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500B1 - 주출구 및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 - Google Patents

주출구 및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500B1
KR101668500B1 KR1020117010182A KR20117010182A KR101668500B1 KR 101668500 B1 KR101668500 B1 KR 101668500B1 KR 1020117010182 A KR1020117010182 A KR 1020117010182A KR 20117010182 A KR20117010182 A KR 20117010182A KR 101668500 B1 KR101668500 B1 KR 101668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main outlet
rib
tubular portion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0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0995A (ko
Inventor
요시히코 고바시
다카히코 구니시게
요시노리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110070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61J1/1481Inlet or outlet ports with connection retaining means, e.g. thread or snap-f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1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medicines
    • A61J7/0053Syringes, pipettes or oral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43Lids held in closed position by application of separate elements, e.g. clips, str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Abstract

자루형상의 백에 부착하고, 상기 백에 충전된 내용물을 주출시키는 주출구(4)로서, 내측에 관통 구멍(12)을 형성하고, 선단으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주출하는 관형상부(9)와, 관형상부(9)의 내주면으로부터 관통 구멍(12)의 중심축측(13)을 향하여, 연장된 리브(20)를 구비하고 있고, 리브(20)의 형성 부분에는, 연장된 리브(20)의 선단으로 둘러싸인 구멍(21)을 형성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브(20)의 강도를 확보하기 쉽고, 리브(20)의 파손이나 변형 방지에 유리해지고, 접속 바늘의 오천자의 방지도 확실해진다.

Description

주출구 및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SPOUT AND LIQUID CONTAINING BODY WITH SPOUT}
본 발명은, 액체 수용체 내에 충전된 내용물을 주출시키기 위한 주출구 및 이를 이용한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에 관한 것이다.
식사를 입으로 섭취할 수 없는 경우의 요법으로서, 경관 영양 요법이 알려져 있다. 경관 영양 요법은, 튜브를 통해서 직접 체내에 영양을 보내는 요법이다. 경관 영양 요법에는, 영양제를 충전한 예를 들면 영양제용 백을 이용하여, 영양제용 백으로부터 공급되어, 튜브내를 유동한 영양제가 체내에 보내지게 된다. 이와같이, 백 내의 내용물을, 튜브를 통해서 체내에 보내는 공급 방식은, 약액을 투여하는 수액에 있어서도 이용된다.
도 25에, 종래의 영양제용 백을 이용한 영양제 공급 방식의 일예와, 종래의 약액 백을 이용한 약액의 공급 방식의 일예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영양제용 백(100)의 백 본체(101) 내에는, 영양제를 충전하고 있다. 영양제용 백(100)은, 선단에 접속부(104)를 설치한 튜브(105)에 접속된다.
도 25의 상태에서는, 주출구(102)는, 액체 마개 캡(103)으로 실링되어 있다. 액체 마개 캡(103)을 벗김으로써, 주출구(102)와, 튜브(105)의 선단을 접속할 수 있다.
한편, 약액용 백(110)의 백 본체(111) 내에는, 약액을 충전하고 있다. 이 약액은, 약액병(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튜브 커넥터(112)에 접속된 튜브(도시하지 않음)을 통해서 채취한 것이다.
체내에 약액을 투여할 때는, 바늘(114)을 바늘용 포트(113)에 천자(穿刺)한다. 이로써, 바늘(114)에 접속된 튜브를 통해서 체내에 약액을 보낼 수 있다.
여기서, 접속부(104)는, 영양제용 백(100)의 주출구(102)에 끼워맞춰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속부(104)를 약액용 백(110)의 바늘용 포트(113)에 끼워맞추는 것은 불가능하여, 접속부(104)의 약액용 백(110)에의 오접속은 통상 일어나지 않는다.
한편, 액체 마개 캡(103)은, 주출구(102)와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연질 재료로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액체 마개 캡(103)에 바늘(114)을 천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바늘(114)은 액체 마개 캡(103)을 관통하여, 주출구(102)의 내부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오(誤)천자가 있으면, 약액을 공급하는 수액 라인으로부터 영양제가 투여되게 되어, 의료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이러한 오천자를 방지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주출구(102)에 상당하는 부분에, 접속 바늘 관통 방지 구조를 구비한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이 접속 바늘 관통 방지 구조는, 관형상 부분의 내부에 설치한 나선상 부재, 중판 부재 또는 그물부재 등이며, 이들에 의해 접속 바늘의 관통을 방지하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7-39121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제안되어 있는 나선상 부재에 의한 관통 방지 구조는, 관형상 부분의 선단부에서 관통을 막는 구조가 아니라, 접속 바늘이 어느정도 관형상 부분의 내부에 들어가는 것을 전제로 한 구조였다. 또한, 중판 부재나 그물부재에 의한 관통 방지 구조는, 접속 바늘을 밀어넣을 때의 변형이나 깨짐이 생기기 쉬운 구조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접속 바늘의 오천자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주출구 및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주출구는, 액체 수용체에 부착하고, 상기 액체 수용체에 충전된 내용물을 주출시키는 주출구로서, 내측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선단으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주출하는 관형상부와, 상기 관형상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관통 구멍의 중심축측을 향하여, 연장된 리브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리브의 형성 부분에는, 상기 연장된 리브의 선단으로 둘러싸인 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는, 상기 본 발명의 주출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 바늘의 오천자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영양제용 백(1)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영양제용 백(1)의 중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주출구의 단면도.
도 4(a)는 포트부(3)에 주출구(4)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도 4(a)의 주출구(4)에, 액체 마개 캡(5)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4(b)의 세로방향의 단면도.
도 6은 주출구(4)의 관형상부(9)에 영양제 투여용 튜브를 접속한 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주출구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주출구(4)의 중심축 방향의 단면도.
도 9는 관형상부(9) 내에 접속 바늘(120)이 진입하려고 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관형상부(9)의 중심축 방향의 단면도.
도 11은 접속 바늘(120)의 선단이 리브(20)에 맞닿은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3은 리브(20)가 다른 실시의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는 리브(20)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영양제용 보틀(30)의 개략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영양제용 보틀(30)의 중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관형상부(41)의 확대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주출구(33)를 보틀 본체(31)에 부착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주출구(33)에 커넥터(45) 및 튜브(46)를 부착하기 직전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주출구(33)에 커넥터(45) 및 튜브(46)의 접속이 완료된 상태의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관형상부(41) 내에 접속 바늘(120)이 진입하려고 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관형상부(41)의 중심축 방향의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접속 바늘(120)의 선단이 리브(43)에 맞닿은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CC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25는 종래의 영양제용 백을 이용한 영양제 공급 방식의 일예와, 종래의 약액 백을 이용한 약액 공급 방식의 일예의 개략 구성도.
본 발명에 의하면, 리브를 관형상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시키고, 연장된 리브의 선단으로 둘러싸인 구멍을 형성하여 오천자의 방지 구조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브의 강도를 확보하기 쉬워, 리브의 파손이나 변형 방지에 유리해진다. 이 때문에, 접속 바늘의 오천자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주출구에 있어서는, 상기 리브 중 상기 관형상부의 선단측의 면은, 상기 관통 구멍의 중심축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관형상부의 선단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브에 맞닿은 접속 바늘의 선단은, 경사면으로 안내되어, 구멍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미끄러지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일단 접속 바늘의 선단이 리브에 맞닿으면, 접속 바늘은 구멍에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접속 바늘의 선단이 구멍에 들어가지 않으면, 접속 바늘의 진입 거리는 짧아져, 오천자의 방지에 보다 유리해진다.
또한, 상기 리브 중 상기 관형상부의 기단측의 면은, 상기 관통 구멍의 중심축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관형상부의 선단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백 내의 액체가 관형상부의 선단을 향해서 유동할 때에, 액체는 경사면을 따라 유동하여, 유동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는, 상기 관형상부의 선단측 및 상기 관형상부의 기단측의 각 면에, 상기 관통 구멍의 중심축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관형상부의 선단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브에 맞닿은 접속 바늘의 선단을 구멍에 들어가기 어렵게 함과 더불어, 백 내의 액체의 관형상부에 있어서의 유동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출구는 상기 액체 수용체에 부착하는 기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관형상부는 상기 기부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관형상부의 상기 기부로부터의 돌출 치수는, 1㎜이상 1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주출구를 액체 수용체에 부착했을 때, 운반이나 관형상부의 파손 방지에 유리해짐과 더불어, 관형상부와 관형상부에 부착하는 튜브의 사이의 기밀성의 확보에도 유리해진다.
또한, 상기 주출구는 통기성의 필터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체로부터의 액체의 유출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액체 수용체는, 자루형상의 백, 또는 보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는, 상기 주출구를 실링하는 액체 마개 캡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주출구에 상기 액체 마개 캡을 장착했을 때에, 상기 액체 마개 캡의 선단과 상기 리브의 사이의 최단 거리가 5㎜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최단 거리는 1㎜ 이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접속 바늘의 선단이 액체 마개 캡을 관통하기 전에, 액체 마개 캡이 리브에 맞닿게 할 수 있으므로, 접속 바늘이 천자한 채로 되어도, 백 본체의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영양제용 백(1)의 개략도를 나타내고 있다. 액체 수용체인 백 본체(2)는, 영양제를 충전하는 부분이다. 백 본체(2)와 일체의 포트부(3)에 주출구(4)를 부착하고 있다. 주출구(4)는, 액체 마개 캡(5)을 끼워맞춰 실링할 수 있다.
백 본체(2)는, 유연한 수지제 시트를 자루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백 본체(2)는, 예를 들면, 2매의 수지제 시트를 겹치고, 둘레 가장자리부를 열용착 등에 의해 접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백 본체(2)의 일단에는, 영양제용 백(1)을 매달기 위한 개구(10)를 형성하고 있다.
수지제 시트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염화비닐(PVC), 폴리부타디엔, 나일론,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를 들 수 있다. 수지제 시트는 2층 이상으로 형성해도 되고, 각 층의 재료는 동일 재료여도 되고, 상이한 재료로 해도 된다.
도 2는, 영양제용 백(1)의 중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포트부(3)는, 내측에 개구(6)를 형성한 원통상 부재이다. 포트부(3)는, 백 본체(2)와 일체로 되어 있고, 개구(6)를 형성하는 공간과, 백 본체(2)의 내부 공간이 연결되어 있다. 포트부(3)와 백 본체(2)는, 예를 들면 포트부(3)의 단부를 2매의 수지제 시트간에 끼워넣은 상태로 열용착함으로써, 접합할 수 있다. 포트부(3)의 외주에는, 주출구(4)와 나사 결합시키기 위한 수나사(7)를 형성하고 있다.
포트부(3)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세탈(POM),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를 들 수 있다.
주출구(4)는, 원통부(8)와, 원통부(8)보다 직경을 작게 한 관형상부(9)를 구비하고 있다. 관형상부(9)의 내측은, 관통 구멍(12)으로 되어 있다. 관형상부(9)의 외주면에는, 관형상부(9)의 선단으로부터 원통부(8)를 향함에 따라서 직경을 크게 한 테이퍼면(11)을 형성하고 있다.
도 3에, 주출구(4)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주출구(4)는 중공 부재이며, 원통부(8)의 내부 공간과, 관형상부(9)의 내측의 관통 구멍(12)이 연결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원통부(8)의 내측에는, 암나사(14)를 형성하고 있다. 이 암나사(14)와, 포트부(3)의 수나사(7)(도 2)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주출구(4)를 포트부(3)에 부착할 수 있다. 주출구(4)의 재료로는, 포트부(3)와 동일한 재료를 들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액체 마개 캡(5)은, 원통형상 부재이며, 주출구(4)측이 개구되어 있고, 이와 반대측은 실링되어 있다. 액체 마개 캡(5)은, 주출구(4)를 실링하고, 백 본체(2)로부터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액체 마개 캡(5)은, 주출구(4)에 비해 유연한 재료로 형성하고 있어, 관형상부(9)에 대하여, 탈착가능하다.
액체 마개 캡(5)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부타디엔, 폴리염화비닐(PVC), ABS 수지, 엘라스토머를 들 수 있다.
도 4(a)는, 포트부(3)에 주출구(4)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b)는, 도 4(a)의 주출구(4)에, 액체 마개 캡(5)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도 4(b)의 세로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주출구(4)의 관형상부(9) 전체를 감싸도록, 액체 마개 캡(5)을 꽂아넣고 있다.
테이퍼면(11)의 원통부(8)측의 단부 근방에 있어서는, 테이퍼면(11)의 외경이 액체 마개 캡(5)의 내경보다 커져 있다. 이에 따라, 액체 마개 캡(5)의 장착 상태에서는, 액체 마개 캡(5)의 탄성 변형에 의해, 액체 마개 캡(5)의 일부가 테이퍼면(11)에 밀착하여, 액체 마개 캡(5)의 장착이 확실해진다.
다음에, 도 5에 있어서, 각 부의 치수의 일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관형상부(9)의 선단측이란, 관형상부(9)의 양단측 중 백 본체(2)(도 1, 2)의 내용물을 주출하는 측(도 5에서는 하측)이다. 관형상부(9)의 기단측이란, 상기의 선단측의 반대측이며, 백 본체(2)(도 1, 2)의 내용물이 유입되는 측, 즉 백 본체(2)(도 1, 2)측이다.
도 5에 있어서 각 부의 치수는, 예를 들면 A치수(리브(20)의 두께)를 3.0㎜, B치수(액체 마개 캡(5)의 중앙부의 두께)를 3.8㎜로 할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12) 중, 리브(20)를 경계로 관형상부(9)의 선단측의 내경을 C치수, 관형상부(9)의 기단측의 내경을 E치수로 한다.
이 경우, C치수는 관형상부(9)의 선단측에 있어서 4.74㎜, 관형상부(9)의 기단측에 있어서 4.85㎜로 하고, E치수는 관형상부(9)의 선단측에 있어서 3.45㎜, 관형상부(9)의 기단측에 있어서 4.1㎜로 할 수 있다. 또한, D치수(관형상부(9)의 선단으로부터 리브(20)까지의 최단 거리)는, 3.5㎜로 할 수 있다.
또한, A-E 치수는, 허용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A, B, D 치수의 허용 범위는, 상기 각 치수를 중심값으로 하여, -20%부터 +20%의 범위, C, E치수의 허용 범위는, 상기 각 치수를 중심값으로 하여, -10%부터 +10%의 범위이다.
영양제용 백(1)은, 도 4(b), 도 5와 같이, 액체 마개 캡(5)을 장착한 상태로 운반되고, 영양제를 투여할 때에는, 도 4(a)와 같이 액체 마개 캡(5)을 벗긴 상태에서, 주출구(4)의 관형상부(9)에 영양제 투여용 튜브를 접속한다.
도 6에, 주출구(4)의 관형상부(9)에 영양제 투여용 튜브를 접속한 상태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서는, 주출구(4)와 튜브(15)가, 튜브(15)의 선단에 설치한 접속부(16)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은, 예를 들면 주출구(4)에 형성한 갈고리부(도시하지 않음)와, 접속부(16)에 형성한 오목부(도시하지 않음)를 끼워 맞춤으로써 행한다. 도 6의 상태에 있어서, 백 본체(2)의 영양제가 튜브(15)를 거쳐, 체내에 투여되게 된다.
또한, 주출구(4)와 튜브(15)의 접속은, 각종 접속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도 6의 접속 방식은 일예이다.
이하, 영양제용 백(1)을 이용한 영양제의 투여 순서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영양제용 백(1)은, 영양제를 충전하기 전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같이, 주출구(4)에 액체 마개 캡(5)을 장착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액체 마개 캡(5)을 장착한 채로 주출구(4)를, 포트부(3)로부터 떼어낸다. 이 분리는, 주출구(4)를 회전시켜, 나사를 푸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포트부(3)로부터 주출구(4)를 떼어낸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포트부(3)의 개구(6)가 노출되어 있다. 이 개구(6)를 입구로 하여, 백 본체(2)에 영양제를 주입한다.
백 본체(2)에 영양제를 주입한 후는, 다시 주출구(4)를, 포트부(3)에 부착하여, 도 4(b)의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 영양제용 백(1)을 운반한다. 이 상태에서는, 주출구(4)에는 튜브는 부착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운반 시에 긴 튜브가 방해되지 않고, 영양제용 백(1)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주출구(4)는 포트부(3)에 나사 결합되어 있고, 주출구(4)는 액체 마개 캡(5)으로 실링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백 본체(2)의 내용물의 누설을 방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영양제용 백(1)을 옆으로 눕혀 운반하는 것도 가능하다.
운반을 마친 영양제용 백(1)은, 도 4(a)와 같이 액체 마개 캡(5)을 떼어낸 상태로,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주출구(4)의 관형상부(9)에 영양제 투여용 튜브(15)를 접속한다. 이 때, 영양제가 새지 않도록, 주출구(4)는 상향으로 해 둔다. 튜브(15)의 접속후는, 개구(10)(도 1)를 후크에 걸어, 매단다. 이 상태로 영양제를 투여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와 같이, 도 25는, 종래의 영양제용 백(100)을 이용한 영양제 공급 방식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5는, 종래에 있어서, 영양제용 백(100)과 약액용 백(110)의 쌍방을 병용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약액용 백(110)에 천자해야할 바늘(114)을, 영양제용 백(100)의 액체 마개 캡(103)에 천자하는 오천자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영양제용 백(1)은, 외관 구성은 도 25에 도시한 종래의 영양제용 백(100)과 동일하다.
이 때문에, 도 25에 도시한 종래의 영양제용 백(100)을 대신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영양제용 백(1)을 이용해도, 약액용 백(110)에 천자해야할 바늘(114)을, 도 4(b)에 도시한 영양제용 백(1)의 액체 마개 캡(5)에 천자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영양제용 백(1)의 주출구(4)는, 이러한 오천자를 방지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도 7은, 주출구(4)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주출구(4)의 중심축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주출구(4)의 관형상부(9)의 내측의 관통 구멍(12)에는, 관통 구멍(12)의 내경을 좁히는 리브(20)를 구비하고 있다. 리브(20)는, 관형상부(9)의 내주면으로부터 관통 구멍(12)의 중심축(13)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리브(20)의 형성 부분에는, 연장된 리브(20)의 선단으로 둘러싸인 구멍(21)을 형성하고 있다. 구멍(21)의 면적은, 예를 들면 2-14㎟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4-12㎟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주출구(4)는, 관통 구멍(12) 내에 형성한 리브(20)에 의해, 접속 바늘의 오천자를 방지하고 있다. 도 6과 같이, 튜브(15)의 접속을 끝낸 상태에서는, 접속 바늘을 천자할 여지가 없으므로, 오천자는 일어나지 않는다. 도 4(b), 도 5의 상태는, 연질 재료인 액체 마개 캡(5)에, 영양제용 백(1)과는 다른 백용의 접속 바늘을 찌를 가능성이 있다.
도 9는, 관형상부(9) 내에 접속 바늘(120)이 진입하려고 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관형상부(9)의 중심축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 10에 있어서, 접속 바늘(120)은, 영양제용 백(1)과는 다른 백용의 접속 바늘이다. 도 25의 예에서는, 접속 바늘(120)은, 약액용 백(110)용의 접속 바늘(114)에 상당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접속 바늘(120)의 선단은, 리브(20)에 의해 직경이 좁혀진 구멍(21)을 통과하고 있다. 도 9에서는, 액체 마개 캡(5)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접속 바늘(120)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같이, 액체 마개 캡(5)을 관통하여 구멍(21)을 통과하게 된다.
접속 바늘(120)의 선단부(120b)는, 본체부(120a)를 향함에 따라서, 직경이 커진다. 선단부(120b)의 직경은, 본체부(120a)를 향하는 도중의 위치부터, 구멍(21)의 직경보다 커진다. 이 때문에, 접속 바늘(120)의 선단부(120b)는 구멍(21) 내로 들어가게 되는데, 선단부(120b)의 진입에는 한도가 있다.
즉, 접속 바늘(120)을 천자할 수 있는 것은, 미소한 거리에 머물러, 오천자를 알아차릴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경우, 접속 바늘(120)을 빼내게 되어, 오천자는 방지되게 된다.
또한, 구멍(21)은, 관형상부(9)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된 리브(20)의 선단으로 둘러싸여 있다. 즉, 리브(20)의 선단과 관형상부(9)의 내주면의 사이에, 별도의 구멍은 개재하고 있지 않으므로, 리브(20)는 파손이나 변형 방지에 유리한 구조이다.
여기서, 수지 바늘은 구멍(121)의 길이가 큰 것이 통상이며, 접속 바늘(120)의 천자 거리가 미소하면, 도 10에 도시한 것처럼, 구멍(121)은 액체 마개 캡(5)으로부터 삐져나간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구멍(121) 내에 일단 영양제가 유입되어도, 액체 마개 캡(5)의 외측에 있어서, 영양제는 구멍(121)으로부터 새게 된다. 이 경우도, 오천자를 알아차려 접속 바늘(120)을 빼내게 되고, 오천자는 방지되게 된다.
또한, 리브(20)는, 액체 마개 캡(5)의 선단에 가까운 위치에 있을수록, 구멍(121)은 도 10에 도시한 것처럼, 액체 마개 캡(5)으로부터 삐져나간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도 5에 있어서, 액체 마개 캡(5)의 선단과 리브(20)의 사이의 최단 거리(d)를 작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액체 마개 캡(5)의 선단이 리브(20)를 압접하지 않도록 해 두면, 액체 마개 캡(5)의 장착도 용이해진다.
도 9, 10의 예는, 접속 바늘(120)의 선단이 구멍(21)에 들어가 있는 예인데, 접속 바늘(120)의 선단이 구멍(21)에는 들어가지 않고, 리브(20)에 맞닿는 경우도 일어날 수 있다. 도 11은, 접속 바늘(120)의 선단이 리브(20)에 맞닿은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서는, 액체 마개 캡(5)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는데, 접속 바늘(120)의 선단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같이, 액체 마개 캡(5)을 관통하여 리브(20)에 맞닿게 된다. 도 11, 12에 도시한 것처럼, 접속 바늘(120)의 선단이 리브(20)에 맞닿은 경우는, 접속 바늘(120)의 선단이 구멍(21)에 들어간 경우와 비교하면, 접속 바늘(120)의 진입 거리가 짧아져, 오천자의 방지에는 유리해진다.
도 11, 12의 예에서는, 리브(20) 중 관형상부(9)의 선단측의 면에, 경사면(22)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리브(20)에 맞닿은 접속 바늘(120)의 선단이, 구멍(21)에 들어가기 어렵게 하고 있다. 경사면(22)은, 구멍(21)을 둘러싸도록 형성하고 있다. 경사면(22)은, 관통 구멍(12)의 중심축(13)을 향함에 따라서, 관형상부(9)의 선단측으로 경사져 있다.
경사면(22)을 형성함으로써, 도 11, 12와 같이 리브(20)에 맞닿은 접속 바늘(120)의 선단은, 경사면(22)으로 안내되고, 구멍(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미끄러지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일단 접속 바늘(120)의 선단이 리브(20)에 맞닿으면, 접속 바늘(120)은 구멍(21)으로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액체 마개 캡(5)의 선단과 리브(20)의 사이의 최단 거리(d)는, 작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12와 같이 , 접속 바늘(120)의 선단이 구멍(21)에는 들어가지 않고, 리브(20)에 맞닿는 경우에도 유효하다.
도 12의 예에서는, 접속 바늘(120)의 선단이 액체 마개 캡(5)을 관통하고 있는데, 관통하기까지의 사이는, 액체 마개 캡(5)은 접속 바늘(120)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하게 된다. 최단 거리(d)가 작으면, 접속 바늘(120)의 선단이 액체 마개 캡(5)을 관통하기 전에, 액체 마개 캡(5)이 리브(20)에 맞닿게 된다.
이 경우는, 접속 바늘(120)을 천자한 채로 되어도, 백 본체의 내용물은 유출되지 않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체 마개 캡(5)의 선단과 리브(20)의 사이의 최단 거리(d)는 5㎜ 이내가 바람직하고, 1㎜ 이내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 13은, 리브(20)의 다른 실시의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리브(20) 중 관형상부(9)의 기단측의 면에, 경사면(23)을 형성하고 있다. 경사면(23)은, 구멍(21)을 둘러싸도록 형성하고 있다. 경사면(23)은, 관통 구멍(12)의 중심축(13)을 향함에 따라서, 관형상부(9)의 선단측으로 경사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백 본체(2)(도 1) 내의 영양제가 관형상부(9)의 선단을 향해서 유동할 때에, 영양제는 경사면(23)을 따라 유동한 후, 구멍(21) 내로 유입되게 된다. 즉, 리브(20)에 의해 관통 구멍(12)의 직경이 좁혀짐으로써, 유량이 저하하게 되는데, 경사면(23)을 형성함으로써, 유동성의 향상을 도모한다.
도 14는, 리브(20)의 다른 별도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도 12에 경사면(22)을 형성한 구성을 나타내고, 도 13에 경사면(23)을 구비한 구성을 나타냈다. 도 14는, 경사면(22) 및 경사면(23)의 쌍방을 구비한 구성이다. 경사면(22)을 형성함으로써, 리브(20)에 맞닿은 접속 바늘(120)의 선단을 구멍(21)에 들어가기 어렵게 함과 더불어, 경사면(23)을 형성함으로써, 영양제의 유동성의 향상을 도모한다.
또한, 구멍(21)은 원형의 예로 설명했는데, 접속 바늘(120)의 진입을 막을 수 있으면 되고,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다각형이어도 된다.
또한, 경사면(22)(도 12, 14), 경사면(23)(도 13, 14)은, 단면이 직선인 예로 도시하고 있는데, 단면이 곡선이어도 되고, 직선과 곡선을 조합시킨 것이어도 된다.
또한, 주출구(4)를 포트부(3)를 통하여 백 본체(2)에 부착하는 예로 설명했는데, 주출구(4)를 직접 백 본체(2)에 부착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도 5의 A―D 치수의 수치예를 들어, 도 7의 구멍(21)의 면적의 수치예를 들었는데, 이들은 일예이며 다른 수치로 해도 된다.
(실시의 형태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련된 영양제용 보틀(30)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영양제용 보틀(30)은, 액체 수용체인 중공체 보틀 본체(31)의 입구부(32)에 주출구(33)를 부착한 것이다.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영양제 충전용 백 본체(2)가 연질재로 형성되어 있는데 대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영양제 충전용의 보틀 본체(31)는, 경질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특별히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보틀 본체(31)는 외형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초기 상태에서는 백 본체(2)에는 영양제를 충전하지 않은 예로 설명했는데, 본 실시의 형태의 보틀 본체(31)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미리 영양제가 충전되어 있다.
중공체 보틀 본체(31)는, 예를 들면 수지 재료를 블로우 성형한 것이다. 수지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나일론을 들 수 있다.
보틀 본체(31)의 저부에는, 영양제용 보틀(30)을 매달기 위한 개구(34)를 형성하고 있다.
도 16은, 영양제용 보틀(30)의 중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입구부(32)의 외주에는, 주출구(33)와 나사 결합시키기 위한 수나사(34)를 형성하고 있다. 입구부(32)의 내측은 관통 구멍(35)으로 되어 있다. 관통 구멍(35)에는, 시일재(36)가 부착되고, 입구부(32)의 개구부는 밀폐되게 된다. 시일재(36)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이며, 둘레 가장자리부(36a)가 입구부(32)의 둘레 가장자리부(32a)에 접착되게 된다.
주출구(33)는, 기부(40)와 관형상부(41)를 구비하고 있다. 기부(40)는, 보틀 본체(31)의 입구부(32)에 부착하는 부분이다. 기부(40)의 내측에는 암나사(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고 있다. 이 암나사와, 입구부(32)의 나사(34)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주출구(33)를 입구부(32)에 부착할 수 있다.
관형상부(41)는 기부(40)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관형상부(41)의 내측은, 관통 구멍(42)으로 되어 있다. 관형상부(41)의 외주면에는, 관형상부(41)의 선단으로부터 기부(40)를 향함에 따라서 직경을 크게 한 테이퍼면(41a)을 형성하고 있다.
주출구(33)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세탈(POM),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를 들 수 있다.
또한, 주출구(33)에는 필터(52)를 부착하고 있다. 상세한 것은, 후에 도 20을 이용하여 설명하는데, 관형상부(41)로부터 영양제를 유출시킬 시에, 필터(52)로부터 보틀 본체(31) 내로 공기가 끌어넣어지게 된다.
도 17에, 관형상부(41)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도면은, 도 16의 B부의 확대도에 상당한다. 주출구(33)의 관형상부(41)의 내측의 관통 구멍(42)에는, 관통 구멍(42)의 내경을 좁히는 리브(43)를 구비하고 있다. 리브(43)는, 관형상부(41)의 내주면으로부터 관통 구멍(42)의 중심축(44)측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리브(43)의 형성 부분에는, 연장된 리브(43)의 선단으로 둘러싸인 구멍(45)을 형성하고 있다. 구멍(45)의 면적은, 예를 들면 2―14㎟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4―12㎟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관형상부(41)는, 관통 구멍(42) 내에 형성한 리브(43)에 의해, 접속 바늘의 오천자를 방지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에, 도 21―2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 영양제용 보틀(30)을 이용한 영양제의 투여 순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영양제용 보틀(30)은, 도 15의 상태로 운반된다. 도 15의 상태에서는, 주출구(33)에는 튜브는 부착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운반 시에 긴 튜브가 방해되지 않고, 영양제용 보틀(30)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관형상부(41)의 기부(40)로부터의 돌출 치수(h)(도 15)는, 짧을수록 영양제용 보틀(30) 단체(單體)의 운반에는 유리해진다. 반대로, 돌출 치수(h)가 길어짐에 따라서, 관형상부(41)로의 튜브의 부착이 곤란해진다. 또한, 관형상부(41)의 꺾임에 의한 파손 가능성도 높아진다. 이 때문에, 돌출 치수(h)는 10㎜ 이하가 바람직하고, 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돌출 치수(h)가 너무 작아지면, 관형상부(41)와 튜브의 접촉 면적이 작아져, 기밀성의 확보가 곤란해진다. 이 때문에, 돌출 치수(h)는 1㎜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돌출 치수(h)는 1㎜ 이상 10㎜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이상 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보틀 본체(31)의 입구부(32)는, 시일재(36)(도 16)로 밀폐되어 있어, 보틀 본체(31)의 내용물의 누설을 방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영양제용 보틀(30)을 옆으로 눕혀 운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영양제용 보틀(30)을 목적하는 위치까지 운반한 후, 주출구(33)에 커넥터(45) 및 튜브(46)(도 19)를 부착하게 된다. 이들을 부착할 때는, 일단, 보틀 본체(31)로부터 주출구(33)를 떼내게 된다. 이는, 입구부(32)를 밀폐하고 있는 시일재(36)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고, 보틀 본체(31) 내의 영양제를 유출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 18은, 일단 떼어낸 주출구(33)를 보틀 본체(31)에 부착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도면의 상태에서는, 도 16에 도시한 시일재(36)는 떼내고 있다. 주출구(33)의 기부(40)의 내측의 암나사(도시하지 않음)와, 입구부(32)의 수나사(34)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주출구(33)를 입구부(32)에 부착한다.
도 19는, 주출구(33)를 부착한 보틀 본체(31)에 커넥터(45) 및 튜브(46)를 부착하기 직전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커넥터(45)에는, 영양제 투여용의 튜브(46)가 삽입되어 있다. 튜브(46)는, 영양제를 투여하기 위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있는데, 도 19, 20에 있어서는, 도시의 편의상, 커넥터(45)측의 일부만을 도시하고 있다. 튜브(46)는 주출구(33)에 비해 연질 재료로 형성하고 있어, 관형상부(41)에 대하여 탈착가능하다.
튜브(46)의 내주면에 관형상부(41)을 압입하고, 커넥터(45)를 대좌부(47)에 설치한 갈고리부(48)에 걸어맞춤으로써, 커넥터(45) 및 튜브(46)를 주출구(33)에 접속한다. 커넥터(45)를 기부(40)의 표면에 맞닿게 하고, 커넥터(45)를 회전시켜, 갈고리부(48)와, 커넥터(45)에 형성된 개구부(49)를 걸어맞추어, 커넥터(45)와 갈고리부(48)를 걸어맞춘다. 이 상태에서는, 갈고리부(48)의 하측에 커넥터(45)에 형성한 볼록부(도시하지 않음)가 걸어맞춰지므로, 커넥터(45)는 주출구(33)에 고정되어, 커넥터(45)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튜브(46)의 단부에는 플랜지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고 있고, 이 플랜지부에 커넥터(45)의 단부가 걸어맞춰진다. 이 때문에, 튜브(46)의 커넥터(45)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게 된다.
즉, 커넥터(45)를 주출구(33)에 고정한 상태에서는, 튜브(46)는 관형상부(41)에 압입되어 있음과 더불어, 주출구(33)에 고정된 커넥터(45)에 걸어맞춰져 있다. 이에 따라, 튜브(46)의 탈락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주출구(33)와 튜브(46)의 접속은, 각종 접속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도 19의 접속 방식은 일예이다.
도 20은, 주출구(33)에, 커넥터(45) 및 튜브(46)의 접속이 완료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주출구(33)를 부착하기 전에, 시일재(36)(도 16)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거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20의 상태에서는, 보틀 본체(31)의 내부 공간과, 튜브(46)의 내부 공간이 연결된다. 따라서, 보틀 본체(31)의 개구(34)(도 15)를 후크에 걸어 매달은 상태, 즉 도 20에 있어서, 보틀 본체(31)의 상하가 반대로 된 상태에서는, 튜브(46) 내에 보틀 본체(31)의 영양제를 유동시킬 수 있어, 영양제의 투여가 가능해진다.
여기서,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연질재로 형성된 자루형상의 백으로부터 영양제를 투여할 때는, 백이 시트형상의 상태로 되도록 변형하면서, 영양제가 유출되게 된다. 한편, 경질재로 형성한 보틀 본체(31)는, 자루형상의 백과 같은 변형은 곤란하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주출구(33)는 통기성의 필터(52)를 부착하고 있다. 필터(52)는 소수성 필터이며, 공기는 통과시키지만, 액체는 통과시키지 않는다.
보틀 본체(31)로부터 영양제를 유출시키면, 주출구(33)에 부착한 필터(52)를 거쳐, 공기가 보틀 본체(31)에 끌려들어가게 된다. 이에 따라, 보틀 본체(31)로부터의 영양제의 유출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다음에, 도 25에 도시한 종래의 영양제용 백(100)을 대신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영양제용 보틀(30)을 이용한 경우, 도 20에 도시한 바와같이, 주출구(33)에 튜브(46)의 접속을 끝낸 상태에서는, 접속 바늘을 천자할 여지가 없어, 오천자는 일어나지 않는다. 한편, 도 19와 같이, 튜브(46)를 접속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관형상부(41)에, 약액용 백(110)에 천자해야할 바늘(114)을 천자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영양제용 보틀(30)의 주출구(33)는,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오천자를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도 21은, 관형상부(41) 내에 접속 바늘(120)이 진입하려고 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관형상부(41)의 중심축 방향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1, 22에 있어서, 접속 바늘(120)은, 영양제용 보틀(30)에 접속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25의 예에서는, 접속 바늘(120)은, 약액용 백(110)용의 접속 바늘(114)에 상당한다.
도 21, 22에 도시한 것처럼, 접속 바늘(120)의 선단은, 리브(43)에 의해 직경이 좁혀진 구멍(45)을 통과하고 있다. 접속 바늘(120)의 선단부(120b)는, 본체부(120a)를 향함에 따라서, 직경이 커져 있다. 선단부(120b)의 직경은, 본체부(120a)를 향하는 도중의 위치부터, 구멍(45)의 직경보다 커진다. 이 때문에, 접속 바늘(120)의 선단부(120b)는 구멍(45) 내에 들어가게 되지만, 선단부(120b)의 진입에는 한도가 있다.
즉, 접속 바늘(120)을 천자할 수 있는 것은, 미소한 거리에 머물러, 오천자를 알아차릴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경우, 접속 바늘(120)을 빼내게 되어, 오천자가 방지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실시의 형태 1과 달리, 관형상부(41)에는, 액체 마개 캡(5)(도 10)에 상당하는 캡은 부착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접속 바늘(120)을 천자할 때는, 관형상부(41)의 선단 개구부를 시각 관찰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리브(43)를 알아차린 시점에서 오천자가 방지될 가능성도 있다.
또한, 구멍(45)은, 관형상부(41)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된 리브(43)의 선단으로 둘러싸여 있다. 즉, 리브(43)의 선단과 관형상부(41)의 내주면의 사이에, 별도의 구멍은 개재하지 않고 있으므로, 리브(43)는 파손이나 변형 방지에 유리한 구조이다.
도 21, 22의 예는, 접속 바늘(120)의 선단이 구멍(45)에 들어가 있는 예인데, 접속 바늘(120)의 선단이 구멍(45)에는 들어가지 않고, 리브(43)에 맞닿는 경우도 일어날 수 있다. 도 23은, 접속 바늘(120)의 선단이 리브(43)에 맞닿은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CC선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3, 24에 도시한 바와같이, 접속 바늘(120)의 선단이 리브(43)에 맞닿은 경우는, 접속 바늘(120)의 선단이 구멍(45)에 들어간 경우와 비교하면, 접속 바늘(120)의 진입 거리는 짧아져, 오천자의 방지에 유리해진다.
도 23, 24의 예에서는, 리브(43) 중 관형상부(41)의 선단측의 면에, 경사면(46)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리브(43)에 맞닿은 접속 바늘(120)의 선단이, 구멍(45)에 들어가기 어렵게 하고 있다. 경사면(46)은, 구멍(45)을 둘러싸도록 형성하고 있다. 경사면(46)은, 관통 구멍(42)의 중심축(44)을 향함에 따라서, 관형상부(41)의 선단측으로 경사져 있다.
경사면(46)을 형성함으로써, 도 23, 24와 같이 리브(43)에 맞닿은 접속 바늘(120)의 선단은, 경사면(46)으로 안내되어, 구멍(4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미끄러지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일단 접속 바늘(120)의 선단이 리브(43)에 맞닿으면, 접속 바늘(120)은 구멍(45)으로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실시의 형태 1의 도 13과 같이, 경사면(23)에 상당하는 구성을 형성하여, 관형상부(41)로부터 유출시키는 영양제의 유동성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실시의 형태 1의 도 14와 같이, 경사면(22) 및 경사면(23)에 상당하는 구성을 형성하고, 접속 바늘(120)의 선단을 들어가기 어렵게 함과 더불어, 영양제의 유동성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관형상부(41)가 주출구(33)의 기부(40)로부터 돌출한 예로 설명했는데, 관형상부(41)를 주출구(33)의 내측에 형성하고, 관형상부(41)가 기부(40)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한, 주출구(33)에, 커넥터(45) 및 연질재 튜브(46)를 부착하는 예로 설명했는데, 주출구(33)로부터 영양제를 투여할 수 있으면 되고, 설치부의 구조나 사양은 다른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커넥터(45)는 이용하지 않고, 주출구(33)의 관형상부(41)에 튜브(46)를 압입한 것만의 사양이어도 된다.
또한, 액체 수납체는,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자루형상의 백의 예로 설명하고,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중공의 보틀의 예로 설명했는데, 실시의 형태 1에 보틀을 이용하고, 실시의 형태 2에 백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실시의 형태 1, 2에 관련된 주출구는, 상기와 같이, 접속 바늘의 오천자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주출구의 부착 대상으로 삼는 백이나 보틀은, 영양제용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용도의 것이어도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주출구는, 접속 바늘의 오천자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영양제용 백의 주출구로서 유용하다.
1 : 영양제용 백 2 : 백 본체
4, 33 : 주출구 5 : 액체 마개 캡
9, 41 : 관형상부 12, 42 : 관통 구멍
13, 44 : 중심축 20, 43 : 리브
21, 45 : 구멍 22, 23, 46 : 경사면
30 : 영양제용 보틀 31 : 보틀 본체
40 : 기부 52 :필터

Claims (10)

  1. 액체 수용체에 부착하고, 상기 액체 수용체에 충전된 내용물을 주출(注出)시키는 주출구(注出口)로서,
    내측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선단으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주출하는 중공의 관형상부와,
    상기 관통 구멍의 내경을 좁히도록, 상기 관통 구멍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관통 구멍의 중심축측을 향하여, 연장된 리브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리브의 형성 부분에는, 상기 연장된 리브의 선단으로 둘러싸인 구멍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리브는, 접속 바늘의 오천자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브 중 상기 관형상부의 선단측의 면은, 상기 관통 구멍의 중심축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관형상부의 선단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는 주출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브 중 상기 관형상부의 기단측의 면은, 상기 관통 구멍의 중심축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관형상부의 선단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는 주출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관형상부의 선단측 및 상기 관형상부의 기단측의 각 면에, 상기 관통 구멍의 중심축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관형상부의 선단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는 주출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는 상기 액체 수용체에 부착하는 기부(基部)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관형상부는 상기 기부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관형상부의 상기 기부로부터의 돌출 치수는, 1㎜ 이상 10㎜ 이하인 주출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는 통기성의 필터를 더 구비하고 있는 주출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는, 자루형상의 백, 또는 보틀인 주출구.
  8. 청구항 1에 기재된 주출구를 구비한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를 실링하는 액체 마개 캡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주출구에 상기 액체 마개 캡을 장착했을 때에, 상기 액체 마개 캡의 선단과 상기 리브의 사이의 최단 거리가 5㎜ 이내인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관통 구멍에 대한 상기 접속 바늘의 진입 거리를 짧게 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접속 바늘의 오천자를 방지하는 주출구.
KR1020117010182A 2008-10-16 2009-10-06 주출구 및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 KR1016685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67826 2008-10-16
JP2008267826 2008-10-16
PCT/JP2009/067391 WO2010044353A1 (ja) 2008-10-16 2009-10-06 注出口及び注出口付き液体収容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995A KR20110070995A (ko) 2011-06-27
KR101668500B1 true KR101668500B1 (ko) 2016-10-21

Family

ID=42106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0182A KR101668500B1 (ko) 2008-10-16 2009-10-06 주출구 및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180566A1 (ko)
EP (1) EP2354027A1 (ko)
JP (1) JP5310731B2 (ko)
KR (1) KR101668500B1 (ko)
CN (1) CN102186736B (ko)
WO (1) WO20100443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424A (ko) * 2019-09-24 2021-04-01 신태섭 용액의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기 위한 시험용 수액팩 및 구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3473B2 (ja) * 2008-09-12 2013-08-28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注出口及び注出口付き液体収容体
WO2012137286A1 (ja) * 2011-04-04 2012-10-11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医療用ポ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栄養剤用容器並びに栄養剤供給セット
US20130341354A1 (en) * 2012-06-26 2013-12-26 Gojo Industries, Inc. Portable liquid dispenser
US10814047B2 (en) 2016-04-25 2020-10-27 Allegiance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systems and methods of use
USD944085S1 (en) * 2018-01-08 2022-02-22 Scholle Ipn Corporation Connector
WO2020037104A1 (en) * 2018-08-17 2020-02-20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pharmaceuticals or biological media
US20210322271A1 (en) * 2020-04-16 2021-10-21 Scholle Ipn Corporation Flexible container assembly and fitment assembly for a flexible container assembly
EP4225254A2 (en) 2020-10-09 2023-08-16 ICU Medical, Inc. Fluid transfer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6685A (ja) * 1998-03-19 2002-03-05 アボット・ラボラトリーズ 改良されたアダプターキャップ
JP2004313602A (ja) * 2003-04-18 2004-11-11 Fukai Kogyo Kk バッグ栓及び薬液バッ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2034A (en) * 1950-07-20 1955-02-15 Fenwal Inc Apparatus for collecting, storing, and dispensing whole blood
US3592228A (en) * 1968-08-08 1971-07-13 Tetsuo Kukuminato Magnet valve
US4340049A (en) * 1979-10-18 1982-07-20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Breakaway valve
US4765372A (en) * 1983-06-17 1988-08-23 Illinois Tool Works Inc. Check valve
US4683916A (en) * 1986-09-25 1987-08-04 Burron Medical Inc. Normally closed automatic reflux valve
US5372587A (en) * 1989-01-09 1994-12-13 Pilot Cariovascular Systems, Inc. Steerable medical device
US5405333A (en) * 1992-12-28 1995-04-11 Richmond; Frank M. Liquid medicament bag with needleless connector fitting using boat assembly
US6206860B1 (en) * 1993-07-28 2001-03-27 Frank M. Richmond Spikeless connection and drip chamber with valve
US5954313A (en) * 1995-12-29 1999-09-21 Rymed Technologies, Inc. Medical intravenous administration line connectors having a luer activated valve
JPH1119180A (ja) * 1997-07-09 1999-01-26 Terumo Corp 栄養剤バッグ
JP2000062791A (ja) * 1998-08-18 2000-02-29 Okura Ind Co Ltd 注出用ノズル及びそれを用いた袋体
SE9902610D0 (sv) * 1999-07-07 1999-07-07 Astra Ab Förslutningsanordning vid medicinsk behållare
JP4706276B2 (ja) * 2005-02-21 2011-06-22 東洋製罐株式会社 流体容器用注出装置
JP4405446B2 (ja) 2005-06-27 2010-01-27 イーエヌ大塚製薬株式会社 誤接続防止用スパウト及びパウチ
JP5262712B2 (ja) * 2006-04-28 2013-08-14 味の素株式会社 パウチ容器および包装製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6685A (ja) * 1998-03-19 2002-03-05 アボット・ラボラトリーズ 改良されたアダプターキャップ
JP2004313602A (ja) * 2003-04-18 2004-11-11 Fukai Kogyo Kk バッグ栓及び薬液バッ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424A (ko) * 2019-09-24 2021-04-01 신태섭 용액의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기 위한 시험용 수액팩 및 구성
KR102237059B1 (ko) 2019-09-24 2021-04-08 신태섭 용액의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기 위한 시험용 수액팩 및 구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44353A1 (ja) 2010-04-22
JP5310731B2 (ja) 2013-10-09
CN102186736A (zh) 2011-09-14
JPWO2010044353A1 (ja) 2012-03-15
US20110180566A1 (en) 2011-07-28
KR20110070995A (ko) 2011-06-27
CN102186736B (zh) 2012-11-28
EP2354027A1 (en)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8500B1 (ko) 주출구 및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
KR101699090B1 (ko) 주출구 및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
US8211081B2 (en) Closing cap for containers filled with medical liquids
US7857802B2 (en) Connector for medical liquid-containing packages and medical liquid-containing packages
JP4533887B2 (ja) 医療用液体を収容するパック用のコネクタおよび医療用液体のパック
JP6210967B2 (ja) 液体、特に経腸栄養液を収容する容器の閉鎖キャップ、及びそのような閉鎖キャップを有する容器
CN101511322B (zh) 用于肠道应用的多功能连接装置
JP4405446B2 (ja) 誤接続防止用スパウト及びパウチ
MX2015006114A (es) Tapa adecuada para utilizarse con recipiente de alimentacion enteral.
KR101775171B1 (ko)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
KR101799138B1 (ko) 의료용 포트,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와 영양제 공급 세트
KR101775176B1 (ko)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 및 영양제 공급 세트
FI107876B (fi) Yksikköannossäiliö
JP2000070336A (ja) 薬液収容容器とそれを使用した薬液注入セット
EP2417958B1 (en) Adaptor for connecting a feeding container to an enteral feeding coupling, in particular for a baby bottle feeding assembly
US11013663B2 (en) Container for a medical liquid
JP6345391B2 (ja) 雄コネクタ
KR20240005683A (ko) 유체 용기용 캡, 이러한 캡을 포함하는 유체 용기 및 이러한 캡을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