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5514A - 밥솥 - Google Patents

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5514A
KR20110065514A KR1020117007930A KR20117007930A KR20110065514A KR 20110065514 A KR20110065514 A KR 20110065514A KR 1020117007930 A KR1020117007930 A KR 1020117007930A KR 20117007930 A KR20117007930 A KR 20117007930A KR 20110065514 A KR20110065514 A KR 20110065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ooker
hole
main body
steam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7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0463B1 (ko
Inventor
히데키 요시카와
겐조우 다카하시
카즈요시 네기시
겐타로 하시모토
신지 토미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65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수의 역류를 막고 신뢰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킨 밥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수단으로서는, 밥솥 본체(1)의 앞면에 취반동작 중에 발생하는 증기를 복수하기 위한 냉각수를 수용하는 증기처리 탱크(1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밥솥 본체에 회동 자유롭게 마련된 덮개(3)에는 밥솥 본체에 대해 덮개가 닫혀진 때에 밥솥 본체 내와 증기처리 탱크를 연통시키는 증기 도관(7)을 배설하고, 증기처리 탱크의 윗뚜껑(12)에 외기와 탱크 내부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통기구멍(12a) 및 증기 도관과 탱크 내부를 연통시키는 연통관(15)을 마련하고, 연통관의 한 측면에 냉각수의 소정의 수위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연통관과 증기처리 탱크의 상부 공간을 관통하는 관통구멍(19)을 마련하고, 연통관의 한 측면에 밥솥 본체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을 때는 그 관통구멍을 폐쇄하고, 밥솥 본체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을 때는 관통구멍을 개방하는 역지 밸브(20)를 마련한 것이다.

Description

밥솥{RICE COOKER}
본 발명은 증기의 회수를 행하는 밥솥(炊飯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각수의 역류를 막기 위해 역지 밸브(check valve)를 마련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밥솥은 취반(밥의 취사) 중에 발생하는 수증기를 밥솥 본체의 주위로 방출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증기를 탱크에 수용한 냉각수로 증기 도관에 의해 유도하여, 냉각수 중에 방산시킴으로써 복수(condensed water)하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03-231613호 공보(제 2페이지, 제 1도)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증기를 탱크에 회수하는 밥솥에서는 속솥(內釜)이 부압(負壓)이 된 때에, 탱크의 냉각수가 속솥 내로 역류하여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취반 종료 후에 있어서 탱크의 냉각수의 역류를 막고, 신뢰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킨 밥솥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밥솥은 밥솥 본체와 그 밥솥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 속냄비(內鍋)와, 그 밥솥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속냄비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그 밥솥 본체에 회동 자유롭게 마련된 덮개와, 밥솥 본체의 측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취반동작 중에 발생하는 증기를 복수하기 위한 냉각수를 수용하는 증기처리 탱크를 구비한 밥솥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상기 밥솥 본체에 대해 덮개가 닫힌 때에 밥솥 본체 내와 상기 증기처리 탱크를 연통시키는 증기 도관을 배설하고, 상기 증기처리 탱크의 윗뚜껑에 외기와 탱크 내부를 연통시키는 통기구멍 및 상기 증기 도관과 탱크 내부를 연통시키는 연통관을 마련하고, 상기 연통관의 한 측면에 그 연통관의 한 측면에서 냉각수의 소정 수위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그 연통관과 상기 증기처리 탱크의 상부 공간을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마련하고, 상기 연통관의 한 측면에 밥솥 본체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을 때는 그 관통구멍을 폐쇄하고, 밥솥 본체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을 때는 그 관통구멍을 개방하는 역지 밸브를 마련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밥솥에서는, 밥솥 본체의 측벽에 그 밥솥 본체의 취반동작 중에 발생하는 증기를 복수하여 회수하기 위해 냉각수를 수용하는 증기처리 탱크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밥솥 본체에 회동 자유롭게 마련된 덮개에는 그 밥솥 본체에 대해 그 덮개가 닫힌 때에 그 밥솥 본체 내와 상기 증기처리 탱크를 연통시키는 증기 도관을 배설하고, 상기 증기처리 탱크의 윗뚜껑에 외기와 탱크 내부를 연통시키는 통기구멍 및 상기 증기 도관과 탱크 내부를 연통시키는 연통관을 마련하고, 상기 연통관의 한 측면에 냉각수의 소정의 수위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그 연통관과 상기 증기처리 탱크의 상부 공간을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마련하고, 상기 연통관의 한 측면에 밥솥 본체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을 때는 그 관통구멍을 폐쇄하고 밥솥 본체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을 때는 그 관통구멍을 개방하는 역지 밸브를 마련함으로써,
취반시에 있어서의 취반 공정에서 취반물 전체가 비등하여 밥솥 본체 내에 충만한 증기는 증기 도관을 경유하여 연통관으로 가고, 연통관의 선단에서 증기처리 탱크에 수용된 냉각수에 방산(放散)되어 복수하고, 그때에 밥솥 본체 내에서의 대기압보다 압력이 높은 수증기가 연통관 내를 통과하기 때문에, 역지 밸브의 밸브는 연통관의 관통구멍을 폐쇄하고 뜸들이는 공정이 되면, 이번에는 밥솥 본체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저하되고, 부압에 의해 역지 밸브의 밸브체가 연통관의 관통구멍을 개방하고, 그와 동시에 윗뚜껑에 마련한 통기구멍으로부터 외기가 탱크 내부에 받아들여지고, 그 외기가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연통관 및 증기 도관을 경유하여 밥솥 본체 내에 들어가 밥솥 본체 내의 압력을 외기압과 같게 함에 의해, 냉각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밥솥에서 덮개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동 밥솥에서 덮개를 열어 증기처리 탱크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동 밥솥에서 증기 도관이 속뚜껑과 증기처리 탱크에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동 밥솥의 증기처리 탱크의 분해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동 밥솥의 증기처리 탱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동 밥솥의 증기처리 탱크에 사용되는 역지 밸브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동 밥솥의 증기처리 탱크의 연통관에 역지 밸브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동 밥솥의 취반동작에서의 온도 곡선과 가열원의 상관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밥솥에서 덮개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동 밥솥에서 덮개를 열고 증기처리 탱크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동 밥솥에서 증기 도관이 속뚜껑(內蓋)과 증기처리 탱크에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동 밥솥의 증기처리 탱크의 분해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동 밥솥의 증기처리 탱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동 밥솥의 증기처리 탱크에 사용되는 역지 밸브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동 밥솥의 증기처리 탱크의 연통관에 역지 밸브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동 밥솥의 취반동작에서의 온도 곡선과 가열원의 상관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또한, 도 10 중에 도시하는 온도 곡선은 바닥온도 센서의 검지에 의한 속냄비의 바닥부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밥솥 본체(1)는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속냄비(2)를 구비하고 있다. 부호 1a는 밥솥 본체(1)의 앞면 하부에 돌출하도록 마련된 탱크 지지대이다. 그 속냄비(2)는 밥솥 본체(1)의 내부에 마련된 가열 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가열된다.
그 밥솥 본체(1)에는 그 상부를 덮는 덮개(3)가 개폐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그 덮개(3)의 하면에는 속뚜껑(4)이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고, 그 속뚜껑(4)에 속냄비(2)의 내부의 분위기 온도를 검지하는 서미스터로 이루어지는 뚜껑 센서(5)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속뚜껑(4)에는 증기 취입구(6)가 마련되고, 그 증기 취입구(6)에 덮개(3) 내에 배설된 증기 도관(7)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부호 8은 증기 도관(7)의 타단에 부착된 실(seal)재이다.
또한, 밥솥 본체(1)의 앞면측에는 취반동작 중에 발생하는 증기를 복수하기 위한 소정 수위의 냉각수를 수용하는 증기처리 탱크(10)가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증기처리 탱크(1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밥솥 본체(1)의 가로 폭 및 높이가 같은 치수로 전후 방향의 폭이 작고 옆으로 가늘고 길며, 상부가 개구된 냉각수를 수용하는 탱크 본체(11)와, 탱크 본체(11)의 상부 개구에 끼워넣어지고 그 개구를 닫는 윗뚜껑(12)과, 윗뚜껑(12)의 하면에 부착되고 탱크 본체(11)의 개구와 같은 형상의 패킹(13)과, 윗뚜껑(12)의 한 측부에 마련된 증기 도관 받이구(14)와, 증기 도관 받이구(14)에 탱크 본체(11) 내에 수직으로 내려가도록 일체적으로 부착된 연통관(15)과, 연통관(15)의 하단에 부착된 나팔 형상의 소음(消音) 부재(16)와, 탱크 본체(11)의 앞면 측에 덮도록 부착된 탱크 커버(17)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윗뚜껑(12)에는 탱크 본체(11) 내와 외기를 연통하는 2개의 통기구멍(12a)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연통관(15)의 한 측면의 상방에 2개의 밸브 부착 구멍(18)이 마련되고, 이들 밸브 부착 구멍(18)의 아래에 냉각수의 수위보다 상방에 위치한 관통구멍(19)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밥솥 본체(1)에 덮개(3)가 닫혀진 때에,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3) 내에 배설된 증기 도관(7)의 실재(8)가 부착된 타단이 증기처리 탱크(10)의 윗뚜껑(12)의 증기 도관 받이구(14)와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윗뚜껑(12)과 일체적으로 마련된 연통관(15)의 한 측면에, 도 7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역지 밸브(20)가 감입(嵌入) 구조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그 역지 밸브(20)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와 같은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되어 있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박판형상의 밸브체(21)와 밸브체(21)의 한 측면 가까이에 마련된 2개의 밸브 부착용 감합 돌기(22)와, 밸브체(21)의 밸브 부착용 감합 돌기(22)가 마련된 측면에 돌설(突設)되고, 연통관(15)의 관통구멍(19)을 둘러싸도록 관통구멍(19)보다 크게, 그 관통공(19)과의 실(seal)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리형상 볼록부(2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연통관(15)의 관통구멍(19)의 구멍 면적은 탱크 본체(11) 내에 수하하는 연통관(15)의 구경 면적의 적어도 1/6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최대로는 연통관(15)의 구경 면적과 같은 크기라도 좋다. 이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연통관(15)의 선단의 구경 면적이 135㎟이고, 연통관(15)의 관통구멍(19)의 구멍 면적은 24㎟이다.
이와 같이 연통관(15)의 관통구멍(19)의 구멍 면적을 탱크 본체(11) 내에 수하하는 연통관(15)의 구경 면적의 적어도 1/6보다 크게 한 것은, 연통관(15)의 구경 면적의 예를 들면 1/8 정도로 하면, 외기가 충분히 들어가지 않고 냉각수의 역류를 초래하는 사태가 생길 우려가 있기 때문이고, 1/6보다 크고 연통관(15)의 구경 면적과 같은 면적이면, 외기가 충분히 들어가기 때문에 역지 밸브(20)가 확실하게 동작하게 된다.
이 역지 밸브(20)는 연통관(15)의 한 측면에 다음과 같이 하여 부착되어 있다.
역지 밸브(20)의 2개의 밸브 부착용 감합 돌기(22)를 연통관(15)의 한 측면의 상방에 마련된 2개의 밸브 부착 구멍(18)에 각각 빠짐방지 상태로 감합시켜, 역지 밸브(20)의 고리형상 볼록부(23)를 연통관(15)에서의 이들 밸브 부착 구멍(18)보다 아래에 마련된 관통구멍(19)의 주위의 한 측면에 맞닿게 하여 그 관통구멍(19)을 밸브체(21)에 의해 폐색하도록, 역지 밸브(20)가 연통 구멍(15)의 한 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역지 밸브(20)는 밸브체(21)에 고리형상 볼록부(23)가 마련됨에 의해, 밸브체(21)만의 경우에 비하여 강성이 높아지고, 확실하게 관통구멍(19)을 폐색하게 된다.
이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취반 시작 전에는 역지 밸브(20)의 고리형상 볼록부(23)을 갖는 밸브체(21)가 연통관(15)의 관통구멍(19)을 폐색하고 있다.
그리고, 취반동작이 시작되고,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열에 의해 55℃의 예열 공정이 일정 시간 경과하고 나서 취반 공정으로 이행하고, 취반 공정의 시작부터 화력이 센 불에 의해 단시간에 100℃ 부근까지 상승하는데, 이것은 속냄비(2)의 바닥부에서의 취반물의 부분 비등 등에 의한 것이다.
그 후, 약한 불에 의해 100℃ 부근에서 유도 가열을 계속하고, 취반물 전체가 비등을 시작하여 수증기가 기세 좋게 발생하여 속냄비(2) 내에 수증기가 충만하는 상태가 되었을 때에, 속냄비(2) 내의 수분이 없어지고 속냄비(2)의 바닥부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고, 예를 들면 124℃의 취반 완료 온도에 달한 때에, 뜸들이는 공정으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취반동작이 시작되고 예열 공정을 경유하여 취반 공정에 들어가고, 100℃ 부근에서 유도 가열을 계속하고, 취반물 전체가 비등을 시작하여 수증기가 기세 좋게 발생하여 속냄비(2) 내에 수증기가 충만하는 상태가 되면, 속냄비(2) 내의 수증기는 속뚜껑(4)의 증기 취입구(6)로부터 증기 도관(7)을 경유하여 연통관(15)으로 가고, 연통관(15)의 선단부터 증기처리 탱크(10)에 수용되어 있는 냉각수(W)에 방산 되어져 복수된다.
이때에는 속냄비(2)로부터의 대기압보다 압력이 높은 수증기가 연통관(15) 안을 통과하기 때문에, 역지 밸브(20)의 밸브체(21)는 연통관(15)의 관통구멍(19)을 폐색하도록 가압된다.
그리고, 뜸들이는 공정이 되면, 이번에는 속냄비(2)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저하되고, 부압에 의해 역지 밸브(20)의 밸브체(21)가 2개의 밸브 부착용 감합 돌기(22)를 지점으로 하여 연통관(15)의 관통구멍(19)을 개방하도록 움직이고, 그와 동시에 윗뚜껑(12)에 마련한 통기구멍(12a)으로부터 외기가 받아들여지고, 그 받아들여진 외기에 의해 역지 밸브(20)의 밸브체(21)를 더욱 가동시켜서 관통구멍(19)을 확실히 개방시키고, 관통구멍(19)을 통과한 외기는 연통관(15), 증기 도관(7)을 경유하여 증기 취입구(6)로부터 속냄비(2) 내에 들어가고, 속냄비(2) 내의 압력을 외기압과 같도록 함에 의해 냉각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증기처리 탱크(10)의 윗뚜껑(12)에 2개의 통기구멍(12a)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가령 1개소의 통기구멍(12a)이 밥 알갱이에 의해 막혀 버린 경우에도 나머지 통기구멍(12a)이 비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역지 밸브(20)가 동작한다.
이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증기처리 탱크(10)의 윗뚜껑(12)에 2개의 통기구멍(12a)이 마련되어 있지만, 적어도 하나는 필요하고, 또한 2개 이상 복수의 통기구멍(12a)을 마련해도 좋음은 물론이다.
또한, 연통관(15)의 관통구멍(19)의 구멍 면적을, 연통관(15)의 선단부의 구경 면적의 1/6보다 크게 하고, 연통관(15)의 선단부의 구경 면적과 같게 함에 의해 역지 밸브(20)가 확실하게 동작하고, 역지 밸브(20)의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 밥솥 본체
2 : 속냄비
3 : 덮개
4 : 속뚜껑
5 : 뚜껑 센서
6 : 증기 취입구
7 : 증기 도관
10 : 증기처리 탱크
11 : 탱크 본체
12 : 윗뚜껑
12a : 통기구멍
14 : 증기 도관 받이구
15 : 연통관
17 : 탱크 커버
18 : 밸브 마련용 구멍
19 : 관통구멍
20 : 역지 밸브
21 : 밸브체
22 : 밸브 마련용 감합 돌기
23 : 고리형상 볼록부
W : 냉각수

Claims (3)

  1. 밥솥 본체와, 그 밥솥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 속냄비와, 그 밥솥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속냄비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그 밥솥 본체에 회동 자유롭게 마련된 덮개와, 밥솥 본체의 측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취반동작 중에 발생하는 증기를 복수하기 위한 냉각수를 수용하는 증기처리 탱크를 구비한 밥솥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상기 밥솥 본체에 대해 덮개가 닫혀진 때에 밥솥 본체 내와 상기 증기처리 탱크를 연통시키는 증기 도관을 배설하고,
    상기 증기처리 탱크의 윗뚜껑에, 외기와 탱크 내부를 연통시키는 통기구멍 및 상기 증기 도관과 탱크 내부를 연통시키는 연통관을 마련하고,
    상기 연통관의 한 측면에, 그 연통관의 한 측면에서 냉각수의 소정 수위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그 연통관과 상기 증기처리 탱크의 상부 공간을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마련하고,
    상기 연통관의 한 측면에, 밥솥 본체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을 때는 그 관통구멍을 폐쇄하고, 밥솥 본체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을 때는 그 관통구멍을 개방하는 역지 밸브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지 밸브는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된 박판상의 밸브체와, 그 밸브체의 측부 가까이에 마련되고 상기 연통관의 한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밸브 부착용 구멍에 빠짐 방지 상태로 각각 감합하는 2개의 밸브 부착용 감합 돌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솥.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역지 밸브의 밸브체는, 상기 밸브 부착용 감합 돌기가 마련된 측면에, 그 밸브체에 의한 상기 관통구멍의 폐쇄시에 그 관통구멍의 주위를 둘러싸는 고리형상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솥.
KR1020117007930A 2008-10-15 2009-04-22 밥솥 KR101360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65910 2008-10-15
JP2008265910 2008-10-15
PCT/JP2009/057951 WO2010044286A1 (ja) 2008-10-15 2009-04-22 炊飯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514A true KR20110065514A (ko) 2011-06-15
KR101360463B1 KR101360463B1 (ko) 2014-02-07

Family

ID=42106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7930A KR101360463B1 (ko) 2008-10-15 2009-04-22 밥솥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202642B2 (ko)
KR (1) KR101360463B1 (ko)
CN (1) CN102186383B (ko)
HK (1) HK1157161A1 (ko)
TW (1) TWI391111B (ko)
WO (1) WO20100442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48444A (zh) * 2009-10-30 2011-05-11 三菱电机株式会社 烧饭机
CN102599823B (zh) * 2011-01-21 2014-08-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蒸汽阀和包含该蒸汽阀的电饭煲
CN104068753B (zh) * 2013-03-29 2016-12-28 飞利浦(嘉兴)健康科技有限公司 蒸汽收集单元和具有该单元的烹饪装置
CN104739248A (zh) * 2015-03-16 2015-07-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饭煲水位检测方法
CN104856554A (zh) * 2015-05-12 2015-08-26 奉化科创科技服务有限公司 健康电饭煲
CN104856577B (zh) * 2015-06-12 2018-04-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饭煲
CN105996732B (zh) * 2016-07-26 2019-05-3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饭煲
CN107874597A (zh) * 2016-09-30 2018-04-06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烹饪器具
CN106510485B (zh) * 2016-11-10 2023-06-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水箱盖、水箱组件和电饭煲
CN106724878A (zh) * 2016-11-24 2017-05-3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蒸汽回收装置及具有其的蒸煮装置
PT3420864T (pt) * 2017-06-29 2020-10-08 Vorwerk Co Interholding Aparelho de cozinha com um copo de medição com sensores para determinar um estado de funcionamento
KR102023172B1 (ko) 2017-11-07 2019-09-19 항저우 시앙티엔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전기밥솥
CN211483984U (zh) * 2019-02-02 2020-09-15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CN112043155B (zh) * 2019-06-06 2022-03-2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CN110652175A (zh) * 2019-09-27 2020-01-07 邹波 一种家用智能电饭煲
CN112716257A (zh) * 2020-12-24 2021-04-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饭煲盖及电饭煲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6532U (ja) * 1983-12-26 1985-07-20 株式会社日立ホームテック 炊飯器の蒸気回収装置
JPH10192134A (ja) * 1997-01-10 1998-07-28 Sanyo Electric Co Ltd 電気炊飯器
JP3586633B2 (ja) * 2000-09-26 2004-11-10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炊飯器
TW200611668A (en) * 2004-10-04 2006-04-16 Yu-Chu Maxwell Li Energy-and-resources-saving cookware of energy storage type
CN2753250Y (zh) * 2004-12-06 2006-01-25 广东科龙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设有阻挡式蒸汽引导装置的电饭煲
JP4753659B2 (ja) * 2005-08-11 2011-08-24 三菱電機株式会社 燃料ポンプ
KR200433807Y1 (ko) * 2006-03-17 2006-12-20 이신영 압력밥솥용 증기 급속 냉각장치
JP4334575B2 (ja) * 2007-02-27 2009-09-30 三菱電機株式会社 蒸気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0463B1 (ko) 2014-02-07
JP5202642B2 (ja) 2013-06-05
HK1157161A1 (en) 2012-06-29
CN102186383B (zh) 2012-10-24
CN102186383A (zh) 2011-09-14
TW201016174A (en) 2010-05-01
TWI391111B (zh) 2013-04-01
WO2010044286A1 (ja) 2010-04-22
JPWO2010044286A1 (ja)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0463B1 (ko) 밥솥
KR101958846B1 (ko) 음식물 찜기
KR101609390B1 (ko) 조리기기
EP2637530B1 (en) A food steamer
CN211795796U (zh) 烹饪器具
JP5264411B2 (ja) 炊飯器
KR20070025884A (ko) 진공수단을 구비한 전기압력밥솥
JP3966331B2 (ja) 蒸気発生機能付き加熱調理器
JP2011050735A (ja) 調理器具用の蒸気放出部材及び蒸気放出部材を備えた調理器具
JP5111289B2 (ja) 炊飯器
JP6112994B2 (ja) 炊飯器
JP2007236405A (ja) 圧力式炊飯器における安全弁構造
JP5334523B2 (ja) 炊飯器
JP6271647B2 (ja) 高圧蒸気滅菌器
CN109312956B (zh) 烧水器
JP4720598B2 (ja) 保温機器
JP2010038374A (ja) 加熱調理器
JP2006280540A (ja) 圧力調理方法とそれを行う電気圧力炊飯器
JP6995859B2 (ja) 加熱調理器
KR102256970B1 (ko) 전기온수보일러용 물탱크 조립체
JP2018094108A (ja) 炊飯器
JP5340025B2 (ja) 炊飯器
JP2022134866A (ja) 炊飯器
JP2018033646A (ja) 炊飯器
JP2007003112A (ja) 液体タンクを有する機器および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