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5884A - 진공수단을 구비한 전기압력밥솥 - Google Patents

진공수단을 구비한 전기압력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5884A
KR20070025884A KR1020050093226A KR20050093226A KR20070025884A KR 20070025884 A KR20070025884 A KR 20070025884A KR 1020050093226 A KR1020050093226 A KR 1020050093226A KR 20050093226 A KR20050093226 A KR 20050093226A KR 20070025884 A KR20070025884 A KR 20070025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n
pressure
unit
vacuum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3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이제
Original Assignee
(주)씨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에스이 filed Critical (주)씨에스이
Publication of KR20070025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8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62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3/00Devices having filling level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 덮개에 배열되어 있는 체크밸브, 전동펌프, 그리고 상기 전동펌프와 상기 체크밸브를 연결하는 도관으로 이루어져 보온시 온도가 일정 온도(예:65~75℃)에 이르면 상기 전동펌프가 작동되고 상기 체크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오븐내의 공기를 배출하게 되는 진공수단을 포함함과 아울러, 습기로부터 펌프를 보호할 수 있는 제습수단을 도입한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은 수용부, 상기 수용부 하부에 구비된 가열수단, 그리고 상기 수용부 하부에 구비된 보온수단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수용부에 안치되는 오븐;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오븐의 상부를 덮는 밀폐판을 구비한 덮개; 상기 덮개에 배열되어 취사 도중 상기 오븐 내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증기배출수단; 전동펌프, 체크밸브, 그리고 상기 전동펌프와 상기 체크밸브를 연결하는 도관을 포함하며, 보온시 설정온도에 이르면 상기 전동펌프가 작동되고 상기 체크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오븐 내의 공기를 배출하게 되는 진공수단; 상기 진공수단의 도관 상에 배열되어 상기 펌프로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습수단;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공압력밥솥, 진공수단, 펌프, 체크밸브, 제습수단, 잠금수단

Description

진공수단을 구비한 전기압력밥솥{ELECTRIC PRESSURE RICE COOKER EQUIPPED WITH VACUUM MEANS}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수단을 나타낸 전기압력밥솥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 1c는 밥솥 덮개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수단의 포이즈밸브 부분의 단면도,
도 2b는 제습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진공수단의 체크밸브로서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의 디스크밸브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제어부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3: 가열수단
15: 보온수단
20: 테두리 21: 테두리
30: 덮개 31: 밀폐판
33: 개방버튼
40: 증기배출수단 40A: 포이즈밸브
41: 증기배출관 43: 압력추
43a: 밸브핀 43b: 코팅층
40B: 솔레노이드밸브 45: 배출관
50: 진공수단 51: 펌프
53,153: 체크밸브 55: 도관
60: 제습수단 61: 수거용기
63: 뚜껑 65: 패밍링
70: 제어부 71: 입력부
73: 기준값저장부 75: 비교연산부
77: 명령부
St: 온도센서 Sp: 압력센서
T: 타이머
본 발명은 보온시 작동되는 진공수단을 구비한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으로 ,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압력밥솥 덮개에 배열되어 있는 체크밸브, 전동펌프, 그리고 상기 전동펌프와 상기 체크밸브를 연결하는 도관으로 이루어져 보온시 온도가 일정 온도(예:65~75℃)에 이르면 상기 전동펌프가 작동되고 상기 체크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오븐내의 공기를 배출하게 되는 진공수단을 포함함과 아울러, 습기로부터 펌프를 보호할 수 있는 제습수단을 도입한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밥솥에서 취사 후 보온과정에서 공기와의 접촉으로 밥이 산화되어 변색되고 밥맛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온시 진공 배기가 가능하도록 한 것과 관련된 것으로는,
먼저 대한민국 특허등록공고 제96-0003140호(1996.03.05.공고)“전기보온 밥솥의 진공장치”가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에서는 내솥에 덮여지는 속뚜껑의 상부에 솔레노이드로 구동되는 공기 흡입용 실린더를 설치한 전기보안밥솥을 제시하고 있고,
또 특허등록공고 제1996-0009232호(1996.07.16.공고) “전기 밥솥의 진공보온장치”는 수동방식으로 전기밥솥 내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뚜껑체에 역지밸브를 설리하고, 누름캡을 통하여 배기가 가능하도록 한 기술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실용신안등록 제20-0155120호(1999.08.16.공고일)“전기밥솥”은 밥솥의 몸체를 개폐하는 뚜껑 내에, 밥을 보관할 때에는 밥솥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주고, 보관중인 밥을 먹고자 할 때에는 뚜껑을 열기 전에 외부공기를 주입시켜주는 진공펌프가 설치되어 있는 기술내용이 기재되어 있고,
이상과 같은 종래 전기밥솥에 도입된 진공수단에서 수동펌핑 수단과 솔레노이드 실린더는 사용의 불편함과 낮은 동작 신뢰성으로 인하여 현실화하기 어렵고,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0-0155120호에서와 같이 진공펌프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밥에 포함된 습기로부터 펌프를 보호하지 않을 경우 시간경과에 따라 펌프 고장이 발생할 수 있고, 또 이로 인한 전기합선사고나 폭발사고의 위험이 상존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나아가 최근 전기밥솥의 대세를 이루고 있는 압력밥솥에서는 고압에서 취사가 이루어지므로 공지된 전기밥솥용 진공수단으로는 안전조건을 충족하기 어렵다.
참고로 특허등록 제0174068호(1999.02.18.공고일) “진공 전기밥솥”에서는 진공 보온병의 원리를 전기밥솥에 적용한 것으로,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밥솥외부공간, 밥솥상부공간과 밥솥하부공간을 진공으로 만들어 진공 보온병과 같은 진공상태를 만들어주는 기술내용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발명은 일정한 온도를 계속해서 유지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 명과는 목적과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전기밥솥의 진공방식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전동펌프를 이용한 진공수단을 도입하고, 취사 및 보온시 압력과 관련된 긴밀한 제어방식을 구현하며, 습기로부터 펌프를 보호하는 제습수단을 도입한 전기압력밥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수단을 갖는 전기압력밥솥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은 수용부, 상기 수용부 하부에 구비된 가열수단, 그리고 상기 수용부 하부에 구비된 보온수단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수용부에 안치되는 오븐;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오븐의 상부를 덮는 밀폐판을 구비한 덮개; 상기 덮개에 배열되어 취사 도중 상기 오븐 내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증기배출수단; 전동펌프, 상기 덮개의 밀폐판에 배열되어 있는 체크밸브, 그리고 상기 전동펌프와 상기 체크밸브를 연결하는 도관을 포함하며, 보온시 설정온도에 이르면 상기 전동펌프가 작동되고 상기 체크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오븐 내의 공기를 배출하게 되는 진공수단; 상기 진공수단의 도관 상에 배열되어 상기 펌프로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습수단; 및 상기 가열수 단, 상기 보온수단, 상기 증기배출수단, 그리고 상기 진공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은 본체(10), 상기 본체의 수용부(11)에 안치되는 오븐(20), 상기 본체에 힌지(H) 결합되어 있는 덮개(30), 상기 덮개에 구비되어 있는 증기배출수단(40), 펌프(51)를 포함하는 진공수단(50), 상기 펌프(51)를 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제습수단(60),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마이컴으로 이루어진 제어부(70)(도 3 참조)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본체(10)는 수용부(11)의 하부에 구비되어 취사시 가동되고 열선으로 이루어진 가열수단(13)과, 상기 수용부(11)에 안치되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오븐(20)의 측면을 가열하도록 배열되어 보온시 활용되고 역시 열선으로 이루어진 보온수단(15)을 포함한다.
상기 덮개(20)는 상기 본체(10) 일측과 힌지(H) 결합되어 있고, 상기 힌지(H) 타측에 배열되어 상기 본체(10)와 상기 덮개의 결합이 잠기고 해제되도록 하는 공지된 개방버튼(33)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오븐(20)의 테두리(21)와 맞물려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패킹링(미도시 됨)을 구비한 밀폐판(31)을 포함한다.
또 상기 덮개(20)에는 취사도중에 상기 오븐 내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증기배출수단(40)이 배열되어 있는데,
그 중 포이즈밸브(40A)는 취사 도중 상기 오븐(20) 내의 압력이 일정치를 초과할 경우 증기압에 의하여 좌우로 흔들리거나 회전하는 방식으로 개방되어 상기 오븐 내부의 압력이 과다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 압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또 솔레노이드밸브(40B)는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하여 취사 후 뜸들이기가 지난 다음 개방되어 상기 오븐(20) 내의 압력을 낮추는 역할을 하며,
각 밸브(40A)(40B)는 상기 덮개(30)의 외부에서 밀폐판(31)까지 연통된 증기배출관(41)(45)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도 1a 및 도 1c에서 미설명 참조부호 47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0B) 배출관(45) 상단 노출부에 구비된 증기배출캡이다.
도 2a를 참고하여 상기 포이즈밸브(40A)를 보다 살펴보면, 상기 증기배출관(41)의 상단부에 구비된 압력추(43)는 하부에 밸브핀(43a)가 상기 배출관(41)의 개구를 폐쇄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통상의 전기압력밥솥에서는 상기 포이즈밸브(40A)를 통하여 압축된 증기가 배출되기만 하면 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진공수단(50)을 구비한 전기압력밥솥에서는 상기 포이즈밸브(40A)를 통하여 진공시 오븐(20) 내로 공기가 유입되어서는 안 되며, 보온 중에도 공기유입이 원천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포이즈밸브(40A) 증기배출관(41)에 보온모드 선택시에만 폐쇄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도입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압력추(43) 밸브핀(43a)의 외면에 연질이며 고온에 견딜 수 있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코팅층(43b)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진공수단(50)의 펌프(51)가 작동될 경우 상기 증기배출관(42)과 상기 밸브핀(43a) 사이의 틈새로 공기가 유입되어 오븐(20)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고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핵심 중 하나인 진공수단(50)은 특히 본체(10)에 구비된 전동펌프(51),
상기 덮개(30)의 밀폐판(31)에 구비되어 있고, 체크밸브의 일구현형태로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53),
그리고 상기 펌프(51)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3)를 연결하며, 상기 본체(10)와 상기 덮개(30)의 힌지(H) 부분 쪽으로 배열되어 있는 도관(55)을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펌프(51)는 상기 덮개(30)에 배열된 형태일 수 있는데, 이 경우 도관(55)이 짧아지므로 편리한 점이 있으나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습수단(60)의 수거용기(61)를 상기 덮개에 탈착할 수 있도록 구현함에 있어 충분한 공간이 보 장되어야 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이즈밸브(40A)는 상기 덮개(30)의 정중앙 부분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0B)는 중앙 후방에 치우쳐 있으며, 상기 진공수단(51)의 솔레노이드밸브(53)는 후방 우측에 치우져 배열되어 있는 형태이나, 다양한 위치로 변형될 수 있다.
도 3에는 상기 진공수단에서 체크밸브의 다른 구현형태로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디스크밸브(153)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밸브(153)는 상기 덮개(30)의 밀폐판(31)에 함몰 형성된 장착부(130)에 배열되는데, 상부디스크(153a)와 하부디스크(153b), 그리고 두 디스크를 잇는 연결부(153c)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연결부(153c)는 상기 장착부(130)의 배기공(131)에 위치하며 상기 배기공 보다 횡단면적이 작아 오븐(20) 내부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보장하고 ,
상기 디스크밸브(153)의 이탈방지 역할을 하는 상기 하부디스크(153b)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통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배기슬릿(13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디스크(153a)는 상기 펌프(51)의 펌핑동작에 의하여 배기 압력이 걸리면 들려서 상기 배기공(131)을 개방하고, 배기압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배기공을 폐쇄하게 된다.
상기 장착부(130)의 상부를 덮어 외부와 분리된 공간부(133)를 형성하는 상부부재(135)에는 상기 펌프(51)로 연결되는 도관(55)의 수나사(55A)와 결합될 수 있는 연결공(135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돔(dome)형 상부부재(135)에는 암나사(135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부(130)를 이루는 원통체(130A)에는 수나사(130a)가 형성되어 있고, 기밀성을 위하여 패킹링(R)이 구비되어 있어,
상호 나사결합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상기 원통체(130A)의 탈착이 가능하여
취사시 밥물이 고일 수 있는 저장공간(C)을 제공하고 상기 밥물을 버릴 수 있도록 탈착방식을 취하고 있어 편리하다.
다음으로 도 1b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에서 또 다른 핵심을 이루는 상기 제습수단(60)은 상기 진공수단(50)의 도관(55) 상에 배열되어 상기 펌프로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힌지(H) 쪽 하부에 배열되며, 수거용기(61)와 뚜껑(6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63)에는 상기 도관(55)의 유입부(55A)와 배출부(55B)가 배열된다.
상기 수거용기(61)의 상부를 덮는 상기 뚜껑(63)의 접면에는 패킹부재로 패킹링(65)이 구비되어 있어 기밀성 향상에 기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펌프(51)의 배기를 위한 펌핑으로 상기 오븐(20)으로부터 상기 도관(55)을 따라 흐르는 공기에는 습기가 포함되어 있는데, 소통 중에 응결되어 상기 수거용기(61)에 고이게 된다.
또 상기 수거용기에 고인 물의 제거를 위하여 상기 수거용기는 상기 본체(10) 외면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거용기(61)는 쉽게 상기 뚜껑(63)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체크밸브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디스크밸브(153)를 활용할 경우, 통상적인 취사과정에서 상기 오븐(20) 내에 발생된 증기압으로 상기 상부디스크(153A)는 들리게 되고,
상기 펌프(51)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증기압은 상기 도관(55)을 거쳐 상기 제습수단(60)의 수거용기(61)를 지나 펌프(51)까지 이르게 되는데,
이때 상기 수거용기(61)와 상기 뚜껑(63)이 확고하게 결합 고정되어 있지 못하면 상기 증기압에 의하여 상기 용기와 상기 뚜껑 사이에 틈이 벌어져 증기가 방출되는 사태가 발생되므로 심각한 상황에 이르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안전성에 만전을 기하기 위하여 상기 수거용기와 상기 뚜껑은 잠금수단에 의하여 결합상태가 잠기고 해제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2b에 도시된 잠금수단의 형태는 수나사(61a)와 암나사(63a)에 의한 나사결합이다.
필요에 따라 상기 잠금수단은 통상적인 반찬용기에서 많이 볼 수 있는 개폐레버 형태나, 억지끼움 형태가 될 수 있도록 미늘형 돌기가 형성된 탄성 돌편과 상기 미늘형 돌기에 걸리는 걸림부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어느 것이든 상기 잠금수단은 3~5년 이상 사용되어도 파손되거나 기능저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내구 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뚜껑(63)에 배열된 상기 도관(55)의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는 서로 다른 수평면 상에 위치하여, 가능한 유입부와 배출부의 거리를 멀게 하여 상기 펌프(51)에 의한 진공 배기압력이 강하게 형성된 경우에도 습기가 상기 수거용기(61)에 고이지 않고 배기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b에서는 상기 도관(55)의 상기 유입부(55a)가 상기 배출부(55b) 보다 하부로 더 길게 늘어져 있는 형태인데, 이때 상기 유입부(55a)는 사용 중에도 상기 수거용기(61)에 응결 누적되는 물에 잠기지 않도록 하여 펌프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야한다.
상기 수거용기(61) 내부의 수위감지를 위하여 플로트(float) 센서가 구비될 수 있고, 플로트 센서에 의하여 만수위(滿水位)가 감지되면, 제어부(70)에서 보온모드 입력에도 보온으로 전환되지 않고 경보음을 발하거나 상기 덮개에 구비된 표시창에 이를 표시하는 형태로 제어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제어동작관계를 도 4의 블록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도 4에서 온도센서(St), 압력센서(Sp), 플로트센서(Sf), 그리고 타이머(T)는 별도의 참조부호로 지시하지 않았다.
통상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핵심을 이루는 마이컴으로 구현된 제어부 (70)는
취사시간, 보온시간, 취사 또는 보온 예약시간, 각종 온도, 시간 및 압력값,
된밥, 진밥, 잡곡밥, 현미밥, 죽, 갈비찜 등의 조리메뉴 등이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 저장부(73)를 가지며,
입력 버튼(미도시 됨)과 액정 표시창(미도시 됨)으로 이루어진 외부 입력부(71)의 신호와 각종 센서(St,Sp,Sf) 및 타이머(T)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기준값저장부(73)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적절한 명령을 발하는 비교연산부(75)와 명령부(77)를 구비하고 있다.
도 4에서 상기 명령부(77)의 신호전달은 실선으로 표시하고, 상기 비교연산부(75)로의 신호입력은 일점쇄선으로 표시하였으며, 대략 동일 구성요소 사이의 기계적 또는 전기 전자적 연결관계는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밥짓기를 예로 들면
먼저, 상기 입력부(71)를 통하여 취사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오븐(20)을 위한 가열수단(13)이 작동되고, 전열선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St)와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T)의 신호를 받아 상기 비교연산부(75)는 상기 저장부(73)의 기준값과 비교하면서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여 과열을 방지하고,
증기압이 상승되면 포이즈밸브(40A)(도 1a 참조)가 좌우로 흔들리거나 회전되면서 적정 압력을 유지하다가
쌀의 종류에 따른 설정시간이 경과되고 뜸들이기 시간이 지나면 상기 명령부 (77)에 의한 신호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0B)가 작동하여 증기를 배출하게 된다.
만약 상기 오븐(20) 내에 포이즈밸브(40A)의 이상 작동으로 과도한 증기압이 발생되면 이를 압력센서(Sp)가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70)의 명령부(77)에 의한 신호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0B)가 비상 개방되도로 r하여 폭발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비상 신호음을 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버튼(33)이 개방으로 덮개(30)를 열고 상기 오븐(20) 내의 밥을 덜어 먹고, 이후 남은 밥은 식지 않은 상태 또는 식은 상태로 보온 보관할 수 있다.
역시 상기 입력부(71)에서 보온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오븐(20)을 데우는 보온수단(15)이 가동되며, 전열선의 온도를 온도센서(St)로 측정한 결과가
상기 저장부(73)의 보온온도 설정치(예: 65~75℃) 이상인 것으로 상기 비교연산부(75)에서 판단되면 설정치로 온도가 떨어질 때까지 대기하고,
설정치 이하로 판단되면 상기 보온수단(15)의 가열로 오븐(20)을 데우게 된다.
이후 상기 온도센서(St)에 의한 오븐의 보온온도가 기준값에 이르고, 그 기준 보온 온도의 지속시간이 타이머(T)에 의하여 일정 기준시간(예:30초) 이상 지속된 것이 확인되어, 보온상태가 steady-state에 이른 것으로 판단되면,
비로써 진공수단(50)이 작동되는데, 기밀성 유지를 위하여 상기 오븐(20)과 상기 덮개(30)의 밀폐판(31) 사이, 상기 도관(55), 상기 제습수단(60), 그리고 상기 펌프(51)는 모두 기밀성이 유지되는 형태로 상호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체크밸브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3)(도 1b 참조)일 경우에는 상기 명령부(77)의 신호로 밸브가 먼저 개방된 후 펌프(51)가 작동되고,
상기 디스크밸브(153)(도 3 참조)일 경우에는 바로 펌프(51)가 작동되고, 진공배기압력에 의하여 상기 상부디스크(153a)가 들려 상기 배기공(131)이 개방된다.
상기 오븐(20) 또는 상기 도관(55)에 구비된 압력센서(Sp)에 의하여 측정된 진공압력이 상기 저장부(73)에 입력된 압력치와 같게 되면 이를 상기 비교연산부(75)에서 판단하고 상기 명령부(77)에서 발한 신호로 상기 펌프(51)는 정지된다.
상기 펌프(51)가 정지되면 상기 명령부(77)에 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3)가 폐쇄되고,
만약 상기 디스크밸브(153)일 경우에는 진공 배기압력이 소멸됨으로 인하여 자동으로 상기 상부디슴크(153a)가 하강하여
또 상기 오븐(20)에서 배출된 공기 중 함유된 습기는 응결되어 상기 제습수단(60)의 수거용기(61)에 고인다.
만약 저장된 물이 일정 수위 이상이면 이를 상기 수거용기에 구비된 플로트센서(Sf)가 감지하고, 이 신호를 받아 보온모드가 상기 입력부(71)에서 입력되어도 보온수단(15)의 작동자체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경보음을 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제습수단(60)의 뚜껑(63)에서 상기 수거용기(61)를 분리하여 물을 버리면 되는데, 만약 잠금수단이 구비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용기 분리 전에 먼저 상기 잠금수단을 해제하여야 한다.
보온과정이 진행되다가 상기 덮개(30) 상부에 구비된 개방버튼(33)이 가압되면, 외부로부터 공기가 상기 오븐(20) 내부로 유입되어야 상기 덮개(30)의 개방이 가능하다.
외기의 유입방법은 상기 개방버튼(33)의 가압이 전기적 신호로 전환되어 상기 제어부(70)로 인가되고, 상기 명령부(77)에 의한 신호로 상기 증기배출수단(40)의 솔레노이드밸브(40B)가 개방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방식이거나,
안전을 위하여 상기 개방버튼(33) 외에 별도의 안전 잠금장치가 상기 본체(10)와 상기 덮개(30) 사이에 구비된 공지된 전기압력밥솥에서와 같이, 상기 잠금장치를 개방할 경우 상기 포이즈밸브(40A)의 압력추(43)가 강제로 들려 증기배출관(41)이 개방되도록 하는 공지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은 전동펌프를 이용한 진공수단을 도입하여 하여 취사 후 보온과정에서 공기와의 접촉으로 밥이 산화되어 변색되고 밥맛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진공수단으로 인하여 취사시 발생되는 과도한 증기압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하고 보온시 진공화된 오븐의 개방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 제어시스템을 구현하며,
습기로부터 펌프를 보호하는 제습수단을 도입하고, 수거용기 내부에 응결 누 적된 물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기밀성에 문제가 없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전기압력밥솥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수용부, 상기 수용부 하부에 구비된 가열수단, 그리고 상기 수용부 하부에 구비된 보온수단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수용부에 안치되는 오븐;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오븐의 상부를 덮는 밀폐판을 구비한 덮개;
    상기 덮개에 배열되어 취사 도중 상기 오븐 내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증기배출수단;
    전동펌프, 상기 덮개의 밀폐판에 배열되어 있는 체크밸브, 그리고 상기 전동펌프와 상기 체크밸브를 연결하는 도관을 포함하며, 보온시 설정온도에 이르면 상기 전동펌프가 작동되고 상기 체크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오븐 내의 공기를 배출하게 되는 진공수단;
    상기 진공수단의 도관 상에 배열되어 상기 펌프로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습수단; 및
    상기 가열수단, 상기 보온수단, 상기 증기배출수단, 그리고 상기 진공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기압력밥솥.
  2. 제 1 항에 있어서, 제습수단은
    수거용기,
    상기 수거용기의 상부를 덮고, 상기 도관의 유입부와 배출부가 연결되어 있는 뚜껑, 및
    상기 수거용기와 상기 뚜껑의 접면에 구비되어 있는 패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수단은 상기 본체의 외면에 노출되어 있고,
    상기 수거용기는 분리되어 내부의 물을 버릴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용기와 상기 뚜껑은 잠금수단에 의하여 결합상태가 기밀되게 잠기고 해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 배열된 상기 도관의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는 서로 다른 수평면 상에 위치하되,
    상기 유입부가 상기 배출부 보다 하부로 더 길게 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수단은
    취사 도중 상기 오븐 내의 압력이 일정치를 초과할 경우 개방되어 상기 오븐 내부의 압력이 과다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 압력을 유지하는 포이즈밸브, 및
    취사 후 뜸들이기가 지난 다음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오븐 내의 압력을 낮추는 솔레노이드밸브로 이루어지되,
    상기 포이즈밸브는
    상기 덮개에 관통 형성된 증기배출관과,
    상기 덮개의 외부에서 상기 증기배출관의 상부에 배치되고, 밸브핀이 구비된 압력추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핀 외면에는 연질이며 고온에 견딜 수 있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수단의 제어를 위하여
    보온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입력부;
    정해진 보온 온도 및 평형 유지시간과, 진공압력 및 진공시간이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저장부;
    상기 보온수단 및 진공수단에 명령 신호를 발하는 명령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보온모두가 선택될 경우 상기 보온수단에 의한 오븐의 가열 온도가 기준 온도에 다다른 것이 온도센서에 의하여 감지되고, 기준 보온 온도가 기준 시간동안 지속되어 평형(steady-state)에 도달한 것이 타이머에 의하여 측정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명령부에서 진공수단에 작동신호를 발하고
    진공압력센서에 의하여 상기 펌프에 의한 배기로 오븐 내의 압력값이 기준값 이하이면 이를 명령부에 전달하여 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비교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수단은
    취사 도중 상기 오븐 내의 압력이 일정치를 초과할 경우 개방되어 상기 오븐 내부의 압력이 과다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 압력을 유지하는 포이즈밸브, 및
    취사 후 뜸들이기가 지난 다음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오븐내의 압력을 낮추는 솔레노이드밸브로 이루어지되,
    상기 포이즈밸브는
    상기 덮개에 관통 형성된 증기배출관과,
    상기 덮개의 외부에서 상기 증기배출관의 상부에 배치되고, 밸브핀이 구비된 압력추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핀 외면에는 연질이며 고온에 견딜 수 있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KR1020050093226A 2005-09-01 2005-10-05 진공수단을 구비한 전기압력밥솥 KR200700258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81412 2005-09-01
KR1020050081412 2005-09-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884A true KR20070025884A (ko) 2007-03-08

Family

ID=38100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226A KR20070025884A (ko) 2005-09-01 2005-10-05 진공수단을 구비한 전기압력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588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674B1 (ko) * 2007-04-06 2007-12-03 주식회사 노비타 전기압력밥솥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884649B1 (ko) * 2007-04-05 2009-02-23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전기압력밥솥의 증기안전배출장치
KR101032793B1 (ko) * 2007-06-22 2011-05-06 웬-칭 리 전기조리기구의 진공보온장치
CN104887066A (zh) * 2015-06-25 2015-09-09 广东海洋大学 一种带抽气的电压力锅
WO2016077360A1 (en) * 2014-11-14 2016-05-19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td. Low-pressure cooking method and cookware vessel adapted for the same
KR20180129593A (ko) * 2017-05-27 2018-12-05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조리 기구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953326B1 (ko) * 2018-10-22 2019-02-28 서우석 진공용 밀폐 패킹을 이용한 진공용 밀폐 뚜껑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649B1 (ko) * 2007-04-05 2009-02-23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전기압력밥솥의 증기안전배출장치
KR100781674B1 (ko) * 2007-04-06 2007-12-03 주식회사 노비타 전기압력밥솥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032793B1 (ko) * 2007-06-22 2011-05-06 웬-칭 리 전기조리기구의 진공보온장치
WO2016077360A1 (en) * 2014-11-14 2016-05-19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td. Low-pressure cooking method and cookware vessel adapted for the same
CN104887066A (zh) * 2015-06-25 2015-09-09 广东海洋大学 一种带抽气的电压力锅
KR20180129593A (ko) * 2017-05-27 2018-12-05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조리 기구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953326B1 (ko) * 2018-10-22 2019-02-28 서우석 진공용 밀폐 패킹을 이용한 진공용 밀폐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25884A (ko) 진공수단을 구비한 전기압력밥솥
KR101360463B1 (ko) 밥솥
JP5401173B2 (ja) 炊飯器
JP2010246658A (ja) 炊飯器
CN112137401B (zh) 设有可拆卸加热装置的电烹饪器具
JP5401153B2 (ja) 炊飯器
JP2009285231A (ja) 炊飯器
JP2761314B2 (ja) 保温釜
JP4282669B2 (ja) 炊飯器
JP2009100890A (ja) 炊飯器
JP2007195727A (ja) 炊飯器
KR100753651B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뚜껑 안전 개폐장치
JP7475965B2 (ja) 炊飯器
JP2007236404A (ja) 圧力式炊飯器における安全弁構造
JP2017000392A (ja) 加熱調理器
JP3828456B2 (ja) 炊飯器における蒸気逃がし構造
KR100791099B1 (ko) 전기압력 보온밥솥의 공기배출장치
JP3498730B2 (ja) 電気湯沸し器の蓋構造
JP2023173323A (ja) 保温釜
JP2008061795A (ja) 電気機器の取り扱い制限方法と装置
JP2018033646A5 (ko)
JP2023156077A (ja) 炊飯器
JP2023173324A (ja) 保温釜及びその制御方法
JP2023075800A (ja) 調理器
JP2023173322A (ja) 保温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