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3443A - 주름 형성 리스크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주름 형성 리스크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3443A
KR20110063443A KR1020117005135A KR20117005135A KR20110063443A KR 20110063443 A KR20110063443 A KR 20110063443A KR 1020117005135 A KR1020117005135 A KR 1020117005135A KR 20117005135 A KR20117005135 A KR 20117005135A KR 20110063443 A KR20110063443 A KR 20110063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amount
stratum corneum
propylin
wrinkle 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5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4230B1 (ko
Inventor
세이지 기타지마
고오스케 하야미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환케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환케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환케루
Publication of KR20110063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81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from sk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0Dermatological disor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0Determining the risk of developing a disea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침습적인 수단을 사용하여 채취한 피부 각질층 중의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을 지표로 하는 피부 노화 리스크의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름 형성 리스크 평가방법{Wrinkle formation risk evaluation method}
피부 노화 리스크를 예측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노화에 대해 종래부터 착안하여 연구 개발을 행하고 있다. 노화에 수반하여 변동되는 단백질을 발견하여 특허문헌 1(국제공개 제07/023808호 팸플릿) 등을 제안하고 있다.
프로필린 1(profilin 1)에 관해서는, 프로필린의 생산을 저해하여, 식물의 생육 수정을 변경하는 기술(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평11-69921호 공보), 조직 손상의 결과로서 방출된 유리(遊離) 액틴에 의해 발생하는 이차적 조직 손상을 억제하는 기술(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5-41881호 공보), 신경계 장애, 뉴런의 장애를 검출, 진단하는 마커로 하는 기술(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7-532915호 공보), 상피성 암의 바이오마커로 하는 기술(특허문헌 5: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8-529008호 공보)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국제공개 제07/023808호 팸플릿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평11-69921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5-41881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7-532915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8-529008호 공보
본 발명은 비침습적인 수단을 사용하여 채취한 피부 각질층을 사용해서, 장래의 피부 노화 리스크의 지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된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피부 각질층 중의 프로필린 1(profilin 1) 단백질량을 지표로 하여,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이 많을수록 주름 형성 리스크가 높다고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형성 리스크의 평가방법.
(2) 피부 각질층으로부터 추출한 프로필린 1 단백질의 양을, 사전에 측정한 피험자의 연령층의 표준적 프로필린 단백질량과 비교 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기재의 주름 형성 리스크의 평가방법.
(3) 피부 각질층이, 비침습적인 테이프 스트리핑수단에 의해 채취된 피부 각질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 기재의 주름 형성 리스크의 평가방법.
(4) 45세 이후에 형성되는 주름 형성 리스크가, 45세 이전의 피험자로부터 채취한 피부 각질층으로부터 검출한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을 지표로 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기재의 주름 형성 리스크의 평가방법.
(5) 채취된 피부 각질층이, 뺨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에 기재된 주름 형성 리스크의 평가방법.
(6)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름 형성 리스크의 평가방법을 사용하여, 주름 형성 리스크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을 스크리닝하는 방법.
본 발명은, 생체 내에 있어서 광범위하게 발현하고 있는 단백질로서, 세포 내의 세포골격 구성 단백질인 프로필린 1이 피부 노화 리스크 평가의 지표가 되는 것을 명확하게 한 것이다.
특히, 노화현상의 대상으로서, 주름 형성에 착안한 것이다. 뺨으로부터 테이프 스트리핑 등의 비침습적인 수단에 의해 채취된 피부 각질층을 사용하여, 프로필린 1을 검출하고 그 발현량을 측정함으로써, 주름 형성 등의 장래 예측을 할 수 있다. 특히, 45세 이후에 발생하는 주름 형성의 예측에 유효하다.
장래의 주름 형성 등의 노화현상을 예방하기 위해 유효한 화장료를 선택하는 등의 예방조치를 강구할 수 있다. 또는, 주름 형성 리스크 등의 피부 노화 리스크에 대한 미용 카운셀링을 적확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프로필린 1(PFN1, Gene ID 5216)은, 생체 내에 있어서 광범위하게 발현하고 있는 단백질로서, 세포 내의 세포골격 구성 단백질인 액틴의 중합·탈중합을 조절하는 단백질로서 알려져 있다.
본원 발명은, 비침습적인 수법에 의해 채취한 피부 각질층 중에 존재하는 단백질인 프로필린 1을 계측한 존재량을 토대로 하여, 당해 피부 각질층의 출처원이 된 사람의 장래의 피부 노화 리스크를 알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젊을 때에는 겉으로 보여지지 않아도, 45세 이후의 주름의 발생상황이 젊을 때의 프로필린 1의 발현량에 상관하는 것을 해명하였다.
본 발명자는, 연령별로 프로필린 1의 발현량을 고·중·저의 3단계로 모델화함으로써, 45세 부근까지는 주름은 동 정도의 증가 경향이 있으나, 45세 정도 이후는 고도(高度) 프로필린 1군의 주름 면적이 가속되는 것에 반하여 저도(低度) 프로필린 1군의 주름 면적은 증가가 억제되는 것을 명확하게 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프로필린 1의 발현량을 앎으로써 젊을 때부터 주름 형성 등의 피부 노화 리스크를 예측할 수 있게 되어, 화장료의 선택 등의 예방조치를 강구할 수 있다. 또한, 45세 이후이더라도, 향후 주름 등의 노화의 가속성을 예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예상에 맞추어, 대책을 검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는, 화장료 선택의 카운셀링을 과학적인 근거를 가지고 행할 수 있다.
또한 고도 프로필린 1의 배양 피부 모델을 이용하여, 이 프로필린 1 단백질의 발현량에 영향을 미치는 피검사물질을 탐색함으로써, 주름 형성 등의 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약제를 스크리닝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은, 테이프 스트리핑 등의 비침습적인 방법에 의해 안전하고 용이하게 피부 각질층을 채취하여, 그 피부 각질층을 단시간에 주목하는 프로필린 1 단백질의 발현량을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장품 매장에서 간단하게 측정하여, 그 자리에서 화장료 선택 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이 프로필린 1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기기는 일체화하여 소형으로 할 수 있고, 검출한 결과와 상기 단계화한 지표를 비교하여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이 결과를 토대로, 적합한 화장료나 메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의료목적 이외의 목적으로, 피부 노화 등의 피부 노화 리스크를 평가할 수 있고, 그것을 토대로 의료 이외의 목적으로 대처조치를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프로필린 1을 피부 각질층으로부터 채취하는 방법
(1) 테이프 스트리핑법에 의한 각질층의 채취
테이프 스트리핑법이란 피부에 점착 테이프를 첩부(貼付)하고, 점착 테이프를 떼어냄으로써, 점착면에 점착된 각질층을 채취하는 방법이다.
시판의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사람 협부(頰部)에 점착 테이프를 눌러붙임으로써, 각질층을 점착 테이프에 점착시켜서 채취할 수 있다. 시판의 점착 테이프로서는 아사히 바이오메드사제 각질 체커, 모리텍스사제 각질층 실, PROMOTOOL사제 각질 체커(디스크타입 W, 디스크타입 G, PRO타입), Integral사제 Corneofix, 3M사제 투명 테이프, 3M사제 투명 양면 테이프 등을 들 수 있다.
(2) 추출 버퍼
점착 테이프에 점착된 각질층으로부터 프로필린 1을 추출하기 위해 추출 버퍼를 사용한다. 추출 버퍼로서 예를 들면 이하의 조성을 들 수 있다. 조성: 50 mM Tris-HCl(pH 7.5), 120 mM NaCl(염화나트륨), 1 mM Na3VO4(오르토바나딘산나트륨).
점착 테이프로 채취되어 오는 피부의 각질층은 각화(角化)세포가 분화된 것으로, 세포골격계의 단백질을 다수 포함한다. 그 때문에 프로필린 1의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 추출 버퍼에 적당한 계면활성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로서는 SDS(라우릴황산나트륨, CH3(CH2)11OSO3N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프로필린 1의 추출
각질층을 채취한 점착 테이프를 원통 용기에 넣고, 고속회전하는 호모지나이제이션용 페슬(pestle)(이하, 「페슬」이라 부른다)을 사용해서 점착면을 문지름으로써 신속한 프로필린 1의 추출이 가능하다. 또한, 각질층을 채취한 점착 테이프를 추출 버퍼에 담그고 스크레이퍼(scraper)로 문질러 프로필린 1을 추출해도 되고, 진탕법이나 초음파 조사법을 사용해도 된다.
점착 테이프는 점착면을 원통 용기 내측으로 향하게 하고, 점착면의 반대면을 원통 용기의 내측을 따르듯이 하여, 원통 용기에 넣는다. 점착 테이프를 점착면의 반대면을 원통 용기의 내측을 따르게 하여 넣음으로써, 페슬에 의해 용이하게 점착면을 문지를 수 있다.
페슬은, 막대의 선단에 긁어내기 가능한 돌기형상, 또는 주걱형상의 구조를 갖는 것이면 된다. 페슬의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막대의 선단에, 막대의 직경보다 큰 동심 원통을 접속하고, 그 원통에 축과 평행하게 복수의 결실부를 설치함으로써, 원통의 원주 상에 늘어선 복수의 주걱형상 구조(긁어내기부)를 설치할 수 있어, 그 주걱으로 점착 테이프를 문지를 수 있다. 시판품으로서는 Handy pestle(TOYOBO사, code HMX-301) 등을 사용할 수 있다. Handy pestle(TOYOBO사, code HMX-301)의 긁어냄부의 직경은 약 7 ㎜이다.
(4) 프로필린 1 추출액의 채집
프로필린 1 추출액을 약 1분간 정치(靜置)하여, 거품을 침정화(沈靜化)하고, 그 후, 원통 용기로부터 프로필린 1 추출액을 흡인하여 채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의 분석
얻어진 프로필린 1 추출액 중의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은, ELISA법, 항체칩법, FRET법에 의해 정량 분석할 수 있다.
피부 노화 리스크의 평가
주름 면적률{주름 면적률이란, 일본 화장품공업연합회(http://www.jcia.org/)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도출되는 주름 화상해석 파라미터이다. 실제로는, 피부의 레플리카를 채취한 후에, 화상해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형상 보정을 행하고, 형상 보정된 3차원형상으로부터 주름을 추출하여, 측정범위에 차지하는 추출된 주름의 면적 비율을 산출한 값으로, 화상해석 소프트웨어로서는, 예를 들면, 유한회사 아사히 바이오메드의 반사용 레플리카 해석시스템 ASA-03-R을 예시할 수 있다}과 가장 잘 상관하는 변수는 연령이다. 또한, 프로필린 단백질량이 주름 면적률의 설명 변수로서 유효한 것이 명확해졌다.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이 많은 사람일수록, 주름 면적률이 큰 경향이 있다. 특히, 45세 이상이고,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이 많은 사람은, 주름 면적률이 크고,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이 적은 사람은 주름 면적률이 작아지는 경향이 현저해진다. 이에, 45세 이전에, 피부 각질층 중의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이 평균의 값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45세를 넘었을 때의 주름 면적률의 증대 경향이, 그 연령층의 평균과 비교하여 강하다고 예측할 수 있다. 한편, 45세 이전에, 피부 각질층 중의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이 평균의 값보다도 낮은 경우에는, 45세를 넘었을 때의 주름 면적률의 증대 경향이, 그 연령층의 평균보다도 약하다고 예측할 수 있다.
즉, 45세 이전은,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의 많고 적음이 주름 면적률에 그다지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으나, 피부 각질층 중의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이 많은 사람은 45세를 넘었을 때 주름 면적률이 증대된다는 피부 노화 리스크가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
피부 노화 리스크 저감제의 스크리닝
또한,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을 감소시키는 성분을 탐색함으로써, 피부 노화 리스크 저감제를 스크리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누드 마우스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주름을 형성시키는 실험계에 있어서,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을 감소시키는 성분을 탐색하여, 그 성분을 투여함으로써 주름 면적률이 저감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 피험자
표 1에 나타내는 연령 구성, 남녀 인수 191명에 대해 시험을 실시하였다.
Figure pct00001
2. 피부 각질층 중의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의 측정
2.1 테이프 스트리핑에 의한 각질층의 채취
점착 테이프로서 아사히 바이오메드사제 각질 체커(2.5 ㎝×2.5 ㎝)를 사용하였다. 피험자의 안면 협부에 각질 체커를 붙이고, 손가락 끝으로 가볍게 문질러 붙여서 피부 각질층을 각질 체커의 점착면에 점착시켰다.
2.2 프로필린 1 단백질의 추출
추출 버퍼: 50 mM Tris-HCl(pH 7.5), 120 mM NaCl,
1 mM Na3VO4, 0.1%(w/v) SDS.
추출 버퍼량: 200 μL.
추출용기: 직경 11 ㎜의 원통 용기.
원통 용기에 점착 테이프를 점착면의 반대면이 용기의 내벽을 따르듯이 하여 넣고, 추출 버퍼를 넣어, 미니·코드리스 그라인더(후나코시사 code13753E)에 페슬로서 Handy pestle(TOYOBO사, code HMX-301)을 접속하고, 페슬을 9000 rpm으로 회전시켜서, 원통 용기 내벽을 따르게 한 점착 테이프의 점착면을 문질렀다. 교반시간은 30초로 하였다.
프로필린 1 단백질 추출액을 약 1분간 정치하여, 거품을 침정화하고, 그 후, 원통 용기로부터 프로필린 1 단백질 추출액을 흡인하여 채집하였다.
3.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의 측정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은, 프로필린 1 단백질 추출액에 포함되는 프로필린 1 단백질의 상대값과 추출액 중의 전체 단백질의 절대량의 양쪽 값을 산출하여, 「프로필린 1 단백질의 상대값」을 「추출액 중의 전체 단백질의 절대량」으로 나눈, 비율값(이하 「프로필린 1 단백질량」으로 한다)으로서 산출을 행하였다.
프로필린 1 단백질의 양의 측정에는, 얻어진 프로필린 1 단백질 추출액에 5배량의 SDS처리액{0.3 M Tris-HCl(pH 6.8), 25% 글리세롤, 7.5% SDS, 10% 메르캅토에탄올}을 첨가하여, 95℃, 5분간 히트 블록처리한 후에, 각각 PVDF막(애머샴 바이오사이언스사)에 정확하게 1 ㎕를 떨어뜨리고, 3시간 실온에서 건조시킴으로써 막에 고정화시켰다. 그 후, PVDF막을 블로킹용액(탈지유를 5%의 농도가 되도록 0.1%의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를 포함하는 PBS로 용해한 용액)에 담그고, 4℃에서 하루 블로킹하였다. 세정액{0.1%의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를 포함하는 PBS}으로 세정 후, 일차항체{세정액으로 500 ng/㎖로 조제한 프로필린 1에 대한 다중클론항체(아브캄사)}에 담그고,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세정 후, 이차항체(세정액으로 250 ng/㎖로 조제한 호스래디쉬 퍼옥시다제(horseradish peroxidase) 표지화 항토끼 면역글로불린 G)에 담그고,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세정 후, ECL 플러스 웨스턴블로팅 검출시약(애머샴 바이오사이언스사)을 사용하여 발광시키고, X선 필름에 노광시켰다. 도트형상으로 노광된 X선 필름의 흑화 강도를 화상해석 소프트웨어인 Image J(NIH제, http://rsbweb.nih.gov/ij/)를 사용해서 수치화, 산출하여, 「프로필린 1 단백질의 상대값」으로 하였다.
「추출액 중의 전체 단백질의 절대량」의 측정에는, 프로필린 1 단백질의 상대값의 측정시와 마찬가지로 PVDF막으로의 고정화를 행하고, 추가적으로 동일한 막에 대해 농도가 기지의 소 혈청 알부민용액(SIGMA)의 고정화를 복수 농도로 행하였다. 그 후, 고정화한 막 상의 단백질을 CBB 염색액(바이오래드사)에 의해 염색하고, 도트형상으로 얻어지는 청색의 염색상을 화상해석 소프트웨어인 Image J를 사용하여 수치화하고, 기지 농도로 고정화한 소 혈청 알부민용액의 염색강도를 사용해서 농도 산출을 행하여, 「추출액 중의 전체 단백질의 절대량」으로 하였다.
X선 필름의 흑화 강도로부터 얻어진 「프로필린 1 단백질의 상대값」의 값을 PVDF막의 CBB 염색상으로부터 얻어진 「추출액 중의 전체 단백질의 절대량」의 값으로 나눈 값을 프로필린 1 단백질량으로 하였다.
4. 주름 면적률의 측정
(유)아사히 바이오메드제의 반사형 레플리카 채취 키트를 사용하여, 피험자의 눈꼬리의 레플리카를 채취하였다. 레플리카 해석시스템 ASA-03RXD를 사용하여, 채취한 레플리카에 각도 27도에서의 평행광(LED 광원)을 조사하고, 주름의 형상에 따른 음영 화상을 CCD 카메라로 촬상하여, ASA-03RXD 부속의 소프트웨어로 화상처리함으로써 레플리카 표면의 주름 면적률{(㎛2/㎜2)×100}을 계측하였다.
5. 피부 각질층 중의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의, 주름 면적률의 설명 변수로서의 유효성
설명 변수로서의 유효성은, 주름 면적률을 종속 변수, 가장 적합성이 좋은 중회귀식을 구함으로써 행하였다. 적합성의 좋음을 판정하는 데는, AIC(Akaike's Information Criterion: 아카이케 정보량 기준 이와사키 마나부 등, 실용통계용어사전 주식회사 옴사 2006년 3월 25일 발행 21페이지)를 사용하였다. AIC는, 「모델의 복잡함과, 데이터와의 적합도의 균형을 잡기」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어느 한 측정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설명하는 모델을 제작하는 것을 생각한다. 이 경우, 파라미터의 수나 차수를 늘리면 늘릴수록, 그 측정 데이터와의 적합도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그 반면, 노이즈 등의 우발적인(측정대상의 구조와 관계없는) 변동에도 무리하게 맞춰버리기 때문에, 동종의 데이터에는 맞지 않게 된다(과적합 문제). 이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는, 모델화의 파라미터 수를 억제할 필요가 있으나, 실제로 어느 수로 억제할지는 어려운 문제이다. AIC는, 이 문제에 하나의 해답을 부여한다. 구체적으로는 AIC 최소의 모델을 선택하면, 대부분의 경우, 좋은 모델을 선택할 수 있다.
공식은 다음의 식 1과 같다.
[식 1]
Figure pct00002
AIC는 모델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일반적인 수법으로, 이 값이 보다 작을 때, 보다 적합성이 좋은 모델로서 판정할 수 있다. 주름 면적률을 설명하는 모델로서, 이하의 2개를 생각한다.
[식 2]
Figure pct00003
[식 3]
Figure pct00004
yi: 주름 면적률
x1i: 연령
x2i: 프로필린 1
ei: 측정오차
상기 2개의 모델(식 2, 식 3)에 대해 AIC를 구하면, 식 2는 1027.75, 식 3은 939.9731이 되어, 식 3이 적합성이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주름 면적률의 설명에는, 연령 뿐 아니라, 연령과 함께 프로필린 1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성이 좋고, 즉 정도(精度)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프로필린 1이 주름 면적률을 추정하는 지표로서 유용한 바로 그것이다. 또한, 식 2, 3의 상관계수는 각각, 0.79, 0.81로, AIC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식 3이 주름 면적률의 설명 정도가 향상되어 있다.
또한, 식 3으로 제작한 중회귀 모델은 이하의 식 4와 같았다.
[식 4]
Figure pct00005
y: 주름 면적률
x1: 연령
x2: 프로필린 1
6. 프로필린 1 단백질량에 따른 군 나눔과 주름 면적률과 연령의 상관
피부 각질층 중의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은 합계 191명에서 2.5~99.0의 범위에서 분포하였다. 이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이 주름 면적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이 많은 사람(프로필린 1 단백질량 44.1~99.0, 64명), 중간인 사람(프로필린 1 단백질량 25.1~44.0, 64명), 적은 사람(프로필린 1 단백질량 2.5~25.0, 63명), 모두 거의 동일한 인수로 되는 3군으로 나누었다.
각각의 군에 있어서, 주름 면적률과 연령의 회귀 직선을 구하였다. 그래프를 도 1에 나타낸다.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이 많은 군의 회귀 직선은 다음의 식 5이다(y: 주름 면적률, x: 연령).
[식 5]
Figure pct00006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이 중간인 군의 회귀 직선은 다음의 식 6이다.
[식 6]
Figure pct00007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이 적은 군의 회귀 직선은 다음의 식 7이다.
[식 7]
Figure pct00008
주름 면적률이 연령에 수반하여 증가하는 것을 나타내는 회귀 직선의 기울기는, 피부 각질층 중의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이, 많은 군>중간인 군>적은 군으로 되어 있어,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이 많을수록 피부 노화 리스크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피부 각질층 중의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이 많은 군과 적은 군에 관하여 주름 면적률의 차를 공분산 분석으로 검정한 바, p<0.05로 유의하게 피부 각질층 중의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이 많은 군이, 주름 면적률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피부 각질층 중의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이 많은 군, 중간인 군, 적은 군 각각의 측정 데이터를 LOWESS 곡선으로 나타내었다. LOWESS(Locally Weighted Scatterplot Smoother)는 국소 가중 회귀 함수를 사용하는, 매우 자주 사용되고 있는 스무딩 수법이다. 각각의 군의 데이터와 LOWESS 곡선을 작성하였다. 각 군의 LOWESS 곡선을 도 2에 정리하였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군의 주름 면적률은 45세까지는 거의 동일하게 증대되나, 45세를 넘으면 피부 각질층 중의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이 많은 군, 중간인 군, 적은 군의 주름 면적률의 증대 경향에 커다란 차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45세 이하여도, 피부 각질층 중의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이 평균의 값보다도 많은 사람은 45세를 넘으면 주름이 증대되는 피부 노화 리스크가 높다고 예측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주름 면적률과 연령의 회귀 직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피부 각질층 중의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이 많은 군, 중간인 군, 적은 군 각각의 측정 데이터를 LOWESS 곡선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6)

  1. 피부 각질층 중의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을 지표로 하여,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이 많을수록 주름 형성 리스크가 높다고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형성 리스크의 평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피부 각질층으로부터 추출한 프로필린 1 단백질의 양을, 사전에 측정한 피험자의 연령층의 표준적 프로필린 단백질량과 비교 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형성 리스크의 평가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피부 각질층이, 비침습적인 테이프 스트리핑수단에 의해 채취된 피부 각질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형성 리스크의 평가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45세 이후에 형성되는 주름 형성 리스크가, 45세 이전의 피험자로부터 채취한 피부 각질층으로부터 검출한 프로필린 1 단백질량을 지표로 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형성 리스크의 평가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채취된 피부 각질층이, 뺨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형성 리스크의 평가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주름 형성 리스크의 평가방법을 사용하여, 주름 형성 리스크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을 스크리닝하는 방법.
KR1020117005135A 2008-12-24 2009-12-18 주름 형성 리스크 평가방법 KR1010742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27375A JP4446009B1 (ja) 2008-12-24 2008-12-24 シワ形成リスク評価方法
JPJP-P-2008-327375 2008-12-24
PCT/JP2009/071118 WO2010073983A1 (ja) 2008-12-24 2009-12-18 シワ形成リスク評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443A true KR20110063443A (ko) 2011-06-10
KR101074230B1 KR101074230B1 (ko) 2011-10-14

Family

ID=4221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135A KR101074230B1 (ko) 2008-12-24 2009-12-18 주름 형성 리스크 평가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446009B1 (ko)
KR (1) KR101074230B1 (ko)
CN (1) CN102187229B (ko)
HK (1) HK1158314A1 (ko)
WO (1) WO20100739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870A (ko) * 2016-12-30 2018-07-10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피부노화 특이적 후성유전자 마커 및 이를 이용한 피부노화의 검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8940B (zh) * 2012-11-02 2017-06-06 株式会社芳珂 粗糙肌肤的评价方法
JP5977268B2 (ja) * 2014-01-09 2016-08-24 株式会社ファンケル 肌理の評価方法
CN108369161B (zh) * 2015-11-05 2021-10-01 株式会社资生堂 角质层采集工具和角质层采集检测用试剂盒
CN107375904B (zh) * 2017-08-01 2020-11-27 无锡市人民医院 β-arrestin1在防治色素障碍性皮肤病中的应用
US11127176B2 (en) * 2019-01-31 2021-09-21 L'oreal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izing future skin trends based on biomarker analysis
JP7272808B2 (ja) * 2019-02-07 2023-05-12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抗皮膚老化剤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JP6703218B1 (ja) * 2019-03-28 2020-06-03 株式会社ファンケル 皮膚の状態を評価する方法
CN112020642A (zh) * 2019-03-28 2020-12-01 株式会社芳珂 评价皮肤状态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1340A (ja) * 1997-02-07 1998-08-21 Advanced Sukin Res Kenkyusho:Kk 皮膚疾患の診断方法および薬効評価方法
JP4332025B2 (ja) * 2003-12-25 2009-09-16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皮膚バリア機能の鑑別法
KR101318521B1 (ko) * 2005-08-23 2013-10-16 가오루 미야자키 피부 노화 마커와 그의 이용기술
JP4781972B2 (ja) * 2006-11-06 2011-09-28 株式会社 資生堂 角層酸化タンパク質の検査方法及びキ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870A (ko) * 2016-12-30 2018-07-10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피부노화 특이적 후성유전자 마커 및 이를 이용한 피부노화의 검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73983A1 (ja) 2010-07-01
CN102187229B (zh) 2014-01-29
JP4446009B1 (ja) 2010-04-07
HK1158314A1 (en) 2012-07-13
JP2010151480A (ja) 2010-07-08
WO2010073983A9 (ja) 2010-08-19
KR101074230B1 (ko) 2011-10-14
CN102187229A (zh) 201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4230B1 (ko) 주름 형성 리스크 평가방법
Etehad Tavakol et al. Nailfold capillaroscopy in rheumatic diseases: which parameters should be evaluated?
Tembhare et al. Flow cytometric differentiation of abnormal and normal plasma cells in the bone marrow in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 and its precursor diseases
Lowell et al. Predictive value and discriminant capacity of cepstral-and spectral-based measures during continuous speech
TW550064B (en) Classification and screening of test subjects according to optical thickness of skin
JP2021500691A (ja) 組織学的画像の自動化パターン認識及びスコア化方法
Kocaman et al. The degree of premature hair graying as an independent risk marker for coronary artery disease: a predictor of biological age rather than chronological age/Koroner arter hastaligi için bagimsiz bir risk öngörücüsü olarak saçin erken beyazlama düzeyi: Zamansal yastan çok biyolojik yasin öngörücüsü
EP3350542B1 (en) Reflectance confocal microscopy of blood cells
KR102042864B1 (ko) 혼탁 매질에서의 흡광 계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CN108272434A (zh) 对眼底图像进行处理的方法及装置
Prescott et al. Performance of a malaria microscopy image analysis slide reading device
WO2017167031A1 (zh) 一种利用数学模型计算人皮肤光吸收相关的19个生物学参数的方法
JP5065237B2 (ja) アトピー性皮膚炎の局所病態の非侵襲的評価方法
JP2007033201A (ja) 敏感肌の評価方法及びその評価キット
Kothare et al. Statistical and clinical utility of multimodal dialogue-based speech and facial metrics for Parkinson's disease assessment.
JP4473926B1 (ja) 紫外線による皮膚黒化傾向の評価方法
Minaeva et al. In vivo quasi-elastic light scattering eye scanner detects molecular aging in humans
JP4176518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及び/又はそのケアシステムの選定方法
JP2010148548A (ja) シワの予測方法
CN111513671A (zh) 基于眼部图像的眼镜舒适度评价方法
Richters et al. Development of a novel approach to studying corneodesmosomes and stratum corneum adhesion: extending knowledge on the pathophysiology of sensitive skin
Heider et al. Validity of Automatic Acoustic Workflow
JP7345340B2 (ja) 角質中のセラミドの測定方法
TW201526873A (zh) 肌理的評價方法
CN113796826A (zh) 一种用于检测华人人脸皮肤年龄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