)측의 벽면까지의 축방향의 길이이다. 또한, ㄷ자 형상의 코일 엔드부(32)란, 건너는부가 직선형상으로 연재되어 있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U자형상으로 만곡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 1 슬롯군을 구성하는 각 슬롯(21c) 내에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8개의 슬롯 수납부(31)가, 단면 편평한 길이 방향을 둘레 방향을 향하게 하여, 지름방향으로 1렬로 나열하여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제 1a상 분배 권선(231)의 4개의 슬롯 수납부(31)이 서로 밀접하여 슬롯(21c) 내의 내주측에 위치하고, 제 2a상 분배 권선(232)의 4개의 슬롯 수납부(31)이 서로 밀접하여 슬롯(21c) 내의 외주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절연지(紙)(35)가 슬롯(21c)과 1렬로 배열된 슬롯 수납부(31)와의 사이에 개장되고 고정자 철심(21)과 슬롯 수납부(31) 사이의 절연이 확보되고, 웨지(36)가 슬롯(21c)의 개구측에 장착되어, 슬롯 수납부(31)의 튀여나감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d상 분배 권선(241, 242), 제 1 및 제 2b상 분배 권선(251, 252), 제 1 및 제 2e상 분배 권선(261, 262), 제 1 및 제 2c상 분배 권선(271, 272), 제 1 및 제 2f상 분배 권선(281, 282)은, 제 1 및 제 2a상 분배 권선(231, 232)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분배 권선의 슬롯 수납부(31)가 슬롯(21c) 내에 단면 편평한 길이 방향을 둘레 방향을 향하게 하여, 지름방향으로 1렬로 나열하여 수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1d상 분배 권선(241) 내지 제 1f상 분배 권선(281)의 슬롯 수납부(31)가 슬롯(21c) 내의 내주측에 위치하고, 제 2d상 분배 권선(242) 내지 제 2f상 분배 권선(282)의 슬롯 수납부(31)이 슬롯(21c) 내의 외주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분할 권선에 상당하는 제 1a상 분배 권선(231), 제 1d상 분배 권선(241), 제 1b상 분배 권선(251), 제 1e상 분배 권선(261), 제 1c상 분배 권선(271), 및 제 1f상 분배 권선(281)이, 각 슬롯(21c)의 내주측에 4층으로 감겨 장착되는 내층을 구성한다. 또한, 제 2 분할 권선에 상당하는 제 2a상 분배 권선(232), 제 2d상 분배 권선(242), 제 2b상 분배 권선(252), 제 2e상 분배 권선(262), 제 2c상 분배 권선(272), 및 제 2f상 분배 권선(282)이, 각 슬롯(21c)의 외주측에 4층으로 감겨 장착되는 외층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제 1a상 분배 권선(231)과 제 2a상 분배 권선(232)을 직렬로 접속한 a상 권선(23)과, 제 1b상 분배 권선(251)과 제 2b상 분배 권선(252)을 직렬로 접속한 b상 권선(25)과, 제 1c상 분배 권선(271)과 제 2c상 분배 권선(272)을 직렬로 접속한 c상 권선(27)을 △결선하여 제 1 삼상 교류 권선(22A)이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1d상 분배 권선(241)과 제 2d상 분배 권선(242)을 직렬로 접속한 d상 권선(24)과, 제 1e상 분배 권선(261)과 제 2e상 분배 권선(262)을 직렬로 접속한 e상 권선(26)과, 제 1f상 분배 권선(281)과 제 2f상 분배 권선(282)을 직렬로 접속한 f상 권선(28)을 △결선하여 제 2 삼상 교류 권선(22B)이 구성된다.
제 1 삼상 교류 권선(22A)과 제 2 삼상 교류 권선(22B)은, 전기각(電氣角) 30도의 위상차를 가지며,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 개별의 정류기(15)에 접속되어 있다.
고정자 권선(22)은, 제 1 삼상 교류 권선(22A)과 제 2 삼상 교류 권선(22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자 철심(21)의 축방향 한단측에서 6슬롯 떨어진 슬롯(21c)에 수납되어 있는 슬롯 수납부(31)을 연결하는 다수의 코일 엔드부(32)가 프론트측 코일 엔드군(22f)을 구성하고, 고정자 철심(21)의 축방향 타단측에서 6슬롯 떨어진 슬롯(21c)에 수납되어 있는 슬롯 수납부(31)를 연결하는 다수의 코일 엔드부(32)가 리어측 코일 엔드군(22r)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교류 발전기(1)는, 배터리(도시 생략)로부터 브러시(13), 슬립 링(12)을 통하여 계자 코일(9)에 계자 전류가 공급되어 자속이 발생한다. 이 자속에 의해, 폴 코어(10)의 폴형상 자극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N극과 S극으로 자화된다.
한편, 엔진의 회전 토오크가 벨트(도시 생략) 및 풀리(7)을 통하여 샤프트(6)에 전달되고, 회전자(8)이 회전된다. 그래서, 회전 자계가 고정자(20)의 고정자 권선(22)에 부여받고, 기전력이 고정자 권선(22)의 제 1 및 제 2 삼상 교류 권선(22A, 22B)에 발생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삼상 교류 권선(22A, 22B)에 발생한 교류의 기전력이, 각각 정류기(15)에 의해 직류로 정류됨과 함께, 그 출력 전압의 크기가 전압조정기(16)에 의해 조정되고, 배터리나 차량탑재 전기부하에 공급된다.
이 고정자(20)에서는, 고정자 권선(22)을 구성하는 a상 내지 f상 권선(23 내지 28)의 각 상 권선이 분배 권선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체선(30)은, 각 슬롯(21c)으로부터 고정자 철심(21)의 양단에 연장하여 나온 후, 둘레 방향 양측으로 구부러진다. 그래서, 각 슬롯(21c)으로부터 고정자 철심(21)의 양단에 연장하여 나온 후 둘레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부근에서의 각 상 권선을 구성하는 도체선(30)의 다발의 지름방향의 겹침이 둘레 방향으로 분산되지고, 지름방향의 팽창이 저감된다. 이에 의해, 프론트측 및 리어측 코일 엔드군(22f, 22r)의 둘레 방향에서의 요철이 적어지고, 프론트측 및 리어측 코일 엔드군(22f, 22r)과 팬(11) 사이의 압력 변동에 기인하는 바람 소음이 저감된다. 또한, 각 상 권선을 구성하는 도체선(30)의 다발의 지름방향의 겹침이 저감되고, 도체선(30)이 팬(11)에 의해 형성되는 냉각풍에 노출되기 쉬워지고, 고정자(20)에서의 발열이 프론트측 및 리어측 코일 엔드군(22f, 22r)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방열된다.
또한, 슬롯 수납부(31)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코일 엔드부(32)가 단면 원형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상 권선을 고정자 철심(21)에 장착할 때의 코일 엔드부(32)끼리의 스침에 기인하는 절연 불량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도체선(30)의 슬롯 수납부(31)이 단면 편평하게 제작되고, 단면 편평한 길이 방향을 둘레 방향을 향하게 하여, 지름방향으로 1렬로 나열하여 슬롯(21c) 내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도체의 점적률이 커지고, 고출력화가 도모된다.
또한, 각 상 권선이 2개의 분배 권선으로 분할 구성되고, 슬롯(21c)의 내주측에 감겨 장착되는 분배 권선의 코일 엔드부(32)의 축방향 길이가 슬롯(21c)의 외주측에 감겨 장착되는 분배 권선의 코일 엔드부(32)의 축방향 길이보다 짧게 되어 있다. 그래서, 상 권선을 구성하는 도체선(30)의 길이가 짧아지고, 상 권선의 전기저항이 작아지고, 또한 동손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슬롯(21c)의 외주측에 감겨 장착되는 분배 권선의 코일 엔드부(32)가, 슬롯(21c)의 내주측에 감겨 장착되는 분배 권선의 코일 엔드부(32)보다 축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나오고, 팬(11)에 의해 형성된 냉각풍에 노출되어, 과도한 온도 상승이 억제된다. 즉, 슬롯(21c)의 외주측에 감겨 장착되는 분배 권선이 슬롯(21c)의 내주측에 감겨 장착되는 분배 권선과 동등한 온도가 된다.
2개의 분리 권선을 병렬로 접속하여 상 권선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병렬로 접속되는 분배 권선에 인덕턴스 차가 발생하고, 손실이 커진다. 그러나, 각 상 권선이 2개의 분배 권선을 직렬로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배 권선을 병렬로 접속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것 같은 손실은 없다.
다음에, 고정자 권선(22)의 고정자 철심(21)에 감아 장착하는 방법에 관해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에서의 고정자 권선을 구성하는 성형(星形) 분배 권선 유닛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에서의 분배 권선 유닛을 고정자 철심에 감아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에서의 분배 권선 유닛을 고정자 철심에 감아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에서의 분배 권선 유닛을 고정자 철심에 감아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우선, 도 8의(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면 원형의 도체선(30)을 링 형상으로 2턴 권회하여 제 1 권선 유닛(40A)을 제작하고, 계속해서 링 형상으로 2턴 권회하여 제 2 권선 유닛(40B)을 제작한다. 계속해서, 제 1 및 제 2 권선 유닛(40A, 40B)을 절곡하여, 직선형상의 슬롯 수납부(31a)가 길이 방향을 지름방향으로 개략 일치시켜서 둘레 방향으로 소정 슬롯 피치로 배열되고, 소정 슬롯 피치 떨어진 이웃하는 슬롯 수납부(31a)의 단부끼리가 ㄷ자 형상의 코일 엔드부(32)에 의해 내주측 및 외주측으로 교대로 연결된 성형 패턴을 갖는 제 1 및 제 2 성형 권선 유닛(41A, 41B)을 제작한다.
계속해서, 제 1 및 제 2 성형 권선 유닛(41A, 41B)을 연결하고 있는 도체선(30)의 부위에서 되접어 꺾고, 제 1 및 제 2 성형 권선 유닛(41A, 41B)의 성형 패턴의 코일 엔드부(32)이 지름방향으로 서로 대하도록, 제 1 및 제 2 성형 권선 유닛(41A, 41B)을 겹쳐서, 도 8의(c)에 도시되는 성형 권선 유닛(42)을 제작한다.
계속해서, 성형 권선 유닛(42)의 슬롯 수납부(31a)의 다발을 가압 성형기(도시 생략)에 의해 단면 편평하게 소성 변형한다. 계속해서, 성형 권선 유닛(42)을 변형하여, 단면 편평하게 소성 변형된 슬롯 수납부(31)가 길이 방향을 평행하게 하여 둘레 방향으로 소정 슬롯 피치로 배열된 원통형상의 분배 권선 유닛(43)을 제작한다.
계속해서, 분배 권선 유닛(43)의 일측의 코일 엔드부(32)의 군이 지름방향 안쪽을 향하도록 코일 엔드부(32)의 각각을 개략 직각으로 절곡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롯 수납부(31)의 다발이 제 1 슬롯군을 구성하는 슬롯(21c)의 축방향 타측에 위치하도록 분배 권선 유닛(43)을 위치시켜서, 분배 권선 유닛(43)을 고정자 철심(21)의 축방향 일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코일 엔드부(32)의 지름방향 안쪽을 향하는 부위가, 슬롯(21c)의 축방향 타측에서 차양부(21d) 사이에 들어가고, 차양부(21d) 사이를 축방향 일측으로 이동하고, 슬롯 수납부(31)이 슬롯(21c) 내에 삽입된다.
그리고, 코일 엔드부(32)의 지름방향 안쪽을 향하는 부위가 차양부(21d) 사이의 각각을 통과할 때까지 분배 권선 유닛(43)을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각 슬롯 수납부(31)를 제 1 슬롯군을 구성한 각 슬롯(21c) 내에 수납한다. 계속해서, 절곡된 코일 엔드부(32)가 축방향 바깥쪽에 향하도록 코일 엔드부(32)를 개략 직각으로 절곡하여, 제 2a상 분배 권선(232)이 제 1 슬롯군의 각 슬롯(21c)의 외주측에 감겨 장착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마찬가지로 제작된 5개의 분배 권선 유닛(43)을, 마찬가지로, 제 2 내지 제 6 슬롯군의 각 슬롯(21c)에 순차적으로 장착한다. 이에 의해, 제 2d상 분배 권선(242) 내지 제 2f상 분배 권선(282)이 제 2 내지 제 6 슬롯군의 각 슬롯(21c)의 외주측에 감겨 장착된다.
계속해서, 도시하지 않지만, 제 1 내지 제 6 슬롯군의 각 슬롯(21c)의 내주측에 감겨 장착되는 분배 권선 유닛(43)을 마찬가지로 제작한다. 여기서, 각 슬롯(21c)의 내주측에 감겨 장착되는 분배 권선 유닛(43)에서는, 코일 엔드부(32)의 축방향 길이를 슬롯 깊이보다 길게 할 필요가 없다. 즉, 슬롯 수납부(31)가 각 슬롯(21c)의 외주측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 엔드부(32)의 축방향 길이를 슬롯(21c)의 내주측의 빈(空) 공간의 깊이보다 약간 길게 하면 좋다. 그래서, 이 분배 권선 유닛(43)에서의 코일 엔드부(32)의 축방향 길이를, 각 슬롯(21c)의 외주측에 감겨 장착되는 분배 권선 유닛(43)에서의 코일 엔드부(32)의 축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된 6개의 분배 감기 권선 유닛(43)을, 마찬가지로, 제 1 내지 제 6 슬롯군의 각 슬롯(21c)에 순차적으로 장착하고, 제 1a상 분배 권선(231) 내지 제 1f상 분배 권선(281)이 제 1 내지 제 6 슬롯군의 각 슬롯(21c)의 내주측에 감겨 장착된다. 그리고, 제 1a상 분배 권선(231)과 제 2a상 분배 권선(232)을 직렬로 접속하여 a상 권선(23)을 제작하고, 제 1d상 분배 권선(241)과 제 2d상 분배 권선(242)을 직렬로 접속하여 d상 권선(24)을 제작하고, 제 1b상 분배 권선(251)과 제 2b상 분배 권선(252)를 직렬로 접속하여 b상 권선(25)을 제작하고, 제 1e상 분배 권선(261)과 제 2e상 분배 권선(262)를 직렬로 접속하여 e상 권선(26)을 제작하고, 제 1c상 분배 권선(271)과 제 2c상 분배 권선(272)를 직렬로 접속하여 c상 권선(27)을 제작하고, 제 1f상 분배 권선(281)과 제 2f상 분배 권선(282)를 직렬로 접속하여 f상 권선(28)을 제작한다. 계속해서, a상 권선(23), b상 권선(25) 및 c상 권선(27)을 △결선하여 제 1 삼상 교류 권선(22A)을 제작하고, d상 권선(24), e상 권선(26) 및 f상 권선(28)을 △결선하여 제 2 삼상 교류 권선(22B)을 제작한다.
이와 같이, 각 상 권선이 2개의 분배 권선 유닛(43)으로 분할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롯(21c)의 내주측에 감아 장착하는 분배 권선 유닛(43)의 코일 엔드부(32)의 축방향 길이를 슬롯(21c)의 깊이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즉, 슬롯(21c)의 내주측에 감겨 장착되는 분배 권선 유닛(43)의 코일 엔드부(32)의 축방향 길이를 슬롯(21c)의 외주측에 감겨 장착되는 분배 권선 유닛(43)의 코일 엔드부(32)의 축방향 길이보다 짧게 할 수 있다. 그래서, 상 권선을 구성하는 도체선(30)의 길이가 짧아지고, 상 권선의 전기저항이 작아지고, 또한 동손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슬롯(21c)의 외주측에 감겨 장착되는 분배 권선 유닛(43)의 코일 엔드부(32)가 팬(11)에 의한 냉각풍에 노출되어, 과도한 온도 상승이 억제된다.
실시의 형태 2.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에서의 고정자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에서, 슬롯(21c)의 외주측에 감겨 장착된 분배 권선의 코일 엔드부(32)가 지름방향 안쪽으로 절곡되고, 슬롯(21c)의 내주측에 감겨 장착된 분배 권선의 코일 엔드부(32)의 축방향 바깥쪽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의 형태 2에서도,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효과를 이룬다.
이 실시의 형태 2에 의하면, 슬롯(21c)의 외주측에 감겨 장착된 분배 권선의 코일 엔드부(32)이 지름방향 안쪽으로 절곡되고, 슬롯(21c)의 내주측에 감겨 장착된 분배 권선의 코일 엔드부(32)의 축방향 바깥쪽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슬롯(21c)의 외주측에 감겨 장착된 분배 권선의 코일 엔드부(32)의 강성이 높아진다. 그래서, 프론트측 및 리어측 코일 엔드군(22f, 22r)이 진동에 의해 프론트 브래킷(2) 및 리어 브래킷(3)과 접촉하여, 절연피막을 손상시키는 사태가 억제된다.
실시의 형태 3.
이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와니스를 프론트측 및 리어측 코일 엔드군(22f, 22r)에 함침시켜서, 코일 엔드부(32)끼리를 고착시키고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의 형태 1, 2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의 형태 3에 의하면, 와니스를 프론트측 및 리어측 코일 엔드군(22f, 22r)에 함침시켜서, 코일 엔드부(32)끼리를 고정시키고 있기 때문에, 프론트측 및 리어측 코일 엔드군(22f, 22r)의 강성이 높아진다. 그래서, 프론트측 및 리어측 코일 엔드군(22f, 22r)이 진동에 의해 프론트 브래킷(2) 및 리어 브래킷(3)과 접촉하여, 절연피막을 손상시키는 사태가 억제된다.
여기서, 상기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와니스를 프론트측 및 리어측 코일 엔드군(22f, 22r)에 함침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함침 수지는 와니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절연성 수지라면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고정자 권선이 상 권선을 △결선하여 구성되여 있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고정자 권선은 상 권선을 Y결선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슬롯이 매극마다 상 당 2의 비율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슬롯은 매극마다 상 당 2의 비율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 예를 들면 슬롯을 매극마다 상 당 1의 비율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동일 슬롯군에게 감겨 장착되는 권선이 도체선을 슬롯으로부터 연장하여 나온 후, 둘레 방향의 양측으로 늘려서, 각각 다음의 슬롯에 들어가도록 형성된 분배 권선 유닛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동일 슬롯군에 감겨 장착되는 권선은 각 슬롯의 내주측에 감겨 장착되는 권선 유닛과, 각 슬롯의 외주측에 감겨 장착되는 권선 유닛으로 분할 구성되어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도체선을 슬롯으로부터 연장하여 나온 후, 둘레 방향의 일측으로만 늘어나서 다음의 슬롯에 들어가도록 구성된 권선 유닛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 1 및 제 2 삼상 교류 권선의 출력을 별개의 정류기에 의해 정류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제 1 및 제 2 삼상 교류 권선을 병렬로 접속하고, 그 출력을 하나의 정류기에 의해 정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차량용 교류 발전기에 관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차량용 교류 발전기에 한하지 않고, 차량용 전동기, 차량용 발전전동기 등의 차량용 회전 전기기계에 적용하여도, 같은 효과를 이룬다.
2 : 프론트 브래킷 3 : 리어 브래킷
8 : 회전자 20 : 고정자
21 : 고정자 철심 21a : 코어백부
21b : 티스부 21c : 슬롯
21d : 차양부 22 : 고정자 권선
22f : 프론트측 코일 엔드군 22r : 리어측 코일 엔드군
23 : a상 권선 24 : d상 권선
25 : b상 권선 26 : e상 권선
27 : c상 권선 28 : f상 권선
30 : 도체선 31 : 슬롯 수납부
32 : 코일 엔드부
231 : 제 1a상 분배 권선(제 1 분할 권선)
241 : 제 1d상 분배 권선(제 1 분할 권선)
251 : 제 1b상 분배 권선(제 1 분할 권선)
261 : 제 1e상 분배 권선(제 1 분할 권선)
271 : 제 1c상 분배 권선(제 1 분할 권선)
281 : 제 1f상 분배 권선(제 1 분할 권선)
232 : 제 2a상 분배 권선(제 2 분할 권선)
242 : 제 2d상 분배 권선(제 2 분할 권선)
252 : 제 2b상 분배 권선(제 2 분할 권선)
262 : 제 2e상 분배 권선(제 2 분할 권선)
272 : 제 2c상 분배 권선(제 2 분할 권선)
282 : 제 2f상 분배 권선(제 2 분할 권선)

Claims (7)

  1.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자와,
    링 형상의 코어백부, 각각 해당 코어백부로부터 지름방향 안쪽으로 연재되어 둘레 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배열된 티스부, 이웃하는 해당 티스부에 의해 구획된 슬롯, 및 해당티스부의 선단부터 둘레 방향 양측에 연장 설치된 차양부를 갖는 원통형상의 고정자 철심, 및 소정 슬롯수 마다의 슬롯으로 구성된 슬롯군의 각각에 감겨 장착된 복수의 상 권선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자 권선을 가지며, 상기 회전자를 둘러싸도록 상기 브래킷에 지지된 고정자를 구비하고,
    상기 상 권선의 각각은, 상기 슬롯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하여 나온 후, 둘레 방향으로 늘어나 상기 소정 슬롯수 떨어진 상기 슬롯에 들어가도록 도체선을 동일 슬롯군의 각 슬롯의 내주측에 감겨 장착되어 구성된 제 1 분할 권선과, 상기 슬롯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하여 나온 후, 둘레 방향으로 늘어나 상기 소정 슬롯수 떨어진 상기 슬롯에 들어가도록 상기 도체선을 동일 슬롯군의 각 슬롯의 외주측에 감겨 장착되어 구성된 제 2 분할 권선으로 분할 구성되어 있고.
    상기 도체선은, 상기 슬롯에 수납되는 직선형상의 슬롯 수납부와,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슬롯 수납부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ㄷ자 형상의 코일 엔드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분할 권선의 상기 코일 엔드부의 축방향 길이가, 상기 제 2 분할 권선의 축방향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회전 전기기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수납부는 단면 편평하게 구성되고, 상기 코일 엔드부는 단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롯의 각각에는, 상기 제 1 분할 권선의 상기 슬롯 수납부와 상기 제 2 분할 권선의 상기 슬롯 수납부가, 단면 편평의 긴변 방향을 둘레 방향을 향하게 하여 지름방향으로 1렬로 나열하고, 또한 해당 슬롯 내의 내주측과 외주측으로 나누어져서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회전 전기기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할 권선과 상기 제 2 분할 권선은, 상기 도체선이 상기 슬롯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하여 나온 후, 둘레 방향의 양측의 상기 소정 슬롯수 떨어진 상기 슬롯의 각각에 들어가도록 감겨 장착된 분배 권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회전 전기기계.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할 권선의 상기 코일 엔드부가 지름방향 안쪽으로 구부러져서, 상기 제 1 분할 권선의 상기 코일 엔드부의 축방향 바깥쪽으로 연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회전 전기기계.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 권선은, 상기 제 1 분할 권선과 상기 제 2 분할 권선을 직렬로 결선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회전 전기기계.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절연성 수지가, 상기 코일 엔드부에 의해 구성되는 코일 엔드군에게 함침되고, 해당 코일 엔드군을 구성하는 해당 코일 엔드부가 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회전 전기기계.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이 매 극마다 상당 2의 비율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회전 전기기계.
KR1020100036805A 2009-12-10 2010-04-21 차량용 회전 전기기계 KR1011078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80456 2009-12-10
JP2009280456A JP5089677B2 (ja) 2009-12-10 2009-12-10 車両用回転電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066A true KR20110066066A (ko) 2011-06-16
KR101107884B1 KR101107884B1 (ko) 2012-01-25

Family

ID=44130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6805A KR101107884B1 (ko) 2009-12-10 2010-04-21 차량용 회전 전기기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089677B2 (ko)
KR (1) KR101107884B1 (ko)
CN (1) CN1020978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3104A (ko) * 2011-07-27 2013-02-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동손저감타입 구동모터
WO2013140508A1 (ja) * 2012-03-19 2013-09-26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回転電機の固定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12013003663T5 (de) * 2012-07-26 2015-04-0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ktrische Rotationsmaschine
JP6366912B2 (ja) * 2013-08-07 2018-08-01 株式会社東芝 回転電機
JP5677530B2 (ja) * 2013-08-07 2015-02-25 東芝産業機器システム株式会社 回転電機の固定子巻線、回転電機の固定子、回転電機の固定子の製造方法、及び回転電機の固定子の製造に用いる治具
JP6356394B2 (ja) * 2013-08-07 2018-07-11 株式会社東芝 回転電機、及び回転電機の製造方法
WO2015052773A1 (ja) * 2013-10-08 2015-04-16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固定子
CN103795170B (zh) * 2014-01-07 2016-02-03 锦州汉拿电机有限公司 车辆用发电机或驱动马达的定子总成
TWI517525B (zh) * 2014-07-01 2016-01-11 Victory Ind Corp 交流發電機
TWI563775B (en) * 2014-07-01 2016-12-21 Victory Ind Corp Wound stator of an alternator
TWI517530B (zh) * 2014-07-01 2016-01-11 Victory Ind Corp Alternator stator windings and stator windings
TWI517524B (zh) * 2014-07-01 2016-01-11 Victory Ind Corp 交流發電機定子及定子繞組
WO2016136743A1 (ja) * 2015-02-26 2016-09-01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
JP6745202B2 (ja) * 2016-11-25 2020-08-26 株式会社Soken 回転電機
FR3078207B1 (fr) * 2018-02-16 2021-10-29 Ifp Energies Now Stator d'une machine electrique avec double insertion de bobinages dans les encoches
CN110556934B (zh) * 2018-05-31 2021-10-2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定子组件和具有其的电机
CN110556957B (zh) * 2018-05-31 2021-09-2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定子组件以及电机
CN110556932B (zh) * 2018-05-31 2021-10-2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定子组件及电机
CN110556952B (zh) * 2018-05-31 2021-09-2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定子组件及电机
CN110556933B (zh) * 2018-05-31 2021-10-2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定子组件及电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2743A (en) * 1981-02-09 1982-08-17 Nippon Denso Co Ltd Ac generator for vehicle
JP3920004B2 (ja) * 2000-05-12 2007-05-30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交流発電機
JP3484412B2 (ja) * 2000-12-26 2004-01-06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交流発電機およびその固定子の製造方法
JP3561249B2 (ja) * 2001-09-17 2004-09-02 三菱電機株式会社 交流発電機の固定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65688B2 (ja) 2005-09-27 2011-04-06 株式会社デンソー U字セグメント順次接合ステータコイル
WO2007138647A1 (ja) * 2006-05-25 2007-12-0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回転電機の固定子
JP4362145B2 (ja) 2009-04-06 2009-11-11 三菱電機株式会社 交流発電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25135A (ja) 2011-06-23
CN102097873B (zh) 2013-05-08
JP5089677B2 (ja) 2012-12-05
KR101107884B1 (ko) 2012-01-25
CN102097873A (zh)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7884B1 (ko) 차량용 회전 전기기계
JP5070255B2 (ja) 回転電機
US6979927B2 (en) Automotive alternating-current dynamoelectric machine
US9397542B2 (en) Stator manufacturing method used for automotive rotary electric machine
JP3484407B2 (ja) 車両用交流発電機
KR101165184B1 (ko) 회전 전기기계
TWI393327B (zh) 車輛用旋轉電機之固定子
JP5802581B2 (ja) 回転電機及びその生産方法
JP5460884B2 (ja) 車両用回転電機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巻線アッセンブリの製造方法
US7143506B2 (en) Rotary electric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80185933A1 (en) Three-phase rotating electrical machine
WO2008044703A1 (fr) Stator de machine électrique rotative
JP2011036010A (ja) 回転電機
JP4940252B2 (ja) 回転電機の製造方法
US6366000B1 (en) Alternator
JP2004350381A (ja) 回転電機の固定子
JP2002199677A (ja) 車両用交流発電機およびその固定子の製造方法
EP1109294B1 (en) Alternator
WO2014061406A1 (ja) 回転電機
JP5837106B2 (ja) 車両用回転電機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28919B2 (ja) 車両用回転電機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