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9995A -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산물 및 수산물가공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산물 및 수산물가공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9995A
KR20110049995A KR1020090106796A KR20090106796A KR20110049995A KR 20110049995 A KR20110049995 A KR 20110049995A KR 1020090106796 A KR1020090106796 A KR 1020090106796A KR 20090106796 A KR20090106796 A KR 20090106796A KR 20110049995 A KR20110049995 A KR 20110049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ricultural
processing
raw material
drum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9223B1 (ko
Inventor
하태석
백남춘
Original Assignee
하태석
백남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태석, 백남춘 filed Critical 하태석
Priority to KR1020090106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9223B1/ko
Publication of KR20110049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6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combined with subsequent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2Washing or descaling 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7/0205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by contact of the material with fluids, e.g. drying gas or extracting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6Device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 e.g. marking, maturing, pol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using agitated containers in which the liquid and articles or material are pla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6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using perforated drums in which the article or material is pla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농수산물을 입고에서 출하에 이르기까지 가공 처리하는데 있어 세척과 세탁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위생적인 세균제거와 가염 및 양념처리, 연화처리 등을 모두 가능하게 하는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산물 및 수산물 가공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각형태의 길다란 길이를 가지며 처리실(12) 양측에 입구도어와 출구도어를 갖는 다각회전드럼(11)과; 상기 다각회전드럼(11)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고정되고 호스(40)와 연결되는 용수통로(21) 및 상기 용수통로(21)를 통해 급수되는 용수가 처리실(12)에서 토출되게 하는 분출공(22)을 구비하고 양측에서 각각의 베어링보스(30,30')에 의해 지지되어 감속모터(50)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중심축관(20)을 포함하고; 상기 출구도어 방향쪽의 베어링보스(30) 하부에는 지지부재(31)의 보올홈부에서 회동되는 보올(33)을 구비하고 상기 입구도어 방향쪽의 베어링보스(31')는 지지부재와 분리되게 설치되어 구동실린더(60)에 의해 상하부방향으로 원호운동되게 이동되어 다각회전드럼(11)이 경사질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10)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보다 간편, 용이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농산물 및 수산물가공처리방법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Figure P1020090106796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 농산물가공처리방법, 수산물가공처리방법, 농수산물가공처리방법

Description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산물 및 수산물가공처리방법{Agriculture and marine products processing processing unit and the agricultural products which uses this and aquatic products processing treatability}
본 발명은 농수산물을 가공 처리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각회전드럼을 이용하여 농수산물을 세척 및 세균제거에서부터 양념처리에 이르기까지 처리 가능하도록 하는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산물 및 수산물 가공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수산물은 원료(P)가 입고 되면 선별작업을 하고 수작업에 의해서 물세척을 한다음 형태등을 가공한다.
다음, 살균등 처지하고 가염하거나 양념을 첨가하거나 건조처리 등를 한 후 포장하여 냉장, 냉동 보관 저장하였다가 출하를 하고 있다.
이러한 통상적인 가공처리 방법은 처리하는데 수동적이므로 매우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처리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위생적이지 못하다.
그리고 상기 통상적인 가공처리방법 외에 선행기술로는 출원인에 의해 발명 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78682호와 같이 타육숙성장치에 의해서 가공처리되도록 하는 방법 등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타육숙성장치는 수산물에 한정되는 가공장치에 지나지 아니하고 세척이나 양념 처리 등과 같은 처리는 전혀 할 수 없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가공 처리시간을 크게 단축 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농수산물의 세균 제거 처리 등을 전혀 실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출원인은 보다 간편 용이하면서도 처리시간을 크게 단축 시킬 수 있고 세균제거처리 및 양념처리까지도 대량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연구하기에 이르게 되었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KR 10-0378682 B1 2003.04.07
본 발명은 농수산물을 입고에서 출하에 이르기까지 가공 처리하는데 있어 세척과 세탁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위생적인 세균제거와 가염 및 양념처리, 연화처리 등을 모두 가능하게 하는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를 이용하여 보다 간편, 용이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농산물 및 수산물 가공처리방법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다각형태의 길다란 길이를 가지며 처리실 양측에 입구도어와 출구도어를 갖는 다각회전드럼과; 상기 다각회전드럼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고정되고 호스와 연결되는 용수통로 및 상기 용수통로를 통해 급수되는 용수가 처리실에서 토출되게 하는 분출공을 구비하고 양측에서 각각의 베어링보스에 의해 지지되어 감속모터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중심축관을 포함하고; 상기 출구도어 방향쪽의 베어링보스 하부에는 지지부재의 보올홈부에서 회동되는 보올을 구비하고 상기 입구도어 방향쪽의 베어링보스는 지지부재와 분리되게 설치되어 구동실린더에 의해 상하부방향으로 원호운동되게 이동되어 다각회전드럼이 경사질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를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스와 연결되는 중심축관은 베어링보스와 일체로 된 보스죠인트부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보스죠인트부에는 호스가 고정되게 연결된 죠 인트부재가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구도어 방향쪽의 베어링보스와 감속모터가 받침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받침부재가 구동실린더에 의해서 상하부방향으로 승하강운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각회전드럼은 5각형 내지 24각형 중에 어느 하나의 다각형태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각회전드럼의 경사각도가 20-30°각도로 경사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실 내의 중심축관에는 스크류가 더 설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크류는 길이방향으로 2등분으로 분할되게 구성되어 양측에서 체결구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의 다각회전드럼 처리실에 농산물원료를 투입하고 중심축관을 통해 용수를 급수되게 하면서 다각회전드럼이 회전시켜 처리실내에서의 세척 및 세탁작용에 의해 농산물원료가 세척되고 표피가 벗겨지도록 하는 세척 및 박피제거과정과; 상기 다각회전드럼의 처리실에 농산물원료 90-95중량%, 봉선화 추출물로 도포된 가공소금 5-10중량%를 투입하고 회전되게 하여 세균제거와 염처리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1차세균제거 및 가염처리과정과; 상기 농산물원료를 다각회전드럼의 처리실에 투입하고 청정용수 80-90중량%와 켐페롤과 케르세틴 및 유리아미노산 성분이 함유된 봉선화추출물 10-20중량%를 희석하여 혼합된 봉선화추출물희석용액을 투 입하여 5-20℃의 온도로 세균생장억제온도 환경에서 침지되게 한 후 다각회전드럼에 의해 회전되게 하는 2차세균제거과정과; 상기 농산물원료를 식품으로 가공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섭취 가능하도록 가공하는 가공처리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를 이용한 농산물가공처리방법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차세균제거과정에서 농산물원료가 봉선화추출물희석용액에 30-50분 동안 침지되게 한 후 30-40분간 다각회전드럼이 회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공처리과정 후에 농산물원료를 냉풍 및 열풍을 이용하여 숙성발효되게 하고 반건조 및 건조되게 하는 숙성발효건조과정을 더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공처리과정 후에 농산물원료와 양념을 다각회전드럼의 처리실에 투입하고 회전시키는 양념처리과정을 더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의 다각회전드럼 처리실에 수산물원료를 투입하고 중심축관을 통해 용수를 급수되게 하면서 다각회전드럼이 회전시켜 처리실내에서의 세척 및 세탁작용에 의해 수산물원료가 세척되고 비늘이나 표피가 벗겨지도록 하는 세척 및 비늘과 표피층제거과정과; 상기 다각회전드럼의 처리실에 수산물원료 90-95중량%, 봉선화 추출물로 도포된 가공소금 5-10중량%를 투입하고 회전되게 하여 세균제거와 염처리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1차세균제거 및 염처리과정과; 상기 수산물원료를 식품으로 가공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형태가공처리과정과; 상기 수산물원료를 다각회전드럼의 처리실에 투입하고 청정용수 80-90중량%와 켐페롤과 케르세틴 및 유리아미노산 성분이 함유된 봉선화추출물 10-20중량%를 희석하여 혼합된 봉선화추출물희석용액을 투입하여 5-10℃의 세균생장억제온도 환경에서 침지되게 한 후 다각회전드럼에 의해 회전되게 하는 2차세균제거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를 이용한 수산물가공처리방법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차세균제거과정에서 수산물원료가 봉선화추출물희석용액에 30-50분 동안 침지되게 한 후 30-40분간 다각회전드럼이 회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차세균제거과정 후에 수산물원료를 냉풍 및 열풍을 이용하여 숙성발효되게 하고 반건조 및 건조되게 하는 숙성발효건조과정을 더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차세균제거과정 후에 수산물원료와 양념을 5-24각형의 다각회전드럼의 처리실에 투입하고 회전시키는 양념처리과정을 더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농수산물을 입고에서 출하에 이르기까지 가공 처리하는데 있어 세척과 세탁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위생적인 세균제거와 가염 및 양념처리, 연화처리 등의 가공처리를 모두 가능하게 하는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농수산물의 가공처리 작업이 매우 수월해지고 처리시간의 크게 단축시킬 수 있고 가공중의 사람과 공기중 먼지로부터의 오염을 차단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농수산물 가공처리에 있어 확실하게 처리되게 하므로 가공제품에 있어 품질 향상이 크게 도모되고 위생적인 가공제품과 균질의 품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단면도이며, 도 3은 일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10)는 다각회전드럼(11)을 구비한다.
상기 다각회전드럼(11)은 5각형 내지 24각형 등으로 형성되는 다각형 구조를 가지면서 길다란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다각회전드럼(11)은 내부에 처리실(12)이 있고 양측에는 각각 입구도어(13) 및 출구도어(13')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입구도어(13) 및 출구도어(13')는 다수의 경첩(13a) 및 잠금쇠(13b)를 구비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이들이 닫혔을 때 테두리에 고무패킹(미도시됨)등을 구비하여 방수되는 구조를 갖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경첩(13a) 및 잠금쇠(13b) 및 방수구조는 이미 알려진 부품이나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과 도면 도시는 생략한다.
또한, 다각회전드럼(11) 중앙으로는 길이방향으로 중심축관(20)이 관통되게 고정되어 있고, 상기 중심축관(20) 내부에는 용수(물 또는 세척수)가 통과되는 용수통로(21)를 구비한다.
상기 다각회전드럼(11)의 처리실(12)에 내장되게 위치하는 중심축관(20)에는 용수통로(21)의 물이 외부로 분출되게 하는 다수의 분출공(22)이 뚫려 있다. 상기 분출공(22)에는 경우에 따라서는 노즐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심축관(20) 양측에는 각각 베어링보스(30,30')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출구도어(13')쪽 방향에 위치하는 베어링보스(30)는 지지부재(31)에 형성된 보올홈부(32)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보올(33)과 연장되게 구성됨으로써 보올(33)이 회동되면 기울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부호 34는 보올이탈방지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올(33)을 구비하는 것은 도 2에서 가상선 도시와 같이 중심축관(22)을 포함하여 다각회전드럼(11)가 경사지게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베어링보스(30)을 둥근 볼 형태로 구성하여 지지부재(31)에서 회동운동 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타측의 입구도어(13) 쪽 방향에 위치되는 베어링보스(30)는 지지부재(31')에 얹혀지는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지지부재(31')와 분리될 수 있는 상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도어(13')쪽의 베어링보스(30)에는 보스죠인트부(30a)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보스죠인트부(30a) 내부에서 중심축관(20)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스죠인트부(30a)에는 후미에 호스(40)가 연결된 죠인트부재(41)가 연결되게 구성됨으로써 호스(40)를 통해서 중심축관(20)의 용수통로(21)로 용수(또는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부호 42는 누수방지를 위한 패킹이나 오링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호스(40)를 통해 중심축관(20)의 용수통로(21)로 용수가 공급되면 되는 것이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호스(40)는 회동되지 않고 중심축관(20)만 회동 가능하게 하는 별개의 죠인트형태의 커플링장치(미도시됨)가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호스(40)에는 급수조절밸브(미도시됨)를 구비하여 다각회전드럼(11)의 처리실(12)로 공급되는 용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입구도어(13) 쪽의 중심축관(20)에는 감속모터(50)가 연결됨으로써 중심축관(20)을 회전 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감속모터(또는 인버터라고도 함)(50) 및 베어링보스(30')는 받침부재(51)에 설치되어 구동실린더(60)에 의해서 상하부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되게 되어 있다. 부호 61은 피스톤로드이고 62는 힌지부를 나타낸다.
상기 구동실린더(60)는 피스톤로드(61)가 전진되게 작동되면 도 2의 가상선 도시와 같이 베어링보스(30')와 감속모터(50)가 상부방향으로 들려지게 되기 때문에 다각회전드럼(11)은 경사지게 되는 상태가 되고 이때 보올(33)이 회동됨으로써 다각회전드럼(11)이 경사지게 작동 가능하게 된다. 이때 다각회전드럼(11)의 경사각도(θ)는 20-30°각도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반대로 구동실린더(60)의 피스톤로드(61)가 후진되게 작동되면 들려져 있던 다각회전드럼(11)의 입구도어(13) 쪽 부분이 하강 되게 이동됨으로써 도 2의 실선 도시와 같이 수평상태로 된다. 이때에도 보올(33)이 회동됨으로써 다각회전드럼(11)이 수평상태로 복귀될 수 있는 것이며 베어링보스(30')는 지지부재(31') 위에 얹혀지게 됨으로써 안전하게 받쳐지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10)는 농수산물 처리에 있어 세척 및 세탁처리용도, 그리고 이물질제거 및 박피 또는 비늘제거용도 뿐만 아니라 세균제거처리용도 및 염장처리용도, 양념처리용도 등의 여러가지 용도로 이용된다.
본 발명의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10)는 도 2의 실선 도시와 같이 다각회전드럼(11)이 수평상태에 있게 한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용도에 따라 처리되는 것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10)를 세척 및 세탁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우선 입구도어(13)을 열고 농산물 또는 수산물(이하 '원료(P)'라고도 함)을 처리실(12)로 투입하고 다시 입구도어(13)를 잠금되도록 한다. 이때 처리실(12)로 투입되는 원료(P) 양은 그 원료(P)에 따라 적정량이 각각 다르므로 원료(P)의 종류에 따라 적정량을 투입하게 된다.
다음, 호스(40)를 통해서 용수(세척수)가 중심축관(20)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분출공(22)을 통해서 처리실(12)로 용수가 주입되도록 하면서 감속모터(50)를 가동시킴에 따라 다각회전드럼(11)이 서서히 회전되게 한다. 이때 처리실(12)로 주입 되는 용수량과 다각회전드럼(11)의 회전속도 역시 원료(P)의 종류에 따라 그 용수주입량 및 회전속도가 임의의 각종 대상물에 각각 적합한 값으로 설정되어 회전되게 한다.
따라서, 다각회전드럼(11)이 회전됨에 따라 처리실(12)에서는 원료(P)에 분출공(22)으로 분출되는 용수가 원료(P)에 분사되게 된다.
그러므로 원료(P)의 이물질이 씻겨나가면서 용수와 원료(P)가 뒤섞이면서 회전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다각회전드럼(11)의 회전 관성에 의해서 원료(P)는 도 3에서 회전되는 방향의 내부벽(11a)을 타고 윗쪽으로 같이 상승 되게 회전되다가 어느 정도의 윗쪽에 이르게 되는 부분에서는 중력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낙하 하게 된다.
이때, 낙하되는 원료(P)는 아랫쪽의 용수에 부딪치게 되거나 또는 상기 내부벽(11a)과 연접된 바로 아래쪽의 내부벽(11b)에 부딪치게 되는 상태가 된다. 또는 내부벽(11a)과 내부벽(11b)을 타고 미끄러져 내려오게 된다.
또한, 다각회전드럼(11)이 회전됨으로써 회전 관성에 의해 회전되는 방향쪽으로 올라가던 용수와 원료(P)는 어느 정도 올라가다가 중력에 의해서 밑으로 떨어지게 되면서 도 3에서 화살표 도시와 같이 밑으로 떨어질 때 돌아서 떨어지게 되고 이러한 작용은 다각회전드럼(11)이 계속적으로 회전되는 동안 연속적으로 작용 되기 때문에 처리실(12)의 아래쪽에 몰려 있는 원료(P)와 용수(물)는 도 3의 화살표 도시와 같이 계속적으로 뒤섞이며 원료(P)가 두드려지고 비벼지는 상태가 되므로 세탁 및 세탁작용과 침적연화, 숙성발효 효과를 촉진한다.
또한, 도 3에서 다각회전드럼(11)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그 내부의 처리실(12)에 있는 원료(P)와 용수는 어느 정도의 높이까지 내부벽(11a)을 타고 시계반대방향으로 올라가는 상태가 되다가 중력에 의해 밑으로 떨어지면서 화살표 도시와 같이 뒤집히지거나 낙하되면서 밑에 것과 상호 충돌하면서 뒤섞이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원료(P)는 용수(물)에 의해 세척되는 상태가 되면서 원료(P)끼리 부딪치는 상태가 될 뿐만 아니라 원료(P)가 상부쪽 내부벽(11a)에서 하부쪽 내부벽(11b)으로 낙하되거나 미끄러지면서 원료(P) 표면과 마찰이 되므로 원료(P) 표면의 박피층이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을 만큼 매우 미세하게 씻겨 나가기 때문에 세탁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처리실(12) 내에서의 세척과 세탁이 완료되면 감속모터(50)를 정지시키고 잠금쇠(13b)를 해정하여 출구도어(13')를 개방한다.
다음, 구동실린더(60)의 피스톤로드(61)가 전진되게 가동시켜서 도 2의 가상선 도시와 같이 다각회전드럼(11)이 경사지도록 하여 처리실(12)로부터 용수와 원료(P)가 인출되게 하면 원료(P)가 세척과 세탁이 동시에 되고 이물질이 제거된 원료(P)를 얻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전에는 수동으로 물에 의해서 원료(P)를 닦아 냄으로써 세척과 이물질 제거만 되었지만 본 발명은 원료(P)가 다각회전드럼(11)의 내부벽(11a)에 문질러지게 됨으로써 박피가 벗겨지게 되어 물에 의해서 잘 씻겨 나가지 않는 원료(P)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 등이 완전히 씻겨 나가게 되는 세탁작용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예컨대 농산물의 경우 무우나 당근 등을 세척 및 세탁되게 하여 박피가 제거되게 처리를 할 수 있는 것이고 수산물의 경우 조기와 같이 비늘이 있는 생선을 세척하면서 세탁작용에 의해 비늘이 벗겨지도록 처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1차적인 세척 및 세탁 처리에 의해서 원료(P)가 깨끗하게 처리되지 않을 경우에는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다른 하나의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10)를 구비하여 컨베이어장치(C)에 의해서 다른 다각회전드럼(11)으로 옮겨 지게 하여 2차적으로 또다시 세척 및 세탁처리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세균제거처리용도의 경우에는 이후에 원료(P)와 함께 이후에 다시 설명되는 봉선화 추출물로 도포 된 가공소금 및 용수와 희석된 봉선화 추출물을 다각회전드럼(11)의 처리실(12)에 투입하고 회전시키게 되면 항진균 작용 및 항균작용, 항산화작용, 항노화기능, 증미유리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는 봉선화 추출물로 도포된 가공소금이나 봉선화 추출물에 의해서 다량의 원료에서 각종 세균과 병원성 바이러스가 제거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각회전드럼(11)의 처리실(12)에 봉선화 추출물로 도포된 가공소금을 원료(P)와 함께 투입하고 회전시키게 되는 경우에는 원료(P)가 염장 처리되는 것이 므로 염장처리용도로 사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양념처리용도로 이용될 경우에는 각종 양념과 함께 원료(P)를 투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양념처리가 되는 것이다.
상기 세균제거처리용도, 염장처리용도 및 양념처리용도로 이용되는 경우 원료가 이미 세척 및 세탁처리용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각회전드럼(11)의 회전 관성에 의해서 원료(P)가 뒤섞이게 되면서도 도 3에서 회전되는 방향의 내부벽(11a)을 타고 윗쪽으로 같이 상승되게 회전되다가 어느정도의 윗쪽에 이르게 되는 부분에서는 중력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낙하되게 됨에 따라 상기 내부벽(11a)과 연접된 바로 아래쪽의 내부벽(11b)에 부딪치게 되거나 미끄러져서 마찰현상이 발생됨으로써 세균처리용액 및 소금이나 양념이 골고루 원료(P) 표면에 묻혀지게 되어 처리가 양호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세균제거처리의 경우 더욱 양호한 세균제거가 되고 염장처리의 경우에도 골고루 양호한 염장처리가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양념 처리의 경우에도 원료 깊숙이까지 양념이 배어 들어가서 깊은 맛을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수산물의 경우 원료(P)가 다각회전드럼(11)의 내부벽(11a,11b)에 부딪쳐서 타육이 되므로 육질이 부드로워져서 연질화 되고 소금이나 양념이 육질 깊이 스며들어 가서 깊은맛을 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장치는 도 5 및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중심축관(20)에 스크류(70)를 더 설치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70)는 길이방향으로 2등분 되게 분할된 것이 중심축관(20)에 각 각 밀착되게 결합 되게 한 후 양측에서 체결구(71)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스크류(70)는 필요에 따라 중심축관(20)에 결합시키고 다시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스크류(70)에는 중심축관(20)의 분출공(22)으로부터 토출되는 용수가 차단되지 않고 토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공(72)을 구비한다.
따라서, 다각회전드럼(11)의 처리실(12)에서 원료(P)가 낙하되거나 움직일 때 스크류(70)에 부딪치게 됨으로써 더욱 효율적인 처리가 도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다각회전드럼(11)과 별개로 중심축관(20)이 회전되게 할 경우에는 스크류(70)가 회전되기 때문에 처리실(12) 내부에서 원료(P)가 이동되어 뒤섞이는 것이 더욱 효율적으로 작용 되게 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각회전드럼(11)이 다각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낙하되는 원료(P)가 아랫쪽의 용수에 부딪치게 되거나 또는 상기 내부벽(11a)과 연접된 바로 아래쪽의 내부벽(11b)에 부딪치게 되는 상태가 되고 아울러서 원료(P)가 내부벽(11a)과 내부벽(11b)을 타고 미끄러져 내려오게 되면서 마찰에 의해 표피층이 깍여져 나가서 세탁이 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원료(P)가 내부벽(11a,11b)을 타고 미끄러져 내려오는 길이가 길수록 마찰작용이 크게 발생 되고 반대로 길이가 짧을수록 작은 마찰작용이 발생 된다.
그러므로 원료(P)가 농산물의 경우 재질이 무르기 때문에 내부벽(11a,11b) 길이가 짧은 다각회전드럼(11)에서 처리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다각형태가 10-24각형으로 이루어진 다각회전드럼(11)에서 처리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재질이 상대적으로 질긴 수산물의 경우 내부벽(11a,11b)의 길이가 길다란 다각회전드럼(11)에서 처리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5-15각형으로 이루어진 다각회전드럼(11)에서 처리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료(P)의 각각의 처리종류 및 농수산물의 종류에 따라 5-24각형의 다각형 중에 그에 적합한 다각형으로 제작된 다각회전드럼(11)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10)를 여러개를 구비하여 원료(P)의 세척과 세탁처리 및 세균제거처리와 염장처리 및 양념처리 등을 각각 또는 순차적으로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10)를 이용하여 농산물을 가공처리하는 방법을 보인 과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농산물 원료가 입고되면 먼저 본 발명의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10)를 이용하여 세척 및 박피제거과정(S1)이 실시된다.
농산물원료(원료라고도 함)는 무우나 당근 또는 감자와 같은 구근류가 바람직하나 배추나 겉저리김치용 배추잎과 같은 것이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 및 박피제거과정(S1)은 농산물원료가 다각회전드럼(11)의 처리실(12)에 투입되어 용수(세척수)에 의해서 세척되면서 세탁작용이 되기 때문에 원료의 표면(박피)이 벗겨지거나 씻겨나감으로써 잘 세척되지 아니하는 흙과 같은 이물질이 완전히 제거되게 되는 것이다. 물론, 1차적인 처리에서 완전하게 처리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2차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원료의 세척과 박피제거가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실시예1] 농산물원료의 세척 및 박피제거과정(S1) 실시예
무우를 농산물원료로 하여 다각회전드럼(11)의 처리실(12)에 투입하고 용수(세척수)를 주입하면서 30분간 회전 가동시킨 결과 무우의 박피층이 거의 제거되어 무우의 겉표면에 이물질이 전혀 없이 세척된 것을 육안검사로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 본 발명은 1차세균제거 및 가염처리과정(S2)이 실시되며 이 과정도 본 발명의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10)를 이용하여 실시된다.
그리고 상기 1차세균제거 및 가염처리과정(S2)에서는 대한민국 특허 제10-0219306호로 개시된 봉선화 추출물를 이용하여 역시 대한민국 특허 제 10-0201729호로 제조된 봉선화 추출물로 도포된 가공소금이 이용된다.
상기 봉선화 추출물로 도포된 가공소금(이하 봉선화가공소금이라고 약칭하기도 함)은 소금으로서의 본연의 기능 이외에 항진균 작용 및 항균작용이 있는 소금이다.
따라서, 1차세균제거 및 가염처리과정(S2)에서는 농산물원료 90-95중량%, 봉선화 추출물로 도포된 가공소금 5-10중량%를 다각회전드럼(11)의 처리실(12)에 투입하고 회전되게 하면 원료와 봉선화가공소금이 뒤섞이게 되면서 가염처리가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봉선화가공소금의 항진균 작용 및 항균작용에 의해서 각종 세균과 병원성 바이러스가 제거된다.
이때, 봉선화가공소금은 고체 상태이기 때문에 처리실(12) 내에서의 세탁작 용, 즉 원료와 봉선화가공소금과의 낙하작용 및 마찰작용에 의해서 원료의 가염처리가 더욱 확실하게 되고 각종 세균제거처리가 더욱 양호하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2] 농산물원료의 1차세균제거 및 가염처리과정(S2) 실시예
무우 90중량%, 봉선화가공소금 10중량%를 다각회전드럼(11)의 처리실(12)에 투입하고 40분간 회전시킨 후 세균검사 및 관능검사에 실시한 바 대장균과 같은 세균이 기준치에 근접되는 상태로 나타나고 원료의 표피층 깊숙이까지 염처리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 본 발명은 2차세균제거과정(S3)이 실시된다. 이 과정도 본 발명의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10)를 이용하여 실시된다.
상기 2차세균제거과정(S3)에서는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특허 제10-0219306호로 개시된 봉선화추출물, 또는 대한민국 식품공전에 수록되어 있는 봉선화추출물을 이용하게 된다.
상기 봉선화추출물은 켐페롤 및 케르세틴을 함유하는 식품보존제로서 대한민국 식품공전에 수록되어 천연 산화방지첨가물로 인정된 인체에 무해한 추출물이다.
또한, 상기 봉선화추출물은 항진균 작용 및 항균작용이 있고 아미노산 등 18종의 성분이 함유된 추출물이다.
따라서, 2차세균제거과정(S3)에서는 청정용수 80-90중량%와 봉선화추출물 10-20중량%를 희석하여 혼합된 봉선화추출물희석용액과 농산물원료를 다각회전드럼(11)의 처리실(11)에 투입하고 5-20℃의 온도에서 30-50분 동안 완전히 침지되게 한 후 상기 다각회전드럼(11)을 30-40분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처리온도가 5-20℃의 온도에서 침지되게 하는 것은 대장균 등 세균이 더운 온도에서는 활성화 되기 때문에 세균 증식이 억제되는 20℃이하의 온도에서 처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농산물원료가 봉선화추출물희석용액에 완전히 침지된 상태가 되므로 공기중의 세균이 원료에 침투하지 못하게 되는 상태에서 봉선화추출물의 항진균 작용 및 항균작용에 의해서 1차적으로 제거되고 잔존하는 잔류균류등 생물학적 위해요소균들이 제거되는 것이다.
또한, 다각회전드럼(11)이 회전됨에 따라 처리실(12) 내에서의 낙하작용 및 마찰작용에 의해서 원료의 표피층 깊숙이까지 봉선화추출물이 침투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더욱 잔류균류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3] 농산물원료의 2차세균제거과정(S3) 실시예
청정용수 85중량%와 봉선화추출물 15중량%를 희석하여 혼합된 봉선화추출물희석용액과 무우를 다각회전드럼(11)의 처리실(11)에 투입하고 20℃의 온도에서 40분 동안 완전히 침지되게 한 후 상기 다각회전드럼(11)을 30분간 회전시킨 다음 세균검사를 실시한 바 대장균 등이 기준치 이하로 제거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 본 발명은 가공처리과정(S4)이 실시된다. 이 과정은 농산물원료를 식품으로 가공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섭취하기 좋도록 절단하는 등의 처리과정이며 통상적으로 수작업에 의존되어 처리되고 있다.
[실시예4] 농산물원료의 가공처리과정(S4) 실시예
무우를 무말랭이를 만들기 위해서 가느다랗게 세절하거나 또는 깍두기를 만 들기 위해서 사각형태로 절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공처리과정(S4) 후에 숙성발효건조과정(S5) 및 양념처리과정(S6)이 실시되거나 또는 가공처리과정(S4)이 완료된 것을 포장하여 2차 식품가공공장으로 보내져서 숙성발효건조과정(S5) 및 양념처리과정(S6)이 실시될 수도 있다.
상기 숙성발효건조과정(S5)은 본 출원인에 의해서 고안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93192호로 개시된 농수산물건조장치에 의해서 실시된다.
상기 농수산물건조장치는 냉풍 및 원적외선방사열원의 열풍과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원료를 숙성 발효되게 하고 건조, 반건조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실시예5] 농산물원료의 숙성발효건조과정(S5) 실시예
세절된 무우를 농수산물건조장치에서 건조되게 하여 무말랭이원료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양념처리과정(S6)은 본 발명의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10)를 이용하여 실시되는 것으로서, 농산물원료와 양념을 다각회전드럼(11)의 처리실(12)에 투입하고 회전시킴에 따라 원료와 양념이 골고루 뒤섞이게 된다.
그리고 처리실(12) 내에서의 원료와 양념의 낙하작용 및 마찰작용에 의해서 원료의 표피층 깊숙이까지 양념이 배어 들어가서 더욱 깊은맛을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6] 농산물의 양념처리과정(S6) 실시예
깍두기 모양으로 절단된 무우를 양념과 함께 다각회전드럼(11)의 처리실(12) 에 투입하고 회전시킨 후에 육안검사 및 관능검사를 한 바에 의하면 무우와 양념이 골고루 뒤섞이고 양념이 무우에 배어 들어간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완성되게 가공처리된 농산 가공품은 포장되어 출고되는 것이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10)를 이용하여 수산물을 가공처리하는 방법을 보인 과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수산물 원료가 입고되면 먼저 본 발명의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10)를 이용하여 세척 및 비늘과 표피층제거과정(U1)이 실시된다.
수산물원료(원료라고도 함)는 조기와 같이 비늘이 있는 수산물이나 오징어와 같이 비늘이 없는 수산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10)를 이용하여 모두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척 및 비늘과 표피층제거과정(U1)은 수산물원료를 다각회전드럼(11)의 처리실(12)에 투입하여 용수(세척수)에 의해서 세척되면서 세탁작용이 되기 때문에 비늘이 있는 수산물은 비늘이 떨어져 나가고 비늘이 없는 수산물의 경우에는 원료의 표피층(박피층)이 육안으로는 식별되지 않지만 매우 미세하게 벗겨지거나 씻겨나감으로써 이물질이 완전히 제거되게 되는 것이다.
물론, 1차적인 처리에서 완전하게 처리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2차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원료의 세척과 표피층제거가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산물원료는 상기 세탁작용에 의해서 원료가 두드려 주는 작용이 되므로 육질이 연화되고 셀루로오즈표피나 진피층모공등에 깊이 박혀 있던 잔류이물질과 아 가미등이 떨게 하여 세탁되게 된다.
[실시예7] 수산물원료의 세척 및 비늘과 표피층제거과정(U1) 실시예
조기를 수산물원료로 하여 다각회전드럼(11)의 처리실(12)에 투입하고 용수(세척수)를 주입하면서 30분간 회전 가동시킨 결과 조기의 비늘이 거의 제거되어 조기의 겉표면에 이물질이 전혀 없이 세척된 것을 육안검사로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 본 발명은 1차세균제거 및 염처리과정(U2)이 실시되며 이 과정도 본 발명의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10)를 이용하여 실시된다.
또한, 상기 1차세균제거 및 염처리과정(U2)에서도 대한민국 특허 제10-0219306호로 개시된 봉선화 추출물를 이용하여 역시 대한민국 특허 제 10-0201729호로 제조된 봉선화 추출물로 도포된 가공소금이 이용되며 이미 앞서 설명된 바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1차세균제거 및 염처리과정(U2)에서는 수산물원료 90-95중량%, 봉선화 추출물로 도포된 가공소금 5-10중량%를 다각회전드럼(11)의 처리실(12)에 투입하고 회전되게 하면 원료와 봉선화가공소금이 뒤섞이게 되면서 염처리가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봉선화가공소금의 항진균 작용 및 항균작용에 의해서 각종 세균과 병원성 바이러스가 제거된다.
이때, 봉선화가공소금은 고체 상태이기 때문에 처리실(12) 내에서의 원료와 봉선화가공소금과의 낙하작용 및 마찰작용에 의해서 원료의 염처리가 더욱 확실하게 되고 각종 세균제거처리가 더욱 양호하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8] 수산물원료의 1차세균제거 및 염처리과정(U2) 실시예
조기 95중량%, 봉선화가공소금 5중량%를 다각회전드럼(11)의 처리실(12)에 투입하고 40분간 회전시킨 후 세균검사 및 관능검사에 실시한 바 대장균과 같은 세균이 기준치에 근접되는 상태로 나타나고 원료의 표피층 깊숙이까지 염처리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 본 발명은 형태가공처리과정(U3)이 실시된다. 이 과정은 수산물원료를 식품으로 가공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섭취하기 좋도록 절단하는 등의 처리과정이며 통상적으로 수작업에 의존되어 처리되고 있다.
[실시예9] 수산물원료의 형태가공처리과정(U3) 실시예
조기에서 혹시 잔존하는 비늘을 완전히 제거하고 아가미등 부패하기 쉬운 부분을 제거한다.
다음, 본 발명은 2차세균제거과정(U4)이 실시된다. 이 과정도 본 발명의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10)를 이용하여 실시된다.
상기 2차세균제거과정(U4)에서도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특허 제10-0219306호로 개시된 봉선화추출물를 이용하게 되며 이미 앞서 상세히 설명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2차세균제거과정(U4)에서는 청정용수 80-90중량%와 봉선화추출물 10-20중량%를 희석하여 혼합된 봉선화추출물희석용액과 농산물원료를 다각회전드럼(11)의 처리실(11)에 투입하고 5-10℃의 온도에서 30-50분 동안 완전히 침지되게 한 후 상기 다각회전드럼(11)을 30-40분간 회전시켜서 처리하게 된다.
상기 처리온도가 5-10℃의 온도에서 침지되게 하는 것은 대장균 등 세균이 더운 온도에서는 활성화 되기 때문에 세균 증식이 억제고 수산물의 부패방지를 위해서 10℃이하의 온도에서 처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수산물원료가 봉선화추출물희석용액에 완전히 침지된 상태가 되므로 공기중의 세균이 원료에 침투하지 못하게 되는 상태에서 봉선화추출물의 항진균 작용 및 항균작용에 의해서 1차적으로 제거되고 잔존하는 잔류균류등 생물학적 위해요소균들이 제거되는 것이다.
또한, 다각회전드럼(11)이 회전됨에 따라 처리실(12) 내에서의 낙하작용 및 마찰작용에 의해서 원료의 표피층 깊숙이까지 봉선화추출물이 침투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더욱 잔류균류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10] 수산물원료의 2차세균제거과정(U4) 실시예
청정용수 85중량%와 봉선화추출물 15중량%를 희석하여 혼합된 봉선화추출물희석용액과 조기를 다각회전드럼(11)의 처리실(12)에 투입하고 10℃의 온도에서 40분 동안 완전히 침지되게 한 후 상기 다각회전드럼(11)을 30분간 회전시킨 다음 세균검사를 실시한 바 대장균 등이 기준치 이하로 제거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2차세균제거과정(U4) 후에 숙성발효건조과정(U6) 및 양념처리과정(U7)이 실시된 후 보관처리과정(U5) 후에 포장되어 출고되거나 또는 2차세균제거과정(U4)이 완료된 것을 보관처리과정(U5) 후에 포장하여 2차 식품가공공장으로 보내져서 숙성발효건조과정(U6) 및 양념처리과정(U7)이 실시될 수도 있다.
상기 숙성발효건조과정(S6)은 본 출원인에 의해서 고안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93192호로 개시된 농수산물건조장치에 의해서 실시된다.
상기 농수산물건조장치는 냉풍 및 열풍을 이용하여 원료를 숙성 발효되게 하고 건조, 반건조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실시예11] 수산물원료의 숙성발효건조과정(U6) 실시예
조기를 농수산물건조장치에서 건조 또는 반건조되게 처리함으로써 위생적으로 처리된 완성 가공품을 얻을 수 있었다.
한편, 양념처리과정(U7)은 본 발명의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10)를 이용하여 실시되는 것으로서, 수산물원료와 양념을 다각회전드럼(11)의 처리실(12)에 투입하고 회전시킴에 따라 원료와 양념이 골고루 뒤섞이게 된다.
또한, 처리실(12) 내에서의 원료와 양념의 낙하작용 및 마찰작용에 의해서 원료의 표피층 깊숙이까지 양념이 배어 들어가서 더욱 깊은맛을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수산물 처리에 있어 위에서 언급된 모든 과정에서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10)에서 처리되는 과정에 수산물원료가 낙하작용 및 마찰작용에 의해서 두드려주게 됨으로써 육질이 연질화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양념처리시에 양염이 육질 깊이 배어 들어가서 더욱 깊은맛을 낼 수 있게 된다.
[실시예12] 수산물의 양념처리과정(U7) 실시예
세절된 오징어를 양념과 함께 다각회전드럼(11)의 처리실(12)에 투입하고 회전시킨 후에 육안검사 및 관능검사를 한 바에 의하면 오징어와 양념이 골고루 뒤섞이고 양념이 오징어 표피층에 배어 들어간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깊은맛을 내는 오징어무침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완성되게 가공처리된 수산 가공품은 포장되어 출고되거나 또는 냉장, 냉동 등 보관되는 보관처리과정(U5) 후에 포장되어 출고된다.
본 발명은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10)에 의해서 농수산물을 입고에서 출하에 이르기까지 가공 처리하는데 있어 세척과 세탁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위생적인 세균제거와 가염 및 양념처리, 연화처리 등의 가공처리를 모두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가일층 가공처리 작업이 수월해지고 처리시간의 단축은 물론이거니와 농수산물 가공처리에 있어 확실하게 처리되게 하므로 가공제품에 있어 품질 향상이 크게 도모되고 균일한 품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세균제거처리가 1,2차적으로 실시되므로 매우 위생적인 농수산 가공제품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 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균등범위 내에서 폭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의 전체 종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각회전드럼 작용을 설명하는 도 2의 Y-Y'선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사용 실시예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일측 단면 확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농산물가공처리방법을 나타낸 과정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수산물가공처리방법을 나타낸 과정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 11 : 다각회전드럼
12 : 처리실 20 : 중심축관
21 : 용수통로 22 : 분출공
30,30' : 베어링보스 31,31' : 지지부재
33 : 보올 40 : 호스
50 : 감속모터 60 : 구동실린더
70 : 스크류 S1 : 세척 및 박피제거과정
S2 : 1차 세균제거 및 가염처리과정 S3,U4 : 2차 세균제거과정
S5,U6 : 숙성발효건조과정 S6,U7 : 양념처리과정
S4 : 가공처리과정 U1 : 세척 및 비늘과 표피층제거과정
U2 : 1차 세균제거 및 염처리과정 U3 : 형태가공처리과정
U5 : 보관처리과정

Claims (15)

  1. 다각형태의 길다란 길이를 가지며 처리실 양측에 입구도어와 출구도어를 갖는 다각회전드럼과;
    상기 다각회전드럼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고정되고 호스와 연결되는 용수통로 및 상기 용수통로를 통해 급수되는 용수가 처리실에서 토출되게 하는 분출공을 구비하고 양측에서 각각의 베어링보스에 의해 지지되어 감속모터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중심축관을 포함하고;
    상기 출구도어 방향쪽의 베어링보스 하부에는 지지부재의 보올홈부에서 회동되는 보올을 구비하고 상기 입구도어 방향쪽의 베어링보스는 지지부재와 분리되게 설치되어 구동실린더에 의해 상하부방향으로 원호운동되게 이동되어 다각회전드럼이 경사질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와 연결되는 중심축관은 베어링보스와 일체로 된 보스죠인트부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보스죠인트부에는 호스가 고정되게 연결된 죠인트부재가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도어 방향쪽의 베어링보스와 감속모터가 받침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받침부재가 구동실린더에 의해서 상하부방향으로 승하강운 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회전드럼은 5각형 내지 24각 형태 중에 어느 하나의 다각형태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
  5.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회전드럼의 경사각도가 20-30°각도로 경사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
  6.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실 내의 중심축관에는 스크류가 더 설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
  7. 청구항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길이방향으로 2등분으로 분할되게 구성되어 양측에서 체결구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
  8. 청구항 1항의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의 다각회전드럼 처리실에 농산물원료를 투입하고 중심축관을 통해 용수를 급수되게 하면서 다각회전드럼이 회전시켜 처리실 내에서의 세척 및 세탁작용에 의해 농산물원료가 세척되고 표피가 벗겨지도록 하는 세척 및 박피제거과정과;
    상기 다각회전드럼의 처리실에 농산물원료 90-95중량%, 봉선화 추출물로 도포된 가공소금 5-10중량%를 투입하고 회전되게 하여 세균제거와 염처리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1차세균제거 및 가염처리과정과;
    상기 농산물원료를 다각회전드럼의 처리실에 투입하고 청정용수 80-90중량%와 켐페롤과 케르세틴 성분이 함유된 봉선화추출물 10-20중량%를 희석하여 혼합된 봉선화추출물희석용액을 투입하여 5-20℃의 온도의 세균생장억제온도에서 침지되게 한 후 다각회전드럼 에 의해 회전되게 하는 2차세균제거과정과;
    상기 농산물원료를 식품으로 가공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섭취 가능하도록 가공하는 가공처리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를 이용한 농산물가공처리방법.
  9. 청구항 8항에 있어서, 상기 2차세균제거과정에서 농산물원료가 봉선화추출물희석용액에 30-50분 동안 침지되게 한 후 30-40분간 다각회전드럼이 회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를 이용한 농산물가공처리방법.
  10. 청구항 8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처리과정 후에 농산물원료를 냉풍 및 열풍을 이용하여 숙성발효되게 하고 반건조 및 건조되게 하는 숙성발효건조과정을 더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를 이용한 농산물가공처리방법.
  11. 청구항 8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처리과정 후에 농산물원료와 양념을 다각회전드럼의 처리실에 투입하고 회전시키는 양념처리과정을 더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를 이용한 농산물가공처리방법.
  12. 청구항 1항의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의 다각회전드럼 처리실에 수산물원료를 투입하고 중심축관을 통해 용수를 급수되게 하면서 다각회전드럼이 회전시켜 처리실내에서의 세척 및 세탁작용에 의해 수산물원료가 세척되고 비늘이나 표피가 벗겨지도록 하는 세척 및 비늘과 표피층제거과정과;
    상기 다각회전드럼의 처리실에 수산물원료 90-95중량%, 봉선화 추출물로 도포된 가공소금 5-10중량%를 투입하고 회전되게 하여 세균제거와 염처리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1차세균제거 및 염처리과정과;
    상기 수산물원료를 식품으로 가공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형태가공처리과정과;
    상기 수산물원료를 다각회전드럼의 처리실에 투입하고 청정용수 80-90중량%와 켐페롤과 케르세틴 및 유리아미노산 성분이 함유된 봉선화추출물 10-20중량%를 희석하여 혼합된 봉선화추출물희석용액을 투입하여 5-10℃의 온도의 세균생장억제온도로 침지되게 한 후 다각회전드럼에 의해 회전되게 하는 2차세균제거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를 이용한 수산물가공처리방법.
  13. 청구항 12항에 있어서, 상기 2차세균제거과정에서 수산물원료가 봉선화추출물희석용액에 30-50분 동안 침지되게 한 후 30-40분간 다각회전드럼이 회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를 이용한 수산물가공처리방법.
  14. 청구항 12항에 있어서, 상기 2차세균제거과정 후에 수산물원료를 냉풍 및 열풍을 이용하여 숙성발효되게 하고 반건조 및 건조되게 하는 숙성발효건조과정을 더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를 이용한 수산물가공처리방법.
  15. 청구항 12항에 있어서, 상기 2차세균제거과정 후에 수산물원료와 양념을 다각회전드럼의 처리실에 투입하고 회전시키는 양념처리과정을 더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를 이용한 수산물가공처리방법.
KR1020090106796A 2009-11-06 2009-11-06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산물 및 수산물가공처리방법 KR101089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796A KR101089223B1 (ko) 2009-11-06 2009-11-06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산물 및 수산물가공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796A KR101089223B1 (ko) 2009-11-06 2009-11-06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산물 및 수산물가공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995A true KR20110049995A (ko) 2011-05-13
KR101089223B1 KR101089223B1 (ko) 2011-12-02

Family

ID=44360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796A KR101089223B1 (ko) 2009-11-06 2009-11-06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산물 및 수산물가공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922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1462A (zh) * 2018-01-12 2018-07-24 胡淑敏 一种耳鼻喉科器具清洗设备
KR101965672B1 (ko) * 2018-11-03 2019-04-03 강기덕 수산물세척장치
WO2020154331A1 (en) * 2019-01-21 2020-07-30 Greengield Jon Treatment and agitation device for ultraviolet, temperature and gaseous controlled sterilization, curing and treatment of agricultural products including cannabis, and methods for treatment
KR200492267Y1 (ko) * 2019-09-20 2020-09-08 박찬오 육류 염지 장치
CN114081061A (zh) * 2022-01-24 2022-02-25 山西省平遥县宝聚源肉制品股份有限公司 肉类清洗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7278A1 (de) * 2012-08-08 2014-02-13 Nordischer Maschinenbau Rud. Baader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einer Fleischverarbeitungsmaschine
KR101374808B1 (ko) 2012-12-13 2014-03-26 한국식품연구원 배추 절임장치
KR101686805B1 (ko) * 2014-12-30 2016-12-21 에코융합섬유연구원 닥나무 박피장치
KR102143386B1 (ko) * 2019-01-25 2020-08-11 이용두 채소 절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192Y1 (ko) 2001-07-11 2001-10-19 지용 곡물볶음장치
KR200337928Y1 (ko) 2003-10-21 2004-01-13 김종섭 양념육 가공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1462A (zh) * 2018-01-12 2018-07-24 胡淑敏 一种耳鼻喉科器具清洗设备
KR101965672B1 (ko) * 2018-11-03 2019-04-03 강기덕 수산물세척장치
WO2020154331A1 (en) * 2019-01-21 2020-07-30 Greengield Jon Treatment and agitation device for ultraviolet, temperature and gaseous controlled sterilization, curing and treatment of agricultural products including cannabis, and methods for treatment
US11154627B2 (en) 2019-01-21 2021-10-26 Jon Greenfield Treatment and agitation device for ultraviolet, temperature and gaseous controlled sterilization, curing and treatment of agricultural products including cannabis, and methods for treatment
KR200492267Y1 (ko) * 2019-09-20 2020-09-08 박찬오 육류 염지 장치
CN114081061A (zh) * 2022-01-24 2022-02-25 山西省平遥县宝聚源肉制品股份有限公司 肉类清洗机
CN114081061B (zh) * 2022-01-24 2022-04-19 山西省平遥县宝聚源肉制品股份有限公司 肉类清洗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9223B1 (ko) 201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223B1 (ko) 농수산물가공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산물 및 수산물가공처리방법
AU2018204847B2 (en) Disinfecting, sterilizing, and packaging ready-to-eat produce
JP3493010B2 (ja) 生唐辛子の連続的な殺菌・乾燥による衛生乾燥唐辛子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CN105794962A (zh) 一种鲜切果蔬护色保鲜方法
CN109221964B (zh) 适合中餐烹饪方式的黄羽肉鸡原料生产方法及产品
CN103931729A (zh) 一种屠宰生鸭肉质保鲜的方法
CN101473870B (zh) 鲜切生姜涂膜保鲜技术
CN102388940A (zh) 袋装冷鲜鹅处理方法
Mercer A Basic Guide to Drying Fruits and Vegetables
US20040071846A1 (en) Method for preserving entire coconut pulp containing water
KR20170103120A (ko) 개선된 텀블링 방식을 이용한 식육 고기의 가공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가공된 식육
KR101353516B1 (ko) 건전복 제조방법
US20090226579A1 (en) Fish and meat curing process
Wangtueai et al. Optimization of phosphate and salt application to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frozen Nile tilapia fillets.
Vidaček et al. Safety of fish products
CN108056412B (zh) 一种花鲍螺去壳装置、加工系统及其加工工艺
CN106035631A (zh) 一种青脆李的保鲜技术
CN107853598A (zh) 一种食用腊肉的加工方法
KR101282169B1 (ko) 한방 반건조 우럭 제조방법
KR20220080461A (ko) 패류 탈각 가공방법
KR101815262B1 (ko) 연체류의 육질 개선을 위한 가공방법
KR101883470B1 (ko) 건어물의 가공방법
CN104187846A (zh) 一种风味鱼干的生产工艺
CN104705391A (zh) 一种鲜切莲藕的涂膜保鲜方法
RU2604822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ублимированной икры морского ежа и консервант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