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8868A - 주출구 및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 - Google Patents

주출구 및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8868A
KR20110058868A KR1020117007737A KR20117007737A KR20110058868A KR 20110058868 A KR20110058868 A KR 20110058868A KR 1020117007737 A KR1020117007737 A KR 1020117007737A KR 20117007737 A KR20117007737 A KR 20117007737A KR 20110058868 A KR20110058868 A KR 20110058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ut
rib
nutrient
tubula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7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9090B1 (ko
Inventor
요시히코 고바시
다카히코 구니시게
요시노리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110058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06Septums, pierceable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8Separable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Bag Fram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액체 수용체에 부착하고, 액체 수용체에 충전한 내용물을 주출시키는 주출구(4)로서, 내측에 관통 구멍(12)을 형성하고, 선단으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주출하는 관형상부(9)와, 관통 구멍(12)을 구획하는 리브(20)를 구비하고 있으며, 관형상부(9)를 선단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관통 구멍(12)은 리브(20)에 의해, 적어도 3분할되어 있다. 이에 의해, 리브(20)의 강도를 확보하기 쉽고, 리브(20)의 파손이나 변형 방지에 유리하게 되어, 접속침의 오천자의 방지도 확실하게 된다.

Description

주출구 및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SPOUT AND LIQUID CONTAINING BODY WITH SPOUT}
본 발명은, 액체 수용체 내에 충전한 내용물을 주출시키기 위한 주출구 및 이것을 이용한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에 관한 것이다.
식사를 입으로 섭취할 수 없는 경우의 요법으로서, 경관(經管)영양 요법이 알려져 있다. 경관영양 요법은, 튜브를 통해 직접 체내로 영양을 보내는 요법이다. 경관영양 요법에는, 영양제를 충전한 예를 들면 영양제용 백을 이용해서, 영양제용 백으로부터 공급되고, 튜브 내를 유동한 영양제가 체내로 보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백 내의 내용물을, 튜브를 통해 체내로 보내는 공급 방식은, 약액을 투여하는 수액에 있어서도 이용된다.
도 26에, 종래의 영양제용 백을 이용한 영양제의 공급 방식의 일례와, 종래의 약액 백을 이용한 약액의 공급 방식의 일례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영양제용 백(100)의 백 본체(101) 내에는, 영양제를 충전하고 있다. 영양제용 백(100)에는, 선단에 접속부(104)를 설치한 튜브(105)가 접속된다.
도 26의 형태에서는, 주출구(102)는, 액체 마개 캡(103)으로 시일되어 있다. 액체 마개 캡(103)을 떼어냄으로써, 주출구(102)와, 튜브(105)의 선단을 접속할 수 있다.
한편, 약액용 백(110)의 백 본체(111) 내에는, 약액을 충전하고 있다. 이 약액은, 약액 병(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튜브 커넥터(112)에 접속한 튜브(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채취한 것이다.
체내에 약액을 투여할 때에는, 침(114)을 침용 포트(113)에 천자(穿刺)한다. 이에 의해, 침(114)에 접속된 튜브를 통해 체내에 약액을 보낼 수 있다.
여기서, 접속부(104)는, 영양제용 백(100)의 주출구(102)에 끼워 맞춰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속부(104)를 약액용 백(110)의 침용 포트(113)에 끼워 맞출 수는 없고, 접속부(104)의 약액용 백(110)에 대한 오접속은 통상 일어나지 않는다.
한편, 액체 마개 캡(103)은, 주출구(102)와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연질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액체 마개 캡(103)에 침(114)을 천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침(114)은 액체 마개 캡(103)을 관통하여, 주출구(102)의 내부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오천자(誤穿刺)가 있으면, 약액을 공급하는 수액 라인으로부터 영양재가 투여되게 되어, 의료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이러한 오천자를 방지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에는, 주출구(102)에 상당하는 부분에, 접속 침 관통 방지 구조를 구비한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이 접속침 관통 방지 구조는, 관형상 부분의 내부에 설치한 나선형상 부재, 중판부재 또는 망 부재 등이며, 이에 의해 접속침의 관통을 방지하고 있다.
일본국 특허 공개 2007-39121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제안되어 있는 나선형상 부재에 의한 관통 방지 구조는, 관형상 부분의 선단부에서 관통을 막는 구조는 아니고, 접속침이 어느 정도 관형상 부분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전제로 한 구조였다. 또, 중판부재나 망 부재에 의한 관통 방지 구조는, 접속침을 밀어넣을 때의 변형이나 분열이 발생하기 쉬운 구조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접속침의 오천자를 더욱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주출구 및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주출구는, 액체 수용체에 부착되고, 상기 액체 수용체에 충전한 내용물을 주출시키는 주출구로서, 내측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선단으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주출하는 관형상부와, 상기 관통 구멍을 구획하는 리브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관형상부를 상기 선단측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리브에 의해, 적어도 3분할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는, 상기 본 발명의 주출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침의 오천자를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영양제용 백(1)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영양제용 백(1)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주출구의 단면도.
도 4의 (a)도면은, 포트부(3)에 주출구(4)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도면은, (a)도면의 주출구(4)에, 액체 마개 캡(5)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b)의 종방향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출구(4)의 관형상부(9)에 영양제 투여용의 튜브를 접속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주출구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주출구(4)의 중심축 방향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관형상부(9) 내에 접속침(120)이 진입하려고 하고 있는 양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관형상부(9)의 중심축 방향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소구멍(21) 내에 접속침(120)이 진입하려고 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관형상부(9)의 내부에 접속침(120)이 진입하려고 하고 있는 양태의 또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브(2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브(20)의 또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영양제용 보틀(30)의 개략도.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영양제용 보틀(30)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관형상부(41)의 확대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출구(33)를 보틀 본체(31)에 부착하기 직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출구(33)에 커넥터(45) 및 튜브(46)를 부착하기 직전의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출구(33)에 커넥터(45) 및 튜브(46)의 접속이 완료된 상태의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관형상부(41) 내에 접속침(120)이 진입하려고 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관형상부(41)의 중심축방향의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소구멍(44) 내에 접속침(120)이 진입하려고 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5는 도 24의 CC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26은 종래의 영양제용 백을 이용한 영양제의 공급 방식의 일례와, 종래의 약액 백을 이용한 약액의 공급 방식의 일례의 개략 구성도.
본 발명에 의하면, 관통 구멍을 리브에 의해 3분할 이상으로 구획하고 있으므로, 리브의 강도를 확보하기 쉬우며, 리브의 파손이나 변형 방지에 유리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접속침의 오천자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주출구에 있어서는, 상기 관형상부의 선단 위치로부터 상기 리브까지의 최단 거리가, 상기 관형상부의 중심축을 향함에 따라 커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브의 중앙부에 당접한 접속침의 선단이 횡방향으로 미끄러지기 어려워지고, 접속침이 리브로 분할된 소구멍 내에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또한, 경사부에 당접한 접속침이 경사부로 안내되어, 리브의 중앙부에 이르기 쉬워진다.
또, 상기 관형상부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상기 리브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폭은, 상기 중심축을 향함에 따라 커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브의 중앙부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리브의 중앙부에 당접한 접속침이, 리브로 분할된 소구멍 내에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또, 상기 리브를, 상기 관형상부의 선단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리브끼리가 교차한 부분에 광폭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광폭부의 폭은, 상기 리브 중 상기 광폭부와 상기 관형상부를 연결하는 부분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리브의 중앙부에 당접한 접속침이, 리브로 분할된 소구멍 내에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또, 상기 주출구는 또한, 상기 관형상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관형상부의 중심축측으로 연장된 단차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굵기가 가는 접속침이 리브로 분할된 소구멍에 이른 경우에도, 접속침의 진입 거리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주출구는, 상기 액체 수용체에 부착하는 기부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관형상부는 상기 기부로부터 돌출하고 있고, 상기 관형상부의 상기 기부로부터의 돌출 치수는, 1mm 이상 1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주출구를 액체 수용체에 부착했을 때에, 운반이나 관형상부의 파손 방지에 유리하게 됨과 더불어, 관형상부와 관형상부에 부착하는 튜브 사이의 기밀성 확보에도 유리하게 된다.
또, 상기 주출구는 또한, 통기성의 필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체로부터의 액체의 유출이 용이하게 된다.
또, 상기 액체 수용체는, 주머니형상의 백, 또는 보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는, 상기 주출구를 시일하는 액체 마개 캡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주출구에 상기 액체 마개 캡을 장착했을 때에, 상기 액체 마개 캡의 선단과, 상기 리브의 중앙부의 사이의 거리가 1m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오천자한 경우의 유출량을 근소한 양으로 억제할 수 있고, 액체 마개 캡의 장착도 용이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영양제용 백(1)의 개략도를 나타내고 있다. 액체 수용체인 백 본체(2)는, 영양제를 충전하는 부분이다. 백 본체(2)와 일체의 포트부(3)에 주출구(4)를 부착하고 있다. 주출구(4)는, 액체 마개 캡(5)을 끼워맞춰 시일할 수 있다.
백 본체(2)는, 유연한 수지제 시트를 주머니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백 본체(2)는, 예를 들면, 2장의 수지제 시트를 포개 맞추어, 주연부를 열용착 등에 의해 접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백 본체(2)의 일단에는, 영양제용 백(1)을 매달기 위한 개구(10)를 형성하고 있다.
수지제 시트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염화비닐(PVC), 폴리부타디엔, 나일론,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EVA)를 들 수 있다. 수지제 시트는 2층 이상으로 형성해도 되고, 각층의 재료는 동일 재료이어도 되고, 다른 재료로 해도 된다.
도 2는, 영양제용 백(1)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포트부(3)는, 내측에 관통 구멍(6)을 형성한 원통형상 부재이다. 포트부(3)는, 백 본체(2)와 일체로 되어 있고, 관통 구멍(6)을 형성하는 공간과, 백 본체(2)의 내부 공간이 연결되어 있다. 포트부(3)와 백 본체(2)는, 예를 들면 포트부(3)의 단부를 2장의 수지제 시트간에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열 용착함으로써, 접합할 수 있다. 포트부(3)의 외주에는, 주출구(4)와 나합시키기 위한 수나사(7)를 형성하고 있다.
포트부(3)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세탈(POM),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를 들 수 있다.
주출구(4)는, 원통부(8)와, 원통부(8)보다 직경을 작게 한 관형상부(9)를 구비하고 있다. 관형상부(9)의 내측은, 관통 구멍(12)으로 되어 있다. 관형상부(9)의 외주면에는, 관형상부(9)의 선단으로부터 원통부(8)를 향함에 따라 직경을 크게 한 테이퍼면(11)을 형성하고 있다.
도 3에, 주출구(4)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주출구(4)는 중공 부재이고, 원통부(8)의 내부 공간과, 관형상부(9)의 내측의 관통 구멍(12)이 연결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부(8)의 내측에는, 암나사(10)를 형성하고 있다. 이 암나사(10)와, 포트부(3)의 수나사(7)(도 2)를 나합시킴으로써, 주출구(4)를 포트부(3)에 부착할 수 있다. 주출구(4)의 재료로는, 포트부(3)와 동일한 재료를 들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액체 마개 캡(5)은, 원통형상 부재이며, 주출구(4)측이 개구 하고 있으며, 이와 반대측은 시일하고 있다. 액체 마개 캡(5)은, 주출구(4)를 시일해서, 백 본체(2)로부터 내용물이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액체 마개 캡(5)은, 주출구(4)에 비해 유연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관형상부(9)에 대해, 탈착 가능하다.
액체 마개 캡(5)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부타디엔, 폴리염화비닐(PVC), ABS 수지, 폴리아세탈(POM)을 들 수 있다.
도 4(a)는, 포트부(3)에 주출구(4)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b)는, 도 4(a)의 주출구(4)에, 액체 마개 캡(5)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도 4(b)의 종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출구(4)의 관형상부(9) 전체를 감싸듯이, 액체 마개 캡(5)이 끼워져 있다.
테이퍼면(11)의 원통부(8)측의 단부 근방에 있어서는, 테이퍼면(11)의 외경이 액체 마개 캡(5)의 내경보다 커져 있다. 이에 의해, 액체 마개 캡(5)의 장착 상태에서는, 액체 마개 캡(5)의 탄성변형에 의해, 액체 마개 캡(5)의 일부가 테이퍼면(11)에 밀착하고, 액체 마개 캡(5)의 장착이 확실하게 된다.
영양제용 백(1)은, 도 4(b), 도 5와 같이, 액체 마개 캡(5)을 장착한 상태로 운반되고, 영양제를 투여하는 경우에는, 도 4(a)와 같이 액체 마개 캡(5)을 떼어낸 상태에서, 주출구(4)의 관형상부(9)에 영양제 투여용의 튜브를 접속한다.
도 6에, 주출구(4)의 관형상부(9)에 영양제 투여용 튜브를 접속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서는, 주출구(4)와 튜브(15)가, 튜브(15)의 선단에 설치한 접속부(16)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은, 예를 들면 주출구(4)에 형성한 갈고리부와, 접속부(16)에 형성한 오목부를 끼워맞춤으로써 행한다. 도 6 상태에 있어서, 백 본체(2)의 영양제가 튜브(15)를 거쳐, 체내에 투여되게 된다.
또한, 주출구(4)와 튜브(15)의 접속은, 각종 접속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도 6의 접속 방식은 일례이다.
이하, 영양제용 백(1)을 이용한 영양제의 투여의 순서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영양제용 백(1)은, 영양제를 충전하기 전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출구(4)에 액체 마개 캡(5)을 장착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액체 마개 캡(5)을 장착한 채 주출구(4)를, 포트부(3)로부터 떼어낸다. 이렇게 떼어내는 것은, 주출구(4)를 회전시켜, 나합을 느슨하게함으로써 가능하다.
포트부(3)로부터 주출구(4)를 떼어낸 상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트부(3)의 관통 구멍(6)이 노출하고 있다. 이 관통 구멍(6)을 입구로 하여, 백 본체(2)에 영양제를 주입한다.
백 본체(2)에 영양제를 주입한 후에는, 다시 주출구(4)를, 포트부(3)에 부착하여, 도 4(b)의 상태로 한다. 이 상태로, 영양제용 백(1)을 운반한다. 이 상태에서는, 주출구(4)에는 튜브는 장착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운반시에 긴 튜브가 방해가 되지 않고, 영양제용 백(1)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 주출구(4)는 포트부(3)에 나합하고 있으며, 주출구(4)는 액체 마개 캡(5)으로 시일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백 본체(2)의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영양제용 백(1)을 가로로 놓아서 운반하는 것도 가능하다.
운반을 끝낸 영양제용 백(1)은, 도 4(a)와 같이 액체 마개 캡(5)을 제거한 상태에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출구(4)의 관형상부(9)에 영양제 투여용의 튜브(15)를 접속한다. 이 때, 영양제가 새지 않도록, 주출구(4)는 위쪽을 향하게 해 둔다. 튜브(15)의 접속 후에는, 개구(10)(도 1)를 후크에 걸어, 매단다. 이 상태로 영양제를 투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도 26은, 종래의 영양제용 백(100)을 이용한 영양제의 공급 방식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6은, 종래에 있어서, 영양제용 백(100)과 약액용 백(110)의 쌍방을 병용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약액용 백(110)에 천자해야 하는 침(114)을, 영양제용 백(100)의 액체 마개 캡(103)에 천자하는 오천자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영양제용 백(1)은, 외관 구성은 도 26에 나타낸 종래의 영양제용 백(100)과 같다.
이 때문에, 도 26에 나타낸 종래의 영양제용 백(100)을 대신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영양제용 백(1)을 이용해도, 약액용 백(110)에 천자해야하는 침(114)을, 도 4(b)에 나타낸 영양제용 백(1)의 액체 마개 캡(5)에 천자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영양제용 백(1)의 주출구(4)는, 이러한 오천자를 방지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도 7은, 주출구(4)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주출구(4)의 중심축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주출구(4)의 관형상부(9)의 내측의 관통 구멍(12)에는, 관통 구멍(12)을 구획하는 리브(20)를 구비하고 있다. 관통 구멍(12)은 리브(20)에 의해, 4분할되어 있다. 즉, 리브(20)의 형성 부분에서는, 관통 구멍(12)은 4개의 소구멍(21)으로 되어 있다.
주출구(4)는, 관통 구멍(12) 내에 형성한 리브(20)에 의해, 접속침의 오천자를 방지하고 있다. 도 6과 같이, 튜브(15)의 접속을 끝낸 상태에서는, 접속침을 천자할 여지는 없으므로, 오천자는 일어나지 않는다. 도 4(b), 도 5의 상태는, 연질재인 액체 마개 캡(5)에, 영양제용 백(1)과는 다른 백용의 접속침을 찔러 넣을 가능성이 있다.
도 9는, 관형상부(9) 내에 접속침(120)이 진입하려고 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관형상부(9)의 중심축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 10에 있어서, 접속침(120)은, 영양제용 백(1)과는 다른 백용의 접속침이다. 도 26의 예에서는, 접속침(120)은, 약액용 백(110)용의 접속침(114)에 상당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침(120)의 선단은, 리브(20)의 중앙부에 당접하고 있다. 도 9에서는, 액체 마개 캡(5)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으나, 접속침(120)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체 마개 캡(5)을 관통해서 리브(20)의 중앙부에 도달하고 있게 된다.
도 9, 10의 상태에서는, 접속침(120)의 선단이 리브(20)의 중앙부에 당접하고 있으므로, 접속침(120)은, 더 이상 관형상부(9)의 내부로 진입할 수 없다. 즉, 접속침(120)을 천자할 수 있는 것은, 근소한 거리에 그치고, 오천자를 깨달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경우, 접속침(120)을 빼내게 되어, 오천자는 방지되게 된다.
또, 수지침은 구멍(121)의 길이가 큰 것이 통상이며, 접속침(120)의 천자거리가 근소하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121)은 액체 마개 캡(5)으로부터 삐어져 나온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구멍(121) 내에 일단 영양제가 유입해도, 액체 마개 캡(5)의 외측에 있어서, 영양제는 구멍(121)으로부터 새게 된다. 이 경우도, 오천자를 깨달아 접속침(120)을 빼내게 되어, 오천자는 방지되게 된다.
또, 금속침은 구멍(121)의 길이가 작은(2mm 정도) 것이 통상이다. 이 때문에, 액체 마개 캡(5)의 선단과, 리브(20)의 중앙부의 사이의 거리 d를 작게 해 두면, 접속침(120)의 구멍(121)의 대부분이 액체 마개 캡(5)으로 덮이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접속침(120)을 구멍을 천자한 상태가 되어도, 백 본체의 내용물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유출량을 근소한 양으로 억제할 수 있으면, 체내로의 투여에까지는 도달하지 않게 하는 일도 가능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체 마개 캡(5)의 선단과, 리브(20)의 중앙부의 사이의 거리 d는 1mm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접속침(120)의 구멍(121)의 대부분을 액체 마개 캡(5)으로 덮이도록 할 수 있다. 또, 이 구성은, 액체 마개 캡(5)의 선단이 리브(20)를 압접하는 구성은 아니므로, 액체 마개 캡(5)의 장착도 용이하게 된다.
또, 도 3,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20) 중 관형상부(9)의 선단측은, 경사부(22)를 형성하고 있다. 관형상부(9)의 선단 위치로부터 경사부(22)까지의 최단 거리 D(도 3)는, 관형상부(9)의 중심축을 향함에 따라 커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 9, 10과 같이 리브(20)의 중앙부에 당접한 접속침(120)의 선단이 횡방향으로 미끄러지기 어려워져, 접속침(120)이 소구멍(21) 내에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또한, 경사부(22)에 당접한 접속침(120)이 경사부(22)에 안내되어, 리브(20)의 중앙부에 이르기 쉬워진다.
도 9, 10의 예는, 접속침(120)의 선단이 소구멍(21)에 이르고 있지 않은 예이지만, 접속침(120)의 선단이 소구멍(21)에 이르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접속침(120)의 선단이 소구멍(21)에 이른 경우에도, 접속침(120)의 진입 거리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11,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1은, 소구멍(21) 내에 접속침(120)이 진입하려고 하고 있는 양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서는, 접속침(120)은 소구멍(21)에 도달하고 있다. 도 11에서는, 액체 마개 캡(5)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으나, 접속침(120)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체 마개 캡(5)을 관통해서 소구멍(21)에 도달하고 있게 된다.
접속침(120)은, 본체부(120a)에 비해, 선단부(120b)의 크기가 작아져 있다. 따라서, 소구멍(21)의 크기를, 본체부(120a)의 크기보다 작게 해 두면, 접속침(120)의 진입은, 선단부(120b)까지로 멈추게 된다. 이에 의해, 접속침(120)의 선단이 소구멍(21)에 이른 경우에도, 접속침(120)의 진입 거리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3은, 관형상부(9)의 내부에 접속침(120)이 진입하려고 하고 있는 모습의 또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의 도시는, 도 8의 관형상부(9)의 선단부에 상당한다. 도 12의 예에서는, 소구멍(21)의 크기를, 접속침(120)의 본체부(120a)의 크기보다 작게 하고 있다. 도 13은, 본체부(120a)의 크기가 소구멍(21)의 크기보다 작은 접속침(120)이 소구멍(21)에 이른 경우에도, 접속침(120)의 진입 거리를 억제하도록 한 예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형상부(9)의 내부에 단차(25)를 형성하고 있다. 단차(25)는, 리브(20)의 선단보다 안쪽에 설치되어 있고, 관형상부(9)의 내주면으로부터 관형상부(9)의 중심축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3의 예에서는, 접속침(120)은, 소구멍(21) 내에 들어가고 있지만, 접속침(120)의 선단이 단차(25)에 당접하여 접속침(120)의 진입이 억제되어 있다.
도 13의 예에서는, 상기의 도9-12의 예에 비해, 접속침(120)의 진입 거리가 길어진다. 그러나, 관형상부(9)의 선단면으로부터 단차(25)까지의 거리를 짧게 함으로써, 오천자를 깨달을 가능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또, 접속침(120)이 단차(25)에 도달했을 때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121)이 액체 마개 캡(5)으로부터 삐져 나온 상태이면, 액누출에 의해 오천자를 깨닫게 된다.
다음에, 예를 들면 도 9에 있어서, 관형상부(9)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리브(20)의 단면에서는, 리브(20)의 폭은, 관통 구멍(12)의 중심축을 향함에 따라 커져있게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브(20)의 중앙부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도 9, 10과 같이 리브(20)의 중앙부에 당접한 접속침이, 리브(20)로 분할된 소구멍(21) 내에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도 14는, 리브(2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도면은 리브(20)를, 관형상부(9)의 선단측으로부터 본 도면에 상당한다. 리브(20)끼리가 교차한 부분에 광폭부(20b)를 형성하고 있고, 광폭부(20b)의 폭은, 리브(20) 중 광폭부(20b)와 관형상부(9)를 연결하는 부분(20a)의 폭보다 크게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도 9, 10과 같이 리브(20)의 중앙부에 당접한 접속침(120)이, 소구멍(21) 내에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도 15는, 리브(20)의 또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리브(20)가 관통 구멍(12)을 4분할한 예로 설명했는데, 도 15와 같이, 리브(20)가 관통 구멍(12)을 3분할한 것이어도 된다. 이 구성과 같이 리브(20)가 관통 구멍(12)을 적어도 3분할하고 있으면, 리브(20)의 강도를 확보하기 쉽고, 파손이나 변형 방지에 유리하게 되어, 접속침의 오천자를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리브(20)가 관통 구멍을 5분할 이상으로 분할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분할 수가 많을수록, 오천자 방지에 유리하게 되어, 파손이나 변형 방지에도 유리하게 된다. 한편, 주출구(4)로부터 유출하는 유량은 감소한다. 따라서, 리브(20)에 의한 분할 수는, 필요한 주출량을 확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결정하면 된다.
또한, 주출구(4)를 포트부(3)를 통해 백 본체(2)에 부착하는 예로 설명했는데, 주출구(4)를 직접 백 본체(2)에 부착한 것이어도 된다.
(실시형태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영양제용 보틀(30)의 개략도를 나타내고 있다. 영양제용 보틀(30)은, 액체 수용체인 중공체의 보틀 본체(31)의 구부(口部)(32)에 주출구(33)를 부착한 것이다.
실시형태 1에서는, 영양제 충전용의 백 본체(2)가 연질재로 형성되어 있는데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영양제 충전용의 보틀 본체(31)는, 경질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특별히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보틀 본체(31)는 외형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또, 실시형태 1에서는, 초기 상태에서는 백 본체(2)에는 영양제를 충전하고 있지 않는 예로 설명했는데, 본 실시형태의 보틀 본체(31)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미리 영양제가 충전되어 있다.
중공체의 보틀 본체(31)는, 예를 들면 수지 재료를 블로우 성형한 것이다. 수지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나일론을 들 수 있다.
보틀 본체(31)의 저부에는, 영양제용 보틀(30)을 매달기 위한 개구(34)를 형성하고 있다.
도 17은, 영양제용 보틀(30)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구부(32)의 외주에는, 주출구(33)와 나합시키기 위한 수나사(34)를 형성하고 있다. 구부(32)의 내측은 관통 구멍(35)으로 되어 있다. 관통 구멍(35)에는, 시일재(36)가 부착되고, 구부(32)의 개구부는 밀폐되게 된다. 시일재(36)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이며, 주연부(36a)가 구부(32)의 주연부(32a)에 접착되게 된다.
주출구(33)는, 기부(40)와 관형상부(41)를 구비하고 있다. 기부(40)는, 보틀 본체(31)의 구부(32)에 부착하는 부분이다. 기부(40)의 내측에는 암나사(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고 있다. 이 암나사와, 구부(32)의 수나사(34)를 나합시킴으로써, 주출구(33)를 구부(32)에 부착할 수 있다.
관형상부(41)는 기부(40)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관형상부(41)의 내측은, 관통 구멍(42)으로 되어 있다. 관형상부(41)의 외주면에는, 관형상부(41)의 선단으로부터 기부(40)를 향함에 따라 직경을 크게 한 테이퍼면(41a)을 형성하고 있다.
주출구(33)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세탈(POM),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를 들 수 있다.
또, 주출구(33)에는 필터(52)를 부착하고 있다. 상세한 것은, 후에 도 21을 이용하여 설명하는데, 관형상부(41)로부터 영양제를 유출시킬 때에, 필터(52)로부터 보틀 본체(31) 내에 공기가 끌어 들여지게 된다.
도 18에, 관형상부(41)의 확대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도면은, 도 17의 B부의 확대도에 상당한다. 관형상부(41)의 내측의 관통 구멍(42)에는, 관통 구멍(42)을 구획하는 리브(43)를 구비하고 있다. 관통 구멍(42)은 리브(43)에 의해, 4분할되어 있다. 즉, 리브(43)의 형성 부분에서는, 관통 구멍(42)은 4개의 소구멍(44)으로 되어 있다.
관형상부(41)는, 관통 구멍(42) 내에 형성한 리브(43)에 의해, 접속침의 오천자를 방지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에, 도22-2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 영양제용 보틀(30)을 이용한 영양제의 투여의 순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영양제용 보틀(30)은, 도 16의 상태로 운반된다. 도 16 상태에서는, 주출구(33)에는 튜브는 장착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운반시에 긴 튜브가 방해되지 않고, 영양제용 보틀(30)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 관형상부(41)의 기부(40)로부터의 돌출 치수 h(도 16)는, 짧을수록 영양제용 보틀(30) 단체의 운반에는 유리하게 된다. 반대로, 돌출 치수 h가 길어짐에 따라, 관형상부(41)에 대한 튜브의 부착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관형상부(41)의 꺾임에 의한 파손 가능성도 높아진다. 이 때문에, 돌출 치수 h는 10mm 이하가 바람직하고, 5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돌출 치수 h가 너무 작아 지면, 관형상부(41)와 튜브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고, 기밀성의 확보가 곤란하게 된다. 이 때문에, 돌출 치수 h는 1mm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부터, 돌출 치수 h는 1mm 이상 10mm 이하가 바람직하고, 1mm 이상 5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보틀 본체(31)의 구부(32)는, 시일재(36)(도 17)로 밀폐되어 있고, 보틀 본체(31)의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영양제용 보틀(30)을 옆으로 두고 운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영양제용 보틀(30)을 목적의 위치까지 운반한 후, 주출구(33)에 커넥터(45) 및 튜브(46)(도 20)를 부착하게 된다. 이들을 부착하려면, 일단, 보틀 본체(31)로부터 주출구(33)를 떼어내게 된다. 이는, 구부(32)를 밀폐하고 있는 시일재(36)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해, 보틀 본체(31) 내의 영양제를 유출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 19는, 일단 떼어낸 주출구(33)를 보틀 본체(31)에 부착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도면의 상태에서는, 도 17에 나타낸 시일재(36)는 떼어져 있다. 주출구(33)의 기부(40)의 내측의 암나사(도시하지 않음)와, 구부(32)의 수나사(34)를 나합시킴으로써, 주출구(33)를 구부(32)에 부착한다.
도 20은, 주출구(33)를 부착한 보틀 본체(31)에 커넥터(45) 및 튜브(46)를 부착하기 직전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커넥터(45)에는, 영양제 투여용의 튜브(46)가 삽입 통과하고 있다. 튜브(46)는, 영양제를 투여하기 위해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있는데, 도 20, 21에 있어서는, 도시의 편의상, 커넥터(45)측의 일부만을 도시하고 있다. 튜브(46)는 주출구(33)에 비해 연질인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관형상부(41)에 대해 탈착 가능하다.
튜브(46)의 내주면에 관형상부(41)를 가압하고, 커넥터(45)를 대좌부(47)에 설치한 갈고리부(48)에 걸어맞춤으로써, 커넥터(45) 및 튜브(46)를 주출구(33)에 접속한다. 커넥터(45)를 기부(40)의 표면에 당접시켜, 커넥터(45)를 회전시키고, 갈고리부(48)와, 커넥터(45)에 형성한 개구부(49)를 끼워 맞추고, 커넥터(45)와 갈고리부(48)를 걸어 맞춘다. 이 상태에서는, 갈고리부(48)의 하측에 커넥터(45)에 형성한 볼록부(도시하지 않음)가 걸어 맞춰지므로, 커넥터(45)는 주출구(33)에 고정되고, 커넥터(45)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튜브(46)의 단부에는 플랜지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고 있고, 이 플랜지부에 커넥터(45)의 단부가 걸어 맞춰진다. 이 때문에, 튜브(46)의 커넥터(45)로부터의 누락이 방지되게 된다.
즉, 커넥터(45)를 주출구(33)에 고정한 상태에서는, 튜브(46)는 관형상부(41)에 가입되어 있음과 더불어, 주출구(33)에 고정된 커넥터(45)에 걸어맞춰져 있다. 이에 의해, 튜브(46)의 빠짐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주출구(33)와 튜브(46)의 접속은, 각종 접속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도 20의 접속 방식은 일례이다.
도 21은, 주출구(33)에, 커넥터(45) 및 튜브(46)의 접속이 완료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상기한 대로, 주출구(33)를 부착하기 전에, 시일재(36)(도 17)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거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21 상태에서는, 보틀 본체(31)의 내부 공간과, 튜브(46)의 내부 공간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보틀 본체(31)의 개구(34)(도 1)를 후크에 걸어 매단 상태, 즉 도 21에 있어서, 보틀 본체(31)의 상하가 거꾸로 된 상태에서는, 튜브(46) 내에 보틀 본체(31)의 영양제를 유동시킬 수 있고, 영양제의 투여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실시형태 1과 같이, 연질재로 형성한 주머니형상의 백으로부터 영양제를 투여할 때에는, 백이 시트형상의 상태가 되도록 변형하면서, 영양제가 유출하게 된다. 한편, 경질재로 형성한 보틀 본체(31)는, 주머니형상의 백과 같은 변형은 곤란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주출구(33)는 통기성의 필터(52)를 부착하고 있다. 필터(52)는 소수성 필터로서, 공기는 통과시키지만, 액체는 통과시키지 않는다.
보틀 본체(31)로부터 영양제를 유출시키면, 주출구(33)에 부착한 필터(52)를 거쳐, 공기가 보틀 본체(31)로 끌여들여지게 된다. 이에 의해, 보틀 본체(31)로부터의 영양제의 유출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다음에, 도 26에 나타낸 종래의 영양제용 백(100)을 대신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영양제용 보틀(30)을 이용한 경우,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출구(33)에 튜브(46)의 접속을 끝낸 상태에서는, 접속침을 천자할 여지는 없고, 오천자는 일어나지 않는다. 한편, 도 20과 같이, 튜브(46)를 접속하기 전 상태에서는, 관형상부(41)에, 약액용 백(110)에 천자해야하는 침(114)를 천자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영양제용 보틀(30)의 주출구(33)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이러한 오천자를 방지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도 22는, 관형상부(41) 내에 접속침(120)이 진입하려고 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관형상부(41)의 중심축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 23에 있어서, 접속침(120)은, 영양제용 보틀(30)에 접속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26의 예에서는, 접속침(120)은, 약액용 백(110)용의 접속침(114)에 상당한다.
도 22,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침(120)의 선단은, 리브(43)의 중앙부에 당접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접속침(120)은, 더 이상 관형상부(41)의 내부로 진입할 수 없다. 즉, 접속침(120)을 관형상부(41)에 천자할 수는 없고, 오천자는 방지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1과 달리, 관형상부(41)에는, 액체 마개 캡(5)(도 10)에 상당하는 캡은 부착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접속침(120)을 천자할 때에는, 관형상부(41)의 선단 개구부를 볼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리브(43)를 깨달은 시점에서 오천자가 방지될 가능성도 있다.
또,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43) 중 관형상부(41)의 선단측은, 경사부(50)를 형성하고 있다. 관형상부(41)의 선단 위치로부터 경사부(50)까지의 최단 거리 D는, 관형상부(41)의 중심축을 향함에 따라 커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 22, 23과 같이 리브(43)의 중앙부에 당접한 접속침(120)의 선단이 횡방향으로 미끄러지기 어려워지고, 접속침(120)이 소구멍(44) 내에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또한, 경사부(50)에 당접한 접속침(120)이 경사부(50)로 안내되고, 리브(43)의 중앙부에 이르기 쉬워진다.
도 22, 23의 예는, 접속침(120)의 선단이 소구멍(44)에 이르지 않은 예이지만, 접속침(120)의 선단이 소구멍(44)에 이르는 경우도 일어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접속침(120)의 선단이 소구멍(44)에 이른 경우에도, 접속침(120)의 진입 거리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24, 2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4는, 소구멍(44) 내에 접속침(120)이 진입하려고 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CC선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4에서는, 접속침(120)은 소구멍(44)에 도달하고 있다.
접속침(120)은, 본체부(120a)에 비해, 선단부(120b)의 크기가 작게 되어있다. 따라서, 소구멍(44)의 크기를, 본체부(120a)의 크기보다 작게 해 두면, 접속침(120)의 진입은, 선단부(120b)까지로 멈추게 된다. 이에 의해, 접속침(120)의 선단이 소구멍(44)에 이른 경우에도, 접속침(120)의 진입 거리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22에 있어서, 관형상부(41)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리브(43)의 단면에서는, 리브(43)의 폭은, 관형상부(41)의 중심축을 향함에 따라 크게 하고 있다. 이 구성은, 실시형태 1의 예를 들면 도 9의 구성과 동일하고, 리브(43)의 중앙부의 면적을 크게 할 수가 있고, 도 22, 23과 같이 리브(43)의 중앙부에 당접한 접속침이, 리브(43)로 분할된 소구멍(44) 내에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실시형태 1의 도 13의 단차(25)에 상당하는 구성을 설치해도 된다. 이에 의해,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본체부(120a)의 크기가 소구멍(21)의 크기보다 작은 접속침(120)이 소구멍(44)에 이른 경우에도, 접속침(120)의 진입 거리를 억제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관형상부(9)의 선단면으로부터 단차(25)까지의 거리를 짧게 함으로써, 오천자를 깨달을 가능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실시형태 1의 도 14의 구성과 동일하게, 광폭부(20b)에 상당하는 구성을 설치해도 되고, 도 15의 구성과 동일하게, 리브가 관통 구멍을 3분할한 것이어도 되다. 또, 리브가 관통 구멍을 5분할 이상으로 분할하는 구성이어도 되는 점도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또한, 실시형태 2에 있어서, 관형상부(41)가 주출구(33)의 기부(40)로부터 돌출한 예로 설명했는데, 관형상부(41)를 주출구(33)의 내측에 형성하고, 관형상부(41)가 기부(40)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 실시형태 2에 있어서, 주출구(33)에, 커넥터(45) 및 연질재의 튜브(46)를 부착하는 예로 설명했는데, 주출구(33)로부터 영양제를 투여할 수 있으면 되고, 설치 부분의 구조나 사양은 다른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커넥터(45)는 이용하지 않고, 주출구(33)의 관형상부(41)에 튜브(46)를 압입만한 사양이어도 된다.
또, 액체 수납체는, 실시형태 1에서는 주머니형상의 백의 예로 설명하고, 실시형태 2에서는 중공의 보틀의 예로 설명했는데, 실시형태 1에 보틀을 이용하여 실시형태 2에 백을 이용해도 된다.
또, 실시형태 1, 2에 따른 주출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접속침의 오천자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주출구의 설치 대상으로 하는 백이나 보틀은, 영양제용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용도의 것이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출구는, 접속침의 오천자를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영양제용 백의 주출구로서 유용하다.
1: 영양제용 백
2: 백 본체
4,33: 주출구
5: 액체 마개 캡
9,41: 관형상부
11,41a: 테이퍼면
20,43: 리브
20a: 광폭부와 관형상부를 연결하는 부분
20b: 광폭부
21,44: 소구멍
22,50: 경사부
25: 단차
30: 영양제용 보틀
31: 보틀 본체
40: 기부
52: 필터

Claims (10)

  1. 액체 수용체에 부착하여, 상기 액체 수용체에 충전한 내용물을 주출시키는 주출구(注出口)로서,
    내측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선단으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주출하는 관형상부와,
    상기 관통 구멍을 구획하는 리브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관형상부를 상기 선단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리브에 의해, 적어도 3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부의 선단 위치로부터 상기 리브까지의 최단 거리가, 상기 관형상부의 중심축을 향함에 따라 커져 있는, 주출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부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상기 리브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폭은, 상기 중심축을 향함에 따라 커져 있는, 주출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브를, 상기 관형상부의 선단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리브끼리가 교차한 부분에 광폭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광폭부의 폭은, 상기 리브 중 상기 광폭부와 상기 관형상부를 연결하는 부분의 폭보다 큰, 주출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는, 상기 관형상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관형상부의 중심축측으로 연장된 단차를 더 형성하고 있는, 주출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는, 상기 액체 수용체에 부착하는 기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관형상부는 상기 기부로부터 돌출하고 있으며, 상기 관형상부의 상기 기부로부터의 돌출 치수는 1mm 이상 10mm 이하인, 주출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는, 통기성의 필터를 더 구비하고 있는, 주출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는, 주머니 형상의 백, 또는 보틀인, 주출구.
  9. 청구항 1에 기재된 주출구를 구비한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를 시일하는 액체 마개 캡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주출구에 상기 액체 마개 캡을 장착했을 때에, 상기 액체 마개 캡의 선단과, 상기 리브의 중앙부의 사이의 거리가 1mm 이내인,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
KR1020117007737A 2008-09-12 2009-09-04 주출구 및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 KR101699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34877 2008-09-12
JPJP-P-2008-234877 2008-09-12
JP2009126748A JP5273473B2 (ja) 2008-09-12 2009-05-26 注出口及び注出口付き液体収容体
JPJP-P-2009-126748 2009-05-26
PCT/JP2009/065471 WO2010029892A1 (ja) 2008-09-12 2009-09-04 注出口及び注出口付き液体収容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868A true KR20110058868A (ko) 2011-06-01
KR101699090B1 KR101699090B1 (ko) 2017-01-23

Family

ID=42005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7737A KR101699090B1 (ko) 2008-09-12 2009-09-04 주출구 및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144596A1 (ko)
EP (1) EP2345596A1 (ko)
JP (1) JP5273473B2 (ko)
KR (1) KR101699090B1 (ko)
CN (1) CN102149606B (ko)
HK (1) HK1157715A1 (ko)
WO (1) WO20100298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8509B2 (en) * 2009-05-11 2014-01-14 Abbott Laboratories Enteral connectors and systems
JP2013010535A (ja) * 2011-06-29 2013-01-17 En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流動体注出口
JP6024160B2 (ja) * 2012-03-30 2016-11-09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流動物の導出補助具、当該導出補助具の充填容器への取り付け構造、並びに流動物供給キット
JP6372369B2 (ja) * 2014-03-31 2018-08-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収容体
KR20180093980A (ko) * 2015-12-04 2018-08-22 케이피알 유.에스., 엘엘씨 고유량 경장 공급 시린지 조립체
US11674614B2 (en) 2020-10-09 2023-06-13 Icu Medical, Inc. Fluid transfer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same
KR102279627B1 (ko) * 2021-03-02 2021-07-21 한국콜마주식회사 내용물 용기
WO2022220162A1 (ja) * 2021-04-12 2022-10-20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穿刺ポート、液体保存容器、該穿刺ポートの製造方法及び該液体保存容器の製造方法
JP2023018922A (ja) * 2021-07-28 2023-02-09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アダプタ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2791A (ja) * 1998-08-18 2000-02-29 Okura Ind Co Ltd 注出用ノズル及びそれを用いた袋体
JP2003504120A (ja) * 1999-07-07 2003-02-04 アストラゼネカ・アクチエボラーグ 医療用容器向けクロージャ装置
JP2006521887A (ja) * 2003-03-31 2006-09-28 ニック ジェイ マニーシス 多数回投与液体分配組立体
JP2007039121A (ja) 2005-06-27 2007-02-15 En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誤接続防止用スパウト及びパウチ
US20080009809A1 (en) * 2005-04-26 2008-01-10 Industrie Borla S.P.A. Device for administering medical liquids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ing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2034A (en) * 1950-07-20 1955-02-15 Fenwal Inc Apparatus for collecting, storing, and dispensing whole blood
US3547401A (en) * 1968-06-07 1970-12-15 Abbott Lab Foldable bellows valve
US3592228A (en) * 1968-08-08 1971-07-13 Tetsuo Kukuminato Magnet valve
US4072149A (en) * 1976-08-09 1978-02-07 Tischlinger Edward A Nose cap and diaphragm assembly for injector
US4340049A (en) * 1979-10-18 1982-07-20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Breakaway valve
US4415003A (en) * 1981-02-18 1983-11-15 Nypro Inc. Control of fluid flow using a flexible disc
US4765372A (en) * 1983-06-17 1988-08-23 Illinois Tool Works Inc. Check valve
US4683916A (en) * 1986-09-25 1987-08-04 Burron Medical Inc. Normally closed automatic reflux valve
US4838875A (en) * 1987-12-09 1989-06-13 Somor Andrew T Method and apparatus for dealing with intravenous fluids
US5372587A (en) * 1989-01-09 1994-12-13 Pilot Cariovascular Systems, Inc. Steerable medical device
US4952206A (en) * 1989-05-19 1990-08-28 Anco Engineers, Inc. Occlusion apparatus for converting a syringe into a non-reversible single use syringe
US5222948A (en) * 1991-09-09 1993-06-29 Path Injection port for single-use syringe
US5360413A (en) * 1991-12-06 1994-11-01 Filtertek, Inc. Needleless access device
US5211629A (en) * 1991-12-23 1993-05-18 Pressly William B S Safety syringe
US5405333A (en) * 1992-12-28 1995-04-11 Richmond; Frank M. Liquid medicament bag with needleless connector fitting using boat assembly
US6206860B1 (en) * 1993-07-28 2001-03-27 Frank M. Richmond Spikeless connection and drip chamber with valve
US5836921A (en) * 1993-08-23 1998-11-17 Mahurkar; Sakharam D. Hypodermic needle assembly
US6090077A (en) * 1995-05-11 2000-07-18 Shaw; Thomas J. Syringe plunger assembly and barrel
US5954313A (en) * 1995-12-29 1999-09-21 Rymed Technologies, Inc. Medical intravenous administration line connectors having a luer activated valve
JPH1119180A (ja) * 1997-07-09 1999-01-26 Terumo Corp 栄養剤バッグ
IT1311347B1 (it) * 1999-11-12 2002-03-12 Borla Ind Valvola di ritegno per linee medicali di infusione e simili.
IT1311348B1 (it) * 1999-11-12 2002-03-12 Borla Ind Valvola di ritegno per linee medicali di infusione e simili.
CN2429454Y (zh) * 2000-05-12 2001-05-09 林紫朗 一种软袋的注口结构
JP4494656B2 (ja) * 2001-02-06 2010-06-30 株式会社佐藤工業所 埋込部材の位置調整装置
US20080154214A1 (en) * 2006-12-22 2008-06-26 Medrad, Inc. Flow Based Pressure Isolation and Fluid Delivery System Including Flow Based Pressure Isolation
JP3972665B2 (ja) * 2002-01-25 2007-09-05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無菌接続コネクタシステム
US7316662B2 (en) * 2002-07-09 2008-01-08 Gambro Lundia Ab Infusion device for medical use
CN100343130C (zh) * 2003-02-25 2007-10-17 三浦秀一 瓶子的注入口
US8585661B2 (en) * 2003-07-09 2013-11-19 Jmc Co., Ltd. Mixture injection port
US7198074B2 (en) * 2003-10-01 2007-04-03 Epicurean International Corporation Motorized vacuum/pressure pump and stopper
JP4706276B2 (ja) * 2005-02-21 2011-06-22 東洋製罐株式会社 流体容器用注出装置
WO2007126044A1 (ja) * 2006-04-28 2007-11-08 Ajinomoto Co., Inc. パウチ容器
US20110180566A1 (en) * 2008-10-16 2011-07-28 Jms Co., Ltd. Spout and liquid container with spout
EP2438899A4 (en) * 2009-06-04 2013-02-13 Jms Co Ltd CAP AND CONTAINER FOR FOOD SUPPLEMENT THEREWITH
USD633791S1 (en) * 2009-09-30 2011-03-08 Jms Co., Ltd. Port cap for a contain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2791A (ja) * 1998-08-18 2000-02-29 Okura Ind Co Ltd 注出用ノズル及びそれを用いた袋体
JP2003504120A (ja) * 1999-07-07 2003-02-04 アストラゼネカ・アクチエボラーグ 医療用容器向けクロージャ装置
JP2006521887A (ja) * 2003-03-31 2006-09-28 ニック ジェイ マニーシス 多数回投与液体分配組立体
US20080009809A1 (en) * 2005-04-26 2008-01-10 Industrie Borla S.P.A. Device for administering medical liquids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ing thereof
JP2007039121A (ja) 2005-06-27 2007-02-15 En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誤接続防止用スパウト及びパウ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57715A1 (en) 2012-07-06
CN102149606A (zh) 2011-08-10
CN102149606B (zh) 2012-12-12
US20110144596A1 (en) 2011-06-16
JP2010088866A (ja) 2010-04-22
WO2010029892A1 (ja) 2010-03-18
EP2345596A1 (en) 2011-07-20
JP5273473B2 (ja) 2013-08-28
KR101699090B1 (ko) 2017-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58868A (ko) 주출구 및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
KR101668500B1 (ko) 주출구 및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
JP4533887B2 (ja) 医療用液体を収容するパック用のコネクタおよび医療用液体のパック
CN101511322B (zh) 用于肠道应用的多功能连接装置
US20150157534A1 (en) Flexible container with outlet
CA2393572C (en) Withdrawal and injection system for medical solutions and a container with said withdrawal and injection system
KR101775171B1 (ko)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
KR101775176B1 (ko)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 및 영양제 공급 세트
US20230248957A1 (en) System comprising a cap for a medical fluid container and an attachment part, medical fluid container, and method for producing a fluid container
US20150352012A1 (en) Overcap intended for a pharmaceutical container
JP2000070336A (ja) 薬液収容容器とそれを使用した薬液注入セット
US11013663B2 (en) Container for a medical liquid
US11951036B2 (en) Droplet dispensing device and system
JP6345391B2 (ja) 雄コネクタ
JP5363788B2 (ja) 複室容器
KR20240005683A (ko) 유체 용기용 캡, 이러한 캡을 포함하는 유체 용기 및 이러한 캡을 제조하는 방법
JP2022037308A (ja) トランスファーニードル
JPH0524047U (ja) 薬液注入容器
ITBO20080475A1 (it) Inserto perforabile per contenito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