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8729A - 오일 스트레이너에 있어서의 공기 저류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오일 스트레이너에 있어서의 공기 저류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8729A
KR20110058729A KR1020100118180A KR20100118180A KR20110058729A KR 20110058729 A KR20110058729 A KR 20110058729A KR 1020100118180 A KR1020100118180 A KR 1020100118180A KR 20100118180 A KR20100118180 A KR 20100118180A KR 20110058729 A KR20110058729 A KR 20110058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eripheral wall
port
strainer
oil str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1057B1 (ko
Inventor
히데끼 이시이
마사루 시마다
히데끼 나까자와
Original Assignee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8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02Cleaning of lubricants, e.g. filters or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3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relating to lubrication supply, e.g. pumps ; Pressure control
    • F16H57/0435Pressure control for supplying lubricant; Circuits or valv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16H2057/02043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오일 스트레이너 내에 공기 저류를 발생하기 어렵게 하는 것이다.
컨트롤 밸브 보디의 하부 보디(10)로부터 오일 팬(30)측의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주위 벽부(11)와, 오일 흡입구(23a)를 갖는 동시에, 주위 벽부(11)의 오일 팬(30)측의 개구를 막는 커버 부재(20)를 구비하고, 오일 펌프에 연통되는 연통구(15)와, 오일 펌프의 토출압을 조정하는 레귤레이터 밸브로부터 배출되는 드레인 오일의 배출구(16)가, 주위 벽부(11)의 내측에 설치된 오일 스트레이너(1)에 있어서, 연통구(15)와 배출구(16)를, 각각 주위 벽부(11)에 근접시켜 설치하는 동시에, 주위 벽부(11)의 주위 방향에서 서로 근접시켜, 연통구(15)와 배출구(16)를 최단으로 연결하는 경로를 가로지르는 구획벽(17)을 주위 벽부(11)로부터 연장시켰다.

Description

오일 스트레이너에 있어서의 공기 저류 방지 구조{STRUCTURE FOR PREVENTING AIR STORAGE OF OIL STRAINER}
본 발명은, 오일 스트레이너에 있어서의 공기 저류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자동 변속기에서는, 유압 제어 회로를 구비하는 컨트롤 밸브 보디가, 변속기 케이스의 하부 개구를 덮는 오일 팬 내에 위치하고 있고, 오일 팬에는, 변속기 케이스 내의 변속 기구의 윤활이나 작동에 사용된 오일이 회수ㆍ저류되도록 되어 있다.
오일 팬 내의 오일은, 오일 스트레이너를 통해 오일 펌프에 흡인된 후, 변속 기구의 윤활이나 작동에 다시 이용되도록 되어 있고, 변속 기구의 작동에 사용되는 오일은 오일 펌프로부터 컨트롤 밸브 보디에 공급된다.
컨트롤 밸브 보디의 유압 제어 회로는, 오일 펌프의 토출압을 소정압으로 조정하는 압력 조정 밸브(레귤레이터 밸브), 오일이 통류하는 유로, 오일이 통류하는 유로를 전환하는 스풀, 변속 기구에 작용하는 오일의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 조정 밸브 등을 구비하고 있고, 오일 펌프로부터 컨트롤 밸브 보디에 공급된 오일은, 유압 제어 회로에 의해 압력이 조정된 후, 유단의 자동 변속기인 경우에는 마찰 체결 요소의 체결에, 무단의 벨트식 자동 변속기인 경우에는 풀리의 홈 폭의 변경에 사용된다.
컨트롤 밸브 보디에는, 압력 조정 밸브로부터 배출되는 오일(드레인 오일)의 배출구가 설치되어 있고, 통상 이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오일은 오일 팬 내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이 배출구를 오일 스트레이너 내에 위치시켜, 압력 조정 밸브로부터 배출된 오일을, 오일 스트레이너 내로 직접 배출시키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4-15354호 공보
도 4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구성을 채용한 오일 스트레이너이며, (a)는 컨트롤 밸브보디의 하부 보디(100)에 부설된 오일 스트레이너(110)를, 오일 팬측의 하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고, (b)는 (a)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다.
오일 스트레이너(110)는 컨트롤 밸브 보디의 하부 보디(100)로부터 오일 팬측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주위 벽부(101)의 개구를, 커버 부재(111)로 막아 구성된다.
하부 보디(100)에 있어서 주위 벽부(101)의 내측에는, 오일 펌프의 도시하지 않은 흡입 유로에 연통되는 연통구(102)와, 컨트롤 밸브 보디 내의 압력 조정 밸브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의 배출구(103)가 개방되어 있고, 커버 부재(111)에는 오일 펌프의 가동시에 오일 팬 내의 오일을 오일 스트레이너(110) 내에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오일 스트레이너(110)에서는, 흡입구(112)로부터 흡입된 오일은, 필터 메쉬(113)에 의해 협잡물이 제거된 후, 연통구(102)로부터 오일 펌프측으로 인입된다.
여기서, 배출구(103)가, 예를 들어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통구(102)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으면, 배출구(103)로부터 배출된 오일과, 흡입구(112)로부터 흡입된 오일이, 각각 연통구(102)를 직접 향하는 흐름을 형성하여, 예를 들어 흡입구(112)의 연통구(102)와는 반대측에, 도면 중 부호 A로 둘러싸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일이 흐르기 어려운 영역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오일에는 미세한 기포가 포함되어 있고, 이 미세한 기포가 모여 큰 공기 덩어리를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오일 스트레이너의 내부에 오일이 흐르기 어려운 영역이 존재하면, 이 영역 내에 공기 덩어리가 모아져 공기 저류부를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이 상태에서, 오일 펌프의 회전수가 상승하여 오일 펌프의 토출량이 증대되면, 연통구(102)에 있어서의 흡입력이 증대되어, 공기 저류부의 기포가 오일 펌프에 인입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이 오일 펌프 내에 인입된 공기 덩어리가, 변속 기구의 마찰 체결 요소에 공급되었을 때에, 체결압의 저하를 야기시켜 쇼크를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오일 스트레이너 내에 공기 저류를 발생시키기 어렵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오일 펌프의 토출압을 소정압으로 조정하는 압력 조정 밸브를 구비하는 밸브 보디로부터, 오일 팬측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주위 벽부와, 오일 팬 내의 오일의 흡입구를 갖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주위 벽부의 상기 오일 팬측의 개구를, 커버 부재로 막아 형성되는 오일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오일 펌프의 흡입 유로에 연통되는 연통구와, 압력 조정 밸브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의 배출구를, 각각 주위 벽부에 근접시켜 주위 벽부의 내측에 설치하는 동시에 주위 벽부의 주위 방향에서 서로 근접시켜, 연통구와 배출구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경로를 가로지르는 구획벽을 상기 주위 벽부로부터 연장시킨 구성의 오일 스트레이너에 있어서의 공기 저류 방지 구조로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오일은, 연통구와 배출구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경로가 구획벽에 의해 차단되어 있으므로, 오일 스트레이너 내를 주위 벽부의 내주를 따라 우회하여, 연통구를 향해 통류하는 흐름을 형성한다. 따라서, 오일 스트레이너 내에서는, 대략 전체 영역에 걸쳐 오일의 흐름이 형성되어, 오일이 흐르기 어려운 영역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오일 스트레이너 내에 공기 저류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 스트레이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 스트레이너를 오일 팬측으로부터 본 평면도.
도 3은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 스트레이너의 단면도.
도 4는 종래예에 관한 오일 스트레이너를 오일 팬측으로부터 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컨트롤 밸브 보디의 하부 보디(10)에 부설된 오일 스트레이너(1)를, 오일 팬측의 경사 하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오일 스트레이너(1)를 오일 팬측의 하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며, 오일 스트레이너(1) 내에 형성되는 유로(18)를 설명하기 위해, 커버 부재(20)에 의해 가려진 오일 스트레이너(1)의 내부를, 가상선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는 도 2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고, (b)는 도 2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일 스트레이너(1)는 컨트롤 밸브 보디의 하부 보디(10)에 설치된 주위 벽부(11)의 개구를, 커버 부재(20)로 덮어(막아) 구성된다.
컨트롤 밸브 보디는, 오일 홈이 형성된 밸브 보디[상부 보디, 하부 보디(10)] 사이에 세퍼레이트 플레이트를 끼워 넣어 형성되고, 오일 펌프의 토출압을 소정압으로 조정하는 레귤레이터 밸브(압력 조정 밸브), 오일이 통류하는 유로, 오일이 통류하는 유로를 전환하는 스풀, 변속 기구에 작용하는 오일의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 조정 밸브 등을 구비하는 유압 제어 회로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하부 보디(10)의 오일 팬과의 대향면에는, 오일 펌프의 도시하지 않은 흡입 유로에 연통되는 연통구(15)와, 레귤레이터 밸브로부터 배출되는 오일(드레인 오일)의 배출구(16)가 개방되어 있다.
연통구(15)와 배출구(16)는 하부 보디(10)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오일 팬측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주위 벽부(11)의 내측에서, 각각 주위 벽부(11)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고, 이들은 주위 벽부(11)의 주위 방향에서 서로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통구(15)는 배출구(16)보다도 큰 개구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배출구(16)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을, 레귤레이터 밸브의 드레인 오일로 한 것은, 레귤레이터 밸브는 컨트롤 밸브 보디 내에 있어서 가장 오일 펌프에 가까운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스풀 밸브나 다른 압력 조정 밸브의 드레인 오일에 비해, 오일에 포함되는 협잡물의 양이 매우 적어, 오일 스트레이너(1)의 후기하는 필터 메쉬(24)를 통과시켜 협잡물을 제거할 필요가 없고, 레귤레이터 밸브의 드레인 오일은, 스풀 밸브나 다른 압력 조정 밸브의 드레인 오일에 비해 양이 많아, 유속이 빠르고 또한 압력도 크기 때문에, 후기하는 오일 스트레이너(1)의 상부 공간(S1) 내에, 오일의 흐름을 충분히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주위 벽부(11)에서는, 볼트 구멍(13)을 갖는 볼트 보스부(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볼트 보스부(12)는 주위 벽부(11)의 주위 방향에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다.
주위 벽부(11) 및 볼트 보스부(12)의 오일 팬(30)측의 단부면(11a, 12a)은, 주위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동일 높이로 형성되어 있고, 커버 부재(20)의 플랜지부(22)가 적재되어,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20)는 오일 팬(30)측으로 팽출하는 팽출부(21)와, 팽출부(21)의 외주의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된 플랜지부(22)를 구비하고 있고, 단면 햇(hat) 형상을 갖고 있다.
플랜지부(22)는, 주위 벽부(11)에 적재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주위 벽부(11)의 볼트 구멍(13)에 정합하는 위치에 볼트 삽입 관통 구멍(22a)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시(平面視)에 있어서 팽출부(21)는, 주위 벽부(11)보다도 내측 부분이, 오일 팬(30)측으로 팽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팽출부(21)에는 평면시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 형상의 오일 흡입구(23a)를 갖는 돌출부(23)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23)는 도면 중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오일 팬(30)측[하부 보디(10)와는 반대측]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고, 오일 스트레이너(1)가 하부 보디(10)에 부설된 상태에 있어서, 적어도 돌출부(23)가, 오일 팬(30) 내에 저류된 오일(OL) 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일 흡입구(23a)는 연통구(15)와 배출구(16)로부터 보아, 주위 벽부(11)로 둘러싸인 영역의 중앙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20)의 하부 보디(10)와의 대향면에는, 오일 펌프측으로 흡인되는 오일에의 협잡물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 메쉬(24)가, 전체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오일 스트레이너(1) 내의 공간(S)은, 필터 메쉬(24)를 경계로 하여 하부 보디(10)측의 상부 공간(S1)과, 오일 팬(30)측의 하부 공간(S2)으로 구획되어 있고, 양 공간(S1, S2) 사이의 오일의 이동이 필터 메쉬(24)를 통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배출구(16)를 통해 상부 공간(S1) 내로 배출되는 오일은, 레귤레이터 밸브로부터 드레인된 오일이지만, 오일 팬(30)측의 하부 공간(S2)의 압력보다도 낮으므로, S1로부터 S2로의 흐름이 발생하기 어렵고, 그리고 눈금이 작은 협잡물 여과용 필터 메쉬(24)가 채용되어 있는 점에서, 오일 펌프의 가동시에는 하부 공간(S2)으로부터 상부 공간(S1)으로의 오일의 이동만이 일어나고, 상부 공간(S1)으로부터 하부 공간(S2)으로의 이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오일 스트레이너(1)를 구비하는 자동 변속기가 차량에 탑재된 상태에 있어서, 하부 공간(S2)의 쪽이 상부 공간(S1)보다도 지상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오일 스트레이너(1)에 있어서 오일 내의 기포가 모이면, 상부 공간(S1) 내의 하부 보디(10)측에 공기 저류부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 상부 공간(S1) 내에 위치하는 주위 벽부(11)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위 벽부(11)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구획벽(17)이, 연통구(15)와 배출구(16)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경로를 가로질러(차단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상선(IM1)에 있어서의 연통구(15)의 대략 중심(C2)과 배출구(16)의 대략 중심(C3) 사이의 부분이, 이 직선으로 연결하는 경로에 상당한다.
구획벽(17)은, 컨트롤 밸브 보디의 하부 보디(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연통구(15)가 접하는 볼트 보스부(12A)와 배출구(16)가 접하는 볼트 보스부(12B) 사이의 볼트 보스부(12C)의 내주로부터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구획벽(17)은 필터 메쉬(24)의 근방에 달하는 높이(h)[도 3의 (a) 참조]이며, 주위 벽부(11)보다도 약간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 공간(S1) 내[오일 스트레이너(1)의 하부 보디(10)측의 상부]에는, 구획벽(17)과 주위 벽부(11)에 의해 배출구(16)가 일단부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연통구(15)가 타단부측에 위치하는 유로(18)가, 주위 벽부(11)의 내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오일 펌프의 가동시에 배출구(16)로부터 유로(18) 내에 배출된 오일 중, 상부 공간(S1) 내의 오일은, 오일 펌프의 흡인력에 의해, 유로(18) 내를 연통구(15)가 형성된 하류측을 향해 주위 벽부(11)를 따라 통류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구획벽(17)의 선단부(17a)는, 평면시에 있어서, 연통구(15)의 대략 중심(C2)과, 배출구(16)의 대략 중심(C3)을 연결하는 가상선(IM1)에 평행한 가상선이며, 오일 흡입구(23a)의 대략 중심(C1)을 통과하는 가상선(IM2)과 교차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구획벽(17)과 주위 벽부(11)로 형성되는 유로(18)는 구획벽(17)의 선단부(17a)를 경계로 하여 상류(18a)측과 하류(18b)측에서, 통류 방향이 거의 반전되도록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획벽(17)은 선단부(17a)보다도 상류(18a)측의 폭(W1)의 쪽이, 하류(18b)측의 폭(W2)보다도 좁아지도록 설치되어 있고, 구획벽(17)과 주위 벽부(11)의 이격 거리는, 하류(18b)측에서는 선단부(17a)측을 향함에 따라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상류(18a)측에서는, 상류(18a)로부터 하류(18b)를 향하는 오일의 유속을 확보하기 위해, 이격 거리가 약간 좁아지는 선단부(17a)측을 제외하고, 이격 거리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다.
여기서, 실시 형태에서는, 유로(18)의 상류(18a)측의 유로 단면적 중 가장 단면적이 작은 부분이, 적어도 배출구(16)의 단면적보다도 커지도록 구획벽(17)이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도 2에 도시하는 유로(18)의 경우에 있어서는, 선단부(17a)에 있어서의 유로 단면적이, 적어도 배출구(16)의 단면적보다도 커지도록 선단부(17a)와 주위 벽부(11)의 이격 거리(W1a)가 설정되어 있다. 종래의 오일 스트레이너와 비교하여 압력 손실이 지나치게 커져, 오일 스트레이너(1) 내를 통류하는 오일의 유속이 지나치게 낮아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로(18)의 하류(18b)측의 폭(W2)은, 오일 흡입구(23a)의 개구 폭(W3)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오일 흡입구(23a)는, 하류(18b)측에 있어서, 주위 벽부(11)[볼트 보스부(12)]측에 위치하고 있고, 배출구(16)로부터 배출되어 유로(18)의 상류(18a)측으로부터 하류(18b)측을 향해 흐르는 오일이 통과 가능한 공간이 구획벽(17)측에 확보되어 있다.
유로(18)의 상류(18a)측으로부터 하류(18b)측을 향해 흐르는 오일 중, 구획벽(17)측을 흐르는 유속이 빠른 오일이, 오일 흡입구(23a)로부터 오일 스트레이너(1) 내에 흡인된 오일에 의해, 흐름을 크게 방해받는 일 없이 연통구(15)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구획벽(17)으로부터 이격되어 주위 벽부(11)측을 흐르는 유속이 느린 오일이, 오일 흡입구(23a)로부터 흡입되어 연통구(15)를 향하는 흐름이 빠른 오일에 끌어당겨져, 오일 흡입구(23a)로부터 흡입된 오일과 함께 연통구(15)를 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성의 오일 스트레이너(1)에 따르면, 도시하지 않은 오일 펌프가 가동되면, 오일 팬(30) 내의 오일은, 오일 흡입구(23a)로부터 오일 스트레이너(1) 내로 흡인된 후, 연통구(15)를 통과하여 오일 펌프에 흡인된다. 그리고 오일 펌프로부터 컨트롤 밸브 보디에 공급된 오일 중, 레귤레이터 밸브의 드레인 오일은, 배출구(16)로부터 오일 스트레이너(1)의 상부 공간(S1) 내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구(16)로부터 오일 스트레이너(1) 내로 배출된 오일은, 오일 펌프의 흡인력에 의해 연통구(15)측으로 흡인되게 되지만, 오일 스트레이너(1) 내에는 구획벽(17)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18)가, 주위 벽부(11)의 내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배출구(16)는 이 유로(18)에 있어서 연통구(15)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배출구(16)로부터 배출된 오일은, 오일 스트레이너(1)의 상부 공간(S1) 내를 유로(18)를 따라 흐른 후에 연통구(15)에 도달한다. 여기서, 상부 공간(S1)은, 자동 변속기에 있어서 지상면을 기준으로 하여, 공기가 고이기 쉬운 오일 스트레이너(1)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로 인해, 오일 스트레이너(1) 내의 공기 저류가 발생하기 쉬운 상부측[하부 보디(10)측]에는, 전체 영역에 걸쳐 한 줄의 오일의 흐름이 형성되어, 오일이 흐르기 어려운 영역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오일 스트레이너(1) 내에 공기 저류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에서는 오일 펌프의 토출압을 소정압으로 조정하는 레귤레이터 밸브를 내부에 구비하는 밸브 보디의 하부 보디(10)로부터, 오일 팬(30)측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주위 벽부(11)와, 오일 팬(30) 내의 오일을 흡입하는 오일 흡입구(23a)를 갖는 커버 부재(20)를 구비하고, 주위 벽부(11)의 오일 팬(30)측의 개구를, 커버 부재(20)로 덮어 형성되는 오일 스트레이너(1)에 있어서, 오일 펌프의 흡입 유로에 연통되는 연통구(15)와, 레귤레이터 밸브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의 배출구(16)를 각각 주위 벽부(11)에 근접시켜 주위 벽부(11)의 내측에 설치하는 동시에, 주위 벽부(11)의 주위 방향에서 서로 근접시켜, 연통구(15)와 배출구(16)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경로를 가로지르는 구획벽(17)을 주위 벽부(11)로부터 연장시켜, 배출구(16)가 일단부측에, 연통구(15)가 타단부측에 위치하는 유로(18)를, 주위 벽부(11)의 내주를 따라 형성한 구성의 오일 스트레이너에 있어서의 공기 저류 방지 구조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배출구(16)로부터 배출된 오일은, 오일 스트레이너(1)의 상부측[하부 보디(10)측]을 주위 벽부(11)의 내주를 따라, 연통구(15)가 설치된 타단부측을 향해 통류하는 한 줄의 오일의 흐름을 형성한다. 따라서, 오일 스트레이너(1) 내의 공기 저류가 발생하기 쉬운 상부측[하부 보디(10)측]에는, 전체 영역에 걸쳐 한 줄의 오일의 흐름이 형성되어, 오일이 흐르기 어려운 영역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오일 스트레이너(1) 내에 공기 저류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공기의 흡입에 기인하는 오일 펌프에 의한 이음(異音)의 발생이나, 체결 유압의 유압 저하에 의한 쇼크 등의 발생을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레귤레이터 밸브의 드레인 오일이 배출구(16)로부터 배출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컨트롤 밸브 보디 내의 스풀 밸브나 다른 압력 조정 밸브의 드레인 오일을 배출시키는 경우보다도 확실하게, 주위 벽부(11)의 내주를 따라 연통구(15)가 설치된 타단부측을 향해 통류하는 한줄의 오일의 흐름을, 협잡물이 적은 오일로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레귤레이터 밸브는, 컨트롤 밸브 보디 내에 있어서 가장 오일 펌프에 가까운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스풀 밸브나 다른 압력 조정 밸브의 드레인 오일에 비해, 오일에 포함되는 이물질의 양이 매우 적고, 레귤레이터 밸브의 드레인 오일은, 오일의 흐름을 형성하는 데 충분한 양, 유속, 그리고 압력을, 스풀 밸브나 다른 압력 조정 밸브의 드레인 오일에 비해 구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일 스트레이너(1)를 오일 팬(30)측의 하방으로부터 본 평면시에 있어서, 오일 흡입구(23a)는 유로(18)에 있어서의 배출구(16)와 연통구(15)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배출구(16)로부터 연통구(15)를 향하는 오일의 흐름의 도중에 위치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오일 스트레이너(1)의 상부 공간(S1) 내의 전체에 걸쳐 오일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공기 저류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일 스트레이너(1)를 오일 팬(30)측의 하방으로부터 본 평면시에 있어서, 구획벽(17)은 연통구(15)의 중심과 배출구(16)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IM1)에 평행한 직선이며, 오일 흡입구(23a)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IM2)과 교차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배출구(16)로부터 오일 스트레이너(1)의 상부 공간(S1) 내로 배출된 후 연통구(15)를 향해 흐르는 오일은, 오일 흡입구(23a)로부터 보아, 연통구(15)와는 반대측으로부터, 연통구(15)를 향해 흐르게 된다. 따라서, 오일 스트레이너(1)의 상부 공간(S1) 내에 오일이 흐르기 어려운 영역이 형성되기 어려워지므로, 오일 스트레이너(1) 내에 공기 저류가 보다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특히, 구획벽(17)의 선단부(17a)를 경계로 하여, 유로(18)의 상류(18a)측[배출구(16)측]의 폭(W1)의 쪽이, 하류(18b)측[연통구(15)측]의 폭(W2)보다도 좁아지도록 구획벽(17)이 설치되어 있고, 상류(18a)측에 있어서의 유로 단면적이 가장 작은 부분이, 배출구(16)의 단면적보다도 커지도록 하였으므로, 종래의 오일 스트레이너에 비해 압력 손실이 지나치게 커져, 오일 스트레이너(1) 내를 통류하는 오일의 유속이 지나치게 낮아지는 일이 없다.
또한, 오일 스트레이너(1)를 오일 팬(30)측의 하방으로부터 본 평면시에 있어서, 커버 부재(20)의 오일 흡입구(23a)는 유로(18)의 하류(18b)측에서, 주위 벽부(11) 부근에 설치되어 있고, 배출구(16)로부터 배출되어 유로(18)의 상류(18a)측으로부터 하류(18b)측을 향해 흐르는 오일이 통류 가능한 공간이, 구획벽(17)측에 확보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따라서, 구획벽(17)측을 흐르는 배출구(16)로부터의 오일의 흐름이, 오일 흡입구(23a)로부터 오일 스트레이너(1)에 흡인된 오일에 의해 크게 방해되는 일이 없다.
또한, 구획벽(17)은 컨트롤 밸브 보디의 하부 보디(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하부 보디(10)의 주조시에, 하부 보디(10)와 일체로 구획벽(17)을 형성할 수 있어, 구획벽(17)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구획벽(17)을 설치하기 위한 제작 비용이 상승하는 일이 없다.
실시 형태에서는, 직선 형상의 구획벽(17)의 선단부(17a)가, 가상선(IM2)(도 2 참조)과 교차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오일 흡입구(23a)로부터 보아 연통구(15)와는 반대측의 공기 저류가 발생하기 쉬운 영역에 오일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구획벽(17)의 형상 및 범위는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시에 있어서, 연통구(15)의 대략 중심(C2)을 중심으로 하고, 대략 중심(C2)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위치에 있는 오일 흡입구(23a)의 테두리를 통과하는 가상 원호(IM3)를 기준으로 하여, 연통구(15)와는 반대측(도 2에 있어서 하측)에 선단부(17a)가 위치하도록 구획벽(17)을 형성하고, 유로(18)의 상류(18a)측에 있어서의 구획벽(17)과 주위 벽부(11)의 이격 거리가, 하류(18b)측의 이격 거리보다도 좁게, 또한 상류(18a)에 있어서의 선단부(17a)의 유로 단면적이, 배출구(16)의 단면적과 거의 동일하거나 혹은 약간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오일 스트레이너(1) 내에 레귤레이터 밸브의 드레인 오일에 의해 한 줄의 오일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구획벽(17)은 평면시에 있어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곡선 형상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도중에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1 : 오일 스트레이너
10 : 하부 보디
11 : 주위 벽부
12(12A 내지 12C) : 볼트 보스부
13 : 볼트 구멍
15 : 연통구
16 : 배출구
17 : 구획벽
17a : 선단부
18 : 유로
18a : 상류
18b : 하류
20 : 커버 부재
21 : 팽출부
22 : 플랜지부
23 : 돌출부
23a : 오일 흡입구
24 : 필터 메쉬
30 : 오일 팬
100 : 하부 보디
101 : 주위 벽부
102 : 연통구
103 : 배출구
110 : 오일 스트레이너
111 : 커버 부재
112 : 흡입구
113 : 필터 메쉬
S1 : 상부 공간
S2 : 하부 공간

Claims (4)

  1. 오일 펌프의 토출압을 소정압으로 조정하는 압력 조정 밸브를 구비하는 밸브 보디로부터, 오일 팬측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주위 벽부와,
    상기 오일 팬 내의 오일의 흡입구를 갖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주위 벽부의 상기 오일 팬측의 개구를, 상기 커버 부재로 덮어 형성되는 오일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상기 오일 펌프의 흡입 유로에 연통되는 연통구와, 상기 압력 조정 밸브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의 배출구를, 각각 상기 주위 벽부에 근접시켜 상기 주위 벽부의 내측에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주위 벽부의 주위 방향에서 서로 근접시키고,
    상기 연통구와 상기 배출구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경로를 가로지르는 구획벽을 상기 주위 벽부로부터 연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스트레이너에 있어서의 공기 저류 방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스트레이너를 상기 오일 팬측의 하방으로부터 본 평면시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연통구를 향하는 오일의 흐름의 도중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스트레이너에 있어서의 공기 저류 방지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스트레이너를 상기 오일 팬측의 하방으로부터 본 평면시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은, 상기 연통구의 중심과 상기 배출구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평행한 직선이며, 상기 흡입구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과 교차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스트레이너에 있어서의 공기 저류 방지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은, 컨트롤 밸브 보디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스트레이너에 있어서의 공기 저류 방지 구조.
KR1020100118180A 2009-11-26 2010-11-25 오일 스트레이너에 있어서의 공기 저류 방지 구조 KR1017510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68402 2009-11-26
JP2009268402A JP5274435B2 (ja) 2009-11-26 2009-11-26 オイルストレーナにおけるエア溜まり防止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729A true KR20110058729A (ko) 2011-06-01
KR101751057B1 KR101751057B1 (ko) 2017-06-26

Family

ID=43466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180A KR101751057B1 (ko) 2009-11-26 2010-11-25 오일 스트레이너에 있어서의 공기 저류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18248B2 (ko)
EP (1) EP2327907B1 (ko)
JP (1) JP5274435B2 (ko)
KR (1) KR101751057B1 (ko)
CN (1) CN102080763B (ko)
AT (1) ATE543033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46517A1 (en) * 2011-12-13 2013-06-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iltering assembly having sediment trap
JP5740011B2 (ja) * 2012-01-31 2015-06-24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コントロールバルブボディ構造
CN104781580A (zh) * 2012-11-01 2015-07-15 丰田自动车株式会社 扭转振动衰减装置
CN106594246A (zh) * 2016-11-17 2017-04-26 杭州前进齿轮箱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高速齿轮箱的润滑配油装置
JP6461222B2 (ja) * 2017-03-30 2019-01-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オイルストレーナ及び動力伝達装置
WO2019155900A1 (ja) * 2018-02-06 2019-08-15 ジヤトコ株式会社 オイル供給構造
CN112469927B (zh) * 2018-07-27 2024-04-19 加特可株式会社 滤油器
JP7375263B2 (ja) * 2020-03-03 2023-11-08 ジヤトコ株式会社 変速機ケースのオイル貯留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0262B2 (ja) * 1982-12-28 1994-12-12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用自動変速機
JP2878783B2 (ja) * 1990-05-02 1999-04-05 ジャ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オイル回収装置
JP3670024B2 (ja) * 1993-03-19 2005-07-13 ジヤトコ株式会社 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3519544B2 (ja) * 1996-05-17 2004-04-19 愛知機械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減速機のオイルポンプ周り液路
JP3540546B2 (ja) * 1997-06-04 2004-07-07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EP1329597B1 (de) * 2002-01-11 2011-05-04 IBS Filtran Kunststoff-/Metallerzeugnisse GmbH Saugölfilter für Getriebe oder Motoren mit beweglicher Ansaugtube
JP4794842B2 (ja) * 2004-10-06 2011-10-19 ジヤトコ株式会社 ストレーナ
JPWO2007010721A1 (ja) * 2005-07-21 2009-01-29 Nok株式会社 オイルストレーナ
DE102006008498A1 (de) * 2006-02-23 2007-08-30 Ibs Filtran Kunststoff- / Metallerzeugnisse Gmbh Filteranordnung sowie Ölwanne
WO2007129514A1 (ja) * 2006-05-01 2007-11-15 Honda Motor Co., Ltd. 変速機のオイルストレーナ
US7875171B2 (en) * 2007-11-01 2011-01-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ction filter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JP4966914B2 (ja) 2008-05-07 2012-07-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耕耘機の抵抗棒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74435B2 (ja) 2013-08-28
US8518248B2 (en) 2013-08-27
CN102080763A (zh) 2011-06-01
JP2011112133A (ja) 2011-06-09
US20110120933A1 (en) 2011-05-26
ATE543033T1 (de) 2012-02-15
EP2327907A1 (en) 2011-06-01
KR101751057B1 (ko) 2017-06-26
CN102080763B (zh) 2014-12-17
EP2327907B1 (en) 201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58729A (ko) 오일 스트레이너에 있어서의 공기 저류 방지 구조
US7875171B2 (en) Suction filter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US7959714B2 (en) Authorized filter servicing and replacement
CN101122249B (zh) 油雾分离器
US7828869B1 (en) Space-effective filter element
US10753241B2 (en) Filter with dual pleat pack
EP3336325A1 (en) Engine head cover
EP2818251A1 (en) Centrifugal separator with venturi arrangement
KR20180080253A (ko) 오일 필터 및 자동차 오일 필터용 필터 카트리지
EP3047891B1 (en) Filter
CN110131013B (zh) 油分离器
CN101816860A (zh) 过滤装置
CN112469927B (zh) 滤油器
JP6072436B2 (ja) オイルストレーナ
CN220487868U (zh) 卧式压缩机的油分装置和卧式压缩机
JP2019113113A (ja) オイルストレーナ
JPH11319435A (ja) オイルストレーナ
JP5777970B2 (ja) 燃料タンク内装置
US20050051475A1 (en) Nonwoven-fabric-type oil filter integral to a valve body
JP7123484B2 (ja) オイルストレーナ
JP6315822B2 (ja) 二槽オイルパンのインナーパン
JP2022024840A (ja) オイルストレーナ
JP2005171921A (ja) オイル供給装置
KR20090093207A (ko) 자동변속기용 오일필터
JP2000070622A (ja) 自動変速機用流体フィル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