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176B1 -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 및 영양제 공급 세트 - Google Patents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 및 영양제 공급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176B1
KR101775176B1 KR1020127010649A KR20127010649A KR101775176B1 KR 101775176 B1 KR101775176 B1 KR 101775176B1 KR 1020127010649 A KR1020127010649 A KR 1020127010649A KR 20127010649 A KR20127010649 A KR 20127010649A KR 101775176 B1 KR101775176 B1 KR 101775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tainer
bridge
communication member
th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0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1167A (ko
Inventor
요시히코 고바시
도루 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120081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65D51/221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 B65D51/2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being integral with, or fixedly attached to, the outer closure
    • B65D51/225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being integral with, or fixedly attached to, the outer closure and further comprising a device first inhibiting displacement of the outer clo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06Septums, pierceable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25Upper closure of the 47-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93Membra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영양제용 용기(10)의 용기 본체부(11)에 충전된 액상물을 유출시키는 용기 본체부의 입구부(12)에 장착되는 캡(13)으로서, 캡은, 캡 본체부(22)와, 캡 본체부(22)에 브릿지(19a)를 통해 연결되며, 브릿지(19a)가 파단 또는 변형됨과 더불어 용기 본체부(11)측으로 밀어 넣어짐으로써 입구부의 박막(16)을 뚫을 수 있게 하고, 박막이 뚫어진 상태로 용기 본체부에 충전된 액상물을 영양제용 용기(10) 바깥으로 유출시킬 수 있는 연통 부재(19)와, 캡에 접속됨으로써 용기 본체부 내와 연통 가능한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하는 접속 유지 구조를 포함하는 캡이다.

Description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 및 영양제 공급 세트{CAP, NUTRITIONAL SUPPLEMENT CONTAINER USING SAME, AND NUTRITIONAL SUPPLEMENT SUPPLY SET}
본 발명은, 영양제용 용기의 용기 본체부에 충전된 액상물을 유출시키는 입구부에 장착되는 캡, 및 당해 캡이 용기 본체부에 장착된 영양제용 용기, 및 영양제 공급 세트에 관한 것이다.
경구에 의하지 않고 환자에게 영양이나 약제를 투여하는 방법으로서 경장 영양 요법이나 정맥 영양 요법이 알려져 있다. 경장 영양 요법에서는,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위 또는 십이지장에까지 통과된 튜브(일반적으로 「경비(經鼻) 튜브」라고 불린다) 또는 환자의 배에 형성된 위루(위루를 형성하는 시술을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라고 부른다)에 삽입된 튜브(일반적으로 「PEG 튜브」라고 불린다)를 통해 영양제, 유동식, 또는 약제 등의 액상물(일반적으로 「경장 영양제」라고 불린다)이 투여된다. 또, 정맥 영양 요법에서는, 환자의 정맥에 삽입된 수액 라인(송액(送液) 회로)을 통해 포도당 등의 영양 성분이나 약제 성분을 포함하는 액상물(일반적으로 「수액」이라고 불린다)이 투여된다.
도 22에, 종래의 경장 영양 요법에 이용되는 경장 영양 세트의 일례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영양제용 용기(100)의 용기 본체(101) 내에는, 영양제가 충전되어 있다. 용기 본체(101)의 영양제를 유출시키는 입구부(102)에는 박막(도시 생략)이 부착되어, 용기 본체(101) 내가 밀폐되어 있다. 체내에 영양제를 투여할 때에는, 플라스틱제 접속바늘(104)을 입구부에 장착된 캡(105)에 찔러 상기 박막을 뚫는다. 이에 의해, 접속바늘(104)에 접속된 튜브를 통해 체내로 영양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3에, 종래의 정맥 영양 요법에 이용되는 수액 세트의 일례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백(110)의 백 본체(111) 내에는, 영양 성분이나 약제 성분을 포함하는 액상물이 충전되어 있다. 체내에 액상물을 투여할 때에는, 접속바늘(114)을 접속바늘용 포트(113)에 천자한다. 이에 의해, 접속바늘(114)에 접속된 튜브를 통해 체내로 액상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2000-176023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장 영양 요법에 있어서는, 정맥 영양 요법과 동일하게, 선단이 예리한 접속바늘을 접속 대상에 찌름으로써, 영양제를 체내로 이동시키는 수법이 채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캡(105)에 접속바늘(114)을 천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접속바늘(114)은, 캡(105) 및 박막을 관통하여, 입구부(102)의 내부에 도달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오접속이 행해지면, 위나 장에 공급되어야 할 영양제 등이 정맥에 잘못 공급되게 되어, 의료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오접속의 문제를 해결하며, 또한, 영양제 등의 액상물의 공급을 간단한 조작으로 위생적으로 행할 수 있는 영양제용 용기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 및 영양제 공급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캡은,
영양제용 용기의 용기 본체부에 충전된 액상물을 유출시키는 상기 용기 본체부의 입구부에 장착되는 캡으로서,
상기 입구부에는, 상기 용기 본체부 내를 밀폐하는 박막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캡은,
캡 본체부와,
상기 캡 본체부에 연결되며, 파단 또는 변형 가능한 브릿지와,
상기 캡 본체부에 상기 브릿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브릿지가 파단 또는 변형되어 상기 용기 본체부측으로 밀어 넣어짐으로써 상기 박막을 뚫을 수 있게 하는 천자부(穿刺部)와, 상기 박막이 뚫어진 상태로 상기 용기 본체부에 충전된 상기 액상물을 상기 영양제용 용기 바깥으로 유출시킬 수 있는 유로를 포함하는 연통 부재와,
상기 캡 본체부에 포함되며, 커넥터와의 접속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하는 접속 유지 구조를 포함하는 캡이다.
본 발명의 영양제용 용기는,
입구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부와,
용기 본체부 내에 충전된 액상물과,
상기 입구부에 부착되어 상기 용기 본체부 내를 밀폐하는 박막과,
상기 입구부에 장착된 본 발명의 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영양제 공급 세트는,
본 발명의 영양제용 용기와,
상기 캡의 상기 접속 유지 구조와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를 포함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접속된 송액 튜브를 포함하는 송액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맥 영양 요법에 이용되는 송액 회로가 영양제용 용기에 잘못 접속된다는 오접속의 문제를 해결하며, 또한, 영양제 등의 액상물의 공급을 간단한 조작으로 위생적으로 행할 수 있는 영양제용 용기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 및 영양제 공급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의 영양제용 용기의 일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양제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영양제용 용기를 구성하는 본 발명의 캡의 일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한 캡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c는, 도 3a에 도시한 캡의 평면도이다.
도 3d는, 도 3a에 도시한 캡의 저면도이다.
도 3e는, 도 3a에 도시한 캡의 측면도이다.
도 3f는, 도 3a에 도시한 캡의 다른 측면도이다.
도 3g는, 도 3a에 도시한 캡의 단면도이다.
도 3h는, 도 3a에 도시한 캡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3a에 도시한 캡의 브릿지 및 연통 부재를 설명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A-A' 단면도이다.
도 4c는, 브릿지 및 연통 부재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d는, 브릿지 및 연통 부재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e는, 브릿지 및 연통 부재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f는, 브릿지 및 연통 부재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g는, 브릿지 및 연통 부재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영양제용 용기에 대해, 송액 회로가 접속되기 직전의 모양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영양제용 용기에 대해, 송액 회로가 접속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1에 도시된 영양제용 용기에 대해, 송액 회로가 접속되는 도중의 상태이며, 또한, 도 3a에 도시한 캡의 연통 부재에 의해 용기 본체부의 박막이 뚫어진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한 영양제용 용기 및 송액 회로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a는, 도 3a에 도시된 캡에 접속되는 커넥터의 일례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8c는, 도 8a에 도시한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8d는, 도 8a에 도시한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8e는, 도 8a에 도시한 커넥터의 다른 측면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2의 영양제용 용기의 일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영양제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a는, 도 9에 도시된 영양제용 용기를 구성하는 보호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보호 커버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11c는, 도 11a에 도시된 보호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11d는, 도 11a에 도시된 보호 커버의 저면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3의 영양제용 용기의 일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영양제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a는, 도 12에 도시된 영양제용 용기를 구성하는 본 발명의 캡의 일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b는, 도 14a에 도시한 캡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c는, 도 14a에 도시한 캡의 평면도이다.
도 14d는, 도 14a에 도시한 캡의 저면도이다.
도 14e는, 도 14a에 도시한 캡의 측면도이다.
도 14f는, 도 14a에 도시한 캡의 다른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4a에 도시한 캡의 브릿지 및 연통 부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영양제용 용기에 대해, 송액 회로가 접속되기 직전의 모양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a는, 도 14a에 도시한 캡의 연통 부재에 의해 용기 본체부의 박막이 뚫어진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 4의 영양제용 용기의 일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영양제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a는, 도 18에 도시된 영양제용 용기를 구성하는 본 발명의 캡의 일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20b는, 도 20a에 도시한 캡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0c는, 도 20a에 도시한 캡의 평면도이다.
도 20d는, 도 20a에 도시한 캡의 저면도이다.
도 20e는, 도 20a에 도시한 캡의 B-B'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0f는, 도 20a에 도시한 캡의 C-C'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1a는, 도 18에 도시된 영양제용 용기에 대해, 송액 회로가 접속되기 직전의 모양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1b는, 도 18에 도시된 영양제용 용기의 연통 부재가 박막측으로 밀어 넣어지는 도중의 모양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1c는, 도 18에 도시된 영양제용 용기의 연통 부재가 박막측으로 밀어 넣어지는 도중의 모양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1d는, 도 18에 도시된 영양제용 용기의 연통 부재가 박막측으로 밀어 넣어지는 도중의 모양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2는, 종래의 경장 영양 요법에 이용되는 경장 영양 세트의 일례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3은, 종래의 정맥 영양 요법에 이용되는 수액 세트의 일례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캡의 바람직한 일례에서는, 연통 부재는, 복수의 유로를 포함하며, 연통 부재의 박막측과는 반대측의 단면에 있어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연통 부재는 박막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있어서 판형상부를 포함하며, 그 판형상부에 각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기 단면에 있어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은, 1개의 관통구멍이 복수의 작은 구멍으로 구획되어 있다고도 말할 수 있으며, 관통구멍 내에 선단이 예리한 접속바늘을 삽입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통 부재가, 선단이 예리한 접속바늘이 연통 부재 내에 삽입되기 어려운 구조이면, 오로지, 선단이 예리한 접속바늘을 접속 대상에 찌름으로써 액상물을 체내로 이동시키는 정맥 영양 요법용의 송액 회로가, 잘못해서, 경장 영양 요법에 사용되는 영양제용 용기에 접속된다는 오접속의 문제가 보다 확실하게 해결된다.
본 발명의 캡의 바람직한 일례에서는, 연통 부재는, 판형상부보다 박막측에 배치되며, 각 구멍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공간을 상호 구획하도록 배치된 격벽을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연통 부재의 외형이 대략 원기둥형상인 경우보다, 연통 부재가 경량으로 되어, 연통 부재를 성형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캡의 바람직한 일례에서는, 연통 부재의, 박막측 선단으로부터 천자부보다 더 떨어진 개소의 일부에 있어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경우, 천자부에 의해 박막을 뚫은 후, 상기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이, 박막의 뚫어져 있지 않은 부분에 접하여, 연통 부재가 용기 본체부 내에 낙하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캡의 바람직한 일례에서는, 브릿지가, 용기 본체부에 충전된 액상물을 영양제용 용기 바깥으로 유출시킬 수 있는 유로에 걸쳐지도록, 연통 부재와 캡 본체부를 연결하고 있다. 이 경우, 연통 부재 내의 내강(유로)을 횡단하도록 브릿지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선단이 예리한 접속바늘이 연통 부재 내에 삽입되기 어려워, 상기 오접속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캡의 바람직한 일례에서는, 캡 본체부와 브릿지의 연결 부위로부터 브릿지와 연통 부재의 연결 부위까지의 브릿지를 포함하는 부분이 절곡되어 변형됨으로써, 연통 부재를 용기 본체부측으로 밀어 넣을 수 있게 한다. 이 경우, 캡 본체부와 연통 부재가 연결된 채로 박막을 뚫을 수 있으므로, 연통 부재가, 용기 본체부 내에 낙하하여 액상물에 부유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캡 본체부와 브릿지의 연결 부위로부터 브릿지와 연통 부재의 연결 부위까지의 브릿지를 포함하는 부분이, 3개의 박육부(肉薄部)를 포함하며, 3개의 박육부를 각각 절곡하여 변형시키면, 연통 부재를 용기 본체부측으로 용이하게 밀어 넣을 수 있다. 박육부의 수가 3개이면, 연통 부재를 용기 본체부측으로 밀어 넣었을 때에, 박육부의 수가 적음으로써 브릿지가 파단되거나, 박육부의 수가 너무 많음으로써 절곡법이 복잡해지는 것이 억제되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캡의 바람직한 일례에서는, 연통 부재를 덮고, 캡의 접속 유지 구조와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보호 커버를 구비한다. 이 경우, 원하지 않을 때에 연통 부재에 외력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원하지 않을 때에, 연통 부재에 외력이 가해져, 연통 부재가 용기 본체부측으로 밀어 넣어져 용기 본체부측으로 밀어 넣어진 연통 부재에 의해 박막이 뚫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
실시 형태 1에서는, 도 1~도 8e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캡의 일례, 및 당해 캡을 이용한 본 발명의 영양제용 용기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영양제용 용기의 일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영양제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영양제용 용기를 구성하는 본 실시 형태의 캡의 일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캡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캡의 평면도, 도 3d는, 도 3a에 도시된 캡의 저면도, 도 3e는, 도 3a에 도시된 캡의 측면도, 도 3f는, 도 3a에 도시된 캡의 다른 측면도, 도 3g는, 도 3a에 도시된 캡의 단면도, 도 3h는, 도 3a에 도시된 캡의 다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3a는, 설명의 편의상, 도 3c~도 3h보다 도면을 크게 기재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양제용 용기(10)는, 경장 영양 요법에 사용되는 의료용의 영양제용 용기로서, 용기 본체부인 보틀 본체(11)와, 보틀 본체(11) 내에 충전된 영양제를 포함하는 액상물(도시 생략)과, 보틀 본체(11)의 입구부(12)(도 2 참조)에 장착된 캡(13)을 포함한다. 보틀 본체(11)의 저부에는, 보틀 본체(11)를 스탠드 등에 매달기 위한 서스펜더(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보틀 본체(11)는, 예를 들면, 경질재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특히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외형 형상은 유지되어 있다. 보틀 본체(11)는, 예를 들면,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얻어진다. 수지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나일론 등을 들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부(12)는, 그 외주면에, 캡(13)의 암나사(23)(도 3h 등 참조)와 나사식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수나사(12a)가 형성되어 있다. 입구부(12)에는, 입구부(12)의 개구를 막도록 박막(16)이 부착되며, 보틀 본체(11) 내가 박막(16)에 의해 밀폐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박막(16)이 부착된 보틀 본체(11)를, 입구부(12)가 아래가 되도록 향하게 해도, 보틀 본체(11) 내의 액상물은, 보틀 본체(11) 내로부터 누출되지 않는다.
박막(16)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 종이와 알루미늄박으로 이루어지는 적층막, 보틀 본체(11)에 포함되는 수지와 동일한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막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막은, 단층막,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막의 어느 쪽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열 용착에 의한 박막(16)의 보틀 본체(11)에 대한 높은 접착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보틀 본체(11)에 접하는 면에 보틀 본체(11)에 포함되는 수지와 동일한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막이 바람직하다.
박막(16)은, 입구부(12)의 개구 단면(12b)에 접착되며, 또한, 그 둘레 가장자리부(16a)가 입구부(12)의 개구 단면(12b) 근방의 외주면에 접착되어 있다. 그러나, 박막(16)은, 입구부(12)의 개구 단면(12b)에만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박막(16)의 입구부(12)로의 접착 방법은, 박막(16)의 재료 및 입구부(12)의 재료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3)은, 캡 본체부(22)와, 캡 본체부(22)에 브릿지(19a)(도 3b 등 참조)를 통해 연결된 연통 부재(19)를 포함한다. 캡 본체부(22)와, 브릿지(19a)와, 연통 부재(19)는, 사출 성형법 등에 의해 일체 성형할 수 있다. 브릿지(19a)는, 연통 부재(19)에 대해 가압에 의해 박막(16)측으로 밀어 넣는 힘을 가하면, 어느 한 개소가 떨어져 나가는 것이며, 그 두께, 폭 등에 대해서는, 그 재료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도 3a~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본체부(22)는, 기부(基部)(20)와 접속부(21)를 포함한다. 기부(20)는, 캡(13)이 입구부(12)에 장착되었을 때에, 입구부(12)의 개구에 면하는 천장면부(17)와 입구부(12)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측벽부(18)를 포함한다. 측벽부(18)의 내주면에는, 입구부(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12a)(도 2 참조)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암나사(23)(도 3h 등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21)는, 천장면부(17)의 외측 주면으로부터 돌출된 관형상부(21a)와, 관형상부(21a)의 주위에 형성된 대좌부(21b)와, 대좌부(21b)의 외주면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관형상부(21a)의 주위에 설치된 한 쌍의 클로부(21c)를 포함한다. 관형상부(21a)의 선단측의 외주면은, 관형상부(21a)의 선단으로부터 기부측으로 향함에 따라 직경을 크게 한 테이퍼면(211)을 포함하고 있다. 한 쌍의 클로부(21c)는, 후술하는 송액 회로(27)(도 5 등 참조)의 커넥터(25)와의 접속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하는 접속 유지 구조로서 기능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본체부의 관형상부(21a)에는, 브릿지(19a)를 통해 연통 부재(19)가 연결되어 있으며, 그 내강 내에 연통 부재(19)의 일부가 삽입되어 있다. 그러므로, 연통 부재(19)의 다른 일부는 관형상부(21a)의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캡(13)은, 천장면부(17)와 측벽부(18)와 관형상부(21a)를 포함하는 캡 본체부와, 관형상부(21a) 내에 그 일부가 삽입된 연통 부재(19)를 포함한다.
도 3e 및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클로부(21c)는, 그 천장면부(17)와 마주 보는 면에, 후술하는 송액 회로(27)(도 5 등 참조)의 커넥터(25)의 로크 오목부(321g)(도 8a 참조)에 끼워맞출 수 있는 로크 돌기(211c)를 포함하고 있다.
도 4a는, 캡을 구성하는 브릿지(19a) 및 연통 부재(19)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에 도시한 연통 부재(19)의 A-A' 단면도이다. 연통 부재(19)는, 박막측(캡의 기부(20)의 개구부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있어서, 평면 형상이 원형인 판형상부(19e)를 포함하며, 판형상부(19e)에는 복수의 관통구멍(19d)이 형성되어 있다.
또, 연통 부재(19)는, 판형상부(19e)보다 박막측에 있어서, 박막측의 공간을 복수로 구획하는 복수의 격벽(19c)을 갖고 있다. 격벽(19c)은, 각 구멍(19d)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공간을 상호 구획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송액 회로(27)(도 5 등 참조)의 커넥터(25)를 캡(13)에 접속하기 위해, 커넥터(25)로 연통 부재(19)를 보틀 본체(11) 측으로 밀어 넣어, 천자부(19b)에 의해 박막(16)을 뚫었을 때에는, 복수의 격벽(19c)을 가지는 것으로 형성되며, 캡 본체부(22)(기부(20))의 내부 공간 대해 열린 복수의 공간(19g) 및 복수의 관통구멍(19d)이, 보틀 본체(11)에 충전된 액상물을 영양제용 용기 바깥으로(화살표 X의 방향으로) 유출시킬 수 있는 복수의 유로로서 기능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연통 부재(19)는, 4개의 격벽을 가지며, 그러므로 4개의 유로를 갖는다. 4개의 격벽은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각도로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호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격벽(19c)으로 이루어지는 구획체의 단면 형상은 대략 십자이다.
연통 부재(19)는, 그 축 방향 양단 중 박막(16)측에 천자부(19b)를 갖는다. 천자부(19b)는 그 선단이, 박막(16)을 뚫을 수 있을 정도로 뾰족해져 있다. 도 4a에 도시한 예에서는, 복수의 격벽(19c)이, 각각, 연통 부재(19)의 박막측의 선단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19m)을 갖고 있으며, 각 경사면(19m)이 연통 부재(19)의 박막측의 선단(19f)에 집속되어, 박막(16)을 뚫을 수 있게 하는 천자부(19b)를 형성하고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 부재(19)는, 천자부(19b)보다 박막측 선단(19f)으로부터 떨어진 어느 한 개소에 있어서, 천자부(19b)보다 바깥 방향(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19h), 바꿔 말하면, 천자부(19b)보다 연통 부재(19)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19h)을 갖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각 격벽(19c)은, 격벽(19c) 중 천자부(19b)를 구성하는 부분보다 박막측 선단(19f)으로부터 떨어진 어느 한 개소에 있어서, 천자부(19b)보다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폭이 넓은 부분(19h)을 갖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천자부(19b)에 의해 박막(16)을 뚫은 후, 당해 부분(19h)이, 박막(16)의 뚫어져 있지 않은 부분에 접하여, 연통 부재(19)가 보틀 본체(11) 내에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4a에 도시한 예에서는, 부분(19h)의 박막과 마주 보는 면(19j)이, 박막(16)의 뚫어져 있지 않은 부분에 접하여 연통 부재(19)가 보틀 본체(11) 내에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브릿지(19a)는, 격벽(19c)으로부터 바깥쪽(예를 들면, 연통 부재(19)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브릿지(19a)의 수, 형상 등에 대해서는, 캡 본체부(22)에 의해 연통 부재(19)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또한, 연통 부재(19)를 박막(16)측으로 밀어 넣을 때에는 브릿지(19a)를 용이하게 파단 가능한 한,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브릿지(19a)는, 연통 부재(19)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상으로 배치되며, 관형상부(21a)의 내주면과 마주 보는 면이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격벽(19c) 중 하나의 간격을 둔 격벽(19c)으로부터 바깥 방향(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연통 부재(19)에서는, 격벽(19c)의 수가 4개이므로, 상호 180도 떨어진 2개의 격벽(19c)에만 브릿지(19a)를 설치한다.
도 3a,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3)의 천장면부(17)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2개의 통기구멍(29)이 형성되어 있으며, 통기구멍(29)을 피복하도록 천장면부(17)의 내측 주면(17a)에 통기 필터(28)(도 3d 등 참조)가 부착되어 있다. 통기 필터(28)는, 천장면부(17)의 내측 주면(17a)에 설치된 고리형상 벽(28a)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다. 통기 필터(28)는, 소수성의 통기 필터이며, 기체는 통과시키지만 액체는 통과시키지 않는다. 보틀 본체(11) 내에 충전된 액상물이 입구부(12)로부터 유출됨에 따라, 보틀 본체(11) 내의 압력은 낮아진다. 보틀 본체(11)가 연질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액상물의 유출에 따라 보틀 본체(11)가 변형되며, 액상물의 유출은 계속된다. 그러나, 경질재로 형성된 보틀 본체(11)의 변형은 곤란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상물의 유출에 따라, 통기 필터(28)를 거쳐, 공기가 보틀 본체(11) 내로 인입된다. 이에 의해, 체내에 영양제를 한창 공급하고 있는 도중에, 보틀 본체(11)에 바늘 등을 찔러 보틀 본체(11)에 통기용의 구멍을 형성하거나 하지 않아도, 보틀 본체(11)로부터의 액상물의 유출을 계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통기 필터(28)로서는, 예를 들면, 병침(甁針) 등의 접속바늘에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소수 필터이면, 그 재료 등에 대해 특별히 제한은 없다.
도 3d, 도 3g, 도 3h, 도 5~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3)은, 천장면부(17)의 내측 주면(17a) 상에 배치된 고리형상의 시일재(171)를 더 포함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시일재(171)가 천장면부(17)의 내측 주면(17a)과 보틀 본체(11)의 입구부(12)의 개구 단면(12b)(도 2 참조) 사이에 끼워져, 캡(13)과 입구부(12)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그 때문에, 환자에게 액상물을 한창 공급하고 있는 도중에, 액상물이, 캡(13)과 입구부(12)의 간극으로부터 누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도시의 편의상, 도 3d에서는, 시일재(171)에 빗금을 넣고 있다.
시일재(171)의 재료는, 이소프렌 고무, 부틸렌 고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도 5에, 캡(13)의 접속부(21) 및 연통 부재(19)에 대해, 커넥터(25)와 커넥터(25)에 접속된 가요성 튜브(26)를 포함하는 송액 회로(27)가 접속되기 직전의 모양을 나타내며, 도 6에, 접속부(21) 및 연통 부재(19)에 대해 송액 회로(27)가 접속되는 도중, 도 7a 및 도 7b에, 접속부(21) 및 연통 부재(19)에 대해 송액 회로(27)가 접속되는 도중이며, 박막(16)이 뚫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21) 및 연통 부재(19)는, 도 8a~도 8e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커넥터(25)를 포함하는 송액 회로(27)에 접속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오로지, 선단이 예리한 접속바늘을 접속 대상에 찌름으로써 액상물을 체내로 이동시키는 정맥 영양 요법용의 송액 회로가, 잘못해서, 경장 영양 요법에 사용되는 영양제용 용기(10)(도 1 참조)에 접속된다는 오접속의 문제가 해결된다. 또한, 도 4a~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 부재(19)의 천자부(19b)측과는 반대측의 단면에 있어서, 복수의 관통구멍(19d)이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이 예리한 접속바늘이 관통구멍 내에 삽입되기 어려운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오접속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5~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5) 내에 관형상부(21a)를 밀어 넣은 후, 커넥터(25)를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캡(13)의 클로부(21c)가 커넥터(25)의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지므로, 커넥터(25)는 접속부(21)에 고정되어, 커넥터(25)의 빠짐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 클로부(21c)와 커넥터(25)의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진 상태에서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상부(21a)의 외주면(212)이 커넥터(25)의 내면(대경부(33a))과 밀착되므로, 커넥터(25)와 캡(13)이, 액 누출을 발생시키지 않고 접속된다.
또한, 캡(13)과 커넥터(25)의 접속 상태의 유지는, 각종 공지의 구조에 의해 행해지면 되고, 접속 유지 구조인 캡(13)의 로크 볼록부(211c)를 포함하는 클로부(21c)(도 3e 등 참조)와, 커넥터(25)의 로크 오목부(321g)를 포함하는 걸어맞춤 벽(321d)(도 8a 참조)의 걸어맞춤 이외의 방법에 의해 행해져도 된다.
캡(13)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세탈(POM),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에, 캡에 접속되는 커넥터의 일례에 대해, 도 8a~도 8e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캡에 접속되는 커넥터(25)의 일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에 도시한 커넥터(25)의 평면도이고, 도 8c는, 도 8a에 도시한 커넥터(25)의 저면도이고, 도 8d는, 도 8a에 도시한 커넥터(25)의 측면도이며, 도 8e는, 도 8a에 도시한 커넥터(25)의 다른 측면도이다.
도 8a~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의 커넥터(25)는, 삽입부(33)와, 송액 튜브 접속부(30)와, 플랜지부(32)와, 파지부(31)를 포함한다. 커넥터(25)는, 용기 본체부인 보틀 본체(11)의 입구부(12)에 장착된 캡(13)에 접속됨으로써, 보틀 본체(11) 내와 커넥터(25)에 접속된 가요성 튜브(26)(도 5~도 7b 등 참조)의 내강을 연통 가능하게 한다. 한점 쇄선(151)은 삽입부(33) 및 송액 튜브 접속부(30)의 중심축이며, 중심축(151)의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여, 도 8a의 지면 상측(캡에 접속되는 측)을 「상측」, 지면 하측을 「하측」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커넥터(25)는, 전체적으로 대략 통형상을 가지며, 그 상단 근방의 삽입부(33)는, 캡(13)의 관형상부(21a)의 최대 외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내경을 갖는 대경부(33a)를 가지며, 대경부(33a)보다 하측에, 연통 부재(19)의 판형상부(19e)의 외경 및 대경부(33a)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소경부(33b)를 갖는다. 대경부(33a)의 내경은, 통형상부(21a)의 최대 외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기 때문에, 커넥터(25)의 삽입부(33)에 캡(13)의 관형상부(21a)를 밀어 넣어 커넥터(25)와 캡(13)이 접속된 상태일 때에, 관형상부(21a)의 외주면(212)이 대경부(33a)의 내주면에 밀착된다(도 5, 도 7b 참조). 따라서, 캡(13)과 커넥터(25)를 액상물의 누출을 발생시키지 않고 확실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25)의 삽입부(33)는, 대경부(33a)와 소경부(33b)를 가짐으로써, 대경부(33a)와 소경부(33b)의 사이에 단차면(33c)을 갖는다. 이 단차면(33c)은, 커넥터(25)가 캡(13)에 접속되었을 때에, 관형상부(21a)의 단면(211a) 및 연통 부재(19)의 단면(19k)과 접한다(도 7b 참조).
소경부(33b)보다 하측에는, 대략 원통형상의 송액 튜브 접속부(30)가 설치되어 있다.
대경부(33a)의 주위이며 또한 이것보다 상측에, 한 쌍의 플랜지부(32)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플랜지부(32)는 중심축(151)에 대해 대칭이다. 플랜지부(32)는, 중심축(151)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면을 거의 따른 원호형상 벽(321)과, 중심축(151)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원호형상 벽(321)의 하단과 대경부(33a)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322)를 갖는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상 벽(321)은, 중심축(151)에 대향하는 내주면의 형상의 차이에 따라, 통과 영역(321a)과, 걸어맞춤 영역(321b)과, 비통과 영역(321c)을 포함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 영역(321a)의 내주면은 직경 DF21의 원통면의 일부이며, 비통과 영역(321c)의 내주면은 직경 DF23(DF23<DF21)의 원통면의 일부이다. 통과 영역(321a)과 비통과 영역(321c) 사이의 걸어맞춤 영역(321b)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에, 통과 영역(321a)의 상단과 비통과 영역(321c)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어맞춤 벽(321d)을 구비한다. 걸어맞춤 벽(321d)의 중심축(151)에 대향하는 내주면은, 직경 DF22(DF22<DF21)의 원통면의 일부이다. 걸어맞춤 영역(321b)은, 걸어맞춤 벽(321d)을 구비함으로써, 걸어맞춤 벽(321d)과 연결부(322) 사이의 영역이 오목형상으로 함몰되어 있다. 즉, 걸어맞춤 벽(321d)과 연결부(322) 사이의 영역은, 걸어맞춤 벽(321d)보다 상대적으로 중심축(151)으로부터 후퇴하여, 오목부(321e)를 구성하고 있다. 걸어맞춤 영역(321b)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비통과 영역(321c)은, 오목부(321e)에 대해 상대적으로 중심축(151)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볼록부(321f)를 구성한다. 걸어맞춤 벽(321d)의 비통과 영역(321c)측단의 하면(오목부(321e)측의 면, 연결부(322)에 면하는 면)에는, 오목형상으로 오목하게 패인 로크 오목부(321g)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322) 중 걸어맞춤 벽(321d)과 마주 보는 부분에는, 연결부(322)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220)(도 8c 참조)이 형성되어 있지만, 관통구멍(220)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33)의 주위에, 삽입부(33)의 외주면으로부터 바깥 방향(중심축(15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파지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캡(13)의 클로부(21c)를 플랜지부(32)에 걸어맞추기 위해 행해지는 회전 조작 시에, 이 한 쌍의 파지부(31)에 의해 회전 조작이 행해진다.
다음에, 커넥터(25)의 캡(13)으로의 접속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5)의 삽입부(33) 내에 연통 부재(19)가 삽입되도록, 커넥터(25)를 캡(13)에 장착하면서, 브릿지(19a)(도 3b 참조)를 파단하여, 연통 부재(19)를 보틀 본체의 입구부(12) 내로 밀어 넣어, 연통 부재(19)의 천자부(19b)로 박막(16)을 뚫는다. 즉, 커넥터(25)를 캡(13)에 접속하기 위한 조작에 의해 연통 부재(19)를 보틀 본체(11)측으로 밀어 넣는다.
다음에, 파지부(31)를 파지하여, 캡(13)에 대해 커넥터(25)를 중심축의 둘레로 회전시키면, 커넥터(25)의 회전에 따라, 로크 돌기(211c)(도 3e 등 참조)가, 걸어맞춤 벽(321d)의 연결부(322)측의 면(321h)에 압착되면서 당해 면(321h) 상을 슬라이딩하여, 다음에 로크 오목부(321g)(도 8a 참조)에 끼워맞춰진다. 로크 돌기(211c)와 로크 오목부(321g)의 끼워맞춤에 의해, 커넥터(25)가 캡(13)에 접속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양제용 용기(10)(도 1 참조)에서는, 예를 들면, 커넥터(25)를 캡(13)에 접속시키면서, 캡의 연통 부재(19)를 용기 본체부측으로 밀어 넣는 것만으로, 영양제용 용기(10) 내와 송액 회로(27) 내를 연통시킬 수 있으므로, 액상물의 공급을 간단한 조작으로 위생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커넥터(25)에는, 클로부(21c)가 수납되는 로크 오목부(321g)에 인접하여 볼록부(321f)(도 8a 참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캡(13)의 클로부(21c)를 로크 오목부(321g) 내에 침입시키고, 또한 볼록부(321f)에 접촉할 때까지 이동시키면, 클로부(21c)와 걸어맞춤 벽(321d)을 확실하게 걸어맞출 수 있다.
또, 캡(13)의 클로부(21c)가 커넥터(25)의 볼록부(321f)에 접촉함으로써, 캡(13)에 대한 커넥터(25)의 회전이 규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캡(13)에 대해 커넥터(25)를, 회전이 규제될 때까지 회전시킨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클로부(21c)와 걸어맞춤 벽(321d)을 확실하게 걸어맞출 수 있다.
커넥터(25)에 대해, JIS-K7202에 의거하여 측정되는 경도는, 송액 튜브 접속부(30)로의 가요성을 갖는 송액 튜브(26)의 접속 작업성 향상의 관점에서, R40~R140이면 바람직하고, R50~R100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연통 부재(19)의 형태에 대해서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 부재(19)는, 판형상부(19e)에 3개의 관통구멍(19d)을 갖고, 판형상부(19e)보다 박막측에 3개의 격벽(19c)을 가지며, 3개의 유로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도 4c에 도시된 연통 부재(19)에 있어서는, 모든 격벽(19c)에 브릿지(19a)가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브릿지(19a)는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캡 본체부에 의해 연통 부재(19)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것이면, 적어도 1개의 브릿지(19a)가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 부재(19)는, 판형상부(19e)에 2개의 관통구멍(19d)을 갖고, 판형상부(19e)보다 박막측에 1개의 격벽(19c)을 가지며, 2개의 유로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도 4d에 도시된 연통 부재(19)에 있어서는, 격벽(19c)의 관형상부(21a)의 내주면과 마주 보는 면에 브릿지(19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도 4d에 도시된 연통 부재(19)에 있어서는, 1개의 격벽(19c)에 한 쌍의 브릿지(19a)가, 연통 부재(19)의 중심축에 대해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캡 본체부에 의해 연통 부재(19)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것이면, 적어도 1개의 브릿지(19a)가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도 4e~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 부재(19)는 대략 원통형상이며, 관통구멍(19d)을 2~4개 가짐으로써, 그 내강이 2~4개로 분할되며, 2~4개의 유로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도 4e~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 부재(19)가 대략 원통형상이며, 연통 부재(19)의 길이 방향 양단 중 천자부(19b)측으로부터 그 단면을 평면에서 본 경우의 외형이 예를 들면 원형이면, 연통 부재(19)의 천자에 의해 박막(16)에 큰 구멍을 형성할 수 있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4e~도 4g에 도시된 연통 부재(19)에 있어서도, 그 외주면에, 캡 본체부에 의해 연통 부재(19)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것이면, 적어도 1개의 브릿지(19a)가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도 9~도 11d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캡의 다른 일례, 및 당해 캡을 이용한 본 발명의 영양제용 용기의 다른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영양제용 용기의 일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영양제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캡 및 영양제용 용기는, 캡(13)이, 연통 부재(19)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커버(40)를 더 포함하는 것 이외는 실시 형태 1의 캡 및 영양제용 용기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으며, 동일 부재에는 동일한 부재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호 커버(40)에 의해 연통 부재(19)가 보호되어 있으므로, 원하지 않을 때에 연통 부재(19)에 외력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원하지 않을 때에 연통 부재(19)에 외력이 가해져, 연통 부재(19)가 용기 본체부인 보틀 본체(11)측(캡 본체부(22)의 개구부측)으로 밀어 넣어져, 용기 본체부측으로 밀어 넣어진 연통 부재(19)에 의해 박막(16)이 뚫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 커버(40)는, 도 11a~도 1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통 부재(19)를 천장면부(17)(도 10 참조)의 외면측으로부터 덮는 커버 본체(41)와 캡(13)의 클로부(21c)(도 10 참조)와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 벽(421d)을 걸어맞춤부로서 포함하는 한 쌍의 플랜지부(42)를 포함한다. 보호 커버(40)의 플랜지부(42)는, 상기 커넥터(25)의 플랜지부 동일 구조를 하고 있다.
보호 커버(40)를, 커버 본체(41) 내에 연통 부재(19) 및 대좌부(21b)가 들어가도록 씌우고, 보호 커버(40)를 회전시켜, 캡(13)의 클로부(21c)의 로크 돌기부(211c)(도 3e 등 참조)를, 걸어맞춤 벽(421d)의 비통과 영역(421c)측단의 하면(오목부(418)측의 면)에 형성된 로크 오목부(421g)에 끼워맞추면, 보호 커버(40)가 캡(13)에 장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정맥 영양 요법에 이용되는 송액 회로가 잘못 접속된다는 오접속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양제 등의 액상물의 공급을 간단한 조작으로 위생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보호 커버(40)를 캡(13)으로부터 떼어내어, 예를 들면, 커넥터(25)를 통해 연통 부재(19)에 박막(16)측으로 밀어 넣는 힘을 부여하여 박막(16)을 뚫어, 캡(13)에 송액 회로(27)를 접속하는 것만으로(도 5~도 7b 등 참조), 환자로의 액상물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실시 형태 3)
실시 형태 3에서는, 도 12~도 17b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캡의 다른 일례, 및 당해 캡을 이용한 본 발명의 영양제용 용기의 다른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의 영양제용 용기의 일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영양제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a는, 도 12에 도시된 영양제용 용기를 구성하는 본 실시 형태의 캡의 일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14b는, 도 14a에 도시된 캡(43)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14c는, 도 14a에 도시된 캡(43)의 평면도, 도 14d는, 도 14a에 도시된 캡(43)의 저면도, 도 14e는, 도 14a에 도시된 캡(43)의 측면도, 도 14f는, 도 14a에 도시된 캡(43)의 다른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4a에 도시한 캡(43)의 브릿지 및 연통 부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4a는, 설명의 편의상, 도 14c~도 14f보다 도면을 크게 기재하고 있다. 도 12~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캡 및 영양제용 용기는, 연통 부재(39) 및 브릿지(39a)의 형상이 다른 것 이외는 실시 형태 1의 캡 및 영양제용 용기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으며, 동일 부재에는 동일한 부재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b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 부재(39)는, 박막(16)(도 13 참조)측과는 반대측에 통형상부(39e)를 포함한다. 통형상부(39e)는, 연통 부재(39)를 박막측과는 반대측의 단면측으로부터 평면에서 본 경우에 보이는 원주의 일부가 절결되도록 형성되며,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결부(39h)를 갖고 있다. 통형상부(39e)의 외측면은, 관형상부(21a)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원통면의 일부이다. 또, 연통 부재(39)는, 그 축 방향 양단 중 박막(16)측에 천자부(39b)를 갖는다. 천자부(39b)는 그 선단이, 박막을 뚫을 수 있을 정도로 뾰족해져 있다. 연통 부재(39)에서는, 박막측의 선단을 향해 경사진 한 쌍의 경사면(39m)을 가지며, 각 경사면(39m)이, 연통 부재(39)의 박막측의 선단(39f)에 집속되어, 박막(16)을 뚫을 수 있게 하는 천자부(39b)를 형성하고 있다. 천자부(39b)에 의해 박막(16)이 뚫어졌을 때에는, 연통 부재(39)의 내강(39j)은, 용기 본체부(11)(도 13 참조)에 충전된 액상물을 영양제용 용기 바깥으로(화살표 X의 방향으로) 유출시킬 수 있는 유로로서 기능한다.
캡 본체부(22)와, 브릿지(39a)와, 연통 부재(39)는, 사출 성형법 등에 의해 일체 성형할 수 있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39a)는, 절결부(39h)를 통해 통형상부(39e)의 내측과 외측에 걸쳐져 있으며, 연통 부재(39)의 내주면(39k)과 접속부(21)의 관형상부(21a)를 연결하고 있다. 브릿지(39a)는, 연통 부재(39)에 대해 가압에 의해 박막측으로 밀어 넣는 힘을 가하면, 소성 변형되어, 가압력을 받지 않게 되어도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오지 않는 것이다. 브릿지(39a)의 두께, 폭 등에 대해서는, 연통 부재(39)를 박막(16)(도 13 참조)측으로 밀어 넣었을 때에 소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그 재료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브릿지(39a)의 길이는, 연통 부재(39)의 천자부(39b)에 의해 박막(16)(도 13 참조)을 뚫을 수 있을 정도로, 연통 부재(39)를 박막(16)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길이인 것을 요한다. 그러한 브릿지(39a)의 길이를 확보하는 관점에서, 연통 부재(39)를 박막측과는 반대측의 단면측으로부터 평면에서 본 경우에 보이는 브릿지(39a)의 형상은, 예를 들면, S자형상이면 바람직하다.
또,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 부재(39)의 형상이, 그 길이 방향 양단 중 한쪽의 단부가 천자부(39b)를 포함하며 박막을 뚫을 수 있을 정도로 뾰족해진 원통형상 등의 통형상이며, 절결부(39h)가, 연통 부재(39)의 길이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연통 부재(39)의 천자에 의해 박막(16)에 보다 큰 구멍을 형성 가능하게 하는 관점에서, 절결부(39)의 폭(절결부(39)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은, 브릿지(39a)의 절결부(39) 내에 존재하는 부분의 폭보다 약간 큰 정도이면 바람직하다.
도 16에, 캡(43)의 접속부(21) 및 연통 부재(39)에 대해, 커넥터(25)(도 5~7 참조)와 커넥터(25)에 접속된 가요성 튜브(26)(도 5 참조)를 포함하는 송액 회로(27)(도 5~도 7a 참조)가 접속되기 전의 모양을 나타내고, 도 17a에, 연통 부재(39)에 의해 박막(16)이 뚫어진 상태를 나타내며, 도 17b에 도 17a의 부분 확대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6~도 17b에 있어서, 도 5~도 7a에 도시한 송액 회로(27)는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접속부(21) 및 연통 부재(39)는, 도 8a~도 8e를 이용하여 설명한 커넥터(25)를 포함하는 송액 회로(27)에 접속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오로지, 선단이 예리한 접속바늘을 접속 대상에 찌름으로써 액상물을 체내로 이동시키는 정맥 영양 요법용의 송액 회로가, 잘못해서, 경장 영양 요법에 사용되는 영양제용 용기(10)(도 12 등 참조)에 접속된다는 오접속의 문제가 해결된다. 또한, 도 14b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 부재(39) 내에는, 연통 부재(39) 내의 내강(유로)(39j)을 횡단하도록 브릿지(39a)가 배치되어 있으며, 바꿔 말하면, 브릿지(39a)가, 유로에 걸쳐지도록, 연통 부재(39)와 캡 본체부의 통형상부(21a)를 연결하고 있다. 그 때문에, 선단이 예리한 접속바늘이 연통 부재(39) 내에 삽입되기 어려운 형태로 되어 있어, 상기 오접속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예를 들면, 커넥터(25)를 통해 연통 부재(39)에 박막(16)(도 13 참조)측으로 밀어 넣는 힘을 부여하여, 브릿지(39a)를 소성 변형하여, 박막(16)을 뚫어, 캡(43)에 송액 회로(27)(도 5 참조)를 접속하는 것만으로, 환자로의 액상물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정맥 영양 요법에 이용되는 송액 회로가 잘못 접속된다는 오접속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양제 등의 액상물의 공급을 간단한 조작으로 위생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7a 및 도 17b 등에 있어서, 브릿지(39a)는, 연통 부재(39)에 대해 가압에 의해 박막측으로 밀어 넣는 힘을 가하면, 소성 변형되어, 가압력을 받지 않게 되어도 원래의 형태에 되돌아오지 않는 것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파단되는 것이어도 되고, 탄성 변형되는 것이며, 가압력을 받지 않게 된 경우에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오는 것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캡 및 영양제용 용기는, 실시 형태 2에서 설명한 보호 커버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실시 형태 4)
실시 형태 4에서는, 도 18~도 21d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캡의 다른 일례, 및 당해 캡을 이용한 본 발명의 영양제용 용기의 다른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본 실시 형태의 영양제용 용기의 일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19는, 도 18에 도시한 영양제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a는, 도 18에 도시된 영양제용 용기를 구성하는 본 실시 형태의 캡의 일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20b는, 도 20a에 도시된 캡(53)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20c는, 도 20a에 도시된 캡(53)의 평면도, 도 20d는, 도 20a에 도시된 캡(53)의 저면도, 도 20e는, 도 20a에 도시된 캡(53)의 B-B'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0f는, 도 20a에 도시된 캡(53)의 C-C'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20a는, 설명의 편의상, 도 20c~도 20d보다 도면을 크게 기재하고 있다. 도 18~도 2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캡 및 영양제용 용기는, 연통 부재(49) 및 브릿지(49a)의 형상이 다른 것 이외는 실시 형태 1의 캡 및 영양제용 용기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으며, 동일 부재에는 동일한 부재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 부재(49)는, 박막(16)(도 19 등 참조)측의 반대측에 배치된 통형상부(49e)를 포함한다. 통형상부(49e)는,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되며 통형상부(49e)의 중심축에 대해 상호 대칭으로 배치된 한 쌍의 평판형상부(491e)와, 이들을 연결하는 한 쌍의 만곡 판형상부(492e)를 포함한다. 각 만곡 판형상부(492e)의 외측면은, 관형상부(21a)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원통면의 일부이지만, 평판형상부(491e)의 외측면은, 당해 원통면보다 상대적으로 관형상부(21a)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후퇴되어 있으며, 오목부(493e)를 구성하고 있다.
도 20e 및 도 2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 부재(49)는, 통형상부(49e)보다 박막측에 천자부(49b)를 포함하며, 관형상부(21a) 내의 공간을 복수로 분할하는 격벽(49c)을 포함하고 있다. 격벽(49c)의 박막측 단부의 폭이 선단을 향해 서서히 좁아짐으로써, 박막(16)을 뚫을 수 있을 정도로 뾰족해진 천자부(49b)를 형성하고 있다. 격벽(49c)은, 만곡 판형상부(492e)의 하단에 연결되며, 통형상부(49e)에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통형상부(49e)가 박막(16)측으로 밀어 넣어지면, 격벽(49c)도 박막(16)측으로 밀어 넣어진다. 격벽(49c)의 주면은, 한 쌍의 평판형상부(491e)의 주면과 평행하다. 격벽(49c)의 대부분은, 평판형상부(491e)의 각 하단과 관형상부(21a)를 연결하는 한 쌍의 브릿지(49a)보다 아래쪽(박막에 가까운 쪽)에 배치되어 있지만, 연통 부재(49)를 박막측과는 반대측의 단면측으로부터 평면에서 본 경우, 격벽(49c)은, 한 쌍의 브릿지(49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도 20c 참조).
도 21a에, 캡(53)의 접속부 및 연통 부재(49)에 대해, 커넥터(25)와 커넥터(25)에 접속된 가요성 튜브(26)를 포함하는 송액 회로(27)(도 5~도 7a 참조)가 접속되기 전의 모양을 나타내며, 도 21b~도 21d에, 연통 부재(49)가 박막(16)측으로 밀어 넣어지는 도중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1a~도 21d에 있어서, 도 5~도 7a에 도시한 송액 회로(27)는 생략하고 있다.
관형상부(21a)(캡 본체부)와 브릿지(49a)의 연결 부위(51)의 두께 T1은, 브릿지(49a) 중 당해 연결 부위(51)의 근방 부분의 두께보다 얇다. 브릿지(49a)와 통형상부(49e)(연통 부재)의 연결 부위(52)의 두께 T2는, 브릿지(49a) 중 당해 연결 부위(52)의 근방 부분의 두께보다 얇다. 또, 브릿지(49a)는, 예를 들면 그 중앙부에 두께가 T3인 박육부(54)를 포함하고 있다. 그 때문에, 커넥터(25)를 통해 연통 부재(49)에 대해 가압에 의해 박막(16)측으로 밀어 넣는 힘을 가하면, 도 21b~도 2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위(51)로부터 연결 부위(52)까지의 브릿지(49)를 포함하는 부분 Z(도 21a~도 21d에 있어서 도트 표시된 부분) 중, 연결 부위(51), 연결 부위(52) 및 박육부(54)를 포함하는 3개의 박육부가 각각 절곡되어 변형되며, 연통 부재(49)는 용기 본체부인 보틀 본체(11)(도 18 참조)측으로 밀어 넣어져, 연통 부재(49)의 천자부(49b)에 의해 박막(16)이 뚫어진다. 연결 부위(51)의 두께 T1, 연결 부위(52)의 두께 T2, 및 박육부(54)의 두께 T3 및 브릿지(49a)의 각 부위의 a 두께 등에 대해서는, 그 재료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도 21d에 도시된 연통 부재(49)가 또한 박막(16)측으로 밀어 넣어져, 클로부(21c)(도 20e 등 참조)와 커넥터(25)의 걸어맞춤 벽(321d)(걸어맞춤부, 도 8a 등 참조)이 걸어맞춰진 상태에서는, 연통 부재(49)의 박막(16)측의 반대측의 단면(49f)은, 관형상부(21a)의 개구 단면(211a)과 거의 단차가 없는 상태로 된다. 통형상부(49e)가 박막(16)측으로 밀어 넣어져, 관형상부(21a)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평판형상부(491e)의 외측면과, 이것과 마주 보는 관형상부(21a)의 내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지만, 당해 간극, 즉 오목부(493e)(도 20b 참조)와 관형상부(21a)의 내주면에 의해 둘러싸여진 공간 내에, 절곡된 브릿지(49a)가 수납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접속부(21) 및 연통 부재(49)는, 도 8a~도 8e를 이용하여 설명한 커넥터(25)를 포함하는 송액 회로(27)에 접속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오로지, 선단이 예리한 접속바늘을 접속 대상에 찌름으로써 액상물을 체내로 이동시키는 정맥 영양 요법용의 송액 회로가, 잘못해서, 경장 영양 요법에 사용되는 영양제용 용기(10)(도 18 참조)에 접속된다는 오접속의 문제가 해결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예를 들면, 커넥터(25)를 통해 연통 부재(49)에 박막(16)측으로 밀어 넣는 힘을 부여하여, 연결 부위(51)로부터 연결 부위(52)까지의 브릿지(49a)를 포함하는 부분 Z를 절곡하여 변형시키며, 필요에 따라 소성 변형하여, 박막(16)을 뚫어, 캡(53)에 송액 회로(27)(도 5 참조)를 접속하는 것만으로, 환자로의 액상물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정맥 영양 요법에 이용되는 송액 회로가 잘못 접속된다는 오접속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양제 등의 액상물의 공급을 간단한 조작으로 위생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1a 등을 이용하여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일례에서는, 브릿지(49a)의 박육부(54)는 1개이며, 연결 부위(51, 52), 및 박육부(54)가 절곡됨으로써 연통 부재(49)의 박막(16)측으로 밀어 넣는 것이 허용되고 있지만, 브릿지는 1개 이상 또는 복수의 박육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연통 부재(49)에 대해 가압에 의해 박막측으로 밀어 넣는 힘을 가했을 때에, 절곡되어 변형됨으로써, 연통 부재(49)의 박막측으로의 이동 및 연통 부재(49)에 의해 박막을 뚫는 것이 허용되면, 연결 부위(51, 52)의 형상 및 박육부의 수 등에 대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부분 Z에 있어서의 박육부의 수는, 박육부의 수가 적음으로써 브릿지가 파단되거나, 박육부의 수가 너무 많음으로써 절곡법이 복잡해지는 것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3개이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브릿지(49a)는, 연통 부재(49)에 대해 가압에 의해 박막측으로 밀어 넣는 힘을 가하면 절곡되어 변형되는 것이며, 캡 본체부와 연통 부재가 연결된 채로 박막을 뚫을 수 있으므로, 연통 부재가 용기 본체부 내에 낙하하여 액상물에 연통 부재가 부유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파단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캡 및 영양제용 용기는, 실시 형태 2에서 설명한 보호 커버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송액 회로(27)는, 도시의 편의상, 커넥터(25)와 가요성 튜브(26)의 일부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실시 형태 1~4의 캡 및 영양제용 용기에 접속되거나, 또는, 영양제용 용기와 함께 영양제 공급 세트를 구성하는 송액 회로는, 가요성 튜브(26)를 가압하여 가요성 튜브(26)를 흐르는 액상물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 조정기, 점적통, 환자에게 고정된 경비 튜브 등에 접속될 수 있는 커넥터, 당해 커넥터의 커버 등, 종래 공지의 경장 영양 요법에 사용되는 송액 회로가 구비하는 구성 부품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경장 영양 요법에 적합한, 영양제용 용기의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 및, 당해 영양제용 용기를 포함하는 영양제 공급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10 : 영양제용 용기
11 : 용기 본체부
12 : 입구부
12a : 수나사
13, 43, 53 : 캡
16 : 박막
17 : 천장면부
18 : 측벽부
19, 39, 49 : 연통 부재
19a, 39a, 49a : 브릿지
19b, 39b, 49b : 천자부
19c, 49c : 격벽
19e : 판형상부
20 : 기부
21 : 접속부
22 : 캡 본체부
23 : 암나사
21a : 관형상부
21b : 대좌부
21c : 클로부
25 : 커넥터
26 : 가요성 튜브
27 : 송액 회로
28 : 통기 필터
29 : 통기구멍
171 : 시일재
40 : 보호 커버
51 : 캡 본체부와 브릿지의 연결 부위
52 : 브릿지와 연통 부재의 연결 부위
54 : 브릿지의 박육부
Z : 캡 본체부와 브릿지의 연결 부위로부터 브릿지와 연통 부재의 연결 부위까지의 브릿지를 포함하는 부분

Claims (11)

  1. 경장 영양 요법에 사용되는 영양제용 용기의 용기 본체부에 충전된 액상물을 유출시키는 상기 용기 본체부의 입구부에 장착되는 캡으로서,
    상기 입구부에는, 상기 용기 본체부 내를 밀폐하는 박막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캡은,
    캡 본체부와,
    상기 캡 본체부에 연결되며, 파단 또는 변형 가능한 브릿지와,
    상기 캡 본체부에 상기 브릿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브릿지가 파단 또는 변형되어 상기 용기 본체부측으로 밀어 넣어짐으로써 상기 박막을 뚫을 수 있게 하는 천자부(穿刺部)와, 상기 박막이 뚫어진 상태로 상기 용기 본체부에 충전된 상기 액상물을 상기 영양제용 용기 바깥으로 유출시킬 수 있는 유로를 포함하는 연통 부재와,
    상기 캡 본체부에 포함되며, 송액 회로를 구성하며 상기 연통 부재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커넥터와의 접속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하는 접속 유지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캡 본체부와 상기 브릿지와 상기 연통 부재는 일체물이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입구부에 장착된 상기 캡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부 내와 상기 송액 회로를 연통 가능하게 하며,
    상기 커넥터의 삽입부 내로 삽입된 상기 연통 부재를 상기 박막측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상기 브릿지가 파단 또는 변형되는, 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통 부재는, 복수의 상기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박막측과는 반대측의 단면에 있어서 각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캡.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통 부재는, 복수의 상기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박막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판형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판형상부에 각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캡.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통 부재는, 상기 판형상부보다 상기 박막측에 배치되며, 각 구멍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공간을 상호 구획하도록 배치된 격벽을 포함하는, 캡.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부재의, 상기 천자부보다 상기 박막측 선단으로부터 더 떨어진 개소의 일부가,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캡.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가, 상기 유로에 걸쳐지도록, 상기 연통 부재와 상기 캡 본체부를 연결하고 있는, 캡.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부와 상기 브릿지의 상기 연결 부위로부터 상기 브릿지와 상기 연통 부재의 상기 연결 부위까지의 상기 브릿지를 포함하는 부분이 절곡되어 변형됨으로써, 상기 연통 부재를 상기 용기 본체부측으로 밀어 넣을 수 있게 하는, 캡.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부와 상기 브릿지의 상기 연결 부위로부터 상기 브릿지와 상기 연통 부재의 상기 연결 부위까지의 상기 브릿지를 포함하는 부분이, 3개의 박육부를 포함하며, 당해 3개의 박육부가 절곡되어 변형됨으로써, 상기 연통 부재를 상기 용기 본체부측으로 밀어 넣을 수 있게 하는, 캡.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통 부재를 덮으며, 상기 접속 유지 구조와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보호 커버를 더 구비한, 캡.
  10. 입구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부와,
    용기 본체부 내에 충전된 액상물과,
    상기 입구부에 부착되어 상기 용기 본체부 내를 밀폐하는 박막과,
    상기 입구부에 장착된 청구항 1에 기재된 캡을 포함하는, 영양제용 용기.
  11. 청구항 10에 기재된 영양제용 용기와,
    상기 캡의 상기 접속 유지 구조와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를 갖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접속된 송액(送液) 튜브를 포함하는 송액 회로를 포함하는, 영양제 공급 세트.
KR1020127010649A 2009-10-05 2010-10-05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 및 영양제 공급 세트 KR1017751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31927 2009-10-05
JP2009231927 2009-10-05
JPJP-P-2010-106752 2010-05-06
JP2010106752 2010-05-06
PCT/JP2010/067448 WO2011043336A1 (ja) 2009-10-05 2010-10-05 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栄養剤用容器並びに栄養剤供給セ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167A KR20120081167A (ko) 2012-07-18
KR101775176B1 true KR101775176B1 (ko) 2017-09-05

Family

ID=43856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0649A KR101775176B1 (ko) 2009-10-05 2010-10-05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 및 영양제 공급 세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915176B2 (ko)
KR (1) KR101775176B1 (ko)
CN (1) CN102573752B (ko)
HK (1) HK1172542A1 (ko)
WO (1) WO20110433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5120B2 (en) * 2012-11-14 2018-03-27 Abbott Laboratories Cap suitable for use with enteral feeding container
WO2014095351A1 (de) * 2012-12-21 2014-06-26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Milchflaschenadapter
KR101608014B1 (ko) * 2015-10-21 2016-03-31 주식회사 태성트레이딩 파우치형 유체 용기 및 그 유체 용기의 유체 취출장치
JP2022036672A (ja) * 2020-08-24 2022-03-08 株式会社トキワ 塗布容器
WO2022076908A2 (en) 2020-10-09 2022-04-14 Icu Medical, Inc. Fluid transfer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same
BR102021022914A2 (pt) * 2021-11-13 2022-07-26 Santos Leite Ronaldo Tampa fixa para embalagem longa-vida com acesso para equipo de nutrição enteral para uso por sistema fechad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2788A (ja) * 1998-08-20 2000-02-29 Dainippon Printing Co Ltd 二液混合容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7555A (en) * 1974-05-07 1976-08-31 Pharmaco, Inc. Protective safety cap for medicament vial
JPH01137873U (ko) * 1988-03-10 1989-09-20
DE19717765C1 (de) * 1997-04-26 1999-02-25 Fresenius Ag Steriler Konnektor und Folienbeutel mit einem sterilen Konnektor
CN2384891Y (zh) * 1999-06-08 2000-06-28 郑育龙 一种瓶盖
FR2800713B1 (fr) * 1999-11-05 2002-01-04 Biodome Dispositif de connexion entre un recipient et un contenant et ensemble pret a l'emploi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CN1736810A (zh) * 2004-08-20 2006-02-22 株式会社吉野工业所 容器的流出口
DE102007024539A1 (de) * 2007-05-24 2008-11-27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Verschlusskappe für ein Behältnis zur Aufnahme von Flüssigkeiten, insbesondere einer enteralen Nährlösung und Behältnis mit einer derartigen Verschlusskapp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2788A (ja) * 1998-08-20 2000-02-29 Dainippon Printing Co Ltd 二液混合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73752B (zh) 2014-10-15
JP5915176B2 (ja) 2016-05-11
HK1172542A1 (en) 2013-04-26
WO2011043336A1 (ja) 2011-04-14
CN102573752A (zh) 2012-07-11
JPWO2011043336A1 (ja) 2013-03-04
KR20120081167A (ko)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176B1 (ko)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 및 영양제 공급 세트
JP4533887B2 (ja) 医療用液体を収容するパック用のコネクタおよび医療用液体のパック
AU2005322136B2 (en) Port closure system for intravenous fluid container
JP5672288B2 (ja) メス型コネクタ、オス型コネクタ、接続構造、送液回路、および医療用容器
KR101699090B1 (ko) 주출구 및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
JP5810913B2 (ja) 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栄養剤用容器
KR101668500B1 (ko) 주출구 및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
JP5920340B2 (ja) 医療用ポ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栄養剤用容器並びに栄養剤供給セット
WO2011046210A1 (ja) 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栄養剤用容器並びに栄養剤供給セット
JP5920339B2 (ja) 医療用ポ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栄養剤用容器並びに栄養剤供給セット
WO2012109310A2 (en) Coupling devices and kits thereof
KR20120087960A (ko) 의료용 용기의 커넥터 세트
US11124334B2 (en) Discharge cap for a container
KR102593071B1 (ko) 의료 용기용 커넥터
TWI587883B (zh) Medical connector, container for nutrient container and nutrient supply container using the same
JP6345391B2 (ja) 雄コネクタ
KR20240005683A (ko) 유체 용기용 캡, 이러한 캡을 포함하는 유체 용기 및 이러한 캡을 제조하는 방법
KR200444713Y1 (ko) 의료 용액을 포함하는 패킹에 쓰이는 연결기와 의료 용액에쓰이는 해당 패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